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신문 THE MIJUCHOSUN E*NEWS





























1인 가구가 급증하는 가운데, 1인 가구
는 비1인 가구보다 건강하지 않은 식습관
탓에 생활습관병인 만성질환을 앓을 가능
성이 컸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1인 가구
의 잘못된 식습관 특징은 ▲아침 결식 ▲
영양소 섭취 부족이었다.
정밀영양협회는 ‘1인 가구 증가와 이에
따른 질병과 영양 불균형’ 보고서를 20일 발표했다. 동국대일산병원 가정의학과 오 상우 교수와 일산백병원 윤영숙 교수팀이 2007년부터 2021년까지 작성된 성인 7만 7565명의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분석 했다. 오상우 교수는 “이번 연구로 빠른 국 내 1인 가구의 증가가 비만과 만성질환자
급속한 증가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결론 을 얻었다”며 “1인 가구는 혼자 식사를 준
평가에 따른 세심한 맞춤형 영양 관리 가 필요하다”고 했다. ◇혼자 살면 대사질환 발병 위험 커져
가구는 비1인 가구보다 비만했고, 만성 질환 발병 위험도 더 컸다. 연구팀은
정상체중(체질량 지수 18.5 이상 25 미만),
비만(체질량 지수 25 이상 30 미만) 그리
고 고도비만(체질량 지수 30 이상) 유병률
을 분석했다. 그 결과 1인 가구에서 비만, 고도비만 유병률이 가장 높았고, 정상체중 은 가장 적었다. 정상체중은 3세대 이상 가
구에서 가장 많았다. 만성질환 비율도 1인
가구가 가장 높았다. 1인 가구는 비1인 가
구보다 ▲고중성지방혈증 15% ▲고콜레
스테롤혈증 24% ▲고혈압 26% ▲2형 당
뇨병은 29% 발병 위험이 더 컸다.
◇1인 가구 질병 위험 증가, 원인은 ‘잘 못된 식습관’
1인 가구 식습관을 따져보니 비1인 가
구보다 ▲아침 결식률이 높고 ▲비만과 질 환을 유발하는 지방·포화지방 섭취가 많
고 ▲건강에 이로운 식이섬유, 오메가3지 방산, 철분, 칼슘 등의 섭취량은 낮은 것으 로 나타났다.
▶아침 결식=아침 결식률은 나이가 젊을
수록, 1인 가구일수록 높았다. 특히 19~29
세에서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는데, 이 연
령층에서 1인 가구 아침 결식률은 68.2% 에 달했다. 비1인 가구도 49.8%로 높은 편
이었다. 다른 연령대에서도 1인 가구일수
록 아침 결식률이 높았다. 아침 결식은 여
러 연구에서 각종 대사질환의 원인이 된다 고 밝혀졌다. 강북삼성병원 가정의학과 강
재헌 교수팀의 연구 결과 아침을 먹지 않




은 사람은 먹은 사람보다 오히려 과체중이 거나 비만일 확률이 더 높았다. 우리 몸은
저녁 시간대로 갈수록 더 많은 열량을 비
축하려 해, 아침을 거르면 고열량 간식을
먹을 확률이 높아졌기 때문이다. 아침 식
사 빈도가 늘어날수록 대사증후군 유병률
은 감소했다는 김포대 보건행정학과 연구
팀 연구 결과도 있다.
▶건강한 영양소 섭취 부족=1인 가구는
비1인 가구보다 지방, 포화지방산, 단일·다
가불포화지방산, n-6계 지방산을 더 많이 섭취했다. 연구팀은 “1인 가구가 비1인 가 구보다 기름진 음식을 선호해 이런 결과가 나온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반면, 탄수화 물, 식이섬유, 칼슘, 인, 나트륨, 칼륨, 마그 네슘, 철분, 비타민 A, 베타카로틴, 비타민 B1, 나이아신, 엽산, 비타민C, n-3계 지방 산 등 양질의 영양소는 1인 가구가 비1인 가구보다 덜 섭취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생활 형태 따라 식습관 개선해야” 올바른 식습관이 어려워 만성질환을 앓
을 가능성이 큰 1인 가구는 큰 폭으로 증
가하고 있다. 연구팀 분석 결과, 지난 14년 간 1인 가구는 4.6%에서 13.9%로 약 3배 로 증가했다. 특히 젊은 연령층에서 상승
세가 가팔랐다. 19~39세 1인 가구는 같은 기간 3.2%에서 15.0%로 약 5배로 증가했 다. 자녀와 같이 살지 않는 노부부 인구도 증가했으나, 3세대 이상 같이 사는 가구
수는 감소했다. 오상우 교수는 “1인 가구 가 증가하면서 외식, 배달 음식, 즉석식품 의 소비가 증가하고 있다”며 “만성 질환 증 가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게 이번 분석 결과 확인됐으므로, 개인의 특성과 생활 형태에 맞춘 영양·생활 습관 개선과 환경 조성에 관심과 노력이 필요하다”고 했다. 한편, 이번 연구 결과는 제1회 정밀영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