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주 연구기관 오스트레일리아 인스티튜트(Australia Institute)가 부유층 과세 강화를 통해 연간 700억 달러 이상의 세수를 확보할 수 있다는 분석을 내놨다. 보고서에 따르면, 순자 산 500만 달러 이상 가구를 대상으로 한 2%의 부의세(Wealth Tax) 부과 시 약 410억 달러, 상속세(Death Tax) 재도입 시 100 억 달러, 자본이득세(Capital Gains Tax, CGT) 할인 혜택 폐지 시 190억 달러를 추가로 확보할 수 있다고 밝혔다. 또한, 최고 부 유층 200가구에만 세금을 부과해도 연간 125억 달러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기관의 수석 경제학자 맷 그루드노프(Matt Grudnoff) 는 상속세와 부의세 모두 없는 나라는 선진국들 중 캐나다, 호 주, 뉴질랜드가 유일하다며 이는 세대 간 불평등을 심화시킨다 고 지적했다. 그루드노프는 새로운 세수가 확보되면 병원, 학교, 저렴한 주택, 장애인 지원 제도(National Disability Insurance Scheme, NDIS) 등 국민 생활에 직결되는 서비스에 투자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과거 호주는 유산세(Estate duty)를 통해 국내총생산(Gross Domestic Product, GDP)의 0.36%에 해당하는 세수를 거둬 현 재 가치로 100억 달러 이상에 해당하는 규모였다. 해당 유산세 는 1970년 대 말 폐지 이후 1985년에 자본이득세 도입으로 일부 기능이 대체되었다. 한편, 이와 같은 논의는 19(화)부터 열리는 경제개혁 간담회 (Economic Reform Roundtable)에서 다뤄질 예정이다. 호주 총 리와 재무장관이 주도하는 간담회는 21일(목)까지 캔버라에서 열리며, 정부, 기업, 노동조합, 시민사회, 학계 등 다양한 분야의 리더들이 모여 생산성, 경제 회복력, 예산 지속 가능성 등이 주 된 의제이다. 김하늘 기자 info@koreannews.com.au
▹체코원전계약논란에난감한정부…감사추진도신중
▹은퇴후일하면깎이던국민연금…월소득509만원까진감액0원
▹오세훈규제혁신365프로젝트로시민발목잡는낡은규제없앤다
호주 중앙은행(Reserve Bank of Australia, RBA)이 신용카드 관
련 수취 수수료(Interchange Fees)
인하 및 카드 거래 추가수수료 (Surcharges) 금지 개혁안 제시 이후, 항공사 마일리지 등 기존 혜택이 축소 될 수 있다는 가능성이 제기된 것으로 나타났다.
중앙은행은 지난 7월 15일(화), 신
용카드 및
지적했다. 페이먼트 서비스(Payment Services)의 대표 브래드 켈리(Brad Kelly)는 이미 가치 하락이 시작됐다
고 경고했다. 실제로 버진 오스트레일
리아(Virgin
트로 낮췄고, 콴타스(Qantas)는 올해
항공권 필요 포인트를
는 어렵다고 분석했다.
확보
반면 포인트 업계는 신용카드 의존
도를 줄이고 다양한 소비 경로에서 포
인트를 적립할 수 있는 방안을 확대 중이라고 밝혔다. 또한 소매업체를 통
한 포인트 적립이 5년간 두 배 증가했
다고 설명하며 2030년까지 다시 두
배 성장할 것으로
2025년 8월 23일~30일
파라마타 코트 BARTON ST, NORTH PARRAMATTA NSW ����
일정
8월 23일(토), 5‒10PM
개인 단식 : DIV �, DIV �, DIV �, DIV �, DIV �, 여자부
8월 30일(토), 5‒10PM
개인 복식 : DIV �, DIV �, DIV �, DIV �, DIV �, 여자부
마감 최종 신청 마감일: 2025년 8월 21일(목)
※ 특히 여성부 참가자가 부족하오니, 주변 선수분들의 많은 참여와 격려 부탁드립니다.
참가자 전원에게 참가 기념품을 드리며, 대회 입상자(우승, 준우승)선수들에게는 입상 트로피가 준비되어 있습니다. 참가 신청할 REGISTRATION 링크는 다음과 같습니다. HTTPS://AUG��KTAAUGAME.RSVPIFY.COM
저가 항공사가 인기 휴양지 노선을 갑 작스럽게 취소하면서 여행객들이 금전적
손해와 일정 차질을 겪자, 항공 소비자 보 호 강화 요구가 커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 났다.
이번 주 에어아시아 그룹인‘인도네시
아 에어아시아(Indonesia AirAsia)’는
이메일과 문자로 덴파사르(Denpasar)와
케언즈(Cairns) 간 항공편이 다음 달부터
‘네트워크 최적화 조치’를 위해 운항이
중단될 것이라고 통보한 것으로 알려졌 다.
퀸즐랜드의 에어리 비치(Airlie Beach)에 거주하는 샌디 헤니(Sandy Henny)와 네드 켈리(Ned Kelly)는 호주
공영방송 ABC와의 인터뷰에서 11월 생
일을 맞아 발리행 항공권을 예약했지만
항공편 취소에 대한 안내 이메일을 받은
후 아직 환불을 받지 못했다고 전했다.
항공 전문가(Aviation expert)인 저스 틴 워스트네이지(Justin Wastnage)는
저가 항공사의 비즈니스 모델 특성상 수
익성이 낮은 노선은 신속하게 운항이 중
단되는 경우가 많다고 설명했다. 그는 또 한 호주는 유럽과 달리 항공편 취소 시 자
동 보상 제도가 없어, 여행자 보험이 없는
승객은 상당한 불이익을 받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한편 현재 호주에는 항공 여행객을
info@koreannews.com.au
호주 주요 은행인 커먼웰스가 AI 챗봇
도입을 이유로 추진하던 콜센터 인력 감 축 계획을 철회한 것으로 알려졌다. 커먼
웰스는 앞서 고객 상담 효율성을 높이겠 다며 45개 일자리를 줄일 예정이었으나, 노조의 강력한 반발과 공정근로 위원회 (Fair Work Commission) 조정 끝에 결
정을 번복했다.
