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요저널 PDF 2023년 4월 19일자 (23-15-1367호)

Page 1

홍콩 최대 국제학교 ESF 그룹도 외국인 학생 미달

홍콩에서 3년간의 제로 코로나 정책으로 헥시트 (HONGKONG+EXIT)가 벌어진 가운데 최대 국제학교

그룹이 2년 연속 외국인 학생 등록 미달 사태를 겪었다.

16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홍콩 최대 규모 국제학교 그룹인 ESF와 다른 국제학교 3

곳이 2년 연속 외국인 학생 등록 비율을 충족하지 못했다.

ESF는 홍콩에서 유치원부터 중고등학교까지 22개 학

교를 운영하고 있다.

홍콩에는 ESF를 포함해 54곳의 국제학교가 있다.

홍콩 교육부가 입법회(의회)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특수학교 1곳을 제외한 53개 국제학교의 총정원은 4만6

천253명이나 2022-2023학년도 등록 학생 수는 총 4만

626명에 그쳤다.

이들 국제학교에서 외국인 학생은 약 66%를 차지하고

나머지는 홍콩 학생들이다.

ESF는 외국인 학생 등록 비율이 70% 이상이어야 하나 2021-2022학년도 67%, 2022-2023학년도 65%로 2년

연속 해당 기준을 충족하지 못했다.

홍콩 교육부는 외국인 학생 구성 요건을 충족하지 못 할 경우 학교 운영 허가 갱신을 거부하거나 학교 등록을 취소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다만 다양한 국제학교와 총영사관, 상공회의소들이 팬

데믹 기간 학교가 직면한 어려움들에 대해 호소했다면 서 전염병이 진정된 후 (다시 돌아올) 외국인 학생들에 충분한 학교 입학 공간을 제공하는 게 가장 중요하다고 밝혔다.

국제 금융 허브 홍콩은 코로나19 이전 외국인 거주자 가 많아 국제학교 입학 경쟁률이 매우 높았다.

중국 본토 학생들도 입학 경쟁에 가세하면서 홍콩 국

/ 3페이지에서 계속

"配藥 푸이역" p.9

JOURNAL WEDNESDAY
19
l 생활칼럼 l 홍콩의 숨겨진 사찰 만불사 vs 자산사 p.12
제23-15-1367호
APR 2023
[건강칼럼]
홍콩 약국에서 약 조제받아 복용하기
WEDNESDAY JOURNAL 2 • 19 APR 2023 전면광고

홍콩의회 첫연설 “반대, 민주주의로 착각 말라”

홍콩의 중국화가 가속하는 가운데 중국 정부 관리가

16일 홍콩 입법회(의회)에서 반대를 민주주의로 착각하

지 말라고 일갈했다.

중국 정부 관리의 홍콩 입법회 방문과 연설은 이번이

처음이다.

17일 더스탠더드,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 등

홍콩 언론에 따르면 중국 정부의 홍콩 업무를 총괄하는 

국무원 홍콩·마카오 사무판공실(HKMAO)의 샤바오룽

주임은 전날 홍콩 입법회를 찾아 이같이 밝혔다.

홍콩 언론이 참석자들의 전언을 인용한 바에 따르면

입법회 의원 89명 중 80명 이상이 참여한 가운데 비공개

WEDNESDAY JOURNAL

Registration No.(홍콩정청등록번호)29-588-95

Since 15. Feb. 1995

Tel_2891-6172 Fax_2407-5454

PUBLISHER _ Park Bong Chul

Wednesday Journal Ltd

Unit 515, 5/F, Tower B, New Mandarin Plaza, No.14 Science Museum Road, Tsim Sha Tsui East, Kowloon, Hong Kong.

EDITORIAL ::

Chief Editor _ Son Jung Ho / sooyo@wednesdayjournal.net

COLUMNIST

Law _ Kim Jeong Yong, Jang Yun Young

Accounting _ Kim Young Dae, Lee Yoon Ki

Education_Lee Kang Ryul

Living_Lee Seung Kwon

Health _ Lee Heung Soo

IT _ Cho Jun Ho

Economy _ Lee Jae Ho

MARKETING & ADVERTISING ::

Marketer _ Lisa Jeon / marketing@wednesdayjournal.net

DESIGN ::

Designer _ Hong Ji Hye / design@wednesdayjournal.net

PRINTER

The Print Block B, 7/F, Cheong Fat Factory Building, 265-271 Un Chau Street, Kowloon, Hong Kong

로 진행된 해당 행사에서 샤 주임은 민주주의는 반대 의

견 제기에 관한 것만이 아니다, 반대 의견의 존재가 질 적 민주주의와 동일하지는 않다, 시위는 유일한 의견 표현법이 아니다 등의 발언을 내놓았다.

홍콩 입법회 청사는 2019년 6월 범죄인 인도 법안(일 명 송환법) 반대 시위대에 한때 점거됐다.

당시 청사 건물 벽에는 반정부 구호와 함께 중국 공산

당 타도, 홍콩은 중국이 아니다는 등 반중국 정서를 표 출하는 구호도 내걸렸다.

입법회 청사 점거와 함께 시작된 홍콩 반정부 시위는 이후 반년 넘게 거세게 일어났고, 이에 놀란 중국 정부는 이듬해 홍콩국가보안법을 직접 제정해 시행했다.

중국 정부는 나아가 애국자만이 출마할 수 있도록 홍 콩 선거제를 전면 개편했다.

그 결과 2021년 12월 치러진 입법회 선거는 민주 진영 의 불참 속 친중 진영만 참여했고 시민들의 무관심 속 사 상 최저 투표율을 기록했다. 이후 홍콩 입법회는 거수기 로 전락했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참석자들에 따르면 샤 주임은 홍콩 의원들에게 정부의 행정을 지원하고, 관심을 끌기 위한 필리버스터(합법적

의사 진행 방해)는 삼가라고 말했다.

그는 또한 중국을 예로 들면서 민주주의는 타협할 수 있다고 말했고, 서양 민주주의에도 단점이 있기에 외국 시스템을 그대로 따라 해서는 안 되며 홍콩은 자신의 길 을 탐색해야 한다고 밝혔다.

아울러 의원들의 단합을 촉구하면서 지난 몇년간 입 법회에서 벌어진 혼란이 다시는 재발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앤드루 렁 홍콩 입법회 주석은 중앙 정부 지도자가 입 법회를 찾아 의원들과 소통한 오늘은 역사적인 날이라 며 홍콩국가보안법과 애국자가 홍콩을 다스린다(愛國 者治港)는 원칙이 없었다면 가능하지 못했을 일이라고 주장했다.

앞서 샤 주임은 지난 13일 엿새 일정으로 홍콩 시찰에 나섰다. 그의 홍콩 시찰은 지난달 중국이 홍콩 업무에 관 한 보고 라인을 국무원(내각)에서 공산당 직보로 변경한 후 처음이다.

중국은 지난달 당정 기구 개편에서 당 중앙홍콩마카오

공작판공실 신설을 결정하며 홍콩 문제에 대한 당 중앙 의 지휘 및 관할권을 강화했다. (연합)

홍콩 최대 국제학교 ESF 그룹도 외국인 학생 미달

/ 1페이지에서 계속

제학교에 들어가기 위해 몇 년 동안 대기해야 하는 학생 들이 많았다.

그런 상황에서 홍콩 교육부는 2009년 국제학교의 외

국인 학생 등록 비율을 전체 학생의 50%에서 평균 70% 로 상향 조정했다.

하지만 제로 코로나 정책으로 2년 넘게 국경이 닫히 자 금융권을 중심으로 외국인이 대거 떠났고 그 과정에 서 국제학교의 경쟁률도 떨어졌다.

그 기간 중국 본토 학생들의 홍콩 통학도 막히면서 국 제학교뿐만 아니라 홍콩 현지 학교도 학생 수가 상당히 줄었다.

