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월 21일 오전, 팜민친 총리는 63개 지방 자치 단체와 정부 회의를 주재하여 2025년까지 8%의 경제 성장률을 달성하겠다는 중앙위원회의 결론, 국회와 정부의 결의안을 이행하고 두 자릿수 성장의 모멘텀을 만들기 위한 노력을 피력했다.
이번 회의는 15대 국회 9차 임시회(2월 19일 폐막) 이후 정부가 개편된 이후
정부와 지방자치단체 간 첫 번째 회의이다.
팜민친 총리는 GDP 성장이 두 가지 목표를 달성하는 데 가장 중요한
요소라고 강조했다. 2030년까지 베트남은 상위 중산층을 갖춘
개발도상국이자 현대식 산업국이 되고, 2045년까지는 선진국이자 고소득
국가가 될 것을 목표로 한다고 말했다.
“다른 방법은 없습니다. 우리는 지금부터 2045년까지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유지해야 합니다. 그래야만 중산층 함정을 극복하고 일어나 전략적 목표를
달성하고 새로운 시대의 열망을 실현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사람들이
부유하고 문명화되어 점점 더 번영하고 행복해질 수 있습니다.” 라고 총리는
강조했다.
정부는 중앙위원회와 국회가 2025년에 8% 이상의 GDP 성장률을 달성하고, 앞으로도 두 자릿수 성장을 달성하기 위해 노력할 것을 제안했다. “당이 지도하고, 정부가 통합되었고, 국회가 동의하고, 국민이 지지하고, 조국이 기대하니, 행동만 있을 뿐 후퇴는 없습니다. 문제는 어떻게 하느냐는 것입니다.” 라며 팜민친 총리는 강조하였다.
세계은행(WB)의 최근 발표에 따르면, 지난 30년 동안 중소득 국가의
함정에서 벗어나 고소득 국가로 도약한 경제는 34개국에 불과하며, 108
개국은 이를 극복하지 못했다.
고소득 국가로 성장한 경제들의 공통점은 약 30년간 높은 성장을
유지한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일본은 1951년부터 1973년까지 연평균 11.5%의 성장률을 기록했다. 한국은 1963년부터 1996년까지 연평균 9.6% 성장했고, 중국은 1978년부터 2011년까지 연평균 약 10% 성장했으며, 싱가포르는 1961년부터 1997 년까지 연평균 8.5% 성장했다.
기획투자부에 따르면 베트남은 1986년부터 현재까지 약 40년간의 혁신을 통해 약 6.4% 성장했다. 2024년 베트남의 GDP는 4,700억 달러를 돌파할
것으로 예상되며, 1인당 소득은 약 4,700달러가 될 것으로 추정해야 한다. “GDP 성장률이 연간 7% 정도라면 두 가지 100년 목표를 달성하기가 매우
어려울 것입니다. 앞으로 20년 동안 우리는 설정된 전략적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가속화해야 합니다. 앞으로의 길은 여전히 매우 어렵습니다.” 라고
팜민친 총리가 말했다.
따라서 정부 수반은 2025년에는 향후 몇 년간 두 자릿수 성장을 위한
추진력을 만들기 위해 최소 8%의 GDP 성장률을 포함한 많은 것을 이뤄야 한다고 언급했다.
총리는 전국이 8% 이상 성장하려면 모든 부처, 지방, 부문이 모두 8% 이상
성장해야 하며, 국내외 기업, 집단경제, 사경제 등 모두 8% 이상 성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몇몇 지방자치단체, 몇몇 부처, 지부, 몇몇 사업체만으로는 급속히 성장하여 국가 전체를 발전시킬 수 없다.
그런 것입니다. 우리가 하지 않으면 거기에 도달할 수
가속하고, 돌파하고, 결승선에 도달하고, 국가가
도전을 동기로 바꿔야 합니다. 어려움과 도전이 많을수록 더 많은 노력을 해야 합니다.” 라고 총리는 강조했다.