8월 21일(목) 금융노동조합(Finance Sector Union, FSU)은 성명을 통해 이
번 결정은 조합원들의 단결이 거둔 중요
한 성과라고 환영하면서도, 지난 몇 주간
고용 불안에 시달린 45명의 직원들이 이
미 큰 피해를 입었다고 강조했다.
금융노동조합의 사무총장 줄리아 앙그
리사노(Julia Angrisano)는 커먼웰스은
행이 혁신을 명분으로 일자리를 없애려
했다며 AI를 이유로 내세운 구조조정은
결국 비용 절감에 지나지 않는다고 비판
했다. 이어 그는 조합원들은 기술 도입 과
정에서 배제되는 것이 아니라, 미래 일자
리를 위한 교육과 훈련을 받기를 원한다 고 밝혔다.
커먼웰스 측은 당초 콜센터 인력이 필
요하지 않다고 판단했으나, 추후 검토 과
정에서 관련 요소를 충분히 반영하지 못
했음을 인정했다. 은행 관계자는 이번 결
정으로 혼란이 발생한 점에 대해 직원들
에게 사과했으며, 기존 직무 유지, 사내
재배치, 자발적 퇴사 등 다양한 선택지를
제공하고 있다고 전했다.
한편 이번 사태로 AI 도입에 따른 고용
안정성 우려가 다시 제기된 가운데, 커먼
웰스은행은 해외 아웃소싱 계획이 없다 고 밝혔지만, 지난 3월 기술 부문 164명
감축 이후 고용 상황에 대한 관심이 이어 지고 있다. 이지예 기자 info@koreannews.com.au
호주 최대 슈퍼마켓 체인 중 하나인 울 월스(Woolworths)는 20일(수)부터 필수
식료품 100종의 가격을 추가 인하하겠다 고 밝혔다. 평균 14% 할인이 적용되는 대 상 제품은 파스타 소스, 쌀, 올리브 오일, 시리얼, 뮤즐리 바 등 주요 생필품이며, 최
대 110달러를 절약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
났다. 이번 추가 인하 발표는 지난 5월,‘상
시 저가(Lower Shelf Price)’프로모션을
통한 700개 이상의 제품에 평균 10%의 할
인이 적용된 이후 두 번째 추가 인하이다.
해당 프로모션의 누적 절감액은 현재까지
5천만 달러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콜스(Coles) 역시 6월‘로열티 보너스 프
로그램(Loyalty Bonus Program)’을 새로
도입해 800개 제품에 대해 포인트를 기존
대비 10배 적립해 주는 프로모션을 진행 중이다.
한편 대형 슈퍼마켓들의 이러한 가격 경
쟁은 호주 경쟁소비자위원회(Australian Competition & Consumer Commission, ACCC)가 지난 1년간 슈퍼마켓 시장에 대 한 심층 조사를 통해 공개한 최종 보고서 발표 이후의 조치이다. 해당 보고서에서는 폭리(Price Gouging), 불투명한 가격 정책 등 소비자에게 불리하거나 혼란을 주는 판 매 전략들이 문제로 드러났다. 특히, 상품 용량이 줄었음에도 가격은 동일하게 유지 되는 슈링크플레이션((Shrinkflation)에 대해 경고하며, 소비자에게 크기 변화에 대한 사전 고지를 의무화할 것을 권고했 다. 전문가들은 호주의 양대 슈퍼마켓 간 가 격 경쟁은 단기적으로 가계
info@koreannews.com.au
ACCC,구글에5,500만달러
호주 경쟁소비자위원회(ACCC)는 구 글(Google)이 텔스트라(Telstra), 옵터스 (Optus) 등 주요 통신사와 체결한 계약이
다른 검색 엔진을 배제하고 소비자 선택
권을 제한했다고 판단, 이를 반경쟁(Anti Competitive) 행위로 규정하고 5,500만
달러의 벌금을 부과했다.
텔스트라와 옵터스는 구글과의 특정
계약을 통해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에 구
글 검색 앱을 반드시 사전 설치하고 경쟁
검색 서비스를 기기에서 배제했다. 2019
년 12월부터 2021년 3월까지 유지된 해
당 계약 기간 동안, 통신사들은 대가로 구
글 검색 광고 수익의 일부를 배분받은 것
으로 나타났다.
구글은 책임을 인정하며 향후 스마트
폰 제조사나 통신사와의 계약에서 다른
검색 서비스를 배제하는 조항을 포함하
지 않겠다고 연방 법원(Federal Court)
에 약속했다. 이에 따라 과징금 합의안을
제출한 상태이며 연방 법원은 이번 합의
가 적정한지, 추가 구제조치가 필요한지
를 최종 판단할 예정이다.
구글 호주 법인은 성명을 통해 이미 유
사 조항은 수년 전부터 계약에 포함되지 않았으며, 추후 안드로이드 기기 제조사 들이 브라우저와 검색 앱을 보다 자유롭 게 사전설치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덧붙 였다.
위원회의 위원장 지나 캐스-고틀리브 (Gina Cass-Gottlieb)는 호주에서 경쟁 을 제한하는 행위는 불법이며, 이는 보통 소비자의 선택권 축소, 가격 상승, 서비 스 품질 저하로 이어진다고 지적했다. 이 번 합의와 통신사들의 약속으로 앞으로 수백만 명의 호주인이
총 8억 7,000만 달러가 투입되어
2022년에 완공한 시드니의 알리안츠 경
기장(Allianz Stadium)이 개장 3년 만
에 잔디를 전면 교체해야 하는 상황이 직
면한 것으로 나타났다.
