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03.26] 천일염세계명품화를 위한 세미나

Page 1

천일염 세계화 포럼

1



행사일정 개회식 ∙ 국민의례 / 개회사 / 축사

토론회 ○

발 제 ∙ 제1주제발표 - Benjamin Joinau 아리랑TV ‘벤자민과 함께 하는 맛있는 여행’ 진행자 - Delphine Marie-Vivien 프랑스 농업연구센터 연구원 ∙ 제2주제발표 - 우에다 히데오(上田 秀夫) (주)청수식품 회장 / 키파워(주) 대표이사 (일본) ∙ 제3주제발표 - 김인철 목포대학교 천일염 사업화단장

토 론 ∙ 토론자 (가나다순) - 고서임 신안군 천일염 생산자연합회 회장 - 김병조 동국대 푸드시스템연구소 연구위원 - 김진곤 농수산물유통공사 수산임산수출팀장 - 김종실 농림수산식품부 식품산업진흥과 팀장 - 박태균 중앙일보 식품의약전문기자 - 조건식 (주)바이오테크 대표이사 - 최병옥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연구원

질의 및 응답 마치는 말씀 / 폐회



목 인사말

축 사

발 제

차 김학용 국회의원

01

장태평 농림수산식품부 장관

03

김형오 국회의장

05

정몽준 한나라당 대표 최고위원

06

정세균 민주당 대표 최고위원

07

제 1 주제발표

09

- Benjamin Joinau 아리랑TV ‘벤자민과 함께 하는 맛있는 여행’ 진행자 - Delphine Marie-Vivien 프랑스 농업연구센터 연구원 제 2 주제발표

27

- 우에다 히데오(上田 秀夫) (주)청수식품 회장 제 3 주제발표

55

- 김인철 목포대학교 천일염 사업화단장

토 론

고서임 신안군 천일염 생산자연합회 회장

73

김병조 동국대 푸드시스템연구소 연구위원

79

김진곤 농수산물유통공사 수산임산수출팀장

89

김종실 농림수산식품부 식품산업진흥과 팀장

97

박태균 중앙일보 식품의약전문기자

105

조건식 (주)바이오테크 대표이사

111

최병옥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연구원

119

천일염 세계화 포럼 조직도 및 향후활동계획

127



인사말 국회의원

김 학 용 (한나라당 · 경기 안성시)

안녕하십니까? 「천일염 세계화 포럼」 공동대표 국회의원 김학용입니다. 바쁘신 와중에도 ‘천일염 세계명품화를 위한 세미나 및 전 시회’에 참석해 주신 내외 귀빈 및 관계자 여러분께 깊은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우리나라 천일염은 ▶ 주산지가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 으로 지정된 청정지역이라는 점 ▶ 갯벌에서 생산되는 갯 벌 천일염으로 외국산에 비해 비만 등의 원인이 되는 염 화나트륨 함량은 20% 가량 적은 반면 칼륨 등 몸에 좋은 각종 미네랄 함량은 약 3배 이상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우리나라 천일염은 그 맛 또한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짠맛만 나는 것이 아니라 짠맛 안에 단맛이 깃들어 있어 음식의 풍미를 더 해 줍니다. 일례로 외국산 천일염으로 김장을 하면 김치가 물러지고 쓴 맛이 나는 반면 우리나라 천일염은 김치의 아삭아삭한 맛을 살려냅니다. 그러나 현재 세계 최고의 소금으로 평가받는 것은 프랑스 게랑드 천일염이며 우리나라에 서 조차 게랑드 천일염이 우리나라 천일염보다 약50배 이상 비싼 가격에 판매되고 있습 니다. 이렇듯 우리나라 천일염이 그 우수성에도 불구하고 저평가된 가장 큰 이유는 1963년 염 관리법 제정 이후 45년간 법적으로 식품이 아닌 광물로 분류되어 왔기 때문입니다. 뒤늦 게나마 2008년 3월 천일염이 광물에서 식품으로 전환되었고 2009년 3월 천일염의 관 리업무가 지식경제부에서 농림수산식품부로 이관되어 천일염이 고부가가치 식품산업으로 서 발전할 수 있는 토대가 마련되었습니다. 이에 우리나라 천일염을 세계적인 명품으로 육성하는데 뜻을 같이 하는 국회의원, 정부 및 지자체 담당자, 생산·유통·가공·식품업계 종사자, 관련업계 전문가들이 지난 2월 18일 「천일염 세계화 포럼」을 결성하였습니다.

천일염 세계화 포럼

1


「천일염 세계화 포럼」은 우리나라 천일염의 현주소를 살펴보고 우리나라 천일염이 세계 명품으로 발전하기 위해서 부족한 점이 무엇이며 어떤 준비와 노력이 필요한가를 알아보 기 위한 첫 번째 발걸음으로 ‘천일염 세계명품화를 위한 세미나 및 대한민국 천일염 전 시회’를 개최하게 되었습니다. 이번 세미나와 전시회에서 각계를 대표하는 전문가들의 고견과 참석자 분들의 활발한 의 견교환을 통해 우리나라 천일염을 대한민국의 새로운 세계1등 품목으로 육성할 수 있는 지혜가 모아지기를 기대합니다. 향후 「천일염 세계화 포럼」은 분과위원회 활동을 중심으로 천일염의 영문표기에서부터 시작하여 법·제도의 정비, 생산환경 및 유통구조 개선, 이력관리제 도입, 마케팅 강화, 수출활성화, 한식세계화 및 관광산업과의 연계 등 천일염의 세계명품화를 위한 세부적인 정책대안을 마련해 나갈 계획입니다. 다시 한 번 「천일염 세계화 포럼」의 취지를 지지해 주시고 포럼에 가입해 주신 회원 여 러분께 감사를 드리며 앞으로도 적극적인 참여와 활동을 부탁드립니다. 아울러 ‘천일염 세계명품화를 위한 세미나 및 대한민국 천일염 전시회’ 개최에 도움과 후 원을 주신 농림수산식품부, 전라남도, 신안군, 영광군, 농수산물유통공사 등 관계자 여러 분과 참석해 주신 한분 한분께 감사의 마음을 전하며 각 가정에 건강과 행운이 가득하시 기를 기원합니다. 감사합니다.

2010년 3월 26일

2

천일염 세계명품화를 위한 세미나


인사말 농림수산식품부 장관

장태평

안녕하십니까? 농림수산식품부 장관입니다. 오늘 천일염 세계 명품화를 위한 세미나를 위하여 바쁘신 가운데에도 참석하여 주신 농림수산식품위원회 이낙연 위 원장님과 김학용의원님, 허영만 화백님, 그리고 토론 및 발 제자와 그 밖의 참가자 여러분께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오늘 세미나는 지난 2월 18일 창립총회를 개최한 천일염 세계화 포럼의 첫 공식 활동으로 프랑스, 일본인이 바라본 우리나라 천일염의 현주소를 조명하고 우리나라 천일염이 세계적인 명품소금으로 거듭나기 위해 무엇이 부족하고 필요한지 되돌아보는 매우 의미 있는 자리라고 생각됩니다. 존경하는 내외 귀빈 여러분! 잘 아시다시피 우리나라 천일염은 세계 5대 갯벌에서 생산되는 희귀한 자원으로 갯벌이 보유한 각종 미네랄 성분을 그대로 보유하고 있어 고혈압과 비만의 원인이 되는염화나트 륨 함량이 외국산에 비해 20% 가량 낮은 반면에, 칼륨 등 몸에 좋은 미네랄 함량이 3배 이상 많아 갯벌자원의 희소성과 기능적으로 우수 한 성분을 마켓팅으로 잘 활용할 경우 국산 천일염의 세계 명품화가 가져올 경제효과는 매우 커 향후 Blue ocean 분야로 발전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세계 갯벌 천일염 생산량(44만톤)의 4%를 차지(1.9만톤)하고 있는 프랑스 소금 이 세계 명품으로 인정받고 있는 현실은 철저한 준비와 창조적인 변화 없이는 우리나라 천일염이 세계 명품으로 발돋움하기 어렵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프랑스 소금은 생산자, 학계, 연구계의 헌신적인 노력과 정부의 지원으로 세계 명품반열 에 설수 있었다고 합니다. 1939년 2차 세계대전과 1999년 대서양 유조선 침몰사건 등으로 2차례의 위기가 있었으 나 염전을 지켜내기 위해 생산자와 학계가 일심 단결하여 품질개선과 후계자 양성, 염전 의 생태학적 연구 등을 추진하여 오늘의 프랑스 소금을 있게 하였다고 합니다.

천일염 세계화 포럼

3


이러한 외국사례를 벤치마킹하여 우리나라 천일염이 국제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천일염 생산시설 개선 및 시설의 표준화와 규격화, 염전의 관광자원화 등의 H/W와 생산자조직의 육성, 가공기술 개발을 통한 고부가가치 제품 개발, 포장재 및 유통구조 개선, 우수성 홍보를 통한 마켓팅 전략수립과 이를 뒷받침 할 제도개선 등의 S/W를 동 시에 추진하여야 시너지 효과가 창출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존경하는 내외 귀빈 여러분! 올해 7월부터는 소금의 품질검사와 원산지단속이 실시되며, 이력추적제도가 하반기에 시 범적으로 운영이 되어 국내산 소금이 제 값을 받을 수 있도록 유통구조를 시급히 개선해 나갈 계획입니다. 또한 천일염의 우수성을 국내 뿐만 아니라 해외에도 적극 알려 국산 천일염을 세계의 우 수한 명품소금으로 거듭날 수 있도록 홍보 마켓팅 분야에도 함께 힘을 쏟겠습니다. 그리고 품질고급화와 해외시장의 눈높이를 맞추는 기능성 소금개발 지원확대를 통해 천 일염 수출도 확대해 나가는 한편, 생산자 단체가 조직화, 규모화가 될 수 있도록 노력을 하겠습니다. 오늘 세미나가 우리 천일염이 지난 45년간 광물로 분류된 잃어버린 45년을 조속히 회복 하고 ‘백색황금’으로 우뚝 솟는 단초를 제공하기를 기대하면서, 여러분들께서 주신 고견은 국회와 협의하여 하나도 빠짐없이 정책에 반영될 수 있도록 추진하겠으며 오늘의 세미나와 같이 소금생산자와 업계의 의견을 충분히 수렴할 수 있는 자리를 많이 만들어 나가겠습니다. 끝으로 어제부터 개최하고 있는 천일염 전시회 참가를 위해 지방에서 올라오신 천일염 생산자 및 제조 ․ 가공업체 대표님과 관계관 여러분의 노고에 치하를 드리며 참석하신 모 든 분들의 가정에 건강과 화목이 충만 하시길 기원합니다. 감사합니다.

2010년 3월 26일 농림수산식품부 장관 장 태 평

4

천일염 세계명품화를 위한 세미나


축사 국회의장

김형오

대한민국 명품소금, 천일염의 세계화를 모색하는 “천일염 세계 명품화를 위한 세미나”가 국회에서 열리게 된 것을 진심으로 축하합니다. 뜻 깊은 자리를 마련해주신 ‘천일염 세계화 포럼’ 공동대표 김학용 의원님과 장태평 농림수산식품부 장관님을 비롯한 관계자 여러분께도 깊은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바다에서 태어난 순백 입자, 천일염은 공기, 물과 함께 인간 생활에 없어서는 안 될 필수물질입니다. 미네랄 결핍과 고혈 압, 당뇨 등의 예방에 도움을 주는 식품으로 세계적으로도 주목받고 있습니다. 특히, 세계적인 소금 명산지 프랑스 게 랑드 지방은 천일염을 찾는 관광객들이 사시사철 넘쳐나는 관광명소로 각광받고 있습니다. 우리의 천일염은 외국산에 비해 고혈압과 비만의 원인이 되는 염화나트륨 함량은 적고, 몸 에 필요한 칼륨, 칼슘, 마그네슘 등 각종 미네랄 함량이 3배 이상 많다고 합니다. 웰빙 열 풍과 슬로 푸드, 자연식에 대한 관심이 높아가는 시대적 추세를 고려했을 때 충분히 세계인 의 식탁을 장악할 수 있는 우수한 상품입니다. 하지만, 불과 2년 전만 해도 우리의 천일염 은 ‘광물’로 규정되어 제대로 평가받지 못했습니다. 가공공장이나 식품업체에서 사용될 수 없어 산업적·경제적으로도 성장을 이루지 못했습니다. 이제 뛰어난 성분과 친환경 요소가 빚어낸 우리 천일염이 그 진가를 인정받지 못한 무관심의 허 물을 벗고 세계적인 명품으로 거듭나기 위한 본격적인 신호탄을 올렸습니다. 지난 2월 출범한 ‘천일염 세계화 포럼’은 우리 천일염의 세계화, 명품화를 향한 든든한 디딤돌이 될 것입니다. 그 리고 첫 공식활동으로 우리나라 천일염의 현주소를 살펴보는 세미나 및 전시회를 마련했습니다. 갈 길은 멉니다. 관련 법·제도의 개선은 물론, 취약한 생산기반시설의 현대화, 안정적 수 급관리, 품질의 규격화와 과학화, 브랜드개발과 특화된 마케팅전략 등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해야 합니다. 오늘 세미나를 계기로 우리 천일염이 세계로 뻗어나갈 수 있도록 다양한 발전방안이 논의되어 대한민국이 청정 천일염의 본류, ‘소금 관광’의 메카로 우뚝 서기를 기대합니다. 참석하신 모든 분들의 건승을 기원합니다. 감사합니다.

2010년 3월 26일 국회의장 김 형 오 천일염 세계화 포럼

5


축사 한나라당 대표 최고위원

정몽준

안녕하십니까, 한나라당 대표 최고위원 정몽준입니다. 한식의 세계화가 화두인 가운데, 전통한식의 근간인 국산 천일염을 세계적인 명품으로 만들기 위한 세미나가 열려 기쁘게 생각합니다. 뜻 깊은 자리를 마련하신 ‘천일염 세 계화 포럼’ 공동대표 김학용 의원님과 농림수산식품부 장 태평 장관님께 감사의 말씀을 전합니다. 우리나라 천일염은 세계 최고의 소금으로 평가받는 프랑 스 게랑드 천일염보다도 품질이 우수합니다. 염화나트륨의 함량은 낮은 반면 몸에 좋은 칼륨과 마그네슘의 함량은 약 3배나 높다고 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가격은 50분의 1 정도 밖에 되지 않는다고 하니 명품을 명품으로 알아보지 못하고 무관심 속에 방치해 왔기 때문으로 보입니다. 이제 한식의 세계화에 발맞춰 세계 제일의 우수한 품질을 자랑하는 우리 천일염도 당당 한 명품 소금으로 세계 시장에 내놓을 수 있어야 합니다. 다소 늦은 감은 있지만 우리 정치권이 앞장서서 ‘천일염 세계화 포럼’을 발족해 이처럼 소중한 세미나를 개최하신 것 을 참으로 다행스럽게 생각합니다. 모쪼록 오늘 세미나와 전시회를 통해 국산 천일염의 세계화와 명품화가 앞당겨지기를 기 대합니다. 참석하신 모든 분들의 건강과 행복을 기원합니다. 감사합니다.

