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망의친구들 2022 가을 소식지

Page 1

wefriends.org이주민‘희망의친구들’은 • 다문화가족 • 이웃의세계NGO입니다.다문화최대국내일하는위해인권을건강과 20 22 vol.71 “이주민과 함께 더 나은 재건”
CONTENTS WeFriends vol.71 2022 시네마 편지 우리는 친구 _ 하나 관심과 마음을 쏟을 때 진짜 이웃이 됩니다 우리는 친구 _ 둘 여행 가이드를 꿈꾸는 타헤리안을 소개합니다 딩동 알리미 1 이주노동자 자살예방 상담실무 역량강화 교육 희친활동 1 여성이 건강해지는 의료비 희친활동 2 “평화를 위한 새로운 공동의 노력” 희친활동 3 이주민의 몸과 마음이 건강해야 한국사회도 건강합니다 희망의친구들 후원 안내 딩동 알리미 2 이주배경 아동 건강성장 지원 사업 희친 구독 서비스 이주아동 스토리 생명력이 강한 아이 희친의료비희망의친구들은의료지원사례지원현황NEWS211098764212141516171819 vol.71 2022 발행처 (사)한국이주민건강협회 희망의친구들 발행일 2022년 9월 22일 발행인 김성수 편집인 김정우, 문세진 디자인 하트비 www.heartbee.com 03735 서울시 서대문구 통일로 9길 12(2층) Tel. 02)3147-0516~8 Fax. 02)3147-0519 www.wefriends.org “이 책은 네이버에서 제공한 나눔글꼴 이 적용되어 있습니다.” 표지설명 : 2022년 WeFriends의 표지 는 한국사회의 곳곳에서 일하는 이주노 동자들을 주제로 꾸몄습니다. 한국사회 는 3D업종 기피현상으로 건설업, 제조 업 현장에 이주노동자가 많습니다. 하지 만 산재를 당하는 이주노동자도 증가하 고 있습니다. 땀흘려 일하는 이주노동 자들이 차별받지 않고 건강한 사회가 되 길 바랍니다. 김성수 회장 약력 성공회 성미카엘신학원 영국 셀리오크 신학대학 연세대 신학 명예박사학위 대한성공회 사제 서품(1964) 대한성공회 파라다이스상성공회대학교대주교(1990)총장(2000~2009)사회복지부문대통령 표창 ● 들머리 지구환경 위기가 불러온 올여름의 폭염과 폭우가 남긴 상처와 되풀이되는 노동 현장의 사고를 되돌아봅니다. 7월에는 대전의 한 건설 현장에서, 태안의 감자밭에서 이주노동자가 온열질환으로 각각 사망했고, 8월 초 수도권에 내린 폭우로 화성에서는 산사태가 컨테이너 숙소를 덮치면서 이주노동자가 빠져나오지 못한 채 숨진 사고가 있었습니다. 2021년에 제정된 중대재해처벌법이 올해 1월 27일부터 시행되고 있지만 여전한 산재사고와 사망 노동자들 명단에 이주노동자들이 빠짐없이 들어있습니다. 공장 화재 및 폭발, 기계 끼임, 깔림, 떨어짐, 감전, 그 밖의 수많은 사고들. 노동은 삶을 유지하는 기본적 행위입니다. 생활을 유지하기 위한 노동이 도리어 목숨을 앗아가는 살인행위가 되지 않도록 생명보다 이윤을 더 추구하지 않도록 욕심으로 가득 찬 우리 마음을 들여다보고 비워 내는 이 가을이 되기를 소망합니다. photo ⓒ Cho, Seihon 2022년 9월
3●2 시네마 편지 숫자가 아닌 이름으로 남아야 할 사람들 글. 김미선 _ 희망의친구들 상임이사 사진제공. 네이버에서 캡쳐 트라이얼 오브 더 시카고 7 트라이얼 오브 더 시카고 7(2020) 장르 드라마 감독 아론 소킨 출연 조셉 고든 레빗, 에디 레드메인, 마이클 키튼 1969년 9월 26일 마침내 재판이 시작되고 데이 비스는 매일 법정에 나와 “이 일이 누굴 위한 건 지 기억”하기 위해 자신들이 체포된 후로 사망 한 미국 군인들의 명단을 적습니다. 그리고 법 정 공방이 지속되던 어느 날, 민주사회학생회 공동대표 헤이든이 “시카고 전체에 피가 흐르 게 하자”라고 외친 음성이 녹음된 테이프가 검 찰 측에 의해 증거로 접수됩니다. 결국 시위 주 동자들이 주장하는 평화집회와는 달리 폭력 선 동이 있었다는 주장에 헤이든은 경찰이 폭행하 는 걸 보고 세상에 폭로해야 한다는 의미였으며 폭력선동이 아닌 “우리의 피가 시카고 전체에 흐르게 하자”라는 비폭력 평화시위를 주장한 것이라고 진술합니다. 드디어 마지막 재판이 시작되자, 판사는 재판 중 유일하게 존중과 반성의 태도를 보였다며 헤 이든에게 최후 변론 기회를 줍니다. 헤이든은 “재판장님, 이 재판이 시작된 후로 미군 4,752명 이 베트남에서 사망했습니다.”라며 변론대신 사 망한 군인들의 이름을 읽어내려갑니다. 데니스 월터 킵 일병, 18세 에릭 앨런 보슈 이병, 21세 로버트 얼 엘리스 일병, 19세 로버트 포드 상병, 21세 더글러스 W 잭슨 일병, 19세 법은 과연 만인 앞에 평등한가 아니면 만인(만 명)에게만 평등한 것인가. “흑인이 같이 있으면 더 무서워 보이니까 배심 원들에게 겁을 주려고 흑인 피고인을 끼워넣었 다”라는 보비 실의 항변도 “이건 정치재판이에 요. 정치재판이라 이미 결론을 정해놨다고요” 라는 호프만의 주장도 무시하기 어려운 현실입 대한민국니다. 헌법 제11조는 “모든 국민은 법 앞에 평등하다.”라고 말합니다. 그러나 버스요금 잔 돈 800원 횡령으로 인한 해고가 정당하다고 판 단한 법과 85만원 상당의 접대를 받은 검사의 면직에 대해 가혹하다고 판결한 법이 과연 만인 앞에 평등한지 묻지 않을 수 없습니다. 그리고 우리가 해야 할 일은 누군가 그들의 이 름을 불러주기 전에는 다만 숫자에 지나지 않 았을 사람들을 기억하는 일일 것입니다. 사회가 요구하는 대로 순수히 따랐던 죄 없는 영혼들 에게 최소한의 경의를 표하듯 지금도 숫자로만 남을 누군가의 이름을 부르고 기억하는 일이야 말로 불평등한 세상에서 우리가 할 수 있는 최 소한의 저항일지도 모르겠습니다. 