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Annual Report












● 이주노동자 정신건강실태조사 (베트남, 태국)

SEPTEMBEr

OCTOBEr
● 2022 전국이주인권대회


● WeFriends Aid 협력상담소 실무자교육




● 순천이주민지원센터 방문

이주노동자 자살예방 상담실무 교육
● 차별없는 의료실현을 위한 국회 공청회 공동주관


● 네팔 아시안포럼, 한국 내방
● MFA RCM (Regional Conference on Migration) 및 제10차 총회 참석


● 고려대학교 사학과 83학번 동기회 미얀마 정수시설 설치 기금 전달
● 이주민의 건강을 위한 영양제 전달식
SponSorS


재단법인 바보의나눔 은
이주민의 응급, 감염병 의료비와
이주배경 청소년 장학사업을 후원했습니다.
현대자동차그룹 은 사회복지공동모금회를 통해 이주노동자 사회통합을 위한 심리, 의료지원사업을 후원했습니다.
자연드림씨앗재단은
이주여성 건강증진사업을 후원했습니다.
CJ ENM은 이주민 의료비 마련을 위한 물품을 후원했습니다.
사회복지공동모금회는
이주노동자 사회통합을 위한
심리, 의료지원사업을 후원했습니다.
대덕전자 는 이주배경 청소년 장학사업을 후원했습니다.


사회복지법인 드림은

난민 의료비 지원사업을 후원했습니다. THE DREAM FOUNDATION
세신교회는 이주민 의료비를 후원했습니다.

하나금융나눔재단은 이주다문화가정 영유아 의료비와 네팔 국제협력사업을 후원했습니다.
유엔난민기구 는 난민 의료지원사업을 후원했습니다,
고려대학교 사학과 83학번 동기회는
미얀마 정수시설 설치 기금을 후원했습니다.
코스틸은 희망의친구들 단체운영을 후원했습니다.
원주함께하는 교회는 희망의친구들 단체운영을 후원했습니다.
후라토식당 성수점은 희망의친구들 단체운영을 후원했습니다.


희망의친구들 단체운영을 후원했습니다.
김미선 님은 희망의친구들 단체운영을 후원했습니다.
김철환 님은 희망의친구들 단체운영을 후원했습니다.
희망의친구들 단체운영을 후원했습니다. 곽영호 님은
이창희 님은

희망의친구들 단체운영을 후원했습니다.
김경미 님은

한인국 님은
희망의친구들 단체운영을 후원했습니다.
이주민들의 희망의 친구가 되어주신 많은 분들께 감사드립니다.

이주민들이 힘들어도
오뚝이처럼 일어설 수 있도록
지금, 희망의 친구가
되어주세요

여러분의 소중한 후원금은
다양한 이주민 지원 활동에 사용됩니다. 희망의친구들 후원하기
후원문의 02) 3147-0516~8
후원계좌 :신한은행 140-006-343036 (예금주 : (사)한국이주민건강협회 희망의친구들)
희망의친구들은 소득세법 제34조 제1항의 지정기부금단체로 연말정산
개인 최대 30% (1천만원 이하 15%, 1천만원 초과 30%), 법인은 10%의 소득공제를 받으실 수 있습니다.
www.wefriends.org




MHAkorea wefriendsorg wefriendsorg

지금, 희망의 친구가 되어주세요.”








































































시스템에서의 배제, 그리고 일상적이고 제도적인 혐오와 차별은 이들에게 이중, 삼중의 고통을 안겨주었습니다.
특별히 지속되는 코로나19 위기 상황으로 기초 건강관리와 의료서비스 접근이 취약해지면서
많은 이주민들이 제때 치료받지 못해 응급 상황으로 도움을 요청하는 사례들이 줄을
이었습니다. 2022년 한 해만 해도 응급 지원 건수는 전체의 17%였으나 지원금액은 전체
의료비 지원액의 50.1%를 차지하는 등 2020년부터 지난 3년간 긴급처치가 필요하거나 고액의
치료비가 드는 중증질환자가 증가했습니다.
이주배경 아동, 청소년들도 사회적 차별과 아동복지 배제로 인한 불평등한 환경에서 교육격차는 물론 건강에도 영향을 받아 지난 3년간 19세 미만 아동 청소년의 의료지원이
꾸준히 늘었습니다. 결국 이주민을 둘러싼 환경이 30년 전으로 되돌아간 듯한 상황이 되었습니다.
희망의친구들은 이러한 상황에서도 코로나19 이후를 바라보며 2022년 ‘이주민과 함께 더 나은 재건(Building Back Better with Migrants)’을 위해 이주민, 난민 의료지원, 자살예방과
건강증진, 이주아동 건강성장과 장학사업, 네팔 미얀마 국제협력 사업 등을 진행하며 이주민
관련 정책 수립과 제도 개선 논의 자리에 참여하여 이주민의 건강권 후퇴 상황을 알리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제언 활동을 했습니다.
2022년 지속되는 코로나19 위기 상황에서도 희망의친구들이 이런 모든 활동을 할 수 있었던
것은 우리의 활동에 공감하고 참여하고 나누어주신 여러분이 계시기에 가능했습니다. 지난 한
해 동안 ‘이주민과 함께 더 나은 재건’을 위해 함께 걸음 해주신 모든 분들께 연간보고서를 통해

깊은 감사의 인사를 드립니다.
희망의친구들 회장

WEFrIEnD IS
이주민˙다문화 가족의 건강과 인권 보호를 위해 일하는 NGO입니다.
국내에 거주하는 이주노동자˙결혼이주민˙이주아동/청소년˙동포˙난민 등 취약계층 이주민의 의료문제를 해결하고 이들의 건강권과 인권을 보호하기 위해 1999년에 설립되었습니다.
전국 35곳의 상담소, 650여 의료기관과 함께 일하고 있습니다.
지역 NGO와 상담소, 의료기관과의 네트워크를 통해 이주민들의 의료문제를 해결해나가고 있으며,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해 실제 도움이 되는 사업들을 펼치고 있습니다.
해외에서도 의료와 정수시설 지원 활동을 펼치고 있습니다.
2007년부터 매년 네팔의 의료소외지역에서 의료캠프와 보건소 지원사업, 2017년부터 미얀마의 학교, 의료기관 등에 정수시설 지원 활동을 펼치고 있습니다.
복지부 등록 법인으로 투명한 재정운영을 하고 있습니다.
보건복지부에 등록한 비영리 사단법인입니다. 매년 공인된 회계법인과 정부의 정기 감사를 받아 재정의 투명성을 검증받고 있으며, 홈페이지에 재정보고 내용을 공개합니다.
정부 및 공공기관으로부터 우수단체로 선정되었습니다.

2000 사회복지공동모금회 배분사업 우수사례

2002 행정자치부 민간단체협력사업 우수사례
2003 MBC 사회봉사 대상 우수상 수상
2005 행정자치부 민간단체협력사업 우수사례
2006 행정자치부 민간단체협력사업 우수사례
2006 서울시 비영리민간단체 시정참여사업 우수사례
2010 <한국사회와 이주민건강 - 외국인노동자 의료백서2> 문화체육관광부 우수학술도서 선정
2016 하나금융나눔재단 제8회 하나다문화가정대상‘행복도움상 단체상’ 수상
orGAnIZATIon CHArT
권용진 서울대학교병원 공공보건의료사업단 교수
김용규 근로복지공단 인천병원 건강관리센터 센터장
김현수 명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
박관호 보훈공단 중앙보훈병원 신경외과 과장
양광모 삼성서울병원 파트너스센터 부센터장
유정현 분당제생병원 산부인과 전문의
이수현 고려대학교안암병원 종양혈액내과 교수
이승재 로이심리상담센터 소장
이승헌 고려대학교안산병원 호흡기내과 교수
이해국 가톨릭대의정부성모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
조원민 이랜드재단 이랜드의원 원장
홍승권 록향의료재단 신천연합병원 이사장
강화도우리마을

이왕준 명지병원 이사장
이정호 성공회 이주민연대 샬롬의집 대표
김철환 시흥희망의료복지 사회적 협동조합 희망의원 원장
한상웅 한양대구리병원 신장내과 교수
전성원 두리치과의원 원장
권태식 구로한의원 원장
케이피 시토울라 네팔투어 대표
김미선 한국이주민건강협회 희망의친구들 상임이사
BoArD MEMBErS
- 성공회 성미카엘 신학원
- 영국 셀리오크 신학대학
- 연세대 신학 명예박사학위
- 주교서품, 대한성공회 서울교구장 (1984)
- 대한성공회 대주교 (1990)
- 성공회대학 총장 (2000~2008)
- 강화도 우리마을 대표 역임
- 대통령 표창 (1981)
- 국민훈장 모란장 (2000) - 파라다이스상 사회복지부문 (2006)
- 아산상 (2010)
- 인촌상 공공봉사상 (2011)
- 만해평화대상 (2013)
- 다산대상 사회복지부분 (2013)
- 민세상 (2017)
- 올해의 인천인대상 (2018)
- 대한적십자사 박애장 (2019)
- 호암상 사회봉사상 (2020) - 현재 (사)한국이주민건강협회
부회장 이왕준


