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New 24 02 25

Page 1


라이프 플라자 데일리 뉴스

펜타곤, “미군은 우크라이나에 가지 않을 것” 베트남-

미국이 우크라이나에 군대를 배치할지에 대한 폭스 뉴스와의 인터뷰에서

피트 헤그세스 미국 국방장관은 “ 우리는 그것에 대해 매우 분명하게 밝혔습니다. 우크라이나에는 미군이 주둔하지 않을 것입니다.” 라고

말했습니다.

동시에, 펜타곤 수장은 “유럽이 우크라이나에 안보를 제공하는 데 앞장서야

한다”고 말했다.

Pete Hegseth은 “유럽 지도자들이 ‘우리는 우크라이나에 개입하고 안보

보장을 제공할 준비가 되어 있다’고 말하는 것을 보는 것은 고무적입니다.

우리는 그것을 환영합니다.” 라고 덧붙였다.

앞서 The Wall Street Journal 신문은 영국 총리 Keir Starmer가 2월 27

일 우크라이나에 영국과 프랑스 평화유지군을 배치하는 계획안 초안을

미국 대통령 도널드 트럼프에게 보낼 가능성이 있다고 소식통을 인용해

보도했다.

The Wall Street Journal에 따르면 런던과 파리는 평화유지군이 위험에 처할 경우를 대비해 워싱턴으로부터 화력 지원을 받기를 원하고 있다.

이 계획의 일환으로 프랑스와 영국은 해군뿐만 아니라 육군과 공군도

배치하고자 한다.

또 다른 추이에서 백악관은 2월 23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갈등을

종식시키는 합의가 “이번 주 안에” 달성될 수 있다고 믿는다고 말했다.

백악관 관리들은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지난 주 1차 초안을 거부한 이후 합의에 근접했다고 말하면서 우크라이나와의 미국의 광물협정의 역할을 강조했다.

트럼프 행정부는 취임 이후 러시아-우크라이나 분쟁을 종식시키기 위한 협상에서 신속하지만 논란의 여지가 있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사우디 아라비아에서 만난 미-러 대표단은 유럽과 우크라이나가 협상 테이블에서 제외된다고 비판하는 가운데 두 대통령 간의 정상회담을 계획했다. https://vtcnews.vn/lau-nam-goc-quan-doi-my-se-khong-denukraine-ar927791.html

2월 22일, Pham Minh Chinh

총리는 캄보디아 총리 Hun Manet과 라오스 총리 Sonexay Siphandone과 실무회동을 갖고, 3 국 정상 간 회동의 결론에 따른 합의

내용을 면밀히 파악했다.

회의에서 Pham Minh Chinh

총리는 베트남-라오스, 베트남캄보디아, 베트남-라오스-캄보디아

정상회담의 결론 이행과 최근 3개국

고위 지도자들의 방문에서 이룬

성과를 검토했다.

3국 총리는 3국 간 협력이 3국의

고위 지도자, 부처, 지부 및 지방

자치 단체에서 항상 주목과 홍보를

받아 왔으며, 강력한 진전을 이루고

3국 간 날로 발전하는 협력을 공고히

하고 촉진하는 데 실질적으로

기여하고 있는 것에 대해 기쁨을 표명했다.

3국 총리는 3국 간의 긴밀한 우호,

연대, 상호 신뢰의 전략적 중요성을 강조하고, 청소년 및 젊은 지도자의

교류와 훈련을 계속 강화하고, 3국의

모든 계층, 특히 젊은 세대에게 3

국 간 협력 관계의 중요성과 역사적

가치에 관해 광범위한 선전을

추진하기로 합의했다.

3국 총리는는 국가 안보를 보장하고

건설하고 개발하기 위해 3

간의 협력과 조정을 계속

확대한다. 협력 메커니즘과

효과적으로 이행하고, 각 부처와 분야 간 정보 공유, 의견 교환 및 협력을 강화한다. 또한 국경 무역에 초점을 맞추고 세 나라 간 육로 국경 관문 시스템을 촉진하여 무역 및 투자를 더욱 촉진하고 장려하기 위한 정책과 조치를 계속 유지하기로 합의했다. 3개국 간 교통 인프라 연결성과 경제적 연계를 강화한다.

