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ND STUDY MAGAZINE (마음공부 매거진), Issue 01, 2024

Page 1


원불교 전서 [圓佛敎全書]

Korean Edition

Hardcover ㅣ 1068 pages ㅣ Korean (1977) ㅣ Won Buddhism

원불교의 경전인 교서를 합간한 책으로 1977년 발간되었습니다. 교전인 정전, 대 종경과 불조요경, 그리고 예전, 정산종사법어인 세전과 법어, 원불교 교사, 성가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THE PRINCIPAL BOOK OF WON-BUDDHISM

원불교 정전

Korean & English Edition (2008) ㅣ Hardcover ㅣ 462 pages ㅣ Won Buddhism

The Principal Book of Won Buddhism is the Won Buddhist Canon. It is the primary scripture written by the Founding Master Sotaesan in 1943. Within its pages the fundamental Won Buddhist teaching is elucidated in a simple and easy fashion. This book also contains introduction to Won Buddhism, English conversations for young adult based on The Principal Book, and the essential teachings of Buddhism.

THE SCRIPTURES OF WON-BUDDHISM

원불교 영어 교전

Hardcover ㅣ 472 pages ㅣ English (2018) ㅣ Won Buddhism

The Principal Book of Won Buddhism is the Won Buddhist Canon. It is the primary scripture written by the Founding Master Sotaesan. The Scripture of the Founding Master is the collected discourses of Master Sotaesan expound the Won Buddhist dharma in real situations so that it can be applied in actual situations of daily life.

www.wonmediabook.com

THE DOCTRINAL BOOKS OF WON-BUDDHISM

원불교 영어 교서

Hardcover ㅣ 990 pages ㅣ English (2018) ㅣ Won Buddhism

The Doctrinal Books are composed of “The Scriptures of WonBuddhism,” “The Scripture of the Founding Master,” “The Dharma Discourses of Cardinal Master Chŏngsan,” and “The Essential Scriptures of the Buddha and Patriarchs.”

THE DHARMA DISCOURSES OF CARDINAL MASTER CHǑNGSAN

원불교 영어 정산종사법어

Hardcover ㅣ 384 pages ㅣ English (2016) ㅣ Won Buddhism

The Dharma Words of Master Chŏngsan was published in 1972 as one of the Scriptures and read frequently by Won Buddhist along with The Scriptures of the Founding Master.

Las Enseñanzas Sagrada del Budismo Won

Spanish Edition ㅣ 스페인어 교전 (자문판)

Hardcover ㅣ 494 pages ㅣ Spanish (2005) ㅣ Won Buddhism

Este libro es la traducción al castellano Del Wonpulkio kiochon (en coreano), editado en 1962

The Dharma Words of Mind

from the Founding Master Sotaesan and Venerable Chŏngsan with The Sacred Grounds of Won Buddhism

DHARMA MESSAGE I Great Enlightenment Day’s Message

The Path of Humanity

ByVenerableJuksan

대각개교절 법문 / 사람답게 사는 길 I

MEDITATION I The first meditation of my life (1)

ByPark,DaeSung

내 생애 첫 명상 (1) I 박대성

MIND STUDY I Sŏn and Mind Study

ByChoi,JeongPung

MIND STUDY I The Greatest Way in the World

ByNa,SangHo

SPIRITUALITY I Understanding Someone’s Mind

ByLim,Jineun

MIND

My

ByLee,Kyungjoon

Won Buddhism Scriptures & Collection of Spiritual Books

Congratulatory Message of Publication

Poster I Won institute of Graduate Studies

Poster I Administration of Won Buddhism USA

Resources I The Sotaesan & Won Buddhism

Educational Programs for Becoming Ordained

Ministers of Won Buddhism

Guide to Won Buddhism Media & Cultural Organizations

Collection of Spiritual Books, www.wonmediabook.com

Poster I MIND STUDY in our daily life

Introduction I The Institute of Mind Humanities

Introduction I Department of WonBuddhism, Wonkwang Digital University

Poem I Anthem ByLeonardCohen

What We Do I www.wondediaprint.com

Introduction to Architecture I Won Dharma Center of CA

Introduction I www.wonmediabook.com

Books I Empathy & Sharing on Books

Poster I Head Dharma Masters

Introduction I Won Buddhism in the Americas

RELIGION I The Foundation for Interfaith Dialogue : Perspective on Buddhist and Won Buddhist Doctrine

ByHyun,Sang-ho

종교간 대화를 위한 토대 : 불교와 원불교 교리에 대한 관점 I

SCIENCE & RELIGION I The True Nature of All Things : From the Perspective of Quantum Mechanics and Enlightenment

ByJeon,HeungJin

만물의 참모습 : 양자역학과 깨달음의

DIGITAL & MIND STUDY I Mind study in the digital age (1)

BySeonghoSim

디지털

(1) I

AI & MIND STUDY I Mind Study in Won Buddhism in the Era of Metaverse and AI-IA

ByDohaLee

메타버스와 AI-IA 시대의 원불교 마음공부 I 이도하

ARCHITECTURE & SPIRITUALITY I On Won Buddhism and the circularity of things

ByCarlosJiménez

원불교와 만물의 순환 I 카를로스 히메네스

DHARMA WORDS I Verse 23, Foundational Principles

정산종사 법어, 원리편 23장 (정산종사 법어) I Venerable Chŏngsan

DHARMA TALK I by YouTube, Venerable Jeonsan

영상 법문 I 전산 종법사

INSIGHT I Wonbuddhism, Meditation, and Mind Study 교리 이해 I 소태산 대종사, 원불교 교전, 마음 공부

Map I Won Buddhist Temples & Organizations in the World

Introduction I Won Buddhism of Colorado / Won Buddhism of Philadelphia

Introduction I Chapel Hill & Raleigh Temple

Introduction to Architecture I Won Buddhism Center, Atlanta

Introduction I Houston & Austin Temple

Introduction I Acupuncture & Herbal Medicine

- Won Buddhism Bowhuadang USA Inc

- Won Institute Acupuncture Clinics

- Bo Wha Oriental Medicine Clinic

Books I www.wonbook.co.kr

Introduction I Dept. of International Affairs at the Central Headquarters of Won Buddhism

Introduction I Doing Best / Within Our Boundaries, Organizations in the World

Gratitude for Support I Won Media & The Sotaesan Center

Back Cover (Inside) I Advertisement Poster, 100Sego & Won Health and Life

Back Cover I Poster, 2024 Won Dharma Center Retreat Programs

Won Buddhism l Meditation l Mind Study l Life

MIND STUDY

MAGAZINE

마음공부 매거진

Issue 01 2024 (W.B.Y. 109)

Published by Won Media

Editor & Publisher Young Do Choi

Designer Eunhye Lee

Editorial Adviser Sook In Kwon, Hae Joong Lee, Jieun Chun

Webmaster Moobin Kong, Pete Kang

Writing Submissions wonmediabook@gmail.com

Print WonMediaPrint.com & South Korea

Office (Won Media) 17 Galloping Rd. Round Rock, TX 78681 U.S.A.

MIND STUDY is published by Won Media, operating under The Sotaesan Center, a nonprofit organization, as a DBA. The magazine will cover topics such as mind study, enlightenment, meditation practices, life, humanity, Won Buddhism, and more.

MIND STUDY is published in both English and Korean, twice a year.

MIND STUDY ⓒ 2024 Won Media www.wonmediabook.com www.mindstudy.net

Cover Image ⓒ U_Photo via Shutterstock

“We sincerely extend our deepest gratitude to the authors who contributed manuscripts for the publication of this magazine, the Houston and Austin Won Buddhist temples, Won Health and Life, and the Dept. of International Affairs at the Central Headquarters of Won Buddhism along with all our supporters, for their invaluable support.”

In The Scriptures of Won Buddhism, the English notation for ‘Mind Study’ is marked as ‘Mind Practice’; however, this magazine has generally intended to denote the study of the mind as ‘mind study’ in English. The ‘practice of studying the mind’ can be variously expressed depending on the context, such as “Engage in mind practice, Do mind study, Practice mind study, or Perform mind practice.”

Congratulatory Message of Publication, MIND STUDY 축사_마음공부 발간

Congratulations on launching the first issue. Mind Study Magazine is expected to deepen our selfreflection and inspire us. Aiming to broaden our mental horizons and guide us through diverse practices and spiritual paths, we hope it becomes a companion in our mind study journey.

창간호 발간을 축하합니다. 마음공부 매거진은 우리의 내면에 깊은

성찰과 영감을 체험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합니다. 우리들

마음의 범위를 넓히고 다양한 수행과 영적 여정을 안내하는 매거진

으로 우리 모두에게 마음공부의 동반자가 되기를 기원합니다.

Rev. Kiyoon Seong 담타원 성기윤 교무, 미주동부교구 교구장

Executive Director, Eastern Regional Office

Head Minister, Won Buddhism of New York

Publication of MIND STUDY 마음공부 발간

MIND STUDY MAGAZINE (마음공부 매거진) has been preparing to discuss and share the meaning of “Mind Study” and its general usage, as well as topics such as meditation, practice, spirituality, and grace since the spring of 2021. In 2024, we took our first official step in this journey. Established in 2014, Won Media has been instrumental in the production of this magazine. The inaugural issue is especially meaningful as it was printed and bound entirely by Won Media. We acknowledge that there may be shortcomings, and we will strive to improve continuously. We extend our heartfelt gratitude to those who have supported the magazine’s creation and our organizational activities, and we are delighted to share the joy of this inaugural issue with you.

마음공부(MIND STUDY) 매거진은 마음공부의 의미와 용어의 일반 화, 명상, 수행, 영성, 은혜 등의 담론을 나누기 위해 지난 2021년 봄에 시작되어 2024년에 첫발을 디뎠습니다. 2014년 설립된 원미디어가 매 거진 제작에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특히, 창간호는 여러 분들의 합력

속에 처음부터 인쇄와 제본에 이르기까지 직접 진행하여 더욱 뜻깊습 니다. 부족한 점은 앞으로 더욱 살피겠습니다. 매거진 제작과 법인 활 동에 성원을 보내주신 분들과 창간의 기쁨을 또한 함께 나눕니다. Rev. Young Do Choi, Editor/Publisher 원산 최영도 교무, 편집인/발행인 Won Media (The Sotaesan Center, Inc.)

The mind is a common language among all people.

Great Enlightenment Day’s Message

VENERABLE JUKSAN

죽산 황도국 미국종법사

THE HEAD DHARMA MASTER OF WON BUDDHISM USA

Venerable Juksan (Do-kook Hwang) is the first Head Dharma Master of Won Buddhism USA. Venerable Juksan was officially appointed the Head Dharma Master of Won Buddhism USA included Latin America in January 12th, 2021. All of the Won Buddhism temples and centers in the Americas are being guided by the spiritual leadership of Venerable Juksan.

YOUTUBE Dharma Message

The Path of Humanity

As we celebrate Great Enlightenment Day, I sincerely pray that the light of awakening and grace fill the paths of all of humanity and all sentient beings. All beings manifest meaning and value when they fulfill their inherent nature. Likewise, humans are truly beautiful when walking with the dignity of humaneness.

Sotaesan, the Founding Master of Won Buddhism, said, “Humans are the masters of all things, and all things are for use by human beings.”

The attitude and mindset with which humans relate to and use all things lay the foundation for all peace or chaos in individuals, families, societies, and the world. When the path of humanity is established and illuminated, this world will become a peaceful and harmonious paradise.

As we greet the month of the Great Enlightenment of Sotaesan, the Founding Master of Won Buddhism, it would be wonderful to study and contemplate the five paths that Master Daesan, the Third Head Dharma Master of Won Buddhism, taught: the five paths that illuminate and benefit the path for all humans.

First is In-saeng (人生): living together harmoniously in such a way that gives life to all living beings.

Second is In-gan (人間): walking on the middle way and living in right relationship.

Third is In-do (人道): living according to the righteous path. This requires the Threefold Practice: Spiritual Cultivation, Inquiry, and Choice in Action.

Fourth is In-jeong (人情): always being compassionate and faithful, while always gratefully reciprocating the

great grace of the Fourfold Grace.

Last is In-bon (人本): always contemplate the root of any matter and regard all worldly affairs as if they were our own.

By embracing and studying these five teachings as the standard of our practice, and nurturing our lives accordingly, we will restore the dignity of humanity and live harmoniously with all people. Let us all become great protagonists who manifest the true value of human life by learning and walking the way of humanity.

April 28, 2024 (Won Buddhist Year 109)

Venerable Juksan

대각개교절을 맞이하여 온 인류와 생령들의 앞길에 깨달음과 은혜의 빛이 충만하기를 염원합니다.

사람은 사람다움의 품격을 지닐 때 아름답습니다. 만물도 또한 만물다울 때 그 의미와 가치가 발현됩니다. “사람

은 만물의 주인이요, 만물은 사람의 사용할 바”입니다. 사람이 만물을 어떤 자세와 마음가짐으로 대하고 사용하느

냐에 따라 개인과 가정과 사회와 세상의 평화와 혼란의 기점이 달라집니다. 사람다움의 도가 바로 설 때 이 세상은

평화롭고 서로 넘나드는 낙원세상을 이루게 될 것입니다.

대각의 달을 맞이하여 대산종사께서 사람답게 사는 길이요, 온 인류가 잘 사는 길로 밝혀주신 다섯 가지 공부를 함 께 하면 좋겠습니다.

첫째는 인생(人生)이니, 생명을 살리는 방향으로 같이 살자 하셨습니다.

둘째는 인간(人間)이니, 중도를 잡아 알맞게 살자 하셨습니다.

셋째는 인도(人道)니, 인도는 바른 길(正道)로 사는 것이요, 바른 길로 살려면 삼학을 공부하도록 하셨습니다.

넷째는 인정(人情)이니, 인정(人情)과 신의(信義)를 지키되 사은의 크신 은혜에 보은하며 살자 하셨습니다.

다섯째는 인본(人本) 이니, 무슨 일이든지 그 근본을 생각하고 세상일을 내일로 알고 살자 하셨습니다.

이 다섯 가지 말씀을 표준삼아 공부해나가고 삶을 가꾸어 나간다면 사람으로서 사람다운 품위를 갖게 될 것이요, 두루 모든 사람과 원만한 관계를 맺게 될 것이니, 우리는 사람으로서 지켜야 할 도를 잘 알아 생의 가치를 발현하 는 주인공들이 됩시다.

원기109년(2024년) 4월 28일 원불교 미국종법사 황도국 합장

EQUANIMITY · WISDOM · COMPASSION

The first meditation of my life (1)

Something Anyone Can Do

When we think of meditation, it commonly brings to mind the image of sitting comfortably in a particular posture. Although there are various postures one can adopt, sitting is frequently chosen for meditation. Why is that? Would lying down possibly be better? People often say, “When running becomes hard, you might want to walk; when walking gets tough, you might prefer to stand; when standing becomes difficult, sitting is next; and when sitting becomes too much, lying down feels best, which often leads to

falling asleep.” These are the basic human movements—walking, standing, sitting, lying down—among which sitting serves as a midpoint. It’s easier to concentrate than lying down and allows for better relaxation than moving, making it the ideal posture for starting meditation.

The Founding Master Sotaesan※ who opened the door of Won Buddhism explained in the method of seated meditation, The Dharma of Seated Meditation, Practice, The Principal Book of Won Buddhism, “The method of seated meditation is so extremely simple

and easy that anyone can practice it. After spreading out the sitting mat and seating oneself comfortably in a cross-legged position, align head and spine in an upright, seated posture.” People who enjoy meditation often view their body as something to be subdued or as a challenge to overcome. Therefore, it is common to see physical hardship or difficult practices considered shortcuts in the pursuit of spiritual development. Buddha Shakyamuni himself is known for his six years of extreme ascetic practices, which he ultimately stopped upon realizing that they did not significantly aid his mind study, choosing instead to pursue the Middle Way.

However, structurally, the human body can experience considerable strain when maintained in a fixed posture for one to two hours or more. If seated meditation is performed with proper posture initially, it can significantly reduce the potential discomfort in areas like the back and hips.

Daesan Kim Daegǒ, who served as the Third Head Dharma Master of Won Buddhism (19141998), advised that during seated meditation, one should ‘straighten the spine’ to establish proper alignment. Straightening the spine shouldn’t involve forceful exertion. It’s crucial to hold the head upright and tuck the chin slightly to prevent it from drooping. Then, relax the chest and slightly push back the tailbone to achieve a basic upright spinal alignment.

First, Release Any Tension

The Founding Master Sotaesan, similarly during his initial spiritual pursuits, subjected himself to extreme asceticism, eventually causing significant harm to his body. He later advised his disciples to avoid such meaningless hardships and instead follow the more accessible Mahāyāna practice (大 乘: the method that anyone can do easily) he had outlined. There is a common misconception that meditation is only for the peculiar or unique individuals. Although teachings had sometimes propagated this notion previously, Venerable Sotaesan emphasized that meditation is “extremely simple and easy that anyone can practice it.” This statement isn’t merely an encouragement but a reflection of reality.

A common misunderstanding about the meditation posture is the necessity to overly straighten the back, which might lead to excessively protruding the chest. While this might seem proper, it actually makes it difficult to channel energy downward and can interfere with breathing, particularly at the upper stomach. Therefore, while keeping the spine straight, it’s essential to relax the chest and flatten the back. This involves naturally settling the upper stomach area, comfortably

dropping the shoulders and elbows, allowing the shoulder blades to expand sufficiently.

After that, both the back and waist should be straightened. Overextending the chest can cause shortness of breath, while overly contracting it can lead to an imbalance. Experimenting with both extremes will show that breathing is much more comfortable when the entire body is relaxed, and the chest and back are evenly flat. This position is then ideal for lowering the body’s strength to the lower abdomen.

‘Yogol-sulip’ (straightening the spine) pairs with ‘Ginchal-Gokdo’ (緊紮穀道, tightening the grain path), where ‘Ginchal’ symbolizes the balance of tension and relaxation, and ‘Gokdo’ represents the path of grain or the digestive tract, including the anus. While it’s easy to interpret this as tightening the anus, it’s not the intention. Instead, the focus should be on the perineum, the area between the genitals and the anus, facilitating energy concentration in the lower abdomen (elixir field, danjeon). Focusing here helps gather energy effectively at the lower abdomen, naturally leading to a slight contraction of the anus. However, artificially tensing the anus while seated can block breathing by obstructing the upper stomach.

Those interested in martial arts or sports are often advised to ‘relax their strength’ when beginning their training. Applying artificial force to any part of the body causes stiffness and blockages. When energy accumulates in one area and does not flow, it becomes necessary to practice letting go.

Sometimes, without realizing it, certain parts of the body may tense up in particular situations. I recall being reprimanded during my school days for tensing my shoulders, a physical manifestation of trying to appear overly assertive. Similarly, if your lower back is often tense, it may indicate underlying anxiety. Recognizing where you unconsciously apply tension or stress in your body can be an excellent subject for meditation.

Releasing unnecessary tension is crucial both in meditation, which polishes the mind, and in sports, which conditions the body. The beauty of meditation lies in mastering both

concentration and relaxation, using them interchangeably as needed. When the body relaxes, the mind follows, allowing freedom in both focus and relaxation.

※ Sotaesan Park, Joongbin : The person who opened the door of Won Buddhism. His childhood name is Cheohwa (處 化), Jinseop (鎭燮) and his name recorded on his family tree is Heeseop (喜燮). Joongbin is his dharma name and his dharma title is Sotaesan (少太山). His honored name of the Order of Won Buddhism is Great Master (大宗師) and the Holy Honored One of Perfect Enlightenment (圓覺聖尊). Born on May 5, 1891 (Mar. 27 by lunar calendar) in an ordinary farm, located in the village of Yeongchon, Gilryong-ri, Baeksu-myeon, Yeonggwang-gun, Jeollanam-do, as the third son of four sons and two daughters under his father Park Hee-gyeong and his mother Yoo Jeong-cheon.

After a long period of ascetic practices with the will of the truth since childhood, he attained great enlightenment of the truth of Il-Won-Sang on April 28, 1916 and founded Won Buddhism.

Rev. Park, Dae Sung majored in Won Buddhism and Philosophy at Wonkwang University, received a master's degree in ‘Comparison of Practice Theory between Won Buddhism and Early Buddhism’ from Won Buddhism Graduate University, and completed a doctoral program in Transpersonal Psychology at Seoul Buddhism Graduate University. He has been working as a minister since 2008 (WBY 92), and served as the editor-in-chief of Hanulan Newspaper and a professor at Won Buddhism Graduate University, and is currently working in the Dept. of Culture and Social Affairs, Won Buddhism Central Headquarters.

The published meditation story on the above is included in his book, “The First Meditation of My Life.”

내 생애 첫 명상 (1)

‘누구’라도 할 수 있는 것

명상을 떠올리면 일반적으로 편안히 자리에 앉는 자

세를 연상하게 됩니다. 사람이 취할 수 있는 다양한 자

세가 있는데 왜 하필 앉아서 명상을 할까요? 기왕이면

누워서 하면 더 좋지 않을까요? 흔히 이런 표현을 합

니다. ‘달리다 힘들면 걷고[行] 싶고, 걷다 힘들면 서고

[住] 싶고, 서있다 힘들면 앉고[坐] 싶고, 앉는 것도 힘

들면 눕고[臥] 싶고, 눕다 보면 스르르 눈이 감긴다.’ 일

반적으로 ‘행주좌와(行住坐臥)’라고 표현되는 기본적

인 신체 동작들입니다. 그 가운데에서도 가장 중간에

위치한 동작이 바로 ‘앉는 것’입니다. 눕는 것보다는 집

중이 쉽고 걷거나 뛰는 것보다는 이완이 잘되는 중도

에 맞는 동작이 바로 앉는 것이죠. 그래서 우선적으로

명상은 잘 앉는 것에서 시작합니다.

원불교의 문을 여신 소태산 대종사※는 『정전』,「수

행편」“좌선법”, ‘좌선의 방법’에서 이렇게 말씀하고 계십니다. “좌선의 방법은 극히 간단하고 편이하여 아

무라도 행할 수 있나니, 좌복[명상용 방석]을 펴고 반

좌[盤坐 : 두 무릎을 수평으로 앉는 방법]로 편안히 앉

은 후에 머리와 허리를 곧게 하여 앉은 자세를 바 르게

하라.” 명상을 즐기는 분들은 흔히 몸을 조복[調伏 : 몸

과 마음을 항복받는 것]의 대상, 또는 극복해야 할 대상

으로 여기기 쉽습니다. 그래서 몸을 상대로 하는 고행 (苦行)이나 난행[難行 : 일반적으로 하기 어려운 수행]

을 수행의 지름길로 아는 경우가 많이 있지요. 석가모

니 부처님께서도 6년 동안 혹독한 고행을 거친 것으로 유명한데 결국에는 그러한 고행이 마음공부에 별 도

움이 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여 고행을 접고, 중도(中 道)의 실천을 통해 도를 깨치셨다고 합니다.

소태산 대종사도 마찬가지로 처음 마음을 내어[發心]

수행하던 시절 극심한 고행으로 몸이 상하는 지경에

이르기도 하여, 후대 제자들에게는 자신이 제시한 대

승[大乘 : 누구나 쉽게 할 수 있는 방법] 수행을 본받을

지언정 헛된 고행은 하지 말라고 가르치셨습니다. 우

리는 명상은 유별나고 독특한 사람만 한다는 고정관념

을 갖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전에는 그런 방식으로 가

르친 경우도 없지 않았지만 “극히 간단하고 편이하여

아무라도 행할 수 있다”는 소태산 대종사의 말씀에 주

목해야 합니다.

이 말씀은 단순한 격려 차원에서 하는 말씀이 아니라

사실이 그렇다는 것입니다. 그러나 우리 인간의 몸은

구조상 1~2시간 이상의 고정된 자세로 있을 경우 각

부위의 관절에 상당한 무리를 받게 됩니다. 명상이나

좌선에서도 마찬가지로 미리 바른 자세로 갖추어 좌선

을 하게 된다면 허리와 고관절 등으로 인한 고통을 상

당 부분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

원불교의 종법사를 역임한 대산

김대거 종사(1914~1998)는 좌

선을 할 때 ‘허리를 반듯이’ 세워

‘요골수립(腰骨竪立)’ 할 것을

알려주고 계십니다. 허리를 세

운다고 하여 억지로 힘을 주며

버티는 것이 아니라, 정수리를

단정하게 세우고 턱을 당겨 아

래로 늘어지지 않게 하는 것이

중요하며 다음에는 가슴에 힘을

빼고 꼬리뼈를 뒤로 밀듯이 세우면 기본적인 요골수립 이 가능합니다.

을지 몰라도 실제로 그렇게 앉아서는 기운을 아래로

내리기 어렵고 호흡이 도리어 명치끝에 걸리기 쉽습

니다. 그러므로 허리를 곧추 세우되 가슴에 힘을 빼고

등을 평평하게 펴는 자세가 필

요합니다. 말 그대로 가슴[명치

끝]을 자연스럽게 가라앉히고,

어깨와 팔꿈치를 편안히 떨어뜨

린 상태에서 등의 좌우 견갑골

사이가 충분히 펼쳐지게 하는 것입니다.

그런 다음에 등과 허리를 펴야 합니다. 가슴을 지나치게 펴게

되면 일단 숨이 금방 차오르게

됩니다. 반대로 지나치게 가슴을 오므려도 한쪽에 치

우치게 됩니다. 가슴을 활짝 폈을 때와 오므렸을 때에

어느 쪽이 숨을 쉬는 데 편한지 실험해 보면 전신에 힘 을 뺀 다음 가슴과 등이 고루 평평한 자세일 때 호흡이 훨씬 편하다는 것을 쉽게 알 수 있습니다. 그런 뒤에 전 신의 힘을 단전에 툭 내려놓기에 적합해집니다.

‘요골수립’과 한 쌍을 이루는 문장이 ‘긴찰곡도(緊紮穀 道)’입니다. 여기서 ‘긴찰’은 긴장과 이완을 의미하는 것이고, ‘곡도’는 곡식(穀食)의 길, 소화기 계통의 내장

우선 힘을 빼세요.

우리가 명상의 자세에 대해서 한 가지 오해하기 쉬운 것이 허리를 꼿꼿이

가슴을

또는 항문을 의미합니다. 일반적으로 항문을 꽉 조인 다는 의미로 이해하기 쉽습니다. 사람이 숨을 거둘 경

우 가장 먼저 풀어지는 부위가 항문이라고 합니다. 반

면에 평상시에는 의식하지 않아도 저절로 긴장되는 부 위이기도 합니다.

그러나 ‘긴찰곡도’는 항문(肛門)을 의도적으로 조이라

는 의미가 아닙니다. 항문은 일종의 문(門)이지 길(道)

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엄밀히 말하자면 사람의 생식기

와 항문 사이에 위치한 회음혈(會陰穴)이라는 곳에 마

음을 집중하는 것이라고 이해하시면 좋습니다. 이 회음

에 의식을 집중하면 단전에 기운을 모으기가 수월해집

니다. 그리고 결과적으로 항문도 조여지게 됩니다. 그

러나 반대로 앉아서 항문에 인위적으로 힘을 주면 자동

으로 명치 끝이 막히어 호흡을 가로막게 됩니다.

무술이나 스포츠 등에 관심이 있으신 분들이 처음 수련

을 시작할 때 공통적으로 ‘힘을 빼라’는 조언을 듣게 됩

니다. 우리가 신체 어느 부위든 인위적인 힘을 주게 되

면 그 부위가 경직되고 막히게 됩니다. 막히면 기가 한

곳에 쌓이고 통하지 않게[不通] 됩니다. 이 불통을 풀기

위해서라면 우선적으로 내려놓는 연습을 해야 합니다.

상황에 따라 자기도 모르게 특별히 긴장하는 신체 부

위가 있습니다. 저는 학창 시절에 어깨에 힘을 주고 다

녀서 선생님들께 지적을 받았던 기억이 있습니다. 신체

에 대해 심리적으로 볼 때 어깨에 힘을 준다는 것은 자

신을 과시하려는 동기가 담겨 있다고 해석할 수 있습니 다. 또 다른 예로 평소에 허리가 긴장되어 있다면 불안 감이 그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자신이 평상시에 어느

부위에 무의식적으로 힘을 주거나 긴장하는지 몸에 대

하여 알아차리는 것도 좋은 명상의 주제가 됩니다.

