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ursday, March 29, 2018
<제3935호> www.newyorkilbo.com
THE KOREAN NEW YORK DAILY
제보·문의 대표전화 (718) 939-0900
2018년 3월 29일 목요일
영주권 받기 더 어려워진다 각종 복지혜택 받아온 이민자들 제외 추진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미국인이 낸 세금에서 각종 복지혜택을 받아온 이 민자들의 영주권 취득을 더욱 어렵게 하 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지금까지는 이들에 대한 현금 지원 을 금지하는 정도였는데, 앞으로는 저소 득층 세금환급제도나 의료보호비 및 다 른 비(非)현금 복지혜택을 받았는지 아 닌지도 살펴 영주권 심사 때 반영하겠다 는 것이다. 워싱턴포스트(WP)는 28일 국토안보부(DHS)가 작성한 이 같은 내 용의 입안서를 보도했다. 새 방안은 이민자들, 나아가 이들의 자녀들이 미국에서 어떤 복지혜택을 받 았는지를 더 광범위하게 심사토록 했다. 이민자들에게 금지해온 현금 지원은 물 론이고, 저소득층 대상 근로장려세제 ((EITC, Earned Income Tax Credit, 저소득 근로자에게 세금환급 형태로 근 로장려금을 주는 제도)나 의료보험 보 조금까지도 현금 지원과 유사한‘공공 부담’ 으로 봤다. WP는 이 제도가 시행 된다면 거의 모든 형태의 복지혜택을 받 아온 이민자라면 영주권을 못 받을 수도 있다고 전했다. 계속 불법으로 체류할 이민자들은 노출되지 않으므로 새 제도의 영향을 거 의 받지 않는다. 그러나 노동 비자로 체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거의 모든 형태의 복지혜택을 받아온 이민자들에게 영주권을 안 주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사진은 다카(DACA) 프로그램 폐지 반대 시위.
류하다가 이민 비자로 전환하는 경우, 영주권을 신청하는 경우 등은 당국의 심 사를 받게 되므로 부담을 안게 된다. 추 방유예 프로그램인 다카(DACA)의 보 호를 받는 불법체류 청년들이 훗날 영주 권 신청을 할 때도 마찬가지다. 이번 방안은 미국인이 낸 연방정부 의 세금이나 미국인이 축적한 부(富)를 이민자들이‘빨아들이지’않도록 하겠
다는 인식에서 출발한다. 현재 각종 통 계에서는 미국에서 태어난 미국인이나, 미국에 거주하는 이민자나 현금 지원을 받는 경우가 각각 3.4%와 3.7%이고, 메 디케이드(Medicade·저소득층과 장애 인 대상 의료지원), 주택보조, 난방보조 등을 지원받는 경우도 22.1%와 22.7%로 같은 수준으로 나타나고 있다. 국토안보부는“정부가 더욱 납세자
北美정상회담에‘중국관여론’급부상 北中 관계복원“협상력 구축한 김정은… 험난한 여정의 트럼프” 북미정상회담을 앞둔 시점에서 이뤄 진‘김정은 방중’ 으로 도널드 트럼프 대 통령의 셈법이 한층 복잡하게 됐다. 미국과의 비핵화 협상 과정에서 우군 이 절실한 북한과‘차이나 패싱’ 을 우려 해 온 중국의 이해관계가 맞아떨어진 결 과이나 워싱턴 안팎에선‘중국 관여론’ 에 대한 경계심이 커지고 있다. 워싱턴포스트(WP)는 28일‘김-시 회동, 트럼프에 북한 문제에 대한 새로 운 도전을 안기다’ 라는 기사에서“북· 중 정상의 만남으로 트럼프 대통령이 직 면하게 된 외교적 도전이 부각되고 있 다” 고 보도했다. ▶ 관련 기사 A7(한국-
2)면 북·중이 이번 전격 회동을 통해 미 국을 향해 발신하는 메시지는“북한에 대한 어떠한 조치도 시 주석을 거쳐서 이뤄져야 한다” 는 것으로, 중국이 영향 력 회복을 시도하며 정상회담의 어젠다 설정 등에 적극적으로 관여할 움직임을 보이면서 상대적으로 미국의 협상주도 권이 약화할 수 있다는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그동안 북·중 간 소원한 관계를 파고들어 중국의 대북 제 재 참여를 유인하며 북한을 압박해왔지 만, 북·중의 관계 회복으로 그 지렛대 가 약화했다는 분석인 셈이다. 이 때문
