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대전충남권 농촌 돌봄서비스 활성화 지원사업 책자

Page 1


2024년 대전·충남권

농촌 돌봄서비스 활성화 지원사업

농촌돌봄농장

농촌주민생활돌봄공동체

지원사업

농촌 돌봄서비스 활성화 지원사업은?

 2018년부터 시작한 농림축산식품부의 지원사업으로, 2022년부터 농촌주민생활돌봄공동체, 2023년부터 공동체단위 농촌돌봄농장 유형이 추가되어 농촌 환경에 맞는 복지와 돌봄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지원사업은 농업과 농민이 지역사회에 기여할 수 있다는 새로운 가능성을 확인하는 계기가 되고 있습니다.

사회적 농업social Farming

사회적 농업에서의 사회는?

 관계, 지역사회local community

 즉, 사회적 농업이란

해외의 정의

 계약에 기초한 노동을 수행할 능력이 떨어지는 사람들(가령, 지적·신체적 장애인, 출소자, 약물

중독자, 소수자, 이주민 등)의 노동통합을 지향하거나, 불리한 여건에 있는 사람들의 재활, 교

육, 돌봄 등을 촉진하거나, 아동이나 노인 등 특정 집단에게 농촌 지역에서 지원 서비스를 제공

하려는 목적을 지닌 영농실천(유럽연합 EU / F.D. lacovo and O’cornor, 2009)



장애인, 소수자, 이주민들에게 일자리를 제공하거나 불리한 여건에 있는 사람의 재활·교육·돌

봄 등을 촉진하거나 아동·노인 등 특정 집단에게 지원 서비스를 제공하려는 목적을 지닌 영농

활동(F.D. lacovo, 2008)

 다기능 농업과 지역사회-기반 돌봄의 두 개념에 기초, 지역사회의 복지 체계에 속한 비공식적

사회연결망과 농업자원에 기초한 서비스를 결합한 것(J. Hassink, 2009)

우리나라의 정의

 사회적으로 배제된 이들을 사회 안으로 끌어안는 농업 실천(김정섭, 2017)

 농업인을 중심으로, 사회적 약자와 농업 생산활동 등을 통한 돌봄·교육·고용

활동입니다.

 참여자

‘불리한 여건에 있는 사람들’, ‘사회적 배제의 위험에 놓인 사람들’,

‘특별한 필요를 지닌 사람들’

취약계층이나 사회적 약자뿐만 아니

라 특별한 필요가 있는 사람들이 사회

적 농업의 참여자가 될 수 있습니다.

