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신문 THE MIJUCHOSUN E*NEWS
서울대 규장각, 6월 ‘암행어사 박문수’ 고령박씨 고문헌 수탁
역대 최대 수탁자료…예산 부족에 본격 연구작업은 ‘아직’
“혹 주선해서 선혜청의 일 잘 아는 아
전을 초치해서 꼭 찾아내 주시길 바랍니
다. (중략) 일이 성사되면 그가 의당(마땅
히) 수십 량의 돈을 해당 아전에게 보은할 것입니다.”
14일 서울대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이 수탁 중인 ‘구당가 소장자료’를 보
면 조선 후기를 대표하는 실학자 다
산 정약용(1762∼1836)이 광산 박종유 (1789∼1848)에게 서신을 보내 부탁하는
대목이 나온다.
정약용은 서신에 “세선(稅船) 복호(復戶·
잡세를 면제해줌) 문제는 유상(留相·광주
유수)이 말하길 ‘선혜청 사례등록 절목’(宣 惠廳事例謄錄節目) 중에 관련 문구가 있으
면 의당 이전 관찰사의 처분에 따라 시행
하겠다고 한다”고 적었다.
이어 “아마 ‘충주 가흥창 조선 절목’ 중 에 (복호에 대한 내용이) 있을 것이다. 이 미 본전세(本田稅)를 운반하니까 이 절목
이 혹 호조(戶曹)에 있을 수도 있겠다”며 “
꼭 형이 상세히 해당 아전에게 언급해 기 꺼이 찾아내달라”고 당부했다.
요약하자면 조세 제도인 대동법을 집행
하는 관청인 선혜청의 실무자를 찾아가 세
금으로 거둔 쌀을 배로 운반하는 일을 하
는 조운선 선주가 면세혜택을 받을 수 있 도록 법적 근거를 찾아봐달라고 부탁하는
내용이다.

