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신문 THE MIJUCHOSUN E*NEWS

2034년 국제
축구연맹(FIFA)
월드컵 개최권을
사실상 따낸 사
우디아라비아의
월드컵 경기장
중 한 곳이 한국
인 건축가의 설계
로 지어진다.
3일 외신에 따

르면 최근 사우디아라비아는 FIFA에 11개
축구장 신축 계획을 제출했다. 이 중 수도
리야드에 신축되는 8개 경기장 가운데 4
만5천여석 규모인 ‘뉴 무라바 경기장’의 내
부 설계를 영국에서 활동하는 박태원(38 사진) 건축가가 맡는다.
박 건축가는 일종의 지명설계경쟁 방식
으로 진행된 공모에서 적층된 사막 평원과
사우디아라비아의 대표 수종인 아카시아
의 형태와 껍질 질감에서 영감을 받아 유
기적이고 비대칭적인 형태의 내부 설계안
을 제시해 채택됐다. 사우디아라비아의 무
함마드 빈살만 왕세자가 직접 설계안을 채 택한 것으로 알려졌다.
박 건축가는 “기존의 관습적인 경기장
설계에서 벗어나 마치 박물관이나 갤러리
에서 볼 수 있는 공간 경험을 할 수 있도록
설계했다”고 설명했다.
박 건축가는 2032년 완공 예정인 이 경
조선시대 공주가 혼례를 올릴 때 어떤
옷을 입었는지 살펴볼 수 있는 유물이 국
가유산(옛 문화재)이 된다.
국가유산청은 복온공주(1818∼1832)의
혼례복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되는 ‘복
온공주가(家) 홍장삼과 대대’를 국가민속
문화유산으로 지정할 계획이라고 1일 예
고했다.
복온공주는 조선 순조(재위 1800∼1834)
와 순원왕후 김씨의 둘째 딸이다. 1830년 김병주(1819∼1853)와 가례(嘉
禮·경사스러운 예식 또는 왕실 가족의 혼 례를 지칭)를 올렸으나, 2년 뒤 세상을 떠 난 것으로 전한다.
이번에 국가민속문화유산으로 지정 예 고된 유물은 김병주의 후손인 안동 김씨
집안에서 대대로 보관하며 혼례복으로 사
용한 예복과 장식띠 2점이다.
가례를 준비하는 과정과 진행 순서 등 을 기록한 ‘복온공주가례등록’(福溫公主嘉
禮謄錄)에는 혼례용 예복으로 길이가 긴
홍색 옷, 즉 홍장삼을 준비했다고 돼 있다.
홍장삼과 대대는 화려한 장식 기법과 문 양이 돋보이는 예복이다.
곳, 한국인 건축가가


기장의 인테리어를 책임지고 이끌게 된다.
그는 2014년 아주대 건축학과를 졸업한
뒤 2017년 영국 왕립예술학교(RCA)에서
건축석사 공부를 시작했다. 이후 영국 최
고의 건축 학교로 꼽히는 영국 유니버시
티칼리지런던(UCL) 바틀렛 건축학교에서
왕립건축가 과정을 마쳤다. 국내에서는 지 난해 한글주간을 맞아 서울 국립한글박물 관 잔디광장에 ‘파빌리온 이음’을 선보이기 도 했다. 박 건축가는 사우디아라비아 측과 계약 관계를 들어 자신이 속한 회사 이름을 공
개적으로 밝히지 않았다. 다만 1946년 설립된 이 회사는 영국에 본사를 두고 주 로 유명 건축가와 협업해 엔지니어링을 하지만, 이번 뉴 무라바 경기장 프로젝 트는 설계부터 엔지니어링까지 모두 담 당한다고 소개했다. 박 건축가는 이 회 사 본사의 6천명 직원 중 유일한 한국 인 건축가다. 박 건축가는 자신의 설계안이 채택된 데 대해 “이 프로젝트는 내게 큰 영감과 도전 을 줬다”면서 “비전이 현실로 다가올 기회 가 주어져 감사하다”고 말했다.

△복온공주가(家) 홍장삼. ▷복온공주가(家) 홍장삼의 자수
조선 왕실에서 홍장삼은 후궁과 공주·옹 주(翁主·후궁이 낳은 왕의 딸을 뜻함), 왕 자의 부인 등이 혼례복으로 착용한 것으 로 알려져 있다.
이다.
길이가 330.5㎝에 이르는 대대는 홍장 삼을 착용할 때 가슴 부분에 두르는 장식 용 띠로, 암수가 짝을 이룬 봉황이 금박으 로 장식돼 있어 가치가 크다.
당초 홍장삼은 복온공주가 입었던 혼례 복 혹은 ‘복온공주의 예복’으로 알려져 있 었다.