에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이 더욱 자신 있게 트럼프와의 정상회담에 임할 수 있게 됐다고 WP는 내다봤다. 미국과학자연맹(FAS)의 군사 분석 가인 애덤 마운트는 WP에“베이징과 평양 사이의 분열이 트럼프 대통령의 압 박 전략을 뒷받침하는 큰 자산이었다” 며“북·중 간 관계 회복이 협상 과정에 서 트럼프 대통령의 영향력, 나아가 미 국의 군사적 위협의 유효성도 약화할 것” 이라고 전망했다. 니 레시옹(Ni Lexiong) 상하이대 정 책연구소장도“북한은 양쪽 모두로부터 이득을 얻어내기 위해 중국과 미국 사이
의 세금을 엄격히 관리하고, 이민자들의 복지수혜 신청을 법에 맞게 심사하기 위 한 것” 이라고 설명했다. 1999년부터 시 행돼온 현 규정은 미국에 이민을 오거나 거주할 수 있는지 자격 여부를 결정할 때 비(非)현금 혜택을 주는 것을 금지하 고 있다. 그러나‘이민정책연구소’ 라는 단체 의 한 관계자는“정부가 새로운 규정을 이용해 합법적인 이민자까지 미국에서 쫓아낼 근거를 만들 궁리를 하는 것 같 다” 고 반발했다. 다만, 새 방안은 이민자 들이 과거 군인·공무원·장애인 복지 혜택이나 메디케어(Medicare·65세 이 상 노년층에 제공되는 의료지원)를 받 았는지와 함께 초·중·고교 교육을 미 국서 받았는지 등은 심사 대상에서 제외 하기로 했다. 국토부 관리들은 이 방안이 아직 확 정되지 않았다고 말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가족결합 에 의한 영주권 발급’ 을 제한하는 방식 으로 합법 이민에도 제한을 가하는 입법 을 추진하고 있다. 공화당 데이비드 퍼 듀 상원의원(조지아)은 지난해 연간 100 만 명 이상에게 발급되는 영주권을 10년 안에 50만 장 선까지 줄이겠다는‘50% 감축’의지를 보인 바 있다.
의 균열을 활용하고 있다” 고 분석했다. 로이터 통신은‘김정은, 은밀한 방중 으로 협상력을 구축하다’ 라는 기사에서 “두 사람이 북미정상회담을 앞두고 만 나 보조를 맞추는 모습을 보임으로써 평 양 입장에선 지렛대를 강화하고 협상의 입지를 키우게 됐다” 는 중국 민간연구 소 차하얼 학회의 북한 전문가 왕펑의 발언을 소개했다. CNN방송은‘중국, 정상회담에 앞서 트럼프에게 변화구를 던지다’ 라는 기사 에서“이번 방중은 김정은이 앞으로 워 싱턴과 서울을 상대로 제재 완화 및 핵 보유국 인정 등을 밀어붙일 때 (중국이라는)‘외교적 무기’ 를 갖고 있다는 걸 보여주기 위해 마련된 것” 이라며“이는 트럼프 팀이 험난한 여정을 항 해해야 한다는 것을 예고하는 대목” 이라고 보도했다.
비
3월 29일(목) 최고 55도 최저 50도
비
3월 30일(금) 최고 62도 최저 41도
맑음
3월 31일(토) 최고 57도 최저 46도
3월 29일 오후 1시 기준(한국시각)
1,067.00
1,085.67
1,048.33
1,077.40
1,056.60
1,079.80
1,055.50
美영주권 받는 한인 계속 줄어 작년 1만9천명 취득… 전년대비 11%↓ 지난해 미국에서 영주권을 취득한 한인은 1만9천여 명인 것으로 나타났다. 29일 미국 국토안보부(DHS)가 발표 한 2016∼2017 회계연도 영주권 발급 현 황은 전체 영주권 취득자 112만8천194 명 가운데 한인은 1만9천284명으로 전 회계연도(2만1천801명)에 비해 11.5% 줄었다. 이 같은 감소세는 도널드 트럼프 행 정부의 반이민 정책으로 영주권 심사가 까다로워진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됐다. 영주권 취득자를 국가별로 보면 멕
시코(17만952명), 중국(7만4천194명), 쿠 바(6만5천97명), 인도(6만525명), 도미니 카공화국(5만8천660명), 필리핀(4만9천 134명), 베트남(3만8천191명) 등에 이어 한국이 11번째다. 한인들은 미국에 거주하면서 신분을 변경했거나(1만4천356명) 외국에서 직 접 이민수속 절차를 밟아(4천928명) 영 주권을 취득했다. 취업이민은 1만1천 329명, 가족이민은 7천955명 등이다. 한편 탈북자 32명도 지난해 영주권 을 취득한 것으로 나타났다.
워싱턴포스트(WP)는 28일‘김-시 회동, 트럼프에 북한 문제에 대한 새로운 도전을 안기다’ 라는 기사에 서“북·중 정상의 만남으로 트럼프 대통령이 직면하게 된 외교적 도전이 부각되고 있다” 고 보도했다.
CNN은“북·중의 메시지는 중국의 관여 없이는 북한과 어떤 협상도 할 수 없다는 것” 이라며“트럼프 대통령 입장
에선 평양과 베이징 간의 소원한 관계로 인해 잠복했던 상황의 복잡성이 다시 살 아나게 됐다” 고 풀이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