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New 30 11 24

Page 1


라이프 플라자 데일리 뉴스

러시아-중국 전투기, 한국 방공식별구역 통과

11월 29일 한국군은 중국 군용기 5대와 러시아 군용기 6대가

방공식별구역을 통과한 뒤 전투기 다수를 출동시켰다고 밝혔다.

방공식별구역((ADIZ - air defense identification zone)은 보안상의

이유로 해당 국가가 항공기를 통제하려는 국가의 영공보다 더 넓은 지역이다. 이 개념은 어떤 국제 조약에도 정의되어 있지 않다.

앞서 합동참모본부는 오전 9시 35분부터 오후 1시 53분까지 중국 군용기

5대와 러시아 항공기 6대가 한국 방공식별구역(ADIZ)을 드나들었다고

밝혔다. 그러나 이 비행기들은 “한국 영공을 침범하지 않았다”. 한국군은 “

예상치 못한 상황에 대비”하기 위해 ADIZ에 진입하기 전 해당 항공기를

식별하고 한국 항공기를 배치했다고 덧붙였다.

중국 국방부는 이번 비행을 “중국과 러시아 군대 간의 연간 협력 계획에

따라” 조직된 “제9차 공동 전략 순찰”이라고 불렀다.

CBS 에 따르면 , 중국과 러시아는 2019년부터 합동훈련 기간 동안 사전

예고 없이 정기적으로 군용기를 한국 방공식별구역에 파견해 왔다. 비슷한

사건이 2023년 6월과 12월, 2022년 5월과 11월에도 발생했다.

한국국방부는 사전 예고 없이 장기간 비행한 항공기에 대해 “유감스럽게 생각한다”라고 밝혔다. 한국국방부는 “이번 사건이 재발하지 않도록 적절한

조치를 취하라” 며 “그런 조치가 지역 내 긴장을 불필요하게 고조시킬 수 있다”라고 권고했다.

https://vtcnews.vn/chien-dau-co-nga-trung-bay-qua-vung-nhandang-phong-khong-han-quoc-ar910496.html

KCNA 통신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30일 Andrei Belousov 러시아 국방장관을 만났다고 보도했다. 회의에서 김정은은 미국과 서방이 우크라이나가 러시아 영토를 공격하기 위해 장거리 무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녹색 조명을 켜고 모스크바는 “적대 세력에 대응”하기 위해 행동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 위원장은 “북한 정부와 군대, 인민은 주권과 영토 보전을 수호하려는 러시아의 정책을 언제나 지지한다”라고 선언했다.

KCNA 통신은 김 위원장이 지난 6월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상호방위협정을 포함한 포괄적 전략동반자 관계를 맺고 군사 문제를 포함한

모든 분야에서 러시아와의 관계를 확대해 나가기로 했다고 전했다.

모스크바와 북한은 지난해 9월 러시아에서 두 나라 정상이 정상회담을 한

이후 관계에서 상당한 진전을 이루었다.

국정원에 따르면 이후 북한은 1만 개가 넘는 탄약, 자주포, 다연장 로켓포

등을 수출했다. 이 기관은 또 북한이 러시아에 1만 명 이상의 병력을

파병해 러시아군이 우크라이나군을 밀어내려는 쿠르스크 지역 등 최전선에 배치됐다고 비난했다.

우크라이나는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행정부가 키예프에 대한 모든 제한을 해제한 후 러시아 영토의 목표물을 향해 미국산 장거리 ATACMS 미사일을 발사했다.

이에 대응하여 러시아는 미국과 서방의 움직임에 대한 보복을 구실로 우크라이나의 에너지 및 군사 인프라를 공격했다.

벨로우소프 러시아 국방장관도 노광철 북한 국방장관과 별도로 회담을 갖고 김 위원장과 푸틴 대통령의 협력 조약이 동북아 세력균형 유지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KCNA는 김 위원장이 벨로우소프 대표단을 위해 국방부가 주최한 리셉션에 직접 참석했다고 전했다.

https://vtcnews.vn/ong-kim-jong-un-noi-nga-co-quyen-tu-ve-truocukraine-ar910542.html

Syria, 수년 후 반군의 반란

거의 10년 만에 시리아 북부의 알레포 시에서 철수한 뒤, 11월 29일, 시리아

대통령 Syria Bashar al-Assad 정부에 반대하는 이슬람 전사 그룹인

Hayat Tahrir al-Sham은 정부가 통제하는 마을을 통해 기습 공격을

진행한 후 도시 중심부에 진입했다고 선언했다.

