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화 292호

Page 1

@

@

.

*

µ

I,

:JmWA

*

가천대길병원

-.

••

IBM왓슨인공지능 암센터

교육부 X�개선대학 선정 *

기천브레인밸리 • 뇌고臣,空P원

정부공인SW중심대학

;5Rl-01 가천굴로벌센터 L

r ,�

용법산대학

' @

G 간청민전만

2

m

*1 Ko|kata.1 Dhata I

5*

Seo나*

섭 1972. 11. 20 창간. 서 울시 종로구 돈화문로 89( 와룡동) / (02)765-2124

t”

qi

m

* KOREA

,,ongy. ;

I N D I A

미래

홍 500 만 全州李氏의 교양정보지

Olil 「土

:A/人/대의Soft.파워

.

Uru

J lG­

;

B*

三 \.

여기,

통권 292오

나 4 422 o• 3

KOREA의

李 花

Novosibirsk

@

' @

~ 1i.., ..

UNI VERSI TY

:

:

:

:

이길여 암 당뇨연구원

국내 최초 권역외상센터 :

교육분야 가천대학교, 가천대학교 메디컬캠퍼스, 하와이 가천글로벌센터, 가천리더십센터, 신명여자고등학교, 가천인력개발원 의료분야 가천대 길병원, 가천대부속 동인천길병원, 가천대부속 길한방병원 연구문야 가천대학교 뇌과학연구원, 이길여 암 · 당뇨연구원, 가천바이오나노연구원, BRC(Bio Research Complex) 언른분야 경인일보 사회 · 문화분야 가천문화재단, 가천박물관 봉사분야 가천미추홑청소년몽사단, 새생명찾아주기오응은부

-::;.

``^, :1. ;

_. ,

`C`

__

' @

~ ~``@一

노 `74, . 』

:

I

I



2022 / 3 · 4월호 (통권 292호)

숭조돈종 2. 취임사 6. 본원 소식 · 지원 · 분원 · 파종회 · 봉향회 소식 18. 종친 동정 및 영광의 얼굴 19. 본원 제25대 임원 명단 25. 사단법인 국가무형문화재 종묘제례보존회 임원 26. 사단법인 국가무형문화재 사직대제보존회 임원 27. 제25대 상임이사에게 듣는다 34. ‘문화재’ 명칭, ‘국가유산’으로 바뀐다 36. 덕천군 학술세미나 개최

38. 李花광장 / 조선의 국왕과 파시조 사진설명 : 창덕궁 후원의 봄 (사진 · 이현우 作)

……………………………………… 본원 이사 · 문학박사 / 건국대 명예교수 이범직(李範稷) 39. 조선왕릉실록(8) / 성군 세종대왕 영릉(上)

…………………………………………… 본원 문화이사 · 李花보 주필 · 시인 이규원(李揆元)

44. 불[浮屠 · 부도]에 숨어 산 김시습 …………………………………………………………… 본원 상임고문 · 수필가 이승창(李承昌) 47. 만화로 보는 역사이야기 106 ………………………………………………………………………………………… 이전경(李田景) 49. 어머니 봉양일기(9) …………………………………………………………… 본원 문화부 수석차장 이병준(李炳俊) 52. 태조강헌대왕영전(太祖康獻大王影殿)

…………………………………………………………… 前 경북지원 총무이사 이정록(李廷祿) 55. 제주도지원, 8년 만에 『濟州李花』 제4호 펴내 ………………………… 제주특별자치도 지원장 / 계성군파 제주도종친회장 이철헌(李哲憲) 57. 다시, 봄

…………………………………………………………………………………………… 白思 이진우 58. 진경희 박사의 구취(口臭)와 치주병 ………………………………………………………………… 서울뉴욕치과 원장 진경희(陳京熙)

60. <한시(漢詩) 한 수> 春望詞(춘망사 ‧ 봄날의 소회)

발행인/이귀남 편집인 겸 주필/이규원 발행처/사단법인 전주이씨대동종약원 주

소/서울 종로구 돈화문로 89

……………………………………………………………………………………………… 薛濤(설도) 62. 나는 양반이 아닙니다 ………………………………………………………………… 본원 문화부 위원 이언수(李彦秀)

우편번호/03131

64. <영시(英詩) 한 수> GOOD-BYE (잘 있거라)

화/(02)765-2124

……………………………………………………… Ralph waldo Emerson(랄프 왈도 에머슨)

스/(02)742-1676

65. 무상백성일인(無傷百姓一人)

인쇄인/이재복

66. <방하착(方下着)⑤> 마음을 내려놓고

인쇄처/(주)경인인쇄 전

화/(02)2272-8063

행/2022년 3월

록/1973년 12월 31일

1일

68. 2022년도 사업계획 73. 승경원 건립기금 모금 헌성자 명단 76. 특별원원 가입을 환영합니다

홈페이지(http://rfo.co.kr)

78. 종묘제례보존회 가입을 환영합니다

이메일(rfo@rfo.co.kr)

79. 사직대제보존회 가입을 환영합니다

값 2,000원

80. 자동출금(CMS) 등록자 명단

(1년 6회, 정기구독 10,000원)


취임사

이사장

이귀남(李貴男)

종친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저는 2019년 12월 18일 종약원 이사회에서 이사장으로 선출되어 전임 태섭 이사장 님의 잔여 임기인 2년 동안 이사장직을 수행하여온 이귀남입니다. 오늘 또다시 이사회 에서 이사장으로 선출되고, 총회에서 인준 받아 제25대 이사장으로 취임하게 되었습 니다. 먼저 오늘 이사로 선출되신 임원 여러분께 축하를 드립니다. 그리고 저를 이사장으로 선출하여 주시고 인준하여 주신 종친 여러분께도 감사드립니다. 제가 여러모로 부족 하지만, 여러분과 함께 앞으로 3년간 성실하게 책임과 소명을 다하여 이사장직을 수행 하겠습니다.

제가 오늘 총회 직전에 지난 2년 간을 회고하여 보았습니다. 보람도 있었지만 미흡한 점도 많았다고 생각되었습니다. 가장 보람찬 일은 훌륭하신 많은 종친분을 뵐 기회를 얻었고 또한 그분들로부터 많은 가르침을 받았다는 점입니다. 특히 종사에 어두운 저를 잘 인도해주신 전임 부이사장님을 포함한 전임 임원과 고문님, 대의원 여러분 종친

2 李花 292호


여러분께 이 자리를 빌려 감사드립니다. 이러한 종친 여러분의 도움으로 미미하게나마 한두 가지 실적을 남길 수 있었습니다. 첫 번째는 종약원과 종묘제례보존회, 사직대제보존회, 장학재단 등에 대한 체제 정비 였습니다. 종약원의 경우 이사 선출 절차를 정비하고 이사장 총회 인준 절차를 도입한 것이 대표적입니다. 과거 몇몇 분의 주도로 이사를 선임해 오던 관행에서 벗어났습니다. 이사 후보 추천 인원 배정 위원회에서 본원, 지원, 파종회, 봉향회 등에 이사후보 추천 인원을 배정한 후 이사 후보를 추천받았습니다. 이사 후보 심사위원회에서 추천 받은 이사후보자를 심사하고 또다시 총회에서 정식으로 이사를 선임하는 제도를 도입 하여 이번에 그 제도에 따라 이사를 선임하였습니다. 제도 자체보다는 운영상 미숙한 점이 있었지만 조금은 투명하고 공정하게 임원 선임 절차가 마련되었다고 생각합니다. 또한 이사장은 이사회에서 선출된 후 총회 인준을 받도록 하여 정통성과 권위를 부여받도록 하였습니다. 그리고 별도의 법인으로 구성된 종묘제례보존회가 10년도 넘은 2005년 1월에 설립 되었고, 사직대제 보존회는 2017년 4월에 설립되었습니다. 그러나 단 한 번도 이사회나 총회를 개최하지 않았는데, 새로이 이사회와 총회를 구성하여 개최하는 등 실질화 하였습니다. 이화장학회도 과거 심사도 없이 각 지원에서 장학금 수여 대상 학생 1명씩을 추천받아 추천받은 학생에 무조건 동일한 금액의 장학금을 수여하던 관행에서 벗어났습니다. 장학금 추천 기관과 대상, 장학 금액을 다양화하였습니다. 이사회에서는 추천된 학생 등이 추천 대상에 해당하는지 다시 점검한 뒤, 가정 형편과 학업성적 그리고 부모의 종사 기여도 등 여러 상황을 참작하여 실질적으로 심사하는 등 공정한 장학금 배정이 이루어지도록 하였습니다. 두 번째, 10년 가까이 지체되어 오던 승경원 건립을 시작하였습니다. 지난해 10월 14일 삼부토건을 시공사로 선정하여 기공식을 거행하였습니다. 현재 부지 내 시설물 철거를 완료하고 토목공사가 진행 중이며 금년 내에 완공할 예정입니다. 이는 DL그룹 이준용 명예회장께서 5억 원을 기부하여 주신 것이 기폭제가 되었습니다. 그 뒤 종근당에서 1억원, 이승현 1억원, 그리고 여러 파종회, 개인 등 지난 2년 동안 8억 7,000여만 원을 추가로 모금하였습니다. 李花 292호 3


그러나 아쉬운 점도 많았습니다. 첫째, 종친 간 화합을 이루어내지 못했습니다. 아직도 종친 간에 내편 네편이 존재하고, 심지어는 자기편이 아닌 종친에게 험담하는 분도 계십니다. 종약원의 임원 간, 전례부 등 부원 간 그리고 종친 간에 갈등이 가라앉지 않고 있습니다. 특정 파종회와 지원에서 는 내부 구성원 간 갈등이 심각한 상황입니다. 둘째, 대내외활동이 미약했습니다. 코로나 영향이라고 핑계댈 수도 있으나 지원이나 분원, 파종회, 봉향회 등의 활동에 함께 하지 못했습니다. 또한 국회, 행정부, 문화재청 등 행정기관과의 유대관계도 제대로 역할을 하지 못했습니다. 셋째, 제가 이사장으로 재임하는 동안 이사장의 가부장적인 권위가 땅에 떨어졌다고 개탄하는 분이 계십니다. 마땅한 지적이라고 생각합니다. 저 스스로 이사장의 권위를, 권력을 내려놓아야 한다고 생각했고 실천했기 때문입니다. 저는 이사장이라도 종친의 지위에 상관하지 않고 많은 종친과 어깨를 맞대고 토론하고 소통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현대 사회에서는 수직적인 권위보다는 수평적인 관계가, 한 개인의 역량보다는 팀의 시너지 효과가 중요시되는 시대로 트렌드가 바뀌었습니다. 그러나 이사장으로서의 품위는 유지하도록 하겠습니다. 그리고 태섭 이사장님 시절과 비교하여 바뀐 것이 하나도 없다고 비판하시는 분도 계십니다. 종약원 인사를 두고 하시는 말씀이라면 저는 인사에는 공정 투명성을 유지 하기 위해 최대한 노력하였다고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지난 2년 전 상임이사를 고문 6분의 투표로 선출하였고, 오늘 이사선출 절차가 그러한 예시입니다. 앞으로도 이러한 인사원칙에는 변함이 없을 것이고 또한 종약원 개혁도 멈추지 않겠습니다.

따라서 앞으로 하여야 할 과제들이 명확해졌습니다. 첫째, 종친 간 화합입니다. 2년 전 취임하면서 첫 마디도 화합이었습니다. 다시 화합을 꺼낸다는 사실이 부끄럽습니다. 저를 포함한 종친 간에 건설적인 비판은 당연히 허용 되어야 합니다. 이제는 건설적이 아닌 종친 간에 헐뜯는 말은 하지 맙시다. 종친을 비난하는 말은 이제 멈추도록 합시다. 함께 손잡고 앞으로 나가야 합니다. 둘째, 승경원의 원만한 완성입니다. 현재 승경원 건립기금 잔액은 건축공사비에도 2억 원 가까이 모자라고 각종 제기, 제상, 세금과 부대 공사비까지 합하면 최소 6억 원 이상 부족한 상황입니다. 종친 여러분의 많은 협조를 부탁드립니다. 4 李花 292호


셋째, 활발한 대외활동입니다. 앞으로 코로나 진행 상황을 지켜봐야 하겠지만, 가급적 이면 지원이나 파종회, 봉향회를 순방하고, 왕릉제향의 무형문화재 등록도 이루어지도록 노력하겠습니다. 넷째, 제도개혁입니다. 먼저 종약원 내 분규조정위원회의 설치입니다. 현재 파종회장이나 지원장 선임과 관련하여 또는 재산 관련 분규가 발생할 때 법원, 검찰, 경찰 등 국가기관에 고소, 고발, 소송 형식으로 해결하고 있습니다. 저는 종친 내부에 법조인 등 인재들이 많음에도 우리 내부의 문제를 외부 기관에 노출하여 돈은 돈대로 사용하면서 종친들을 욕되게 하는 일이 부끄럽게 생각되었습니다. 내부에 분규조정위원회를 설치하여 먼저 조정절차를 거치도록 하는 방안을 마련하도록 하겠습니다. 그리고 유튜브 개설입니다. 최근 유튜브는 대중과의 소통 수단 그리고 정책홍보 수단 으로 우리나라는 물론 세계사회 모든 방면에서 완전히 자리 잡았습니다. 우리 종약원도 이러한 추세에 따라가야 합니다. 종약원은 유튜브에 올릴 콘텐츠 즉 소재가 무궁무진 합니다. 처음에는 종약원의 활동을 알리는 수준에서 시작하겠고 점진적으로 수준을 높여가도록 하겠습니다. 또한 복지재단 설립입니다. 이제 100세 시대라고 합니다. 종약원에 모든 정열을 바쳤는데 노년에 어렵게 살고 계시는 분이 계실 것이고 앞으로 그러한 분이 많아질 시대가 되었습니다. 그분들을 위한 재단설립을 하여야 할 때라고 생각됩니다. 천천히 준비하도록 하겠습니다. 마지막으로 이화보 개편입니다. 이화보를 받아보고 전체를 읽어보는 분이 과연 몇 분 이나 될지 의심스럽습니다. 기다려지는 이화보, 읽고 싶은 이화보를 만들도록 하겠습니다.