 활동 유형 — 돌봄, 재활, 교육, 일자리 제공, 치유 등

실천 배경

 실천 배경 — 지역사회

농촌돌봄농장



목적

— 농업활동을 통해 장애인 · 고령자 등

사회적 약자를 대상으로 돌봄 · 교육 ·

고용 등의 사회서비스를 제공



사업 대상자

— 사회적 농업을 실천하고 있는 농촌 지역

소재 조직

— 법인이나 단체

공동체단위 농촌돌봄농장

 목적

— 인접한 곳에 위치한 개별 농장들이

협력하여 사회적 농업을 실천·확산하고

주민 삶의 질 향상 등 지역사회에 기여

 사업 대상자

— 다수의 농촌 돌봄농장(최소 3개 이상)과

중간지원 기관이 협력하는 공동체 조직

또는 대표농장을 중심으로 다수의 농장

이 결합된 협동조합

농업 활동비

금액 — 개소당 평균 55백만 원 — 1년차(예비단계): 20백만 원

협동조합·사회적 협동조합 또는 비영리법인

비영리단체

지원 내용

사회적 농업 및 지역 사회 기여 활동비

중간지원 기관 또는 대표농장의 인건비

금액

개소당 평균 80백만 원

지원 기간

농촌주민생활 돌봄공동체



목적

— 농촌 주민 등이 일상생활을 하는데 필요

한 경제·사회 서비스(고용, 주거, 교통,

교육, 보건·의료, 복지 등) 전반을 연대와

협력의 방식으로 제공

 사업 대상자 — 사회·의료·복지기관 또는 단체, 민간업

체 등이 연대해 구성한 조직

— 협동조합·사회적협동조합 또는 비영리

법인·비영리단체

거점농장

 목적

— 교육, 자문, 모니터링, 네트워크 구축 등

사회적 농업 확산 활동

 사업 대상자

— 1년 이상 농촌 돌봄서비스 활성화 지원

사업을 추진했거나 지역 내 공동체, 지

역개발, 복지 등 분야에서 중간지원 역 할을 활발히 하고 있는 조직

 지원 내용 — 주민이 필요로 하는 경제·사회서비스를 제공 하는 서비스공동체의 운영비, 서비스 제공비

— 돌봄반장의 인건비  금액 — 개소당 평균 66백만 원

— 1년차(예비단계): 50백만 원  지원 기간 — 5년간

 지원 내용

— 교육, 자문, 모니터링, 네트워크 구축 등

사회적 농업 확산 활동  금액

— 개소당 평균 155백만 원

 지원 기간

— 3년간

대전·충남권 농촌 돌봄서비스 활성화 지원사업 현황

선정

연도

2020

2021

1 공주시 농업회사법인 ㈜공주 아띠

정영숙

2 대전시 ㈜손수레 백종운

농촌돌봄농장

3 청양군 농업회사법인 ㈜청양푸드 강미양

4 홍성군 농업회사법인 ㈜정다운농장

농촌돌봄농장 정태희

5 예산군 농업회사법인 ㈜지오팜 이재인

6 천안시 천안북면도란도란사회적협동조합

7 태안군 농업회사법인 ㈜태안드림 농촌돌봄농장 한명숙

8 청양군 나눔 영농조합법인 박영숙

9 논산시 농업회사법인 ㈜땡큐베리팜 최선희

10 공주시 농업회사법인 샘여울(유) 이숙길

11 천안시 수신제가 협동조합

12 아산시 사회적협동조합 꽃피우다

13 홍성군 함께하는장곡 사회적협동조합

14 천안시 별꽃원예치유농장

농촌주민생활 돌봄공동체

박의경, 조진우

이세종, 추재환

조홍식, 신소희

농촌돌봄농장 이미선

15 서천군 뷔엔 영농조합법인 이현자

16 청양군 선한이웃 영농조합법인 유성애

17 예산군 시산리아리랑돌봄공동체 협동조합 강희진 18 당진시 사회적협동조합 좋은이웃

농촌주민생활 돌봄공동체 이정원

전화

이메일

홈페이지 SNS

협동조합 행복농장

상임이사 최정선 010-3723-2757

happyhanfarm@gmail.com

happyhada.com

인스타그램 @farmingforhappiness

페이스북 www.facebook.com/farmingforhappiness

선정년도

대표자

주소

주 참여자

농촌돌봄농장: 2018년

거점농장: 2020년

안병은

충청남도 홍성군 장곡면 도산리 586-6

정신장애인

협동조합

행복농장은

유기농 허브와 꽃을 재배하는 농장이자 정신장애를 가진 분들이 농업과 농촌의 일상을 체험하고 회복할 수 있도록 〈자연구시〉 프로그램을 진행하며, 농업·농촌·보건·복지·교육 등 관련 분야 단체

들과 협력하고 있습니다. 그간의 사회적 농업 경험과 역량을 인정받아 2020년 농림축산식품부

사회적 농업 거점농장으로 선정되었습니다.

네트워크



대전·충남권 사회적 농업

민·관 간담회

 대전·충남권 농촌

돌봄서비스 활성화

지원사업 설명회



지원사업자 개별방문 지원

 사회적 농업 관련분야

네트워크 구축사업

거점농장

교육

 사회적 농업 공동학습모임

 사회적 농업 해외 전문가

초청 세미나

홍보

 사회적 농업 뉴스레터 ‘사이통신‘ 발행  ‘사이통신’ 네이버 블로그 운영 (https://blog.naver. com/42tongshin)

 지원사업자 활동 사진 촬영 지원

 농업박람회 사회적 농업

부스 참여

농업회사법인 ㈜공주 아띠

농업회사법인 ㈜호루와에이앤씨

농업회사법인 ㈜땡큐베리팜

농업회사법인 ㈜빛돌

㈜손수레

뷔엔영농조합법인

농업회사법인 ㈜지오팜

시산시아리랑돌봄공동체 협동조합

별꽃원예치유농장

농업회사법인 ㈜청양푸드

나눔 영농조합법인

선한이웃 영농조합법인

농업회사법인 ㈜태안드림

농업회사법인 ㈜정다운농장

농업회사법인 샘여울(유)