여기에 홍콩국가보안법 시행 이후 현지인들 사이에 이 민 붐이 일면서 전반적으로 홍콩의 학생 수가 감소했다. 홍콩의 인구는 2019년 750만명으로 정점을 찍은 뒤 내 리 감소세를 걸어 지난해 말 기준 733만여명을 기록했 다. (연합)

12인 룸예약 가능

WEDNESDAY JOURNAL • 3 19 APR 2023 홍콩뉴스
中관리,

중국이 홍콩 문제를 관할할 안보·외교 전문 공산당 고위 간부 5명을 선임했다고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 스트(SCMP)가 복수의 소식통을 인용해 16일 전했다.

보도에 따르면 중국 정부의 홍콩 업무를 총괄하는 국

무원 홍콩·마카오 사무판공실(HKMAO)의 샤바오룽

주임을 비롯해 중국 공산당 21기 중앙정치국 위원 중에 서 스타이펑 중앙통일전선부장과 천원칭 중앙정법위 서

기, 국무위원 중에서 왕샤오훙 공안부장과 친강 외교부 장이 홍콩·마카오 문제를 관할하는 당 중앙 홍콩마카오 공작영도소조 부조장으로 선임됐다.

홍콩마카오공작영도소조의 조장은 딩쉐샹 국무원 상 무(수석) 부총리가 맡는다고 앞서 홍콩 언론은 전했다.

공작영도소조는 당이 국가 차원의 핵심 정책 의제를 다루기 위해 두는 상설 협의 조직으로, 위원회 다음으로 위상이 높다.

중국은 2019년 홍콩에서 대규모 반정부 시위가 벌어 지자 이듬해 당 홍콩마카오공작협조소조의 명칭을 홍 콩마카오공작영도소조로 격상했다.

중국은 또한 지난달 당정 기구 개편에서 당 중앙홍콩 마카오공작판공실을 신설하기로 결정하며 홍콩 문제에 대한 당 중앙의 지휘 및 관할권을 강화했다. 그에 따라 기 존 국무원 홍콩마카오사무 판공실은 사실상 간판만 유지 하게 됐다.

한 소식통은 홍콩마카오공작영도소조의 개편은 중국 당국이 안보 측면을 면밀히 주시하는 가운데 두 특별행 정구(홍콩·마카오)의 발전에 집중하길 원하는 것을 보 여준다고 말했다.

이어 딩쉐샹의 주요 임무는 웨강아오 대만구 계획 아 래 홍콩·마카오의 본토와의 통합을 밀어붙이는 것이

라며 그러나 홍콩의 안보와 중국 전체 외교에서의 역할 역시 중요하기 때문에 그는 안보, 통일전선공작, 외교 분 야 최고 관리들의 지원을 받을 것이다고 말했다.

웨강아오 대만구(Great Bay Area)는 광둥성 9개 주요 도시와 홍콩과 마카오를 연결하는 거대 경제권을 조성하 는 프로젝트다.

소식통은 시 주석의 측근인 샤바오룽이 5명의 부조장 중 수석 부조장을 맡을 것이라고 전했다.

지난 13일 홍콩 시찰에 나선 샤바오룽은 금융·교육·

주택 분야를 살펴보고 구의회 선거제 개편과 홍콩판 국

가보안법 별도 제정 등에 대한 논의도 할 것으로 알려졌 다.

그의 홍콩 시찰은 지난달 중국이 홍콩 업무에 관한 보 고 라인을 국무원(내각)에서 공산당 직보로 변경한 후 처 음이다.

소식통은 샤바오룽이 수석 부조장으로서 홍콩 문제 보 고 체계의 전환 작업을 지휘할 것이라고 전했다. (연합)

홍콩 증시가 중국 경제 회복 기대감 속에 2% 전후의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17일 오후 4시 31분(한국시간) 홍콩 항셍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1.72% 오른 20,789.45를, 항셍H 지수는 2.12% 상승한 7,061.19를 기록했다.

18일 중국 1분기 국내총생산(GDP)과 3월 산업생산, 소매판매 등의 발표를 앞두고 지수가 상승했다.

현재 전문가들은 중국의 1분기 GDP 성장률이 전년 대 비 4%를 기록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이는 작년 4분기

수치인 2.9%에 비해 높은 수준이다.

산업생산과 소매판매도 각각 4.4%, 7.5% 증가해 지난

1~2월 기록한 2.4%, 3.5% 증가를 웃돌 것으로 예상됐다. 네덜란드계 금융사 ING는 이날 인민은행이 1년 만기 중기유동성지원창구(MLF) 금리를 2.75%로 동결한 것은 1분기 GDP 결과가 나쁘지 않을 것임을 시사한다고 분 석했다.

역외 달러-위안 환율은 0.02% 하락한 6.8704위안을 기록했다. (연합)

WEDNESDAY JOURNAL 4 • 19 APR 2023 홍콩뉴스
中, 홍콩문제 관할 안보·외교 전문 공산당 간부 5인 선임
홍콩 증시, 中 경제 기대감에 2% 안팎 상승

中 최대 광고회사 “카피라이터·디자이너, AI로 대체”

보도했다.

마케팅·커뮤니케이션 매체 프로보크(PRovoke) 미디

어에 따르면 블루포커스는 지난해 글로벌 광고 회사 랭 킹 11위에 올랐다. 중국 회사 중 1위다.

SCMP는 블루포커스가 올해 마이크로소프트(MS)를 고객으로 유치하면서 AI에 크게 걸고 있다고 설명했다.

MS는 지난해 11월 챗GPT를 내놓으며 전세계에 파란

을 일으킨 오픈AI의 주요 투자사다.

최근 선전 증시 공시에 따르면 블루포커스는 MS의 클 라우드 서비스를 통해 챗GPT에 접근했으며, 챗GPT를

등에 업은 MS의 새로운 검색 엔진 빙(Bing)이 광고주들

가 노동시장에 끼칠 영향에 대한 우려를 가중한다고 짚 었다.

지난달 오픈AI와 미국 펜실베이니아대 연구진이 내놓 은 연구 결과에 따르면 생성형 AI는 회계사, 수학자, 통역 사, 작가 등의 직업에 가장 큰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또 홍보 전문가, 법원 속기사, 블록체인 엔지니어도 챗 GPT와 같은 기술에 많이 노출된 직업으로 꼽혔다.

업무의 10% 이상이 생성형 AI 기술의 영향을 받는 일 자리는 미 전체 노동자의 80%에 해당했다.

중국 최대 미디어 광고 그룹 블루포커스가 카피라이터

와 디자이너 등에 대한 아웃소싱(외주)을 무기한 중단하

고 챗GPT 같은 생성형 인공지능(AI) 기구로 대체 하겠다

고 밝혔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블루포커스

가 내부 이메일을 통해 생성형 AI를 전적으로 수용하기

위해 카피라이터, 디자이너, 단기 계약직 등 특정 분야의

아웃소싱 비용을 즉시 절감할 것이라고 밝혔다고 14일

을 위해 어떤 가능성을 가져올 수 있는지 탐구하고 있다 고 밝혔다.

블루포커스는 또한 챗GPT에 대항해 바이두가 내놓은 어니봇, 알리바바의 퉁이 톈원 등 중국 기술기업들이 출시한 생성형 AI도 써보고 있다면서 이를 가상 캐릭터 제작과 다른 디지털 마케팅 작업에 활용할 것이라고 소 개했다. SCMP는 블루포커스의 이러한 움직임은 생성형 AI

지난달 골드만삭스 이코노미스트들은 챗GPT 같은 기 술이 사무직과 법률 서비스를 중심으로 현재 일자리의 4 분의 1을 대체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이런 가운데 중국 당국은 지난 11일 생성형 AI 서비스 관리 방안 초안을 발표하면서 생성형 AI가 만들어내는 콘텐츠는 핵심 사회주의 가치를 반영해야 하며 국가 통 합을 저해해서는 안 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모든 회사는 관련 제품을 출시하기 전에 당 국의 보안 평가를 통과해야 한다고 알렸다. (연합)

국영 중국이동통신 차이나 모바일 (China Mobile)은 현재 가치가 미화 10억

달러인 홍콩 굴지의 통신사 HKBN을 인

수할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고 관련 소식

통 4명이 말했다.

