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 마돌
난 마돌은 미크로네시아 폰페이
Part 1
Villages Rooted in Time, Fiji
Heavenly Culture, World Peace, Restoration of Light (HWPL)
PEACE EDUCATION
“피지”
자연 환경을 자랑하며, 인도계, 피지 원주민, 유럽계 인구가 어우러진 다문화 사회입니다. 전통 춤 ‘메케’, 화덕 요리 ‘로보’, 다채로운 축제 문화와 전통
수도
수바 (자료원: www.Worldometers.info)
약
(Levuka Historical Port Town)
태평양의 마지막 왕국, 통가
The Last Kingdom of the Pacific, Tonga
Heavenly Culture, World Peace, Restoration of Light (HWPL) PEACE EDUCATION
“통가”
통가는 남태평양 남부에 위치한 약 170개의 섬으로 이루어진 군주국으로, 이 중 36개 섬에만 사람이 거주하고 있습니다.
남태평양에서 유일하게 유럽 식민 지배를 받지 않은 독립 왕국으로, 오랜 역사와 깊은 전통을 간직하고 있습니다.
통가는 고유의 문화와 신앙, 공동체 중심의 삶, 전통 춤 ‘라카라카’, 왕실 문화와 지역사회의 유대감을 통해 특유의 정신과 정체성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고래 관찰 명소로도
누쿠알로파 (자료원: www.Worldometers.info)
Part 1 자연이
The Land of a Thousand Tribes, Papua New Guinea
Heavenly Culture, World Peace, Restoration of Light (HWPL) PEACE EDUCATION
“파푸아뉴기니”
파푸아뉴기니는 오세아니아 북부에 위치한 섬나라로, 뉴기니섬 동쪽 절반과 600여 개의 부속 섬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세계에서 가장 언어와 문화가 다양한 국가 중 하나로, 800개 이상의 언어가 사용되며, 부족별로 고유한 전통과 생활 방식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이 나라는 울창한 열대우림, 활화산과 고산지대, 깊은 협곡 등 극적인 자연환경을 자랑하며, 생물 다양성의 보고로 꼽힙니다.
쿠크 유적지(유네스코 세계유산)
파푸아뉴기니 고지대에 위치한 세계문화유산.
약 9천 년 전부터 인류가 농경을 시작한 흔적이 남아 있는
중요한 고고학 장소입니다.
배수로, 경작지, 토양층 등을 통해 초기 농업의 발달과
정착 생활의 시작을 보여주는 귀중한 유산입니다.
2008년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되었습니다.
Part 2
HWPL Peace Education in the South Pacific
Heavenly Culture, World Peace, Restoration of Light (HWPL)
PEACE EDUCATION
“남태평양 지역”
남태평양 지역은 토착민, 인도계, 유럽계, 아시아계 등 다양한 민족이 공존하는 다인종·다문화 사회입니다. 이러한 구성은 문화적 다양성과 풍요로움을 주는 동시에,
공동체 내부에 남아 있습니다.
평화교육의 필요성 HWPL 평화교육은 다양성의 중요성에 대해 알려줍니다.
또한 갈등 상황에서 비폭력적이고 협력적인 해결 방식을 고안해낼 수 있도록 반복적으로 가르칩니다.
특히 청소년들에게 다양성을 존중하는 태도와 공동체
의식을 심어 줌으로써, 미래 세대가 분열이 아닌 연대를
통해 사회를 이끌어 나갈 수 있는 기반이 됩니다.
지구촌의 가족들은
누구나 전쟁을 원치 않고
평화를 원합니다.
지구촌 전쟁종식 평화 선언문(Declaration of Peace and Cessation of War, 이하 DPCW) 은
2016년 3월 14일 오후 3시 14분 대한민국 서울에서
공표되었다. UN 경제사회이사회 (ECOSOC) (특별협의지위 획득),UN 공보국 및 대한민국 서울시
산하 비정부기구인 (사)하늘문화세계평화광복(이하 HWPL)은 평화로운 세계를 공고히 구축하기 위한
새로운 국제법의 제정을 최우선 과제로 제시해 왔다.
DPCW는 2015년 세계 각국의 법조계 전문가들로
구성된 ‘HWPL 국제법 제정 평화 위원회’의 논의를
거쳐 전문(前文)과 10조 38항으로 최종 작성되었다.
