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신문 THE MIJUCHOSUN E*NEWS



조선왕릉이라고 하면 한 시대에 국한된
문화유산으로 생각하기가 쉽다.
하지만, 왕릉의 역사도 흘러가는 시대와
함께한다는 점에서 과거에만 머무르지는
않는다.
서울에서 가까운 고양 서삼릉은 조선시
대를 거쳐 일제 강점기, 현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이야기를 간직하고 있다. 그 이야기 를 따라 발걸음을 옮겨보는 것은 어떨까.
◇역사의 궤적 경기도 고양특례시에 있는 서삼릉은 서
쪽에 있는 3기의 능이라는 뜻이다.
이곳에는 조선 11대 중종의 두 번째 왕
비 장경왕후의 능인 희릉, 12대 인종과 인 성왕후의 능인 효릉, 25대 철종과 철인황후 의 능인 예릉이 있다.
이들 능만 있는 것은 아니다.
역사드라마와 영화에 자주 나온 연산군 의 생모 폐비 윤씨, ‘비운의 왕세자’ 소현세 자의 무덤 등도 있다.
서삼릉은 이곳만의 역사를 품고 있다.
일제 강점기에는 전국 각지에 있던 조선 왕실 가족의 태실(胎室·왕실에서 태어난
아기의 태반과 탯줄을 봉안한 뒤 조성한
시설) 54기가 이곳으로 옮겨졌다.
1960년대를 중심으로 서삼릉 인근에 여
러 시설이 들어섰다.
시간이 지나면서 특수한 상황으로 능역 이 분절 또는 훼손됐다는 지적이 제기됐
다.
현재 관람객은 서삼릉 입구로 들어가면
희릉, 예릉 등을 볼 수 있다.
효릉과 태실 등은 여기에서 2㎞ 정도 떨
어진 곳에 있고 입구가 따로 있다.
서삼릉을 포함해 한국에 있는 조선왕릉
40기는 2009년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
재됐다.
이 중 마지막까지 비공개였던 효릉은
2023년 9월 일반에 개방됐다. 서삼릉의 역
사는 현재 진행형이라 할 수 있다.
◇2년 전 개방된 효릉
인종과 인성왕후의 능인 효릉은 봉분이 나란히 있는 쌍릉 형태다.
두 봉분이 난간석으로 연결돼 있는데,
병풍석은 인종의 능에만 있다. 인종의 재 위 기간은 9개월 정도로, 조선 국왕 중 가
장 짧았다.
취재팀은 효릉을 먼저 찾아갔다.
근처에 이르자 ‘효릉·태실 정문’이 보였 다.
효릉 취재에 필요한 절차는 미리 밟아
뒀고 고양시 문화관광해설사, 궁능유적본
부 조선왕릉서부지구관리소 서삼릉 관리
소 직원이 동행했다.
효릉 주변에는 국내 농가에 젖소 종자를
공급해 온 젖소개량사업소가 있다.
효릉 관람을 위해선 방역 절차를 거쳐야
한다고 들었다.
방역 부스에서 10여초 있으면 되는 간
단한 절차였다.
2년 전 당시 문화재청(현 국가유산청)은
유관기관과 오랫동안 논의 끝에 효릉을 개
방할 수 있게 됐다고 설명한 바 있다.
효릉까지 가는데 전망이 트인 넓은 땅이
양옆으로 펼쳐졌다.
얼마 지나지 않아 홍살문이 보였다.
눈앞에 정자각은 있는데, 수복방과 수라
간이 보이지 않았다.
터가 남아 있다고 한다.
사초지를 거쳐 능침까지 올라갔다.
묵직한 뒷모습의 무석인(왕을 호위하는
무인 모습의 석물), 수염까지 표현한 문석 인, 석마(말 모양의 석물)와 석양, 석호가