오디, 체리, 블루베리 등을 재배합니다. 발달장애인 부모와 전국 네트워크를 맺고 활동을 하며, 공주시 금학동, 옥룡5통, 옥룡11통 경로당과 농업 돌봄 사업(연 10회), 공주장애인 복지관과 농 업 활동(연 10회)을 진행합니다. 천연 발효식초 가공 교육 중 장애인 여성 자조 모임과 EH 협동조 합에 가입했습니다. 앞으로 천연 발효식초 가공 교육을 통해 수익사업으로 돌봄과 고용을 지원하

는 것이 목표입니다. 농업회사법인

선정년도

대표자

주소

주 참여자

2020년

정영숙

충청남도 공주시 신풍면 사랑골길 91-3

발달장애인, 독거노인, 위기 가정의

농업회사법인

농업교육 프로그램

식초가공 프로그램

오디·블루베리·복숭아 등 과수, 감자·마늘· 오이·가지·쌈채·봄나물·고추 등 텃밭 농사

사과·오디·보리수·개복숭아·매실·

발달장애인 공주시장애인복지관

독거 어르신 금학동 경로당, 옥룡5통 경로당, 옥룡11통

대표 이성희 010-7135-5609

cumbarm@naver.com

https://blog.naver.com/cumbarm

농업회사법인

‘어르신힐링농장’은

선정년도

대표자

주소

2024년

이성희

전화

이메일

홈페이지

SNS

경영지원실장 최선희 010-4330-4987

skysky1004@hanmail.net

https://blog.naver.com/skysky9004

페이스북 www.facebook.com/thankuberry

인스타그램 @skysky3004

논산시 가야곡면에 자리한 작은 블루베리 농장입니다. 지역 안에서, 지역을 넘어 공유와 연대로

사회적 농업을 실천하고 가치를 전합니다. 농촌 지역의 청소년, 발달장애인, 지역주민 등을 대상

으로 사회적 농업 활동을 운영하며 논산시사람꽃복지관, 지역학교, 베럴댄, 방초오름, 서풍골 등 의 농장들과 연대하며 돌봄 서비스를

서로

확산하는 데 기여합니다.

농업회사법인 ㈜빛돌은

딸기농장과 사과농장, 우리밀 빵 만드는 농장 세 곳이 함께 돌봄을 실천하는 ‘빛돌’입니다. 아동

발달장애인 가정과 지역 마을학교 아동과 함께 농업·농촌의 일상을 경험하는 ‘팜스 스쿨’, 딸기와 흙을 이용한 도자기·화분 등을 만들고 반려 식물을 키우는 ‘딸기야 접시랑 놀자’, 재배한 농작물로 먹거리 만드는 ‘빵을 사랑한 농부’를 진행합니다. 지역복지 단체와 주민자치회, 지역 농가·초등학 교·중학교와 협력해 사람과 농업의 가치를 잔잔하게 지역 돌봄에 녹여가는 모임입니다. 지역에서

사람과 농업의 가치를 만들어가는 ‘빛돌’이기를 바라봅니다.

선정년도

대표자

주소

주 참여자

2024년

김정현 충청남도 논산시 광석면

아동, 발달장애인

농업회사법인

㈜빛돌의 활동

꼬꼬마 팜 스쿨 공유농장 가꾸기, 재활용 자원을 이용한 소품 만들기

대표 백종운 010-6408-3311

이메일 홈페이지

페이스북 www.facebook.com/sonsure042 전화

sonsure042@gmail.com

www.sonsure042.co.kr www.blog.naver.com/sonsure042

인스타그램 @sonsure042

㈜손수레는

손수레 농장은 밭농사를 지으며 자연이 가르쳐주는 것을 배우는 곳입니다. 사회적 농업 프로그램

을 통해 발달장애인, 고령자, 아동, 중독회복자, 노숙인 등을 돌봄과 교육을 하고 있지만 사실 누

구나 몸과 마음의 돌봄과 치유가 필요하다면 열려있는 곳입니다.

자연에게 배우고 수용하고 전념해보고 싶은 분과 함께 만들어가고자 합니다.