배수 문제가 끊임없이 제기되어 왔던
해당 경기장은 폭우가 내리면 잔디가 빠
르게 포화돼 선수들이 미끄러지고, 곳곳
에 물이 고여왔던 것으로 밝혀졌다. 지
난 몇 년간 두 차례 잔디를 교체했으나
개선되지 않았고, 근본적인 원인이 설계
와 시공 과정에 있었을 가능성이 제기된
바 있다.
경기장 담당 부처인 NSW주 시설 당
국(Venues NSW)은 최근 한 달간 진행
된 엔지니어 및 잔디 전문가 조사를 통해
시공 당시 설치된 모래 배수층이 점토와
미세한 실트에 오염으로 인해 배수량이
40mm에 미쳤다고 밝혔다. 이는 정상적
인 경기장 기준인 시간당 300~600mm
의 배수 능력에 크게 못 미치는 수준이
다. 전문가들은 단순한 표면 교체로는
해결이 어렵고, 지하 배수 시스템을 전
면 재설계해야 한다고 분석했다. 이에
따른 공사 규모와 비용은 수천만 달러에
달할 예정이다.
당국은 오는 9월 13일(토)부터 약 10
주간 공사를 진행해 문제 있는 모래층
을 교체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후 12
월 예정된 두 차례 콘서트에 맞춰 임시
복구를 마치고, 내년 1월 시드니 축구팀 (Sydney Football Club)의 첫 홈경기를
앞두고 새 잔디 설치를 완료하겠다고 덧 붙였다.
NSW 주총리 크리스 민스(Chris Minns)는 공사 비용에 대해 시공사가 전적으로 책임져야 할 문제라며 세금에
대한 우려를 일축했다. 김하늘 기자 info@koreannews.com.au
호주 통계청(Australian Bureau of Statistics, ABS)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 면, 성인 정규직의 평균 주당 일반 근로 수
입이 세전 기준 2천 11.40달러를 기록하
며 사상 처음으로 2천 달러를 넘어선 것으 로 나타났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4.5%
증가한 수치이다.
이번 조사에서는 성별, 지역별, 산업 군별 편차도 포함했다. 성별 정규직 근로
자의 주당 평균 임금은 남성의 경우 2천 106.40달러, 여성은 1천 864.10달러로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ACT주가 주당 2
천 236달러로 가장 높았고, TAS주는 1천 793달러로 가장 낮았다. 광업 분야가 평
균 3천 174달러로 가장 높았으며, 숙박 및 요식업 분야는 1천 459달러로 가장 낮은
임금을 보였다. 또한, 공공 부문 근로자의 평균 주급은 2천 167달러로, 민간 부문의 1천 966달러보다 약 200달러 높은 것으 로 밝혀졌다.
조사에 따르면 평균 임금이 높아졌음에 도 불구하고 응답자의 72%가 임금이 물 가 상승 속도를 따라가지 못한다고 느끼 며, 절반 이상인 53%은 지난 2년간 경제 적 상황이 악화됐다고 답했다. 실제로 가정의 평균 주간 식료품 비용 은 지난 1년간 11% 올라 215달러에서 240달러로 증가해 생활비 압박이 커졌다. 주택 구입 여건도 악화되어 전국 평균 수 준의 집을 사려면 연소득 약 20만 3,000 달러, 시드니에서는 약 30만 달러가 요구 된다. 임대료 역시 크게 올라 약 730달러
포기하는‘렌 트 세대(Generation Rent)’가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호주 부동산 시장의 흐름은 지난 30년간 극
명한 격차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1990년대 초반만 하더라도 “열심히 일하면
언젠가는 집을 살 수 있다”는 믿음이 존재했
지만, 이제는 상황이 달라졌습니다. 30년 동
안 집값은 무려 8배 가까이 상승한 반면, 임 금은 고작 2배 조금 넘게 오르는 데 그쳤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1993년 시드니의 평균 하우스 가
격은 약 19만2천불이었지만, 2025년에는 169만1천불로 치솟으며 777%나 상승했습 니다. 같은 기간 유닛은 14만9천불에서 82 만3천불로 453% 올랐습니다. 멜번은 하우 스가 12만8천불에서 103만5천불로 706% 상승했고, 유닛은 10만6천불에서 55만불로 417% 상승했습니다. 브리즈번은 하우스가 12만7천불에서 102만2천불로 699% 상승 했고, 유닛은 10만9천불에서 65만7천불로 502%나 올랐습니다.
애들레이드는 하우스가 12만1천불에서 100만불을 넘어 725% 상승했고, 유닛은 8 만4천불에서 55만7천불로 559% 올랐습 니다. 캔버라 역시 하우스가 15만9천불에 서 104만9천불로 557% 상승했으며, 유닛 은 14만5천불에서 53만1천불로 265% 상 승에 그쳤습니다. 퍼스는 하우스가 11만6천 불에서 91만7천불로 691% 상승, 유닛은 8 만1천불에서 50만8천불로 522% 상승했습 니다. 다윈은 상대적으로 상승률이 낮았지 만, 하우스는 14만4천불에서 65만9천불로 357%, 유닛은 9만7천불에서 35만2천불로 261% 오르며 전국적인 상승 흐름에서 예외 는 아니었습니다.
전반적으로 모든 도시에서 하우스의 상승폭
이 유닛보다 높게 나타났습니다. 이는 1990
년대 초반 당시에는 유닛 공급 자체가 많지
않았던 구조적 요인과도 관련이 있습니다.
