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ue569

Page 1


저소득층, 연금 수급자, 부모 지원 확대… 전기요금 보조도 자동 지급

7월 1일(화)부터 호주 전역에서 최저임금이 3.5% 인상되는 등 새 회계연도 개편안이 시행되어 임금, 연금, 복지, 의료, 에너 지 등 실생활에 직결된 분야에서 다양한 계층에 혜택을 제공할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 최저임금은 기존 시간당 24.10달러에서 24.95달러, 주당 915.90 달러에서 948달러로 조정된다. 연금(Superannuation)의 경우 고용주의 연금 납입 비율이 기 존 11.5%에서 12%로 상향되며, 특히 이 혜택은 약 20만 명의 육 아휴직 중인 부모에게도 적용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연금 수급 기준도 소득 및 자산 한도가 2.4% 상향되어어 더 많은 고령자가 연금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완화된다. 복지 수당 역시 2.4% 인상되어 가족 세금 혜택(Family Tax Benefit) A급 수급자는 자녀 연령에 따라 13세 미만 자녀에 대해 격주 227.36달러, 13세 이상 자녀에 대해 격주 295.82달러를 받 는다. B급 수급자는 기본적으로 격주 193.34달러, 막내 자녀가 5세 이상이면 격주 134.96달러를 받게 된다. 보건 분야에선 45분 이상 산부인과 진료에 대해 새 메디케어 (Medicare) 항목이 신설되고 대면 및 화상 진료 모두 포함되며, 폐경기 및 갱년기 건강 상담도 적용된다. 또한 가구와 소규모 사 업체를 대상으로 총 150달러의 전기요금 환급(Rebate)이 두 차 례에 걸쳐 자동 적용될 예정이다.

김하늘 기자 info@koreannews.com.au

비용 최대 300만원 소득공제

호주 항공사 콴타스(Qantas)가

대규모 사이버 공격으로 인해 고객

데이터가 대량 유출됐을 가능성이

높다고 경고했다. 콴타스는 자사 콜

센터가 사용하는 제3자 플랫폼에서

이상 징후가 감지되면서 이번 해킹

이 발생했으며, 해당 플랫폼에는 약

600만 명에 달하는 고객의 서비스

기록이 저장되어 있다고 밝혔다.

콴타스는 이번 사이버 공격으로

일부 고객의 이름, 이메일 주소, 전 화번호, 생년월일, 항공사 회원 번

비밀번호

드(Richard Buckland) 교수는 이 번 공격을 심각한 사안으로 평가하 며, 유출된 개인정보가 다른 시스템 의 비밀번호 재설정 등 부정한 목적 으로 악용될 가능성이 있다고 경고 했다.

한편 콴타스 최고경영자 바네사 허드슨(Vanessa Hudson)은 이번 사건에 대해 공식 사과하고 고객들

이 느끼는 불안과 혼란을 깊이 이해 하고 있으며, 고객 정보 보호에 대

새 회계연도를 맞아 호주 내 주요 주정 부 고위 관료들의 연봉 역시 인상됐다. 각 주 및 준주 총리들의 연봉은 VIC 주총리 자신타 알란(Jacinta Allan) 51만 2,972 달러, QLD 주총리 데이비드 크리사풀 리(David Crisafulli) 47만 6,323달러, NSW 주총리 크리스 민스(Chris Minns) 41만 6,440달러, SA 주총리 피터 말리나 우스카스(Peter Malinauskas) 약 45만 달러, ACT 준주총리 앤드류 바(Andrew Barr) 40만 4,406달러, WA 주총리 로 저 쿡(Roger Cook) 40만 6,324달러,

TAS 주총리 제레미 록클리프(Jeremy Rockliff) 36만 8,784달러, NT 수석 장 관 리아 피노키아로(Lia Finocchiaro)

35만 불로 나타났다.

특히 NSW주의 민스 총리의 경우,

2023년 7월 1일부터 2년간 시행되어 온

주의원 및 고위 공무원의 급여 동결 조치

가 종료되면서 급여가 조정될 예정이다.

당시 민스 총리는 동결 정책을 통해 공공

재정 건전성을 확보하고, 필수 서비스 인

력 확보에 주력하겠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

또한 TAS주의 록클리프 총리는 산업

위원회가 22.36%의 정치인 연봉 인상을 권고했으나 지역 사회의 기대에 부합하

지 않는다며 거절하고, 7월 19일(토) 재

선에 성공할 경우 약 7만 달러에 달하는

올해의 인상 역시 철회하겠다고 약속했

다.

호주 정치인들의 연봉은 국제적으로도

높은 편으로 나타났다. 호주 달러로 환산 하면 미국 대통령 약 61만 7,000달러, 영 국 총리 약 36만 달러, 캐나다 총리 약 45 만 5,000달러이다. 한편 싱가포르 총리 는 세계에서 가장 높은 연봉인 약 250만 달러를 받는 것으로 밝혀졌다. 김하늘 기자 info@koreannews.com.au

공정거래청,

호주 중앙은행(RBA)이 이달 기준금리

를 인하하더라도, 주택 소유자들이 기대

하는 만큼의 주택담보대출 이자 인하 혜

택을 받기 어려울 수 있다는 전망이 제기 됐다. 금융 비교업체 모조(Mozo)는 과거 금리 인하 사이클을 분석한 결과, 시중은

행들이 첫 번째 금리 인하에는 비교적 신

속하게 반영하는 반면, 이후 추가 인하분

에 대해서는 반영 폭이 제한적이거나 아

예 반영하지 않는 경향이 뚜렷했다고 지 적했다.

실제로 2019년 6월 기준금리가

0.25% 포인트 인하됐을 때는 절반이 넘

는 은행들이 고객 대출금리를 동일한 폭

으로 내렸지만, 한 달 뒤 두 번째 인하 때

는 이런 조치를 취한 은행이 15%에 불과

했고, 같은 해 10월에는 단 9%만이 인하

폭을 그대로 반영한 것으로 조사됐다.

