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변에서 쉽게 얻을 수 있는 식재료의 항균 효과 비교

Page 1

주변에서 쉽게 얻을 수 있는 식재료의 항균 효과 비교 지도 교사: 이경순 연 구 자: 황보송, 최윤정, 김수지, 허유경

Ⅰ. 실험 동기 학교 영어 시간에 한국의 문화와 음식 등에 대해 외국인에게 소개하기 위해 자료를 찾아보다가 김치의 여러 가지 효능 중 항균효과가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이 사 실을 흥미롭게 여겨서 김치에 들어가는 어떤 재료 때문에 김치가 항균 효과를 가지는 것인지 알아보기 위해 자극이 강한 고추, 마늘, 생강, 양파의 항균효과를 비교해 보기 로 하였다. 음식이기 때문에 입속 세균과 우리 몸에 존재하는 대장균을 대상으로 항 균효과를 확인해 보았다.

Ⅱ. 관련이론 1. 고추 식물계 속씨식물군 진정쌍떡잎식물군 국화군 가지목 가지과 고추 높이 약 60cm 풀 전체에 털이 약간 난다. 잎은 어긋나고 잎자루가 길며 달걀 모양 바소꼴로 양 끝이 좁고 톱니가 없다. 여름에 잎겨드랑이에서 흰 꽃이 1개씩 밑을 향 해 달리는데, 꽃받침은 녹색이고 끝이 5개로 얕게 갈라진다. 화관은 접시처럼 생겼고 지름 12~18mm이다. 수술은 5개가 가운데로 모여 달리고 꽃밥은 노란색이다. 씨방은 2~3실이다. 열매는 수분이 적은 원뿔 모양 장과로 8~10월에 익는다. 붉게 익은 열매 는 말려서 향신료로 쓰고 관상용, 역용등으로도 쓴다. 고추의 매운맛은 캡사이신(C18H2703N)이라고 하는 염기 성분 때문이며 붉은 색소 의 성분은 주로 캅산틴이다. 캡사이신은 위염 등 각종 위 질환의 원인균으로 알려진 헬리코박터 파일로리에 감염된 위 점막 세포의 염증을 억제한다는 사실이 세포실험에 서 확인됐다. 연세대 의대 소화기내과 이용찬 교수는 2009년 9월 2일 캡사이신이 헬 리코박터 파일로리에 감염된 사람 위 상피세포의 염증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세포실험 으로 조사한 결과 캡사이신을 많이 투여할수록 염증 억제효과가 강하게 나타났다고 밝혔다.


Turn static files into dynamic content formats.

Create a flipbook
Issuu converts static files into: digital portfolios, online yearbooks, online catalogs, digital photo albums and more. Sign up and create your flip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