민권운동과 함께 베트남전쟁 반대 운동이 거세 게 몰아치던 1968년. 미국 정부는 베트남전쟁 지속 정책을 고수하며 파병 병력을 7만 5천 명 에서 12만 5천 명으로 늘리고 징집 규모도 월 1 만 7천 명에서 3만 5천 명으로 늘린다는 계획을 발표합니다. 당시 미국에서는 18세~24세의 남 성 38만 2,386명이 징집되었습니다. 그리고 1968년 8월, 시카고에서 민주당 제35차 전당대회가 개최됩니다. 민주당 대통령 후보로 베트남전쟁 종전이 아닌 지속을 공약한 후보를 선출한다는 소식에 분노한 청년, 학생들과 시민 들이 시카고로 달려가 민주당 전당대회장 앞에 서 시위를 하기로 합니다. 시카고 당국은 집회를 원천적으로 불허하고 일 리노이주 방위군 5천 명과 폭동진압팀을 포함 한 시카고 경찰 1만 명을 투입합니다. 결국 민주 당 전당대회를 기해 평화롭게 시작했던 반전 시 위는 경찰 및 주 방위군과 대치하는 폭력 시위 로 변하면서 7명의 시위 주동자 소위 ‘시카고 7’ 이 기소되어 재판을 받게 됩니다. 재판을 앞두고 신임 법무부 장관은 연방 검사 에게 혁명세력인 시위주동자들이 미합중국 정 부를 와해시키려 한다며 이들에게 적용할 법 조 항과, 죄목 그리고 구형까지 구체적으로 지시합 니다. 즉, “연방법 제18조 2101항 폭력선동을 목 적으로 주 경계 횡단을 모의한 죄”, “최대 징역 10년인데 전원 10년 형을 받았으면 한다.”라고 말입니다.
54 달 쉬고 7월부터 다시 공장에서 일해요. 약품을 포장하는 공장인데 일 있을 땐 계속 해야 해요. 아내는 괜찮다고 말해요. 그래야 고향에도 돈을 보내고 아기도 키워요. 나도 지방으로 일하러 가야 하는데 아기 보고 싶어서 어떻게 해야 하나 싶어요. 아기는 계속 누워있어서 뒤통수에 머리카락 별로 없어요. 그래도 괜찮아요. 건강해요. 좋아요! 솜폰 씨와 전화 통역과 번역기 앱을 동원해서 이런저런 이야기를 나누는 동안 혼자 갓 난아기를 돌보느라 고군분투하던 오현철 신부님에게 이주민 지원에 대한 질문을 던졌 습니다. 아기 안는 폼이 영 어색했지만 울리지 않았으니 성공한 거라며 사기가 한껏 고 양되신 터라 솜폰 씨와 함께 웃었습니다. 김포 이웃살이의 정신은 무엇인가요? 성경에 선한 사마리아인 이야기가 나와요. 강도를 만나 어려움에 부닥친 이 방인을 모른척하지 않는 사람이죠. 사마리아인이 장사하러 다니는 사람이라 자기 집으로 데려간 게 아니라 여관으로 데려갔고 그다음부터는 도와줄 사 람이 생겨요. 사마리아인이 그냥 지나쳤다면 그 사람은 죽었겠지만 어떻게 든 되겠지 생각하고 둘러업고 여관까지 갔을 때 그 사람은 살았어요. 이웃살 이는 고통받는 이주노동자를 모르는 척하지 않고 끌어안고 가려고 합니다. 이주민 지원하면서 기쁜 순간이 언제일까요? 미등록 이주민이라도 돈이 있거나 건강할 때는 주위에 사람들이 있지만 그 걸 잃게 되면 가족이나 친구일지라도 떨어져 나가거든요. 그럴 때 우리가 옆 에 있어 주려고 해요. 죽이 되든 밥이 되든 일단은 들어주고 끌어 안아주고 하다보면 잘 풀리더라고요. 완 씨도 갑자기 응급 수술해야 해서 산모와 아기 가 잘못될까봐 노심초사하고 어떻게 병원비를 마련해야 하나 싶을 때 희망 의친구들과 (재)바보의나눔의 도움으로 위기를 넘긴 것처럼 이렇게 좋은 사 람들과 만나고 연결된다는 것이 가장 기쁘고, 감사합니다. 이 모든 과정이 이 주민에 마음을 두고 관심을 쏟는 계기가 되도록 씨앗을 뿌리는 거라고 생각 해요. 주위 사람들 소식에 따르면 완 씨는 씩씩하게 일하고 있다고 합니다. 앞으로도 완 씨 가 족이 건강하게 생활하기를 기원합니다. 더불어 수많은 완 씨들이 건강할 수 있도록 마 음을 두고 관심을 가지는 이웃이 많아지면 좋겠습니다. ● 우리는 친구 _ 하나 완 씨는 태국 국적의 이주여성입니다. 4월 중순, 분만 예정일보 다 한 달이나 빨리 아기를 만났습니다. 태아 심박수 이상이 합병 된 조기 진통이 있었고 자궁경부가 짧아 응급 제왕절개술로 분 만했습니다. 퇴원 후 완 씨네 가족이 어떻게 지내는지 김포 이웃 살이 오현철 프란치스코 신부님과 함께 만났습니다. 김포 이웃 살이는 노동 문제, 인권 문제 등으로 고통받는 이주노동자와 동 반하는 예수회 이주노동자 상담소입니다. 완 씨는 응급 상황에 서 이웃살이에 도움을 요청했고. 오현철 신부님은 모든 과정에 기꺼이 동행했습니다. 미리 약속을 잡고 집에 방문했지만 정작 완 씨는 없었습니다. 일 요일 오후 시간이었는데 공장에서 호출이 와서 출근했고, 대신 남편 솜폰 씨와 아기가 우리를 반갑게 맞아주었습니다. 솜폰 씨 안녕하세요. 가족 소개 부탁드려요. 안녕하세요. 우리는 한국에서 만나서 결혼했어요. 경 기도 광주에 있는 공장에서 만났고 결혼해서 김포로 왔어요. 우리 아기 이름은 타나톤이에요. 아내가 예쁘 고 좋은 글자를 모아 이름을 정했어요. 완 씨가 예정보다 빨리 아기를 낳았는데 솜폰 씨는 어땠어요? 걱정했어요. 하지만 병원에 못 갔어요. 공장에 일하 는 사람 별로 없어서 빠질 수 없었어요. 그리고 사장 님이 불법 사람은 왔다 갔다 하기 힘들다고 해서 못 갔어요. 돈이 없으면 병원에 가도 할 게 없다고 했어 요. 그래서 다른 태국 사람(통역봉사자)과 신부님이 아내와 병원에 같이 갔어요. 나는 괜찮았어요. 도와 주셔서 고마워요. 완 씨 와 아기 건강은 어때요? 아내는 아기 낳기 열흘 전까지 일했어요. 수술하고 석 관심과 마음을 쏟을 때 진짜 됩니다이웃이 글과 사진. 구정희_희망의친구들 사업팀 수석팀장
