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New 03 01 25

Page 1


라이프 플라자 데일리 뉴스

제주항공 참사? 무안공항 참사?…명칭

(무안=연합뉴스) 정경재 기자 = 무안국제공항에서 발생한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명칭을 둘러싼 누리꾼들의 갑론을박이 이어지고 있다.

정부 차원에서 이번 참사를 ‘제주항공 여객기 사고’라고 일컫기로 일찍이 못 박았

으나 일부 유튜버나 누리꾼은 ‘무안공항 참사’로 불러야 한다고 여전히 주장하고 있다.

아직 시신 수습을 마치지 못한 유가족의 애끓는 마음이 커지는 상황에서 지역감

정까지 자극할 수 있는 명칭 논란이 소중한 가족을 잃은 이들에게 또 다른 상처를 줄까 우려된다.

3일 정부 부처에 따르면 국토교통부와 한국공항공사 등은 참사 초기부터 ‘제주항 공 여객기 사고 희생자를 애도하고 유가족께 깊은 위로를 드린다’는 문구가 적힌

배너를 누리집에 게시했다.

다수의 희생자가 발생한 광주시와 전남도 등 지자체도 같은 명칭으로 참사를 명

명하고 애도의 글을 누리집에 올렸다.

희생자와 유가족이 거주하지 않는 나머지 지자체도 마찬가지다.

명칭이 이렇게 정해진 건 국제연합(UN)이 설립한 국제민간항공기구(ICAO)의 관 행과 무관하지 않다.

기구는

유튜버와 누리꾼은 이번 참사의 원인이 명확히 규명되지 않은 상황 에서 ‘무안공항 참사’라는 명칭을 고집하는 모습이다.

일부는 지역감정을 자극하는 용어까지 써가면서 참사 희생자와 유가족, 지역 주 민에게 상처를 주는 표현도 서슴지 않고 있다.

전문가는 정확한 원인이 밝혀지지 않은 상황에서 공항에만 사고 책임을 돌리는 명칭을 사용하는 건 부적절하다고 지적한다.

보잉 737 기장 출신인 고승희 신라대 항공운항학과 교수는 “이번 사고 명칭의 정 답을 말하라면 ‘제주항공 2216편 사고’가 맞다”라면서 “여기에 굳이 공항 이름을

넣어야 하는가에 대한 논란을 이해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현재 조사 중인 사안이라 조심스럽지만,

라이프 플라자 데일리 뉴스

(서울=연합뉴스) 성도현 기자 = 베트남 중북부 지역에 진출한 한인 기업

등을 지원하는 주베트남 한국상공인연합회(하노이 코참) 제16대 회장에 고태연(61) 희성전자 베트남 법인장이 취임했다.

3일 동포사회에 따르면 고 신임 회장은 지난달 18일 롯데호텔 하노이

그랜드볼룸에서 열린 130여명의 선거인단 투표를 거쳐 당선됐으며

이달부터 2년 임기를 시작했다.

고 회장은 인사말을 통해 “지역과 하노이의 연결성이 중요하다”며 “북부

지역 기업인 사회의 투명하고 건강한 미래를 만드는 기초를 다지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1992년 5월 하노이에 진출한 한국기업인 협력체로 시작한 하노이 코참은

1999년 1월 하노이 인민위원회에 정식 등록된 한인 경제단체다.

베트남 중북부 지역에 진출한 한국 기업들의

베트남코참연합회’를 구성했고, 대한상공회의소 베트남사무소가 사무국

역할을 하고 있다.

고려대 영어영문학과를 졸업한 고 회장은 1995년 금성사(현 LG전자)에서 해외영업 사원으로 일하며 베트남과 처음 인연을 맺었다.

이후 태국(5년)과 말레이시아(2년), 베트남(7년) 등에서 14년간 주재원으로 일했다.

LG전자 베트남 법인장 등을 거쳐 2018년부터 북부 하이퐁 소재 희성전자

베트남 법인장으로 근무하고 있다.

https://www.yna.co.kr/view/ AKR20250103049800371?section=search

라이프 플라자 데일리 뉴스 러시아, 우크라 가스라인공급 중단…

유럽 가스 가격 폭등

1월 1일, 러시아 에너지 대기업 가즈프롬과 우크라이나 나프토가즈, 우크라

이나 가스 운송시스템 운영자 간의 계약 연장 협상이 결렬되면서 러시아는

우크라이나를 통한 EU로 가는 가스 운송을 중단했다.