- 의료법인 명지의료재단 이사장
- 의료신문 청년의사 발행인
- 한국의료질향상학회 회장
- 코로나19치료제·백신개발 범정부지원단
분과위원장

- 대한병원협회 KHC 특별조직위원장
- 대한중소병원협회 부회장
- 일자리위원회 표창 (2020)
- 문화부장관 표창 한국메세나대상 메세나인상(2021)
- 국제병원연맹 IHF Awards 2022 우수복지부문상(2022)
- 보건복지부장관 표창 장기기증 등 생명나눔 기여공로상(2022) - 현재 (사)한국이주민건강협회 희망의친구들
상임이사 김미선
- 고려대학교 사학과 졸업
- 고려대학교 국제대학원 졸업
- 홍콩 소재 Asian Migrant Center Program Staff (1994~1998)
- 외국인노동자 의료공제회 사무국장 (1999~2003)
- APWSL 한국위원회 전문위원 (2001~2004)
-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NCCK) URM위원회 위원 (2003~2004)
- (사) 한국이주노동자건강협회 사무처장(2004~2007)
국제협력 이사(2008~2011)
- 외국인이주·노동운동협의회 집행위원장(2004) 공동대표(2005), 운영위원(2013~2014), 운영위원장(2018)
- Migrant Forum in Asia (마닐라 소재 아시아이주인권옹호네트워크)
Executive Committee Co-Chair (2017~2019)
- UN High Level Dialogue on International Migration and Development 아시아NGO Spokesperson (2006)
- 스탠포드대학교 아태연구소 Visiting Scholar (2006~2007)
- 서울시 복지거버넌스 외국인주민분과위원장 (2018~2020)
- 국가인권위원회 자유권제2전문위원회 위원 (현재)
서울
서울외국인노동자센터 02-3672-9470
성동외국인노동자센터 02-2282-7974
외국인이주노동자인권을위한모임 02-3785-0422
경기도
갈릴래아 031-494-8411


구리 EXODUS 031-566-1142
김포이주민센터 031-982-7661
남양주시외국인복지센터 031-594-5821
모두를 위한 이주인권문화센터 031-333-6644
부천이주민지원센터 032-654-0664
솔모루 이주한삶 031-543-5796
수원교구 이주사목위원회 070-4047-1473
승리다문화비전센터 031-931-2062
시흥시외국인복지센터 031-434-0411
아시아의친구들 031-921-7880
안산외국인노동자의집 031-495-2288
안산이주민센터 031-492-8786
오산이주노동자센터 031-376-8289
의정부 EXODUS 031-878-6926
이주민센터 아시아의 창 031-443-2876
이주민시민연대 사회적협동조합 031-403-0631
파주 EXODUS 031-948-8105
파주이주노동자센터 샬롬의집 031-942-3760
포천나눔의집 이주민지원센터 031-536-2025
하남외국인지원센터 031-791-5372
031-8059-1261
- 현재 (사)한국이주민건강협회
상임이사
MISSIon Corpor ATE IDEnTITY
희망의친구들 WeFriends는 지난 23년간
한국사회에서 이주민의 건강권이 인권임을 주창하며 이를 실현하기 위해 노력해왔습니다.
MISSIOn
소외와 차별없는 이주민의 건강과 웰빙 증진
희망의친구들 WeFriends는 이주민이 건강한 사회 한국인도 살기 좋다는 믿음으로 다음과 같은 사명을 수행합니다.
•이주민 건강권 옹호자

이주민의 건강은 개인을 넘어 사회의 건강과 발전을 유지하는 기본 동력입니다.
이주민이 건강한 삶을 유지하여 개인과 사회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모두를 위한 건강 안전망
이주민의 건강은 우리의 건강과 직결되어 있습니다. 차별 없는 모두의 건강과 건강한 사회를 위해 일합니다.
이주민과 함께 모두가 건강한 사회를 실현하는 대한민국 대표 NGO
희망의친구들 WeFriends는
•이주민의 도달 가능한 최고 수준의 신체 및 정신적 건강을 향유할 권리를 위한 서비스와 자원을 개발합니다.
•이주민의 건강 증진을 저해하는 모든 차별적 인식과 제도 및 환경에 맞서 싸우고 바꾸어나갑니다.
•이주민과 함께 건강한 사회를 위해 같은 문제의식을 가진 개인, 단체들과 협력합니다.
핵심가치

We Care 관심과 이해
우리는 이주민의 건강을 권리로써 이해하고 취약한 상황을 개선하여 모두가 건강한 사회를 위해 노력합니다.
We Cooperate 협력과 연대
우리는 이주민과 한국인, 이주민 출신국과 체류국, 공공과 민간 사이의 협력과 연대를 통해 문제를 해결해 나갑니다.
We Change 변화와 발전
우리는 이주민에 대한 인식개선, 제도와 환경의 변화를 추구함으로써
이주민과 함께 지속가능한 발전을 이루어갑니다.
꽃들에게 희망을!
꽃들에게 사랑을 나누어 주는 ‘사랑의 나비’입니다.
사랑(하트)의 보살핌을 통해 이주민(화살표)들이 나비처럼 자유롭고 건강(새싹/연초록)하게
회복되는 것을 형상화했습니다.
www.rainbowrolypoly.com
귀여운 친구 ‘희망 오뚝이’를 소개합니다.
넘어졌다가도 웃으며 일어나는 오뚝이!
오뚝이는 삶의 희망을 잃지 않는 이주민들의 모습을 상징화했습니다.
ACTIVITY
제4차 국가인권정책기본계획(2023~2027) 권고 시민사회
단체 의견 제출 및 간담회 참석, 인종차별철폐협약 제20-22
차 국가보고서 검토의견 제출과 정부 부처 간담회 참석, 제4
차 국가별 정례인권검토(UPR) NGO 보고서에 이주민 건강
권 차별 보고서 작성 등을 했고, 지속되는 미얀마 민주화투쟁
을 지지하고 연대하고 있으며 3년 만에 개최된 제2회 전국이
주인권대회 사무국 참여와 이주민과 난민의 정신건강과 트라
우마 세션 주관 및 이주아동 조별 토론을 진행하였습니다.
국제적으로는 2018년 193개 유엔 회원국이 채택한 “안전하
Building Back Better with Migrants
고 질서 있고 정규적인 이주를 위한 글로벌 컴팩트(Global Compact for Safe, Orderly, and Regular Migration)의
첫 번째 평가포럼이 5월 17일부터 20일까지 뉴욕 유엔본부
에서 개최되어 아시아 시민사회와 함께 온라인 토론에 참여
하는 등 국내외 연대활동에 활발히 참여하였습니다.
한편, 내부적으로는 관심과 이해, 협력과 연대, 변화와 발전이
라는 희망의친구들 핵심가치에 따라 투명하고 합리적인 단체
운영과 업무 수행을 위해 윤리강령을 제정하고 윤리위원회
구성과 위원장을 선임하였습니다. 이와 함께 9월에는 희망의
친구들 법인 등록 주무관청인 보건복지부 정기 감사를 받고
건강증진사업에서 이주노동자 자살예방사업은 2020년에 이 어 태국, 베트남 노동자들에 대한 실태조사와 함께 지역사회 기반 인프라 구축과 상담실무 역량강화 교육을 진행하였고 건강보험이 없는 이주여성에게 의료비 지원을 통해 경제적 부 담을 줄이고 심리적 안정을 도모할 수 있었습니다. 이주아동사업 중 영유아 의료비 지원사업의 대부분이 미숙 아였던 점은 코로나시기 더욱 취약해진 이주민, 난민들의 건 강상태를 확인할 수 있었고 이주배경 아동 건강성장 지원사 업을 통해 신체적 질병뿐 아니라 정신건강과 장애재활까지 지원의 폭을 넓혀 이주배경 아동에 대한 포용적 건강안전망 을 구축하였으며 이주배경 청소년 장학사업으로 코로나시 기 교육격차 해소에 중요한 기여를 하였습니다.
국제협력사업으로는 네팔의 보건소 역량강화, 보건위생용품 지원과 네팔 청소년 보건위생 교육 및 장학사업을 진행하여 코로나 시기 무너진 네팔의 공중보건 향상에 기여하였으며 코로나19와 군부쿠데타로 중단되었던 미얀마 정수시설 지원 사업도 미얀마 연방공화국 민족통합정부(NUG)의 협력 속에 재개할 수 있었습니다.
2022년을 출발하며 희망의친구들은 코로나19 대유행 시기 드러난 우리 안의 차별과 혐오를 극
복하고 이전보다 더 나은 세상을 향해 나아가기 위한 의지와 염원을 담아 새해의 활동 표어를 “이
주민과 함께 더 나은 재건! Building Back Better with Migrants!”으로 정했습니다.
더 나은 미래, 더 나은 재건은 그냥 주어질 수 없기에 그 첫걸음으로 코로나 시기 드러난 차별과 혐오의 해결 방안을 모색하는 자리에 꾸준히 참여하였습니다. 이주민 관련 정책 수립과 제도개

선을 논의하는 자리에 참여하면서 그동안 이주민들이 경험했던 차별과 혐오, 특별히 건강권의
후퇴 등을 살펴보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제언을 이주인권단체들과 시민사회와 함께 마련했습 니다.
다시 한번 단체의 운영과 재정의 건전성을 입증할 수 있었습 니다.
사업 면에서는 의료지원사업으로 코로나19 확산 시기
이주민 응급환자의 급증으로 인한 응급의료비의 증가, WeFriends Aid 회원의 외래진료 지원이 입원 환자 지원을
상회한 점 등 이주민 체류환경 및 건강수요의 변화를 반영하
고 난민 의료비 지원사업으로 의료사각지대 이주민, 난민들 의 건강 안전망 역할을 하였습니다.
단체 홍보는 온오프라인 홍보 채널 운영과 함께 홈페이지 개 편을 통해 활동 홍보는 물론 기부금 모집과 활용실적을 공시 하여 단체의 투명성, 건전성 및 신뢰도를 높이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지속되는 코로나 상황에서도 희망의친구들은 의료사각지대 이주민, 난민의 의료안전망, 이주배경 아동의 교육격차 해소, 이주민 본국의 공중보건 향상 등에 기여하면서 코로나 이후 시기를 이주민과 함께 준비하고 실행하며 더 나은 재건을 위 해 노력한 한 해로 기억될 것입니다.
이주민과 함께 더 나은 재건
이주민의 수술 입원, 외래지원과 응급환자에 대한 의료비를 직접 지원