불필요한 긴장을 놓는 것은 마음을 닦는 명상이나 몸을 닦는 스포츠나 같은 원리가 적용됩니다. 특히 명상은 집중 이나 이완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해야 하는 것이 아니라, 이 둘을 자유자재로 활용하는 것을 배우는 것에 그 묘미가 있습니다. 몸에 힘이 빠져야 마음에 힘이 빠집니다. 그다음에 집중도 이완도 자유롭게 할 수 있습니다.

※ 소태산 박중빈 : 원불교의 문을 여신 분, 아명은 처화(處化)ᆞ진섭(鎭燮). 족보명은 희섭(喜燮). 중빈은 법명. 법호 는소태산(少太山).원불교교단의존호는대종사(大宗師)ᆞ원각성존(圓覺聖尊)으로받든다.1891년5월5일(음력3. 27), 전남 영광군 백수면 길룡리 영촌마을의 평범한 농가에서 부친 박회경(朴晦傾) 선생과 모친 유정천(劉定天) 여사 의4남2녀중3남으로태어났다.어린시절부터진리에뜻을두고오랜구도,고행끝에1916년4월28일일원상진리 (一圓相眞理)를대각하고원불교를창립했다.

박대성 교무는 원광대학교에서 원불교와 철학을 전공하였고, 원불교대학원대학교에서 ‘원불교와 초기불교의 수행론 비교’ 로 석사를, 서울불교대학원대학교에서 상담심리학(Transpersonal psychology) 박사과정을 수료했습니다. 2008년(원기 92년)부터 교무로 봉직하고 있으며 <한울안신문> 편집장과 원불교대학원대학교 교수를 거쳐 현재 원불교중앙총부 교정원 문화사회부에서 근무하고 있습니다. 게재되는 명상 이야기는 그의 저서,『내 생애 첫 명상』에 수록되어 있습니다.

Sŏn and Mind Study

1. Venerable Sotaesan’s Dharma of Sŏn1)

In the first sentence of “The Dharma of Timeless Sŏn” in The Principal Book of Won Buddhism, Venerable Sotaesan begins, “As a rule, Sŏn is a practice that leads to the achievement of freedom of mind through awakening to one’s own nature, which is originally free from discrimination or attachment. Since time immemorial, those who have been determined to achieve the great Way have all practiced Sŏn.” This means that the practice of Sŏn is an absolute necessity for those who have set their hearts and minds on the great Way. But what exactly is meant by “great Way” here? The great Way is the ultimate Truth underlying all of existence as discovered by the buddhas, saints, and sages of the three times—the Truth which, when realized, brings final liberation, freedom, and happiness that all sentient beings are seeking to attain. This book aims to introduce readers to the method of Sŏn as taught by the Founding Master Sotaesan, one of the great buddha-sages of our recent past. Through this book, I hope to provide beginning practitioners of meditation an easier entry point to the vast and sometimes overwhelming world of Sŏn, which eventually leads to Ven. Sotaesan’s ultimate practice of Timeless Sŏn in which all distinctions between our ordinary life and spiritual life are dissolved.

The Principal Book of Won Buddhism, which Venerable Sotaesan wrote himself, expounds on two kinds of Sŏn: Seated Meditation and Timeless Meditation. In “The Dharma of Seated Meditation,” Venerable Sotaesan emphasizes the need for resting awareness in the elixir field (danjeon), which has led to Venerable Sotaesan’s method of meditation sometimes being called “The Dharma of Resting in the Elixir Field.” Venerable Sotaesan himself, however, never referred to his method as “The Dharma of Resting in the Elixir Field” in his writings. Rather, his method centers around the Threefold Study of “Cultivating the Spirit” (jeongsin suyang), “Inquiry into Human Affairs and Universal Principles” (sari yeongu), and “Mindful Choice in Action” (jageop chwisa). The Threefold Study of Won Buddhism is closely linked to the Threefold Training of traditional Buddhism (śīla, samādhi, prajñā), with “Cultivating the Spirit” mirroring samadhi (meditation), “Inquiry into Human Affairs and Universal Principles” mirroring prajna (wisdom), and “Mindful Choice in Action” mirroring sila (moral conduct). Venerable Sotaesan also classified his method of spiritual practice into Fixed-Term Training and Daily Training, each of which provides various points of spiritual discipline. Seated Meditation and Yeombul (reciting the name

of the Buddha) comprise the “Cultivating the Spirit” portion out of the 11 enumerated points of Fixed-Term Training. This may give off the impression that the Dharma of Timeless Sŏn is only one form of Cultivating the Spirit. But the Dharma of Timeless Sŏn cannot just be reduced to a method of Cultivating the Spirit. The Dharma of Timeless Sŏn is rather encapsulated within the entire Threefold Study. Speaking in terms of Fixed-Term and Daily Training, Timeless Sŏn can be said to be the Threefold Study of Daily Training. Venerable Sotaesan specifically called Timeless Sŏn “the method of practice in which we progress in concert through the Threefold Study.”

2. Sŏn, the Dharma of Using the Mind2)

If the practice of Sŏn (Meditation) is confined only within the meditation room under formal meditation time, then this cannot be said to be a true and comprehensive practice of Sŏn. A baseball player must take his practice out into the playing field instead of sitting on the cushion all day, and a swimmer must likewise take her practice out into the waters. If a spiritual practitioner just sits on the meditation cushion all day and does nothing else, then that person is practicing seated meditation but not real Sŏn. Unless one is a beginning practitioner learning the basics of Sŏn through seated meditation, focusing only on seated meditation will make us miss

the essence and true purpose of Sŏn.

Regarding the true purpose of Sŏn, the Founding Master Sotaesan, in his Dharma of Timeless Sŏn, states: “As a rule, Sŏn is a practice that leads to the of freedom of mind through gaining awakening to one’s own nature, which is originally free from discrimination or attachment. Since time immemorial, those who have been determined to achieve the great Way have all practiced Sŏn.” In short, achieving freedom of mind is the purpose of Sŏn, and to achieve this freedom we must each awaken to our own true nature. Venerable Sotaesan’s Sŏn is thus the dharma of using the mind properly for the benefit of both oneself and others.

The Founding Master continued, “In today’s world, as material civilization has developed, the knowledge and skills of scholars, farmers, artisans, and merchants have made great advances; the implements of life have become much fancier, and people’s eyes and minds have been seduced by these flashy products. In contrast, the human spirit, which should be making use of those material things, has become so weak that it cannot but be enslaved by the material, rather than the master of it. This is truly a disturbing situation. No matter how good a material thing in this world might be, if the mind that makes use of it is not upright, that thing will instead be abused. No matter how great the knowledge and fine the skill of a person, if the mind that makes use of them is not upright, they will instead be used to harm the public. No matter how good one’s surroundings, if the mind that makes use of them is not upright, they will instead be used to promote transgressive actions. No matter how dazzling all of external civilization under heaven, whether it makes the world better or worse depends solely upon how well the

dharma of applying the mind is managed. If we make use of our minds rightly, then all of civilization will become instrumental in helping to construct a paradise; but if we do not, then all of civilization will instead become like supplying weapons to thieves. Therefore, you all must rouse yourselves now, and diligently learn the dharma of using the mind, which is the master of all dharmas. Become the pilot of your own mind, who in thousands of sensory conditions always use everything wholesomely by considering the benefit to both yourself and others. Accordingly, you must exert yourselves in both aspects of the material and the spiritual in order to construct a single truly civilized world, by disseminating to others the method of piloting the mind.”3)

This teaching nicely summarizes Venerable Sotaesan’s life philosophy. He laments how human beings have become enslaved by the material and speaks about how he came to found a new religion. To address this problem of material enslavement, Venerable Sotaesan states that we must each learn to use our minds well (the dharma of using the mind). Only when people become masters of their own minds, Venerable Sotaesan maintains, can a single truly civilized world integrating both the material and the spiritual be constructed.

Venerable Sotaesan’s Sŏn is the practice of cultivating the mind, which means knowing the mind’s true nature, nurturing the mind’s innate capacities, and using the mind well for the benefit of oneself and others. Since Sŏn is all about the mind, our spiritual practice need not be bound to any particular place or time, as the mind is always with us no matter the place or time. Venerable Sotaesan even taught spirits that have left their bodies in this life to cultivate the mind. Moreover, he taught us to utilize this practice of attaining freedom of mind for the rest of our lives. Where the spiritual rubber hits the road is right here and now in the very midst of our lives. First, we must be able to change our lives for the better if we want to help change the world. This is why Venerable Sotaesan taught the Dharma of Timeless Sŏn in the first place. Our minds are always with us, so how can we limit Sŏn or the practice of cultivating our minds to a particular location or time? A true practice of Sŏn happens regardless of whether we are walking, standing, sitting, reclining, speaking or keeping silent, active or at rest-a true “timeless” Sŏn.

1) Sŏn (禪) is called as meditation generally. Sŏn can be written as Seon in English.

2) ‘The Dharma of Using the Mind’ also means ‘the Way of Mind Study.’

3) Verse 30, Doctrines, The Scripture of the Founding Master, Won Buddhism

Rev. Choi, Jeong Pung graduated from Department of Won Buddhism at Wonkwang University and has been serving as a minister since 1990 (Won Buddhist Year 109). He majored in Education for his master's degree at Chung-Ang University. Rev. Choi has held various positions including minister at Jeongok temple, director of Eunhae Village, a senior nursing home, director of the Yeoncheon County Youth Support Center, director of the Won Buddhism Policy Research Institute, executive director of the Daejeon and South Chungcheong District, and president of the Won Buddhism Newspaper. He founded Sotaesan School of Mind, collaborating with many to popularize the study of mind study. His publications include “Mind Letters from the Teachings of Sotaesan,” “Sotaesan's Mind Study,” “A Minute of Sŏn for Mindfulness and Timeless Sŏn.” The article published here is included in his book, “A Minute of Sŏn for Mindfulness and Timeless Sŏn.”

1. 소태산 대종사의 수행법과 선(禪)

소태산 대종사는 무시선법의 첫 문장을 “대

범, 선(禪)이라 함은 원래에 분별 주착이 없는

각자의 성품을 오득하여 마음의 자유를 얻게

하는 공부인 바, 예로부터 큰 도에 뜻을 둔 사

람으로서 선을 닦지 아니한 일이 없나니라.”

라고 시작하고 있습니다. 큰 도에 뜻을 둔 사

람이라면 선 공부를 하지 않을 수 없다는 말

입니다. 여기서 ‘큰 도’란 무엇일까요. 부처님

들과 성현님들이 찾고자 했던 진리이고 그들

이 모든 인류에게 전하고 가르쳐주고자 했던

자유과 구원, 그리고 행복의 길일 것입니다.

소태산 대종사께서 직접 저술한『정전』에 나

오는 선(禪)의 종류는 두 가지입니다. 첫째는

‘좌선법’이고 둘째는 ‘무시선법’입니다. 좌선

법 안에는 ‘단전주의 필요’라는 내용이 있어

서 소태산 대종사의 좌선법을 ‘단전주선법’이

라고 하기도 하지만 엄밀히 말해서 그의 저작

중에서 ‘단전주선법’이란 표현은 등장하지 않습니다.

소태산 대종사의 수행법은 정신수양 · 사리연구 · 작업취사로 이뤄진 삼학(三學)이 중심입니다. 정신수양은 정 (定), 사리연구는 혜(慧), 작업취사는 계(戒)로 불교의 삼학과 연결 지을 수 있습니다. 소태산 대종사의 수행은 정기 와 상시로 나누어서 정기훈련법과 상시훈련법으로 제시하고 있으며 각 훈련법마다 다양한 훈련과목들이 제시되어 있습니다. 정기훈련 11과목 가운데 정신수양 훈련 과목은 좌선과 염불 두 가지입니다. 무시선법은 정신수양 과목 인 좌선법의 한 종류인 것처럼 볼 수 있지만 무시선법은 단순히 정신수양 과목이라 할 수 없습니다. 삼학 수행 전 체의 내용이 녹아들어 있는 선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무시선법을 정기와 상시로 나누자면 ‘상시로 하는 선 수행’

또는 ‘상시로 하는 삼학 수행’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소태산 대종사는 무시선법을 ‘삼학을 병진하는 공부법’이라고 하였습니다.

2. 선, 마음 사용법

선(명상)이 선방 안에 국한되고, 선이 좌선 시간에만 국한된다면 그것은 선을 모르기 때문에 생기는 일입니다. 야구

선수는 방구석이 아니라 야구장에서 연습해야 하고 그럴 수밖에 없습니다. 수영 선수도 마찬가지죠. 결국은 물이 있는 곳에서 헤엄을 쳐야 합니다. 진정한 선 공부(수행)는 일상 생활, 천만 경계 속에서 해야 하는 것과 같습니다.

만일 수행자가 선방에서 좌선에만 매진한다면 그 사람은 좌선을 하는 것이지 진정한 의미의 온전한 선을 수행하는 것이 아닙니다. 물론 선의 기초를 닦기 위해서 좌선 수행을 하는 것이라면 좌선과 선이 둘이 아니므로 별문제가 없 겠지요. 하지만 좌선 수행이 선 공부의 전부라고 생각한다면 그 사람은 선의 목적과 본질을 놓치고 있는 것입니다. 소태산 대종사는 무시선법에서 선의 목적을 “대범, 선(禪)이라 함은 원래에 분별 주착이 없는 각자의 성품을 오득 하여 마음의 자유를 얻게 하는 공부인 바, 예로부터 큰 도에 뜻을 둔 사람으로서 선을 닦지 아니한 일이 없나니라.” 라고 설(說)합니다. 마음의 자유를 얻기 위한 공부가 선이고, 이를 위해서는 각자의 성품을 깨달아야 한다고 본 것 입니다. 요컨대, 소태산의 선은 용심법, 마음 사용법인 것입니다.

“또 말씀하시기를 [지금 세상은 물질문명의 발전을 따라 사 · 농 · 공 · 상에 대한 학식과 기술이 많이 진보되었으 며, 생활 기구도 많이 화려하여졌으므로 이 화려한 물질에 눈과 마음이 황홀하여지고 그 반면에 물질을 사용하는 정신은 극도로 쇠약하여, 주인된 정신이 도리어 물질의 노예가 되고 말았으니 이는 실로 크게 근심될 현상이라. 이 세상에 아무리 좋은 물질이라도 사용하는 마음이 바르지 못하면 그 물질이 도리어 악용되고 마는 것이며, 아무리 좋은 재주와 박람 박식이라도 그 사용하는 마음이 바르지 못하면 그 재주와 박람 박식이 도리어 공중에 해독을 주 게 되는 것이며, 아무리 좋은 환경이라도 그 사용하는 마음이 바르지 못하면 그 환경이 도리어 죄업을 돕지 아니하 는가. 그러므로, 천하에 벌여진 모든 바깥 문명이 비록 찬란하다 하나 오직 마음 사용하는 법의 조종 여하에 따라 이 세상을 좋게도 하고 낮게도 하나니, 마음을 바르게 사용하면 모든 문명이 다 낙원을 건설하는데 보조하는 기관 이 되는 것이요, 마음을 바르지 못하게 사용하면 모든 문명이 도리어 도둑에게 무기를 주는 것과 같이 되나니라. 그

러므로, 그대들은 새로이 각성하여 이 모든 법의 주인이 되는 용심법(用心法)을 부지런히 배워서 천만 경계에 항상

자리 이타로 모든 것을 선용(善用)하는 마음의 조종사가 되며, 따라서 그 조종 방법을 여러 사람에게 교화하여 물

심 양면으로 한 가지 참 문명 세계를 건설하는 데에 노력할지어다.]” (원불교 경전, 『대종경』 , 교의품 30장)

이 법문에는 소태산 대종사의 사상 전체가 잘 포함되어 있습니다. 소태산 대종사가 물질문명의 위기로 인해 사람 들이 물질의 노예 생활을 하게 된 것에 대한 안타까움을 토로하면서 새로운 종교의 문을 열게 된 배경을 말합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사람들이 각자의 마음을 잘 사용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 용심법(用心法)을 제시합 니다. 이 마음 사용법을 언제 어디서든 활용해야만 하고 그렇게 해야 물질문명과 정신문명이 조화를 이루는 참 문 명 세계를 건설할 수 있다고 설합니다.

소태산 대종사에게 있어서 선이란 곧 마음공부입니다. 마음공부란 마음을 알아서, 마음을 잘 기르고, 마음을 잘 쓰

는 공부입니다. 선의 교재는 마음이어서 언제 어디서나 마음공부를 할 수 있습니다. 심지어 소태산 대종사는 몸을 떠난 영혼에게도 마음공부를 하라고 설합니다. 마음의 본질을 깨달아 진정한 마음의 자유를 얻는 공부를 인간 생 활 전반에 활용하라고 합니다. 마음공부 실력이 발휘되어야 할 곳은 바로 ‘지금, 여기’ 일상생활인 것입니다. 그렇 게 구체적인 현실의 삶을 변화시킬 수 있어야 결국은 새로운 참 문명도 건설할 수 있습니다. 이것이 소태산 대종사 가 마음공부를 이야기하고 무시선을 주창한 이유입니다. 사람이 마음을 떠나서 존재할 수 없는데 마음공부 즉 선 공부를 어떻게 특정한 시간과 장소에 국한 시킬 수 있겠습니까. 본래 선(禪), 마음공부란 행주좌와어묵동정(行住 座臥 語默動靜) 간에 한순간도 여윌 수 없는 것입니다. 그래서 선이란 원래 무시선입니다.

균산 최정풍(Choi, Jeong Pung) 교무는 원광대학교 원불교학과를 졸업하

고 1990년(원기 75년)부터 교무로 봉직하고 있습니다. 중앙대학교에서 석사

과정으로 교육학을 전공하였습니다. 전곡교당 교무, 노인전문요양원 은혜마

을 원장, 연천군 청소년 지원센터장, 원불교 정책연구소장, 대전충남교구 교

구장, <원불교신문사> 사장을 역임했고, 소태산 마음학교를 개설하여 여러

분들과 협업하며 마음공부의 대중화에 노력 중입니다. 저서로는 『소태산 마음편지, 『행복한 정전』,『소태산의 마음공부 온생취』,『마음을 챙기는 시간』,『1분선 · 무시선』등이 있습니다. 게재된 마음 이야기는 그의 저서, 『마음을 챙기는 시간 1분선 · 무시선』에서 부분 발췌하고 다듬어 수록하였 습니다.

RESOURCES_The Sotaesan & Won Buddhism

전세계 11개국 다양한 언어로

원불교 경전을 만나다.

THE SCRIPTURES IN 11 LANGUADES

eBook Resources

(다양한 오디오, eBook, 독경, 노래 등을 찾아볼 수 있습니다.)

www.sotaesancenter.org/resources

내 손안에 작은 서재

원불교 eBook (Korean)

원불교 내에 출판되고 있

는 도서 및 각종 교재, 소

식지를 PC, 모바일 등 다

양한 기기에서 한눈에 볼 수 있도록 했습니다.

원불교 eBook 접속 방법

선진법문 (Korean)

육성으로 만나는 법문 말씀

원불교 중앙총부 정보전산실 제공

AUDIO PODCASTS

DHARMA TALKS (WON BUDDHISM IN USA)

Sharing Won Buddhism Dharma talks. Won Buddhism makes Buddha's teaching relevant and suitable to contemporary society.

미주 지역 프로그램 안내

미주 지역 원불교 교당, 기관에서는 법회와 함께

여러 프로그램이 연중으로 운용되고 있습니다.

자세한 프로그램은 www.wonbuddhism.org/ programs 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YOUTUBE, WON BUDDHISM NOW (Dharma Talks / Moving Meditation / Chants) 원불교 영상 유튜브 (법문, 명상, 독경)

The Won Buddhism Now brings together a broad variety of Dharma talks given by experienced Won Buddhist Kyomunims (ordained teachers) across the US. Learn more about meditation, mind study, and how to integrate self compassion and care in one's daily life with the greater purpose of sharing that love with others.

PRACTICE FOR EVERYONE (ONLINE, IN PERSON)

Featured Programs & Retreats Temple Programs

Won Buddhism USA

The Greatest Way in the World

A disciples once asked, “What is the great Way?” The Founding Master Sotaesan replied, “What can be practiced by all people under heaven is the great Way under heaven. What can be practiced by only a limited group is the small Way. Therefore, our cardinal teaching of Il-Won, along with the Fourfold Grace, the Four Essentials, the Threefold Study, and the Eight Articles, is the great Way under heaven, which must be understood and can be practiced by all people under heaven.” In the Verse 2 of Doctrine (The Scripture of the Founder Master), ‘All people under heaven’ means “everyone regardless of whether one is learned or ignorant, a man or woman, young or old, rich or poor, noble or common, and of any race.” This is because everyone has the original Buddha’s mind that ‘in the universe, only I exist (天上天下唯我獨尊)’ without discrimination.

The Founding Master further stated, “The teaching of the buddha dharma is the supreme Way of all under heaven. It illuminates the principle of the true nature, solves the crucial matter of birth and death, elucidates the principle of cause and effect, commands the paths of practice, and thus

surpasses all other religious doctrines.”※

The teaching aligns with three things that practioners of mind study aim to achive, described on Verse 2, Maxims, The Scripture of the Founding Master. The Founding Master said, “A practitioner of the Way seeks to know the mind in order to achieve freedom of mind, to understand the principle of birth and death in order to transcend birth and death, and to understand the principle of transgression and blessings in order to control them as one pleases.” By revealing the principle of true nature, the teaching of the buddha dharma enables us to realize the mind and achieve freedom; by resolving the matter of life and death, it allows us to know the principle and transcend these; and by revealing the principles of cause and effect, it enables us to understand the principle and control transgression and blessings at will. The path of practice refers to achieving freedom of the mind, transcending life and death, and controlling transgression and blessings at will through the faith and practice of Il-Won-Sang.

1. What is the principle of true nature?

‘Being true’ implies ‘being eternal,’ ‘without arising and ceasing.’ The true nature refers to our ‘true self.’ The Founding Master Sotaesan explained the seated meditation in the Principal Book of Won Buddhism, “the seated meditation is a practice that, in the mind, calms deluded thoughts

and manifests the true nature.” Our own nature ‘which is originally free from discrimination and attachment’ described in the Dharma of Timeless Sŏn is the true nature, Jinseong (眞性). Knowing the true nature, that is, Gyenseong (見性) is a teaching to awaken “Where is my origin?”

When a young monk asked his temple’s head monk for a meditative topic, the head monk queried, “What was your original face before your parents gave you a birth?” The monk struggled with this question until one day, seeing a defeated person in fighting in a market who apologized, ‘I have no face,’ he understood the meaning of his ‘original face.’

Some scientists and medical scientists may say, “Mind? Where is such a thing? That’s all about the brain.” Since we can’t see it, it seems to be so concluded. It’s not just the mind that is invisible but is definitely there. It is also present in electricity. To know where the electricity is, you just have to switch off and on. If you ask where the air is, you can take a long breath and then exhale. Then you smile when you understood while watching it.

Nature! This is the invisible me, so where is the visible me? It is as if there is a mind ground and one mind arises when it is caught in sensory conditions. Only when we recognize this mind, we can use it freely. The awakened one can see it and use the mind and body properly, and when he interacts with others, he can see the true nature in them and make buddha offerings. Those who do not realize it or do not see it will either live as they can or build another karma. As they can’t see the true nature in people, they can’t make buddha offerings easily.

When someone asks, “What is life and death?,” one might say, “It’s breathing.” Life and death are in the nature of breathing. When we say “something big happened,” we are talking about something unexpectedly serious. When it comes to a great matter, life and death is a change. It means not to get stuck with the ‘me’ that lies in the midst of change. If we cling to it, it can be suffering and that is the cause of agony. The suffering of the birth, old age, sickness, and death, seeing that suffering rightly and freeing oneself from it is called liberation and transcendence. If you solve the big matter of life and death, you will be free from life and death. It is said that the birth, old age, sickness and death are like spring, summer, autumn and winter. It means a change. Just as the death we experience is not the end, but we fall asleep and wake up, those who are awakened know it as a change, and those who do not realize it call it ‘life and death.’

It was when the Founding Master Sotaesan assigned the first dharma name to his disciple Kim Kicheon. Sotaesan said to him, “You may have considerable knowledge of Chinese because you have served as a headmaster of village school, but what use is it if you do not understand the principles of heaven and earth and can not transcend life and death?,” “What if you set your dharma name as Ki (幾) which means ‘how many’ and Cheon (千) which means ‘one thousand’? Compared to the vastness of the universe, human lifespan is only a blink of an eye. So let’s devote to awaken yourself to the truth.” Kim Kicheon receives confirmation for Gyenseong (見性) from the Founding Master during his lifetime.

2. Solving the crucial matter of life and death

When someone asks, “What is life and death?,” one might say, “It’s breathing.” Life and death are in the breathing. When we say “something big happened,” we are talking about something unexpectedly serious. When it comes to a great matter, life and death is a change. Don’t get stuck with the ‘me’ that lies in the midst of change. If we cling to it, it can be suffering and that is the cause of agony. Seeing that suffering rightly and freeing oneself from it is called liberation and transcendence. The sentient beings live according to their karma while the enlightened ones live at will.

For solving the big matter of life and death, it is said that the birth, old age, sickness and death are like spring, summer, autumn and winter. It means a change. Even just as the death we experience is not the end, but we fall asleep and wake up, those who are awakened know it as a change, and those who do not realize it call it ‘life and death.’ It is what was changed, what is being changed, and what will be changed but if we know that itself is the end, we will be impatient and have no room for composure. As we fall into attachments, we have heavy feelings.

A minister went to the hospital. She met two people, one who had served as a high-ranking government official and had a friendly relationship with her, and the other was an elderly laywoman. The high-ranking person grabbed the minister's hand and pleaded saying, “Please save me. Please pray for me.” The minister prayed for him fervently, and then, she went to the old laywoman in another room, and when the minister finished praying, she said, “I bought a train ticket, but I can’t leave because the ticket gate is not working.” In the past, ticket inspectors had to check the ticket before passengers enter the platform. That’s why I say.

3. Elucidating the principle of cause and effect

By what reason is all the karma that comes before me carried out during the years of my life? It is the principle of cause and effect that I receive what I have made. The instruction of Repentance said, “there is not a hair’s breadth of uncertainty that those who perform good actions will subsequently receive a corresponding life-giving reward, while those who perform bad actions will be repaid with a corresponding harmful retribution.” If you know and practice this, you are the one who knows the way to practice the principle of cause and effect.

A temple member who had been absent for a while returned, expressing fear after hearing teachings on karma. I told him, “There’s nothing to fear. You might have created it, but how you receive and respond to it makes a difference. Thus, instead of wasting time, cultivate your abilities diligently.”

4. Commanding the paths of practice

Practice is not just about spiritual cultivation; it includes the entire journey of faith and practice. Following these teachings leads to a realization of our true nature, resolution of life’s profound questions, and a clear understanding of karma, thus fostering the creation of blessings and good deeds.

As said in the Il-Won-Sang Vow, we deluded beings vow modeling ourselves wholeheartedly on this Il-Won-Sang, the Dharmakāya Buddha, and practicing with utmost devotion to keep our mind and body perfectly, to know human affairs and universal principles perfectly, and to use our mind and body perfectly, and progressing rather than regressing and receiving grace rather than harm. The path of practice that we have to follow by knowing the Buddha Dharma is elucidated in the Principal Book of Won Buddhism.

We are fortunate that we are on the greatest way in the world, so I pray that we all will engage in mind study diligently and live wisely and happily with a generous mind.

※ Verse 3, The Prologue, The Scripture of the Founding Master, Won Buddhism

Rev. Na, Sang Ho (An Ho) entered the Won Buddhist priesthood in 1990. He worked in the Edification Training Department and the Planning office of the Board of Administration, in the Won Buddhism Central Headquarters, as well as in Bundang Temple and Gangnam Temple. He is serving now as the Chief Administrator of Won Buddhism Central Headquarters. His previous books include “A Sip of Spring Water,” “The World Viewed on the Bicycle,” “The Stairs Going Up with a Mind,” and his sermon book “Go to the Great Way.”