이로 인해 유럽의 천연가스 선물 가격이 2023년 10월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 다. 유럽 기준 천연가스 가격인 네덜란드 TTF 가스 가격은 4% 이상 상승해

메가와트시간당 51유로를 기록했다.

우크라이나를 통한 러시아산 가스 수입이 중단되면서 EU의 천연가스 수입

량은 5% 감소했다.

한편, 최근 유럽의 한파로 인해 유럽의 가스 저장량이 2021년 이후 가장 빠

른 속도로 감소해 약 75% 수준을 기록했다. 가스 인프라 유럽에 따르면, EU

의 가스 저장시설 저장량은 9월 말 이후 약 19% 감소했다.

그러나 가스 가격이 전년 동기 대비 50% 상승하면서 유럽은 대체 공급원을

찾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에너지 가격 상승은 EU의 경쟁력을 더욱 약화

시키고 가계 부담을 가중시킬 수 있다.

러시아는 터키스트림 파이프라인과 해상 LNG 운송을 통해 유럽 소비자들에 게 가스를 공급할 수 있다. 터키스트림은 러시아에서 흑해를 통해 터키로 이어지며, EU 회원국인 그리 스 국경까지 연결된다. 이 파이프라인은 터키 국내 시장용과 헝가리를 포함 한 중부 유럽 고객용 두 개의 노선으로 구성되어 있다. https://vtcnews.vn/gia-khi-dot-chau-au-tang-vot-khi-nga-ngungcung-cap-qua-ukraine-ar917933.html

라이프 플라자 인턴 기자 – Nguyen Minh Hang (예나) 번역

(Tran Kim Chung) 전 중앙경제관리연구소 부소장은 2024년 부 동산 시장에서 중급 아파트 분양가가 큰 폭으로 상승했다고 언급한다. 하 노이의 중급 아파트 가격은 2022-2023년 ㎡당 35-40백만 동에서 65-70백 만 동으로 급등한다. 또한, 하노이 외곽 지역의 토지 가격도 호아이득 (Hoai Duc) 81%, 동아인 (Dong Anh) 53%, 탄호아이 (Thanh Oai) 90% 등 큰 폭으로 상승한다. 반면, 리조트형 아파트(condotel) 시장은 공급 과잉과 구 매 감소로 포화 상태를 보인다.

2025-2030년 부동산 시장 3가지 시나리오 전망 트란킴쭝 (Tran Kim Chung)은 부동산 시장에 대해 중립적, 비우호적, 긍 정적 시나리오를 제시하며, 중립적 시나리오가 가장 가능성이 높다고 본다. 응우옌반딘 (Nguyen Van Dinh) 박사는 2025년이 시장 공급이 일부 해소 되는 전환점이 될 것이라고 전망한다. 그는 공급-수요 균형을 맞추는 데 도 움이 될 것이지만, 정책 조정이 없을 경우 토지가격이 압박을 받을 수 있다 고 분석한다.

2024-2026년 부동산 시장 동향 전문가들에 따르면, 2024년 말부터 2026년까지 부동산 시장은 탐색, 강화, 호전, 안정의 단계를 거친다. 2025년 2분기부터 호전 단계가 시작될 것으 로 예상되며, 토지와 빌라가 점차 유리한 위치를 되찾고 거래량이 증가한다. 2026년부터는 시장이 안정 단계에 들어서며, 가격 상승 속도가 빠르고 투자 가치가 높은 부동산 유형이 주목받는다.

https://vtcnews.vn/kich-ban-nao-cho-thi-truong-bat-dong-san2025-ar914053.html

라이프플라자 인턴 기자 Duong Minh Thy (민지) 번역

라이프 플라자 데일리 뉴스 러시아, 우크라 “에너지 시설” 연속 공격

1월 2일, 러시아 국방부는 자국 군대

가 공군, 드론, 미사일, 그리고 포병

을 동원해 우크라이나의 에너지 시

설, 군용 공항을 여러 지역에서 공격 했다고 밝혔다.

