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교부·경찰청·소방청,
외교부·경찰청·소방청은 해외에서 발
생할 수 있는 사건사고 예방 및 위기
상황 대처 방법을 알리고, 정부의 해
외안전 지원제도를 홍보하기 위해 제
5회 ‘해외에서 겪은 사건사고 경험담
공모전(이하 ‘공모전’)’을 공동으로 개
최한다.
이번 공모전은 3월 14일(금)부터 5
월 18일(일)까지 66일 동안 진행되
며, 응모작을 대상으로 1·2차 심사를
거쳐 총 16편의 수상작을 선정할 예 정이다. 시상식은 7월 9일(수) 외교부
에서 개최된다.
지난해 공모전 대상작인「까망콩싹
의 전신마비 이야기」는 해외에서 사
고로 전신이 마비된 후 재외공관과
영사협력원의 도움으로 무사 귀국한
사례를 영상으로 풀어내어 국민들의
공감과 응원을 이끌어냈다.
※ “단 1초만에 전신마비가 된 까망
콩싹(외교부 해외안전여행 채널)” 유
튜브 조회수 147만 회(3.11. 기준) 기
록 및 각종 언론보도
이번 공모전은 ▴동영상 ▴인스타툰
(10컷 이내 만화) ▴수기(사진 포함)
의 3개 부문에서 응모작을 접수하며, 국내외 거주하는 우리 국민 누구나
참여할 수 있다. 주제는 해외에서 겪
은 사건사고 경험 관련 ▵해외 안전
여행 팁 ▵해외여행 위험 대처요령 ▵
영사조력을 받은 경험이다.
※ 해외에서 위급상황 시 우리 대사
관이나 총영사관 또는 영사콜센터의
도움을 받은 경험이나, 응급의료상담
서비스를 이용한 경험 등
이번 공모전의 통합 대상 수상자에
게는 외교부장관상과 부상이, 응모
부문별 최우수상·우수상·장려상 수상
자에게는 경찰청장상 또는 소방청장
상과 부상이 수여된다. 또한, 우수 작
품들은 재외공관, 공공기관과 교육기 관, 사회관계망서비스(SNS) 등을 통 해 해외안전여행 홍보자료로 활용될 예정이다.
외교부·경찰청·소방청은 이번 공모
전 공동 개최를 통해 해외 사건사고
예방 및 대처 방법에 대한 국민의 이
해도를 높이고, ‘원팀’으로서 재외국
민 보호망을 더욱 촘촘히 하는 계기
로 삼을 계획이다. 앞으로도 세 부처
는 긴밀한 협력을 통해 해외에서의
우리 국민 안전을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다.
이번 공모전 응모와 관련된 자세한
사항은 외교부(www.mofa.go.kr), 경찰청(www.police.go.kr) 및 소방 청(www.nfa.go.kr) 누리집에서 확
인할 수 있다.