세상에서 가장 큰길

글. 나상호

한 제자가 소태산 대종사에게 여쭸습니다. “어떠한 것이 큰 도입니까?” 이에 대종사는 “천하 사람이 다 행할 수 있는 것 은 천하의 큰 도요, 적은 수만 행할 수 있는 것은 작은 도이다.”라고 하시고 “우리의 일원종지와 사은사요, 삼학팔조는 온 천하 사람이 다 알아야 하고 다 실행할 수 있으므로 천하의 큰 도가 된다.”고 말씀하셨습니다.『대종경』교의품 2장’ 의 ‘천하 사람’이란 “유무식, 남녀노소, 빈부귀천, 인종을 막론하고 누구나 다”를 뜻합니다. 이것은 누구에게나 차별 없이 천상천하유아독존(天上天下唯 我獨尊)한 부처님의 마음이 본래 있기 때문입니다.

소태산 대종사는 “불법은 천하의 큰 도이다.”라고 말씀하셨는데, 그 이유로 “참된 성품의 원리를 밝히고 생사의 큰일을 해결하며 인과의 이치를 드러내고 수행의 길을 갖추어서 능히 모든 교법에 뛰어난 바 있다.”고 하셨습니다. (『대종경』 서품 3장)

이 법문은 마음공부하는 사람이 구하는 바 세가지에 대해 설명한 ‘『대종경』요훈품 2장’과 맞닿아 있습니다. 즉, “마음 을 알아 마음의 자유를 얻고, 생사의 원리를 알아 생사를 초월하고, 죄복의 이치를 알아 죄복을 임의로 하자는 것”이 그 것입니다. 불법(佛法)은 참된 성품[眞性]의 원리를 밝혔으므로 그에 따라 마음을 알아 마음의 자유를 얻는 것이요, 불법 으로 생사의 큰일을 해결할 수 있으므로 그에 따라 생사의 원리를 알아 생사를 초월하는 것이며, 불법이 인과의 이치를 드러냈으므로 그에 따라 죄복의 이치를 알아 죄복을 임의로 하는 능력을 얻게 되는 것입니다. 수행의 길이란 일원상의 신앙과 일원상의 수행으로 마음의 자유를 얻는 길, 생사를 초월하는 길, 죄복을 임의로 하는 길을 말합니다.

1. 참된 성품의 원리란 무엇일까?

‘참되다’라는 것은 ‘영원하다’, ‘생멸이 없다’라는 뜻입니다. 참된 성품은 진성(眞性), 즉 ‘참나’를 말합니다. 소태산 대종사 는『정전』좌선법에 “좌선이라 함은 마음에 있어 망념을 쉬고, 진성을 나타내는 공부”라고 하였지요. 무시선법에서 말 씀하신 ‘원래에 분별 주착이 없는’ 나의 성품이 곧 ‘진성(眞性)’, 참된 성품입니다. 참된 성품을 아는 것, 즉 견성(見性)은 ‘나의 근원이 어디에 있는가?’를 자각하게 하는 가르침입니다.

어느 절 방장 스님께 젊은 스님이 화두를 내려 달라하니 방장 스님이 물었습니다. “부모가 너를 낳기 전의 본래면목이 무 엇이냐?” 젊은 스님은 대답을 못했습니다. 오래오래 화두를 걸고 있다가 어느 날 시장 한복판에서 싸움하는 것을 보게 되었습니다. 싸움에 진 사람이 사과하는데 “면목 없습니다.”라고 하자 스님은 그 말에 본래면목의 의미를 깨닫게 되었습 니다.

과학자나 의학자 중에는 “마음? 그런 게 어디 있나? 그게 다 뇌의 작용이지.”라고도 합니다. 눈에 안 보이니 그렇게 단정 하는 듯합니다. 눈에 안 보이지만 분명히 있는 게 마음만 있는 것은 아닙니다. 전기에도 있습니다. 전기가 어디에 있는지 알려면 스위치를 껐다가 켜면 됩니다. 공기가 어디 있냐고 물으면 숨을 길게 들이쉬었다가 내쉬면 됩니다. 그럼 그걸 보 고 알았다며 미소를 짓습니다.

성품! 이것은 보이지 않는 나인데, 그럼 보이는 나는 어디에 있는가? 마치 심지(心地)가 있는데 경계를 당하여 한마음을 일으키는 것과 같습니다. 이 마음을 알아야 마음을 자유로 쓸 수 있습니다. 깨달은 이는 그것을 보고 알아서 그에 따라 심신작용을 하고, 다른 사람을 대할 때도 그 참모습을 보고 불공을 합니다. 그것을 깨닫지 못했거나 보지 못하는 분은 되 는대로 살거나 또 그렇게 업을 짓게 됩니다. 다른 사람에게서도 참모습을 못 보니 불공이 잘 안되는 것입니다.

Iksan Sacred Grounds of Won Buddhism, South Korea

“생사가 무엇인가?” 하고 물으니 “숨 쉬는 것이지요.”라고 답합니다. 생사가 호흡에 있다는 것이지요. 우리가 “큰일났 다”라고 할 때는 예기치 않은 일이 있을 때를 말합니다. 큰일이라고 할 때 생사(生死)는 변화(變化)입니다. 변화하는 그 사이에 있는 ‘나’ 에 집착하지 말라는 것입니다. 집착하면 그것이 고(苦)이고 그것이 괴로움의 원인입니다. 생로병사(生 老病死)의 괴로움, 그 괴로움을 바로 보고 벗어나는 것을 해탈, 초월이라 합니다. 생사의 큰일을 해결하면 생사에 자유자 재하게 됩니다. 우리의 생로병사는 봄, 여름, 가을, 겨울과 같다고 합니다. 변화를 의미합니다. 우리가 겪게 되는 죽음도 그것으로써 끝이 아니라 잠이 들었다 깼다 하는 것처럼 깨친 사람은 이를 변화로 알고 깨치지 못한 사람은 이를 생사(生 死)라고 합니다.

소태산 대종사가 제자 김기천에게 처음으로 법명을 내릴 때였습니다. 소태산은 그에게 “그대가 서당의 훈장을 해서 한 문 실력이 상당하겠지만 천지자연의 이치를 깨치지 못하고 생사 해탈을 못한다면 무슨 소용이 있겠는가?”, “법명을 몇 기(幾)에 일천 천(千)으로 하면 어떻겠나? 우주의 영원한 세월에 비하면 사람의 한평생은 눈 깜짝할 사이일 뿐이네. 진리 를 깨치는 공부를 잘해 보세.” 김기천은 생시(生時, 사는 동안)에 대종사로부터 견성 인가를 받게 됩니다.

2. 생사의 큰일을 해결한다고 했습니다.

“생사가 무엇인가?”하고 물으니 “숨 쉬는 것이지요.”하고 답합니다. 생사가 호흡에 달려 있다는 것이지요. 우리가 “큰일 났다.”고 할 때는 ‘예기치 않게 생사(生死)의 큰 일을 당할 때’ 하는 말이지요. 큰일이라고 할 때 생사(生事)는 변화(變化)

입니다. 변화하는 그 사이에 있는 ‘나’에 집착하지 말라는 것입니다. 집착하면 그것이 고(苦)이고 그게 괴로움의 원인입 니다. 그 고를 바로 보고 벗어나는 것을 해탈, 초월이라고 합니다. 중생은 업대로 살지만(業生), 도인은 원생(願生) 즉 원 대로 산답니다.

생사의 큰일을 해결한다 했는데, 생로병사는 춘하추동과 같다고 했습니다. 변한다는 것이지요. 심지어 죽음도 그것으로 써 끝이 아니라, 잠이 들었다 깼다 하는 것처럼 깨친 사람은 이를 변화로 알고 깨치지 못한 사람은 이를 생사라 한다고 법문하였습니다. 변했던 그것, 변하고 있는 그것, 변할 그것인데 그 자체가 끝이라고 알면 조급하고 여유가 없어집니다.

집착하니 마음이 무겁습니다.

어떤 교무님이 병원에 병문안을 갔습니다. 두 분을 만났는데, 한 분은 정부 고위직 공무원을 역임한 분으로 평소에 교분

이 있었고 다른 한 분은 노인 교도님이었습니다. 고위직에 있던 분이 교무님 손을 잡고 “나를 좀 살려 주세요. 기도 좀 해 주세요.” 하고 애원을 하더랍니다. 교무님이 간절히 기도를 올리고 이번에는 다른 병실에 계신 할머니 교도님에게 갔는 데, 기도를 마치자 하시는 말씀이 “내가 기차표를 사 놓았는데 개찰이 안 되어서 아직 못 떠나고 있습니다.” 그러더랍니

나갈 수 있었습니다. 그래서 하는 말입니다.

3. 인과의 이치를 드러내고

살아가는 세월 동안 내 앞에 오는 모든 업은 어떤 이치에 의해서 이뤄지는가? 그것은 내가 지은 대로 받는다는 인 과의 이치입니다. 참회문에 “선행자는 후일에 상생의 과보를 받고, 악행자는 후일에 상극의 과보를 받는 것이 호리 도 틀림이 없다.” 하셨지요. 이것을 알고 행하면 인과의 이치를 수행하는 길을 아는 사람입니다.

교당에 오던 발길이 뜸하던 교도님이 모처럼 오셨어요. 그분이 “교당에 가서 인과 법문을 듣고 무서운 생각이 든 다.”고 했습니다. 그래서 “무서워할 것 없어요. 내가 지었지만, 받는 사람은 나입니다. 내게 오는 업을 어떻게 받아 들이냐에 따라 달라집니다. 그러니, 허송세월 하지말고 부지런히 수양력, 지혜력을 길러 놓으시면 됩니다.” 그랬습 니다.

매 순간 나를 이루어 가는 것이 업이 됩니다. 살면서 내가 보고 듣고, 관계 맺는 모든 게 내 업을 쌓는 것입니다. 듣지 말아야 할 것은 안 듣고, 보지 말아야 할 것은 안 보고, 말하지 말아야 할 것은 말 안 해야 악업을 덜 쌓는다고 합니다.

4. 수행의 길을 갖추었다고 하였지요.

여기서 수행은 정신 수양에 한정된 의미가 아니고,

해야 할 수행길은 원불교 교전에 세세 곡절 밝혀 놓으셨습니다.

어찌 다행 세상에서 가장 큰길을 가고 있으니, 마음공부 잘하여 큰마음으로 늘 지혜롭고 행복하게 살아가시기를 기도합 니다.

보산 나상호 교무는 1990년에 출가하였습니다. 원불교 중앙총부 교정원 교화훈련부와 기획실, 분당교당, 강남교당에서 근무하였고 현재 원불교 교정원장으로 봉직하고 있습니다.

저서로는『샘물 한 모금』,『자전거 타고 가며 보는 세상』,『마음으로 오르는 계단』, 설교집『큰길로 가라』등이 있습니 다.

The Path of Mind Study and Enlightenment

마음공부와 깨달음의 길

Educational Programs for Becoming Ordained Ministers of Won Buddhism - 원불교 교역자 양성의 산실 -

Youngsan University of Son Studies

영산선학대학교 1357, Seongji-ro, Baeksu-eup, Yeonggwang-gun, Jeonnam-do 57026, S. Korea

T. 061-350-6015 www.youngsan.ac.kr

Department of Won Buddhism, Wonkwang University 원광대학교 원불교학과

460 Iksandae-ro, Iksan-si, Jeonbuk-do 54538 S. Korea

T. 063-850-6115 wonbuddhism.wku.ac.kr

Won Buddhism Graduate School

원불교대학원대학교

33gil 23, Iksan-daero, Iksan-si, Jeonbuk-do 54536 S. Korea

T. 063-841-5751 www.wonbuddhism.ac.kr

Master of Won Buddhist Studies, Won Institute of Graduate Studies

미주 선학대학원대학교

800 Jacksonville Rd. Warminster, PA 18974 U.S.A. T. 215-884-8942 www.woninstitute.edu

Dept. of Education, Won Buddhism Headquarters

원불교중앙총부 교육부

501, Iksan-daero, Iksan-si, Jeonbuk-do 54536 S. Korea

T. 063-850-3141 wonteach@won.or.kr

Understanding Someone’s Mind

Among the ministers I know, there is one who excels at making others feel at ease during conversations. Even if someone is visibly upset due to various reasons, he never rushes to judge or offer premature advice. Instead, he listens patiently to the very end, offering comfort or solidarity only after fully understanding the situation. I’ve often marveled internally, “How can this minister empathize so profoundly?” As someone who frequently loses composure and makes mistakes despite knowing better, I find his ability truly admirable.

Empathy is crucial not only in professional counseling but also in everyday conversations for effective communication. It involves understanding and relating to the feelings of others as if they were your own, and then conveying that understanding back to them. Essentially, it’s about “reading” the other person’s mind well. Empathy operates on many levels; deeper levels allow one to grasp not just the spoken words but also the emotions, attitudes, beliefs, and values that are not immediately observable. Through empathy, we manage to communicate by sensitively perceiving the hidden depths of others.

Conversations sometimes involve one-sided commands, instructions, or advice that are not always well received, especially when they reflect only our views and opinions. Such

exchanges can feel intrusive to the listener and are generally ineffective outside of specific contexts, causing the other person to withdraw or shut down.

Empathy means shifting the focus from a selfcentered perspective to one centered on the other person. It requires a full concentration on the other’s feelings, not your own. This shift conveys messages like “I am genuinely interested in you,” and “I value you,” which build trust and mutual respect. Empathy not only facilitates healing but also helps in strengthening the other’s mental resilience.

To shift from self-centered to other-centered communication, the most crucial step is to “empty” oneself. Just as a full cup cannot hold more water, a mind preoccupied with its own emotions, thoughts, and values cannot fully perceive or understand another’s situation or feelings. By emptying ourselves, we become receptive spaces that can truly see, understand, and empathize with others.

Chǒngsan, the second Dharma Master of Won Buddhism,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being as empty as the sky when dealing with others: “You must become the empty sky! Because the sky is empty, it subsumes all things. To become great persons, our minds have to become like the empty sky. Regulate yourselves but do so with an empty mind; regulate your families with an empty mind; regulate your nation with an empty mind. In treating all your friends and all your countrymen, harmonize with them also with an empty mind. Hence, if in all things you are free from all signs regarding anything, as well as from remoteness or closeness, and if you have extinguished both hatred and love, then you are buddhas and bodhisattvas.”※

Ultimately, empathizing with an empty mind and shifting our focus towards others means letting go of our narrow perspectives and moving towards a Buddha-like mind, nurturing a warm compassion for existence shared with others. What a magnificent and valuable journey it is to guide others towards healing and recovery while also fostering our own inner growth!

Recently, loneliness has been recognized as a social disease in the UK, with the government, universities, and private medical institutions collaborating to combat it. In January 2018, the UK even established the world’s first “Minister for Loneliness.” This issue isn’t unique to Britain; many people in modern societies feel

lonely and isolated emotionally despite being physically surrounded by others, a situation exacerbated by the COVID-19 pandemic. Thus, the power of empathy to foster trust, respect, and intimacy among people is increasingly essential.

Expressing empathy in conversation doesn’t always require specific phrases like “So, you feel ...,” “You wanted ...,” or “Is it that ...?” I recall a friend who felt deeply understood when, after a tough day, someone suggested, “Let’s choose

dinner based on what our friend, who had a hard day, would like.” What matters most is the sincerity of turning fully towards the other person with an open heart.

Today, let’s devote our full attention to the hearts of those we encounter. With a true heart, understanding someone else can sometimes be as simple as sharing a warm cup of tea or a knowing glance.

※Verse 23, Foundational Principles, The Dharma Discourses of Cardinal Master Chŏngsan

Rev. Lim, Jineun (Jeonok) entered the Won Buddhist priesthood in 1995. She obtained a doctorate in Counseling Psychology at Catholic University. Worked for Gupo temple and San Francisco templeas minister and for won Buddhism Graduate School as professor. She is currently a professor of WonBuddhism Department at Wonkwang University, and interested very much in spirituality, emotion,self-acceptance,mindstudyandhealing.ObtainedalicenseofPsychotherapist (Class1)fromKoreanCounselingPsychologicalAssociation.

마음을 읽어주는 것

내가 아는 한 교무님은 대화를 나누는 상대방을 편안하

게 하는 능력이 있다. 간혹 경계로 인해 잔뜩 동요된 마

음을 대화에 꺼내놓아도, 그는 그 상황에 대해 섣불리

자신의 판단을 보태거나 조언하지 않는다. 그리고 참을

성 있게 끝까지 듣고 나서야 때로는 위로로, 때로는 동

조로 자신의 마음을 건네곤 한다. ‘이 교무님은 어떻게

이렇게 공감을 잘해줄까?’ 속으로 여러 번 감탄했던 기

억이 있다. 머리로는 그래야 한다는 것을 알면서도 여

유를 잃고 자주 실수를 범하는 나로서는 참으로 부러운

일이 아닐 수 없다.

전문적인 상담에서뿐만 아니라 일상의 대화에서도 원

글. 임진은

활한 대화와 소통을 위해 매우 중요하게 여겨지는 것

중의 하나가 바로 ‘공감’이다. 공감이란 상대방이 어떤

상황에서 느끼는 마음을 그와 거의 같은 내용과 수준으

로 이해하고, 그 이해한 바를 표현으로 잘 전달해주는 것을 말한다. 달리 말하면, 상대방의 마음을 ‘잘 읽어주

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공감에는 여러 수준이 있는

데, 가벼운 수준에서 깊은 수준으로 나아갈수록 언어로

서 전달되는 내용뿐만 아니라 감정이나 태도, 신념, 가 치 기준과 같이 눈으로 쉽게 관찰할 수 없는 것까지도 그 의미를 정확히 포착할 수 있게 된다. 공감을 통해서

우리는 겉으로 드러나지 않은 상대의 심층까지도 예민 하게 감지하면서 소통하게 된다.

우리는 대화에서 가끔은 명령이나 지시, 충고, 조언 등

일방적인 방식의 말들이 오고 갈 때가 있다. 설령 의도

하진 않았어도 나의 의견과 관점이 중심이 된 소통방식

은 상대로부터 그다지 좋은 반응을 얻지 못한다. 때론

대화의 상대는 그 대화를 상대 에 대한 침범으로 여길

수 있다. 그래서 아주 제한적인 몇몇 상황 외에는 그러

한 대화는 효과도 없을뿐더러 오히려 상대의 마음은 닫

히고 물러서게 되기 쉽다.

공감, 즉 상대방의 마음을 헤아려서 잘 읽어주는 것은

말하자면 ‘나’ 중심의 소통에서 ‘상대방’ 중심으로, 그

축을 옮겨가는 일이라고 할 수 있다. 내가 아니라 온전

히 상대방의 마음에 집중해야 가능한 일이다. 이렇게

되면 ‘나는 당신에게 깊은 관심이 있습니다.’, ‘나는 당

신을 소중하게 생각합니다.’ 하는 마음이 전해지고, 신

뢰 관계가 형성된다. 또한 서로 존중하는 마음을 나눌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공감으로부터 상대방은 자연스럽

게 마음이 치유되고 마음의 힘을 회복하는 데 큰 도움

이 된다.

이러하듯이 나 중심의 소통에서 상대방 중심으로 그 축

을 옮겨가기 위해서는 무엇 보다 중요한 것은 나를 채

우고 있는 많은 것들을 내려놓고 ‘비우는’ 일이다. 마치

물이 가득한 컵에 다른 물은 더할 수 없듯이, 이미 나의

감정, 생각, 기분, 느낌, 관념, 의견, 가치관에 몰두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상대방의 입장과 상황, 그리고 마음이

있는 그대로 느껴지고 보일 리 없다. 나는 내 안의 모든

것을 내려놓고 청정한 빈 마음이 될 때, 비로소 상대방

의 상황과 상태를 있는 그대로 보고 이해하고 나눌 수

있는 편안한 쉼터가 되어줄 수 있을 것이다.

원불교의 2대 종법사인 정산 종사(법명: 송규)는 다른

사람을 대할 때에 허공과 같은 빈 마음이 되는 것의 중

요성을 다음과 같이 강조하였다.

“그대들은 허공이 되라. 허공은 비었으므로 일체 만물

을 소유하나니 우리도 대인이 되려면 그 마음이 허공

같이 되어야 하나니라. 자신을 다스리되 빈 마음으로써

하고, 가정을 다스리되 빈 마음으로써 하고, 나라를 다

스리되 빈 마음으로써 하며, 모든 동지와 모든 동포를

대할 때에도 또한 빈 마음으로써 화하여, 매사에 상이

없고 원근이 없으며 증애가 끊어지면 불보살이니라.”

( 『정산종사법어』원리편 23장)

결국, 빈 마음으로 공감하며 상대를 향해 중심축을 옮

기는 일 자체가 그동안 익숙하게 몰두해 왔던 나의 좁

은 관점과 관념을 내려놓는 일이다. 그리고 부처의 마

음으로 나아가는 실제적인 여정이며 나 외의 다른 사람

들과 함께 존재를 향한 따뜻한 자비심을 기르는 일이

된다. 또한 상대방을 치유와 회복으로 안내하는 동시에

나 자신 역시 내적인 성장을 얻게 되는 길이니 이 얼마

나 멋지고 값진 일인가!

최근 영국에서는 외로움을 사회적 질병으로 간주하고,

정부와 대학 연구소, 그리고 민간 의료기관이 협력하여

외로움을 퇴치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한다. 2018

년 1월에는 세계 최초로 ‘Minister for Loneliness’라

는 장관직을 신설했다는 보도도 보았다. 물론 이것이

비단 영국만의 문제는 아닐 것이다. 현대사회를 살아가

는 많은 사람들이 외로움이라는 문제에 노출되어 있고, 물리적으로는 분명히 사람들 속에서 살고 있으면서도

정서적으로는 단절되어 있다는 기분을 느끼는 경우가

많다. 더욱이 코로나 19의 영향으로 일상에서 느끼는

인간관계의 벽과 단절감이 심화 되기도 하였다. 그만큼

사람과 사람 사이에서 신뢰와 존중, 친밀감이 자라나게

하는 공감의 힘이 매우 절실하다.

우리가 상대에 대해 공감한다고 해서 대화에서 반드시

“~하군요”, “~을 원했나 봐요”, “~라는 거죠?”와 같이

표현할 필요는 없다. 예전에 만났던 어떤 친구는 어느 힘들었던 하루를 마무리하는 시간에 있었던 한 모임에 서, “오늘은 힘든 하루를 보낸 그 친구가 원하는 메뉴로

저녁을 먹자.”라는 한 회원의 말에 큰 공감을 받았었던

일에 대해 말해준 적이 있다. 중요한 것은 나를 내려놓

고 상대방에게 온전히 향하는 진실된 마음일 것이다.

오늘은 나와 마주하고 있는 이의 마음에 정성을 다해 귀 기울여 보자. 진실된 마음이 있다면 마음을 읽어주

는 것은 때로는 따뜻한 차 한잔, 또는 말 없는 눈빛만으 로도 가능하다.

연타원 임진은(본명: 임전옥) 교무는 1995년에 출가하였 습니다. 가톨릭대학교에서 상담심리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습니다. 구포교당, 샌프란시스코교당 교무, 원불교 대학원대학교 교수로 근무하였습니다. 현재, 원광대학교 원불교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영성, 정서, 자기수 용, 마음공부와 치유에 대해 깊은 관심을 갖고 있습니다. 2009년에 한국상담심리학회에서 상담심리사(1급) 자격 증을 취득하여 전문상담가로도 활동하고 있습니다.

월간원광

Wonkwang Magazine

15, Yeouidaebang-ro 68-gil, Yeongdeungpo-gu, Seoul 07343 S. Korea

T. 02-825-6417 www.m-wonkwang.org

원불교신문

Won Buddhism Newspaper

501, Iksan-daero, Iksan-si, Jeonbuk-do 54536 S. Korea

T. 063-854-6351 www.wonnews.co.kr

한울안신문 (원불교 서울교구)

Hanulan Newpaper

Won Buddhism Sotaesan Center

75 Hyeonchung-ro, Dongjak-gu, Seoul

06904 S. Korea

T. 02-823-7452 www.hanulan.or.kr

WBS원음방송

Won Buddhism Broadcasting System 1350, Nambusunhwan-ro, Geumcheongu, Seoul 08536 S. Korea

T. 02-2102-7700 www.wbsi.kr

원불교출판사

Won Buddhism Publisher

501, Iksan-daero, Iksan-si, Jeonbuk-do

54536 S. Korea

T. 070-7011-2230 www.wonbook.co.kr

원불교중앙총부 문화사회부

소태산의 이야기 문화와 만나다

The Story of Sotaesan, Meeting with the Culture 원불교 언론사, 문화기관 안내 Guide to Won Buddhism Media & Cultural Organizations

원불교 역사박물관 Museum of Won Buddhism History

Won Buddhism Headquarters 501, Iksan-daero, Iksan-si, Jeonbuk-do

54536 S. Korea T. 063-850-3240 www.wonmuseum.net

우리삶문화옥당박물관

The Korean Cultural Life, Okdang Museum 3, 3-gil, Daesin-gil, Baeksu-eup, Yeonggwang-gun, Jeonam-do

57025 S. Korea T. 070-7011-6887 www.okdangmuseum.net

원불교 기록관

Wonbulgyo Archives

Won Buddhism Headquarters

501, Iksan-daero, Iksan-si, Jeonbuk-do

54536 S. Korea T. 070-7011-5504 https://wonds.net

소태산갤러리, 대소유무 Sotaesan Gallery, Daesoyumu

Won Buddhism Sotaesan Center 75 Hyeonchung-ro, Dongjak-gu, Seoul

06904 S. Korea T. 02-6960-8905 www.instagram.com/sotaesan.gallery

원광사

Wonkwangsa (Print & Press)

551, Iksan-daero, Iksan-si, Jeonbuk-do 54536 S. Korea T. 063-850-3221 wwon7878@hanmail.

Dept. of Culture and Social Affairs, Won Buddhism Headquarters (Won Buddhism Sotaesan Center) 9th Fl., 75 Hyeonchung-ro, Dongjak-gu, Seoul 06904 S. Korea T. 02-6960-8905

My Study of the Mind

What is it that I use incessantly throughout my life?

Undoubtedly, it’s both my body and mind. I select healthy foods for my body and occasionally exercise. I have regular health check-ups, and I practice meditation because I know stress is bad for my body. The body and mind are like the two sides of a coin, yet I used to believe that, unlike the body, the mind adjusted itself automatically. However, since I started studying the mind, I have gradually changed my lifestyle.

One morning, something minor happened. When I went to fill a glass from the water purifier, I found only a little water left. Annoyance bubbled up as I waited for the water to refill. I thought, “Shouldn’t the last person to use this have refilled it? Why should I be the one always to fill up the water?” This recurring task had never bothered me before, but on this day, it did. Realizing this, I reflected on the discomfort stemming from my expectation of convenience and my memories of repeatedly filling the tank. Typically, such small actions pass without thought, but

now discomfort brought feelings of resentment. Recognizing that these feelings stemmed not from the situation but from my desires was enlightening. Understanding the state of my mind, I was able to request the last person to use the water to refill without irritation. That morning, I practiced mind study.

Life is a continuous series of situations. Through these situations, I study and observe, striving to bring harmony to myself and my surroundings. Previously, I would think, “You made me angry.” However, the mind study shifted the source of my emotions from others to myself. I was able to gain control over my emotions. Observing my reactions to the situations helped me identify my habits and biases of likes and dislikes. I realized these distinctions originated from my discriminative mind.

Understanding my own mind enabled me to empathize with others. When someone else is angry, I can now see their struggle and understand their feelings more sincerely. Over time, through years of mind study, I’ve come to appreciate the marvelous realization that nothing in this world happens on its own.

The deeper my gratitude grows, the more naturally it turns into love. Just as the body and mind are partners, so are gratitude and love. I’ve learned firsthand that nothing in this world is static, and every event has its cause, which I’ve learned to accept. With this belief, when faced with

difficulties or negative emotions, I reset to the state of mind I had before they arose. Although it doesn’t always work out as planned, this process of reflection often leads to different outcomes.

