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역액 1500억 달러로
2월 14일 오후 To Lam 당서기장은
최태원 SK그룹 회장 겸 대한상공회
의소(KCCI) 회장을 접견했다. 이 자
리에서 또람 사무총장은 최근 베트남
에서 사업 투자 과정에서 SK그룹이
이룬 성과를 높이 평가하며 최태원과
SK그룹이 개인적으로 베트남에 준
사랑에 감사했다.
To Lam 당서기장은 한국 이 항상 베
트남에 대한 투자와 무역에서 선도
적인 국가 중 하나라고 강조했다. 이
를 바탕으로 양국은 2030년까지 무
역액 1,500억 달러를 목표로 하고 있
다.To Lam 당서기장은 SK그룹을 포
함한 베트남에 투자하는 한국 기업들
의 실질적인 기여를 높이 평가하여
베트남의 KT-사회 발전에 중요한 기
여를 했다.
To Lam 당서기장은 SK그룹이 베트
남의 사회·경제적 발전 방향에 맞춰
신규 사업을 추진하려는 계획을 높이 평가하며, SK그룹이 관련 기관 및 베 트남 지방 자치 단체와 긴밀히 협력 해 가장 빠르고
하고 있음을 강조하며, 베트남 경제 의 지속 가능한 발전에 기여하기 위
해 베트남에서 관련 분야를 추진하는
데 협력하고자 한다. 이에 따라 SK그
룹은 LNG 전력 인프라에 대한 투자, AI 데이터 센터, 수소 에너지 및 소형
모듈형 원자로(SMR), 첨단 농업 및
물류와 관련된 잠재적 협력 프로젝트
개발 등 핵심 산업 개발과 결합된 에
너지 솔루션을 구축하기 위해 베트남 과 협력하고자 한다.
최태원 SK그룹 회장은 에너지 분야
에서 세계 최고 수준의 역량을 보유
하고 있음을 강조하며, 베트남 경제
의 지속 가능한 발전에 기여하기 위
해 베트남에서 관련 분야를 추진하는
데 협력하고자 한다. 이에 따라 SK그
룹은 LNG 전력 인프라에 대한 투자,
AI 데이터 센터, 수소 에너지 및 소형
모듈형 원자로(SMR), 첨단 농업 및
물류와 관련된 잠재적 협력 프로젝트 개발 등 핵심 산업 개발과 결합된 에
너지 솔루션을 구축하기 위해 베트남 과 협력하고자 한다.
https://thanhnien.vn/viet-namhan-quoc-huong-toi-kim-ngach150-ti-usd-185250214230052616. htm
Pham Minh Chinh 총리는 을사년
설날 주요 교통 프로젝트 검토 후 결
론 발표에서 호치민시를 연결하는
지하철(메트로) 노선을 조기에 연구
할 것을 빈즈엉 성에 요청했다. 2024
년 9월 말, 빈즈엉성은 총 투자액이
2조 4,000억 VND에 달하는 투저우
못 시, 호아푸 구에 A1 로터리 건설
을 공식적으로 시작했다. 이곳은 건
축면적이 최대 7.1헥타르에 달하는
다기능 문화, 상업, 서비스 단지이며, 호치민시를 연결하는 지하철 1 호선
의 5,800m2 규모의 현대식 중앙역이
될 예정이다.
빈즈엉성 인민위원회에 따르면, 로터
리에 있는 역은 호치민시에서 빈즈엉
까지 지하철 노선을 연장하는 계획과
일치하게 될 예정이다. 이 노선은 베
트남 당국과 일본 전문가들이 신중하
게 연구하고 있으며, 종착점은 기본
적으로 7.1헥타르 규모의 원형 교차
로에 있는 역과 연결될 예정이다.
미래에는 연결 후 호치민시에서 빈
즈엉 신도시까지의 이동시간이 약
이에 따라 Pham Minh Chinh 총리 는 빈즈엉성 인민위원회에 호치민시투저우못-촌탄 고속도로를 2026년 9 월 2일에 개통시키기 위해 검토, 진행 상황 계산, 시행 가속화를 요청했다. 체결 문서에 따르면, Pham Minh Chinh 총리는 빈푹 성에 2025년까 지 완료할 7.1km 구간의 성 내 공사 를 서두를 도록 지시했다. 동시에, 호 치민시는 이 지역의 3km 구간에 긴 급히 투자하여 빈즈엉성을 통과하는 구간과 동시에 완료했다.