3개국 간 관광 협력 계획을 통합하고 “한 번의 여행, 세 가지 목적지”라는 관광 모델을 구현하기 위해 3명의 문화관광부 장관 간 협력 메커니즘을 구축하는 것을 환영하고 합의했다. 지도자들은 또한 지역 문제에

협력에 합의했다.

https://thanhnien.vn/thutuong-ba-nuoc-viet-nam-laocampuchia-gap-nhau-taitphcm-18525022220143774.htm

라이프 플라자 데일리 뉴스

로이터는 2월 22일 미국 관리 두 명의 말을 인용해 예멘 후 티군 이 미국 전

투기와 MQ-9 무인 항공기(UAV)를 향해 지대공 미사일을 발사했지만 두 대

모두 목표물을 빗나갔다고 보도했습다.

공격은 이번 주에 발생했으며 홍해에서인지 예멘 상공에서인지 분명하지 않 다. 비록 사격이 실패했지만 미국 관리들은 후티가 목표물을 겨냥하는 능력

을 향상시키고 있다고 말했다.

폭스 뉴스는 이 비행기가 예멘 영공을 비행했지만 후티의 통제된 지역을 벗

어나 있는 2월 19일에 미사일이 미국의 F-16 전투기를 향해 발사되었다고 보도했다. 후티가 미국 F-16기를 향해 지대공 미사일을 발사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고 한다.

후티의 압둘 말리크 알 후티 원수는 2월 13일에 미국과 이스라엘이 팔레스 타인 사람들을 가자지구에서 강제 퇴거시킬 경우 홍해에 있는 선박을 겨냥 하여 미사일과 UAV를 사용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따르면, 중동 상황과 관련하여 이스라엘 군은 2월 22일 헤즈볼라가 레바논으로

무기 운송이 두 나라 간 약속을 위반했 다고 밝혔다.

이스라엘과 헤즈볼라는 2024년 11월에 휴전 협정에 도달했다. 이에 따라 이 스라엘은 레바논 남부 대부분 지역에서 군대를 철수했고, 베이루트 군대와

유엔 평화유지군이 해당 지역의 안보를 위해 진입했다. 헤즈볼라는 또한 레 바논의 리타니 강 북쪽, 국경에서 약 30km 떨어진 곳으로 철수했고 남쪽에 남아 있던 군사 인프라를 파괴했다.

이스라엘 공습은 헤즈볼라가 2월 23일에 전 지도자 하산 나스랄라를 매장하 기 직전에 이루어졌다. 나스랄라 씨는 약 5개월 전 베이루트 남부에서 이스 라엘 공습으로 사망했다.

https://thanhnien.vn/houthi-lan-dau-phong-ten-lua-ve-phia-tiemkich-f-16-my-185250223090201848.htm

라이프 플라자 데일리 뉴스

(워싱턴=연합뉴스) 조준형 특파원 = 한미일의 전·현직 고위 관료와 석학, 싱 크탱크 및 재계 인사들이 동북아와 태평양 지역의 경제·안보 현안을 논의하 는 ‘트랜스 퍼시픽 다이얼로그(Trans-Pacific Dialogue, 이하 TPD) 2025’ 가 21∼22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에서 열렸다.

최종현학술원 주최로 올해 4회째를 맞이한 이 행사에서 최태원 SK그룹 회장

은 21일 개회사와 22일 인공지능(AI)에 대한 연설을 통해 “오늘날 세계 변화

의 핵심이 된 AI와 에너지 분야에 있어, 한미일 3국 협력은 선택이 아닌 필

수”라고 강조했다고 SK그룹이 밝혔다.

최 회장은 한미일 산업 연대를 제안하면서, 특히 제조 AI, 에너지, 조선·해

운, 원자력 등에서 힘을 모으면 글로벌 시장에서 강력한 시너지를 발휘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최 회장은 현재 AI 활용이 금융과 서비스 영역에 집중돼 있지만 앞으로 리더 십 경쟁은 제조 AI 분야에서 펼쳐질 가능성이 높다며, 이 분야에서 한미일 3

이번 행사에 한국 측 주요 인사로는 최형두·김건(이상 국민의힘)·이언주·위 성락(이상 더불어민주당) 등 여야 의원들과 조현동 주미대사, 김성환 전 외 교통상부 장관, 강경화·박진 전 외교부 장관, 김성한 전 안보실장 등이 자리 했다.

미국 측에서는 토드 영 상원의원(인디애나), 댄 설리번 상원의원(알래스카· 이상 공화당), 앤디 김 상원의원(뉴저지·민주당), 로버트 오브라이언 전 백악 관 국가안보보좌관 등이, 일본 측에서는 고노 다로 전 외무상, 야마다 시게 오 주미대사 등이 참석했다.