2010년 3월 26일 한나라당 대표 최고위원 정 몽 준

6

천일염 세계명품화를 위한 세미나


축사 민주당 대표 최고위원

정세균

안녕하세요. 서민과 중산층의 정당, 민주당 대표 최고위원 정세균입니다. ‘천일염 세계화 포럼’이 주최하는 ‘천일염 세계명품화를 위 한 세미나’ 개최를 진심으로 축하합니다. 더불어 이런 뜻 깊은 세미나를 마련해주신 천일염 세계화 포럼 공동대표 김학용 의원님과 장대평 농식품장관님께 깊은 감사의 말 씀을 드립니다. 소금은 인간이 살아가는데 중요한 요소로 공기, 물 등과 같 은 필수 물질입니다. 인간의 혈액 속의 염분농도는 0.9% 로, 이를 유지해야만 체력 증가, 항상성 유지 등의 기능이 제대로 유지됩니다. 요즘은 고 혈압 등의 이유로 소금 섭취의 기피 현상이 나타나고 있지만, 이는 각종 미네랄과 무기 질 등이 풍부한 자연염이 아닌 오로지 짠 맛만을 강조하는 인공 화학염 섭취로 인해 발 생하는 문제점입니다. 이러한 자연염 가운데 대한민국의 천일염은 단연 으뜸으로 손꼽힌다고 할 수 있습니다. 대한민국의 천일염은 각종 미네랄과 무기질 등의 보고인 갯벌에서 생산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천일염은 이제껏 법적으로 ‘광물’로만 취급돼, 천일염에 대한 가치와 우수성을 제 대로 인정받지 못해 왔습니다. 최근에 와서야 ‘식품’이라는 공인 인증을 받게 되면서 주 목받기 시작한 것입니다. 늦은 감이 없지 않지만 전 세계적으로 커다란 경쟁력을 가지고 있는 천일염을 세계적 명 품으로 성장시키는 전략이 필요합니다. 오늘 이 자리는 천일염의 세계명품화를 위해 국 회가 정부 ․ 지자체 및 각계각층의 전문가들과 함께 고민하여 법과 제도를 정비하기 위한 장입니다. 부디 성공적인 세미나를 통해 우리의 천일염이 전 세계적으로 인정받기를 기 원합니다. 끝으로 이처럼 소중한 자리를 마련해 주신 ‘천일염 세계화 포럼’ 공동대표님들 을 비롯한 관계자 여러분께 다시 한 번 깊은 감사의 뜻을 전합니다. 감사합니다.

2010년 3월 26일 민주당 대표 정 세 균 천일염 세계화 포럼

7



제1주제발표

발․제․문 Researcher in Korean Studies, Anthropology Benjamin JOINAU Researcher in Law Delphine MARIE-VIVIEN

천일염 세계화 포럼

9



Profile Benjamin Joinau 경력 Researcher in Korean Studies, Anthropology EHESS, France (프랑스 사회과학교육 연구원)

Arirang TV “Tasty Trail with Benjamin” MC

Profile Delphine Marie-Vivien 경력 Researcher in Law, specialised in Origin Products CIRAD, France (프랑스 농업연구센터 연구원)


12

천일염 세계명품화를 위한 세미나


천일염 세계화 포럼

13


14

천일염 세계명품화를 위한 세미나


천일염 세계화 포럼

15


16

천일염 세계명품화를 위한 세미나


천일염 세계화 포럼

17


18

천일염 세계명품화를 위한 세미나


천일염 세계화 포럼

19


20

천일염 세계명품화를 위한 세미나


천일염 세계화 포럼

21


Marshes sea salt from Guérande: A modelling tool for the Korean sea salt? Plan

1. Presentation of the sea salt from Guérande: its specificity A. Environment: the salt marshes of Guérande, a unique ecosystem B. “Deep History” : from Romans to present C. Practices and specific know-how shared by the salt workers: technique of tides, three types of settling ponds, daily harvest, seasonality, absence of mechanization D. Sharing: collective action of the salt workers, heads of small scale companies, through the cooperative E. Geography + geology + a profession (requirements of a know-how, a tradition and a passion) = marshes sea salt from Guérande

2. Recognition in several stages: A. Gastronomic recognition by famous chefs B. Labelling C. Distribution system in hypermarkets D. Diversification of products (perfumed salts, herbs, etc.)

3. Effort of labelling within the French and EU systems A. Labelling of the ecosystem ∙ Label “Landscape (Paysage)” for the salt marshes of the peninsulaof Guérandesince1992 ∙ Zone of Special Ecological Interest ZNIEFF since 1991 ∙ Bird Protection Area ZICO according to the European directive on

22

천일염 세계명품화를 위한 세미나


“birds” since 1979 ∙ Recognized by the Ramsar Convention on the wet zones since 1995 ∙ “Natura 2000”, Europeannetwork B. Labelling “superior quality” of the product and the mode of production ∙ “Red Label” since 1991 for table (fine/ground) salt and cooking (coarse) salt: granted to superior-quality foodstuffs. Controls by independent certifying bodies approved by the Ministry of agriculture. Controls on the

quantity

of

magnesium

and

other

minerals,

and

on

the

organoleptic (taste, appearance, smell, etc.) quality. ∙ “Nature and Progress” label since 1989, guarantees an “organic” agriculture ∙ “Remarkable Sites of the Taste”, a label recognizing the ecosystem and superior quality of the product valorised trough the welcoming of tourists. C. Certifications ∙ ISO 9001: control over the activities of storage, packing, marketing, distribution, etc. ∙ IFS( INTERNATIONAL FOOD STANDARD): initiative of the German and French distributors, for the respect of food safety standards. D. Protection of the geographical indication “Salt from Guérande” ∙ Eligibility of salt to be protected under EU regulation: « Salt is a high-quality foodstuff, the characteristics of which are closely linked to the geographical area of production and the local methods used to obtain it. The production of salt contributes to the economic and social development of several regions.» ∙ Application of a Protected Geographical Indication in France, underprocess,andtheninEurope ∙ A “salt flower” (sea surface salt) Traditional Speciality Guarantee (STG) is also being sought to obtain a European definition of the product.

4. Reminder: what are the “geographical indications”? A. Examples:

천일염 세계화 포럼

23


Europe World Korea B. Definition by the World Trade Organization of the “Geographical Indication” Ⅰ. Definition: indications which serve to identify a product as being native of the territory of a Member, either a region or a village of this territory, in the cases where a quality, a reputation or the other definite characteristic of the product can be essentially associated with this geographical origin. Ⅱ. Includes appellation of origin (AOC), concept born in France Ⅲ. Geographical Origin: natural and/or human factors Ⅳ.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distinguishing feature, collective right of use, generally the product is defined through a technical standards (specifications) which include: the description of the product, the method of production, link with place of origin, the history of the product and the inspection procedures Ⅴ. In Europe, official inspection body or inspection body recognised by the State Ⅵ. Rights against duties: shall comply with specifications including controls! Ⅶ. Functions of the geographical Indication: ① Inform the consumers about the origin of the product ② Confer an intellectual property right to the producers ③ Contribute to the local development ④ Protect the ecosystem

5. Example of branding through the Web sites of the cooperative “Les Salines de Guérande” Protected Site: ecosystem (terroir) ∙ Cleanliness

24

천일염 세계명품화를 위한 세미나


∙ Values of the salt workers: values of the “farmers of the sea” ∙ Craft; passion ∙ Ancient History; tradition ∙ Sharing of know-how and passion: “univers sel” ∙ Taste emphasized over the other qualities ∙ Notice: do not say that they are “the best”, do not denounce the other salts (no comparative advertising)

Conclusion What are elements to remember from the example of Guérande salt which could be advantageous for the Korean sea salt? We recommend a multifunctional approach which could include the following elements, all connected between them: ∙ Institutional, inter-professional, governmental labelling - Geographical Indication: techniques, products, geographical environment, etc. - Organic farming - Protected natural Sites ∙ Recognition of intrinsic qualities of the product: - High mineral content: effect on health and diet - Organoleptic Qualities: the taste ∙ Validated by actors of the cuisine - High gastronomy - chefs - Awareness of the housewife cook ∙ Environmental protection: with three effects: - Qualitative for the product: “organic” dimension - Qualitative for the nature itself - Hence a tourist impact ∙ Development of tourism can concentrate around two aspects: - Environment (cf above) - Small business sector & Crafts: discovery of a profession, its tools,

천일염 세계화 포럼

25


its gestures and techniques, its history, etc. - Accent on the “historic depth”: emphasis of the material and immaterial heritage ∙ Promotion of Human Values: - Sharing of the knowledge, cooperation - Craftsman's passion - “Farmers of the sea” ∙ Segmentation of the offer: - Cooking salt for basic cooking (jang,kimchi,etc.) - Flower of salt (sea surface salt): rare product, thus luxury item - Varied products - Packaging adapted to the segments of the market ∙ Adaptation of the marketing message to the approached international market: beware on the comparative advertising, on the superlative adjectives with nationalist colouring, etc. Resulting in commercial success if the steps are controlled and applied!

26 March 2010

26

천일염 세계명품화를 위한 세미나


제2주제발표

발․제․문 上田 秀夫(UEDA HIDEO)

천일염 세계화 포럼

27



Profile

上田 秀夫(UEDA HIDEO) 학력 1959년 일본 明治(메이지)大学 商学部 商学科 졸업

경력 1961년 미국, 홀 마크사 주식회사 하이 메일(일본 최초의 Greeting Card사업) 설립 1973년 田中(다나카)귀금속공업(株) 홍보담당고문에 취임 2004년~현재 목포대학교 천일염 생명과학연구소 고문

주요 저서 「금의 상식」, 「금의 연구」, 「생명과 소금」, 「아빠, 왜 사람들은 금을 갖고 싶어 하나요?」 「한국소금에 미친 남자」-(‘생명과 소금’의 증보판 한국어 번역본) NHK방영편집 「금은 여성을 배신하지 않는다」 「왜 지금 금인가?」 등

천일염 세계화 포럼

29


30

천일염 세계명품화를 위한 세미나


천일염 세계화 포럼

31


32

천일염 세계명품화를 위한 세미나


천일염 세계화 포럼

33


34

천일염 세계명품화를 위한 세미나


천일염 세계화 포럼

35


36

천일염 세계명품화를 위한 세미나


천일염 세계화 포럼

37


38

천일염 세계명품화를 위한 세미나


천일염 세계화 포럼

39


40

천일염 세계명품화를 위한 세미나


천일염 세계화 포럼

41


42

천일염 세계명품화를 위한 세미나


천일염 세계화 포럼

43


韓国塩田産天日塩の未来 上田秀夫原稿

私は、ただ今ご紹介戴いた上田秀夫です。 日本人である私が、今回、このような機会にスピーチできることを大変光栄に思っていま す。 そこで、なぜ私が韓国の塩に関心を持つようになったのか、という話から始めたいと思い ます。

今から26年前、1985年の時の話から始まります。 当時、私は、日本が金自由化に踏み切ったことから、日本の田中貴金属工業という会社の 広報担当顧問をやっておりました。この年、私は、シンガポールの工場落成の祝賀会に出席 して、帰りは韓国で待っている私の妻に会うために金浦空港に向かっていました。 しかし、私は、飛行機の中で突然高熱を出し、激しい腹痛と嘔吐を繰り返したのです。韓 国に着いて直ぐ医師の診察を受けたのですが、病名は疲労とお酒の飲みすぎからきた「アル コール性急性肝炎」で、医者から当分の間お酒を控え、絶対に安静をするように申し渡され たのです。そこで、私は、大田にある妻の実家へ行ったのです。 ここで、私の妻のことをお話しておきますと、私の妻は韓国人です。現在はチョンスー フードの社長をやっています。そこで、妻の実家に行くと、妻の兄が、私の病気を直ぐに治 すと言って、飲まされ、白い粉のお風呂に入れられて、自分自身がびっくりしたほど、元気 を取り戻していたのです。 そこで、兄に、白い粉は何かと聞くと、韓国が昔から引き継いできた秘伝の「焼塩」だと いうのです。 これが、私と韓国の塩との初めての出会いでした。

私は、妻の兄から、この「韓国の秘伝の焼塩」を分けて貰い、日本に持ち帰りました。 そこで、私の長年の友人である佐藤稔先生に、韓国から持ち帰った焼塩を見せて、私が体 験した不思議な韓国の焼塩の話をしたのです。すると、彼は、この塩を自分の口に含んで暫

44

천일염 세계명품화를 위한 세미나


く目を閉じていましたが、やがて目を開くと、「この塩が欲しい」というのです。 佐藤稔先生とは、医学博士であり、東京家政学院短期大学の助教授でしたから、何かを感 じたのでしょう。私は、彼に韓国の不思議な焼塩1袋を渡しました。 それから2週間ほどしてから、韓国の塩の報告をするために、私のところへ飛んできたの です。 このデータ写真は、実際に彼の血で確かめたものです。彼は、私に隠していたのですが、 実は10年ほど通風を患っていたのです。 この写真は、彼の血液の中にある尿酸を映し出しています。が、韓国の不思議な焼塩を飲 んでから15分後、再び採血してみた写真がこれです。殆ど、尿酸は、分解されてなくなる寸 前です。 彼は、韓国の不思議な焼塩を次のように評価したのです。彼は、通風の新薬はすべて試し ているが、この焼塩ほど即効性のあるものはないと、言ったのです。 これが、佐藤医学博士と韓国の塩との初めての出会いでした。

このような事がきっかけで、佐藤先生と私は、韓国の不思議な焼塩に惹き込まれて、二人 三脚で韓国の塩の研究を始めることになったのです。 私達は、韓国の塩で気づいた大きなポイントは、次の2点でした。 第一点は、日本で韓国産天日塩を分析した結果を見て、世界で一番高い、自然のままのミ ネラルを含む塩であることが分ったことです。これは、キム・インチョル教授の出された データですが、いかに高いミネラルを含んでいる塩であるかがよくわかります。そして、こ の原因は、生きた干潟の上に作った塩田にあったのです。 第二点は、韓国の塩と普通の塩との違いを分析している過程で、韓国の不思議な焼塩には 普通の塩にはない「還元力」があることを発見したことです。 この違いは、塩の常識を覆します。普通の塩を水に溶かし、そこへ釘を入れておくと赤く さびつくことは、誰でも知っています。しかし、韓国の不思議な焼塩は、釘をさびつかせな いのです。

1996年、これらの基礎研究を基に、韓国から持ち帰った焼塩にある様々な問題を解決する 製法を開発し、日本で「還元力を備えた焼塩」の製法特許を取得しました。 2002年、日本は、塩完全自由化に踏み切りましたので、本格的な還元力を備えた焼塩を生 産して販売するために、同年の7月に韓国・務安郡にあるチョンスー・フード株式会社を買

