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7 애즈앤아트[:As an art] 9월호

Page 1


This is me

대한민국전통예술진흥원, 그레이바이실버, 오디오바나나

Montly pick

전통문화홈페이지

Art - Column

Montly event 전통 전시/이벤트, 서울국악주간 한국전통예술의 현대화

EditorWITH

국악, 무용, 미술, 복식, 창작 5개 분과의 연합단체

전통예술의 보존과 문화창조에 이바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설립된 문화

재청 등록 비영리법인

대한민국 전통예술 및 문화의 정체성 보존과 계승 발전

사단법인 대한민국전통예술전승원은 각 분야에서 활동하는 전문가들의 축적된 역량을 바탕으로 공연, 학술, 연구, 교육, 교류, 전시, 경연 등을 통 하여 전통문화예술을 계승. 발전시켜 후대에 전승한다

국악

정악합주(영산회상, 수제천), 민속합주(산조,시나위), 국악관현악(창작음 악), 판소리 가야금병창, 민요, 대금, 피리, 해금, 가야금, 거문고, 아정, 타

악, 작곡, 지휘

무용

정재, 승무, 살풀이춤, 태평무, 검무 등 국가 및 시도지정 무형유산 종목, 민속무용

미술

문인화, 한국화, 채색화, 서예, 민화, 서양화, 수채화, 캘리그라피, 서각•

전각, 공예

복식

한복패션쇼, 복식과 전통예술 융복합, 한복전시, 한복미디어아트, 전통복

식 예절

창작

전통연희, 민속문화, 뮤지컬, 전통활용 컨텐츠, 전통문화 창작 및 재해석

1. 국악, 무용, 미술, 복식, 창작 문화 분야의 전통예술 저변확대

2. 전통과 미래의 융복합 프로그램 개발 및 발전

3. 공연 및 작품의 브랜드화 및 현대적 발전

4. 다양한 교육프로그램을 통한 전통예술 보급

5. 전통예술 및 문화의 발전 방안 모색

6. 예술문화 사업 추진 (공연, 학술, 연구, 교육, 교류, 전시, 경연)

저변확대 활동

각종 지역문화축제, 대한민국 산림문화박람회, 목포 만선 기원 풍어제, 국제표준화기구인쇄기술위원회 세계총회, 해외 문화예술 교류사업, 천 안 K컬처 박람회

전통예술전승축제 오우가(五友歌)” 서화전승 초대전, 청년작가 특별전 피 움전 “한국 정신과 시대흐름의 조화” 민간국제교류 “여민락(與民樂)” 학술 세미나, 청년예술가 공모전

문인화, 한국화, 서예, 민화, 서양화 수채화, 공예, 캘리그라피, 서각전 각 융복합 콜라보

한지공예, 전통매듭, 천공예, 부채그리기, 민화, 서예, 가훈 쓰기, 한복 제 작, 예절 익히기, 문인화, 캘리그라피, 전통악기, 전통춤, 전통연희

2024

GRAY B Y SILVER

미국 링컨센터 Performing and Arts 뉴욕 초청 체코 ‘Colours of Ostrava’ 페스티벌 초청

일본 오키나와 ‘코자시티 재즈페스티벌’ 초청 더하우스콘서트 갈라콘서트 공연 일본 ‘도쿄 비욘드 쇼케이스 페스티벌’ 초청

덴마크 코펜하겐 재즈 페스티벌 & 오르후스 재즈 페스티벌 초청 전주세계소리축제 선정작 '사계의 사잇곡' 2023

2023

노래하는 도슨트 파주 블루메 미술관 기획전 ‘고흐가 당신에게’

오드트리 문래스테이지 페스티벌

2022

아르헨티나 Festival de Buenos Aires 초청작 ‘A letter’ 보이스 및 내레이션

2021

국립국악원 수요춤전 ‘완벽한 하루’ 보이스 및 내레이션

2015

데미안 라이스 부산 벡스코 공연 오프닝 게스트

그레이바이실버는 피아노, 보이스, 대금, 드럼으로 이루어진 팀으로, 2018 년도부터 한국 예술 음악의 새로운 흐름을 선보이며 전 세계를 무대 로 활발한 활동을 펼쳐내고 있습니다.

세상에 존재하는 찬란하고 수많은 색깔도 그 그림자는 모두 회색이듯이, 이들은 현대음악, 재즈, 클래식, 민족음악 등, 다양한 장르의 경계가 만나 는 회색 지점에서 독창적인 순수 창작 음악을 꾸준히 내어놓고 있습니다.