반면 임금은 어떨까요? 1997년부터 2025
년까지 NSW 임금은 약 131% 상승했습니
다. VIC는 130.8%, QLD는 135%, WA는
140.7%로 가장 높았으며, NT는 127.2% 상
승에 그쳤습니다. 전국 평균은 132.8%였습
니다. 결국 지난 30년 동안 임금은 2배 조금
넘게 오른 반면, 집값은 5배에서 많게는 8배
가까이 상승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습 니다.
이 같은 불균형은 사회 구조에도 큰 변화를 가져왔습니다. 이제 한 사람의 월급만으로
는 가정을 꾸리기가 점점 어려워졌고, 맞벌
이는 선택이 아니라 사실상 생존 조건이 되 었습니다. 호주국립대학교 인구통계학 연구 역시 “주택 비용을 감당하려면 맞벌이는 필
수”라고 지적합니다. 실제로 현재 30대 초
반 여성의 고용률은 77%에 달합니다. 불과
한 세대 전만 하더라도 30%도 되지 않았다
는 점을 고려하면 엄청난 변화입니다. 과거
에는 출산과 육아로 일을 그만두는 것이 당
연시되었지만, 이제는 아이를 낳고도 일을
계속하는 것이 기본값이 된 셈입니다.
호주통계청 조사에 따르면, 호주인의 약 3 분의 1이 “항상 혹은 자주 시간에 쫓긴다”고
느끼며, 특히 35세에서 44세 여성의 55%가 ‘시간 부족’을 호소합니다. 직장, 육아, 가사 부담이 동시에 집중되는 시기이기 때문입니 다. 호주 생산성 위원회는 이러한 문제를 해 결하기 위해 “도심 직장과 외곽 주거지 간의 긴 출퇴근 시간을 줄이는 것이 핵심”이라며
재택근무 확대를 현실적인 대안으로 제시했 습니다. 팬데믹 이후 원격 근무 인프라가 빠
르게 확산되면서 재택근무는 일시적인 조치 가 아니라 구조적 변화로 자리잡았습니다. 요컨대 집값은 30년간 8배 뛰었지만 임금은 2배 오르는 데 그쳤습니다. 이제는 월급만 으로 집을 마련하기 어려운 구조가 되었고, 맞벌이는 보편화되었습니다. 중요한 점은 단순히 “일을 많이 하는 시대”가 아니라 “일 해서 번 돈을 자산으로 전환하는 전략”이 삶 의 격차를 결정하는 시대가 되었다는 것입 니다. 결국 부동산이나 주식 등 자산에 꾸준히 투 자하지 않고는 미래를 대비하기가
로 설명할 예정입니다. 지면에서는 다 전하 지 못한 실질적인 정보와 지금 바로 활용할 수 있는 투자 기회를 현장에서 꼭 확인하시 기 바랍니다. 여기 17년 동안 1만명의 케이스를 다루고 있는 “오리온 스타 프로퍼티”가 있습니다. 시드니 지역 매물을 비롯하여, 캔버라, 브리 즈번, 골드코스트, 멜번, 퍼스, 애들레이드 까지 다양한 매물과 중국팀 일본팀과 연계 되어 있는 폭 넓은 네트워크까지 갖추고 있 습니다. 오직 당신 만을 위한, 당신에게 맞는 부동산 컨시어지 “오리온 스타 프로퍼티”가 되겠 습니다.
“Disclaimer:본 칼럼은 일반적인 부동산 관련 정보이며
2025년 9월 17일 (수) 18시 30분 | 9월 20일 (토) 10시 장소: Suite 502, 10 Help St, Chatswood (채스우드역 도보 3분, 주차 가능) 0423 541 023 502 제 435차 오리온 스타 프로퍼티 시드니 교민을
[예약 전화] 0423 541 023 [이메일] info@orionstarproperty.com [카카오톡] orionproperty 카카오채널, 유튜브, 페이스북, 인스타그램에서 “Orion Star Property”를 검색하시면 정부 개발 계획과 최신 부동산 정보를 보실 수 있습니다.
온라인에서스스로를보호할수있습니다
호주 정부는 사이버 보안 인식 캠페인, 즉각적인 조치로 보안을 유지하세요(Act Now. Stay Secure.), 최신 단계를 시작해 모든 호주인들이 온라인에서 자신을 보호 하기 위해 간단한 세 가지 조치를 취할 것 을 촉구하고 있습니다.
즉각적인 조치로 보안을 유지하세요 캠 페인은 디지털 기술과 그 기술이 제공하는 기회를 안전하게 수용하는 데 필요한 지식 과 자신감을 호주인들에게 제공하기 위해 마련된 것입니다.
캠페인 자료 및 정보는 영어 외 32개 언
어로 제공되며, 호주 다문화 공동체들을
지원하기 위해 친구 및 가족과 쉽게 공유 할 수 있는 형식으로 제공됩니다.
이 캠페인은 온라인에서 자신을 보호하
기 위해 누구나 실천할 수 있는 다음과 같
은 세 가지 간단한 행동을 강조합니다.
가능한 경우, 항상 다중 인증 기능을 설 정한다.
모든 계정에 고유하고 강력한 암호절을 사용한다.
기기 보안 유지를 위해 모든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는 제공되는 즉시 설치한다.
국가 사이버 보안 조정관인 미셸 맥기네
스 CSC 중장은 호주인들이 사이버 범죄를
통해 심각한 피해에 노출되고 있으며 사이
버 공격에 계속 취약한 상태이기 때문에
이 메시지는 시의적절하고 중요한 것이라
고 말했습니다.
