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MijuChosun_062725

Page 1


전자신문 THE MIJUCHOSUN E*NEWS

“중국에서 유행하는 ‘이 운동법’” 자칫하면 사망까지

중국 노년층 사이에서 목 디스크를 완

화한다는 ‘턱 매달기 운동’이 유행처럼 번

지고 있다.

지난 11일 뉴욕포스트에 따르면 중국 선

양 남성 쑨룽춘(57)은 ‘U자형’ 벨트를 나

무나 철봉에 고정한 뒤 턱을 걸어 몸을 살

살 흔드는 행위인 ‘턱 매달기 운동(jawhanging exercise)’을 고안했다. 그는 “목

디스크를 완화하기 위해 이 방법을 만들었

다”며 “목 통증 없이 숙면할 수 있는 방법

이다”고 했다. 이어 “이 벨트를 상표 등록

해 특허도 출원했다”며 “목 통증을 느끼는

사람들에게 전파 중이다”고 했다.

이에 ‘턱 매달기 운동’을 하는 시민들의 모습을 담은 영상이 중국 SNS에서 화제가 됐다. 영상 속 시민은 “목 통증 때문에 늘

불편했는데 이 요법을 며칠 하니 증상이

확실히 완화됐다”며 “벌써 2년째 하고 있

다”고 말했다. 영상을 본 누리꾼들은 “목을

압박해 위험할 것 같다” “실제로 도움이 된

다니 말도 안 된다” “노년층, 절대 따라 하

면 안 된다” 등의 댓글을 남겼다.

실제 턱 매달기 운동이 효과를 내는 건 지, 주의할 점은 없는지 알아본다.

◇목 디스크 완화에 효과 없어, 목 통증

과 얼굴 비대칭 유발

있다. 압구정노트정형외과의원 황상필 원

장은 “이 운동법을 따라하면 만성 목 통증 을 겪을 수 있다”며 “경추 2번이 골절을 입

어 최악의 경우 사망까지 할 수 있다”고 했

다. 또한 턱이 지속적으로 압박받으면 턱

관절 장애가 나타난다. 턱관절 장애는 얼

굴 비대칭을 유발한다. 서울아산병원 구강악안면외과 이부규

턱 매달기 운동은 목 디스크 개선에 효 과가 없다. 오히려 목 통증이 만성화될 수

“아빠가 행복해야

임신 전후 아버지가 느끼는 우울·불안·

스트레스 등 심리적 어려움이 자녀의 사

회-정서적, 인지적, 언어적, 신체적 발달 등

을 저하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여성들의 임신·산후 우울증은 잘 알려져

있지만, 남성들이 겪는 출산 전후 정신적

부담은 상대적으로 덜 주목받아 왔다. 하

지만 남성들 역시 불안증 유병률 11%, 우

울증 8%, 스트레스 증가는 6~9%에 이르

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호주 디킨대 델리스 허친슨 교수팀은 지

난해 11월까지 발표된 연구 중 48개의 코

호트를 통해 아버지의 출산 전후 심리적

어려움과 청소년기까지 자녀의 전반적 발

달 간 관계를 분석했다.

연구 결과, 아버지가 임신 전후 겪는 우

울·불안·스트레스 등 심리적 어려움은 자

녀의 사회-정서적, 인지적, 언어적, 신체적

발달과 전반적 발달의 저하와 관련이 있었

교수는 “턱관절 장애는 턱관절 내의 디스 크가 정상 위치에서 벗어나거나

발 생하는 질환으로, 얼굴 비대칭을 유발한 다”며 “턱 매달기 운동처럼 턱을

수 있고 이 때 목정맥을 압박해 혈 류량을 감소시키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뇌 에서 심장으로 혈액이 흐르지 못하고 혈류 순환에 문제가 생겨 뇌출혈, 뇌졸중 등이 일어날 위험이 있다. ◇꾸준히 스트레칭하고 생활 습관 개선 해야 한편 목 디스크 완화를 위해서는 꾸준 히 스트레칭을 해야 한다. 가슴으로 당기 거나 목을 좌우로 돌리고 숙이는 동작을 하는 것이 좋다. 잠자는 자세도 중요하다. 잘 때는 엎드린 자세를 피하고 옆으로 누 운

으며, 이런 영향은 영아기를 넘어 아동기까 지 이어졌다. 특히 아버지가 겪는 심리적

어려움은 자녀의 언어 발달의 저하와 인지

발달 저하에도 영향을 줬다. 연구팀은 “아버지가 출산 전보다 출산

후에 겪는 심리적 어려움이 자녀의 발달

저하와 관련성이 더 강했다”며 “임신 전후

아버지가 심리적 어려움을 이겨낼 수 있게

돕는 것이 부모가 되는 과정에서 아버지는

물론 자녀 건강에 도움이 된다”고 말했다.

낮에 ‘이것’ 먹으면, 밤에 꿀 잠 잔다

낮 동안 과일과 채소, 통곡물을 많 이 먹으면 숙면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시카고대와 컬럼비아대 공동 연구 팀은 하루 동안의 식단과 수면 상태 의 연관성을 알아보는 연구를 진행 했다. 이전까지는 ‘수면 부족이 건강 하지 못한 식습관을 유도한다’는 연 구들이 많았지만, 이번 연구는 반대 로 ‘음식이 수면에 미치는 영향’을 집 중적으로 살펴본 연구다.

이를 위해 연구팀은 건강한 젊은 성인들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앱을 이용해 하루 식단을 기록하게 하고, 손목에 착용하는 수면 추적 기기를 통해 실제 수면 상태를 측정했다. 특 히 수면 중 자주 깨거나 얕은 잠으로 전환되는 ‘수면 단절’을 주요 지표로

삼았다. 수면 단절이 적을수록 깊고 안정적인 수면으로 해석된다. 연구 결과, 과일과 채소, 통곡물 등 건강한 탄수화물을 더 많이 섭 취한 참가자일수록 같은 날 밤 수면 의 질이 뚜렷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 타났다. 연구팀은 하루에 권장 섭취 량인 과일과 채소 5컵을 섭취할 경 우, 수면의 질이 그렇지 않은 사람 에 비해 약 16% 향상될 수 있다고 추정했다.

연구

Turn static files into dynamic content formats.

Create a flipbook
Issuu converts static files into: digital portfolios, online yearbooks, online catalogs, digital photo albums and more. Sign up and create your flip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