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일보 캐나다 2025년 4월 9일 (수)

Page 1


첼리스트 겸 성악가 고하민씨가 광복 80주년을 기념하는 앨 범 '아리랑'을 제작한다. 로열컨서버토리 음악원 사진

김광일(테

위암으로 별세했다. 향년 67세. 경남 진해 출신인 고인은 국민대

법학과, 고려대 대학원(철학)을 졸업

하고 한국관광공사에서 15년간 근

무했다. 관광공사 시카고지사장을

지내고 1999년 12월 이민했다.

2000년대 초반 본보 편집국 기자 로 근무한 후 와인 사업을 하다가 온주실협 홍보실장으로 18년간 일 했다. 수년 전 은퇴했다. 활달한 성격의 고인은 예수성심 천주교회에서 구역장, 반장 등으로 봉사했으며 평소 독서를 즐겼다. 김 전 실장과 오랜 기간 인연을 맺 은 실협 관계자들은 그의 별세 소식

에 "너무 안타깝다"며 애석해했다. 고인의 유족으로는 부인 김효신 씨, 1남2녀, 사위 등이 있다. 장례 일정은 8일 오전 현재 미정 이다.

토론토 한인 1.5세 첼리스트이자 성악 가, 크리에이티브 디렉터 고하민(Daniel

Hamin Go)씨가 광복 80주년을 기념

하는 앨범 'ARIRANG'을 만든다.

영국의 세계적인 클래식 음반사를 통 해 발매될 예정인 '아리랑'은 고씨가 한

국의 아픔과 회복, 문화의 아름다움을 음악으로 표현하고자 만드는 앨범이다.

그는 캐나다예술위원회(Canada Council for the Arts), 온타리오예술위 원회(Ontario Arts Council)의 지원을

통해 캐나다 작곡가 2명(애나 피드고나, 이만 하비비)에게 신작을 위촉했다.

고씨에 따르면 이 엘범엔 베를린 필하 모닉 등 세계 정상급 오케스트라와 작 업해온 프로듀서 및 엔지니어팀이 참여 하고 있다. 그는 제작비를 마련하느라 그 간 저축한 돈에 대출까지 동원하고 음 악단체들로부터 후원을 받았으나 녹음 (4월14~15일, 5월6일)이 다가오는 시점 에서 프로젝트의 핵심인 영상 제작을 위한 자금(1만5천 달러)이 부족해 재정 직 지원이 절실한 상황이라고 호소했다.

영상 'Holo/Ariang'은 20명의 전문 음악가들과 40명의 한인 아마추어 합 창단이 함께하는 대규모 작업이라고 한

"尹 파면 수용 못해"

윤석열 대통령에

다운타운 2 Bed 2 Bath 콘도 Yonge & Bloor

•약 800 Sf New 페인트

•깨끗한 실내공간 ,TTC, Subway 직접연결 9' 천장높이

•파킹 & 라커 포함, 넓은 발코니, 최고급 편의시설

•약 600 Sf, 좋은 전망, 교통편리 •전철 직접연결 •9' Ceiling, 발코니, 남향 , 최고급 편의시설.

•약 690 Sf , 서향

•파킹 & 라커 포함

내비친 것으로 알려졌 다. 우원식 국회의장의‘개헌 특별 담화’

발표에 앞서 두 사람은 두 차례나 비공

개 회동을 갖고 개헌 내용에 대한 공감

대도 형성한 것으로 파악됐다. 우 의장

은 지난 6일 6·3 대선에서 개헌 동시투

표에 나서자고 제안한 바 있다.

그러나 이 대표의 개헌 의지는‘개헌

블랙홀’을 우려한 민주당 지도부 의원

들의 거센 반발에 부딪혔고, 결국 이 대

표는“지금은 내란 종식이 먼저”라며 대

선 전 권력구조 개헌에 사실상 거부 입

장을 밝히는 것으로 개헌 정국을 일단

락지었다. 대선 전 개헌 반대를 외치는

강성 지지층들의 반발도 이 대표의‘유

턴’에 영향을 미쳤을 것이란 분석이다.

우 의장이 대선과 개헌 동시 투표를

제안한‘개헌 특별 담화’를 발표하자 민

주당은 발칵 뒤집혔다. 강성 지지층들

은 민주당 의원들에게 개헌 찬반 입장을

묻는 문자폭탄을 수천 통 쏟아냈다. 민

주당 의원들도“개헌 수괴”등 우 의장

을 원색적으로 비판하며 보조를 맞췄다.

개헌 이슈가 대선 정국을 집어삼키면 이

재명 우위의 대선 판이 흔들릴 것이란

우려에서 시기상조론을 내세운 것이다.

우 의장은“민주당 지도부와 여러 차

례 논의했고, 개헌안을 서로 공유하자고

제안했다”고 강조했지만, 당장 이 대표

가 어떤 입장도 밝히지 않으면서 혼선은

커졌다. 민주당 의원들 사이에선“그 지

도부가 누구냐”,“의장놀이 말라”며 우

의장을 강도 높게 몰아세우기도 했다.‘

개헌 폭탄’이 터진 다음 날 민주당 지도

부 의원들은 오전 비공개 최고위원회의

禹의장과 두 차례 회동서 공감대

최고위 회의서도 의지 보였지만

지도부“정국 블랙홀로 빠뜨려”

격론 끝 사실상 거부 입장으로

시작과 동시에 이 대표를 향해 우 의장

과 교감 여부를 두고 질문을 쏟아냈다.

