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일보 캐나다 2025년 2월 15일 (토)

Page 1


새집 구입 예치금 내면 정부에 등록하라

개발업체 파산해도 구입자들은 환불 받는다

온타리오, 소 잃고 외양간 고치는 듯

▲ 타리온(Tarion)은 새집 구입자들의 ‘예치금 지불 후 45일 이내 등록제도’를 도입했다. CP통신

김명규 발행인 publisher@koreatimes.net

2021년 탈리브 바웨자씨는 와사가비치 Wasaga Beach에 짓는 주택구입을 위해 예치

금 15만 달러를 개발업체에 선불로 냈다.

그는 이 개발업체가 주택을 판매할 권한도

없고 정부로부터 예치금을 환불받을 전망도

희미하다는 사실을 몰랐다.

3년 후 주택단지 건설 프로젝트는 지지부진

하다가 개발자의 파산으로 업체가 구입자들로

부터 받은 예치금 총 1,400만달러는 날아갔다.

이럴 경우를 대비한 온주정부 산하 기구 타

리온(Tarion)의 보상금을 최고수준으로 받더

라도 그는 여전히 7만여 달러를 잃을 위기에 처했다.

온타리오에서는 개발 건설업체가 주택 건설 규제 기관 HCRA의 허가도 안받고 타리온의

환불보증 플랜에도 가입하지 않은 상태에서 신

규주택을 파는 것은 불법이다.

그러나 주로 자금압박을 받는 개발업체들이

최근 이 규정을 어기는 사례가 증가, 타리온의

환불 능력을 바닥으로 떨어뜨렸다.

그러나 타리온은 업체의 불법 판매를 모니

터링하고 감시할 수단이 부족하다.

이에 대해 업계에서는 당국이 책임져야 한다 고 지적한다. 개발프로젝트가 자주 실패하는

데 당국은 소비자들의 예치금이 사라진 후 대

응한다는 비난이다.

토론토의 김현재 부동산중개인은 "타리온

은 환불 한도를 축소한 적이 있다. 이번 새 규

정으로 소비자들이 얼마나 보호를 받을 수 있

을지 의문"이라고 말했다.

타리온은 HCRA와 정기적으로 정보를 공

유, 업계를 감독한다면서“새로운 등록제도는

불법 판매를 더 빨리 식별해 소비자를 보호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새 규정이 업체가 아니

라 주택시장에서 스트레스를 받는 소비자들

을 오히려 처벌한다고 지적한다. 전액 환불 보

장이 아니기 때문이다.

HCRA는 바웨자씨가 구매한 프로젝트 업체

선라이즈 홈즈Sunrise Homes를 2023년 10 월에 조사하기 시작했다. HCRA는 뒤늦게 뉴

이를 해결하기 위해 타리온은 구입자들의‘

예치금 지불 후 45일 이내 등록제도’를 도입했 다. 이에 따르면 타리온 미등록자는 업체에 문 제가 생긴 경우 예치금 전액 환불을 기대하지 못한다.

스 보도를 통해 이 업체의 재정곤란을 알게 되

었다.

이 회사는 2년 전 수백만 달러의 대출 상환

을 연체했고, 마캄의 타운홈 프로젝트를 파산

관리 상태로 넘겼다. 이사 2명은 고객의 예치

금 1천여 만 달러를 부당하게 전용했다는 혐의 를 받았다. ☞2면에 계속

유희라 기자 press1@koreatimes.net

노바스코샤주 다트머스의 국기 상

점은 보통 국경일 주문을 준비하는

데 분주하지만, 올해는 연초부터 수요

가 예상치 못하게 급증했다고 말했다.

앨리사 하틀렌 부매니저는 "평생

국기를 한 번도 구입한 적이 없는데,

하나 사러 와야겠다"고 말하는 손님

들이 늘었다고 전했다.

캐럴 아일라드 국기 상점 매니저는

지난 12일에만 300장의 국기를 팔았 고, 그 중 대부분이 캐나다국기였다고 말했다.

프리픽

한민족·차세대 과학기술리더 포럼 7월 네트워킹

2025년도 한민족청년 과학도 포

럼(YGF)·차세대 과학기술리더 포럼 (YPF)이 열린다.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가 마련 하는 두 대회는 오는 7월7일부터 12

일까지(5박6일) 서울 한국과학기술회

관과 인근 강남지역서 열린다.