선정년도

대표자 주소

주 참여자

2020년

백종운

대전광역시 유성구 대덕대로 1003-27

발달장애인, 노인, 아동

㈜손수레의 활동

연계/협력기관

느우린농장 텃밭 채소 가꾸기, 농업을 매개로 생활기술 습득 발달장애인 한밭장애인 자립생활센터

짝궁텃밭 노인과 7세 아동이 짝궁을 이루어 텃밭 채소 가꾸기 노인, 아동 관저종합사회복지관, 관저어린이집

뷔엔 영농조합법인은 서로를 아끼고 배려하며 함께하는 공간이자 허브 향기로 자연의 아름

다움이 가득한 공간입니다. 친환경으로 허브를 키우며, 돌봄을 필요로 하는 지역 어르신들에

게 농업과 다양한 활동을 함께하며 행복한 시간을 가질 수 있도록 돕고 있습니다.

2023년 이현자

어르신

활동, 공예활동

허브와 천혜향을 재배하고 있는 농장이며, 예산군 장애인종합복지관과 장애인보호작업장

발달장애인 교육생 4인에게 매주 2회의 농업교육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교육을 받은 교육생들이

농업인으로서 일자리를 가지고 지역사회와 소통을 하며 살아나갈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 주는 것

이 목표입니다.

선정년도

대표자

주소

2021년 이재인

발달장애인

주 참여자 농업회사법인㈜ 지오팜의 활동

허브 및 기타 작물 (상추, 고추, 배추, 가지, 호박 등)

파종부터 수확까지 발달장애인

장애인 보호작업장

fs-ac@hanmail.net

시산리아리랑돌봄공동체 협동조합은 마을에서 문화· 복지를 담당하는 공동체 조직으로, 마을공

동체 내에서 돌봄센터 운영 재원 마련을 목적으로 설립되었습니다. 우리 농장이 최종적으로 추구 하는 바는 ‘사회 속으로 들어가자’입니다. 시산시아리랑돌봄공동체

선정년도 대표자 주소

주 참여자

2023년

노인, 발달장애인

시산시아리랑돌봄공동체 협동조합의 활동

장애인 농업활동

대마, 텃밭 농사, 감자·고구마

수확하고 나누기, 노래자랑, 간식 만들어 먹기 발달장애인 예산군장애인 보호작업장

전화

이메일 SNS 사회적 농업을

대표 이미선 010-7937-3700

silence-1004@hanmail.net

인스타그램 @ star_flower137_2

별꽃원예치유농장은

별꽃원예치유농장에서는 취약계층이나 돌봄이 필요한 어르신과 함께 농약이나 화학비료를

쓰지 않는 친환경농업 교육을 진행합니다. 이를 통해 농업활동에 대한 자신감과 참여자와의 결속 력, 사회성을 높이고 자기효능감이

지며 몸과 마음의 돌봄을 실천하도록 노력합니다.

선정년도

대표자

주소

대표 강미양 010-3168-3673

cyfood3673@naver.com

유튜브 www.youtube.com/@user-cq4yx8rv2g

농업회사법인㈜청양푸드는

텃밭과 하우스에서 쌈채소,블루베리 등을 재배합니다. 발달장애인과 경증

을 어르신이 농업과 농촌의 일상을 체험하면서 힐링과 보람을 느낄 수 있도록 다양한 프로그램 을 진행합니다. 농업,농촌,복지와 관련된 분야의 단체들과 협력하고 있습니다. 사람과 마을,지역

선정년도

대표자

주소 주

2020년 강미양 충청남도

발달장애인,고령자

농업회사법인㈜청양푸드의

활동

전화 이메일 홈페이지 SNS

대표 박영숙 070-7716-0350

pys923@gmail.com

www.yesnanum.com

인스타그램 @sigolmat

20여년 간 유기농 구기자와 포도·블루베리·텃밭 채소를 재배했습니다. 지역의 고령자·청소년·귀

농인이 농촌의 가치와 농업의 중요성을 체험하며 몸과 마음의 여유로움을 얻을 수 있도록 노인복 지관, 청소년 문화의집, 가족센터, 정원 가꾸기 모임 등 여러 단체들과 협력합니다. 농촌의 고령

화와 인구감소로 점점 소멸의 길로 가고 있는 농촌에서 농업과 이웃의 협력을 통해 ‘떠나지

농촌’을 만들어 갑니다.