2020년 코로나19 팬데믹 초기에도 이

러한 흐름이 반복돼, 3월 첫 번째 기준금

리 인하 당시에는 대부분의 은행이 즉시

대출금리를 내렸지만, 두 번째 인하부터

는 반영 비율이 급격히 줄은 것으로 알려

졌다. 특히 2020년 11월 기준금리가 사

상 최저치인 0.10%로 내려갔을 때는 전

체 금융기관 중 43%가 대출금리를 아예

인하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모조의 금융 전문가 레이첼 워스텔

(Rachel Wastell)은 은행들이 초기 금리

인하에는 적극적으로 반영하지만, 시간

이 지날수록 수익성 보호를 위해 인하 폭

을 줄이는 경향이 있다고 말했다. 또한 현

재까지는 대부분 은행이 최근 두 차례 기

준금리 인하를 반영했으나, 추가 인하 시

에는 상황이 달라질 수 있으니 대출 금리 가 여전히 6% 대라면 상품 변경을 신속 히 검토하는 것이

최근 호주에서 큰 인기를 끌고 있는 캐

릭터 '라부부(Labubu)'와 관련된 사기 행

위가 증가하면서 소비자들의 주의가 요 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NSW주 공정거래청(NSW Fair Trading)은 공식 페이스북 페이지를 통

해 '라푸푸(Lafufu)'로 불리는 가짜 라부

부 제품이 온라인상에서 유통되고 있다

고 경고했다. 일부 온라인 판매자들이 가

짜 제품을 판매하거나 제품을 배송하지

않는 사기 행위를 벌이고 있다고 밝혔다.

가짜 제품은 정품과 비교해 포장 상자

가 광택이 나는 반면 정품은 무광이며, 라

부부 특유의 날카로운 9개의 이빨 대신

개수가 다르거나 형태가 다른 경우가 많

다고 전했다. 또한, 가짜 제품은 귀의 모

양이 다르고 위치가 정품보다 더 떨어져

있다는 특징이 있다고 덧붙였다. 관계자

는 소비자들에게 온라인 쇼핑 시 신뢰할

수 있는 공식 판매처를 이용하고, 가격이

지나치게 저렴한 해외 웹사이트나 리뷰 가 부족한 사이트는 피할 것을 조언했다. 라부부는 홍콩(Hong Kong) 출신 아 티스트 카싱 룽(Kasing Lung)이 2015 년 처음 선보인 일러스트 시리즈로, 이 후 2019년 중국의 피규어 전문 브랜드 팝마트(Pop Mart)와 협업을 통해 피규 어로 제작되면서 대중적인 인기를 얻기 시작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K-팝 (K-pop) 그룹 블랙핑크(Black Pink)의 멤버 리사(Lisa)가 자신의 사회 관계망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 SNS) 에 라부부를 소개하면서 글로벌 팬들 사 이에서 큰 반향을 일으켰다. 이러한 인기에 힘입어 라부부는 현재 전 세계적으로 수집가들 사이에서 높은 가치를 지니고 있으며, 일부 희귀 모델은 리셀(Resell) 시장에서 정가의 몇 배에 거 래되기도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김하늘 기자 info@koreannews.com.au

국세청,조기세금신고에따른

호주 국세청(Australian Taxation Office, ATO)은 세금 신고를 앞둔 납세

자들에게 소득 명세서가 '세금 준비 완료

(Tax Ready)' 상태가 되기 전에 조기 신

고하지 않을 것을 당부했다. 2024년 7월

초, 약 14만 2,000명의 납세자가 조기 신

고로 인한 세금 신고서 오류를 수정하거 나 국세청의 조사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 다.

국세청은 고용주, 은행, 정부 기관, 건 강 보험사 등으로부터의 정보가 7월 말까 지 자동으로 세금 신고서에 반영되므로, 이 시점까지 기다리는 것이 정확한 신고 를 위한 최선의 방법이라고 밝혔다. 국세청의 부국장 로브 톰슨(Rob Thomson)은 세금 신고는 매년 해야 할

일 중 하나이지만, 서두를 필요는 없다며

7월 말까지 기다리면 필요한 정보가 자동

호주에서 세금 신고 시기가 다가오 면서 민간 건강보험(Private Health Insurance) 가입 여부를 두고 고소득

자에게 부과되는 ‘메디케어 부담금 (Medicare Levy Surcharge, MLS)’의

회피 수단으로 민간 건강보험이 주목받 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메디케어 부

담금은 연소득이 일정 기준을 넘는 개인

이나 가구(Household)가 민간 보험이

없을 경우 소득에 따라 1~1.5% 부과되

는 추가 세금이다.

이외에도 31세 이후 민간 보험에 가

입하지 않으면‘평생 건강보험 부과금

(Lifetime Health Cover Loading)’이

적용되어 매년 보험료가 2%씩 상승한

다. 호주 정부는 이런 제도를 통해 공공

의료 시스템의 부담을 줄이고, 고소득층

의 민간 보험 가입을 유도하고 있다.

한편 민간 보험료는 계속해서 오르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2025년 4월 평

균 3.73% 인상됐으며, 이는 최근 7년 사

이 최대폭이다. 또한 일부 보험사의 기

존 상품을 종료하고 유사한 고가 상품

으로 교체하는‘상품 피닉싱(Product Phoenixing)’전략이 소비자의 선택권

을 제한하고, 보험료 부담을 증가시킨다

는 비판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가들은 민간 건강보험의 효용을

단순히 세금 절감으로만 판단할 수 없다

고 조언했다. 건강 상태가 양호한 젊은

층은 실질 혜택이 적을 수 있으며, 병원

선택권 확대나 대기 시간 단축이 중요한

경우에만 실익이 있다고 분석했다. 결국

민간 건강보험은 개인의 소득, 건강, 나

이,

하며 단순히 세금 몇 백 달러 아끼기 위한 가입은

김하늘 기자 info@koreannews.com.au

으로 채워져 실수를 줄일 수 있다고 말했 다. 국세청의 직업별 가이드를 참고해 공 제 항목을 검토하고 필요한 경우 추가 정 보를 수동으로 입력할 것을 권장했다. 전문가들은 잘못된 세금 신고로 인한 불이익은 납세자의 전적인 책임이며, 오 류가 있는 신고는 자동 환급이 지연되거 나 감사 대상이 될 수 있어 신중한 검토가 필요하다고

기자 info@koreannews.com.au

호주 경쟁소비자위원회(Australian Competition Consumer Commission, ACCC)는 민간 건강보험사 부파(Bupa)를 상대로 연방법원(Federal Court)에 소송 을 제기했다.