천일염 세계화 포럼

45


収しました。 2003年、佐藤医学博士を世話人として、日本、韓国、中国の学術者が「韓国の還元力を備 えた焼塩」を研究した内容を発表する「キパワーソルト国際シンポジュウム」を東京で開催 しましたが、非常に残念なことに、中心になった佐藤先生は、シンポジュウムを目前にし て、事故で脳に障害を受け、意識が戻らないままに翌年他界されたことです。

しかし、佐藤先生は、今後の韓国産天日塩の未来を示唆する二つの研究結果を残されたの です。 一つは、韓国産天日塩を原料に高温で焼成した焼塩には、活性酸素を消去する抗酸化力が あることを立証されています。 その後、日本の筑波大学では、還元力を備えた焼塩である当社のキパワーソルトには、活 性酸素を消去する抗酸化力がある検査データを出し、この研究データは韓国・木浦市で行わ れた「第一回塩と健康シンポジュウム」で発表しています。 第二は、韓国産天日塩の特徴は、一切の化学的精製処置を施さないので自然のままのミネ ラルバランスを備えたミネラルを豊富に含んでいることです。その結果、現代人に不足して いる超微量ミネラルを補充する働きがあることです。その結果、本来細胞が備えている免疫 力や自然治癒力を引き出し、老化防止や病気予防、若返り効果に役立つことを示唆していま す。 これらの研究は、既に木浦大学のハム・キョンシク教授の天日塩生命科学研究所や同じく 木浦大学のキム・インチョル教授の天日塩・塩田植物R&D研究センターで更に発展的に研究 が進んでいます。 問題は、日本だけでなく、世界の殆どの国の食生活が近代化されたことによって、食塩だ けでなく本来食品から取るミネラルが殆ど取れなくなったということです。その結果、世界 の文明国の人達ほど、ミネラル欠乏症に陥っているという現状です。

日本は、歴史的に良質で安く生産できる塩に恵まれていない国です。高温多湿の気候のた め韓国のような塩田で塩が生産できず、火山地帯のために岩塩も取れない国です。 日本は、第二次大戦後、敗戦から工業国として立ち直るために、工業用資源と食用として 絶対欠かせない塩を確保する政策を打ち出しました。 工業用塩は、世界で一番安い価格の塩を生産するメキシコとオーストラリアから輸入し、 食用塩は1950年に開発したイオン交換膜法で生産した塩を充てる方針にしたのです。その年

46

천일염 세계명품화를 위한 세미나


の推移は、グラフの通りです。 日本の塩は、年間約900万トン消費されていますが、工業用・食用以外に87%(783万ト ン)、家庭用塩・食品工業用塩として13%(120万トン)用いられています。これらの年間900 万トンの塩は、主にメキシコ・オーストラリアから輸入する世界一安い価格の大規模塩田産 天日塩で84%(約756万トン)、残りの殆ど15%(136万トン)がイオン交換膜の塩で、その他の 製法で作る塩は約1%(10万トン)す。 従って、日本の食塩は、現在年間120万トンの需要がありますが、殆どが主にメキシコ・ オーストラリアから輸入した塩を日本の海水に溶かして、ニガリを配合して再結晶させた 「再製塩」か、イオン交換膜で生産した塩を用いています。従って、塩化ナトリウムの純度 の高い、ミネラルを殆ど含んでいない塩を食塩としています。 その結果、日本では、国の財団法人塩事業センター(元の旧塩専売公社)が販売している1kg 当たり100円以下の安い塩が主流になっています。又、民間の大手塩メーカーも、国と全く 同じ製法の塩を販売していますから、99%以上の食塩が塩化ナトリウムの純度の高い、ミネ ラルを殆ど含んでいない塩です。 従って、日本の国民は、塩は安いもので、塩を沢山取ると体に悪いという意識が定着して います。 私達は、このような環境の中で韓国産の塩を販売しているのです。

韓国産天日塩は、どんなに健康に役立つ塩だとしても、年間僅かに30万トンしか生産でき ません。 しかし、韓国産天日塩には、大きな未来が待っていると確信しています。それは、韓国産 天日塩を研究することによって、これからの人類に欠かせない生命進化の謎を解き、これか らの時代に生きる人間の健康を守る鍵が発見できるからです。これは、現在ハム・キョンシ ク教授が行っている韓国産天日塩と糖尿病の研究です。韓国の塩で糖尿病が治るとは、誰も 考えていませんが、これは一例にすぎません。 このような研究を続けるためには、現在の塩田と塩田に欠かせない干潟と自然環境を汚染 や環境破壊から絶対守らなくてはなりません。 私は、最後に韓国の塩研究と塩田と周辺の干潟・自然環境の大切さを皆様に訴え、このこ とに韓国産天日塩の未来があると確信しています。このことが、結果として、人類の生命進 化と人類の健康を守る道を切り開くことつながることを再度お伝えして、私のスピーチを終 わります。ありがとうございました。

천일염 세계화 포럼

47


한국의 염전 천일염의 미래 上田 秀夫(UEDA HIDEO)

우에다 히데오입니다. 일본인인 제가 이 자리에서 한국 천일염에 대해 말씀드릴 수 있게 된 것을 무한한 영광 으로 생각합니다. 먼저 “왜 제가 한국 천일염에 관심을 갖게 되었는지” 부터 말씀드리겠습니다. 이야기는 지금부터 26년 전인 1985년도부터 시작됩니다. 당시 일본이 금 자유화를 단행함에 따라 저는 일본의 ‘다나카 귀금속공업’이라고 하는 회사의 홍보 담당 고문을 맡고 있었습니다. 이 해에 저는 싱가폴 공장 준공 축하회에 참 가하고 돌아오는 길에 한국에서 기다리고 있던 아내를 만나기 위해서 김포공항으로 향했 습니다. 그런데 비행기 안에서 돌연 고열이 나면서 격렬한 복통과 구토를 반복했습니다. 한국에 도착해 곧 의사의 진찰을 받았는데 병명은 피로와 과음으로 인한 「알코올성 급성간염」이 었습니다. 당분간 술을 멀리하고 반드시 안정을 취해야만 한다는 말씀을 의사로부터 들었 습니다. 저는 안정을 취하기 위해 대전에 있는 아내의 친정으로 갔습니다. 제 아내에 대해 말씀 드리면 한국인으로 현재 청수식품의 사장을 맡고 있습니다. 아내의 친정에 갔더니, 처남이 제 병을 곧바로 고쳐 준다고 하면서 뭔가를 마시게 하고 흰 가루의 목욕물에 몸을 담그게 하였는데 제 자신이 깜짝 놀랄 정도로 건강을 되찾았습 니다. 그때 처남에게 흰 가루가 무엇인지 여쭈었더니 한국에서 옛 부터 계승되어 온 전통비법 의 「구운 소금」이라고 하였습니다. 이것이 저와 한국 소금과의 첫 만남이었습니다. 저는 처남으로부터 「한국 전통비법의 구운 소금」을 받아 가지고 일본으로 돌아갔습니

48

천일염 세계명품화를 위한 세미나


다. 그때 저의 오랜 친구인 사토 미노루 박사에게 한국에서 가지고 온 구운 소금을 보여 주고 제가 체험한 신비한 한국의 구운 소금 이야기를 했습니다. 그러자 사토 박사는 그 소금을 자신의 입에 넣은 후 잠시 눈을 감고 있더니 이윽고 눈 을 뜨면서 「이 소금 탐나네……」라고 하였습니다. 사토 미노루 선생님은 의학박사로 도쿄 가정학원 단기대학의 교수였기 때문에 뭔가를 느끼셨던 것 같습니다. 저는 사토 박사에게 한국의 신비한 구운 소금 한 봉지를 건네주었 습니다. 그로부터 2주 정도 뒤 사토 박사가 한국의 구운 소금에 대해 이야기를 하기 위해서 제 가 있는 곳으로 날아왔습니다. 이 데이터 사진은 실제로 사토 박사가 혈액채취를 하여 확인한 것입니다. 사토 박사는 저에게 숨기고 있었습니다만 실은 10년 정도 통풍을 앓고 있었습니다. 이 데이터 사진은 그의 혈액 안에 있는 요산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천일염 세계화 포럼

49


한국의 구운 소금을 마시고 나서 15 분 후 다시 채혈해 본 사진이 이것입니다. 대부분의 요산이 분해되어서 없어지기 직전입니다. 사토 박사는 한국의 구운 소금을 다음과 같이 평가했습니다. 사토 박사는 통풍에 대해 신 약들을 모두 시험해 보았지만 한국 구운 소금만큼 즉효성이 있는 것은 없다고 말했습니다. 이것이 사토 의학박사와 한국의 소금과의 첫 만남이었습니다. 이러한 일을 계기로 사토 선생님과 저는 한국의 신비한 구운 소금에 흠뻑 빠져서 함께 한국 소금의 연구를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저희들이 한국의 소금에 대해 연구한 결과 중 중요한 두 가지 점을 말씀드리겠습니다. 첫 번째는 일본에서 한국산 천일염을 분석한 결과를 보고 세계에서 가장 높은 자연 그 대로의 미네랄을 포함한 소금이라는 것을 알았다는 것입니다. 이것은 김인철 교수의 데이터입니다만

50

천일염 세계명품화를 위한 세미나


한국 천일염이 얼마나 높은 미네랄을 포함하고 있는 소금인지를 잘 알 수 있습니다. 한 국 천일염이 높은 미네랄을 포함하고 있는 이유는 살아있는 갯벌 위에 만들어진 염전에 있었습니다. 두 번째는 한국의 소금과 보통 소금과의 차이를 분석하고 있는 과정에서 한국의 구운 소금에 보통 소금에는 없는 「환원력」이 있는 것을 발견했다는 것입니다. 이 차이는 소금에 대한 상식을 뒤집습니다. 보통 소금을 물에 녹여 거기에 못을 넣어 두면 붉게 잔뜩 녹이 스는 것을 누구라도 알고 있습니다. 그러나 한국의 신비한 구운 소 금은 못을 녹슬게 하지 않습니다. 1996년, 이러한 기초 연구를 기본으로 하여 한국에서 가지고 온 구운 소금에 있는 여 러 가지 문제를 해결하는 제법을 개발해 일본에서 「환원력을 가진 구운 소금」의 제법특 허를 취득했습니다. 2002년, 일본은 소금의 완전 자유화를 단행했습니다. 본격적으로 환원력을 가진 구운 소금을 생산해서 판매하기 위해 동년 7월에 한국·무안군에 있는 청수식품주식회사를 매 입했습니다. 2003년, 사토 의학박사를 간사로 해서 일본·한국·중국의 학자들이 「한국의 환원력을 가진 구운 소금」에 대한 연구내용을 발표하는 「키파워솔트 국제 심포지엄」을 도쿄에서 개 최했습니다만, 매우 유감스럽게도 그 중심점인 사토 선생님이 심포지엄을 눈앞에 두고 사 고를 당하게 되어 뇌에 장해를 입어 의식이 돌아오지 않은 채로 다음 해 타계하셨습니다. 그러나 사토 선생님은 한국산 천일염의 미래를 시사하는 두 가지 연구 결과를 남겨 주 셨습니다. 첫 번째는 한국산 천일염을 원료로 하여 고온으로 구운 소금에는 활성 산소를 소거하는 항산화력이 있다는 것을 입증하였다는 것입니다. 그 후 일본의 츠쿠바 대학에서는 환원력을 가진 구운 소금인 당사의 키파워 솔트에 활 성 산소를 소거하는 항산화력이 있다는 검사 데이터를 내 놓았고, 이 연구 데이터는 한 국·목포시에서 행해진 「제1회 소금과 건강 심포지엄」에서 발표되었습니다. 두 번째는 한국산 천일염의 특징은 화학적 정제 처리를 일체 하지 않기 때문에 자연 그

천일염 세계화 포럼

51


대로의 미네랄 밸런스를 갖춘 미네랄을 풍부하게 포함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그 결과 현 대인에게 부족한 초미량 미네랄을 보충하는 기능이 있는 것입니다. 본래 세포가 갖추고 있는 면역력이나 자연치유력을 끌어내어 노화 방지나 병의 예방, 회춘 효과에 도움이 되 는 것을 시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이미 목포 대학의 함경식교수님의 천일염 생명과학 연구소 및 목포 대학 김인철 교수님의 천일염·염생 식물 R&D연구 센터에서 더욱 발전적으로 연구가 진행되 고 있습니다. 문제는 일본뿐만 아니라 세계 대부분의 나라의 식생활이 근대화 되면서 식염뿐만이 아 니라 본래의 식품으로부터 얻어지는 미네랄을 대부분 섭취 하지 못하게 되었다고 하는 것 입니다. 그 결과 세계의 선진국 국민들은 미네랄 결핍증에 빠져 있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 습니다. 일본은 역사적으로 저렴하면서도 양질의 소금을 생산할 수 없는 나라입니다. 고온 다습 한 기후 때문에 한국과 같은 염전에서 소금을 생산하지도 못하고 화산 지대 때문에 암염 도 나오지 않는 나라입니다. 일본은 제2차 대전 후, 패전으로부터 공업국으로서 다시 일어나기 위해 공업용 자원과 식용으로서 절대 빠뜨릴 수 없는 소금을 확보하는 정책을 밝혔습니다. 공업용소금은 세계에서 제일 싼 가격의 소금을 생산하는 멕시코와 오스트레일리아로부 터 수입하고 식용소금은 1950년에 개발한 이온교환막법으로 생산한 소금으로서 충당할 방침이었습니다. 그 해의 추이는 그래프와 같습니다. 일본 연간 약 900만 톤의 소금을 소비하고 있습니다. 공업용 및 식용이외의 용도로 87%(783만 톤), 가정용소금·식품공업용으로서13%(120만 톤)이 이용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간 900만 톤의 소금은 주로 멕시코·오스트레일리아로부터 수입하는 세계에 서 제일 싼 가격의 대규모 염전에서 나오는 천일염이 84%(약 756만 톤), 이온교환막에 의한 소금이 나머지 대부분인 15%(136만 톤), 로 그 외의 제법으로 만드는 소금이 약 1%(10만 톤)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일본의 식염은 현재 연간 120만 톤의 수요가 있습니다만, 대부분이 멕시코·오 스트레일리아로부터 수입한 소금을 일본의 해수에 녹이고 간수를 배합해 재결정시킨 「재