선정년도

대표자

주소

주 참여자

2022년 박영숙 충청남도 청양군

귀농인

나눔 영농조합법인의 활동

키운 작물 수확

대표 유성애 010-7192-0991

sunhan010@naver.com

https://blog.naver.com/sunhan010

쌀과 우리밀을 베이스로 지역의 농산물을 활용한 빵, 쿠키를 만드는 선한이웃농장입니다. 현

재는 지역의 발달장애인들과 텃밭작물 및 허브를 활용한 ‘즐거운 허브농장’ 활동과 지역아동

센터 세 곳에 직접 찾아가 아이들이 텃밭가꾸기 활동을 경험할 수 있는 ‘우리텃밭 만들기’ 활

동을 하고 있습니다. 선한이웃농장은 좀 더 다양하고 전문적인 농장활동을 통해 지역의 도움

이 필요한 곳에 빛과 소금의 역할을 하는 것을 소망하고 있습니다.

선정년도

2023년

유성애 충청남도 청양군 남양면 충절로 281-9

발달장애인,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

선한이웃 영농조합법인의 활동

우리텃밭 만들기 텃밭 가꾸는 활동

신나는 여름방학

방학을 맞은 아이들이 함께할 수 있는 농장체험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 중 일부 청양군 지역아동센터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 전원

농업회사법인㈜태안드림은

태안드림은 태안군의 작은 마을에 위치합니다. 성인 발달장애인과 농업을 통한 직업 재활을 목적

으로 하는 사회적 농장입니다. 다육·국화 등 원예 작물을 기르는 교육과 로컬푸드 및 자체매장에 서 판매를 진행합니다. 성인 발달장애인이 보편적인 삶에 익숙해지도록 지역사회 탐방과 체험, 2

차 가공 실습을 위한 제조·가공 협력체, 판매 구조 확대를 위한 지역 원예농가와의 공조, 익숙한 일상을 위한 일상생활 지원을 협력받고 있습니다. 무엇보다 참여하는 성인 발달장애인이 스스로

의 삶을 잘 살아낼 수 있는 다양한 교육 시스템을 농업을 통해 이뤄갑니다.

선정년도

대표자

주소

주 참여자

2022년

이민수

충청남도 태안군 안면읍 붓드기길 10

성인 발달장애인

농업회사법인㈜태안드림의 활동 활동

꽃이 피었습니다

텃밭에 다 있다

다육, 국화, 남천, 수국 등

원예작물 키우기

쌈채소 등

발달장애인

태안교육지원청특수반, 서산장애인부모회, 태안장애인부모회, 기원발달장애인센터

기원발달장애인센터, 태안장애인부모회, 발달장애인센터

기원발달장애인센터

이메일

홈페이지

SNS

대표이사 정태희 010-2024-1487

페이스북 www.facebook.com/friendlyfarminhs 전화

jdufarm@naver.com

jdufarm.modoo.at

인스타그램 @friendly_farm_

있는 농촌 공간을 만들어가는 데 보탬이 되었으면 합니다. 농업회사법인㈜

친환경으로 허브와 채소를 재배하는 농장입니다. 마을의 할머니들과 함께 일하고, 함께 먹고, 함

께 즐기고 있습니다. 지역의 아이들도 찾아와 함께 자연을 누빕니다. 자연과 사람이 함께 살 수

선정년도 대표자 주소

주 참여자

2021년 정태희

농업회사법인㈜

정다운농장의 활동

대표 이숙길 010-2738-0335 farm0214@naver.com

SNS

페이스북 https://www.facebook.com/lsg0214

농업회사법인

연농사교육 및 텃밭작물을 재배하고, 연식품 가공훈련, 텃밭작물을 활용한 요리활동, 함께 살아 가기 위한 공동체 덕목을 배우고 익히며 날마다 놀 궁리를 합니다. 먹거리·놀거리·일자리 등을 이 웃과 나누는 활동을 합니다. 공주시 발달장애인주간활동센터, 대전·충남권 장애인부모회, 대전장 애인가족연대, 충남발달장애인지원센터, 유구읍지역사회보장협의체,공주여성농업인센터 등 농

업·복지·교육 분야의 다양한 기관과 교류·협력하고 있습니다.