위원회는 부파가 2018년 5월부터 2023년 8월까지 5년간 병원 치료에 대한 '혼합 보장(mixed coverage)' 청구를 처리 하는 과정에서 일부 항목이 보험 약관에 포함되지 않았다는 이유로 전체 청구를 거절했다고 밝혔다. 이로 인해 수천 명의

고객이 본인 부담으로 치료비를 지불하거 나, 더 비싼 보험 상품으로 전환하거나, 치

료 자체를 포기하는 상황에 처했다고 설 명했다. 일부 고객은 치료를 받지 못해 건

강에 심각한 위험을 겪기도 했다고 전했 다.

위원회는 일부 고객의 보험 청구를 부

당하게 거절한 행위가 비양심적인 상행위 (Unconscionable Conduct)에 해당한다 고 판단해 법적 조치를 취했다고 전했다.

또한 앞으로도 유사한 사례에 대해 엄정 한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부파는 해당 사실을 인정하고 3,500 만 달러의 벌금을 부과받았다. 또한 현재 까지 4천 100건 이상의 청구에 대해 총 1,430만 달러를 환급했으며, 추가 보상 도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부파 아시아태 평양(Asia-Pacific, APAC) CEO 닉 스톤 (Nick Stone)은 이런 일이 발생해서는 안 됐다며 고객에게 진심으로 사과하며, 재 발 방지를 위해 시스템과 직원 교육을 개 선하겠다고 덧붙였다. 호주 보건부 장관 마크 버틀러(Mark Butler)는

서울과 인천 등 수도권을 중심으로 '러 브버그'(붉은등우단털파리)가 급격히 확 산하면서, 러브버그가 서울을 넘어 전국

으로 퍼질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 다. 전문가들은 기후 온난화로 생존과 번 식에 유리한 환경이 조성되면서 러브버그 의 확산 속도가 더욱 빨라질 것으로 내다 봤다.

3일 서울시에 따르면, 최근 4년간 러

브버그 관련 민원은 △2022년 4418건

△2023년 5600건 △2024년 9296건

으로 매년 급증하는 추세다. 서울시 감

염병관리팀은 "올해도 6월 말 기준으로 1500~1600건이 접수됐다"며 "전체 통계

는 아직 집계 중"이라고 밝혔다.

서울과 수도권을 중심으로 4년째 비정

상적으로 증가하면서 혐오감을 일으키고

있는 러브버그가 국내에 출몰한 건 불과

10년 정도밖에 되지 않았다.

인천에서 처음 발견된 2015년쯤 국내

에 처음 유입된 것으로 추정된다. 국립생

물자원관은 국내에 서식하는 러브버그가

중국 산둥성 칭다오 지역 개체와 유전적 으로 매우 유사한 것으로 분석하며, 물류 교역 과정에서 유입됐을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있다.

문제는 기존 생태계와 접점이 적은 외

래종이기 때문에 초기 확산 속도는 빠를

수밖에 없다는 점이다. 특히, 러브버그가

도심 환경에 최적화된 곤충이라는 점도

문제다.

기후 온난화로 고온다습한 기후, LED

조명, 도심 열섬 효과 등 기후 변화와 도시

특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며 러브버그의

하고 체액이 끈적해 조류도 선호하지 않

는 것으로 알려졌다.

대한민국의 온난하고 습한 도심 기후, 그리고 천적이 없는 자연 생태계는 러브 버그에게 그야말로 최적의 환경이다.

이같은 이유로 전문가들은 러브버그가

서울과 수도권을 넘어 전국적으로 확산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서울연구원은 지난 1일 '서울시 유행성

기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수 있다" 며 "이 기간에는 오히려 확산세가 더 빨라 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경고했다.

다만 전문가들은 당장은 화학 방제보다 친환경적 대응이 불가피하다는 게 공통된 의견이다. 또한 전국적인 확산을 막기 위 해서는 실생활에 적용할 수 있는 실질적 방제 대책이 수립돼야 한다고 조언한다. 현재 서울시는 친환경 살수, 물리적 제 거, 민원 안내 강화 등으로 대응하고 있지 만, 효과에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 있기 때 문이다.

생존과 번식에 유리한 조건을 제공하고

있다. 실제로 지난해 국립생물자원관 보

고서에서는 LED 광원에 집단으로 모이

는 습성이 실험을 통해 확인되기도 했다.

서울대 연구팀의 유전체 분석에 따르

면, 국내에서 채집된 러브버그는 살충제

내성과 열 스트레스 적응 유전자를 모두

보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도심 기후에 강한 러브버그의 확산을

가속하는 또 다른 주요 원인은 바로 '천적 의 부재'다. 일반적으로 조류가 주요 포식 자 역할을 하지만, 러브버그는 신맛이 강

도시해충 대응을 위한 통합관리 방안' 정

책리포트에서 현재와 같은 추세로 기온

상승이 지속될 경우 2070년에는 한반도

전역에 러브버그의 확신이 예측된다고 분

석했다.

정종국 강원대 산림과학부 교수는 "러

브버그는 낙엽층이 두꺼운 산림 환경에서

유충이 잘 자란다"며 "서울과 수도권의 낙

엽 자원이 고갈되면 남부 지역으로 점차

확산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이어 "러브버그를 포식하는 천적이 자

연적으로 생기더라도, 개체 수가 조절되

박선재 국립생물자원관 연구관은 "러 브버그가 꽃향기 성분인 '아세트알데하이 드'에 유인되는 경향이 있는지 현재 실험 중이다"며 "이를 기반으로 한 유인제 개발 및 광원 포집기 실험을 서울 도심에서 병 행 중"이라고 밝혔다.

