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MijuChosun_052424

Page 1

전자신문 THE MIJUCHOSUN E*NEWS

2024년 5월 24일 금요일 A5 전면광고 www.friendshcteam.org 8 571-424-7527 friendshcteam@gmail.com 8003 Forbes PL. #200 Springfield, VA 22151 800-350-3147 friendshcteam@gmail.com 8003 Forbes PL. #101 Springfield, VA 22151
2024년 5월 24일 금요일 A6 전면광고
2024년 5월 24일 금요일 A7 전면광고
2024년 5월 24일 금요일 A9 전면광고
2024년 5월 24일 금요일 A12 전면광고

아가페 노인복지센터 홈케어 데이케어 703.354.6767

미주조선 특집 www.mijuchosun.com

허리가 아플 때면 운동해도 괜찮을지 고

민하게 된다. 운동으로 허리 근육을 키워

야 할 것 같지만, 섣불리 운동했다가 더 다

칠까 걱정이다. 허리 통증이 있을 때 운동

하는 게 도움이 될까?

우선, 허리 통증이 지속한 기간에 따라

다르다. 허리 통증은 보통 강한 통증이 4

주 미만 이어지면 급성기, 4주에서 12주까

지 지속되면 아급성기, 12주 이상 오랫동

안 아프면 만성기 질환으로 분류한다.

만성기 환자라면 운동하는 게 좋다. 실

제로 캐나다 근로건강연구소 연구팀은 총

6390명을 대상으로 61건의 임상시험을 진 행해 분석했다. 그 결과, 연구팀은 만성 허 리 통증 환자가 운동했을 때 통증이 완화

되고 허리 기능 회복이 빨라진다는 것을 확인했다. 아급성 허리 통증 환자는 운동 강도를 서서히 올려야 통증 완화 효과를

볼 수 있었고, 급성 허리 통증 환자는 운동

하든 안 하든 큰 차이가 없었다.

운동 효과가 분명하지 않은 급성기 환자

는 운동하기 전에 정확한 원인을 파악하

는 것이 더 중요하다. 임의로 운동하다간

오히려 더 큰 손상을 입을 수 있기 때문이

다. 가장 흔한 질환인 염좌나 근육통이 원

인이라면 소염제를 복용하며 안정을 취하 고, 통증이 완화됐을 때 가벼운 운동을 시

운동해도 괜찮을까? ‘이 운동’은 도움 돼

로 운동을 시작해 서서히 강도를 올려 나 간다. 척추관협착증처럼 만성기 통증을 유

발하는 척추질환이 원인이라면 보존적인

치료나 수술로 근본적인 원인을 해결해야 한다. 이후 1개월 정도 휴식을 취하고 운

동하면 된다. 허리 주변 근육을 풀어주는 스트레칭을 하면 허리 통증을 줄일 때 도움이 된다. ▲

작하면 된다. 통증이 생긴 지 한 달이 지나 아급성기에 들어섰다면 걷기 등 낮은 강도

엎드려서 허리 펴고

세트 반복하면 된다. 굿모닝 운동은 등배 운동과 스쿼트 운동을 혼합한 것이다. 다 리를 어깨너비만큼 벌리고 똑바로 서서 엉 덩이를 뒤로 빼며 상체를 앞으로 구부린 다. 인사하는 것처럼 구부린 상태에서 무 릎을 구부려 앉을 수 있는 만큼 최대한 앉 는다. 엉덩이를 뒤로 빼면서 상체를 앞으로 구부리는 동작을 다시 취하고 1초간 멈춘 후 무릎을 펴며 일어난다. 마찬가지로 5~7 회 3세트 진행한다. 허리는 펼 수 있는 만 큼 펴고, 동작은 최대한 천천히 수행한다. 이외에도 허리에 좋은 운동으로는 걷기, 자전거, 수영 등이 있다. 특히

허리를 구부린다. 이 자세를 5~7회 3

나이가 들수록 근력운동이 중요하다. 근 육은 30세를 기점으로 정점을 찍은 이후 10년간 3~5%씩 감소한 뒤 40대부터는 매 년 1%씩 줄어들기 때문이다. 이렇게 근육

이 줄면 골절, 낙상사고 위험이 커진다. 하

체 근육이 부족하다는 신호와 함께 하체

근육을 단련하는 데 효과적인 방법을 알

아본다.