종친 여러분!! 이제는 분열과 갈등의 종약원을 바꾸도록 합시다. 통합과 공존의 새로운 종약원을 만들어 갑시다. 그리하여 조선왕조 후예들로 구성된 사단법인 전주이씨대동종약원이 효 정신을 고양하고, 종친 간의 화합을 도모하며, 조선왕조의 전통문화를 계승 발전 시키고, 대한민국에서 당당히 우뚝 설 수 있도록 함께 힘을 모으도록 합시다. 끝으로 코로나19로 어려운 시기에 모두 건강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李花 292호 5


본원 소식 제703회 상임이사회(2022. 2. 4.(금) 15:00) ◎ 참석 : 상임이사 14명중 12명 참석, 위임 2명 ◎ 의안 심의 결과

‧ 2021년도 사업실적보고 및 결산 심의의 건 - 원안대로 승인함

‧ 제214회 이사회 개최의 건 - 2022년 2월 14일(월) 11시에 본원 강당에서 개최하며, 부의사항은 원안대로 승인함

‧ 총회 대의원 선출의 건

- 직책 중복과 특별원원 미가입 등을 제외한 248명을 선출하기로 함 ◎ 기타사항 - 조선왕릉 제향에 대한 국가무형문화재 지정 신청 관련하여 서울시를 거쳐 2022년 1 월 14일 문화재청 심사 결과 부결되었음을 보고하고, 재신청을 위해서는 전담팀을 구 성하여 조직적으로 대응하기로 함 - 이사후보자추천 관련하여 8가지 항목별 5년간 기준으로 종합 점수를 산정하여 파종회 는 40개, 지원은 1명씩 기본으로 하되 서울시와 경기도는 추가하고, 봉향회는 대왕(大 王) 왕릉을 중심으로 직계후손으로 운영되는 9개, 본원 등 총 109명의 이사후보자를 배정하여 해당되는 파종회, 지원, 봉향회에 2월 7일까지 추천해 줄 것을 통지하였음

제214회 이사회(2022. 2. 14.(월) 11:00) ◎ 참석 : 재적이사 63명중 이사 38명 참석, 위임 17명 ◎ 의안 심의 결과

‧ 2021년도 수입 ‧ 지출 결산 심의의 건 - 원안대로 승인함

‧ 제61회 정기총회 개최의 건 - 2022년 2월 28일(월) 오후 2시에 본원 강당에서 개최하며, 부의사항은 원안대로 승인함

‧ 총회 대의원 선출의 건

- 직책 중복과 특별원원 미가입 등을 제외한 248명 선출을 승인함 ◎ 기타사항 - 정기총회 포상은 돌아가면서 한 번씩 받는 관행은 의미가 없음으로 종사 발전에 기 여하신 부이사장, 전례이사, 예능보유자 분들께 포상하기로 함 - 2022년은 초대 총재이신 의친왕 이강 전하께서 종친의 단결을 당부하는 유시(諭示) 선포 100주년 되는 해로서 심포지엄 등의 사업을 추진하기로 함

6 李花 292호


제61회 정기총회(2022. 2. 28.(월) 14:00) ◎ 참석 : 재적대의원 241명중 100명 참석, 위임 40명 ◎ 의안 심의 결과

‧ 2021년도 수입 ‧ 지출 결산서 및 이익잉여금 처분(안) 승인 건 - 원안대로 승인함

‧ 2022년도 사업계획(안) 승인 건 - 원안대로 승인함

‧ 2022년도 수입 ‧ 지출 예산(안) 승인 건 - 원안대로 승인함

‧ 임원(이사 ‧ 감사) 선출 건 - 추천된 이사후보자 61인 전원을 원안대로 선출하고 정관에 규정된 이사 정원이 75인 이므로 필요시 부족한 이사 14인의 선임 권한을 차기 이사장께 위임하며, 감사 2인은 재선임 하는 것을 승인함

‧ 신임 이사장 인준 건

- 임시이사회에서 제25대 이사장으로 선출된 이귀남 이사장 인준을 승인함

李花 292호 7


임시 이사회(2022. 2. 28.(월) 15:20) ◎ 참석 : 이사 60명중 45명 참석 ◎ 의안 심의 결과

‧ 이사장 선출의 건 - 제25대 이사장으로 이귀남 이사장 선출함

임시 이사회(2022. 3. 10.(목) 14:00) ◎ 참석 : 이사 61명중 32명 참석, 위임 22명 ◎ 의안 심의 결과

‧ 이사장에게 위임된 이사 추가 선출 승인의 건 - 이사 10인 추가 선출을 승인함

◇ 특별원원 가입 안내 ◇ - 가입자격 : 종친 개인이나 파종회 단체 - 가 입 비 : 200,000원 이상 - 연 회 비 : 연 30,000원 이상 (파종회 단체:100,000 이상 / 가입 당해 연도는 연회비 면제)

8 李花 292호


제215회 이사회(2022. 3. 25.(금) 14:00) ◎ 참석 : 재적이사 71명중 이사 46명 참석, 위임 24명 ◎ 의안 심의 결과

‧ 2022년도 조경단대제 봉행의 건

- 4월 10일(일) 코로나19 감염에 대한 국가 방역수칙 준수하며 봉행하기로 함(행사 ‧ 집회 접종여부 관계없이 299명까지)

‧ 고문 추대 및 자문위원 위촉의 건

- 명예 이사장으로 이태섭 전임 이사장님, 상임고문으로 이승창 前부이사장 ‧ 이주영 前부이사장 ‧ 이석우 前부이사장 ‧ 이준용 DL그룹 명예회장, 고문에 이윤주 英陵봉향

회 회장을 추가하고 그 외는 원안대로 승인함

‧ 부이사장, 상임이사 호선의 건

- 임기를 1년 6개월로 하고, 부이사장 3명(이석동 ‧ 이경훈 ‧ 이중근), 위원장 5명 (부이사장 대우, 표결권 없으나 상임이사회 참석하여 추진사항 보고 및 의견 개진 : 화합 ‧ 분규조정위원회 이병하, 승경원건립위원회 이덕규, 홍보위원회 이순동, 복지

재단위원회 이세림, 기금모금 ‧ 재정위원회 이승현), 상임이사 8명(전례이사 추대,

총무이사 ‧ 문화이사 지명, 그 외는 투표하여 다수표로 결정 : 전례이사 이태우, 문화 이사 이규원, 상임이사(보직은 추후 결정) 이관주 ‧ 이명승 ‧ 이복례 ‧ 이부용 ‧ 이연호 ‧

이재복 선임)

李花 292호 9


국가무형문화재 종묘제례보존회 소식 2022년 1차 이사회(2022. 2. 14.(월) 15:30) ◎ 참석 : 재적이사 13명중 이사 7명 참석, 위임 4명 ◎ 의안 심의 결과

‧ 2021년도 수입 ‧ 지출 결산 심의의 건 - 원안대로 승인함

‧ 2022년 정기총회 개최 및 부의할 안건 심의의 건 - 2022년 2월 28일(월) 10시30분에 종약원 강당에서 개최하며, 부의할 안건은 원안 대로 승인함

2022년 정기총회(2022. 2. 28.(월) 10:30) ◎ 참석 : 대의원 80명중 43명 참석, 위임 19명 ◎ 의안 심의 결과

‧ 2021년도 수입 ‧ 지출 결산서 및 이익잉여금 처분(안) 승인 건 - 원안대로 승인함

‧ 2022년도 사업계획(안) 승인 건 - 원안대로 승인함(본보 68면 참조)

‧ 2022년도 수입 ‧ 지출 예산(안) 승인 건 - 원안대로 승인함

‧ 임원(이사 ‧ 감사) 선출 건 - 종약원 이사장이 당연직 보존회장이 되는 것으로 정관에 규정되어 있으므로 오후에 종약원 정기총회에서 선출되는 신임 이사장에게 위임하기로 함

‧ 대의원 선출(임기 : 2023년 ~ 2024년) 건

- 현직 대의원 80인을 연임하는 것으로 승인함

10 李花 292호


국가무형문화재 사직대제보존회 소식 2022년 1차 이사회(2022. 2. 14.(월) 16:30) ◎ 참석 : 재적이사 8명중 이사 7명 참석, 위임 1명 ◎ 의안 심의 결과

‧ 2021년도 수입 ‧ 지출 결산 심의의 건 - 원안대로 승인 함

‧ 2022년 정기총회 개최 및 부의할 안건 심의의 건 - 2022년 2월 28일(월) 11시30분에 종약원 강당에서 개최하며, 부의할 안건은 원안 대로 승인함

2022년 정기총회(2022. 2. 28.(월) 11:30) ◎ 참석 : 대의원 69명중 32명 참석, 위임 12명 ◎ 의안 심의 결과

‧ 2021년도 수입 ‧ 지출 결산서 및 이익잉여금 처분(안) 승인 건 - 원안대로 승인함

‧ 2022년도 사업계획(안) 승인 건 - 원안대로 승인함

‧ 2022년도 수입 ‧ 지출 예산(안) 승인 건 - 원안대로 승인함

‧ 임원(이사 ‧ 감사) 선출 건 - 종약원 이사장이 당연직 보존회장이 되는 것으로 정관에 규정되어 있으므로 오후에 종약원 정기총회에서 선출되는 신임 이사장에게 위임하기로 함

‧ 대의원 선출(임기 : 2023년 ~ 2024년) 건

- 현직 대의원 60인을 연임하는 것으로 승인함

李花 292호 11


화의군파종회, 22대 항렬자 鉉 자의 병용 항렬자로 鍾 자 결의 화의군파종회(회장 先性)는 2월 17일 목요일 오전 10시, 서울 은평구 연서로 소재 충의재에서 정기총회를 개최, 화의군파 항렬자 병용사용 건에 대한 승인을 하였다. 선정된 병용 항렬자는 시조 47세(화의군 22대)가 사용하는 가운데 글자 현(鉉)자 외 에 종(鍾)자로써, 선정 이유는 화의군파시조의 20대손 가운데에 쓰는 항렬자가 헌(憲) 자 이고, 22대손 가운데 쓰는 항렬자가 현(鉉)인 바, 손자의 이름이 우리말 발음상 혼 동이 되어 종(鍾)자를 병용항렬자로 선정사용하기로 결정하였다. 사용 일자의 시행은 22년 3월 1일. <화의군파종회>

재단법인 이화장학회 소식 제113회 이사회(2022. 2. 14.) ◎ 참석 : 재적이사 15명 중 이사 9명 참석, 위임 5명 ◎ 의안 심의 결과

‧ 2021년도 수입 ‧ 지출 결산 승인 - 원안대로 승인

‧ 2022년도 1학기 장학생 선발 - 2022년 1학기 이화장학생으로 11명을 선발하고, 장학금 지급 금액은 1인당 150 만원 지급하되, 종약원 사무처 직원의 자녀에게는 차등 지급 승인

12 李花 292호


장학금 기탁 종친 (2022.1.1. ~ 3.25.) 기탁일자

기탁자

금액

1.4

의종(義鍾, 광평대군 18대)

10,000,000

1.6

창호(昌鎬, 밀성군 16대)

1,000,000

1.13

용섭(鏞燮, 덕양군 14대)

500,000

1.18-3.13

종배(鍾培, 익녕군 18대)

90,000

1.19

익근(益根, 익녕군 15대)

50,000

1.26-3.25

화진(和鎭, 희령군 16대)

200,000

1.30

관주(寬周, 덕천군 18대)

1,000,000

장학회 감사

2.14

종헌(鍾憲, 임영대군 16대)

10,000,000

장학회 이사

2.14

세림(世林, 덕양군 13대)

2,000,000

비고 장학회 이사

본원 고문 1.18, 2.17, 3.13 3회/ 본원 재정부위원

21.11.26, 1.26, 2.25, 3.25 4회

본원 이사

이의종 이사(1,000만원)

이용섭 고문(50만원)

이관주 감사(100만원)

이종헌 이사(1,000만원)

李花 292호 13


이화장학회 장학기금 국민은행 817-01-0254-362 예금주 : 재단법인 이화장학회 이세림 이사(200만원)

2022년도 1학기 장학생 명단 성명

파대수

학교명

학년

이정현(李廷玹)

효령20

울산대학교 경영대학 경영학과

1

이재훈(李在訓)

영응20

경북대학교 행정학부

3

이용제(李庸齊)

효령20

부산외국어대학교 아시아대학 일본어융합학부

2

이홍규(李弘圭)

덕양15

고려대학교 공과대학 산업경영학과

1

이주연(李周衍)

화의17

아주대학교 경영대학 e-비즈니스학과

3

이은진(李銀珍)

영해19

조선대학교 공과대학 생명화학고분자공학과

3

이정현(李柾縣)

의안22

위덕대학교 인문사회계열 경찰정보보안학과

3

이승우(李承祐)

익안21

부산대학교 생명자연과학대학 식물생명과학과

3

이예진(李芮盡)

효령23

인하대학교 공과대학 정보통신공학과

2

이광해(李炚海)

덕양17

건국대학교 공과대학 컴퓨터공학부

3

이남이(李男而)

벽진이씨

우송대학교 보건복지대학 사회복지학과

2

지원 ‧ 분원 정기총회 결과보고 현황 ■ 지원·분원

지원․ 분원명 (지원․ 분원장) 서울특별시(泰鎬) 강북구(光宰)

회수 65 25

대구광역시(敦模)

37

경기도(琓善)

44

14 李花 292호

일시 22.3.4(금) 11:00 22.2.11(금) 17:00 22.3.25(금) 11:00 22.3.30(수) 15:00

장소

참석 인원

중요의제

사진

본원 강당

129

△예산 결산 승인 △임원 개선 : 薰宰 신임 지원장

와룡선갈비

15 △예산 결산 승인

지원 회의실

30 △예산 결산 승인

지원 회의실

14

△예산 결산 승인 △임원 개선 : 泰燮 신임 지원장


지원․ 분원명 (지원․ 분원장)

회수

일시

장소

22.1.27(목) 분원 사무실 11:00 22.3.15(화) 팔탄농협 화성시(鎬洛) 2022 11:00 회의실 22.3.23(수) 강원도(元鎔) 61 서면개최 11:00 22.3.10(목) 충남 천안시(花鍾) 46 광화문집 10:30 22.3.26(토) 경상남도(福秀) 51 지원 회의실 11:00 경기 고양시(忠九)

참석 인원

44

중요의제

사진

32 △예산 결산 승인

43 △예산 결산 승인

122 △예산 결산 승인 25

△예산 결산 승인 △임원 개선 : 鍾卨 신임 분원장

18 △예산 결산 승인

⑦ ⑧

■ 파종회 파종회명 (파종회장)

회수

시중공파종회

37

도평군파(春成)

2022

광평대군파(元夏)

61

화의군파(先性)

2022

한남군파(昌成)

47

창원군파(鍾連)

44

견성군파(得九)

2022

일시

장소

참석 인원

22.2.10(목) 10:00 22.2.19(토) 11:00 22.3.30(수) 11:00 22.2.17(목) 10:00 22.3.12(토) 11:00 22.3.4(금) 13:00 22.3.31(목) 11:00

서곡그랜드 힐스턴호텔

64

서면총회

28

파종회 사무실

89

충의재

43

여성프라자 시청각실

35

창덕사

25

파종회 사무실

18

장소

참석 인원

중요의제

본원 강당

27

△예산 결산 승인 △임원 개선 : 恒求 신임 회장

강강수올래

18

△예산 결산 승인

중요의제 △예산 △임원 △예산 △임원

사진

결산 승인 선출 : 炳七 신임 회장 결산 승인 개선 : 熙澤 신임 회장

△예산 결산 승인 △예산 결산 승인 △항렬자 병용 사용 건 △예산 결산 승인 △임원 개선 : 元柄 신임 회장 △예산 결산 승인 △임원 개선 : 仁永 신임 회장 △예산 결산 승인 △임원 개선 : 漢寧 신임 회장

■ 봉향회 봉향회명 (봉향회장)

회수

제릉(奭喜)

2022

의·혜릉(政秀)

45

일시 22.3.30(수) 11:00 22.2.26(수) 11:00

사진

■ 대표자 변경 단체명

전임

신임

비고

인성군파종회

두용(斗鎔)

재만(載萬, 인성군 10대)

사임(21.6.22) 임기:21.7.1-24.6.30

李花 292호 15


16 李花 292호

①서울특별시지원

②서울 강북구분원

③대구광역시지원

④경기도지원

⑤경기 고양시분원

⑥경기 화성시분원

⑦충남 천안시분원

⑧경상남도지원


◇ 정기총회 개최 및 결과보고에 대한 안내 ◇ 정기총회 개최보고는 총회개최 7일전, 정기총회결과보고는 총회개최 후 15일 이내에 회의록, 회의서류, 임원명단, 총회사진을 첨 부하여 본원 조직부에 제출해 주시기 바 랍니다.

