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유단·국과수,작년6월4구선정
8월부터 CT 등 이용 복원 작업
“과거사례비교했을때높은수준”
고 송영환 일병의 딸 재숙씨
하얀 카네이션 헌화하며 눈물

“아! 이분이었구나. 예전에
작은아버지가 본인과 닮았다고
했는데, 정말 그러네요.”

어버이날인 8일, 서울 동작구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국유단) 건물에서 영정
사진으로 난생처음 아버지의 얼굴을 마
주한 송재숙(76)씨는“사진을 보는 순간
가슴이 멍해졌다”며 눈시울을 붉혔다.
송씨는 이날 어버이날을 맞아 처음으로
아버지께 하얀 카네이션을 건넸다. 아버
지를 찾겠다는 일념으로 직접 국유단을
찾아 유전자 시료를 제공한 지 5년 만이
었다. 그는“피는 물보다 진하다는 게 이
런 건가 싶다”는 소감을 전했다.
송씨의 아버지인 고 송영환 일병의 유
해는 2013년 9월 강원 동해시 망상동 일
대에서 발굴됐다. 6·25전쟁이 발발하자
1950년 12월 자원입대한 고인은 이듬해
3월 17일 정선 전투에서 총상을 입고 치
료를 받던 중 전사했다. 고인은 1954년 9
월 화랑무공훈장을 받았다.
송씨는 아버지의 얼굴을 기억하지 못
했다. 고인이 26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
났을 때 송씨는 세 살에 불과했다. 게다
가 아버지의 생전 사진마저도 없었다. 송
씨는 그리운 아버지의 얼굴을 평생 상상
만으로 그려볼 수밖에 없었다.
고인의 사진 복원 작업은 국유단과
국립과학수사연구원의 6·25 전사자 얼
굴 복원 사업의 첫 성과다. 지난해 6월
양 기관은 상태가 양호해 복원이 가능
한 두개골 4구를 선정, 같은 해 8월부터
컴퓨터단층촬영(CT) 등 복원 작업에
착수했다. 두개골에 유가족의 유전자
정보를 더해 근육을 하나하나 붙여가
며 얼굴을 복원했다. 유준열 국과수 연
구원은“고 송 일병의 사진 복원은, 비
록 생전 사진 없이 이뤄졌지만 사진이
존재했던 실종자들의 복원 사례와 비교
했을 때도 상당히 높은 수준”이라며“
고인의 명예를 실추시키지 않기 위해 최
선을 다했다”고 말했다.
아버지 영정에 첫 카네이션
땅 속에 유해가 묻힌 지 62년 만에 세 상 빛을 본 고인은 신원이 확인되기까지
6·25 전사자


11년, 그리고 국유단과 국과수의 노력이 깃든 11개월의 시간을 더 인고하고서야 눈에 넣어도 아프지 않을 딸을 마주할 수 있었다. 두 손으로 아버지의 사진을 부여잡고 흐느끼던 송씨는“제가 세 살 때 아버지 가 군에 들어가셨는데 그때 아버지의 발 이 떨어졌을까, 임종하셨을 때는 어떤 심 정이었을까 만감이 교차했다”며“아버 지 영정에 카네이션을 올릴 때 차올랐던 슬픔은 이루 말할 수
지난달 통계청 조사에서 전국의 빈집(1년 이상 사람이 살지 않은 주택) 은 153만4,919호로 집계됐다. 2015년에 비해 43.6%나 급증한 것으로, 전국 1,954만6,299호 중 7.9%에 이르
는 수치다. 강원 평창에선 빈집 비
율이 25.1%였다. 빈집 증가 원인 에는 인구 유출, 고령화, 지역경제 쇠퇴 등이 꼽힌다. 저출생 고령화
속도가 빠른 우리나라에선 2050
년 빈집이 300만 호를 넘어 전국
의 열 집 중 한 집에는 사람이 살 지 않을 것이란 연구보고서도 나 왔다. ■ 일본에선 지난해 전국의 빈 집이 900만 호를 돌파했고, 47개
도도부현(지방광역자치단체) 중
빈집 비율이 20% 이상인 곳만 5 개 현이나 된다. 관리하기 어려운 시골집을 상속받기보다 방치 또 는 포기하는 편이 유지·철거비를
감안하면 이득이기 때문이다. 빈
집으로 골머리를 앓던 일본 정부 는 2015년부터 빈집 대책 특별조