최근 러시아는 이와 유사한 공격에

대해 자주 보고하며, 이를 서방에서

제공한 미사일을 사용해 러시아 영토

깊숙이 공격한 키이우에 대한 보복

조치로 묘사하고 있다.

러시아 국방부는 추가적으로 러시

아군이 우크라이나 Su-27 전투기 1

대, 드론 97대, 그리고 미국이 제공한 HIMARS 미사일 6발을 밤새 격추했 다고 전했다.

그 전날에도 러시아의 전술 공군, 드

론, 미사일, 다수의 포병 부대가 에

너지 시설, 군용 공항 기반 시설, 선

박 조립 장소, 그리고 우크라이나 군

대와 장비가 집결한 142개 지역을 공

격했다.

러시아 방공 시스템은 HIMARS와

우라간(Uragan) 다연장 로켓 시스템

에서 발사된 미사일 7발과 우크라이

나의 고정익 드론 66대를 추가로 요 격했다.

러시아는 또한 우크라이나 수도 키이

우와 북동부 수미(Sumy) 지역을 목

표로 미사일 공격을 진행했다.

수미 지역 쇼스트카(Shostka) 시의

시장인 미콜라 노하(Mykola Noha)

는 이번 공격으로 인해 쇼스트카 내

여러 인프라가 파괴되었으며, 12개의

아파트, 2개의 교육 시설, 1개의 기숙

사, 그리고 1개의 진료소가 손상되었

다고 밝혔다.

키이우에서는 요격된 미사일의 파편

이 민간 건물 3채와 차량 2대를 손상

시켰지만, 이번 공격으로 인한 사상

자는 아직 보고되지 않았다.

한편, 전쟁 상황이 점점 격화되는 가

운데 우크라이나는 러시아 병사 150

명을 석방하고 모스크바로부터 동일 한 수의 전쟁 포로를 돌려받았다. 이

번 포로 교환은 아랍에미리트가 중재 했다.

https://vtcnews.vn/nga-tap-kichloat-co-so-nang-luong-ukrainear917926.html

라이프플라자 인턴 기자 Tran Hoang An (희진) 번역

(서울=연합뉴스) 곽민서 기자 = 국가

안보실은 3일 ‘안보실이 평양 무인기

투입 준비를 지시했다’는 내용의 제

보를 받았다고 밝힌 야당 의원들을 고발했다.

안보실은 이날 더불어민주당 부승찬

의원 등 민주당 의원 13명을 정보통

신망법 위반으로 고발 조치했다고 대

통령실이 전했다.

대통령실은 공지에서 “피고발인들은

안보실이 드론작전사령부에 평양 무

인기 침투를 직접 지시했으며, 여기

에 신원식 국가안보실장도 직접 관여

했다는 허위 사실을 유포해 명예를

심각하게 훼손했다”고 밝혔다.

이어 “피고발인들은 존재하지도 않는

소위 ‘북풍 몰이’를 들먹이며 안보실

의 명예를 실추시키려 했다”며 “피고

발인들이 어떠한 근거도 없이 정체도

알 수 없는 자의 제보에 의한다며 안

보실에 대한 허위 사실을 유포한 것

은 국가안보에 위해가 되는 범죄행

위”라고 강조했다.

대통령실은 “안보실이 안보 컨트롤

유포를 막기 위해 고발이라는 엄정한

법적 조치를 취한 것”이라며 “안보실 은 경찰에서 철저한 수사를 통해 피 고발인들을 엄벌에 처해 주기 바란다 고 전했다”고 덧붙였다. 앞서 민주당 ‘윤석열 내란 진상조사 단’은 지난달 31일 보도자료를 통해 “ 안보실이 국방부와 합동참모본부를 건너뛰고 직접 드론사령부에 평양 무 인기 투입 준비를 지시했다는 제보를 받았다”고 밝힌 바 있다.

https://www.yna.co.kr/view/ AKR20250103067400001?section=search

[인사이드비나=하노이, 떤 풍(Tan phung) 기자] 베트남정부가 올해 경제성

장률 목표를 최소 8%로 잡았다. 이는 지난해 국회가 의결한 경제성장률 목 표 6.5~7%보다 높은 수준이다.