52

천일염 세계명품화를 위한 세미나


생소금」, 또는 이온교환막으로 생산한 소금을 이용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염화나트륨의 순도가 높고 미네랄은 대부분 포함하지 않은 소금을 식염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 결과 일본에서는 국가의 재단법인 소금사업센터(기존의 소금전매공사)가 판매하고 있는 1 kg 당 100엔 이하의 싼 소금이 주류가 되어 있습니다. 또, 민간의 대기업 소금메이커도 국가와 완전히 같은 제법의 소금을 판매하고 있기 때 문에 99%이상의 식염이 염화나트륨의 순도가 높고 미네랄은 대부분 포함하지 않은 소금 입니다. 따라서 일본의 국민에게는 소금은 싼 것으로서 소금을 많이 먹으면 몸에 나쁘다고 하는 의식이 정착되어 있습니다. 저희들은 이러한 환경 속에서 한국산 소금을 판매하고 있습니다. 한국산 천일염은 아무리 건강에 도움이 되는 소금이라고 해도 연간 불과 30만 톤 밖에 생산할 수 없습니다. 그러나 한국산 천일염에는 밝은 미래가 기다리고 있다고 확신하고 있습니다. 그것은 한 국산 천일염 연구를 통해서 미래 인류에게 빠뜨릴 수 없는 생명 진화의 수수께끼를 풀어 앞으로의 시대에 살아가는 인간의 건강을 지키는 열쇠를 발견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현재 함경식교수가 한국산 천일염과 당뇨병의 연관관계에 대해 연구하고 있습니다. 한 국의 소금으로 당뇨병이 낫는다는 것은 아무도 생각하고 있지 않습니다만 이것은 일례에 지나지 않습니다. 이러한 연구를 계속하기 위해서는 현재의 염전과 염전에 빠뜨릴 수 없는 갯벌과 자연 환경을 오염이나 환경 파괴로부터 반드시 지키지 않으면 안 됩니다. 저는 마지막으로 한국의 소금 연구와 염전 주변의 갯벌, 자연환경의 중요함을 여러분에 게 호소합니다. 이것에 한국산 천일염의 미래가 있다고 확신하고 있습니다. 이것이 결과 적으로 인류의 생명 진화와 인류의 건강을 지키는 길로 연결되는 것임을 다시 한 번 전하 면서 저의 이야기를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천일염 세계화 포럼

53



제3주제발표

발․제․문 천일염 및 염생식물 산업화 사업단장 김 인 철

천일염 세계화 포럼

55



Profile

김인철 학력 서울대학교 식품공학 학사학위 취득 서울대학교 식품공학 농학 석사학위 취득 서울대학교 식품공학 농학 박사학위 취득

경력 서울대학교 농업생물신소재연구센터 연구원 미국 미시간 주립대학 미생물학과 방문연구원 삼양제낵스 책임연구원 목포대학교 식품공학과 전임강사 목포대학교 식품공학과 조교수 목포대학교 식품공학과 부교수 목포대학교 식품공학과 교수 호남농업시험장 농업연구관 식품의약품안전청 건강기능식품 심의위원 교육과학기술부 NURI사업『전통식품첨단화인력양성사업단』 목포대학교 지단장 산업자원부 RIS 광주전남김치육성사업단 목포대 센터장 한국식품영양과학회 학술해외간사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김치분과위원장 지식경제부 지자체주도연구개발사업 천일염 및 염생식물 사업단장

천일염 세계화 포럼

57


58

천일염 세계명품화를 위한 세미나


천일염 세계화 포럼

59


60

천일염 세계명품화를 위한 세미나


천일염 세계화 포럼

61


62

천일염 세계명품화를 위한 세미나


천일염 세계화 포럼

63


64

천일염 세계명품화를 위한 세미나


천일염 세계화 포럼

65


66

천일염 세계명품화를 위한 세미나


천일염 세계화 포럼

67


68

천일염 세계명품화를 위한 세미나


천일염 세계화 포럼

69


70

천일염 세계명품화를 위한 세미나


천일염 세계화 포럼

71



토․론․문 신안군 천일염 협의회 회장 고 서 임

천일염 세계화 포럼

73



Profile

고서임 경력 대한민국 해병대 제대 민주 정의당 창당위원 신안군 군정 자문위원 신안군 천일염 협의회장 천일염 신안군 장인 4대째 천일염 생산

천일염 세계화 포럼

75


천일염 세계화 포럼 생산자의 제언(건의) 신안군 천일염 협의회 회장 고서임

인간의 생명과 가장 밀접한 관계를 가진 천일염이 45년동안 광물로 분류되어 지금까 지 생산시설 미비뿐만 아니라 제대로 인정받지 못하다가 2008. 3. 28일 식품으로 전환 되어 천일염이 국민건강에 미치는 중요성과 우수성이 학계와 연구기관을 통하여 하나씩 밝혀지고 있어 식품으로 가치가 입증되어 정부에서 천일염 세계화 5개년 계획을 세워 생산자를 자치단체와 친환경적인 천일염을 생산하고자 하는 의지를 환영합니다.

천일염을 친환경적으로 생산 생산시설(창고, 해주, 염전바닥재 등)을 개선해야 하고 염전주변 환경개선(화장실, 슬레이트, 부직포, 취입수로 등)을 해야 합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1ha당 7천만 원 이상의 예산이 필요합니다. 예산의 70%는 융자, 30%는 자기부담으로 추진하고 있지만 현재 생산자는 영세하 여 매우 어려우며 융자금의 신용대출이 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담보물건도 없어 혜 택을 받지 못하고 임대로 생산한 생산자도 있으며 생산가의 보장도 없기 때문에 매 우 어려운 형편이므로 정부에서는 70% 보조를 해 주시기를 바라며 또한, 천일염 생 산자들이 농신보 지원 대상에서 제외되어 있으므로 수산업법과 농림수산사업 신용보 증법을 조기에 개정하여 2010년부터 농신보 혜택을 받도록 법을 개정하여 주시기 바 랍니다.

유통회사 설립 현재 생산자가 생산한 천일염은 중간상인에게 위탁판매 형식으로 거래되어 판매한 생산품의 가격을 제때에 받지 못하고 있으며 또한 소비자는 믿고 구입 할 수가 없어 서 질 나쁜 중국산과 혼합한 천일염을 구입하고 있습니다.

76

천일염 세계명품화를 위한 세미나


바닷물을 끌어 들이는 취수로 개선 지원 취입수로와 배수로가 동일하기 때문에 생활폐수 및 농업폐수가 염전 저수지로 유 입되므로 바다에서 직접 염전 저수지로 유입할 수 있게끔 별도로 취수로를 개설하여 청정 바닷물만 끌어들어야 합니다.

전기료 인하조치 염전에서 양수 할 때 수차로 하다가 100% 전기모터를 사용하고 있어 전기료를 농 업용과 같이 인하조치 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천일염 후계자 양성 천일염 생산자들의 고령화에 따른 후계자 양성이 필요합니다. 프랑스 같은 나라는 양성소를 설립하고 9개월간 교육시켜 자진 현장으로 나가며 생산업을 원하면 정부나 조합에서 적극적으로 취업을 알선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도 교육을 시켜 일정한 자격을 주어야 합니다. 현재 염전에서 고용되고 있는 종업원은 대우도 못 받을 뿐만 아니라 인권에도 문 제가 있는 현실입니다.

대한염업조합의 활성 대책을 마련 대한염업조합이 조합원을 위하여 생산된 천일염을 수매하여 전국 시군구에 대리점 을 두어 소비자도 믿고 국산 천일염을 구매할 수 있게 해야 하는데 제 기능을 전혀 하지 못하니 정부에서 적극적인 활성화 대책을 마련해야 합니다. 국산천일염은 세계적으로 우수성이 밝혀져 외국에서도 지대한 관심을 갖고 있으므 로 친환경적으로 생산하면 국민건강에 일조를 할 뿐만 아니라 국산천일염이 세계인 의 식품으로서 프랑스 게랑드 소금을 능가할 것을 확신합니다.

천일염 세계화 포럼

77



토․론․문 동국대학교 푸드시스템연구소 연구위원 김 병 조

천일염 세계화 포럼

79



Profile

김병조 경력 - 경북일보 기자 - 불교방송 기자 - 식품환경신문 편집국장 - 식품외식경제 편집위원 농림수산식품부 농어업선진화위원회 위원(현) (사)한국유통학회 이사(현) 한국푸드시스템연구회 부회장(현)

천일염 세계화 포럼

81


소비자 측면에서 본 국산천일염 산업의 전망과 과제 김병조 (동국대학교 푸드시스템연구소 연구위원)

1) 천일염 수요 급증 및 가격 폭등 전망 2~3년 내에 국산 천일염 수요 2배 이상 증가 전망 ■ 최근 수행한 천일염 사용 실태조사 결과 향후 사용 의향에 대해 기업은 72%가, 일 반가정에서는 9%가 앞으로 더 사용하겠다는 의사를 밝혔다. - 식품 및 외식기업이 향후 천일염의 사용을 크게 늘리겠다는 것은 천일염이 식품 으로 인정되면서 각종 가공식품에 천일염을 원료로 사용할 수 있게 되었기 때문 이며, 더불어 건강지향적인 소비자 니즈를 충족시키기 위한 마케팅 전략 때문으 로 분석된다. - 특히 소금을 많이 사용하는 가공식품의 경우 성분표시에 국산 천일염 사용 여부 를 표시하도록 제도개선이 이뤄진다면 업체들의 천일염 사용은 경쟁적으로 늘어 나 폭발적인 수요 증가가 예상된다. - 여기에 CJ제일제당과 대상 등 식품 대기업들의 천일염 사업 직접 진출도 국내 수 요확대를 촉진시키는 계기가 될 전망이다.

수요급증에 따라 가격도 2배 이상 폭등 전망 ■ 수요와 공급의 원칙에 따라 수요가 크게 늘어나면 가격도 크게 오를 것으로 전망된다. - 현재 국산 천일염의 시중가격은 6,000~7,000원(30kg 1포대 기준) 수준인데 수 요가 2배 정도 늘어난다면 가격은 10,000~12,000원 수준까지 올라갈 것으로 예 상된다. - 특히 현재의 시중가격은 수입산의 둔갑판매 등의 영향으로 국산 천일염이 제값을 받지 못하는 왜곡된 가격이라는 점을 감안할 때, 둔갑판매 방지 대책이 이뤄진다

82

천일염 세계명품화를 위한 세미나


면 국산 천일염의 가격은 수요 증가에 따른 상승 이상의 가격 폭등이 가능할 것 으로 전망된다.

2) 신뢰회복 위한 인프라 구축 필요 불만족 이유-기업 ‘비위생적이다’ ■ 실태조사 결과 기업들 입장에서 천일염에 대한 불만족 이유가 ‘비위생적이다’는 응 답이 65%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 이는 국산 천일염이 기능적으로는 우수한 것을 인정하지만 생산현장에서의 위생 안전에 대해서는 아직도 믿을 수 없다는 입장을 나타내는 것으로 파악된다. - 이같은 인식에 따라 기업들은 천일염 산업이 발전하기 위해 해결해야 할 과제에 대한 질문에서도 ‘품질인증제를 실시해야 한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위생수준을 높여야 한다’는 응답이 다음을 차지했다.

생산 환경개선 개선 시급 ■ 천일염이 식품으로 전환된 이상 생산자들이 가장 신경을 써야 하는 부분이 안전한 식품을 생산하는 것이다. - 따라서 천일염 생산과 관련된 각종 시설(해주, 창고, 장판 등)을 친환경적으로 개 선해 나가는 것이 필수불가결한 과제다. - 문제는 농가의 경영규모가 영세한데다가 생산자들이 갑작스런 정책의 변화를 수 용할 의식이 뒷받침이 되지 않고 있다는 데에 있다. - 결국,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농가가 수용 가능한 범위 내에서 단계적으로 환경개선을 하도록 계도할 필요가 있으며, 제도적으로 환경개선을 하지 않으면 경쟁력이 없다는 사실을 생산자 스스로 알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제도적으로 생산 환경을 개선하도록 유도하는 방법은 두 가지 수단을 동원할 수 있다. - 첫째, 품질인증제를 시행하는 것이다. 생산 시설이나 과정이 친환경적인 기준을 충족시킬 경우 ‘친환경 천일염’이라는 인증을 해주는 방식이다. 품질등급제와는 별 도로 상위 개념의 인증을 해줌으로 해서 생산자들이 생산 환경을 개선하도록 유

천일염 세계화 포럼

83


도할 필요가 있다. - 둘째, 생산 농가의 경영규모의 영세성으로 인한 시설개선 비용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생산자 단체가 환경개선 사업을 주도하도록 하는 방법이다. 정부의 융자사업 등을 대한염업조합과 같은 생산자 단체에 위임을 하고, 생산자 들은 정부로부터 받은 융자금을 소금으로 대납하는 방식을 취하면 생산자들은 큰 부담 없이 당장 생산 환경개선에 임할 수 있을 것이다.

둔갑판매 예방책 마련돼야 ■ 국산 천일염 산업이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포대갈이를 통한 둔갑판매를 막는 것이 가장 시급한 과제로 인식되고 있다. - 둔갑판매는 국산 천일염에 대한 이미지를 실추시킬 뿐만 아니라 국산 천일염의 시중 가격 형성도 왜곡시키고 있다. - 관세청이 수입염에 대한 유통이력제를 실시하고 있지만 아직도 포대갈이는 성행 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 따라서 근본적인 포대갈이 예방책이 요구되고 있다. - 단계적으로 원산지표시제와 품질인증제, 생산이력추적제 등 근본적인 제도개선이 시급한 상황이다. 그래야만 소비자로부터 신뢰를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3) 유통질서 개혁해야 수급조절 기능 강화 ■ 천일염은 기후 조건 등 자연적 현상에 따라 생산량이 크게 좌우된다. 현재의 재고율이 10% 수준에 머물고 있다는 것은 기상악화로 생산량이 급격히 저 하할 경우 수급차질로 인해 가격 조절이 불가능해 소비자들에게 큰 부담을 줄 수 있 는 상황이다. - 따라서 안정적인 수급을 통한 가격안정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수급을 조절할 수 있는 기능이 강화되어야 할 것이다. - 현재는 농가 차원에서는 생계형 영세성으로 인해 재고율을 높일 수 없는 상태이 고, 생산자 단체인 대한염업조합도 부실한 재무상태로 인해 매입과 장기보관을

84

천일염 세계명품화를 위한 세미나


통한 수급조절 능력이 사실상 불가능한 상황이다. - 달리 대안이 없는 한 대한염업조합의 경영 정상화를 통해 조합이 수급조절 기능 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정책이 필요해 보인다.

투명한 유통구조 정착-강력한 제도도입 필요 ■ 현재 소금시장의 유통 구조는 과거 축산물 유통처럼 불신 그 자체다. - 소비자들은 자기가 구입하는 소금이 국산 천일염인지 수입 소금인지, 국산과 수입 산이 섞여 있는지 구분할 능력도 방법도 없다. 심지어는 공업용을 식용으로 먹고 있는지도 알지 못하는 상황이다. - 과거 축산물 유통에서 본인이 직접 정육점에 가서 눈으로 확인하고 사면서도 한 우인지 수입 고기인지 의심하던 것과 마찬가지다. - 이로 인해 천일염에 대한 불신풍조가 만연해 국산 천일염은 제대로 그 가치를 인 정받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 결국,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원산지표시제와 생산이력추적제 등 동원 가능 한 모든 수단을 동원해 강력한 규제를 해야 한다. - 유통구조를 투명하게 하기 위해서는 단계적이 아니라 일시적으로 부분적이 아니 라 전면적으로 시행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것도 빠른 시간 안에 제도를 시행하는 것이 필요하다. - 향후 2~3년 안에 국산 천일염에 대한 수요는 폭발적으로 늘어날 것이고, 그렇게 되면 포대갈이 등 둔갑판매는 더욱 성행할 가능성이 높다. - 포대갈이가 성행할 경우 국산 천일염에 대한 이미지는 다시 추락할 수 밖에 없고, 그렇게 되면 천일염 산업의 발전을 기대하기는 어렵기 때문이다.

