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 Annual Report
Healthy Society for Migrants, Good for Koreans to Live


2019년은 희망의친구들 창립 20주년이었습니다.
20년 동안 희망의친구들 변화의 과정에 함께 해주신 여러분께 감사드립니다.











1999. 9. 21 외국인노동자 의료공제조합 창립식 및 기념 심포지엄 거행

2001. 9. 21
창립 2주년 및
<외국인노동자의료백서>
출판기념회 개최
2002. 6. 3
2002. 9. 28
2003. 5. 5~
2003. 10. 22
외국인노동자 권리증진을 위한 한・일 공동포럼 주관
외국인노동자 진료네트워크
구성을 위한 워크숍 개최
<희망의친구들 어린이날 무지개축제> 개최
<사단법인 한국이주노동자 건강협회> 설립
2004. 9
제9차 아시아이주노동자회의
준비사무국 담당, 아시아 20개국 200여명 참가







이주노동자 본국 지원을 위한
‘한국-네팔 공동의료개발 사업’ 진행
<사단법인 한국이주민건강협회>로
단체명 변경
희망투게더, 이주노동자 환자들에게
이주민 간병인 지원 사업 시작
창립 10주년 기념 국제포럼 개최
창립10주년 기념 및
<한국사회와 이주민건강>
출판기념회 개최
인권의 눈으로 바라본 이주아동 건강권
심포지엄 개최




Giving Ceremony of ‘The Life Saving Foreign Coin Miracle 2 ’ :
Supporting Medical Expenses of Newborn Children of Migrants
February

April

The 18th We Friends Rainbow Festival MOU Signing Ceremony with iCOOP Seed Foundation on ‘Health Promotion Assistance for Migrants’
January March May




June

Giving Ceremony of Class 1983 of Department of History, Korea University: Myanmar Water Purifiers Installing Assistance Hyundai Motor Group ‘ Vulnerable Migrants’ Health Promotion Project since 2004
Giving Ceremony of Dongkuk Steel : Supporting Vulnerable Refugees
Giving Ceremony of Babonaum Foundation : Supporting Medical Expenses of Multicultural Family and Migrant Workers
Bazar for Migrant Medical Support with CJ ENM WE Together Mobile Clinic for Migrants in Uijeongbu
Migrant Children Regular Support Fund from Chungpa Church Mobile Clinic for Migrants in Incheon

Scholarship Program for Migrant Youth with Babonaum Foundation, Daeduck Electronics.
The Flu Vaccination for Migrants
Mobile Clinic for Migrant Workers in Paju
Conference on ‘Right to Stay for Undocumented Migrant Children & Youth ’
창립 20주년 기념 심포지엄 “포용국가와 이주민 건강 불평등” 고양지역 위투게더 순회진료 행복나눔 고대 83봉사단 뜨개방의 이주아동 후원물품 전달식
We Friends 20th Anniversary Symposium ‘Inclusive Korea and Migrant Health Inequality ’
We Together Mobile Clinic for Migrants in Goyang
Migrant Children Support Ceremony of Knitting Volunteer Group, Korea University Class of 1983

October November


September

Giving Ceremony of ‘Kim Taeho Fund ’ of the Dream Foundation
Migrant Children Support Fund Giving Ceremony of Yonsei University Class of 1986
We Together Mobile Clinic for Migrants in Namyangju
December

The 8th Happy Dream Day
Sponsors
현대자동차그룹 은 사회복지공동모금회를 통해 취약계층 이주민 건강증진 사업과 희망의친구들 무지개축제를 지정기탁 후원했습니다.

사회복지공동모금회는 취약계층 이주민 건강증진 사업과 희망의친구들 무지개축제를 지원했습니다.


재단법인 바보의나눔 은 이주배경 청소년 장학사업과 이주민 의료비를 후원했습니다.
(재)씨젠의료재단은 이주민 순회진료에서 검사를 지원했습니다.

은 이주민 순회진료와 네팔 국제협력 사업을 후원했습니다.

명지병원은 이주민 순회진료와

CJ ENM은
이주민 의료비 마련을 위한 물품을 후원했습니다.

올림푸스 한국 은 위투게더 찾아가는 이주민 진료를 후원했습니다.
드림재단은
이주민 의료비 지원 사업을 후원했습니다. THE DREAM FOUNDATION
은 이주다문화가정 영유아 의료비와 분유, 기저귀
잇츠마이기프트
잇츠마이기프트는 이주아동을 위한 물품을 후원했습니다.


한국오츠카제약은 이주민을 위한 검진키트와 약품을 후원했습니다.
헤븐앤어스는 희망의친구들 단체 운영을 후원했습니다.
곽영호 님은 희망의친구들 단체 운영을 후원했습니다.

고려대학교 사학과 83학번 동기회는 미얀마 정수시설 설치 기금을 후원했습니다.
청파교회는 이주아동을 후원했습니다.
윤현희 님은 희망의친구들 단체 운영을 후원했습니다.

연세대학교 86총동기회는 이주아동 의료비를 후원했습니다.
라포앙은 이주민을 위한 화장품을 후원했습니다.
장세욱 님은 희망의친구들 단체 운영을 후원했습니다.

행복나눔고대83봉사단은 이주가정 영유아 물품을 후원했습니다.
한상웅 님은 희망의친구들 단체 운영을 후원했습니다.






























2019년은 희망의친구들이 ‘외국인노동자 의료공제회’로 출발한 지 20주년이 되는 해였습니다. 희망의친구들이
걸리지 않도록
삶 보장과 웰빙 증진”(SDGs 목표 3), “모두를 위한 포용적이고 공평한 양질의 교육
습 기회 증진” (SDGs 목표 4), “국내 및 국가 간 불평등 감소” (SDGs 목표 10),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평화롭고 포용적인 사회 증진, 모 두를 위한 정의에의 접근제공, 모든 수준에서 효과적이고 책임성 있고 포용적인 제도 구축” (SDGs 목표 16) 등 글로벌
현 장을 연결하는 중요한 활동을 하고 있음을 다시금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이와 같은 활동의 결과를 여러분 앞에 또 한 권의 연간보고서로 내놓게 됨을 기쁘게 생각하며 20년을 함께 해 온 여러분과 함께 새로운 20 년도 힘차게 출발하고자 합니다. 2020년 한 해도 행복과 건강이 가득하길 기원드립니다. 감사합니다. 희망의친구들 회장