기획투자부 차관 Tran Quoc Phuong은 2025년에 산업, 분야 및 지방별로 8가지 성장 동인이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현재 하노이 , 호치민시 및 기타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시범적이고 구체적인 메커니즘을 적용하고 있다. 전국은 효율, 조직, 기구의 간소화, 간결화, 효과성 및 집중화를 향해 준비를 완료했다.
해결책에 대해 푸옹 차관은 행정 개혁에 집중하고, 투자 절차를 신속하게 해결하며, 기업과 프로젝트에 대한 어려움과 장애물을 제거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기업과 기업가에 대한 편견을 없애십시오. 기업이 겪는 어려움과 장애물을 항상 함께 제거하고, 기업이 시범 및 특정 메커니즘과 정책, 새로운 획기적인 규정, 하이테크 분야 프로젝트에 대한 “녹색 채널” 규정을 시행하도록
지원할 것입니” 라고 푸옹 차관은 말했다.
https://thanhnien.vn/chinh-phu-hop-63-dia-phuong-ban-tangtruong-cao-thoat-bay-thu-nhap-trung-binh-185250221094703417. htm
라이프플라자/ 락홍대 인턴 기자 반우티– 번역

오늘 2월 21일 아침에 열린 63개 지방자치단체와의 성장에 관한 정부 회의
에서 하이퐁시 인민위원회 응우옌 반 퉁 위원장은 다음과 같은 정보를 발표
했다. 퉁 위원장에 따르면 하이퐁은 성장을 촉진하기 위해 많은 중요한 솔루
션을 실행했으며 주목할 만한 성과를 달성했다. 공공투자자본의 지출은 약
70%에 달했다.
경제성장 측면에서, 하이퐁은 10년 연속으로 두자릿수 성장률을 유지해 왔
으며, 연평균 12.35%의 성장률을 기록했다.
정부는 2025년에 12.5%의 성장 목표를 설정했고, 하이퐁은 이 목표를 달성 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며, 가능하면 더 빠른 속도로 성장할 것을 약속했다. 2026년~2030년 동안 하이퐁의 성장률은 이전 기간에 비해 더 높은 연평균 14%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중앙정부의 지시에 따라 도시는 연평균 GRDP 성장률 15.6%를 목표로 개발 계획을 수립하고 있다. 특히, 하이퐁은 라오까이-하노이-하이퐁 철도 프로젝트를 시행하기 위해 11 조 VND를 기부하기로 약속했다. 그 중 6조 VND는 부지 정리에 사용되고, 5조 VND 이상은 항구와 직접 연결되는 지점을 건설하는 데 투자된다.
하이퐁 지도부는 교통부에 라오카이와 하이퐁 노선의 양쪽 끝에서 동시 건
설 계획을 검토해 공사 기간을 단축하고 프로젝트를 조만간 가동할 것을 제
안했다.
팜 민 찐 총리는 하이퐁이 라오까이-하노이-하이퐁 철도에 약 11조 VND를 투자한 것을 환영하고, 이를 15조 VND까지 늘리도록 노력할것을 제안했다.
광닌성 인민위원회 Pham Duc An 위원장은 정부가 광닌성에 성장 목표를 할당하기 전에 광닌성은 적극적으로 12.05%의 성장 시나리오를 구축했으
며 14%를 초과하기 위해 노력했다고 말했다.
“이 지방의 규모는 매우 크고 현재 약 347,000억 VND이다. 성장률이 14%
절대 증가액은 480,000억 VND가 넘을 것입니다.”
안 위원장은 말하며, 이 지방은 자본을 100% 지출하고, 예산 수입을 늘리기 위한 솔루션 을 실행하고, 올해 개발 투자
보완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동시에 관광 유치 목표는 수입이 55,000억 VND 이상이 되도록 보장하는 것 이다. 쿠아룩 만 주변 지역의 전반적 개발 공간을 완성한다. 새로운 개발 기 회를 잡기 위해 탄호이 지역의 도시화에 집중한다.