아울러 저명 정치학자인 스티븐 월트 하버드대 교수, 존 미어샤이머 시카고 대 석좌교수, 스탠퍼드대 인공지능 연구소(HAI) 공동설립자 제임스 렌데이 교수, 에너지 기업 콘티넨탈 리소시스 설립자인 해롤드 햄, 엔비디아의 루스 베리 기술정책 책임자, 히타치그룹의 히라이 히로이데 부사장 등도 한미일 공조에 대한 의견을 교환했다.

https://www.yna.co.kr/view/AKR20250223017800071?section=politics/all

라이프 플라자 데일리 뉴스

“교황,

계속 위중”…병상서도 “우크라전 3주년 부끄러운 일”(종합3보)

(서울·모스크바=연합뉴스) 김용래 이신영 기자 최인영 특파원 = 프란치스코

교황이 폐렴으로 입원한 상태에서도 “우크라이나전은 고통스럽고 부끄러운

일”이라는 메시지를 전했다.

23일(현지시간) 바티칸 뉴스에 따르면 교황은 이날 공개한 삼종기도 연설문

에서 “내일은 우크라이나에 대한 전면전 3주년이 되는 날”이라며 “모든 인류

에 고통스럽고 부끄러운 일”이라고 말했다.

교황은 희생된 우크라이나 국민에게 연대를 표한 뒤 팔레스타인과 이스라엘

을 비롯한 중동, 미얀마, 콩고민주공화국 등 모든 무력 분쟁지의 희생자들을

기억하고 평화를 위해 기도해 달라고 당부했다.

교황은 전 세계에서 보내온 애정과 위로의 메시지에 감사를 표하면서 “특히

어린이들이 보낸 편지와 그림에 크게 감동했다”고 밝혔다.

바티칸 뉴스는 교황이 미리 준비했지만 전하지 못하게 된 이러한 메시지를

공개하기로 결정했다고 전했다.

88세의 고령인 교황은 이달 초부터 기관지염을 앓다 지난 14일 로마 제멜리

병원에 입원했으며 양쪽 폐에 폐렴이 확인돼 치료받고 있다.

바티칸은 이날 오전 “밤이 평온하게 지나갔고 교황은 휴식을 취했다”고 공지

했다고 AFP, AP 등 외신들이 전했다.

다만 이날은 이전의 공지와 달리 교황이 침대에서 일어나 아침 식사를 했는

지 등은 알리지 않았다.

얼마 뒤 바티칸은 교황이 복합적인 폐 감염으로

밝혔다. 또 임상 상태가 복잡하고 약물요법의 피드백을 기다리기 위 해 예후에 대해서는 여전히 발표를 보류한다고 덧붙였다.

바티칸은 전날 저녁에는 “교황의 상태는 여전히 위중하다”며 “따라서 어제 설명한 바와 같이 교황이 위험에서 빠져나오지 못한 상태”라고 전한 바 있 다.

주일인 이날 열린 바티칸 성 베드로 대성전 미사와 부제 서품식은 리노 피시

첼라 대주교가 집전했다.

피시첼라 대주교는 이 자리에서 “비록 병상에 있지만 프란치스코 교황이 우 리 곁에 있다고 느낄 수 있다”며 “이것이 주님께서 교황이 병환과 시련을 이 겨내도록 도와달라는 우리의 기도를 더 강하게 만든다”고 했다.

로마대교구는 이날 저녁 교황을 위한 특별 미사를 열기로 했다.

한편, 인구의 80%가량이 가톨릭인 필리핀을 비롯해 한국, 케냐, 호주 등 세 계 곳곳에서는 천주교도들이 주일 미사에서 교황의 회복을 기원했다. 가족과 함께 한국 여행을 왔다가 이날 서울 명동성당을 찾은 필리핀인 팻 산 토스(31) 씨는 미국 일간 뉴욕타임스(NYT)와의 인터뷰에서 교황은 “기독교 의 상징”이라면서 “그 연세의 분들에게 폐렴은 심각한 질병이라 걱정된다. 잘 회복하시길 바란다”고 말했다.

바티칸 인근에서도 교황의 회복을 기원하는 발걸음이 이어졌다.

제멜리 병원 밖에는 요한 바오로 2세 전 교황의 동상 근처에서 기도하는 사 람들이 눈에 띄었고 프란치스코 교황을 위한 꽃과 쪽지를 남기는 사람들도 있었다.

https://www.yna.co.kr/view/AKR20250223038553009?section=international/all

라이프 플라자 데일리 뉴스

종전협상

패싱 당할라…EU, 내달 6일 긴급 정상회의

(브뤼셀=연합뉴스) 정빛나 특파원 = 유럽연합(EU)이 미국·러시아 주도 우크

라이나 종전협상에서 ‘패싱’ 당할 수 있다는 우려 속 긴급 정상회의를 연다. 안토니우 코스타 EU 정상회의 상임의장은 23일(현지시간) 엑스(X·옛 트위 터)를 통해 “내달 6일 특별 EU 이사회(정상회의)를 소집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회의 안건은 ‘우크라이나 및 유럽의 방위’다. 우크라이나에 대한 유럽 주도의

안전보장안이 중점적으로 논의될 전망이다.

