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사회활성화를 위한 공익활동가공제조합 설립방안 연구보고서

Page 20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영국 우애조합의 현황은 2번의 빈민법 집행보고(return), 즉 1803년의 집행보고와 1813~15년의 집행보고 때 조사되었다. 1793년의 우애 조합법은 등록한 우애조합에 대해 다양한 특권을 허용했다. 그렇지만 정부와 기득 권을 가진 사람들의 생각은 양면적이었다. 한편으로는 우애조합이 노동자들의 반 란을 자극할지 모른다며 두려워하면서도 다른 한편으로는 우애조합이 빈민법의 문제점을 치료하리라 기대했다. 어쨌거나 우애조합은 조합원 개인을 보호할 뿐 아 니라 사망이나 양육문제, 특히 생계를 책임지는 사람이 아플동안 동안 가정경제를 뒷받침했다. 이런 우애조합의 활동에 관해 여유있는 상층노동자층이 우애조합에 주로 가입했다는 평가도 있지만 고르스키(Martin Gorsky)에 따르면, 우애조합의 성장은 많은 임금을 받는 노동자들보다 이주노동자의 사회적 필요와 보험의 필요 성과 연관성을 가진다. 농촌을 떠나 도시로 온 젊은 성인 남성노동자들에게 우애 조합은 ‘가공의 친척(fictive kin)’ 역할을 했고 이들에게 사회적 네트워크와 공생 공락(conviviality), 위기시의 개인적이고 재정적인 지원을 제공했다. 따라서 공업 부문과 광업부문에서 우애조합이 많이 생겼다는 건 사실이 아니고 저임금을 받는 젊은 성인 노동자들이 주로 우애조합에 참여했다(Gorsky, 1998). 그리고 때로는 여성들도 우애조합을 만들어 활동하기도 했다. 남성들의 우애조합 이 여성들을 배제하면서 그 수는 많이 만들어지지 못했지만(The Economic History Society Conference, 2004), 1874년 7월 엠마 패터슨(Emma Paterson) 이 주도하는 여성보호 및 공제동맹(Women's Protective and Provident League, WPPL)이 창립되어 활동하기도 했다. 이 공제동맹은 16세 이상의 직업여성들을 회원으로 받아들였고 한 주에 2펜스나 3펜스의 회비를 받았다. 공제동맹은 1년 이상된 회원에게 1년에 8주까지 주 5실링 정도의 질병과 실업수당을 지급했지만 파업이나 폐업을 지원하지는 않았다(강남식, 1997). 1830년대부터 활성화되기 시작한 우애조합은 1900년까지 노동조합보다 훨씬 많 은 조합원을 갖고 있었다. 그리고 저임금과 비숙련, 임시노동자들도 자조정신에 근거하여 배당금고(dividng-up club), 공제회(slate club), 톤탄연금(tontine) 등 지역적으로 다양한 공제조합에 가입했고, 보험(해상, 화재, 생명)은 중산층의 저 금을 집적시키는 주요 수단이었다. 공제조합들은 이행 국면에서 노동자 계급의 공 동체로서 창조적이고 통합적인 역할을 수행했고 산업화 과정에서 농촌공동체가 갖고 있었던 사회적 관계의 원형을 재생하고자 하는 상부상조의 조직체였다(원용 찬, 1999: 81~82).

- 16 -


Issuu converts static files into: digital portfolios, online yearbooks, online catalogs, digital photo albums and more. Sign up and create your flip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