캐나다서는 캐나다한인과학기술자

협회(AKCSE)가 주관한다. 두 대회는

국내 및 재외동포 청년과학기술자들

이 교류, 차세대 과학기술인재의 글로

벌 리더로서의 자질 함양과 네트워킹 기반을 마련한다는 목표를 가졌다.

◆참가 자격

-과학도 포럼(Young Generation Forum, YGF):

1. 캐나다 시민권 또는 영주권을 가 진 1.5세대로 9학년 이상의 학력자, 2. 한인 2세(캐나다출생자) 또는 캐나다

에서 고교과정을 포함, 최소 6년 이상 의 정규교육 과정을 마친 자. 3. 올 7월

현재 의료, 간호, 약학 등 과학기술관

련 전공자로 학부(Undergraduate) 1 ∼4학년 재학생. 4. 영어·한국어 의사

소통이 가능한 1999년 1월1일 이후

출생자.

-차세대 리더포럼(Young Professional Forum, YPF):

1. 7월 현재 과학기술관련 대학원 생 및 박사후 연구원(post-doc) 재학 생. 1990.년 1월1일 이후 출생자. 2. 이 공계 전공 대학원생 및 박사후 연구원 (post-doc).*박사학위 취득 후 5년 이 내자로 학부과정, 대학원 모두 캐나다 에서 마친 자에 한함. 기타 : 과학자 포 럼과 같음.

◆지원 내역 -해외참가자: 왕복항공료 일부 및 행사기간 5박6일간 숙식비

행사 참가시 여권 사본, 항공권 사 본, 항공권 구입 영수증 제출 -지원마감: 2월23일

-문의: (416)449-5204 또는 info@ akcse.org

☞ 웹사이트 바로가기

QR코드

최근 공개 서한을 통해 캐나다의 전 직 총리들은 국민들에게 15일(토) 국

기의 날에 캐나다국기를 게양해 도널

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에 맞서

연대해줄 것을 요청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다음달 12일부터

캐나다산을 비롯한 모든 철강 및 알

루미늄에 대한 25% 관세를 부과하는

행정 명령에 서명했다.

그는 또 캐나다가 미국의 51번째 주

가 돼야 한다고 반복적으로 언급했는 데, 저스틴 트뤼도 총리는 이를 실현 불가능한 일이라고 단언했다.

패밀리데이 연휴를 맞아 미시사가에 서 어린이들을 위한 놀이기구와 마술 쇼 등이 마련되는 키즈페스트가 열린 다. 14일 개막한 오토쇼도 이어진다.

◆키즈페스트(KIDSFEST) 15일(토)∼17일(월) 인터내셔널센터(6900 Airport Rd.)

1번홀 ◆토론토 오토쇼 14일(금) 개막, 23일(일)까지 메트로컨벤션센터(222 Bremner Blvd.)

◆한인상위원회 총회 15일(토) 낮 12시 아리랑식당 (180 Steeles Ave. W.)

◆보수단체 태극기집회

15일(토) 오후 1시30분

멜라스트먼광장(5100 Yonge St.)

입구

울산과학대 졸업 무스타파

2021년 아프간 장악되자 입국

대학 측 지원 등 힘입어‘완벽 적응’

지난해 현대중공업 협력업체 취업

아프간 특별기여자 5명 졸업장

“대학까지 졸업할 수 있게 도와준 한국에 감 사합니다. 저도 어디든 도움을 주고 싶습니다.”

14일 오전 울산 동구 울산과학대 졸업식에 서 만난 미르자이 굴람 무스타파(21)는 거듭

한국에 감사 인사를 전했다. 학사모와 졸업 가 운을 갖춰 입은 그는 만감이 교차하는 듯“지 난 시간이 믿기지 않는다”며 이내 눈시울을 붉 혔다.