⑨제릉봉향회

■ 제향봉행 廟壇陵 園號墓

日時

溫陵

端敬王后 慎氏 1.6 (中宗大王妃) 14:00

睿陵

哲宗章皇帝 1.16 哲仁章皇后 金氏 14:00

洪陵 高宗太皇帝

1.21 14:00

宣陵

1.29 14:00

惠陵

成宗大王

端懿王后 沈氏 3.8 (景宗大王妃) 14:00

宣祖大王 3.16 穆陵 懿仁王后 朴氏 14:00 仁穆王后 金氏

場所 경기도 양주시 호국로 경기도 고양시 서삼릉길 경기도 남양주시 홍유릉로 서울시 강남구 선릉로 경기도 구리시 동구릉로 경기도 구리시 동구릉로

在位者

主 管

祭 官 名 初獻官 亞獻官 終獻官 典祀官 祝 史 執尊者 監 察 贊 者 大 祝 陵 司 齋 郞 執事者

45

온릉봉향회 金鍾碩 慎一晟 鍾浩 (회장 有燮) 錫泳 宗林 元圭

敎燮 鍾培

漢奎 浚圭

19

예릉봉향회 (회장 平揆)

承燁 金權鎭 達浩 元善 範春 鍾城

洪宰 起勳

根俊 南潤棉 揆鎬 道宰 鍾雪

30

홍릉봉향회 皇嗣孫 閔貞基 輔兢 (회장 東宰) 錫杓 泰喜

建雄 信宰

長吉 鍾培

起秀 正九

建宰

50

선순릉봉향회 琯雨 (회장 錫雨) 根俊

道珩 明九

光薰 起錫

龍雨 承雨

漢圭

50

의혜릉봉향회 性大 沈東燮 達浩 永九 (회장 政秀) 根浩 光敎 徐正澤 賢九

36

목릉봉향회 (회장 埈鎔)

西珩 根洙

秉爀 明承

載仁 朴宗緖 金悳柱 載信 京柱 載興 泰喜 振勳

康根 庚鎬

謁者 解說

東燮

鍾培 東九 鍾祐 鍾文 權善出 權柱 承鎔

홍릉 제향 : 집례 鎔太, 찬례 道宰, 좌장례 ‧ 좌근시 南政, 우장례 ‧ 우근시 愚珍

燦柱 承鎔

武鎔

이화보 정기구독 기간이 금번 호(통권 제292호)로 만료되는 종친 에게는, 별도로 지로용지를 첨부하여 보내드립니다. 지로용지에 정 확한 주소와 성함을 기재하시고, 1년 청 독 료 1만 원 을 가 까 운 은 행 이 나 우 체국으로 납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문의 (사)전주이씨대동종약원 문화부 (02)765-2124

李花 292호 17


종친 동정 및 영광의 얼굴

源德 종친, 우리은행 은행장

취임

원덕(源德, 정종/의평군 18대) 종친은 지난 3월 24일 우리은행 은행장에 취임했다. 1962년생으로 서울대 농업경제학과 졸업 후 1990년 우리은행의 전신인 한일은행에 입행했다. 원덕 종친은 우 리은행 전략기획팀 수석부부장, 우리금융지주 글로벌전략부장, 우 리은행 미래전략단 상무, 우리은행 경영기획그룹 부행장을 거쳐 우리금융지주 수석부이사장을 역임했으며, 우리금융그룹 완전 민영화 이후 첫 우리은행장으로서 디지털 금융 플랫폼 혁신을 이끌 적임자로 평가되 고 있다. 원장(源長) 종합1기 수료생의 동생이다. <의평군파종회>

倞九 종친, 육군 소장 진급과 동시에 워싱턴 미국대사관 국방무관으로 근무 경구(倞九, 성종/양원군 15대) 종친은 2021년 12월 31일 육군 소장으로 진급하고 워싱턴의 주미한국대사관 국방무관으로 발령 받았다. 국방무관은 대한민국 국방부를 대표하여 한미동맹을 포 함한 국방협력을 담당하는 중책을 수행한다. 특히 미국과 한국 의 6 ‧ 25참전 장병들에 대한 보훈활동업무도 중요한 임무중 하

나이다. 경구 종친은 경기도 이천에서 故 오훈(五薰) 종친의 삼

남이며, 육군7군단 참모장, 국방부 국제정책 차장으로 군사외교와 해외파병 업무를 총괄하였고, 21년도에는 한미 방위비분담금 협상 타결, 청해부대 호송 작전수행, 미 라클 작전을 성공적으로 이끈 전술전략의 탁월한 지휘관이다. <양원군파종회>

相祿 종친, 포천도시공사 사장 취임 상록(相祿, 목조/안풍대군 23대) 종친은 지난 1월, 제2대 포천 도시공사 사장에 선임됐다. 1959년 생으로, 40여 년간 대우산업 개발과 한신공영 등 건설사에서 개발본부장, 건설본부장 등으로 근무했으며, 건설 전반에 걸친 경험이 많은 개발전문가로서 2019년부터 포천도시공사 개발사업본부장을 역임했다. 상록 종 친은 안풍대군파종회 총무이사로 종사에 참여하고 있다. <안풍대군파종회>

18 李花 292호


◈ 본원 제25대 임원 명단 □ 임기 : 2022. 2. 28 ~ 2025. 2. 28 이 사 장

貴男(회산17) 본원 24대 이사장 수석부이사장

부이사장

부이사장

重根(완창18) 부영 회장

錫東(의평17) 후릉봉향회장

慶薰(봉안14) 봉안군파종회장

분규조정위원장

대외협력위원장

홍보위원장

복지재단설립위원장

재정위원장

秉夏(덕천16) 덕천군파종회장

有燮(덕양14) 덕양군파종회장

淳東(희령17) 호서대학교재단이사장

世林(덕양13) 장학회 이사

昇炫(덕천19) 인팩코리아 대표이사

李花 292호 19


총무이사

재정이사

문화이사

전례이사

제1조직이사

錫務(완풍20) 서대문구분원장

寬周(덕천18) 景陵봉향회장

揆元(광평19) 이화보 주필

泰雨(회산16) 前무임소이사

富鎔(덕흥13) 덕흥대원군파종회장

청년이사

여성이사

무임소이사

감 사

감 사

在福(화의16) 前청년이사

燕浩(임영17) 前여성이사

福禮(영응16) 前이사

昌宰(효령19) 前법무부 차관

康伍(효령18) 세무사

이사(가나다순)

이 사

이 사

이 사

이 사

桂淵(완풍21) 삼부토건 대표이사

光敎(선성17) 前제무부위원

權宰(온녕18) 온녕군파종회장

漌鎬(월산18) 前제복부위원

起秀(효령17) 효령대군파종회 전례위원

이 사

이 사

이 사

이사(종묘담당)

이 사

起虎(완원19) 前총무부차장

南懋(임언18) 임언군파종회장

敦模(완창18) 대구광역시지원장

東成(안양18) 종묘보존회 차장

明承(익양12) 前전례부위원

20 李花 292호


이 사

이 사

이 사

이 사

이사(사직담당)

武珩(영산17) 영산군파종회장

範稷(광평17) 前문화이사

炳學(성녕19) 前전례부위원

福秀(영응16) 경상남도지원장

福用(담양16) 사직보존회 차장

이 사

이 사

이 사

이 사

이 사

芙鎔(덕흥13) 진안군분원장

相浩(영응17) 영응대군파종회장

奭周(덕천18) 세종 ‧ 충청남도지원장

碩泰(효령17) 경상북도지원장

錫洪(의평17) 의평군파종회장

이 사

이 사

이 사

이 사

이 사

先性(화의15) 화의군파종회장

壽薰(양원14) 양원군파종회장

勝東(혜령16) 혜령군파종회 상임고문

承鍾(광평18) 대전광역시지원장

承勳(밀성17) 충청북도지원장

이 사

이 사

이 사

이 사

이 사

連儀(효령16) 前이사

鎔太(덕천19) 前전례부위원

龍欽(함원20) 부산광역시지원장

愚德(덕흥16) 대빈묘봉향회장

元燮(덕양14) 오릉왕자파돈종회 회장

李花 292호 21


이 사

이 사

이 사

이 사

이사(제무담당)

元鎔(인성11) 강원도지원장

元夏(광평16) 광평대군파종회장

允漢(양녕21) 장학회 이사

長吉(진남18) 前전례부위원

宰丞(영산13) 前제무부차장

이 사

이 사

이 사

이 사

이 사

政秀(함녕21) 함녕군파종회장

宗成(안양18) 안양군파종회장

柱雨(월산15) 前종사전승자회 제3대회장

柱和(영해19) 영해군파종회장

準奇(회안23) 전라북도지원장

이 사

이 사

이 사

이 사

이 사

俊在(덕원16) 광릉봉향회 부회장

燦九(의평15) 종묘보존회 차장

燦鎬(월산18) 前조직2부위원

昌根(성녕18) 성녕대군파종회장

昌鎔(영성11) 광해주숭모회장

이 사

이 사

이 사

이 사

이사(제복담당)

千柱(수춘18) 수춘군파종회장

哲憲(계성17) 제주특별자치도지원장

致中(선성17) 선성군파종회장

泰燮(덕양14) 경기도지원장

鶴九(영산15) 前제복부차장

22 李花 292호


이 사

이 사

이 사

이 사

亨洙(영응16) 인천시지원장

皓根(덕원14) 덕원군파종회장

薰宰(효령19) 서울시지원장

高順福(밀성16손부) 前서울시지원 여성회장

□ 명예이사장 · 상임고문 명예이사장

태섭(台燮,덕양)

상임고문

승창(承昌,양녕)

前부이사장

상임고문

주영(柱英,월산)

前부이사장

상임고문

석우(錫雨,익양)

前부이사장

상임고문

준용(준용,인성)

DL명예회장

□ 고문 (가나다순) 갑재(甲宰,효령)

前부이사장

강룡(康龍,효령)

前부이사장

건구(健九,익양)

前부이사장

경동(卿東,혜령)

前부이사장

광재(廣載,온녕)

前부이사장

규복(圭福,의안)

前부이사장

기영(基榮,무림)

前부이사장

길여(吉女,익안)

가천대총장

달우(達宇,효령)

前부이사장

덕규(德圭,덕양)

前부이사장

동열(東烈,임영)

前부이사장

명준(明俊,진안)

前부이사장

목춘(木春,익현)

前부이사장

민섭(敏燮,덕양)

前국회의원

배용(培鎔,능원)

前대학교수

범관(範觀,광평)

前국회의원

병진(炳辰,운천)

前부이사장

석호(錫浩,덕천)

前대학교수

선재(善宰,효령)

前부이사장

성재(聲宰,효령)

前부이사장

승준(承俊,덕천)

前부이사장

연창(演昌,덕원)

前감사

영희(瑛熙,효령)

前부이사장

완교(完敎,담양)

前부이사장

용규(鎔奎,덕천)

前부이사장

용섭(鏞燮,덕양)

前부이사장

원호(元浩,임영)

前자문위원

윤주(潤柱,밀성)

前감사

윤중(允中,선성)

前부이사장

인수(仁秀,양녕)

이승만기념사업회 이사장

李花 292호 23


인제(仁濟,익안)

前국회의원

일훈(一薰,양원)

前감사

재천(載天,인성)

前부이사장

정훈(政薰,영산)

前자문위원

종일(鍾一,덕양)

前부이사장

학원(學源,덕원)

前국회의원

해구(海龜,인평)

前국회의원

해찬(海瓚,덕흥)

前국무총리

행순(行順,덕원)

前부이사장

현재(賢宰,효령)

前국무총리

홍구(洪九,영산)

前국무총리

회창(會昌,주부공)

前국무총리

강선(康善,효령)

前재정이사

강안(康安,효령)

前이사

강일(康一,효령)

前지원장

건웅(建雄,덕천)

사직예능보유자

건중(建中,선성)

前감사

건호(建鎬,밀성)

前이사

경재(景宰,효령)

前지원장

계형(啓珩,완원)

前지원장

군보(君普,효령)

前지원장

규일(揆一,광평)

前이사

규형(揆衡,광평)

前이사

근왕(根旺,해안)

前이사

근의(根儀,효령)

前이사

기룡(起龍,효령)

前이사

기병(紀秉,온녕)

前이사

기수(起洙,영응)

前이사

기수(基秀,양녕)

前이사

기전(基田,석보)

종묘예능보유자

능우(陵雨,무산)

前이사

동만(東萬,익안)

前청년이사

동재(東宰,효령)

前이사

범길(範吉,광평)

前문화사업이사

병일(炳一,근녕)

前청년이사

삼목(三穆,계양)

前이사

상수(尙隋,양녕)

前이사

상진(相珍,계성)

前지원장

석희(奭喜,익안)

前이사

성기(聖基,양녕)

前지원장

세진(世鎭,석보)

前이사

수환(秀煥,덕천)

前지원장

순복(淳福,성녕)

대신기공 대표

순영(淳永,희령)

