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신문 THE MIJUCHOSUN E*NEWS









































































휴가와 방학의 시간, 8월이다.
강화도 옆 석모도는 수도권에서 쉽게 갈 수 있는, 섬 속의 섬이다.
바다와 산이 함께 있는 그곳에서는 한국
‘3대 낙조’와 ‘3대 관음성지’가 늦여름 여행 객을 부른다.
◇노을이 아름다운 낙가산과 석모도
관세음보살이 산다는 낙가산이라는 이 름 덕분일까.
인천광역시 강화군 석모도의 낙가산(해 발 267m)에서 바라보는 노을은 유난히 아 름답고 평화롭다.
한반도에서 가장 늦은 해넘이를 볼 수 있는 전남 진도 세방 낙조, 간조 때 신비의
바닷길이 열리는 충남 안면도 꽃지 해변 낙 조와 함께 전국 3대 낙조로 꼽힌다.
낙가산 아래 해안에는 생명의 보고인 갯 벌이 펼쳐져 있었다.
맨발로 디디면 발가락 사이로 올라오는 부드럽고 차가운 펄의 감촉이 금방 피로를 풀어줄 듯싶다.
갯벌보다 훨씬 더 넓은 논에는 새파란 벼가 익고 있었다.
반듯반듯하게 경지 정리가 된 논들은 작 은 섬 속의 농경지라고는 믿기 어려울 정 도로 큰 평야를 이루고 있었다.

조선 숙종 때부터 활발했던 이곳 간척 의 산물이다. 강화의 간척 역사는 고려 시대 대몽 항 쟁기로 거슬러 올라간다.
임시 수도가 된 강화도에서 불어난 인구 가 먹고 살기 위해 고안한 방책이 섬과 섬
사이를 흙으로 메워 농경지를 확보하는 간 척이었다. 현재의 석모도는 이전의 송가도, 어유정 도, 매음도 등을 옛 석모도와 연결한 결과 이다. 청정 지역에서 자란 강화 쌀은 밥맛이 좋아 비싼 값에 팔린다.
석모도는 10년 전만 해도 연인들의 단골 데이트 무대였다. 수도권에서 가까운 데다, 강화도 외포항 에서 배로 5∼10분이면 닿을 수 있었기 때 문에 기상 조건에 크게 구애받지 않고 떠 날 수 있는 낭만의 섬 여행지였다. 선상에서 보내는 짧은 시간 동안 새우 깡을 갈매기들에게 던져주며 즐거워하는 관광객들의 모습은 지금도 기억되는 풍경 이다. 2017년 석모대교가 건설된 뒤로 이런 재 미는 사라졌지만, 석모도 가는 길은 더 쉬 워졌다.
차를 타고 강화대교나 초지대교를 통해 강화도에 도착해서 40여분 더 가면 석모 도에 닿는다. 강화도의 ‘어머니


석모도의 중심에 낙가산이 자리
잡고 있다.
낙가산 서쪽 봉우리가 상봉산 (316m), 동쪽 봉우리가 해명산 (327m)이다.
세 봉우리는 각기 다른 산 이름 으로 불리지만 하나의 산채를 이
루고 있다.
상봉산, 낙가산, 해명산을 잇는 능선은 산객들이 즐겨 찾는 등산
코스이다.
바다 풍광을 즐기며 산행할 기
회가 많지 않은데 이곳에서는 걷는
내내 파노라마처럼 펼쳐진 바다를
조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봉산 쪽의 한가라지 고개, 해
명산 쪽의 전득이 고개에서 출발할
수 있는 이 코스의 거리는 5㎞ 정
도 된다.
수도권 시민들의 인기 방문지인
석모도 자연휴양림에서도 이 능선
으로 올라갈 수 있다.
휴양림에서는 상봉산으로도, 낙
가산으로도 산행할 수 있다.
◇3대 관음 성지, 보문사
불교에서는 ‘나무 관세음보살’ 혹
은 ‘관세음보살’이라고 정성스럽게
읊조리기만 해도 소원이 이루어진
다고 한다.
정말일까? ‘나무’는 ‘귀의하다’는
뜻이다.
‘나무 관세음보살’이라고 독송하
는 것은 ‘관세음보살에게 귀의하겠
으니 자비를 베풀어달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관세음보살은 큰 자비심으로 중
생을 구제하고 제도하는 보살이다.
그의 거처가 낙가산이다.
진정한 귀의는 자기의 정화를 전
제로 할 때 가능하지 않을까.
간절한 기도가 소원을 이루게 한
다는 비밀을 푸는 열쇠는 여기에
있을 듯하다.
자신을 비우고, 착하고 올바르게
살겠다고 다짐한 상태가 마음의 평
화, 소원 성취의 경지와 멀지 않을
듯싶다.
관세음보살을 굳게 믿는 신앙을 관음신앙이라고 한다.
지혜의 상징인 문수보살, 지옥의
중생까지 구제한다는 지장보살, 덕
행의 보현보살 등 여러 보살 중에
서 중생의 고통을 들어주고 어루
만져 주는 관세음보살에게 의지하
는 관음신앙이 한국에는 널리 퍼
져 있다.
관세음보살은 한국에서 가장 인

