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성수 회장 약력
성공회 성미카엘신학원
셀리오크 신학대학 연세대 신학 명예박사학위
대한성공회 사제 서품(1964)
대한성공회 대주교(1990)
성공회대학교 총장(2000~2009)
파라다이스상 사회복지부문 대통령 표창
CONTENTS
WeFriends vol.81 2025 봄
편지
의료비 지원 현황
독재
민주주의 훼손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역사의 복고는
있을 수도, 있어서도 안 됩니다.
지금 우리는 역사의 퇴행을 목도하고 있지만, “봄은 겨울을 인내한 자의 것”이라는 시구처럼, “겨울을 참아내어 봄 강물에 배를 다시 띄우는” 새봄이 속히 오기를 고대 합니다.
vol.81 2025
발행처 (사)한국이주민건강협회 위프렌즈 발행일 2025년 3월 27일
발행인 김성수 편집인 김정우, 한지희 디자인 하트비 www.heartbee.com 표지설명 2025년 위프렌즈 표지는 일상 속 짝이 되는 물건들로 구성했습 니다. 이 물건들은 서로 연결되고, 함께할 때 더 큰 힘이 된다는 메시지를 전합니다. 우리가
Tel. 02)3147-0516~8 Fax. 02)3147-0519 www.wefriends.org
photo ⓒ Cho, Seihon
2054년, 친구 티모와 함께 빚을 내어 차린 마카롱 가게가 망
하자 미키는 사채업자들의 끈질긴 빚 독촉에 시달립니다. 채
무자를 지구 끝까지라도 쫓아가 잔인하게 살해하는 사채업
자들에게 잡히지 않기 위해, 그는 극단적인 결정을 내립니
다. 아예 지구를 떠나는 것.
마침 선거에서 패배한 정치인 마샬이 함장으로 참여하는 니
플헤임 행성 이주 프로그램이 공개됩니다. 미키는 살해 위협
에서 벗어나기 위해 망설임 없이 지원서를 제출했지만 중요
한 사실을 간과했습니다. 그가 지원한 프로그램은 익스펜더
블(Expendable), 즉 ‘소모품 인간’이 되는 것이었습니다.
익스펜더블은 행성 개척을 위해 위험한 임무를 수행하다 죽 으면, 기억을 이식한 복제체로 다시 태어나 일을 이어가야 하는 존재입니다. 단 한 번의 희생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죽음과 고통이 끝없이 반복됩니다.
익스펜더블은 단순한 개척 임무뿐 아니라 차량 충돌 실험,
방사능 노출 테스트, 맹독 가스 실험 등 온갖 위험한 인체 실
험에도 동원됩니다. 익스펜더블에게 주어진 역할은 단 하나,
“아파도” 일해야 하고 “더러워도”, “숨막혀도”, “유해해도”,
“외로워도”, “추워도” 일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죽어도 다시
프린트되어 일을 해야 합니다.
미키는 빚 독촉과 살해 위협에서 벗어나기 위해 선택한 길이
또 다른 형태의 고통이었음을 점차 깨닫게 됩니다. 그는 단
순한 소모품이 아닌 ‘인간’으로서 살아남고자
견합니다. 더 나은 미래를 위해 한국으로 이주
를 선택했지만, 실제 그들이 마주하는 현실은
열악하기 그지없습니다. 비닐하우스 숙소에서
한겨울에도 난방 없이 견뎌야 하고, 폭염 속에
서도 보호장비 없이 방치됩니다. 유해가스에 노
출되어 때로는 목숨을 잃기도 합니다. 일하다
사고를 당해도, 병이 나도 노동을 멈출 수 없습
니다. 더 이상 노동력이 되지 못하는 순간 그들
의 자리는 새로운 노동자로 곧바로 대체될 뿐, 그들의 존엄과 권리는 언제나 뒷전입니다.
미키가 속한 우주 개척 프로젝트처럼 한국의
이주노동자들도 한순간에 사라져도 시스템은
멈추지 않습니다. 공장에는 계속 새로운 노동자
가 들어오고, 농촌과 어촌에는 또 다른 일손이
투입될 뿐입니다.