2022년 덴마크 코펜하겐 재즈페스티벌, 오르후스 재즈페스티벌과 일

본 도쿄비욘드 쇼케이스 페스티벌, 고베 지역의 구겐하임하우스의 초청 공연을 시작으로, 2023년 유럽의 10대 축제로 불리는 체코 ‘Colours of Ostrava’에서 1,500석 규모의 대극장 공연을 성황리에 마쳤고, 바

로 이어 뉴욕 링컨센터의 한국음악 특집 공연에서 기립박수와 찬사를 받았습니다.

또한 2020년도 한국 대중음악상 최우수 재즈&크로스오버 부문에 후보

로 선정을 시작으로 남산국악당, 세종문화회관 체임버홀과 꿈의숲 아트

센터, 게토얼라이브, 하우스콘서트 등의 다양한 공연을 통해 규모와 장

르를 가리지 않고 국내의 관객들과 만남을 이어오며 현시대 한국음악의

새로운 흐름을 대표하는 단체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이 한 빈

& 작곡

2023

모리셔스 MAMAJAZ Festival Grand Concert Caudan art center - Solo piano

아르헨티나 Festival de Buenos Aires 초청작 ‘A letter’ 작편곡 및 음악감독 극장 서로 기획 판소리극 ‘소리를

일본 Settsukyo Saal Osaka Solo Piano Concert

2023

Taiwan Traditional Theatre Center

The Diversity of Traditional Korean Music

2022

돈화문국악당 국악마당 <야광명월> b u d x 이서희

산조대전 ‘원완철류’ 소금산조

2020

국립국악원 우면당 토요명품공연 대금독주

EP Scratch(2022.05) 참여

전통음악 고유의 정체성과 예술성을 모토로

일렉트로닉음악을 창조해내는 집단 ‘AUDIOBANANA’

오디오바나나는 일렉트로닉음악의 다양성으로 전통음악의 감성과 그 깊이를 확장시켜 대중음악으

로서 그 영역을 만들어 나가고 있습니다. 오디오바나나의 음악은 전통음악과 일렉트로닉 음악장르 에서 오는 격차를 최소화한 사운드 디자인을 통해 전통음악의 본질을 해치지 않으며 그 형태를 언제

든지 바꿔 나갈 수 있습니다. 언제 어디에서나 관객들을 매료 시키는 사운드의 스케일과 퍼포먼스는 한국의 일렉트로닉 음악 그룹으로서 더욱 돋보이게 합니다.

#전통문화 홈페이지

PICK 1 전통문화관련 홈페이지

국립국악원_

국가유산청_

국민과 함께 누리는 미래가치, 국가유산

국가유산청은

동력이 되기 위한 정책을 펼쳐 나갑니다.

우리 국립국악원은 신라 때의 음성서(音聲署)·대악감(大樂監)을 비롯하여 고려의 대악서(大 樂署)·아악서(雅樂署), 조선의 장악원(掌樂院) 등 역대 국가 음악 기관의 전통을 이어 지난 1951년에 개원한 국립 음악 기관입니다.

국악방송_

국악방송은 방송망 전국화를 통해 수도권뿐만 아니라 남원, 진도, 경주, 전주, 부산, 강릉, 대 구, 제주, 서귀포, 충주, 영동으로 청취권역을 확대하였고, 광주방송국과 대전방송국을 통해 지역문화예술의 발전에도 힘쓰고 있습니다.

전통공연예술진흥재단_

민속곳간_

민속곳간은 60여년간 전국을 순회하며 방대한 기록을 남긴 한국민속예술제의 자료를 누구나 쉽게 열람할 수 있도록 제작했습니다. 전통공연예술진흥재단에서 발행한 한국민속예술제 기념도서와 국가기록원 및 방송 사에서 수집한 자료를 바탕으로 대회 회차별, 종목별 자료로 구분하여 종합적으로 검 색할 수 있도록 구성했습니다.

한국전통문화

대학교_

한국전통문화대학교는 ‘민족자존 문화창달’을 건학이념으로 2000년 개교하여 전통

문화의 창조적 계승·발전과 국가유산의 보존·관리·활용의 전문 인재를 양성하기 위하

여 설립한 특수목적대학입니다.

문화포털 전통문양_

전통문화포털_

전통 문화정보 올바른 전통문화 지식 공유, 활용을 통한 국민 편익 증대 및 전통문화 대 표 공공서비스 플랫폼 전통문화 정보서비스의 다양성, 전문성, 활용성 제고를 통한 국 민의 보편적인 전통문화정보 향유 기회 확대하고자 합니다.