무스타파는 2021년 8월 이슬람 무장단체 탈레반이 아프가니스탄을 장악하자 한국으로 입국한 아프간 특별기여자의 자녀다. 당시 우 리 정부는 양국 간 협력 사업에 기여한 79가구 391명을 국내에 입국시켰고, 현재 20가구 120

명은 울산 동구에 살고 있다. 무스타파는“처

음 한국에 왔을 땐 모든 것이 낯설고 힘들었는

데, 지금은 완벽히 적응했다”며 웃었다. 국내 거주 1년 만에 진학한 대학 생활이 녹

록지는 않았지만 취업에도 성공했다. 지난해부

터 현대중공업 협력업체에서 전선을 연결하는 ‘전장작업’업무를 맡고 있다는 그는“글로벌

비즈니스학을 공부했지만, 전공을 살리기엔 언

어 등 현실적인 한계가 있었다”며“한국인 졸

업생들도 일자리를 구하기 어려운 점을 감안

하면 괜찮다”고 담담하게 말했다.

이날 울산과학대에선 무스타파를 포함해 아

시간 믿기지않아”

프간 특별기여자 5명이 졸업장을 받았다. 졸업

생 중에는 얼마 전 결혼해 새로운 가정을 꾸린

네자미 아이샤(21)도 있다. 남편은 함께 한국에

온 친구의 오빠 아베드 에마드(24)다. 에마드는

“아프간에서 여성은 공부할 기회가 없다”며“

아내에게 기회를 준 한국에 고맙고, 매 학기 장

학금을 받을 정도로 열심히 공부한 아내가 자

랑스럽다”고 말했다. 대학 심화과정 편입을 준

비 중이라는 아이샤는“바리스타 자격증을 따 서 지금은 카페 아르바이트를 하고 있다”며“

대학에서 영어와 컴퓨터 등을 공부하면서 진

‘금 사재기’열풍이다. 너도나도 금을 사겠다고 난리다. 하루

금 거래액이 사상 처음 1,000억 원을 돌파(5일)한 이후 고공행

진을 이어간다. 순금 한 돈(3.75g) 가격이 60만 원이 넘는데도‘

트럼프 효과’로‘더 오른다’는 기

대감이 팽배하다. 급기야 한국조

폐공사가 시중은행을 통한 골드

바 판매를 중단했다. 공급이 수요

를 쫓아가지 못해서다.

■ 이런 와중에도 금을 기피하 는 기관이 있다. 중앙은행인 한국

은행이다.‘금 보기를 돌같이 한’ 지 12년째다. 각국 중앙은행이 적 극적으로 금을 사들이는 것과 정

반대 행보다. 지난해 전 세계 중앙

은행들이 사들인 금은 1,185톤에 달한다. 당연히 금 보유량 순위도 뚝뚝 떨어진다. 2013년 32위에서 작년엔 38위까지 내려앉았다. 외 환보유액(4,110억 달러)은 경제협 력개발기구(OECD) 9위이지만, 금 비중은 1.2%로 꼴찌다. 평균 (24.6%)의 20분의 1에도 못 미친다. ■ 한은이 현재 보유(104.4톤)한 금의 대부분(90톤)은 2011

로를 더 고민해보고 싶다”고 말했다. 이들이 한국에 살면서 적응하는 데는 대학 측의 배려와 지원도 컸다. 또래 친구들을 1대 1로 붙여 한국어와 문화를 배울 수 있도록 돕 고, 다양한 진로 체험 프로그램도 제공했다. 이 연주 울산과학대 국제교류원 원장은“한국말 을 제대로 배우지 못하고 진학한 친구들이 많 아 언어를 중심으로 생활과 문화 등을 가르치 는 데 집중했다”며“졸업

년에서 2013년 초에 사들였다. 당시 김중수 총재의‘과감한’결

단이었다. 그 이전까지 한은은 금 매입에 소극적이라는 비판에 시달렸다. 금값은 계속 오르는데“이자 없는 무수익 자산인 데 다 위기 시 현금화가 쉽지 않다”는 신중론 뒤에 숨어 번번이 매 입 타이밍을 놓쳤다. 하지만 하필 ‘상투’였다. 매입 당시 온스당 최 대 1,900달러이던 금값은 줄곧 내리막을 걸으며 2016년 1,000 달러대까지 떨어졌다. 이번엔‘고 가 매입’으로 여론 질타를 받아 야 했다.