●6 우리는 친구 _ 둘 여행 가이드를 꿈꾸는 타헤리안을 소개합니다 글과 사진. 문세진 _ 희망의친구들 홍보팀 간사 희망의친구들은 (재)바보의나눔, 대덕전자와 함께 이주배경 청소년 장학사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올해 장학생으로 선정된 타헤리안(가명, 고등학생)을 소개합니다. 어떤 계기로 한국에 오게 되었나요? 3년 전 부모님의 결정으로 가족 모두 이주 를 하게 되었어요. 한국이라는 나라는 잘 몰랐지만 아빠 친구의 소개를 받 아 이곳에 오게 되었어요. 초기에는 낯선 문화와 환경 때문에 고향으로 돌 아가고 싶었지만, 지금은 한국 생활에 잘 적응하며 살고 있어요. 한국 생활의 좋은 점은 무엇인가요? ‘자유로움’과 ‘안전함’이 좋아요. 입고 싶은 옷을 마음대로 입을 수 있고, 종교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는 게 너무 신기했어요. 다른 사람의 생각을 서로 존중해주는 것도 좋았어요. 자유롭 게 다닐 수 있는 안전함도 너무 좋아요. 부모님도 한국은 안전하다고 생각 하셔서 친구들과의 여행을 흔쾌히 허락해 주셨어요. 어떤 꿈을 가지고 있고, 장학생으로 선정되었을 때 소감은요? 언어, 운동, 여행, 미디 어, 방송 등 여러 분야에 관심이 많아서, 계속 꿈이 바뀔 것 같아요. 현재는 여행을 좋아해서 ‘여행 가이드’가 되고 싶어요. 장학금을 받을 수 있다는 게 너무 신나서 여러 계획을 세웠어요. 온라인으 로 한국어 공부도 하고 있고, TOPIK 책도 구매했어요. 운동을 좋아해서 킥복싱도 배우고 있어요. ‘여행 가이드’가 되려면 언어도 되고, 체력도 받쳐 줘야 하니까요. 마지막 인사 한마디 해주세요. 장학금 덕분에 삶의 희망을 가질 수 있게 되었고, 제가 좋아하는 활동들을 다양하게 할 수 있었습니다. 희망의친구들, (재) 바보의나눔, 대덕전자에 감사드립니다. 희망의 친구들 (사)한국이주민건강협회 표제로별색일경우일반B일반-A사용시 ● 딩동 알리미 당신이 이주노동자 이주노동자생명지킴이! 자살예방 상담실무 역량강화 교육 우리 사회는 이주노동자의 정신건강에 대한 인식과 지원 인프라가 부족하여 심리적 위기 상황에 놓인 이주노동자가 적절한 정신건강서비스를 제공받기 어렵습니다. 또한 이주민 상담 활동가들은 다양한 인권침해와 임금체불, 사망, 의료상담 등을 하며 대리 트라우마와 스트레스, 업무가중 등으로 여러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희망의친구들은 이주민 상담 활동가들이 먼저 본인의 마음을 챙기고, 정신건강 위기 상황에 처한 이주노동자에게 적절한 도움을 줄 수 있도록 상담실무 역량강화 교육을 진행합니다. 프로그램교육대상자일교육내용시 이주민 상담활동가의 소진과 대리 트라우마 예방 교육 이주노동자 자살예방 상담 실무에 필요한 자살예방 기초상담 자살고위험군 위기개입 상담 역량강화 교육 2022년 9월 ~ 11월(총 3회) 이주민 상담활동가 이주민 상담활동가의 소진과 대리 트라우마 예방 훈련 점심식사 및 산책 자살예방 기초상담기법 이주민 정신건강 및 자살예방 상담실무 본 교육은 사회복지지공동모금회 현대자동차지정기탁사업 ‘2022년 이주노동자 한국사회 적응과 사회통합을 위한 심리지원 및 의료지원 사업’ 기금으로 진행합니다. 지원주관
9 ● 희친활동 이주여성1건강증진 사업 여성이 건강해지는 의료비 글. 김우정_희망의친구들 사업팀 팀장 사진. 시흥시외국인복지센터세계적인이주의‘여성화’는 한국도 예외는 아닙니다. 국내 이주민 중 절반 이 상은 이주여성입니다. 제조업, 농어축수산업, 음식 및 숙박업, 서비스업 등 우 리 사회의 다양한 분야에서 일을 하고 있습니다. 이주여성은 ‘이주민’, ‘여성’, ‘미등록’ 등 다중적 이유로 노동 현장에서 차별적 인 상황에 놓이는 경우가 많습니다. 국가인권위원회에서 실시한 제조업 여성 이주노동자 실태조사에 따르면 저임금, 고강도 노동, 임금체불, 성희롱 및 성 폭력 등의 이유로 일을 그만두거나 직장을 바꾸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그리 고 아플 때 사용자가 휴가를 내주지 않아 병원에 갈 시간이 없거나, 병원비 등 경제적 문제, 건강보험에 가입하지 않아서 병원에 가기가 어렵다고 했습니다. 2021년 희망의친구들 의료지원 통계를 살펴보면 이주여성 의료비 지원건수 가 66%로 남성보다 높습니다. 부인과 질병을 포함한 산부인과 진료비율이 32%로 가장 높고, 내과, 외과가 그 다음을 차지합니다. 부인과는 자궁과 난 소 관련 질병, 내과는 갑상선, 당뇨, 고혈압, 위염, 외과는 유방 관련 질병이 많 았습니다. 한국 여성의 경우에도 갑상선 관련 질병은 남성보다 2배 이상 많 고, 여성 질병 상위 30위 대부분이 자궁, 난소 등 여성생식기관 관련 질병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국가는 다르지만 여성들의 건강문제는 국경을 넘어 같 고도 희망의친구들은비슷합니다.(사)자연드림씨앗재단과 함께 이주여성 건강증진 사업을 통 해 의료비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이주여성이 열악한 비정규 노동환경, 성차별 과 배제, 미등록 체류로 인한 건강불평등 상황에서도 다시금 일어설 수 있도 록 든든한 건강지원이 되고 있습니다. ● 희친활동 2 유엔난민기구와 함께하는 2022년 난민의료지원사업 “평화를 위한 새로운 공동의 노력” 글. 김정우_희망의친구들 홍보팀 수석팀장 2021년부터 계속되고 있는 미얀마 민주화운동과 올해 2월에 시작된 러시 아와 우크라이나의 전쟁, 기후 위기 등을 보면 “그 누구도 난민이 되지 싶지 않지만, 그 누구라도 난민이 될 수 있다”라는 말이 실감이 되는 세상입니다. 개인의 의지와 상관없이 벌어지는 사태로 인해 우리는 난민이 될 가능성이 희망의친구들은있습니다. 