705 건
● 성별
334,224,905 원
● 사업기간 : 2022년 4월 ~ 12월
● 사업목표 : 국민건강보험에 가입할 수 없는 의료사각지대 난민(난 민신청자, 난민불인정 소송수행자, 난민신청 후 미등록 자 등과 그 가족)의 의료비를 지원하여 생존권과 건강권 보호에 기여
● 사업추진결과
•희망의친구들 WeFriends Aid 회비 지원 : 62건
•의료비 지원 : 42건
● 의료상담
•상담건수 : 연간 1,500여 건 이상 전화 및 대면 상담
•상담내용 : 의료비 지원 상담, WeFriends Aid 안내, 상담소 및 의료기관 연계
● WeFriends Aid 협력상담소 실무자회의
•일시 : 2022년 3월 10일, 오후 2시
•장소 : 온라인 회의
•안건 : 2021 활동보고 및 평가, 2022 사업안내, 기타 토의
•참석자 : 24개 상담소 32명 활동가
● 경기북부 협력 상담소 정담회
•일시 : 2022년 1월 18일
•장소 : 동두천가톨릭센터
•참석자 : 5개 상담소 10명 활동가
● WeFriends Aid 실무자 교육
•실무 매뉴얼 제작 배포 및 DB 게시 활용
•신규 실무자 교육
- 1월 5일 : 이주한삶, 갈릴래아, 화성시외국인복지센터
● WeFriends Aid 협력상담소 감사패 수여
•경기북부지역 이주민의 인권옹호와 건강증진과 WeFriends Aid 활성화에
기여한 천주교 의정부교구 의정부 EXODUS 활동가들에게 감사패 수여
●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WeFriends Aid 가입동기 및 건강관리 욕구 설문조사
•대상 : WeFriends Aid 신규 가입자
•목적 : 이주민의 현황, 코로나19의 영향 등 파악하여 향후
WeFriends Aid 활동에 반영
•기간 : 2021년 9월 ~ 2022년 12월
● 사업기간 : 2022년 5월 ~ 2023년 3월
● 사업목표 : 이주여성의 건강을 보호하고 증진하며 건강관리를 통해
개선
- 9월 21일 : 이주한삶, 성동외국인노동자센터, 구리 EXODUS , 승리다문화비전센터, 포천나눔의집 이주민지원센터
● 사업추진결과
•의료비 지원 116건
• 출신국가 : 태국, 필리핀, 몽골, 베트남, 중국
● WeFriends Aid 우수회원 시상
•기준 : 회원가입 이후 성실한 회비납부 및 의료비 지원신청을 하지 않은 회원 대상
•내용 : 4년 이상
•2021년
행복세란의원 조은맘산부인과의원 씨엘산부인과의원 예나산부인과의원 삼성미래산부인과의원 미래여성의원
누네안과병원 누네안과 남양주병원 봄빛병원
광양병원 순천하나병원 녹동현대병원
혜인의료재단
총 5개 국어 생명지기 교육영상 제작 네팔어, 미얀마어, 중국어, 베트남어, 태국어

이주노동자 자살예방사업
HEALTH PROMOTION



교육이수자 603 명
● 의료사업기간 : 2022년 1월 ~ 12월

● 사업목표 : 지역사회 기반 이주노동자 자살예방 및
위기개입 지원체계 구축
● 사업추진결과
•유관기관 협력 체결
경기북부 이주노동자 밀집지역 중심으로 의정부, 포천, 파주, 고양 4개 지역 자살예방센터와 이주민지원단체인 의정부시외국인노동 자지원센터, 포천나눔의집이주민지원센터, 솔모루이주한삶, 파주 엑소더스, 파주이주노동자센터샬롬의집, 승리다문화비전센터 등 총 10개 기관 업무협약
•이주노동자 자살예방 상담실무 교육 경기북부지역, 서울지역 이주민지원단체 11개 기관 실무자 총 50 명이 트라우마 및 소진예방, 자살예방 기초상담 교육
•이주노동자 생명지킴이(gatekeeper) 교육 태국어, 베트남어 자살예방 교육영상 추가 제작 2022년 기준 이주노동자 생명지기 교육영상은 총 5개 국어 (네팔어, 미얀마어, 중국어, 베트남어, 태국어) 제작 완료 온라인학습플랫폼과 SNS통해
총 603명의 이주노동자들이 교육 이수
● 사업기간 : 2022년 1월 ~ 12월
● 사업목표 : 의료사각지대 이주배경 아동에게 의료비를 지원하여 포

용적 의료안전망을 제공하고,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건강을 증진
● 사업추진결과
•이주아동 총 5명 참여
•지원내용 : 건강지원 (입원수술비, 외래진료비, 심리검사비, 상담
치료비 등), 성장지원 (장애, 재활 진단검사비, 보조기
기 구입 및 대여비 등)
C HILD & Y O u TH
이주배경 아동 건강성장 의료비 지원 | 이주배경 청소년 장학사업 | 이주다문화가정 영유아 의료비 지원 아이들은 우리의 미래, 아이들이 밝고 건강하게 자랄 수 있도록 함께합니다.
SGDs 3. 모든 연령층을 위한 건강한 삶 보장과 복지 증진
SGDs 4. 모두를 위한 포용적이고 공평한



● 사업기간 : 2022년 1월 ~ 11월
● 사업목표
•영유아 중증질환 의료비 지원을 통해 이주다문화가정의 경제적
부담을 감소시키고 건강한 성장과 발달 도모
•아기용품을 지원하여 이주다문화가정이 갑작스런 위기를 극복할
수 있도록 격려하고 삶의 희망 전달
•유관기관 간 네트워킹을 통해 지역 자원을 발굴하고 연계함으로
써 취약계층 이주아동의 안전망 구축
● 사업추진결과
•이주다문화 (이주노동자, 난민, 유학생) 가정 총 5개국 (우즈베키
스탄, 몽골, 베트남, 태국, 필리핀)의 중증질환 환아 총 14명에게
각 3백만원 치료비와 아기용품세트
● 사업기간 : 2022년 1월 ~ 12월
● 사업목표 : 이주배경 청소년이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이유로 교육 에서 소외되거나 차별받지 않고, 안정적으로 교육에 참
여하여 자신의 꿈과 희망을 키울 수 있도록 지원
● 사업추진결과
•중학생 16명, 고등학생 12명 참여
•지원내용 : 중학생 100만원, 고등학생 200만원 장학금
•세부내용 : 학교교육비 (수업료 등), 학교생활비 (급식, 교복체육 복 등), 학교외교육비 (학원비, 참고서 등), 기타 (온라 인 학습기기, 피복비 등)
● 사업기간 : 2022년 1월 ~ 12월
● 사업목표 : 바누사랑진료소의 안정적 활동 지원을 통한
지역주민 건강권 증진
● 사업추진결과 : 총 5,442명이 진료소 의료서비스 이용
G LO b AL
네팔 바누사랑진료소 지원 | 네팔 청소년 보건위생 교육 및 장학사업 | 네팔 코로나19 극복을 위한 생필품 및 장학금 지원 사업 | 미얀마 정수시설 지원 사업 이주민 본국의 사회개발과 건강권 증진을 통해 주민들의 삶의 질이 향상되도록 협력합니다.
지속가능발전목표(SGDs)
GCM
SGDs 3. 모든 연령층을 위한 건강한 삶 보장과 복지 증진
SGDs 4. 모두를 위한 포용적이고 공평한 양질의 교육 보장 및 평생학습 기회 증진


SGDs 10. 국내 및 국가 간 불평등 감소

GCM 21. 안전하고 존엄성이 존중되는 귀환 및 재입국, 그리고 지속가능한 재통합을 촉진하기 위하여 협력한다.
● 사업기간 : 2022년 1월 ~ 10월
● 사업목표 : 청소년의 성장발달단계에 맞는 보건교육, 위생키트 배
분을 통한 청소년 건강 증진과 취약계층 가정의 학생에
게 장학금 지원을 통한 학업 환경 지원
● 사업추진결과
•지역사회 보건교육 워크숍 : 4회 91명 참석
•청소년 보건교육과 위생키트 배분 : 8개 학교 2,000명
•청소년 건강 박람회 : 5개 학교 37명
•장학금 지원 : 8개 학교 36명
● 사업기간 : 2021년 10월 ~ 2022년 4월
● 사업목표 : 코로나19로 생계가 어려운 가정에 기초 생필품을 지원 하여 가족의 건강 지원과 더불어 코로나19 위기를 극복
할 수 있도록 돕고, 농촌지역 학생들에게 장학금을 지원
하여 학업을 지속할 수 있도록 격려
● 사업추진결과
•코로나19로 생계가 어려운 3개 지역 40가정에 기초 생필품 지원
•7개의 농촌지역 학교 학생 77명에게 장학금 지원
•1개 농촌지역 학교 학생 135명에게 학업필수용품 지원
● 사업기간 : 2022년 1월 ~ 12월