빈푹성과 닥농성은 2025년 1분기에 Gia Nghia- Chon Thanh 고속도로 프로젝트에 대한 투자 절차를 긴급히 완료하고, 4월 30일에 공사를 시작할 예정이다.
https://thanhnien.vn/thu-tuongyeu-cau-som-dau-tu-tau-dienngam-ket-noi-tphcm-va-binhduong-185250214174246581.htm
30km를 10~20분으로 단축될 예정 이다. 또한 이 역이 가동되면 하루에 약 14,700명의 승객과 1,630명의 근 로자가 이용하게 될 것이다.
라이프 플라자 데일리 뉴스
(브뤼셀=연합뉴스) 정빛나 특파원 =
카야 칼라스 유럽연합(EU) 외교안보
고위대표가 14일(현지시간) 왕이 중
국 중앙외사판공실 주임(외교부장 겸
임)을 만나 무역 등 부문에서 협력하 자고 제안했다.
칼라스 고위대표는 이날 독일 뮌헨안
보회의 계기 왕 부장과 첫 회동을 하
고 양자 관계 및 지정학적 상황에 대
해 논의했다고 EU 외교부 격인 대외 관계청(EEAS)이 보도자료를 통해 밝혔다.
칼라스 고위대표는 “EU는 무역, 경
제 현안, 기후변화와 같은 선택된 분
야에서 중국과 대화를 이어가고 협력 할 준비가 돼 있다”고 말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 행정부가 모든 수
입국을 상대로 관세 부과를 예고한
상황에서 중국과도 협력이 불가피하
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보인다.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EU 집행위원
장도 지난달 21일 스위스 세계경제포
럼(WEF·다보스포럼)에서 올해 EU-
중국 수교 50주년임을 언급하며 “중
국과 관계를 더욱 심화하고 가능할
경우 무역·투자 관계를 확대할 기회
라고 보고 있다”고 말한 바 있다.
칼라스 고위대표는 다만 우크라이나
전쟁과 관련해서는 러시아에 이중용
도 상품 수출을 중단하라면서 “우크
라이나의 정의롭고 항구적 평화를 위
해 책임이 있는 모든 글로벌 당사국
이 노력해야 한다”고 거듭 촉구했다.
양측은 이날 회동에서 수교 50주년
기념 정상회담에 관한 준비도 논의했
으며, 연말 벨기에 브뤼셀에서 EU-중
국 전략대화를 개최하기로 했다.
https://www.yna.co.kr/view/AKR 20250215002800098?section=inte rnational/all
[인사이드비나=호치민, 윤준호 기 자] 베트남 최대 기술기업 FPT(FPT Corporation 증권코드 FPT)이 판교
에 신규사무소를 개소하며 한국사업
을 한층 강화했다. 이로써 FPT의 한
국내 사무소는 모두 4곳으로 늘어났 다.
FPT는 한국의 4번째 사무소인 판교
사무소를 이달초 개소했다고 13일 공
식 발표했다.
FPT의 한국법인 FPT코리아의 하 민
뚜언(Ha Minh Tuan) CEO는 “한국
에서 가장 역동적인 기술중심지로 꼽
히는 판교사무소 개소는 운영최적화
와 고객기반 확대에 큰 도움이 될 것”
이라며 “이번 확장은 고객사들에게
도움이 될 혁신적인 맞춤형 솔루션을
제공해 디지털 혁신을 가속화하고, 한
국의 글로벌 경쟁력을 한층 강화하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FPT는 “판교는 한국의 실리콘밸리
라 불리우는 기술개발의 중심지로, 한
국을 대표하는 IT기업들이 한데 모
인 혁신생태계의 심장”이라며 “이러
한 전략적 위치는 FPT가 운영최적화
와 서비스 품질 개선에
클라우드 컴퓨팅 분야의 강점을 십분 발휘해 자동차와 제조업 등 핵심산업 에서 고객기반을 확대할 수 있는 최 적의 입지이기도 하다”고 설명했다. 지난 2016년 강남사무소를 시작으 로 한국시장에 출사표를 던진 FPT 는 2023년과 2024년 각각 서울 강서 사무소, 대구사무소를 잇따라 개소하 며 3곳으로 늘렸다. 현재 FPT코리아 는 300여명의 기술 전문가와 2500여 명의 엔지니어를 통해 LG전자와 LG CNS, 신세계I&C, 신한은행 등의 기 업에 다양한 솔루션 서비스를 제공하 고 있다.