유엔난민기구의 지원으로 국내에 거주하는 인도적 체류허 가자, 난민신청자, 소송진행자 등을 포함하는 난민의 건강권 보호를 위한 의 료지원사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지난 4월부터 8월까지 총 17건의 난민 의 료비를 지원하여, 질병을 치료하고 일상생활 속으로 복귀를 돕고 있습니다. 유엔난민기구가 지난 6월 발표한 ‘유엔난민기구 2021 글로벌 동향 보고서 (Global Trends Report)’에 따르면 “2021년 말 기준으로 전쟁, 폭력 사태, 박해 및 인권 침해를 피해 강제로 집을 떠난 사람들의 수는 약 8,930만 명” 이며 “강제로 집을 잃은 사람들의 수가 지난 10년간 매년 증가해 1억 명을 돌파했다. 이는 유엔난민기구가 강제 이주민 수치 집계를 시작한 이래 최대 규모로, 평화를 위한 새로운 공동의 노력 없이는 이러한 추세를 뒤집기 어려 울 것으로 보인다”라고 했습니다. 평화를 위한 새로운 공동의 노력은 무엇일까요? 희망의친구들은 몸이 아픈 난민을 외면하지 않고 그들의 몸과 마음이 건강 할 수 있도록 최소한의 지원을 시작하는 것이 그 노력의 첫걸음이라고 생각 합니다. 희망의친구들 난민의료지원 사업에 여러분의 많은 관심과 응원을 부탁드립니다. 8
11●10희친활동 이주민의3 몸과 마음이 건강해야 한국사회도 건강합니다 글. 희망의친구들 희망의친구들은 8월 27일 대한신경정신의학회에서 주최하는 “이주민과 난민의 정신건강권 및 트라우마” 온라인 워 크숍에 참여했습니다. 이번 워크숍은 정신건강의학과 의사들이 이주민과 난민 문제에 대해 인지하고, 진료 역량을 강 화할 수 있도록 희망의친구들은기획되었습니다.10월광주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열리는 대한신경정신의학회 추계학술대회 ‘사회를 위한 관심과 공 감: 이주민과 난민의 정신건강 지원’ 심포지엄에서는 “이주민과 난민의 정신건강과 자살예방”을 발표할 예정입니다. 희망의친구들은 2009년부터 다양한 이주민의 정신건강에 관심을 가지고 지속적으로 활동해왔습니다. 아래의 활동 들은 한국사회에서 이주민들이 차별 없이 건강하게 일하며 생활할 수 있도록 신체건강 뿐만 아니라 마음건강도 살펴 한국사회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돕고 사회통합 기반을 구축하려는 노력입니다. 이주민의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희망 의친구들 활동에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2009 2013 2020 2022 ~ 2011 2017 2022 외국인근로자 심리사회적응을 위한 정신건강 네트워크 구축과 인식증진교육 - 이주노동자 정신건강 인식증진교육 - 이주민 활동가들을 위한 ‘마음상담’교육 - 이주민 정신건강 네트워크 구축 - 다국어 정신건강가이드북 제작 심리치유난민여성 프로그램 - 그룹별 심리 치유 프로그램과 커뮤니티 파티 난민여성 심리치유 프로그램 ‘건강한 몸, 건강한 마음, 건강한 노동’ - 정신건강 이해와 위기상황 대처법 강의 - 우울과 스트레스 해소를 위한 명상과 스트레칭 난민 트라우마 대응 TF - 정신건강 및 트라우마 활동가 학습 및 워크숍 - ‘이주민과 난민의 정신건강권 및 트라우마’ 온라인 워크숍 이주노동자 자살예방사업 - 이주노동자 정신건강실태조사, 이주노동자 자살예방 상담실무자 매뉴얼 제작 - 이주노동자 생명지킴이(gatekeeper) 교육 - ‘SAVE YOURSELF! SAVE LIVES!’ 이주노동자 자살예방 캠페인 - 이주노동자 자살 예방 및 정신건강 지원을 위한 전문기관 협력체계 구축 이주노동자 정신건강증진을 위한 도움닫기 프로그램 ‘건강한 마음, 스마일 이주노동자’ - 프로그램 사전, 사후 조사 (불안, 일반정신건강 조사) - 우울 및 스트레스 관리와 대처방법 이해 - 스트레칭, 음악 감상, 악기연주를 통한 긴장 이완과 불안감 해소 - 다양한 음악활동과 발표 속에서 내적 갈등과 감정을 표현하여 스트레스, 활동내용 발표를 통해 연대감과 성취감 향상
13 건강증진국제협력물품후원일반후원의료지원이주아동희망의친구들 홍보대사 배우 이기창, 최배영 이주민들이 힘들어도 오뚝이처럼 일어설 수 있도록 희망의지금, 되어주세요친구가 ● 희망의친구들 후원 안내 후원문의 02) 3147-0516~8 후원계좌 :신한은행 140-006-343036 (예금주 : (사)한국이주민건강협회 희망의친구들) 희망의친구들은 소득세법 제34조 제1항의 지정기부금단체로 연말정산 개인 최대 30% (1천만원 이하 15%, 1천만원 초과 30%), 법인은 10%의 소득공제를 받으실 수 있습니다. “ 지금, 희망의 친구가 되어주세요.” 여러분의 소중한 후원금은 다양한 이주민 지원 활동에 사용됩니다. 희망의친구들후원하기 www.wefriends.org MHAkorea wefriendsorg wefriendsorg
