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카니 총리“차업계 20억 불 긴급지원”
트럼프 25% 관세 관련 비상대책 미국“보복엔 보복으로”위협도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다음달 3일부터 외국산 자동차에 25% 관세를 부과한다고 26 일 발표, 캐나다 차업계에 비상이 걸렸다. 포드자동차 오크빌 공장. 사진 포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기어코 '모든'
외국산 자동차에 대해 4월3일부터 관세를 부
과하겠다고 26일 발표했다. ☞관련 기사 10∼12면
트럼프 대통령은 "외국산 자동차 관세 부과
로 연간 1천억 달러의 세수 증가를 기대한다"
면서 관련 포고문에 서명했다.
포고문은 이번 25% 관세가 자동차와 소형
트럭뿐 아니라 엔진과 변속기, 파워트레인 등
자동차 핵심 부품에도 적용된다고 설명했다.
이어 포고문은 핵심 부품에 대한 관세 부과
는 관보에 공시되는 날로 하되, 5월3일 이전이
라고 밝혀 자동차 관세보다 한 달 정도 늦게 적
용될 전망이다.
또 미국·캐나다·멕시코 무역협정(USMCA)
에 적용을 받는 부품에 대해서는 일단 관세 부
과를 유예하되, 향후 상무장관이 관련 절차를
수립해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혔다.
미국이 이달 12일부터 외국산 철강 및 알루
미늄에 대해 25% 관세를 때린데 이어 2차 폭
격을 가하자 캐나다, 한국 등 대미 의존도가 높
은 국가들은 비상 대책을 마련하느라 고심 중 이다.
연방총선을 앞두고 관세 대응 시험대에 오른

마크 카니 총리는 26일 윈저를 방문한 자리에
서 "캐나다 자동차 업계를 지원하기 위해 20억
달러를 투입할 것"이라고 비상 대책을 발표했 다.
카니 총리는 20억 달러의 지원금이 차업계
의 경쟁력 강화, 조립공장 일자리 보호 등에 사
용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트럼프의 차관세 부과에 대해 "캐나다
근로자들을 향한 직격탄"이라면서 보복을 시
사하면서도 트럼프와 대화하겠다는 뜻을 드러
냈다.
"캐나다가 보복하면 더 높은 관세를 부과하
겠다"는 트럼프의 위협을 의식, 대미 보복의 수
위를 조절하면서 대화 채널을 가동하겠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지난해 기준 대미 자동차 수출은 멕시코
785억 달러(이하 미화), 일본 397억 달러, 한국
366억 달러, 캐나다 311억 달러 순이었다.
한편 트럼프는 4월2일 미국에 대한 관세율
과 비관세장벽 등을 두루 고려해 국가별 상호
관세를 발표하겠다고 예고했던 계획을 재확인 했다.
그는 "모든 국가"를 상대로 부과하겠다며 예 외를 두지 않을 것임을 밝혔다.













김명규 발행인 publisher@koreatimes.net
한인사회 유일한 환경 관련 단체 생
태희망연대HNET(대표 정필립)는 기
후위기에 관한 교민사회의 관심을 높
이고 이에 대처하는 방법을 찾기 위해
서 다음달부터 5주간 세미나 시리즈
를 갖는다.
주제는‘기후위기 시대의 삶의 방 법’.
대면 강의: 3일(목) 오후 6시30분 에
디스베일Edithvale 커뮤니티센터(131 Finch Ave. W. 영/핀치 서쪽).
온라인 강의: 10일(목) 오후 8시부 터. 강사는 정기간행물‘오늘의 벗’편
집위원이자 정치학자인 채효정씨, 녹


☞ 투표안내 바로가기 QR코드

☞ 선관위임시직 정보 바로가기 QR코드



선거관리위원회(Elections
Canada)가 연방 조기총선(4월28
일) 기간 근무할 임시직 25만 명
을 채용한다.
투표소에서 유권자들을 안내하
는 일 등이며 시급은 최저 20달러
다. 온라인에서 지원할 수 있다.
16세 이상 시민권자이면 선관
위 임시직에 도전할 수 있으며 근
무장소에선 정치적 중립을 지켜야 한다.
선거일은 4월28일(월)이지만 유
권자들은 4월18일(금)부터 21일( 월)까지 지정된 장소에서 사전투
표할 수 있다.
우편투표 신청은 4월22일(화)에
마감된다.
전국 선관위 사무소에서도 4월
22일 이전에 투표할 수 있다.
한편 선관위는 이번 조기총선에 드는 비용이 총 5억7천만 달러에 달할 것으로 예상했다.
2021년 총선 때보다는 낮은 수 준이다.
색전환연구소 김병권 박사, 경희 사이 버대학 조천호 교수 등.
이메일: HNET2050@gmail.com
문자 문의: (416)898-1612
등록비: 30달러(세금공제 영수증 발급)