4) 국산천일염에 대한 인지도 제고 및 홍보 강화 필요 불만족 이유-일반가정 ‘일반소금과 별 차이가 없다’ ■ 기업과는 달리 일반 가정에서는 천일염에 대한 불만족의 이유가 ‘일반소금과 별 차 이가 없다’는 응답이 65%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천일염 세계화 포럼

85


- 이는 일반 가정의 경우 천일염에 대한 인지도가 낮은데서 기인하는 것으로 분석 된다. - 이같은 배경에 의해 일반소비자들은 천일염 산업 발전을 위한 해결과제로 ‘홍보를 강화해야 한다’는 응답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고, 이어서 ‘위생수준 제고’, ‘소 금에 대한 인식전환’을 꼽았다. - 이는 일반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국산 천일염의 우수성에 대한 홍보가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국산 천일염 우수성 홍보-기능성 부각시켜야 ■ 소비자들은 아직도 국산 천일염이 왜 우수한지, 일반 정제염과 비교할 때 얼마나 건강에 유익한지에 대해서 잘 모르고 있다. - 특히 일반 소비자들의 경우 천일염의 우수성이나 기능성 때문에 사용한다기 보다 는 그저 관행적으로 사용하고 있다는 것이 확인되고 있다. - 사용 실태조사 결과 일반소비자들은 천일염에 대한 불만족 이유에 대해 ‘일반소금 과 별 차이가 없다’고 응답한 비중이 65%나 돼 국산 천일염에 대한 제대로 된 정 보를 갖고 있지 않은 것으로 파악된다. - 이는 생산성본부가 1992년에 조사한 결과에서도 비슷하게 나타났는데, 당시 조사 에서 국산염을 사용하는 이유 중 가장 많은 응답은 ‘관행’(40.6%)이었고, ‘맛이 좋 기 때문’(27.1%)인 반면 ‘건강에 좋다’라는 인식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 이번 연구 결과 사용용도에 대해서도 김치 담글 때 사용하는 경우가 절반 가까이 차지한 반면 식탁용으로 사용하는 경우는 3%에 불과해 국산 천일염의 저변 확대 를 위해서는 우수성에 대한 홍보가 절실하다.

■ 국산천일염의 우수성을 홍보하기 위해서는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 국산 천일염이 성분상으로 볼 때 다른 소금에 비해 우수하다는 것만으로는 소비 자들에게 크게 어필을 하는데 한계가 있다. - 우리의 전통 한식은 대부분 발효식품이고, 발효식품에는 반드시 소금이 주요 원료 로 사용된다. - 전통 발효식품이 세계적인 건강식품으로 인정을 받고 있는데, 그 중심에는 우수한

86

천일염 세계명품화를 위한 세미나


국산 천일염이 큰 몫을 차지할 것이라는 추정이 많다. - 이를 과학적으로 규명해내는 일이 국산 천일염의 우수성을 홍보하는 가장 좋은 방법이 될 것이다. - 국산 천일염을 사용해 만든 김치나 된장과 그렇지 않은 제품의 기능적, 맛의 차이 를 비교분석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천일염 세계화 포럼

87



토․론․문 농수산물유통공사 농수산마케팅처 수산임산수출팀 김 진 곤

천일염 세계화 포럼

89



Profile

김진곤 경력 ◦ ’83.2월 : 전남대학교 농과대학 졸업 ◦ ’85.1월 : 농수산물유통공사 입사 ◦ ’05.3~’08.3 : 제주지사장 ◦ ’08.4~’08.11 : 외식산업육성팀장 ◦ ’08.12~ 현재 : 수산임산수출팀장

천일염 세계화 포럼

91


천일염 수출 활성화 방안 aT농수산물유통공사 농수산마케팅처 수산임산수출팀장 김진곤

1. 천일염 수출현황 천일염이 광물에서 식품으로 변경된 후 수출실적은 ’08년대비 금액 128.3%, 물량 76.8% 증가하였으나 미약한 상태임 ◦ 국가별로 미국 561.4%, 일본 76.8%, 중국 63.6%, 마샬군도 80.0%, 독일 1450.0% 급증 (단위 : 천불, 톤)

2008년

2009년

국 가 별

국 가 별

물량

금액

마 일본 미국 샬 군

캐 물량 나 기타 다

금액

마 일본 미국 중국 샬 기타 군

계 1,228

399

112

29

911

198 377

57

25

176 2,171

54

45

237

* 기타 : 독일 31, 사우디 25, 호주 24, 카나다 17, 기타국 140

키토산염, 죽염 등 기능성 천일염은 식염, 기타소금으로 포함되어 실제 천일 염의 수출실적은 1백만불 이상으로 예상 ◦ 함초, 키토산, 황토, 허브, 후추, 저나트륨, 미네랄 등을 천일염과 결합하여 다 양하게 가공

HS code 250100(소금)의 수출 업체는 118개업체로 수출액(7.459천불)의 규모에 비해 수출업체 수가 많음

92

천일염 세계명품화를 위한 세미나


◦ 천일염의 전문 수출업체는 청수식품, 바이오테크 등이며, 대부분 다른 품목을 위주로 수출하면서 보조적으로 취급 (단위 : 톤, 천불, %)

구 분 소 금

2008 물량

2009 금액

물량

증감율 금액

물량

29,768

6,724

33,750

7,459

◦천일염

1,228

399

2,171

911

◦식 염

1,814

2,201

2,269

2,261

22

54

41

27

26,704

4,070

29,269

4,260

◦순염화나트륨 ◦기타소금, 해수

금액

2. 문제점 및 애로사항 가격에 비해 중량이 많아 물류비 부담이 커 적극적인 수출 확대 곤란 ◦ 콘테이너(20ft) 당 10톤 적재시 수출 평균가격(FOB기준)이 4,197불로 물품대, 국내 및 해외 운송비 등을 감안하면 이익 낮음

교포시장을 위주로 수출되어 주류마켓으로 진입을 위한 전략 및 지원 체계 미흡 ◦ 한국산에 대한 인지도가 낮고, 안정적으로 규격제품 공급능력이 부족 ◦ 수출상품으로서 시장형성 초기단계로 시장조사를 통한 수출방향, 대상국 등 전 략 부재 - 수출시장에서 우수성과 명품으로 인정받기 위해 체계적인 전략 필요

천일염의 우수성에 대한 과학적 입증 및 국제 전문기관의 인증 부재 ◦ 천일염을 기존의 소금시장에 진입하기 위해서 우수성을 과학적으로 전문기관에 서 인증 받아야 차별화 및 홍보 가능

천일염 세계화 포럼

93


가공천일염이 식염과 함께 HS코드로 분류되어 육성을 위해 독립적 코드 필요 ◦ 가공천일염이 정제염, 제재염 등의 수출실적이 혼합되어 지원정책의 성과 확인 곤란

수출지원의 재원 차이로 인해 수출업체의 혼란 초래 ◦ 천일염을 식품으로 표기하고 있으나 농산물, 수산물의 분류에 따라 지원하는 재 원이 농안기금과 농특예산으로 구분되어 정책사업 지원 곤란 ◦ 천일염은 수산식품으로 국내 가공식품육성은 수발기금, 수출은 농특예산으로 지 원되나 천일염 수출육성을 위한 정책사업과 지원규모가 부재 ◦ 천일염의 수출육성이 필요한 정책사업이 농산식품에 있으나 이용 불가 ◦ 수출상품화, 박람회 참가, 바이어 초청 상담 등 기존의 수출지원사업을 활용하 여 지원하는 수준이며 시설개선 등의 지원 부족

3. 수출 활성화를 위한 중점 추진과제 수출시장 선정 및 마케팅을 위한 시장조사 및 경쟁력 분석 ◦ 갯벌 천일염은 프랑스, 한국만이 존재하는 것이 아니고 중국, 인도, 지중해 등 이 있어 시장 경쟁분석 ◦ 기능성소금에 대한 특성별 시장분석을 통해 트렌드에 맞는 상품발굴

천일염 수출의 비전과 목표 설정 ◦ 중장기적으로 천일염 수출의 비전과 목표를 설정하여야 정책방향이 결정 ◦ 천일염의 명품화, 기능성에 의한 고부가가치 상품으로 시장 접근 - 천일염의 국내시장 공급이 부족한 상태에서 수출로 확대할 경우 산지가격 상승 으로 수출물량 공급 부족하여 원활한 수출이 곤란 - 소비자의 호응도가 웰빙의 소비성향으로 천일염이 일반 정제염 보다 10배이상

94

천일염 세계명품화를 위한 세미나


많이 판매되고 ’09년 6월말기준으로 일반천일염 가격은 염관리법 개정 이전에 비해 26% 이상 상승하고 3년 숙성의 고급천일염은 2배이상 가격 상승 - 소금은 음식의 맛을 결정하는 요소 중 하나로 사용이 습관화 되면 변경이 쉽지 않으므로 물류비 부담 해소, 웰빙 트렌드를 활용하여 시장을 차별적으로 접근

수출전략 수립을 위한 수출협의회 결성 필요 ◦ 업체별로 개별적 제품의 수출규격 보다 국가별 공통적 규격품을 생산하여 수출 하므로서 홍보효과를 증대시키고 시행착오를 방지 - 수출업체는 제품에 대한 노하우 보다는 마케팅 능력이 중요

◦ 수출협의회를 통해 국가별 제품별 시장개척시 전략 수립과 공동마케팅을 실시 하여 과당경쟁을 방지 - 수출대상국별로 수출전략에 따라 수입업체와 협상을 통해 시장 확대

제품개발, 해외 시장개척, 판촉 홍보 등을 위한 신규 예산 확보 ◦ 수산식품의 해외시장개척지원 예산은 규모가 적으므로 천일염을 세계적 명품으 로 수출 육성할 수 있도록 별도의 집중적 예산 지원 - 농식품의 김치, 인삼 등은 집중적인 지원으로 세계적인 상품 지위 확보

◦ 수출제품 생산 및 가공시설의 현대화 등 인프라 지원으로 경쟁력 제고 - 수산식품의 WTO 규정으로 물류비 등을 지원할 수 없으므로 생산, 가공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인프라에 예산을 지원

◦ 천일염의 우수성에 대한 입증 및 인증을 공동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명품성, 기능성 제품에 대한 국제 전문기관 인증 비용 지원 - 명품으로서 기준과 인증, 기능성으로 우수성 인증을 정부에서 부담하고 국가적 으로 관리체제 도입

천일염의 명품화를 위해 규격화 등급화 제도 도입 ◦ 염화나트륨의 함량을 기준이 아닌 Mg 등 함량에 대해 가공제품 및 음식의 맛 을 균일화하기 위해 주별로 생산제품의 등급화 필요

천일염 세계화 포럼

95


◦ 시범적으로 수출품의 규격화, 등급화를 위해서 수출단지 지정 및 생산농가 이력 제를 실시 ◦ 수입산의 기능성 소금에 대해서 인증제를 도입하여 검증 실시

천일염의 명품화를 위한 장기 비축 및 가격안정화 공급 ◦ 3년간 장기숙성을 통해 맛과 품질을 높여야 명품으로 인정되므로 일반 사업자 가 자금 부담 및 상품관리에 어려움이 많고 공적기능이 요구되므로 공기업에서 담당하여 안정적으로 공급 ◦ 명품으로 인정받기 위해 품질검사제 및 수출이력제를 도입

96

천일염 세계명품화를 위한 세미나


토․론․문 농림수산식품부 식품산업진흥과 팀장 김 종 실

천일염 세계화 포럼

97




천일염 국제 경쟁력 강화방안 농림수산식품부 식품산업진흥과 김 종 실 팀장

1. 추진경과 천일염 산업 육성지원 관련업무가 염관리법 개정(’08.12.27)으로 ’09.3.20 부터 농림수산식품부(종전에는 ‘지식경제부’)로 이관된 지 1년이 지났음 ○ 농식품부에서 천일염을 맡게 되었다는 것은 우리나라 천일염을 식품산업으로 발전 시킬 수 있는 토대가 마련되었다는 점에 있어서 중요한 의미를 가지며 ○ 천일염 업무이관을 계기로 소금산업의 생산 ․ 유통 ․ 안전 ․ 소비 ․ 법률체계 등을 전반 적으로 정비하기 위해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여 왔음

우선, 천일염이 ‘식품’으로 분류(’08.2월)되었으나, 45년간 ‘광물’로 취급되다 보니 생산시설은 노후화되고 위생시설이 취약해 생산시설 개선이 시급한 과 제였음 ○ ’09년도에 33억 원을 투입하여 해주, 소금창고 등을 개보수하고 유통구조 개선을 위해 산지종합처리장 지원사업도 추진하여 왔음 ○ 염전업자의 영세성을 대변하여 해주, 소금창고 지원을 보조사업으로 추진코자 예산 당국과 협의하였으나 반영이 되지 않았으며, 추후 계속적 협의진행

또한, 작년 초부터 한국소비자원, KBS 소비자고발 등에서 우리나라 천일염 과 염전의 안전성 문제에 우려를 표명해옴에 따라 농식품부에서는 ○ 작년 3월부터 8월까지 우리나라 천일염과 염전의 위생 실태조사를 실시한 바가 있 으며 ○ 천일염의 오염도 여부조사를 위해 3월부터 10월까지 관련기관, 학계 등과 폭넓게

100

천일염 세계명품화를 위한 세미나


샘플을 채취하여 분석하는 등 천일염의 위생과 안전성 확보를 위해 다양한 시도를 하였음

이외에도 천일염 생산자가 농림수산업자 신용보증대상에 포함하는 방안, 염 생산업이 농사용 전력에 포함되도록 하는 방안 등의 제도개선은 반영 될 수 있도록 끊임없이 협의를 진행 중에 있음 ○ 이와 함께 소금의 R&D 개발, 홍보마케팅 지원 및 품질인증, 이력관리 등의 소금 의 품질관리, 품질향상 등을 주요내용으로 하는 “소금산업법”도 조속히 국회와 협 의하여 발의할 예정임

2. 천일염의 국제 경쟁력 강화방안 우리나라 천일염은 세계 5대 갯벌에서 생산되기 때문에 갯벌이 보유하고 있 는 각종 미네랄 성분이 풍부하여 이를 잘 활용할 경우 세계에서의 우리나라 천일염의 국제 경쟁력은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고 생각함 ○ 천일염의 국제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천일염의 생산시설 및 염전 주변환경 개선, 시설의 표준화 및 규격화, 염전의 관광 자원화 등의 H/W와 ○ 생산자 조직의 육성, 가공기술 개발을 통한 고부가가치 제품 개발, 포장재 및 유통 구조개선, 우수성 홍보를 통한 마케팅 전략수립 및 이를 뒷받침 할 제도개선 등의 S/W를 동시에 추진하여야 시너지효과가 창출될 수 있다고 생각함

