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가 어렸을 때 누구나 한 번쯤은 읽
었음직한 “정글 북”. 그 유명한 책의 저자
러디어드 키플링(Rudyard Kipling: 영국
의 소설가겸 시인. 1865년-1936년, 1907
년 노벨문학상 수상)은 이렇게 말했다 동
(東)은 동이요 서(西)는 서다. 이 둘은 결코
만나지 않으리라(East is East and West is West and never the train shall meet).
필자는 “세계는 넓고 할 일은 많다” 라
는 책의 저자이며 지금은 사라진 대우그
룹의 창업자인 고 김우중 회장의 말씀을
따라 세상이 좁다 하고 이 세상을 누비던
1970-80년대에는 키플링의 이 말을 믿지
않았다. 당시의 일본을 가보면 그들은 이
미 서구의 물질문명의 혜택을 그대로 누
리는 듯했으며 홍콩을 가보면 그곳에서는
두세 사람 건너 외국인들로, 동서양의 인
종들이 뒤섞여 잘 살아가는 듯 보였기 때
문이었다. 그때 필자가 느낀 점은 홍콩은
이미 “동양 속 서양” 느낌이었으며 그리고
지금 필자가 살고 있는 이곳 밴쿠버에서
는, 이곳은 분명히 지리상으로는 서양인
데, 특정 장소에서는 동양인들이 피부가
희고 눈이 파란 서구인들 보다 더 많이 눈
에 띄기도 한다.
1970-80년대 홍콩이 이미 동양 안의 서
양이었다면 이곳 밴쿠버는 서양 안에 있
는 동양의 도시라고 할 수 있겠다. 이런 환
경에 잘 적응하였는지 필자는 이 곳에 살
면서도 외국에 살고 있다는 느낌은 특별
히 없었다. 물론 이것은 이민 온지가 이미
23년이라는 세월이 흘렀기 때문이기도 하
겠지만.
그러다 바로 엊그제 위에서 언급한 키
동 과 서 (東 과 西)
플링의 동은 동이고 서는 서다. 이 둘은
결코 만나지 않으리라라는 말을 통감하
게 된다.
이야기는 어느 날 로히드몰 근처 어느
아파트 주차장에 차를 주차하는 데서부터
시작한다. 주차면이 두 개가 남아 있어 그
중 하나에 주차를 하고 일을 보고 나오니
바로 옆에 주차하였던 흰색 포드 F- 150
픽업 트럭이 차를 빼려고 해서 그 광경을
지켜보고 있었다. 물론 그런 트럭을 모는
사람은 백인 중산층 남자들이 대부분이
다. 그때 그는 너무 급했는지 아니면 방심
하였는지 후진을 하다 그의 차 뒤 타이어
가 필자의 차 후미를 스쳤다. 차 후미에 타
이어 자국이 선명하게 드러났다. 필자는
그 광경을 직접 목격하였으며, 그 백인 운
전자도 그것을 느꼈는지 일단 차를 완전
히 뺀 후, 약 20m 정도 떨어진 안전한 곳에
차를 세우고 차에서 내려 자신의 차를 들
여다보고 난 후 나와 눈이 마주쳤다.
필자는 당연히 서로 사고 내용을 확인
해야 한다는 생각에 일단 나에게 오라는
손짓을 했다. 그것을 본 그 백인 운전자는
알았다는 듯하더니 차를 타고 그냥 가 버
렸다. 엄청 화가 났지만 그 차는 이미 사
라져 버리고 애매한 표정을 짓고 있는 필 자에게 바로 옆에 있던 전혀 모르는 사람 이 친절히 그 흰 차의 플레이트 넘버를 알 려 준다. 그런 고마운 사람이 가끔씩 등장 한다. 감사를 연발하며 혹시 차량 번호를 잊을까 메모지에 적어 놓고 집에 돌아와
ICBC(BC주 자동차보험회사)에 연락한다.
담당자에게 흰색 뺑소니 차 이야기와 그
차량 번호를 이야기해 줄 때는 그런 사람
은 벌을 좀 받아야 한다고 기고만장 하기
도 했다.
당연히 담당자는 그 차량을 수배해 서 결과를 알려 주겠다고 했다. 다음 날
ICBC 담당자로부터 전화가 왔다. 그 흰
색 F-150 운전자와 통화를 하였는데 그
도 사고를 알았고 자기 차를 체크해 보니
아무 상처도 없었으며 또 나와 눈이 마주
쳤을 때 내가 보낸 손짓이 내 차도 아무 상
처가 없으니 그냥 가라는 신호였다고 주
장했다고 하였다. 그게 아니고 필자는 분
명히 나에게 와서 함께 피해 정도를 확인
하자고 보낸 신호였다고 강하게 이야기하 니 그럼 다시 한번 그 사람에게 확인하겠 다고 한다. 곧 이어 온 전화는 역시 그 백 인 남성은 필자가 아무 문제가 없으니 그 냥 가라는 수신호를 보냈다고 강력히 주 장한단다.
그날 일단 전화로 알았다고 하고 전화 를 끊고 나서 내가 한 행동을 차분히 되짚 어보니 짐작이 가는 게 있었다. 그때 내가 그에게 보낸 수신호가 잘못된 것이었다. 우리(한국에서는)는 누구를 나에게 오 라고 손짓할 때 손등을 위로 향하고 손바 닥과 손가락은 아래로 향하고 손등을 수 차례 구부렸다 편다. 그러나 이곳에서는 똑같이 누구를 나에게 오라고 호출할 때 손바닥을
수신호 하나 제대로 익
못하였다니. 세살 버릇
간
그 말이 꼭 맞았다. 그래서 그때의
수리비용(큰 비용은 아니었다)은 온전
내 차지가 되었다. 키플링의
이와 관련해서 자칫 잘못하면 오해를 받을 수
동서양의 인식
들어 보게 되었는데 이게 의외로 많았다. 역시 동은 동이요 서는 서였다. 나의 이야기를 들은 교우가 자신의 이 야기를 들려준다. 어느 날 메트로타운 스 카이 트레인 플랫폼에서 일이다. 제법 타 고 내리는 승객이 많았던 날이었는데 앞 에 휠체어를 탄 사람이 있어 자신이 전동 차에 타는 김에 그 휠체어를 밀어주며 함 께 전동차를 탔다. 그런데 차 안에서 본 그 의 표정은 별로 달갑지 않은 것 같았다. 응
당 고맙다는 말을 기대했던 그는 자신이
무엇을 잘못했는지 궁금했다. 그 후 우연
히 이곳에서 오래 동안 영어를 가르쳤던
분을 만나 위의 이야기를 했더니 그 영어
선생 말은 그 때 그 휠체어 탄사람이 자력 으로 오르도록 내버려 두었어야 했단다.
*전문은 www.vanchosun.com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생의 서랍
차곡 차곡 접시에 담긴 샐러드를
포크대신 젓가락으로 집는다
복잡하게 얽힌 내 생도 둥근 접시만큼 관대하지 않다
맑게 튀어 오르는 상상이
젓가락 사이로 새어 나간다
생의 서랍속에 잠든 큰 꿈
아직 이루지 못한 소망
샐러드가 놓인 관대한 접시 젓가락에 튕겨 나간 샐러드를
다시 집어 보리라