문화포털은 대한민국 문화체육관광부와 소속기관 및 공공기관에서 생산되는 다양한 한국의 문화예술, 문화유산, 문화산업, 관광, 체육, 도서정보등을 제공하여 국민들이 보다 쉽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원스톱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공분야 문화 종합 정보제공사이트 입니다.

전승지원 통합플랫폼_

ART - Column

전통예술은 오랜 역사와 문화적 가치를 지닌 분야로, 현대 사회에서도 여

전히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전통예술이 단순히 과거의 유

산으로 남아서는 안 됩니다. 오늘날의 소비자들은 새로운 경험과 가치를 추구하며, 전통예술은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현대적으로 재해석되 고 있습니다.

전통예술의 현대적 재해석은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전통 문양이나 기법을 활용한 패션 아이템, 가정용품, 그리고 디

지털 아트 등은 전통의 아름다움을 현대적인 감각으로 풀어내어 소비자들

에게 새로운 매력을 제공합니다. 이러한 상품들은 단순한 소비를 넘어, 전

통문화에 대한 이해와 관심을 높이는 역할을 합니다.

또한, 전통예술의 현대적 재해석은 예술가들에게도 새로운 창작의 기회를 제공합니다. 전통 기법을 현대적인 디자인과 결합함으로써, 예술가들은 자 신만의 독창적인 작품을 만들어낼 수 있습니다. 이는 전통예술의 지속 가능 성을 높이고, 새로운 세대의 예술가들이 전통을 계승하고 발전시킬 수 있 는 기반이 됩니다.

최근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 등의 기관에서는 전통을 활용한 다양한 창업, 해외판로개척, 유통 등을 지원하며 활성화를 위한 노력을 하고 있으 며, 각종 공모전에서도 전통을 재해석한 라이프스타일 상품에 대한 니즈를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이때 상품화 과정에서 우리가 한번 더 생각해 봐야 할 것은 전통의 본질을 잃지 않는 것입니다. 현대적 감각을 더하더라도, 전통예술이 지닌 고유의 가치와 의미를 존중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소비자들은 단순한 상품을 넘어 서, 전통문화의 깊이를 느끼고 경험할 수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전통예술의 현대적 재해석은 단순한 상품화가 아니라, 문화의 지속성과 발전을 위한 중요한 과정입니다. 우리는 이러한 변화를 통해 전통 예술이 현대 사회에서도 여전히 살아 숨 쉬고, 새로운 가치를 창출할 수 있 음을 인식해야 합니다. 전통과 현대가 조화를 이루는 이 과정은 앞으로도 계속해서 우리의 문화예술 분야에서 중요한 주제가 될 것입니다.

Column by Cho yonghyun.

[관악문화재단]

[모시는 글]

서울국악주간은 2021년에 시작된 신규 축제로, 온라인과 대면이 혼합되어 진행된 새로운 형식의 국악 축제입니다.

서울국악주간2021을 통해 국악이 기술, 기업, 전시와 만나는 기업 협력 작업(STEAL THE APPLE 전시회, 인케이스와 컬래 버), 토크 콘서트, Dolby Atmos, Dolby Vision 기술이 접목된 실감형 국악 콘텐츠트 시연회를 진행하였습니다. 서울국악주간 2022에서는 전통음악을 기반으로 재즈, 클래식, 대중 음악 등 다양한 장르와 결합해 다양한 모습으로 오늘의 국악을 만들어

가는 5팀의 아티스트와 함께했습니다. 서울국악주간2023에서는 봄과 가을 두 시즌으로 나누어 다산 성곽길 야외 무대와, 대 학로 마로니에 공원에서 오늘의 국악을 만들어가는 다양한 창작 아티스트와 무대를 만들었습니다.

서울국악주간은 전통음악을 기반으로 다양한 창작 활동을 하는 아티스트를 소개하고, 온라인과 대면공연을 통해 작품을 선

보임으로써 아티스트에게는 무대 활동 기회와 홍보를 지원하고, 대중에게는 오늘의 국악을 만들어가는 아티스트들의 음악을 함께 할 수

은 관심과 응원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Turn static files into dynamic content formats.

Create a flipbook
Issuu converts static files into: digital portfolios, online yearbooks, online catalogs, digital photo albums and more. Sign up and create your flipbook.
No.7 애즈앤아트[:As an art] 9월호 by art.network.with - Issu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