(1) 천일염 생산시설 현대화 및 염전주변 환경 개선 ○ ’10년도 천일염육성사업은 ’09년보다 161% 증액된 86억 원을 지원할 계획이며 생 산시설 개선을 위해서는 42억 원을 투입할 계획임 ○ 특히, 해주와 소금창고의 경우 석면이 함유되어 있는 지붕의 슬레이트 제거비용이 사업비에 포함되어 있으므로 슬레이트가 조기에 철거되도록 협조 ○ 염전 결정지의 바닥재 개선을 위해 9억 원 예산을 들여 200ha를 친환경적으로 교 체할 예정이며 점차 확대할 계획임

천일염 세계화 포럼

101


○ 그리고 염전의 도로 포장화 지원 등의 염전 주변환경 개선도 지자체와 협의하여 지속적으로 개선해 나가는 것이 필요함

(2) 시설의 표준화 및 규격화 ○ 소금제품의 규격을 표준화하고 품질인증 등이 도입이 되어 소금제품이 위생적이고 안전하게 생산될 수 있는 기반 여건 구축이 필요 - 한국식품연구원에서 ’09년부터 3개년 사업으로 표준생산시설 모델 구축 연구사업 을 진행 중에 있으며 금년 말에는 표준모델(안)을 제시하여 의견수렴을 할 예정임 ○ 이와 함께 작년에 수행했었던 전국 천일염 오염도 조사에 대하여 자료의 유의성도 확보하고 프랑스 등 세계 사례 등을 추가하여 금년에도 실시할 예정이며, 식품의약 품안전청과 공동 조사하는 방안을 부처 협의 중에 있음

(3) 염전의 관광 자원화 ○ 세계 관광기구(WTO)는 미래관광 유형으로 모험관광, 문화관광, 테마관광과 함께 생태관광(Echo-Tourism)을 유망한 관광상품으로 제시 ○ 우리나라의 천일염은 갯벌염전을 이용하는 세계적으로 보기 드문 방식으로 생산되 기 때문에 이러한 생태환경을 관광자원화 할 경우 Blue-ocean 활용 가능 - ’11년도 신규사업에 염전 생태 학습장, 소금박물관 건립사업이 포함되도록 관계부 처에 협의 추진

(4) 생산자 조직의 육성 ○ 천일염 생산자는 규모가 영세하고 조직화가 미비하여 도매상 등 유통업자에게 가 격이 결정되는 사례가 빈번하므로 - 대한염업조합이 조합원을 중심으로 생산-유통협의체를 구성하고 여기에기존의 작 목반, 영농조합법인 등이 조직화되고 규모화 되어 조합과 연계방안을 구축하는 시 스템이 필요하다고 봄 - 현재 농식품부에서는 사과, 배, 넙치 등 28개 품목 대표조직을 육성하여 ‘정부-품 목대표조직-생산자’를 연계하는 체계를 구축하고 있음 - 이를 통해 천일염도 28개 품목 대표조직에 포함이 되어 전반적으로 추진동력을 확보하도록 추진하는 방안이 필요

102

천일염 세계명품화를 위한 세미나


(5) 가공기술 개발을 통한 고부가가치 식품 개발 ○ 천일염의 시장을 확대하기 위해서는 천일염을 활용한 가공기술 개발 등을 통한 고 부가가치 식품개발이 시급하다고 할 수 있음 - 키토산을 활용한 항고혈압 소금은 이미 프랑스 암 예방센터에서 실험 중에 있으 며 결과가 나오는 금년 8월경 이후에는 우리나라 천일염의 우수성에 대한 국제우 위가 한층 확보될 전망이다. ○ 이외에도 골다공증 개선 소금, 관절 질환자 개선용 소금, 당뇨 질환자 개선용 소금 등의 소금을 이용한 다양한 가공기술이 끊임없이 개발되어 새로운 소금 시장이 창 출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함

(6) 포장재 및 유통구조 개선 ○ 21,000천개(30kg)에 대하여 포장재가 지원이 되며 포장재 지원이 극대화되도록 최적의 방안을 강구하여 시행할 예정임 ○ 유통구조 개선을 위해서도 금년 7월부터 소금의 품질검사, 원산지단속, 이력추적제 등을 실시하여 외국산 소금이 국산 식용소금으로 둔갑되지 않도록 할 계획임

(7) 법령 및 제도개선 ○ 현행 염관리법에는 천일염산업 육성근거가 없어 향후 국제경쟁력 강화를 위해서는 소금의 품질개선, 생산자단체 육성, 소금명인 지정 등의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소금 지원근거 법령이 필요한 실정임 - 이를 위해 상반기 중으로 국회와 협의하여 관련법령이 발의될 수 있도록 추진해 나가겠음 ○ 또한, 천일염 생산자가 농림수산업자 신용보증대상에 포함하는 ‘농림수산업자 신용 보증법’, 염 생산업이 농사용 전력에 포함되도록 하는 방안 등도 조속히 반영될 수 있도록 협의 지속 예정

천일염 세계화 포럼

103


3. 향후계획 지난 2월 12일 창립총회를 개최한 ‘천일염 세계화포럼’과 연계, 포럼의 분과 위원회에서 논의된 내용들이 현장에 접목될 수 있도록 세미나 등 다양한 의 견수렴 ○ 상반기 중으로 ‘소금산업 육성 종합대책’을 마련

104

천일염 세계명품화를 위한 세미나


토․론․문 중앙일보 식품의약전문기자(부장) 박 태 균

천일염 세계화 포럼

105



Profile

박태균 학력 서울대학교 수의학과 학사 서울대 대학원 수의공중보건학 석사 서울대 대학원 수의공중보건학(식품위생) 박사

경력 중앙일보 편집국 사회부문 부장, 전문기자 경향신문 편집국 기자 미국 조지아대학 연구원 동아일보 기자

수상경력 2000년 2월 29일 한국기자상 수상 2006년 11월 30일 올해의 의과학 기자상 수상 2007년 1월 25일 한국천식알레르기협회 언론상 수상 2008년 2월 29일 식품산업 공헌 언론인상 1회 대상 2009년 4월 26일 녹십자언론문화상 수상 2009년 5월 14일 식품안전의 날 대통령 표창

천일염 세계화 포럼

107


천일염의 효과적인 마케팅 방안 및 전략 중앙일보 박태균 식품의약전문기자(부장)

천일염의 건강상 효능을 밝힌 연구논문수가 계속 늘어나고 있다. 소금의 최대 약점은 혈압을 올릴 수 있다는 것이다. 흰 쥐를 대상으로 동물실험을 실시한 결과 천일염을 한 달 간 먹인 쥐의 혈압이 일반 소금을 먹인 쥐보다 현저히 낮았다는 연구결과도 나왔다.

당뇨병 환자에게도 천일염이 이롭다고 연구결과도 있다. 쥐를 이용해 실험했더니 천일 염을 섭취한 쥐의 혈당 변화가 일반 소금 먹은 쥐보다 적었다는 것이다. 천일염은 장점이 많은 ‘태양의 소금’이다. 6대 전통식품 중 하나로 선정됐으며 식품으 로 공식 인정받았다.

천일염의 순항을 위해 다음 네 가지를 제안한다. 첫째, 천일염의 육성·진흥에만 집중하는 것은 곤란하다. 반드시 위생·안전과 함께 가야 한다. 우리 국민은 식품의 안전 문제에 매우 민감하다.

천일염에 대한 막연한 기대를 갖고 있지만 동시에 불안감도 나타낸다. 안전성 문제가 불거지면 한 순간에 천일염을 외면하게 될 수 있다. 따라서 육성과 안전성이라는 두 바 퀴로 가야 한다.

천일염의 위생과 관련해 세균 등 미생물은 크게 문제되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 소금 이라는 제품의 특성상 세균이 자랄 수 없는 환경이기 때문이다. 우려되는 것은 중금속· 환경 호르몬 등이다.

천일염은 각종 중금속이 투척되는 있는 바다에서 얻는 상품이니만큼 중금속 오염 가능 성은 배제하기 힘들다. 철저한 안전 관리를 통해 기준치 이상의 중금속에 오염된 천일염 의 생산·유통을 막아야 한다.

108

천일염 세계명품화를 위한 세미나


최근 새롭게 부각되고 있는 안전성 문제가 프탈레이트라는 플라스틱 가소제이다. 환경 호르몬이며 사람들에게 상당히 알려진 물질이다. 천일염 제조과정에서 비닐 장판을 사용 하는 것이 프탈레이트 오염의 원인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다행히도 최근 전문 가들의 연구에 따르면 천일염의 프탈레이트 함량이 기준치보다 훨씬 낮은 극미량이라고 한다. 하지만 이에 대한 경계를 게을리 해선 안 된다. 염전 주변의 기온이 상승하면 비 닐 장판에서 프탈레이트가 다량 용출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이런 문제는 농림수산식품부 단독으로 다 해결하려고 해서는 힘이 부칠 수 있다. 농식 품부는 관련 산업의 육성을 더 우선하는 경제부처이기 때문이다. 식품의약품안전청 등과 함께 머리를 맞대고 천일염의 위생관리에 만전을 기해야 한다.

둘째, 정제염 등 기존의 일반 소금과 지나치게 각을 세우면 둘 다 죽는다. 서로의 존 재와 필요성을 인정하면서 윈윈하는 방법을 찾아야 한다.

그렇잖아도 소금에 대한 일반인의 시선이 곱지 않다. 천일염과 정제염, 두 소금이 서 로 완승을 거두려 하면 할수록 소비자와의 거리는 더 멀어질 것이 뻔하다. 두 소금은 장 점과 단점을 서로 나눠 갖는 소금이니 만큼 적절한 중재 노력이 없으면 이전투구로 갈 가능성은 충분하다.

현재는 천일염과 정제염의 가격 차이가 거의 없다. 그래서 서로 더 치열하게 부딪친다. 타깃으로 하는 소비자가 거의 같기 때문이다. 두 소금의 가격 차이를 현재보다 크게 벌리는 방안도 있다. 소비자들이 막연히 두려워 하는 위생·안전 문제를 해소한(관리를 보다 철저히 해서) 명품 안전 천일염을 생산한다 면 가격을 지금보다 올리더라도 소비자는 그 비용을 기꺼이 지불할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국산 천일염의 가격은 게랑드 소금과는 비교가 되지 않을 정도로 낮다. 이는 국 산 천일염의 가치를 스스로 내리깎는 행위라고도 볼 수 있다. 천일염과 정제염이 서로 다른 소비자를 겨냥한다면 공존이 쉬워진다. 단 생수와 수돗물의 관계에서처럼 소비자의 위화감 문제가 뒤따를 수 있다.

셋째, 포도주의 성공 사례를 벤치마킹해야 한다.

천일염 세계화 포럼

109


포도주가 세계인의 사랑을 받게 하는데 프렌치 패러덕스와 라스베라트롤이란 두 단어 가 절대적인 기여를 했다. 프렌치 패러덕스는 포도주를 즐기는 프랑스인이 같은 서구인 인 미국·영국인보다 심장병 사망률이 절반에 불과한 것을 뜻한다. 자연스레 포도주에 웰빙·건강 이미지가 심어졌다. 라스베라트롤은 포도주에 든 항산화 성분의 하나다. 포 도주 외에도 라스베라트롤이 든 식품은 땅콩 등 오만가지인데 사람들의 뇌 속에 포도주 와 라스베라트롤만을 각인시켰다.

포도주 수출국 학자들은 포도주에 든 라스베라트롤의 웰빙 효과를 증명하는 연구들을 쏟아내 간접 지원했다. 천일염을 연구하는 국내 학자들의 몫이다.

넷째, 대국민 홍보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천일염을 6대 전통식품으로 정한 만큼 정부 가 천일염 띄우기에 더 큰 관심을 가져야 한다. 현재 천일염 업계는 대부분 영세한 규모 여서 홍보나 광고를 할 능력이 불충분하다.

농식품부 등이 주도해서 천일염이 어떤 소금이고, 왜 우리가 소중하게 여겨야 하는지 를 신문·방송 등 미디어에 적극 알려야 한다. 홍보비용이 든다면 정부 예산에 반영할 필요가 있다. 공짜 홍보는 없다. 외국 언론을 적절히 활용하는 방안도 있다. 김치가 미국 의 ‘헬스’(Health)지에 세계 5대 식품으로 선정된 뒤 엄청난 홍보효과를 얻은 적이 있다.

다섯째, 올해부터 본격 시작된 식생활 교육과 연계하는 것도 방법이다. 천일염의 고향 인 갯벌은 우리 국민에게 정서상 친근한 존재이다. 초등학교 어린이들을 갯벌에 초대해 갯벌체험을 하게 하면서 염전·천일염과 직접 만나게 하는 방안도 고려할만 하다.

긴 안목에서 본다면 미래의 소비자를 확보하는 훌륭한 마케팅 기법이 될 수 있다. 주 부들 대상 갯벌 투어는 현재 소비자에게 천일염에 대한 인식을 호의적으로 바꾸는데 기 여할 것으로 여겨진다.

천일염의 세계화는 지원(육성)·위생·웰빙 성분이라는 ‘삼두마차’가 이끌어야 순탄하게 앞으로 나갈 수 있다.

110

천일염 세계명품화를 위한 세미나


토․론․문 바이오테크(주) 사장 조 건 식

천일염 세계화 포럼

111



Profile

조건식 경력 대우조선공업주식회사 효성금속공업주식회사 바이오테크(주)

천일염 세계화 포럼

113


천일염 산업 발전을 위한 천일염의 고부가가치 창출 방안 바이오테크(주) 사장 조건식

1. 바이오테크(주)의 항고혈압소금 개발 1) 배경 1995년 목포대학교 식품공학과 박현진 교수(현 고려대 식품공학과 교수), 정순택 교수 와 신부전증 환자와 고혈압 환자가 먹을 수 있는 소금을 개발하기 위해 키토산 수용액에 천일염을 용해시킨 뒤 목포대 실험실에 있는 분무건조기를 활용하여 키토산과 소금이 이 온 결합된 소금의 개발. 그 후, 목포대 강성국 교수를 통해 항균 특성에 대한 실험을 거쳐 충치균의 번식 억제 기능을 확인하였으며, 김인철 교수를 통해 ACE 활성을 저해 하는 것을 확인하여, 동신 대 보건대학의 김계엽 교수를 통해 보통쥐와 선천성 고혈압 쥐에 있어서 혈압저하 효과 를 실험하였다. 이러한 일련의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2003년 3월 12일 KBS와 MBC의 뉴스를 통해 국내외에 소개되면서 항고혈압소금(Anti Hypertension Salt)가 탄생하였다. 이후, 목포시의 연구비 지원을 받아 목포대 함경식 교수에게 건강한 성인 남녀의 혈압 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ACE(Angiotensin Converting Enzyme)의 활성에 많은 영향을 주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것은 동물과 인간이 같은 활성을 보여주는 것으로 항고 혈압소금의 개발에 자신감을 주는 결과였다. 이와 같은 연구 성과를 체계적으로 확립하기 위해 바이오테크(주) 중소기업 기술개발 사업과 지역혁신 인력양성사업을 수행하면서 서울대 수의대 박재학 교수팀과 매우 흥미 로운 실험을 하였다. 일반인들이 고혈압에 좋은 소금으로 널리 알려진 저나트륨 소금과

114

천일염 세계명품화를 위한 세미나


당사의 항고혈압소금을 선천성 고혈압쥐에 투여한 결과 저나트륨 소금은 정제염과 같이 높은 혈압 상승을 보여 주었지만 천일염을 이용한 항고혈압 소금은 매우 낮은 혈압상승 을 나타냈다.(대한수의학회 영문판 - Vol.10,No.2.2009 발표)

2) 성과 바이오테크(주)의 항고혈압소금은 국제 맨발의사회(Barefoot Doctors)와 파트너십을 갖고 유럽지역에서 의사처방전에 의해 2005년부터 판매를 시작하여 현재 유럽, 중동, 아프리카, 북미지역 등 세계 50여개국가에서 판매되고 있으나, 아직까지 국가로부터 공 인을 받지 않는 상태에서 판매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대응하기 위해, 바이오테크(주)는 2009년 농림수산식품부의 지원을 받아 프랑스 에서 고혈압 환자를 상대로 하는 인체 임상 3상을 수행하고 있다. 인체 임상 실험에서 엄격하고 까다롭기로 유명한 프랑스 정부의 임상승인을 거쳐 윤리위원회의 심의를 통과 한 항고혈압소금은 고혈압 환자 남녀 40명을 상대로 임상실험을 수행하여 2010년 8월 이내에 실험을 완료할 계획이다.