차이나 모바일은 최근 몇 주 동안 광대

역 및 Wi-Fi 관리를 포함한 서비스를 제

공하는 홍콩 통신 제공업체를 인수하고

비상장으로 전환하는 것에 대해 조언받기

위해 소규모 은행 그룹에 RFP(제안 요청

서)를 보낸 것으로 알려졌다. 베이징에 본사를 둔 차이나 모바일은

여전히 투자 은행으로부터 제안을 받고

있으며 아직 공식 제안을 결정하지 않은 상태이다.

HKBN은 화요일 오전 마감 기준으로 79억4000만홍콩달러(미화 10억1000만 달러)의 시장 가치를 가지고 있다. 차이나 모바일과 HKBN은 논평 요청에 즉각 응답하지 않았다.

WEDNESDAY JOURNAL • 5 19 APR 2023 홍콩뉴스
차이나모바일, 홍콩 통신사 HKBN 인수 추진

소비자위원회 의장은 식료품 가격 인상은 소비 바우 처와 관련이 없으며 가격 인상의 원인은 팬데믹 때문이 라고 말했다.

어제 소비자위원회가 발표한 연구에 따르면 2022년 식료품 가격은 2.1% 급등했으며 이는 2013년 이후 가장 큰 폭의 상승으로 인플레이션율을 상회했다.

소비자위원회(Consumer Council)는 통조림 제품이

2019년 팬데믹 이전 수준에 비해 올해 첫 3개월 동안 무 려 30%나 증가했다고 말했다. 화요일 라디오 프로그램에서 질리 웡 소비자위원회 의장는 팬데믹이 식료품 가격에 영향을 미쳤지만 홍콩 이 정상화되면 올해 안에 가격이 하락할 것이라고 예상 했다.

위원회가 실시한 연구에서 3개 슈퍼마켓 체인의 54

개 카테고리, 260개 품목의 가격을 조사한 결과, 상품의 70% 이상(또는 175개 품목)의 가격이 급등한 것으로 나 타났다. 버터는 15.4%, 티백은 11.7%, 치즈는 10.2%, 식 용유는 10.1% 증가했다.

웡 의장은 우크라이나 전쟁이 해바라기유의 주요 수출 국인 식용유의 가격 인상과 많은 관련이 있다고 설명했 다. 펜대믹은 또한 상품 운송을 중단시켰고 가격에 더 많 은 영향을 미쳤다.

한편 그녀는 의회가 소비 바우처 제도의 이전 단계에 서 소비 바우처와 식료품 가격 인상 사이의 직접적인 상 관관계를 발견하지 못했다고 말했다.

그녀는 팬데믹이 심화될 때만 가격이 상승할 뿐이며 소비자들은 항상 다른 슈퍼마켓의 가격을 비교하여 식 료품을 구입할 때 최대 10%를 절약할 수 있다고 덧붙 였다.

소비자위원회는 홍콩이 정상화되고 원자재 비용, 운송 비, 인건비가 안정되어 결국 식료품 가격이 정상 수준으 로 되돌아가기를 기대했다.

채친완 환경생태국 국장은홍콩 정부가 구매하는 모든 새 자동차는 특별한 설명하지 않는 한 전기 자동차여야 한다고 말했다.

지난주 목요일 입법회 재정위원회 특별 회의에서 신 인민당의 도미니치 리 의원은 약 6,000대의 정부 차량 중 약 150대만이 전기 자동차라고 언급하면서 정부가 전기 자동차 홍보를 심각하게 받아들이지 않는지 의심했다.

리 의원은 정부 주차장도 2000대 안팎에 불과해 시민 들에게 충분한 충전 시설을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고 지 적했다.

이에 대해 채친완 환경생태국 국장은 당국이 작년에

부서나 공무원이 특별한 이유를 제시할 수 없는 한 정부 가 구입하는 모든 신차는 전기 자동차여야 한다는 정책 을 도입했다고 말했다.

케네스 렁 카이밍 환경생태국 수석 차관보는 개인 주 차장에 동시에 여러 차량의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는 약 3,000개의 충전 시설이 있다고 말했다.

운전자들은 여전히 차량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해 줄 을 서서 기다려야 하지만 민간 주차장은 점점 더 많은 충 전 시설을 설치하고 있다고 렁 차관보는 덧붙였다. 그는 정부 건물에 약 7,000개의 추가 충전 시설이 있을 것이라 고 말했다.

WEDNESDAY JOURNAL 6 • 19 APR 2023 홍콩뉴스
“식료품 가격 인상은 소비 바우처와 관련없어”
“홍콩 정부의 모든 신차는 전기 자동차로 구입해야”

58세 여성, 공공병원 응급실 12시간 대기 후 사망

후 의료 평가를 받기 위해 전화를 받은 다음 날 오전 11시 15분이 되어서야 전화를 받았다.

병원 대변인은 그녀를 위해 추가 검사가 준비되었고 그때까지 그녀의 상태는 안정적이었다고 말했다.

오후 12시 30분경, 의료진은 추가 검사를 위해 환자를 이송할 준비를 했다. 환자는 대기실과 병원 내 방송 시스 템을 통해 호출되었지만 아무 답변자가 없었다.

오후 1시 45분경 병원 내 방송을 통해 환자에게 다시 호출했지만 여전히 소용없었다.

[안내] 2023 재외동포 대학생 모국연수 참가자 모집 공고

재외동포재단은 세계 각국의 재외동포 청소년에게 소통

과 상호간 유대감형성 기회를 제공하고, 모국의 사회·역 사·문화를 체험함으로써 한민족으로서의 자긍심과 리

더십 함양의 계기를 제공하고자 ‘2023 재외동포 대학생

모국연수’를 진행합니다.

58세 여성이 홍콩섬 동부병원(Pamela Youde Nethersole Eastern Hospital)의 응급실에서 12시간을 기다리

다 응급실 대기실과 연결된 화장실에서 의식이 없는 채 발견됐다.

병원관리국에 따르면 A씨는 일요일 오후 11시경 발열 과 기침 증세로 병원을 찾았다. 그녀는 12시간을 기다린

오후 4시 30분, A&E 대합실에 있는 화장실에서 환자 가 무반응 상태로 발견됐다. 그녀는 소생 시도 후 오후 5 시 6분에 사망한 것으로 확인됐다.

병원 측은 월요일 환자의 가족을 만나 사건 경위를 설 명하고 애도를 표했다고 밝혔다. “병원은 가족들에게 필요한 지원을 제공하고 이 사건 은 후속 조치를 위해 검시관에게 보고될 것”이라고 병 원관리국은 성명서를 통해 발표했다.

거주자 이탈로 비현지 학생 12% 감소

국인 학생은 26,768명으로 전체 입학 학생의 66%에 달 한다. 이는 2019-2020년에 각각 30,499 및 74%에서 더 감소한 것이다.

홍콩이 세계와 단절된 코비드 시대에 얼마나 많은 외

국인이 금융 허브를 떠났는지 쉽게 확인할 수는 없다. 홍 콩 주재 미국 고위 관리는 지난 1월 홍콩에 거주하는 미

국인의 20%가 지난 2년 동안 홍콩을 떠난 것으로 추산한 다고 말했다. 경제 침체와 홍콩에 대한 베이징의 통제력

신청자격 - 전 세계 재외동포 대학생 중 5년 이상 합법적으로

외 체류 중인 재외동포 학생으로

● 시민권자, 영주권자, 한국 국적자, 입양인 및 입양인 자

녀, 다문화 가정 자녀

● 독립유공자 후손, 고려인 후손, 재중동포 등

● 재외동포 사회 기여 의지 및 한인사회 봉사 실적이 우

수한 학생

● 전 일정을 참가함에 있어 심신상 지장이 없는 건강한

학생

● 해외 출국에 관한 주재국 법률에 저촉되지 않는 학생

※ 최근 3년내 기존 참가자 전체 참가자 10% 이내 선발

신청방법

- www.korean.net 접속, 회원가입 후 개별 신청

신청기간(한국시간 기준, 5. 9. 23:59 마감)

- 신청 : 공고일로부터 2023. 5. 9(화) 이전 까지 완료

- 참가자 선발 및 결과 통지 : 2022. 5. 29(월) 이전, www.korean.net을통해 개별 확인

자세한 내용 및 신청방법

은 총영사관 홈페이지에서

홍콩 국제학교의 외국인 학생 수는 4년 만에 12% 감소 했는데, 이는 대유행 기간 동안 외국인 출국의 물결을 반 영한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부에 따르면 이번 학년도에 국제학교에 등록한 외

강화에 대한 우려가 탈출을 악화시켰다.