연구관은 "연구 성과가 도출되면, 도 심 공원 등 주요 서식지에

‘도보•자전거•대중교통 장려…

일상 속 주민 참여형 프로그램’

다양한 문화적 배경을 가진 주민들

이 파라마타와 인근 지역을 보다 쉽고 편리하게, 그리고 저렴한 비용으로 이 동할 수 있도록 교통수단에 대한 다양 한 정보를 제공하고 직접 체험해보는

‘파라마타 교통 워크숍(Parramatta Transport Workshop)’이 지난 6월 5 일과 17일, 24일 총 세 차례에 걸쳐 진 행됐다. 이번 워크숍은 카스(CASS), 파라마타 카운슬, Transport for NSW, Collective Leisure 협업으로 이 루어진 행사다.

‘파라마타 교통 워크숍’의 실질적

인 프로그램을 구성한 데이비드 번스 (David Burns) Collective Leisure 대 표는“이번 행사는 주민들이 일상생활

속에서 자동차 대신 도보, 자전거, 대

중교통을 보다 적극적으로 활용하도록

유도하고자 마련되었다. 이는 건강 증

진과 환경 보호라는 두 가지 측면에서

도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또한 일반 시

민들이 대중교통을 이용하면서 느끼는 장점과 불편 요소를 파악하고, 다양한 교통 정보를 직접 체험할 수 있도록 구 성되었다”고 프로그램의 취지를 설명 했다.

세 번의 워크숍에는 한인, 중국인, 인 도인을 포함한 다문화 배경의 주민 약 90여 명이 참가했다.

6월 7일 열린 첫 번째 세션에

서는 ‘지속 가능한 교통 가이드 (Sustainable Transport Guide)’를

제공받은 가운데, 참가자들은 자신의

거주지나 평소 자주 방문하는 지역을

중심으로 보다 쉽고 편리하며 저렴하

게 이동할 수 있는 방법을 교통 전문가

로부터 배우는 시간을 가졌다. 또 노선

도 확인 및 여행 계획 세우기, 실시간

길찾기 등을 직접 실습했다.

6월 17일 오전 10시, 파라마타에

서 열린 두 번째 세션‘자신 있게 자

전거 타기’에서는 참가자들이 파라마

타 PHIVE Library를 출발해 도보로

Jubilee Park까지 이동한 뒤, 운영팀

이 준비한 자전거로 피팅과 안전 수칙

을 익히고 자전거를 직접 타보며 테스

트를 진행했다. 이후 5~10km 그룹 라

이딩을 체험하며 Parramatta 지역 내

자전거 도로 루트와 자전거 교통 법규,

안전 수칙 등을 배웠다.

오랜만에 자전거를 타보았다는 어

느 50대 여성은“처음엔 라이딩이 걱정

됐지만 타보니 자신감이 생겼다. 지역

을 직접 돌아다니며 배우니까 지도 사

용이 훨씬 익숙하게 느껴졌다”고 소감

을 전했다. 또 다른 참가자는“파라마

타 내에서 안전하게 자전거를 탈 수 있

는 방법과 교통수단에 대해 알게 된 것

은 큰 수확”이라고 전했다.

‘파라마타 탐험’이라는 주제로 열린

6월 24일 마지막 프로그램에서는 비가

오는 날씨에도 한인과 중국인, 인도인 을 포함한 30여 명이 참여해 파라마타

지역 주요 장소를 탐방했다. 지도와 앱, 자료를 활용해 도보로 또 버스와 최근 운행을 시작한 라이트 레일을 이용해 파라마타 도서관을 출발, Parramatta Aquatic Centre와 Experiment Farm Cottage를 방문했다. 마지 막 세션에서는 카스와 파라마타 카운 슬, Transport for NSW, Collective Leisure 관계자들이 나와 참가자들과 탐방지역을 함께 이동하며 대화를 나 누었다.

각 세션 후 진행된 설문 조사에서 참

가자들은“파라마타에 한정되었지만 시드니 지역 교통 정보에 적용, 앱을 통 해 활용하는 것에 자신감을 가졌다, 이 번 워크숍은 단순한 정보 전달이 아니 라 지역 사회를 직접 체험하며 교통에 대한 이해와 자신감을 높이는 특별한 기회였다”라는 다양한 소감을 전했다. 참가자들은 지역 카운슬과 NSW Transport 정부 기관이 카스 사회복지 기관과 함께 이러한 유익한 프로그램 을 기획한 것에 대한 깊은 감사를 전하 며 앞으로도 더 다양한 프로그램이 개 발되길 기대했다. (기사제공 : CASS)

수도권 집값 과열 현상을 잡기 위한 정부의 6.27 부동산정책 발표 이후 은 행 대출 창구 현장에서 혼선이 이어지 고 있다. 하반기 가계대출 총량을 당초

계획보다 절반으로 축소하면서 소비자

들의 '대출 절벽' 우려도 상당하다.

3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당국이 지

난달 27일 대출 규제 강화안을 발표한

뒤 별도의 유예 기간 없이 곧바로 다음

날인 28일부터 곧장 시행되면서 은행

대출 상담 문의가 쇄도하고 있다.

직장인 A 씨는 "지난 1일 회사 연차 를 내고 시중은행 영업점을 방문했는

데 대기자가 40명에 달해 결국 대출 상

담을 받지 못하고 돌아왔다"며 "정부의

대출 규제 관련 확인할 부분이 많다면

서 주택담보대출 상담 1건당 1시간 가

까이 걸리는 듯했다"고 말했다. 그는 "

은행에서 5시간가량 대기했지만 결국

허탕을 쳤다"고 토로했다.

금융위는 지난달 28일부터 수도권·

규제 지역 내 주택 구입 목적의 주택담

보대출 최대한도를 6억 원으로 제한하 고, 주택 구입 목적의 주담대 실행 시 '6 개월 이내' 전입 의무를 부과했다.

다주택자에 대한 주택담보대출이 제

한되고, 생애 최초 주택담보대출비율 (LTV) 규제는 종전 80%에서 70%로 축소됐다.

수도권·규제 지역 내 생활안정자금

목적의 주담대 한도는 '1억 원'으로 제

한하고, 소유권 이전 조건부 전세대출 도 금지한다. '갭투자'를 막고 실수요자

중심의 대출 실행을 위해서다. 신용대 출은 '연 소득 이내'로 제한된다. 큰 틀에서의 규제 발표 이후 전세퇴 거자금 대출, 이주비 대출 등 세부 적용 을 어떻게 할지를 문의가 쏟아졌다. 앞서 금융당국은 지난달 30일 "제도 시행 전인 6월 27일까지 계약금을 냈 거나 은행 전산상 대출 신청

가격에

안녕하세요.

