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MijuChosun_091925

Page 1


전자신문 THE MIJUCHOSUN E*NEWS

노인복지센터 홈케어 데이케어 703.354.6767

“살 확 빼도 안

되겠네”

65세 넘으면 인지 기능에 영향

65세가 넘어서 체중 변동 폭이 클수록 인지 기능 저하가 빨라진다는 연구 결과 가 나왔다.

펜실베이니아 주립대 연구팀은 2011년 부터 2021년까지 진행된 ‘전국 노인 건강

및 노화 추세 연구’에 참가한 65세 이상 노 인 4304명을 대상으로 체중 변화와 인지

기능의 연관성을 알아보는 연구를 진행했

다. 연구팀은 참가자들울 체중 변동 폭에

따라 세 그룹으로 나눈 뒤, 인지 기능을 비 교·분석했다.

연구 결과, 체중이 해마다 많이 변동할

수록 인지 기능 저하 속도가 빨라졌다. 체

중 변동이 거의 없는 사람은 인지 저하 속

도가 가장 느린 반면 변동이 큰 사람은

2~4배 더 빠른 인지 저하를 보였다. 이는

체중뿐 아니라 허리둘레, 체질량지수 변

동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났다. 체중의 5%

이상 감소 또는 체중이 5% 이상 늘었다

줄었다 반복하는 체중 사이클링 모두 인

지 저하 속도를 빠르게 하는 것으로 나

타났다.

반면 체중이 늘어난 고령자는 체중이 안

정적으로 유지된 사람과 비슷한 수준의 인

지 저하를 보였다. 하지만 이러한 결과가 고령자에게 체중

증가가 바람직하다는 의미는 아니며, 체중

을 가능한 한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것이

노년 건강에 가장 좋다고 연구팀은 강조

했다.

연구팀은 “노년기에 갑작스럽게 몸무게

가 줄면 기저 질환이나 건강 악화의 신호 일 수 있다”며 “고령자들은 집에서 일관된

‘이

시각’에 잠들면 혈당 최적화에 도움

당뇨 환자는 혈당 관리를 위해 건강한 생활습관을

유지해야 한다. 특히 규칙적인 운동과 식사만큼 양질

의 숙면을 취하는 것도 중요하다. 혈당과 수면의 연관

성에 대해 알아본다.

◇수면 부족, 혈당과 식욕 상승시켜

잠을 제대로 자지 못하면 혈당은 올라간다. 스트레

스 호르몬인 코르티솔 분비가 증가해 호르몬 교란으

로 인슐린 저항성이 커지기 때문이다. 인슐린 저항성

이 커지면 체내 세포가 인슐린 호르몬을 인지하지 못

해 혈당이 높은 채로 유지된다. 가천대길병원 내분비

대사내과 이기영 교수는 “밤에 제대로 자야 체내 호

르몬 분비가 균형 있게 이뤄져 혈당을 안정적으로 유

지할 수 있다”고 말했다. 게다가 스트레스 수치가 올

라가면 식욕이 커져 고열량, 고혈당 식품을 갈망하게

된다. 실제로 스웨덴 남성 2663명을 대상으로 12년간

장기 추적한 연구 결과에서 수면 부족과 과다가 당뇨

병 발병 위험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루 7~8시간 숙면 취해야

당뇨병 환자 적정 수면 시간은 7시간이다. 미국 시

카고대 수면장애센터 연구에 따르면, 하루 수면 시간

이 5시간 이하이거나 8시간 이상인 사람은 하루 7~8

시간 자는 사람보다 장기간 혈당 수치를 나타내는 당

화혈색소 수치가 유의미하게 높았다. 숙면을 취할 때

나오는 뇌파의 결합이 다음 날 아침 혈당 조절 능력

향상과 관련이 있다는 미국 캘리포니아 수면 과학 센

터 연구 결과도 있다.

특히 밤 12시 이전에 잠을 청하는 게 좋다. 이기영

교수는 “밤 10시부터 새벽 2시 사이에 멜라토닌 분비

가 가장 활발한 시간대다”며 “이때 잠들어 있어야 뇌

와 몸이 깊은 서파수면으로 진입하기 쉽다”고 말했다.

깊은 잠을 자는 ‘서파 수면’을 취하면 체내 당과 지방

이 사용돼 몸의 피로가 해소되고 인슐린 민감성도 완

화돼 정상 혈당 유지에 도움이 된다.

숙면을 취하려면 ▲매일 규칙적으로 기상하고 ▲

잠들기 최소 두 시간 전에는 금식하고 ▲침실은 조용

하고 어두운 분위기를 유지하는 게 좋다. 만약 이런

노력으로도 제대로 충분히 자는 게 어렵다면 신경과·

정신건강의학과 등의 진료를 받는 걸 권장한다.

출·퇴근 시간이 길수록 식단의 질이 떨어진다는 연 구 결과가 나왔다. 중국 하얼빈 동북농대 지웨이 마 교수팀은 장시간 통근이 식단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2004 년부터 2011년까지 진행된 중국가구영양·건강조사 (CHNS)를 통해 3만 여명의 데이터를 분석했다. 그 결과, 통근 시간이 길어질수록 전반적인 식단의 질이 떨어졌다. 특히 생선 등 해산물·채소·달걀·우유· 견과류 섭취가 감소했다. 이런 영향은 연령이 증가할 수록 더 분명하게 나타났고, 가정 내 자녀에게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 통근 시간이 36분 미만일 때는 식 단의 질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런 결과가 나온 이유로 연구팀은 도로에서 오랜 시간 있다보니, 식사를 건너뛰거나 외식하는 경향이

많기 때문으로 분석했다.

연구팀은 "식생활은 건강과 직결되는 문제"라며 "

정부는 도시 교통망을 개선해 30분 이내에 통근이 가능하도록 해야 한다"고 했다. 이어 "통근 시간이 긴

근로자는 영양가 높은 식사를 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

다"고 했다.

중국 연구이지만, 우리나라 문제와도 일맥상통한

다. 연구팀은 연구 배경에 주당 6시간 이상 통근하면 신체·정신 건강이 저하되는 것으로 밝혀졌는데, 베이 징 평균 하루 통근 시간(왕복)이 80분(1시간 20분)으 로 매우 길다는 점에 주목했다. 지난해 통계청이 발

표한 우리나라 직장인 평균 통근 시간도 약 74분(1시 간 14분)으로 베이징 못지 않다. 전국에서 가장 긴 수

도권은 통근 시간이 무려 82분(1시간 22분)으로 베이

징보다 더 길다.

간단하게 식단의 질을 높이는 방법을 소개한다. 밥

은 쌀 대신 현미나 흑미 등으로 짓는다. 반찬으로 생 선·고기·콩류 등 단백질군을 반드시 하나씩 포함하 고, 재료는 최대한 다양한 색을 담은 것으로 산다. 예를 들면 주황색 파프리카, 빨간색 고추 등을 사 는 식이다. 빨갛고 노란 채소에 항산화 성분인 안토 시아닌, 라이코펜, 카로티노이드 등이 풍부하기

Turn static files into dynamic content formats.

Create a flipbook
Issuu converts static files into: digital portfolios, online yearbooks, online catalogs, digital photo albums and more. Sign up and create your flip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