다음 주, 광닌성은 정치국과 정부에 반돈 경제 구역 개발 정책을 제출할 예 정이다. 지방 정부는 가까운 미래에 총리가 총투자액이 약 10억 달러인 반돈 경제 구역의 고급 복합 관광 구역 시행 정책을 승인하는 것을 고려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탄콩 자동차 공장은 꽝닌성 경제 성장에 큰 ‘힘’을 불어넣을 공장이기 때문에 세금 정책과 관련된 특별 정책이 필요하다.
박장성 인민위원회 응 우옌 비엣 오안 위원장은 2024년에 이 지방이 20억
달러의 투자 자본을 유치했다고 말했다. 특히, 올해 첫 두 달 동안 이 지방은
총리로부터 860헥타르가 넘는 면적의 4개 공업단지에 대한 승인을 받았는 데, 이를 통해 이 지방은 2025년 말과 그 이후 몇 년간 투자를 유치할 수 있 는 새로운 공간을 확보하게 된다.
박장성은 2025년까지 13.6%의 성장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분기별 성장 계 획과 시나리오를 발표했다.
박장성의 하노이- 랑선 철도 노선은 하노이 도시 철도 노선과 매우 가깝게 지나간다. 지방 정부는 총리에게 2025~2030년 기간 동안 하노이-랑선 철도 노선에 대한 초기 연구 및 투자를 유도하고, 박장성과 주변 지방이 하노이 도시 철도 시스템과 연결되는 도시 철도 시스템에 투자할 수 있도록 유리한 여건을 조성할 것을 제안했다.
https://thanhnien.vn/thu-tuong-hoan-nghenh-hai-phong-gop11000-ti-lam-duong-sat-lao-cai-hai-phong-185250221105828207. htm
라이프플라자/ 락홍대 인턴 기자 반우티– 번역
라이프 플라자 데일리 뉴스

베트남 금융센터 설립 및 운영에 관한 결의안 (초안 12)에 따르면 , 금융센터
의 토지 정책은 다음과 같이 규정되어 있다. 금융센터 개발을 위한 우선 산
업 및 직업인 산업, 직종 및 분야의 경우 토지 사용 기간은 70년을 초과할 수
없다. 다른 산업과 직업의 경우 50년을 넘지 않아야 한다.
기간이 만료된 후에도 토지 사용자가 토지를 계속 사용할 필요가 있는 경우
국가는 토지 이용 기간을 연장하는 것을 고려하지만, 규정된 기간을 초과해 서는 안 된다.
특히, 외국인 투자 자본을 보유한 경제 조직 및 기업은 베트남에서 영업 허
가를 받은 신용 기관의 금융 센터에 있는 토지 사용권 및 토지에 부착된 자
산을 저당해서 자본을 차용하여 투자 프로젝트를 시행할 수 있는 권리가 있
으며, 국가에 대한 토지 임대료 지불 형식에 의존하지 않는다.
외국투자자본을 보유한 경제조직 및 기업은 토지사용권 및 토지에 부속된
자산을 외국 신용기관에 저당하여 투자자본을 차입할 수 있다. 분쟁이 있는
경우 베트남 법률에 따라 시행된다.
담보자산을 취급할 때 담보권자는 베트남 법률 규정에 따라 양도를 허용받
은 기관에만 토지사용권과 토지에 부착된 자산을 양도할 권리를 행사할 수
있다.
기획투자부는 또한 금융센터에서 일하거나 사업 투자 활동을 하기 위해 베 트남에 입국하는 외국인이 금융센터 내 주택 건설 투자 프로젝트에서 주택
매매를 허용하도록 제안했다.
소유권은 부동산 건설 투자 프로젝트에서 부동산을 소유한 프로젝트 투자자
나 조직, 가구, 개인으로부터 구매, 할부 매수, 기증 또는 상속을 통해 획득 할 수 있다. 투자자 및 소유자의 토지에 대한 권리와 의무는 토지법의 규정
에 따른 부동산 건설 투자사업의 토지배정 및 토지임대차 형식에 따라 결정 된다.
베트남 내 금융 센터 설립 및 운영에 대한 국회 결의안 초안 제안에 대해 산
달라고 요청했다.