◇걸을 때 비틀거리고, 걷는 거리도 줄

어들어

나이가 들면 근육이 자연스럽게 감소하 면서 하체 근육도 함께 줄어든다. 하체 근

육이 부족하면 뼈와 관절에 이상이 생겨

무릎, 허리 통증을 유발한다. 또 혈액순환

이 원활하지 않아 성기능에도 문제가 생길

수 있다. 하체 근육이 줄어들 때 생기는 증

상은 다음과 같다. ▲아무리 바지를 올려

입어도 엉덩이 부분이 헐렁해진다 ▲딱딱

한 의자에 앉으면 엉덩이가 아프다 ▲전립 선 질환이 생겼다 ▲걸을 때 일직선으로 걸으려 하면 나도 모르게 비틀거린다 ▲괄

약근이 약해져 소변이 샐 때가 있다 ▲다

리가 시리거나 저리다 ▲한 달 이상 성욕 이 없다 ▲걷는 거리가 3분의 1 이상 줄었 다. 의자에 앉았단 일어서는 것으로도 근 육이 부족한지 알 수 있다. 유럽노인병학회 에서 발표한 ‘근감소증 새로운 진단 기준’ 에는 앉았다 일어서기 속도가 포함된다. 의 자에서 앉았다 일어서기 5회를 15초 안에 할 수 있어야 한다.

◇근력 운동과 함께 단백질 섭취해야 하체 근육을 키우려면 근력 운동이 필 수다. 대표적으로 스쿼트와 런지가 있다.

스쿼트는 양발을 어깨너비로 벌리고 서서 무릎이 발가락보다 앞으로 나오지 않도록 엉덩이와 허벅지 힘을 사용해 앉는 동작

이다. 무릎 각도가 최대 90도를 넘지 않 도록 한다. 런지는 똑바로 서서 한쪽 다 리를 앞으로 내디딘 다음, 허벅지가 바닥 에 평행이 될 때까지 낮추는 운동법이다. 매일 스쿼트 15개, 런지 양발 20개를 3세 트 반복하면 하체 근육을 단련할 수 있다. 어렵다면 적게 시작해 조금씩 횟수를 늘 리면 된다. 근력 운동과 함께 유산소

하 루에 60g의 단백질을 섭취하면 된다. 만 약 근육이 이미 많이 빠진 근감소증 상 태라면 체중 1kg당 1.2~1.5g의

THE MIJUCHOSUN 2024년 5월 24일 금요일
구부리기 ▲굿모닝 운 동 등을 하면 좋다. 엎드려서 허리 펴고 구 부리기는 배를 바닥에 대고 엎드린 자세에 서 시작한다. 양손으로 바닥을 짚고 팔꿈 치를 편 채로
한 쭉 펴 2초 동안 자세를 유지한
빼며
허리를 펼 수 있는
뒤, 엉덩이를 뒤로
문에 허리에 가는 부담을 줄일 수 있다. 수 영 영법 중에는 자유형이 가장 허리에 무 리를 주지 않는다. 반대로 허리에 안 좋은 운동으로는 배드민턴, 탁구 등이 있다. 사 람과 충동할 수 있는 농구, 배구, 축구도 허 리가 아플 땐 피하는 것을 권장한다. 허리
엎드려서 허리 펴고 구부리기와 굿모닝 운동.
수영은 부력 이 있어 체중 부하가 3분의 1가량 줄기 때
아픈데
운동 도 병행하면 더욱 효과적으로 근육을 키 울 수 있다. 근력 운동과 함께 단백질 섭취도 중요
일일 단백질 권장 섭취량은 체 중당
60kg의 성인이라면
단백질 을 섭취하는 게 좋다. 단백질은 동물성 단백질과 식물성 단백질을 골고루 섭취 해야 한다. 걸을
걸을 때 나도 모르게 비틀거리고, 걷는 거리가 3분의 1 이상 줄어들었다면, 하체 근육이 부족 하다는 신호다.
하다. 성인
0.8~1g이다.
때 ‘이런 증상’ 나타난다면 당장 ‘하체 운동’ 시작하라는 신호
C3 2024년 5월 24일 금요일 전면광고 . . . . . . . . . . . . . . . 703-988-2044 4215 Evergreen Lane, Annandale, VA 22003 703-649-4271 7018-5A Evergreen Ct., Annandale, VA 22003 www.youngshc.com / tlee@youngshc.com
C5 2024년 5월 24일 금요일 전면광고
C9 2024년 5월 24일 금요일 전면광고
C12 2024년 5월 24일 금요일 전면광고

Turn static files into dynamic content formats.

Create a flipbook
Issuu converts static files into: digital portfolios, online yearbooks, online catalogs, digital photo albums and more. Sign up and create your flip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