미키가 시스템에서 벗어나지 못하듯 이주노동
자들도 고용허가제 아래에서 자유롭게 일자리
를 옮길 수 없습니다. 사업장에서 학대받거나
임금을 떼여도,
서로 연결되어 힘이 되는 위프렌즈
WeFriends : Connected and Empowered Together
WeFriends Aid
협력
섭외 및 네트워킹
장제비지원 국내 체류 중 여러 원인으로 사망한 이주노동자에게 장제비 지원 연중
이주노동자
자살예방사업
이주민
쉼터지원
이주배경 아동
의료비 지원
① 유관단체 네트워킹 ② 이주노동자 자살예방 상담실무 역량강화 교육 연중
① 쉼터 환경개선, 냉난방용품 지원 ② 질병 예방을 위한 백신 접종 지원 연중
의료사각지대 이주배경 아동에게 의료비 지원 연중
이주배경 청소년 장학사업 경제적 이유로 학업수행에 어려움을 겪는 이주배경 중·고등학생에게
이주아동 생활지원
출판
2026 탁상달력 제작 ② 위프렌즈 브로셔 제작
③ 위프렌즈 사업단 홍보물 제작 ④ 위프렌즈 사업 홍보물과 굿즈 제작
① 소식지 : 연간 4회
③ 2024년 연간보고서
③ 사업 성과 사례집
④ 연구보고서
이주민건강 월례포럼 ‘이주민 건강권 증진’을 위한 세부 주제를 선정하여 내부 월례포럼과 간담회 진행 연중
이주노동자 정신건강 실태조사 ① 이주노동자 정신건강 실태조사 영문보고서 발간 ② 이주노동자 자살사망 원인 조사 연중
난민아동·청소년 실태조사 난민 아동·청소년의 한국 사회 정착 및 사회통합에 대한 경험과 전망, 그리고 이를 가로막는 요인에 대한 실태조사 연구 1~6월
지원방안 연구 미등록 이주민 생활안정 및 의료비 지원
물품 배분 재단, 기업의 후원 물품을 협력 상담소와 유관기관에 배분,
2024 의료지원 통계로
2024년 위프렌즈 의료지원은 총 761건, 지원금 규모
51억 1,700만 원으로 역대 최대를 기록했습니다.
이는 전년 대비 지원 건수 2.7%, 지원 금액 18.8% 증
가한 수치로, 단순한 양적 성장뿐만 아니라 중증질환
환자 지원 확대와 의료서비스 질적 향상을 이룬 한 해
였습니다.
이주민 국적별·인구학적 특성
의료지원을 받은 이주민의 국적은 태국(24%), 베트남
(20%), 필리핀(17%), 몽골(11%) 순으로 나타났습니
다. 주목할 점은 태국 국적 이주민이 기존 최다 참여자
였던 베트남을 넘어섰다는 것입니다. WeFriends Aid
신규 회원가입에서도 태국 국적 이주민의 참여가 두드
러졌는데, 이는 태국 공동체 내에서 의료지원 정보가 활발히 공유되고, 네트워크가 강화된 결과로 보입니다.
성별 분포는 여성 52%, 남성 48%로 균형적인
연령별로는 40대(26%), 30대(23%), 50대(22%), 6세 이하 영유아(15%) 순으로 나타나
의료수요와 진료 경향
진료과목별로는 내과계열이 43%로 가장 높은 비중
을 차지했으며, 이는 전년도(34%)보다 크게 증가한 수
치입니다. 그 뒤를 이어 외과계열(21%), 소아청소년과
(11%), 산부인과(9%)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내과계열
이용 증가는 만성질환 관리와 기본적인 의료서비스 수
요가 높아지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19세 이상 성인 이
주여성 지원은 전체 의료비 지원 건수의 43%로 전년
도와 유사한 수준을 유지했으나, 조산, 유산, 사산 사례
가 여성 지원의 5.2%를 차지해 여전히 모성보호의 중
요성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응급의료 지원과 영유아 의료안전망
응급의료 지원은 전체 지원 건수의 21%, 전체 지원 금
액의 66%를 차지했습니다. 이는 2022년 이후 꾸준히
증가해, 응급의료 지원의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특히 6세 이하 영유아가 응급의료 지원 건
수의 39%, 지원금의 43%를 차지해 이주민 중에서도
가장 취약한 집단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영유아들
은 대부분 중복질환으로 장기 입원과 고액의 치료비가 필요했는데 이주아동의 부모가 미등록 체류자 또는 난
민 신청자로 건강보험 적용을 받기 어렵고, 모자가정 비
율도 높아 취약성이 가중되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영
유아 의료비 및 응급 지원은 영유아들이 차별 없이 안
정적인 치료를 받고 생명권을 보호하는 데 크게 기여했
습니다. 이는 단순한 의료비 지원을 넘어 이주민 가정의
구축하는 중요한 성과로 평가됩니다.