내무부에서 실시한 연구에 따르면, 가정
에서 영어 이외의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들
의 65%가 정보 침해를 당했거나 정보가
손상된 경험이 있는 반면, 가정에서 영어
를 사용하는 사람들의 경우, 52%가 유사
한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즉각적인 조치로 보안을 유지하세요 캠
페인은 디지털 비디오, 텔레비전, 영화, 소
셜 미디어, 디지털 오디오 및 인쇄 매체를
통해 전국적으로 실시됩니다.
캠페인에 대한 자세한 정보와 다양한 사
이버 보안 자료를 이용하려면, Act Now.
Stay Secure.를 방문하세요.
사이버 보안부 장관, 토니 버크 의원의
발언 인용문
"기술이 계속 발전함에 따라 호주인들은
온라인에서 더 많은 시간을 보내고 있습니 다. 이는 엄청난 연결성과 많은 기회를 가
져다주지만, 동시에 공동체들을 심각한 위
험에 노출시킬 수도 있습니다.”
"우리 정부는 사이버 방어를 강화하기
위해 매일 노력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모
든 호주인이 온라인에서 자신과 가족의 안
전을 지키기 위해 취할 수 있는 간단하고
효과적인 조치가 있습니다.”
"대부분의 사이버 사고는 예방할 수 있
으며 기본적인 방어 조치만으로도 큰 차이
를 만들 수 있습니다. 함께 협력하면, 온라
인에서 우리 공동체를 안전하게 지킬 수
있습니다.”
"호주인 4명 중 1명은 문화적으로 다양 한 배경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사이버 보 안은 반드시 포용적이고 접근 가능해야 합 니다. 이 캠페인은 출신 배경에 관계없이, 모든 사람이 온라인에서 자신을 보호하기 위한 간단하고 효과적인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국가 사이버 보안 조정관, 미셸 맥기네 스 CSC 중장의 발언 인용문
"호주는 사이버 범죄자들에게 매력적인 표적이 되고 있으며, 저는 우리 국민과 기 업들의 사이버 복원력 향상에 힘을 실어주 고자 합니다. 이는 호주를 온라인 상에서 연결하기에 가장 안전한 국가로 만드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사이버 보안은 모든 호주인의 삶에 영 향을 미치며, 우리 모두는 온라인에서 자 신과 사랑하는 사람들을 보호하는
을 담당할 수 있습니다."
언어와 문화적 장벽으로
해 온라인 안전 유지에
실천하면 사이버 보안을, 나중에 생각하는 것이 아니라, 일상적인 습관으로 만들 수 있습니다.”
(기사제공 : Cultural Perspectives)
유코치의 일요단상
새로운 나를 만나는 날 칼럼
“모든 날은 새로운 날이다.” - 헤밍웨이 -
세상에서 변하지 않는 진리는 단 하
나, 모든 것은 변한다는 사실입니다. 나
역시 예외가 아닙니다. 어제의 나와 오
늘의 나는 다르고, 생물학적으로도 우리
몸은 끊임없이 새로워집니다. 어떤 세포
는 며칠 만에, 어떤 세포는 수년에 걸쳐
교체되며, 전체적으로는 약 7~10년 주
기로 대부분의 세포가 바뀐다고 합니다.
결국 내가 나라고 믿고 있는 이 몸조차
완전히 새롭게 바뀌는 것이지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변하지 않는
‘나’가 있다고 느끼는 이유는, 우리가
단순히 몸만이 아니라 몸, 마음, 영혼이 어우러진 존재이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진정한 변화는 몸의 교체가 아니라 마음
의 변형에서 시작됩니다. 어떤 이는 이 렇게 말합니다. 우리는 두 번 태어난다. 한 번은 어머니의 몸에서, 또 한 번은 우 리의 사명을 깨달을 때. 내가 왜 이 세상 에 태어났는지, 무엇을 위해 살아가는지
라이프코칭/ 부부코칭/ 비즈니스코칭/ 감정코칭 안내
유인상 코치
Happy Life Coaching Centre 대표 코치 국제코칭연맹 PCC
호주공인 Provisional Psychologist Behaviour Support Practitioner 0452 664 844 coach.richardyu@gmail.com
를 알게 되는 순간 새로운 내가 시작됩 니다.
절을 맛보지만, 결국 더 온전한 존재로 나아가는 여정이 됩니다.
오늘, 나는 어떤 사람이 되고 싶은가?
새로운 날이 모든 것을 허락한다면, 나는 무엇을 하고 싶은가?
그 사명은 결코 거창할 필요가 없습 니다. 그것은 내 삶을 통해 풀어가야 할 숙제이자, 나를 성장시키는 원동력입니 다. 그 길에서 때로는 기쁨을, 때로는 좌
그래서 매일은 단순한 하루가 아니라 새로운 나를 만나는 날입니다.
이번 한 주, 새로운 날에 새로운 나를 만나는 기쁨이 함께하길 바랍니다.
살면서 마주치는 다양한 어려움을 극복하고, 높은 성과를 내기 위해 현대인들에게 꼭 필요한 것이 코칭입니다. 혼자서는 안 보이던 해결책들이 코치의 깊은 공감경
청과 심도있는 질문을 통해 내게 꼭 맞는 방안들이 찾아지고 실제로 적용해가면서 삶이 개선되어 갑니다.
코칭 대상: 관계: 부부/자녀 관계 개선, 직장내 관계 개선, 감정: 분노관리, 감정조절, 커리어: 이직을 고려 중이신 분, 자녀들의 진로코칭, 비즈니스: 신사업 시작, 사업성과 개선, 직장문화 개선, 리더십, 기타: 습관 개선, 삶 속에서의 다양한 문제 해결/개선, 삶의 의미와 목적 발견 코칭 방법: 온라인, 전화로 진행, 필요시 대면 코칭 코치: 유인상 코치 (국제코칭연맹 PCC, 한국코치협회 KPC, 호주공인 Privisional Psychologist, Behaviour Support Practitioner) 문의/예약: 0452 664 844, coach. richardyu@gmail.com
지난해 대기업 지주회사, 대표회사가
계열사로부터 받은 상표권 사용료가 2
조 원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기업별 산출 방식이 제각각이
라, 자칫 총수 일가의 사익편취 수단으 로 쓰일 가능성이 있다는 지적도 나온 다.