前지원장

승수(承洙,영응)

前이사

영복(榮復,밀성)

前자문위원

완근(完根,경녕)

前이사

완선(琓善,화의)

前지원장

완수(完洙,밀성)

前지원장

왕호(旺浩,임영)

前조직이사

용휘(瑢徽,의안)

前지원장

은갑(殷甲,덕천)

前이사

은섭(殷燮,덕천)

前지원장

은숙(殷淑,덕천)

前시지원 여성회장

은호(殷浩,덕천)

연산군숭모회장

은홍(殷弘,덕천)

前전례이사

□ 자문위원 (가나다순)

24 李花 292호


응찬(應贊,선성)

前이사

의종(義鍾,광평)

前이사

장한(章漢,양녕)

前이사

재순(在順,월산)

前국군간호사관학교장

재환(在煥,함녕)

前이사

정만(庭滿,덕원)

前이사

정우(正雨,완원)

前이사

정재(貞宰,효령)

前이사

정희(廷喜,효령)

前이사

종근(鍾根,양녕)

前조직이사

종달(鍾達,영응)

前지원장

종목(鍾木,익녕)

前이사

종연(鍾衍,익양)

前조흥은행장

종진(鍾鎭,회안)

前이사

종헌(鍾憲,임영)

前이사

주관(周官,의안)

前이사

창성(昌成,한남)

前이사

창현(昌炫,양원)

前이사

철남(哲男,효령)

前지원장

춘근(春根,희령)

前이사

태성(台成,한남)

前이사

태호(泰鎬,밀성)

前지원장

해경(海瓊,의왕손)

의친왕5녀

행진(幸珍,수춘)

前지원장

헌구(憲九,경명)

前이사

형열(亨烈,함녕)

명예보유자

혜은(惠恩,덕천)

동국대 명예교수

호근(虎根,임언)

前자문위원

호수(鎬洙,영응)

前지원장

홍기(烘基,회안)

前지원장

홍배(弘培,진안)

前이사

환용(煥用,담양)

前이사

효균(孝均,완창)

前지원장

훈규(壎揆,효령)

前분원장

흥우(興雨,견성)

前이사

희천(羲天,온녕)

前이사

◈ 사단법인 국가무형문화재 종묘제례보존회 임원 □ 임기 : 2022. 2. 28 ~ 2025. 2. 28

(가나다순)

보존회장

귀남(貴男, 회산17)

본원 이사장

이사

기전(基田, 석보17)

종묘제례 예능보유자

이사

강덕(康德, 효령18)

종묘제례 전승교육사

이사

관주(寬周, 덕천18)

본원 재정이사

이사

동성(東成, 안양18)

본원 이사

이사

부용(富鎔, 덕흥13)

본원 제1조직이사

이사

석동(錫東, 의평17)

본원 부이사장

李花 292호 25


이사

석무(錫務, 완풍20)

본원 총무이사

이사

재환(在煥, 함녕21)

본원 자문위원

이사

태우(泰雨, 회산16)

본원 전례이사

이사

희천(羲天, 온녕15)

본원 자문위원

감사

강오(康伍, 효령18)

본원 감사

감사

창재(昌宰, 효령19)

본원 감사

◈ 사단법인 국가무형문화재 사직대제보존회 임원 □ 임기 : 2022. 2. 28 ~ 2025. 2. 28

(가나다순)

보존회장

귀남(貴男, 회산17)

본원 이사장

이사

건웅(建雄, 덕천15)

사직대제 예능보유자

이사

경훈(慶薰, 봉안14)

본원 부이사장

이사

복례(福禮, 영응16)

본원 무임소이사

이사

복용(福用, 담양16)

본원 이사

이사

석무(錫務, 완풍20)

본원 총무이사

이사

연호(燕浩, 임영17)

본원 여성이사

이사

재복(在福, 화의16)

본원 청년이사

감사

강오(康伍, 효령18)

본원 감사

감사

창재(昌宰, 효령19)

본원 감사

보존회이사 (종묘)

보존회이사 (종묘)

보존회이사 (종묘)

보존회이사 (종묘)

보존회이사 (사직)

기전(基田)

강덕(康德)

재환(在煥)

희천(羲天)

건웅(建雄)

※ 기타 임원의 사진은 본원 제25대 임원 명단 사진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26 李花 292호


제25대 상임이사에게 듣는다

<편집자 주> : 종약원 제25대 이사 선출은 21.2.8.신설된 ‘이사선출’ 절차에 따라 이사 장이 지명하여 이사 선출을 하던 관행을 벗어나 ‘이사후보추천인원배정위원회’와 ‘이사 후보심사위원회’를 구성하여 이사를 선출함으로써 공정성과 투명성을 높였습니다. 종약 원을 이끌어 나갈 상임이사 9명의 포부를 들어보는 시간을 서면인터뷰로 가졌습니다.

이석무 총무이사 1. 종사에 참여하시기 전 사회적 경력이 궁금합니다. 경찰 공무원으로 정년퇴직 하였습니다. 2. 상임이사로서 500만 종친을 위해 헌신할 각오는 무엇입니까? 숭조돈종의 정신으로 종약원 발전과 종친간의 화합을 위해 작은 힘이나마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습니다. 3. 종약원의 총체적 업무를 총괄하는 총무이사로서 각별한 계획이 있으시다면 말씀 부탁드립니다. 각 부서간 원활한 업무 협조로 종약원의 전반적인 업무에 공백이 생기지 않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李花 292호 27


4. 총무이사님의 선대 계보는 어떻게 되시는지요. 환조왕자 완풍대군 20대, 시조 42세입니다.

이관주 재정이사 1. 종사에 참여하시기 전 사회적 경력이 궁금합니다. 상업학교 졸업 후 중소기업(제조업)에 근무하였고 디자인, 설계, 자재구매, 기획 분야에서 일하였습니다. 사기업은 이윤 추구가 목적입니다. 어떻게 하면 이윤을 추구하는 상품을 만 들고 동종분야에서 살아남을 것인지를 생각하는 것이 습관처 럼 몸에 배었습니다. 모든 일들을 세밀하게 관찰하는 나쁜 버릇이 있습니다. 어릴 적 꿈은 문학가로 소설, 수필, 자유시 등에도 많은 관 심이 있었습니다. 말년에는 사색과 상념에 젖어 좋은 말만 듣고 좋은 것만 보면서 조용히 살려고 하였습니다. 종사에 발을 들이고 부터는 의지대로 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2. 현재 겸직하고 계신 사회 직책이나, 운영 중인 기업체가 있으시면 소개 부탁드립니다. 경제활동은 하지 않고 종친회에 이외에 과천향교에서 사무를 보고 있으나 올해 69 살로 힘에 겨워 올해만 근무하고 정리하려고 합니다. 3. 종약원의 사회적 위상에 관해 들으신바 소견을 듣고 싶습니다. 제 눈에 비친 종약원은 그 근본은 위대하고 자랑스러우나 점점 그 모습을 잃어가고 경로당화 길로 들어서고 있다고 봅니다. 훌륭하신 어르신들이 젊고 유능한 인재들을 발굴하고 양성하기 보다는 기득권을 지 키려고 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즉 감투에 연연하여 직책에 대한 의무를 소홀히 하는 경향이 날로 심화되어 안타까울 뿐입니다. 4. 상임이사로서 500만 종친을 위해 헌신할 각오는 무엇입니까? 우리 종약원은 재정 자립도가 떨어져 헌성금에 의지하는 실정으로 지금은 헌성금을 많이 내는 사람이 많았으면 합니다. 그러나 종약원의 미래는 돈으로 살 수 없다는 점을 유념하고 젊은 인재를 많이 양성하여 하나의 씨족 종친회를 넘어서 국가에 사 회에 기여하는 단체가 되지 않으면 도태되고 말 것입니다. 따라서 당분간은 헌성자 와 젊은 인재 양성을 중시하여야 한다고 생각되며 무엇보다도 항구적인 재정자립에 힘써보려고 합니다. 28 李花 292호


5. 재무 총괄 이사로서 재정 확충 방법과 각종 미수금 회수에 특단의 대책이 있으시다면 부탁드립니다. 재정부는 7대제향의 헌성금 접수 업무와 전표와 영수증을 확인하는 단순임무에 치 중하여 온 것으로 저는 파악하였습니다. 앞으로는 재정부에서 종약원 자립 방안을 연구하여 일을 찾아서 하려고 합니다. 6. 재정이사님의 선대 계보는 어떻게 되시는지요. 정종왕자 덕천군 18대, 시조 42세입니다. 7. 기타 부연 사안이나 추가 사항이 있으시면 기록해 주세요. 옷장에 옷은 많은데 막상 외출하려고 하면 입을 옷이 없는 것처럼 종약원도 막상 인재를 찾으려하면 없습니다. 이는 인재를 바로 보지 못한 탓입니다. 종약원은 매년 전승교육생과 각 파종회에 젊은 인재들을 관심있게 발굴하여 일할 수 있는 사람을 지켜보고 봉사 정신으로 일을 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참여 의식을 고취시키고 과제를 선적하고 해결하는 실질적인 숭조와 돈종을 이루어야 합니다. 종약원 재정 자립도를 높이는데 사력을 다 하려고 합니다. 앞으로도 많이 도와주시기 바랍니다.

이규원 문화이사 1. 종사에 참여하시기 전 사회적 경력이 궁금합니다. 세계일보 문화부장, 논설위원입니다. 2. 현재 겸직하고 계신 사회 직책이나, 운영 중인 기업체가 있으시 면 소개 부탁드립니다. (사)한국언론인연합회 부회장입니다. 3. 종약원의 사회적 위상에 관해 들으신바 소견을 듣고 싶습니다. 세계 왕조 사당 단일 성씨가 27대왕 519년 역사를 이어온 건 전주이씨 뿐입니다. 4. 상임이사로서 500만 종친을 위해 헌신할 각오는 무엇입니까? 사회에서 익힌 학문과 지식을 종약원, 종친을 위해 전력투구하겠습니다. 5. 문화이사로서 종약원의 위상 제고와 외연 확장에 각별한 계획이 있으시다면 말씀 부탁드립니다. 유튜브 개설과 이화보의 혁신 개편으로 종약원의 위상 제고에 최선을 다하겠고, 젊은이가 찾는 이화보를 만들겠습니다. 李花 292호 29


6. 문화이사님의 선대 계보는 어떻게 되시는지요. 세종왕자 광평대군 19대, 시조 44세입니다.

이태우 전례이사 1. 종사에 참여하시기 전 사회적 경력이 궁금합니다. 1970년 법무부 5급 교정직에 합격하여 공무생활을 하였고, 이후에는 삼성실업 합자회사(금융회사)에서 일을했습니다. 그리 고 건축사업도 했습니다. 2. 종약원의 사회적 위상에 관해 들으신바 소견을 듣고 싶습니다. 종약원은 조선왕의 후손들이 사용하는 종사단체의 용어입니 다. 그러나 용어만이 중요한 것은 아닙니다. 단체의 원원(院

員)으로서 자질과 행동이 더욱 중요합니다. 왕손다운 예(禮) 와 공손한 대인(對人)의 자세가 항시 필요한 것입니다. 3. 상임이사로서 500만 종친을 위해 헌신할 각오는 무엇입니까?

자비이존인(自卑而尊人: 자신을 낮추고 상대를 높이다)의 자세로 인의예지(仁義禮

智) 사덕(四德)을 종친들에게 익히고 전파하여, 어느 곳에서나 인정받는 전주이씨의 종친들이 되시기를 바라는 마음입니다. 4. 가) 종약원 전례교육을 20년 넘게 실시하며 수많은 수료생이 배출 됐습니다. 소그룹으로 활동 중인 이들을 하나로 통합할 수 있을까요? 개성과 신분이 다른 사람들끼리 한자리에 모여 전례 교육을 동일시하게 받았다 하여 하루아침에 통합될 수는 없다고 봅니다. 서로가 머리를 맞대고 예(禮)를 숭상하며 의논하고 동일시적 행동이 오랜 시간 굳어져 갈 때 통합 정신은 서서 히 펼쳐질 것입니다. 나) 종묘제례와 사직대제는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문화유산입니다. 조선 왕릉 제향의 국가 문화재 지정 복안이 있으신지요. 2021년도 종약원에서 왕릉제향 무형문화재 지정 신청서를 올렸던 것이 지연되 고 있습니다. 다시 서류를 보완하고 하자가 없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여 무형 문화재의 획득이 꼭 실현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니, 좀 기다려 주시기 바랍니다. 30 李花 292호


5. 전례이사님의 선대 계보는 어떻게 되시는지요. 성종왕자 회산군 16대, 시조 44세입니다. 6. 기타 부연 사안이나 추가 사항 있으시면 기록해 주세요. 하늘에 제천의례(祭天儀禮)를 행하는 국가는 세계에서 중국, 이스라엘, 한국 3개국 뿐이라고 합니다. 한국의 환구대제(圜丘大祭)는 환구단이 없어 조선호텔 옆 황궁우 (皇穹宇:皇天上帝 龕室)에서 부득이 제사하고 있습니다. 속히 조선호텔 자리의 환

구단(圜丘壇)이 복원되어 국태민안과 태평성대의 환구대제 축문(祝文)의 메아리가 한반도 방방곡곡에 울려 퍼지기를 바라는 마음뿐입니다. ※대한제국 융희황제(純宗) 시기에 환구대제(圜丘大祭)를 올리고 일제강점기를 걸쳐 100년간 제천의례를 행하지 못하다가 2008년 11월 27일 처음으로 환구대제를 봉행 하고 매년 양력 10월 12일로 대제일(大祭日)을 정하여 봉행(奉行)하고 있다.

이부용 제1조직이사 1. 종사에 참여하시기 전 사회적 경력이 궁금합니다. 25세때부터 현재까지 회사를 경영 중입니다. 2. 현재 겸직하고 계신 사회 직책이나, 운영 중인 기업체가 있으시 면 소개 부탁드립니다. 회사 경영 CEO 및 덕흥대원군파종회 종회장 임무 수행중입 니다. 3. 종약원의 사회적 위상에 관해 들으신바 소견을 듣고 싶습니다. 조선왕조 500년 역사의 후예로서 사회적으로 존재의 역할이 대단합니다. 4. 상임이사로서 500만 종친을 위해 헌신할 각오는 무엇입니까? 맡은 바 임무에 최선을 다하는 일입니다. 5. 코로나19 영향으로 집회가 제한돼 전국 지원, 분원의 조직력이 약해졌는데 회생 방안은 무엇일까요? 그리고 사고 분원이나 분쟁 중인 지원에 관한 조정 방안은 무엇이라고 생각 하십니까? 바이러스가 종식되기를 바랄 뿐이고 시간 되는대로 찾아 뵙고 의견수렴 후 사후관 리를 하도록 하겠습니다. 李花 292호 31


6. 제1조직이사님의 선대 계보는 어떻게 되시는지요. 중종왕자 덕흥대원군 13대, 시조 42세입니다. 7. 기타 부연 사안이나 추가 사항이 있으시면 기록해 주세요. 종친간 상호 존중하며 화합하면서 조상님을 잘 모시는 자세가 중요하다고 봅니다.

