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어디서 아름다움을 발견하든지, 그것이 음악이든 시각적 예술이든, 하나님은
이 책과 함께
올바른 것을 흐려 놓는 방식들을 찾는다.
읽으면 좋은 책
두 명의 교수는 미술과 음악이 하나님의 영광을 반영하는 중요한 방식들을 강조하는 동시에, 수년간 가르친 경험을 바탕으로 하여 모든 형태의 예술을 이해하고, 평가하고, 감상하는 데 필요한 조언을 제공한다. 예술적 표현은 인간의 활동과 아름다움에 대한 모방을 담으며, 우리에게 창조주의 아름다움을 증언하는 중요한 수단이다. 이 책은 그런 인간의 활동과 아름다움에 대한 모방을 독자로 하여금 더 잘 이해하고 감상하도록 도울 것이다.
일반 은총과 문화적 산물 송인규 지음 | 328쪽 | 22,000원
이 책은 성경의 귀중한 교훈인 일반 은총에 대한 상세한 개념과 여러 신학자의 신학적 입장을 균형 잡힌 비평과 함께 소개한다.
“ 이 책은 놀라울 정도로 생각을 일깨우면서 미술·음악·영성 사이의 관계를 설명한다. 이 책을 열렬히 추천한다.”
만프레드 호넥 ( 피츠버그 교향악단 음악 감독 ) “ 이 책의 장점들은 분명하다. 이 책은 적절한 질문을 제기하고, 그에 걸맞은 답변을 제공 하고, 기독교 신앙과 성경의 맥락에서 예로 드는 모든 작품들을 분석하여 미술과 음악에 대해 제기되는 주장들을 설명한다.”
릴런드 라이켄 ( 휘튼 대학 영문학과 명예교수 )
더불어 지금 이 시대에 누리는 문화물들이 하나님 나라에서 어떻 게 반영될지도 조명한다. 무엇보다 독자들이 일반 은총의 역할에 대한 중요성을 깨달아 문화적 사명을 온전히 이뤄 대중문화를 변
《 기독교 지성 전통의 회복 시리즈 》 는 그리스도인 학생은 물론 교수, 직원, 이사 등 대학 과 관련된 사람들을 대상으로 기획됐다. 이 시리즈의 책들은 기독교 지성 전통을 잘 회복 하면서, 대학교의 주요 학과에 일반적으로 퍼져 있는 문제를 다룬다. 그리고 생기가 넘치 고 세상을 변화시키는 기독교가 신앙과 학문을 통합하는 사명을 맡고 있다고 설명한다.
개혁주의 기독교 세계관 마이클 호튼 지음 | 윤석인 옮김 | 304쪽 | 14,000원
도해, 생각해 볼 문제, 더 깊은 연구를 위한 자료를 담고 있는 이 시리즈는 교회·학교·세 상에서 지도자가 될 다음 세대에게 영향을 미치며, 기독교 대학교와 일반 대학교에 시의 적절한 도구가 될 것이다.
마이클 호튼은 이 책에서 기독교 문화관과 그리스도인의 역할에 대해 이야기한다. 이 책은 기독교 세계관을 위한 신학적 기초나 예술, 과학, 철학 등의 본질을 다루는 난해한 해설서가 아니라, 자 신의 믿음과 삶을 통합하는 데 힘쓰고 성경에 바탕을 둔 신학에
폴 먼슨 조 ·슈아 패리스 드레이크 지음 이 | 심주 옮김
혁하도록 도전한다.
기독교 지성 전통의 회복 시리즈
기독교 세계관의 관점에서 본 미술과 음악 스터디 가이드
아름다움을 향유하도록 우리를 창조하셨다. 하지만 죄는 우리의 눈과 귀 앞에 있는
Art and Music
기독교 세계관의 관점에서 본 미술과 음악 스터디 가이드
ISBN 978-89-6092-395-9 ISBN 978-89-6092-394-2 (세트)
www.rnrbook.com 값 8,000원
폴 먼슨 ( 미시건 대학교에서 박사학위 )은 그로브 시티 대학의 음 악 교수다. 드레이크 교수와 함께 웹사이트 CongSing. org를 운영하고 있다.
조슈아 패리스 드레이크 조슈아 패리스 드레이크 ( 글래스고
대학교에서 박사학위 ) 는
그로
브 시티 대학의 음악인문학과 부교수다.
이심주 폴 먼슨·조슈아 패리스 드레이크 지음 | 이심주 옮김
이심주 목사는 대학 재학 시절부터 10년 이상 청교도 문 헌을 읽으며 청교도들의 삶과 신앙에서 큰 도전과 유익 을 얻었다. 아세아연합신학대학원 목회학 석사 영어과 정 ( KESA ) 을 졸업했으며, 앞으로 경건한 청교도 문헌 번역 가로서 청교도 신앙 유산의 풍성함을 한국 교회에 소개하 는 것을 소명으로 여기고 있다. 옮긴 책으로는 『 십자가를
데이비드 도커리
적 기독교 세계관을 제시한다.
폴 먼슨
옮긴이
시리즈 감수
더 튼튼히 뿌리내리길 바라는 모든 그리스도인을 위해 개혁주의
지은이
설교하라 』, 『 우주와 인간의 시작 』, 『 꼭 알아야 할 기독교 핵심 용어 17 』 ( 이상 부흥과개혁사 )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