01. 이주민˙다문화 가족의 건강과 인권 보호를 위해 일하는 NGO입니다.
등록한 비영리 사단법인입니다. 매년 공인된 회계법인과 정부의 정기
홈페이지 에 재정보고 내용을 공개합니다.
05. 정부 및 공공기관으로부터 우수단체로 선정되었습니다.
2000 사회복지공동모금회 배분사업 우수사례
2002 행정자치부 민간단체협력사업 우수사례
2003 MBC 사회봉사 대상 우수상 수상
2005 행정자치부 민간단체협력사업 우수사례
2006 행정자치부 민간단체협력사업 우수사례
2006 서울시 비영리민간단체 시정참여사업 우수사례
2010 <한국사회와 이주민건강 - 외국인노동자 의료백서2> 문화체육관광부 우수학술도서 선정
2016 하나금융나눔재단 제8회 하나다문화가정대상‘행복도움상 단체상’ 수상
1999. 9 외국인노동자 의료공제조합
2
2001. 9 창립 2주년 및
2002. 6 외국인노동자 권리증진을 위한 한・일 공동포럼 주관
2002. 9 외국인노동자 진료네트워크 구성을 위한 워크숍 개최
2003. 5~ <희망의친구들 어린이날 무지개축제> 개최
2003. 10 사단법인 한국이주노동자건강협회 설립
2006. 11~ 이주노동자 본국 지원을 위한 ‘한국-네팔 공동의료개발 사업’시작
2007. 2 외국인력제도 일원화에 따른
이주노동자 보건 복지향상을 위한 공청회
2007. 9 사단법인 한국이주민건강협회로 단체명 변경
2007. 10 창립 8주년 기념식 및 네팔 병원 건립을 위한
후원의 밤 개최
2008. 1 희망투게더, 이주노동자 환자들에게 이주민 간병
지원 사업 시작
2009. 4~9 창립 10주년 이주민건강권 보호를 위한 월례토론회 개최
2009. 9 창립 10주년 기념 국제포럼 개최
2009. 11 창립 10주년
2010. 10
2012. 1
단체명 변경
2012. 3 제1회 락몽데이
2012. 6 다문화가정 중˙고등학생 자녀 교재비 지원사업 시작
2012. 9 다문화 청소년 캠프 <문화공감 어울림> 개최
2012. 10 제2회 천사데이 희망의 나눔걷기 Walk & Share 개최
2013. 2 희망오뚝이 장학사업 시작
2013. 5 취약계층 이주민 의료통역 지원 사업 시작
2013. 6 다문화가정 아동을 위한 도서 지원 사업 시작
2013. 7 난민여성의 인권 증진을 위한 치유와 자조모임 조직 및 지원
2013. 8 이주여성 산전 검사비 지원사업 시작
2013. 9~11 다문화가정을 위한 희망가족캠프 개최
2013. 10 마드리갈 합창단 초청 희망콘서트 개최
2013. 11 네팔 바누 마을 의료캠프 및 바누사랑진료소 건립
2014. 6~7 인천, 화성지역 이주민을 위한 순회진료 실시
2014. 9 서대문구립도서관 북페스티벌 ‘어울림놀이터’ 참여
2014. 10 취약계층 이주민 독감 예방 접종 실시
2014. 11 현대자동차그룹 취약계층 이주민 의료지원사업 백서
<십년지기 희망친구> 발간
2015. 1~7 농축산이주노동자 건강교육 교재개발 및 실태조사
2015. 3 네팔 룸비니 더야너거르 의료캠프 개최 다문화가족과 함께하는 희망가족 제주캠프
2015. 4 네팔 지진 피해 복구 응급의료지원
2015. 6 이주민을 위한 메르스 예방 다국어 안내문 제작 제29차 유엔인권이사회 참가
2015. 7 2015 이후 개발의제 관련 동아시아협의회 개최
2015. 8~12 농축산이주노동자 건강교육
2015. 5~10 농축산이주노동자를 위한 순회진료 실시
2015. 10 취약계층 이주민 독감 예방 접종 실시
2016. 3 제9차 네팔 돌라카 지역(Dolakha District) 의료캠프
2016. 3~12 네팔 지진 피해 복구를 위한 모금 캠페인 2016. 4 희망의친구들 홍보대사 위촉 (영화배우 최배영, 탤런트 이기창)
2016. 5 취약계층 이주민 건강증진 사업을 위한 이주민 의료통역 간병인 양성 과정 진행 2016. 6~12 이주여성 통합모자보건지원사업 2016. 7 2016 하나금융나눔재단 제8회 하나다문화가정대상 ‘행복도움상 단체상’ 수상 2016. 7 외국인 결핵관리지침 강화에 따른 쟁점 토론회 개최 2016. 8~10 미얀마 바고시 타낫핀 지역 보건의료 사업을 위한 현지 지역 조사 2016. 11 희망의친구들 국제협력 사업 10주년 기념 포럼 개최 2016. 12 이주다문화 아동청소년 심리치료 지원 사례집 <함께 키우는 아이 같이 자라는 부모> 발간 2017. 2 미얀마 바고시 타낫핀 지역 정수시설 지원 2017. 2~10 하나금융나눔재단 신생아 분유기저귀 지원 사업 실시 2017. 6~12 이주민을 위한 순회진료 실시 (인천, 파주, 성남, 김포, 평택)
2017. 6 이주여성 통합모자보건지원 사업 시행 2017. 6 이주와 개발에 관한 국제포럼(독일) 참가 2017. 8~11 이주민을 위한 정신건강증진교육 실시
2017. 10 이주민 독감예방접종 시행 2017. 11 국제이주협정 아시아 준비회의(방콕) 참가 2017. 11 희망가족캠프 시행 2017. 11 하나금융나눔재단 ‘생명을 살리는 외화동전의 기적’ 이주다문화가정 영유아 의료비 지원 사업 시작 2017. 12 네팔
기적 2’ 이주다문화가정 영유아 의료비 전달식 2019. 3 동국제강 ‘취약계층 난민 지원 사업’ 기금 전달식 2019. 3 (재)바보의나눔 ‘다문화가정 및 이주노동자 의료비지원사업’ 기금 전달식 2019. 4 제18회 희망의친구들 무지개축제 2019. 5 CJ ENM과 함께하는 이주민 의료비 마련을
Mission
Corporate Identity
희망의친구들 WeFriends는 지난 20년간
한국사회에서 이주민의 건강권이 인권임을 주창해왔으며 이를 실현하기 위해 노력해왔습니다.
Mission
희망의친구들 WeFriends는 이주민이 건강한 사회 한국인도 살기 좋다는
다음과 같은 사명을 수행합니다.
•이주민 건강권
•
꽃들에게 희망을!
사랑을 나누어 주는 ‘사랑의 나비’입니다.
Vision
We Care 관심과 이해
3C
We
한양대구리병원 신장내과
부원장
사무처
상임이사 김미선
570개 WeFriends Aid
Board Members

- 성공회 성미카엘 신학원
- 영국 셀리오크 신학대학
- 연세대 신학 명예박사학위
- 성공회 사제로 서품 (1964)
- 대한성공회 대주교 (1990)
- 성공회대학 총장 (2000-2008)
- 강화도 우리마을 대표 역임
- 파라다이스상 사회복지부문 대통령 표창
- 만해평화대상 수상
- 다산대상 사회복지부문 수상
- 현재 (사)한국이주민건강협회
희망의친구들 회장
부회장
이왕준
- 의료법인 명지의료재단 이사장
- 의료법인 인천사랑의료재단 이사장
- 의료신문 청년의사 발행인
- 대한병원협회 국제이사
- 한국의료재단연합회 부회장
- 대한의학회 정책이사
- 한국보건행정학회 이사
- 대한재난의학회 이사
- 국무총리 표창 (2010)
- 교육과학기술부장관표창 (2010)
- 보건복지부장관 표창 (2011)
- 러시아 보건 훈장 (2011)
- 대통령 인증패 수상 (2012)
- 아시아병원경영(HMA) 사회공헌부문 대상 수상 (2016)

- 명지병원 메르스대응 프로젝트 IHF‘Grand Award’수상 (2016)
- 나눔문화확산 유공 표창 (2016)
- 국제의료사업 활성화 표창 (2017)
- 현재 (사)한국이주민건강협회 희망의친구들 부회장



- 고려대학교 사학과 졸업
- 고려대학교 국제대학원 졸업
- 홍콩 소재 Asian Migrant Center Program Staff (1994-1998)
- 외국인노동자 의료공제회 사무국장 (1999-2003)
- APWSL 한국위원회 전문위원 (2001-2004)
-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NCCK) URM위원회 위원 (2003-2004)
- (사) 한국이주노동자건강협회 사무처장 (2004-2007)
국제협력 이사 (2008-2011)
- 외국인이주·노동운동협의회 집행위원장 (2004)
공동대표(2005), 운영위원 (2013-2014), 운영위원장(2018)
- Migrant Forum in Asia (마닐라 소재 아시아이주인권옹호네트워크)
Executive Committee Co-Chair (2017~2019)
- UN High Level Dialogue on International Migration and Development 아시아NGO Spokesperson (2006)
- 스탠포드대학교 아태연구소 Visiting Scholar (2006-2007)
- 서울시 복지거버넌스 외국인주민분과위원장 (2018-현재)
- 국가인권위원회 자유권제2전문위원회 위원 (현재)
- 현재 (사)한국이주민건강협회 희망의친구들 상임이사

서울
서울외국인노동자센터 02-3672-9470
성동외국인노동자센터 02-2282-7974
외국인이주노동자인권을위한모임 02-3785-0422
이주민센터 친구 02-6406-7179
경기 북부
김포이주민센터 031-982-7661
남양주시외국인복지센터 031-594-5821
승리다문화비전센터 031-931-2062
의정부 EXODUS 031-878-6926
파주 EXODUS 031-948-8105,6
파주이주노동자센터 샬롬의집 031-942-3760
포천나눔의집 이주민지원센터 031-536-2025
하남외국인지원센터 031-791-5372
경기 남부
갈릴래아 031-494-8411
모두를 위한 이주인권문화센터 031-333-6644
부천이주민지원센터 032-654-0664
수원교구 이주사목위원회 070-4047-1473
시흥시외국인복지센터 031-434-0411
아시아의친구들 031-921-7880
안산외국인노동자의집 031-495-2288
안산이주민센터 031-492-8786
오산이주노동자센터 031-376-8289
이주민센터 아시아의 창 031-443-2876
이주민시민연대 사회적협동조합 031-403-0631
작은자리종합사회복지관 031-313-6249
화성시외국인복지센터 031-8059-1261
인천 까리따스이주민문화센터 032-427-7275

최배영
연극원 연기과 졸업. 최근 드라마 ‘어서와’, ‘청춘시대2’에 조연으로 출연했으며 영화 ‘헤이데이’,
있게 소화하여 큰 호평을 받았다. EBS 한중 합작 특 수촬영 드라마 ‘레전드 히어로 삼국전’에서 주인공
“20년을 넘어 새로운 20년을 향하여!”