17 ● 딩동 알리미 이주배경 아동 건강성장 지원 사업 희망의친구들은 이주배경 아동의 건강한 성장을 위한 의료비 지원 사업을 진행하고 있습니 다. 아이들이 국적, 체류자격, 장애 등으로 차별받지 않고, 모두의 아이들로 건강하게 잘 자 랄 수 있도록 많은 관심과 신청 바랍니다. 문주신청방법지원내용참여대상사업기간관의 2022년 3월 ~ 12월(기금소진 시 종료) 의료비 지원이 필요한 만 18세 미만 이주노동자가정, 난민가정의 자녀 건강지원 성장지원 1인당 최대 100만원 한도 상담치료비입원수술비외래진료비약제비심리검사비등 장애, 재활 보조기기(시각,진단검사비관련청각,보행,착석, 위생 등 ) 구입비 또는 대여비 - 보호자 및 개인 신청 불가 - 아동 및 부모와 지속적인 소통 및 사례관리가 가능한 기관에서 신청 - 건강지원, 성장지원 중 택1 신청(중복신청 불가) - 자세한 내용 및 제출서류는 희망의친구들 홈페이지(www.wefriends.org)에서 확인 희망의친구들 사업팀 ☎ 02-3147-1693 여러분은 어떤 구독 서비스를 이용하시나요? 넷플릭스, 웨이브, 멜론, 벅스 등 우리 생활에 밀접한 구독 서비스가 많아지고 있습니다. 책에만 사용될 것 같은 구독이 요즘은 꽃, 술, 음료 등 여러 분야에 사용됩니다. 구독 서비스가 다양해질수록 독자의 삶은 더 재밌어집니다. 이제 재미를 넘어 함께 사는 세상, 이웃을 볼 수 있는 희망의친구들 구독 은 어떠신가요? - 희망의친구들을 구독해주시는 분께는 희망의친구들 굿즈(오뚝이수첩)를 보내드려요. - 구독자의 시선으로 지면에 참여하실 수 있습니다. we@wefriends.org로 원고를 보내주세요. - 희망의친구들의 다양한 소모임에 초대 (정담회, 락몽데이 등) - 이미 구독 중이신 분들은 새로운 친구 3명 구독 권유, 성공시 굿즈를 보내드려요. - 희망의친구들홈페이지(www.wefriends.org)에서소식지,뉴스레터구독신청 - SNS DM/ 댓글 - 전화와 이메일 ● 희친 구독 서비스희망의친구들을 구독하고 친구들에게소문내주세요 - 뉴스레터(격주) - 소식지(계간) - 페이스북과 인스타그램 - 사람책 : 이메일 신청하시면 찾아가서 희친 활동과 이주민에 대한 이야기를 들려드려요. wefriendsorgMHAkoreawefriendsorg 희망의친구들
● 의료지원사례 람 응원합니다!씨를 이름 람 국적 방글라데시 병명 불안정 협심증 지원금 2,000,000원 람 씨는 2018년 G1비자로 한국에 입국하여 유리공장, 의료화학품 제조 회사 등 여러 곳에서 아르바이트를 하 며 생계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람 씨는 최근 가슴에 통증 을 느껴 심장내과 외래진료를 대기하던 중 의식을 잃고 쓰 러져 응급실에서 심폐소생술 후 응급심혈관 조영술 및 경 피적 심혈관 중재술을 받고 심혈관 중환자실에 입원했습 니다. 입원 후 심혈관 중재술을 받는 과정에서 천삼백만 원이 넘는 치료비가 발생했고, 향후에도 재발하지 않도록 추적 관찰과 지속적인 외래 진료가 필요한 상황입니다. 람 씨는 4명의 친구들과 월세집에서 생활하며 아르바이 트를 해서 얻는 월 수입의 절반은 고국에 있는 가족을 위 해 송금하고 있었습니다. 난민 심사에서 불인정을 받은 난민신청자들은 구직활동에 어려움을 겪고, 건강보험에 가입하지 못한 경우가 많습니다. 람 씨가 지속적인 치료 를 통해 건강을 회복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몸과 회복을마음의위해 이름 파라 국적 라이베리아 병명 제왕절개 상처의 파열, 뇌졸중 지원금 2016년3,000,000원한국에입국하여 난민 신청을 했지만 불인정되 어 미등록 이주민으로 살고 있는 파라 씨. 파라 씨는 지난 4월 임신 36주에 임신중독증으로 입원 치료를 받고 출산 후 퇴원했으나 열흘 후 수술부위의 감염과 고지혈증 등으 로 다시 입원하였습니다. 파라 씨는 임신 상황에서 두통 과 우울감을 가지고 있었지만 적절한 상담이나 치료를 받 지 못했고, 몸과 마음이 회복지 않은 상황에서 아기를 잘 돌보기도 힘들었습니다. 재입원했을 때 혈압과 두통이 심 했고 내경정맥색전증이 확인되었는데, 8월 19일 갑자기 뇌출혈로 쓰러져 중환자실에 다시 입원했습니다. 파라 씨 는 아기를 혼자 돌봐야해서 일을 못 한지 오래 되었으며, 쌓여가는 병원비 걱정으로 맘 놓고 치료를 받지 못하는 상황입니다. 파라 씨의 몸과 마음이 회복되어, 아기도 잘 돌볼 수 있기를 바라봅니다. 유엔난민기구와 2022년함께하는난민의료지원 사업 ● 이주아동 스토리 강한생명력이아이 글과 사진. 이애란_ 희망의친구들 사무처장 이름: 랏 씨의 아기 지원내용: 미숙아 치료비 지원: 하나금융나눔재단 “생명력(生命力) : 생물체가 생명을 유지하여 나가는 힘” 태어난 지 70일이 지났지만 아직 이름도 없이 대학병원 신생 아 중환자실 인큐베이터에서 매일 생과 사의 경계선에서 살 고자 하는 강한 의지로 하루하루를 버텨내고 있는 아기가 있 습니다. 랏 씨의 아기는 지난 6월 엄마 뱃속에서 35주 만에 1.6kg로 선천성 비장비대, 간비대, 동맥관개존증, 장천공, 신 부전 등 듣기만 해도 무서운 다양한 선천성질환 진단명을 30 여 개나 갖고 태어났습니다. 랏 씨의 아기는 건강해 질 수 있다 는 희망을 갖기 어려운 상황 속에서 인공호흡기를 비롯하여 온갖 의료장비를 달고 신생아 집중치료를 받았습니다. 아기의 부모는 태국에서 온 이주노동자로 농장에서 일용직으 로 일하고 있습니다. 엄마 랏 씨는 작년 가을 임신했지만, 건강 보험에 가입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의료비 부담과 코로나 확 산세로 병원 이용이 어려워 산전관리를 거의 하지 못해 태아 의 건강상태를 알지 못한 채 지내다가 갑작스러운 조기진통으 로 조산을 한 것입니다. 의료진과 부모 모두 아기의 건강상태 가 너무 심각하여 아기가 살아날 가망이 없다고 생각했지만, 아기는 호흡곤란과 심정지, 경련 등으로 생명이 위협받는 고 비를 수없이 넘기면서도 기적적으로 상태가 좋아졌습니다. 출 생 한 달이 지나가면서 인공호흡기를 떼고 산소 튜브를 사용 하고, 수유상태도 조금씩 늘면서 몸무게도 늘어갔습니다. 70 일이 지난 지금도 잘 버텨내고 있습니다. 코로나 팬데믹 후, 랏 씨의 아기처럼 이른둥이로 태어나 출생 직후부터 선천성질환으로 생명의 위협을 받는 이주아동들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치료 중에 안타깝게 사망한 아기들도 있습니다. 길어지는 감염병 시기에 이주아동 영·유 아 사망률에 조금 더 관심을 갖고 사회적 지원 대책을 만들어 야 할 시기입니다. 16 17