지난해 FPT의 한국사업부 매출은 전
년대비 60%이상 성장률을 보였으며, 특히 ▲자동차 ▲SAP ▲ERP ▲로우 코드(low-code) 등의 서비스에서 큰 주목을 받았다. FPT는 판교사무소를 비롯, 올해 3개 사무소를 추가개소해 한국기업이 신
https://www.insidevina. com/news/articleView. html?idxno=30106
라이프 플라자 데일리 뉴스
(서울=연합뉴스) 고동욱 기자 = 러시
아가 우크라이나 종전 논의 과정에서
미국과 대화 채널이 될 고위급 협상
단을 꾸리고 있다고 미국 CNN 방송
이 14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러시아의 협상단은 고
위급 정치인과 정보 당국자, 경제인
등으로 구성되고 있다.
이달 12일 미국과 러시아의 수감자
교환 협상에 참여한 러시아 정부 관
계자도 협상단에 참여한다.
특히 러시아의 국부펀드인 러시아직
접투자펀드(RDIF)의 키릴 드미트
리예프 대표도 협상단에 포함됐다고
CNN은 전했다.
드미트리예프 대표는 블라디미르 푸
틴 대통령의 측근 중 하나로 꼽힌다.
구소련 시절 우크라이나에서 태어
난 그는 미국 하버드대와 스탠퍼드대
를 나와 미국 컨설팅 기업 매킨지와
투자은행 골드만삭스에서 일한 경험
이 있어 미국 경제·사회에 대한 인맥
이 넓고 이해도도 높은 것으로 알려
졌다.
이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1
기 행정부 시절부터 미러 사이의 ‘물
밑 대화’에 긴밀하게 관여하는 인사
중 하나로 여겨졌다.
최근 미러 수감자 교환 과정에서도
의 중동 특사 스티브 위트코프와 사
우디아라비아 실권자 무함마드 빈 살
만 왕세자와 접촉하며 협상을 성사시
키는 가교 역할을 했다고 한다.
CNN은 드미트리예프 대표가 우크라
이나 휴전 협상단에 포진한 것에 대
해 “러시아의 협상 전략이 서방과의
경제관계 개선과 제재 해제에 초점
을 맞추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분석
했다.
협상단의 역할이 미국과의 ‘직접 대
화’에 있다는 점도 언급했다.
드미트리예프 대표는 2022년 우크라
이나 전쟁 발발 이후 푸틴의 측근이
라는 이유로 미 재무부의 제재 명단
에 올라 있다.
그는 지난해 미국 대선 과정에서 트
럼프 대통령을 공개적으로 지지했다.
대선이 트럼프 대통령의 승리로 끝나
자 “조 바이든 미국 행정부의 전례 없 는 거짓말과 무능함에 평범한 미국인
지쳐 있었다는 것을 보여준다” 며 “미·러 관계를 재정립할
https://www.yna.co.kr/view/AKR 20250215022000009?section=inte rnational/all
(베를린=연합뉴스) 김계연 특파원 = JD 밴스 미국 부통령과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14일 (현지시간) 독일 뮌헨에서 만나 종전
방안을 논의했다.
지난 12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
령이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
령과 통화해 종전 협상을 즉각 시작 하기로 합의했다고 밝힌 지 이틀 만
이다.
AFP통신 등에 따르면 밴스 부통령
은 이날 오후 뮌헨안보회의에서 회동
한 뒤 “우리는 전쟁을 끝내고 살상을
멈추길 원한다. 그러나 몇 년 뒤 다시
동유럽이 분쟁에 휘말리게 될 평화가
아닌, 견고하고 지속적인 평화를 원
한다”고 말했다.
그는 “필요한 대화를 시작하는 게 중
요하다”며 “지금은 이 정도만 말하겠
다. 책임감 있게 일을 마무리하기 위
해 선택의 여지를 남겨두려고 한다”
고 했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좋은 대화를 나
눴다. 첫 만남이고 마지막이 아닐 걸
로 확신한다”며 “더 대화하고 협력해
푸틴을 막을 계획을 준비해야 한다”
고 말했다.