이재복 청년이사

1. 종사에 참여하시기 전 사회적 경력이 궁금합니다. 인쇄업에 종사하고 있습니다. 2. 현재 겸직하고 계신 사회 직책이나, 운영 중인 기업체가 있으시 면 소개 부탁드립니다. 금천구분원장과 금천이화장학회 설립에 참여하고 지금은 회 장 직책을 맡고 있습니다. 또한 서울시지원 부지원장도 겸하 고 생업인 경인인쇄를 30여 년 운영하고 있습니다. 3. 종약원의 사회적 위상에 관해 들으신바 소견을 듣고 싶습니다. 약 10여 년전만 해도 종약원 하면 서로 참여하고 위상 좋은 편이었습니다. 지금은 인식들이 종약원 하면 “그저 그렇구나” 하는 생각들로 부정적인 면이 있습니다. 4. 상임이사로서 500만 종친을 위해 헌신할 각오는 무엇입니까? 종친들을 대변하고, 봉사하는 생각으로 마음을 다잡고 활동하겠습니다. 5. 청년위원 중에는 각 지원 소속 청년이사도 포함돼 있습니다. 전국 단위 청년 조직을 동시 에 아우를 수 있는 별도 구상이 있으신지요. 코로나19 이전에는 연 1회 단합대회를 통해 각 지원 청년들과 의견을 나누고 뜻을 모으는 회동을 했습니다. 앞으로 이러한 활동을 넓혀 나가야 하며 각 지원 행사에도 적극적으로 참여를 해야 합니다. 6. 청년이사님의 선대 계보는 어떻게 되시는지요. 세종왕자 화의군 16대, 시조 41세입니다.

32 李花 292호


7. 기타 부연 사안이나 추가 사항 있으시면 기록해 주세요. 종약원이 앞으로 발전을 위해서는 시대에 맞추어 문화운동을 해야 합니다. 장학회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대상자들에게 장학금을 지급하는 것으로 끝내지 않고 종약원 을 널리 알리고 참여를 유도해야 합니다.

이연호 여성이사 1. 종사에 참여하시기 전 사회적 경력이 궁금합니다. 삼성화재에서 23년간 근무하고, 서울시지원 여성이사를 역 임했었습니다. 2. 상임이사로서 500만 종친을 위해 헌신할 각오는 무엇입니까? 봉사정신으로 임하겠습니다. 3. 여성부는 전주이씨의 따님과 시집온 며느님들을 주축으로 각 지 원 여성이사가 포함돼 있으며 특히 서울시지원 여성부 지원을 많이 받고 있습니다. 보다 효율적이 운영 방안이 있으신가요. 각 능 제향에 봉사는 많이 해 왔지만, 아쉬운 점은 여성위원 들에게 교양강좌를 했으면 합니다. 4. 여성이사님의 선대 계보는 어떻게 되시는지요. 세종왕자 임영대군 17대, 시조 42세입니다. 5. 기타 부연 사안이나 추가 사항 있으시면 기록해 주세요. 한마음 한뜻으로 뭉쳐서 열심히 일하는 종약원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이복례 무임소이사 1. 종사에 참여하시기 전 사회적 경력이 궁금합니다. 재경 구례향우회 여성회장을 맡아 활동했습니다.

李花 292호 33


2. 상임이사로서 500만 종친을 위해 헌신할 각오는 무엇입니까? 우리 종친 일이라면 거리와 장소를 가리지 않고 봉사할 마 음과 자세입니다. 3. 무임소이사님의 선대 계보는 어떻게 되시는지요. 세종왕자 영응대군 16대, 시조 41세입니다.

‘문화재’ 명칭, ‘국가유산’으로 바뀐다 ‘문화재(文化財)’라는 명칭이 1962년 문화재보호법 제정 이후 60년 만에 ‘국가유 산(國家遺産)’으로 바뀐다. 이에 따라 ‘문화재청’의 명칭도 ‘국가유산청’으로 변경될 것으로 전망된다. 문화재위원회(위원장 전영우)와 무형문화재위원회(위원장 신탁근)는 4월 11일 국 립고궁박물관에서 문화재 명칭 및 분류체계 전면 개선안을 확정하고, ‘미래지향적 국가유산 보호와 가치 증진’ 촉구 결의문을 채택하여 문화재청(청장 김현모)에 전달 하였다. 우리나라는 1962년 제정된 ‘문화재보호법’에 따라, 문화재 명칭 및 분류체계(유형

문화재(국보 ‧ 보물), 무형문화재, 기념물(사적 ‧ 명승 ‧ 천연기념물), 민속문화재)를 60년 동안 고수하였다. 문화재 명칭과 분류체계 개선을 추진하게 된 배경은 ‘문화재’ 용어가 가진 의미상 한계를 극복하고 유네스코 등 국제기준과의 정합성을 맞추는 등 문화재 정책범위의 확장과 시대변화, 미래가치를 반영한 체계 수정이 필요하다는 요구에 따른 것이다. 현행 문화재보호법은 일본의 문화재보호법(1950년 제정)을 대부분 원용(援用)하여 제정되었으며, ‘문화재’라는 통칭 명칭을 사용하는 국가는 일본과 우리뿐이다. 분류 체계가 비체계적이라는 점, 문화‘재(財)’라는 용어가 ‘과거 유물의 재화적 성격이 강

한 점, 자연물(천연기념물(동식물 ‧ 지질) ‧ 명승(경관))과 사람(무형문화재)을 문화재로

지칭하는 것은 부적합하다는 지적이 제기돼 왔다. 1990년대 후반부터 ’문화유산‘ 용 어 보편화에 따라 국민 눈높이에 맞는 명칭 개선 등이 꾸준히 제기되어 왔다. 또한, 1972년 제정된 유네스코의 ‘세계 문화 및 자연유산 보호에 관한 협약’에 따 른 국제사회의 유산 분류체계와 국내 문화재보호법 상 분류체계가 상이하여 정합성 과 연계성이 떨어진다는 지적도 있어 왔다.

34 李花 292호


이번 명칭 및 분류체계 개선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문화재(財)라는 명칭을 유산(遺産)으로 변경하고, 통칭은 ‘국가유산’으로 한다. 둘째, 국가유산 분류체계는 문화유산, 자연유산, 무형유산으로 대별한다. 셋째, 지정 ‧ 등록명도 ‘문화재’에서 ‘유산’으로 변경하고, 목록유산의 법적 근거를 마련한다.

<출처 : 문화재청>

문화재 명칭 ‧ 분류체계 개선안 구분 지 정 유 산

국가

시도

등록유산

개선(전) ① 국보, 보물, 사적, 천연기념물, 명승 ② 국가무형문화재, 국가민속문화재 ① 시도유형문화재, 시도무형문화재, 시도민속화 문재 ② 시도기념물(폐지)

개선(후) ⇨ ⇨

② 국가무형유산, 국가민속유산 ① 시도유형유산, 시도무형유산, 시도민속 유산 ② 시도자연유산(명칭 변경)

③ 시도문화재자료

③ 시도문화유산자료

① 국가등록문화재

① 국가등록유산

② 시도등록문화재

⇨ ② 시도등록유산

※ 유형문화재 한정 목록유산

① 현행 유지

① 향토문화재(비지정문화재) ※ 법적근거 無, 유형문화재 한정

※ 무형‧자연유산까지 확대 ⇨

① 향토유산 ※ 법적근거 신설, 무형‧자연유산까지 확대

전화 사기판매 피해방지를 위한 안내 종친회의 산하기관(예 : 문중뿌리보존회, 숭조연구원, 전주이씨유적연구회, 이씨족보 편찬위 원회, 이씨가훈제작사 등) 또는 종친회의 임직원인 것처럼 가장하여, 전국의 종친들께 영상물 및 책자(예 : 전주이씨 대관2편, 전주이씨 보감, 전주이씨의 뿌리 등), 가훈 등을 판매하는 행 위가 기승을 부리고 있습니다. 이들은 주로 전화로 구입의사를 물어오거나 먼저 안내장과 책자를 보내고 추후 일방적으로 대금을 요청하는 등 다양한 수법으로 판매행위를 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행위는 도시민은 물 론 농어촌의 종친들께 무작위로 행해지고 있으며, 특히 농어촌의 종친들이 그 피해사례를 호 소하고 있으므로 지방에 거주하고 계시는 종친들의 각별한 주의가 요망됩니다. 본원에서는 모든 간행물과 제작물은 반드시 이화보에 공지하고 있고, 각 지원과 분원, 파종 회, 봉향회 등을 통하여 홍보하고, 또한 보급하고 있으며, 절대로 전화를 이용하여 판매행위 를 하지 않습니다. 영상물이나 책자 구입에 대하여 전화 안내를 받은 종친은 반드시 종약원에 확인하시기 바 라며 혹시 그것들을 받으신 분은 발행처나 발송처로 반송하시어서 더 이상의 피해를 입는 종 친들이 없도록 당부드립니다.

의 : 전주이씨대동종약원 문화부

☎ (0 2 )7 6 5 - 2 1 2 4 / F A X (0 2 )7 4 2 - 1 6 7 6 李花 292호 35


덕천군 학술세미나 개최 - 공주시, 이달의 역사인물로 선정 충남 공주시는 2월의 역사인물로 ‘덕천군 이후생’을 선정하고, 지난 2월 18일 오후 2시 공주대학교 국제회의실에 서 공주시 주최, 공주대 공주 학연구원 주관으로 종친, 시 민 등 100여 명이 참석한 가 운데 학술세미나를 개최했다. 이날 학술세미나는 △덕천군 의 생애와 업적(이용갑, 전주이 씨 덕천군파종회 이사) △덕천 군파의 공주 입향과 활동(이해 준, 공주대 명예교수) △공주에 남아있는 덕천군파의 유적과 유 물(홍제연, 36 李花 292호

충남역사문화연구원


책임연구원) 등 덕천군과 관련된 3개의 주제로 진행됐다. 이용갑 이사는 “덕천군은 금강의 범람으로 어려움에 처한 이재민들에 대해 재산을 털 어 물에 능숙한 일꾼들을 모으고 땟목을 띄워 구하는 등 그의 적선, 덕행, 근검은 고금 에서 드물어 적덕공으로 칭송을 받았다”고 평가했다.

이해준 명예교수는 “덕천군의 4녀가 전의이씨가로 출가해 공주 ‧ 세종에 그의 전장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1600년대초 덕천군 부조묘가 경기 과천에서 연기 남면 방축리 (현 세종시 도담동)로 이전됐고 다시 1739년 덕천군의 4대손으로 진주목사를 지낸 이 몽경의 후손들이 정착한 세거지 공주로 옮겨졌다”고 설명했다. 덕천군은 정종의 10남으로 휘는 후생(厚生), 시호는 적덕(積德)이다. 효심이 깊고 어 려운 일에 처한 사람을 도와주는 일을 마다하지 않아 백성들로부터 존경과 칭송을 받 아 적덕공으로 불렸다. 공주에 전장이 있어 자주 내려와 직접 농사를 지으며 가난하고 어려운 백성들을 돕고 보살폈으며, 장마로 금강이 넘쳐 수해가 나자 가산을 털어 이재 민을 구제하였다. 한편 덕천군묘는 군용지 편입으로 인해 1974년 8월 서울 거여동에서 사우가 있는 세 종시 장군면 태산리(사우말)로 옮겨졌다. 태산리는 2012년 세종시 출범으로 행정 구역 이 공주시에서 세종시로 바뀌었다. <덕천군파종회>

李花 292호 37


李花광장

조선의 국왕과 파시조

이범직(李範稷) 본원 이사 · 문학박사 건국대 명예교수

전주이씨 후손들은 조선의 왕을 할아버

에 반영 그 골격이 제정되었다.

지 왕으로 모시지 못하고 왕의 아드님을 파시조 할아버지로 하고 있다. 1392년 조 선왕조의 개창 이후 태조고황제부터 27대

조선의 경국대전에 반영된 왕실의 혼인 관계는 왕실 친족 내에서 혼인을 금기시 했을 뿐만 아니라 왕의 정치적 측면에서

순종황제 1910년까지 519년 간 한국 역

정책 결정과 집행과정에서 왕의 혈친들의

사를 이어왔다. 조선왕조 기간, 태조의 조 선 왕실은 고려 왕조 이래 타 성씨와 혼

상호 접근과 결정과정에 참여를 허용하지 못하도록 하였다.

인으로 전주이씨 왕의 자손으로 왕위를

왕의 자손으로 4대를 한계로 종친부로

계승하였다. 삼국시대 신라사회 골품제 사회의 혼인 범위를 확대하여 근친혼을 금기시한 전통

경제적 지원을 하고 다른 국사 업무를 배 제하고 있고 4대가 지나면 타성씨 사대부 들과 동등한 조건하에서 국가 시험 과거

문화를 만들어 타 성씨와의 혼인으로 자

제도로 경쟁하도록 하였다.

손을 생산하는 혼인문화를 정립하였다. 이러한 혼인문화 전통과 정치권의 국가

이러한 왕실의 혈친 자손들이 직접 국 정에 참여를 견제하고 일정한 시간을 지

운영체제가 협심되어 보다 합리적 역사 단계의 왕조 운영 체제가 근대사 단계로

난 후 타성씨 사대부 자제들과 동등한 경 쟁을 통하고 있다.

발전되었다. 다양한 성씨 집단과 지방에 근거한 토

전주이씨 후손들은 자신들의 왕실과 관 계를 강조하지 못하도록 직접 왕을 혈친

착 세력들과 혼인 관계로 이루어진 타협

으로 강조하는 파시조로 인지하지 못하고

과 포용의 윤리와 도덕률을 실행하도록

왕자를 파시조로 정하고 있는 것이다.

한 내용이 조선의 경국대전과 국조오례의 38 李花 292호

<세종/광평대군 17대 ‧ 始42세>


조선왕릉실록(8)

성군 세종대왕 영릉(上)

이규원(李揆元) 본원 문화이사 李花보 주필 · 시인

성군의 지치(至治)로 단군 이래 지고 (至高)의 태평성대를 이루다.