여러분의 부동산 컨시어지, 호주 부동산 전문가 오리온 스타 프

로퍼티 실장 켈리입니다

제가 처음 호주를 온 것이 벌써 20년 전 이네요. 한창 배낭여행

을 하던 시기가 있었는데 저에게 미지의 세계처럼 보이던 호주

로 여행을 왔습니다. 정말 구름 한점 없는 파란 하늘과 실크처럼

고운 바다의 모래, 해안가에 위치한 예쁜 집들이 기억나네요.

집들은 있는데 지나다니던 사람들이 없어 저 집엔 누가 사나? 궁 금해했었습니다.

어딜가도 사람이 분비지 않던 호주 모습이 기억나네요.

그랬던 호주가 지난 20년간 인구가 3분의 1 증가하여 1997년 1,850만 명에서 2024년 12월까지 2,740만 명으로 증가했습니 다.

1998년 호주 통계청은 2051년 호주 인구가 2,350만 명에 이를

것으로 예측했으나 벌써 2014년 7월에 이 목표치를 달성했습니

다. 2051년 인구 증가 예측수치를 벌써 넘어섰고, 앞으로의 증가

도 빠른 속도로 진행될 것으로 보입니다.

이러한 인구 증가의 원인은 무엇일까요?

호주의 현재 인구 증가를 고려할 때, 2051년까지 호주 인구는

3,800만 명으로 예상되며, 이는 1990년대 후반의 높은 예측보다

약 1,200만 명 더 많은 수치입니다. 이것은 이민 정책 변화, 수명

연장, 그리고 높은 출산율이 20년 전에 분명하게 나타났던 추세

를 뒤집은 것입니다.

당시에는 여성 1인당 출생수를 낮은 수준으로 유지할 것으로 예

상하였으나 오늘날의 출산율 1.81은 1990년대 최고 추정치인

1.75보다 높습니다.

예상 기대수명 또한 늘어나고 있었습니다.

해외 이주, 가장 큰 성장 요인

예전이나 지금이나 인구 증가의 큰 성장 요인은 호주의 해외 이

주 인구 급증입니다. 1998년에는 호주 인구가 매년 최대 9만 명

씩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었으나 지난 12개월 동안 호주는 해외

이주를 통해 231,900명을 추가했는데, 이는 20년 전 최고 예측

수치를 넘습니다.

호주의 인구 증가율은 선진국 중 가장 높습니다.

주요 도시들의 예상 성장률

호주 통계청에 따르면, 빅토리아주의 순 인구 증가율은 2024년

전국 인구 증가율의 30%를 기록하며, 모든 주 또는 테리토리 중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습니다.

팬데믹 기간 동안 빅토리아주의 인구가 감소함에 따라 퀸즐랜드

와 서호주는 다른 주들보다 인구 증가의 비중이 더 컸습니다.

더불어 퀸즐랜드와 서호주의 주도는 지난 2년 반 동안 다른 주

도와 비교했을 때 가장 빠른 부동산 가격 상승을 경험했습니다.

최근 몇 년 동안 퍼스와 브리즈번, 그리고 애들레이드가 부동산

가격 상승의 선두 주자로 떠올랐고, 멜버른은 하락세를 보였습

니다.

물론 부동산 가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여러 가지가 있는데, 그중에는 금리, 세금 정책, 부동산 공급 등이 있습니다. 빅토리아

주는 신규 주택 건설 분야에서 전국적인 선두 주자였으며, 부동

산 투자자들에게 영향을 미치는 세금 제도 변화도 있었습니다. 하지만 인구 증가 또한 중요한 요소이며, 이는 주나 도시의 부동

산 시장에 어떤 일이 일어날지 예측할 수 있는 한 가지 방법입니 다.

빅토리아주가 팬데믹 이후 퀸즐랜드주와 서호주주의 흐름을 따

른다면, 빅토리아주, 특히 멜번의 부동산 시장은 인구 회복 이후 가까운 미래에 회복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2025년 상반기에 이미 그 조짐이 보이기 시작했습니다. 멜번은

2월 이후 매달 주택 중간 가격이 상승했습니다. 여기에 낮은 이 자율과 강력한 인구 증가가 더해지면 주택 가격이 급등할 조짐

이 보일 수 있습니다.

지속적인 인구 증가는 앞으로 호주 부동산의 장기 전망에 매우

중요한 긍정적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예상됩니다. 인구가 늘어 나면 주택 수요가 자연스럽게 증가하고 이는 신규 주택 건설과 기존 주택 거래 모두에 활력을 불어넣어, 부동산 시장의 전반적 인 성장세를 이끌어 갈 것입니다. 특히 멜번, 시드니, 브리즈번

지난 12개월 동안 호주 인구는 39만 명이 증가했는데, 이는 매 년 다윈 크기의 도시 세 곳이 늘어나는 것과 같습니다. 시드니에 는 현재 뉴질랜드 전체 인구보다 더 많은 인구가 거주하고 있습 니다. 멜번은 더욱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2051년 시드니보다 170만 명 적은 인구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되었던 것과는 달리, 시드니를 제치고 호주 최대 도시가 되었습니다.

제 427차 오리온 스타 프로퍼티

등 대도시를 중심으로 인구 유입이 집중되면서, 해당 지역의 주 택 가격 상승 압력도 커질 것입니다.

인구 증가는 주택 수요와 직결됩니다.

지금처럼 신규 주택 공급이 제한적인 상황에서 가격 압박이 커 집니다. 임대료는 오르고 공실률은 떨어지죠. 그러면 부동산 가 격도 그에 따라 오르는 경향이 있습니다.