그는 엑스(X·옛 트위터)에 “우리는
최대한 빨리 실질적이고 확실한 평
화로 나아갈 준비가 됐다”며 “전쟁을
멈추고 우크라이나의 정의와 안보 보
장을 도울 트럼프 대통령의 결단을
소중히 여긴다”고 적었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회담에 앞서 연설 에서 “우리가 트럼프, 유럽과 공동 계
마코 루비오 미 국무장관과 키스 켈로그 종전특사가
사흘간 각국 외교안 보 당국자들이 모이는 뮌헨안보회의 를 시작으로 종전 방안 논의를 본격 화할 전망이다. 이 회의가 끝난 뒤 켈 로그 특사가 17일 유럽연합(EU)과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20 일 우크라이나를 찾아가 당국자들과 회동한다. 전쟁 당사국인 러시아는 우크라이나 를 침공한 이후 뮌헨안보회의에 초청 되지 않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전 날 뮌헨안보회의와 관련해 “러시아도 올 것이고 우크라이나도 초대받았으 며 누가 참석할지는 확실하지 않지만 러시아, 우크라이나, 미국의 고위급 인사들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마리야 자하로바 러시아 외무부 대 변인은 이날 “러시아 공식 대표들은 뮌헨안보회의에 초대받지 못했다”며 트럼프 대통령 발언에 대한 설명은 미국이 해야 한다고 말했다.
20250215003200082?section=inte rnational/all
라이프 플라자 데일리 뉴스 체르노빌 원전에 한밤중
(서울=연합뉴스) 김연숙 기자 = 옛
소련 당시 인류 최악의 원전 사고를
남긴 우크라이나 북부 체르노빌 원자
력 발전소에서 14일(현지시간) 새벽
의문의 폭발이 발생했다.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
통령은 러시아군의 드론 공격을 원인
으로 지목했다.
로이터 통신 등에 따르면 국제원자력
기구(IAEA)는 체르노빌 원전에 파
견된 전문가 조사단이 이날 새벽 1시
40분께 4호기 격납시설에서 폭발음
을 들었다고 밝혔다.
이어 몇분 내 소방인력이 투입됐으
며, 사상자는 보고되지 않았다.
IAEA는 발표문에서 “내외부 방사능
수치는 정상적이며 안정적으로 유지
되고 있다”며 “상황을 계속해서 지켜
보고 있다”고 전했다.
이날 폭발은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
령이 12일 각각 블라디미르 푸틴 러
대통령, 젤렌스키 대통령과 전화 통 화를 하고 우크라이나 휴전 협상에
신호탄을 쏘아올린 와중에 나온 것
에 글을 올려 이날 폭발이 러시아 드
론이 원전 시설을 공격한 데 따른 것
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현재까지 방사선 수치는 증가
하지 않았으며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하고 있다”며 초기 평가에서는 상당
한 피해가 발견됐다고 말했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이러한 시설들
을 공격하고 원자력 발전소를 점령하
고, 그 결과에 대한 고려 없이 전쟁을
벌이는 세계 유일의 국가는 오늘날의
러시아”라고 비난했다.
이와 관련한 러시아 반응은 아직 나
오지 않고 있다.
체르노빌 원전은 1986년 4월 역사상
최악의 원전 폭발 사고가 발생했던
곳으로, 현재 모든 원자로의 가동은
중단됐으나 사용 후 핵연료를 냉각
시설에 보관 중이다.
지금까지도 반경 30㎞ 구역이 일반인
출입이 통제되는 소개 구역으로 지정
돼 특별 관리를 받고 있다.
https://www.yna.co.kr/view/AKR 20250214124351009?section=inte rnational/all
[인사이드비나=하노이, 떤 풍(Tan phung) 기자] 베트남이 북부 박닌성 (Bac Ninh)에 건설중인 지아빈공항 (Gia Binh)의 국제공항 승격을 추진
하고 있다.
교통운송부는 최근 지아빈공항을 국
제공항으로 승격해 ‘국가공항 개발계
획’에 포함하는 방안을 마련, 관련 부
처와 기관들을 대상으로 의견 수렴에
나섰다.
지아빈국제공항 계획안에 따르
면, 2030년까지 국제민간항공기구 (ICAO) 규정에 따른 4E급 민간공항
으로 연간 여객 수용규모 100만명, 화물처리량 25만톤 수준으로 건설된
다. 이후 2050년까지 각각 300만명, 100만톤 규모로 확장된다.
조정안이 승인되면, ‘2050년 목표, 2021~2030년 국가 공항·항만 개발
일반계획’상 전국 공항은 2030년까
지 31곳(국제공항 15곳)으로 늘어난
다.
지아빈국제공항이 국제공항으로 추
가될 경우 국가공항 개발계획은 현재
와 비교해 일부 항목이 조정될 예정
이다.