발달하기 시작해 통일신라(668) 이후 성 립된 고대 문자다. 중국 한자의 음(音 ‧ 소

하늘은 반만 년 역사의 한민족에게 시

리)과 훈(訓 ‧ 새김)을 차자(借字)해 그 당

대마다 위대한 인물을 탄생케 해 강토를

시 우리가 쓰던 말의 문장 구성법에 따라

지켜내고 유장한 민족사를 이어내도록 배

토를 붙인 불완전 문자였다. 경덕왕(신라

려했다. 칠흑같이 어두운 밤하늘에 별같

35대 ‧ 재위 742~765) 당시 대학자였던

이 빛나는 역사적 인물 중 눈부시게 찬란

설총(생몰년 미상)이 처음으로 표기법을

한 최고 위인은 단연 세종대왕이다.

정리해 경서를 번역하고 주해했다. 설총

사람과 사람이 의사를 소통함에는 말과 글이 있다. 글보다는 말이 먼저였다. 문자

은 원효대사(617~686)와 요석공주(신라 29대 태종무열왕 딸) 사이에서 태어났다.

가 없었던 원시시대 인류도 반복해 내는

아시아 대륙에 문자가 없을 때인 BC 1

소리와 익숙한 몸짓으로 속내를 전달했

천 300여 년 전. 청동기시대에 접어든 중

다. 글을 쓸 줄 모르는 문맹자도 말은 잘

국 대륙에서는 갑골(甲骨 ‧ 거북 등) 상형

할 수 있어 얼마든지 자기 마음을 표현할

글자꼴을 창안해 문자로 사용했다. 한자

세종대왕(재위

의 원형으로 은(殷)나라가 은허(殷墟)로

1418~1450)이 등극하지 않았다면 우리는

천도할 무렵이어서 ‘은허 문자’로도 불린

아직까지도 이두(吏讀) 문자를 쓰고 있을

다. 변방의 각 번국(籓國)에서는 한자를

것이다. 문자는 하루아침에 출현하거나

차용해 자국 문자로 변형시킨 뒤 기록 수

발명되는 게 아니다.

단으로 활용했다. 역사가 기록으로 전해

있다.

우리

역사에

이두는 향찰(鄕札)과 함께 삼국시대에

지는 유사(有史) 시대에 접어든 것이다. 李花 292호 39


한반도에서는 부산 금곡동 패총과 김해 능소리 패총 유적이 형성될 때다. 한반도에 한자가 처음 전래된 건 원

(原)삼국(마한 ‧ 진한 ‧ 변한) 시대가 시작되

던 BC 300년 즈음이다. 백수광부(白首狂 夫) 아내가 한자로 《공무도하가(公無渡 河歌 ‧ 일명 箜篌引)》를 지어 백성들이

두는 존재 가치를 잃게 된 것이다. 대왕은 태조 6년(1397) 4월 10일 한양 잠저에서 태종대왕(이하 태종)과 원경왕후 여흥 민씨의 셋째 왕자로 태어났다. 어휘 (이름)는 도(祹)다. 조선왕조 개국 후 처 음으로 태어난 원비 소생의 정통 왕자였 다. 대왕은 ‘등극하기 전 충녕대군 시절부

따라 불렀다는 기록이 전한다. 지금부터

터 손에서 책을 놓지 않았으며 성격은 침

2천 300여 년 전이다. 이 당시 사용하던

잠하고 과묵하여 말수가 적었다. 모습은

한자를 재해석해 문자로 차츰 변형시킨

씩씩하고 아름다웠으며 위엄있는 태도는

것이 바로 이두다. 이두가 얼마나 어렵고

천금 같았고 풍채가 좋았다.’는 기록이

난해한 문자인지는 다음의 예문으로 알

《조선왕조실록》에 전한다.

수 있다. ‘너 나 없이 다짐하며’를 이두로 표기하

양녕대군과 효령대군에 이어 셋째였던 대왕이 제4대 임금으로 등극하기까지에는

‘汝吾無亦侤音爲㫆(여오무역고음위

수많은 곡절과 풍파가 뒤따랐다. 태종은

며)’가 된다. 소리와 새김 가운데 ‘너 나

재세 시 임금 자리를 태자에게 물려주고

없이 다짐하며’를 편의대로 취한 것이다.

왕권이 안정되는 것을 확인하고자 했다.

온갖 시달림과 부역으로 생존조차 위협받

세자로 책봉된 양녕대군이 왕기(王器)가

던 무지한 백성들이 이 난해한 문자를 어

아님을 판단한 태종은 재위 18년(1418)

찌 알겠는가. 왕족이나 귀족 등 상류층에

6월 세자를 폐했다. 두 달 후인 8월 곧바

서도 한문을 통달해야만 터득할 수 있는

로 충녕대군을 보위에 등극시켰다. 이 과

극히 제한된 기록 수단이었다. 그럼에도

정에서 적지 않은 국가 동량들이 삭탈관

이두는 고려 조정은 물론 조선 초기까지

직 당하고 유배 길을 떠나야 했다.

생명력이 이어졌다. 임금이 신하에게 내

태종은 상왕으로 있는 4년 동안에도 병

리는 글과 신하나 백성들이 왕에게 올리

권만은 놓지 않고 절대 왕권에 걸림돌이

는 상언류(上言類)도 이두였다.

되는 대신이나 친인척들을 모조리 제거했

나라말이 중국과 달라 백성들이 펴고자

다. 왕조 창업에 공이 지대했던 개국 공

하는 뜻을 제대로 펴지 못하는 것을 안타

신과 처남까지도 축출하거나 자진(自盡)

깝게 여긴 세종대왕(이하 대왕)이 훈민정

토록 했다. 대왕에게서 성군의 기미를 간

음을 창제했다. 글을 모르던 부녀자는 물

파한 태종은 왕조의 앞날을 낙관하며 매

론 저자 거리의 천민에 이르기까지 문자

우 흡족해 했다.

에 수반된 제반 문제가 일시에 해결됐다.

“명주(明主 ‧ 밝고 현명한 임금)를 얻어

이두로 기록되던 각 분야의 모든 영역이

국정을 맡기고 보니 천하에 나처럼 복된

훈민정음(이하 한글)으로 대체되면서 이

이가 없을 것이로다. 어찌 천하뿐이리오.

40 李花 292호


▲ 영릉 세종전 앞의 훈민정음 표석. 훈민정음은 세계에서 가장 과학적인 소리글이다.

고금을 통해서도 나와 같이 걱정 없고 마

(愛民) 군주 치적을 운위할 때 세 가지

음 편한 이는 없으리라.”

덕목을 우선시 한다. △문민 통치에 의한

이렇듯 냉엄 군주로 천하를 도모했던

민생 안정 △정변 ‧ 내란 ‧ 전쟁이 없는 태

태종도 가는 세월 앞에는 속수무책이었

평성대의 구가 △국경 방어 ‧ 보전 및 영

다. 세종 4년(1422) 보령 56세로 태종이

토 확장 등이다. 대왕은 재위하는 동안

승하하면서 만고 효자였던 대왕에게 극진

이 모든 위업을 완수했다.

한 슬픔을 안겨 주었다. 하지만 우리 민 족에게는 태종이 구축한 만년대계 위에서 대왕이 지치(至治 ‧ 더 이상 잘할 수 없는 통치) 시대를 여는 원년이 되었다.

대왕이 치세하는 동안 나라 안팎에서는

‘동방의 요순(堯舜 ‧ 중국 역사에서 가장 훌륭한 황제) 시대가 도래 했다.’며 모두 가 환호했다. 관리들은 그 직분에 충실했

대왕은 1418년 8월 즉위해 1450년 2월

고 세간의 민호(民戶)들은 생업에 편안했

보령 54세로 등하할 때까지 32년 동안

다. 조정은 부조리 없이 맑고 깨끗하게

보위에 있었다. 대왕의 재위 시절은 개국

잘 다스려졌다. 정치, 경제, 국방, 사회,

공신들이 거의 세상을 떠나고 과거제도를

과학, 문화, 농업, 의학, 음악 등 대왕의

통해 발탁된 신진 두뇌들이 마음껏 국정

통치가 골고루 미치지 않은 분야가 없었

에 참여한 시기다. 대왕은 집현전을 통해

다. 정치적 탄압이나 징계도 사라져 공직

양성된 인재들이 평생 학문에만 몰두하도

자는 국가를 위해 헌신했다. 바야흐로 격

록 뒷받침했다. 대왕은 집현전 학사들과

양가(擊壤歌)가 절로 울려 퍼지는 태평성

더불어 ‘백성을 가르치는 바른 소리(訓民

대였다.

正音)’인 한글 창제라는 역사적 대업을 완성했다.

사학계서는 왕조시대의 영명한 애민

대왕의 업적은 필설로 형언할 수가 없 다. 국가의 오례(길례, 흉례, 군례, 빈례, 가례)와 서민의 사례(관례, 혼례, 장례, 제 李花 292호 41


례)를 새로 정립해 간소화했다. 《농사직

향유토록 했다. 세금을 공평하게 부과했

설》《삼강행실도》《팔도지리지》《의방

으며 노비에 대한 사형(私刑) 제도를 금

유취》 등과 법률, 역사, 유교, 문학, 어

지시켰다.

학, 천문, 지리, 의학, 농업기술에 관한 수많은 서적들을 찬술했다.

세계에서 가장 과학적이고 논리적 체계 를 갖춘 한글을 손수 창제했다. 한글을

성곽 수축과 전함 수리로 국방을 튼튼

반포할 때(1446년 10월) 명(明)이 반역으

히 했다. 두만강과 압록강 유역에 4군 6

로 다스리려 했지만 대왕은 굴하지 않았

진을 개척해 오늘날의 국경으로 확정지었

다. 최만리 등 사대주의 신하들의 반대

다. 이는 신라가 삼국통일하며 참전 대가

상소가 빗발쳤지만 동요됨이 전혀 없었

로 당나라에 내 준 철령(함경남도 안변군

다. 대왕의 한글 창제는 중국으로부터의

신고산면과 강원도 회양군 하북면과의 경

문화적 자주 독립이었다. 종묘(나라)와 사

계에 있는 고개. 높이 685m) 이북의 영

직(백성)이 천년만년을 누리는 지식의 근

토를 조선이 수복하는 역사적 쾌거였다.

간이기도 했다.

고구려가 차지했던 광활한 동북 지역의

중년에 생긴 소갈증(당뇨)으로 옥체가

강토를 국지적으로나마 회복한 것이다.

미령했던 대왕은 세종 27년(1445) 세자

왜구의 소굴이던 대마도를 정벌해 항복받

(문종)에게 정사를 위임하고 요양에 전념

았다.

했다. 대왕은 정비 소헌왕후 청송 심씨와

세계 최초의 측우기와 혼천의, 해시계,

물시계 등을 제작해 천문 ‧ 과학 기술을

의 사이에서 8대군 2공주를 탄출했다. 후 궁들에게서는 10군 왕자 2옹주를 출생했

비약적으로 발전시켰다. 박연으로 하여금

다. 조선왕조 역사상 유례없는 왕실의 번

아악을 정리케 해 서민들도 문화생활을

창이었다. 1450년 음력 2월 17일 극진히

▲ 성군 세종대왕 영릉. 영릉 천장 후 조선 역사가 100년 연장됐다는 명당 중의 명당이다.

42 李花 292호


아꼈던 왕자 영응대군(1424~1467) 사저

단출하다. 조선 최초의 합장릉으로 혼유

동별궁에서 대왕이 예척(禮陟)했다.

석은 왕과 왕비를 별도로 배치했다.

온 나라가 깊은 슬픔에 잠겼다. 하늘도

영릉은 풍수를 운위함이 외람된 천하

울고 땅도 울었다. 만조백관과 백성들은

길지의 대 명당이다. 북성산을 용틀임하

부모를 여읜 듯이 통곡했다. 비통함 속에

며 엎치락뒤치락 기복(起伏)한 내룡맥이

서도 조정은 궁중 법도에 따라 국장 절차

우람하면서도 장중하기 그지없다. 자좌오

를 봉행해야 했다. 예법에 정통한 예조판

향의 정남향으로 좌청룡 ‧ 우백호 ‧ 남주작 ‧

서가 빈전도감을 맡고 공조판서가 산릉도

북현무는 물론 안산 ‧ 조산 모두의 자리

감으로 지명돼 산역을 주도했다.

매김이 인위적으로 배치한다 해도 불가능

대왕은 4년 앞서 선어(仙馭)한 소헌왕

한 천혜의 명혈(名穴)이다. 임입수(壬入

후를 헌릉(태종대왕) 서쪽에 안장하고 후

首) 곤득수(坤得水)에 손파수(巽破水)로

일 대왕도 묻히기를 원했다. 대왕 등하

천년만년 제향이 끊이지 않는다는 천년향

(登遐) 후 국풍(國風 ‧ 왕릉 터를 택지하는

화지지(千年香火之地)다.

지관)들이 나서 물이 차는 흉지라고 만류

영릉가백년(英陵加百年)이라 하여 세종

했으나 대왕의 유명이어서 하는 수 없이

대왕을 이곳에 천장한 후 조선왕조의 운

예장했다. 능호는 영릉(英陵)으로 봉정해

세가 100년 넘게 연장되었다고 한다. 천

올렸다. 무상한 세월이 흘러 정변과 참극

장에 얽힌 광주 이씨 문중과의 비사와 신

이 수습된 8대 예종 1년(1469). 영릉(국

도비명(銘)에 전하는 구절양장의 사연은

가 사적 제195호)은 현재의 경기도 여주

다음 호에 기술하기로 한다.

군 능서면 영릉로 269-50으로 천장됐다.

<세종/광평대군 19대 ‧ 始44세>

《국조오례의》에 준거한 왕릉으로 병풍

☞ 다음호에 계속

석을 없애고 난간석만 세웠다. 석물들도

[ 찾아 가는 길 ] 대중교통 이용 시 경기도 여주 버스터미널에서 이천 방향 111번 버스를 타고 공군부대 앞에서 내린다. 승용차는 여주 IC에서 왕대리 방향 42번 국도로 가면 이정표가 나온다. 지하철은 경강선 세종대왕릉 역에서 하차하면 된다. 문의 (031)885-3123~4. 영릉은 제17대 효종대왕(재위 1619∼1659)의 영릉(寧陵‧사적 제195호)이 영릉 좌측에 예장돼 있어 영녕릉(英寧陵)으로도 회자된다. 효종대왕 영릉은 왕비 인선왕후 장씨와 동원(同原) 상하연봉 릉(上下連封陵)으로 조영된 조선 왕실의 독특한 묘제다. 상하연봉릉은 좌우 혈장(穴場)의 협소로 명혈(名穴)이 상하에 위치할 때 용사하는 왕릉 풍수 비법이다. 제22대 경종대왕(재위 1720∼ 1724) 의릉도 상하연봉릉이다. 효종대왕 영릉은 원래 건원릉(태조고황제) 서쪽에 있었으나 병풍석 에 틈이 생기고 물이 차면서 세종대왕 영릉 옆으로 천장했다. 효종대왕 영릉은 서인의 50년 장기 집권이 몰락한 고산 윤선도(남인)와 우암 송시열(서인)의 풍수 논쟁으로 유명하다.