3) 향후 계획 2010년 9월중으로 프랑스 보건당국에 임상완료 보고를 하면서 대조구 대비 10% 혈 압개선이 확인될 경우 프랑스와 EU 정부에 Health Claim을 신청하여 혈압강하소금이 라는 건강기능 표시를 소금포장지와 이 소금을 이용한 모든 식품의 포장지에 기능을 표 시할 수 있다. 세계적 식품 기업인 네슬레, 다농 등과 협력할 것이며, 캐비어와 프아그라 등 고급식 품가공에 사용될 것이다. 단계적으로 Eu 27개국을 선두로 미국, 일본, 캐나다 등 OECE 국가 등에 Health Ⓡ”의 확산에 노력할 것이다.

Claim을 신청하여 항고혈압소금 “ 한국특허 : 0520007 미국특허 : US 7,335,766 B2 유럽특허 : EP 1 631 155 B1 세계상표등록 :

천일염 세계화 포럼

115


2. 국산천일염의 고부가 식품 개발 1) 갑상선기능 항진증 환자용 소금 : 갑상성 기능 항진증에는 요오드가 첨가된 천일염 을 먹을 수 없다. 천일염을 고온으로 처리하여 요오드를 제거하여 20만명에 이르는 국내 수요를 적절히 대응할 수 있을 것이다. 2) Cortisone 장애개선 소금 : Cortisone은 인체의 부신피질 호르몬으로 항염증 치 료 기능을 담당하는 물질이다. 국내 뿐 아니라 유럽, 구미지역에는 성인 인구의 20% 정도가 Cortisone 분비장애로 합성의약품을 먹고 있는데 부작용으로 소금이 나 소금이 함유된 식품을 먹게 되면 몸이 풍선처럼 부어온른다. 이러한 Cortsone 장애개선용 소금을 개발하면 확실한 시장을 확보할 수 있다. 3) 골다공증 개선 소금 : 소금에 다량 함유되어 있는 Cl- 이온은 체내로 흡수되었다 가 오줌으로 빠져나오면서 Ca+ 이온과 결합하여 배설되면서 골다공증을 유발시킨 다. 골다공증 개선에 도움이 되는 소금을 개발한다면 충분하고 확실한 시장을 확보할 수 있다. 4) 관절질환개선용 소금 : 영국의 엡숀 소금은 목욕용 소금으로 널리 알려진 소금으로 소금 속에 황산마크네슘 성분이 2% 가량 함유되어 있다. 버밍험 대학의 연구 자료 에 의하면 반신욕을 하였을 경우 무릎 관절에 황산 콘드로이친 합성을 유도하여 관 절의 개선에 많은 도움을 주는 것으로 밝혀졌다. 5) 당뇨질환 개선용 소금 : 갯벌천일염의 다양하고 풍부한 미네랄 성분은 인슐린 분비 의 대사 작용에 관여하여 당뇨질환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3. 고부가 식품 산업 발전을 위한 가공 산업과 마케팅 지원 1) 고부가 가공산업 지원 : 천일염 산업의 기반조성을 위한 산지처리장, 염전시설개선, 포장지 지원 등의 지원은 매년 지원되고 있지만, 천일염 가공 산업에 대한 지원책 이 매우 부전하다. 소금을 선별, 가공, 건조하여 고부가 식품산업으로 전환하기 위 해서는 식품 제조기 설비 분야가 발전되어야 한다. 우리나라의 식품 제조 기계 기 술 분야는 선진국의 40% 수준에 불과하며 특히, 소금관련분야는 매우 영세하다.

116

천일염 세계명품화를 위한 세미나


소금의 기초 연구와 천일염 기반 조성에 발맞춰 천일염 가공 산업이 육성 발전되어야 고부가 수출상품으로 다시 태어날 수 있다. 예를 들면, 소금 건조기의 경우 시멘트 공정에서 사용되는 로타리 킬른을 사용함으로 항상 다이옥신에 노출될 수 있으며, 최근 세라믹히타를 이용한 공기전도에 의한 건조기 가 보급되고 있지만 에너지 효율면에서 20~30%의 매우 비효율적인 설비이다. 이러한 가공 산업 육성을 위한 제도적 보완이 있어야 할 것이다. 2) 국제 소금 페스티벌 : 전남도가 주관하고 있는 국제 소금 페스티벌을 정부 주도형 행사로 추진하여 한국산 소금의 명품화 고급화의 계기로 삼아야 하며, 부속 행사로 국제적 소금 연구가, 요리사 등을 초청하여 국제 심포지움, 요리대회 등을 추진하 여 한국산 소금의 해외마케팅의 초석이 되어야 할 것이다. 3) 세계식품박람회 참가 : 국제적으로 널리 알려진 식품 박람회에 한국소금 홍보를 위 한 전시관을 운영하여야 할 것이다.

천일염 세계화 포럼

117



토․론․문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연구위원 최 병 옥

천일염 세계화 포럼

119



Profile

최병옥 경력 2002.2 고려대학교 농업경제학 석사 2006.3 일본 츠쿠바 대학교 농산물 유통경제학 박사 2007.12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업관측정보센터 과채팀 팀장 현재)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식품정책연구본부 부연구위원

천일염 세계화 포럼

121


천일염 생산자 조직정비 및 유통구조 개선을 위한 제안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최병옥 연구위원

천일염 산업은 ‘광물’로 분류되어 지식경제부 소관으로 분류되어 있었지만 2008년 3월 ‘염관리법’이 개정되어 식품으로 분류되면서 주무부처가 농림수 산식품부로 변경되었음. ○ 천일염이 광물로 분류되었을 때는 정부의 육성 방안이 산업 활성화 차원에 중점을 두고 있었기 때문에 생산자 관련 조직 육성이 주된 과제로 대두되었음. ○ 그러나 천일염이 식품으로 전환되면서 생산자 관련 조직 육성뿐만이 아니라 안전 성 관리, 천일염 부가가치 향상, 자연경관 보존 및 관광 자원화, 한식세계화 전략 등 다양한 부분에서 발전방안을 마련하고 체계적인 육성방안이 필요한 실정임.

국내 천일염은 세계적 명품 소금으로 인정받고 있는 프랑스, 호주 및 멕시 코, 일본 등보다 염화나트륨 함량이 낮고 미네랄 함량이 풍부하여 부가가치 창출이 용이한 장점이 있음. ○ 국내 천일염은 프랑스의 ‘게랑드’, 일본의 ‘오키나와 소금’ 등보다 덜 짜고 미네랄 (칼슘, 칼륨, 마그네슘) 함량이 풍부하지만 천일염의 건강 성분이 홍보되지 않아 국내외 시장에서 가치를 제대로 평가받지 못하고 있음. ○ 국내 유명 백화점에서는 프랑스 게랑드산 소금의 소비자 판매가격이 54,000원/kg 에 육박하지만 국내 천일염은 1,100원/kg 수준으로 약 50배의 가격차이가 발생하 고 있어 천일염의 부가가치 창출을 위한 다양한 육성 방안이 요구되는 시점임.

그러나 천일염 산업은 생산자 규모가 영세하거나 조직화 기반이 구축되지

122

천일염 세계명품화를 위한 세미나


않아 유통 및 가공, 소비, 내수 및 수출 등의 부분에서 부가가치 창출에 한 계를 나타내고 있음. ○ 천일염 생산 부문은 개별 생산자 규모가 영세(1996년 허가업체당 단위면적이 6.1ha이던 것이 정부의 구조조정 이후인 2007년에는 3.7ha로 크게 줄어듬)하고 생산자 조직화 및 결속력이 이루어지지 않아 개별적인 시장대응을 실시하고 있어 유통과정에서 창출되는 부가가치가 생산자 소득으로 환원되지 못하고 있음. 또한 해주창고의 지붕과 염전 바닥에 사용되고 있는 장판에서 환경호르몬 검출로 식품 안전성 문제도 제기되고 있는 상황임. ○ 유통 및 가공부문에서는 체계적인 유통단계가 구축되지 않아 생산자가 판매를 상 인이나 직거래에 의존하고 있음. 천일염을 상인에게 판매할 경우 가격 협상과정 에서 정보의 비대칭, 열악한 협상력 등의 요인으로 적정가격을 수취하기 어려운 구조임. 또한 중국산 소금이 국산 천일염으로 둔갑 판매되지 않도록 이력 추적제의 도입 등이 필요함. 이 밖에도 HACCP 수준의 염전과 해수의 위생관리 등을 통하여 소 비자 신뢰를 확보할 필요가 있음. ○ 소비부문은 국내 천일염이 해외 유명 소금에 비교하여 품질의 우수성이 소비자에게 인식되어 소비촉진과 연계될 수 있도록 홍보 및 소비촉진 활성화 방안이 요구됨. ○ 수출부문과 같은 경우는 주변국 일본, 중국 등을 비롯하여 수출시장을 대상으로 국 내 천일염의 우수성을 널리 홍보하여 수출시장을 개척하여야함.

국산 천일염 산업 경쟁력 강화로 국내외에서 인정받는 명품 천일염으로 육 성하기 위해서는 천일염 생산자 조직의 조직화를 바탕으로 식품이 갖춰야 할 안전성을 확보하고 각 부문별 적정 추진체계를 확립·연계 방안을 구축 하여야 함. ○ 천일염 생산자가 강력한 조직화가 구축되었을 때 생산, 유통 및 가공, 소비, 수출 등의 분야에서 각각의 활동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져 천일염의 부가가치가 극대화 될 수 있음. ○ 그러나 현재 천일염 생산자의 조직화 기반이 부실하고 천일염 산업을 구성하는 각

천일염 세계화 포럼

123


부문의 현황은 관련 자료 및 연구 실적이 부족하여 천일염 산업 특성에 적합한 추 진구조를 확립하는데 한계가 있음. ○ 향후 국산 천일염 산업이 사양산업에서 세계 명품산업으로 진화하기 위하여 천일 염 생산자의 조직화를 바탕으로 ‘산-학-연’을 연계할 수 있는 추진 체계가 확립되 어야 함.

현재 농림수산식품부에서는 28개 품목 대표조직을 육성하여 “정부-품목 대 표조직-생산자”를 연계하는 체계를 구축하고 있음. ○ 품목 대표조직은 생산자가 현장에서 느끼는 문제점을 직접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대책이 부족하여 “생산자 스스로의 문제점을 인식하고 생산자 스스로 이를 해결할 수 있는 구조를 확립”하는 관점에서 28개 품목 대표조직을 추진하고 있음. ○ 품목 대표조직의 기본 조건은 해당 품목의 가치사슬(Value Chain) 분석 및 중· 장기 발전방안이 수립되고 품목의 구성원이 전체 생산량의 50%이상인 조직으로 한정하고 있음. ○ 향후 농림수산식품부는 정부정책 사업을 대표조직을 통하여 실시하는 방안을 검토 하고 있으며 해당 품목의 경쟁력 강화를 위하여 자조금 조성, 수출 활성화, 수급조 절, 마케팅 컨트럴 타워 구축 등의 체계적 육성방안을 제시하고 있음.

천일염도 정부의 세계 명품산업으로 거듭나기 위해서는 정부의 체계적 육성 방안에 적합한 생산자 조직화를 바탕으로 각 부문별 적합한 추진구조를 갖 춰야 함. 그러므로 천일염 생산자의 강력한 조직화를 바탕으로 “천일염 대표 조직”이 추진되어야 함. ○ 천일염 생산자는 규모가 영세하고 조직화가 미비한 단점이 있음. 그러나 대한염업 조합 또는 기존의 법인 위주로 조직체계를 재정비 하여 전체 생산량 50% 이상을 확보하여 “천일염 대표조직”을 추진할 수 있음. ○ 천일염 생산자의 조직화를 바탕으로 “천일염 대표조직”을 추진하고 생산, 유통, 가 공, 내수, 수출, R&D 등의 분야에서 생산자가 당면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생 산자, 산업계, 학계, 연구소 등이 협력체계를 구축하여야 함.

124

천일염 세계명품화를 위한 세미나


○ 천일염 생산자도 정부에 일방적으로 의존하는 태도보다는 “스스로의 문제를 스스로 해결하여야 한다는 태도”로 자조금을 조성하여 천일염 산업을 활성화 시킬 수 있는 분야에 사용하여야 함. ○ 현재 천일염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증대되고 천일염 포럼 창설을 계기로 국회, 행 정부, 학계, 산업계 등에서 천일염 산업 육성 및 부가가치 창출을 위해 다양한 아 이디어를 모으고 있음. 이를 계기로 국내산 천일염이 세계 시장에서 “명품산업”으 로 성장할 수 있기를 기대함.