또한 인구 증가는 지역 경제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로 이어져 수 입이 생기고 집을 구매할 수 있는 자금을 모을 수 있어 실질적인 구매력 향상 효과를 가져옵니다. 실제로 2024년 기준, 빅토리아 와 퀸즐랜드는 각각 1.9%의 인구 증가율을 기록하며 부동산 시 장의 상승세를 이끌어 왔습니다. 이처럼 인구 증가는 주택 수요 의 안정적 기반을 제공할 뿐 아니라, 장기적으로도 부동산 가치 의 상승 가능성을 높여 투자자와 실수요자 모두에게 긍정적

매달 진행하는 지식 전달 세미나에 참석하시면 도움받으실

있습니다. 시드니 지역 매물을 비롯하여, 캔버라, 브리즈번, 골드코스트, 멜번, 애들레이드, 퍼스까지 다양한 매물과 일본팀, 중국팀과 연 계되어 있는 폭 넓은 네트워크까지 갖추고 있습니다. 17년간 10,000 여건 이상의 다양한 경험이 있는 오리온 스타 프로퍼티가 함께 하겠습니다. 많은 분들이 부동산을 통해 건강한 자산 증식하시길 응원합니 다.

켈리 김 실장 Orion Star Property Property Advisor 한국마켓 담당

“Disclaimer:본 칼럼은 일반적인 부동산 관련 정보이며 본 칼럼 관련 법적 책임은 지지 않습니다.”

2025년 하반기, 지금 사야 할 곳은 어디인가?

세미나에서 공개합니다.

일시: 2025년 7월 23일 (수) 18시 30분 / 26일 (토) 10시 장소: Suite 502, 10 Help St, Chatswood (채스우드역 도보 3분, 주차 가능)

[예약 전화] 0452 465 962 [이메일] Kelly@orionstarproperty.com [카카오톡] orionstarkelly 카카오채널, 유튜브, 페이스북, 인스타그램에서 “Orion Star Property”를 검색하시면 정부 개발 계획과

집값 2%만 내면, 정부가 40% 대주는 Help to Buy 제도! 나도 신청 가능할까?

정보를 보실 수 있습니다.

세계한인경제무역협회(회장 박종범, 이하 월드옥타)는 6월 27일부터 29일 까지 호주 시드니에서 대양주 8개 지회 주최로 ‘2025 대양주 차세대 리더스 컨퍼런스’를 개최했다.

미래 발전 방향 등에 대한 활발한 토론

이 이어졌다.

김관순 대양주 차세대 부위원장은 개

회사에서 “많은 대양주 정회원들의 지

원으로 진행된 뜻깊은 행사인 만큼, 대

다.

조용운 시드니 지회장은 축사를 통해

“대양주 차원에서 열리는 첫 행사인

만큼 짜임새 있고 의미 있는 행사로 자

리 잡아 매년 지속 가능한 행사가 되길

드니, 멜버른, 브리즈번, 퍼스, 애들레 이드, 타즈매니아 등 대양주 8개 지회 가 공동으로 참여해 역대 최대 규모로 진행될 예정이다. 참가자들은 사업가들 의 실전 경험과 노하우를 공유받고, 대

"도움

카스 칼럼은 한인 이민자들이 호주 사회에 순

조롭게 융합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 기획되었다.

이 칼럼을 통해 노인과 장애인 복지 분야를 비롯

해 다양한 서비스 현장에서 뜻하지 않게 마주치

는 어려운 상황을 기관의 도움으로 잘 극복한 사 람들, 그리고 자원봉사자를 포함해 사랑으로 일 하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소개할 예정이다. 또한

이민 사회 정착 과정에서 필요한 정보를 다루며, 커뮤니티가 나아갈 방향을 함께 고민해보고자 한 다. 이번 칼럼에서는 카스의 자원봉사자로 함께 하는 40대 가정주부 김경순(가명) 씨의 경험을 소개한다(편집자 주).

카스와의 인연은 작년 11월 9일 달링 하버에서 열렸던‘코리아 페스티벌’에 서 시작되었다. 다양한 사회복지 분야

에서 일할 수 있는‘Certificate III in Individual Support’를 공부하는 것을

안 중국인 친구가“카스에서 공부해?”라

는 질문을 하면서 처음으로 카스(CASS) 를 알게 되었다.

먼저 나의 이야기를 시작한다. 자녀가

둘인 가정주부로, 가족과 함께 호주로 이

주하기 전 싱글일 때 멜번에서 언어연수

를 한 경험이 있다. 한국인이라면 다들 공

감하겠지만 내게 영어는 평생의 숙제이

다. 학창 시절 영어를 잘하는 친구와 가까

워 영어를 접할 기회는 많았지만, 한 번도

체계적으로 공부한 적은 없었고 과학 과

목에 더 관심이 많았던 나는 영어를 잘한

다는 것이 넘을 수 없는 산처럼 느껴졌다.

그러면서도 남에게 그럴듯해 보이려고 내

수준에 맞지 않는 영문 도서를 들고 다녔

지만 한 페이지도 넘기지 못한 적이 많았 다.

한국에서는 치과위생학과를 졸업한 뒤

취업했고, 내 적성에 맞는 직업이어서 직

장생활은 보람되고 즐거웠다. 그러나 어

느 정도 경력이 쌓이자 삶에 변화를 주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 직장에서 만난 선

배와 함께 유학을 결심해 2008년 8월, 한

국과는 정반대 계절의 멜번으로 1년간 어

학연수를 다녀왔다. 1년으로 영어를 정복

하기는 커녕 좌절만 맛봤지만, 한국에 돌

아온 이후 직장에서 외국인 환자는 내 담

당이 되었다. 직장 동료들은 내가 영어를

잘한다고 생각했지만 내 영어 실력이 형

편없다는 사실은 나만 알고 있었다.

이후 한국에서 결혼해 아이를 낳고 가

정주부로 지내던 중, 남편에게 호주에 갈

기회가 찾아왔다. 2024년 2월 호주에 오

게 되었지만 어린 아이까지 있는 상황에

서 도와줄 사람 없는 낯선 땅에서 정착

하는 것은 멜번에서의 싱글일 때와는 차

원이 달랐다. 집을 구하는 문제부터 아이

들 학교 입학 문제까지, 학창 시절부터의

영어 문제는 또 다시 모든 일상에서 좌절

감을 안겼다. 그런 가운데서도 호주가 여

러모로 살기 좋은 나라라는 생각에 영주

권을 알아보던 중 Aged Care 분야 자

격증이 취업과 영주권 취득에 도움이 된

다는 정보를 듣고‘Certificate III in Individual Support’과정을 시작하게

되었다. 무엇보다 호주에서는 취업할 때

자원봉사 경력이 매우 유용하다는 현실

적인 정보도 알게 되었다.