18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이양수 국민의힘 의원이 공정거래위원회로부
터 받은 자료를 보면 올해 공시대상기
업집단(자산 5조 원 이상) 92개 그룹 중
지난해 기준 72개 집단이 897개 계열
사로부터 총 2조 1530억 원의 상표권
사용료를 받았다.
지난해 상표권 사용료 규모는 역대 최대다. 상표권 총액은 2022년까지 1조 원대를 유지하다가 2023년 2조
354억 원을 기록해 처음으로 2조 원을
넘어섰고, 지난해 1176억 원이 더 늘어 났다.
상표권 사용료란, 대표회사가 계열사
로부터 유·무상으로 상표권을 넘겨받
거나 신규 기업이미지(CI) 도입으로 대
표회사가 신규 상표권을 취득할 때 발
생한다.
지난해 사용료를 가장 많이 받은 그
위이므로 위법이 아니다. 그러나 그룹마다 사용료 산정 방식이 달라서 총수 일가 사익편취에 동원될
룹은 LG(3545억 원)였다. 규모는 전년
과 같은 수준이다.
이어 △SK(3109억 원) △한화 (1796억 원) △CJ(1347억 원) △포스
코(1317억 원) △롯데(1277억 원) △
GS(1042억 원) △효성(617억 원) △
HD현대(534억 원) △현대자동차(521 억 원) 순이었다.
상표권 이용료는 상표권 소유자에게 사용자가 경제적 대가를 제공하는 행
수 있다는 우려가 과거부터 제기돼 왔 다.
현재 대다수 그룹은 매출액에서 광고
선전비를 뺀 액수에서 일정 수수료율 을 곱하는 수식으로 간판값을 산출한 다.
LG와 SK는 수수료율을 각각 0.2% 로 적용했다. 반면 한국앤컴퍼니는 0.5%로 산정하는 등 그룹마다 차이가
있다.
쿠팡은 계열회사 간 매출을 제외한 관련 매출액의 0.2%를, 한솔은 단순히 매출액의 0.28%를 간판값으로 산출했 다.
이처럼 명확한 기준이 없기 때문에, 감시가 소홀하면 총수 일가의 지분율 이 높은 지주사나 대표사에 과도한 수
상표 권을 보유하고 있다는 이유로 대가를 받아가는 것은 계열사가 이중으로 지 출하는 부당한 행위일 수 있다"며 "공정 위는 간판값 수취를 그룹별로 면밀히 분석해 부당지원에 악용된다면 엄중히 조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기사제공 : 뉴스 1)
10대 건설사가 최근 1년간 임직원을
3000명 가까이 줄였다. 건설 현장 감소
와 경기 불황으로 본사가 직접 고용하
는 비정규직이 크게 줄어든 영향이다.
신규 정규직 채용 규모가 퇴직자를 따
라가지 못한 점도 임직원 감소에 작용
했다.
올해 상반기 10대 건설사 임직원 약 5
만명…전년 比 2839명 감소
19일 각 사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올
해 상반기 10대 건설사의 임직원은 5만
386명으로 전년 동기(5만 3225명) 대
비 2839명이 줄었다.
건설업은 프로젝트 단위로 업무를 수
행하며, 착공 현장에는 본사 정규직과
하청업체 직원, 일부 비정규직이 함께
근무한다. 최근 임직원 감소는 경기 불
황과 맞물려 있다. 발주처들이 인건비
와 원자재가격 급등으로 공사를 제때
시작하지 못하면서 현장 근무자가 자연
스럽게 감소했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의 7월 CBSI는
전월 대비 0.4포인트(p) 하락한 73.1을
기록했다. CBSI가 기준선인 100을 밑
돌면 건설사들이 현재 건설 경기 상황
을 부정적으로 보고 있다는 의미다.
정규직 역시 경기 침체의 영향을 피하
지 못했다. 건설사들은 업황 악화를 우
원이 감소했는데, 비정규직 감소(420 명)가 정규직(110명)을 크게 웃돌았다.
대형 건설사 관계자는 "신규 현장에
는 현채직(현장채용직원)을 2∼3년 동
안 대거 고용해 착공 준비를 한다"며 "초
대형 사업장이 동시에 착공하면 단기간
에 비정규직 직원이 급증하는 구조"라 고 설명했다.
인 기업들이 대규모 인력 구조조정을 택하는 배경이다.
대우건설(047040)은 상반기 급여 총 액을 2545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734억 원 절감했다. 현대엔지니어링과 현대건설(000720)도 각각 560억 원, 234억 원의 인건비를 아꼈다.
려해 퇴직자 수보다 적은 수준으로 신
규 채용을 진행하고 있다.
DL이앤씨(375500)는 올해 상반기 임
직원이 5165명으로 전년 동기 5772명
대비 607명 감소했다. 해당 기간 정규
직은 215명, 비정규직은 392명이 줄었
다. 포스코이앤씨도 1년 만에 530명 직
실적 악화 속 비용 절감 1순위는 인력
조정
건설사들은 실적 악화 분위기 속에서
비용 절감 1순위로 인력 조정을 택하고
있다. 판매 및 관리비에서 인건비를 줄
이면 영업이익이 자연스럽게 늘어나기 때문이다. 통상적으로 실적 위기에 놓
일단 다수의 건설사는 비용 절감 노력 과 주택 사업 반등으로 호실적을 내놨 다. 현대건설의 상반기 영업이익은 전 년 동기 대비 8.2% 증가한 4307억 원, 대우건설은 6.3% 늘어난 2335억 원. DL이앤씨는 121.7% 증가한 2071억 원 을 기록했다. 건설업계 관계자는 "직원을 줄이면 급여뿐 아니라 세금 등 각종 부대 비용 을
내년부터 소득 활동을 하는 국민연금
수급자의 연금 삭감 기준이 대폭 완화 된다. 월 소득이 509만 원 미만일 경우
현재와 달리 연금 전액을 그대로 받을
수 있게 될 전망이다.
