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콩·중국을 알려주는 주간소식지-
제11-25-775호
WEDNESDAY JOURNAL 배부른 사람은 꿀이라도 싫어하고 주린 자는 쓴 것도 달다한다.
홍콩수요저널 www.wednesdayjournal.net
홍콩정청등록번호 29--588--95 1995년 년 2월 월 15일 일 창간
Publisher : Park Bong Chul Wednesday Journal Ltd. Add: Rm 2612, The Metropolis Tower, 10 Metropolis Drive, Hung Hom, Kln, HK Printer : Corporate Press (H.K.) Ltd. Add : 20/F, Sunrise Ind. Building, 10 Hong Man Street, Chai Wan, Hong Kong.
2011년 6월 29일
Tel. 2891-6172 Fax. 2573-7219 E-mail. sooyo@wednesdayjournal.net
///////////////////////////////////////////////////////////////////////////////////////////////////////////////////////////////////////////////////////////////////// 본지에 실리는 칼럼과 광고는 수요저널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홍콩 아동 사이에 성홍열 빠르게 번져
홍콩 아동 사이에 성홍열(Scarlet Fever)이 빠르게 번지고 있다. 지난 23일 성홍열에 전염된 아동 수는 32명으로, 단 일 환자 수로는 최다를 기록했다. 지난 22일부터 23일까지 24시간 동안 성홍열에 새롭게 전염된 환자가 32명이 늘었 는데, 전염자는 모두 1~18세의 아동 및 청소년이었다. 특히 쿤통, 까우롱, 통총, 완차이 소재 유치원에 있는 원 생 10명이 전염됐다. 이로서 6월 24일 현재 2~14세 아동 20명이 추가로 전염되어 전체 전염자 수는 546 명으로 늘 었다. 얼마 전에는 성홍열에 전염된 아동 2명이 사망했다. 위생방호센터가 최근 사망한 아동의 화학검사 결과를 발 표했는데, 이 두 아동은 각기 다른 유형의 연쇄상 구균에 감 염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5월 29일에 사망한 7세 여아는 'EMM12'형에 속하는 연쇄상 구균에, 얼마 전 사망한 5세 남아는 'EMM2형'의 연쇄상 구균에 감염된 것으로 나타났 다. 특히 7세 여아가 감염된 세균은 유전자 변이가 일어난 것으로 보여 홍콩대학에서 추가 분석을 하고 있다. 사망한 5세 남아의 경우 증상이 본격적으로 나타나기 전
수두 증상이 있었다고 한다. 올 들어 수두 환자가 6천 명을 넘어서고 있으나 수두와 성홍열 사이에 연관성이 있는지는 확인되지 않고 있다. 한 미생물 전문가는 수두와 더불어 성홍열을 유발하는 A형 연쇄상 구균은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다고 말 했다. A형 연쇄상 구균의 독성이 상당히 강하기 때문에 수 두에 감염되면 피부를 통해 구균이 신체 기관으로 침입해 중독성 쇼크 등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으며 사망률 이 20~30%에 달한다. 소아과 전문의는 수두와 성홍열에 함께 감염되는 경우는 드물지만, 동시에 발병할 경우 증상이 뒤섞여 성홍열 증상 이 눈에 띄지 않을 수 있다면서 아이에게 발열, 인후통, 발 진 등의 증상이 나타날 경우 즉각 병원에서 진료를 받고 병 세가 악화되지 않도록 규칙적으로 진료를 받아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성홍열로 사망한 5세 남아의 형(13세)도 성홍 열에 전염되었으나 항생제 치료와 함께 안정을 되찾은 것 으로 알려졌다.
지난 달 소비자물가지수 3년 만에 최고치 지난달 소비물가지수가 5.2% 오르면서 4월의 4.6% 보다 더 큰 상승폭을 나타냈다. 지난 3년 이래 가장 높 은 수치이기도 하다. 정부가 지급한 일회성 빈곤지원 조치를 제외한다 하 더라도 6월 종합소비물가지수는 전년 동기대비 5.1% 상승했다. 특히 개인주택 임대료와 식품가격 상승이 주 요 원인으로 작용했다. 정부 대변인은 소비물가지수가 지난 5월 현저히 상승 했으며, 식품가격과 개인주택 임대료 상승이 주요 원인 이라고 말했다. 또한 국제 식품 및 상품가격이 시장의 유동성 증대와 더불어 높아진 점, 홍콩 경제가 빠르기 회복, 성장하고 있는 것도 원인 중 하나이다. 현재 아시아 대다수 국가들이 인플레이션 문제에 직 면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