컨설팅 기관에 따르면, 지아빈공항이
국제공항으로 개발되는 경우에도 전
국 공항 시스템상 여객 및 화물처리
량에는 유의미한 변화가 없을 것으로
나타났으나, 운항편 분담으로 인접공
항인 하노이 노이바이국제공항(Noi
Bai)의 여객·화물처리량 조정이 불가 피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지아빈국제공항 예상사업비 2030년까지 17조6800억동(6억9560 만여달러), 이후 2050년까지 12조 800억동(약 4억7530만달러) 등이 공 항개발계획 소요 재원에 추가될 예정 이다.
앞서 박닌성 당국은 지난달 지아빈공 항을 현재 공사중인 것보다 250헥타 르(250만㎡) 늘린 규모로 대폭 확장 해 국가공항계획에 포함시킬 것을 중 앙정부에 건의한 바있다.
작년말 공안부가 착공한 지아빈공항 1단계사업은 약 125헥타르 규모의 ICAO 3급 군사공항(헬기포함) 및 민 간공항 건설을 골자로 한 것으로 올 해말 완공 예정이다.
공안부에 따르면 지아빈공항은 사회 경제적 개발 촉진을 위한 민간공항과 국방안보 목적의 군용공항 겸용으로 운영될 예정이다. 이와
라이프 플라자 데일리 뉴스
(샌프란시스코=연합뉴스) 김태종 특파원 = 테슬라가 독주하는 휴머노이드
로봇 분야에 다른 빅테크도 참전을 준비 중인 것으로 알려지면서 판이 커지 고 있다.
블룸버그 통신은 14일(현지시간) 페이스북 모회사 메타가 인공지능(AI) 기
반 휴머노이드 로봇을 개발하기 위해 새로운 부서를 꾸리고 있다고 보도했 다.
메타 최고기술책임자(CTO) 앤드류 보스워스는 최근 내부 메모에서 새로운
팀이 “라마(Llama) 플랫폼 기능을 극대화하는 것을 목표로 컨슈머 휴머노
이드 로봇 관련 연구 개발에 집중할 것”이라고 말했다.
라마는 메타의 AI 모델로, 이를 이용해 가정 등에서 사용할 수 있는 인간을
닮은 로봇 개발에 나서겠다는 것이다.
메타는 휴머노이드 로봇팀을 리얼리티 랩스 부문 내에 신설할 예정이다. 리
얼리티 랩스는 가상현실 헤드셋 등을 포함해 메타버스(3차원 가상세계) 시
대에 대비해 연구해 온 조직이다.
메타는 처음에는 집안일을 하는 자체 휴머노이드 로봇 하드웨어 개발을 검
토하고 있으며, 여러 회사가 개발하는 로봇에 들어가는 AI와 센서 및 소프트
웨어를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메타는 이를 위해 중국의 유니트리 로보틱스, 테슬라 옵티머스의
꼽히는 피규어 AI 등과 휴머노이드 로봇 개발 논의를 시작한 것으로 알려졌 다.
메타의
머스처럼 앱트로닉도 현재 ‘아폴로’라는 산업용 휴머노이드 로봇을 개발 중 이다.
현재 휴머노이드 로봇 개발은 테슬라가 가장 앞선 것으로 평가받고 있으며, 테슬라는 옵티머스라는 로봇을 올해 공장에 배치한다는 계획이다.
이들 기업 외에 챗GPT 개발사 오픈AI와 애플도 뛰어들 전망이다.
오픈AI는 지난달 말 당국에 제출한 상표 등록 신청서에 ‘로봇’ 분야를 포함시 키며 이를 “사람들을 돕고 즐겁게 하기 위한 소통 및 학습 기능을 갖춘 인간 형 로봇”이라고 명시했다.
또 최근 새로운 로봇팀을 구성하기 시작했으며, 이를 위해 지난해 11월 메타 의 증강현실(AR) 글라스 부문 하드웨어 팀장을 영입했다.
애플 전문가 TF인터내셔널증권의 궈밍치 연구원은 앞서 지난 12일 “애플이 미래 스마트 홈 생태계를 위해 휴머노이드, 비휴머노이드 로봇을 모두 연구 하고 있다”고 전했다.
그는 애플이 “사전검증(POC) 단계에 있다”며 로봇을 실제로 구현 가능하고 기대한 성능을 발휘할 수 있는지 검증하는 과정에 있다고 말했다.