직장인 최모(52)씨는 최근 몇 달간 깊은 잠을 이루지 못하고 있다. 잠드는 데는 큰 문제가 없지만, 한두 시간이 지나면 깨기를 반복했다. 아침에 일어나면 온몸이 뻐근해 개운하지 않고, 하루 종일 피로함을 이겨내 기 위해 커피를 생명수처럼 끼고 다녀야 했 다. 최씨는 “자고 싶어서 병원을 찾았고, 특 별한 이상이 발견되지는 않았다”면서도 “의 사는 만성적인 근육 긴장을 이완시키고, 수 면 환경을 바꿔보라고 조언했다”고 했다. 근육이 긴장된 상태로 유지되면 뇌도 각 성 상태를 유지해, 숙면을 취하기 어렵다. 이 땐 자기 전 간단한 스트레칭이 도움이 될 수 있다. 콰트 김하정 운동지도사의 도움말 로, ‘전신 이완 스트레칭’을 소개한다. 콰트 는 필라테스, 스트레칭, 유산소·근력 운동 등 운동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건강관리 통 합 플랫폼이다.
◇수면 시간보다 중요한 ‘質’ 우리나라 사람들의 수면 질은 낮은 편이 다. 지난해 12월 미국 스마트 기기 업체 가 민은 자사 제품을 통해 기록한 세계인의 건 강과 피트니스 활동 분석 정보를 발표했다.

우리나라 평균 기대수명은 83.5세지만 건강수명은 66.3세로, 약 17년은 건강하지 못한 삶을 살게 된다는 의미다(통계청 ‘생 명표’ 자료). 이런 흐름 속에 건강하게 나이 드는 방법이 주목받고 있다. 미국 폭스뉴스 의 웰에이징 전문가들은 “노화가 곧 쇠퇴를
구성되는지
주요하며, 이는 정신·신체적 기능 회복과 직접적으로 연관된다. 오래 자더라도 수면 의 질이 떨어지면, 수면의 건강 효과를 누 릴 수 없는 것이다. 수면의 질이 떨어지면 단순 피로감뿐 아니라
때 코로 깊게 마시고, 긴장을 풀며 입을 천천히 내쉰다.
전 2세트 실시한다.
▶주의할 점=허리에 통증이 있다면 다리

‘안 아픈 노년’ 위해, 지금부터 실천하면
의미하지 않는다”며 최적의 건강 상태로 장 수하는 ‘수퍼 에이저’가 되기 위한 일곱 가 지 방법을 정의했다.
◇긍정적인 태도 수퍼
지니는 것이다.
웰에이징 전문가 데
크라빗 박사는 “긍정적인 태도를 가
스트레스가 줄면서 체내 염증 수 치가 감소한다”며 “노화 관련 여러 질병의 주요
박 사는 “건강한 장수에 대한 연구가 끊임없이
전반적인 신체
“한 번
하루에 5분씩
좋은 7가지
극권 검술을 시작했는데 아직까지 뇌 건강 을 유지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목표 수립 새로운 목표를 세우고 달성하기 위해 노 력하자. 울프 박사는 “꼭 직업적인 목표가 아니더라도 자원봉사, 새로운 학문 배우기, 부업 등 무언가에 집중하고 즐길 수 있는 목 적을 세울 것”이라며 “목표를 추구하는 것 이 몸과 정신을 더 건강하게 유지하는 원동 력이 된다”고 말했다.
◇주변 관계 가족, 친구, 지인 등 주변 사람들과의 관 계 유지도 중요하다. 지인들과의 상호작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