팜 민 찐(Pham Minh Chinh) 베트남 총리는 신년사를 통해 “베트남은 올

해 최소 8%의 경제성장률을 달성해 내년부터 두자릿수 성장에 나설 수있는

토대를 마련해야 한다”며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국가적 성장과 부와

문명, 번영의 시대로 이끌 혁신과 창의성, 가속화 등의 돌파구에 집중해야한

다”고 강조했다.

앞서 베트남 국회는 지난해 11월 2025년 경제성장률 목표 6.5~7% 등의 내

용을 담은 정부의 ‘사회경제적 발전 결의안’을 가결한 바있다.

찐 총리는 “지난해 베트남의 경제성장률은 약 7%, 경제규모는 약 4700억달

러로, 지역과 세계 많은 국가에 비해 빠른 속도의 발전을 보였고, 세계경제

불확실성과 많은 난제에도 불구하고 인플레이션 통제와 거시경제 안정을 유

지한 것으로 인정을 받았다”고 평가했다.

찐 총리에 따르면 작년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률은 약 3.6%로 안정세를

보였고, 무역수지 흑자는 약 240억달러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또한 미국 싱크탱크 헤리티지재단(The Heritage Foundation)에 따르면

지난해 베트남의 노동생산성 성장률은 5.7%로 목표치를 초과달성했고, 경

제적 자유지수는 176개국중 59위로 전년대비 13계단 상승했다.

찐 총리는 “지난해 FDI(외국인직접투자) 유치액과 집행액은 각각 400억달 러, 250억달러를 기록하는 등 베트남은 세계에서 가장 많은 외국자본을 유

치한 15대 개발도상국중 하나에 이름을 올렸다”며 “이밖에도 우리는 세계 주요경제국과 17개 자유무역협정(FTA)을 체결, 세계에서

및 친환경 경제로 산업구조 전환이 진행중에 있다”고 설명했다. 이와함께 찐 총리는 “법률적 병목현상, 번거로운 행정절차, 지역간 개발격차 등 문제는 여전히 해소되지 못했고, 노동력 개발 또한 요구사항을 충족하지 못했다”고 지난해 목표에 이르지 못한 여러 지표를 지적하며, “사회보장제 도를 강화해 국민의 물질적·정신적 삶을 개선해야하며, 사람을 중심과 주체, 목표의 가장 중요한 자원이자 개발의 원동력으로 삼아야한다”고 인적자원의 중요성을 특히 강조했다.

찐 총리는 “올해는 향후 획기적인 진전을 이루기 위해 성장을 가속화해야하 는 중요한 해가 될 것”이라며 지속적인 행정개혁과 동시에 전자정부 구축에 속도를 낼 것을 각 정부 부처 및 유관기관들에 지시했다.

그는 이어 “올해는 인플레이션 통제와 함께 주요경제 균형 보장을 우선으로 거시경제 안정과 관련된 경제성장을 촉진해 나가야할 것”이라며 고속도로와 전국 항만 및 공항, 고속철도 및 도시철도 등의 주요 인프라사업의 가속화를

촉구했다.

베트남은 올해 전국 고속도로망 3000km와 해안도로 1000km 완공을 주요 목표로 잡은 상태이며, 동시에 농업과 산업, 서비스 부문 확장과 함께 첨단 기술 적용으로 국가 개발구조를 친환경 및 지속가능한 개발 방향으로 전환

라이프 플라자 데일리 뉴스

작년 中서 고위급 58명 부패 혐의

낙마…시진핑 집권 후 최다

(베이징=연합뉴스) 정성조 특파원 = 작년 한 해 중국에서 부패 문제로 실각 한 고위 간부가 58명으로 시진핑 국가주석 취임 후 최대 규모를 기록한 것으 로 나타났다.

3일 관영 신화통신에 따르면 중국공산당 중앙기율검사위원회와 국가감찰위

원회는 지난달 28일 홈페이지를 통해 2024년 낙마한 고위 간부(中管幹部·당 중앙위원회에서 임면하는 간부로, 통상 차관급 이상)가 58명에 달했다고 밝 혔다.