코스타 상임의장은 최근까지 EU 각국 정상들과의 연쇄 접촉에서 “EU 차원

에서 유럽 방위를 강화하고 우크라이나의 장기적 안보에 결정적(decisively)으로 기여하기 위한 과제를 해결하겠다는 공통된 의지를 접했다”고 정상 회의 개최 배경을 설명했다.

이어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EU 집행위원장 및 모든 회원국과 지속 협력해 (정상회의가 열리는) 3월 6일에 결정을 내릴 준비가 되도록 할 것”이라고 덧 붙였다.

의미 있는 합의가 도출된다면 우크라이나에 대한 장기적인 군사 지원 방안 확약 등의 조처가 발표될 것으로 보인다.

EU 회원국들은 이미 우크라이나에 200억 유로(약 28조8천억 원) 규모의 긴 급 군사지원

가 도출될 수 있다는 우려가 고조되면서 위기감을 느낀 것으로 보인다.

우크라이나에 대한 확고한 지지 메시지를 대외에 발신하려는 의도도 있다.

이와 관련 EU 지도부는 우크라이나 전쟁 발발 3주년인 24일 우크라이나도

방문할 예정이다.

EU를 넘어 유럽 차원의 ‘공조’ 작업도 속도를 내는 것으로 보인다.

폰데어라이엔 집행위원장은 이날 방미를 앞둔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

통령, 키어 스타머 영국 총리와 잇달아 전화 통화를 하고 우크라이나에 대한

재정·군사지원 방안과 미국 측과의 협의 내용을 공유했다고 전했다. 유럽 대 륙의 방위와 안보 계획도 논의됐다.

특히 영국은 EU 회원국은 아니지만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주축으 로, 유럽 주도 우크라이나 안전보장 제공 시 핵심 역할을 할 것으로 관측되 고 있다.

마크롱 대통령은 24일 미국 워싱턴DC를 방문해 트럼프 대통령과 회담할 예 정이며, 스타머 총리는 27일 백악관을 찾는다.

https://www.yna.co.kr/view/AKR20250224001700098?section=international/all

라이프 플라자 데일리 뉴스

방사청장, UAE·이집트 방문해 FA-50 등 국산무기 세일즈

(서울=연합뉴스) 김지헌 기자 = 방위사업청은 석종건 청장이 지난 17∼21일 (현지시간) 아랍에미리트(UAE)와 이집트를 방문해 방산 수출 활동에 나섰 다고 24일 밝혔다.

석 청장은 중동·북아프리카 최대 규모 방산 전시회인 UAE의 IDEX에 참석

해 각국 방산 고위급 인사들을 만났다.

그는 UAE 모하메드 알 마즈루이 국방특임장관, 이사 사이프 모하메드 알 마

즈루이 총참모장, 나세르 후메드 알 나와미 타와준(방산물자 조달 기관) 사

무총장 등 UAE 국방획득 관련 핵심 인사들을 만나 한국 방산업체의 참여방 안을 논의했다.

석 청장은 IDEX에 참석한 사우디아라비아 측과도 만나 ‘군수물자 및 용역에

대한 정부 품질보증의 상호수락에

마무드 푸아드 압델 가와드 이집트 공군 사령관을 만난 석 청장은 이집트 공 군이 FA-50을 선택할 경우 후속 군수지원 등 종합적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 고 밝혔다.

아울러 K9 자주포 이집트 현지 생산공장 ‘팩토리 200’을 찾아 자주포 생산의 본격적 개시를 알리는 강재 절단식을 지켜봤다.

https://www.yna.co.kr/view/AKR20250224022900504?section=politics/all

라이프 플라자 데일리 뉴스

삼성·SK·LG, 對 베트남 대규모 투자

[인사이드비나=하노이, 장연환 기자] 삼성전자와 SK, LG 등 한국 대표 대기

업들이 올해 에너지·첨단제조·지속가능개발 부문을 중심으로 베트남에 대한

투자확대에 나설 것으로 전망된다.