선정년도

대표자

주소

주 참여자

2022년

이숙길

충청남도 공주시 유구읍 여드니1길 29-7

발달장애인 및 가족, 청소년, 귀농귀촌인

농업회사법인 샘여울(유)의 활동

활동 내용 참여자

농장에서

놀자! (돌봄·교육)

나를 찾는 시간여행 (교육,힐링)

작은여드니골 퀘렌시아 (교육·힐링)

연농사교육 및 텃밭활동, 연잎밥 만들기,

요리활동, 자연 속의 신체활동(숲 밧줄놀이)

다양한 농업활동(6차산업),

농촌생활에서 나는 어떤 사람인지 알아가기 (진로 탐색, 인간 관계), 공동체 덕목 함양 (나눔활동 등)

연 농사 및 텃밭작물 재배교육, 연과 텃밭작

물을 활용한 요리, 사회 생활(학교,직장)을 거 부하는 발달장애인 및 가족의 쉼터 제공 나눔활동 등

성인 발달장애인

공주시발달장애인 주간활동센터, 대전장애인가족연대 주간활동센터

학교생활이

어려운 청소년 공주생명과학 고등학교(상담실)

발달장애인 및 발달장애인 가족

충남발달장애인지원센터, 천안인애학교학부모회, 충남장애인부모회천안지회

알면 사랑

하게 되고!

(고용·교육· 돌봄)

먼저 정착한

귀촌선배

활용법 (교육)

발달장애인 청년과 비장애인 청년이 시기에 필요한 농장 일을 하면서 서로 알기,함께 살

아가는 법 알기

시기에 맞는 농사를 함께 하면서

농촌생활에 필수적인 기계 다루는 법,

지역문화에 대한 사전 지식,정보 교류, 정착을 위한 회의 장소 제공 등

성인 발달장애인 청년(비장애인)

귀농·귀촌인

지역사회 청년

발도르프교육예술원 아이라움

농촌주민생활 돌봄공동체

사회적협동조합 좋은이웃

사회적협동조합 꽃피우다

천안북면도란도란사회적협동조합

수신제가 협동조합

함께하는장곡 사회적협동조합

사회적협동조합 송악동네사람들

농촌주민생활돌봄공동체는?

 농촌 주민 등이 일상생활을 하는데 필요한 경제·사회 서

비스 전반을 자발적인 연대와 협력의 방식으로 제공하 는 활동입니다. 서비스는 고용·주거·교통·교육·보건의 료·복지·환경·문화·정보통신 등입니다.

사회적협동조합 좋은이웃의 출발은 마을 어르신의 고독사를 목격한 이후에 사회복지사, 요

양보호사의 작은 모임입니다. 어르신을 돌보고, 돌봄 사각지대에서 불행한 일이 생기는 것을

막자는 취지로 이정원 대표를 중심으로 모였고, 당진시 신활력플러스 사업으로 지역서비스

공동체 사업에 선정되면서 활동을 시작했습니다. 지금은 18개 리, 5명의 돌봄반장이 자신의

마을에서 활동합니다. 어르신에게 제일 필요한 것은 삶에 도움이 되는 물질·용품이 아니라, 누군가가 자신의 삶을 돌보고, 건강을 확인해주는 이웃이 함께 하는 것입니다.특히 건강이

점점 약해지는 어르신 집으로 돌봄 반장이 찾아오는 것을 너무도 반갑게 맞이하십니다. 집으 로 돌아가는 반장에게 감자 한 톨이라도 손에 쥐어주시는 모습을 볼 때면 뿌듯합니다. 앞으

로도 지속적인 활동으로 행복한 어르신을 돌보는

사회적 기능을 담당하려 합니다. 사회적협동조합

선정년도

대표자

주소

2023년

이정원

당진시

사회적협동조합 좋은이웃의 활동

활동 내용 참여자

항상

곁에 있어요 정기적 방문, 안부확인 및 대화하기

다함께 식사하세요

매월 주변 좋은 식당에서 함께 맛있는 식사 (거동이 불편하신 어르신은 간편식)