2016년 난민과 이주민의 대규모 이동에 관한 유엔 정상회의 이후 이주민, 난민에 대한 국제적 차원의 관심과 논 의는 이주민과 난민의 발생원인과 인권상황, 해결방안을 둘러싼 다양한 시각과 입장 차이가 있음에도 이주의 어 느 단계, 어떤 상황에 있든 이주민들의 기본적인 인권이 보호되고 존엄성이 존중되어야
민간 의료지원시스템을 구축, 다양한 필요를 충족시켜온 데서 나아가 보다 적극 적으로 이주민의 건강 증진에 대한 원칙과 지침을 다양한 사업과 활동을 통해
체류자격과 관계없이 누구나 향유해야 할 “도달 가능한 최고 수준의 신체적 정신적
입장에서 재해석하여 법, 제도적 혹은 관행적 차별요소를 확인하고 어떤 이유로도 건강 상의 불평등을 경험하지 않도록 공평한 의료서비스 접근을 위해 노력할 것입니다. 그동안 시도해왔던 법, 제도 개
선과 함께 이주민 친화적인 의료기관과 의료환경 만들기 등의
구체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고


MEDICAl
Search
“건강이란 신체적, 사회적, 정신적 안녕 상태까지를 포함해야한다”는 세계보건기구(WHO)의 건강
에 대한 정의가 한국사회의 이주민들에게도 동일하게 적용되어야 한다는 신념으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희망의친구들 은 한국사회의 이주민들이 건강한 몸과 마음으로 일하며 살 수 있도록, WeFriends Aid를 통해
의료비 지원
● 국가별 지원 통계
베트남
태국
필리핀
몽골
방글라데시 중국
기타 16개국 26% (128명) 19% (91명) 17% (83명) 15% (75명)
카메룬
3.3% (16명)
2.2% (11명)
2% (10명)
2% (10명)
1.4% (7명)
1.2% (6명)
1.2% (6명)
1.2% (6명)
8.5% (42명)
● 체류기간별 지원 통계 ● 응급 지원
한국출생 8% (42명)
20년 이상 3% (16명)
16~20년
7% (36명)
11~15년
19% (91명)
1~5년 41% (201명)
일반 87% (429명)
응급 13% (62명)
일반 53% (124,871,589원)
응급 47% (110,875,930원)
6~10년 22% (106명)
16개 진료과
(1) 사업기간 : 2019년 3월 ~ 12월
(2) 사업목표
① 의료 사각지대 난민의 의료비 지원을 통한 건강권 향상
② 안정적 소득이 없는 난민 가정의 생계비 지원을 통한 기본 생활 지원
(3) 주요 사업내용 : 난민 (난민신청자와 인도적 체류자)의 의료비 지원 난민가정 (난민신청자와 인도적 체류자)의 긴급 생계비 지원
(4) 세부 추진실적
① 난민신청자와 인도적체류자 11명 (의료지원 건수는 12건)의 의료비 지원
② 난민가정 3가정에게 6개월 동안 긴급생계비 지원 : 다니 씨 가정 (사례관리 : 안산이주민지원센터)
마코넴 씨 가정 (사례관리 : 이주민센터 친구)
아스마 씨 가정 (사례관리 : 세신교회)
(1) 사업기간 : 2019년 5월 ~ 10월
(2) 사업목표 : 이주노동자 질병 조기발견 및 치료연계
(3) 주요 사업내용
① 검진내용 : 기초신체측정, 혈액검사, 소변검사, 흉부x-ray 검사, 초음파검사, 심전도검사, 자궁경부암검사
② 진료내용 : 내과, 정형외과, 재활의학과, 가정의학과, 치과, 산부인과, 피부과, 외과, 신경외과, 한방과
③ 진료인원 : 총 12개국, 189명 (가나, 태국, 몽골, 스리랑카, 캄보디아, 베트남, 필리핀, 방글라데시, 중국, 러시아, 인도, 카자흐스탄)
(4) 세부 추진실적
인천 파주 인천외국인노동자센터 파주엑소더스 파주이주노동자센터
의료지원
(1) 사업기간 : 2019년 4월 ~ 2019년 12월 (2) 사업목표 : 의료서비스 이용에 어려움을 겪는 이주민에게 기본 진료와 위내시경 검사를 실시하여 질병 조기발견 및 치료연계를 통한 질병 예방 및 실태조사를 통한 건강실태 파악
(3) 주요 사업내용 ① 이주민 진료 : 기초신체측정, 혈액검사, 소변검사, 헬리코박터균검사, 위내시경검사, 조직검사, 소화기 내과 진료 및 약처방
② 건강실태조사 : 총 11개국 130명 설문조사 ③ 위투게더스튜디오 : 올림푸스한국과 함께 위투게더진료에
일시 지역 주관단체 참여의료기관 진료인원 의료진 일반봉사 통역봉사
5. 19(일)
6. 30(일)
9. 8(일)
11. 10(일) 의정부 의정부 남양주 고양
대한소화기 내시경학회 씨젠의료재단 의정부의료원
대한소화기 내시경학회 씨젠의료재단
의정부의료원
대한소화기 내시경학회 씨젠의료재단
양병원
대한소화기 내시경학회
씨젠의료재단 명지병원
진료 참여 국가 (11개국) 가나, 네팔, 나이지리아, 몽골, 베트남, 방글라데시, 중국, 캄보디아, 카메룬, 태국, 필리핀 언어지원 (7개 국어) : 영어, 베트남어, 캄보디아어, 필리핀어, 몽골어, 태국어, 네팔어
(1) 사업기간 : 2019년 1월 ~ 12월
(2) 사업목표 : 독감백신 접종을 통해 독감예방과 호흡기 합병증 감소
(3) 세부 추진실적
① 수요조사 : 상반기 협력상담소 수요조사
② 백신구입 및 배분 : 백신 950개 구입 및 11개 기관에 배분
③ 접종 및 만족도조사 : 총 26개국, 950명 접종, 733명 만족도 조사 참여
WeFriends Aid
(1) 의료상담
① 상담건수 : 월평균 100여건, 연간 총 1,200여건 이상 전화 및 대면 상담
② 상담내용 : 의료비 지원 여부, WeFriends Aid 가입, 상담소와 의료기관 연계 문의 등
(2) WeFriends Aid 협력상담소 실무자 교육
① 1분기 교육 : 4월 4일 (목) 오후 1시 - 파주엑소더스, 파주샬롬의집, 오산이주노동자센터 참석
② 2분기 교육 : 5월 24일 (금) 오후 4시 - 성동외국인노동자센터 참석
③ 3분기 교육 : 10월 24일 (목) 오후 3시 - 의정부엑소더스, 포천나눔의집, 시흥시외국인복지센터, 화성시외국인복지센터, 홍성이주민센터 참석
(3) 2019년 신규 협력상담소
① 홍성이주민센터
인접지역 내 이주노동자, 다문화가정 대상으로 노동상담, 의료상담 지원과 한국어교실, 작은도서관 운영
•전화 : 070-8825-9722 •주소 : 충남 홍성군 홍성읍 홍성천길 144
② 화성시외국인복지센터
제조업˙농업에 종사하는 이주노동자 상담지원, 노동˙의료˙다문화이해교육, 지역사회 학교와 지역주민 다문화교육
•전화 : 031-8059-1627 •주소 : 경기도
의료지원
(4) 의료기관 네트워킹 2019년 신규 협력 동의 의료기관 : 총 31개 (1차 27개, 2차 4개)
번호 기관분류 지역 진료과목 기관명
제주도 제주도 제주도 고양 고양 고양 고양 고양 고양
1차 의료기관
산부인과 정형외과
피부과 안과
내과
정신건강의학과
안과
내과
안과
소아청소년과
가정의학과
가정의학과
내과
가정의학과
가정의학과
가정의학과
고양 고양 고양 고양 고양 고양 서울 서울 전라도 전라도
산부인과
이비인후과
내과
외과
가정의학과
소아청소년과
이비인후과
이비인후과
가정의학과
소아청소년과
다나산부인과
베드로정형외과
연세피부과
고양성모안과의원
나병만내과의원
닥터최의연세마음상담의원
명안과의원
빛과소금내과
신한안과의원 아름드리소아청소년과의원
연세가정의원
연세신일의원
연세의원
이가정의학과의원
조명득의원
조은의원
채난희산부인과의원
탄현서울이비인후과의원
하나의원
항사랑외과의원
연세삼육오매일의원 일산연세소아과의원
김종화이비인후과의원
뉴타임의원
봉황가정의학과의원 기쁨소아청소년과
2차 의료기관
안산 서울 의정부 오산, 용인 남양주
(5) 2018년 장기 근속 회원 현물포상
산부인과
병원
병원
병원
병원
BM산부인과
사랑플러스병원
신여성병원
오산한국병원
남양주한양병원
① 기준 : 회원가입 이후 회비 완납 및 의료비 지원 신청을 하지 않은 회원 대상
② 2018년 12월 말 기준 총 3명 포상 (8년 이상 1명, 4년 이상 2명)
이주여성 통합모자보건사업
MOTHEr & CHIlD
Search
이주여성은 열악한 사회경제적 여건 속에서 임신과 출산으로 인해 더 취약한 상황에 놓이는 경우가 많습니다. 희망의
친구들은 이주여성 산모와 영유아에 대한 적절한 보건 및 의료 서비스와 육아필수재 지원을 통해 이주여성과 아기의 건강권을 증진시키고 있습니다.
이주여성 통합모자보건사업 | 신생아 의료비 지원사업 | 이주다문화가정 분유, 기저귀 지원
(1) 사업기간 : 2019년 5월 ~ 12월 (2) 사업목표 ① 건강보험이 없는 이주여성을 대상으로 산전 검사비, 산후 검사비, 신생아의료비를 통합적으로 지원함으로써 산모와 신생아의 건강을 보호하고, 경제적 부담을 감소시켜 심리적 안정과 건강한 자녀