천일염 세계화 포럼

125



천일염 세계화 포럼

127


󰡔천일염 세계화 포럼󰡕 향후 활동 계획

운영방향 ○ 국회·정부·지자체, 관련업계 종사자, 각계 전문가 등이 함께하는 “열린 포럼” 으로 운영 ○ 인프라 및 제도개선분야, 천일염 유통·가공, 마케팅, 수출, 한식 세계화 및 관 광연계 분야 등에서 세미나, 토론회, 공청회, 간담회 등의 의견수렴을 거쳐 정 책대안 제시 및 관련 법률안 발의 등 ○ 포럼 활동의 효율화를 위하여 사단법인화 추진 검토

활동내용 ○ 천일염 생산시설 및 염전 주변 환경 개선 ○ 천일염 포장재 및 유통구조 개선 ○ 천일염 이력관리 제도 ○ 천일염 펀드 조성 ○ 천일염 우수성 홍보 및 마케팅 전략 수립 ○ 천일염 국제 경쟁력 강화 및 수출전략 수립 ○ 천일염과 한식세계화의 연계 전략 연구 ○ 천일염을 이용한 가공식품 개발 및 제품 개발 ○ 천일염 생산자조직 개선 및 강화 ○ 염전을 이용한 관광 코스·상품 개발 ○ 천일염 법률안 정비 및 제도개선 등

128

천일염 세계명품화를 위한 세미나


제 1 주제

1. 연구 주제 가. 천일염 생산시설 및 염전 주변 환경 개선 나. 천일염 생산자의 식품 안전성 의식 제고

2. 연구 목적 국산 천일염은 간장·된장·고추장 등 각종 장류와 김치, 젓갈 등의 식품을 만드는데 사용되고 그 자체가 식용으로 이용되어 왔음에도 1963년 염관리법 제정 이후 45년간 법적으로 광물로 분류되었다가 2008년에서야 식품으로 인정받게 되었음. 국산 천일염이 오랜 기간 광물로 분류되어 국산 천일염의 생산시설 및 염전 주변 환경 이 위생적인 소금을 생산하기에 취약하며 천일염 생산자들의 식품안전에 대한 의식이 낮 은 상황임. 생산시설의 경우 염전 결정지 바닥이 환경호르몬이 우려 되는 PVC 장판으로 되어 있고, 소금창고 및 해주의 벽면과 지붕이 석면이 함유된 슬레이트나 녹슨 양철인 상태임. 또 일부 염전의 경우에는 폐기물과 생활쓰레기 등이 염전 주변에 산재하고 있음 에도 생산자들이 별다른 조치 없이 이를 방치하고 있는 실정임. 이에 따라 천일염이 식품으로서 위생 및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생산시설 및 염전 주변 환경을 개선하고 천일염 생산자들의 식품 안전에 대한 의식을 제고하고자 함.

3. 연구활동내용 (1) 천일염 생산시설 및 염전 주변환경의 문제점 및 개선방향 (2) 천일염 생산시설 및 염전 주변환경 개선을 위한 필요자금 규모 및 재원 조달 방안 (3) 천일염 생산기반인 갯벌 보호방안 모색 (4) 천일염 생산자들의 식품안전에 대한 의식 제고 방안 제안

천일염 세계화 포럼

129


4. 연구방법 (1) 천일염 위생 및 안전성에 대한 연구 조사 (2) 천일염 생산지 방문을 통한 현지 실태 조사 (3) 생산시설 등에 대한 외국 사례 조사 및 비교 검토 (4) 정부·지자체의 생산시설 개선책에 대한 검토 (5) 생산시설 및 염전 주변환경 개선안 마련을 위한 공청회 (6) 천일염 생산자들의 식품안전의식 서베이 (7) 천일염 생산자들의 식품안전의식 제고를 위한 전문가 좌담회 (8) 공공 보조·융자 이외의 생산시설 개선을 위한 민간자본 유치 방안 도출

130

천일염 세계명품화를 위한 세미나


제 2 주제

1. 연구 주제: 천일염 포장재 및 유통구조 개선 2. 연구 목적 국산 천일염 포장재의 경우 최근 출시되는 몇몇 제품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30kg 단위 의 PP포대가 사용되고 있어 미관상 소금의 질이 떨어져 보이게 하며 생산 및 유통과정 중 포대의 잉크가 소금에 스며들거나 외부의 빗물이나 불순물이 소금에 스며드는 위생 문제가 발생하고 있음. 또 국산 천일염의 유통은 유통단계가 복잡하여 과다한 유통비용이 발생하고 있으며, 중간도매상들이 유통과정을 주도하고 있는데 일부 중간도매상들이 시장지배력을 이용하 여 생산자간 가격경쟁을 통하여 산지가격을 조절하거나 보관중인 물량을 이용해 시장가 격을 조정하는 등 천일염 유통구조를 왜곡시키고 있음. 이에 따라 천일염의 위생과 상품성이 제고될 수 있도록 천일염 포장재를 개선하고, 천 일염의 유통구조를 개선하여 천일염 산지가격 및 소비자가격의 안정화를 기하고자 함.

3. 연구활동내용 (1) 천일염 포장재의 문제점 및 개선방향 (2) 천일염 유통구조의 문제점 및 개선방향

4. 연구방법 (1) 천일염 포장재 및 유통구조에 대한 연구 조사 (2) 천일염 생산지 및 소비지 방문을 통한 현지 실태 조사 (3) 천일염 포장재 및 유통구조에 대한 외국 사례 조사 및 비교 검토 (4) 천일염 포장재 디자인에 대한 전문가 좌담회 (5) 천일염 유통구조 개선안 마련을 위한 공청회

천일염 세계화 포럼

131


제 3 주제

1. 연구 주제: 천일염 이력관리제도 2. 연구 목적 품질이 낮고 값싼 중국산 수입 천일염이 속칭 포대갈이 등을 통해 국산 천일염으로 시 장에서 유통되고 있는 실정임. 그러나 현재의 연구기술로는 시장에서 유통 중인 중국산 수입 천일염과 국산 천일염을 한우와 수입쇠고기의 DNA 검사처럼 정확히 구별하기에는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중국 산 수입 천일염과 국산 천일염을 완벽히 변별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되기 전까지는 철저 한 원산지표시제도와 이력관리제도가 시행되어야 함. 이에 따라 천일염에 대한 원산지표시제도와 이력관리제도를 강화하고 수입산과 국산 천일염을 구별할 수 있는 검사기법을 연구·개발하고자 함

3. 연구활동내용 (1) 천일염 원산지표시제 및 이력관리제의 문제점 및 개선방향 (2) 국산 및 수입산 천일염 구별 기술에 대한 현황 및 개선방향

4. 연구방법 (1) 천일염 원산지 둔갑행위 등에 대한 실태 조사 (2) 천일염 원산지표시제 및 이력관리제에 대한 세미나 (3) 국산 및 수입산 천일염 구별 기술 개발에 대한 전문가 좌담회 (4) 국산 및 수입산 천일염 구별 R&D

132

천일염 세계명품화를 위한 세미나


제 4 주제

1. 연구 주제: 천일염 펀드 조성 2. 연구 목적 천일염 산업을 정부 보조금이나 융자로 육성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민간자본 시장의 투자가 필요함 천일염 펀드 등을 조성하여 민간 자본이 천일염 및 관련 산업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고자 함.

3. 연구활동내용 (1) 천일염 산업에 대한 민간 자본 투자 방안 모색 (2) 천일염 펀드 조성 방안 모색

4. 연구방법 (1) 천일염 산업 육성을 위한 투자규모 및 재원 조달 방안에 대한 전문가 좌담회 (2) 천일염 펀드 등 천일염 산업에 대한 민간 자본 투자 방안 연구 및 정책 대안 제시

천일염 세계화 포럼

133


제 5 주제

1. 연구 주제: 천일염 우수성 홍보 및 마케팅 전략 2. 연구 목적 우리나라 천일염이 우수한 성분에도 불구하고 프랑스 게랑드 천일염에 비해 낮은 가격 에 판매되고 있는 주된 이유는 홍보 부족 및 마케팅 전략·기법 부족 때문임. 효과적인 마케팅 전략 수립과 기법 사용으로 우리나라 천일염의 우수성을 국·내외에 널리 알리고자 함.

3. 연구활동내용 (1) 국내 및 세계시장에서의 국산 천일염 인지도 제고 방안 모색 (2) 국산 천일염 홍보를 위한 효과적인 마케팅 전략 및 기법 수립·시행

4. 연구방법 (1) 천일염 인지도에 대한 설문 조사 (2) 효과적인 천일염 홍보에 대한 전문가 좌담회 (3) 천일염 마케팅 전략 및 기법에 대한 연구 용역 (4) 천일염 홍보에 있어 공공부문과 민간부분의 역할분담에 대한 연구 및 대안제시

134

천일염 세계명품화를 위한 세미나


제 6 주제

1. 연구 주제: 천일염 국제경쟁력 강화 및 수출 전략 2. 연구 목적 세계시장에서 국산 천일염은 인지도가 낮으며 뛰어난 품질에도 불구하고 프랑스 게랑 드 천일염보다 저가에 유통되고 있음. 국제경쟁력 강화 방안 및 수출활성화 전략을 모색하여 국산 천일염의 수출 진작으로 새로운 국익 창출 및 관련 산업과 종사자의 소득 확대에 기여하고자 함

3. 연구활동내용 (1) 국산 천일염 국제경쟁력 강화 방안 및 수출 전략 모색

4. 연구방법 (1) 국산 천일염의 세계시장 위상 등에 대한 실태 조사 (2) 세계시장에서의 국산 천일염 인지도 제고 및 국제경쟁력 강화 방안에 대한 세미나 (3) 국산 천일염 수출전략에 대한 관련 종사자 및 전문가 좌담회 (4) 정부의 국산 천일염 수출지원 정책에 대한 검토

천일염 세계화 포럼

135


제 7 주제

1. 연구 주제: 천일염의 한식세계화와의 연계 전략 2. 연구 목적 한식의 기초는 된장, 고추장, 간장과 같은 장류 및 김치이며 이런 전통발효식품의 근 간이 바로 천일염임. 한식세계화를 추진함에 있어 ‘전통 한식의 깊은 맛은 우리나라 천일염을 사용하였을 때만 우러나온다’는 인식을 세계인에게 심는다면 한식세계화의 성공이 곧 천일염의 세계 화가 될 수 있을 것임. 이에 따라 한식세계화와 연계한 천일염의 세계화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함

3. 연구활동내용 (1) 한식세계화와 연계한 천일염 세계화 방안 모색

4. 연구방법 (1) 국산 천일염을 사용한 한식과 기타 다른 소금을 사용한 한식의 맛, 선호도 등에 대한 조사 (2) 세계적인 한식 요리사 및 한식당, 미식가, 음식평론 언론 등에 대해 국산 천일염 을 사용해야만 정통 한식이 될 수 있음을 홍보 (3) 국산 천일염을 사용한 한식 홍보행사 개최 (4) 정부의 한식세계화 정책과 연계한 국산 천일염 세계화 정책 제시

136

천일염 세계명품화를 위한 세미나


제 8 주제

1. 연구 주제: 천일염 가공 식품 및 제품 개발 2. 연구 목적 현재 천일염의 사용은 식품 사용에 집중되어 있음. 여러 연구들에 따르면 천일염이 고 혈압 등의 치료에 효과가 있다고 함. 이에 따라 식용 천일염을 뛰어넘어 천일염을 이용한 다양한 가공식품과 제품을 개발하 여 천일염 부가가치 창출에 기여하고자 함.

3. 연구활동내용 (1) 천일염 가공식품의 가능성 진단 및 개발 방안 모색 (2) 천일염을 이용한 기능성 제품 등의 가능성 진단 및 개발 방안 모색

4. 연구방법 (1) 천일염 가공식품의 현황 및 개발방향, 정부 지원 등에 대한 전문가 좌담회 (2) 천일염을 이용한 기능성 제품의 현황 및 개발방향, 정부 지원 등에 대한 전문가 좌 담회 (3) 천일염을 이용한 기능성 제품 및 천일염 가공식품에 대한 제도적 정비

천일염 세계화 포럼

137


제 9 주제

1. 연구 주제: 천일염 생산자조직 개선 및 강화 2. 연구 목적 프랑스 게랑드 천일염이 세계 제1의 천일염이 된 것은 천일염 생산자 조직이 결성되어 품질관리, 생산기술 전수, 생산비용 절감, 상품 다양화 등을 위해 노력하였기 때문임. 현재 우리나라 염업조합은 프랑스 게랑드 천일염 생산자조직과 비교하여 여러 방면에 서 미비한 점이 있음. 이에 따라 우리나라 염업조합 및 생산자 조직의 개선과 강화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함

3. 연구활동내용 (1) 염업조합 및 생산자 조직의 개선과 강화방안 모색

4. 연구방법 (1) 해외 천일염 생산자 조직에 대한 비교 연구 (2) 우리나라 염업조합 및 생산자 조직 현황에 대한 조사 및 전문가 좌담회 (3) 우리나라 염업조합 및 생산자 조직 개선 및 강화방안 제시

138

천일염 세계명품화를 위한 세미나


제 10 주제

1. 연구 주제: 해양과 갯벌 보호 2. 연구 목적 미네랄이 풍부하고 청정한 갯벌이 품질이 뛰어난 국산 천일염 생산의 기초가 됨. 지난 허베이 스피릿호 기름 유출 사고처럼 천일염 생산 기반인 해양과 갯벌이 오염되면 천일 염의 생산, 위생 등에 심대한 영향을 미침 이에 따라 천일염 생산의 기반이 되는 해양 및 갯벌의 보호와 유사시를 대비한 갯벌 및 염전 보호장치 설치를 통해 지속적인 천일염 생산기반을 구축하고자 함

3. 연구활동내용 (1) 해양과 갯벌 보호 방안 모색 (2) 기름 유출사고와 같은 유사시를 대비한 대비책 모색

4. 연구방법 (1) 해외 염전관련 해양 및 갯벌 보호 정책에 대한 조사 (2) 보호지역 지정 등 해양과 갯벌 보호 정책에 대한 연구 및 대안 제시 (3) 기름 유출사고 발생에도 안전한 천일염 생산이 가능한 방안을 도출하기 위한 전문 가 좌담회 및 대안 제시

천일염 세계화 포럼

139


제 11 주제

1. 연구 주제: 천일염·염전·갯벌의 관광자원화 2. 연구 목적 품질로만 놓고 비교했을 때 비슷한 수준의 소금이 적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프랑스 게 랑드 천일염이 세계 최고의 소금으로 평가받는 데는 게랑드 지역의 ‘생태관광 코스’ 마케팅의 역할이 컸음. 람사르 조약의 습지보호지역으로 지정된 청정 환경의 갯벌과 전통생산 방식을 이어오 고 있는 염전, 고품질의 천일염을 결합한 ‘게랑드 에코 투어’가 년간 150만명의 관광 객을 유인하면서 관광수입증대와 게랑드 소금 홍보 효과를 거두고 있음. 우리나라도 리아스식 해안의 절경과 어울린 갯벌 및 염전, 고품질의 천일염을 결합시 킨 생태관광 코스 상품을 개발한다면 우리나라 천일염 홍보와 관광수입 증대라는 일석이 조의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임 이에 따라 생태, 환경 및 천일염을 결합한 관광상품 개발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함.

3. 연구활동내용 (1) 천일염·염전·갯벌의 관광자원화

4. 연구방법 (1) 선진사례에 대한 비교 연구 (2) 프랑스 게랑드 등 선진지역 및 우리나라 염전지역 현지 조사 (3) 천일염·염전·갯벌의 관광자원화를 위한 대안 제시

140

천일염 세계명품화를 위한 세미나


Issuu converts static files into: digital portfolios, online yearbooks, online catalogs, digital photo albums and more. Sign up and create your flip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