라이프 플라자 데일리 뉴스

AFP통신에 따르면, 블라디미르 푸틴 (Vladimir Putin) 러시아 대통령은
5월 15일 터키에서 열리는 볼로디미
르 젤렌스키(Volodymyr Zelensky)
우크라이나 대통령과의 직접 회담에
참석하지 않을 예정이라고 크렘린궁
이 발표한 명단을 인용해 보도했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푸틴 대통령에게
터키에서 직접 만날 것을 제안했으
며, 도널드 트럼프(Donald Trump)
전 미국 대통령도 푸틴 대통령의 회
담 참여를 희망하는 뜻을 내비쳤다.
이스탄불(Istanbul)에서 열리는 이 번 회담은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간의
첫 직접 평화회담으로, 전쟁 초기 몇
차례의 협상이 합의 없이 결렬된 이
후 처음이다.
푸틴 대통령의 참석 여부에 대해 수
일간 언급을 피했던 크렘린궁은 14
일 저녁 협상단 명단을 공개했다. 이
에 따르면 러시아 측 협상단은 푸틴
대통령의 강경파 보좌관이자 2022년
협상에 참여했던 전 문화부 장관 블
라디미르 메딘스키(Vladimir Medinsky)가 이끈다.
푸틴 대통령을 비롯해 세르게이 라브
로프(Sergei Lavrov) 외무장관, 유
리 우샤코프(Yuri Ushakov) 외교정
책 보좌관 등은 명단에 포함되지 않
았다.
러시아 협상단에는 이 외에도 미하 일 갈루진(Mikhail Galuzin) 외무
차관, 알렉산드르 포민(Alexander Fomin) 국방차관, 그리고 러시아 군
정보기관(GRU) 국장 이고르 코스튜
코프(Igor Kostyukov) 등이 포함됐
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최근, 푸틴 대통
령의 불참은 그가 평화에 진정한 관
심이 없다는 명확한 신호라고 지적
했다. 그는 “러시아에서 누가 오는지
지켜본 후, 우크라이나가 어떤 조치
를 취해야 할지 결정하겠다”라고 14
일 밝혔다.
같은 날, 트럼프 전 대통령은 푸틴 대
통령이 참석할 경우 자신도 터키를
방문할 수 있다고 언급했다.
한편, 마르코 루비오(Marco Rubio)
미국 국무장관은 5월 16일 이스탄불
에서 회담 일부에 참석할 예정이며,
그는 14일 터키 안탈리아(Antalya)
에서 열린 나토(NATO) 외교장관 회
담을 계기로 안드리이 시비하(Andriy Sybiha) 우크라이나 외무차관
과 회동한 바 있다.
https://thanhnien.vn/ongputin-khong-tham-gia-damphan-voi-ukraine-tai-tho-nhiky-185250515113723119.htm
라이플라자/ 휴텍대 인턴 기자 니
니- 번역

(자카르타=연합뉴스) 박의래 특파원 = 이달 초 연임에 성공한 앤서니 앨
버니지 호주 총리가 두 번째 임기의
첫 해외 방문으로 인도네시아를 찾 았다.
15일 인도네시아 안타라 통신과 호
주 ABC 방송 등에 따르면 앨버니지
총리는 이날 프라보워 수비안토 인도
네시아 대통령과 수도 자카르타에 있
는 대통령궁에서 만나 정상회담을 가 졌다.
호주 총리는 통상 첫 해외 일정으로
이웃 국가인 인도네시아 등 아시아
국가를 찾는다.
앨버니지 총리는 회담에 앞서 모두
발언을 통해 “인도네시아는 호주에
없어서는 안 될 파트너”라고 말했다.
프라보워 대통령도 “양국의 협력과
교류를 양자, 지역, 글로벌 차원에서
강화할 기회”라며 두 나라의 관계가 “견고하다”고 표현했다.
회담 후 앨버니지 총리는 기자들과
만나 인도네시아가 세계에서 가장 빠
르게 성장하는 지역으로 두 사람이
양국 간 경제 협력에 대해 논의했다
고 말했다.
또 롬복 조약과 인도네시아·호주의
공동 안보에 대한 중요성도 논의했다
고 밝혔다.
롬복 조약은 2006년 인도네시아 롬
복에서 체결된 안보 조약이다. 양국
이 서로 주권과 영토 보전을 존중하
이다.
나라는 롬복 조약을
공 동 군사 훈련을 하는 등 안보 협력을 강화해 왔다. 앨버니지 총리는 “나는 이 협정이 마 지막 단계가 아닌 다음 단계로 가는 사전 단계로 본다”며 “우리는 더 높 은 목표를 세우고, 더 멀리 나아가며, 더욱 긴밀히 협력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프라보워 대통령은 그러한 목표를 실현할 비전과 결의를 가진 지도자라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호주전략정책연구소(ASPI) 국방 담 당 수석 애널리스트 유안 그레이엄은 호주와 인도네시아 관계가 “10년 넘 게 심각한 위기를 겪지 않았고,