그러던 중 우연히 아이 학교 친구 엄마

들과 함께 코리아 페스티벌에 가게 되었

고, 그곳 카스 홍보 부스에서 자원봉사자

신청을 하게 되었다. 이후 웨스트 라이드

소재 카스 사무실에서 다문화 서비스 개

발팀이 진행하는 정착 서비스 관련 업무

를 돕게 되었다.

무엇보다 카스 자원봉사 세미나에서 현

재 활동 중인 자원봉사자들의 생생한 이

야기와 다양한 자원봉사 영역, 보람 등에

대한 발표를 들으면서 자원봉사에 대한

내 인식이 크게 달라졌다.“아직 비자 상

황도 불안정하고 학업도 마쳐야 하는데

남을 위해 봉사하는 것이 내 상황에 맞지

않는 것은 아닐까…”라는 생각을 하고 있

었던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도움을 요청

하는 많은 한인들이 있는데 그들을 위해

자원봉사자로 그 자리를 지키는 것만으

로도 누군가에게는 큰 힘과 위로가 된다”

는 어느 자원봉사자의 말은 내게 큰 울림

을 주었다.

● 카스 공식 페이스북: facebook.com/CASSKorean , 카스 네이버 카페: cafe.naver.com/cassko

‘자원봉사자

문성환 자원봉사자가 자신의 경험에 대한 얘기를 하는 모습.

지금은 카스 한인 정착 서비스 파트에 서 업무에 관련된 실질적인 업무를 익히 며 정부 주택 신청 등 서류 신청을 돕고 있다. 또 시니어 대상 모바일 서비스 자원

봉사를 하면서도 큰 보람을 느꼈다. 핸드

폰 작동법과 다양한 앱 설치 등을 도우면 서 어르신들이 이전보다 더 쉽게 핸드폰

을 사용하실 때 기뻐하시는 모습을 보며

나의 작은 손길이 큰 힘을 발휘한다는 것

을 느꼈다.

한국에서 유명한 이호선 심리상담사가

“자신의 존재가 무의미하게 느껴지고 삶

이 무기력해질 때 자원봉사를 해보라”는

내용의 유튜브를 본 적이 있다. 자원봉사

를 통해 자신감과 자존감이 생겨 더 적극

적으로 살아갈 수 있다는 말에 100% 공

감한다. 카스에 처음 발을 들여놓을 때는

● 카카오톡 채널: pf.kakao.com/ xjdKxgs , (링크 클릭 후, 화면 상단의 ch+ 이미지를 클릭하면 추가 됨)

● 카스 정착 서비스 관련 자원봉사자 문의: 02 9063 8808 또는 0427 424 692

● 카카오톡 아이디: CASSdsKorean, 유튜브 영상 링크: https://youtu.be/qjPQ2xbxYBQ

비자 문제를 해결하고자 여러 방면으로 길을 만들기 위한 도구였지만, 지금은 자 원봉사를 통해 더불어 사는 삶을 배우고, 영어 때문에 낮아진 자존감을 회복하게 된 것은 큰 수확이다. 어르신들을 돕는다 고 생각했지만 오히려 어르신들께 인생의 지혜를 배우고 있다.

물질적인 보상은 주어지지 않는 자원봉 사지만, 돈으로 살 수 없는 더 성숙한 사 람으로 이끌어 주는 이 길을 누구라도 시 작해보라고 권하고 싶다. 한편, 카스는 한인 영주권자 및 시민권 자들이 호주 사회에 잘 정착할 수 있도록 다양한 지원을 제공하고 있다. 주요 서비 스로는 정부 주택 신청서

유코치의 일요단상

“노력은 수단이 아니라 그 자체가 목적이다. 노력하는 것 자체에 보람을 느낀다면 누구든지

인생의 마지막 시점에서 미소를 지을 수 있을 것이다.” - 톨스토이

톨스토이의 이 말은 우리가 삶을 살 아가는 방식에 대해 다시 생각해 보게 만듭니다. 우리는 어릴 적부터 어떤 목 표를 이루기 위해 열심히 하라고 배워 왔고, 사회는 ‘결과’로 우리의 가치 를 판단하곤 합니다. 시험 성적, 취업 여부, 재산, 성취 같은 외적인 지표들이

노력의 의미를 대신해버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정말로 중요한 것은 결과보

다 노력하는 그 과정에서 내가 어떤 사

람이 되어 가는가입니다. 노력이라는

단어에는 종종 고생이나 인내 같은 부

정적인 이미지가 따라붙습니다. ‘어

쩔 수 없이 해야 하는 일’처럼 느껴지

기도 합니다. 그러나 노력을 단순한 수

단으로만 여기면, 우리는 현재를 끊임

없이 희생하면서 언젠가 올지도 모를

미래에만 기대어 살아가게 됩니다.

반대로, 노력 자체를 삶의 목적이자

의미로 바라본다면 모든 하루가 달라

질 수 있습니다. 내가 좋아하는 것을 배

우는 시간, 더 나은 내가 되기 위해 책

을 읽고 운동을 하고 사람들과 나누는

대화 속에서 우리는 이미 성장하고 있

습니다. 이러한 과정이 즐겁고 보람차

라이프코칭/ 부부코칭/ 비즈니스코칭/ 감정코칭 안내

유인상 코치

Happy Life Coaching Centre 대표 코치 국제코칭연맹 PCC

호주공인 Provisional Psychologist Behaviour Support Practitioner 0452 664 844 coach.richardyu@gmail.com

다면, 설령 원하는 결과를 얻지 못하더

라도 삶에 대한 후회는 줄어들 것입니

다. 마라톤을 뛰는 사람이 결승점만을 위해 달리는 것이 아니라, 땀을 흘리며

당신은 지금 무엇을 위해 노력하고 있나요? 그 노력은 단지 결과를 위한 희생인가요, 아니면 당신 삶의 일부로서 의미를 품고 있나요?