외국인 학생 감소 현상이 지속되면 국제학교 운영에 문제가 될 수 있다. 정부 규정에 따르면 외국인 학생은 전 체 학생의 평균 70%를 차지해야 한다.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QR

코드를 스캔하시면 이동합 니다.

WEDNESDAY JOURNAL • 7 19 APR 2023 홍콩뉴스
국외

부동산정보

아이린 양과 함께 알아보는 홍콩 부동산

부동산 SOS! 이럴 땐 어떻게 하나요?

의 보증금은 협상의 대상이 아닙니다.

부동산 중개인의 선정을 신중하게 하시길 부탁드립니다.

아파트 월세 계약 (혹은 매매계약) 시 확인할 사항도 확실히 하 고, 고객님의 요청사항을 충분히 반영시키고, 월세 계약 이후에 도 때에 따라서 주인분과의 의사소통에 도움이 되어야 하는 게 중개인의 중요한 역할입니다.

우선 고객님과 의사소통이 잘 되는 중개인을 선정하셔야 주인 분과의 순조로운 의사소통이 보장됩니다.

게다가 홍콩에서의 부동산 관행을 투명하게 잘 설명을 해 줄 중개인의 자질은 기본이겠죠?

Korea Top Property Limited (License No. C-088167)

Irene Yang (License No. S-634301)

☎ + 852 6145 0518

부동산 중개인의 EAA 자격증을 꼭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Q. 현지 부동산업체에서 월세 계약하려고 상담을 하였습니 다. 부동산 중개비를 1달 치를 요구합니다. 맞는 건가요? 그분 들은 법적으로 문제가 되지 않는다고 하면서 무조건 1달 월세 에 상당하는 돈을 요구합니다.

A. 법적으로 정해진 부동산 중개비는 없습니다. 하지만, 주

거지 부동산은 관례상 세입자/주인 각각 월세의 반을 부동산 복 비로 냅니다.

Q. 저희가 구하는 집이 외곽이고 Village House입니다. 그

래서 외곽지역의 집 가격은 낮기 때문에 1개월 월세에 상당하

는 금액을 부동산 복비로 요구를 합니다. 그리고 중개인이 다 른 고객들에게 1개월 복비를 받은 증거 서류도 보냈고요.

A. 말씀하신 지역에서 해당 월세는 낮은 가격이 아닙니다. 게

다가, Village House라고 관행인 월세의 반인 복비에서 더 주실

필요는 없습니다.

Q. 또한 렌트프리를 5일만 준다고 하네요. 왜 그렇죠? 월세 시작일이 3주 이후인데도 5일만 준다고 합니다.

A. 렌트프리는 보통 1주일입니다. 아주 급하게 월세를 시작 하실 경우에는 렌트프리 기간이 짧아질 수도 있지만, 보통 1주일 의 렌트프리 기간이 있습니다.

Q. 주인분께서 2년 고정(fixed)으로 계약을 하셔야 한다고 합니다. 이럴 때는 어떻게 하나요?

A. 계약기간은 보통 2년이고, 주로 1년 고정으로 사시고, 주 인/세입자께서 서로에게 1달 (혹은 2달, 협의하에) 통지를 주시 고 월세 계약을 파기를 하실 수 있습니다.

주인분께서 2년 고정으로 계약을 하시길 원하시면, 우선 세입 자분께서 동의하시는지 생각해 보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2년 고정 계약일 경우 월세를 약간 조정할 수 있습니다. 이 부분에 대 해서 중개인을 통해 주인분과 협의를 권합니다.

Q. 2년 고정 계약을 하게 되면, 보증금 (deposit)으로 한 달 월세만 지불해도 될까요?

A. 홍콩에서 아파트 월세 계약을 하실 때는 2개월 월세의 보 증금, 첫 달 월세 선납, 총 3달 월세 지불이 기본입니다. 2달 월세

WEDNESDAY JOURNAL 8 • 19 APR 2023

이흥수 약사의 건강칼럼

홍콩의 의료시스템은 한국과 꽤 다릅니다. 국가에서 강제하 는 국민건강보험 제도가 없어서 매달 의무적인 의료보험비 지 출은 없는 대신에 한번 병원에 갈 때마다 상당한 비용을 지불 해야 합니다.

한국에서는 전문의의 진료를 받는 데도 1만원이면 되던 것 이 홍콩에서는 동네 의원의 비전공의를 만나도 5만원 이상 지 출되는 점은 홍콩에서 몇년을 살아도 적응하기 힘든 부분 중 하 나입니다.

이렇게 의료비 부담이 큰 홍콩에서 약국은 기초적인 의약품

공급처로 그 부담을 다소 줄여주고 있어 일부 시민들은 많이 애 용하고 있습니다.

홍콩에서는 30여년 전 한국처럼 의약분업이 미처 되어있지

않기 때문에 그 예전 한국에서 그랬던 것처럼 손님이 약국에 오

면 약을 직접 지어주기도 합니다. 이를 푸이역(配藥, 한글로 '배

약', 흔히 쓰는 말로 조제)이라고 합니다.

대개는 감기약이나 소염제 등 기본적인 약을 나눠서 포장해

주는 것부터 시작해서 처방전에 따라 고혈압약 등을 판매하는

것 등이 일선 약국에서 이루어지는 푸이역(조제)입니다.

대부분의 약국은 주변 의사들의 처방에 익숙하기 때문에 그 처방을 흉내내 약을 조제해 주기도 합니다. 병원 진료받는 비용 에 비해 월등히 저렴한 비용에 대기시간이 필요없는 것은 물론 이지요.

하지만 홍콩의 특성상 전문성이 부족한 직원들이 처리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꼭 약사의 직접적인 관리감독 하에 조제받아 드시기를 권장합니다. 그리고 홍콩의 약국에서는 일반적으로 영업시간의 3분의 2만 약사가 상주하므로 약국에 표시된 약사 근무시간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이를 이용하자면 단순하게는 감기약이나 소염제가 예전에 먹던 것과 같은 것이 필요하면 예전 포장 그대로 들고가서 약사 에게 이 처방 그대로 먹을 수 있겠는지 상담하고 다시 조제받아 복용할 수 있습니다.

물론 직원들의 영어가 서툴거나 본인이 외국어가 익숙하지 않아 소통이 불편할 수도 있고 홍콩 현지의 낯선 약국 풍경이 부 담스러운 경우도 있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가볍고 익숙한 질환

에 대해 간편하게 해결하길 원할때는 동네 약국에서 약을 조제

받아 드시는 것도 편리한 선택이 될 수 있습니다.

코로나가 진정된 이 시점, 아프지 말고 병원 갈 필요없는 건

강한 날이 계속되시길 바랍니다.

#홍콩약사 #조제 #配藥 카카오톡 채널 : 홍콩약사 http://pf.kakao.com/_TSxhBb

- 중앙대학교 약학과 졸업

- 홍콩 최초의 한인약사 (2023년 현재까지 유일)

- 한국 및 홍콩에서 10여 년 약사 근무경력 (현 홍콩에서 근무 중)

- 홍콩 거주 7년차

- 카카오톡 채널 : 홍콩약사 이흥수 약사

매장으로 오시면 한국인 약사가 친절하게 안내해 드리겠습니다.

