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록해윰 - 기록을 생각하는 사람들의 모임을 소개합니다 -
홍원기 국회기록보존소 기록연구관
1. '기록해윰' 이 낯선 사람들을 위한 소소한 배려
기록해윰은 학생회를 중심으로 결성된 연구모임이다. 해윰은 생각하다는 의미를 가진 순우리말 '혜윰'에서 착안한 것으로, ~하자!!"라는 청유형 문장을 '~해윰'이라는 친구 사이의 편한 대화체로 바꿔 부르는 의미를 담고 있다. 따라서 기록해윰의 성격을 정의 하면 기록관리를 함께 고민하고 생각하자고 편하게 제안하는 연구모임이라고 할 수 있다.
연구모임에 관심 있는 대학원생들을 처음 만난 건 2016년 11월 초의 일이었다. 내 수업을 수강했던 학생들부터 학생회 임원들까지 그 구성은 다양했지만, 학과 수업과는 별개로 연구모임이 필요하다는 것에는 인식을 같이 했다. 그것이 기록 해윰의 시작이었다. 정보‧기록학과가 신설된 지 15년이 지난 시점이었고, 학과 차원에서는 누가 봐도 안정과 도약을 준비해야 하는 시기였다. 하지만, 후배들은 내가 처음 기록관리학을 시작했던 2000년대 초반의 고민들을 반복해서 하고 있었고, 그 시기의 내 모습과 묘하게 오버랩 되는 구석이 있었다. 그것이 오롯이 학과 운영의 부실에서 기인한 것만은 아닐지라도, 학과 커리큘럼에 대한 결핍, 기록관리 관련 연구정보의 부재, 졸업생을 포함한 외부 연구자와의 교류 부족 등의 문제는 여전히 계속되고 있었던 것이다. 대학원을 먼저 거쳐 간 졸업생 선배로서, 기록관리전문요원으로 기록관리 실무를 먼저 접한 선진 연구자의 입장에서, ‘아키비스트 액티비즘(Archivist Activism)’을 요구받는 순간이었다. 다소 거창한 사명감이라 오해할 수는 있겠으나, 작은 실천과 행동 정도로 이해하면 그리 부담스럽지만은 않은 키워드일지도 모르겠다. 먼저, 연구모임에서의 내 역할을 신중하게 고민해야만 했다. 자칫 재학생들과 제대로 융화되지 못하고 겉돌 수도 있을 테고, 잘난 척, 아는 척만 하다가는 꼰대가 되기 십상이었기 때문이다. 결국 고민 끝에 나온 것이 코디네이터(coordinator)와 퍼실리테이터(facilitator)로서의 역할이었다. 나는 연구모임이 당초 구상했던 취지에 맞게 운영될 수 있도록 방향성을 유지하고 조율하는 ‘조정자’이면서, 특강이나 주제 토론이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돕는 ‘조력자’의 역할에 포커스를 맞췄다. 어차피 연구모임의 주체는 학생회를 중심으로 한 재학생이어야 하고, 그들이 주인공이 되어 지속가능한 모델을 만들어야 한다는 생각에서였다. - 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