의료지원
영유아 의료비 지원사업 이주다문화가정 분유, 기저귀 지원
(1) 사업기간 : 2018년 11월 ~ 2019년 12월
(2) 사업목표 : 중증질환을 앓는 영유아에게 의료비를 지원하여 시기적절한 치료를 받아 건강하게 성장하도록 도움
(3) 주요 사업내용 : 영유아 의료비 지원
(4) 세부 추진실적 : 13명의 영유아에게 치료비 지원

(1) 사업기간 : 2019년 1월 ~ 12월 (2) 사업목표
영유아의 건강한 성장에 꼭 필요한 영양공급이
건강권을 보호 ② 면역력이 약한 신생아 및 영유아의 위생을 위해
(3) 주요 사업내용 : 취약계층 이주다문화가정 영유아에 분유와 기저귀 지원 (4) 세부 추진내용 - 이주다문화가정 지원 상담소를 통해 대상자 추천 받음
- 내부 심사를 거쳐 경제적으로 어려운 가정을 우선적으로 선정
- 지원대상자의 필요에 따라 원하는 물품을 구매
- 분유와 기저귀 발송추진 결과 : 32명의 영유아에게 분유와 기저귀 지원, 54명의 영유아에게 기저귀 지원


CHIlD & YOUTH
희망의친구들 무지개축제 | 이주아동 생활지원 희망의친구들은 이주아동 청소년이 건강한 몸과 마음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심리치료
청소년 장학사업 |
(1) 사업기간 : 2019년 1월 ~ 12월
(2) 사업목표 : 이주아동의 심리정서적
(3) 주요 사업내용 :
(4) 세부 추진실적
사례점검 및 사례 슈퍼비전 구분 시기 내용 참여인원
언어치료
미술치료
놀이치료
모래놀이치료 감각통합치료
사회성 그룹치료
사례발굴
기관연계
사례관리
<치료기관>
명지병원, 한서중앙병원, 로이심리발달지원센터, 솔샘나우리아동종합복지센터, 해솔정신건강의학 과의원 해솔마음클리닉, 심리상담서비스협동조합 봄, 엘림놀이치료센터, (사)제주아동심리상담센 터, 더모아발달센터, 제주베네딕도상담센터, 서울시립광진 인터넷중독예방상담센터, 양천장애인 종합복지관
<이주아동 지원단체 및 기관>
인천교구 외국인노동자상담소, 파주 EXODUS, 전진상우리집, 너나들이공동체, 천주교 제주교구
이주사목센터 나오미, 피난처, 의정부 EXODUS , 한국이주인권센터
재단법인 바보의나눔, 대덕전자와 함께 하는
이주배경 청소년 장학사업
(1) 사업기간 : 2019년 8월 ~ 2020년 7월
(2) 사업목표 : 장학금 지원으로 이주배경 가정의 교육비 부담을 줄이고 학생들이 안정적으로 학업에 매진할 수 있도록 하며, 아이들의 성취감과 자존감 고양
(3) 주요 사업내용 : 중학교,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이주배경 청소년 장학금 (중학생 100만원, 고등학생 200만원) 지원 및 사례관리
(4) 세부 추진실적
① 2019년 8월 ~ 9월 장학사업 사업설명회 개최, 사업공고 및 신청서 접수
② 2019년 10월 장학생 총 30명 선정
③ 2019년 10월 ~ 현재 장학생 사례관리 진행 중
④ 장학생 기본통계
•성별 : 남자 16명, 여자 14명
•학년 : 중학생 20명, 고등학생 10명
•거주지역별 통계 : 경기도 40%, 서울시 37%, 전라남도˙충청남도 14%, 기타 9%
•가족유형별 통계 : 이주가정 47%, 다문화가정 23%, 귀화자가정 23%, 난민가정 7%
부모자녀가구 47%, 한부모가구˙기타 53%
이주아동 생활지원
(1) 기간 : 2019년 1월 ~ 12월
(2) 사업목표 : 아이들이 건강하고 안전한 생활환경에서 자랄 수 있도록 지원
(3) 주요 사업내용 : 이주아동 생활지원, 심리치료 지원
(4) 세부 추진실적
① 지원 인원 : 9명
② 지원 내용 : 보육료, 긴급생계비, 심리치료
제18회 희망의친구들 무지개축제
(1) 사업기간 : 2019년 3월 ~ 5월
(2) 사업목표 : 다양한 국적, 인종, 언어를 접함으로써 다른 문화에 대한 수용과 나눔을 경험하고 다문화적 감수성 및 다문화사회 인식 증진에 기여
(3) 주요 사업내용 : 개회식, 축하공연, 무지개 어린이 선언, 세계 어린이 놀이, 어린이 건강검진, 무지개 카페, 행운권 추첨, 폐회식
(4) 세부 추진실적
① 일시 : 4월 20일(토) 오전 10시 ~ 오후 3시
② 장소 : 잠원한강공원 트랙구장 ③ 주제 : 우리 같이 놀아요 Colorful Joyful Wonderful
④ 참석 인원 : 650여 명
⑤ 프로그램 : 세계 어린이 놀이 7가지, 함께 자라는 놀이 12가지
⑥ 공동주관 : 현대자동차그룹 해피무브 글로벌 청년봉사단

SOCIETY
권리로서의 이주민 건강권 에 대한 논의를 확장했습니다. 또 20주년 기념행서로 제8회 락몽데이를 진행하며 15년 이상 희망의친구들에서 활동 하고 후원해주신 분들에게 감사의 시간을 가졌습니다. 여러 행사와 모금, 배분을 통해 더 많은 사람과 교류하는 한해 였습니다.