HNETD 웹사이트 바로가기 QR코드


GTA 28일 얼음 폭풍
연방환경부가 광역토론토 일원에 ' 얼음 폭풍(ice storm)' 주의보를 내렸
다. 26일(수) 환경부는 "28일(금) 저녁 께 광역토론토에 얼음 폭풍이 닥칠 가능성이 매우 높다"며 지역에 따라
1∼2cm의 얼음비가 내릴 수 있다"고 예보했다. 얼음비가 내리면 도로 및 인도가 미 끄러워지는 것은 물론, 정전이 발생할





수도 있다. 얼음비 때문에 전선이 끊 어지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환경부에 따르면 얼음비는 29일( 토)엔 보통 비로 바뀌고 30일(일), 31 일(월)에도 비가 내릴 전망이다.



뜻깊은 자리에 함께하시어 기쁨을 나누고, 새롭게 세워지는 일꾼들에게 �하와 ��를 �� 주시기를 ��니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양국이 에너지 시설과 흑해에서의 부분 휴전에 합의한 지 이틀이 지
난 시점까지 이행 조짐이 나타나지 않고 있다. ‘에너지 시설 휴전’을 두고 양측은 상대방이 합의를 위반하고 있다며 서로 책임을 돌렸고, ‘흑해 휴전’이행은 러시아가 제재 해제를 전
제 조건으로 내세우며 이행을 점치기 어려워
졌다. 이에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미국에 러시아를 압박해 줄 것을 촉
구하고 나섰다.
양측“상대가 에너지 시설 공격”주장
미국의 중재로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부
문 휴전안이 도출된 지 이틀이 흐른 27일, 두
전쟁 당사국은 상대방이 에너지 분야 휴전을
지키지 않는다며 비방전을 이어갔다. 드미트
로 리트빈 우크라이나 대통령실 보좌관은 26
일“러시아가 에너지 시설에 대한 공격을 멈췄
다고 선언한 지난 18일 이후 8곳의 우크라이
나 에너지 시설을 공격했다”며 러시아가 휴전
을 준수하고 있지 않다고 비난했다.
반대로 러시아는 우크라이나를 탓했다. 러


공격 이어
美 중재‘에너지 휴전’합의 불구
우크라“에너지 시설 폭격당해”
러도“전력망 드론 피격”비방전
러“제재 풀어야 흑해 휴전 이행”
유럽“전쟁 끝나야만 해제”일축
시아 국영 타스통신에 따르면 러시아 국방부 는 같은 날 우크라이나가 드론으로 이날 새벽
브랸스크 지역 전력망을 공격했다고 밝혔다.“
우크라이나가 러시아와 미국 간 협의를 탈선
시키기 위해 어떤 행동이든 하고 있다”는 게
러시아 측 주장이다.
러시아“제재 풀어야 흑해 휴전”
흑해에서의 휴전 합의 역시 이행도 전에 난
관에 봉착했다. 드미트리 페스코프 크렘린궁
대변인은 26일“흑해 곡물 협정은 이전에 공
개한 여러 조건이 충족된 이후 갱신될 것”이 라고 밝혔다. 러시아는 흑해 휴전 이행을 위해 서는 자국에 부여된 농산물 수출 제재를 해제
하라고 요구하고 있다.
러시아 국영 농업은행(로셀호스)과 국제 결
제 시스템인 국제은행간통신협회(SWIFT) 간
연결을 복원하는 게 러시아 요구의 핵심이다.
제재 해제를 흑해 휴전 이행을 위한 전제 조건 으로 내건 셈이다.
그러나 대(對)러시아 농산물 경제 제재의 주축인 유럽은 제재를 유지하겠다는 입장이 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유럽연합(EU) 집행 위원회는“우크라이나에 대한 러시아의 도발
적이며 부당한 침략이 끝나는 것이 제재 수정 또는 해제의 조건”이라며, 전쟁이 완전히 끝나 기 전까진 제재를 철회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27일 영국 BBC방송에 서 미국이 러시아의 요구를 받아들이지 않을
것이라 생각하느냐는 질문에“그러기를 원한 다. 그럴 것이다”라고 답했다. 휴전 이행이 이 뤄지려면 중재자 미국이 러시아를 더욱 압박 해야 한다는 호소다.이정혁 기자