하나씩 눈에 들어왔다.
돌의 느낌은 울퉁불퉁 거칠었다.
석물의 독특한 느낌과 빛깔, 푸른 하늘 과 초록빛의 왕릉은 평온함을 안겨줬다.
동행한 해설사는 효릉의 역사를 설명해
준 뒤 “인근에 과거 골프장 등 여러 시설이 들어섰다”는 이야기도 들려줬다.
일반인이 효릉과 태실을 관람하기 위해 선 온라인 사전 예약을 해야 한다.
가축전염병 발생으로 효릉 관람은 중지 될 수 있으니 미리 확인이 필요하다.
◇일제 강점기 옮겨진 조선 왕실 가족 태실
효릉을 빠져나온 뒤 오솔길을 지나자 비
석이 수십 개 늘어선 묘역이 보였다.
조선 왕실 가족의 태실군이다.
일제 강점기에 조성된 곳이라고 안내판 에 적혀있다. 조선 시대에는 태를 백자 항아리에 담 아 전국의 길지에 묻었고 관리인도 따로 뒀다.
어두운 빛을 띤 오석 비석의 명단을 살 펴보니 태조, 세종, 숙종 등의 이름이 보 였다.
대부분 국왕이었다. 화강석 비석에는 왕자와 왕녀 등의 이 름이 있었다.
1996년에 서삼릉 태실에 대한 발굴 조 사가 이뤄졌고 그 결과는 국립문화재연구 소의 보고서에 자세히 실렸다. 태항아리 등은 국립고궁박물관에 소장 돼 있다. 지금은 여기에 비석만 남아있다고 한다. 묘역 앞에는 2020년 서삼릉태실연구소 가 기증한 태항아리 재현품이 전시돼 있어 이해를 도왔다.
비석 뒷면에 일본의 연호를 삭제한 흔적 이 있다고 해 취재팀도 살펴봤다. 몇 월 며칠인지와 바로 위에 있는 ‘년’( 年)자는 보이는데, 그 위에 무엇이 적혀있 는지는 알아볼 수가 없었다.
이곳에서 가까운 왕자·왕녀묘에는 22기 의 묘가 있다.
그 앞의 문석인도, 봉분도 작아 보였다. 담장을 나와 조금 더 걸어가면 후궁묘가 나온다.
후궁묘는 숙의 묘역에 이어 빈·귀인 묘 역이 따로 있다.
⇬7면으로 이어집니다

2025년 7월 24일 목요일
조선왕릉 누리집에 따르면 빈·
귀인 묘역의 묘 일부는 일제 강점
기에, 다른 일부는 광복 후 도시화
개발로 1960~1970년대 옮겨졌다
고 한다.
이 묘역에는 드라마에 자주 나
온 정조의 후궁 의빈 성씨의 묘도 있다.
◇연산군의 생모 폐비 윤씨의 회
묘
이동하는 위치상 다음으로 관람
한 곳은 연산군의 생모 폐비 윤씨
의 회묘다.
9대 성종에 이어 왕위에 오른 연 산군은 폐비 윤씨 묘의 이름을 회 묘라 했다.
몇 년 뒤에는 회릉으로 높이고
능의 격에 맞게 새로 조성했다.
하지만, 중종반정으로 자신이 폐 위됐고 회릉도 다시 회묘가 됐다.
이름은 바뀌었지만, 능의 모습은 남았다.
문석인, 무석인, 석마, 석양, 석호 등의 형식을 살필 수 있었다.
회묘는 서울 동대문구 회기동
에 있었는데, 1969년 이곳으로 옮 겨졌다.
일반 관람객이 가까운 거리에서
석물을 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중종의 두 번째 왕비 장경왕후
의 희릉
철종의 예릉…조선왕릉의 마지
막 형태
이미 점심시간이 지나 인근에서
칼국수를 먹고 이번에는 서삼릉 입
구로 향했다.
중종의 두 번째 왕비 장경왕후의 능인 희릉을 찾았다.
희릉은 다른 장소에 있다가 이곳
으로 옮겨졌다.
이후 중종의 능도 주변에 만들어
지면서 함께 정릉으로 불렸다.
그러다가 중종의 능만 현재의 서
울 강남으로 옮겨졌다.
또 다른 해설사와 동행하며 희릉
의 능침에 올라갔다.
우람한 무석인의 뒷모습이 보였
다.
정면에 서서 얼굴을 뜯어보니 귀
까지 큼직하게 표현돼 있었다.
철종과 철인황후의 능인 예릉으
로 이동했다.
철종은 강화도 유배지에 있다가 국왕이 된 자신의 삶처럼 혼란한
시대를 살다 갔다.
대한제국 선포 후 황제로 추존
됐다.
예릉은 영조 시대에 편찬된 ‘국
조상례보편’의 예에 따라 조성된
마지막 조선왕릉의 형태를 갖췄다
고 한다.
문석인과 무석인은 거대하고 두
께감이 있었으며 옷자락의 선도 굵
었다.
해설사는 일부 석물은 땅에 묻혔
던 중종의 옛 정릉 석물을 꺼내 사
용한 것이라고 설명해 줬다.
장명등(석등)이 좌우 문석인 가
운데 부분이 아니라 앞쪽으로 꽤
많이 나와 있어 눈에 띄었다.
이곳 지대는 경사가 심하지 않고
비교적 완만하다는 느낌이 들었다.