■ 사도 욕 먹고, 안 사도 욕 먹 는‘금 트라우마’속에 한은은 다 시‘안 사고 욕 먹는’행보를 이어 가고 있다. 미국이 불붙인 관세 전 쟁에 국제 금값은 조만간 온스당 3,000달러를 돌파할 거란 예상이 줄 잇는다. 만약 2016년 사들였다 면 수익률이 200%에 육박한다. 그럼에도 한은은 △과도한 변동

성 △보관 비용 △낮은 유동성 등의 이유를 댄다. 2010년 이전과 똑같은 논리다. 아주 틀린 얘기는 아니지만, 그렇다고 정답도 아 니다. 어떤 이유에서든 아예 손을 놓고 있는 건, 실력의 문제일지 모른다. 이영태 논설위원

public@koreatimes.net

발행인 김명규 publisher@koreatimes.net

편집위원 이로사 gm@koreatimes.net

편집국장 유지훈 editor@koreatimes.net

디지털뉴스 조휘빈 ms@koreatimes.net

광고국장 최 신 ad@koreatimes.net

주간한국 weekly@koreatimes.net

총무국/사업국 acct@koreatimes.net

웹마스터 최진혜 it@koreatimes.net

안보회의 앞둔 뮌헨서 차량 돌진, 최소 28명 부상

러서 대마 소지 적발 14년 징역형 “관계 개선

러시아가 자국에서 마약 밀수

을 받고 약 4년간 구금돼 있던 미국인 교사 마 크 포겔을 석방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 령은“(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을 끝낼 수 있

는 관계 (개선)의 시작이길 바란다”라고 말했 다. 러시아의 추가 석방이 있을 것이라고도 했 다.

11일(현지시간) AP통신 등에 따르면 2021 년 8월부터 러시아에서 수감 생활을 해 온 미 국인 마크 포겔이 풀려나 미국으로 귀국했다.

이날 저녁 백악관에서 열린 환영식에 참석한 포겔은 미국 국기인 성조기를 몸에 두른 채“ 모두에게 감사드린다. 저는 우리나라를 사랑

하고, 이곳으로 돌아올 수 있어서 행복하다”고 소감을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도“(당신의) 석 방에 작은 역할을 할 수 있어서 영광”이라고 화답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포겔의 본국 송환 조건에

자국산 AI 탑재 의무화 불구 “미국 기업, 中 AI 역량 인정”평가 러시아,‘4년간 구금’미국인

아이폰 모델 개발에 나선다. 중국이 자국산 AI 탑재를 의무화했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미국 업계가

중국의 AI 역량을 인정하기 시작한 것이라는

평가도 나온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와 미 국 IT전문매체 디인포메이션은 11일“애플이 중국에서 아이폰 등 자사 기기에 AI 기능을 탑

재하기 위해 알리바바와 협력 중”이라며“중 국 규제 당국에 승인 신청서를 제출한 상태”라 고 전했다.

중국 최대 전자상거래 플랫폼을 운영하는

알리바바는 인터넷서비스 기업 텐센트, 포털

사이트 바이두 등과 함께 중국 AI 분야를 선도 하고 있다. 지난달 29일에는 새로운 AI 모델‘ 큐원 2.5 맥스’를 출시했다. 알리바바는 이 모

델이 최근 전 세계 AI업계에 파란을 일으킨

공정하고 합리적이었고,

다만 구체적 정 보는 공개하지 않았다. 포겔은 주러시아 미국대사관 직원이자 러시 아 수도 모스크바 소재

학교 직원으로 일했던 인물로, 2021년 8월 러시아 입국 도중 ‘대마초 17g 소지’사실이 발각돼 현지에서 체 포됐다. 포겔은“의료용으로 처방받은 것”이라 고 해명했지만, 러시아 법원은 마약 밀수 혐의 를 적용해 그에게 징역 14년을 선고했다. 포겔의 귀국에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러 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을 끝내고 수백만 명의 죽음을 막을 수 있는 관계의 시작이 됐으면 좋 겠다”고 자평했다. 백악관에서 포겔을 직접 만 났을 때에도“당신은 우크라이나에서의 전쟁 을 끝내는 데 중요한 일부분이 될 수 있다”며 “(러시아의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이 한 일 에 감사드린다”고 말했다. 2022년 2월 러시아 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시작된 양국 간 전쟁 에서 미국과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의 일부 회원국 등 서방은 그동안 우크라이나 를 지원해 왔다. 이정혁 기자

오영미

Broker

South Western Ontario (사우스 웨스턴 온타리오) (키치너/워터루/해밀턴/런던)

시니어부동산 스페샬리스트 국제부동산 투자 자격증 - 주택 / 상업 / 투자 환영 -

647-404-8949 www.asksusan.realtor

새해에도 건강과 행운을 기원합니다."