Hayat Tahrir al-Sham은 이란과 러시아의 지원을 받아 Bashar al-Assad

대통령 정부가 통제하는 지역인 알레포의 수십 개 도시와 마을에서 11월 28

일 봉기를 시작했다.

반군 단체의 활동은 빠르게 진행되었으며 11월 29일 말까지 캠페인

지휘실은 반군이 많은 주거 지역을 휩쓸고 있다고 말했다.

Syria Assad 대통령과 그의 동맹국인 러시아, 이란, 지역 Shi’a 민병대는

2016년 말 알레포 시 전체를 장악했고, 반군은 몇 달간의 폭격과 포위 공격 끝에 전세를 뒤집기로 합의했다.

Jaish al-Izza-이자 여단의 반군 사령관은 그들의 새로운 작전이 급속히

진전된 것은 도시의 넓은 지역에 이란의 지원을 받는 군대가 부족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 지역의 이란 동맹국들은 가자 지구 갈등이 중동으로

확산되자 이스라엘의 공격을 받았다.

터키 정보국과 연결된 야당 소식통은 앙카라가 작전에 청신호를 보냈다고

말했다. 그러나 터키 외무부 대변인 온쿠 케셀리(Oncu Keceli)는 터키가

지역의 불안정성이 증가하는 것을 피하고 싶다는 점을 확인하고 최근의

유엔 시리아 위기 지역 인도주의 부조정관 David Carden은 “우리는 시리아 북서부에서 벌어지고 있는 상황에 대해 극도로 우려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David Carden은 로이터 통신에 “지난 며칠 동안 지속적인 공격으로 아이들을 포함한 최소 27명의 민간인의 목숨을 앗아갔다. 시민과 시민 기반시설은 목표가 아니며 국제 인도주의 법에 따라 보호되어야 한다.”라고 말했다.

시리아와 Syria 전투기가 11월 28일 터키 국경 인근 지역을 폭격해 반군의 공격을 격퇴하려 했다고 시리아 군 소식통이 전했다.

David Carden은 로이터 통신에 “지난 며칠 동안 지속적인 공격으로 아이들을 포함한 최소 27명의 민간인의 목숨을 앗아갔다. 시민과 시민 기반시설은 목표가 아니며 국제 인도주의 법에 따라 보호되어야 한다.”라고 말했다.

시리아와 Syria 전투기가 11월 28일 터키 국경 인근 지역을 폭격해 반군의 공격을 격퇴하려 했다고 시리아 군 소식통이 전했다.

Dmitry Peskov 크렘린궁 대변인은 모스크바가 반군의 공격을 시리아의 주권을 침해하는 행위로 간주하고 당국이 통제권을

취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Peskov는 “알레포 주변의 상황에

Peskov는 시리아의 아사드 대통령이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회담을 위해 모스크바로 날아갔다는 확인되지 않은 보도에 대해 물었을 때 이 문제에 대해 “할 말이 없다”라고 말했다.

https://vtcnews.vn/phien-quan-noi-day-o-syria-sau-nhieu-namar910540.html

라이프 플라자 데일리 뉴스

(베이징·서울=연합뉴스) 정성조 특파원

김지연 기자 = 윤석열 정부의 초대 주중

대사인 정재호 대사가 부임 2년 4개월

만에 임기를 마친다.

주중대사관은 내달 10일 오후 3시(현지

시간) 베이징 대사관에서 정 대사의 이

임식을 개최한다고 29일 밝혔다.

이임식에는 중국에 있는 한국 교민과

중국 주재 각국 외교관, 중국 측 인사 등

이 참석할 예정이다.

다만 정 대사의 구체적인 임기 종료 및

귀국 시점은 아직 파악되지 않았다고

대사관 관계자는 설명했다.

후임으로 내정된 김대기 전 대통령실

비서실장은 중국 정부로부터 아그레망 (외교사절에 대한 사전 동의)을 받은 것

으로 알려졌다. 김 내정자는 다음 달 말

께 부임할 것으로 전해졌다.

서울대 정치외교학부 교수로 재직하다

주중대사가 된 정 대사는 중국 정치경

제 전문가로, 윤 대통령과는 충암고 동 기동창이다.

지난 대선 때 윤 대통령에 정책 자문을 했고 대선 직후인 2022년 4월에는 한미

정책협의대표단에 포함돼 박진 전 외교

장관 등과 함께 미국을 방문, 윤 대통령

의 대(對)중국정책을 설명하는 역할을

맡기도 했다.