● 사업목표 : 학교에 정수시설 설치를 통해 식수의 질을 개선하고 학 생, 지역주민들의 수인성 & 전염성 질환 예방과 건강증 진에 기여
● 사업추진결과
•미얀마 연방공화국 민족통합정부 교육부, 인도주의재난관리부, 한국대표부의 추천 및 협조를 받아 티차익 지역 고등학교에 미얀
마 정수기 5호기
조사연구 . 홍보출판
Pub LICITY
내부 월례포럼 | 연간보고서 | 희망의친구들 소식지 | 온라인뉴스레터 한국사회 이주민 건강권 실태 파악과 제도 개선 및 정책 마련을 위한 조사연구와 희망의친구들 활동을 널리 알리기 위한 홍보 출판 활동을 합니다.
● 이주노동자 정신건강 실태조사 및 보고서 발간
•이주노동자 자살예방 사업을 위해 베트남, 태국이주노동자
100명을 대상으로 정신건강 현황과 자살인식, 정신건강 정보이용에 대해 설문조사와 심층 인터뷰 진행
•정신건강실태조사 보고서 출판 (2020년 진행한 네팔, 미얀마, 중국동포 102명 연구조사 포함 합본으로 발간)
● 소식지
•희망의친구들 활동 소개와 의료 지원 보고를 분기별로 공유 및
후원 보고
•년 4회 계간 발행, Vol.73~76


•제작부수 : 총 18,000부

● 2023 캘린더
•희망의친구들 후원자, 유관기관 관계자들에게
희망의친구들 활동 홍보 및 감사 인사
•발행일 : 2022년 11월
•발행 부수 : 700부
● 2021년 연간보고서
•2021년 희망의친구들 활동과
재정보고 및 협력해주신 분들에
대한 기록과 단체 홍보를 위해 제작
•발행일 : 2022년 4월
•제작부수 : 1,000부
● 사업단 홍보물
•리플릿 제작 : 1종 8,000부 제작
•후원물품별 공문 : 25종류 제작
● 온라인 홍보
•홈페이지
반응형 웹으로 리뉴얼, 메인비주얼 교체, 사업별 안내문 게재
•온라인 뉴스레터
매월 2회 발행, 희망의친구들 활동 소식 공유
•SNS
- 페이스북 www.facebook.com/MHAkorea



이주민 관련 뉴스, 정보와 희망의친구들 활동 공유 중심
- 인스타그램 www.instagram.com/wefriendsorg
희망의친구들 활동, 사무처 소식 공유중심
- 유튜브 @wefriendsorg

이주노동자 자살예방교육자료 등의 교육 및 사업 홍보 중심

CJ오쇼핑과 함께하는 나눔바자회 이주민과 함께하는 물품 배분
S OCIETY
모금 바자회 | 배분 사업 희망의친구들은 이주민의 생활 지원을 위해 온 . 오프라인 모금과 이주민의 생활에 필요한 다양한 물품을 배분합니다.

● 사업기간 : 2022년 10월 ~ 12월
● 사업추진결과
CJ ENM에서 기부한 물품(총 1,638개, 9천5백만원 상당)은

세신교회 바자를 통해 이주민 의료비로 지원
● 사업기간 : 2022년 1월 ~ 12월
● 사업목표
이주민들에게 후원 물품배분을 통해 각 지역 이주민 지원센터, 상담소와 이주민 당사자 간의 유대관계 증진에 기여함
● 사업추진결과 : 4개 품목 배분
기부 물품
영유아 턱받이, 조끼, 가방 영양제
1,638 개 물품
이어폰, 케이블, 휴대폰케이스, 모자 등 목도리
기부자
행복나눔 고대83봉사단 뜨개방 서울시약사회
이루컴퍼니 박영숙 님
국내 연대활동
A D v OCACY
희망의친구들은 이주민의 인권과 건강권 등 기본적인 권리 옹호를 위해 국내, 국제적인 연대활동을 합니다.
1. 2022 노동자 건강권 포럼
•일시 : 2022년 2월 25일 ~ 26일
•장소 : 온라인 및 광화문 변호사회관 조영래홀
•활동내용 : 건강권포럼 기획 및 이주노동자 건강권 세션 주관
주제 : 코로나19 시대, 이주노동자 삶의 변화와 정신건강
좌장 : 석원정 소장 (외국인이주노동자인권을위한모임)
발제1 : 코로나19 유행 초기 이주노동자 정신건강 실태조사
- 네팔, 미얀마, 중국동포 중심으로
- 김미선 상임이사(한국이주민건강협회 희망의친구들)
발제2 : 코로나 19 팬데믹 상황의 취약한 이주민 정신건강
- 외국인보호소 구금 외국인 사례
- 이은희 심리상담사 (화성외국인보호소 심리상담사)
발제3 : 코로나19 팬데믹 차별경험
- 중국동포 사례
- 박연희 대표 (조각보)
2. 2022 서울시 외국인주민 정책 대안 모색을 위한
민관 전문가 TF 활동
•기간 : 2022년 3월 ~ 5월
•주요활동 : 서울시는 실효성 있는 외국인주민 및 다문화정책 마
련을 위한 민관 전문가 회의를 4월부터 총 6회에 걸쳐
각 분야별 전문가들의 발제와 정책 제안 수렴. 희망의
친구들은 4월 15일 국내 이주민 의료문제와 지방정
부 차원의 건강권 개선방안을 발표
3. 제 4차 UN 국가별정례인권검토 (Universal Periodic Review)
NGO보고서 작성
•기간 : 2022년 4월 ~ 5월
•주요활동 : 한국정부는 2022년 제4차 국가별정례인권검토 보고
서를 준비하고 있어 국내 인권단체들은 제3차 보고서
의 권고 이행 상황과 주요 쟁점사안들을 각 분야별로
NGO보고서를 준비했고, 희망의친구들은 이주민 건 강권 차별에 대한 국내 상황을 정리하여 보고서 작성
4. 이주배경 아동청소년 기본권 향상을 위한 네트워크 •희망의친구들을 비롯하여 총 15개(22년 12월 현재) 단체로 구성 •이주배경 아동의 건강권, 출생등록권, 체류권, 보육권, 교육권 등 기본권 보장과 증진을 위한 연대 활동 - 2월 미등록 이주아동 체류자격 부여 대상 확대 관련 법무부 추 가 질의 또는 간담회 제안 검토
- 5월 문화재청 궁능 입장료에 대한 이주아동 차별을 중단 및 정 책 시정 요구 보도자료 배포
- 6월 미등록 이주아동 체류자격 부여 관련 사례공유, 이주아동 정책브리프 개정, 전국이주인권대회 준비 관련 논의 - 8월 전국이주인권대회 준비회의 및 조별토론 ‘이주아동 체류 정규화, 이제 시작이다 - 이주아동의 체류권 관련 사례와 과제’ 진행
5. 용산구 이주아동 네트워크 •희망의친구들을 비롯하여 용산구 내 건강, 교육, 복지, 문화 등 다양한 영역의 유관기관들이 모여 이주아동의 건강한 성장발달 지원 및 통합적 협력방안 모색
•4월 첫 모임 후 총 6회 회의 진행
6. 외국인이주 . 노동운동협의회
1) 회의
•대표자회의 : 총 3회 | 운영위원회 : 총 13회
2) 사업
•외노협 활동가 수련회 (외노협 3년만의 소풍)
- 일시 : 2022년 7월 11일 ~ 12일 (장소 : 장흥 개명연수원 펜션)
- 내용 : 10개 회원단체 31명 참석, 외노협 및 이주노동 현황 나 눔, 회원단체 활동 공유
•외노협 활동가 역량강화를 위한 교육 (Zoom온라인, 27명 참석)
- 일시 : 2022년 10월 4일
- 1강 : 제4차 외국인정책 기본계획을 중심으로 본 현 정부의 이 주민 정책, 우리는 무엇을 해야하나?(석원정/외국인이주노동
자인권을위한모임)
2강 : 일본의 이주민 정책 동향, 이주노동자 도입정책과 입관법 개정 움직임을 중심으로(이혜진/일본국제교류센터)
3강 : 계절근로자 제도 돌아보기 (고기복/모두를위한이주인권문화 센터)
•성명서 발표 : 총 5회
•연대활동
- 인종차별 철폐의 날 기념 행사 2022년 3월 20일
- 이주정책포럼 2022년 4월 20일
- 차별금지법제정 촉구 기자회견 2022년 4월 22일
- 차별금지법제정연대 기자회견 2022년 5월 3일
- UPR 보고서 제출 2022년 6월 6일
- 차별금지법제정을 위한 동조
- 세계난민의날 기자회견 2022년 6월 20일
- 출입국 얼굴인식 인공지능 식별 추적 헌법소원 청구 기자회견
2022년 7월 21일
- 미얀마 군부 규탄 침묵행진 2022년 7월 30일
- 이주노동자 행동의 날 집회 2022년 8월 21일
- 미등록 이주민에 대한 정부의 반인권적 합동단속 규탄 이주인
권단체 공동기자회견 2022년 10월 11일
- 외국인보호소 무기한구금 허용하는 출입국관리법 조항(제63
조) 위헌결정 촉구 기자회견 2022년 10월 13일
- 전국이주인권단체 공동성명 발표 “열악한 이주노동자 무료상
담과 권리구제 활동이 고발될 일인가! 공인노무사회의 후안무
치한 고발 규탄한다” 2022년 10월 14일
- 이란시위를 지지하는 한국시민모임 공동성명 발표 “이란 정부
의 레카비 선수에 대한 강제 귀국조치 의혹과 이란 히잡 관련
시위대 탄압 규탄” 2022년 10월 19일
- 이란시위를 지지하는 한국시민모임 공동성명 발표(“이란정부의
여성해방과 민주주의 시위자 사형 선고 규탄”) 2022년 11월 14일
- 외국인보호소 고문사건 대응 공동대책위원회 기자회견 2022
년 12월 16일
- 세계이주민의 날 기념 행사 2022년 12월 18일
7. 인종차별철폐협약 제20-22차 국가보고서
검토의견 제출과 정부 부처 간담회 참석
•일시 : 2022년 4월 6일
8. 제4차 국가인권정책기본계획(2023~2027) 권고
시민사회단체 의견제출 및 간담회 참석
•일시 : 2022년 4월 19일
9. 전국이주인권대회 사무국
•기간 : 2022년 5월 ~ 9월
•내용 : 전국 이주인권활동가대회 준비 사무국 활동에 참여, 대회
조직과 운영 지원
•사업 : 제2회 전국이주인권대회 “모두를 위한 평등한 이주 정책
을!”(2022년 8월 23일~24일, 장소_엑스퍼연수원)