시 주석 집권 후 실각한 고위 간부 숫자는 2013년 21명 이후 2022년 34명, 2023년 47명 등 매년 수십명 규모를 기록했는데, 지난해는 50명을 넘어서며 최고치를 찍은 것이다.

신화통신은 작년 4월 시작된 집중 단속으로 전국에서 부정부패 56만6천건이 적발됐고 43만3천명이 당정의 처분을 받았다며 이 가운데 1만4천명이 검찰 로 넘겨졌다고 전했다.

또 작년 3월 시작된 해외 도피 부패 혐의자

‘톈 왕(天網) 2024’로 당정 간부 120명 등 도피 사범 1천306명을 중국으로 잡아 왔고, 154억4천400만위안(약 3조1천억원)을 환수했다고 설명했다.

신화통신은 “부패가 질병이라면 중점 영역과 핵심 고리의 부패는 가장 심각 한 종양”이라며 “지난 1년 동안 금융·체육·교육부터 국유기업·의약·인프라 건설·입찰에 이르기까지 중점 영역과 핵심 고리 ‘호랑이’(부패 혐의를 받는 전·현직 고위급)가 조사를 받음으로써 강력한 신호를 발신했다”고 자평했다.

이어 “새로운 부패·숨겨진 부패에 대한 타격을 강화해야 한다”며 “맞춤형 입 찰과 회피형 위탁 구매, 주식 제공형 배당금, 이익제공형 세미나·교육 등 최 근 일부 부패분자는 지하에 숨어들었고 은폐성과 현혹성이 극도로 강하다” 고 짚었다.

그러면서

점하는 주주), ‘

회사’(명목상의 주주와 다른 실제 지배인이 있는 회사) 등 새로운 부 패 발견 능력을

(서울=연합뉴스) 이상서 기자 = 우리나라 주민등록 기준 출생인구가 9년 만

에 반등한 것은 오랜 저출생의 늪에서 탈출할 수 있다는 신호탄이란 평가가 나온다.

정부와 기업의 지속적인 대책의 성과로서, 관련 정책을 더욱 정교하게 다듬

어 출생인구 상승세를 이어갈 발판을 확고히 해야 한다는 주문이 뒤따른다.

하지만 출생인구 증가 수치가 크지 않은 데다 코로나19로 지연된 혼인이 엔

데믹 이후 일시적으로 몰린 점을 근거로 ‘반짝 반등’이라는 경계도 동시에 제

기된다.

무엇보다 각종 저출생 대책으로 인해 결혼과 출산을 기피하던 사회적 분위

기에 훈풍이 불었다는 관측이 나온다.

지난해 출생통보제와 보호출산제 등 벼랑 끝에 몰린 부모와 아이를 위한 시

스템이 도입된 것도 적잖은 성과를 냈다는 분석이다.

석재은 한림대 사회복지학부 교수는 3일 연합뉴스에 “저출생 해결을 위해

정부와 기업이 함께 고민하고 머리를 맞댄 결과”라며 “이런 기조에 힘입어 ‘

출산과 결혼은 손해’라며 기피해 온 젊은 세대의 가치관도 일부 전환됐다”고

말했다.

지난해 7월 시행된 출산등록제와 보호출산제를 비롯해 올해 7월 도입을 앞

둔 ‘양육비 선지급제’ 등 사회적 약자에 해당하는 가족을 위한 지원책도 출생

률 반등을 이뤄내는 데 한몫했다고 석 교수는 평가했다.

석 교수는 “출생등록제 등은 ‘사회가 가족과 함께 양육의 책임을 나눠지겠다

는 의미’의 정책”이라며 “부모로부터 사회적 신뢰를 얻는 실마리가 됐다”고

설명했다.

이어 “출생인구 반등이 ‘뉴노멀’이 되려면 기존 정책을 수혜자들이 체감할 수

있도록 개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구혜영 한양사이버대 사회복지학과 교수도

출생인구 증가가 일시적일 수 있는 만큼 정부의 저출생 정책이 성공했다고 평가하기엔 시기상조라는 지적도 나온다.

이삼식 한양대 고령사회연구원장은 “9년간 내리 하락세를 이어오다가 반등 했다고 정부의 저출산 정책이 성공했다고 단정하긴 어렵다”며 “오른 폭이 미

미한 탓에 유의미한 변화라 볼 수 없다”고 지적했다.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지난해 주민등록 기준 출생인구는 24만2천334명으로, 전년(23만5천39명) 대비 3.1% 늘었다.