정미면 18개 리

마을 어르신, 장애인

마을 부녀회, 당진북부사회복지관

배터나루 식당, 옛날 맛 짜장면, 청춘 손 만두집 등 내 생애 봄날 어르신의 삶의 모습을 사진으로

이사장 이세종 010-2295-0946

jangsu0915@hanmail.net

네이버 밴드 https://band.us/band/87649870

사회적협동조합 꽃피우다의 활동

농업활동 치유프 로그램 허브, 원예 등

곰국나눔활동

정신장애인, 발달장애인, 돌봄 아동

좋은이웃정신재활시설, 음봉산동 복지관

천안북면도란도란사회적협동조합

누군가를 만나고 대화하고 필요를 살피는 관계는 아주 기본적인

삶의 모습이지만, 이런 기본적인 것조차 복원을 위해 힘을

들여야 하는 상황에서 저희의 돌봄 활동은 매우 의미가 있고

반향을 가져오는 일이라 생각됩니다. 일주일에 한 번 만남의 장을

마련하고, 단계별로 적절한 복지 서비스를 연계하려는 노력으로

저희 고장에 새 바람이 분다고 확신합니다. 함께할 사람이 하나둘

늘어나는 것을 보며 희망을 갖습니다.

전화

이메일 홈페이지

사무실 070-8113-2777

ggotzari2019@naver.com

dorandorancoop.modoo.at/

천안북면도란도란사회적협동조합은

2014년 천안시 북면 주민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지역 주민이 설립한 비영리 공익법인입니다.

지역주민이

기적으로 협력하는 체계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또한 천안시 중간지원조직의 도움을 받아 ‘마을돌 봄’을 위한 시범사업을 진행하고, 내외부 다양한 자원을 연결해 지역의 돌봄 시스템을 구축하고 주민역량을 키워가고자 합니다.

선정년도

대표자

주소

2021년

정선혜

충청남도

천안북면도란도란사회적협동조합의 활동

원예치료, 자기돌봄 주 1회 원예 복지사와 함께 원예치료 수업과 텃밭 활동 진행, 함께 음식을 준비하고 먹으며

도란도란노인복지센터, 도란도란노인요양 공동생활가정, 은지리, 용암리 힐링콘서트

신체적·정서적 건강에 도움 노인

전화 이메일

홈페이지 SNS

대표 박의경 010-7224-0654 susinco7@naver.com https://blog.naver.com/susinco7

인스타그램 @happy_silart

충남형 사회적 농업으로 시작한 사회적 농업 활동이 지역사회와 만났습니다. 수신제가 협동조합

은 지역에 더욱 보탬이 되고자 주민자치위원과 함께 협동조합을 설립해 농촌주민생활돌봄공동체 활동을 꾸려갑니다. 농업과 문화예술 활동을 통해 마을주민과 함께 활기찬 마을을 만들고자 합니 다. 수신제가 협동조합은 사회적 농업과 마을돌봄 활동을 기반으로 하는 서로 돌봄의 가치를 실 현해가고자 합니다. 서로 돌봄의 중요성을 함께 느끼며 마을 주민과 자원을 발견하고, 연결하고, 북돋습니다. 별난 장터와 전시회는 만남의 장입니다. 이런 다양한 자원을 통해 세대 간 소통이 잘

되는 건강한 마을을 꿈꾸고 있습니다.

선정년도

대표자

주소

2022년(충남형 2020년)

박의경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수신면 장산2길 33-6

수신제가 협동조합의

활동

마을돌봄

별빛농부

별난장터 & 별난전시회

마을의 어르신들과 다양한 문화예술 활동, 함께 모여 음식을 만들어 나누고, 거동이 불편한 어르신들을 위한 나눔활동

함께 심고, 가꾸고, 수확하고 포장해서 판매까지, 농업 활동을 배우며 일하기

수신제가협동조합의

수신면 마을 내 어르신(장산2리, 속창1리, 속창2리)

수신면주민자치회, 지역주민 및 문화예술

봉사팀

발달장애인 한빛인주간활동 제공기관

사무실 041-642-1907

hamkecare@gmail.com

cafe.naver.com/hamkecare

SNS

인스타그램 @hamkecare

역량 강화, 공공 공간의 재건, 지역 단체간 연

대협력을 목표로 공동체 돌봄 및 네트워크 활동을 기획하고 실행합니다.

