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riday, May 25, 2018
<제3984호> www.newyorkilbo.com
THE KOREAN NEW YORK DAILY
제보·문의 대표전화 (718) 939-0900
2018년 5월 25일 금요일
트럼프, 6·12 북미회담 전격 취소 김정은에 공개서한…“언젠가는 다시 만나길 고대한다”여지 남겨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24일 다음달 12일로 예정돼있던 김정은 북한 국무위 원장과 회담을 전격 취소한다고 발표했 다. 세기의 비핵화 담판으로 주목받았던 싱가포르 북미정상회담이 성사 직전에 무산됨에 따라 한반도 정세는 다시금 중 대 고비를 맞게 됐다. 그러나 트럼프 대 통령은‘언젠가는 다시 만나길 고대한 다’며 여지를 열었다. ▶ 관련 기사 A3(특집), A6(한국), B5(미국), B7(세계)면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김정은 위원장 앞으로 보낸 공개 서한을 보내 회담 취 소사실을 통보했다고 백악관이 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친애하는 위원장’ 으로 시작되는 이 서한에서“우리는 양 쪽 모두가 오랫동안 추구해온, 6월 12일 싱가포르에서 열릴 예정이었던 회담에 당신이 보여준 시간과 인내, 노력에 대 해 대단히 감사하게 생각한다” 며“당신 과 함께 그곳에 있기를 매우 고대했지 만, 애석하게도, 당신들의 가장 최근 발 언에 나타난 엄청난 분노와 공개적 적대 감에 기반하여, 지금 시점에서 오랫동안 계획돼온 이 회담을 하는 것은 부적절하 다고 느낀다” 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이 언급한‘최근 발언’ 은 합의 불발 시 리비아 모델 적용 가능 성 등을 거론한 마이크 펜스 부통령을 맹비난한 최선희 북한 외무성 부상의 담 화를 가리킨 것으로 보인다. 북미정상회담이 무산된 것은 지난 3
맑음
5월 25일(금) 최고 86도 최저 69도
맑음
한때 비
5월 27일(일) 최고 70도 최저 58도
5월 25일 오후 1시 기준(한국시각)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4일 백악관에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하기로 예정돼 있던 6·12 싱가포르 북미정상회담을 취소한다고 발표하고 있다.
월 8일 한국 대표단을 통해 전달받은 김 위원장의 회담 제안을 트럼프 대통령이 그 자리에서 수락한 지 77일 만이다. 특 히 이날 회담 무산 발표는 북한이 비핵 화를 위한‘성의있는 조치’로 실시한 풍계리 핵실험장 폐기 직후 이뤄졌다. 트럼프 대통령은“따라서 세계에는 해악이 되겠지만 우리 서로를 위해 싱가 포르 정상회담이 열리지 않을 것임을 이 서한을 통해 알리고자 한다” 고 말했다. 그는 특히“당신은 당신의 핵 능력에 관해 이야기하고 있다” 며“그러나 우리 의 것이 매우 엄청나고 막강하기 때문에 나는 그것들(우리의 핵 능력)이 절대 사 용되지 않기를 신에게 기도를 드린다”
고 경고성 발언을 했다. 이어“나는 아주 멋진 대화가 당신과 나 사이에서 준비돼가고 있다고 느꼈지 만, 결국 중요한 것은 오직 그 (비핵화에 대한) 대화” 라며“이 세계, 그리고 특히 북한은 영속적인 평화와 큰 번영, 부유 함을 위한 위대한 기회를 잃었다. 이‘잃 어버린 기회’ 는 진실로 역사상 슬픈 순 간” 이라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언젠가는 당신을 만나기를 고대한다. 이 가장 중요한 회 담과 관련해 마음을 바꾸게 된다면 주저 말고 내게 전화하거나 편지해달라”고 밝혔다. 이어“억류됐던 인질들을 석방 해 집으로 보내준 데 대해 고맙게 생각
트럼프 대통령이 김정은 위원장에게 쓴 공개서 한
한다. 그것은 아름다운 제스처였으며, 매우 높은 평가를 받았다” 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서한 공개 후 트위 터에“애석하게도 나는 김정은과의 싱 가포르 정상회담을 취소해야만 했다” 라 는 글과 함께 서한을 첨부했다. 갑작스러운 무산 발표 배경에 대해 백악관 관계자는“펜스 부통령에 대한 북한의 반응이‘인내의 한계’ 였으며 정 상회담을 취소하게끔 했다” 고 최 부상 의 담화를 지목했다고 외신들이 보도했 다. 이 관계자는“북한과의 평화에 대한 희망은 여전히 있지만, 그렇게 하려면 북한은 수사(말)를 바꿀 필요가 있다” 고 언급했다. 최 부상은 담화에서 펜스 부