(1) 취지 : 희망의친구들 창립 20주년을 맞아 현 정부의 국가 비전인 포용국가와 이주민 건강불평등을 주제로 한국사회에서 이주민의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결정 요인과 이주민의 건강 실태를 살펴보고, 현실적인 정책과 이주민 건강지표 수립 논의 (2) 일시 : 11월 7일(목) 오후2시 ~ 오후6시 (3) 장소 : 프란치스코 교육회관 211호
(4) 프로그램
시간 구성 발표주제
14:00~14:10
14:10~14:35
14:35~15:00
1부 이주민 건강실태와 주요 쟁점
인사말_ 김성수 희망의친구들 회장 발표1
의료사각지대 이주민의 건강실태 - WeFriends Aid 20년 활동 중심 이애란 (희망의친구들 사무처장)
발표2
미등록 이주노동자의 심혈관질환에 대한 학제간 융합연구 - 방글라데시 이주노동자를 중심으로 김지희(가톨릭의대 성빈센트병원 순환기내과 교수) 이창호(한양대학교 글로벌다문화연구원 연구교수)
15:00~15:25
사회 한상웅 한양대학교 구리병원 신장내과 교수
발표3
이주노동자 위내시경 검진 연구 - 2018~2019 찾아가는 위투게더 진료 중심
김재현 (고신대학교 복음병원 소화기내과 조교수)
박선자 (고신대학교 복음병원 소화기내과 교수)
발표4
15:25~15:50
16:10~16:35
2부 이주민 건강불평등 원인과 해결 방안
외국인보호시설과 이주민 건강
이어진 (여수출입국 외국인사무소 의무과장)
발표1
세계화와 건강불평등 이주민
김명희 (시민건강연구소 건강형평성연구센터장)
발표2
16:35~17:00
17:00~17:25
17:25~18:00
사회 김철환 안산의료복지사회적 협동조합 새안산상록의원 원장
공공의료와 이주민 건강 과제
김종명 (성남시의료원 공공의료정책연구소장)
발표3
국내외 이주민 건강기준과 이주민 건강 지표 개발을 위한 과제
김미선 (희망의친구들 상임이사)
질의 응답, 종합토의
제8회 락몽데이
(1) 주제 : 희망의친구들, 스무 살이 되다! 바로 당신이 희망의친구!
(2) 취지 : 희망의친구들 20주년을 축하하고, 오랫동안 희망의친구들을 후원하고 함께 했던 분들에게
감사의 마음을 전하며 서로 격려하는 시간
(3) 일시 : 2019년 12월 13일(금) 오후 6시 30분 ~ 오후 9시 30분
(4) 장소 : 누구나 라운지 12층
(5) 드레스코드 : 빨간색
(6) 주요 프로그램
시간 프로그램
6:00~6:30
6:30~7:00
7:00~7:10
7:10~7:15
7:15~7:20
7:20~7:30
7:30~7:45
7:45~7:50
7:50~8:00
8:00~8:30
8:30~8:50

웰컴 인사와 식사
축하공연 1_ 엘스 중창단-2곡
김성수 회장 인사말
축하공연 2_ 이왕준 부회장
20주년 영상 상영
8:50~9:10 공간 세팅 및 접수
감사와 축하의 시간-15년 이상 후원자 및 근속 활동가 / 소감 나눔
20주년 떡 커팅식 : 수상자들과 함께
‘나와 희망의친구들’ TAlK 김미선 상임이사
함께하는 몇 가지 게임
스트롱 아프리카 공연
네트워킹 및 친교의 시간 / 정리

순회진료 물품 보강
(1) 사업기간 : 2019년 6월 ~ 12월
(2) 사업내용 : 롯데복지재단이 2019년 다문화가족 지원사업 - 시설지원 사업의 일환으로 기부한 물품
(노트북, 혈당측정기, 심전도기, 검이경, 혈압계, 빔프로젝터)을 통해 이주민 순회진료 등 진행
(3) 세부 추진내용 :
①
시설지원사업 신청 : 2019년 3월
② 물품 수령 : 2019년 6월
③ 순회진료 및 위투게더 진료 지원 : 2019년 7~12월
CJ ENM과 함께하는 나눔바자회
(1) 사업기간 : 2019년 2월 ~ 5월
(2) 사업내용 : CJ ENM에서 기부한 물품 (가정용품, 건강-유아용품, 문화 스포츠용품, 언더웨어, 이미용품, 침구, 정보통신, 전기전자용품, 패션의류 등) 바자회를 통해 취약계층 이주민 의료비 지원
(3) 세부 추진내용
① 물품 수령 및 양품화 과정 : 2019년 3월
② 세신교회 바자회 : 2019년 5월 10일

이주민과 함께하는 물품 배분
(1) 사업기간 : 2019년 1월 ~ 12월 (2) 사업목표 : 이주민들에게 필요한 물품배분을 통해 각 지역 이주민 지원센터와 이주민 당사자 간의 유대관계 증진에 기여함 (3) 세부 추진실적
라포앙 배리 리제너레이션크림
라포앙 배리어크림, 선스크린, 폼클렌저
주니어 칫솔
아동 스포츠 양말
닥터베이직의원 라포앙화장품
닥터베이직의원
라포앙화장품
스카이덴트
닥터베이직 의원 헬쓰쿨
코스모스주식회사 (레드컨테이너)
코스모스주식회사 (레드컨테이너)
코스모스주식회사 (레드컨테이너)
닥터베이직의원 라포앙화장품
행복나눔 고대 83 봉사단 뜨개방
1/29(화) 물품 수령 1/30(수) 2곳의 이주민센터에 완료
4/18(목) 물품 수령 4/20(토) 무지개축제 참가자에게 배분
4/9(화) 물품 수령 4/20(토) 무지개축제 참가 어린이에게 배분
9/6(금) 물품 수령 9/10(화) ~ 10/10(목) 수원엠마우스 공부방, 의정부EXODUS, 면형이주민센터, 난민가정 배분
9/26(목) 물품수령 10/4(금) 후원물품 전달식 10/4(금) ~ 10/15(화) 18곳의 이주민센터에 배분
10/17(목) 물품 수령
10/18(금) 후원물품 전달식
10/18(금) ~ 10/25(금) 6곳의 이주민센터에 배분
10/29((화) 물품 수령
11/8(금) 후원물품 전달식
11/12(화) ~ 12/1(일) 14곳의 이주민센터에 배분
11/19(화) 물품수령
11/26(화) ~ 11/27(수) 4개 이주민센터에 배분
11/5(화) 물품수령
11//6(수) ~ 12월 20(금) 이주가정, 이주민센터에 배분

GlOBAl
Search
희망의친구들은 ‘이주와 건강’을 중심으로 지속가능한 인권적 관점에서 이주민의 본국개발 활동을 합니다. 2006년
부터 네팔 아시아포럼과 협력하여 의료소외지역의 의료캠프 및 지역 보건소 설립과 지원, 2016년부터는 미얀마의 의
료기관과 학교를 중심으로 정수시설 지원 사업을 펼치고 있습니다.
네팔 아시안포럼 바누사랑진료소 지원 | 미얀마 정수시설 지원 사업
네팔 아시안포럼과 바누사랑진료소 지원
(1) 사업기간 : 2019년 1월 ~ 2019년 12월
(2) 사업목표 : 아시안포럼과 바누사랑진료소 지원을 통해 바누시 지역주민들에게 꼭 필요한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고 질병 치료와 건강권 증진에 기여 (3) 주요 사업내용 : 아시안포럼, 바누사랑진료소 운영지원
(4) 바누사랑진료소 프로그램 : 일반 외래진료, 안과클리닉, 예방백신 사업, 가족계획 프로그램, 약처방 등 * 2019 총 이용 인원 : 7, 275명 (14세 이하 어린이 594명 / 성인 6, 681명)

정수시설 지원 사업
(1) 사업기간 : 2019년 1월 ~ 7월
(2) 사업목표 : 미얀마 마구에주 짜우투 초등학교의 정수시설 설치를 통해 식수의 질을 개선하고
학교 학생과 인근 주민들의 수인성 질환, 전염성 질환 예방과 건강 증진에 기여
(3) 사업 내용 및 추진 실적
① 정수시설 설치 사업 지역 소개
•지역 : 미얀마 마구에주 짜우투시
•학교 : 짜우투(카우트크) 초등학교
•학교 현황
- 60년 역사를 가진 짜우투시 짜우투 초등학교는 230명의 학생이 재학 중
- 학교에 학생들을 위한 정수시설이 없고, 인근 지하수를 이용
- 평소 수질관리가 안 된 식수를 이용하여 수인성 질환을 앓는 학생이 많음
- 이주민방송국, 버마행동 등에서 오래 활동을 하고 한국에서 난민인정을 받은 아웅틴툰 씨가
정수기 설치 신청함
- 향후 아웅틴툰 씨가 귀향하여 설치와 관리 지원
② 사업 진행 일정 •고려대학교 사학과 83동기회의 기금 전달식 : 2018년 11월 9일 •정수기 설치를 위한 기초 공사 진행 (학교 건물이 노후 되어 이후 재건축을 진행해도 정수기 시설을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바닥과 골조 공사 진행) : 2019년 2월 ~3월
•물탱크 및 정수기 설치와 수질 테스트
수질 테스트 결과 459 9 (숫자가 낮을수록 깨끗하고 안전한 물) : 2019년 4월
•정수시설 이용 시작 : 2019년 5월
•정수시설 설치 완료 기념식(5~6월 학교 방학으로 7월에 진행) : 2019년 7월 1일
•정산 및 자료 제출 완료 : 7월 17일