정 대사는 그해 6월 주중대사에 내정됐

고, 8월 제14대 대사로 정식 취임했다.

그는 올해 대사관 부하 직원에 대한 ‘갑

질’ 의혹으로 외교부 감사를 받기도 했

다. 외교부는 정 대사가 주재관 대상 교

육 과정에서 일부 부적절한 발언을 한

것으로 보고 장관 명의의 구두 주의 환

기 조치를 했다.

외교가에서는 정 대사의 이임식 일정이

확정된 만큼 후임 주중대사와 4개월 동

안 공석 상태인 주한 중국대사의 취임

이 조만간 이뤄질 것이라는 관측이 나

온다.

한국 정부는 지난달 14일 신임 주중대

사 내정 사실을 발표하며 “오늘 중 중국

정부에 김 내정자에 대한 아그레망을

신청할 예정이며, 아그레망이 되는대로

임명할 계획”이라고 밝힌 바 있다.

중국 정부는 다이빙(戴兵) 주(駐)유엔 중국 부대표(특명전권대사)를 신임 주 한 중국대사로 내정한 것으로 알려졌 다.

https://www.yna.co.kr/view/ AKR20241129074051083?section=international/all

(멕시코시티=연합뉴스) 이재림 특파원 = 태평양과 카리브해·대서양 사이 해상

무역 핵심 통로인 파나마 운하에서 한 국 선적(배의 국적)의 물동량이 전 세계

4번째로 많았던 것으로 집계됐다.

파나마 운하청(ACP) 통계 자료에 따르 면 2024 회계연도(2023년 10월∼2024 년 9월) 기준 한국 선적의 선박은 총 1 천966만t(톤) 화물을 싣고 파나마 운하

를 통과한 것으로 집계됐다.

1위는 압도적인 비율을 차지한 미국으 로, 1억5천706만t을 실어 날랐다. 중국

(4천504만t)과 일본(3천373만t)이 그

뒤를 이었다.

이어 칠레(1천742만t)와 멕시코(1천 731만t)가 상위권에 올랐다.

한국은 2022 회계연도까지는 칠레에 다

소 밀렸지만, 2023 회계연도에 이어 2

년 연속 4위에 해당하는 화물 운송량을

기록했다.

파나마 당국은 한국 해운업계와 해상

운송 분야 전략적 관계를 강화하기 위

해 접촉면을 늘리고 있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카를로스 오요스 파나마 통

상산업부 차관은 최근 한국에서 한국

해운협회 관계자를 만나 한국 선사들의

통과 편의를 제고하고 유리한 이

용 환경 보장을 위한 지원 의사를 밝혔 다고 파나마 당국은 전했다. 파나마 통상산업부는 관련 설명자료에 서 “글로벌해양 무대에서 양국 업계 효 율성과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긴밀히 협력하고 공동의 노력을 지속하는 게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했다”며 “한국 측 에서도 법적 안정성과 운영상 장점 등 으로 선사들이 선호하는 파나마 운하에 대해 긍정적 전망이 나온다며 만족감을 표했다”고 강조했다. 이번 면담은 한국 정부에서 중미 7개국 고위인사와 중미 개발 협력 주요 파트 너인 미국·멕시코·스페인 관계자를 초 청해 연 ‘2024 한-중미 통상·투자 포럼’ 을 계기로 이뤄졌다고 파나마 당국은

라이프 플라자 데일리 뉴스

방북 러 국방 “군사협력 신속 확대” 北국방상 “전투우의 중요”(종합)

(모스크바=연합뉴스) 최인영 특파원 = 안드레이 벨로우소프 러시아 국방장

관과 노광철 북한 국방상이 29일 북한에서 회담하며 군사 분야 협력 강화를 다짐했다.

타스, 리아노보스티 통신에 따르면 벨로우소프 장관은 이날 북한 평양에 도

착한 뒤 첫 회담 상대로 노 국방상과 만나 “러시아와 북한의 우호적인 관계

가 군사협력을 포함한 모든 분야에서 빠르게 확대되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오늘 회담은 러시아와 북한의 군사 분야 전략적 파트너십을 더욱 강화

하는 역할을 할 것”이라고 기대했다.

