B10
O EMBLEM TYPE
The Korean Herald 19th Feb 2021
PROPERTY NEWS
Property & Business L O G O H O R I Z O N TA L T Y P E
미래프로퍼티 칼럼
연령대별 재테크 시리즈
마라톤을 위한 계획, 준비된 자만이 완주할 수 있다. 안녕하십니까, 미래 프로퍼티 그룹 대표 이설아 입니다. 42.195km의 마라톤을 완주하기 위해서는 전체 코스를 잘 숙지한 다음 각 코스의 특성에 맞는 계획을 세워서 그에 따라 달려야만 완주를 할 수 있고 또한 좋은 성적도 낼 수 있습니 다. 부동산 재테크도 마라톤과 마찬가지입니다. 사회 생활을 시작하는 20대부터 은퇴를 하는 50~60대까지 각 연령에 맞 는 부동산 투자 계획을 제대로 세우고 실천해야지만 100세 시대를 살아야 하는 우리들의 인생이 행복해질 수 있습니다. 무엇이든 스타트 라인이 어디인가에 따라 그 결과가 확연히 달라지듯이 부동산 투자도 한 살이라도 젊었을 때 시작하는 것이 좋다고 말씀드릴 수 있습니다. 지금 무엇을 해야할지 모르는 20-30대를 위한 조언 워킹 홀리데이 시절부터 13년을 넘게 살아오던 지역을 벗 어나 내후년 학교에 입학하는 딸아이를 위해 학군이 좋다는 North Shore쪽으로 렌트를 오게 된 30대 L씨는 큰 시름에 빠 졌습니다. 조금은 급한 마음에 자녀의 학군만을 보고 우선적 으로 이사를 감행하긴 하여 교육 부분에는 어느 정도 만족을 찾을 수 있었으나 예상치도 못하게 부동산에서 주 30불씩 렌 트비를 올린다는 편지를 받은 후 이런 식으로 계속 렌트비를 올려줄 수는 없을 것 같아 집을 살까 그제서야 심각한 고민을 하기 시작한 것입니다. 하지만 모아 놓은 자금도 많지 않은 상태에서 대출을 받아도 마음에 드는 집을 사기에 부족한데 다 집값이 오르지 않고 떨어질 거란 얘기도 많아 홀로 망설이 다가 결국 구입을 포기하고 말았다고 합니다. 이후 생각과는 달리 코로나 이후 집값은 계속 상승 곡선이고 이사했던 시점 보다 렌트비도 꾸준히 오르고 있어서 L씨는 이대로 있다간 평생 내 집 마련도 못하는게 아닐까 가슴이 타들어가는 느낌 이었습니다. 이런 경우 L씨는 이사 전에 어떤 행동이 필요했
“미래와 함께 미래를 만들어 가세요” “Explore Future with Mirae” *본 칼럼은 부동산 관련 일반적인 이해를 위해 쓰 였으므로 이와 관련한 법적인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을까요? 단순히 타 지역으로의 ‘렌트’라는 일이긴 하였지 만 현재 자신의 상태를 기반으로 미래에 집을 ‘구매’하기 위한 계획과 예상 범위를 세웠었더라면 받은 충격을 최소화 할 수 있었을 겁니다. L씨와 같이 결국 주택 구입을 포기한 상당수의 사람들은 집값이 계속 오르고 있는 것을 보면서 상당한 후회와 자괴감 에 빠져 있습니다. 집값이 하향 안정세로 돌아설 것이란 전망 을 믿고 집을 구입하지 않았는데 이 전망이 여지없이 빗나가 고 있기 때문입니다. 만약 정부가 부동산 시장을 규제하기 위 해 더욱 강력한 대책을 내놓는다면 집값 상승세는 어느 정도 꺾일 수 있겠지만 한편 저금리가 지속되는 한 정부의 정책이 부동산 시장의 흐름까지 이길 수가 없는 것은 지난 십년이 넘 는 기간을 통해 우리가 배운 절대에 가까운 사실입니다. 만약 집값이 불투명한 미래의 ‘언젠가’ 하락하리라는 믿음에 집 구매를 잠정 포기하여 계속 렌트로 산다는 것은 본인의 집 대출 상환액수에 버금가는 렌트비를 지속적으로 지출, 결국 집주인의 주머니만을 불려주는 형국입니다. 이 때문에 재테 크에 가장 필요한 시드 머니 즉 종자 돈은 점차 줄어들게 되 고 지금의 형편에서 조금도 나아질 수가 없게 되는 악순환이 됩니다. 지금은 금리가 낮지만 앞으로 인상이 되게 되면 대출 금리도 올라가므로 집주인 입장에서는 커지는 가계 부담 때