산업통상부는 “이로 인해 베트남에 거주하지 않는 외국인도 주택을 매수, 투 기하여 가격을 올릴 수 있으며, 이는 금융 중심지에서 일하는 사람들에게 불 리한 주택 임대료로 이어져 비용 경쟁력을 떨어뜨리고 근로자를 유치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고 우려를 표명했다.
또한, 부처는 금융센터 회원 기업에 대한 검사·심사 정책을 명확히 할 것을 제안했다.
건설부에 따르면, 초안 결의안 개요에는 금융 센터 내 토지 이용 기간, 토지
이용권, 저당권, 외국인이 주택 건설 투자 프로젝트에서 주택을 매매할 수 있는 권리 등에 관한 토지 정책이 규정되어 있다. 국회에 결의안 초안을 제안하는 서류에는 금융 센터의 기능을 명확히 하고, 토지, 주택, 부동산 사업에 대한 관련 법률 시행을 평가하는 근거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국제 금융 센터와 지역 금융 센터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구분하고, 베트남에서 금융 센터를 건설하는 것을 촉진하기 위한 적절한 메커니즘과 정책을 제안하여 국가를 새로운 시대, 국가 성장 시대로 이끌어야 한다. 이러한 제안에 대해 기획투자부는 금융센터 간 동시적 발전을 보장하기 위 해 지역 금융센터와 국제 금융센터를 구별하지 않을 것을 제안했다.
https://thanhnien.vn/de-xuat-nguoi-nuoc-ngoai-duoc-mua-bannha-trong-tr
라이프플라자/ 락홍대 인턴 기자 반우티– 번역
뉴질랜드 총리, 베트남 방문/ ASEAN 미래 포럼 참석

2월 21일, 외교부는 Pham Minh Chinh 총리의 초청으로 뉴질랜드 총리
Christopher Luxon 이 베트남을 공식적으로 방문하고 2월 25일부터 28일
까지 제2회 ASEAN 미래 포럼에 참석할 것이라고 밝혔다.
Christopher Luxon 총리는 뉴질랜드 고위 기업인 대표단과 함께 하노이와 호치민시를 방문할 예정이다.
방문 전 두 나라 간의 관계를 공유한 Christopher Luxon 총리는 베트남이 동남아시아의 떠오르는 샛별이며, 이 지역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경제 중 하나라고 단언하였다.
Christopher Luxon 씨는 “올해 두 나라는 외교 관계 50주년을 기념합니다.
저의 방문은 우리의 관계에 활력을 불어넣고, 양자 무역을 강화하며, 기업들
에게 더 많은 기회의 문을 열어줄 것입니다...”라고 강조하였다.
뉴질랜드 총리는 지난 5년간 양국 간 무역이 40% 성장했지만 여전히 성장
여지가 많이 있다고 말했습니다. 그는 또한 2026년까지
동시에 Christopher Luxon 총리는 베트남이
2025년 2월 현재 베트남은 뉴질랜드의 12번째로 큰 무역 상대국이며, 베트 남은 뉴질랜드 시장에 대한 12번째로 큰 수출국이고, 뉴질랜드에 대한 18번 째로 큰 수입국이다.
뉴질랜드는 베트남의 41번째로 큰 무역 상대국이며, 수출에서는 41위, 수입 에서는 37위를 차지했습니다. 양방향 무역 거래량은 수년간 꾸준히 증가해 왔다.
농업은 양국 관계에서 중요하고 잠재력이 있는 협력 분야입니다. 베트남은 뉴질랜드산 상업용 감자, 냉동 소고기, 키위, 사과, 호박, 딸기에 대한 시장을 개방하였다.