● 희망의친구들은 희망의친구들 WeFriends는 지난 20년간 한국사회에서 이주민의 건강권이 인권임을 주창하며 이를 실현하기 위해 노력해왔습니다. 3C핵심가치비전VISION미션MISSION “소외와 차별 없는 이주민의 건강과 웰빙 증진” 희망의친구들 WeFriends는 이주민이 건강한 사회 한국인도 살기 좋다는 믿음으로 다음과 같은 사명을 수행합니다. 1. 이주민 건강권 옹호자 2. 모두를 위한 건강 안전망 “이주민과 함께 모두가 건강한 사회를 실현하는 대한민국 대표 NGO” 1. We Care 관심과 이해 우리는 이주민의 건강을 권리로써 이해하고 관심하며 취약한 상황을 개선하여 모두가 건강한 사회를 위해 노력합니다. 2. We Cooperate 협력과 연대 우리는 이주민과 한국인, 이주민 출신국과 체류국, 공공과 민간 사이의 협력과 연대를 통해 문제를 해결해나갑니다. 3. We Change 변화와 발전 우리는 이주민에 대한 인식개선, 제도와 환경의 변화를 추구함으로써 이주민과 함께 지속가능한 발전을 이루어갑니다. ● 의료비 지원 현황 희망의친구들은 2022년 6월부터 2022년 8월까지 총 138명의 이주민환자에게 65,087,000원의 의료비를 지원했습니다. 번호 성별 나이 국가 병 명 지원금 1 남 39 예맨 비중격편위 외 1,000,000 2 남 44 방글라데시 불안정 협심증 외 2,000,000 3 남 38 필리핀 당뇨 외 140,000 4 여 52 몽골 심방중격결손 210,000 5 남 62 필리핀 녹내장 42,000 6 남 32 인도 비염, 상기도염 450,000 7 여 45 태국 성대폴립 400,000 8 여 69 중국 총담관암 185,000 9 남 56 나이지리아 고환통 120,000 10 남 51 중국 알레르기비염 외 510,000 11 여 43 라이베리아 제왕절개상처의 파열 외 1,140,060 12 남 26 베트남 급성 소장 허혈 외 900,000 13 여 49 태국 급성위염 외 345,000 14 남 38 베트남 좌슬관절내측연골파열 외 1,000,000 15 남 42 베트남 기관지염 외 800,000 16 남 39 스리랑카 2형 당뇨병 62,000 17 여 52 중국 2형 당뇨병, 뇌경색증 320,000 18 남 50 태국 패혈성 관절염 외 150,000 19 남 55 태국 원발성 고혈압 및 고지혈증 54,000 20 여 39 페루 척추 추간판 탈출증 200,000 21 남 33 필리핀 복막농양을 동반한 급성 맹장 1,000,000 22 여 42 태국 난소 덩어리 48,000 23 여 43 필리핀 유방 다발성 섬유선종 85,000 24 여 43 필리핀 자궁내막선증식증 363,000 25 남 55 필리핀 안쪽 복사의 골절 700,000 26 여 54 몽골 간염 88,000 27 여 54 몽골 퇴행성 추간판 질환 63,000 28 남 48 파키스탄 심부전이 없는 고혈압성 심장병 330,000 29 남 47 베트남 출혈을 동반하지 않은 식도의 궤양 360,000 30 여 31 베트남 피로증후군 외 178,000 31 여 29 베트남 급성 기관지염 외 120,000 32 여 24 베트남 양막의 조기파열 외 1,000,000 33 여 36 스리랑카 천식, 급성 기관지염 150,000 34 남 45 중국 뇌경색증 900,000 35 여 37 중국 골반염, 질염 85,000 36 여 33 베트남 위염, 전신쇠약 463,000 37 여 43 태국 류마티스 관절염 외 117,000 38 여 48 베트남 유방종양 225,000 39 남 47 베트남 아래허리긴장 80,000 40 남 38 나이지리아 고혈압 외 37,000 41 남 43 나이지리아 활동성 폐결핵 167,000 42 여 30 필리핀 조산, 자간전증 900,000 번호 성별 나이 국가 병 명 지원금 43 여 39 태국 유방의단발양성신생물 693,000 44 남 49 스리랑카 만성 폐색성 폐질환 외 230,000 45 남 37 필리핀 이상체중감소 46,000 46 여 55 필리핀 류마티즘 259,000 47 여 42 태국 자궁경부의 이형성 359,000 48 여 39 태국 유방의단발양성신생물 262,000 49 여 27 태국 계류유산 392,000 50 여 23 중국 질염, 자궁경관내막염 49,000 51 여 58 중국 무릎의 통증 84,000 52 여 50 몽골 갑상선의 악성신생물 2,000,000 53 남 40 네팔 코의 폴립 외 1,000,000 54 남 44 몽골 십이지장염 1,500,000 55 여 45 태국 선근증, 자궁내막증 900,000 56 남 50 태국 뇌내출혈 외 1,000,000 57 여 50 베트남 자궁의평활근종 외 1,000,000 58 남 37 베트남 만성치열 500,000 59 남 50 필리핀 2형 당뇨병 외 148,000 60 남 33 가나 전립선의 증식증 288,450 61 남 39 태국 뇌내출혈 1,000,000 62 남 40 베트남 하지의 정맥류 126,000 63 남 47 우즈베키스탄 두통 외 525,000 64 여 45 키르기스스탄 변형협심증 추간판탈출증 285,000 65 남 36 베트남 혈뇨 외 310,000 66 남 36 베트남 혈뇨 외 400,000 67 남 50 베트남 고협압, 고지혈증 134,000 