엘살바도르 수용소 간 美 장관 “난민 추방 계속”
크리스티 놈 미국 국토안보부 장관이 26일 엘살바도르 테콜루카에 위치한 초대형 감옥 ‘세코트’(CECOT·테러범구금센터)를 직접 방문해 불법 입국·체
류자에 대한 강력 대응 의지를 강조하고 있다. 그의 뒤로 창살 안에 갇힌 수용자들의 모습이 보인다. 놈 장관은 “불법으로 미국에 들어오면, 여러 분은 기소되고 추방될 것”이라고 말했다. 테콜루카=AP 연합뉴스

















다운타운 2 Bed 2 Bath 콘도 Yonge & Bloor
•약 800 Sf New 페인트
•깨끗한 실내공간 ,TTC, Subway 직접연결 9' 천장높이
•파킹 & 라커 포함, 넓은 발코니, 최고급 편의시설

•약 600 Sf, 좋은 전망, 교통편리 •전철 직접연결 •9' Ceiling, 발코니, 남향 , 최고급 편의시설.

•약 690 Sf , 서향
•파킹 & 라커 포함 (1년된 빌딩)
•깨끗한 실내공간, 교통편리
















































































‘강동구 싱크홀’원인 밝힐 지하 CCTV 사고 장면 녹화 안 됐다
싱크홀 지점 아래 터널 굴착 현장
내부 비추던 CCTV 나흘 전 고장
지하철 공사^상수도관 누수 등
사고 원인 규명할 증거 확보 난항
시공사-서울시 책임 공방 예고
1명이 사망한 서울 강동구 명일동 싱크홀(땅 꺼짐) 발생 지점 지하 굴착 공사 현장에 설치된 폐쇄회로(CC)TV가 고장 나 사고 당시 장면이 녹화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당시 상황을 규명할 결정적인 실마리가 사라진 셈이라 사고 원인과 책임 소재를 규명하는 데에도 난항이 예상된다.
27일 한국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지난 25일
싱크홀이 생긴 동남로 지하에서는 지하철 터
널 굴착 공사가 진행 중이었으나 시공사 측이 공사 현장에 설치한 CCTV는 사고 나흘 전부 터 작동하지 않았다. 서울시는 사고 당일 오전
시공사로부터 CCTV가 고장 나 수리 중이라
는 보고를 받았지만, 불과 몇 시간 뒤 사고가 발
생했다.
이 공사는 현 9호선 종점인 강동구 중앙보훈
병원역부터 고덕강일1지구까지 잇는 4단계 연
장사업이다. 중앙보훈병원역을 시작으로 길동 생태공원·한영외고·고덕역, 고덕강일1지구까 지 4.12㎞ 구간에 4개 역을 신설하는데, 사고
지점은 대우건설·KCC건설 등 5곳이 참여한
대우건설 컨소시엄의 보훈병원역~한영외고역 1공구에 해당한다. 당시 도로 바로 아래 상수
도관이 지나는 11m 깊이 싱크홀에 더해, 그보
다 더 깊은 곳에서 공사 중인 9호선 터널 상층
부도 무너지며 오토바이 운전자 박모(34)씨가
18m 아래로 추락했다.
시공사는 해당 공사 현장에 CCTV 4대를 설
치했지만, 하필 공사 현장 출입구(터널 끝)에
설치돼 80m가량 떨어진 싱크홀 발생 지점 쪽
내부를 비추던 유일한 CCTV가 사건 발생 전
인 21일 오후 2시 고장 났고, 사고 당일까지 작
동하지 않은 것으로 파악됐다. 서울시 관계자
는“사고 직후 시공사 측에 CCTV 자료를 요청

했지만 제출받지 못했다”며“공사 현장 CCTV
가 시 서버와 연결돼 있어 확인한 결과, 21일부 터 공사 현장(터널 내부)이 촬영되지 않았다”
고 말했다.
사고 원인으로 ①지하철 9호선 연장 굴착 공
사(시공사 책임) ②상수도관 누수(서울시 책임)
가 지목되는 가운데 원인 규명에 상당한 도움
을 줄 만한 단서가 사라진 것이다. 실제로 사고
직전 야간작업에 투입된 작업자들은 터널에
들어갔다 누수를 확인하고 이상 징후를 느껴
대피했다고 했으나 서울시는 상수도관 파열이
나 누수 증거는 확인되지 않았다는 입장이다.
CCTV 고장으로 사고 전후 공사 현장 상황을
확인할 수 있는 자료가 부재해, 원인 규명이 지
체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시공사 관계자
는“굴착 작업으로 먼지가 많이 발생하고, 작업
자들의 이동도 많은 구간이라 CCTV가 고장
난 것으로 추정된다”며“나머지 제출 가능한
CCTV 자료는 최대한 제출해 협조하겠다”고 말했다. 권정현 기자