당시의 석가모니 모습으로 조각된 와불.
기 있는 보살인 셈이다.
보살은 위로 진리를 구하고, 아 래로 중생을 구하는 불교의 수행자
이자 성인이다.
관음신앙이 특히 강한 곳이 석모
도의 유일 사찰인 보문사이다.
보문사는 양양 낙산사 홍련암, 남해 보리암과 함께 3대 관음 성 지로 통한다.
해안에 자리 잡은 세 성지는 거 친 바다와 함께 살아야 하는 어부 와 그 가족의 안녕을 기원하려는 데서 비롯된 것으로 풀이된다.
◇눈썹바위 마애관세음보살좌상
과 석굴사원 보문사 마당에서 올려다보면 가 파른 절벽 중간에 튀어나온 커다란 바위가 시선을 사로잡는다.
눈썹바위라 명명된 특이한 암벽 이다.
418개의 계단을 올라가면 이 암 벽에 새겨진 관세음보살상을 만날 수 있다.
중생의 온갖 고통 소리를 듣는 다는 관음보살은 아득한 서해를 지 그시 응시하고 있었다.
멋진 석양을 감상할 수 있는 장 소인 낙가산 중에서도 눈썹바위는 낙조 조망 지점으로 유명하다.
붉은 석양빛이 마애석불을 비출
때면 눈썹바위는 잠시나마 번뇌와
근심이 사라진 극락정토와 다를 바 없는 곳이 된다.
이 석불의 조각 연대는 약 100년
전인 1928년이다.
보문사가 관음 성지임을 나타
내기 위해 당시 주지 스님이 금강
산 표훈사 주지와 함께 직접 정으 로 쪼아 관음보살상을 조각했다고 전한다.
마애불은 높이 920cm, 너비 330cm에 달한다. 이곳에서 정성껏 기도하면 소원이 이루어진다는 믿 음으로 인해, 신도와 탐방객의 발 길은 끊이지 않고 있다.

석굴 사원인 나한전도 보문사를
특별한 절집으로 만든다.
한국의 석굴 사원으로는 이곳
나한전과 함께 경주 석굴암, 설악 산 계조암, 경북 군위의 삼존석굴
정도가 꼽힌다.
전하는 설화에 따르면 나한전 의 유래는 보문사 창건 시기로 올 라간다.
보문사는 신라 선덕 여왕 때인 635년 창건됐다.
창건 후 얼마 지나지 않은 649년
어부들이 고기잡이하다 그물로 건
져 올린 석불상들을 안치한 곳이
이 석굴이다.
석불들은 나한의 얼굴을 하고 있 었다.
나한은 공부를 별로 하지 않았 거나 지위가 높지 않은, 평범한 사 람 중에서 깨달음을 얻은 성자를 일컫는다.
◇노거수와 큰 맷돌
보문사는 국보급 문화재가 즐비
한 거대 사찰은 아니지만 천년 고
찰답게 불자와 관광객의 발길을 붙
잡는 흥미로운 전각과 유물이 적지
않다.
와불전은 천인대라는 큰 바위 위
에 지어진 전각이다.
이 바위는 길이 40m, 폭 5m에
이르러 1천여명이 한꺼번에 앉을
수 있었다고 한다.
열반 당시의 석가모니 모습으로
조각된 와불은 전체 길이가 13m에
이른다.
와불전 옆에는 ‘평범한 성자’ ‘무
학의 법신’으로 일컬어지는 오백 나
한상이 조각돼 있다.
석굴 사원 앞에는 수령 700년
의 향나무가 큰 바위틈에서 자라 고 있었다.
용트림하듯 줄기가 휘돌아간 이
노거수는 높이 20m 정도이다.
한국 전쟁 때 죽은 듯 보였으나
3년 후에 되살아났다고 한다.
수령 600년의 은행나무, 수령
300년의 느티나무 등 노목들은 자
연 유산, 보호수 등으로 지정돼 있 다. 인천광역시 민속자료 제1호로
를 ‘변방의 진주’라 불러도 지나치 지 않을 듯하다.



롯데플라자 마켓본사 승원
-그래픽디자이너
풀타임(월-금:
메릴랜드
구인
롯데플라자 마켓 본사 승원유통 함께 일하실 분
* 사무직원 (서류관리 인보이스 등 ) 주 32- 48시간 (주 5일 근무 가능)
* 현장 관리자 직원


결정 Max7576@hotmail.com 구인
서비스 가능
최가가격으로 모십니다 미국 어느 지역이든 OK 240.796.0093








Office Staffs(full time)
Korean/English(bilingual) Benefits & Paid Holiday 571-562-7136 703-649-4271 mcho@careadvantageinc.com

구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