은퇴 후 생활비를 벌기 위해 재취업
한 고령층이 소득이 있다는 이유로 연
금이 삭감되는 제도의 불합리를 개선
하기 위한 조치다.
19일 관계부처에 따르면 보건복지부
는 불합리한 국민연금 제도 개선 방안
을 국정과제로 확정하고 본격적인 제
도 손질에 나선다.
현행 제도에서는 노령연금을 받는 수
급자가 일정 기준 이상의 소득을 올리
면 최대 5년간 연금액의 50%까지 감액 된다. 이 기준은 국민연금 전체 가입자
의 3년간 평균소득인 'A값'으로, 올해
기준 A값은 308만 9062원이다. 사실
상 월 309만 원 이상만 벌어도 연금 일
부가 깎이는 구조다.
이러한 소득 활동에 따른 연금 삭감
자는 해마다 늘어나는 추세다. 국민연 금공단에 따르면 연금 감액 수급자는
앞서 지난 13일 국정기획위원회도
이재명 정부 국정과제에 이같은 안을
제안한 바 있다.
2019년 8만 9000여 명에서 지난해 13 만 7000여 명으로 52% 급증했으며, 지난해에만 2430억 원에 달하는 연금
이 삭감됐다.
정부는 A값을 초과하는 소득(초과소
득월액) 구간 5개 중 소득이 가장 낮은
1구간(100만 원 미만)과 2구간(100만 원 이상∼200만 원 미만)의 감액 제도
를 우선 폐지할 방침이다.
하반기 최대 정비사업으로 꼽히는 성수 전략정비구역 1지구 재개발이 속도를 내 고 있다. 조합은 연내 시공사를 선정하고 통합심의를 빠르게 통과하겠다는 계획이
다.
첫 성수 재개발이라는 상징성과 우수한
입지까지 더해져, 여러 대형 건설사가 수
주전에 뛰어들 것으로 보인다.
3014가구 랜드마크…65층 초고층 설계
18일 정비업계에 따르면 성수1지구 재
개발 조합은 21일 입찰 공고를 내고 29일
현장 설명회를 연다.
성수1지구 재개발은 서울 성동구 성수
동1가 72-10 일대에 총 3014가구 규모의
아파트와 부대 시설을 조성하는 사업이다.
예상 사업비만 2조 원에 달해 하반기 최대
정비사업지로 꼽힌다. 한강 변 서울숲에
맞닿아 성수전략정비구역 4개 지구 중 가
장 입지가 좋다. 개발 면적과 규모도 크다.
서울시가 고시한 성수 1~4지구 정비계
획 결정안에는 최고 250m, 기본층수 50 층 이상을 지을 수 있는 내용이 담겼다. 이
에 따라 '초고층' 랜드마크 단지에 대한 기
대감도 커졌다. 조합은 5월 총회에서 조합
원 투표를 통해 65층 초고층 설계안을 선
택했다.현대·GS·HDC '3파전' 수주전
예고
현재까지 조합 에 수주 참여 의사를 전
달한 건설사는 현대건설(000720), GS건 설(006360), HDC현대산업개발(294870)
이다. 세 회사는 입찰 공고 이전부터 물밑
작업을 이어오며 수주 의지를 다지고 있 다.
개정이 완료될 경우 내년부터는 월
소득이 A값(308만 9062원)에 200만 원을 더한 508만 9062원, 즉 509만 원
미만일 경우 연금을 전액 수령할 수 있 게 된다.
정부는 다음 달 중 노령연금 개선 방
안을 공식 발표한 뒤, 연내 법 개정을
목표로 하고 있다. 내년 상반기 제도 정
비를 거쳐 하반기부터 시행하며, 2027 년에는 제도 운영 효과를 분석해 추가 확대 여부를 검토할 계획이다. 이번 조 치로 2030년까지 5년간 약 5356억 원 의 재정이 추가 소요될 것으로 전망된 다. 정부는 이와 함께 기초연금의 부부 감액 제도 개편도 병행할 방침이다. 현 재는 부부 모두 기초연금을 받으면 각 각 20%씩 삭감된 금액을 받고 있다. 정 부는 2027년부터 소득 하위 40%를 대 상으로 감액률을 단계적으로 축소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정부는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논 의를 거쳐 내년 중 기초연금법 개정을 추진하고, 2027년부터 시행할 계획이 다. (기사제공 : 뉴스 1)
GS건설은 성수1지구를 한강 변 진출 의 교두보로 삼을 계획이다. 세계적인 건
축가 데이비드 치퍼필드 아키텍처(David
Chipperfield Architects)와 손잡고 특화 설계를 준비 중이며, 글로벌엔지니어링 기
업 ARUP(에이럽)과도 초고층 기술 협력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현대건설도 참여를 적극 검토하고 있다.
압구정2구역 수주가 유력한 상황에서, 성
수1지구에는 프리미엄 브랜드 '디에이치' 를 앞세운 서울숲·한강 조망 특화 설계를
선보일 예정이다. 내부적으로도 성수1지 구 전담 조직을 구성했다.