“건강권 보장으로 한국사회 정착 지원”
위프렌즈는 유엔난민기구와 함께 “난민 의료지원 사업”
으로 의료지원이 필요한 난민의 건강권을 보호하고 있 습니다.
2024년 난민 의료비 지원은 총 31건 (남 45%, 여 55%)이었습니다. 참고로 2023년 남 65%, 여 35% 지
원에 비해 2024년에는 여성의 의료비 지원 비율이 증
가했습니다. 이는 여성 난민의 의료 접근성이 개선되
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의료 이용 형태별로는 외래 진료
14건(45%), 입원수술 치료가 17건(55%)이었고 이 중
응급치료가 8건(26%)을 차지했습니다.
이번 사업에서 의료비 지원은 14곳의 난민,
포함 14곳의 의료기관이 건강보험 수가 적용이 나 의료비 감면을 해주어 의료지원 참여자들이 의료비
를 감면받았습니다.
2024년도는 외래 진료보다는 입원수술 응급진료
를 받은 사례와 고액 치료비 발생 사례가 크게 증가 했습니다. 외래 진료 14건의 지원 의료비 총금액은
5,678,150원 (13%), 입원수술 치료 17건의 총지원금
은 37,201,850원(87%)를 차지했습니다. 외래진료보
다 입원수술에 더 많은 자원이 투입된 것은 중증 질환
에 대한 실질적 지원이 이뤄지고 있음을 보여주며, 의료
비 지원 금액이 500만 원까지 이르는 사례가 있어 고액 의료비로 인한 난민 가정의
위프렌즈 사업팀 02-3147-1691 (사)한국이주민건강협회 위프렌즈는 한국 땅에서
한국에서 체류 중 사망한 이주민의 장제비(미등록 이주민 포함)
장례절차에 소요되는 비용
최대 300만 원 이내
* 기금 소진 시 종료
지원 신청 공문, 신청서, 사망진단서 등 사망 관련 서류,
장례비용 지출 영수증, 신청 기관의 고유번호증 및 통장사본
이메일 we@wefriends.org로 신청
* 개인 신청은 불가하고 이주민지원기관을 통한 신청만 가능함
의료지원
WeFriends Aid 의료비, 난민의료비, 응급의료비, 영유아 의료비
건강증진
감염병 예방, 자살 예방, 정신건강증진 사업 지원
이주아동
건강성장 의료비, 장학사업, 생활지원
필요한 이주민에게 배분
위즈가 되어주시면
1
후원 웰컴 페키지
감사의 마음을 담아 후원자 카드, 후원 감사 편지, 위프렌즈 굿즈를 보내드립니다.
2 3
4 정기 활동 소식 행사 초청 기부금 영수증
뉴스레터와 계간 소식지, 연간보고서와 탁상 달력을 보내드립니다.
학술 행사와 후원의 밤, 창립기념 행사 등 다양한 프로그램에 초대합니다. 국세청 연말간소화 서비스에서 기부금영수증을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후원문의 02) 3147-0516~8 후원계좌 : 신한은행 140-006-343036 (예금주 : (사)한국이주민건강협회 위프렌즈) 위프렌즈는 「법인세법 시행령」
개인 최대 30% (1천만원 이하 15%, 1천만원 초과 30%), 법인은
www.wefriends.org
* 2024년 7월부터 (사)한국이주민건강협회 희망의친구들 단체명이 (사)한국이주민건강협회 위프렌즈 로 변경되었습니다.
소외와 차별 없는 이주민의 건강과 웰빙 증진”
WeFriends는 이주민이 건강한 사회 한국인도
살기 좋다는 믿음으로 다음과 같은 사명을 수행합니다.