HWPL은 지구촌 전쟁종식
평화선언문을 이행하기 위하여 평화문화 촉진을 위한 평화교육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평화교육의 목적 평화 의식 고취
평화의 주체자로서
자발적인 평화활동 참여
지구촌 전쟁종식
평화 선언문(DPCW) 조항 발췌
1조 무력의 위협 및 무력사용 금지
1. 국가들은, 국제법이 허용한 상황 이외의, 어떠한 경우에도 무력행사를
삼갈 것을 엄숙히 재확인하고 침략을 국제범죄로 간주해야 한다.
2. 국가들은 국제 관계에 있어
반(反)하거나, 유엔헌장 또는 보편적 국제법의 목적과 모순된 다른 방법에 의한, 무력의 위협이나 군사력의 행사를 삼가야 한다.
3조 우호관계 유지와 침략행위의 금지
3.
행위를 결코 인정할 수 없다.
4조 국경
1. 유엔 총회 결의 제2625(XXV)호에 따르면, 모든 국가는 국제 관계에서
유엔의 목적과 일치하지 않는 어떠한 방법으로든 타국의 영토보전, 정치적
독립을 침해하는 군사적, 정치적, 경제적 또는 어떠한 다른 형태의 강압
행위를 삼갈 의무가 있다. 다만 그러한 강압 행위가 국제간 부당행위의 중지를 유도하기 위해 정당하게 사용될 경우
인정된 경우는
않을 것을 포함한다. 10조 평화 문화의 전파 1. 국가들은 전세계적 운동으로서 평화를 추구하는 단체
기구들을 인정하고 연대하여야 한다. 특히 세계인권선언 및 1999년 유엔 평화문화 선언문이 규정한 바에 따라, 그런 단체들의 인권 및 평화 연구에 대한 수업 제공과 같은, 의식 제고활동을 용이하게 해야 한다.
2. 국가들은 영속적인 평화 문화 보존을 위해, 평화의 필요성과 가치에 대한 대중의 의식이 만들어져야 함을 인식해야 한다. 이것과 관련하여, 국가들은 전쟁기념비를 대체하여 평화비를 건립하는 등의 평화에 대한 대중의식을 이끌어내는 운동, 기념행사, 기획들을 활성화시킬 것을 촉구받는다.
3. 국가 원수들과 정부의 수뇌부는 그들이 평화의 문화를 장려할 수 있는 독보적 위치에 있다는 것을 인정해야 하며, 전쟁 종식 실현을 위한 본 선언문을 지지하는 활동을 해야 한다.
평화교육 소개
평화교육 비전과 목표
다음 세대를 책임질 주인공들이 평화의 정신을 함양한 평화의 시민으로 거듭나 범지구적
문제와 세계 안보 문제를 해결할 열쇠가 되어
지구촌 화합과 평화를 만들어 가는 일에 앞장서는 리더로 성장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평화교육 12공과 소개
여러 국가의 교육전문가 50여 명이 평화교재 감수에 참여하였으며 교재 개발에 힘써왔습니다.
2019년 기준으로 기본 교재를 12과목으로 구성하였으며 제공되는 모든 수업에서는 기본 교재를 활용하여
각 국가와 지역사회의 수준과 환경에 맞추어 자율적으로 교구와 교안을 개발하여 사용 가능합니다.
1~4과
수십억
만물이
살아간다는
국가, 국제 사회에 이르기까지 서로를 보호하고 공존하는 사회를 만들어가는 역량을
키울 수 있습니다.
5~12과
학생 개개인의 마음속에 자리 잡아야 할 평화의 가치관에 대한 내용입니다.
감사, 배려, 희생, 용서, 예절, 준법정신, 용기 등은 평화를 확산시키기 위해 꼭
필요한 가치관입니다. 이런 가치관을 학습한 학생들은 세계평화를 이루어 후대에
유산으로 물려줄 ‘평화의 주인공’인 ‘평화의 시민’, ‘평화의 사자’가 될 것입니다.