李花 292호 43


불[浮屠 · 부도]에 숨어 산 김시습

이승창(李承昌) 본원 상임고문 · 수필가

김시습(金時習, 1435~1493)은 강릉이

해괴하게 여길까 두렵다. 마땅히 그 집을

본관인 사람이다. 자는 열경(悅卿)이요,

도와주어 남모르게 교양하게 하라. 나이

호는 매월당(梅月堂)이다. 태어난 지 8개

들고 성장하여 학문이 이뤄지길 기다려

월 만에 글을 알았고 세 살에는 글을 지

크게 쓰이도록 하겠다”하고 즉시 비단 50

었고, 5세에 중용과 대학을 통달하니 신

필을 하사하고 스스로 운반해 가게 하였

동이라 불렀다. 집현전 학사 최치운(崔致

다. 시습이 마침내 비단의 끝을 몸에 매

雲, 1390~1440)이 기재(奇才)라 하면서 이름을 시습(時習)이라 지어주었다.

세종대왕이 소문을 듣고 승정원으로 불 러 지신사 박이창(朴以昌, ?~1451)에게 명하여 시험하게 하였다. 시험하기를, “동 자의 학문은 백학이 청공 끝에 춤을 추누

어 끌고 나가니 이로 말미암아 이름이 천 하에 떨쳤고 5세 신동으로 일컫고 이름을 부르지 않았다. 나이 13세에 논어, 맹자, 시경, 서경을

김 반( 金 泮 : 강 서김 씨시 조< 江西 金 氏 始

祖>)에게 사사 받고, 주역, 예기, 제사(諸

나[童子之學 白鶴 舞靑空之末]”하니, 시

史)는 윤상(尹祥, 1373~1455)에게 사사

습이 대답하기를 “성주의 덕이 황룡이 벽

받았다. 세종대왕과 문종대왕이 연달아

공의 중앙에 번득이도다[聖主之德 黃龍 飜碧空之中]”이라 하였다. 대견하게 여긴

승하하고 단종이 유충(幼沖)하여 손위(遜 位)를 하자 시습의 나이 21세였다. 삼각

박이창이 무릎 위에 앉히고 여러 번 시로

산중에서 독서를 하다가 대성통곡을 하고

시험하니 과연 빠르게 대구(對句)하고 시

읽던 책을 모두 태우고 그대로 도망가서

구가 아름다웠다. 임금이 이어 교시하기

부도(浮圖)에 숨으니 중의 이름은 설잠

를 “내가 직접 만나보고 싶으나 세속에서

(雪岑) 청한자(淸寒子) 벽산청은(碧山淸

44 李花 292호


隱) 동봉(東峯) 췌세옹(贅世翁)이었다. 김시습은 못생겼고 몸이 작으며 성격이 호매(豪邁)하였다. 게다가 지혜가 영발(英 發)하여 간결하고 경솔해서 위의(威儀)가

하면 “내는 영릉(英陵)을 뵙지 못하겠다.” 하면서 눈물을 흘리며 매우 슬퍼하였다. <龍泉談寂記> 김수온(金守溫), 서거정(徐居正)이 일찍

없고 강경하고 솔직하여 남의 허물을 용

이 국사(國士)로 칭도(稱道)되었는데 서

납하지 못하였다. 시대에 상심하고 풍속

거정이 한창 조정에 정사를 볼 때에 김시

에 분개하더니 마침내 형해(形骸)를 풀어

습이 남루한 옷차림에 세끼로 허리띠를

놓아 지역의 산천에 족적(足跡)이 자못

매고 시장에서 만나자 머리를 쳐들고 부

편만하였고 문장이 뜻을 거치지도 않고

르기를, “강중(剛中)은 편안한가?”하니 거

이루어졌다. 사람이 따라 배우기를 원하

정이 웃으면서 대답을 하였다. 거정이 일

는 자에게는 문득 목석(木石)으로 치거나

찍이 여상(呂尙)이 고기 낚는 그림을 가

혹은 활을 당겨 쏠듯이하곤 하였다. 산행

지고 시를 구하니 즉시 짓기를,

할 때는 나무 위에 시를 쓰고 얼마간 읊 조리다가 문득 통곡하며 지워버리곤 하였

風 雨 蕭 蕭 拂 釣 磯

는데 시에는 고사리미[薇]자와 고사리궐

渭 川 魚 鳥 識 忘 機

[蕨]자를 쓰길 좋아했다. 일찍이 중흥사(中興寺)에 거주할 적에 매양 비가 온 뒤에 문득 종이 백여 장을

如 何 老 作 鷹 揚 將 空 使 夷 齊 餓 采 薇

재단하여 필연(筆硯)을 가지고 물가에 가 앉아서 속으로 읊어 시를 지어 써서 물에

비바람 치는 물가에서 쓸쓸히 고기를 낚는데

던지기를 종이가 다 없어져야 돌아왔다.

위수 내 고기와 새는 기심 잊은 걸 알고

혹은 나무를 깎아 농부의 형상을 만들어

있네.

서 책상 위에 나란히 세워놓고 종일토록

어찌하여 늙은 나이에 응양의 장수 되어

자세히 보고 있다가 또한 곡하고 불태우

부질없이 백이 숙제를 고사리 캐 먹다

곤 하였다. 벼를 심어서 매우 무성하면

죽게 했나.

술 취함을 타서 낫을 휘둘러 베버려 땅에 낭자하면 이어 방성대곡을 하였다. 높은 벼슬[達官]에 있는 자를 보되 인망(人望) 을 받는 자가 아니면 반드시 곡하며 말하

하니, 서거정이 할 말을 잊었다. 세조가 일찍이 내전에서 법회를 하는데 부름을 받고 갔다가 갑자기 새벽에 도망해 나오

기를 “이 백성 무슨 죄인가?” 하였다.

니 사람을 시켜 뒤쫓게 하자 오물통에 빠

<율곡집>

泉談寂記>

목소리가

청초(淸楚)하였는데

매양 달밤에 홀로 앉아 큰소리로 이소경 (離騷經)을 외우다가 문득 눈물을 흘려 옷깃을 적시었다. 성품이 술을 즐겨서 취

져 얼굴을 반만 내놓고 앉아 있었다. <龍 나이 47세에 갑자기 머리를 기르고 아 내를 얻었다. 사람들이 벼슬을 하라고 권

李花 292호 45


천부정(秀川副正) (南孝溫),

정은(貞恩)과

안응세(安應世),

孫) 등은 끝내 변치 않았다.

남효온

홍유손(洪裕

얼마 있다가 아내가 죽자 다시 산으로 돌아가 중의 형상을 짓고서 강릉과 양양 사이에서 놀더니 유자한(柳自漢)이 양양 군수가 되어서는 예로서 대우하고 가업을 복구하기를 권하니 시습이 서한으로 사례 하기를, “낙백(落魄)으로 세상에 사는 것 보다는 무엇이 소요하면서 여생을 보내는 것과 같겠나”하였다. 나이 59세에 세상을 뜨니 “소장하지마라”하고 경계를 남겼다. 생시에 늙을 상과 젊은 상을 손수 그려놓 고 스스로 찬(贊)하기를, “네 모양이 지극 히 작고, 네 말이 너무 어리석으니 마땅 히 구학(溝壑) 속에 버려야 하겠다.” 하였 ▲ 김시습 초상, 대한민국의 보물 제1497호

다. 숙종조에서 집의(執義)에 증직을 하고 정조 갑술년에 이조판서에 증직하고 시호

하는 자가 많았으나 끝내 뜻을 굽히지 않

를 청간(清簡)이라 하였다. <莊陵誌>

고 어김없는 생활을 그전처럼 하였다. 더 러는 송사의 마당에 들어가면 굽은 것을

寺)에서 생을 마치어 절 곁에 3년간 빈소

곧다고 하여 궤변으로 반드시 이기고는

를 차렸다가 장사지내려 빈소를 헤쳐 보

충남 부여군 홍산(鴻山) 무량사(無量

법안이 이뤄지면 크게 웃고 파기(破棄)하

니 얼굴이 생시와 같았다. 절의 중이 부

였으며 혹 시동들과 놀다가 하루는 영상

처[佛]라 하여 이미 다비(茶毘)를 하고

정창손(鄭昌孫)이 시장에 지나가는 것을

그를 위하여 탑[浮圖]를 세웠다.

보고 크게 부르며 말하기를 “저 놈은 마

<태종/양녕대군 16대 · 始40세>

땅히 쉬어야 한다.” 하니, 사람들이 많이 위태롭게 여겨 절교를 하였으나 종실 수

바 로 잡 습 니 다 291호 11면 16줄 이근수(종합5기) → 이근수(종합2기)로 바로잡고 67면 6줄 덕천군파 당진시 변성군종회 → 덕천군파 당진시 변성군대종회로 바로잡습니다.

46 李花 292호


李花 292호 47


48 李花 292호


어머니 봉양일기(9)

이병준(李炳俊) 본원 문화부 수석차장

2021.3.27 바람의 노래 가사를 받은 날

하기사 근 30여년을 일기를 쓰고 계시

오늘은 고향집 앞마당에 붙은 자투리

는 분이시니, 이른 아홉의 연세에도 시적

텃밭을 감자 심고 토란도 심어야하고 고

인 감성은 흡사 스무살 소녀의 모습이다.

추, 상추, 쑥갓, 들깨, 가지, 오이, 호박

군자란 같은 인품의 향기를 지니시고 고

등 몇 포기씩은 모종을 사서라도 심던지

상한 품격에 평소덕행과 언행이 참으로

씨를 뿌리던지 해야 하기에 준비차 밭을

우아하여 본받을 점이 많으신 분이라 마

삽으로 깊게 떠서 흙을 갈아엎었다. 봄에

음으로 존경하는 분이다. 역시 가사 내용

씨를 뿌리든지 모종해서 싹만 틔워 놓으

이 참으로 내 맘에 들었다. 즉시 "노랫말

면 여름 내내 초가을까지도 아주 실용적

이 나훈아의 테스 형보다 결코 못지 않습

으로 유용하게 반찬거리로 조리해서 계속

니다." 라고 답장을 보내고 그 가사를 옮

먹을 수 있기 때문이다. 삽으로 깊이 파

겨 카톡으로 메모를 했다. 내가 비록 음

서 뒤집어엎은 작업을 끝낸 밭 정경 사

치라고 자처는 하지만 어찌 가사와 곡의

진을 찍어 길상초 누님께 보냈다. 그랬더

좋은 것과 나쁜 것조차 구분하지 못하랴.

니 열심히 일하였으니 마음에 위로가 될

조금은 철학적인 참으로 아름다운 노랫말

노래를 직접 불러주지는 못해도 그 가사

이라는 느낌이 와 닿았다.

를 적어 보내 주겠단다. 누님은 최근에 그 노래를 듣고

가사가 하도 좋아서 적

<바람의 노래 가사>

어 놓고 노래 연습도 하고 있다면서 볼펜

살면서 듣게 될까

글씨로 노트 장에 적은 가사 내용을 사진

언젠가는 바람의 노래를

으로 찍어 메시지로 보내왔다.

세월가면 그때는 알게 될까 李花 292호 49


꽃이 지는 이유를

지 중국이며, 포장년월 2019.12 - 2020.3,

나를 떠난 사람들과 만나게 될

발아보증시한 2년, 재배형은 노지이고, 파

또 다른 사람들 스쳐가는 인연과

종과 수확 기간도 월별로 표시되어 있었

그리움은 어느 곳으로 가는가

다.

나의 작은 지혜로는 알 수가 없네 내가 아는 건 살아가는 방법뿐이야

원산지가 중국이고 시험재배용으로 농협

보다 많은 실패와 고뇌의 시간이

과 업무제휴가 돼 있는지 농협 마크가 선

비켜갈 수 없다는 걸 우린 깨달았네

명하게 인쇄 돼 있었다. 이 정부의 허망

이제 그 해답이 사랑이라면

한 정책 중국몽이 연상되어 죽어도 못 믿

나는 이 세상 모든 것 들을 사랑 하겠네.

을 중국산이니 과연 제대로 싹이 날런지 막상 심고 나서도 의심스런 생각이 들었

기분이 좋았다. 다소 철학적인 뉘앙스를

다. 일기예보에 내일 전국적으로 비가 내

풍기면서도 시적 정조(情操)의 노래가사

린다하니 씨앗 심는 시기로는 날짜를 잘

를 적어 나를 생각하고 위로해주는 사람

맞춘 것 같아 태어나 처음 해보는 초보

이 이 지구상에 함께 존재하며 정감으로

농사꾼으로서 걱정에 다소 안심이 된다.

소통할 수 있다는 이 인연이 얼마나 아름

어제 못 다한 집앞 초입 도로 패인 시멘

다운 일인가.

트 보수공사 마무리 현장을 지켜보고난

가끔은 소통하는 사람의 마음 밭을 들

뒤 씨앗 심기도 마무리하여 끝냈다. 이제

어다 볼 수 있다면 그 심상(心像)의 거리

부터 싹이 터서 나오길 기다리는 이 순진

가 얼마나 아름다울까 하고 생각에 젖어

한 마음 설레임은 참으로 순수한 자연,

보는 순간이다.

생명에 대한 경외심이요 원초적 그리움이 다. 저녁은 점심에 요양보호사 플로라께

2021.4.2 상추씨를 심은 날의 단상

서 지어놓은 밥과 쑥국으로 상을 차려 어

오늘은 어제 10키로 걷기운동 했으니

머니와 마주 앉았다. 그런데 어머니께서

걷기운동 하루 쉬고 상추씨를 심어야한

오른손이 아프다면서 힘이 없어 손가락질

다. 우선 텃밭을 그냥 비워두면 어머니

이 안 된다고 하신다. 몇번을 시도하시다

근심거리 밖에 안 되니 비워 둘수는 없고

가 여기서 30년간 밭일을 했지마는 이렇

뭘 심더라도 심어서 어머니 걱정은 덜어

게 팔이 아프긴 처음이라고 했다. "안되겠

드려야 한다. 마침 병장 아우가 설날 당

다. 네가 밥 얼른 먹고 날 좀 먹여줘라."

숙님께 세배하러 갔을 때 내게 준 씨(청

하신다. "어머니, 왼손으로 오른손을 받쳐

치마상추, 뚝섬적축면, 치마아욱, 농우애

올려 한번 잡숴봐요."