Most importantly, what is invisible to the eye becomes visible to the mind, bringing a sense of ease and spaciousness. This is the joy I find in studying the mind. Just as a child grows under the care of a parent’s love, I am thankful today for the wise sages who nurture my mind and the teachers who guide my mind study.

Lee, Kyungjoon Kyodo※ , Chicago Temple, U.S.A.

※ Kyodo: Won Buddhist Lay Member

내가 평생을 쉬지 않고 사용하는 것은 무엇일까?

단연 몸과 마음이다. 몸을 위해서는 건강한 식품을 고르고 틈틈이 운동도 한다. 정기적으로 체크도 하고 스트레스 가 몸에 좋지 않다고 명상도 한다. 동전의 양면처럼 함께하는 몸과 마음인데, 나는 몸에 비하면 마음은 저절로 조절 되는 줄 알고 살았다. 그러다 마음공부를 하면서 조금씩 변화된 생활을 하게 되었다.

어느 아침에 일어난 일이다. 정수기에 물을 먹으려 하니 조금밖에 없었다. 물을 넣고 기다리는 동안 짜증이 났다.

맨 나중에 사용한 사람이 물을 채워놓아야 하지 않았을까? 왜 나만 물을 채워야 하냐는 생각에서다. 늘 하던 일인 데, 오늘은 왜 짜증이 날까? 이렇게 일어난 나의 마음을 보니 그것은 불편함이었다. 그 불편함이 없기를 바라는 마 음과 그동안 물을 채웠던 기억 때문이었다. 그 조그만 행동도 할 때는 아무런 생각이 없다가 막상 내가 불편하니 서운함으로 밀려온다. 이러한 감정의 원인이 대상에 있지 않고, 나의 바람에서 비롯되었음을 알아차린다. 나의 마 음 상태를 알고 나니 짜증 없이 마지막 사용한 사람에게 물을 채워달라고 부탁할 수 있었다. 그날 아침은 그렇게 마음공부를 하였다. 산다는 것은 끝없는 일의 연속이다. 나는 이렇게 일 속에서 공부하고 확인하며 나와 주위를 조화로운 방향으로 만 들어 본다. 그동안 나는 “네가 나를 화나게 만들었어.”라고 생각했다. 그러나 마음공부를 하면서 감정의 원인이 대 상에서 나로 옮겨왔다. 그러면서 나의 감정의 키를 내가 갖게 되었다. 또한, 일에 대한 반응을 스스로 보면서 나의

습관을 살펴보게 되었고, 좋아하는 것과 싫어하는 것으로 나누는 나의 편견이 보였다. 그리고 그것은 나의 분별심

에서 비롯한다는 것도 알게 되었다.

나는 나의 마음을 보게 되니, 상대방의 마음도 살필 수 있었다. 상대가 화를 낼 때는 힘들어하는 마음도 함께 볼 수

있어 상대의 표현이나 말 속에서 그 내면을 좀 더 이해할 수 있었다. 한 번 두 번, 한 해 두 해, 마음공부 하는 시간

이 길어지면서 세상 모든 것이 어느 것 하나 저절로 이루어진 것이 없다는 것에 경이로움과 감사함을 느꼈다.

감사함이 깊어질수록, 채워질수록 사랑으로 나아가는 것도 알았다. 몸과 마음이 짝을 이루듯, 감사와 사랑도 하나 인 듯하다. 세상 일이 원래 고정됨이 없다는 것을 스스로 행동으로 알게 되었고, 일어나는 일 또한 그 원인이 있음 을 알아 그것을 인정하게 되었다. 이러한 믿음을 바탕으로 나는 힘든 일이나 감정이 일어날 때 그것들이 일어나기 전의 마음으로 회복(Reset)한다. 물론 생각에서 그칠 뿐 잘되지 않을 때도 있지만 그러한 한 생각, 한 행동만으로 도 다른 결과로 이어지는 것을 스스로 확인할 수 있었다.

무엇보다도 눈으로 보이지 않는 것이 마음으로 보이고 여유가 생긴다. 이것이 내가 마음공부를 하면서 느끼는 재 미이다. 아이가 부모의 사랑으로 자라듯 오늘도 마음을 키워주는 성현님들과 마음공부를 지도를 해 주시는 스승님 께 감사드린다.

예타원 이경준 교도, 시카고교당, 미국

THE PRINCIPLES FOR TRAINING THE MIND

Korean Edition

Venerable Chwasan ㅣ Paperback ㅣ 306 pages ㅣWon Dharma Publications

When caught up in the bustling events of daily life, it is easy to neglect our mind practice and study. When this happens, hazardous weeds and plants harmful to ourselves and others will overtake our uncultivated mind field. The mind can, however, become a field of gold that yields a plentiful harvest of happiness and freedom for ourselves and others when adequately trained. Which will you choose: an uncultivated field or a field of gold? This decision should be of utmost importance to you.

THE METHOD OF SITTING MEDITATION

(from The Scriptures of Won Buddhism)

Venerable Chwasan ㅣ Paperback ㅣ 96 pages ㅣ Won Media

Meditation is a way to cultivate the mind, which is the foundation of all. Once we train and cultivate the mind and find its power, we gain an eternal strength that can be used in everyday life and throughout eternity. The spiritual power that is cultivated by centering the mind may be applied in all of life’s situations.

THE MOON RISES IN EMPTY SPACE

(Commentaries on the Il-Won-Sang Vow)

Venerable Kyongsan ㅣ Paperback ㅣ 162 pages ㅣ Won Dharma Publications

The translation of the Il-Won-Sang Vow, which is the essence of Won Buddhism will help many western practitioners learn the foundational teaching of Master Sotaesan, the Founding Master of Won Buddhism. It will also guide the spiritual practice of people living in modern societies in other parts of the world.

THUNDEROUS SILENCE

(A Formula for Ending Suffering)

Rev. Dosung Yoo ㅣ Paperback ㅣ 264 pages ㅣ Wisdom Publications

Thunderous Silence is a lively and accessible exposition of the Heart Sutra that sheds new light on this essential Buddhist text. Tthis book invites us to examine the fundament through the prism of the Heart Sutra.

TALES OF A MODERN SAGE

(Stories of The Founding Master of Won Buddhism)

Rev. Jeiwon Kim ㅣ Paperback ㅣ 128 pages ㅣ Won Dharma Publications

This book is a collection of stories about the founder of Won Buddhism, Sotaesan. The reader will get a sense of how he spoke, acted, and lived through the ninety nine stories shared from his life with his students. These stories serve as a beacon on our journey to freedom and happiness.

WARM HEART, SUPPLE BODY PRACTICE

Porfessor Seung H. Song ㅣ Paperback & DVD ㅣ 20 pages, 1 DVD ㅣ Won Publications

Warm Heart, Supple Body Practice as one of moving meditation programs is an excellent and easy way to settle the body and the mind prior to seated meditation. It concludes with a wonderful method for invigorating and re-energizing the body after seated meditation. It can be performed from a seated position which makes it useful for a large population of people, with warying levels of mobility.

Being alone and Being together :

Ilwonsang Vow in our daily life

Ilwonsang vow is the essence of Master Sotatesan’s teachings and a powerful life force for all practitioners. That is why we, as Won Buddhist practitioners, chant the “Ilwonsang vow” at every prayer, every dharma service and every moment in our life. I grew up in Won Buddhist family, so “Ilwonsang vow” has been part of my life from the beginning.

If we memorize this Ilwonsang Vow and keep it in our heart, there are many opportunities in our daily life to understand each and every word deeply, and the true reality related to those teachings.

This consistent and sincere practice is important in our daily life, especially those two moments; When we are alone and when we are together with others.

Let’s think about the first one, how do you spend your time when you are alone?

Sometimes physically we are alone, but are busy creating external or internal distractions to avoid uncomfortable feelings, emotions or fear of boredom.

However, these external distractions cannot give us a solution for our suffering. If we are truly being with ourselves without any distractions, we can find our true nature and dwell in a non dualistic reality and oneness with all other beings.

That is why aloneness is the essence of all types of meditative practice. Buddha said, “In heaven above and on earth below, I alone am honored.” What does this mean?

This is the state of mind of oneness, so there is no separation between me and others.

Ilwon is the realm of samadhi beyond words and speech. It is the mother nature of all our consciousness. When we express our thoughts or feelings, we try our best to describe what it is with words or speech, but language can not express true reality, so that each and every one of us needs to figure out true reality through our own experience.

All languages are great tools for pointing out the true reality. It is like pointing at the moon in the sky. To apply this practice in our daily life, I let go of my previous perceptions of words, especially when I meet new people and new situations. We face true reality with a humble mind and beginner's mind because it is always relational and impermanently changes in each moment. Let’s start our day with the state of mind that is the realm of samadhi beyond words and speech. This is the dharmakaya Buddha within us.

When we are able to be alone well, we do not feel loneliness or isolation, rather we feel limitless interconnectedness with all other beings. We appreciate the existence of all other forms of beings on earth. Master Sotaesan teaches us that the manifestation of the truth of Ilwon is Fourfold Grace, Grace of heaven and earth, Grace of parents, Grace of fellow beings and the Grace of Laws. We can not live without all other living beings. We are mutually benefiting each other's life.

Master Sotaesan said “Take Ilwonsang as the object of faith and, believing in its truth, pursue merit and happiness. If we were to specify the content of Ilwonsang, it is in fact the Fourfold

Grace; if we were to specify the content of the Fourfold Grace, it is in fact all things in the universe; and there is nothing among the myriad things in heaven and earth or the dharma realm of empty space that is not the Buddhas. Thus, regardless of time and place, we must never neglect to maintain a respectful state of mind and should treat the myriad things with the same pure mind and pious attitude we have for the venerable Buddha ...” (Verse 4, Doctrine, The Scripture of the Founding Master)

This is a great teaching to guide us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ruth of Ilwon and Fourfold Grace.

Through deep understanding of ourselves, we can see others’ differences with an open heart without discrimination. It is more like learning about our differences with humility and a humble mind. We are learning how to live together well with others in a harmonious way through following the path of Fourfold Grace.

Ideally, oneness is great, but togetherness is another matter.

It is like being aware that the truth of Ilwon, our higher self or our true self is wonderful, but how we live with all other living beings in our daily life is an important matter to really actualize oneness on earth with all different people.

There are many unresolved problems and suffering in the world, but the first step to alleviate suffering starts from our internal peace and tranquility through deeper understanding of ourselves and others.

This is the moment we need to take an action to transform ourselves as a Buddha. If we postpone it to our next life, or 10 years later, or even tomorrow, the future will not be much different than today.

In each and every moment all we can do is our best to choose wholesome action and let go of deluded thoughts or unhealthy habits.

Therefore, we unawakened beings vow to practice wholeheartedly, modeling ourselves after Ilwonsang,

the dharmakaya buddha, by cultivating our minds and bodies deeply, knowing human affairs and universal principles thoroughly, and using our minds and bodies skillfully, Thus progressing rather than regressing and receiving grace rather than harm, until we attain the great empowerment of Ilwon and become one with the nature of Ilwon.

We take this Ilwonsang vow in each moment of our life, when we are alone or are together with others, until we achieve Buddhahood and deliver all sentient beings on earth.

The Il-Won-Sang Vow

Rev. Hojin (Hye Sung) Park is a Won Buddhist minister, Dharma Chaplain and faculty at Won Institute of Graduate Studies. Hojin is her Buddhist name. She obtained her doctorate Degree in Pastoral Counseling at Loyola University in Maryland and her Masters in Applied Meditation Studies at the Won Institute of Graduate Studies. She earned her undergraduate degree and Master's degree from Wonkwang University in Iksan, South Korea with a Major in Won Buddhist studies. Rev. Park has taught Buddhist Pastoral Counseling and Won Buddhist Scriptures to students at Won Institute. She has been working as a Buddhist spiritual advisor at Swarthmore and Buddhist chaplain at University of Pennsylvania

우리가 이 서원문을 외우고 마음에 새기면, 일상생활

일상적인

어떻게 해야할까요? 저는 우리의 삶 속에서 중요한 두 순간 이 있다고 봅니다. 하나는 혼자 있을 때이고 다른 하나는 다른 사람들과 함께 있을 때입니다.

우리가 혼자 있을 때를 생각해보면, 때로는 육체적으로는 혼자이지만 불편한 감정, 또는 지루함에 대한 두려움을 피하기 위해 외부적 또는 내부적으로 주의를 산만하게 만들기에 바쁩니다. 그러나 이렇게 정신을 산만하게 하는

것은 우리의 고통에 대한 해결책이 될 수 없습니다. 오직 우리가 정신의 안정을 얻고 진정으로 우리 자신과 함께

있다면, 우리는 진정한 본성을 찾고 다른 모든 존재와 하나됨을 느낄수 있습니다.

홀로 있음은 모든 명상 수행의 본질입니다. 부처님께서는 “천상천하유아독존(天上天下唯我獨尊)” 즉, 우주 가운 데 나보다 더 존귀한 이는 없다고 말씀하셨습니다. 이것은 바로 우리가 하나의 마음 상태로 들어갔을때, 나와 다른 사람 사이에 분리가 없으며, 모두가 존귀한 존재라는 뜻입니다.

일원은 말과 글을 초월한 삼매의 영역입니다. 그것은 우리의 모든 의식의 본성입니다. 모든 언어는 진실을 가리키

기 위한 도구와 같아서, 허공의 달을 가르키는 손가락은 될 수 있지만, 달 그 자체는 될 수 없습니다. 그래서 우리는 언어와 문자를 초월한 진리의 실체를 체험하는 공부를 해야 합니다. 이 습관을 일상 생활에 적용하기 위해 저는 특 히 새로운 사람과 만나거나, 새로운 상황을 대할 때, 머리 속에 저장된 선입견을 내려놓는 공부를 합니다. 모든 현 실은 시시각각 변하기 때문에 겸손한 마음과 초심자의 마음으로 진정한 현실을 마주합니다. 언어와 문자를 초월한 마음의 상태로 하루를 시작합시다. 이것이 바로 우리 안에 있는 법신불입니다.

참으로 홀로 존재할 때, 우리는 외로움이나 고립감을 느끼지 않고 오히려 다른 모든 존재와 무한한 상호 연결을 느 끼게 됩니다. 우리는 지구상에 존재하는 다른 모든 형태의 존재에 감사합니다. 소태산 대종사는 일원의 진리의 현 현은 사은(四恩) 즉 천지은(天地恩) · 부모은(父母恩) · 동포은(同胞恩) · 법률은(法律恩)이라고 밝혀 주셨습니다. 일원상의 진리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말하면 곧, 네 가지 큰 은혜인 사은(四恩)이며, 사은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설 명하면 우주 안의 모든 것으로서 하늘과 땅의 만물과 허공법계가 다 부처 아님이 없으니, 우리는 시간과 장소를 가

리지 않고 항상 공경하는 마음으로 부처님 대하는 청정하고 경건한 마음으로 만물을 대하라고 말씀하셨습니다. 이 것은 일원의 진리와

우리가 진정으로 홀로 있음으로서 자기 자신에

되어, 차 별 없이 열린 마음으로 다른 사람을 볼 수 있습니다. 그것은 겸허한 마음으로 서로의 다름을 배워 나가는 수행의 길이 될 것입니다. 그래서 우리가 없어서는 살 수 없는 은혜의 관계로 우주 만물이 서로 연결되어 있음을 알고, 모

두가 진리의 화현임을 믿고 언제 어디서나 경건한 마음으로 수행해 갈 때, 우리는 다른 사람들과 조화롭게 잘 사는

법을 배우고 실행하게 될 것입니다.

우리의 본래 마음을 깨달아서 모두가 하나인 자리를 깨치는 것도 중요하지만, 진리의 화현인 모든 생명들과 조화 롭게 함께 사는 것은 또 다른 문제입니다. 그러므로, 일상 생활 속에서 다른 이들과 함께 잘 살아나가는 방법을 터 득하여 실행하는 것은 지구상에 살아가는 모두가 평화롭게 공존하는 법을 배우는 길이 될 것이며, 이것이 바로 이 시대에 필요한 하나됨의 실천입니다.

세상에는 해결되지 않은 문제와 고통이 많지만, 고통에서 벗어나는 첫 번째 단계는 자신과 타인에 대한 깊은 이해 와 내면의 평화에서 시작됩니다.

지금이야말로 우리가 중생에서 부처로 변화를 위한 행동을 취해야 할 때입니다. 내세나 10년 후나 내일로 미루면 미래는 오늘과 크게 다르지 않을 것입니다.

매 순간 우리는 건전한 행동을 선택하고 잘못된 생각이나 건강에 해로운 습관을 버리기 위해 최선을 다합니다. 하 나됨의 실천을 위해서 경건한 마음을 놓지 않고 모든 사물과 생명체에게 감사와 은혜의 마음을 전합니다. 이것이 쉽지 않은

리를 원만하게 아는 공부를 하며, 또는 심신을 원만하게 사용하는 공부를 지성으로 하여, 진급이 되고 은혜는 입을 지언정, 강급이 되고 해독은 입지 아니하기로써 일원의 위력을 얻도록까지 서원하고 일원의 체성에 합하도록까지 서원함.”

의식의 깨침을 얻어 모든 생명들과 하나의 가족으로 공존과 번영을 누리고 살아가는 것이 내가 현재 지금 여기서 부터 마음의 평화와 세상의 낙원을 이루어가는 첫 걸음이 될 것임을 잊지말고, 홀로있을 때나 다른 이들과 함께 있 을 때나 한결 같이 매 순간 이 일원상의 서원을 지켜 나가기를 염원합니다.

일원상서원문

추타원 박호진(Hojin Park, 본명: 박혜성) 교무는 1994년에 출가하였습니다. 원광대학교 원불교학과를 졸업하고, 미 주선학대학원대학교에 근무하며 선응용학과 석사를, 메릴랜드주 로욜라대학에서 영성상담학(Pastoral Counseling)으 로 박사학위를 받았습니다. 현재, 미주선학대학원에서 교수로 재직 중이며, 교육과 교화를 병행하고 있습니다. 저서로는 『어려움을 극복하는 마음의 힘』이 있습니다.

MIND STUDY in our daily life

The Foundation for Interfaith Dialogue

: Perspective on Buddhist and Won Buddhist Doctrine

1. Perspective on Buddhist Doctrine

Each and every people have their own faith whether religious or not. There are many different kinds of faith as diverse as society is. In this circumstance, how to live together with interfaith harmony in the world? We could observe many conflicts between one group and another due to different beliefs. The reason for the conflict between them is that they say only “Only my faith is true and others’ are faulty.” In doing so, they could not accept others’ faiths and they tend to fight with each other. As a result of different faiths, they will break the harmony of societies. So how can we bring peace in the conflicts between different religious groups? The situation is not much different from the time of Gautama Buddha in India, 2500 years ago. The conflicts involving the various religious faiths at that time were similar to those of this era. Although the faith groups were different in form, they were all searching for truth. Yet, they claimed that only their teachings were right and others were wrong. As a result, many adherents of their own sects denied the teachings of other sects.

I’d like to address this situation by referring you to the early Buddhist sutta, “Cankī Sutta

(Majjhima Nikāaya 95).” In this sutta, a 16-year-old Brahmin student named Kāpathika asked the Buddha what is true. The Buddha answered his question gradually and spontaneously, leading him to where faith comes from and what truth is. Buddha was guiding Kāpaṭhika from preservation of truth (the idea that ‘Only this is true, anything else is wrong.’) to the discovery of truth (the idea beyond ‘Only this is true, anything else is wrong.’) From this sutta, we can see that the Buddha’s teaching was step-by-step; he never once jumped over the steps.

If someone is standing on preservation of the truth, there can be five things (faith, approval, oral tradition, reasoned cogitation, and reflective acceptance of a view.) fully accepted by faith (and other four), yet it may be empty, hollow, and false; but there may be something else that is not fully accepted by faith (and other four), yet it may be factual, true, and unmistaken. Under these conditions, we could not say ‘Only this is true, anything else is wrong.’

If someone wants to discover the truth, he or she has to eliminate his or her own greed, hate and delusion. This way of purifying three toxic minds also starts from greed. For discovering truth, he or she has to recognize what greed is inside mind, which may be the thought of ‘Only this is true, anything else is wrong.’ Even though we remove this from each and every five conditions in the first step, there may still be something deep in our minds that is a sense of what’s mine. Therefore, we should eliminate the greed of claiming ‘this is mine.’

After purifying of three toxic minds by removing ‘I,’ we should go further to Faith, Visit, Paying Respect, Giving Ear, Hearing Dharma, Memorizing, Examination, A Reflective Acceptance of the Teaching, Zeal, Application, Scrutiny, Striving, Realizing, Penetrating and Discovery of Truth. After discovering of truth, Buddha led to the next level, the final arrival of the truth, through constant repetition, development, and cultivation. The beneficial way to arrive at the truth is to converse the preservation of the truth to the discovery of the truth.

“In that way, Master Gotama, there is the final arrival at truth; in that way one finally arrives at truth; in that way we recognize the final arrival at truth. But, Master Gotama, what is most helpful for the final arrival at truth? We ask Master Gotama about what is most helpful for the final arrival at truth.”

“1. Striving is most helpful for the final arrival at truth, Bhāradvāja. If one does not strive, one will not finally arrive at truth; but because one strives, one does finally arrive at truth. That is why striving is most helpful for the final arrival at truth.”

2. “Scrutiny,” 3. “Application,” 4. “Zeal,” 5. “A Reflective Acceptance of the Teaching,” 6.

“Examination,” 7. “Memorizing,” 8. “Hearing Dhamma,” 9. “Giving Ear,” 10. “Paying Respect,” 11. “Visiting,” 12. “Faith.”1)

Kāpaṭhika asked the Buddha that what truth is. He wanted to know how to access the truth. Instead of telling him what truth is Buddha explained to him that “Only this is true and anything else is wrong.” is not truth. In this sentence, we could recognize how we should treat other faith groups. Before telling us what truth is, he always thought about what is not truth. Ironically, that was the reason why Buddha’s Dhamma is truth.

2. Perspective on Won-Buddhist Doctrine

According to an outline of the teaching of Won Buddhism, the fundamental principles of all religions are essentially one. It means that the truth of all religions was one but differences have arisen due to the establishment of different systems and expedients over the ages. In place of the Buddha’s teaching that is the counterproposition of ‘Only this is true, anything else is wrong.’, Won Buddhism starts from the perspective that the fundamental principles of all religions are essentially one. Won Buddhism claims to be no different from the starting point of other religions. This may seem different from the Buddha’s teachings, but it means the same thing, just differently expressed.

Just as a Buddha is a person who has attained enlightenment, all truth is one, just different in name and manifestation. However, ordinary people do not know what the truth is and they follow names and forms. Therefore, the Buddha said to put down the stereotype of ‘Only this is true, anything else is wrong.’ In my opinion, the Buddha would have wanted to say that all religions are fundamentally the same and there is no difference at all.

The result of arriving at the truth is not only to know the truth, but to know that all the dharma under heaven revolve around one purpose: peace in the world.

Whether it is the truth or not, religious beliefs are very important because they transcend the actual lives of the believers. Almost all religions have tried to answer questions about transcending the realities of life, such as death, spirituality, the afterlife, and heaven, which is why it is so important to gain religious faith in the first place. What is the right way to gain religious faith?

I would like to bring the article of The Second Head Dharma Master of Won Buddhism,

Chŏngsan. Chŏngsan (1900-1962) had succeeded Sotaesan and changed the name of organization from “The Society for the Study of Buddha Dharma” to “Won Buddhism.”

Chŏngsan suggested that there are ‘Four Ways of Religious Faith,’2) the first is to choose and believe in truthful religion. As Buddha mentioned about what truth is in the “Cankī sutta,” religious truth is not to say ‘only my truth is right and other truths is wrong.’ The conflict between religions comes from ignorance of what religious truth is. The second way of faith is to have in both other-power and self-power. The Asian religions of Buddhism, Confucianism, and Taoism are centered on self- power rather than other-power. But if the object of faith is truthful, we should respect and pay reverence to the other-power in the Western religious cultures. The third is to have faith in and respect for in the source of one’s religions faith, great teacher and lineage of dharma. Furthermore, we should realize that doctrines of all religions are originated in the unitary fundamental truth. By doing so, one must have faith in and reverence for all buddhas and sages. The fourth one is to maintain one’s faith throughout eternity, no matter what difficulties arise.

3. Conclusion

In his conversations with other faith groups, Buddha always had shown warm-hearted attitude and given detailed answers to them. As a matter of fact, whether it was true or not, the young brahmin’s ego had already melted into the Buddha’s warm heart. The Buddha’s teachings are the highlight of interfaith harmony in the world. So how can we convey this warmth to other faith groups here and now? What kind of education is good for interfaith harmony in the world?

In comparing the Buddha’s teachings and Won Buddhism, I realized that Won Buddhism is to complete the Buddha’s teachings and to reveal the true meaning of the Buddha.

The answer to the first question is to realize that the fundamental principle of all religions in the world is essentially one. Nowadays, there are many religious conflicts because of ‘Only this is true, anything else is wrong.’ However, if we realize that all religions are originated in the unitary fundamental truth, there is no need to fight.

To answer the second question, we need to know the right way of faith. There are four right ways of religious faith; they are to choose and believe in the truthful religion, to have faith in both other-power and self-power, to keep one’s faith and pay reverence to the source of one’s religious

faith (namely, to sincerely respect and revere the great teachers who elucidated the religious tenets, the doctrine, and the lineage of the dharma) and lastly, to adhere to this faith for eternity, no matter what difficulties arise. One’s faith and devotion should be constant throughout the eternal life without regressing or terminating in any kind of adverse conditions.

There are a lot of conflicts between religions these days, with the belief that ‘Only this is true, anything else is wrong.’ When you realize that all religions are rooted in unitary fundamental truth, however, there’s no need to fight. Accordingly, we could bring world peace by recognizing Master Chŏngsan’s ‘Unity of the source of all principles,’ which means that all religions in this world have a single principle within a single boundary.3)

1) Majjhima Nikāya, The Middle Length discourses of the Buddha, Translated by Bhikkhu Bodhi, Buddhist Publication Society, Kandy, Sri Lanka, 1995, p.785

2) The Dharma Discourses of Cardinal Master Chǒngsan, Translated the Committee for the Authorized Translations of Won-Buddhist Scriptures, Wonkwang publishing Co., Iksan-si, Republic of Korea, First Edition April 2016. P. 12 3) Ibid., p.383

Rev. Hyun, Sang-ho (Jeik) majored in Won Buddhist studies at Wonkwang University in 2004 (B.A.) and after completing the master’s degree at Won Buddhist Graduate University in 2015, he served as an assistant Won Buddhist clergy at Won Buddhist Bangbae temple in Seoul, Korea.He then worked at the Won Buddhist International Training Center in Hawaii, U.S.A. He got a fellowship of Asia Pacific Leadership Program at East West Center in Honolulu, Hawaii (2011–2012). He served as a waterworks construction manager at Future for the African Children (NGO), in Eswatini, Africa in 2013. He served as Youth meditation Instructor at Won Buddhist Delhi Temple in Delhi, India (2014-2017). He earned a M.Phil. degree of Buddhist Studies & Civilization from Gautam Buddha University, Greater Noida, Uttar Pradesh, India and Ph. D degree from the same University in 2021. He is currently serving at Won-Buddhist International Training Center in Hawaii.