68 남 60 중국 심근경색증 128,000 69 남 46 필리핀 표피방 153,000 70 남 53 필리핀 중이,비강및 부비동의 양성 신생물 45,000 71 남 48 중국 염증성 척추병증 외 190,000 72 여 43 필리핀 자궁내막선증식증 107,000 73 여 25 방글라데시 복통 226,000 74 여 45 태국 성대의 육아종 153,000 75 여 37 중국 만성자궁경부염 외 107,000 76 남 40 베트남 대퇴골두 무혈성 괴사 1,000,000 77 남 37 필리핀 비기절성 정신병 370,000 78 남 43 라이베리아 크립토콕쿠스 수막염 900,000 79 남 34 카메룬 충수염 1,000,000 80 여 29 카메룬 전자간 외 2,000,000 81 남 31 모로코 결합부위 골절 외 1,000,000 82 여 49 베트남 자궁의 평활근종 138,000 83 여 58 필리핀 당뇨병, 고혈압 88,000 84 여 57 필리핀 방광의 악성 신생물 85,000 19
●20의료비 지원 현황 이주아동 희망의친구들은지원 2022년 6월 ~ 8월까지 총 21명의 이주 아동에게 22,088,000원을 지원했습니다. 2022년 6월~2022년 8월 ● 협회소식 1. 하나드림 이주다문화가정 영유아 의료비 전달식 하나금융나눔재단이 지원하고 있는 ‘2022 하나드림 취 약계층 이주다문화가정 영유아 의료비지원사업’으로 6 월~8월까지 총 3명의 이주아동에게 의료비와 신생아용 품을 지원하였습니다. 특별히 6월~7월 지원 대상자인 아기들은 중증 다발성 선천성질환을 가지고 미숙아로 태 어났지만 강한 생명력으로 기나긴 치료 과정을 잘 이겨 내어 감동을 주었습니다. 아기들의 치료회복을 위해 많 은 기관과 이주민 공동체, 병원의 도움이 있었습니다. 점 점 더 많은 이주아동이 미숙아로 선천성질환을 갖고 태 어나며 생명의 위협을 받는 상황에서 이주다문화가정 영유아 의료비지원사업의 필요성과 중요성이 커져가고 있습니다. 2. 권용진 전문위원 내방 6월 2일 권용진 전문위원(서울대학교병원 공공진료센 터)이 내방하여 미등록 이주민 건강권 지원 방안에 대해 논의하고, 전문위원 위촉장을 전달하는 시간을 가졌습 니다. 3. 희망의친구들 사무처 워크숍 희망의친구들은 6월 27일부터 29일까지 강화도 일대에 서 워크숍을 진행했습니다. 이번 워크숍에서는 2022상 반기 사업을 평가하고, 하반기를 준비하는 시간을 가졌 습니다. 4. 베트남, 태국 이주노동자 정신건강실태조사 2022년 이주노동자 자살예방사업은 네팔, 미얀마, 중국 이주노동자에 이어서 베트남, 태국을 추가하여 총 5개국 이주노동자를 대상으로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에 베트 희친 NEWS 21 번호 성별 나이 국가 병 명 지원금 85 여 58 필리핀 고혈압, 갑상선 검사 55,000 86 여 46 필리핀 자궁내막의 폴립 63,000 87 남 38 스리랑카 급성심근경색 900,000 88 남 55 태국 뇌내출혈 1,000,000 89 여 53 베트남 경부의 염좌 및 긴장 외 575,000 90 남 38 필리핀 당뇨, 고지혈증 90,000 91 남 46 필리핀 당뇨, 고지혈증 100,000 92 남 48 방글라데시 협심증 1,500,000 93 여 31 카자흐스탄 양수내 태변이 합병된 진통 및 분만 외 1,000,000 94 남 31 인도 우측 족부 무지 열상 외 500,000 95 여 33 아이티 응급제왕절개 외 1,000,000 96 여 46 몽골 하지의 정맥류 500,000 97 여 23 베트남 갑상선 유두암 256,000 98 여 45 태국 성대의 육아종 99,000 99 여 34 태국 갑상선암 129,000 100 여 39 태국 유방의 단발 양성 신생물 300,000 101 남 54 태국 심근경색 120,000 102 여 56 몽골 모판 치환 상태 외 77,000 103 남 62 필리핀 녹내장 74,000 104 여 46 태국 폐부종을 동반한 급성 심부전 1,000,000 105 여 43 태국 심부뇌내출혈 1,000,000 106 남 61 중국 인공소생에 성공한 심정지 외 1,000,000 107 여 56 베트남 갑상선 악성신생물 109,000 108 여 42 필리핀 혼합성 고지질혈증 38,000 109 여 42 태국 요추 및 기타 추간판장애 80,000 110 남 48 베트남 대장염 외 600,000 111 남 55 카메룬 좌측 족부 리스프랑 관절 2차성 골관절염 68,000 112 남 41 베트남 흉통 외 400,000 113 남 41 베트남 흉통 외 43,000 114 남 36 베트남 고열 300,000 115 남 48 나이지리아 지방간 34,000 116 남 42 베트남 지주막하 출혈 후 교통 동맥류 396,000 117 남 26 말리 급성 항문 열구 외 264,780 118 남 53 나이지리아 코피 839,770 119 여 54 필리핀 근막의 농양 600,000 120 여 37 태국 폐색성 장폐색증 1,000,000 121 남 53 중국 급성 충수염 1,000,000 122 여 54 중국 시상부출혈 외 1,000,000 123 남 45 세네갈 기관지염, 장염 500,000 124 여 49 몽골 신장암 CT 외 419,000 125 남 59 필리핀 고혈압, 당뇨 120,000 126 남 55 필리핀 협심증 190,000 번호 성별 나이 국가 병 명 지원금 127 남 45 태국 복통 120,000 128 남 29 베트남 장염, 장마비 500,000 129 남 41 베트남 외측반달연골의 찢김 200,000 130 남 52 태국 뇌경색 90,000 131 여 27 베트남 급성장염 외 