문에 이를 보충하기 위해 결국 렌트비를 올릴 수 밖에 없는 현상이 나타나는 것은 지극히 상식입니다. 젊은 나이에 단 한번 최초 투자로 원하는 드림 하우스를 구 매하기는 결코 쉽지 않은 일입니다. 머리 속에는 결승점이 보 이긴 하지만 현실로는 이제 막 사회에 발을 디딘 세대 분들은 당장 현실의 자금은 부족할지 언정 누구보다 빠른 시작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장기적인 투자 상품인 부동산에 큰 장점을 갖 고 있습니다. 앞에서 언급했듯이 부동산 재테크는 마라톤과 마찬가지입니다. 각 연령에 맞는 부동산 투자 계획을 면밀히 세우고 실천이 필요하다는 것은 명백합니다. 남들이 사니 나 도 산다는 단순한 개념에서 벗어나 자신의 cash flow를 바탕 으로 부동산 전문가와 함께 목표에 맞는 포트폴리오를 만들 어 실천하게 되면 아름다운 완주를 하실 수 있습니다. 미래 프로퍼티 그룹은 우수한 품질의 서비스에 집중하고 자 합니다. 저희는 고객들과 오랜 지속적 관계 형성의 중요성 을 이해하고 있으며 이는 성실함, 근면함, 정직함, 그리고 부 동산에 대한 진정한 열정에 의해서만 이루어질 수 있다고 믿 고 있습니다. 미래 프로퍼티 그룹의 지속적인 성공의 원동력 은 기존 고객들께서 다시 찾아 주시고 저희 서비스에 만족하 여 다른 고객분들을 소개해 주시는 것입니다. 미래 프로퍼티 그룹의 목표는 고객이 부동산을 마켓에 내놓거나, 드림하우 스를 찾거나 새로운 지역으로 투자나 거주용 부동산을 찾을 때 최고의 수준의 전문적인 부동산 지식을 제공하는 것입니 다. 저희는 고객분들께서 집을 사시는 것이 스트레스를 주는 시련이 되어서는 안 된다고 믿습니다. 저희 미래 프로퍼티 그 룹과 함께 시작하시는 것이 부동산 투자가 성과를 거두도록 하는 첫 번째 단추라고 믿습니다.
카카오톡 친구를 등록하시면 부동산정보를 보내드립니다. 카카오플러스 친구목록에서'미래프로퍼티그룹'으로 검색해서 친구추가해주세요
이설아 대표 문의 0403 176 777 www.miraeproperty. com
@miraeproperty
'완전 미친' 골코 임대시장, 긴급숙소 마련도 어려워 급등하는 골드코스트 부동산 시장과 빈집 비율 감소하는 상황에서 사회적 주택 공급 필요성이 제기됐다. 골드코스트 일부 지역에서 부동산 가 격은 16% 이상 증가하고 중위 공가율 이 1% 미만으로 떨어졌다. 부동산 시 장 수요를 주도하는 한 가지 요인으로 타주에서 골드코스트로 이사 오는 사 람이 급증한 사실이 꼽힌다. 임대 스트레스 광범위 호주 사회복지 협의회(ACOSS)와 뉴 사우스웨일스대학(UNSW) 보고서는 임대 가능한 공급의 "불충분"해, 사회 적 주택의 "제도적 결함"이 있다고 지 적했다.
ACOSS와 UNSW 보고서에 따르면 골드코스트 공가율은 작년 중반에 5% 로 정점을 찍은 후 10월까지 약 1.5퍼 센트로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 이 후 공가률은 계속 하락하여 1월 커럼빈 (Currumbin)에서는 0.2%, 북부 지역에 서는 0.5%에 달했다. 지난해 3월과 6월 사이 방 2개짜리 유닛 중위 임대료가 하락했지만, 9월 들어 다시 상승세로 돌아섰다. 부동산 조사업체 PRD 리서치에 따르면, 유닛 중위 매매가는 45만 5000달러로 2016 년 이후 9.4% 증가했다. ACOSS·UNSW보고서에 따르면 호 주 전역에서 세입자 7만 5000여 명이 2020년부터 임대료를 연체해 부채를 지고 있으며, 주거비용은 0.5% 감소한
반면 평균 임대인 소득은 5% 감소했 다. 보고서는 지난해 비상 숙소에 들어간 거리 노숙인 4만여 명 중 장기 주택을 제공받은 사람은 1/3에 불과해, 사회적 주택 공급이 “불충분”하다고 시사했 다. 임대 공가율 감소는 긴급 숙소에 대 한 수요를 압박해, 노숙 위험에 처한 주 민이나 가정폭력 피해자들을 위해 임 대를 찾는 자선단체가 어려움을 겪고 있을 정도이다. 성요한 위기센터 다이 코지치 관리자 는 ABC 뉴스에 “미쳤다, 정말 미쳤 다”라며 숙소를 찾을 때마다 “전화 를 걸기도 전에 이미 팔렸다”라고 호 소했다.
퀸즈랜드주 주택부 대변인은 기존 5094채에 더해 2022년까지 골드코스 트 지역에 사회적 주택 392채를 건설 할 것이라고 밝혔다. 대변인은 주택 부 가 "민간 시장 임대를 안정시키고 고객 이 긍정적인 임대 이력을 쌓을 수 있도 록 고안된 여러 민간 임대 시장 제품을 포함한 일련의 지원 제품을 제공한다" 라며 공공 주택뿐 아니라 민간 임대 시 장도 활용한다고 설명했다. 현재 골드코스트 주택 등록 대기자 명단에 올라 있는 주민은 3392명이다.
박은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