최주호 삼성베트남 복합단지장(부사장)과 나기홍 신임 베트남삼성전략협력

실장은 최근 팜 민 찐(Pham Minh Chinh) 총리와 면담에서 기존 투자분야

외에 인공지능(AI)과 반도체산업 등의 새로운 분야에 대한 투자를 확대하

고, 베트남의 디지털전환 과정에도 적극 참여할 것이라며 장기적 투자 확대

방침을 재확인했다.

현재 삼성디스플레이베트남(SDV)은 북부 박닌성(Bac Ninh)의 기존 차세대

디스플레이 제조 공장에 12억달러 규모 추가투자를 당국으로부터 승인받은 상태다. 삼성은 이를통해 베트남을 차세대 디스플레이 제조중심지로 개발한 다는 목표다.

삼성전자는 지난 2008년 북부 박닌성에 휴대폰공장을 건설하면서 베트남에 공식투자를 시작했으며, 이후 타이응웬성·하노이·호치민 등지로 투자를 확 대, 현재까지 누적투자액은 232억달러에 달하는 최대 FDI(외국인직접투자) 기업이다.

SK는 베트남내 3개 LNG발전소 프로젝트에 투자할 계획이며, 더 나아가 ▲ 인공지능(AI) ▲수소 ▲물류 ▲친환경 농업 ▲혁신을 통합한 새로운 에너지 허브 개발을 목표로 하고 있다.

SK 회장은 지난 14일 또

SK리비오가 북부 하이퐁시(Hai Phong)에서

생분해소재 (PBAT) 공장은 SK그룹이 베트남에 직접투자하는 첫번째 사업이다. 총투자 액은 5억달러로 SK는 이를통해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글로벌 생분해성소재 시장을 적극적으로 공략한다는 계획이다.

현재까지 SK의 대(對)베트남 누적 투자액은 약 35억달러이나, 대부분은 빈 그룹(Vingroup 증권코드 VIC), 마산그룹(Masan Group 증권코드 MSN), 파마시티(Pharmacity), 아이멕스팜(Imexpharm 증권코드 IMP) 등에 대 한 지분투자의 간접투자 형태다.

삼성과 SK에 이어 LG의 베트남 투자확대도 현재진행형이다. 앞서 LG는 지 난해 LG디스플레이 생산시설에 10억달러가 넘는 추가투자를 단행했으며, 향후 지속적인 투자확대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LG디스플레이는 베트남으로 생산기지를 이전한다는 장기적 전략의 일환으 로 지난 수년간 하이퐁공장에 대한 투자를 계속해 생산능력을 확충해왔다. 지난 2020년 2월 7억5000만달러를 투자했으며 2021년에는 14억달러를 추 가로 투자했다.

기획투자부(현재 재정부에 통합)에 따르면 지난달 FDI(외국인직접투자) 유

치액이 43억3000만달러로 전년동기대비 48.6% 늘어난 가운데 국가별 투자 액은 한국이 13.4배 급증한 12억5000만달러로 전체의 28.9%를 차지, 최대 투자국에 이름을 올렸다.

지난 1월 기준 한국의 대베트남 투자액은 920억달러로, 최대 투자국 지위를 확고히 유지했다.

https://www.insidevina.com/news/articleView.html?idxno=30177

라이프 플라자 데일리 뉴스

베트남, 중국산 열연강 임시 반덤핑관세

[인사이드비나=하노이, 이희상 기자] 베트남이 내달부터 중국산 일부 철강 제품에 대해 최고 27.83%의 임시 반덤핑 관세를 부과할 예정이다. 공상부에 따르면 이번 결정은 베트남 철강업계의 제소로 지난 7월 시작된 반덤핑 조사의 따른 후속 조치이다.

구체적으로 반덤핑 관세는 오는 3월8일부터 120일간 적용될 예정이다.

업체별 부과 세율은 바오산철강(Baoshan Iron & Steel) 및 마안산철강(Maanshan Iron & Steel)이 27.83%, 광시류저우철강(Guangxi Liuzhou Iron and Steel Group)이 19.38%이다.

인도산 열연강은 반덤핑 관세 부과대상에서 제외됐다.

당국에 따르면 작년 1~9월 베트남의 열연강 수입량은 약 880만톤을 기록했으며, 이중 72%가 중국에서 수입된 것으로 확인됐다.

해관총국에 따르면, 작년 중국산 강철 및 철광석, 철강제품 총수입액은 120억달러를 기록했다. https://www.insidevina.com/news/articleView.html?idxno=30181

Turn static files into dynamic content formats.

Create a flipbook
Issuu converts static files into: digital portfolios, online yearbooks, online catalogs, digital photo albums and more. Sign up and create your flipbook.
Daily New 24 02 25 by Life Plaza - Issu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