China Dispensary

Tel 2668 8152 | Shop 22, G/F, Harmony Garden, 9 Siu Sai Wan Road, Siu Sai Wan, Hong Kong Island 김정용 홍콩변호사 (Kim & Company, Solicitors) 장윤영 변호사 (Kim & Company, Solicitors) 김영대 한국공인회계사 (Sejong CPA&Company)

한국공인회계사 (ATOZ HK) 이강렬 박사 (미래교육연구소)

이승권 원장 (진솔학원)

이흥수 약사 (China Dispensary)

조준호 법인장 (elTOV Creative director)

이재호 변호사 (Simmons & Simmons Partner)

WEDNESDAY JOURNAL • 9 19 APR 2023 건강칼럼
홍콩 약국에서 약 조제받아 복용하기
" 配 藥 配藥 푸이역"
이윤기

이강렬 박사의 교육칼럼

미국 대학 전공에 대해 <2> 전공 선택 시 생각해야 할 것들

필자에게 대학 전공 상담을 하러 오는 학부모들이 많다. 그

분들이 하는 말 가운데 하나는 "아이가 미국에서 대학 졸업 후

취업을 하려는 데 최고의 전공이 무엇일까요?"이다.

궁극적으로 최고의 전공은 자신의 관심사, 가치관 및 목표

에 부합하는 전공이다. 결국, 학부생으로서 대부분의 시간을

이 학문에 집중하게 될 것이므로 열정을 느낄 수 있는 전공이

어야 한다. 남이 좋다고, 취업이 잘 된다고 무턱대고 선택을

해서 어려움을 겪는 학생을 본다.

A는 매우 우수한 학생이었다. 학교 성적도 최상위, SAT 점

수도 1580점이었다. 아이가 가고 싶은 대학, 하고 싶은 전공

이 있었지만 부모는 약대를 가라고 강권을 했다. 이 학생은 경

쟁력 있는 약대에 진학을 했다. 결국 4학년 때 저조한 학점으

로 대학에 학사 제적을 당했다. 부모의 욕심이 빚은 참사라고

할 수밖에 없다. 후회는 아무리 일찍 해도 늦는다. 자신과 안

맞는 공부를 한다는 것은 지옥과 다름이 없다. 자신에게 맞는 전공, 자신이 좋아하는 분야의 전공, 자신이 보람을 느끼는 전공을 찾아야 한다.

사람들은 전공을 찾는 과정에서 미래의 직업과 수입을 고

려해 가장 좋다는 학위를 얻고 싶어 한다. 그렇기 때문에 학생

들은 종종 최고의 커리어 기회와 높은 연봉을 제공하는 학과

를 전공으로 선택한다. 이러한 이유로 과학, 기술, 공학, 수학

등 STEM 전공이 인기가 높다. 비즈니스 및 보건 전공도 훌륭 한 커리어 옵션으로 이어질 수 있다.

전공을 선택할 때 고려해야 할 5가지 주요 요소

관심 분야가 다양하다면 전공 선택의 폭을 좁히기가 어려

울 수 있다. 다음 5가지 핵심 요소를 고려하면 자신에게 적합 한 전공 분야를 결정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1 관심사, 가치관, 열정, 기술 파악하기

앞서 언급했듯이, 전공 선택은 대학 생활에 대한 만족도

와 성공을 보장하기 위해 자신의 관심사 및 기술과 일치해 야 한다. 이것이 바로 입학 과정에서 관심사가 중요한 이유 중 하나다.

#2 경력 목표 고려하기

대학 졸업 후 무엇을 하고 싶은지 정확히 알지 못할 수도 있 지만, 몇 가지 아이디어는 가지고 있을 것이다. 전공과 관심 있는 잠재적 직업 사이의 연관성을 검토해 보라.

#3 조언자 및 전문가와 만나서 이야기하기

여러 가지 선택지를 검토할 때 신뢰할 수 있는 성인과 대화 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다. 학교 카운슬러와 선생님은 훌륭 한 자원이다. 지망 학교의 지도교사와도 전공 분야와 진로에 대해 논의할 수 있다.

#4 마음을 바꿀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라 전공을 결정하는 것은 평생의 약속이 아니다. 한 학문을 추 구하다가 마음이 바뀌면 언제든지 전공을 바꿀 수 있다. 많은 학생들이 그렇게 하고 있다. 하지만, 특히 학위 과정을 더 진 행 중인 경우에는 추가 과목을 이수해야 할 수도 있다. 그렇 기 때문에 신뢰할 수 있는 지도교수가 여러분의 교육적 성공 에 매우 중요하다. 지도 교수는 학업 옵션을 평가하고 원하는 경우 한 전공에서 다른 전공으로 원활하게 전환하는 데 도움 을 줄 수 있다.

#5위 전공 분야와 관련된 연구 급여

전공 선택에 따라 진로가 결정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전

공에 따라 어떤 종류의 급여를 기대할 수 있는지 알아보는 것 이 도움이 된다.

무엇을 전공해야 할지 모를 때 해야 할 일

무엇을 전공할지 모르겠다면 미결정으로 대학에 지원해도 괜찮다. 하지만 최종적으로 전공하고 싶은 학문 분야를 찾기 위해 계속해서 관심을 탐구하고 집중해야 한다. 다양한 기술 과 열정을 가진 것은 환상적이지만 전공을 선택하는 것이 어 려울 수 있다.

또한 무엇을 전공해야 할지 모른다면 스트레스를 받을 수 도 있다. 이때 대학 카운슬러나 지도 교수의 조언이 도움이 될 수 있다. 관심 분야를 좁히고, 관심 있는 주제를 더 깊이 파고 들고, 고려하지 않았던 전공을 제안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 다. 전공을 선택하고 자신에게 가장 적합한 학교에 지원하는

데 도움이 되는 전문가의 안내를 받고 싶다면 미래교육연구

소 전문가들의 도움을 받을 수 있다. 또한 진로 적성검사를

통해 자신이 어떤 분야에 재능과 자질이 있는지 알아볼 수 도 있다.

이강렬 박사는? 연세대에서 학사, 석사 이어 동아대 에서 국제 인권법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1982

년에서 2012년까지 연합뉴스와 국민일보에서 언론 인으로 활동을 했다. 국민일보 편집국장, 대기자, 논 설위원을 역임했다. 2003년 국민일보 편집국장 재 임시 미래교육연구소를 설립했으며 이후 소장을 맡 아 해외 대학 진학 컨설팅을 하고 있다. 지난 2003년 국내 최초로 미국 대학 재정보조(생활장학금) 제도를 소개했으며, 가난한 학생들에게 미국 대학으 로부터 매년 30-40억원의 장학금을 받아주고 있다. ‘가난한 아빠 미국 명문 대 학부모되기’, ‘꿈을 찾아 떠난 젊은이들’ 등 5권의 교육 서적을 집필했다.

WEDNESDAY JOURNAL 10 • 19 APR 2023 교육칼럼
WEDNESDAY JOURNAL • 11 19 APR 2023 전면광고

홍콩의 제1종교는 불교와 도교다. 특이한 점은 두 종교가 서 로 혼합되어 있고 이에 더해 유교, 민간 신앙의 색채까지 더해졌 다는 사실이다. 절이나 사당을 가면 부처님과 관운상이 사이좋 게 한자리씩을 차지하고 앉아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중 홍콩의 유명한 사찰하면 보통 웡타이신이나 포린선사를 떠올린다. 하나 홍콩에는 대략 600개 정도의 절과 사당이 있다.

오늘은 우리가 잘 모르는 숨겨진 명승 사찰을 소개한다. 샤 틴에 있는 만불사(萬佛寺), 타이포에 위치한 자산사(慈山寺)다.

샤틴의 만불사

샤틴의 만불사는 영화 <무간도>의 배경 장소로 유명하다. 영 화 첫 장면에 홍콩의 조폭 조직이 이곳에서 불공을 드리는 장면 이 등장한다. 그리고 카메라는 다양한 불상의 얼굴을 비춘다.

만불사는 1949년에 건설되었다. 승려 월계법사가 승려와 신

자들을 모아 절을 세웠다. 5개의 법당과 4개의 누각으로 이루어

져 있다. 월계법사는 당시 70이라는 고령의 나이에도 불구하고

몸소 제자들을 지휘하며 절을 지은 것으로 알려졌다.

만불사는 크게 세 가지 특징은 가지고 있다. 첫째, 이름 그대

수많은 불상을 보유하고 있다는 점이다. 실제로는 1만 2천여

개의 불상이 있는데, 표정과 크기가 제 각각이다. 월계법사가 직

접 불상 제작에도 참여하였다. 만불사 정상에는 부처님의 제자

였던 18나한이 개성있는 자태로 바위 위에 서 있다.