강진군청이 제작한
‘동네 법률상담사’였다

다산 정약용이 광산 박종유에게 보낸 간찰.
자이자 이웃이었다.
두물머리 실학박물관 근처에는 박종유 의 집터가 남아있는데, 이 집터 동쪽에 정
약용의 생가인 여유당(與猶堂)이 있었다
고 한다. 현재는 팔당호에 잠겨 있다.
정약용보다 27세 어린 박종유는 정약용
陵詩社)라는 이름의 문학 모임을 만들기 도 했다. 정약용이 박종유에게 보낸 서신은 박문 수의 후손인 고령박씨 진사공파 집안이 지
난 6월 13일 수탁 협약을 맺고 규장각에
맡긴 구당가 소장자료의 일부다. 박문수의
증조부인 구당 박장원(1612∼1671)을 시작
서신이 작성된 시기는 정약용이 18년간 의 유배를 마치고 고향인 두물머리(오늘날 경기 양평군)로 돌아온 이후다. 서신을 통해 정약용이 고향에서 신분의 귀천을 따지지 않고 법률 조언을 해줬다는 점을 알 수 있다. 박종유는 조선시대 암행어사의 대명 사 격으로 현대인들에게 인식되는 박문수 (1691∼1756년)의 증손뻘로, 정약용의 제
석탑에 새긴 자물쇠·문고리 ‘포항 보경사 오층석탑’ 보물 된다
국가유산청, 보물 지정 예고…“조성 기록 명확·11세기 석탑 양식 확인”
부처의 가르침을 기리며 독특한 문양을
새긴 것으로 잘 알려진 포항 보경사 석탑
이 보물이 된다.
국가유산청은 ‘포항 보경사 오층석탑’을
보물로 지정할 계획이라고 13일 예고했다.
보경사 석탑은 높이가 약 4.6m에 이르
는 탑이다.
단층으로 된 기단 위에 탑의 몸돌인 탑
신석(塔身石)을 5층으로 올렸고, 지붕돌 역 할을 하는 옥개석(屋蓋石)을 뒀다. 탑 꼭대 기에는 사발 모양의 돌로 장식했다. 이 석탑은 고려시대에 만든 것으로 추
정된다.
사명대사 유정(惟政·1544∼1610)이 1588년 지은 ‘내연산보경사금당탑기’(內延
山寶慶寺金堂塔記) 기록에 따르면 1023년
에 사찰에 탑이 없어 5층 탑을 만들었다
는 내용이 있다.
기록에는 푸른빛을 띤 응회암, 즉 청석( 靑石)으로 탑을 조성했다고 전한다.
보경사 석탑은 탑 몸체에 새겨진 독특한
문양으로 잘 알려져 있다.
석탑의 1층 탑신석 정면에는 문비형과 자물쇠, 문고리 조각이 선명하게 표현돼 있
다. 문비형은 문틀이나 창틀에 끼워서 여
닫는 문이나 창의 한 짝을 형상화한 것이
다.
이런 문양은 석탑 내부에 사리가 있음을
의미한다고 국가유산청은 설명했다.
국가유산청 관계자는 “통일신라시대에
건립된 석탑과 승탑에서 시작돼 고려 때까
지 계승된 사리 신앙의 상징”이라며 “사리
를 섬기며 부처님의 가르침과 정신을 기리
기 위한 것으로 볼 수 있다”고 말했다.
석탑에서는 물이 탑의 몸쪽으로 흐르지
않도록 파둔 홈도 볼 수 있다.
1010년에 건립된 것으로 조성되는 보물
‘예천 개심사지 오층석탑’ 등에서 확인되 는 형태로, 통일신라부터 11세기까지 이어 진 고려 전기 석탑의 특징으로 여겨진다.
국가유산청은 “조성 시기에 대한 기록
이 명확하고, 11세기 석탑의 전형적인 조
영 기법과 양식 등이 잘 나타나 있어 역사·
학술적으로 가치가 크다”고 설명했다.
국가유산청은 예고 기간 30일 동안 각 계 의견을 들은 뒤, 문화유산위원회 심의 를 거쳐 보경사 오층석탑을 보물로 지정 할 계획이다.
으로 11대 300여년에 걸쳐 만들어져 구당 가 소장자료로 불린다. 구당가 소장자료는 가서(家書·집안 사 람끼리 주고받은 편지), 시고(詩稿·시의 초 고), 병록(病錄·병의 증세를 적은 기록), 교 첩(敎牒·5품 이하 관리로 임명될 때 받는 임명장) 등 5천153종 8천547점으로 이뤄 졌다. 규장각이 수탁한 자료 가운데 역대 최대 규모다. 고령박씨 집안 자료는 규장각 외에 성균 관대 존경각과 천안박물관에도 대량으로 소장돼 있다. 박종유의 외가인 평산신씨 집안 자료도 한국학중앙연구원에 기탁돼 있어, 이들 자 료를 함께 검토하면 조선 후기 경화사족 (京華士族·수도권에 사는 사족)과 양반의 생활상을 구체적으로

포항 보경사 오층석탑과 탑신부에 새겨진 문 비형 및 자물쇠 문양, 상륜부와 기단부(위쪽 부터 차례로).





세계자연유산 ‘용암동굴 신비’ 화보 발간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인 만장굴, 용천
동굴 등 용암동굴을 주제로 한 화보가 발
간됐다. 19일 제주도 세계유산본부에 따르
면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인 ‘거문오름용
암동굴계’를 화보로 담은 ‘어둠에서 빛으 로…14㎞의 여정’이 최근 나왔다.
거문오름용암동굴계는 2007년 한라산 과 성산일출봉과 함께 유네스코 세계자연
유산으로 등재된 지질학적 보물이다. 거문오름에서 분출한 용암이 월정리 바
닷가까지 약 14㎞를 이동하면서 형성한 용
암동굴군 등이다. 용암동굴군에는 벵뒤굴, 웃산전굴, 북오


