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riday, December 18, 2020
<제4762호> www.newyorkilbo.com
THE KOREAN NEW YORK DAILY
제보·문의 대표전화 (718) 939-0047/0082 2020년 12월 18일 금요일
사랑나눔으로 더 아름답고 따뜻한 한인사회 만들자
흐림
12월 18일(금) 최고 32도 최저 17도
흐림
12월 19일(토) 최고 30도 최저 25도
12월 20일(일) 최고 38도 최저 34도
비
12월 18일 오후 12시 기준(한국시각)
1,099.10
1,118.33
1,079.87
1,109.80
1,088.40
1,112.28
1,087.79
< 미국 COVID-19 집계 : 12월 17일 오후 6시30분 현재 Worldometer 발표 >
21희망재단은 16일 1차로 한미충효회, 뉴욕라이온스클럽, 시내문화원 등 3개 한인단 체에 각각 2천달러씩을 지원했다. 오른쪽부터 21희망재단 김용선 이사, 변종덕 이사장, 임형빈 회장, 서동천 회장, 김광례 원장. [사진 제공=21희망재단]
복지·봉사활동 펼치는 단체 격려·후원 21희망재단, 9개 단체에 2천달러 씩 지원 21희망재단(이사장 변종덕)이 연말연시를 맞아 각계에서 복지 및 봉사활동을 펼치는 한인단체 나 기관들을 선정, 기금을 지원키 로 했다. 재단측은 올해말까지 6개 단 체, 기관을 선정했으며, 내년 1월 2~3개 단체를 추가 선정, 기금을 지원할 예정이다. 21희망재단은 16일 1차로 한미 충효회(회장 임형빈), 뉴욕라이온 스클럽(회상 서동천), 시내문화원 (원장 김광례) 등 3개 한인단체에
각각 2천달러씩을 지원했다. 변종덕 이사장은“△매년 5월 어버이의 날을 맞아 효자, 효부, 효행상 등을 시상하고, 한인노인 들을 위한 공경심을 고취시켜온 한미충효회 △매년 무료 건강진 료과 독감주사 예방접종, 안과검 진 등 활발한 봉사활동를 펼쳐온 뉴욕라이온스클럽 △21희망재단 을 위해 1년간 자원봉사로 인력봉 사를 아끼지 않은 시내문화원 등 3개 단체에 감사함을 느낀다”며 선정 이유를 밝혔다.
뉴욕나눔의집 임원진이 뉴욕한인회 찰스 윤 회장과‘뉴욕나눔의집’미래에 대해 논의 후 자리를 함께 했다. 왼쪽부터 김경화 뉴욕한인회 수석부회장, 최재복 뉴욕나눔의집 이사장, 찰스 윤 뉴욕한인회장, 변남현 뉴욕나눔의집 이사, 박성원 뉴욕나눔의집 대표, 음갑선 뉴욕한인회 상임부회장. <사진제공=뉴욕한인회>
나눔의집, 뉴욕한인회에 새쉘터 구입 도움요청 한인 노숙자들을 위한 쉘터를 운영 중인 뉴욕나눔의집(대표 박 성원)의 임원진이 15일 뉴욕한인 회(회장 찰스 윤)를 방문해 뉴욕 나눔의집 현 상황을 전하며 뉴욕 한인회의 도움을 요청했다. [뉴욕일보 12월9일자 A2면‘한인 노숙인들 돌보는‘뉴욕나 눔의집’새 쉘터 구입 시급. 기금 마련 위해 19일 영상‘후원의 밤’ 개최…1차 100만달러 모금 계획’ 제하 기사 참조] 뉴욕나눔 집은 계속해서 늘어 나고 있는 노숙인과 제때 처리되 지 못한 벌금, 이웃의 불평신고 등 여러 여건으로 인해 새 거처를 찾 아야 하는 절박한 상황에 놓여 있
다.