※ PUBLICATIONS :

- At the Lotus Feet of the Buddha: Venerable Dr. Acharya Buddharakkhita, Maha Bodhi Society Buddha Vachana Trust, Bengaluru, India (2014)

- The Buddha in the Lotus Sura and Won Buddhism, Eastern Book Linkers, Delhi, India (2021)

종교간 대화를 위한 토대 : 불교와 원불교 교리에 대한 관점 글. 현상호

1. 불교적 관점

종교가 있든 없든 모든 사람들은 각자의 믿음을 가지고 있습니다. 사회가 다양한 만큼 다양한 종류의 신앙이 있습

니다. 이런 상황에서 어떻게 다른 신앙인들과 함께 조화롭게 세상을 살아갈 수 있을까요? 우리는 서로 다른 믿음으 로 인하여 한 집단과 다른 집단 사이에 많은 갈등을 관찰할 수 있습니다. 그 갈등의 이유는 내 믿음만 옳고 남들은 모두 거짓이라고 하기 때문입니다. 그러면서 서로의 믿음을 받아들이지 못하고 싸우고 있습니다. 다른 믿음의 결 과로 그들은 사회의 조화를 깨뜨릴 것입니다. 그렇다면 타 종교집단의 갈등에서 어떻게 평화를 가지고 올 수 있을 까요? 그 상황은 지금으로부터 2500년 전 고타마 부처님 시대와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그 시절에도 다양한 종교 에 대한 상황의 유사성이 이 시대와 비슷하였습니다. 당시에는 비록 형태는 다른 종교들이었지만, 그들도 참된 것 이 무엇인지를 찾는 것은 같았습니다. 그들은 자신의 가르침만이 옳고 다른 사람들은 잘못이라고 주장했습니다. 그 결과 자기 종파의 많은 신자들은 다른 종파의 가르침을 부인하고 있었습니다.

저는 이 상황에 대하여 초기불교 경전인 맛지마 니까야의 95번째 경인 짱끼 경을 소개하고자 합니다. 이 경에서 카 파티카(Kāpaṭhika )라고 하는 16세의 바라문교 학생이 붓다에게 참된 것이 무엇인지 물었습니다. 붓다는 그의 질

문에 점진적이고 자발적으로 대답했고, 그에게 믿음이 어디서 오는지, 진리가 무엇인지에 대해 인도했습니다. 붓

다는 카파티카를 진리의 보존[‘오직 이것만이 참이고, 다른 것은 거짓이다’라는 관념]에서 진리의 발견[‘이것만이 참이고, 다른 것은 거짓이다.’가 아닌 관념]으로 인도하고 있었습니다. 이 경을 통해 우리는 붓다의 가르침이 단계 적임을 알 수 있습니다. 그는 단 한 번도 단계를 뛰어넘지 않았습니다.

만일 누군가가 진리의 보존 위에 서 있다면, 믿음으로 완전히 받아들여진 다섯 가지가 있을 수 있습니다.[신앙, 승 인, 구전, 합리적 생각, 견해의 반성적 수용] 그러나 그것들은 공허하고 텅 비었으며 거짓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믿 음[승인, 구전, 합리적 생각, 견해의 반성적 수용]으로 완전히 받아들여지지 않는 다른 것이 있을 수 있습니다. 그러 나 그것은 사실에 입각한 진실이고 틀림이 없을 수 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우리는 ‘이것만 사실이고 다른 것은 잘 못됐다’라고 말할 수 없습니다.

만일 누군가가 진리를 발견하기를 원한다면, 그는 자신의 탐심, 진심 그리고 치심을 제거해야만 합니다. 이 세 가지 독한 마음을 정화하는 방법도 탐욕에서 시작합니다. 진리를 발견하기 위해서는 마음 속에 있는 탐욕이 무엇인지를 인식해야 합니다. 그것은 ‘이것만 맞고, 다른 건 다 틀렸다’는 생각일 수도 있습니다. 우리가 5가지 조건[신앙, 승인, 구전, 합리적 생각, 견해의 반성적 수용]마다 탐욕을 제거한다고 하더라도 우리의 깊은 마음 속에는 내 것이라는 것이 남아있을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나의 것인 욕심을 없애야 합니다.

‘나’를 제거하여 세 가지 독한 마음을 정화한 후, 우리는 믿음, 방문, 존중하기, 귀 기울이기, 법문듣기, 기억, 시험, 가르침의 반성적 수용, 열정, 적용, 정밀조사, 노력, 실현, 통찰 그리고 진리의 발견으로 가야 합니다.

부처님은 진리를 발견한 후 진리를 체득하기 위해 끊임없는 반복과 발전, 그리고 수양을 통해 진리의 최종 도래라 는 한 차원 높은 단계로 이끌었습니다. 진리에 도달하는 유익한 방법은[진리의 보존 위에 서 있는 것에서] 진리를 발견하는 방법으로 변환하는 것입니다.

“그런 식으로 고타마 스승님, 진리에 최종적으로 도달합니다. 그렇게 해서 마침내 진리에 도달합니다. 그런 식으로 우리는 진리에 대한 최종 도착을 인식합니다. 그러나 고타마 스승이시여, 무엇이 최종적으로 진리에 도달하기 위한 가장 유익한 방법입니까? 우리는 고타마 스승님께 최종적인 진리에 도달하기 위한 가장 유익한 방법을 묻습니다.” “1. 노력은 진리에 최종적으로 도달하는 데 가장 도움이 됩니다, 바라드바자여.; 노력하지 않는 자는 마침내 진리 에 도달할 수 없습니다. 하지만 사람이 노력하기 때문에 마침내 진리에 도달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노력은 진리에 최종적으로 도달하는 데 가장 도움이 됩니다.”

2. “정밀한 조사”, 3. “적용”, 4. “열정”, 5. “가르침의 반성적 수용”, 6. “시험”, 7. “기억”, 8. “법문듣기”, 9. “귀 기 울이기”, 10. “존중하기”, 11. “방문하기”, 12. “믿음”.

카파티카는 부처님에게 진리가 무엇인지 물었습니다. 그는 진리에 접근하는 방법을 알고 싶었습니다. 진리가 무엇인지 대신에 부처님은 그에게

2. 원불교적 관점

원불교의 ‘교법의 총설’에 따르면, 모든 종교의 기본 원칙은 본질적으 로 하나입니다. 모든 종교의 진리는 하나였으나 서로 다른 제도와 방 편을 세운지 오래되어 차이가 생겼다는 말입니다. ‘오직 이것 만이 옳 고 다른 것은 거짓이다’의 반대명제인 부처님의 가르침을 대신하여 원 불교는 모든 종교의 기본 원칙은 본질적으로 하나라는 것에서부터 시

작합니다. 원불교는 타종교의 출발점과 차이가 없다고 주장합니다. 이

것은 부처님의 가르침과 다른 것 같지만 그것은 표현만 다를 뿐 같은 의미입니다. 부처님은 깨달음을 얻은 사람인 것처럼 모든 진리는 하나

이고 이름과 나타남이 다른 것입니다. 그러나 범부들은 진리가 무엇인

도달한 결과는 진리를 알게 될 뿐만 아니라 천하의 모든 법이 세상의 평화라는 하나의 목적으로 돌아가게 된다는 것을 아 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그것이 진리이건 아니건 종교적 믿음은 신자들의 실제 삶을 초월하기 때문에 매우 중요합니다. 거의 모든 종교는 죽음, 영성, 내생, 천국과 같은 삶의 현실을 초월하는 것에 대한 질문에 답하려고 노력했습니다. 그러므로 처음부터

종교적 믿음을 얻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종교적 믿음을 얻는 올바른 방법은 무엇일까요?

원불교 제2대 종법사이신 정산 종사의 글을 모셔오고자 합니다. 정산(1900-1962) 종사는 소태산의 정신을 계승하

여 단체명을 ‘불법연구회’에서 ‘원불교’로 개명한 분입니다. 정산은 ‘신앙의 네 가지 도’에 대해 말씀했습니다. 첫 번 째는 진리적 종교를 선택하고 믿는 것입니다. 부처님께서 ‘짱끼경’에서 진리가 무엇인지 말씀하셨듯이, 종교적 진 리는 ‘나의 진리만이 옳고 다른 진리는 그르다’고 말하는 것이 아닙니다. 종교 간의 갈등은 종교적 진리가 무엇인지 모르는 무지에서 옵니다. 신앙의 두 번째 길은 타력과 자력을 동시에 갖는 것입니다. 동아시아의 종교인 불교, 유 교, 도교는 타력보다는 자력에 중심을 두고 있지만, 서구 종교문화에서는 신앙의 대상이 진실하다면 타력을 존중 하고 공경해야 하는 것입니다. 세 번째는 자신의 종교적 신앙의 근원, 위대한 스승과 법통에 대한 믿음과 존경입니 다. 나아가 모든 종교의 교리는 하나의 근본 진리에서 비롯된다는 사실을 깨달아야 합니다. 그렇게 함으로써 모든 부처님과 성현에 대한 믿음과 공경을 가져야 합니다. 네 번째는 어떤 어려운 일이 있어도 영생동안 이 믿음을 견지 하는 것입니다.

3. 결론

종교 단체들과의 대화에 대하여 부처님은 항상 따뜻한 마음으로 그에게 자세한 답변을 해 주었습니다. 사실, 정산 종사

그것이 사실이든 아니든 젊은 바라문의 에고는 이미 부처님의 따뜻한 마음에 녹아 내렸습니다. 부처님의 가르침은 세계 종교간 조화의 하이라이트입니다. 그렇다면 우리는 지금 여기에서 다른 종교 단체에게 어떻게 이 따뜻한 마 음을 전할 수 있을까요? 그리고 세상의 종교간 화합에는 어떤 교육이 좋을까요?

부처님의 가르침과 원불교를 비교하면서 나는 원불교가 부처님의 가르침을 완성하고 부처님의 참 뜻을 드러내는 것임을 깨달았습니다.

첫 번째 질문의 대답은 세상의 모든 종교의 근본 원리는 본질적으로 하나라는 것을 깨닫는 것입니다. 지금 시대는 ‘이것만 옳고 다른 것은 옳지 않다’는 이유로 종교적 갈등이 많습니다. 그러나 모든 종교가 하나의 근본 진리에서

비롯된 것임을 깨달으면 싸울 필요가 없습니다.

두 번째 질문의 대답은 신앙의 올바른 길을 알아야 합니다. 종교적 신앙에는 네 가지 올바른 방법이 있습니다. ‘진

리적 종교를 고르고 믿어라, 자력과 타력을 동시에 가져라, 자신의 종교적 신앙의 근원‧위대한 스승과 법통에 대 한 믿음과 존경심을 가져라, 어떤 어려운 일이 있어도 영생동안 이 믿음을 견지해라.’

요즘 ‘이것만 옳고 다른 것은

근본 진리에 뿌리를 두고 있음을 깨달으면 싸울 필요가 없습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이 세상의 모든 종교가 하나의

경계 안에 하나의 원리를 가지고 있다는 정산 종사의 ‘동원도리’를 깨달아 앎으로써 세계 평화를 가져올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현상호(Hyun, Sang-ho, 본명: 현재익) 교무는 원광대학교에서 원불교학을 전공하였고, 원불교대학원대학교에

서 석사 후 출가하여 서울 방배교당 부교무로 근무하였습니다. 이후 미국 하와이 원불교 국제훈련원에서 근무하던 중 하와이 동서문화센터 아시아태평양 리더십 프로그램을 수료(2011 ~ 2012) 후 아프리카 에스와티니 까풍아의 ‘아프리카 어린이를 돕는 모임’에서 상수도 공사 매니저 역할을 하였습니다. 그 후 원불교 인도 델리교당에서 어린 이‧청소년을 대상으로 명상 지도를 하면서 인도에 있는 고타마 붓다 주립대학 철학 준 박사(M.phil) 학위와 같은 대학 철학 박사(Ph. D) 학위를 받았습니다. 현재는 하와이 원불교 국제훈련원에서 근무하고 있습니다.

원광대학교

마|음|인|문|학|연|구|소

The Institute of Mind Humanities

Empathy and Healing in Mind Humanities

공감과 치유의 마음인문학

Mind Humanities proposes a revolution in the mind, in which each individual's mind becomes the protagonist driving change within themselves and in the world.

For this purpose, Mind Humanities aims to integrate the study of the mind into the inner self and further seeks to apply and lead its use in everyday life and throughout society.

마음인문학은 각자의 마음이 주체가 되어 자신과 세상의 변화를 주도하는 마음혁명을 제시 합니다. 마음인문학은 이를 위해 마음공부가

활용되는 방안을 모색하고 선도하고자 합니다.

원광대학교 마음인문학 연구소

The Institute of Mind Humanities, Wonkwang University 3rd Floor, Academic Building, Wonkwang University 460 Iksan-daero, Iksan-si, Jeonbuk-do 54538 S. Korea

T. 063-850-7063 mind7063@wku.ac.kr www.mind.ac.kr

The Institute's YouTube About Institute (Korean)

WDU 원광디지털대학교 T. 02-1588-2854 (South Korea) www.wdu.ac.kr

Department of WonBuddhism

The Department of Won Buddhism fosters the primary role of modernizing, living, and popularizing Won Buddhist ideas and ideologies, cultivating Won Buddhist experts in various fields and human resources who can activate general society and edification activities. The department implements educational strategies such as the practical application of Won Buddhist doctrine, interdisciplinary diversification, and comprehensive application, and trains mind study instructors in Korea.

“Fosteringacompassionateandjoyfulworldthroughmindstudy”

WDU Brochure
WDU YouTube (Korean)
WDU YouTube (English)

The True Nature of All Things

From the Perspective of Quantum Mechanics and Enlightenment

“What lies beyond the universe?,” “How did all things come into existence?,” “What is the fundamental root of our existence?” These are fundamental questions asked by both science and religion.

In modern physics, quantum mechanics delves into the smallest components of matter by breaking it down to explore the fundamentals of all things. All matter in the universe, when divided and divided again, reaches the smallest unit that defines its properties. This smallest unit is called a ‘molecule,’ and there are as many types of molecules as there are types of matter in the universe.

When this molecule is further divided, the properties of the matter are lost entirely, and the

small grains that remain are called ‘atoms.’ There are over 100 kinds of atoms in the world, and all matter is made up of these atoms. I, and everyone else, are also composed of countless atoms. These atoms have a nucleus in the center, composed of protons and neutrons, around which electrons revolve. The number of these protons, neutrons, and electrons gives rise to the different types of atoms. For example, an oxygen atom consists of eight protons, neutrons, and electrons each.

The size of an atom is much smaller than the thickness of a hair, and the nucleus at its center, as well as the electrons revolving around it, are much smaller than the atom itself. To illustrate, if an atom were the size of a baseball field, its nucleus would be the size of a 1 cm bead at the center of the field, with electrons revolving around outside the field. This means the space between the nucleus and the electrons is empty, making all matter, including our bodies and everything around us, nearly empty.

Thus, all things in the universe consist of over 100 types of atoms, which in turn are made up of nuclei of protons and neutrons with electrons revolving around them, and the inside of the atom is nearly empty. Therefore, if we had glasses that could see inside these atoms, everything in the universe would appear almost as empty space. In fact, all of us, including myself, are nearly

empty voids.

Surprisingly, matter composed of these atoms is no different from energy. Thus, matter can transform into energy, or energy can be made into matter. For example, the massive energy from the Sun is due to nuclear fusion within it. As the hydrogen nuclei fuse into helium nuclei, they release tremendous energy proportional to the reduced mass. The enormous energy of a uranium nuclear bomb is also due to nuclear fission. The nuclei of heavy uranium atoms split into lighter nuclei, releasing energy proportional to the reduced mass. Thus, matter has not only solid properties but also properties as energy. My body, too, is a massive bundle of energy.

Earlier, I mentioned that if we wore glasses to see inside atoms, the universe would appear almost as empty void. An interesting fact is that even in a vacuum where atoms or elementary particles have been entirely removed, countless elementary particles repeatedly arise and disappear. In a vacuum, countless particles and antiparticles form pairs, collide, and disappear, repeating endlessly. Since matter and energy are not different, this1) can also be described as an energy flux that arises and dissipates. Even if all the air is removed from this space, making it seem empty, countless particles, antiparticles, or vacuum energy would arise and disappear endlessly. We just can’t see it.

Another surprising property of the subatomic world is that particles can also exhibit wave properties. When an electron, typically thought of as a particle, is fired through two narrow slits, a wave-like interference pattern appears on a screen. If an electron were only a particle, it would show just two patterns on the screen due to being fired through two slits. However, a wave-like pattern with multiple stripes appears, demonstrating the electron’s wave properties. This wavelike interference pattern also appears with protons, neutrons, atoms, and even much larger molecules, proving that matter possesses wave properties. From a microscopic perspective, even my body, standing in place, has wave characteristics.

Modern physics has given us a new perspective on the world, which we once saw as purely material. It has revealed that the material world is almost as empty as a void, that a vacuum is dynamic and active, and that matter has not only solid properties but also properties of energy and waves. Additionally, modern physics has revealed “quantum entanglement,” a phenomenon where two particles remain connected despite being far apart. If we had glasses that could see these facts, how would

everything in the world appear? I imagine all things would look like interconnected wave energy.

Wave energy as revealed in modern physics is similar to the concept of pneuma (qi). The Head Dharma Master Chǒngsan said that pneuma, as the life-force of all things, is the power that animates them. However, this pneuma is nondual as unified with the numinosity. Modern physics has not yet revealed this fact, but pneuma contains numinous awareness and numinous awareness contains pneuma which means pneuma is numinous awareness and numinous awareness is pneuma. Here, numinosity, as the original essence of all things, is the nature that is eternal and free from cessation. Numinosity and pneuma are not two but what becomes the original essence is ‘numinosity.’ This numinosity is the void and calm and numinous awareness which is perfect and complete, utterly impartial and selfless. That is, our original mind that knows numinously in the midst of voidness and calmness.2)

In the “Secrets on Cultivating the Mind,” it is stated that this mind of void and numinous awareness is the mind of brilliance of all buddhas of the three time-periods and is that enlightened nature which is the original source of all sentient beings. The void, calm, and numinous awareness is ‘the mind-seal of all the buddhas and sages, and the original nature of all sentient beings.’3)

This numinosity is unified with pneuma and is nondual. The place where numinosity and pneuma are unified can be considered the true nature of all things. The true nature of all things in the universe is one numinous energy. And considering the facts revealed by modern physics, we can see that this numinous energy is not separate from all things manifested as phenomena.

Modern physics states that elementary particles have both energy and wave properties. This suggests that wave energy can clump into particles, forming atoms, molecules, and all things. The relationship between matter and pneuma is similar. Our bodies and all things are formed by the clumping of one numinous energy, making all things nondual from this energy. The realm where all things are unified by “one numinous energy” is before us, yet we can’t see it without the right glasses.

What kind of glasses can show this realm, and how can we obtain them?

Those glasses are the glasses of the mind. The numinous energy is nondual from numinosity, or the void, calm, and numinous awareness. Therefore, by restoring our true nature, the void, calm, and numinous awareness, we can put on the glasses of the mind. The way to restore this nature is through Sǒn (Zen, 禪). In Verse 12, Practice of the Scripture of the Founding Master, the Founding Master Sotaesan said, “The many enlightened masters of the Sǒn school have opened myriads of stratagems and gateways to Sǒn. But if we were to combine them all into a single phrase, it would be: Bring an end to deluded thoughts and cultivate the true nature, so that the void, calm, and numinous awareness will appear in front of you, which is Sǒn.” This describes our mind being in a state of ever-alertness amidst calmness and ever-calmness amidst alertness.

Thus, if we have the right faith in the true nature of all things, including ourselves, and practice the Timeless Sǒn and Placeless Sǒn, we will end our deluded thoughts, restore our true nature, and realize that all things are beings united by one numinous energy and are everywhere Buddha images. We’ll also practice Buddha offerings knowing the principle that these images spiritually respond to bestow blessings or harm. Additionally, since numinosity and pneuma are nondual in unity, restoring this nature makes us one with the numinous energy, making us one body with Heaven and Earth.

In Verse 11, Buddhahood of the Scripture of the Founding Master, the Founding Master Sotaesan said, “No matter how great the household, there is none greater than the one who has assimilated heaven’s livelihood. No matter how great the person, there is none greater than the one who has assimilated heaven’s energy.” To be one with the numinous energy of Heaven and Earth is to become a household that has assimilated heaven’s livelihood, and a person who has assimilated heaven’s energy.

1) Particles and antiparticles arise at the same time and then collide and disappear endlessly

2) Verse 13, 14, Foundational Principles, The Dharma Discourses of Cardinal Master Chŏngsan

3) Section 16, Secrets on Cultivating the Mind, The Essential Scriptures of the Buddha and Patriarchs

Rev. Jeon, Heung Jin (Heung Bae) graduated from the Department of Physics at KAIST (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in 1997. He was ordained as a minister of Won Buddhism in 2000. He worked as a professor in the Department of Won Buddhism at Youngsan University of Son Studies for 15 years. He received his Ph.D. on the subject of “A Comparative Study on the Viewpoints of Truth in Won-Buddhism and Modern Physics.” He worked in Mandeoksan Retreat Center and Yeouido Temple and currently he is serving in Daeseong Temple.

만물의 참모습

양자역학과 깨달음의 관점으로 보는 글. 전흥진

“우주 저 멀리에는 무엇이 있을까?”, “만물(萬物)은 어떻게 존재하게 되었을까?”, “우리 존재의 근본 뿌리는 무엇 일까?”. 이러한 질문들은 과학과 종교에서 던지는 근원적인 질문입니다. 현대물리학에서 양자역학은 만물의 근본 을 탐구하기 위해 물질을 쪼개고 쪼개어 아주 작은 물질의 구성 요소를 탐구하였습니다. 우주에서 존재하는 모든 물질을 작게 나누고 또 나누면 그 물질의 특성을 나타내는 최소 단위에 이릅니다. 이 최소 단위를 ‘분자’라고 부르

는데 이 분자의 종류는 우주 내에 있는 물질의 종류만큼 많습니다.

이 분자를 또 나누면 물질의 특성은 완전히 없어지는데, 분자를 나누어 얻어지는 작은 알맹이를 ‘원자’라고 합니다.

세상에 있는 원자의 종류는 100여 종이 되는데, 모든 물질은 이러한 원자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저뿐만 아니라 다 른 모든 분도 수많은 원자가 뭉쳐서 이루어진 존재입니다. 이러한 원자는 중심에 양성자와 중성자로 구성된 원자 핵이 있고, 이 원자핵 주위를 전자가 돌고 있습니다. 원자가 100여 종이 되는 것은 이러한 양성자, 중성자, 전자의

개수가 다르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산소 원자는 양성자, 중성자, 전자가 각각 8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원자의 크기는 머리카락 굵기보다 훨씬 작고, 중심의 원자핵과 그 주위를 도는 전자는 원자보다 훨씬 작습니다. 이렇게 아주 작은 원자의 구조를 비유하여 설명하면, 원자를 야구장 크기로 볼 때, 원자핵은 야구장 중앙에 있는 1cm 정도의 구슬 크기라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 원자핵보다 작은 전자는 야구장 바깥을 돌고 있다고 설명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원자핵과 전자 사이의 공간은 비어 있기 때문에 우리 몸과 우리 주위의 모든 물질은 거의 비어 있는 것입니다. 우주 만물은 모두 다 100여 종의 원자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원자들은 다시 양성자와 중성자 로 구성된 원자핵과 그 주위를 도는 전자로 구성되었으며, 원자의 속은 거의 텅 비어 있습니다. 그러므로 우리가 이

러한 원자의 속을 볼 수 있는 안경을 쓰고 우주 만물을 바라본다면, 우주 만물은 모두 다 거의 비어 있는 허공으로 보일 것입니다. 실제로 저를 포함한 우리 모두는 거의 비어 있는 허공입니다.

그런데 이러한 원자로 구성된 물질은 놀랍게도 에너지와 다르지 않습니다. 그래서 물질이 에너지가 될 수도 있고, 또는 에너지를 물질로도 만들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태양에서 나오는 거대한 에너지는 태양 내부에서 일어나는 핵융합 때문입니다. 수소 원자핵이 헬륨 원자핵으로 융합하면서 줄어든 질량에 비례하여 엄청난 에너지가 나오는 것입니다. 또 우라늄 핵폭탄의 거대한 에너지는 핵분열 때문입니다. 무거운 우라늄 원자핵이 가벼운 원자핵들로 분열하면서 줄어든 질량에 비례하여 엄청난 에너지가 나오는 것입니다. 이처럼 물질은 단단한 물질적 특성만 아니 라 에너지로써 특성도 있습니다. 저의 몸도 엄청난 에너지 덩어리라 할 수 있겠습니다.

앞에서 원자 구조를 설명할 때 우리가 원자의 속을 볼 수 있는 안경을 쓰고 우주 만물을 바라본다면 우주 만물은 거의 비어 있는 허공으로 보일 것이라 하였습니다. 재미있는 사실은 원자나 소립자 등이 완전히 제거된 진공의 상 태에서도 무수한 소립자가 순간적으로 생겨났다가 사라지기를 반복한다는 것입니다. 진공 상태에서는 무수한 입 자와 반입자가 동시에 쌍으로 생겨났다가 둘은 곧 충돌하여 없어지기를 한없이 반복합니다. 물질과 에너지가 다르 지 않으므로 이는1) 에너지가 출몰(出沒)한다고 표현할 수도 있습니다. 지금 이 공간에 있는 공기를 다 제거하면 아 무 것도 없을 것 같지만, 그 진공 속에도 무수한 입자와 반입자 혹은 진공 에너지가 한없이 생겨났다 사라질 것입 니다. 다만 우리가 그것을 보지 못할 뿐입니다.

원자 이하의 소립자 세계에서 놀라운 특성 중 다른 하나는 입자가 파동의 특성도 지닌다는 것입니다. 입자라고 알 고 있던 전자를 두 개의 좁은 틈 곧, 이중 슬릿(Double Slit)으로 발사를 하면 스크린에 파동과 같은 간섭무늬가 나 타납니다. 만약 전자가 입자의 특성만 있다면 두 개의 틈으로 발사했으니 스크린에 두 개의 무늬만 나타나야 합니 다. 그런데 파동과 같이 여러 개의 줄무늬가 있는 간섭무늬가 나타납니다. 이는 전자가 파동의 특성을 가진다는 것 을 증명합니다. 그런데 전자뿐만 아니라 양성자, 중성자, 원자 심지어 그보다 훨씬 더 큰 분자에서도 이러한 간섭무 늬가 나타납니다. 이는 물질이 파동의 특성을 가진다는 것을 증명하는 것입니다. 제자리에 서 있는 저의 몸도 미세 한 관점으로 보면 파동의 특성이 있습니다.

현대물리학은 과거에 우리가 단순한 물질세계라고 생각했던 이 세계에 대해 새로운 시각을 갖게 했습니다. 현대물 리학은 물질세계가 거의 허공처럼 비어 있다는 사실을 밝혔고, 진공이 고요한 상태가 아니라 역동적이고 활동적인

상태라는 것을 밝혔으며, 물질이 단단한 입자로써 특성만 있는 것이 아니라 에너지의 특성과 파동의 특성도 있다 는 사실을 밝혔습니다. 그리고 앞에서 설명하진 않았지만 두 입자가 우주 멀리 떨어져 있어도 서로 연결되어 있는 현상인 ‘양자 얽힘(Quantum Entanglement)’에 대해서도 밝혔습니다. 현대물리학이 밝혀낸 이러한 사실들을 볼 수 있는 안경이 있다면, 그 안경을 쓰고 바라보는 세상 만물은 어떻게 보일까요? 저는 세상의 만물이 상호 연결된 파동에너지의 형태로 보이지 않을까 상상해 보았습니다.

현대물리학에서 밝힌 파동에너지는 기(氣)의 개념과 유사합니다. 정산 종사는 만유의 생기로써 그 개체를 생동 케 하는 힘을 기(氣)라고 하셨습니다. 그런데 이러한 기(氣)는 영(靈)과 합일하여 둘이 아닙니다. 현대물리학에서 는 이러한 사실을 아직 밝히지 못했지만, 기(氣)가 영지(靈知)를 머금고 영지가 기를 머금어, 기가 곧 영지요 영지 가 곧 기(氣)인 것입니다. 여기서 영(靈)은 만유의 본체로서 영원불멸한 성품을 말합니다. 영(靈)과 기(氣)가 둘이 아니나, 본체가 되는 것은 영(靈)입니다. 이 영(靈)은 원만구족하고 지공무사한 공적영지(空寂靈知)입니다. 공적한

가운데 신령하게 아는 우리의 본래 마음인 것입니다.2)

『수심결』에서는 모든 법이 다 공한 가운데 신령하게 아는 이 마음이 “삼세 모든 부처님이 가지신 밝은 마음이며

또 일체중생의 본원 각성(本源覺性)”이라 했습니다. 공적영지(空寂靈知)는 ‘제불제성의 심인이요, 일체중생의 본 성’인 것입니다.3) 이러한 공적영지의 영(靈)은 기(氣)와 합일하여 둘이 아닙니다. 영(靈)과 기(氣)가 합일되어 있는 자리는 만물의 참모습이라 할 수 있습니다. 우주 삼라만상의 참모습은 신령한 한 기운인 것입니다. 그리고 현대물 리학에서 밝힌 사실들을 참고한다면 우리는 이 신령한 한 기운이 만물의 참모습인 동시에, 현상으로 나타나 있는

만물과 둘이 아니라는 사실을 알 수 있습니다.