PUBlICITY
미등록 이주아동 체류권 실태조사(국가인권위원회 인권단체 공동협력사업)
(1) 사업기간 : 2019년 5월 ~ 10월
(2) 사업목표 : 미등록 이주아동, 청소년의 구체적 체류현황 실태조사 및 국내외 법제도 연구를 통해 이주아동, 청소년 체류권 보장을 위한 제도˙정책적 대안 마련
(3) 주요 사업내용 : 사례수집 및 실태파악, 국내외 법제도 조사연구, 실태조사 보고서 발간, 간담회 개최
(4) 세부 추진실적 ① 미등록 이주아동 청소년 실태조사 : 총 53명(이주아동 청소년 25명, 부모 17명, 유관기관 및 단체 종사자 11명)
② 국내외 법제도 연구 : 해외 법제도, 국제규범 ③ 실태조사 보고서 ‘미등록 이주아동의 체류권 실태조사’ 발간
④ 유관기관 간담회 개최
⑤ 협력단체 : 외국인이주노동자인권을위한모임, 재단법인 동천, 이주와 인권연구소, 안산시글로벌청소년 센터, 이주민센터 친구, 사단법인 두루, 천주교의정부교구 이주사목위원회 파주 EXODUS, 서강대학교 글로벌한국학과, 아시아인권문화연대
희망의친구들은 이주아동, 청소년 체류권 보장을 위한 제도 정책적 대안을 마련하고자 미등록 이주아동, 청소년의
구체적 체류현황 실태조사 및 국내외 법제도 연구를 진행했습니다. 또한 이주민 지원사업과 인권 옹호 활동을 알리기 위해 온오프라인의 다양한 홍보 채널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홈페이지, 온라인 뉴스레터, SNS, 소식지 등을 통해 에서
는 우리 회 활동과 이주민 관련 뉴스와 다국어 정보를 실시간으로 공유하면서 대중과 소통합니다. 2019년에는 희망 의친구들을 더 많은 사람에게 알리기 위해 오뚝이를 메인 콘셉트로 에코백, 수첩, 네임스티커 굿즈와 2020년 팝업
2018년 연간보고서 출판
(1) 발행일 : 2019년 4월
(2) 발행목적 : 2018년 한 해 동안 희망의친구들 활동과 재정보고 및 협력해주신 분들에 대한 기록과 홍보
(3) 제작부수 : 1,000부
(4) 주요 내용
- 희망의친구들 스토리 _베트남 편
- 2018 이주여성 통합모자보건 지원 사업 소개
- 2018년 사업소개
- 2018년 재정보고
- 2018년 지원목록(직접의료비, 의료통역과 간병, 이주다문화 아동 심리정서, 도서)
- 2018년 언론과 방송에 비친 희망의친구들
- 2018년 희망의친구들과 함께하신 분들 소개

소식지 발행
(1) 년 4회 계간지 발행 : 3월, 6월, 9월, 12월 (Vol.57~60)
(2) 제작부수 : 총 22,500부




2020 캘린더 제작
(1) 발행일 : 2019년 12월
(2) 발행 부수 : 6,500부
(3) 발행 목적 : 희망의친구들을 많은 사람에게 홍보하기 위해 핵심 활동을 슬로건으로 팝업형 캘린더를 제작, 배포

희망의친구들 굿즈 제작
(1) 제작일 : 2019년 5월
(2) 제작 내용 : 오뚝이 수첩 7종 500세트, 에코백 500개, 네임스티커 2,000장
(3) 제작 목적 : 희망의친구들 활동에 함깨해주신 후원자, 자원봉사자, 사무처 방문객, 유관 기관 관계자에게 희망의친구들 활동을 더 많이 알리기 위해 제작



홈페이지 www.wefriends.org

온라인 뉴스레터
① 매월 (1~6월 : 월 1회, 7~12월: 월 2회 발행) 희망의친구들 활동 소식 공유
② 활동가 칼럼





SNS
① 페이스북 www.facebook.com/MHAkorea : 이주민 관련 뉴스, 정보와 희망의친구들 활동 공유 중심
② 인스타그램 www.instagram.com/wefriendsorg : 희망의친구들 활동, 사무처 소식 공유중심
③ 트위터 twitter.com/we_friends_org
ADVOCACY

있습니다. 국내적으로는 외국인이주 노동운동협의회, 서울복지거버넌스 외국인주민분과위원회, 인종차별 철폐를 위한 이주인권대회 준비 사무국, 이주배경 아동청소년 기본권 향상을 위한 네트워크 활동을 펼쳤으며 국제적으로는 Migrant Forum in Asia와 협력했습니다. Search
국내연대활동
외국인이주•노동운동협의회 (1) 대표자회의
① 1차 대표자회의
•일시 : 2019년 4월 4일 목요일 오후 2시~5시
•장소 : 외국인이주노동자인권을위한모임
•안건 : 총회 회의록 검토, 이주노조와의 간담회 보고(4/4), 노동자건강권포럼 보고(2/22, 23), 이주노동팀 및 인종차별대응팀 보고, 국내외 연대활동 보고, 전국이주인권활동가대회 논의
② 2차 대표자회의
•일시 : 2019년 8월 22일
•장소 : 파주 숲 공방
•안건 : 퇴직금실태조사 발표회 보고, 팀별 활동 보고 및 현안 논평 및 대응 - 건강보험 제도 개악 논평, 고용허가제 15년 성명, 정부조직법 개정안, 하반기 세계이주민의 날, 이주인권 10대뉴스 선정, GFMD참석 건 등 논의
(2) 이주노동팀
① 회의 : 1월 14일, 4월 10일, 7월 23일, 10월 16일
② 이주노동자 상담활동가 워크숍 : 4월 10일~12일
노동상담 실무교육, 이주노동자 주요 상담 사례 공유
이주노동자 인권을 위한 운동방안, 이주노동자 공동체 조직 강화 방안
③ 고용허가제 헌법소원 추진을 위한 간담회 : 5월 17일
•2011년 헌법재판소 결정, 무엇이 문제인가? 사업장 변경 제한과 강제노동 (김지혜 교수 발표)
•고용허가제 헌법재판소 결정 검토 (박영아 변호사)
④ 고용허가제 이주노동자 퇴직금 수령실태조사 토론회
•내용 : 경과보고, 실태조사 분석결과 발표, 이주노조, 의정부외국인노동자지원센터, 순천이주민지원센터, 필리핀공동체 카사마코, 금속노조법률원의 의견 발표 및 질의 응답 국내 연대활동 | 국제 연대활동 희망의친구들은 이주민의 건강권, 인권 증진을 위해 국내외의 다양한 이주인권네트워크에서 권리옹호 활동을 펼치고
•일시 : 2019년 8월 12일(월) 오후 2시
•장소 : 국가인권위원회 10층 배움터
•주최 : 외국인이주˙노동운동협의회, 이주노동자 차별철폐와 인권˙노동권 실현을 위한 공동행동, 이주인권연대
인종차별 철폐를 위한 이주인권대회 준비 사무국
(1)회의 : 7월 24일, 8월 12일, 8월 19일
(2)인종차별 철폐를 위한 전국 이주인권대회
① 일시 : 8월 20일 ~ 8월21일
② 장소 : 엑스퍼트 연수원
③ 프로그램
•개막식과 전체토의 1 - “인종차별과 혐오세력에 어떻게 대항할 것인가?”
•분과토의 - 난민혐오 및 난민법제 개정 대응, 이주여성 폭력피해 vs 주체성, 언제나 이주민-가끔씩 아동, 바다에 붙잡히다
•세부 주제토의 - 다문화 민주시민 인권교육을 통한 시민인식 개선활동, 지역조례 제정운동을 통한 지역운동, 이주민의 건강권, 재한중국동포사회 이슈와 연대의 가능성 •전체토의 2 - “이주활동가의 목소리, 당신이 우리다” •전체토의 3 - “이주와 이주노동”
- 사업장 이동금지 철폐를 위한 실천방안, 이주노동자 역량강화와 주체화를 위한 경험, 좋은 아이디어, 더 많은 이주노동자들이 노동조합 및 단체와 만나기 위한 방안
서울복지거버넌스 외국인주민분과위원회
서울시 거주 외국인주민에 대한 정책개발을 위해 서울시 여성가족정책실 외국인다문화담당관 공무원, 글로벌센터, 외국인노동자센터, 시민사회단체들로 구성, 격월 정기회의 개최(총 6회 회의개최) 및 이주아동 복지지원 포럼 개최
(2019년 9월 6일 오후 2시-4시, 서울글로벌센터 9층 국제회의장)
이주배경 아동청소년 기본권 향상을 위한 네트워크
•희망의친구들을 비롯하여 총 13개(19년 8월 현재) 단체로 구성
•2019년 총 10회 회의 개최
•국가인권위원회 제2차 이주인권가이드라인 의견서 제출
•법무부 외국인권익증진협의회 장기체류 미등록 아동청소년 체류자격 부여 안건상정 요청
연대활동
Migrant Forum in Asia
(1) MFA 2019년 제2차 실행위원회
① 일시 : 2019년 8월 30일 ~31일
② 장소 : 쿠알라룸푸르
③ 내용 : 이주노동자 상담사례 온라인 통계 메커니즘 HAMSA, GCM 실행을 위한 국내협의회, IlO 189호 협약(가사노동자 협약) 비준 캠페인, 총회 준비 및 회원자격 논의
(2) 제9차 MFA총회
① 일시 : 12월 9일 ~10일
② 장소 : 태국 방콕
③ 내용 : 신규 회원 단체 승인, 글로벌 이주인권 옹호 활동에 관한 회원단체 참여 가이드라인, 젠더와 다음 세대를 위한 역량강화, 인신매매 반대와 기후위기 등에 대한 활동 강화, MFA재정확보, 실행위원 선출 등















