이날 나눔의 집 임원진은 코로 나 19로 인해 앞으로 뉴욕 나눔의 집을 찾을 한인 노숙인의 수는 더 욱 증가할 것이라며 곧 처할 앞날 에 대한 걱정을 전했다. 현재 뉴욕 나눔의 집은 고정 렌트비 지출 등을 고려, 자체 건물 을 구입하는 편이 낫다는 결론을 내린 상황으로 한인사회 적극적 인 도움과 협조가 필요하다. 뉴욕 나눔의 집은 오는 19일 온라인으로 뉴욕 나눔의 집 단독 건물 마련을 위한 후원의 밤 행사 를 진행한다, 찰스 윤 뉴욕한인회장은“위 기에 처한 노숙자들의 자립을 돕
美 코로나 누적 감염자 1,700만명… 닷새 만에 100만명 늘어 16일 확진자·사망자·입원환자 등 3대 지표 모두‘역대 최악’ 크리스마스 연휴, 코로나 확산에 또 다른 고비 될 듯… 모더나 백신 승인도 임박 백신 접종에도 불구하고 미국 에서 여전히 코로나19이 맹렬하게 확산하면서 17일 누적 확진자가 1 천700만명을 넘었다. 존스홉킨스대학은 이날 미국 누적 코로나19 확진자 수를 1천700 만408명으로 집계했다. 누적 사망 자 수는 30만7천770명으로 집계됐 다. 미국은 전 세계에서 누적 코로 나19 확진자와 사망자가 가장 많 이 나온 국가다. 미국에서는 지난 12일 누적 감 염자가 1천600만명을 넘겼는데, 닷새 만에 다시 100만명이 증가하
며 이날 1천700만명도 넘어섰다. 가장 단기간에 확진자가 100만명 이 늘어난 것은 1천500만명에서 1 천600만명으로 증가할 때로 불과 나흘 만에 100만명이 추가됐다. 미국에서는 올해 1월 20일 첫 코로나19 양성 확진자가 나온 뒤 100만명(4월 28일)을 넘길 때까지 98일이 걸렸다. 그러나 이후 100만 명 증가에 걸리는 기간이 단축되 고 있다. 특히 11월 8일 1천만명을 돌파하며 처음으로 채 열흘이 안 되는 9일 만에 100만명이 늘어난 뒤 7일 만에 1천100만명, 6일 만에
1천200만명, 다시 6일 만에 1천300 만명, 또 6일 만에 1천400만명, 5일 만에 1천500만명, 4일 만에 1천600 만명을 각각 넘겼다. 최근의 이처럼 폭발적인 확산 은 코로나19의 가을·겨울철 대유 행이 진행 중인 가운데 최대 명절 인 추수감사절이 끼면서 사람들이 가족·친지들과 만나 어울린 여파 로 풀이된다. 전날인 16일도 팬데믹(세계적 대유행) 이후 최악의 지표들이 대 거 쏟아졌다. 존스홉킨스대에 따 르면 16일 미국에서는 24만7천403
명의 신규 확진자가 나오며 최대 치를 기록했고, 사망자도 3천656 명으로 역시 이번 팬데믹 사상 최 고치였다고 CNN이 보도했다. 또 코로나19 추적 프로젝트에 따르면 이날 미 전역의 코로나19 입원 환자는 11만3천69명으로 집 계되며 역시 최대치를 기록했다. 입원 환자 수는 사망자 수를 추이 를 점쳐볼 수 있는 선행 지표다. 백악관 코로나19 태스크포스 (TF)는 미 북부·중부에서는 코 로나19 확산의 억제에 다소 진전 이 있었지만 인구가 많은 주를 중 심으로 확진자가 여전히 급증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TF는 보고서에서“북부 대평 원, 중서부의 북부, 일부 로키산맥
17,579,076 855,236
182,179 10,896
317,292 36,096
429,430
3,982
18,196
는 이번 뉴욕 나눔의 집 행사에 한인사회 온정이 모아져 어려운 이웃에 머물 수 있는 거처 마련이 속히 이뤄질 수 있기를 바란다” 고 말했다. 뉴욕나눔의집은 계속해서 늘 어나고 있는 노숙인과 제때 처리 되지 못한 벌금, 이웃의 불평신고 등 여러 여건으로 인해 새 거처를 찾아야 하는 절박한 상황에 놓여 있다. 이날 나눔의집 임원진은 코로 나 19로 인해 앞으로 뉴욕 나눔의 집을 찾을 한인 노숙인의 수는 더 욱 증가할 것이라며 곧 처할 앞날 에 대한 걱정을 전했다.
현재 뉴욕나눔의집은 고정 렌 트비 지출 등을 고려, 자체 건물을 구입하는 편이 낫다는 결론을 내 린 상황으로 한인사회 적극적인 도움과 협조가 필요하다. 뉴욕나눔의집은 오는 19일 온 라인으로 뉴욕 나눔의 집 단독 건 물 마련을 위한 후원의 밤 행사를 진행한다, 찰스 윤 뉴욕한인회장은“위 기에 처한 노숙자들의 자립을 돕 는 이번 뉴욕나눔의집 행사에 한 인사회 온정이 모아져 어려운 이 웃에 머물 수 있는 거처 마련이 속히 이뤄질 수 있기를 바란다” 고 말했다.
일원과 내륙 지방의 주들에서의 안정화가 더 인구가 많은 주들의 심각한 악화로 상쇄되고 있다” 고 밝혔다. 보건 전문가들은 크리스마스 연휴가 또 다른 고비가 될 수 있다 고 경고하고 있다. 추수감사절 모 임이 코로나19 대유행에 기름을 부었듯, 크리스마스 모임도 사태 를 더 악화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북동부와 중서부의 주지사들 은 최근 주민들에게 크리스마스 휴가 계획을 재고하라고 권유하는 동영상 메시지를 보냈다. 이들은 동영상에서“연휴 때 다른 가족과의 여행이나 모임을 계획하고 있다면 우리는 이를 재 고하라고 촉구한다” 며“단 한 명 의 감염자도 여러분 공동체에 대 량 발병을 초래할 수 있다” 고 밝혔 다.
이런 가운데 미 식품의약국 (FDA) 자문기구인 백신·생물의 약품 자문위원회(VRBPAC)는 이 날 회의를 열고 제약사 모더나의 코로나19 백신에 대해 긴급사용 승인을 권고할지를 결정한다. 이 자문기구가 긴급사용 승인을 권고 하고 FDA가 이를 승인하면 모더 나의 백신도 일반 대중을 상대로 접종할 수 있는 단계에 한 걸음 다 가서게 된다. FDA는 통상 VRBPAC의 권고를 그대로 따라 왔다. 모더나의 백신이 승인되면 미 국은 화이자-바이오엔테크의 백 신에 이어 두 번째로 승인된 백신 을 확보하게 된다. 그러면 미국은 백신 접종에 더 속도를 낼 수 있을 전망이다. ▶ 코로나19 관련기사 A4(미국 1)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