1. 이주민 건강권 옹호자
2. 모두를 위한 건강 안전망 “이주민과 함께 모두가 건강한 사회를 실현하는 대한민국 대표 NGO”
1. We Care 관심과 이해
우리는 이주민의 건강을 권리로써 이해하고 관심하며 취약한 상황을
개선하여 모두가 건강한 사회를 위해 노력합니다.
2. We Cooperate 협력과 연대
우리는 이주민과 한국인, 이주민 출신국과 체류국, 공공과 민간 사이의 협력과 연대를 통해 문제를 해결해나갑니다.
3. We Change 변화와 발전
우리는 이주민에 대한 인식개선, 제도와 환경의 변화를 추구함으로써
이주민과 함께 지속가능한 발전을 이루어갑니다.
WeFriends
의료지원 사례
이름 아멜리아 (가명) 국적 필리핀
병명 유방의 악성 신생물
지원금 672,000원
아멜리아 씨는 20대에 한국에 입국해 약 20년간 이주노
동자로 살아왔습니다. 그동안 필리핀에 있는 어머니와 딸
의 생계를 위해 쉼 없이 일했지만, 정작 자신의 건강을 돌
볼 여유가 없어 질병에 대비하지 못했습니다. 건강에 대
한 걱정이 커지던 중, 아멜리아 씨는 자신이 활동하고 있
는 위프렌즈 협력상담소를 통해 건강검진을 받게 되었습
니다. 검진 결과 모르고 있던 유방암과 담낭 질환이 발견
되었고, 수술이 필요한 상황이었습니다. 한국에서 홀로
수술을 받아야 한다는 외로움과 두려움, 그리고 무엇보다
진료비에 대한 큰 부담으로 아멜리아 씨는 극심한 스트레
스를 겪었습니다. 위프렌즈는 아멜리아 씨의 어려움을 함
께 나누며 의료비 일부를 지원했고, 덕분에 그녀는 유방
암과 담낭 제거 수술을 무사히 받을 수 있었습니다. 앞으
로도 항암치료를 위한 진료비가 계속 발생하겠지만, 아멜
리아 씨는 완치의 희망을 품고 일상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그녀는 "무엇보다 아플 때 함께해주셔서 정말 감사합니
다"라고 고마운 마음을 전해왔습니다.
장학금이 선물한 자신감과 희망
2024년 (재)바보의나눔 & 대덕전자와 함께한
위프렌즈 장학생들의 변화와 성장의 이야기를 전합니다.
경계와
태어났고,
때 부모님을
능력을 향상시켰고, 또래들과 문화 교류의 기회도
가졌습니다. 노트북도 마련하여 자기주도학
습 시간이 늘었고 수업과제도 효율적으로 해
결할 수 있었습니다. 장학금은 물질적 도움
뿐 아니라 따뜻한 지지와 격려가 되었습니다.
얻었고, 외국어학과에 합격했습니다.
이주배경 청소년들은 국적, 체류자격 등 많
꿈꾸기 어렵습니다. 고민 이 많고 힘들었던 저에게 장학금이라는 도움 의 손길을 내밀어 주셔서 깊이 감사드립니다.