◇문효세자의 효창원과 의소세
손의 의령원
‘비운의 왕세자’ 소현세자의 소
경원
여기까지 봤다고 서삼릉 관람이 끝난 것은 아니다.
이곳에는 정조와 의빈 성씨의 아
들 문효세자의 무덤인 효창원, 영
조의 손자이자 사도세자의 첫째 아
들 의소세손이 잠든 의령원이 함께
있는 공간이 있다.
예릉을 관람하고 나오면 왼편에 있다.
서울 용산에 있던 문효세자의 무
덤은 1944년에, 서대문구에 조성됐 던 의령원은 1949년에 이곳으로 옮 겨왔다.
나무 계단을 올라가자 아담한 크 기의 묘 2개가 보였다. 관람객의 시선에서 보면 앞쪽이 효창원, 뒤쪽이 의령원이다. 여기에 서 있는 문석인은 아담해 보였다.
서삼릉에는 또 한 명의 세자의 무덤이 있다.
인조의 아들 소현세자의 소경원 이다.
소현세자는 병자호란 이후 동생 인 봉림대군과 함께 청나라에 볼모 로 갔다.
9년 뒤 돌아왔지만, 두 달 후 세 상을 떠났고 이를 두고 독살 의혹 이 제기됐다.
소경원은 비공개 상태여서 직접
관람할 수는 없었다.
지난해 소경원 정자각 복원 계획
이 알려져 관심을 끌었다.
조선 왕실의 무덤은 신분에 따라
분류된다.
왕과 왕비의 무덤은 능(陵), 왕의
후궁이나 종친, 왕세자와 왕세자빈
은 원(園), 폐위된 왕이나 그 외 왕
족은 일반인의 무덤과 같이 묘(墓) 라고 했다.
◇대중교통으로 찾아가는 길
문화유산의 가치·복원의 염원 되
새겨
대중교통으로 찾아가려면 서울
지하철 3호선 원흥역에 내려 마을
버스를 타는 방법이 있다.
5분 정도 지나면 농협대학교 다
음으로 ‘서삼릉·종마목장 입구’ 버
스정류장이 나온다.
여기에서 내리면 고양 서삼릉까
지 직진하면 600m, 효릉과 태실은
왼쪽 길로 1.3㎞ 걸린다는 안내판
이 보인다.
서삼릉 방향으로 걷다 보면 젖소
개량사업소 안내판이 보이고 그 옆
에 서삼릉 입구가 있다.
서삼릉 울타리 오른쪽에는 한국
마사회 원당목장 간판이 있다.
서삼릉은 지금까지 봤던 조선왕
릉과는 또 다른 사연을 지니고 있
었다.
직접 가 보니 현재의 모습이
잘 보이는 것 같았다. 이야기를
풀어가는 문화관광해설사의 꼼 꼼한 해설은 이해의 폭을 넓혀 줬다.
능역 복원에 대한 염원도 느낄

수 있었다. 서삼릉은 문화유산의 가치를 다 시 한번 돌아보게 하는 소중한 세 계유산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앞으로의 모습에