벨로우소프 장관은 지난 6월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평양에서 체결한 ‘포괄적 전략적 동반자 관계 조약’(북러조약)

을 언급하며 “우리는 최고위급에서 도달한 모든 합의를 실행하는 데 전념하

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북러조약에 대해 “동북아시아 전쟁 위험을 줄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 며 “역내 힘의 균형을 유지하고 한반도 전쟁 재발 위험을 감소시키는 데 긍

정적인 기여를 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물론 새로운

국방성과 러시아 국방부가 고위급 대표단 방문을 포함해 활발히 교 류·협력을 이어가고 있다며 “우리는 이를 높이 평가한다”고 말했다. 노 국방상은 이번 벨로우소프 장관의 공식 북한 방문이 “북러의 국방·안보 역량을 강화하고 우호 협력 발전을 촉진하는 데 기여하기 위한 가치 있고 건 설적인 제안을 교환하는 중요한 순간이 될 것”이라고 자신감을 표명했다. 벨로우소프 장관은 지난달 국방상으로 취임한 노 국방상에게 축하를 전하며 “러시아와 북한은 좋은 이웃이자 오랜 친구”라고 강조하기도 했다.

벨로우소프 장관의 방북은 북한군이 러시아에 1만명 이상의 대규모 병력을 파병했다는 논란이 제기된 가운데 이뤄졌다.

이를 배경으로 이번 방북에서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특별군사작전’과 관련한

북러 간 추가 협력 방안 등이 논의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러시아 국방부는 벨로우소프 장관이 이번 방문에서 북한의 군사·정치 지도 자들과 여러 건의 양자 회담을 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https://www.yna.co.kr/view/AKR20241129129951080?section=international/all

라이프 플라자 데일리 뉴스

“트럼프 20% 관세시 현대·기아차
최대 19% 감소 리스크”

EBITDA

(워싱턴=연합뉴스) 강병철 특파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캐

나다와 멕시코에 대한 25% 관세 등을 부과해도 현대·기아차의 리스크는 관

리 가능한 수준이지만, 보편관세 공약 시행으로 한국에 20%의 관세가 부과

될 경우 총 영업 이익이 19%까지 감소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신용평가사 S&P글로벌은 이날 ‘자동차 업계, 트럼프의 자동차 수입 관세에

대해 대비하다’라는 제목의 보고서에서 이같이 추정했다.

S&P글로벌은 보고서에서 트럼프 당선인이 최근 발표한 캐나다와 멕시코에

대한 25% 관세 부과에 더해 유럽 및 영국에서 수입되는 소형차(light vehicle· 중량 7천500kg 이하의 승객/화물용 차량)에 20%를 관세를 매길 경우 유럽 및 미국의 자동차 업체의 EBITDA(세금, 이자, 감가상각비를 차감하기

전의 순이익)가 최대 17%가 줄어들 수 있다고 밝혔다.

보고서는 업체별로는 제너럴모터스(GM), 볼보자동차, 재규어랜드로버 (JLR), 스텔란티스의 2025년 EBITDA의 20% 이상이 영향을 받을 수 있다고 봤다.

폭스바겐과 도요타는 10~20%, BMW와 벤처, 현대·기아차는 10% 미만의

리스크가 각각 예상된다.

이런 리스크는 거래 규모와 도매가격, 지역적 거점 등에 따라 추산된 것이 다.

보고서는 현대·기아차에 대해서는 캐나다·멕시코 등에 대한 트럼프 2기 정 부의 관세 정책에도 2% 미만의 EBITDA 영향이 예상된다면서 ‘관리 가능 (manageable)’하다고 봤다.

보고서는 그 이유로 현대·기아차의 경우 멕시코에서 K4와 투싼 모델만 생산 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같은 이유로 멕시코에서 타코마만 생산하는 도요타에 대해서도 EBITDA 감 소 리스크를 10%로 보면서 이 역시 관리 가능한 수준이라고 보고서는 전망 했다.

다만 도요타의 경우 라브4와 일부 렉서스 모델을 캐나다에서 생산하고 있어

이에 따른 리스크도 있다고 보고서는 밝혔다.

보고서는 그러나 한국에서 미국으로 수입되는 제품에 20%의 관세가 부과될 경우 현대·기아차는 최대 19%의 EBITDA 감소 리스크가 있다고 밝혔다. 앞서 트럼프 당선인은 모든 물품에 대해 관세를 부과하는 이른바 보편 관세 를 대선 공약으로 제시했다. 그는 보편관세율에 대해서는 10% 내지 20%를

언급한 바 있다.

https://www.yna.co.kr/view/AKR20241130013800071?section=international/all

Turn static files into dynamic content formats.

Create a flipbook
Issuu converts static files into: digital portfolios, online yearbooks, online catalogs, digital photo albums and more. Sign up and create your flip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