선정년도

대표자

주소

2022년

조홍식

우리마을

돌봄반장

생활돌봄 119

건강한

밥상 나눔

마을별 돌봄반장이 해당 마을 어르신

생활돌봄 활동 및 사례관리

취약계층 반찬도시락 배달 및 안부 확인

가나다라마수리 돌봄반장 발굴 취약계층 주거 안전 지원 및 공공공간 개선

함께타는 장곡택시

장곡면 주민 취약계층

돌봄반장 추천

장곡면 이장협의회, 장곡면 새마을부녀회

장곡면 취약계층 장곡면 적십자봉사회

장곡면 취약계층

상수리덕션, 장곡전파사, 그린설비 등 장곡면 수리업체

장곡면 교통약자 이동지원 지역 개인택시

3년 전만 해도 농촌 돌봄활동은 말벗 정도였는데 지금은 다양한

활동을 합니다. 하고자 하는 욕구도 젊은이 못지 않으시네요.

마을 활동도 고령자만 참여하는게 아니라 60~70대도 좋아합니다.

그만큼 활동도 어르신의 눈높이와 욕구에 맞아야겠지요.

단발성에 그치지 않고 마을이 젊어지고 함께할 수 있도록 농촌

지역민과 협력·연계하는 네트워크의 힘인 것 같습니다. 지역

협력·연계를 통해 좀더 촘촘한 돌봄을 한다면 위기 어르신이나 힘겨워 하는 농촌 어르신 삶의 질이

좀 더 나아지지 않을까요.

전화

이메일

홈페이지

SNS

사무실 041-545-0535

songakpeople@naver.com www.songakpeople.com/

페이스북: www.facebook.com/songakpeople

인스타그램: @songakpeople

사회적협동조합 송악동네사람들은

송악마을은 아이에서 어르신까지 함께 행복한 마을의 꿈을 이어갑니다. 100세 시대에 누구나 요

양병원이 아닌 내가 살던 마을에서 평생을 함께 살아온 지인과 편안한 여생을 보내는 행복한 노 년의 삶을 꿈꿉니다. 노령인구가 가장 많은 농촌마을에 절실하게 필요한 것은 서로가 서로를 도

우며 주민들 스스로의 힘으로 자율적으로 만들어가는 함께 돌봄일 것입니다.

사회적협동조합 송악동네사람들은 지역 내 돌봄 활동가를 양성하고 농촌 공동체의 돌봄 서비스 를 확대해 사는 곳 가까이 함께 하는 따뜻한 마을돌봄 공동체를 만들어갑니다.

선정년도

대표자 주소

2024년 윤혜영 충청남도 아산시 송악면 역촌길 24 송악마을공간해유

찾아가는

어르신

인생학교

우리동네 119

- 위기어르신

통합돌봄

지원서비스

가장 행복한

오늘

마을 함께 돌봄

네트워크

사업

마을 함께 돌봄

생태계

구축 사업

마을회관으로 찾아가는

어르신 통합 돌봄 프로그램 운영,

심리·정서·인지·건강 통합 돌봄 프로그램

마음 만다라,인생 그림책,바디워크,몸 치유

위기어르신(우울증,치매,저장강박증,주거위기

등) 지역 연계 통합 돌봄 솔루션, 전문 심리상담 서비스, 긴급 영양돌봄 서비스,

긴급 주거안전/생활돌봄 서비스

인생 버킷리스트 생태 힐링 프로그램

송악면 4개 마을

어르신

심리정서· 긴급 지원이 필요한 어르신 및 장

애인(18회)

인생학교 어르신, 장애인

송악면주민자치회, 이장단협의회, 부녀회

온마을사람들, 협동조합고랑이랑, 목수이야기

지역 돌봄 연계협력 회의(4회),

돌봄세미나 및 공유회(2회)

지역 돌봄 연계 사업, 통합 돌봄 사례 회의

마을 공동체 돌봄 활동가 교육 및 학습회

지역 공동체 돌봄 선진지 견학 / 강의

다라미영농조합법인 (돌봄농장 연계)

돌봄 관련 지역 연계

기관 단체 및 개인 송악면주민자치회, 보건소,

마을돌봄 운영위원회

지역 돌봄

관심 주민 10여명

돌봄 활동가 20~25명

아산재가복지지원센터, 온마을사람들,

송악발전협의회 등

Turn static files into dynamic content formats.

Create a flipbook
Issuu converts static files into: digital portfolios, online yearbooks, online catalogs, digital photo albums and more. Sign up and create your flipbook.
2024년 대전충남권 농촌 돌봄서비스 활성화 지원사업 책자 by 협동조합 행복농장 - Issu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