•활동 : 전국에서 2백여 명의 이주인권활동가들이 참여하여 “모
두를 위한 평등한 이주 정책을!” 주제로 정부의 이주민 정
책과 제4차 외국인정책 기본계획을 살펴보며 이주노동, 이주여성, 이주아동, 외국인보호소, 미등록이주민, 난민
에 대한 현장을 공유하고 정책을 짚어보는 시간을 가짐
10. 난민트라우마 대응TF
•기간 : 2022년 5월 ~ 10월
•내용 : 난민과 이주민의 트라우마 치료와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활동가 교육, 통역 자원 확보, 정신상담 전문가 네트워크
확보, 일선 활동가 대상 매뉴얼 개발, 트라우마 척도지 번
역 등 툴 개발, 실태조사와 법제도 개선을 위한 연대활동
•구성 : 아시아평화를위한이주 MAP, 피난처, 유엔난민기구, 어필, 희망의친구들
•활동 내용
- 제2회 전국이주인권대회 분과별 토론 “이주민과 난민의 정신
건강권 및 트라우마” 진행 2022년 8월 24일
- 대한신경정신의학회 주최 온라인 워크숍 “이주민과 난민의 정
신건강권 및 트라우마” 참여 2022년 8월 27일
- 대한신경정신의학회 추계학술대회 “사회를 위한 관심과 공감: 이주민과 난민의 정신건강 지원” 심포지엄에서 “이주민과 난민
의 정신건강과 자살예방” 발표(김미선 상임이사) 2022년 10월 7일
1. 유엔 국제이주리뷰포럼 & Peopleʼs Forum 온라인회의
•일시 : 2022년 5월 17일 ~ 20일
•장소 : 미국 뉴욕
•내용 : 2018년 12월 한국을 포함하여 채택한 국가별 GCM 이행
상황 및 이후 협력방안 최초 논의. 정부기관 회의와 별도로
시민사회, 노동조합 등이 중심이 된 국제이주연대운동 온
라인 플랫폼 Peopleʼs Migration Challenge(PMC) 주 최 Peopleʼs Forum 동시 진행. 이주노동자의 권리와 정 의, 존엄성, 인종차별과 구금 철폐, 기후변화와 이주, 이주 와 정규화, 젠더 불평등 등 다양한 주제에 대해 논의함
2. MFA RCM (Regional Conference on Migration) 및
제10차 총회
•일시 : 2022년 11월 29일 ~ 12월 2일
•장소 : 태국 방센
•내용 : MFA 회원단체 32개 기관, 활동가 60여 명이 참석. 코로나
19 대유행 이후 각국의 상황을 공유. 미등록 이주민, 이주 민 구금, 기후변화와 이주, 가사노동자 협약 비준, 귀환 이주 노동자 사회재통합, 사회적 보호와 정의, 공정하고 윤리적 인 이주를 위한 송출 및 채용 등의 문제점과 이후 과제에 대 해 집중적으로 논의. MFA 신규 회원단체 인준 및 실행위원 선출. 한국 내 계절이주노동자 실태조사 지원 및 협업 요청
운영성과표
번호 성별 나이 국가 병 명 지원액
1 남 58 태국 교뇌의 뇌내출혈 2,000,000
2 남 34 몽골 골절판 및 기타 내부고정장치의 제거 400,000
3 여 54 몽골 두통 230,000
4 남 57 필리핀 녹내장 156,000
5 여 24 베트남 산전검사비, 신생아의료비 136,000
6 여 34 태국 신생아의료비 51,000
7 여 27 베트남 산전검사비 44,000
8 여 30 파키스탄 신생아의료비 200,000
9 여 37 태국 신생아의료비 200,000
10 여 41 가나 산전검사비 77,000
11 여 28 베트남 신생아의료비 81,000
12 여 29 태국 신생아의료비 200,000
13 여 28 베트남 자연분만 300,000
14 여 37 중국 세균성 질염 64,000
15 여 38 필리핀 난소의 양성신생물 238,000
16 여 43 필리핀 자궁내막선증식증 230,000
17 남 46 인도 고혈압, 혈액순환장애 76,000
18 남 41 베트남 만성 전립선염 450,000
19 여 63 필리핀 갑상선 결절 113,000
20 남 54 인도 당뇨병 53,000
21 여 55 필리핀 양성 유방 형성이상 600,000
22 남 28 태국 뇌전증 50,000
23 남 38 태국 두통, 어지럼증 87,000
24 남 54 필리핀 외측상과염, 고관절증 43,000
25 여 51 필리핀 방아쇠손가락 42,000
26 남 57 필리핀 코피 44,000
27 여 56 베트남 갑상선 악성신생물 188,000
28 여 32 캄보디아 출혈을 동반한 전치태반 2,000,000
29 남 59 필리핀 만성 바이러스B형간염 79,000
30 여 30 필리핀 산전검사비, 신생아의료비 97,000
31 여 30 태국 산전검사비 62,000
32 여 22 태국 신생아의료비 86,000
33 여 26 태국 신생아의료비 135,000
34 여 42 라이베리아 신생아의료비 148,000
2022년 의료비 지원 목록
성별 나이 국가 병 명 지원액
여 55 필리핀 류마티스관절염 79,000
남 42 베트남 기관지폐렴, 각혈 267,000 71 남 55 키르기스스탄 위암, 간장전이암 500,000 72 남 67 필리핀 심근경색 2,500,000 73 남 29 태국 하지정맥류 700,000
74 여 45 키르기스스탄 식도염, 위장염 562,000
75 남 46 몽골 급성 담낭염을 동반한 담낭의 결석 1,500,000
76 남 29 태국 비외상성 방광파열 1,000,000
77 여 53 태국 호흡곤란 160,000
78 남 38 베트남 충수주위 농양 1,000,000
79 여 46 태국 만성C형간염 147,000
80 여 53 태국 식도역류병 65,000
81 남 53 필리핀 심근경색의증 700,000
82 여 44 러시아 자연분만 300,000
83 남 46 카자흐스탄 방광염, 농뇨 400,000 84 여 57 필리핀 혈청검사양성 류마티스관절염 250,000 85 남 53 필리핀 위장염 및 결장염 350,000
번호 성별 나이 국가 병 명 지원액
103 남 50 몽골 근육긴장, 윤활낭염 46,000
104 여 40 태국 실신 266,000
105 여 47 몽골 관절염 135,000
106 여 55 필리핀 류마티즘 197,000
107 남 31 태국 말기신장병 2,000,000
108 여 25 태국 심장정지 1,000,000
남 41 방글라데시 만성B형간염 150,000
남 38 필리핀 당뇨, 고지혈증 90,000 111 여 58 필리핀 당뇨병, 고혈압 136,000
112 남 41 방글라데시 양측 팔꿈치 외측상과염 60,000
113 남 49 스리랑카 만성 폐색성 폐질환 200,000
114 여 38 필리핀 자궁경부암 580,000
115 여 32 태국 골반염 72,000
116 남 39 필리핀 갑상선의 양성신생물 75,000
117 여 54 중국 유방암 640,000
118 남 46 인도 급성상기도염 78,000
119 여 42 태국 갑상선독증 100,000
120 여 45 키르기스스탄 흉통, 혈액순환장애 350,000
121 여 31 태국 요관의 결석, 요로감염 700,000
122 여 32 필리핀 결핵성 선염 300,000
123 여 35 캄보디아 응급제왕절개분만 1,000,000
124 여 44 나이지리아 기관지 천식 390,000
125 남 36 베트남 식도염 300,000
126 남 36 베트남 식도염, 위염 180,000
127 남 53 러시아 급성복증, 구토 500,000
128 여 49 러시아 군날개 250,000
129 남 50 태국 패혈성 관절염, 당뇨 170,000
130 여 37 몽골 요관결석 140,000
131 여 37 몽골 골반 및 회음부 통증 47,000
132 남 43 필리핀 대뇌부챗살 경색증
번호 성별 나이 국가 병 명 지원액
137 남 46 필리핀 당뇨병 62,000
138 여 28 베트남 위장염 및 결장염 300,000
139 여 69 중국 총담관암 155,000
140 여 54 필리핀 당뇨, 고지혈증 56,000
141 여 58 필리핀 당뇨, 고혈압 59,000
142 여 51 중국 위식도역류병 215,000
143 남 60 중국 폐렴, 농흉 2,000,000
144 여 52 베트남 고혈압 및 갑상선독증 102,000
145 여 61 키르기스스탄 고지혈증 97,000
146 여 39 태국 유방통 63,000
147 남 48 필리핀 고혈압 98,000
148 남 55 나이지리아 요추 및 추간판장애 217,000
149 남 35 베트남 급성 충수염 1,000,000
150 여 56 몽골 승모판 치환 상태 77,000
151 남 59 필리핀 고혈압 105,000
152 남 42 베트남 지주막하 출혈 180,000
153 남 47 네팔 고혈압성 심장병 700,000
154 여 55 필리핀 류마티스관절염 121,000
155 남 56 몽골 협심증, 고혈압 147,000
156 남 60 나이지리아 사타구니탈장 1,000,000
157 남 41 케냐 신부전 1,000,000
158 남 50 태국 골결핵 110,000
159 남 34 베트남 치핵및항문주위정맥혈전증 963,000
160 여 45 태국 성대폴립 187,000
161 여 43 태국 류마티스 관절염 150,000
162 남 44 인도 두통, 현훈증 100,000
163 여 23 러시아 분만이 없는 조기진통 2,000,000
164 남 54 필리핀 중추신경계통의 탈수초질환 800,000