치법을 시행했다. 전국의 빈집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플랫폼을
만들어 민간 거래를 유도하고 있다. 주변 환경에 악영향을 주는 빈집은 강제
철거도 가능케 했다. ■ 인구 145만 명의 교토시는 2022년 일본에서 처음으로 1년 중 30일 이 상 비어 있는 집에 세금을 매기는 조례를 제정해 2029년부터 징수 할 예정이다. 약 10만 호의 빈집 중 1만5,000호가 과세 대상인데, 예상 세입은 9억 엔(약 90억 원) 으로 추산된다. 빈집 소유주에게 세부담을 피해 임대 또는 매각을 유도함으로써 젊은층 입주를 유 치하려는 목적이다. 교토에선 연 1만 명 정도가 집을 구하지 못해 타지로 떠나고 있다. ■ 우리나라에선 최근 전남 화 순, 서울 동작구의 만원주택(한 달 임대료 1만 원)과 인천, 충남 보령 의 천원주택(1일 임대료 1,000원) 이 인기다. 지방정부가 출산율 증 가나 젊은층 유입을 위해 만든 공 공임대주택이다. 인구 감소와 1인 가구 시대에 빈집은 시골만의 문 제가 아니다. 늘어나는 빈집을 보 수하거나 철거해 공공임대주택 용지로 개발하는 범정부 대책이 필요하다.
재원이 부족하다면 빈집세 도입을 검토해 봄직하다. 김회경 논설위원






기사제보&투고 public@koreatimes.net
발행인 김명규 publisher@koreatimes.net
편집위원 이로사 gm@koreatimes.net
편집국장 유지훈 editor@koreatimes.net
디지털뉴스 조휘빈 ms@koreatimes.net
광고국장 최 신 ad@koreatimes.net
주간한국 weekly@koreatimes.net
총무국/사업국 acct@koreatimes.net

웹마스터 최진혜 it@koreatimes.net





다운타운 2 Bed 2 Bath 콘도 Yonge & Bloor
약 800 Sf New 페인트 • 깨끗한 실내공간 ,TTC, Subway 직접연결 9' 천장높이
파킹 & 라커 포함, 넓은 발코니, 최고급 편의시설

약 600 Sf, 좋은 전망, 교통편리 전철 직접연결 9' Ceiling, 발코니, 남향 , 최고급 편의시설.

Brand New 콘도 약 630 SF, 9Ft








































































































강문규 (Sam N. Khang) C.A
53 Spring Garden Ave.
(Kevin Kim) CPA
국세청(Revenue Canada)
회계, 감사, 세무, 투자이민 조건해제 333 Sheppard Ave. E. #200 노스욕 (416)225-6962 Fax: 225-6674
공인회계사 이혜신 CGA
세무/회계/재정/사업계획/이민조건해제
333 Dundas St E #204 M ssissauga Ont. L5A 1X1(미시사가 한국식품 2층) (905)270-1752, Fax:(905)270-9142
Kris K. Yum, CGA (염경선 공인회계사)
Tel:905-540-3609/777-7874(T/F) Toronto Office: 416-730-0661 499 Main St E Unit 1 Hamilton ON 81 Sheppard Ave. W Unit 203 North York

캐나다 한인 최초의 변호사 강찬 영
부동산/사업체/임대계약/회사설립 7368 Yonge Street Unit PH-K Thornhill ON,L4J 8H9 Tel:(416)221-1417 Fax:(416)221-1732
음주운전/ 폭행 및 형법/ 가정법, 이민법 #100-1018 Finch Ave. W O. 416-739-8887 C. 647-891-8867
이현수 변호사
Franchise/상업/부동산 640 Bloor St.W. #204, Toronto (416)534-7711/Fax:534-7714
장한 길 변호사
상법/부동산/리스/회사법 Henry H.K. Jang B.A., LLB.
(416)224-2272, Fax(416)224-9973 6120A Yonge St. #203, North York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