▲ 14일 독일 뮌헨안보회의(MSC)가 열릴 예정인 뮌헨 바이어리셔호프 호텔 인근에서

글로벌 안보 현안을 각국 정부가 함께 논의

하는 세계 최대 연례 안보회의‘뮌헨안보회의 (MSC)’가 14일(현지시간) 독일 바이에른주(州 ) 뮌헨에서 개막했다. 오는 24일로 만 3년을 맞

는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과 관련, 도널드 트

럼프 미국 행정부가 구체적인 종전 구상을 공

개할 것으로 여겨지고 있어 전 세계의 시선이

쏠린다.

하지만 종전 해법 도출 가능성은 크지 않다.

우크라이나와 유럽이 바라는 방안을 미국이

내놓을 것 같지는 않다는 게 대체적인 관측이

다.‘러시아 편향’과‘미국 일방주의’라는 비판

을 받는 트럼프 행정부가 종전 논의를 주도하

지 않도록 서방 국가들의 치열한 외교전이 전

개될 전망이다.

올해로 61회째를 맞은 MSC는 14일 오후 뮌

헨 바이어리셔호프 호텔에서 막을 올렸다. 16

일까지 이어지는 회의에는 각국 정부 수반 50

여 명과 장관급 150여 명 등을 비롯, 약 110개

뮌헨안보회의 개막

밴스 등 우크라전 종전안 공개 전망

젤렌스키와 회담, 광물 협상할 듯

젤렌스키“우크라배재협정불수용”

EU도“등 뒤의 협상 효과 없을 것”

나토 불신 美 외교 전략에 불안감

다. 가장 주목되는 것은 역시‘트럼프 팀’의 행 보다. JD 밴스 부통령, 마코 루비오 국무부 장 관, 마이크 왈츠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 등으 로 꾸려진 미국 대표단은 연설·패널 토론 등을 통해 우크라이나 전쟁을 끝내는 방안을 공개

할 계획이다.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과의 회담도 예정돼 있다. 일단‘미국의

국에서 800명 이상이 참석한다. 한국에서도 조태열 외교부 장관이 이끄는 대표단이 참석한

뮌헨서만나는 한미일외교장관‘3국 결속’다진다 트럼프 종전 구상‘더러운 거래’논란

오늘, 트럼프 2기 출범 후 첫 회의 ‘北 완전 비핵화’재확인 여부 주목 우크라 종전 협상 협조 요청 전망

한미일 외교수장이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

부 출범 이후 처음으로 한자리에서 만난다. 이

들은 3국 공조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미국의 확

장억제 정책을 다시 확인할 것으로 보인다.

외교부는“조태열 외교부 장관이 15일 오후 독일 뮌헨 현지에서 마코 루비오 미국 국무장 관, 이와야 다케시 일본 외무상과 외교장관회

의를 개최한다”고 14일 밝혔다. 이번 회의는 독

일에서 열리는 뮌헨안보회의(MSC) 참석을 계

기로 이뤄졌다.