름굴, 대림굴, 김녕굴, 만장굴, 용천동굴, 당
처물동굴 등 8개 동굴이 포함됐다.
이번 화보에는 8개 동굴에서 촬영한
130여점의 사진이 수록됐다.
동굴 입구와 내부 경관, 미지형(작은 기
복이 있는 지형), 동굴 생성물, 동굴 내부 생태계 등이 생생하게 담겼다. 또 제주도 용암동굴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거문오 름용암동굴계에 대한 설명과 용암동굴의 형성 과정, 동굴 내부의 대표적인 생성물 과 구조에 대한 해설을 수록했다. 비공개로 볼 수 없는 용암 동굴을 화보 를 통해 간접적으로나 체험할 수 있다. 강석찬 제주도 세계유산본부장은
는 ‘문화유산의 보존 및 활용에 관한 법률’ 에 따라 강력히 대응할 것”이라고 밝혔다.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인 선릉이 최근 훼손된 사건과 관련해 국가유산청이 폐쇄 회로(CC)TV 추가 설치와 외곽 순찰 강화 등 보안을 강화하기로 했다.
국가유산청은 19일 궁궐과 조선왕릉에 서 경비 사각지대를 줄이기 위해 추가로 폐쇄회로(CC)TV를 설치해 불시침입에 대
응하는 체계를 구축하겠다고 밝혔다.
국가유산청은 이번에 훼손된 선릉의 경
우 CCTV를 모니터하는 관리사무실과 왕 릉 간 거리가 다소 먼 점을 감안해 이달 중
으로 총 4곳의 외곽 담장에 동작감시 기
능과 경고음을 발송할 수 있는 인공지능
CCTV를 추가로 설치할 예정이다. 선릉에
는 현재 21곳에 CCTV가 설치돼 있다.
국가유산청은 또 범죄에 취약한 시간대 인 오전 2∼4시 외곽 순찰을 강화하고 위 험 지역의 보안등 조도를 높이는 등 선릉 과 정릉의 외곽 경비 강화 방안을 경찰 등
과 논의할 계획이다.
국가유산청은 “국가유산 훼손에 대해서

경찰에 따르면 지난 14일 오전 2시30 분께 서울 강남구 삼성동에 있는 선릉 세 종대왕릉에 침입한 50대 여성 이모씨가 봉분에 주먹 하나 크기의 구멍을 파 훼 손했다.
선릉은 조선의 9대 왕인 성종과 그의 세 번째 왕비 정현왕후 윤씨가 묻힌 능으 로 2009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등 재됐다.



롯데플라자 마켓본사 승원
-그래픽디자이너
풀타임(월-금: 7:30am~5:00pm)
메릴랜드
이력서
chankim@lotteplaza.com
롯데플라자 마켓 본사 승원유통 함께 일하실 분 * 사무직원 (서류관리 인보이스 등 ) 주 32- 48시간 (주 5일 근무 가능) * 현장 관리자 직원 및 입출고 관리 주


결정 Max7576@hotmail.com 구인


OK 240.796.0093








Office Staffs(full time)
Korean/English(bilingual) Benefits & Paid Holiday 571-562-7136 703-649-4271 mcho@careadvantageinc.com
구인
HELPER, TECHNICIAN
(L&B Universal) 703-678-1749