자신과 싸우고 자연을 느끼는 그 순간 들 속에서 만족을 느끼는 것처럼 말이 지요.

이번 한 주는 결과를 위한 조급함을 잠시 내려놓고, 그 과정에서 느껴지는 감정과 변화에 주의를 기울여 보세요. 노력 속에서 즐거움과 성장을 발견하 는 순간, 우리는 이미 그 여정의 목적지 에 가까워지고 있는 것입니다. 삶은 오 늘, 그리고 지금 이 순간에도 충분히 가 치 있고 아름답습니다.

살면서 마주치는 다양한 어려움을 극복하고, 높은 성과를 내기 위해 현대인들에게 꼭 필요한 것이 코칭입니다. 혼자서는 안 보이던 해결책들이 코치의 깊은 공감경

청과 심도있는 질문을 통해 내게 꼭 맞는 방안들이 찾아지고 실제로 적용해가면서 삶이 개선되어 갑니다.

코칭 대상: 관계: 부부/자녀 관계 개선, 직장내 관계 개선, 감정: 분노관리, 감정조절, 커리어: 이직을 고려 중이신 분, 자녀들의 진로코칭, 비즈니스: 신사업 시작, 사업성과 개선, 직장문화 개선, 리더십, 기타: 습관 개선, 삶 속에서의 다양한 문제 해결/개선, 삶의 의미와 목적 발견 코칭 방법: 온라인, 전화로 진행, 필요시 대면 코칭 코치: 유인상 코치 (국제코칭연맹 PCC, 한국코치협회 KPC, 호주공인 Privisional Psychologist, Behaviour Support Practitioner) 문의/예약: 0452 664 844, coach. richardyu@gmail.com

'건설안전특별법'에 업계 비상

사망사고 발생 시 건설사 매출액의 최대

3% 과징금 또는 최대 1년의 영업정지 처 분을 내릴 수 있도록 한 '건설안전특별법'

이 국회에 발의되면서 건설업계에 비상이 걸렸다. 해당 법안은 처벌 대상을 명확히 규정하는 동시에, 강력한 행정제재와 형사

처벌을 도입해 논란이 커지고 있다.

사망사고 시 매출액 3% 과징금·영업

정지 신설

1일 국회와 업계에 따르면, 문진석 의원

등 더불어민주당 의원 11인이 발의한 건설

안전특별법안은 건설사업자, 건설엔지니

어링사업자, 건축사가 안전관리 의무를 소

홀히 해 사망사고가 발생할 경우 △매출액

3% 이내 과징금 △최대 1년 영업정지 중

하나를 부과할 수 있도록 했다.

또 발주자, 설계자, 시공자, 감리자 등 건

설공사 참여자가 안전관리 의무를 위반해

사망사고가 발생하면 7년 이하 징역 또는

1억 원 이하 벌금에 처할 수 있는 형사처벌

조항도 담겼다.

앞서 국회에서는 매출액을 기준으로 한

과징금 부과 법안이 수차례 발의됐지만 △

중대재해처벌법 등 기존 법률과의 중복 △

처벌 수위의 과도함 △과징금 산정 기준의

불합리성 등의 이유로 업계의 강한 반발과

부처 간 이견에 부딪혀 통과되지 못했다.

대표적으로 2020년 김교흥 의원이 업역

별 매출액의 3~5%를 과징금으로 부과하

도록 명시한 법안을 발의했지만 국회 문턱

을 넘지 못했다.

업계 "매출액 3% 과징금, 기업 존폐 위

협"…즉각 반발

건설업계는 즉각 반발하고 있다. 대한건

설협회는 "매출액의 3%까지 과징금을 부 과하는 것은 기업의 존폐를 좌우할 수 있

는 조치"라며 "이미 중대재해처벌법, 산업

안전보건법, 건설기술진흥법 등 다양한 규

제가 적용되고 있는 상황에서 추가 규제가

도입되면 중복 규제에 대한 우려가 더욱

커질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건설업계의 매출액영업이익률이

3% 내외인 점을 고려하면, 사실상 한 해

이익 전부를 과징금으로 부담해야 해 기

업이 도산 위기에 놓일 수 있다"고 강조했

다. 그러면서 "특히 기업 전체 매출을 기준

으로 과징금을 산정하는 것은 형평성에 맞

지 않는다"고도 지적했다. 기존의 다른 법

령들은 일반적으로 해당 공사의 도급액(계

약금액)을 기준으로 과징금을 산정하고 있

다.

업계는 해당 법안이 통과될 경우 과도한 규제와 처벌로 건설사들이 신규 사업 참여

를 꺼리게 되며 △공사 지연 △주택공급 차질 △시장 위축 등 각종 부작용이 현실

화될 수 있다고 염려하고 있다. 중견·중 소 건설사의 경우, 과징금 부담으로 연쇄 도산이 발생할 가능성도 제기된다. 이는 정부가 강조하는 주택공급 확대 정책에도 심각한 타격을 줄 수 있다는 지적이다. 한 대형 건설사 관계자는 "사망사고 방 지를 위한 안전투자는 당연한 의무지만, 매출액 3%를 과징금으로 부과하는 것은

M. 0449 264 747 admin@ace-transport.com.au www.ace-transport.com.au

28 Biloela Street Villawood NSW 2163

이혼 및 가정법 | 각종 민/형사 소송

비즈니스 학교 전문 / 학비할인 및 최저가 비용 보장 수업/출석/과제물 부담 NO! 한국인 변호사 직통 M. 0422 09 0079 E. jae@wblegal.com.au

어학연수 / 유학전문센터

M. 0449 264 747 admin@ace-transport.com.au www.ace-transport.com.au 0414 244 989 회원가맹문의사무총장0481104066

M. 0432 666 266 카톡. timestudysyd E. timestudysyd@gmail.com 24시간 상담 가능 아파트먼트

28 Biloela Street Villawood NSW 2163

Turn static files into dynamic content formats.

Create a flipbook
Issuu converts static files into: digital portfolios, online yearbooks, online catalogs, digital photo albums and more. Sign up and create your flip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