남태평양 평화교육 현황
평화교육 시행 94개국 466개소
• 자문위원 4개국 13명
• 홍보대사 18개국 38명
• 평화교사 79개국 2,711명
평화교육 8과를 통해 저는 ‘용서는 타인을 위한
것이 아니라 결국 자신을 위한 것’이라는 사실을 깨달았습니다.
먼저 스스로를 자유롭게 하는 법을 익혀야 다른
사람의 잘못도 보다 쉽게 용서하고 흘려보낼
수 있다는 것을요. 평화교육은 저에게 용서가
없으면 평화도, 미래도 없다는 큰 깨달음을 주었습니다.
소감
평화교육 11과 ‘준법정신과 DPCW’를 통해,
아이들은 법이 가지는 힘에 대해서 배울 수
있었습니다.
법은 사회에서 사람들 간의 공정성과 도덕성을
높여주는 목적을 지니고 있으며, 인권과 같은
기본 권리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평화로운 세상을 만들어 나가기 위해 반드시
필요합니다.
이번 공과를 통해 아이들은 법의 기본 개념과
규칙의 중요성을 이해할 수 있었으며, 갈등이
생기는 상황에서 법을 어떻게 적용시킬 수
있는지에 대해 깨달을 수 있었습니다.
입었거나, 혹은 말을
맞춘 학생은 없었습니다.
이 대답을 보면, 우리 아이들이
현실에 대해서는 얼마나 관심을
못했던 세상의 어두운 면을
것을 깨닫게 되었으며 평화를 유지하는
평화교육 9과 ‘웃어른에 대한 예의’ 수업을
마친 뒤, 아이들은 이전에는 예의 없는 행동을
잘못됐다는 의식 없이 무의식적으로 행동했던 것 같다고 스스로 반성하기도 했으며, 앞으로는
주위의 어르신분들을 더욱 존중해 드리고, 말씀하실 때 경청하며 더 공손하게 대하겠다고
다짐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말했습니다. 학생들은 평화교육을
통해 지금부터 웃어른을 존중하는 마음을
만들겠다고
다짐했습니다.
평화교육 9과를 배운
나이의 어른들도 웃어른에
느낀점을 나눴습니다.
학생들이 ‘미안합니다’, ‘부탁합니다’, ‘평화’
및 ‘친절’을 수화 언어로 배우고 난 뒤,
평화적인 의사소통 방식을 배우게 되어 굉장히
기뻐했으며 친구들과 오늘 배운 수화 언어를
사용해서 자주 대화하고 싶다고 말했습니다.
"우리나라의 문화유산에 대한 영상을
선생님께서 보여주시기 전까지 우리 문화유산이
이렇게 많은 줄 몰랐어요. 어른들의 이야기를
들으면서 저라는 사람은 어디서 출발됐을까
상상해 보며 저희 가족들이 태어난 고향의
문화유산에 대해서도 궁금해졌어요. 앞으로 더
배워서 문화유산 홍보대사가 되고 싶어요."
이 사람은 평화를 이룰 수 있는
그 답을 가지고 지구촌을 달려왔습니다.
혼자 다니니까 너무 힘들어서
여러분, 같이 뜁시다. 같이 만듭시다.
이 말을 여러분에게 하고 싶었습니다.
하나를 이루어내려면 하나부터 열까지
모든 구조가 맞아져야 할 것입니다.
평화의 문화가 사람들에게 임해서
사람을 좌우할 수 있도록
이러한 교육이 필요하다고 봅니다.
이와 같이 우리 마음에다가
평화라는 새로운 집을 지어야 할 것입니다.
•
우리는 HWPL 평화 교육 프로그램의 발전 및 개선에 관한 권장 사항의 몇 가지 사항을 준비했으며,
남태평양의 교육부가 HWPL 평화 교육 프로그램을 국가 차원에서 채택하기를 바랍니다.
대한
인식 제고 캠페인을 실시함으로써 HWPL 프로그램을 지지할 수 있습니다.
• 교사 훈련 교사들이
• 교육 계획에 통합
우리는 남태평양 교육부가 국가의 공식 교육 계획에 HWPL 평화 교육
프로그램을 포함시킬 것을 권장합니다. 이는 모든 학교와 학생들이 이
프로그램에 접근하고 평화와 국제 문화 간 이해에 대한 체계적인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보장하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 국제 교류 HWP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