그러자 이 대표는“4년 중임제 정도

는 필요한 것 아닌가”라며 우 의장의 개

헌안에 공감하는 입장을 밝혔다고 한다.

그러면서 우 의장과의 논의 내용을 사

전에 공유하지 못해 미안하다는 취지로

의원들을 달랜 것으로 전해졌다. 실제

이 대표는 우 의장과 최근 두 차례 만나

개헌 공감대를 형성한 것으로 파악됐다.

민주당 지도부와 사전 교감에 나섰다는

우 의장의 발언이 거짓이 아녔던 셈이다.

그러나 이 대표의 4년 중임제를 포함

한 권력 구조 개헌 의지는 지도부 의원

들의 강한 반발에 가로막혔다. 이 대표

의‘깜짝 발언’이후 공개 회의로 전환

되기 전까지 최고위에선 45분간 격론

이 벌어졌다고 한다. 지도부 의원들은“

권력구조 개헌 논의는 정국을 블랙홀로

빠뜨릴 수 있다”,“개헌 협의는 내란에

동조한 국민의힘을 정치 파트너로 인정

하는 셈”이라며 강한 우려를 표했다. 회

의 말미 김병주 최고위원은“만약 개헌

을 해야 한다면, 5·18 민주화 운동 정신

을 헌법 전문에 수록하고 계엄의 요건을 강화하는 개헌은 가능하지 않겠느냐”고

제안했다.

결국, 이 대표는 비공개 회의 직후 공

앞으론 병사가 의무복무 중 잘못으로

징계를 받았더라도, 전역할 때 군 관련

증명서에 징계 기록이 남지 않도록 조치

된다.

8일 국방부에 따르면 최근 이 같은 내

용을 골자로 한 병 인사관리 훈령 개정

안이 행정예고됐다.

간부들의 경우 일정 기간이 지나면 자

동으로 징계 기록이 말소되는 규정이 있

지만, 병사들에 대해선 이런 규정이 없어

징계 기록이 꼬리표처럼 평생 따라다닌

점을 개선한 것이다. 이를 통해 군 복무

시절 자신의 징계 기록을 삭제해달라는

민원도 크게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행정예고를 거쳐 6월쯤 개정안이 시

행되면 전역 후 인사자력표 등 군 관련

증명서에서 의무복무 시절 징계를 받은

개 발언에서“4년 연임제 등은 실제 결 과를 못 내면서 논쟁만 격화되는 어쩌 면 국론분열의 원인이 될 수 있다”며 “5·18 정신과 계엄 요건 강화는 국민투 표법이 개정되면

이미 전역한 병사도 소급적용

공무원 임용 땐 조회 가능해

사실이 표시되지 않게 된다. 이는 이미

전역한 병사들에게도 소급 적용된다. 병

에 대한 징계는 계급을 한 단계 낮추는

강등부터 군기교육, 감봉, 휴가단축, 근

신 및 견책 등으로 구분된다.

다만 예외는 있다. 의무복무 만료자가

공무원에 임용될 때 해당 기관에서 요

건 확인 등을 위해 필요한 경우 인사·법

무 담당부서를 통해 처벌 기록을 참고할

수 있다는 단서조항을 달았다.

국방부는 훈령 개정 취지에 대해“병

의 처벌기록 말소 관련 규정을 구체화하

고, 간부와 병 인사관리(처벌기록 관리)

한 지도부 의원은 8일 통화에서“이 대표가 누구를 만나는지까지 우리가

우 의 장과 공감대가 있었다 하더라도, 우 의 장이 발표한 타이밍과 방식은 적절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정치권에선 이 대표 역시 개헌 의지를 피력했던 만큼, 여야 협상에 따라 권력 구조를 뺀‘스몰딜 개헌’수준에서 대선 동시 개헌이 이뤄질 가능성은

의 형평성을 제고하기 위해 개정을 추진 하는 것”이라며“군복무를 통해 국가와 국민을 위해 헌신한 장병들에

goodluck7777@hotmail.com

53 Spring Garden Ave.

회계, 감사, 세무, 투자이민 조건해제 333 Sheppard Ave. E. #200

(416)225-6962 Fax: 225-6674

공인회계사 이혜신 CGA

세무/회계/재정/사업계획/이민조건해제

333 Dundas St E #204 M ssissauga Ont. L5A 1X1(미시사가 한국식품 2층) (905)270-1752, Fax:(905)270-9142

Kris K. Yum, CGA (염경선 공인회계사)

l:905-540-3609/777-7874(T/F)

캐나다 한인 최초의 변호사 강찬 영

부동산/사업체/임대계약/회사설립 7368 Yonge Street Unit PH-K Thornhill ON,L4J 8H9 Tel:(416)221-1417 Fax:(416)221-1732

음주운전/ 폭행 및 형법/ 가정법, 이민법 #100-1018 Finch Ave. W O. 416-739-8887 C. 647-891-8867

이현수 변호사

Franchise/상업/부동산 640 Bloor St.W. #204, Toronto (416)534-7711/Fax:534-7714

장한 길 변호사

상법/부동산/리스/회사법 Henry H.K. Jang B.A., LLB.

(416)224-2272, Fax(416)224-9973 6120A Yonge St. #203, North York

Turn static files into dynamic content formats.

Create a flipbook
Issuu converts static files into: digital portfolios, online yearbooks, online catalogs, digital photo albums and more. Sign up and create your flip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