현대물리학에서는 물질을 쪼개고 쪼개어 나타난 소립자가 에너지의 특성과 파동의 특성을 함께 지닌다고 합니다. 이는 파동에너지가 입자화되어 그것이 뭉쳐 원자, 분자, 만물이 되었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물질과 기운의 관계도 이와 마찬가지로 볼 수 있습니다. 우리 몸은 물론 모든 만물은 신령한 한 기운이 뭉쳐 이루어졌습니다. 우리 모두 신령한 한 기운이 뭉쳐진 존재인 것입니다. 이렇게 만물은 각각 ‘신령한 한 기운’이 뭉쳐진 존재로서 만물과 ‘신령 한 한 기운’은 둘이 아닙니다. 우리는 이러한 경지가 우리 앞에 펼쳐져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것을 볼 수 있는 안경

이 없어 보지를 못할 뿐입니다.

그러한 경지를 볼 수 있는 안경은 어떤 안경이며, 어떻게 하면 그 안경을 구할 수 있을까요?

그 안경은 마음의 안경입니다. 신령한 한 기운은 영(靈) 곧, 공적영지(空寂靈知)와 둘이 아닙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우리 본성인 공적영지를 회복함으로써 그 마음의 안경을 쓸 수 있습니다. 공적영지를 회복하는 방법은 선(禪)을 하 는 것입니다. 소태산 대종사는『대종경』수행품 12장에서 “선종(禪宗)의 많은 조사가 선(禪)에 대한 천만 방편과 천만문로를 열어 놓았으나, 한 말로 통합하여 말하자면 망념을 쉬고 진성을 길러서 오직 공적 영지(空寂靈知)가 앞 에 나타나게 하자는 것이 선(禪)”이라고 하셨습니다. 이는 우리 마음이 적적성성(寂寂惺惺)하고 성성적적(惺惺寂 寂)한 상태를 말합니다. 그러므로 우리가 우리를 포함한 만물의 참모습에 대한 바른 믿음을 가지고, 무시선과 무처 선으로 정진하여 망념을 쉬고 본성인 공적영지를 회복하면 만물이 각각 ‘신령한 한 기운’이 뭉쳐진 존재로서 처처 불상임을 알게 될 것입니다. 그리고 그러한 처처불상이 신령하게 감응하여, 죄를 주고 복을 주는 이치를 알아서 사 사불공하게 될 것입니다. 그뿐만이 아니라 영(靈)과 기(氣)는 합일하여 둘이 아니므로 공적영지를 회복하면 신령한

한 기운과 하나가 됩니다. 천지영기와 하나되어 천지와 내가 한 몸이 되는 것입니다.

소태산 대종사는『대종경』불지품 11장에서 “아무리 큰 살림이라도 하늘 살림과 합산한 살림 같이 큰 살림이 없 고, 아무리 큰 사람이라도 하늘 기운과 합한 사람같이 큰 사람이 없다.”고 하셨습니다. 천지영기(天地靈氣)와 하나 되는 것은 하늘 살림과 합산한 살림이 되며, 하늘 기운과 합한 사람이 되는 것입니다.

1)입자와반입자가동시에생겼다가충돌하여없어지기를한없이반복하는

2)『정산종사법어』원리편13장,14장

3)불조요경『수심결』16장

진산 전흥진(본명: 전흥배) 교무는 1997년에 한국과학기술원(KAIST)에서 물리학과를 졸업하였습니다. 이후 2000년에

원불교로 출가하였습니다. 영산선학대학교에서 15년 동안 원불교학과 교수로 봉직하였습니다. 원광대학교에서 “원불

교와 현대물리학의 진리관 비교연구(A Comparative Study on The Viewpoints of Truth in Won-Buddhism and Modern Physics)”를 주제로 원불교학 박사학위를 받았습니다. 그는 만덕산훈련원과 여의도교당에 근무하였고, 현재는

원불교 대성교당에서 봉직하고 있습니다.

The birds they sang

At the break of day

Start again

I heard them say

Don’t dwell on what has passed away

Or what is yet to be 새들은 노래한다 동이 틀 때 또 다시 노래한다

Leonard Cohen, Anthem (1992)

Mind study in the digital age (1)

In this digital age, which is enjoying tremendous benefits through the revolutionary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I think you have heard the term 4th industrial revolution at least once or watched related news or videos. In the world of Go, where it was previously thought that machines could not defeat humans no matter how advanced science and technology was, AlphaGo, an artificial intelligence, appeared and defeated the world's best masters who were called ‘almost God,’ and Navigation, which provides the fastest and safest driving information by analyzing a huge amount of driving information big data of all vehicles on the planet in real time, has become a reality, and, with the development of biotechnology, robotics, and 3D printers, parts of the body such as arms and legs can also be customized and replaced with machines, and I think you've heard various kinds of news, such as people falling in love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or getting married

In general, the industrial revolution is defined as a phenomenon in which large social and economic changes occur due to the emergence of new technologies and disruptive technological innovations, and there have been three great industrial revolutions in human history so far, and currently, the 3rd industrial revolution is underway, an era of digital revolution

involving personal computers, the Internet, and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However, it is said that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 new revolution, will soon arrive due to another great technological innovation.

Before this 4th industrial revolution has come, experts in various fields are making various predictions, and there are also various concerns, and to help us understand its contents and characteristics, let’s imagine what the future home life will look like.

When you wake up to the sound of an artificial intelligence morning alarm that tells you it's time to wake up with a familiar voice, the personal assistant robot next to you tells you what the weather is like today, the current temperature, and informs you about important schedules for the day and current traffic conditions. When you get up and weigh yourself, the scale automatically checks your health and tells you your weight, and this data is automatically transmitted in real time through the Internet of Things (IoT) to various home appliances and robots in the house, such as refrigerators.

If you have previously set a meal plan to eat in the morning according to your physical health, the cooking robot that has already received your

health data selects a meal and starts cooking, and when you arrive in the kitchen and stand in front of the refrigerator, even if you do not open the door, the remaining capacity and expiration date of the food in the refrigerator are displayed brightly on the screen of the refrigerator door, and the refrigerator that receives the health status information recommends drinks, and you on a diet eat drinks and dishes according to the recommendations.

When you finish breakfast and go to work, you get in your personal car and say your destination, the car selects the fastest and safest route on its own, drives itself to the destination, and starts driving in unmanned driving mode, and in your spare time until your arrival, you can read books or preview important e-mails, etc. When you got home from work, the

cleaning robot had already cleaned it, but when you looked at your sneakers to exercise, the shoe sole was very worn and you needed new shoes, and you needed a new pair of sportswear. The 3D printer has the individual's foot shape and body data already transmitted from the scale in the morning, and if you tell it what design, color, material, and purpose you want, because the 3D printer produces sneakers that fit your feet and sportswear that fits your body right on the spot, you can go out and work out in those sneakers and sportswear that have just been produced.

After exercising, you weigh yourself again and go to the refrigerator. Then, if it is heavier than the diet target weight, The food or drink drawer that is gaining weight is locked and cannot be opened. Because of the data automatically transmitted from the scale in advance, the lock

was set by the appointment with you in advance.

Now let's get back to reality. You can see that it has changed in many ways from now. Artificial intelligence, personal robots, driverless cars, and 3D printers have appeared, and it was possible for objects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e scale and the cooking robot, the scale and the refrigerator, the scale and the 3D printer automatically exchange data with each other through the Internet of Things. and you did not buy a ready-made product, but you used a 3D printer to produce and use sneakers and sportswear that fit your body by hand at home.

This ideal life is possible because the technologies developed in various fields now communicate and fuse with each other to provide new valuable work or services.

The World Economy Forum defined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s “a technological revolution that fuses the boundaries of digital, bio-industry, and physics based on the 3rd Industrial Revolution.” In a narrow sense,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means technological convergence based on the digital revolution (the 3rd industrial revolution) following ICT tech-nology, etc. In a broad sense, it refers to the entire new service market using the platform, and it refers to innovation in all businesses including the service industry as well as the manufacturing industry. In other words,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means the revolution that encompasses consumption, manufacturing, distribution, and service as a whole, and the entire process from ‘consumption-manufacturing-distributionservice’ is transformed into an ‘intelligent system connected to the Internet.’

If it is defined in terms of changes in human life, it can be called a life revolution in which all technologies are fused and utilized based on hyper connectivity and hyper intelligence to enable on-demand services. In other words, technology is developed and utilized so that products and services can be provided immediately in the form that people want (Only for me), here and now. And the advanced technologies such as big data, artificial intelligence, robotics, Internet of Things, unmanned transportation, 3D printing, virtual reality, quantum cryptography, and nanotechnology are used in a complex way. By the way, it is said that this ideal world is coming, so why are many experts worrying about it in advance with anticipation at the same time?

One of the concerns of these people is the issue of jobs. Because obviously, even though life becomes convenient and you get material benefits, behind the scenes lies the fact that artificial intelligence or robots are replacing simple and repetitive physical labor jobs. Not only that, but artificial intelligence or robots have begun to take over the jobs of simple and repetitive mental labor. And it is expected that artificial intelligence will be developed more and more in the future, replacing more jobs.

I’m sure you’ve had the experience of calling the service center because there is a defect in the product you’re using. In the past, a human operator answered the phone, gave a kind explanation, and connected to the relevant department, but now most AI operators receive the call and automatically connect to

the relevant department. In addition, when you make an inquiry on the Internet, in the past, people offered solutions while talking through messengers, etc. but now, an artificial intelligence called Chatbot offers a simple solution first by sending text messages to the inquirer for simple and repetitive inquiries.

For even tasks that require considerable expertise, such as finding complex legal knowledge and writing a defense letter, accurately identifying and prescribing symptoms for medical patients, etc., slowly, artificial intelligence is starting to replace human jobs. You may not be able to feel it well, but how about just thinking about this? (I wonder if artificial intelligence or robots can do what I’m doing right now.)

Not long ago, a robot that memorized the Banya Heart Sutra and presided over the ritual actually appeared. In extreme cases, we can imagine an AI priest or assistant cleric appearing to explain religious terms, find related dharmas, sing hymns, preach sermons, etc. faster and more accurately.

According to the data released at the time of the World Economic Forum in 2023, it was predicted that by 2027, a total of 83 million jobs would be lost and 69 million new jobs would be created, resulting in a total loss of 14 million jobs. According to the 2016 forum, it was predicted that by the time 7-year-old children entering elementary school become adults, 65% of people will be working in new occupations that did not exist before, leading

to significant changes in the global industrial structure in the future.

In order to relieve anxiety about this and come up with appropriate countermeasures, organizations and experts in various fields such as politics, economy, society, culture, and education were constantly announcing and planning various opinions and alternatives. It is expected that a large gap will arise in the not-too-distant future between countries or organizations that are well-prepared and offer solutions to this problem and those that do not adequately prepare.

Now, how should each individual prepare for this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What skills or abilities are needed and how can you develop them?

Experts in each field have given various opinions, and if we summarize the common

opinions, “What is absolutely necessary in these times in the future is the ability to communicate and converge, and the required talent is a creative person who can collaborate well with great personality and character rather than a person who is good at studying with simple knowledge, and in order to become such a talented person, continuous character education and mind study are essential, and it is very important.”

In order to provide new valuable work or services in consultation with people in charge of various technologies developed in various fields, communication, convergence, and creative ability to collaborate well are essential, in addition, we need people with good character and character who can lead with the right values ​​ so that new technologies and knowledge can be used for the happiness of mankind. In addition, it is important for people who use it to use it correctly with the right mindset. To become the

master of all these laws is to study the mind and spirit, the laws of how to use the mind, and this is because it is only possible to use the mind correctly through this study, so that it is possible to always make good use of everything on the basis of mutual benefit in all sensory conditions.

And the study of mind in the future is based on hyper-connectivity and hyper intelligence with the help of advanced digital technology in human-to-human relations and communication, by fusion of the strengths of various mind studies. We expect that it will develop further as we honed the ultimate truth and sincerity together.

Seongho Sim Kyodo※ is the lay president of Won Buddhism of New Jersey temple.

※ Kyodo: Won Buddhist Lay Member

디지털 기술의 혁명적인 발전을 통하여 엄청난 혜택을

누리고 있는 이 디지털 시대에 4차 산업 혁명이라는 용

어를 한 번쯤은 들어 보셨거나 관련 뉴스나 동영상 등

도 시청하셨을 것으로 생각이 듭니다. 이전에는 아무

리 과학 기술이 발전하더라도 기계는 인간을 이기지 못

할 것이라 생각하였던 바둑의 세계에서 인공지능 알파

고가 등장하여 입신이라고 불리던 세계 최고의 고수들

을 이겼고, 지구상 모든 차량의 엄청난 분량의 운행정

보 빅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가장 빠르고 안전

한 운행 정보를 제공하는 네비게이션이 생활화 되었습

니다. 그리고 생명공학, 로봇공학, 3D 프린터의 발달로

팔이나 다리 등 신체의 일부도 맞춤 생산하여 기계로

대체가 가능하여졌고, 인공지능과 사랑에 빠지거나 결 혼을 하는 사람도 예상이 되는 등 여러가지 다양한 소

식들을 접하였을 것으로 생각이 듭니다.

일반적으로 새로운 기술의

산업 혁명이라고 정의내리는데, 인류 역사상 지금까지

3번의 크나큰 산업혁명이 있었고, 지금 현재는 개인용

컴퓨터, 인터넷 및 정보 통신 기술(ICT) 등을 포함하는

디지털 혁명 시대인 3차 산업혁명이 진행 중입니다. 그

런데, 이제 곧 또 다른 커다란 기술 혁신으로 인하여 새

로운 혁명인 4차 산업혁명 시대가 곧 도래할 것이라고 합니다.

이 4차 산업혁명은 아직 오기도 전에 여러 분야의 전문 가들이 다양한 예측을 하고 있으며, 또한 여러가지 걱

정도 하는데, 그 내용과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 기 위 하여 미래 가정의 모습을 한번 상상하여 보겠습니다.

이제 일어날 시간이라고 친숙한 목소리로 알려 주는

인공지능 아침 알람소리에 눈을 뜨면 옆에 있는 개인

용 비서로봇이 오늘 날씨는 어떠하며, 현재 기온은 어

떤지 알려주고, 하루의 중요한 일정과 현재 교통 상황

에 대하여 알려 줍니다. 일어 나서 몸무게를 재면 체중

계가 몸의 건강 상태를 자동으로 점검하면서 체중도

말해 주고, 이 데이터는 냉장고 등 집 안의 여러 도구나

로봇들에게 사물인터넷을 통하여 실시간 자동으로 전

달이 됩니다.

사전에 몸의 건강상태에 따라서 어떤 음식을 아침에

먹겠다고 식단 설정을 미리 정해 놓았다면 이미 건강

상태 데이터를 전달받은 요리 로봇이 식단을 선택하여

요리를 시작합니다. 부엌에 도착해 냉장고 앞에 서면,

문을 열지 않아도 냉장고 안 음식들의 남은 용량과 유

효 기간이 냉장고 문의 화면에 환하게 보입니다. 또한

건강상태 정보를 전달 받은 냉장고는 음료수를 추천합

니다. 다이어트 중인 사람은 그 추천 내용에 따라 음료

수와 요리 등을 먹습니다.

아침을 다 먹고 출근하기 위해 개인용 승용차를 타서

목적지를 말하면, 자동차가 스스로 가장 빠르고 안전

한 경로를 선택하고 스스로 운전하여 목적지를 향해

무인 운행 모드로 운전을 시작합니다. 도착할 때까지

여유 시간에 사람은 독서를 하거나 중요한 e-mail 등

을 미리 점검해 볼 수 있습니다, 퇴근을 하면, 이미 청

소 로봇이 집 안을 깨끗하게 청소한 상태입니다. 운동 을 하려고 운동화를 보니, 바닥이 많이 닳아서 새로운

신발이 필요하였고, 운동복도 새로 하나 필요하였습니 다. 3D 프린터에는 아침에 체중계로부터 이미 전달된 개인의 발 모양과 신체 데이터가 있어, 원하는 디자인 과 색상, 재질, 용도 등을 말하면 3D 프린터가 개인 발 에 꼭 맞는 운동화와 신체에 맞는 운동복을 바로 그 자 리에서 생산하여 주기 때문에 바로 방금 생산된 그 운

동화와 운동복을 착용하고 나가서 운동할 수 있습니다.

운동 후 다시 체중을 재고 냉장고로 가니, 다이어트 목 표 체중보다 무거운 경우에는 살찌는 음식이나 음료수

서랍에는 Lock이 걸려 있어서 열 수가 없습니다. 체중 계로부터 자동으로 전달된 데이터 때문에 미리 설정된

나와의 약속에 따라 Lock이 걸려 있었던 것입니다.

자, 이제 현실로 돌아 오겠습니다. 지금과는 여러 모로

달라진 모습을 알 수 있는데 인공지능이나 개인 로봇, 무인 자동차, 3D 프린터 들이 등장하였고 사물들끼리 서로 소통하는 것이 가능하였습니다. 체중계와 요리로

봇, 체중계와 냉장고, 체중계와 3D 프린터가 사물인터

넷을 통하여 서로 데이터를 자동으로 주고 받았으며,

기성품을 산 것이 아니라 집에서 손수 내 몸에 맞는 운

동화와 운동복을 직접 3D 프린터로 생산하여 사용합 니다.

이러한 이상적인 생활이 가능하게 된 것은 여러 분야

에서 발달한 기술들이 이제는 서로 소통하고 융합해

새로운 가치있는 일이나 서비스를 제공하여 주기 때문

입니다.

세계경제포럼(World Economy Forum)은 4차 산업

혁명을 “3차 산업혁명을 기반으로 한 디지털과 바이오

산업, 물리학 등의 경계를 융합하는 기술혁명”으로 정

의하였는데, 좁은 의미로 보면 제4차 산업혁명은 ICT

기술 등에 따른 디지털 혁명(제3차 산업혁명)에 기반

한 기술융합을 의미하고, 넓은 의미로 보면 플랫폼을

활용한 신규 서비스 시장 전체를 의미하며 제조업뿐만

아니라 서비스업을 포함한 모든 사업에서의 혁신을 의

미합니다. 다시 말해 ‘소비-제조-유통-서비스’ 에 이르

는 전 과정을 ‘인터넷으로 연결시킨 지능형 시스템’ 으

로 전환하는 소비, 제조, 유통 및 서비스 전체를 포괄하

는 혁명을 말합니다.

인간생활을 변화의 측면에서 정의하면, 온디맨드(On Demand) 서비스가 가능해지도록 초연결성(Hyper Connectivity)과 초지능성(Hyper Intelli-gence)을 기반으로 모든 기술들이 융합하여 활용되는 생활혁 명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즉, 지금(Now), 여기에서 (Here) 사람들이 원하는 형태(Only for me)로 제품과 서비스가 즉각 제공 될수 있도록 기술이 개발되고 활용

되는 것으로 빅데이터, 인공지능, 로봇공학, 사물인터 넷, 무인운송수단, 3D 프린팅, 가상현실, 양자 암호, 나

노 기술 등의 첨단 기술들이 복합적으로 사용됩니다.

그런데 이렇게 이상적인 세상이 온다고 하는데, 오기도

전에 왜 여러 전문가들이 기대와 함께 미리 큰 걱정을

함께 하고 있는 것일까요?

이분들이 걱정하시는 것 중의 하나는 일자리 문제입니

다. 분명히 생활이 편리해지고 물질의 혜택을 얻게 되

는데, 그 이면에는 단순 반복적인 육체적 노동의 일자

리를 사람 대신에 인공지능이나 로봇이 대신한다는 사

실이 숨어있기 때문입니다. 그뿐만 아니라 이제는 단

순 반복적인 정신적 노동의 일자리도 인공지능이나 로

봇이 대신 하기 시작하였고, 앞으로 그 인공지능이 점

점 더 발달하여 더 많은 일자리를 대신 할 것으로 예상

이 되고 있습니다.

사용하는 제품에 대한 결함이 생겨서 서비스 센터로

전화를 걸어 보신 경험이 한 번쯤은 있으실 텐데, 이

전에는 사람 교환원이 전화를 받아서 친절하게 설명

을 하고는 관련 부서로 연결하여 주었지만, 이제는 대

부분 인공지능 교환원이 먼저 접수를 받아서 자동으

로 관련 부서로 연결하여 줍니다. 또한 인터넷 상에서

도 문의를 하면, 이전에는 사람이 메신저 등으로 대

화하면서 해결책을 제시해 주기도 하였는데, 이제는

Chatbot이라는 인공지능이 단순 반복적인 문의 내용

에 대하여 문의자와 문자 전송으로 대화를 하면서 간

단한 해결책을 먼저 제시하여 줍니다.

복잡한 법률 지식을 찾아서 변호문을 작성하는 일, 의

료 환자에 대한 증상을 정확하게 파악하여 처방하는

일 등 상당히 전문적인 지식을 필요로 하는 일까지도

서서히 인공지능이 사람 일자리를 대체하기 시작하였

습니다. 실감이 잘 안 나시겠지만, 이런 생각을 한번 해

보시면 어떨지요? 지금 내가 하고 있는 일을 인공지능

이나 로봇이 대신 할 수는 없는지….

얼마 전에 반야심경을 외우고 의식을 주재하는 로봇이

실제로 등장하였는데, 극단적으로 언젠가는 인공지능

성직자나 보조 성직자가 나와서 종교 용어에 대한 설

명, 관련 법문 찾기, 성가 부르기, 설법 등을 더 빠르고 정확하게 알려주는 장면도 상상해 볼 수 있습니다.

2023년 세계경제포럼(WEF) 당시에 발표된 자료에 따 르면 2027년까지 총 8,300만 개의 일자리가 사라지

고 6,900만개의 일자리는 새로 창출되어, 총 1,400만

여 개의 일자리가 감소할 것이라는 전망을 하였었고, 2016년 포럼 자료에 따르면 초등학교에 입학하는 7세

아이들이 어른이 되는 시점에는 65%의 사람들이 기

존에 전혀 존재하지도 않았던 새로운 직종에서 일하게 될 것으로 내다보면서, 향후 전 세계 산업구조에 상당 한 변화를 가져올 것이라고 전망하였습니다.

이에 대한 불안감을 해소하고 적절한 대책을 마련하기 위하여 정치‧경제‧사회‧문화‧교육 등 여러 분야 의 기관들과 전문가들이 다양한 의견 및 대안들을 꾸

준히 발표하고 계획하고 있었는데, 이에 대한 해결책

을 잘 제시하고 계획대로 잘 준비하는 국가나 단체들

과 충분한 준비를 하지 못하는 국가나 단체들은 머지

않은 장래에 커다란 격차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이 됩

니다.

자 그러면, 이러한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대비하여 각

개인들은 어떻게 준비를 하여야 하는 것일까요? 어떠

한 능력들이 필요하며 어떻게 그러한 능력들을 키울

수 있는 것일까요?

각 분야의 전문가들께서 여러가지 의견들을 내 놓으셨

는데, 공통적인 의견들을 정리하여 보면, 앞으로 이러

한 시대에 반드시 필요한 것은 소통과 융합의 능력이

고, 필요한 인재상은 단순한 지식을 갖춘 공부 잘하는

사람 보다는 훌륭한 인격과 인성을 갖추고 협업을 잘

할 수 있는 창의적인 사람으로, 이러한 인재가 되려면

꾸준한 인성 교육 및 마음 공부가 반드시 필요하며, 대

단히 중요하다는 것입니다.

여러가지 각 분야에서 발달한 다양한 기술들의 담당자

들과 협의하여 새로운 가치있는 일이나 서비스를 제

공하기 위해서는 소통과 융합 능력, 협업을 잘하는 창

의적인 능력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이와 더불어 새로

운 기술이나 지식이 인류의 행복을 위하여 사용될 수

있도록 올바른 가치관을 가지고 선도할 수 있는 훌륭

한 인격과 인성을 갖춘 사람들이 필요하며, 또한 사용

하는 사람들도 올바른 마음가짐으로 올바르게 사용을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런 모든 법의 주인이 되는 것

은 용심법, 마음공부이며, 이 공부를 통하여 마음을 바

르게 사용하여야만 천만 경계에 항상 자리이타로 모든

것을 선용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앞으로 시대의 마음공부는 사람과 사람과의 관

계와 소통에 있어서도 발전된 디지털 기술의 도움으로 초연결성(Hyper Connectivity)과 초지능성(Hyper Intelligence)을 기반으로 여러가지 다양한 마음공부

들의 장점을 서로 융합하여 다 함께 궁극적인 진리와 성리를 연마해 나가면서 한층 발전되어 갈 것이라고 예상해 봅니다.

은산 심성호(Seongho Sim) 교도는 현재 원불교 뉴저지 교당 교도회장으로 봉직하고 있습니다.

Won Dharma Center of CA

Inner Peace / Wisdom

19993 Grand Ave. Lake Elsinore, CA 92530 U.S.A. T. 714-345-8557 l drongi2@won.or.kr

Won Dharma Center of CA, which will start construction this year, is striving to research and develop various meditation and mind study programs in collaboration with western region temples.

올해 착공될 미주 서부훈련원(WonDharma Center of CA)은 서부지역 원불교 교당과 연계하여 다양한 명상, 마음공부 프로그램 등의 연구와 계발에 노력하고 있습니다.

Mind Study in Won Buddhism in the Era of Metaverse and AI-IA

1. What future awaits us?

Extreme predictions about the future are causing confusion among humanity. There are various predictions ranging from selfcriticisms stating, “Humanity has already become gods, yet, being dissatisfied without knowing what they want, they have become irresponsible gods,” 1) to predictions that artificial intelligence (AI) will surpass human intelligence and either dominate or extinguish humanity. The claim that humanity has already reached the realm of gods is elaborated by assertions that humanity is exercising divine powers.

It is mentioned that “Humanity has already reached the stage of creating, cloning, manipulating, and distorting life, and at the same time, the possibility that they can even choose between death and immortality.” The changes that could occur within the next 100 years range from human extinction due to the climate crisis to the demise caused by artificial intelligence or even the possibility of evolving into a new species that can hardly be called human anymore, covering an overly extreme spectrum.

How would Sotaesan, the Founding Master of Won Buddhism, have viewed this

extreme future? During the Korea’s most challenging time in the early 1900s, at the age of 26, Sotaesan, who had achieved great enlightenment, proclaimed, “With this Great Opening of matter, Let there be a Great Opening of spirit.” and founded Won Buddhism. In fact, “Won Buddhism” was renamed by Chǒngsan, the Second Head Dharma Master, after the Founding Master Sotaesan’s nirvana. Looking back from this point, a hundred years later, the future proposed by Venerable Sotaesan is seen as a revolutionary approach not confined to the currently diminished realm of religion.

Won Buddhism, based on faith and practice, leads to a paradisiacal world and holds the essence of a universal religion; however, it also offers an explicit methodology and practices for everyday and societal issues, making it a religion of a dereligionizing daily movement. Moreover, it was a movement advocating for religious union or a United Religion (UR), promoting an interreligious reform. After achieving enlightenment at 26, the first thing Sotaesan did with his disciples was economic activity, such as building paddy fields by blocking the sea, and initiating the community movement of Bangyeongongsa. As a religious seer and a social forerunner, the future that Venerable Sotaesan envisioned was

fundamentally hopeful and optimistic.

The Founding Master Sotaesan said, “The new world that is coming will truly be a world of great civilization and morality. Therefore, now is the end of an old era, but is also the beginning of a new one, so that it is extremely difficult to guess the road ahead. But how can a person who anticipates the civilization of this coming era not be confident and happy?”2)

The Founding Master Sotaesan’s preparation for such a confident and joyful future was a “great religious order that was unheard of in the past and will be difficult to witness in the future. In order to establish such an order, we must prepare a dharma that lets our practice and activities mutually progress by harmonizing action and rest; that creates

harmony and accessibility without hindrances of any kind by incorporating various religious doctrines into a single corpus, as if in a single household.”3) Venerable Sotaesan thus explained that there is much to be done. The core of this preparation for the future is ‘the Great Opening of spirit,’ which is the very motivation for the founding of Won Buddhism.