165 남 46 태국 복막염 1,000,000
166 여 27 수단 제왕절개분만 500,000
167 남 60 중국 심근경색증 130,000
168 여 50 태국 두통 56,000
169 남 47 베트남 십이지장궤양 205,000
170 여 58 필리핀 당뇨, 고혈압 76,000
500,000 194 여 39 태국 유방의 섬유낭성 변화 46,000 195 남 46 몽골 간질환 400,000 196 남 55 필리핀 협심증 114,000 197 여 45 몽골 당뇨병
번호 성별 나이 국가 병 명 지원액
205 여 37 필리핀 발작성 빈맥 60,000
206 남 47 필리핀 전립선증식증 130,000
207 남 33 베트남 식도염 400,000
208 남 30 네팔 4도 치핵 400,000
209 남 46 필리핀 당뇨병 65,000
210 여 54 필리핀 당뇨병, 고지혈증 65,000
211 여 58 필리핀 당뇨병, 고지혈증 60,000
212 남 31 태국 자발성 기흉 우측 1,000,000
213 남 48 태국 흡인 폐렴 2,000,000
214 남 40 파키스탄 손목 및 손 부위의 척골신경의 손상 500,000
215 남 63 중국 저혈당, 전신쇠약 800,000
216 여 42 태국 응급제왕절개분만 1,000,000
217 남 63 중국 B형 간염 330,000
218 남 32 말리 폐색전증 1,000,000
219 여 28 파키스탄 리서스동종면역에 대한 산모관리
번호 성별 나이 국가 병 명 지원액
239 남 43 베트남 좌고관절 무혈성 괴사 1,000,000
240 여 37 베트남 유방의 섬유선종 800,000
241 남 56 몽골 협심증 117,000
242 남 52 몽골 담낭염 200,000
243 여 58 필리핀 고혈압 45,000
244 여 42 태국 뇌경색증 180,000
245 여 38 몽골 뇌종양 2,000,000
246 남 23 베트남 급성 충수염 1,500,000
247 남 41 방글라데시 만성 바이러스B형 간염 200,000
248 남 39 예맨 비중격편위 1,000,000
249 남 44 방글라데시 불안정 협심증 2,000,000
250 남 38 필리핀 당뇨 140,000
251 여 52 몽골 심방중격결손 210,000
252 남 62 필리핀 녹내장 42,000
253 남 32 인도 비염, 상기도염 450,000
254 여 45 태국 성대폴립 400,000
255 여 69 중국 총담관암 185,000
256 남 56 나이지리아 고환통 120,000
257 남 51 중국 알레르기비염 510,000
258 여 43 라이베리아 제왕절개상처의 파열 1,140,060
259 남 26 베트남 급성 소장 허혈 900,000
260 여 49 태국 급성위염 345,000
261 남 38 베트남 좌슬관절내측연골파열 1,000,000
262 남 42 베트남 기관지염 800,000
번호 성별 나이 국가 병 명 지원액
273 여 54 몽골 간염 88,000
274 여 54 몽골 퇴행성 추간판 질환 63,000
275 남 48 파키스탄 심부전이 없는 고혈압성 심장병 330,000
276 남 47 베트남 출혈을 동반하지 않은 식도의 궤양 360,000
277 여 31 베트남 피로증후군 178,000
278 여 29 베트남 급성 기관지염 120,000
279 여 24 베트남 양막의 조기파열 1,000,000
280 여 36 스리랑카 천식, 급성 기관지염 150,000
281 남 45 중국 뇌경색증 900,000
282 여 37 중국 골반염, 질염 85,000
283 여 33 베트남 위염, 전신쇠약 463,000
284 여 43 태국 류마티스 관절염 117,000
285 여 48 베트남 유방종양 225,000
286 남 47 베트남 아래허리긴장 80,000
287 남 38 나이지리아 고혈압 37,000
288 남 43 나이지리아 활동성 폐결핵 167,000
289 여 30 필리핀 조산, 자간전증 900,000
290 여 39 태국 유방의단발양성신생물 693,000
291 남 49 스리랑카 만성 폐색성 폐질환 230,000
292 남 37 필리핀 이상체중감소 46,000
293 여 55 필리핀 류마티즘 259,000
294 여 42 태국 자궁경부의 이형성 359,000
295 여 39 태국 유방의단발양성신생물 262,000
296 여 27 태국 계류유산 392,000
31 모로코 결합부위 골절 1,000,000
329 여 49 베트남 자궁의 평활근종 138,000
330 여 58 필리핀 당뇨병, 고혈압 88,000
갑상선장애 57,000
230 남 46 베트남 척추협착증 300,000
231 남 43 베트남 좌고관절 무혈성 괴사 330,000
232 남 36 베트남 요추 및 추간판장애 260,000
233 남 41 베트남 천식, 고립성 폐결절 120,000
234 남 55 가나 식도의 이물 500,000
235 남 30 우간다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84,900
236 여 46 중국 외음부 염증 66,000
237 남 32 베트남 기관지폐렴 1,000,000
238 남 52 베트남 상세불명의 혼돈 1,000,000
263 남 39 스리랑카 2형 당뇨병 62,000
264 여 52 중국 2형 당뇨병, 뇌경색증 320,000
265 남 50 태국 패혈성 관절염 150,000
266 남 55 태국 원발성 고혈압 및 고지혈증 54,000
267 여 39 페루 척추 추간판 탈출증 200,000
268 남 33 필리핀 복막농양을 동반한 급성 맹장 1,000,000
269 여 42 태국 난소 덩어리 48,000
270 여 43 필리핀 유방 다발성 섬유선종
297 여 23 중국 질염, 자궁경관내막염 49,000
298 여 58 중국 무릎의 통증 84,000
299 여 50 몽골 갑상선의 악성신생물 2,000,000
300 남 40 네팔 코의 폴립 1,000,000
301 남 44 몽골 십이지장염 1,500,000
302 여 45 태국 선근증, 자궁내막증 900,000
303 남 50 태국 뇌내출혈 1,000,000
304 여 50 베트남 자궁의평활근종 1,000,000
305 남 37 베트남 만성치열 500,000
306 남 50 필리핀 2형 당뇨병 148,000
331 여 57 필리핀 방광의 악성 신생물 85,000
332 여 58 필리핀 고혈압, 갑상선 검사 55,000
333 여 46 필리핀 자궁내막의 폴립 63,000
334 남 38 스리랑카 급성심근경색 900,000
335 남 55 태국 뇌내출혈 1,000,000
336 여 53 베트남 경부의 염좌 및 긴장 575,000
337 남 38 필리핀 당뇨, 고지혈증 90,000
338 남 46 필리핀 당뇨, 고지혈증 100,000
339 남 48 방글라데시 협심증 1,500,000
340 여 31 카자흐스탄 양수내 태변이 합병된 진통 및 분만 1,000,000
번호 성별 나이 국가 병 명 지원액
341 남 31 인도 우측 족부 무지 열상 500,000
342 여 33 아이티 응급제왕절개 1,000,000
343 여 46 몽골 하지의 정맥류 500,000
344 여 23 베트남 갑상선 유두암 256,000
345 여 45 태국 성대의 육아종 99,000
346 여 34 태국 갑상선암 129,000
347 여 39 태국 유방의 단발 양성 신생물 300,000
348 남 54 태국 심근경색 120,000
349 여 56 몽골 모판 치환 상태 77,000
350 남 62 필리핀 녹내장 74,000
351 여 46 태국 폐부종을 동반한 급성 심부전 1,000,000
352 여 43 태국 심부뇌내출혈 1,000,000
353 남 61 중국 인공소생에 성공한 심정지 1,000,000
354 여 56 베트남 갑상선 악성신생물 109,000
355 여 42 필리핀 혼합성 고지질혈증 38,000
356 여 42 태국 요추 및 기타 추간판장애 80,000
357 남 48 베트남 대장염 600,000
358 남 55 카메룬 좌측 족부 리스프랑
번호 성별 나이 국가 병 명 지원액
375 남 29 베트남 장염, 장마비 500,000
376 남 41 베트남 외측반달연골의 찢김 200,000
377 남 52 태국 뇌경색 90,000
378 여 27 베트남 급성장염 900,000
379 남 34 베트남 좌완관절 갱그리온 400,000
380 여 30 베트남 유방농양, 양측 900,000
381 여 30 베트남 급성 유방염 180,000
382 남 52 태국 뇌경색 800,000
383 여 26 우즈베키스탄 감염성 심내막염 1,000,000
384 남 50 필리핀 2형 당뇨병 130,000
385 여 43 라이베리아 뇌출혈 1,859,940
386 남 47 나이지리아 흉통 53,000
387 남 40 나이지리아 원발성 고혈압 89,000
388 여 32 태국 산후출혈 1,500,000
389 여 51 몽골 내반변형,무릎관절 900,000
390 여 27 베트남 갑상선기능저하증 95,000
391 여 58 필리핀 당뇨병, 고혈압 55,000
392 여 42 태국 뇌경색증 317,000
