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1」
가치있는 정보, 한결같은 신문 http://issuu.com/manilaseoul1 kakao talk: @마닐라서울 facebook: 필리핀교민신문 마닐라서울
마닐라서울 주소록에 등록하세요 주소록에 등록을 원하시는 업체분들은 아래 번호로 업체명, 지역, 연락처 1개를 남겨주시기 바랍니다.
데일리뉴스 2021년 8월24일 화요일
0956-807-1817 / 0905-261-5780
매주 토요일 발행 ■ 발행처: Manila Seoul Weekly International ■ 편집인: 양한준·홍정열 ■ 창간일: 1994년 8월 27일■ Copyright: 1994-2021,. ■ 이메일: manilaseoul@gmail.com ■카카오톡:@마닐라서울
“당신은 소나 말이 아니다,” 미 FDA는 코로나-19에 대한 이버맥틴 사용 경고 퍼지고 있고 심지어 의원들이 그것을 배포하는 활동 을 조직하기까지 했다. 필리핀 FDA는 이버멕틴에 대 한 안전성과 효능에 대해 확실한 임상 실험을 기다리 는 동안 코로나-19 환자들에게 이버멕틴의 자비로운 사용을 허용했다. 더 나아가 이버멕틴 사용에 대한 제한 사항에도 불구하고 여러 의원과 영향력 있는 사 람들은 코로나-19를 예방하기 위해 이 약을 복용했 다고 주장했다. 이버멕틴을 지지하는 사람들은 WHO와 일부 정부 가 지지하는 코로나 19 백신에 대해서도 의문을 제기 했다. 이달 초, 어떤 하원 의원은 이버멕틴을 선전하 는 자신의 게시물에 대해 페이스북의 게시 중단이 일 종의 검열이라고 주장했다. 또한 의원은 소셜 미디어 에 큰 커뮤니티 표준에 대해 청문회를 열 것을 요청 미국의 식약청(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DA)는 이버멕틴 (ivermectin)이 매우 특정한 방법
합법적인 출처에서 처방받은 대로 정확하게 복용을 해 야 한다고 말했다.
으로만 사람들에게 쓸 권한을 부여하고 있다고 말했
FDA는 많은 양의 이버멕틴을 복용하는 것은 매우
다. FDA는 사람들이 말의 기생충 치료제인 이버멕틴
위험하고 심각한 피해를 끼칠 수 있다고 주장했다. 더
을 복용한후 중독에 걸렸다고 발표했다.
나아가 그들은 그들은 동물용 이버멕틴은 인간용 이
지속되는 코로-19 사태와 이것을 예방하는 데에 사 용할 수 있다는 관심과 주장이 계속됨에 따라 이버멕
버멕틴과 매우 다르기에 절대 동물용을 사용하지 말 라고 강조했다.
틴을 복용하는 사람들이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FDA
한편 FDA는 코로나-19 환자에게 이버멕틴을 사용
는 이러한 현상은 이해가 가지만 한편으로 위험하다고
하여 치료나 예방에 대한 데이터는 검토해보진 않았지
전했다.
만 초기 연구는 진행중이라고 말했다. 그들은 승인되
FDA는 이버멕틴에 대해 코로나-19를 치료하거나 예
지 않은 용도로 약물을 복용하는 것은 매우 위험하며
방하는데 사용하는 것을 승인하지 않았다고 전했다.
이버멕틴도 이에 속한다고 말했다. 더 나아가 이버멕
이버멕틴 정제는 일부 기생충을 없애기 위해 매우 특
틴은 과다복용에 의한 위험 말고도 다른 약과의 위험
정 용량을 쓸 것으로 승인되어 있으며 머릿니, 주사비
한 상호작용 또한 일으킬 수 있다고 덧붙였다.
와 같은 피부 상태에 대한 제형으로 한다. 또한 그들
필리핀에서의 이버멕틴에 대한 광고
은 승인된 목적으로 이버멕틴을 처방받은 사람들은
현재 필리핀에서도 이버멕틴의 효과에 대한 주장은
오늘 오후 현재 1,869,691 (어제대비 12,067 증가) 사망자 32,264 (어제대비 303명 증가) 회복자 1,709,724 (어제대비 14,565 증가) 치료중 124,703
했다. 이에 대해 페이스북은 실제 피해의 위험에 기여하는 코로나-19 컨텐츠와 신체적인 피해의 위험에 기여하 는 잘못된 정보들을 제거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 보건 커뮤니케이션과 관련분야 전문가분들의 의 견을 바탕으로, 정책에 위반되지는 않지만 백신에 대 해 오해를 불러일으킬 소지, 선정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컨텐츠의 배포를 막기 위해 팬데믹 상황에도 추가 조치를 취하고 있다고 말했다. 더 나아가 그들 은 이 정보들이 예방접종을 하는 데에 방해를 줄 수 도 있다고 했다. 더 나아가 보건당국은 이 컨텐츠들 로 인해 적절한 건강지침을 무시하고, 심지어 해로운 자가 치료를 시도할 수도 있다고 한다고 말했다. 마닐라서울 편집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