3국은 이번 회의에서 북한의 핵·미사일 위

협에 대한 변함없는 공조를 논의할 것으로 보

인다. 특히 미국이 북한과 대화하기 위해‘비핵

화’가 아닌‘핵 군축’협상에 나설 것이라는 관

측과 관련해‘완전한 비핵화’가 3국 공동의 목

표임을 재확인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날 이와야 일본 외무상도“미국에 새로운

정권이 출범한 것을 계기로 한미일이 지속 결

속해 지역 평화와 번영을 위해 노력한다는 것

푸틴(왼쪽) 러시아 대통령이 13일 모스크바

군사적 지원 대가로 우크라이나가 광물 개발 권을 공유한다’는 취지의 양국 간 광물 협상이 MSC를 계기로 체결될 가능성이 점쳐진다. 다만 전쟁 종식 논의는 우크라이나의‘희망 사항’에 어긋날 공산이 크다. 트럼프 대통령이 12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의 일 대일 통화에서‘종전 협상 개시’를 합의한 것 자체가‘우크라이나 패싱’의지를 보인 것으로 해석된다. 미국은 해당 통화 전후‘우크라이나 가 러시아에 빼앗긴 영토를 모두 되찾을 수도,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에 가입할 수 도 없을 것’이라고 미리 선을 긋기까지 했다. 우크라이나는 미국에 대한‘서운함 토로’ 로 MSC를 시작했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13 일 엑스(X)에“푸틴이‘전쟁을 끝낼 준비가 됐다’고 주장하는 걸 믿어선 안 된다”고 썼다.

‘나토 가입 불가론’에 대해서도“나토 가입이 우방국들엔 비용 면에서 가장 효율적인 우크

라이나 안전 보장 방안”이라고 반박했다. 또 젤 렌스키 대통령은 이날 우크라이나 서부에 위

을 확인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우크라이나 종전 협상과 관련한 논의도 있을 지 주목된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이번 MSC 에서 미국과 러시아·우크라이나 관계자들이 만나 협상을 시작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이

때문에 미국이 한국과 일본에도 종전 협상과

관련한 입장을 전달하고 협조를 요청할 수 있

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외교부는“이번 회의는 한미일 협력 발전 방

안과 함께 북핵 문제 대응, 지역 정세, 경제 안

보 분야 협력 증진 방안을 논의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구현모 기자

선 대화를 하기로 합의했다 고 13일 전했다. 유럽의 격한 반발에 피트 헤그세스 미국 국 방장관은 전날 자신의‘우크라이나의

Pickering Toyota 차 세일즈 하실분 찾습니다

Sales에 Talent가 있으며, 영어, 한국어에 능통한 분. 무경험자 환영, Training will be provided. 좋은 Commission과 좋은 Group benefit.

Must have valid driver’s licence.

Please Call (905) 420-9000

Jeff: ext #138

Angelo: ext #142

▪ Close to Bayview Village Mall, Supermarket, many shops & eateries, North York General Hospital. ▪ Top-rated schools in North York: Earl Haig

김근후 (Kevin Kim) CPA CA 전 국세청(Revenue

333 Sheppard Ave. E. #200 노스욕 (416)225-6962 Fax: 225-6674

공인회계사 이혜신 CGA

세무/회계/재정/사업계획/이민조건해제

333 Dundas St E #204 Mississauga Ont. L5A 1X1(미시사가 한국식품 2층) (905)270-1752, Fax:(905)270-9142

Kris K. Yum CGA (염경선 공인회계사)

Tel:905-540-3609/777-7874(T/F)

부동산/사업체/임대계약/회사설립 7368 Yonge Street Unit PH-K Thornhill ON,L4J 8H9 Tel:(416)221-1417 Fax:(416)221-1732

교통법 / 민사/ 부당해고 음주운전/ 폭행 및 형법/ 가정법, 이민법 #100-1018 Finch Ave. W O. 416-739-8887 C. 647-891-8867

이현수 변호사

Franchise/상업/부동산 6 40 Bloor St.W. #204, Toronto (416)534-7711/Fax:534-7714

장한 길 변호사

203 North York 캐나다 한인 최초의 변호사 강찬

상법/부동산/리스/회사법 Henry H.K. Jang B.A., LLB.

(416)224-2272, Fax(416)224-9973

6120A Yonge St. #203, North York

아메니다 한인 실버타운

Amenida Seniors’ Community

벤쿠버에서 15년이상 성공적이고 안정적으로 한인 어르신분들과 함께한 Amenida(아메니다) 한인 실버타운이 토론토 피커링에

1645 Pickering Parkway, Pickering, ON L1V 7E9

Turn static files into dynamic content formats.

Create a flipbook
Issuu converts static files into: digital portfolios, online yearbooks, online catalogs, digital photo albums and more. Sign up and create your flip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