번호 성별 나이 국가 병 명 지원액
1 여 30 필리핀 제왕절개분만 500,000
2 여 2 베트남 급성기관지염외 460,000
3 남 26 키르기스스탄 항문직장농양 755,000
4 여 41 태국 시상경색증 83,000
5 여 45 태국 난소의자궁내막증 76,000
6 남 60 필리핀 뇌졸중, 관상동맥질환 76,000
7 여 14 몽골 당뇨병 101,000
8 여 25 베트남 조산방지치료 374,000
9 여 14 몽골 당뇨병 938,000
10 남 39 베트남 기관지염, 급성기도염 145,000
11 여 42 베트남 자연분만 300,000
12 여 49 태국 제2형당뇨병 144,000
13 여 25 베트남 조산방지치료 500,000
14 여 35 몽골 자연분만 300,000
15 여 3 몽골 급성기관지염외 412,000
16 여 34 베트남 제왕절개분만 500,000
17 여 25 태국 자연분만 300,000
18 여 34 태국 자연분만 300,000
19 여 43 필리핀 제왕절개분만 500,000
20 남 50 필리핀 심근경색 84,000
21 여 43 필리핀 뇌전증의증 74,000
22 여 55 필리핀 대뇌경색, 고혈압 143,000
23 여 31 키르기스스탄 위염,식도염 455,000
24 남 22 태국 두통 71,000
25 남 27 태국 갑상샘통증 118,000
26 여 38 베트남 자연분만 300,000
27 여 34 몽골 자연분만 300,000
28 여 1 태국 저체중출생아, 신생아저혈당 766,000
29 여 35 몽골 자연분만 300,000
30 여 43 필리핀 심장초음파검사 87,000
31 여 14 몽골 당뇨병 57,000
32 여 44 페루 스트레스요실금 263,000
33 남 48 필리핀 만성신장병 45,000
34 여 35 나이지리아 제왕절개분만 500,000
35 여 30 필리핀 제왕절개분만 500,000
36 남 42 인도네시아 심근경색 143,000
37 여 41 네팔 우측견관절회전근개파열 93,000
38 남 34 라이베리아 흉통, 부비동염 52,000
39 남 35 태국
77 여 36 남아프리카공화국 HIV 500,000
78
79
80
81 여 33 베트남 제왕절개분만 500,000
82
83
84 여 35 베트남 자연분만 300,000
85 여 3 몽골 미숙아혈관종 28,000
86 여 20 몽골 화염화상 3,000,000
87
88 남 1 노르웨이 저체중출생아 외 3,000,000
89 남 55 중국 외상성기흉 외 3,000,000
90 여 37 태국
91 남 46 태국 고혈압, 심근경색 142,000
92 여 55 필리핀 고혈압, 당뇨 36,000
93 남 33 방글라데시 배뇨장애 85,000
94 남 48 방글라데시 신기능장애, 복통 135,000
95 남 60 필리핀 뇌졸중, 관상동맥질환 46,000
96 여 25 베트남 제왕절개분만 500,000
97 남 48 필리핀 만성신장병 44,000
98 여 2 우즈베키스탄 급성세기관지염 834,000
99 남 47 필리핀 신장이식후면역제제치료 274,000
100 남 40 필리핀 요로결석, 수신증 783,000
101 여 31 태국 뇌내출혈 외 2,000,000
102 남 39 베트남 기관지염 85,000 103 남 11 필리핀 배뇨장애 45,000 104 여 26 태국 자연분만
124
126
127
128
129
130
132
133 여 14 몽골 당뇨병 90,000
134 여 29 베트남 자연분만 300,000
135 여 53 몽골 협심증 54,000
137 남 59 필리핀 녹내장 37,000
성별 나이 국가 병 명 지원액
153 여 35 스리랑카 산전검사비 209,840
154 여 27 베트남 산전•산후검사비 400,000
155 여 35 몽골 산전•산후검사비, 신생아의료비 313,980
156 남 47 필리핀 갑상선종양절제술 2,210,000
157 여 1 베트남 신생아 배꼽폴립 381,000
158 여 33 베트남 자연분만 300,000
159 여 36 태국 산전검사비, 신생아의료비 320,150
160 여 29 태국 산전검사비 65,650
161 여 33 나이지리아 신생아의료비 80,690
162 여 35 나이지리아 신생아의료비 319,640
163 여 38 몽골 산전검사비, 신생아의료비 400,000
164 여 31 몽골 산전검사비 154,150
165 남 50 필리핀 심근경색 91,000
166 여 55 필리핀 뇌경색, 고혈압 133,000
167 남 42 몽골 기타비기질성정신병 170,000
168 남 43 태국 각공망열상, 외상백내장, 안구내이물 1,000,000
169 여 30 베트남 신생아의료비 243,000
170 여 30 베트남 산전검사비 350,000
171 여 30 카메룬 골반염증성질환 500,000
172 남 38 우즈베키스탄 대퇴골 몸통의 골절, 폐쇄성 2,000,000
173 여 44 태국 양측 수근관증후군 895,000
174 남 39 베트남 기관지염, 급성상기도염 84,000
175 여 26 태국 급성 충수염 1,238,000
176 남 47 나이지리아 고혈압 97,000
177 남 1 베트남 동맥관개존, 신생아일과성빠른호흡, 심방중격결손 2,000,000
178 남 33 베트남 대동맥판막협착 494,000
179 여 30 베트남 자연분만 300,000
180 남 49 필리핀 좌측무릎의염좌 49,000
181 여 51 몽골 늑연골염 82,000
182 남 11 필리핀 배뇨장애 146,000
183 여 39 필리핀 전치태반 1,000,000
184 남 1 필리핀 신생아 과빌리루빈혈증 1,500,000
185 남 57 중국 급성심내막 하심근경색증 223,000
186 남 47 필리핀 상세불명 기원의 위장염 및 결장염 121,000
187 남 47 필리핀 상세불명 기원의 위장염 및 결장염 285,000
188 남
229
230
233
234
236
237
238
239
240
241
242
243 여 29 태국
244
245 여 34 몽골 신생아의료비 298,000
246 여 32 몽골 신전검사비, 신생아의료비 300,000
247 여 29 베트남 신생아의료비 190,000
248 여 27 태국 산전검사비, 신생아의료비 320,000
249 여 39 파키스탄 산전검사비 160,000
250 여 40 태국 신생아의료비 96,000
251 남 47 베트남 좌대퇴골 경부골절, 좌종골골절 2,000,000
252 남 1 몽골 신생아 황달 1,483,000
253 여 34 몽골 자연분만 300,000
254 여 28 스리랑카 계류유산 259,000
255 남 45 태국 갑상선기능저하증 139,000
256 남 22 태국 두통 74,000
257 여 29 베트남 자연분만 300,000
258 여 56 필리핀 급성뇌경색증 828,000
259 여
260
261
262
263
264
267 여 34 몽골 산전•산후검사비 102,000
268 여 31 몽골 산전검사비 79,000
269 여 35 몽골 산전검사비, 신생아의료비 164,000
270 여 1 베트남 난소 성숙세포의 기형종 3,000,000
271 여 1 나이지리아 미숙아 3,000,000
272 여 34 카메룬 자연분만 300,000
273 여 27 필리핀 자연분만 300,000
274 여 32 베트남 자연분만 300,000
275 남 46 태국 좌측무릎의 염좌및긴장 149,000
276 여 53 태국 관절염 88,000
277 남 55 태국 위궤양 164,000
278 여 25 태국 제왕절개분만 500,000
279 남 1 베트남 미숙아 3,000,000
280 여 34 카메룬 신생아의료비 118,000
281 여 30 베트남 신생아의료비 150,000