HDC현대산업개발은 용산정비창 전면 1구역 수주전에서 내세웠던 '디벨로퍼' 전 략을 구상하고 있다. 시공에 국한되지 않 고, 개발과 운영을 아우르는 방식을 통해 일대 미래 가치를 끌어올린다는 구상이다. 조합은 연내 시공사를 빠르게 선정하고, 향후 통합심의 절차를 밟을 예정이다. 정비업계 관계자는 "송파한양2차 재건 축에서 예상됐던 3파전이 포스코이앤씨 의 철수로 무산됐다"며 "성수1지구는
서울시가 규제혁신을 연중 상시화하
는 '규제혁신 365 프로젝트'를 가동한
다. 지난 1월 불필요한 규제 138건을
정비한 데 이어 발굴, 개선, 사후관리까
지 제도화해 시정 전반에 규제혁신 문 화를 심겠다는 계획이다.
오세훈 시장은 20일 오전 서울시청 2 층 브리핑룸에서 열린 기자설명회에서 "규제를 걷어내는 일은 절대로 미룰 수
없는 절박한 과제"라며 "서울을 시민 중 심의 규제혁신도시로 만들겠다"고 밝 혔다.
오 시장은 최근 건축 인허가 과정을
겪은 시민의 사례를 언급하며 "건물을
허물고 새로 짓는 과정에서 절차와 요 건을 충족시키느라 이해관계 집단이 강고하게 얽혀 있는 현실을 피부로 실
감했다"며 "민원인이 겪는 불편과 때로
는 울분은 행정이 감당하기 어려울 정
도라 시장으로서 큰 충격이었다"고 말 했다.
이어 "오늘 규제철폐 기자간담회를
연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라며 "아직
은 갈 길이 매우 멀고 이제 겨우 첫발을 뗀다는 심정으로 임하고 있다"고 전했 다.
서울시는 지난 7월 전국 지자체 최초
로 국장급 전담 조직인 '규제혁신기획
관'을 신설했다. 이번 프로젝트는 출범
50일 만에 마련된 대책으로, 민간 전문
가와 행정이 함께하는 민·관 협업 체
제를 기반으로 한다.
오는 9월부터는 시민 200명으로 구
성된 '규제발굴단'을 운영한다. 오 시장
772건의 규제를 전수조사하고, 불필요 하거나 과도한 규제는 폐지·간소화할 예정이다. 일부는 '원칙적으로 허용하 되 예외적으로 금지'하는 네거티브 규
제 방식으로 전환한다.
은 "신축·개축을 경험한 시민 5, 10명
이라도 직접 모셔서 생생한 경험담을
규제 철폐 대상 발굴에 반영하라고 지
시했다"며 "행정이 일방적으로 정하는
것이 아니라, 현장 당사자가 참여하는
발굴 시스템으로 바꾸겠다"고 말했다.
또 대한건축사협회, 소상공인연합
회 등 200여 직능단체와 정기 간담회
를 열고 '직능단체 규제혁신 핫라인'을
신설해 현장의 요구사항을 수시로 수
렴한다. 120다산콜센터, 응답소 등 민
원 데이터를 분석해 반복적으로 제기
된 불필요한 규제는 선제적으로 정비 한다.
서울시는 현재 자치법규에 등록된
정상훈 기획조정실장은 이날 발표를 통해 "앞으로는 단기 성과 중심에서 벗 어나 시민과 청년단체가 직접 참여하 는 상시 규제발굴 체제로 전환해 '서울 형 규제혁신 모델'을 완성하겠다"고 말 했다.
규제 개선 과제는 시민체감도를 고려 해 △선정 및 구체화 △부서 검토 및 이 해관계자 협의 △전문가 심사의 3단계 를 거쳐 확정된다. 이를 위해 문화경제, 도시계획·건설, 안전·교통, 복지· 환경 등 4개 분과로 이뤄진 전문가 자 문심사단을 운영한다. 규제관리 온라인 플랫폼도 신설해 발
굴부터 개선·폐지까지 전 과정을 통 합 관리하고, 이행률을 점검한다. 완료 된 과제는 서울시 누리집을 통해 공개 한다.
법·제도적 기반 정비도 추진된다. ' 규제개혁위원회 설치 및 운영 조례'를 ' 서울특별시 규제개혁 기본조례'로 확 대·개편하고, '서울형 민생규제 샌드 박스'를 도입해 신산업과 민생경제 분 야 규제를 유연하게 적용한다. 구체적 심사 기준을 담은 '서울형 규제혁신 체 크리스트'도 개발한다. 아울러 정부·자치구·시의회·타 시도와 협력해 전국적으로 적용 가능 한 규제 개선 과제는 공청회·포럼 등 을 통해 공론화하고, 중앙정부에는 법 령 개정을 건의할 방침이다. 오 시장은 "규제를 풀면 기업이 살아 나고 민간 투자가 활성화되며 일자리 가 늘어난다"며 "시민의 발목을 잡는 낡 은 규제를 걷어내고, 시민 중심의 규제 혁신 도시 서울을 반드시 만들겠다"고 밝혔다.
(기사제공 : 뉴스 1)
M. 0449 264 747 admin@ace-transport.com.au www.ace-transport.com.au
28 Biloela Street Villawood NSW 2163
이혼 및 가정법 | 각종 민/형사 소송
비즈니스 학교 전문 / 학비할인 및 최저가 비용 보장 수업/출석/과제물 부담 NO! 한국인 변호사 직통 M. 0422 09 0079 E. jae@wblegal.com.au
어학연수 / 유학전문센터
M. 0449 264 747 admin@ace-transport.com.au www.ace-transport.com.au 0414 244 989 회원가맹문의사무총장0481104066
M. 0432 666 266 카톡. timestudysyd E. timestudysyd@gmail.com 24시간 상담 가능 아파트먼트
28 Biloela Street Villawood NSW 21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