올해 상반기 K팝 음반 수출액과 판매량
이 모두 감소해 가요계의 위기감이 고조
되고 있다.
특히 K팝의 든든한 ‘텃밭’ 역할을 했던
일본마저 수출액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나
면서 차세대 슈퍼 IP(지식재산권) 발굴과
공연·MD(굿즈상품) 등으로 매출 다변화
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K팝 시장도 못 피한 불황…음반·음원 모두 하락
20일 관세청 수출입 무역통계에 따르면
올해 1∼6월 음반(HS코드 8523.49.1040)
수출액은 1억1천442만5천달러(약 1천595
억원)로 전년 동기 대비 11.6% 감소했다.
2023년 1∼6월 1억3천296만5천달러(약 1천853억원)를 기록한 후 상반기 기준으
로는 2년 연속 하락세를 보였다.
올해 상반기 음반 수출액을 대상 국가
별로 살펴보면 일본이 3천909만5천달러( 약 545억원)로 1위를 기록했다. 중국은 2 천10만2천달러(약 280억원)로 2위, 미국
은 1천945만2천달러(약 272억원)로 3위
였다.
특히 중국 수출은 작년 같은 기간보다 9.3% 증가하면서 미국(36.1% 감소)을 제
치고 상반기 수출 대상국 2위로 올라섰다.
일본·중국·미국 ‘빅 3’에 이어 대만, 독 일, 홍콩, 네덜란드, 캐나다, 프랑스, 영국 이 상반기 음반 수출 대상국 ‘톱 10’을 기
록했다.
K팝 시장의 불황은 음반·음원에서도 나
타났다.
김진우 음악전문 데이터저널리스트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실물 음반(써클차트
1∼400위 기준) 판매량은 4천248만6천
293장으로 전년 동기보다 9.0% 감소했다.
같은 기간 음원(써클차트 1∼400위 기준)
이용량 역시 6.4% 줄어들었다.
◇‘1등’ 해외 시장 일본도 경고등…공급
과다·대체제 출연 등 영향
가요계에서 특히 주목하는 부분은 K팝
의 든든한 ‘텃밭’인 일본 수출마저 꺾이고 있다는 점이다.
올해 상반기 대일(對日) 음반 수출액
은 작년 동기 대비 15.0% 감소했다. 전
체 음반 수출액은 감소율 11.6%를 기록
했는데 일본 수출은 더 큰 폭으로 줄어
든 셈이다.
일본은 2000년대 보아·동방신기의 성공
이후 K팝 수출의 거점 역할을 해 왔다. 음
반 수출 대상국 1위 자리를 단 한 번도 놓
치지 않을 정도로 중요도가 크다.


이 때문에 국내 가요 기획사들은 규모
와 관계없이 최우선 해외 진출 국가로 일
본을 겨냥해왔다.
일본 시장의 ‘경고등’은 현지 차트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오리콘이 발표한 올해 상반기 앨범 차
트에 따르면 상위 25위 내에 K팝 앨범은 INI·JO1·앤팀 같은 현지형 그룹을 제외하 면 세븐틴의 ‘해피 버스트데이’(HAPPY
BURSTDAY·3위) 등 총 7개가 포함됐다.
작년 상반기에는 상위 25위 가운데 12 개가 K팝 앨범이었다.
김진우 음악전문 데이터저널리스트는
“일본 내에서 자생적으로 K팝을 대체할 팀들이 나오고 있다. 일본 그룹의 뮤직 비디오를 보면 예전 같은 퀄리티가 아니
다. 경쟁력을 확보했다는 것”이라며 “일 본 시장에서 (K팝이) 꺾인 것이 사실이
라면 장기적인 리스크가 될 수 있다”고
분석했다.
그는 다만 “’프로듀스 101 저팬’ 데뷔조
등 현지형 그룹은 우리의 노하우로 만들 어 키워냈고, 경쟁력 있게 활동하고 있지 만, 소속사를 해외에 두고 있어 우리의 수

흐르는 것을 경계해야 한다는 지적도 있다.
음악전문
걸그룹이 글로벌 시장을 겨냥해 콘 셉추얼한 사운드와 영어 가사가
“



롯데플라자 마켓본사 승원
-그래픽디자이너
풀타임(월-금:
메릴랜드
구인
롯데플라자 마켓 본사 승원유통 함께 일하실 분
* 사무직원 (서류관리 인보이스 등 ) 주 32- 48시간 (주 5일 근무 가능)
* 현장 관리자 직원


결정 Max7576@hotmail.com 구인
서비스 가능
최가가격으로 모십니다 미국 어느 지역이든 OK 240.796.0093








Office Staffs(full time)
Korean/English(bilingual) Benefits & Paid Holiday 571-562-7136 703-649-4271 mcho@careadvantageinc.com

구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