2. The Future as Shown by Venerable Sotaesan and the Doctrines of Won Buddhism

After his attaining great enlightenment and completing the Bangyeongongsa with his disciples, Venerable Sotaesan began prayers to move the will of Heaven. He urged, “You must pray to heaven and earth with singlemindedness and utmost sincerity that human

beings may become masters of material things instead of being enslaved by them, and thus try to move the will of heaven.”4)

The Founding Master Sotaesan and his disciples began prayers for the great opening of spirit for the good use of material, based on a positive outlook for the future. The purpose and hope of the prayers were to become people who are not

drawn to materialism but use material wisely. These prayers then led to the Authentication of the Dharma. After the Dharma Authentication, Venerable Sotaesan compiled the doctrines of Won Buddhism during which he created an integrated, fused, and syncretic system of doctrines, expressed as parallelism, progress in concert, perfect inclusion, wholeness of both, and one suchness.5)

The Founding Master Sotaesan presupposed a dynamic combination encompassing all dichotomies from the truth of Il-Won-Sang to all doctrines. His proposal was a voluntary practice methodology that creates synergy -a cooperative action-from a gracious perspective, addressing conflicts not only among humans but also between humanity and nature.

· Parallelism: Advancing toward optimum level of synergy | Simultaneous practice of universal principles and human affairs

· Progress in concert: Elements revitalized through synergy | Progressing in concert through the Threefold Study, Advancing both study of the Way and study of science, Mutual progress of practice and activities, Utilizing both self and other power

· Perfect inclusion: Parted yet completed as combined | Completeness of the inward and outward, Perfect harmony of knowledge and conduct

· Wholeness of both: Completed, not separable originally | Wholeness of both spirit and flesh

· One Suchness: Connected constantly, not separable

| One suchness in action and rest, One suchness in birth and death

The entire process from Won Buddhism’s embankment project to the Dharma Authentication demonstrates the rational harmony of interreligion, dereligionization, and the comprehensive integration of all doctrines that Won Buddhism seeks. It presents the zeitgeist of dynamically energizing all extremes, which are the roots of conflict, while encompassing them. And exquisitely , the religious sentiment of Koreans, as I perceive, also encompasses religiosity, dereligionization, and a interreligious approach. The Korean Studies Research Institute identifies Won Buddhism as the religion that best represents Korean cultural identity in its book “Cultural Identity and Religion.”

3. Mind Study of Won Buddhism in the Era of Metaverse and AI-IA6)

Metaverse
Won Expo 2021, Won Buddhism of Austin
Parallelism
Progress in concert Perfect Inclusion
Wholeness of Both One Suchness

While it is difficult to fully explain through this brief text, the most important keyword for understanding the Metaverse platform and the era of AI-IA7) is also ‘resolving this dichotomy or extreme opposition through fusion and synergy.’ Ultimately, the Metaverse connects, circulates, and expands the contrasting spaces of virtual and real, online and offline, face-to-face and non-face-to-face, and realtime and customized. Metaverse and AI-IA are technologically linking dichotomies that could not meet each other positively. In other words, the Metaverse expands time and space, while AI-IA expands humanity and existence, creating synergy together. In this regard, I believe that the Metaverse and AI-IA can positively become the appropriate platforms for creating the world of Il-Won of parallelism,

progress in concert, perfect inclusion, wholeness of both, and one suchness, as envisioned by Venerable Sotaesan.

In 2021, after the release of the drama “Squid Game,” it is said that a thousand secondary contents were uploaded to a metaverse platform called Roblox within two weeks. As the metaverse significantly ignites the ‘era of mass creation,’ allowing everyone to create, I believe it opens a venue for ‘collective intelligence and an era of mass communication’ in the humanities, and religiously or philosophically , the metaverse can become a ‘space-time of mass awakening.’ Thus, the metaverse and AI-IA meet the future design envisioned by Venerable Sotaesan, who aimed to open a world of thousands of

tathāgatas and myriads of bodhisattvas to everyone regardless of gender, age, morality, or social status, through Everywhere a Buddha Image, Every Act a Buddha Offering, Timeless Sŏn, and Placeless Sŏn.

From another perspective, I view the metaverse as an ‘invitation to a proper new daily life.’ With major devices such as Meta Quest 3

and Apple Vision Pro, the biggest change in the metaverse area, set to fully commence in 2024, is the transition and expansion from VR_ Metaverse (virtual-centered) to AR_Metaverse (reality-centered). AR_Metaverse allows virtual elements to overlap with real time and space, going through stages of connection, superimposition, and expansion, where virtual and real can interact synergistically.

If VR_Metaverse represents a parallelism where virtual and real coexist without mutual penetration, AR_Metaverse involves a concurrent progression where they cross and synergize. The next stage, MR_Metaverse, can be seen as a stage of ‘perfect inclusion | wholeness of both,’ where activities in the virtual are applied to reality, and real activities are recorded, mixed, and circulated in the virtual. The final stage of the metaverse, seen as XR_Metaverse, could be described as ‘one suchness.’ In this stage, virtual and real are so intertwined that they are difficult to separate, meshing together and mutually expanding. Perhaps akin to Zhuangzi becoming a butterfly and the butterfly becoming Zhuangzi. Imagine a future where my avatar, powered by AIIA technology , lives and even conducts economic activities in the metaverse without my control.

Thus, I view the value of the AI-IA linked metaverse as the restoration of daily life based

on technology from a positive perspective. Assuming the good use, the metaverse invites us to a proper new everyday life where virtual and real, action and rest, self and others are not dichotomously divided. A future discourse on human survival and values must begin, transcending the economic perspective of big tech companies, political viewpoints, and academic perspectives. It is a time when the role of Won Buddhism is needed, as it is rooted in a religious character that seeks answers to fundamental problems, yet transcends this to encompass dereligionizing and interreligious qualities. Through a positive perspective and dynamic harmony, it endeavors to face the times, the public, and everyday life.

Can the truth of Il-Won-Sang and the doctrines of Won Buddhism, prepared by Venerable Sotaesan for the era of Great Opening of matter, function as an explict methodology to the various crises faced by humanity,

interlocked with the era of Metaverse and AI-IA as we live today?

1) Yuval Noah Harari, <Sapience>

2) Verse 19, Prospects, The Scripture of the Founding Master, Won Buddhism

3) Verse 8, Prologue, The Scripture of the Founding Master, Won Buddhism

4) Verse 13, Prologue, The Scripture of the Founding Master, Won Buddhism

5) Parallelism, Progress in Concert, Perfect Inclusion, Wholeness of Both, and One Suchness

6) “Won Buddhism in the Age of the Metaverse,” by the same author, featured in the Won Buddhism Newspaper, including excerpts from various articles serialized since 2022.

7) Artificial Intelligence (A.I) and Intelligence Augmentation (I.A): When we refer to AI-IA, I.A signifies Intelligence Augmentation and can also be expressed as ‘Post-Human’ or ‘Trans-Human.’ While A.I primarily focuses on augmenting objects with human intelligence, I.A enhances human capabilities themselves. This distinction between augmenting objects and augmenting humans is used to highlight the contrast between A.I and I.A.

Rev. Doha(Jungmin) Lee is currently working as a professor i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Arts. He serves as the director of the Campus Asia Plus’s art consortium program, where he leads a network for metaverse-based Asian animation education. He had been a director at Nextoon and a visiting professor at institutions such as Carnegie Mellon ETC and Shanghai University. He oversaw the pre-production of Season 1 of “Hello Jadoo” and produced special videos for the Aichi Expo. As a dispatched minister in the Department of Culture and Social Affairs, Won Buddhism Headquarters, he has been involved in establishing XR-metaverse environments and conducting projects like the Sotetsan Gallery_ Daesoyumu and the Sotaesan Film Festival on Metaverse, focusing on advanced and every-moment meditation concepts.

인류의 지능을 넘어서서 인류를 지배하거나 또는 멸종

시킬 것이라는 예측까지 다양하다.

인류가 이미 신의 영역에 도달했다는 근거는 인류가 신

의 권능을 행하고 있다는 주장으로 설명된다. “인류는

이미 생명을 창조하고 복제하며 조작하고 왜곡하는 단

계에 이르렀고, 동시에 죽음 또는 불멸을 선택할 수도

있다.”는 가능성이 언급된다. 기후 위기로 인한 인류의

종말, 인공지능에 의한 인류의 멸망, 또는 더 이상 인간

이라고 부르기 어려운 새로운 종으로의 전환 가능성까

지 불과 100년 안에 일어날 수 있는 변화들은 매우 극

단적인 범위에 걸쳐 있다.

이 극단적인 미래를 원불교를 창시한 소태산 대종사는

어떻게 보았을까? 한국이 가장 어려운 시기를 보내고

있던 1916년, 26세에 대각을 한 소태산은 “물질이 개

벽되니, 정신을 개벽하자.”라고 외치며 원불교를 창시

하였다. 사실 원불교라는 교명은 소태산 대종사 열반

후 2대 종법사인 정산 종사에 의해 명명되었다. 백여

년이 지난 지금 이 시점에서 다시 돌이켜 보면, 소태산

대종사가 제시한 미래는 현재의 위축된 종교 영역에

국한되지 않는 혁명적 대안이었다고 본다.

원불교는 신앙과 수행에 기반하여 낙원 세계로 인도

하는 새로운 종교로서, 세계 보편 종교 본연의 모습을

가지고 있지만 동시에 일상의 문제와 사회의 문제에

대해 적극적인 대안 제시와 실천을 병행하는 탈종교

적 일상운동의 종교였다. 그리고 종교연합 또는 종교

UR(United Religion)을 주창하는 통종교적 종교혁신

운동이기도 했다. 소태산 대종사 자신이 26세에 대각 을 이룬 후 제자들을 모아 처음 했던 일은, 바다를 막아

논을 만드는 경제활동이었으며 공동체 운동인 방언공 사였다. 종교적 선지자(A Seer)로서뿐 아니라 사회적

선각자(A forerunner)로서의 소태산이 바라본 미래는

요컨대 희망적이고 낙관적인 모습이었다.

“돌아오는 세상이야말로 참으로 크게 문명한 도덕 세

계일 것이니, 그러므로 지금은 묵은 세상의 끝이요, 새

세상의 처음이 되어, 시대의 앞 길을 추측하기가 퍽 어

려우나 오는 세상의 문명을 추측하는 사람이야 어찌 든든하지 아니하며 즐겁지 아니하리요.”2)

그렇게 든든하고 즐거운 미래를 추측하는 소태산의 준

비는 ‘과거에도 보지 못하였고, 미래에도 보기 어려운

큰 회상’3)이었고 이를 위해 동(動)과 정(靜)이 골라 맞 아서 공부와 사업이 병진(竝進) 되게 하고, 모든 교법

을 두루 통합하여 한 덩어리‧한 집안을 만들어 서로 넘나들고 화하게 하여야 하기 때문에, 이렇게 일이 많 다고 소태산 대종사는 설명하였다. 이러한 미래 준비

의 핵심에 ‘정신 개벽’이 있고, 이것이 바로 원불교 개 교의 동기이다.

2. 소태산 대종사가 보여준 미래와 원불교의 교법

대각 이후 제자들과 함께 방언공사를 마친 소태산 대

종사는 천의(天意)를 감동시키기 위한 기도를 시작한

다. “모든 사람의 정신이 물질에 끌리지 아니하고 물

질을 사용하는 사람이 되어주기를 천지에 기도하여 천

의에 감동이 있게 하자.”4)고 당부한다.

소태산 대종사와 그의 제자들은 긍정적인 미래 전망을

전제로 물질 선용(善用)을 위해 정신 개벽을 위한 기

도를 시작하였다. 기도의 목적이자 바람은 물질에 끌

리지 아니하고 물질을 잘 사용하는 사람이 되게 하는

것이었다. 그리고 이 기도는 법인 성사로 이어진다. 소

태산 대종사는 법인 성사(Dharma Authentication)

이후 이어진 원불교 교법의 편찬과정에서 모든 교리를

병행, 병진, 겸전, 쌍전, 일여5)로 표현된 통합, 융합, 통

섭적인 교리 체계로 만들어갔다.

소태산 대종사는 일원상의 진리로부터 모든 교법 에 이르기까지, 모든 이분법을 포괄하는 역동적 결합

을 전제하고 있다. 인류와 인류뿐 아니라 인류와 자

연의 모든 갈등까지도 은혜적 관점으로 서로 시너지 (Synergy, 협력작용)를 이루는 자발적 실천 방법론의 제시였다.

병행 : 적정 시너지를 추구하여 나아가다. | 이사병행

병진 : 시너지를 통해서 요소가 살아나다. | 삼학병진, 도학과학병진, 공부사업병진, 자타력병진

겸전 : 구분하되, 겸하여 완전하다. | 내외겸전, 지행 겸전

쌍전 : 원래 둘로 나눌 수 없이 완전하다. | 영육쌍전

일여 : 나뉠 수 없고, 연속적으로 이어지다. | 동정일 여, 생사일여

원불교의 방언공사로부터 법인성사에 이르는 이 모든 과정은 원불교가 추구하는 종교와 탈종교, 그리고 모 든 교법을 두루 통합하는 통종교의 합리적 조화를 보 여준다. 갈등의 근원인 모든 극단을 아우르면서 그 극 단을 역동적으로 에너지화하는 시대정신을 제시한다. 그리고 절묘하게도 필자가 생각하는 한국인의 종교심 성 역시 종교적이면서 탈종교와 통종교를 아우른다. 국학연구기관인 한국학연구원에서는『문화정체성과 종교』라는 책에서 한국의 문화정체성을 가장 잘 대표 하는 종교로 원불교를 꼽는다.

3. 메타버스, AI-IA 시대의 원불교 마음공부6)

짧은 지면을 통해 충분히 설명하기는 어렵지만 메타버

스 플랫폼과 AI-IA7) 시대를 이해하는 가장 중요한 키

워드 역시, 바로 ‘이 이분법 또는 극단적 대립에 대해

융합과 시너지로 풀 수 있다.’라고 할 수 있다.결국 메

타버스는 가상과 현실, 온라인과 오프라인, 대면과 비

대면, 실시간과 맞춤형이라는 대비적 공간을 연결하고

순환시키며 확장시킨다. 메타버스와 AI-IA는 긍정적인

측면에서 서로 만날 수 없었던 이분법을 기술적으로 연

결시키는 중이다. 다시 말해 메타버스는 시간과 공간을

확장하는 역할을, AI-IA는 인간과 존재를 확장시키는

역할을 통해 서로 시너지를 만들어낸다. 그런 면에서

메타버스와 AI-IA는 긍정적으로 소태산 대종사께서 그

렸던 병행, 병진, 겸전, 쌍전, 일여의 일원 세계를 만드

는 적정 플랫폼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2021년에 드라마 <오징어게임>이 발표된 후 2주 동안

로블록스라는 메타버스 플랫폼에 1천 개의 2차 콘텐

츠가 올라왔다고 한다. 메타버스가 본격적으로 불붙인

‘대중창작의 시대’에 접어들면서 누구나 창작하는 시대

로서 메타버스는 인문학적으로는 ‘집단지성, 대중 소

통의 시대’를 열 수 있는 장이고, 종교 또는 철학적으

로는 메타버스가 ‘대중 각성의 시·공간’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이렇게 메타버스와 AI-IA는 남녀노소와 선

악귀천(善惡貴賤)을 막론하고 누구에게나 처처불상과 사사불공, 그리고 무시선과 무처선을 통해서 천여래만 보살의 세계를 열고자 했던 소태산대종사의 미래 설계 와 만난다.

다른 각도에서 메타버스는 ‘제대로 된 새로운 일상으 로의 초대’라고 본다. 메타퀘스트 3, 애플 비전프로 등

의 주요 디바이스와 함께 2024년부터 본격화될 메타버 스 영역의 가장 큰 변화는 VR_메타버스(가상중심)에

서 AR_메타버스(현실중심)로의 전환-확장이다. AR_ 메타버스는 현실의 시간과 공간에 가상의 요소가 겹쳐 지면서(Overlap) 연결-중첩-확장의 단계를 거쳐 가상 과 현실이 상호 시너지로 작용될 수 있다.

VR_메타버스가 가상-현실이 상호 침투 없이 나란히

며 시너지를 이루는 병진이다. 다음 단계인 MR_메타 버스는 가상에서 하는 활동이 현실에 적용되고 현실의 활동이 가상에 기록되면서 섞이고 순환하는 ‘겸전‧쌍

단계’라고 볼 수 있겠다. 메타버스의 최종 단계로 보는 XR_메타버스의 단계는 ‘일여’라고 표현해 볼 수 있겠다. 가상과 현실이 붙어 버려서 분리하기 어려운 상태로, 구분하기 어려울 정도로 가상과 현실이 맞물 려 돌아가며 상호 확장한다. 장자가 화접(花蝶)이고 화 접이 장자랄까. AI-IA기술이 적용된 나의 아바타가 나

의 제어 없이도 메타버스에서 스스로 살아가며 경제활

동까지 할 수 있는 미래를 상상해 본다.

그래서 AI-IA와 연계된 메타버스의 가치는 긍정적 관

점으로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일상 회복이라고 본다.

선용(善用)을 전제로, 메타버스는 가상과 현실, 동(動)

과 정(靜), 자(自)와 타(他)가 이분법적으로 나뉘지 않

는 제대로 된 새로운 일상으로의 초대다. 경제적 관점

에서 접근하는 빅테크 기업들과 정치적 관점, 학문적

관점을 넘어서는 인류의 생존과 가치에 대한 미래 담

론이 시작되어야 한다. 근본적인 문제에 답을 구하는

종교적 특성에 기반하되 넘어서서 탈종교적, 통종교적

특성을 아우르고 긍정적 관점과 역동적 조화를 통해

시대와 대중과 생활에 직면하려는 원불교의 역할이 필

요한 때이다.

물질개벽의 시대를 위해 소태산에 의해 준비된 일원상 의 진리와 원불교의 교법이 현재를 살아가는 우리들에

의해 메타버스, AI-IA 시대와 맞물려 인류가 직면한 여

러 가지 위기상황들에 대한 구체적 대안으로 작동할 수 있을까?

1)유발하라리,『Sapience』,조현욱옮김,『사피엔스』,김영사

2)원불교『대종경』,전망품19장

3)원불교『대종경』,서품8장

4)원불교『대종경』,서품13장

5)병행(竝行),병진(竝進),겸전(兼全),쌍전(雙全),일여(一如)

6)<원불교신문>,필자의글 ‘메타버스시대의원불교’(2022년부터연재중)여러글에서요약발췌포함

7)A.I(인공지능),I.A(인간증강):AI-IA라고할때IA는인간증강으로,포스트휴먼,또는트랜스휴먼으로도표현된다.AI 가주로사물에인간의지능을적용하여증강시킨다면,IA는인간자체를증강시키는것으로사물증강-인간증강의대비를표 현하기위해사용하였다.

진산 이도하(Doha Lee, 본명: 이정민) 교무는 현재 한국예술종합학교 영상원 교수로 재직 중이며, 캠퍼스아시아 플러 스의 예술 컨소시엄 사업단장으로 메타버스 기반의 아시아 애니메이션 교육의 네트워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넥스툰 제작 감독으로, 카네기멜론 ETC와 상해대학 등에서 초빙교수를 역임했고, “안녕 자두야” 시즌 1의 프리프로덕션 총괄 PD, 아이치엑스포 특수영상 등을 제작했습니다. 원불교총부 문화사회부의 파견 교무로 XR-메타버스 환경을 구축하고 첨단명상, 일상명상을 콘셉트로 소태산갤러리_대소유무와 소태산영화제 on 메타버스 프로젝트를 진행 중입니다.

WON MEDIA BOOKSTORE

You can discover the future of Won Buddhism, along with stories of the Founding Master Sotaesan’s experiences and aspirations, meditation and mind training, and sharing of grace, at www.wonmediabook.com.

The online bookstore, www.wonmediabook.com, which was established in ����, is preparing for another future with a new configuration. The website is currently being revamped and is expected to open in July of this year. (For inquiries: wonmediabook@gmail.com)

AND SHARING

소태산 평전

봉산 이경식(혜화) 교도

Korean Edition I 북바이북

www.wonbook.co.kr

www.wonmediabook.com Book wonmediabook.com

원불교 교조 소태산 박중빈 대종

사의 일대기로 누구보다도 인간

적이고 인류와 세계를 사랑했던

소태산의 생애를 그렸다. 구도의

여정과 깨달음, 그리고 종교인으

로서 삶을 촘촘히 엮었다.

나무아미타불

Namuamitabul

라타원 황민정 교무

Korean & English Edition I

월간 원광사

겨울나무들은 자만과 나태심을

버리고 정진하며 나이테를 만

들어 간다. 라타원이 부르는 ‘나

무아미타불’은 겨울나무처럼

만들어 온 나이테를 풀어 놓은

해탈의 노래이기도 하다.

- 영산의 옛 인연 중

On Won Buddhism and the Circularity of Things

원불교와 만물의 순환

Carlos Jiménez 교수

English-Korean Edition I

Won Media

2022년 10월 원불교 휴스턴

글과 건축 드로잉, Reto

Geiser 교수의 북디자인, 그리 고 Paul Hester 사진작가의 건

축물 사진들이 수록되었다. 이

책은 천연 린넨 원단으로 제본

되었다.

어려움을 극복하는 마음의 힘

추타원 박호진 교무

Korean Edition I 소라산

내가 누구인지, 이 고통이 왜 나

에게 왔는지, 그 어려움들 속에

서 어떻게 ‘참 나’를 찾아가는지

안내하는 이 책은 수행과 믿음, 그리고 공동체라는 세 개의 거

울을 통해 무엇으로 다시 일어 설 힘을 얻는지 들려준다.

내 생애 첫 명상

박대성 교무

Korean Edition I 동남풍

이 책은 ‘몸 고르기’, ‘숨 고르 기’, ‘마음 고르기’에 이어 ‘명상

의 이로움’에서 보람을 찾고, 다 시 ‘뜻 고르기’를 통해 더 깊은 명상에 이르는 길을 소개한다.

그리고 ‘명상과 마음공부’로 원 불교 교법과 마음공부의 핵심 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

경전 공부 (정전을 중심으로)

형상 양상덕 교무 I Korean Edition I Won Media

미주 서부교구 버클리와 샌프란시스코 통합교당에서 근

무하는 저자는 원불교 정전에 담긴 핵심 교리를 누구나

이해할 수 있도록 그림으로 쉽게 풀어 설명하고 있다.

On Won Buddhism and the circularity of things ※

Won Buddhism aspires to reconcile the disparity between material and spiritual civilization by cultivating enlightenment and equilibrium in the mind. This reformed, modern Buddhist practice was established in Korea in 1916 by Founding Master Sotaesan (Park, Joongbin, 1891–1943). The Houston center, the largest in Texas, is located in Spring Branch, twelve miles northwest of downtown and bordered by Interstate 10 to the south and Loop 610 to the east. Spring Branch is a thriving neighborhood originally settled by German immigrant farmers in the mid 1800s. It continues to be a haven for immigrants to Houston and nurtures significant Korean American and Hispanic communities. The once rural setting is now a diverse environment that mirrors Houston in its constant change. Driving north on Blalock Road from its intersection with Interstate 10, you encounter the disparate, unconstrained nature of Houston’s typical development patterns. Low-density residential, commercial, and institutional uses are each prevalent and equally oblivious of their surroundings. What provides spatial consistency in this chaotic fabric is the natural verdure that permeates it.

This was the atmosphere I encountered on my first visit to the half-acre site. A low, one-story brick house stood at the west end of the property, shaded by scattered trees. I was taken by the majesty of three mature live oak trees closest to the house, providing protection with their leafy canopies as if hinting at the sanctuary to be. The adjacent properties seemed dissonant. One was a steel fabrication and construction operation, the other a noisy Camaro repair and restoration garage. The 1,600 square-foot house, which served as the meeting place for the congregation, was removed to clear space for a new 6,000 square-foot building and the onsite parking required by City of Houston building codes.

The new program and its two-story building accommodate the Dharma Hall (a meditation and prayer room), a small gallery, a community library and kitchen, a private prayer room, reception, offices, and the minister’s living quarters and guest rooms on the second floor. The compact design is made up of two square volumes linked by a transitional in-between space. This buffer zone is the gateway between the meditative and public activities of the center.

The wood, steel frame, and masonry structures are carefully positioned beneath the canopy of

venerable live oaks, their shape and shade complementing the right-angled architecture. The double-height Dharma Hall, the centerpiece of the complex, is placed at the east end of the property, away from the noise of the busy four-lane commercial street to the west. It is further sheltered by a peripheral garden wall. This screening layer around the Dharma Hall attenuates the audial and visual noise of the surroundings. Ivy climbs the wall, giving it the look of a green cushion. The sparsely lit prayer and meditation room is the sacred space where services and ceremonies are held. A won (circle in Korean), the symbol of Won Buddhism, hovers above the low, cantilevered mahogany shelf of the altar. Its golden hue radiates the path of truth and enlightenment that guides the practice.

A favorite axiom from the teachings of Won Buddhism is “No matter how abundant certain things may be, if a person does not know how to use them sparingly, he will receive the retribution of poverty.” Adhering to this adage, we sought a palette of quiet material and details that would enhance the daily life of the center. It was important to honor the value of our temperate budget by investing in durable building components procured at reasonable prices. Such enduring materials as solid white oak boards and natural stone coexist with such customary finishes as exposed concrete floors and off-the-shelf products. Consistent with other works of my studio, we exalt light and time as architecture’s most exquisite materials, as they measure the passage of daylight and changes in seasonal foliage.

The design and construction work took almost six years, in part due to a protracted and difficult permitting process, accompanied by the early upheavals of the COVID-19 pandemic. The center was completed during the winter of 2020/2021. Three years earlier, and soon after the existing house had been demolished, I sat beneath the trees for a site ceremony attended by two Won Buddhism ministers, several congregants, a benefactor, and the builder. I recall the beautiful prayers and chants that accompanied the grand yet modest ground-breaking festivity. It was at this celebration that I understood the depth of gratitude that permeates the faith of Won

Drawing by Carlos Jiménez

Buddhism. Its practitioners conduct their worldly and spiritual affairs in a constant state of grace. This begins with an elegant greeting as their palms come together to acknowledge the beauty of all sentient beings, followed by the bounty of their smilesin respect for all that inhabits the world.

This publication commemorates the opening of Won Buddhism of Houston almost two years after the building’s completion. During that interval, COVID-19 has raged across the world, making travel to and from the United States difficult for Won Buddhists members who wanted to attend the opening and visit the new center. During these two years the building acclimated to its east-west coordinates. It was even tested by a record-breaking winter freeze in February of 2021 that wreaked havoc on Texas’s electrical grid and landscape alike. Several branches from one of the trees fell, the ground cover and climbing ivy froze, but each has returned with surprising vigor. I mention these circumstances because every building begins life by entering a world of unforeseen consequences. It is the ritual of beginning and its daily circularity that especially appeals to me about architecture. As long as I can remember, I have been enthralled by the ways architecture lives in the constant narration of unforeseen events, even when a work is damaged, altered or destroyed. The ritual of beginning and the capacity to tell stories are the reasons why I find architecture to hold its essential place in the world. This publication tells a story of how the building came to be. It is my hope, with all of those involved in this humbling enterprise, that countless other stories can be found and read across these pages.

A work of architecture is a collective effort, a project of faith in the construction of a singular place. This place is incomparably expansive in its reach of time, transcending the limits of site and of building. When I think of architecture, I see it quietly growing in this place, inhabiting its

setting with the same grace as a tree, a child, a parent, a friend, a visitor, a philanthropist.

※ This article is from the book “On Won Buddhism and the Circularity of Things” (ISBN 979-8-218-07014-4) by Professor Carlos Jiménez from the Rice University School of Architecture. The book was published in 2022, following the construction of the Houston Temple of Won Buddhism.