282 여 32 베트남 산전검사비, 신생아의료비 368,000
283 여 31 태국 신생아의료비 36,000
284 여 32 태국 신생아의료비 40,000
285 여 33 필리핀 산전•산후검사비, 신생아의료비 400,000
286 여 25 태국 산전•산후검사비, 신생아의료비 400,000
287 여 26 베트남 신생아의료비 400,000
288 여 34 스리랑카 산전검사비 400,000
289 여 30 베트남 제왕절개분만 500,000
290 여 55 필리핀 뇌경색 190,000
291 여 32 태국 자연분만 300,000
292 여 31 태국 자연분만 300,000
293 남 3 베트남 급성 인두편도염 외 360,000
294 여 33 태국 제왕절개분만 500,000
295 여 47 몽골 제4-5요추간 퇴행성추간판질환 360,000
296 남 13 필리핀 혈뇨, 비특이성단백뇨 273,000
297 여 27 태국 산전검사비 29,000
298 여 41 필리핀
299
병 명 지원액
305 남 52 필리핀 협심증 156,000
306 여 26 베트남 제왕절개분만 500,000
307 여 46 나이지리아 자궁내막염 56,000
308 여 44 필리핀 복막유착, 난관폐쇄 686,000
309 여 34 베트남 제왕절개분만 500,000
310 남 37 베트남 폐렴, 결핵 1,500,000
311 남 45 파키스탄 하지마비 2,000,000
312 여 57 중국 상세불명의 두개내출혈 2,000,000
313 남 40 필리핀 우방아쇠무지 55,000
314 여 42 몽골 C형간염 104,000
315 여 31 베트남 제왕절개분만 500,000
316 여 31 베트남 산전검사비 138,000
317 여 36 베트남 산전^산후검사비, 신생아의료비 400,000
318 여 36 몽골 산전^산후검사비, 신생아의료비 187,000
319 여 38 몽골 산전검사비, 신생아의료비 269,000
320 여 35 몽골 산전검사비, 신생아의료비 195,000
321 여 45 필리핀 상세불명의 이상 자궁 및 질 출혈 960,000
322 여 47 태국 자궁선종 2,201,000
323 여 54 몽골 치핵근본수술 888,000
324 여 50 몽골 상세불명의 무월경, 선근종 103,000
325 남 39 베트남 기관지염 44,000
326 여 26 몽골 자연분만 300,000
327 여 49 태국 당뇨병 67,000
328 여 35 몽골 자연분만 300,000
329 여 26 베트남 자연분만 300,000
330 남 51 방글라데시 요실금 65,000
331 남 57 방글라데시 창피반모양 혈관염 외 164,000
332 남 45 태국 기질성 망상성장애 85,000
333 남 39 예멘 목부위혹제거수술 147,000
334 여 32 베트남 자연분만 300,000
335 여 32 파키스탄 자연분만 300,000
336 남 46 중국 췌장낭성종양, 대장용종 668,000
337 남 52 태국 고혈압, 고지혈증 94,000
336 남 46 중국 췌장낭성종양, 대장용종 668,000
337 남 52 태국 고혈압, 고지혈증 94,000 338 여 30 태국 자연분만 300,000 339 여 29 라이베리아
384 남
386
387 남 52 필리핀 협심증
399 남 49 방글라데시 유두상 감상선암 94,000
402 남 46 방글라데시 역류성 식도염 46,000
남 48 인도네시아 상세불명의 심부전 경기 75,000
456 여 35 베트남 제왕절개분만 500,000
457 여 27 베트남 제왕절개분만 500,000
458 여 28 베트남 제왕절개분만 500,000
459 여 56 몽골 부인과검사 80,000
460 여 34 캄보디아 자연분만 300,000
461 여 22 베트남 자연분만 300,000
462 여 54 몽골 치질 117,000
463 여 23 몽골 위장염 및 결장염 305,000
464 여 22 방글라데시 액와임파선염 99,000
465 남 51 방글라데시 위염 외 124,000
466 남 43 필리핀 당뇨병 외 75,000
467 여 55 필리핀 당뇨병 50,000
468 여 22 태국 제왕절개분만 500,000
469 여 22 태국 신생아의료비 103,505
470 여 1 베트남 신생아의 일과성 빠른호흡 1,349,000
471 남 24 베트남 급성충수염 1,000,000
472 남 46 태국 좌측제3수지 원위지골 골절 1,000,000
473 여 25 태국 급성충수염 1,000,000
474 남 48 몽골 누공없는 농흉 1,000,000
475 여 46 베트남 수막종,후신경구 320,000
476 여 23 베트남 치아우식 39,000
477 여 25 베트남 자연분만 300,000
478 여 36 베트남 자연분만 300,000
479 여 24 캄보디아 자연분만 300,000
480 여 38 베트남 제왕절개분만 500,000
481 남 50 필리핀 심근경색 183,000
482 여 35 필리핀 경부종괴 125,000
483 여 1 베트남 인체 메타뉴모바이러스, 상세불명의 수막염 3,000,000
484 남 1 태국 미숙아, 미만성 또는 파종성 혈관내응고, 미숙아의 무호흡 3,000,000
485 여 47 필리핀 부신선종에 의한 일차성 고알데스테론 1,953,870
486 남 1 몽골 신생아 고빌리루빈혈증 742,000
487 남 47 필리핀 상세불명의 합병증을 동반한 2형 당뇨증 238,000
488 남 38 방글라데시 십이지장궤양 153,000
489 남 35 필리핀 당뇨, 고지혈증 55,000
490 남 51 방글라데시 위염 외 46,000
491 여 55 필리핀 고혈압, 당뇨병 57,000 합계(원) 235,747,519
후원유형선택 - 정기후원 □ 일시후원 □ - 사업별 후원 □
의료비/ 약값/ 이주아동/ 무료진료/ 예방접종/ 건강교육/ 해외지원
후원자정보
성명 주민등록번호
전화번호 휴대폰번호
주소
□
이메일 주간 온라인 뉴스레터 구독신청 □
후원신청내용
후원금액 후원금이체일 4일 □ 25일 □
은행명 예금주명
계좌번호 예금주 주민등록번호
기타요청메세지
후원계좌 : 신한 140-006-343036, 국민 813037-04-002516 예금주 (사)한국이주민건강협회 희망의친구들
지로번호 : 7678506
*희망의친구들은 소득세법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동의
^ 수집하는 개인정보 항목
성명, 생년월일, 성별, 주민등록번호,
주소, 전화번호, 이메일, 계좌정보
^ 개인정보의 수집, 이용목적
본인 식별, 기부금출금, 기부금영수증 발행, 기부제안, 우편물발송, 뉴스레터 발송, 행사안내
^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기간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되면
파기함. 단, 기부금영수증 발행 등을 위해
관계법령에서 정한 일정 기간 동안
개인정보와 기부결제정보를 보관함
(기부중단시부터)
*위 항목에 동의하지 않을 때에는
기부금영수증 등 우편물의 발송, 정보 수정 등의 제약을 받을 수 있습니다.
동의 동의 안 함
개인정보 취급위탁 동의
^ 개인정보 취급위탁을 받는자(수탁자)
^ 개인정보 취급위탁 정보
^ 개인정보 취급위착 사유
^ 스마트레이저
^ 성명, 연락처, 이메일, 기부정보
^ 기부 분석 및 기부 제안
^ 국세청연말정산간소화 서비스
^ 성명, 주민번호, 기부내역
^ 연말정산서비스 제공
동의 동의 안 함
근거 법률
개인정보보호법 제24조의2
소득세법시행령 제208조의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