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내 : (604)544-5155
COPYRIGHT 2020
제4721호 2020년 12월 25일 금요일 A
The Korea Daily
각 가정마다 건강과 평화를 소원하는 소식들
국제선 타고 한국으로 들어가는 코로나19 24일 캐나다 출발 한국인 확진자로 연방정부 14일 데이터가 최신 확인 영국발 항공기 입국 금지국가 증가 캐나다에서 한국으로 들어가는 국제 항공편에 심심치 않게 코로나19 확진 자가 나오고 있어 점차 고국에 자유 롭게 왕래할 수 있는 기회가 더 힘들 어져 보인다. 한국 질병관리청은 24일 캐나다에 서 입국한 한국인 1명이 코로나19(코 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COVID-19) 확진자로 밝혀졌다고 발표했다. 16일 이후 8일만에 다시 캐나다 출 발자가 확진자로 나온 것이다. 12월 들 어 1일, 4일, 7일 14일 등 총 6명이 확 진자로 나왔다. 연방정부에서 발표한 국제선 확진자
항공편 데이터에는 지난 14일 밴쿠버 에서 서울로 간 에어캐나다 AC63편 좌석 25~30열 사이에서, 그리고 11일 에어캐나다 AC63편의 좌석 24~30열, 34~40열 사이에서 확진자가 나왔다. 3월을 제외하고는 한국에서 캐나다 로 들어온 항공편에 코로나19 확진자 가 있다는 발표가 나오지 않았다. 이 는 정말 확진자가 없을 수도 있지만, 입국자 전원을 코로나19 검사를 하는 한국과 달리 증상이 나타나야 검사를 하는 캐나다의 현실성이 반영된 것으 로 보인다. 최초로 코로나19 백신을 접종했던 영국에서는 변종 바이러스가 나와 점 점 더 많은 나라가 영국발 항공기 입 국을 금지시키고 있다.
지난 23일 밴쿠버 한인신협 포트 코퀴틀람 지점에서 회원을 포함한 모든 방문 고객에게 한국산 KF94 마스크를 나누어주고 있다. 밴쿠버 한인
표영태 기자
신협은 한국 신협 중앙회에서 3만장의 KF94마스크를 후원 받아 22일부터 전 지점을 통해 배포하고 있다. 밴쿠버 한인신협은 내년도에는 마스크 착용을 위한 스트랩도 증정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5면
(표영태 기자)
봉쇄강화 행정명령 슬슬 효과가 나타난다 BC주 일일 확진자 수 감소세 새 사망자는 여전히 두자리수 다음주부터 모더나 백신도착 코로나19 확산을 막기 위해 강력한 사회 봉쇄 명령이 내려지면서 확산세가 뚜렷이 감소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23일 BC주 보건당국의 코로나19(코로 나바이러스감염증-19, COVID-19) 브리 핑에서 새 확진자 수가 518명을 기록했다. 22일 444명에 비해서는 증가했지만 11 월13일 600명 대에 진입한 이후 지난주까 지 500명대에서 900명대를 오가던 때와 비교해 일일 확진자가 나오던 것에 비해 서 이번주 들어 다소 줄어드는 모습이다. 21일부터 23일까지 400명대와 500명대 초 반에 머물고 있다. 23일 기준으로 확진후 감염 상태인 환 자는 9137명이고 이중 348명이 입원 중이 며, 다시 이들중 80명이 집중치료실(ICU) 조치를 받고 있다. BC주에서 지난주 화이자의 코로나19
백신 접종을 시작한 이후 5603명이 접 종을 마쳤다. 당초 4000회분이 들어왔다 고 발표했는데 이후에 추가 된 것으로 보 인다. 23일 연방정부는 모더나에서 생산한 코 로나19 백신 사용도 허가를 해 추가적인 백신접종 기회가 생겼다. 이에 따라 다음 주부터 모더나의 백신이 BC주에 도착해 고립된 전원지대의 퍼스트네이션 원주민 지역사회부터 접종이 시작될 예정이다. 모 더나 백신은 화이자 백신과 달리 수송을 하는데 제한조건이 용이해 원력 고립지역 으로 보내기 용이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날 코로나19로 인한 사망자가 19명이 나와 총 796명이 BC주에서 코로 나19로 목숨을 잃었다. 24일에는 그 수가 800명을 넘길 것이 확실하다. 결국 BC주 민 대다수가 백신을 접종하고 항체가 생 겨 집단 면역 비율이 70% 이상 높아질 때 까지 현재의 위험한 상황은 지속될 수 밖 에 없어 보인다. 표영태 기자
지난 18일 민주평통 밴쿠버협의회가 개최한 평화통일 강연회에 세계적인 종교학 전문가인 오강남 박사가 나와 평화통일에 대한 화해와 상생의 정신에 대해 다루었다. 오 박사는 냐냐주의적 획일성은 평화통일의 정신을 훼손할 수 있다며 서로 다름을 인정하는 포용성, 즉 화이부동을 강조했 다. >>관련기사 6면,14면
(표영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