둘째, 만불사는 우뚝 솟아있는 만불탑으로도 유명하다. 홍콩

의 화폐는 HSBC, 중국은행, 스탠다드 차터드 세 곳에서 발행된

다. 이중 1985년부터 2002년까지 HSBC가 찍어낸 100불짜

리 화폐에 이 탑의 도안이 새겨졌다.

셋째, 절에 불공을 드리는 스님이 없다. 이는 홍콩의 수많은

사찰과 다른 점이다.

샤틴은 원숭이들이 이웃으로 거주하는 지역이기도 하다. 여

행객에게 음식을 달라고 다가오거나, 돌아다니며 노는 원숭이 들의 모습을 보는 것도 방문의 재미를 더한다.

만불사에 도달하려면 470개의 계단을 밟아야 한다. 등산하 는 기분으로 사찰에 올라 보자. 절 정상에서 한 눈에 내려다 보이 는 샤틴과 신계의 풍경은 고단한 몸에 대한 보상이다.

만불사의 개방 시간은 매일 오전 9시부터 오후 5시까지다.

MTR을 타고 샤틴 역에서 내려 B출구로 나온다. 그리고 홈스퀘 어를 지나 약 20분 정도 올라 다다른다.

이때 길을 잘못 들지 않도록 조심한다. 만불사 방향에 절을 연 상케하는 묘지가 나오는데, 많은 사람들이 만불사인줄 알고 들 어갔다가 헛걸음을 한다. 정부 건물과 우체국에서 오른쪽으로 돌아가야 한다.

타이포의 자산사

자산사는 실재로 숨죽여 몸을 감추고 있는 절이다. 외지 깊숙 한 곳에 자리잡고 있어 적막감과 고요함이 사찰을 감싸고 돈다. 여행객로 번잡한 홍콩의 유명 사찰과는 다르다.

이는 입지 조건 외에도 방문이 쉽게 허용되지 않는 점 때문에 그렇다. 인원 제한을 하여 입장이 이루어지는 바, 사전에 인터넷 예약(www.tszshan.org)이 필수다. 한 달 전에 신청이 가능한데, 오전 8시 접수 시작과 동시에 마감되어 예약시 서둘러야 한다. 자산사를 세운 사람은 그 유명한 홍콩 최고의 갑부 리카싱이

vs 자산사

다. 2003년 건설이 시작된 후 무려 10년에 걸쳐 완성되었다. 정

식으로 문을 연 것은 2015년 4월부터이니 홍콩에서 가장 최근 에 지어진 절이라 할 수 있다. 50만 평방미터의 대지 위에 20개 의 건축물과 법당이 위치한다.

자산사에는 자원봉사자 가이드가 방문객을 인솔하여 사찰을 안내한다. 가이드는 종교와 관련된 이야기를 들려주고 주요 건 축물도 소개한다.

이곳에는 우뚝 서서 중생을 바라보는 관음상이 유명하다. 아 래 단상까지 포함하면 높이가 76미터로, 25층 건축물에 달한 다. 자비롭고 근엄한, 그리고 웅장한 모습의 관음상은 송나라의 조형 양식에 따라 건축되었다.

자산사에는 자랑이 하나 더 있다. 바로 예술박물관인데 세계

WEDNESDAY JOURNAL 12 • 19 APR 2023
홍콩의 숨겨진 사찰 만불사 vs 자산사
179 생활칼럼
홍콩의 숨겨진 사찰 만불사

각지의 진귀한 불교 관련 예술품과 조형물들이 전시되어 있다.

홍콩에서 유일하게 불교 예술품을 주제로 한 박물관이자 학술

연구 기지이기도 하다.

1년 내내 만발해 있는 꽃들도 자산사를 소개할 때 빼놓을 수

없다. 선사가 아름다움을 뽐내는 각종 꽃들로 둘러싸여 있다. 그

옆으로는 바다가 흘러 주변 경관과 조화를 이룬다. 사찰에 발을

디디면 불교 신자가 아니어도 불심이 생길 것 같다.

자산사에 가기 위해서는 MTR 타이포 마켓역에서 내려 미니

버스를 타고 들어간다. 미니버스(20B, NR532, 20C, 20T)로

약 20분 정도 소요되며 배차 간격은 10~20분이다.

개장 시간은 오전 10시부터 오후 1시, 오후 2시부터 5시다.

매주 월요일은 휴관이다. 방문시 노출이 심한 옷, 예를 들면 민

소매 복장 등은 피하는 것이 좋다.

만불사와 자산사가 위치한 샤틴과 타이포는 모두 신계 지역

으로 비교적 인접해 있다. 하루 시간을 내어 유명 사찰 두 곳을 방문, 비교해 본다면 의미있는 일정이 될 것 같다.

오늘은 불교와 관련된 내용을 실었으니 내가 가장 좋아하는

부처님의 말씀을 옮기며 글을 맺는다. “고통이 너를 붙잡고 있는

것이 아니라 네가 그 고통을 붙잡고 있는 것이다.”

중국어 강사

HKU SPACE(홍콩대학 전업진수학원)

수요기획

홍콩 생활을 위한 필수 중국어

가족 소개

我家有四口人。

wǒjiā yǒu sì kǒu rén

커우 런

我屋企有四個人。

ngóh ūk kéi yáuh sei go yàhn

응어 옥 케이 야우 쎄이 꺼 얀

2

남편(아내), 아들, 딸, 그리고 저예요.

爱人、儿子、女儿和我。

àiren, erzi, nǚ'ér hé wǒ

아이런, 얼즈, 뉘얼, 허 워

先生(太太)、阿仔、阿女同我。

sīn sāang (taai táai), a jái, a néuih tùhng ngóh

씬 싸앙 (타아이 타아이), 아 짜이, 아 너이 통 응어

我爱人在一家韩国公司工作。

4

두 아이는 영국국제학교를 다녀요.

两个孩子上英国国际学校。

liǎng ge háizi shàng yīngguó guójì xuéxiào

량거 하이즈 썅 잉궈 구어지 쉬에시아오

兩個細路讀英國國際學校。

léuhng go sai louh duhk yīng gwok gwok jai hohk haauh 령 꺼 싸이 로우 독 이앵 꿕 꿕 짜이 헉 하우

5

아들은 7학년, 딸은 4학년이에요.

儿子上七年级,女儿上四年级。

érzi shàng qī niánjí, nǚ'ér shàng sì niánjí

얼즈 썅 치 니엔지, 뉘얼 썅 쓰 니엔지

阿仔讀七年級,阿女讀四年級。

a jái duhk chāt nìhn kāp, a néuih duhk sei nìhn kāp 아 짜이 독 찻 닌 캅, 아 너이 독 쎄이 닌 캅

유튜브 ‘홍콩 진솔 TV’를 통해

WEDNESDAY JOURNAL • 13 19 APR 2023
* (상) 푸통화 (하) 광동어
발음을 확인해보세요! 제 남편(아내)는 한 한국 회사에서 일해요. 3 워 아이런 짜이 이 지아 한궈 꽁쓰 꽁쭈오
wǒ àiren zài yìjiā hánguó gōngsī gōngzuò 我先生(太太)喺一間韓國公司做嘢。 ngóh sīn sāang (taai táai) hái yāt gāan hòhn gwok gūng sī jouh yéh 응어 씬 싸앙 (타아이 타아이) 하이 얏 까안 헌 꿕 꽁 씨 쪼우 예 우리 집은 네 식구예요. 1 워 지아 요우 쓰
진 솔 학 원 JinSol Learning Centre Limited 儿子 erzi 얼즈 仔 jái 짜이 아들 일하다 工作 gōngzuò 꽁쭈오 做嘢 jouh yéh 쪼우 예 国际学校 guójì xuéxiào 구어지 쉬에시아오 국제학교 國際學校 gwokjaihohkhaauh 꿕 짜이 헉 하우 푸통화 vs 광동어 年级 niánjí 니엔지 학년 年級 닌 캅 nìhn kāp 딸 女儿 nǚ'ér 뉘얼 女 néuih 너이
한국어
이승권 • 진솔학원 원장,
강사