플라자

(서울=연합뉴스) 이봉석 기자 = 미국과 중국 간 무역전쟁이 지속되는 가운데
양국 경제무역 협력 교류회가 현지시간 지난 11일 미국 수도 워싱턴DC에서
열렸다고 중국 계면신문이 15일 중국 기구 ‘중국무역촉진’ 공식 웨이보를 인
용해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행사에는 중국계 미국인인 수전 리 메릴랜드주 총무장관과
뤼장 주미 중국대사관 공사 등 약 110명이 참석했다.
리 총무장관은 “메릴랜드주는 한결같이 중국 기업가들의 투자와 사업을 환
영하며, 양국 기업가들이 시장과 신사업을 개척하고 상업적 관계를 강화할
수 있도록 기꺼이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뤼 공사는 “중미 경제·무역 교류가 몇 가지 어려움에 직면해있지만, 미래 협
력 공간은 넓다”면서 “중국은 항상 보호주의와 일방적 괴롭힘에 반대해왔 고, 대화와 협상을 통해 의견 차이를 해결할 것을 주장한다”고 강조했다.
https://www.yna.co.kr/view/AKR20250515115300009?section=international/all

(서울=연합뉴스) 유창엽 기자 = 러시
아와 인도양 섬나라 스리랑카가 처음
으로 대(對) 테러 합동 군사훈련을 실
시하기로 했다고 타스 통신이 15일
전했다.
보도에 따르면 양국 국방부 관계자들
이 전날 스리랑카에서 첫 대테러 훈
련 준비를 위한 회의를 열었다.
러시아 국방부 관계자는 타스에 “이
번 첫 합동 군사훈련은 양국간 군사
협력을 발전시키기 위한 중요한 단계
에 해당한다”며 “이를 통해 양국군은
경험을 주고받고 테러리즘과 같은 세
계적 위협에 대한 공동 접근방안을
개발할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양국군의 첫 합동 훈련이 언제
어디서 실시될지는 알려지지 않았다.
러시아와 스리랑카군은 앞서 파키스
탄 주최 합동 군사훈련에 참가하기
도 했다.
이들 3국 해군은 안전한 해양환경 조
성이란 명분 하에 2021년 2월 인도양
의 일부인 아라비아해에서 훈련을 실
시했다.
러시아와 스리랑카는 1957년 수교한
이래 무역과 경제, 과학 등 여러 분야 에 걸쳐 협력 관계를 유지해오고 있
다.
특히 군사 분야에선 양국간 협력은 1960년대에 본격화했다. 러시아는 스리랑카에 미그-15 전투기와 카모프 헬기 등을 제공했으며 스리랑카 정부 는 내전 과정에서 이를 활용한 것으 로 전해졌다.
1983년 7월부터 2009년 8월까지 26 년여간 스리랑카 정부군과 반군 타밀 엘람해방호랑이(LTTE)간 일어난 내 전으로 최소한 10만명이 숨지고 2만 여명이 실종됐다.
내전은 불교도인 다수 싱할라족의 차 별에 소수이자 힌두교도인 타밀족이 항거하면서 시작돼 정부군 승리로 끝 났다. 이 과정에서 인권침해