복온공주가의 홍장삼 역시 앞·뒷면에 모 란, 연꽃을 비롯한 다양한 화초와 나비 문 양 등이 수 놓여 있다. 각 문양은 부부의 화합, 장수, 자손 번창 등을 바라는 상징

기된 바 있다.
논문은 “안동 김씨 집안에서 5대에 걸 쳐 혼례복으로 사용하는 과정에서 훼손됨 에 따라 20세기 전기에 수선했다고 한다” 며 제작 시기를 제대로 살펴봐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를 토대로 조사한 결과, 홍장삼 등은 여러 차례 수선이 있었으며 옷 형태나 구 성법, 자수 문양 등은 19세기 말∼20세기 초 형식을 나타내는 것으로 추정된다. 국가유산청 관계자는 “현재 남아있는 홍장삼은 상당 부분 변형이 된 상태라 당 대 모습 그대로라고 보기 어려워
그러나 2021년 국립고궁박물관이 펴낸 학술지 ‘고궁문화’에 실린 ‘복온공주 활옷 의 자수편과 문양 분석을 통한 연대 추정’ 논문에서는 이 옷이 훼손됐을 가능성이 제


롯데플라자 마켓본사 승원
-그래픽디자이너
풀타임(월-금: 7:30am~5:00pm)
메릴랜드
이력서
chankim@lotteplaza.com
롯데플라자 마켓 본사 승원유통 함께 일하실 분 * 사무직원 (서류관리 인보이스 등 ) 주 32- 48시간 (주 5일 근무 가능) * 현장 관리자 직원 및 입출고 관리 주


결정 Max7576@hotmail.com 구인


OK 240.796.0093








Office Staffs(full time)
Korean/English(bilingual) Benefits & Paid Holiday 571-562-7136 703-649-4271 mcho@careadvantageinc.com
구인
HELPER, TECHNICIAN
(L&B Universal) 703-678-1749










체코 모라비아 지역은 아직 한국인에게
덜 알려진 숨은 보석 같은 곳이다.
프라하에서 승용차로 2시간 30분가량
달리면 모라비아에 다다른다.
체코 특유의 낮은 구릉 지역이 끝없이
펼쳐졌다.
평지만 지속된다면 따분할 수밖에 없
는 풍경이지만, 이렇게 구릉이 만들어내
는 입체감은 햇볕과 구름에 따라 끝없이 달라진다.
스메타나가 왜 ‘나의 조국’을 작곡했는
지 느껴지는 순간이었다.
머릿속으로는 ‘나의 조국’ 멜로디가 흥
얼거려졌다.
절경에 취해 달리다 뜻밖의 풍경을 만 났다.
보랏빛으로 물든 평원이 눈에 들어온 것이다.
파켈리아 타나케티폴리아라는 꽃이 만
들어낸 풍경이었다.
이 작물은 일반적으로 포도밭과 농경
지에서 재배되며, 거름용 또는 관상용으
로 기른다.
모두 차에서 내려 환호성을 지르며 사
진 촬영에 여념이 없었다.
체코의 또 다른 얼굴을 만난 느낌이었다.
짧은 순간이었지만, 체코에서 마주쳤던 강렬한 흥분이기도 했다.
모라비아는 매년 4∼5월이면 유채가 만 발한다.
구릉지대를 배경으로 짙은 녹색과 유채 가 만들어내는 풍경은 모라비아에서만 접 할 수 있다.
모라비아를 또 찾아야 할 이유다.
◇끝없이 열리는 축제들
이날은 모라비아의 작은 마을 블치노프 에서 열린 유네스코 무형 문화유산인 ‘왕
들의 기마행렬’ (Ride of the Kings) 축제 에 참여하기 위해 가던 중이었다. 매년 5월 마지막 주에 열리는 이 축제는 오순절 전통의 하나로, 전통 복장을 하고 말을 탄 청년들이 마을을 한 바퀴 도는 것 이 하이라이트다.
풍작과 농장의 번영을 기원하고, 젊은이 들을 사회 일원으로 초대한다는 것이 축 제의 목적이다.
소년들이 소녀들의 집을 방문하는 통과 의례도 있다.
10살∼15살 사이의 소년 왕은 여성용 민속 복장을 한 채 말을 탄다.
2명의 시동과 왕실 기마대가 왕을 호위
하며 마을을 통과한다. 적으로부터 왕을 보호하기 위해 일부러 여장을 시킨 전통에 따른 것이라고 한다.
이어지는 동안 작은 원형극장에 서는 흥겨운 음악 공연도 펼쳐진다. 몇 시간의 기마행렬이 끝나면 모두 모 여 음악과 춤이 가미된 연회를 즐긴다. 축제 기간 내내 벼룩시장 등이 이곳저 곳에서 열린다. 수제 잼과 수공예품 등을 만날 수 있다.
모라비아에서는 매년 봄부터 여름까지 내내 이런 축제들이 펼쳐진다. 날짜를 잘 맞추면 순수한 청년들이 주 인공이 되는 축제에 참여하는 행운을 누 릴 수 있다.
◇잘 맞았던 모라비아의 음악 모라비아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