홍콩프랜차이즈시장동향과

전략적활용방안(2)

글|홍콩무역관 Mak Chi Sum Kate

코로나 정상화에 따른 소비시장 활성화로

프랜차이즈 시장 지속 성장 전망

경쟁 심화에 따라 홍콩을 통한 중국 본토 시장 및 동남아 진출까지 고려 필요

홍콩 내 글로벌 브랜드들은 일반적으로 '마스터 프랜차이즈 계 약' 형태를 선호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글로벌 브랜드들은 마스

년층이 늘고 2021년 홍콩 내 한국인 거주자 수가 2011년 대비 67.02% 증가하는 등 홍콩 내 한식, K-푸드에 대한 수요 또한 증 가했을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특별히 한국 드라마나 예능 프로그램을 통해 가장 접하기 쉬운 한국 음식인 한국 치킨 요리와 바비큐가 홍콩에서 가장 인기를 끌 고 있다. Openrice에 따르면, 홍콩 내 한식당 중 26.8%는 치킨 메뉴를 제공하고 있으며 전문 치킨 체인인 굽네, BHC가 진출했 다. 작년에는 푸라닭 또한 홍콩에 진출해 홍콩 내 한국 치킨 브랜 드의 진출이 가속화되고 있다.

시장 특성: 현지 시장의 특성을 감안한 '마스터 프랜

차이즈' 계약 형태 선호

홍콩은 상대적으로 시장 규모가 작기 때문에 프랜차이즈 시장 에서 가장 일반적인 계약 유형은 '지역분할*' 방식이다. 홍콩 프랜

차이즈 기업은 일반적으로 서브 프랜차이징을 두기보다는 홍콩

내 모든 가맹점을 직접 운영하는 것을 선호한다. 또한 홍콩 지역

내 기업이 프랜차이즈 업체와 제휴하여 공동으로 지분을 투자해

프랜차이즈를 공동으로 개발하는 경우도 있다. 주변 아시아 지역

에 소재한 특정 브랜드의 마스터 프랜차이즈(Master Franchise)

계약 기업이 규모의 경제를 위해 홍콩과 중국 일부 등을 포함하여

프랜차이즈 사업을 확대 운영하는 추세도 증가하고 있다.

*주: 일정 기간과 지역 내 하나의 가맹점에 여러 개의 점포 개설

권을 부여하는 방식

터 프랜차이즈 업체 선정 시, 소매/유통업 분야에서의 비즈니스 운영 경험이 많은 홍콩 기업을 선호하는 경향이 강하다. 시장 규 모는 작지만 홍콩 소비자들이 트렌드에 민감하고 새로운 식음료 에 대한 수용도가 높기 때문에 다양한 시장 수요 변화에 따른 유 연한 운영 능력을 갖춘 마스터 프랜차이즈 기업들의 역할이 중요 하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이러한 마스터 프랜차이즈 기업은 자체적으로 운영하기도 하고 개별 가맹점과 협력하여 사업을 운 영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받고 있는 경우가 많다. 가령, 홍콩에 본 사를 둔 DFI Retail Group과 Maxim's Group은 Ikea, 7-Eleven 및 Starbucks와 같은 대형 글로벌 브랜드의 마스터 프랜차이즈 로서 사업을 운영하고 있다. 한편 홍콩에서는 아래와 같이 프랜차이즈 창업 지원서비스를 제공하는 온라인 비즈니스 플랫폼들이 다수 존재하고 있다. 이러 한 플랫폼들은 사업주와 개인 가맹업자들의 연결을 지원하고 있 다. 이들 중에는 해외 유수의 브랜드를 위한 마스터 프랜차이즈 매칭 서비스를 제공하는 플랫폼도 있다.

홍콩 식음료 프랜차이즈 최신 동향 다양한 음식 문화에 대한 수요가 존재하는 홍콩 식음료 업계의 특성은 홍콩의 다채로운 인구 구성과 밀접한 연관성을 가지고 있 다. 2021년 홍콩 총인구조사(2021 Population Census)에 따르 면, 홍콩 내 비중국계 인구는 61만9568명으로 전체 인구의 8% 이상을 차지했다. 지속적으로 체류하는 인구 외에도 코로나19 이 전 매년 국제회의나 전시회 등으로 수천만 명이 넘는 홍콩을 방문 하는 사람들까지 감안할 때 현지 식음료 관련 프랜차이즈 수요는 다양하여 성장 잠재력이 높다고 볼 수 있다.

또한 한국 드라마 및 영화를 통해 한국 문화에 노출되는 청, 장

또한 한국 바비큐로 알려진 삼겹살, 갈비 등에 대한 현지 관심 도도 높은 편으로, 이 같은 수요에 맞춰 서래갈매기, 마포갈매기 등이 홍콩 외식시장에 이미 진출한 바 있다. 2022년 홍콩에 처음 진출한 '전포식육'은 2023년 2월에 2호점을 오픈하고 홍콩 진출 에 속도를 내고 있다.

Euromonitor에 따르면 2022년 홍콩 식음료 프랜차이즈 업체 들의 최신 트렌드 중의 하나로 주거지역으로의 매장 확대를 들 고 있다. 코로나19 시기를 거치면서 재택근무가 늘었고, 이는 기 존 상업지구에서의 유동인구 감소로 이어지면서 식음료 프랜차 이즈들은 주거지역 내 추가로 매장을 오픈하거나 기존 상업지구 내 매장을 주거지역으로 재배치(relocation)하는 사례가 늘어났 다. 맥도날드의 경우 홍콩의 대표적 주거지역 중 하나인 쿤통(Kun Tong)에 신규 매장을 오픈했다. 스타벅스 또한 주거 지역 중 하 나인 통총(Tung Chung) 지역 내 시티게이트(Citygate) 아웃렛에 추가로 매장을 오픈했다.

또한 Euromonitor의 조사에 따르면 글로벌 프랜차이즈는 브 랜드 이미지 제고와 고객층 확대를 위한 전략으로 매장 수를 늘

홍콩 스타벅스(Starbucks) 및 플래시 커피(Flash Coffee) 매장 사진

자료: Openrice

홍콩수요저널

WEDNESDAY JOURNAL 14 • 19 APR 2023 코트라정보

리기보다는 최근 건강과 웰빙에 맞는 신규 제품 개발에 힘을 쏟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홍콩 상업지구 내 프랜차이즈 카페들은 대

개 주요 고객층으로서 상업지구 내 직장인을 대상으로 코로나19

이후 늘어난 웰빙에 대한 관심을 충족시키고자 신규 웰빙 메뉴를

개발해 판매하고 있다. 예를 들어 퍼시픽 커피(Pacific Coffee)의

경우 식물성 미니 치킨 너겟을 선택 메뉴 중의 하나로 추가했다.

마지막으로 홍콩 카페 및 음료 시장의 경우 심화되는 경쟁 속에

서 저렴한 가격을 내세우는 가성비형 저가 커피 체인과 커피 품질 을 중시하는 스페셜티(Specialty) 커피체인으로 양분되는 상황이

나타나고 있다. 가성비형 저가 커피의 대표 브랜드인 플래시 커

피(Flash Coffee)는 2020년 홍콩에 진출한 인도네시아 기업으

로 현재 홍콩 내 17개 매장을 운영 중이다. 아메리카노 커피 한 잔

을 현지 유명 카페 브랜드인 Pacific Coffee보다 25% 저렴한 가

격에 판매하면서 늘어나는 인도네시아 및 필리핀계 소비자들에게

인기를 얻고 있다. 다만, 높은 임대료로 인해 홍콩 내 카페 매장 대

부분은 테이크아웃(Take-away) 매장으로 운영되고 있다.

홍콩 식음료 프랜차이즈 경쟁 동향

2022년 매출액 기준, 홍콩에서 가장 큰 점유율을 보인 패스트

푸드 프랜차이즈 브랜드는 맥도날드로, 25.2%의 시장 점유율을 보였다. 이외 카페드코랄, 페어우드가 각각 13.7%, 9.6%의 시장

점유율을 보이며 뒤를 이었고 KFC는 7.2%의 시장 점유율을 보 였다.