라이프 플라자 데일리 뉴스 “삼성전자, 유럽

(베를린=연합뉴스) 김계연 특파원 = 삼성전자가 유럽 냉난방공조 전문기업 플렉트그룹 인수를 추진 중이라고 블룸버그통신이 13일(현지시간) 보도했 다.
블룸버그는 소식통을 인용해 플렉트그룹을 소유한 영국계사모펀드 운용사 트리톤 인베스트먼트와 삼성전자의 인수 협상이 막바지 단계에 있으며 회사
가치는 15억∼20억달러(2조1천억∼2조8천억원)로 평가된다고 전했다.
소식통들은 이르면 이번주 인수계약이 마무리될 수 있다고 전했다. 삼성전
자와 트리톤 인베스트먼트, 플렉트그룹은 언급을 거부했다고 블룸버그 통신
은 전했다.
독일 서부 헤르네에 본사를 둔 플렉트그룹은 데이터센터와 공장 클린룸, 산
업·주거용 건물 등의 냉각 솔루션을 전문으로 하는 냉난방공조(HVAC) 업체 다.
삼성전자는 지난 3월 주주총회에서 HVAC 사업 강화를 위해 제품 포트폴리
오 확대, 글로벌 유통채널 강화를 위한 파트너십 등을 추진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https://www.yna.co.kr/view/AKR20250513160500082?section=international/all

(베이징=연합뉴스) 정성조 특파원 = 3억명가량인 중국의 농민공(農民工·
일자리를 찾기 위해 농촌에서 도시로
이주한 노동자) 평균 연령 상승세가 계속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고 중 국 경제매체 차이신이 14일 전했다.
중국 국가통계국이 최근 발표한
‘2024년 농민공 모니터링 조사 보고’
에 따르면 작년 중국 전체 농민공 숫
자는 2억9천983만명으로 2023년 대
비 0.7% 늘었다.
농민공 평균 연령은 43.2세로 전년
대비 0.1세 늘어 역대 최고치를 기 록했다. 아울러 40세 이하의 비중이
43.7%로 2023년 대비 0.9%포인트
줄었고, 41∼50세(24.7%)와 50세
이상(31.6%)의 비중이 최고 기록을
경신했다.
지난해 농민공의 평균 월 소득은 4 천961위안(약 97만원)으로 3.8% 늘
었지만, 증가 속도는 중국 주민 1인
당 가처분소득 증가율에 못 미쳤다.
2024년 중국 1인당 가처분소득은 명
목 기준 5.3% 증가했고, 이 가운데 1
인당 임금 소득은 5.8% 늘었다.
부동산 침체가 계속되면서 농민공의
건설업 종사 비중은 줄었다. 2024년
건설 현장에서 일한 농민공 비중은 1.1% 감소한 14.3%로 역대 최소를
기록했다.
부동산시장이 가라앉기 시작한 2021
년과 비교하면 4.7%포인트 감소했
본격화한 1980년대부터 도시로 몰려
노동력을 담당했고, 중국이 ‘세계의 공장’으로 떠오르는 데 공헌했다. 농민공이 저임금 노동력이 된 것은 제도적 차별 때문이다.
중국은 1958년부터 농민의 도시 유 입을 막기 위해 농업 호구와 비농업( 도시) 호구를 구분하고 둘 사이의 이 동을 제한해왔는데, 농민공은 도시에 서 살며 일하지만 도시 호적이 없으 므로 각종 사회보장 체계에서 배제 됐다. 이 때문에 해외 연구자들은 농 민공을 국내 이주 노동자(migrant workers)라 부르기도 한다. 작년 7월 ‘시진핑 3기’의 경제 정책 방 향을 설정한 중국공산당 제20기 중 앙위원회 제3차 전체회의(20기 3중 전회)는 농민공에
https://www.yna.co.kr/view/