어머니 혼자 생계를 꾸려가는 상황에서 학원
부담을 드리고 싶지
방법
보호하기 위한 의료비 지원 사업을 진행합니다. 많은
2025년 3월 ~ 10월
서울, 경기, 인천에 거주하는 입국 6개월 이상의 미등록 이주민
* 여성과 아동(18세 미만 ) 우선 지원
심사를 통해 진료비의 일부(최대 500만 원) 지원
* 전액 지원 아님
1. 이주민단체 또는 의료기관 사회사업실을 통한 신청 (개인 신청 불가)
2. 위프렌즈 홈페이지 (www.wefriends.org)에서 신청서 양식을 내려받아 작성한 후 필요서류와 함께 이메일(we@wefriends.org) 접수
사업팀 02-3147-0516 we@wefriends.org
1
2
3
4 남 49 몽골 결장의 폴립 외 299,000
5 남 35 태국 요추 및 기타 추간판장애 46,000
6 여 37 네팔 요추염좌 외 139,000
7 남 48 남아프리카 공화국 철결핍빈혈 50,000
8 여 38 인도 강직성 척추염 124,000
9 여 57 몽골 승모판 치환상태 120,000
10 남 44 필리핀 뇌손상 외 55,000
11 여 24 베트남 갑상선의 악성 신생물 118,000
12 남 30 태국 만성 바이러스B형간염 337,000
13
14 남 44 미얀마 3도 치핵 1,000,000
15
16 남 42 방글라데시 만성 바이러스B형간염 133,000
17 남 55 필리핀 고혈압 45,000
18 여 59 필리핀 만성담낭염, 위염 142,000
19 남 39 필리핀 당뇨, 고지혈증 311,000
20 남 37 베트남 결핵성 흉막염 900,000
21 여 60 중국 뇌내출혈 외 1,000,000
22 여 46 태국 난소의 양성 신생물 외 1,170,000
23 여 45 태국 대뇌 기저핵의 뇌내출혈 3,000,000
24 남 25 우즈베키스탄 급성충수염 1,500,000
25 여 32 세네갈 삼차신경통 378,640
26 남 45 베트남 지주막하출혈 3,000,000
27 남 29 말레이시아 거미막하출혈 2,000,000
28 남 52 우즈베키스탄 심부전 2,000,000
29 여 30 몽골 뇌경색증 800,000
30
32 여 34 태국 쯔쯔가무시병 59,000
33
34
35
36 남 38 몽골
49
50 여 49 몽골 신경뿌리병증 요추부 좌측 외 130,000
51 남 51 필리핀 통풍 여러 부위
52
53 여 32 태국 갑상선기능항진증 외 68,000
54 여 52 태국 고혈압성 망막병증 외 165,900
55 여 34 미얀마 제왕절개 분만 1,300,000
56 남 49 파키스탄 신장암 2기 2,700,000
57 남 41 베트남 간장장애 외 570,000
58 여 41 태국 팔꿈치의 탈구 외 500,000
59 여 49 중국 추간판전위 87,000
60 여 56 필리핀 요관의 결석 53,000
61 남 33 베트남 갑상선기능항진증 126,000
62 여 49 베트남 류미티스 관절염 외 310,000
63 남 62 중국 심근경색증 180,000
64 남 47 베트남 저산소성 뇌손상 2,000,000
65 여 61 중국 복통 134,000
66 여 36 인도 천식 외 68,000
67 남 50 중국 2형 당뇨병 외 517,000
68 남 48 필리핀 당뇨, 고지혈증 58,000
69 남 41 필리핀 갑상선기능저하증 40,000
70 남 37 베트남 목의 관절 및 인대의 염좌 및 긴장 외 171,000
71 여 47 필리핀 요관결석을 동반한 신장결석 166,000
72 여 58 중국 자궁경부의 염증성 질환 외 197,000
73 여 44 중국 2형 당뇨병
74
75 여
76
81 남 38 태국 요관의 결석 외 53,000
82 남 38 태국 요관의 결석 외 1,000,000
83 남 34 이집트 약물중독, 급성신장손상 2,035,641
84 여 28 태국 갑상선암 1,254,000
85 여 49 태국 유방통, 유방종괴 66,000
86 남 57 몽골 만성 바이러스 B형간염 외 158,000
87 남 39 몽골 망막 장애 120,000
88 여 36 캄보디아 3도 치핵 660,000
89 남 55 중국 요관결석 173,000
90 남 62 베트남 뇌경색증, 벨마비 65,000
91 여 51 태국 상아질 우식증 700,000
92 남 37 인도 케도산증을 동반한 당뇨병외 1,000,000
93 여 34 태국 자궁의 벽내 평활근종 46,000
94 여 35 태국 이차성 월경통 외 51,000
95 남 52 태국 2형 당뇨병 외 127,000
96 남 50 태국 고혈압, B형간염 132,000
97 여 39 태국 고혈압, 고지질혈증 84,000
98 여 34 태국 난소의 자궁내막증 339,000
99 여 34 태국 난소의 자궁내막증 1,000,000
100 여 50 태국 두통 72,000
101 남 46 태국 간경화증, B형간염 92,000
102 남 41 나이지리아 위장염 및 결장염 외 177,000
103 남 38 중국 인플루엔자 103,000
104 여 51 중국 혈뇨 외 419,000
105 여 51 중국 기관지폐렴 102,000
106 여 60 필리핀 폐렴 외 121,000
107 여 41 태국 만성 항문열창 472,000
108 여 35 태국 점막하 자궁근종 외 473,000
109 남 39 베트남 알레르기 63,000
110 여 48 필리핀 무월경 89,000
111 남 30 몽골 강직척추염 천추 및 천미추부 658,000
112 남 52 필리핀 뇌경색증 외 206,000
113 남 37 스리랑카 궤양성 대장염 153,000
114 남 55 태국 복통 293,000
115 여 57 중국 과혈당증 44,000
116 여 57 중국 뇌경색증 120,000
117 남 56 필리핀 변형 협심증
분과 함께 하였습니다. 실무적인 내용과 함께 활동하면
서 궁금했던 점을 해소할 수 있는 시간이었습니다. 이주
민 의료 지원을 함께 해주실 신규 실무자분들의 앞으로
의 활동이 기대됩니다.