“尹
70~80% 될 듯
☞10면‘서울대 의대생 복귀’서 계속
미복귀자에 대한 제적 예정 통보서가 발송 되면서, 학부모와 의대생들의 추가 등록 문의 가 폭주했고, 각 대학들은 이들에 대해 추가 등
록 기회를 주는 방안을 유력하게 검토하고 있
다. 이에 따라 복귀율이 70, 80% 이상이 될 것 으로 보인다. 연세대 관계자는“교수들은 지금
도 학생 면담 창구를 열어뒀다”며“학교의 목
표는 정상 수업이지 학생 제적이 아니기에 추
가 등록을 받을 여지도 있다”고 설명했다. 실제 로 연세대는 마감일이던 21일 이후 주말까지도
복학 신청 시스템을 열어뒀다. 이로 인해 주말 사이에 등록한 학생 수가 더 늘어난 것으로도
전해졌다.
의대생들이 등록했다고 해서 정부에 완전히
백기를 든 것은 아니다. 연세대 의대 학생 비상
시국대응위원회는 26일“비대위의 방향성을‘
등록 휴학’으로 전환한다”고 학생들에게 공지
했다. 서울대 의대생 TF도“등록 후 투쟁 방향
성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빠른 시일 내에 안내
하겠다”며 집단행동 계획을 전한 상태다.
즉 제적을 피하기 위해 등록은 일단 한 뒤에
다시 휴학을 신청하는 방식을 고려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정부와 대부분의 대학들은 의 대 증원에 반대하는 휴학은 학칙에 따라 휴학
사유가 되지 않기 때문에 휴학은 불가능하다
는 입장이다. 이 경우 휴학 승인 여부와 관련 없
이 의대생들이 수업에 참여하지 않은 수업 거 부가 이어질 수 있다. 하지만 가톨릭대·연세대
등의 학칙에는‘1개월 이상 무단 결석한 자’도
제적 대상으로 규정하고 있어서,‘등록 후 수업 거부’가 현실화할지는 지켜봐야 한다.
의대 학장단은 학생 복귀가 실현될 거라고

보고 있다. 이종태 한국의과대학·의학전문대 학원협회(KAMC) 이사장은“학생들이 1년간 수업 거부로 투쟁해본 결과‘이 방식이 더는 통 하지 않는다’는 것을 체감했고, 그 결과가 등록 으로 이어진 것”이라며“앞으로는 학생의 본 분에 충실하면서도 의료 정책 논의 과정에 직접 참여하는 방식으로 의견 전개가 가능해질 것”이 라고 설명했다. 교육부 관계자 역시“이미 연세 대·고려대































Pickering Toyota 차 세일즈 하실분 찾습니다



Sales에 Talent가 있으며, 영어, 한국어에 능통한 분. 무경험자 환영, Training will be provided. 좋은 Commission과 좋은 Group benefit. Must have valid driver’s licence.
Please Call (905) 420-9000
Jeff: ext #138
Angelo: ext #142
















53 Spring Garden Ave.
캐나다 한인 최초의 변호사 강찬
부동산/사업체/임대계약/회사설립 7368 Yonge Street Unit PH-K Thornhill ON,L4J 8H9 Tel:(416)221-1417 Fax:(416)221-1732
폭행
형법/ 가정법, 이민법 #100-1018 Finch Ave. W O. 416-739-8887 C. 647-891-8867

공인회계사 이혜신 CGA
세무/회계/재정/사업계획/이민조건해제 333 Dundas St E #204 Mississauga Ont. L5A 1X1(미시사가 한국식품 2층) (905)270-1752, Fax:(905)270-9142
Kris K. Yum, CGA (염경선 공인회계사)

이현수 변호사
Franchise/상업/부동산 640 Bloor St.W. #204, Toronto (416)534-7711/Fax:534-7714
장한 길 변호사
상법/부동산/리스/회사법 Henry H.K. Jang B.A., LLB.
(416)224-2272, Fax(416)224-9973 6120A Yonge St. #203, North York
























goodluck7777@hotmail.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