뉴질랜드는 베트남에서 망고, 드래곤프루트, 람부탄, 레몬, 자몽에 대한 허가 를 받았습니다. 뉴질랜드는 꿀, 배, 사슴고기, 사슴고기에 대한 시장을 개방 할 것을 제안했습니다. 베트남이 롱안, 리치, 절화 시장을 개방할 것을 제안 하였다.
https://thanhnien.vn/thu-tuong-new-zealand-sap-tham-viet-namva-du-dien-dan-tuong-lai-asean-185250221102020325.htm
라이프플라자/ 반히엔대학 인턴 기자 이엔니– 번역
라이프 플라자 데일리 뉴스
필리핀 경찰, 온라인 도박 회사 급습, 중국인 소유자 5명 체포

AFP에 따르면 필리핀 조직범죄방지위원회(PAOCC)는 지난 2월 20일에 필
리핀 경찰이 수도 마닐라 외곽에서 중국인이 운영하는 것으로 추정되는 온
라인 도박 회사를 단속해 450명 이상을 체포했다고 발표하였다.
PAOCC는 초기 조사 결과 교외 지역이 스포츠 베팅 및 투자 계획을 통해 중
국과 인도의 피해자를 표적으로 삼아 사기를 저지르는 중심지로 운영되어
왔다는 사실이 밝혀졌다고 덧붙였다.
체포된 사람 중에는 중국인이 137명 포함되었다. PAOCC 이사인 길베르토
크루즈는 오늘 2월 21일 AFP에 “우리는 중국인 사장 5명을 체포했습니다.”
라고 말하며 이들이 인신매매 혐의를 받을 수 있다고 덧붙였다.
작년에 필리핀의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대통령은 POGO라고도 불리는 온라
인 도박 사업자를 금지하였다. POGO가 조직범죄단체에서 인신매매, 자금 세탁, 온라인 사기, 납치, 심지어 살인을 은폐하는 데 사용되었다는 보고가 있다.
크루즈는 “이번 단속은 전 POGO 운영자들이 금지에도 불구하고 사기 행위 를 계속하고 있다는 것을 증명한다”라고
따르면 워싱턴 DC에 있는 미국 평화 연구소는 2024년 5월 보고서에 서 온라인 사기꾼들이 전 세계 수백만 명의 피해자를 표적으로 삼고 연간 최 대 640억 달러의 수익을 챙긴다고 밝혔다.
https://thanhnien.vn/canh-sat-philippines-dot-kich-cong-ty-danhbac-truc-tuyen-bat-5-chu-nguoi-trung-quoc-185250221095533922. htm
라이프플라자/ 반히엔대학 인턴 기자 이엔니– 번역
라이프 플라자 데일리 뉴스

황정우 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철강 관세 부과가 아시아의 철 강 공급 과잉을 악화시킬 가능성이 제기된다고 블룸버그 통신이 20일(현지 시간) 보도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내달 12일부터 미국으로 수입되는 모든 철강과 알루
미늄 제품에 25%의 관세를 부과한다고 발표했다.
애초 트럼프 대통령은 관세 면제는 없다는 입장을 밝혀왔으나 행정명령에
서명하는 자리에서 호주에 대한 면제를 “많이 고려하겠다”라고 언급함에 따
라 아직 개별 국가별 관세 부과 여부가 최종 결정된 것은 아니라는 관측이
나오는 상황이다.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부과는 미국 철강업체 보호를 강화하기 위한 의도이
지만 이미 급증한 중국의 철강 수출로 촉발된 전 세계 철강 시장의 긴장을
더욱 높일 위험이 있다는 분석이다.
미국의 관세 부과에 막힌 물량의 일부가 이미 포화 상태인 아시아 시장에 유
입될 것이라는 우려다.
철강 생산을 빠른 속도로 늘려온 베트남의 응히엠 수안 철강협회 회장은 “새
로운 관세 부과로 미국 수출이 막힘에 따라 더 많은 국가에서 생산된 철강이
베트남에서 판매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최근 몇 년 새 베트남은 동남아시아의 주요 철강 소비국이자 생산국으로 부
상했다.
아시아는 물론 유럽과 남미의 철강업체들은 이미 값싼 중국산 철강의 홍수
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던 터였다.
지난해 중국의 철강 수출 물량은 9년 만에 가장 많은 1억1천만t을 넘어설 것
으로 예상된다.
트럼프 대통령이 서명한 행정명령에는 중국의 수출이 “다른 국가의 생산을 대체하고 더 많은 양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