Carlos Jiménez (Rice Architecture professor and principal of Carlos Jiménez Studio) teaches both undergraduate and graduate studios and a seminar on architecture, film, literature, and music case studies at Rice Architecture. He began his teaching career at Rice as a visiting critic in 1987 and as full time faculty in 1996. Professor Jiménez graduated with honors from the University of Houston College of Architecture in 1981, receiving best thesis and best portfolio awards. He established, Carlos Jiménez Studio, in Houston in 1983. He has taught at numerous universities in addition to frequently acting as lecturer, Juror and Visiting Critic at universities and cultural institutions in the US and internationally. He was a long-term jury member of the Pritzker Architecture Prize (2001-2011). Carlos Jiménez has won several awards for excellence in design and teaching, The work of Carlos Jiménez Studio has been exhibited nationally and internationally. In 2023, the National Academy of Design (www.nationalacademy.org) elected him as an architect of eight artists and architects as National Academicians.

조화

뜻이 있다. 이렇게 개혁된 현대적인 불법 수행은 1916년 한국에서 소태산 대종사 (박중빈, 1891~1943)에 의해 시작되었 다. 휴스턴교당은 미국 텍사스주에서 가장 크며 스프링 브랜치에 위치해 있다. 이곳은 휴스턴 중심가에서 북서쪽 으로 12마일 거리이며, I-10 고속도로 남쪽과 610 순환도로 동쪽 선상에 가까이 있다. 스프링 브랜치 지역은 1800 년대 중반에 독일 이민자들이

이 지역은 차츰 휴스턴으로 오는 여러 이민자의 안식처가

양상을 접하게 된다. 밀집도가 적은 주거지,

상업적이고 산업적인 용도의 건물들이 각각

일반적이지만 한결같이 그러한 주변 환경을

서로 의식하지 못한다. 이러한 혼돈스러운 구

조에서 공간적으로 일관성을 주는 것은 ‘자연

의 푸르름’이다.

이것이 약 0.5 에이커의 교당을 처음 방문해

서 느꼈던 주변 분위기이다. 낮은 일층 구조

의 벽돌 건물이 교당 부지의 서쪽 끝에, 흩어

져 있는 나무들의 그늘에 덮여 있었다. 나는

이 건물에서 가장 가까이 위치한 참나무 세

그루의 위엄에 놀랐으며 마치 성역을 암시하

듯 나뭇잎과 가지들로 건물을 보호하고 있었

다. 그러나 이웃들과는 조화가 맞지 않아 보

였다. 하나는 철 구조물 회사이고, 다른 하나

는 Camaro 컨셉 카센터였다. 교도들의 모

임 장소였던 1,600 스퀘어피트 공간을 허물고

6,000 스퀘어피트의 건물 신축과 함께 휴스턴

시의 건축 기준에 맞게 주차장을 설치했다.

새로운 구성요소로써 조성된 2층 건물에는 1

층에 선과 기도 공간으로써 법당, 작은 전시관

과 공공도서관, 작은 주방, 개인 기도실, 리셉

션 데스크, 사무실 등이 있고, 2층에는 교역자

숙소와 게스트룸이 있다. 이렇게 촘촘히 짜인

구조는 한 공간에서 다른 한 공간으로 바뀌는

연결 공간에 의해 두 개의 정사각형 모습으로

설계되었다. 이 연결 공간은 교당의 공공 활동

에서 교당의 수행 활동으로 이어지는 문의 역

할을 하고 있다.

목조, 철근, 벽돌로 이루어진 건축물은 교당 부지 오른쪽에 자리하고 있는데, 성스러운 참나무들이 감싸듯 그들이 제공하는 그늘과 형태에 건물은 조심스럽게 놓여 있다. 2층 높이의 법당은 이 건축물의 중심이며 교당 부지의 동쪽

끝에 위치하여

벽에 부착되어 불단이 조성되었는데, 원불교의 상징

으로써 일원상은 그 불단 위쪽에 높이 모셔져 있다.

일원상의 금빛은 수행으로 이끄는 진리와 깨달음의 길을 비춰준다.

원불교의 가르침에서 좋아하는 한 구절을 인용해 보

면, “아무리 흔한 것이라도 아껴 쓸 줄 모르는 사람은

빈천보를 받나니, ···”이다. 우리는 이러한 말씀을 따

라 교당의 일상생활에 적용할 수 있도록 단아한 재질 과 섬세함을 건축에 추구하였다. 적절한 가격으로 구

매한 튼튼한 건축 자재들을 사용함으로써 절제된 예

산을 지키는 것이 중요하였다. 그러한 견고한 자재들

이 하얀 색 참나무 원목과 자연석이며, 콘크리트 바

닥과 일반 기성품들도 다듬어서 함께 사용하였다. 나

의 건축 스튜디오의 다른 작품들처럼 우리는 빛과 시간을 건축물에서 가장 훌륭한 재료로 생각하였다. 햇빛의 통 과와 계절에 따른무성한 나뭇잎들의 변화를 살필 수 있기 때문이다.

이 디자인과 건축물의 완공에는 거의 6년이 걸렸다. 부분적으로는 오랜 시간이 걸린 까다로운 건축 허가 과정 때문 이었고, COVID-19 감염증의 유행이 전 세계에 시작되었기 때문이기도 하였다. 이 교당은 2020년 후반의 겨울에

완공되었다. 완공 3년 전 기존의 건물을 허물고 난 이후 나는 원불교의 두 교무님과 기부자, 몇몇 교도님들, 그리고 시공자와 함께 나무 아래에 앉아 엄숙하면서도 소박하게 진행된 기공식에서의 아름다운 기도와 염불을 기억한다. 이것은 원불교의 신앙으로부터 우러나오는 감사의 깊이를 이해할 수 있었던 축하 의식이었다. 수행자들은 꾸준하 게 은혜로움 속에서 하루하루 영성에 표준하여 일을 행한다. 이러한 일은 모든 중생의 아름다움을 인식하며 합장 이라고 하는 우아한 인사로 시작되며, 이어서 세상에 존재하는 모든 만물을 존중하는 함박미소가 뒤따른다.

이 책의 출판은 건물이 완공된 지 거의 2년 후에 거행되는 원불교 휴스턴교당의 봉불식을 기념한다. 그동안

COVID-19가 전 세계에 확산되면서 새로 완공된 교당의 방문을 원하는 원불교 교도들의 미국 여행을 어렵게 하였 다. 지난 2년 동안 이 건물은 교당 부지의 동서 방향으로 안착하였다. 건물은 2021년 2월 휴스턴 일대에 전력망과 자연환경에 심한 피해를 일으킨 기록적인 한파의 시련을 겪었다. 한 그루의 나무는 여러 가지가 꺾어졌고 벽을 타

고 오르는 담장 넝쿨도 얼었지만, 다시 놀랍게도 모두 생동감을 되찾았다. 내가 이러한 상황들을 언급하는 것은 모

든 건물은 결과를 예측할 수 없는 세계에 들어서면서 생이 시작되기 때문이다. 건축물의 시작과 하루하루의 순환 은 나를 건축에 사로잡게 하였다. 내가 기억하는 한, 건축물이 손상되고 변형이 되거나 혹은 파괴되더라도 나는 건 축물이 예상하지 않는 일들의 끊임없는 이야기 속에서 존재한다는 점에 매료되었다. 시작의 의식과 더불어 그 건 축물이 이야기들을 전할 수 있다는 힘은 내가 왜 건축이 세상에서 본질적인 위치에 있는지를 생각하게 하는 이유 이다. 이 책은 어떻게 건축이 진행되었는 지를 이야기한다. 이 고귀한 일에 함께한 모든 분과 책장을 넘기면서 많은 여러 이야기를 발견해 가기 바라는 마음이다.

건축은 어떤 유일한 공간을 건축하고자 하는 신념의 과제이며 공동의 노력이다. 이곳은 시간의 영역에서 비교할

수 없이 광대하며 장소와 건물의 한계를 초월하는 곳이다. 건축에 대해서 생각해 보면 건축물은 나무처럼, 어린아 이, 부모, 친구, 방문자, 박애주의자처럼 똑같이 은혜롭게 그 환경에서 살아가면서 그 장소에서 조용히 성장한다고 생각한다.

※ 이글은

카를로스히메네스교수(라이스대학교건축학과)의저서“OnWonBuddhismandtheCircularityof Things(원불교와만물의순환,ISBN979-8-218-07014-4)에실려있습니다.이책은원불교휴스턴교당이건축된이 후인2022년에출간되었습니다.

카를로스 히메네스(Carlos Jiménez)교수는 Rice 대학교 건축학과의 교수이며, 직접 건축스튜디오를 운영하고 있습니 다. 그는 대학 강의는 물론 건축, 영화, 문학, 음악 세미나 등을 통해서도 대학생과 대학원생들을 가르치고 있습니다. 그

는 1987년 Rice 대학에서 객원 교수로서 교육 경력이 시작되었으며, 1996년부터 전임교수로 활동하였습니다. 히메네

스 교수는 1981년 University of Houston 건축학과를 수석 졸업하였으며, 최고의 졸업논문과 포트 폴리오상을 수상하 였습니다. 1983년에 카를로스 히메네스 스튜디오를 설립하였고, 여러 대학에서 가르쳤으며, 미국뿐만 아니라 국제적으 로도 많은 대학과 문화 기관에서 강연자, 심사위원, 객원 비평가로서 활동을 계속하고 있습니다. 그는 프리츠커 건축상 (Pritzker Architecture Prize)의 장기간(2001~2011) 심사위원이었습니다. 히메네스 교수는 건축디자인과 강의를 통해

여러 수상 경력이 있는데, 그의 건축 스튜디오에서의 디자인 작업들은 미국뿐 아니라 국제적으로 전시되고 있습니다. 지 난 2023년에 National Academy of Design(www.nationalacademy.org)은 그를 8인의 예술가 또는 건축가 중 한 명 으로 선정하였습니다.

Mind Study

You must become the empty sky! Because the sky is empty, it subsumes all things. To become great persons, our minds have to become like the empty sky.

그대들은 허공이 되라.

허공은 비었으므로 일체 만물을 소유하나니

우리도 대인이 되려면 그 마음이 허공같이 되어야 하나니라.

Verse23,FoundationalPrinciples, TheDharmaDiscoursesofCardinalMaserChŏngsan 정산종사법어,원리편23장

Dharma Talk

Venerable Jeonsan

The Head Dharma Master of Won Buddhism Central Headquarters

Venerable

Jeonsan KOREAN

The Founding Master Sotaesan (Park, Joongbin)

The Second Head Dharma Master Chŏngsan (Song, Kyu)

The Third Head Dharma Master Daesan (Kim, Daegŏ)

종사

The Fourth Head Dharma Master, The Head Dharma Master Emeritus Chwasan (Yi, Kwangchŏng)

상사

The Fifth Head Dharma Master, The Head Dharma Master Emeritus Kyongsan (Jang, Eungcheol)

The Sixth Head Dharma Master, The Head Dharma Master of Won Buddhism Central Headquarters Jeonsan (Kim, Juwon)

HEAD DHARMA MASTERS

The History of Won Buddhism & Their Teaching

The Head Dharma Master of Won Buddhism USA Juksan (Hwang, Do-Kook)

The Sacred Pagoda of the Founding Master Sotaesan, S. Korea

Won Buddhism USA · Won Dharma Center 원불교 미국총부 · 원달마센터

원불교 미국총부(원달마센터) 설립은 지난 2011년 8월부터 뉴욕주에서 시작되었습니다. 미국총부가 위치한 원달마센터에서는 모든 분들에게 열린 영성센터로써 명상, 법회 등의 프로그램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USA HEADQUARTERS OF WON BUDDHISM (Won Dharma Center) is an Open Circle of teachers and students, neighbors and visitors, young and old, from any faith to no faith in New York State as the first step in the establishment of a US Won Buddhism Headquarters in Aug. 2011. The Won Dharma Center began as a spiritual center to provide meditation retreats and dharma services. (www.wonbuddhism.org)

Administrative organizations of Won Buddhism in the Americas

행정기관

Administration of Won Buddhism USA 교화단 관리본부 361 State Route 23, Claverack, NY 12513 T. 518-851-2581

Won Buddhist Center of Eastern Division

미주 동부교구청 (Eastern Regional Diocese)

143-42 Cherry Ave. Flushing, NY 11355 T. 718-762-4103

Won Buddhism of Western Division

미주 서부교구청 (Western Regional Diocese)

401 Shatto Place, Suite 200 L.A., CA 90020 T. 213-381-1261

Won Buddhist Temples in South America Weekly Schedule

Argentina Buenos Aires Temple

Dharma Servie, Saturday 11:00 AM Wonkwang Korean School, Saturday 3:00 PM T. 54-911-5400-3844

Dharma Service, Wednesday 5:00 PM

Won Dharma Center at CA

Brazil

São Paulo

Temple Chile Santiago Temple

Yoga Practice, Thursday 7:00 PM T. 56-2-2629-0793 www.instagram.com/wonbudismo.chile

Dharma Service (Online), Wed. 6:30 PM

Dharma Service, Sunday 11:00 AM Yoga, Tues./Thu. 3:00 PM, Mon./Thu. 7:00 PM Senior Yoga, Monday, 4:00 PM T. 55-11-99285-2098 www.facebook.com/wonbudismosp

T. 714-345-8557 19993 Grand Ave. Lake Elsinore, CA 92530 International Retreat Center of Hawaii

국제훈련원 T. 808-695-5551 84-551 Makaha Vallery Rd. Waianae, HI 96792

Vancouver

Denver

San Francisco

San Jose (Planting)

Fresno Valley

Western Regional Diocese (U.S.A.)/LA

Orange County

Won Dharma Center of CA

San Diego

Almaty

Moscow/Wonkwang Korean School/King Sejong Institute

Tampere

Berlin

Regensburg

Frankfurt

Cologne/Ilwon Meditation Center

Europe Diocese/Paris

The Hanulan European Timeless Son Meditation Center

Minnesota (Planting)

Toronto

Won Buddhism USA (Headquarters)

Administration of Won Buddhism USA

Won Dharma Center

Boston

Eastern Regional Diocese (U.S.A.)/New York

Wonkwang Korean School/Wonkwang Community Service Center

Manhattan/Won Buddhism UN & Interfaith Office

New Jersey

Philadelphia/Wonkwang Community Service Center

Wonkwang Korean School

Won Institute of Graduate Studies/Won Institute Temple Won Edification Center

Washington

Hawaii International Retreat Center of Hawaii The Central Headquarters of Won Buddhism, South Korea www.wonbuddhism.org (Eng.) www.won.or.kr (Kor.)

Won Buddhism Bowhuadang USA

Richmond

Raleigh Won Buddhism Meditation Center

North Carolina

Chicago

Tennessee (Planting)

Atlanta

Miami/The Research Institute of Sotaesan’s Thought in America

Houston/Won Library/Won Gallery

Austin/The Sotaesan Center/Won Media/Won Health and Life

Sao Paulo

Buenos Aires

Santiago

Dept. of International Affairs at the Central Headquarters of Won Buddhism, South Korea Tel. 02-6950-8917 ~ 21 (S. Korea) Email. wonintl@won.or.kr Temples & Organizations in the World https://www.won.or.kr/kyodangsearch (Kor.)

WON BUDDHIST TEMPLES & ORGANIZATIONS IN THE WORLD

Ulaanbaatar (Planting)

Ladakh Meditation Center Delhi Pokhara

Kathmandu/Wonkwang New-Life Center Bangladesh

Laos/Retreat Center

Samdong-Baekcheon Technical Vocational College Bangkok/WFB Won Buddhism Office Hanoi

Battambang/ NGO VMPCS WBRF/Won-Buddhist Relief Clinic

Phnom Penh/Wonkwang Baby Daycare Center Ho Chi Minh

Kaphunga/Wonkwang Center/Health Care Center/AIDS Rest Place

Ramokoka / Wonkwang Center Johannesburg

Won Buddhism Sotaesan Center (Seoul) The Central Headquarters of Wonbuddhism (Iksan) Youngsan Sacred Grounds (Yeonggwang)

Osaka

Kyoto

Reginal Diocess (Japan)/ Tokyo

Hunchun Yanbian Changchun Dandong Regional Diocess (China)/Beijing Qingdao

Shanghai Hangzhou Chengdu Hong Kong Kunming

Auckland

Melbourne

Queensland/Bo Wha Oriental Medicine Clinic

Gosford/Won Buddhism Meditation Centre

Sydney Kenya / Wonkwang Angels Daycare Center

Won Buddhism USA (USA Headquarters) / Won Dharma Center Tel. 518-851-2581 (U.S.A.) www.wondharmacenter.org

Temples & organizations in the Americas

www.wonbuddhism.org/won-temples www.sotaesancenter.org/temples-orgranizations

Won institute of Graduate Studies

Tel. 215-884-8942 (Eng.) / 215-758-2085 (Kor.) www.woninstitute.edu

Yokohama
Kunming
Battambang Ho Chi Minh
Brisbane Gosford
Hangzhou Chengdu
Pokhara Lumbini
Ladakh
Machakos
Qingdao
Hunchun Yanbian
Changchun Dandong
Tampere
KOREA(R.O.K.)
TÜRKIYE

Venerable Sotaesan, the Founding Master

The scriptures of Won Buddhism

The Fundamentals of Won Buddhist Teaching

Park, Joongbin (1891~1943), better known as Sotaesan, was born the son of peasants on May 5, 1891 in Korea. His spiritual journey started with questions about natural phenomenon and human relationships. His determination to find answers to these questions eventually led to his great awakening on April 28, 1916.

​At the age of 26 on April 28, 1916 he attained enlightenment after twenty years of seeking the truth and declared: “All things are of a single body and nature; all dharmas are of a single root source. In this regard, the Way (Tao) that is free from arising nor ceasing and the principle of the retribution and response of cause and effect, being mutually grounded on each other, have formed a clear and rounded framework.”

​He offered visions and hopes for a future society of popularized Buddhist practice and living, and he made efforts for practical application, popularization, and modernization of Buddha Dharma under the founding motto: “As material civilization develops, cultivate spiritual civilization accordingly.”

As the spiritual leader of Won Buddhism

for 28 years, including the dark period of World War II, he built a strong spiritual and material foundation of Won Buddhism from the three main undertakings of the order: edification, education, and charity. He lived as an enlightened sage and completed the basic doctrine of Il Won Sang, the Dharmakaya Buddha, the Fourfold Grace, and the Threefold Study. On June 1, 1943, he entered into Nirvana at the age of 53 after he transmitted the Verse of Truth to his disciples: “Being into nonbeing and nonbeing into being, Turning and turningin the ultimate, Being and nonbeing are both void, yet this void is also complete.”

The Scriptures of Won Buddhism

The Fundamentals of Won Buddhist Teaching

The Principal Book of Won Buddhism is the Won Buddhist Canon. It is the primary scripture written by the Founding Master Sotaesan. Within its pages the fundamental Won Buddhist teaching is elucidated in a simple and easy fashion.

​The Scripture of the Founding Master is the collected discourses of Sotaesan expound the Won Buddhist dharma in real situations so that it can be applied in actual situations of daily life.

MIND STUDY

A Study Becomes the Basis to All Others

Everything is of our mind’s creation. This is the essence of the Mind Cultivating. This world and our lives are the manifestation of our minds. Depending upon our state of mind, our lives can become happy or wretched, successful, or less than successful. From the mind study we can learn how to use our minds. To use the mind well, we should first know what the mind is like and how it works. Based on that understanding, we should cultivate and use it skillfully in everyday situations. Our original mind is pure, bright, and wholesome, lacking nothing.

Everyone has a mind and is constantly using it.

The simple study and practice of mind can enrich our lives.

Who am I? How can I define myself?

All I can do is watch myself in order to truly define myself. Constantly observing myself is the only way to get to know my self. Whenever I observe myself, I come to discover my true self in a realm of happiness.

I see my inner self in the same way that I look at the outside view from a moving bus. Before I knew it, my life has become a journey.

This Jeongjun Cartoon is excerpted from “Wonkwang”, which has been issued monthly in S. Korea.

Text & Picture by Rev. Doha Lee

Translated by WBNYC

I become happy whenever I watch myself.

WON Buddhism of Colorado Programs

We offer weekday group meditation, online Dharma service, retreats, and Continuing Education in Accupuncture (CEU Courses).

Rev. Dr. Bup will teach you to cultivate Qi for mind-body balance in this online CEU course. Learn various meditation styles with him.

WON Buddhism of Colorado 3090 S. Jamaica Ct. Aurora, CO 80014 wonbuddhismcolorado@gmail.com www.wonbuddhismco.org

Meditation Programs NCCAOM Moving Meditation

Won Buddhism of Philadelphia

원불교 필라델피아교당

Cultivating inner peace, joy and wisdom

In-Person Service

Sunday Dharma Service (Korean)

11:00 AM ~ 12:30 PM

Sunday Children Dharma Service & Korean School 1:30 PM ~ 4:00 PM

Saturday Dharma Service (English)

10:00 AM ~ 11:30 AM

Lunchtime Meditation (Thursdays) 12:00 PM ~ 1:00 PM More Programs

WON Buddhism of Philadelphia 423 Abington Ave, Glenside, PA, 19038

Tel: 215.886.8443 www.wonbuddhismpa.org

Welcome

Everyone, regardless of nationality, culture, age, gender/sexual orientation, or spiritual background.

Chapel Hill Temple

Tuesday Meditation 7:30 PM (In-person & Zoom)

Saturday Meditation Service 10 AM (In-person & Zoom)

Sunday Dharma Service 10 AM (In-person & YouTube Live)

Raleigh Meditation Center

Sunday Meditation 4 PM

Won Buddhism Meditation Temple 8021 Old NC 86. Chapel Hill, NC 27516 T. 919-933-6946 WontempleNC@Gmail.Com

Raleigh Temple 2816 Pleasant Union Church Rd. Raleigh, NC 27614

Won Buddhism Center, Atlanta

원불교

Won Buddhism Center in Atlanta, which will begin construction this year, is situated in the Atlanta area, a central location in the southeastern. It aims to be a warm sanctuary that develops spirituality and enlightens the world through retreat programs based on meditation, prayer, and the study of the mind.

677 Eva Kennedy Rd. Suwanee, GA 30024 T. 678-395-1445 atlantawon@gmail.com www.wonbuddhismat.org

It is said that a person's mind is so extremely subtle that it exists when you take hold of it, but disappears when you let it go. How then can one cultivate one's mind without checking it? Verse 1, Practice, The Scripture of the Founding Master, Won Buddhism

The Centers for Meditation & Mind Study in Texas

Won Buddhism of Houston www.wontemple.org

Won Buddhism of Austin www.sotaesancenter.org

Discover Healing with Acupuncture & Herbal Medicine

한방 클리닉

Cultivating inner peace, joy and wisdom

Won Buddhism Bowhuadang USA Inc

원광 보화당 한의원

14650 Rothgeb Dr. #D, Rockville, MD 20850 USA

T. 240-477-3866 seunglinseo@gmail.com

Won Institute Acupuncture Clinics

미주선학대학원대학교 한방클리닉

T. 215-884-8942

www.woninstitute.edu/clinics

Bo Wha Oriental Medicine Clinic

호주 보화당 한의원

T. 07-3219-1002

14 Ilya St. Macgregor, QLD 4109 Australia

136

Won Books ︳Won Publisher 501, Iksan-daero, Iksan-si, Jeonbuk-do 54536 S. Korea

One Truth, One Family, One World

Illuminating the world with Great Wisdom, Paving the way for a peaceful future 세계를 밝히는 지혜, 평화로운 미래를 위한 선도적 역할

We Do :

Dept. of International Affairs 국제부의 중심 업무

International exchange, External cooperation, Interfaith alliances, and Scripture translation

Promoting and Supporting the Globalization of Won Buddhism for Peace and Prosperity for the World

Enhancing the Understanding of Won Buddhism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nd Fostering Cultural Exchange

Practicing Social Welfare and Altruism through Collaborative Efforts with Local Communities

국제교화, 대외협력, 종교연합, 경전번역

세계 평화와 인류 번영을 위한 원불교의 국제적인 확산 및 지원

국제 사회에서의 원불교 이해 증진과 문화적 교류 촉진

지역사회와의 협력을 통한 사회복지 및 인도주의적 가치의 실천

Dept. of International Affairs at the Central Headquarters of Won Buddhism

원불교 중앙총부 국제부

Won Buddhism Sotaesan Center

9th Fl., 75 Hyeonchung-ro, Dongjak-gu, Seoul 06904 S. Korea

전화. 02-6950-8917 ~ 21 (한국) / Email. wonintl@won.or.kr

One Truth

하나

One Family 인류는 한 가족

One World 세계도 하나

King Sejong Institute, Moscow

모스크바 1 세종학당 원광한국교육센터 125057, Russia, Moscow, st. Ostryakova 9a 125057 T. 7-499-157-9894 won-moscow@hanmail.net

King Sejong Institute, Tampere

탐페레 세종학당 빔아트예술학교-원광디지털대학교 Pinninkatu51, 33100 Tampere, FINLAND T. +358465449502 chk7008@hanmail.net

King Sejong Institute, Phonsavan 폰사반 세종학당

원광디지털대학교-삼동백천기술직업대학교

Samdong-Baekcheon Technical Vocational College Li Village, Pek, Xiengkhouang, Lao PDR T. 070-8064-7612 (Korea) osondoson@kakao.com

Samdong-Baekcheon Technical Vocational College

삼동백천기술직업대학교 T. 070-8064-7612 (Korea)

Wonkwang Baby Daycare Center, Phnom Penh

원광탁아원 (캄보디아 프놈펜) T. 017-878-349 seahun7@gmail.com

Won Buddhist Relief Clinic, Battambang

캄보디아 바탕방 보건소 T. 092-708-324 superherosun@gmail.com T. 063-858-9481 (Korea)

Wonkwang Taekwondo Club, Battambang

바탕방 원광태권도클럽 T. 092-708-324 superherosun@gmail.com

One World / One Big Family

Bodhi Won Foundation, Nepal

새삶원광사회교육센터 T. 977-9841400999

Ladakh Winter Tuition,

In Delhi: Women Vocational Center, Computer Free Education, and After School for Class 1-12th

인도 라다크 지역 겨울 어린이 교육 프로그램,

델리 여성 직업 훈련, 무료 컴퓨터 교실 및 방과후 프로그램

The Delhi Temple of Won Buddhism, India T. +91-9312009648 wonbuddhismdelhi@gmail.com

Wonkwang Angels Preparatory School,

Kenya

원광 엔젤스유치원 (케냐) T. +254 112 734 756

Samdong International 삼동인터내셔널 T. 063-858-9481 (Korea) www.sdi.or.kr

HANURAN Movement Inc. (사)한울안운동 T. 02-814-4521 (Korea) www.hanuran.or.kr

People Together With

네팔을 돕는 (사)함께하는 사람들 www.wonnepal.kr

Future For African Children

(사)아프리카 어린이 돕는 모임 www.africafuture.org

WFB Won Buddhism Office, Thailand

WFB원불교연락사무소

212/16-17 Sukhumvit Plaza 4th Fl., Sukhumvit Soi 12, Khwaeng Klongtoey

Khet Khlong Toei, Bangkok 10110 Thailand

T. 66 (0)902973211

Thank you for your support!

At Won Media & The Sotaesan Center, we would like to thank the contributors who have supported us with their donations.

These donations have enabled us to keep our doors open to the community. Your support will help us to continue to publish MIND STUDY magazine & books and offer our services including meditation meetings, operating a free library, and other programs.

We greatly appreciate your continued support and contributions.

If you’d like to join us, please visit: www.sotaesancenter.org/giving MIND STUDY Magazine (마음공부

MIND STUDY

www.issuu.com/wonmediabook www.mindstudy.net

is published by Won Media, operating under The Sotaesan Center, a nonprofit organization, as a DBA. The magazine will cover topics such as mind study, enlightenment, meditation practices, life, humanity, Won Buddhism, and more.

Turn static files into dynamic content formats.

Create a flipbook
Issuu converts static files into: digital portfolios, online yearbooks, online catalogs, digital photo albums and more. Sign up and create your flip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