엔비디아는 지난달 세계 최대 가전·정보기술(IT) 전시회 CES에서 로봇 개발 플랫폼을 발표하며 휴머노이드 로봇 개발에 속도를 붙였다. 골드만 삭스에 따르면 휴머노이드 로봇의 글로벌 시장 규모는 2035년까지 380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주요 기술 대기업들이 참전하면 서 시장 규모가 확대될 전망이다.
https://www.yna.co.kr/view/AKR20250215019200091?section=inter national/all
라이프 플라자 데일리 뉴스
(서울=연합뉴스) 김연숙 기자 = 유럽이 우크라이나에 군대를 보내 향후 러시
아와 평화 합의 이행을 돕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고 AP통신이 14일(현지시 간) 보도했다.
AP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정부의 안보 우선순위가 유럽이 아닌 다른 곳에
있다는 사실에 경각심을 느낀 유럽이 물밑에서 이를 논의하고 있으며, 논의
의 중심에는 영국과 프랑스가 있다고 전했다.
현재까지 초기 단계 논의로, 세부적인 내용은 알려지지 않고 있다.
논의에 참여한 국가들은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우크라이나 종전
협상에서 우위를 점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해 신중을 기하고 있다.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전쟁 종식 후 자국 안보 보장을
요구하고 있다. 그동안은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가입이 최선의 보
호책이었지만, 미국은 이를 사실상 배제한 상태다.
유럽이 어떤 병력이 필요한지 살펴보기 시작한 건 약 1년 전이다. 그러나 최 근 트럼프 대통령이 유럽뿐만 아니라 당사국 우크라이나를 배제한 채 러시
아와 독자적으로 합의를 시도하는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오면서 긴박감이 커졌다.
작년 12월 유럽국 정상 및 장관들과 젤렌스키 대통령이 벨기에 브뤼셀에 있
는 마르크 뤼터 NATO 사무총장 관저에 모였다. 트럼프 대통령 당선 후 취임
전이었다. 영국, 덴마크,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네덜란드, 폴란드를 비롯해
유럽연합(EU) 고위 당국자들도 참석했다.
이 회담은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이 작년 초 제안한 구상을 기반으 로 마련됐다. 마크롱 대통령은 지난해 2월 언론 브리핑에서 유럽 국가들이 우크라이나 지원을 위해 직접 군대를
당시만 해도 마크롱 대통령의 발언에 유럽이 발칵 뒤집힌 듯 보였으나, 그의 제안은 점차 지지를 얻었다.
병력 참여 형태와 구성, 역할 등은 우크라이나 평화 합의 조건 등에 따라 달 라질 전망이다.
각국 사정도 있다. 이탈리아엔 자국군 사용에 헌법적 제한이 있고, 네덜란드
는 의회 승인이 필요하다. 독일은 오는 23일 선거 후 새 정부가 들어서면 입 장이 바뀔 수 있다. 폴란드는 2차 세계대전 당시 역사적 갈등으로 우크라이
나에 대한 신중한 태도를 유지하고 있다.
이와 관련, 한노 페브쿠르 에스토니아 국방부 장관은 뮌헨안보회의에서 AP 와 만나 “아주 초기 단계”라며 유럽 동맹국들이 먼저 우크라이나 전선이 어
떻게 형성될지를 파악하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다.
페브쿠르 장관은 만약 러시아와 우크라이나가 전선 병력을 각각 수천 명으 로 줄인다면, 유럽 병력 배치도 문제가 되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여
전히 갈등이 격화한 상태라면 상황이 훨씬 복잡해질 것이라 덧붙였다. 전문가와 당국자들은 유럽이 단순한 유엔 평화유지군 같은 병력이 아닌, 강 력하고 규모가 큰 병력을 배치해야 한다고 말한다.
벤 호지스 전 유럽 주둔 미군 사령관은 지난달 한 행사에서 “러시아는 모든 협정을 위반한다”며 “러시아가 (합의를) 시험하려 든다면 무너지리라는 것 을 알 수 있도록 실제 병력이어야 한다”고 말했다. 호지스 전 사령관은 공군력과 대규모 지상군, 드론 및 대(對) 드론 전력, 방 공 미사일 방어 체계 등이 갖춰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https://www.yna.co.kr/view/AKR20250215020300009?section=inter national/all
Tel: 090-179-5475
Add: 78 Phan Khiem Ich, Tan Phong Ward, Dist. 7, HCMC
식당
쌈밥&고기마당 093 924 1710
B0.06, Saigon South Residences, Nha Be, HCMC
113-115 Cong Hoa Street, Ward 12, Tan Binh Dist, Ho Chi Minh C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