라이프 플라자 데일리 뉴스

이란, 미국 제재 해제 시 핵합의 서명 의사… “고농축 우라늄도 폐기할 것”
미국 NBC 뉴스가 5월 14일(현지시간) 보도한 바에 따르면, 이란 최고지도자
아야톨라 알리 하메네이의 고위 보좌관은 인터뷰에서 “미국이 일정 조건, 특 히 제재 해제를 수용한다면 테헤란은 핵합의에 서명할 준비가 되어 있다”라 고 밝혔다.
하메네이의 정치·군사·핵 분야 최고 보좌관인 알리 샴카니는 인터뷰에서, 이 란은 절대 핵무기를 제조하지 않을 것을 약속할 것이며, 군사적 목적에 활용
될 수 있는 고농축 우라늄의 전량 폐기, 민간 목적에 한정된 저농축 우라늄 생산, 그리고 국제 사찰단에 의한 전 과정의 감시를 수용할 준비가 되어 있
다고 말했다.
그 대가로, 미국은 테헤란에 대한 모든 경제 제재를 즉시 해제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란, 미국 제재 해제 시 핵합의 서명 의사… “고농축 우라늄도 폐기할 것”
미국 NBC 뉴스가 5월 14일(현지시간) 보도한 바에 따르면, 이란 최고지도자
아야톨라 알리 하메네이의 고위 보좌관은 인터뷰에서 “미국이 일정 조건, 특
히 제재 해제를 수용한다면 테헤란은 핵합의에 서명할 준비가 되어 있다”라 고 밝혔다.
하메네이의 정치·군사·핵 분야 최고 보좌관인 알리 샴카니는 인터뷰에서, 이
란은 절대 핵무기를 제조하지 않을 것을 약속할 것이며, 군사적 목적에 활용
될 수 있는 고농축 우라늄의 전량 폐기, 민간 목적에 한정된 저농축 우라늄
생산, 그리고 국제 사찰단에 의한 전 과정의 감시를 수용할 준비가 되어 있 다고 말했다.
그 대가로, 미국은 테헤란에 대한 모든 경제 제재를 즉시 해제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만약 그 조건이 충족된다면 즉시 서명할 준비가 되어 있느냐”는 질문에, 샘 카니는 “그렇다”라고 단호히 답했다.
이 발언은 이란 지도부로부터 나온 가장 명확한 공개적 입장 표명으로, 도널 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과의 합의 가능성에 문을 열어둔 것으로 평가된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2018년이란 핵합의(JCPOA)에서 미국을 일방적으로 탈 퇴한 바 있다.
샴카니는 이어 “모든 가능성은 여전히 열려 있다. 만약 미국이 말한 대로 행
구축할 수 있을 것”이라며, “이는 가까운 미래에 긍정적인 상황을 만들어낼 수 있다”라고 덧붙였다. 같은 날, 트럼프 전 대통령은 이란에 대해 ‘올리브 가지’를 내미는 듯한 평화 제스처를 보냈지만, 동시에 합의를 거부할 경우 강력한 제재를 경고했다. 이 에 대해 샴카니는 “그는 올리브 가지를 말하지만, 우리가 실제로 보는 것은 철조망뿐”이라며 미국의 이중적 접근에 실망감을 나타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수차례 이란이 핵무기를 보유하는 것을 용납할 수 없다 고 강조했지만, 테헤란은 자국의 핵 프로그램이 오직 평화적 목적이라고 주 장하고 있다. 그러나 국제원자력기구(IAEA)는 이란이 최대 6개의 핵탄두를 만들 수 있을 만큼 고농축 우라늄을 확보했다고 밝혔다.
한편, 미국과 이란 간의 비공식 협상이 오만에서 계속되고 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의 중동 특사 스티브 윗코프는 오만 무스카트에서 열린 최근 회담을 “
매우 유망하다”고 평가했다.
이란 측에서는 외무차관 압바스 아라그치는 “협상은 어렵지만 유익하다”고 말하면서, “테헤란은 우라늄 농축의 권리를 포기하지는 않겠지만, 신뢰 구축
을 위해 일정 기간 동안 농축 수준이나 양, 규모 조정을 고려할 수 있다”라고 밝혔다.
샴카니는 또 “이스라엘의 베냐민 네타냐후 총리가 워싱턴의 비공식 채널을
것으로 알려졌다.
https://vtcnews.vn/iran-san-sang-ky-thoa-thuan-hat-nhan-neu-mydo-bo-trung-phat-ar943300.html
라이프플라자/(UEF)인턴 기자 레 황 쿤 키에– 번역

라이프 플라자 데일리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