2015년(44만4천98명) 이후 처음으로 반등에 성공했지만, 당시와 비교하면 상승 폭은 절반 수준이다.

이 원장은 “코로나19로 미뤘던 결혼이 일시에 해소되면서 출생인구가 일시 적으로 오른 것으로 본다”며 “과거 수준까지 회복할지는 더 지켜봐야 한다” 고 했다.

산아제한정책이 중단돼 출생인구가 급속히 늘던 1991년 무렵 태어난 ‘에코 붐 세대’가 결혼 적령기가 되면서 자연스럽게 출생인구가 증가한 것이란 분

석도 있다.

통계청의 인구동향조사를 보면 1990년 64만9천여명이던 출생아는 1991년 70만9천여명으로 급증했다. 1992년과 1993년에도 각각 73만여명, 71만5천 여명을 기록하며 70만명대를 유지했다.

이상림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인구모니터링센터장은 “1991년 이후 세대가 결 혼 적령기에 돌입하면서 출생인구 증가 추세는 앞으로 2년 정도 이어질 것” 이라며 “정책의 성공으로 저출생 문제가 해결됐다고 낙관하기엔 섣부를 수 있다”고 말했다.

https://www.yna.co.kr/view/AKR20250103067900530?section=search

라이프 플라자 데일리 뉴스

(서울=연합뉴스) 이동환 이율립 최원정 최윤선 최주성 기자 = 고위공직자범

죄수사처가 3일 오전 윤석열 대통령의 체포영장 집행에 나섰다. 수사팀은 한

남동 관저 건물 앞에서 대통령경호처와 오전 내내 대치하며 윤 대통령 신병 은 확보하지 못했다.

공수처 검사와 수사관들은 오전 8시 2분께 관저에 진입해 1, 2차 저지선을

통과하고 문 앞까지 도달했지만, 이들을 가로막은 경호처와 4시간 넘게 대치 를 이어갔다.

공수처는 박종준 경호처장에게 체포 및 수색 영장을 제시하고 협조를 요청 했지만, 박 처장은 경호법과 경호구역을 이유로 수색을 불허한다는 입장을 보였다. 박 처장은 경찰대(2기)를 나와 경찰청 차장을 지냈고 박근혜 정부 때 경호처 차장을 역임했다가 현 정부에서 지난해 9월 처장을 맡았다.

경찰 관계자는 “아직 공무집행방해로 체포된 인원은 없다”고 전했다. 경찰은

체포영장 집행 전 과정을 채증하고 있다.

앞서 공수처 비상계엄 태스크포스(TF) 팀장인 이대환 수사3부 부장검사와 수사팀은 차에서 내려 대기하다가 오전 8시 2분께 바리케이드가 열리자 안 으로 진입했다.

수도방위사령부로 추정되는 군부대였다. 현재 관저 경비를 맡고 있는 육군 수방사 55경비단으로 추정된다. 대통령경 호처가 아닌 수방사 일반 사병들이 체포영장 집행 저지에 동원된 것으로 전 해졌다.

55경비단은 관저 내에서 외곽 경호 임무를 맡는 부대다. 대통령경호법 등에 따라 경호처에 배속돼 복무한다. 따라서 55경비단의 지휘통제 권한은 배속 되는 기관인 경호처에 있고 군은 따로 권한이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경찰 지휘를 받으며 관저에서 근접 경호를 하는 서울경찰청 202경비단은 체 포영장 집행 저지에 나서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체포영장 집행 인원은 공수처 30명, 경찰 특수단 120명 등 150명이다.

이중 관내에 진입한 인원은 공수처 30명, 경찰 50명이다. 남은 경찰관 70명 은 관저 밖에서 대기하다 일부 추가 투입된 것으로 전해졌다. https://www.yna.co.kr/view/AKR20250103034652004

Turn static files into dynamic content formats.

Create a flipbook
Issuu converts static files into: digital portfolios, online yearbooks, online catalogs, digital photo albums and more. Sign up and create your flipbook.
Daily New 03 01 25 by Life Plaza - Issu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