카페 및 캐주얼 음료 시장의 경우 2022년 기준 체인형 카페 및

캐주얼 음료 매장은 총 480개, 개인 운영 카페는 총 774개로 시 장 내 경쟁이 매우 치열하다. 2022년 기준 스타벅스(Starbucks)

가 47.8%로 카페 및 캐주얼 음료 분야 시장점유율의 약 50%를 차지했으며, 퍼시픽 커피(Pacific Coffee)가 21.0%, 맥카페(Mc-

cafe) 20.1%로 각각 20%대 점유율을 보였고, The Coffee Academics(3.1%)가 그 뒤를 이었다. 카페 및 음료 시장의 경우 커

피 품목 간의 경쟁 가속화뿐만 아니라 밀크티 등 기존 홍콩 내 베

스트셀러 음료와의 경쟁도 심화되고 있는 양상이다.

시사점: 글로벌 프랜차이즈 허브로서의 '홍콩 활용

법' 모색해야

작년부터 코로나19 방역 정책이 완화되면서 요식업을 포함한

홍콩 프랜차이즈 시장 SWOT 분석

Strength (강점)

- 한류의 영향으로 한국 브랜드에 대한 이미지는 우호적임

- 프렌차이징 관련 규제가 없어 다양한 분야(요식업 분야 포 함)에서 프랜차이징이 활성화돼 있음

Weakness (약점)

- 높은 임대료와 인건비 등으로 인한 운영비용 부담 증가 가 능성

- 현지 특성을 고려하지 않은 프랜차이즈 제품 및 서비스는 소 비자들의 관심을 지속시키기 어려움

Opportunity (기회)

- 코로나 방역정책 완화로 인한 관광객 증가 및 홍콩 정부 내 수 진작 정책으로 홍콩 요식업 전반적인 회복세

- 현지 인종의 다양화에 따라 다양한 요식업 문화 수용 가능성 Threat (위협)

- 치열한 경쟁으로 새로운 브랜드의 시장점유율 확대 및 유 지 어려움

- 카페 및 캐주얼 음료시장의 경우 글로벌 대형 브랜드들의 시 장 지배력이 높음

홍콩 내 식음료 산업 또한 점차 회복되고 있다. 홍콩 통계청에서 발표한 2022년 4분기 식당 수입 및 구매액 통계 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전체 식당 수입가치지수(Value Index of Total Restaurant Receipts)는 2022년 2분기 100 이상 큰 폭 상승한 이후 4분 기까지 상승세가 이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홍콩의 경우 프랜차이즈 계약을 포함 해 일반 상거래 계약에서 계약 당사자가 협상을 통해 상호 간 자 유롭게 계약 조건을 설정할 수 있으며 프랜차이즈 시장과 관련 된 구체적 법적 의무와 규제는 없다. 이러한 자유로운 프랜차이즈 비즈니스 환경을 보유한 홍콩 정부는 글로벌 프랜차이즈 시장의 허브로서의 위상 강화를 모색하고 있다. 이러한 차원에서 홍콩무 역발전국(HKTDC)은 '홍콩 국제 프랜차이징 전시회(Hong Kong International Franchising Show'를 2015년부터 개최해 오고 있 어 우리 기업의 적극적인 관심과 참여가 필요하다. HKTDC 관계자의 KOTRA 홍콩 무역관과의 인터뷰에 따르면

홍콩은 국제회의, 전시회, 쇼케이스 등의 허브로서 국제 프랜차이

즈의 아시아 및 신흥시장 진출과 아시아 유명 프랜차이즈의 글로

벌 시장 및 중국 본토로의 진출 확대를 위한 양방향 플랫폼(Twoway Springboard)의 기능을 할 수 있는 전략적 거점이라고 언급

했다. 특히 해당 관계자는 중국 본토 프랜차이즈 시장으로의 진출

기회를 잘 활용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 중국 체인스토어 및 프랜차이즈협회(China Chain Store & Franchise Association: CCFA)에 따르면, 2021년 기준 중국 내 상위 100대 프랜차 이즈의 총 매출은 5885억 위안에 달하고 있으며, 이들 프랜차이 즈의 총 매장 수는 2020년 대비 9.9% 증가한 약 36만6000개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산층이 확대되면서 중국 본토는 아시아에서 가장 잠재력이 큰 프랜차이즈 시장 중 하나로 성장한 것이다. 다만, 중국 본토에 서 국제 프랜차이즈 업체들이 겪는 가장 큰 애로 중의 하나가 적 격 프랜차이즈 파트너와 가맹점을 찾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에 따라 홍콩 내 상표 및 지식재산권 등록 시스템, 중-홍 CEPA 등의 정책 지원에 힘입은 홍콩 기업을 마스터 프랜차이즈 기업으 로 둘 경우, 본토 내 프랜차이즈 관리, 지적재산권 보호 및 관리, 공급망 관리 등 중국 본토로의 비즈니스 영역 확장에 유리한 측 면이 있다.

최근 코로나 방역규제 철폐로 2023년 2월 소매 판매 실적이 전 년 동월 대비 31% 급성장하는 등 보복소비가 확대되면서 많은 프 랜차이즈 기업이 홍콩 시장의 문을 두드리고 있다. 이와 같은 회

복세는 최근 홍콩 방문자 증가와 소비 바우처 지급 등 정부의 정 책 지원에 힘입어 홍콩 식음료 프랜차이즈 시장 전망은 밝다. 여 기에 홍콩 내 한국 문화에 대한 노출이 높아지며 한국 식음료 프 랜차이즈의 홍콩 진출도 가속화되는 분위기다

다만, 유망 프랜차이즈 시장인 식음료 시장의 경우, 홍콩 시 장의 높은 임대료, 성숙된 시장에서의 치열한 경쟁, 빠르게 변 화하는 소비자들의 기호와 트렌드 등을 염두에 두어야 할 부 분이다.

따라서 홍콩에 진출한 이후에는 디지털 마케팅 (SNS광고, 인 플루언서)을 최대한 활용해 개점 초기에 다양한 소비자들의 시선 을 사로잡는 것이 필수적이다. 인스타그램 푸드블로거 및 유튜버 들을 시식 행사에 초대해 짧은 기간에 대량의 온라인 후기 콘텐 츠들을 게재하도록 하는 방법을 효과적으로 활용해 볼 수 있다.

레슨 관련, 궁금한 문의 사항 카톡주시면 비용, 장소, 일정 등 알려드립니다.

한국어, 영어, 광동어, 보통화 레슨 가능함

WEDNESDAY JOURNAL • 15 19 APR 2023 코트라정보

네가 없이 웃을 수 있을까

생각만 해도 눈물이나

힘든 시간 날 지켜준 사람

이제는 내가 그댈 지킬 테니

너의 품은 항상 따뜻했어

고단했던 나의 하루에 유일한 휴식처

나는 너 하나로 충분해

긴 말 안 해도 눈빛으로 다 아니깐

한 송이의 꽃이 피고 지는

모든 날, 모든 순간 함께해

햇살처럼 빛나고 있었지

나를 보는 네 눈빛은

꿈이라고 해도 좋을 만큼

그 모든 순간은 눈부셨다

불안했던 나의 고된 삶에

한줄기 빛처럼 다가와 날 웃게 해준 너

나는 너 하나로 충분해

긴 말 안 해도 눈빛으로 다 아니깐

한 송이의 꽃이 피고 지는

모든 날, 모든 순간 함께해

알 수 없는 미래지만

네 품속에 있는 지금 순간 순간이

영원 했으면 해

갈게 바람이 좋은 날에

햇살 눈부신 어떤 날에 너에게로

처음 내게 왔던 그날처럼

모든 날, 모든 순간 함께해

WEDNESDAY JOURNAL 16 • 19 APR 2023 전면광고 [글로 읽는 명곡] 모든
작곡 | 어깨깡패 노래 | 폴킴
날 모든 순간 작사,

Turn static files into dynamic content formats.

Create a flipbook
Issuu converts static files into: digital portfolios, online yearbooks, online catalogs, digital photo albums and more. Sign up and create your flip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