393 여 42 필리핀 암검사 및 질분비물검사 62,000
394 여 31 필리핀 질염 59,000
395 여 25 태국 루푸스 신염 283,000
396 여 38 태국 자궁경부의 제자리 신생물 176,000
397 여 52 중국 2형 당뇨병, 뇌경색증 142,000
398 여 31 태국 분만이 없는 조기진통 195,000
399 여 39 필리핀 자궁내장치 제거 및 삽입 132,000
번호 성별 나이 국가 병 명 지원액
409 남 39 베트남 천식 110,000
410 남 47 베트남 아래허리긴장 80,000
411 남 39 태국 만성 신염증후군 115,000
412 여 33 케냐 다리의 연조직염 600,000
413 여 54 필리핀 만성 당낭염 700,000
414 남 41 방글라데시 만성 바이러스B형 간염 153,000
415 남 31 우간다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556,470
416 남 46 파키스탄 백내장 1,154,590
417 남 41 스리랑카 우측전완부 척골 간부 골절 900,000
418 남 28 태국 뇌전증 45,000
419 남 56 몽골 말로리-바이스증후군 461,000
420 여 66 몽골 울혈성 심부전 1,000,000
421 여 34 태국 이상 자궁 및 질 출혈 1,000,000
422 여 28 베트남 식도염 800,000
423 남 48 베트남 급성복증 700,000
424 여 47 태국 복통, 방광염 181,000
425 여 55 태국 양쪽 원발성 무릎관절증 156,000
426 남 23 베트남 급성 신장 손상 1,000,000
427 남 56 인도 폐렴연쇄알균에 의한 패혈증 2,000,000
428 여 61 태국 쥐에물림, 두근거림 200,000
429 여 30 태국 자궁경부의 염증성 질환 94,000
430 여 53 중국 후교통동맥에서 기원한 지주막하출혈 1,000,000
431 여 60 중국 지주막하출혈 1,000,000
432 남 55 몽골 만성 바이러스B형 간염 113,000
433 여 55 몽골 위-식도 역류병 100,000
434 여 55 몽골 방광의 장애, 요실금 60,000
고혈압 130,000 447 여 49 몽골 편두통, 비기질성 불면증 240,000 448 여 62 필리핀 우측 슬관절 퇴행성 관절염 100,000 449 남 56 몽골 협심증 185,000 450 남 48 몽골 만성 비화농성 중이염 130,000 451 남 48 태국 뱀물림, 파종성 혈관내 응고 1,000,000 452 여 59 키르기스스탄
366 여 54 필리핀 근막의 농양 600,000 367 여 37 태국 폐색성 장폐색증 1,000,000
368 남 53 중국 급성 충수염 1,000,000
369 여 54 중국 시상부출혈 1,000,000
남 45 세네갈 기관지염, 장염 500,000 371 여 49 몽골 신장암 CT 419,000 372 남 59 필리핀 고혈압, 당뇨 120,000 373 남 55 필리핀 협심증 190,000
374 남 45 태국 복통 120,000
400 여 69 중국 총담관염 185,000
401 여 45 키르기스스탄 식도염 244,000
402 여 44 베트남 직장암 93,000
403 여 59 태국 자궁의 벽내 평활근종 의증 47,000
404 여 43 태국 류마티스 관절염 153,000
405 여 58 필리핀 고혈압 55,000
406 남 42 방글라데시 요관의 결석 70,000
407 남 37 베트남 대장염 700,000
408 남 38 필리핀 당뇨, 고지혈증 90,000
435 여 55 몽골 양성 발작성 현기증 540,000
436 남 33 태국 충수염 1,000,000
437 남 40 나이지리아 원발성 고혈압 28,900
438 남 32 인도 거골골절 500,000
439 남 43 베트남 척추분리증 85,000
440 여 23 베트남 입술의 양성신생물 180,000
441 남 50 필리핀 신장이식상태 700,000 442 여 44 태국 자궁내막의 폴립 1,000,000
443 남 55 태국 원발성 고혈압 및 고지혈증
고혈압 56,000 472 여 58 필리핀 자궁경부의 염증성 질환 40,000
남 46 필리핀 당뇨, 고지혈증 53,000 474 남 48 중국 2형 당뇨병
55,000
번호 성별 나이 국가 병 명 지원액
479 남 40 방글라데시 고지질혈증
514 여 35 몽골 만성 난관염 및 난소염 225,000
515 여 58 몽골 바이러스B형간염, 간경화 107,000
516 여 28 태국 2도치핵 217,000
517 여 36 캄보디아 심실 조기 수축 135,000
번호 성별 나이 국가 병 명 지원액
549 남 26 인도 요관의 결석 62,000
550 남 54 필리핀 옆구리통증 96,000
551 남 50 몽골 흉부척수병증 600,000
552 남 54 필리핀 하지의 정맥류 700,000
요관의 결석 238,000
484 남 45 몽골 하악골의 골절 35,000
485 여 47 태국 골반염 60,000
486 여 33 베트남 갑상샘중독증 116,000
487 여 25 베트남 신장의 결석 900,000
488 남 50 베트남 우안성숙백내장수술 500,000
489 남 40 베트남 대뇌동맥류 72,000
490 여 31 베트남 산모의 정기검사 200,000
491 남 38 베트남 반사성 신경병성 방광 650,000
492 남 41 베트남 우측어깨 회전근개 부분파열 73,000
493 남 30 베트남
518 여 42 필리핀 고지혈증 69,000
519 여 53 필리핀 낭성 자궁내막의 증식증 61,000
520 여 55 필리핀 류마티즘 134,000
521 여 58 필리핀 당뇨병, 고혈압 50,000
522 여 58 필리핀 고혈압 85,000
523 여 54 필리핀 췌장질환 37,000
524 남 36 베트남 제5요추-1천추부 추간판 탈출증 1,000,000
525 남 30 우간다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418,890
526 남 43 중국 간세포암종의 악성 신생물 270,000
527 남 28 몽골 강직척추염 700,000
528 여 51 필리핀 양측 손목터널증후군 500,000
529 남 52 몽골 심부전 700,000
530 여 64 인도네시아 배꼽탈장 700,000
531 남 50 몽골 흉부척수병증 370,000
532 남 30 우간다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1,151,880
533 남 54 태국 심근경색 140,000
534 남 41 베트남 우측어깨 회전근개 부분파열 220,000
535 남 57 나이지리아 B형간염 152,000
536 남 47 나이지리아 외상후 고관절 골괴사 873,000
537 남 55 인도 신우결석 및 요관결석 1,000,000
553 남 61 몽골 식도염, 위-식도역류병 200,000
554 남 55 필리핀 협심증 95,000
555 남 59 필리핀 고혈압, 당뇨 100,000
556 남 45 몽골 하악골의골절 220,000
557 여 37 중국 자궁경부암 검사 56,000
558 여 55 필리핀 소관절염 55,000
559 여 67 베트남 만성 후두염, 두통 353,000
560 여 56 몽골 만성 항문열창 53,000
561 여 34 몽골 갑상선의 장애 73,000
562 여 51 몽골 양측 슬관절 퇴행성 관절염 167,000
563 남 33 스리랑카 사지의 통증 290,000
564 남 46 필리핀 당뇨, 고지혈증 49,000
565 남 52 필리핀 수근골의 탈구 300,000
566 남 28 모로코 항문생식기의 사마귀 792,000
567 여 48 필리핀 천식 58,000
568 여 57 필리핀 방광의 악성 신생물 189,000
569 여 57 필리핀 방광의 악성 신생물 16,000
570 여 58 필리핀 당뇨병, 고혈압 119,000
571 여 42 필리핀 천식 55,000
572 여 59 몽골 고혈압 75,000
골수성 백혈병 1,000,000
504 남 40 베트남 어지럼증 600,000
505 남 50 필리핀 2형 당뇨병 148,000
506 남 47 베트남 아래허리긴장 37,000
507 남 31 캄보디아 갑상선기능저하증 130,000
508 남 41 태국 현미경적 혈뇨 85,000
509 남 58 태국 갑상선기능저하증 130,000
510 남 37 태국
538 여 35 라이베리아 계류유산 381,000
539 여 33 태국 계류유산 338,000
540 여 33 태국 유방의 양성 신생물, 오른쪽 500,000
541 여 52 태국 2형 당뇨 56,000
542 여 53 몽골 양안 결막염 82,000
543 여 58 필리핀 역류식도염 120,000
544 여 26 베트남 만성 이관고실의 화농성중이염 900,000
545 여 28 라이베리아 염증성 간질환 700,000
546 남 36 이집트 발 부음, 허리디스크 62,000
547 여 46 필리핀 급성 충수염 700,000
548 남 41 베트남 추간판전위 124,000
573 여 69 중국 총단관암 175,000