1,077.40
1,096.25
1,058.55
1,087.90
통령을‘정치적으로 아둔한 얼뜨기’ 라 고 비난하고 북미정상회담 재검토를 거 론했다. 마이크 폼페이오 국무장관은 백악관 이 북미회담 전격 취소 사실을 발표한 직후 열린 상원 외교위 청문회에서“미 국은 북미회담의 성공 가능성이 작다고 봤다” 며 최근 며칠 간 싱가포르로의 수 송 및 이동 계획 등을 논의하자는 미국 관리들의 거듭된 요청에 북한이 응답하 지 않았다고 밝혔다고 AFP통신 등이 보도했다. 한반도 비핵화 시계의 중대 분수령으 로 떠오른 북미정상회담이 전격 무산됨 에 따라 이후 북한 측의 대응이 주목된 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북한이 태도
北김계관“열린 마음으로 美에 시간·기회줄 용의” ‘김정은 위임’신속담화…“아무 때나 마주앉아 문제 풀 용의” 북한 김계관 외무성 제1부상은 25일 “조선반도(한반도)와 인류의 평화와 안 정을 위하여 모든 것을 다하려는 우리의 목표와 의지에는 변함이 없으며 우리는 항상 대범하고 열린 마음으로 미국측에 시간과 기회를 줄 용의가 있다” 고 밝혔 다. 김 제1부상은 이날‘위임에 따라’발 표한 담화에서“미국 측의 일방적인 (북
5월 26일(토) 최고 88도 최저 66도
미정상)회담 취소 공개는 우리로 하여금 여직껏(여태껏) 기울인 노력과 우리가 새롭게 선택하여 가는 이 길이 과연 옳 은가 하는 것을 다시금 생각하게 만들고 있다” 면서도 이같이 밝혔다고 조선중앙 통신이 보도했다.‘위임에 따라’ 라는 문 구는 통상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직 접적인 뜻이 담겼음을 의미한다. 그는“만나서 첫술에 배가 부를리는
없겠지만 한가지씩이라도 단계별로 해 결해 나간다면 지금보다 관계가 좋아지 면 좋아졌지 더 나빠지기야 하겠는가 하 는 것쯤은 미국도 깊이 숙고해 보아야 할 것” 이라고 말했다. 이어“우리는 아 무때나 어떤 방식으로든 마주앉아 문제 를 풀어나갈 용의가 있음을 미국 측에 다시금 밝힌다” 고 강조했다. 김 제1부상은 트럼프 대통령의 정상
회담 취소 발표와 관련,“수십 년에 걸친 적대와 불신의 관계를 청산하고 조미(북 미) 관계 개선의 새로운 이정표를 마련 하려는 우리의 진지한 모색과 적극적인 노력들은 내외의 한결같은 공감과 지지 를 받고 있다” 며“그런 가운데 24일 미합 중국 트럼프 대통령이 불현듯 이미 기정 사실화되어 있던 조미수뇌상봉을 취소 하겠다는 공식 입장을 발표하였다”고
김계관 북한 외무성 제1부상
언급했다. 그는 북미정상회담에 대한 트럼프 대 통령의 입장 표명은“조선반도는 물론 세계의 평화와 안정을 바라는 인류의 염 원에 부합되지 않는 결정” 이라고 비판
1,066.90
1,090.32
1,065.76
를 돌변한 이후인 지난 17일‘선 비핵 화-후 보상’ 의 리비아 모델과 선을 그으 면서도 합의가 불발될 경우“회담이 열 리지 않으면 다음 단계로 넘어갈 것” 이 라고 밝힌 바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2일 6·12 북 미정상회담 개최 여부와 관련,“우리가 원하는 특정한 조건들이 충족되지 않으 면 회담을 안 할 것이다. 회담이 안 열리 면 아마도 회담은 다음에 열릴 것” 이라 며 연기 가능성을 언급한 바 있다. 23일 에는 기자들과 만나‘북미정상회담이 예정대로 열리느냐’ 는 질문에“무슨 일 이 생길지 두고 볼 것” 이라며“무엇이 되든, 싱가포르(회담)에 관해 다음 주에 알게 될 것” 이라고 말했다.
했다. 그는“우리는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시기 그 어느 대통령도 내리지 못한 용 단을 내리고 수뇌상봉이라는 중대 사변 을 만들기 위해 노력한데 대하여 의연 내심 높이 평가하여 왔다” 면서“그런데 돌연 일방적으로 회담 취소를 발표한 것 은 우리로서는 뜻밖의 일이며 매우 유감 스럽게 생각하지 않을 수 없다” 고 지적 했다. 그러면서도 김 제1부상은“벌어진 불 미스러운 사태는 역사적 뿌리가 깊은 조 미 적대관계의 현 실태가 얼마나 엄중하 며 관계개선을 위한 수뇌상봉이 얼마나 절실히 필요한가를 그대로 보여주고 있 다” 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