정착을 돕는 데 기여했다고 평가받았고, 회계감사 (신기동 회계사)에서는 위프렌즈의 재정 운영이 투명하
통한
기여가 긍정적으로 평가되었습니다. 4. 미등록 이주민 생활안정 및 의료비 지원 성과평가 및 지원방안 연구 보고서 발간
JB우리캐피탈 지원 ‘경계와 취약을 넘어 모두 건강한 사 회를 위한 의료비 및 생활안정 지원 사업’ 1차 년도 성과 와 효과를 분석한
6. 2025 위프렌즈 정기총회 개최 위프렌즈는 2월 20일 2025년도 정기총회를 개최하였
습니다. 이날 총회에서는 김철환 이사의 진행으로 2024
년도 사업 실적과 결산을 보고하고, 2025년도 사업계획
안과 예산안을 심의·승인하였습니다. 올해는 기존의 의
료비 지원사업, 이주배경 청소년 장학사업에 더해 장제
비 지원사업과 이주민 쉼터 환경개선 사업이 새롭게 시
작됩니다. "서로 연결되어 힘이 되는 위프렌즈"라는 표어
아래, 이주민과 난민의 건강불평등 해소와 포용적 의료
시스템 구축을 위해 더욱 힘쓸 예정입니다.
1. 세계이주민의 날 기념대회와 제5회 미누상 시상식
위프렌즈는 2024년 12월 15일 성공회대학교에서 열린
김설이(경기)
양우철(경기)
윤대호(서울)
한정옥(경기)
최병희(서울)
삼성훈내과의원(031-523-3353)
경기도 구리시 체육관로80번길 9, 302호 뉴욕치과의원(031-635-2822)
소득세법 제34조 제1항의 지정 기부금단체로 연말정산 시 개인은 30%, 법
경기도 이천시 이섭대천로 1220, 3층 *문의 02)3147-0516~8 we@wefriends.org
위프렌즈(舊희망의친구들)사업단은 네팔 의료취약 지역의 보건소 설립 운영과 국내 이주다문화 아동의 건강한 삶을 지원하기 위해 핸드드립커피, 티백커피, 녹차, 허브차, 치약 등의 다양한 희망물품을 판매하고 있습니다.
Thank you, New Wiz! My friend♥
제1회 위즈데이에 초대합니다
To. 현명한 선택으로 세상을 바꾸는 여러분께
안녕하세요, 소중한 위즈 여러분!
여러분의 지속적인 지원과 관심 덕분에 위프렌즈는
이주민과 난민의 건강권과 인권 증진을 위해 활동하고 있습니다.
반갑고 설레는 마음으로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위즈와 함께 변화의 순간을 나누고 싶습니다.
# 행사 개요
일시 : 2025년 5월 22일 (목) 오후 6시 30분
장소 : 위프렌즈 사무실 (서울시 서대문구 통일로9길 12. 2층)
대상 : 2023~2025 위즈 (추후 초대장을 보내드립니다)
프로그램 : 환영과 네트워킹, 위프렌즈 활동 보고 및 성과 공유, 경계를 넘어 - 우리의 이야기
* 위즈 Wiz는 위프렌즈 후원자의 이름입니다.
위프렌즈 위즈는 현명한 선택으로
세상을 더 나은 곳으로 만드는 지혜로운 사람입니다.
등록 및 문의사항 : 02.3147-051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