574 여 45 나이지리아 원발성 무릎관절증 96,000
575 여 23 베트남 갑상선 유두암 60,000
576 여 42 필리핀 조기폐경 31,000
577 여 56 몽골 모판 치환 상태 77,000
578 여 24 베트남 급성복통 344,000
579 남 61 몽골 간세포암종 1,000,000
580 여 46 태국 유방의 악성 신생물 700,000
581 남 62 필리핀 녹내장 45,000
582 남 39 베트남 장막간의 농양 1,000,000
583 남 44 베트남 좌측 견관절 회전근개 파열 200,000
슬관절 슬개골 골절 700,000
남 59 필리핀 고혈압, 당뇨 52,000
남 61 몽골 식도염 100,000
남 55 필리핀 협심증 97,000
남 49 베트남
2022년 이주아동 지원내역 2022년 언론에 보도된 희망의친구들
번호 성별 나이 병 명 지원액
1 남 2 상세불명의 복통 60,000
2 남 2 상세불명의 열 160,000
3 여 2 네말린근병증 외 2,000,000
4 여 4 고열 78,000
5 남 1 호흡곤란증후군, 내장전위증 3,000,000
6 남 9 두드러기(담마진) 56,000
7 남 2 폐렴, 위식도 역류병 625,000
8 여 2 부신의 신경모세포종 3,000,000
9 여 17 당뇨 89,000
10 여 1 신생아일과성빠른호흡 2,000,000
11 여 4 상세불명 알레르기성
번호 성별 나이 병 명 지원액
32 여 1 기관지-식도루를 동반한 식도폐쇄 외 3,000,000
33 남 1 기타 명시된 병원체에 의한 급성 기관지염 160,000
34 남 1 신생아의 수유문제 844,970
35 여 1 34주 조산아 외 2,000,000
36 남 2 호흡곤란(심초음파) 137,000
37 여 1 26주 조산아 외 3,000,000
38 여 1 선천성 폐동맥판협착 외 1,000,000
39 여 1 25주 조산아 외 3,000,000
40 여 1 28주 조산아 외 3,000,000
41 여 1 신생아의 호흡곤란증후군 외 2,000,000
42 여 3 위장염 및 결장염 231,000
43 여 1 이차성 갑상선 기증저하증 외 150,000
44 남 3 아데노바이러스감염, 급성 위장염 외 500,000
45 여 1 34주 조산아 1,500,000
46 여 1 신생아 호흡관란증후군 외 1,000,000
47 여 2 손목 및 손의 2도 화상 외 700,000
48 남 1 신생아의일과성빠른호흡 1,000,000
49 여 1 35주 조산아 3,000,000
50 남 4 상아질우식증 165,000
51 여 1 일과성 신생아 저혈당 외 1,000,000
52 여 3 수족구병 890,000
53 여 17 당뇨, 당뇨망막병증 185,000
54 남 3 급성인두염, 급성상기도감염 54,000
55 남 1 신생아 저혈당, 신생아 황달 1,000,000
56 여 1 화농성중이염, 폐렴 600,000
57 남 1 33주 조산아 3,000,000
58 여 1 급성 신우신염 외 1,500,000
59 남 1 35주 조산아 외 800,000
60 남 1 저체중 출생아, 심박중격결손 3,000,000
61 남 2 상세불명의 폐렴 250,000
62 여 17 당뇨 150,000
번호 성별 나이 병 명 지원액
63 여 1 급성기관지염 및 피부염 외 894,550
64 여 2 급성기관지염 및 피부염 80,310
65 남 5 상세불명 기원의 위장염 및 결장염 450,000
66 남 3 선천갑상선기능저하증 178,000
67 남 1 33주 조산아 3,000,000
68 남 2 위장염 및 결장염, 엔테로바이러스 764,000
69 남 1 36주 조산아 외 1,000,000
70 남 2 상세불명의 급성 세기관지염 868,000
71 남 1 신장형성이상 80,000
72 남 1 청성 뇌간 반응역치검사 150,000
73 여 2 가와사키병 689,000
74 남 1 32주 조산아 3,000,000
75 여 1 신생아 고빌리루빈혈증 700,000
76 여 1 태아 및 신생아의 뇌실내출혈 211,000
77 남 1 34주 조산아 외 1,000,000
78 여 1 급성세기관지염, 중이염 300,000
79 여 2 상세불명의 폐렴, 급성 세관지염 외 475,000
80 여 1 신생아의 상세불명의 호흡곤란 1,000,000
81 여 10 아래다리의 기타 및 상세불명의 부분의 타박상 110,000
82 여 1 32주 조산아 외 1,000,000
83 여 1 28주 조산아 외 1,000,000
84 남 3 급성인두염, 급성상기도감염 53,000
85 여 2 급성 기관지염, 급성 상기도감염 100,000
86 여 3 두드러기, 불명열 700,000
87 여 1 기관지염 37,000
88 남 1 심첨부 비대성 심근병증, 심낭삼출액(비염증성) 120,000
89 남 2 HIV RNA 정량검사 165,000
90 여 11 심리운동치료 2,704,000
91 여 10 미술치료 1,015,000
92 여 19 척추보조기기 400,000
93 남 13 종합심리검사 495,900
합계(원) 98,183,730
번호 날짜 매체 내용
1 2022. 02.17 연합뉴스
‘코로나19 속 이주노동자 건강권 보장 방안’ 포럼 개최
2 2022. 04. 01 경향신문
③보호받지 못하는 몸 -혐오정치가 내세운 ‘이주민 무임승차론’
3 2022. 04. 22 LIFE IN
(재)자연드림씨앗재단, 시민사회단체 5곳과 나눔 사업 협약 체결
4 2022. 10. 11 뉴시스 미등록 이주민 정부 합동단속 규탄 공동기자회견
5 2022. 10. 11 투데이신문 이주단체 “미등록 이주민 합동단속, 반인권적 . 안정화 방안 내놓아야”
6 2022. 10. 26 경기북구탑뉴스
의정부시자살예방센터, 생명존중 및 자살예방 위한 업무협약 체결 의정부시자살예방센터 -(사)한국이주민건강협회 ‘희망의친구들’ -의정부외국인노동자지원센터
7 2022. 11. 07 의학신문 제주한국병원-희망의친구들, 이주노동자 의료 지원 협약
8 2022. 11. 18 미디어투데이
포천시 자살예방센터 -한국이주민건강협회 희망의 친구들 -솔모루 이주한삶 -포천 나눔의집 이주민 지원센터, 업무협약
9 2022. 11. 21 연합뉴스 미등록 이주아동 지원 방안 26일 온라인 발표회
10 2022. 11. 30 현대건강신문 의료 접근성 공평한가...코로나19로 건강권 차별 심화
11 2022. 12. 19 데일리팜 서울시약 희망의친구들, 이주민가정에 2,200만원 상당 영양제 기부
12 2022. 12. 20 의학신문 서울시약, 난민 이주민 가정에 영양제 후원
Sponsorship Form
후원유형선택 - 정기후원□일시후원□
- 사업별 후원□ 의료지원/ 건강증진/ 이주아동/ 국제협력
후원자정보
성명 주민등록번호
전화번호 휴대폰번호
주소
소식지‘희망의친구들’구독신청□
이메일 주간 온라인 뉴스레터 구독신청□
후원신청내용
후원금액 후원금이체일 4일 □ 25일□
은행명 예금주명
계좌번호 예금주 주민등록번호
기타요청메세지
후원계좌 : 신한 140-006-343036, 국민 813037-04-002516 예금주 (사)한국이주민건강협회 희망의친구들
*희망의친구들은 소득세법 34조 ①항, 소득세법 시행령 제 80조에 따른 지정기부금 단체로서 소득세법에 따라 소득금액의 개인 30% 법인 10% 한도 내에서
2022 Annual Report
Migrant Health Association in Korea WeFriends
발행처 (사)한국이주민건강협회 희망의친구들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동의
^ 수집하는 개인정보 항목
성명, 생년월일, 성별, 주민등록번호, 주소, 전화번호, 이메일, 계좌정보
^ 개인정보의 수집, 이용목적
본인 식별, 기부금출금, 기부금영수증 발행, 기부제안, 우편물발송, 뉴스레터 발송, 행사안내
^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기간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되면
파기함. 단, 기부금영수증 발행 등을 위해
관계법령에서 정한 일정 기간 동안
개인정보와 기부결제정보를 보관함 (기부중단시부터)
*위 항목에 동의하지 않을 때에는
기부금영수증 등 우편물의 발송, 정보 수정 등의 제약을 받을 수 있습니다.
동의 동의 안 함
개인정보 취급위탁 동의
^ 개인정보 취급위탁을 받는자(수탁자)
^ 개인정보 취급위탁 정보
^ 개인정보 취급위착 사유
^ 스마트레이저
^ 성명, 연락처, 이메일, 기부정보
^ 기부 분석 및 기부 제안
^ 국세청연말정산간소화 서비스
^ 성명, 주민번호, 기부내역
^ 연말정산서비스 제공
동의 동의 안 함
근거 법률
개인정보보호법 제24조의2
소득세법시행령 제208조의3
발행일 2023년 4월 27일 발행인 김성수 편집 김정우, 한지희
디자인 하트비 www.heartbee.com
03735 서울시 서대문구 통일로 9길 12 (2층) Tel. 02)3147-0516~8 Fax. 02)3147-0519 www.wefriends.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