900,000 132 남 34 베트남 좌완관절 갱그리온 400,000 133 여 30 베트남 유방농양, 양측 900,000 134 여 30 베트남 급성 유방염 180,000 135 남 52 태국 뇌경색 800,000 136 여 26 우즈베키스탄 감염성 심내막염 외 1,000,000 137 남 50 필리핀 2형 당뇨병 외 130,000 138 여 43 라이베리아 뇌출혈 1,859,940 번호 성별 나이 병 명 지원금 1 여 1 선천성 폐동맥판협착 외 1,000,000 2 여 1 25주 미숙아 외 3,000,000 3 여 1 28주 미숙아 외 3,000,000 4 여 1 32주 미숙아 외 2,000,000 5 여 3 위장염 및 결장염 231,000 6 여 1 이차성 갑상선 기능저하증 외 150,000 7 남 3 아데노바이러스감염 외 500,000 8 여 1 34주 미숙아 외 1,500,000 9 여 1 신생아호흡곤란증후군 외 1,000,000 10 여 2 손목 및 손의 2도 화상 외 700,000 11 남 1 신생아의일과성빠른호흡 1,000,000 12 여 1 35주 미숙아 외 3,000,000 13 남 4 상아질우식증 165,000 14 여 1 일과성 신생아 저혈당 귓바퀴앞 부속물 또는 소부속물, 상세불명의 적혈구 증가 1,000,000 15 여 3 수족구병 890,000 16 여 17 당뇨, 당뇨망막병증 185,000 17 남 3 급성인두염, 급성상기도감염 54,000 18 남 1 신생아 저혈당, 황달 1,000,000 19 여 1 화농성중이염, 폐렴 600,000 20 여 11 심리운동치료비 728,000 21 여 10 미술치료비 385,000
회원단체의 30여명이 모여 각 센터의 상황을 공유하고 회원단체 간의 연대를 강화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3. 제2회 전국이주인권활동가대회 참여 제2회 전국이주인권활동가대회가 8월 23일부터 24일까 지 서울 엑스퍼트연수원에서 개최되었습니다. 2019년이 이어 두 번째로 열린 이번 대회에는 250여 명의 이주인권 활동가들이 참여하여 “모두를 위한 평등한 이주정책을!” 주제로 서로의 현장을 공유하고 정책을 짚어보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희망의친구들은 준비 사무국과 “이주민과 난민의 정신건강권과 트라우마” 주제 발표와 분과 토론, 전체 토론 진행 등으로 참여했습니다. 남, 태국 이주노동자 정신건강 현황 파악을 위해 지난 6월 ~7월 두 달 동안 총 1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습니다. 결과분석 후 정신건강실태조 사보고서를 만들 예정입니다. 5. 2022년 2차 이사회 2022년 2차 희망의친구들 정기 이사회를 8월 16일 오후 1시에 온라인으로 진행하고, 사무처 처무 규정 및 회계관 리 규정 개정안, 희망의친구들 윤리강령 제정, 단체 홍보 이벤트 및 모금 계획에 관한 건을 승인했습니다. ● 연대소식 1. 미얀마 민주인사 사형집행 승인 규탄 기자회견 참여 미얀마 군부의 민주인사 사형집행 승인을 규탄하는 기 자회견이 6월 14일 오전 11시, 주한 미얀마 대사관 무관 부 앞에서 진행되었습니다. 미얀마 군부는 지난 6월 3일, 88세대 학생운동 지도자인 꼬진미 씨와 민주주의민족동 맹(NLD) 전 국회의원 표제이야떠 씨, 그리고 2명의 시민 에 대해 사형집행을 승인했습니다. 이날 기자회견에서는 사형집행 승인 철회, 구금된 시민 즉각 석방을 촉구했습 니다. 희망의친구들에서는 김미선 상임이사와 김우정 사 업팀장이 참여했습니다. 2. 2022 외노협 워크숍 참여 2022 외국인이주ㆍ노동운동협의회 워크숍이 7월 11일 부터 12일까지 진행되었습니다. 이번 워크숍에서는 10개 22 23 신규 정기후원자(2022년 6월 ~ 8월) 문성준 경기도 고양 김유나 경기도 고양 * 신규 협력 의료기관 (2022년 6월 ~ 2022년 8월) * 경기도031-439-8888조은맘산부인과의원안산시단원구 초지로 90 5층 * 경기도031-353-5969씨엘산부인과의원화성시향남읍 삼천병마로 230 * 중앙의료재단 제주특별자치도064-786-7000중앙병원제주시 월랑로 91 * 제주특별자치도예나산부인과의원064-741-7000제주시 서광로 83 * 희망의친구들이 되어주신 후원자님께 감사드립니다 ‘ 희망의친구’가 되려면? 후원계좌 신한은행 140-006-343036 국민은행 813037-04-002516 예금주 *희망의친구들은(사)한국이주민건강협회소득세법제34조 제1항의 지정기부 금단체로 연말정산 개인 최대 30% (1천만원 이하 15%, 1천만원 초과 30%), 법인은 10%의 소득공제 를 받으실 수 있습니다. *문의 02)3147-0516~8 we@wefriends.org 이주민이 건강한 사회 살기한국인도좋습니다
하트비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로 114, 8층 8062호(역삼동, 현죽빌딩) TEL 02.548.7003 www.heartbee.com

Turn static files into dynamic content formats.

Create a flipbook
Issuu converts static files into: digital portfolios, online yearbooks, online catalogs, digital photo albums and more. Sign up and create your flip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