아부다비는 7개의 토호국이 뭉쳐 만들
어진 나라 아랍에미리트(UAE)의 수도다.
두바이와 달리 관광산업에는 크게 신
경 쓰지 않던 아부다비가 최근 달라지기
시작했다.
사람들을 깜짝 놀라게 할 만한 관광 명 소들이 부쩍 늘어나며 관광·레저의 중심
지가 되고 있다.
거친 사막 사파리 등 모험적 요소에다 럭셔리의 끝판왕인 8성급 호텔과 아부다
비 루브르 등 문화적 요소까지 가미되면 서 아부다비의 매력은 그 끝을 알 수 없 게 한다.
◇사막 한가운데서 ‘다카르 랠리’ 느낌
을 맛보다
하얀색 도요타 랜드크루저가 모래 언 덕을 붕 날았다 떨어지며 미끄러진다.
거짓말 하나도 안 보태 45도 각도는 되
는 듯했다. 탑승한 사람들의 괴성이 차량
내부를 쩌렁쩌렁 울렸다.
프랑스의 모험가 티에르 사빈이 만든 ‘
다카르 랠리’에 참가한 느낌이었다. 촬영
을 위해 차창을 열었더니 모래가 사정없
이 들어온다.
서둘러 창문을 닫았다. ‘사막 사파
리’(Desert Safari) 경험이었다.
동물들을 관찰하는 아프리카 사파리
와는 사뭇 다르다.
사륜구동 차량 하나에 의존해 사막 한
가운데로 들어가 광활하고 거친 대자연
을 오롯이 즐긴다.
랜드크루저 차량 바퀴가 사막의 모래

에 빠지지 않는 것은 사막 초입에서 바람
을 빼기 때문이다.
바람이 적당하게 빠진 차량은 접지력
이 좋아져 모래에 빠지지 않고 마음 놓고
'분노의 질주'를 할 수 있게 된다.
이날 방문한 곳은 아부다비시에서
80km 떨어진 알카팀 사막이다.
아부다비와 알아인 사이에 있으며, 오 프로드 라이딩에 최적의 장소 가운데 하 나다.
차량에는 대여섯명의 인원이 타게 되는 데 조수석이 가장 짜릿하다.
차량 운전자가 높다란 사구 위로 차를
몰고 올라가더니 곧장 아래로 차를 곤두
박질치게 했다.
마치 낭떠러지 아래로 떨어지는 듯한
느낌을 받는다.
그러더니 다시 위로 솟구쳐 또 다른 언
덕을 향한다.
20여분가량 진행된다던 사막 사파리
코스는 40여분 넘게 이어졌다.
승객의 환호성이 높아질수록 운전자는
더 신이 나서 운전하고 모험은 극한으로 치닫는다.
◇사막 한가운데서 나를 마주치다
청마 유치환은 시 ‘생명의 서’에서 ‘병든
나무처럼 생명이 부대낄 때 저 머나먼 아
라비아의 사막으로 가자’고 노래했다.
보이는 것은 하늘과 모래벌판뿐인 광활
한 사막. 누구나 시처럼 마음만 먹으면 그
런 사막으로 달려갈 수 있을 것 같다.
고함을 지르다 목소리가 쉴 때쯤 되자
사막 한가운데 잠시 멈춘 뒤 풍경을 감상 할 시간을 준다. 차 밖으로 내렸더니 모래 가 너무나 곱다.
잠시였지만, 보이는 것은 지평선뿐인
사막에 서니 묘한 느낌이 든다.
그야말로 사막 한가운데 홀로 뚝 떨어 진 것 같은 느낌이다.
물론 다른 차들과 승객들이 있었지만, 고립감은 마찬가지였다. ‘여기서 혹시 조 난이라도 당한다면 살아 나갈 수 있을까’ 등등 별생각이 다 들었다.
맨발로 사막의 모래를 느껴보는 사람 들도 있었고, 기념 촬영에 전념하는 사 람도 있었다.
이어 들른 낙타 농장은 귀여운 낙타들
이 사막 한가운데 모여있는






내륙과 아프리카까지 사 막에서 유목 생활을 하는 아랍인들을 베 두인이라고 한다.
◇사막 한복판에서 펼쳐진 베두인 연 회 베두인 캠프에서는 피부에 천연 도료 인 헤나로 아랍 전통 문양을 새기는 타투 도 경험해볼 수 있다. 원한다면 베두인 전통 의상 체험도 가 능하다.
사막 사파리 최적의 시기는 원래 우리 나라의 겨울에 해당하는 11∼3월 사이 다. 필자가 방문했을 때는 한여름이어서 무척이나 무더웠다. 베두인 천막 내부는 더 더웠다. ⇬7면으로 이어집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