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2418A

Page 1

Saturday, November 24, 2018

<제4135호> www.newyorkilbo.com

THE KOREAN NEW YORK DAILY

제보·문의 대표전화 (718) 939-0900

11월 24일(토) 최고 49도 최저 45도

맑음

2018년 11월 24일 토요일

11월 25일(일) 최고 53도 최저 43도

11월 26일(월) 최고 52도 최저 40도

11월 24일 오후 2시 기준(한국시각)

1,132.50

1,152.31

1,112.69

1,143.50

1,121.50

1,146.09

1,120.20

美경제성장률, 내년 2.4%로 둔화 2020년엔 경기침체 가능성 크다 이코노미스트 10명 설문

메이시스 퍼레이드 손오공 풍선 등장… 117년만의 추위에도 구경꾼 350만명 미국 최대 명절 추수감사절의 명물인‘메이시스 퍼레이드’ 가 22일 ‘ 뉴욕 맨해튼에서 열렸다. 올해로 92년째다. 이날 뉴욕시는 화씨 19도(섭씨 영하 7.2도)까지 내려갔다. 지난 1901년 이후 117년 만의 가장 쌀쌀한 추수감사절이다. 미 국립기상청(NWS) 뉴욕지부는 트위터를 통해“역대 추수감사절 날씨로는 1876·1901년과 더불어 두 번째로 추운 기록” 이라고 밝혔다. 가장 추 운 추수감사절 기록은 1871년으로, 당시 화씨 15도(섭씨 영하 9.4도)까지 떨어졌다고 NWS 뉴욕지부는 설명했다. 이와 같은 맹추위 속에서도 두꺼운 옷과 목도리, 장갑, 담요 등으로 중무장 한 시민과 관광객 약 350만 명이 운집했다. 이날 메이시스 퍼레이드에 올해 처음으로 등장한 대형 손오공 풍선. ▶ 관련 기사 A3(종합)면

‘블랙 프라이데이’뉴욕 맨해튼 거리. 세일광고가 넘쳐난다.

뉴욕 타겟의 쇼핑객.

美경제, 추수감사절 경기 좋았으나 그 이후엔‘내리막’ ‘블랙프라이데이 美 연말 폭풍쇼핑 개시…“온라인쇼핑 29%↑” 미국 소비자들이 추수감사절과 그 다음날 블랙프라이데이로 본격

화한 연말 쇼핑시즌을 맞아‘폭풍 쇼핑’ 에 들어갔다. 경제매체 마켓 워치는 23일 온라인 유통 분석업체 ‘어도비 애널리틱스’ 를 인용해 전 날 추수감사절 온라인 매출이 당일 오후 5시 기준 17억5천만 달러를 기 록, 작년 같은 기간보다 28.6% 급증 했다고 보도했다. 추수감사절 당일 쇼핑을 위한 휴대전화 트래픽이 크 게 증가한 반면, 매출 측면에서는

여전히 데스크톱을 통한 결제가 우 위를 유지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어도비 애널리틱스는 전날 휴대 전화 트래픽 비중은 54.4%를 차지 했으며, 휴대전화로 결제된 비중은 36.7%를 기록했다고 전했다. 데스크톱 트래픽 비중은 작년의 44.3%에서 36.5%로 떨어졌지만 이 를 통한 결제 비중은 52.8%를 나타 냈다. 태블릿 PC의 트래픽은 지난

해 9.6%에서 9.1%로 낮아졌고, 결 제 비중은 10.5%를 차지했다. 어도비 애 널리틱스는 지난 1일부터 22일까지 온 라인 매출이 작 년 보 다 18.6% 증가한 380억 달러에

트럼프 행정부의 감세 등 경기 부양 정책 덕에 호조를 보였던 미 국 경제가 지난 2분기를 정점으로 급속히 악화될 것이란 경제전문가 들의 전망이 나왔다. 올 2분기 4.2%(연율기준·전분 기대비)까지 치솟았던 미국 국내 총생산(GDP) 성장률은 내년 2.4%

이를 것으로 추정했다. 매년 11월 넷째 주 목요일인 추 수감사절부터 본격화하는 연말 쇼 핑시즌은 블랙프라이데이(23일), 사이버먼데이(26일)를 거쳐 12월 말 크리스마스 연휴까지 한 달 남 짓 이어진다. 대형 유통업체 타깃 은 자체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고 객들의 쇼핑이 지난해보다 2배 이 상 늘었다고 밝혔다. 온라인은 물론 오프라인 매장에 서도 대폭 할인된 가격에 쇼핑하려 는 소비자들의 발길이 이어지고 있 다. 월마트의 최고상품책임자 (Chief Merchandising Officer)인 스티브 브래츠피스는“블랙프라이 데이는 연중 최고의 쇼핑 데이” 라 면서“미전역의 월마트 매장에서 밤새 차량 행렬이 이어졌다” 고말 했다.

수준으로 떨어질 것으로 예상됐고 2020년엔 경기침체 가능성까지 제 기됐다. 미국 경제전문방송 CNBC는 경 제전문가 10명을 대상으로 경제전 망을 설문한 결과 이렇게 집계됐다 고 22일 보도했다. 이들이 예측한 내년 미국 경제 성장률은 평균 2.4%였다. 이는 지 난 2분기 4.2%, 3분기 3.5%와 비교 하면 크게 낮은 수준이다. 트럼프 행정부는 올해 연간 3% 성장 달성 을 목표로 삼고 있다. 올해 미국 경 기는 감세 정책 덕에 정점을 찍었 지만, 내년부터는 그 효과가 떨어 지면서 2% 내외였던 종전의 장기 성장 추세의 수준으로 돌아갈 것이 란 의미다. 경기 둔화의 주요 요인으로는 감세효과 감소, 연방준비제도 (Fed·연준)의 금리 인상, 무역 전 쟁과 관세 타격 등이 꼽혔다. 미쓰비시 파이낸셜 그룹 (MUFG)의 크리스 러프키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감세 혜택에 힘입 어 확대됐던 기업 지출이 더는 늘 지 않고 있다며 앞으로 이런 추세 가 지속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골드만삭스와 JP모건은 최근 경기전망에서 내년 하반기 미국 성 장률이 2% 밑으로 떨어질 것으로 예상했다.


Turn static files into dynamic content formats.

Create a flipbook
Issuu converts static files into: digital portfolios, online yearbooks, online catalogs, digital photo albums and more. Sign up and create your flip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