호박) 네 가지를 심을 작정이다. 네 품종

원인은 어저께 오후에 토란 심을 때 내게

이 모두 농우바이오제품 (시험재배용/비

딱 시범만 보이고 들어가셔야 했는데 풀

매품)이다. 이 제품이 독특한 것은 원산

뽑고 미나리 밭 정리하시면서 약 1시간

50 李花 292호

그러나 허사였다.


이상을 노동을 하신 그 후유증이 나타난

엔 방문 열고 쫓아 놓은 밭을 잠시 내다

것이다. 내가 그렇게 그만하시라고 고함

보고 돌아서다 부엌 방바닥에 이마를 부

을 질러댈 때도 들은 척도 안하시고 계속

딪치는 사건이 있었다. 작년보다 체력이

할 적에 오늘의 이 증세는 이미 예상된

너무 차이 나게 약해지신 것이다. "넘어

기우로서 현실로 나타난 것이다.

지시면 돌아가시게 됩니다. 특히 앞뜰이 나 뒤뜰 밭에서 일하시다 넘어지셔서 못

난생 처음 밥을 떠먹여드리며 서글픈

일어나면 그길로 하직인사 해야합니다."

심사가 몰려왔다 "어머니, 이제는 제발 옛

라고 말씀 드려도 막무가내다. 앞으로 점

날에 내가란 생각을 분명히 버리셔야 합

점 심해지면서 나타날 치매현상에 의해

니다. 96세 다르고 97세 당연히 다릅니

부닥칠 일들에 대한 우려가 두려움으로

다." 본인은 어제 잠간 호미잡고 일한 것

요즘은 별스레 자주 느껴 진다. 기우가

때문은 절대 아니라며 도무지 믿을 생각

아닌 현재 당면해 겪고 있는 현실의 실제

은 안하시고 "30년 일했는데도 이런 일은

상황으로 우려만으로 지나쳐 지나갈 현상

없었다는 말씀만 되내이시니 참으로 딱한

이 결코 아니기에 걱정을 놓아 버릴 수

고집이시다. 앞으로 얼마나 더 이런 일로

있는 상황이 아니다.

실랑이를 벌려야 할지 걱정이 된다. 아침

<태종/온녕군 17대 ‧ 始41세>

李花 292호 51


태조강헌대왕영전(太祖康獻大王影殿) - 태조고황제 어진 영당 -

이정록(李廷祿) 前 경북지원 총무이사

태조강헌대왕영전(太祖康獻大王影殿)은

출하고 제수를 장만하여 제를 올렸으나

경북 청송군 향토문화유산 제4호이며, 청

일제시대 이후로는 중단되었다. 토지 소

송군 진보면 진안리에 위치하고 있다.

유는 태조어진 봉안위원회였다.

태조고황제 어진 영당은 선조 26년

그러나 건물이 오래되어 보수해야 할

(1593)에 민간에서 건립한 영당으로 그

곳이 많음에도 불구하고 재정 형편상 보

지역 부자 배정주의 찬조금으로 권씨, 우

수가 불가능하였고 이어 6 ‧ 25 한국전쟁

씨, 이씨, 박씨 등 4성씨 문중에서 토지

으로 더욱 허물어 진데다가 영정마저 없

를 매입하여 수호인을 정하고 경작한 수

어졌으며 문간채가 파괴되었다. 이에 관계

확곡으로는 매년 정월대보름에 헌관을 선

기관에 복원 공사를 요청하였으나 이룩하 지 못하고 1968년 가을에 수많 은 세월을 지켜온 본채가 완전 히 붕괴되었다고 한다. 그러나 면민의 요청에 의하 여 관리권을 진보면향토번영회 에서 인수하여 1971년 태조고 황제 영정재산관리위원회를 구 성하여 영정재산 일부를 매각 하고 1999년 건물 및 비석을 복원하였다. 이 건물은 태조고황제 어진

52 李花 292호


▲ 태조강헌대왕영전 사당

▲ 태조강헌대왕 영전기적비

한편 1893년(고종 30) 당시 진보현감 김

을 봉안한 사당이다. 태조고황제가 나들이할 때 입던 겉옷에 두르는 붉은 띠가 바람에 날려 이곳에서 발견되어 이를 신령스럽게 여긴 마을사람 들이 영전을 짓고 태조고황제 어진을 모 셨다는 영당이며 조선 개국초 5진전(준원 전, 목청전, 경기전, 집경전, 영순전)은 조

동윤이 관민이 힘을 모아 중건하였다는 상량문이 현재 기록으로 전해지고 있다. 현재 건물은 정면 3칸, 측면 1.5칸의 사당 1동과 삼문 1동이 복원되었다. 어진은 전주 경기전과 똑같이 모사 제 작하여 2022년 2월 22일 봉안하였다.

정에서 짓고 봉안하고 청송진보 태조고황

<태종/효령대군 20대 ‧ 始44세>

제 어진 영당은 민간에서 지은 것이다.

=태조고황제어진 영당= 전설에 의하면 지금부터 약 백여년 전쯤의 일이라 한다. 통훈대부 진보현감 김동윤이 밤 이 되어 잠을 청하였는데 홀연히 어떤 노인이 그의 앞에 나타났다. 얼굴이나 몸에서 풍기 는 인상이 범할 수 없는 위엄이 그득하여 예사 사람이 아닐 것이라는 생각을 하는데 그 노 인은 “나는 지금 깊은 산골에 기거하고 있는데 집도 없는 터이라 비바람을 면하지 못하고 있소. 그러니 현감이 내 집을 지어 주시오.” 하더니 대답할 겨를도 없이 어디론가 사라지고 말았다. 현감이 놀라서 깨어보니 그것은 꿈이었던 것이다. 다음날 아침에 지난밤의 꿈이 너무나 생생하게 기억되어 이상하게 생각하고 곧 사람을 불러 “지금 곧 신법 깊은 산골에 들어가서 그곳에 기거하고 있는 사람이 있는지 알아보고 주위에 무엇이 있는지 찾아보도록 하여라.” 하고 사람을 보내었다. 후에 사인이 돌아와 전 하기를 “그곳에는 기거하는 사람이 전혀 없고 다만 주위의 골짜기를 살펴본 결과 이 한 폭의 화상을 발견했을 뿐입니다.” 하고 화상을 현감에게 올리니 현감이 보니까 꿈속에 나 타난 그 노인이 분명했다. 그래서 또다시 전문가에게 감정을 의뢰하였더니 전문가는 이를 보고 깜짝 놀라며 “이 태조대왕의 영정이오.”라고 외쳤다. 李花 292호 53


이에 현감은 영정을 소중히 모시고 행정구역인 화매동(현재의 진보면)에 거주하는 부 자 배정주의 찬조금을 얻어 웅장한 전각을 지었다. 그리고 그곳에 대왕의 영정을 모셨 다. 또 소재지의 권, 우, 이, 박 4성씨 문중에서 토지를 매입하여 수호인을 정하고 경작 한 수확곡으로는 매년 정월 삭망일에 고사를 지내었다. 그 관리는 현감이 하여 왔는데 행정구역의 개편으로 면장이 관리를 맡겨 왔었다. 그러나 오래되어 보수해야 할 곳이 많 음에도 불구하고 재정 형편상 보수가 불가능하였고 이어 6 ‧ 25전쟁으로 더욱 허물어진데 다가 영정마저 없어졌으며 문간체가 파괴되었다. 이에 관계기관에 복원 공사를 요청하였 으나 이룩하지 못하고 1968년 가을에 수많은 세월을 지켜온 본채가 완전히 붕괴되었다 고 한다. 그러자 면민의 요청에 의하여 관리권을 진보면 향토번영회에서 인수하여 1971 년 ‘태조대왕 영정 재산관리 위원회’를 구성하여 영정 재산 일부를 매각하고 영정 부지 를 공원화 시켰다. 동시에 조상들의 빛난 얼을 되살려 지방 문화재를 보호하기 위하여 태조대왕 영정 유적비를 건립하여 지금까지 보존하고 있다. 이렇듯 우리에게는 예부터 전해져 내려오는 전설이나 거기에 얽힌 문화재가 많은데도 불구하고 보존이 되지 못하여 사라져 버리는 수가 종종 있다. 안타까운 일이 아닐 수 없 다. 우리 후손들은 사라져가는 이야기들을 교훈 삼고 나타나지 않은 유물․유적들을 발굴 해 후세에게 물려주어 선조의 빛난 얼을 영원토록 간직하게 하여야 할 것이다. <출처:청송군청 누리집>

54 李花 292호


제주도지원, 8년 만에 『濟州李花』 제4호 펴내

이철헌(李哲憲) 제주특별자치도 지원장 계성군파 제주도종친회장

분야별로는 먼저 △제주대학교 교육학 제주특별자치도지원(지원장 철헌)은 지난

과 인회 교수의

1월, ≪제주이화≫(편집위원장 연봉 법률

한 권두칼럼을 시작으로 △조선의 왕, 제

고문 변호사) 제4호를 펴냈다. 『제주이화』에는

제주종친들의

삶의

제주의 미래

에 대

주섬의 恨과 香을 읊다(문교 前 4 ‧ 3평화 재단 이사장) △위화도 회군의 실상과 의

기록이자 과거와 현재, 미래를 관통하는

의(철헌 지원장) 등 논단이

시대정신이 담겨있다. 척박한 제주에서

기사로 △이 시대 이슈가 되는 코로나 역

모진 격랑의 세월을 헤쳐가며 이뤄낸 조

병 극복을 위한 지혜(연세가정의학과병원

상님들의 불굴의 의지를 바탕으로 지난 3

중근 원장) △코로나 시대 지역경제 무엇

년 여 동안 제주특별자치도지원 및 각 파

을 준비하나(기봉 제주매일 편집국장) △

종친회 종친가족들의 역동적인 활동상이

코로나 시대 제주관광 자원화(한기완 제

수록돼 있다.

주관광신문 편집국장) 등 3편을 수록하여

12분야 46편 380쪽으로 탐라 순력도와 조선왕조 상징물을 화보에 게재하고, 머

있다. 특집1

코로나 시대를 대처하면서도 제주인들이 슬기롭게 살아갈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리말과 권두칼럼, 초대논단, 기획편집 6분

특집2 기사로 동한(東翰) 효령대군파

야, 이화면담, 이화문예, 제주 입도사, 제

의성계종친회장의 대파 농장경영을 비롯

주이화 활동을 실었다. 부록으로 종친회

해 한라봉 ‧ 키위 등 과수분야와 말(馬) ‧

각종 현황 등 종친가족들의 삶의 현장을

계란(鷄卵) 등 축산분야, 한라산 버섯농장

수록했다.

운영 그리고 청정제주 가스 산업 등 ‘미 李花 292호 55


교육프로그램 운영 등 가열찬 차 세대 교육활동을 담은 ‘미래를 꿈 꾸는 교육인 선현’ 3편과 장애인

의 꿈을 심어주는 ‘춘강 東漢 회 장’을 실었다. 한편, 제주도지원은 현재 의안 대군파를 비롯한 양원군파, 완풍 대군파

화의군파를

영입하였고,

최근 효령대군파 의성군계도 합류 함으로서 4파종회로 운영되던 도 지원이 현재 9파종회로 확대 개 편되었다. 이는 오로지 조상숭배 와 종친사랑의 정신이 있었기에 가능했다고 생각한다. 또한, 제주도지원에서는 코로나 방역지침을 면밀히 살피면서 무엇 보다도 종친간의 화합의 장을 열 기위한 노력을 해나갈려고 한다. ▲ 『제주이화』 제4호

다만, 현재의 코로나가 맹위를 떨

래의 꿈을 키우는 기업인’ 7편을 수록함

치는 여건상 「전주이씨 제주도 종친의

으로써 제주사회에서 종친들이 각 분야

날」 한마당 축제는 종친가족들의 안위상

산업별 생활상을 그려내고 있다.

부득이하게 내년도 4월로 연기했다. 11월

특집3 기사로 제주인의 건강을 지키는

5일부터 3일간 「조선 왕릉 참배 및 조

성주(고운이치과) 원장과 재우(에덴산부인

선왕조 태동지 답사」, 2/4분기부터 매월

과) 원장, 철승(치과) 원장 등 의료분야의

첫 토요일에 「오름 동호회 활성화」사업

역동적인 봉사활동 3편을 소개하고 있다.

등 종사의 역점 사업들을 체계적으로 추

‘마을의 행복을 선도하는 일선 지도자’로

진해 나갈 계획이다.

상모리 우석 이장과 고산1리 성삼 이장,

무릇, 사람이 걸으면 길이 되고 그 길

서광서리 이장이 각각 전주이씨 집성촌

은 세월 따라 문화가 된다고 했다. 우리

마을에서 헌신적인 활동상 등 3편도 수록

가 숭조사상으로 하나가 되어 도전한다면

되었다.

종친들의 훌륭한 발자국은 하나의 문화가

또한 도내 전주이씨 현직 교장 ‧ 교감 5

명 중 진경(하도초등학교) 교장 선생의 창의적인 교육과정과 다양하고 특성화된

56 李花 292호

되고, 그 문화 역시 자랑스러운 전주이씨 의 역사가 될 것으로 기대해 본다.

<성종/계성군 17대 ‧ 始45세>


다시, 봄

白思 이진우

온 세상 삼킬 듯

외로움처럼 박힌 하얀 고름을 지우고

벌겋게 타오르던 겨울의 검붉은 노을은

구멍난 이별의 상처를 소독하고 싶다

고작 내 마음 하나 해바라기로 얼려놓고 돌아선 발걸음 한 발짝 붙잡지 못하더라

투명한 햇살로 실을 묶어 구멍난 이별을 꿰매고

흥건하게 고인 노란 그리움엔 살얼음이 끼고 기나 긴 불면의 밤 날 선 뒤척임에 살얼음은 깨지고 하얀 멍으로 얼룩진 채 또, 얼고 다시, 금이 가고 노랗게 물드는 개나리 그리움이라 하기엔

아이들 웃음소리에 정성껏 빨아서 아지랑이 가득한 들판에 펼쳐 두었더니 첫 달거리 맞으라 엄마가 건네준 무명천 처럼 하얀 나비 되어 펄럭이고 솜털같은 민들레 홀씨 모아 모아서 무심한 봄바람 한자락에 묶어 두었더니

너무 그리워

하늘바다 끝까지 날아 날아서

꽃비 되어 봄빛 내리네

비로소 진달래빛 봄비되어 내린다

겨우내 폐병 앓던 내 그리움,

다시, 봄

봄볕 가득한 그대 그림자 안에 펼쳐두고

<태종/온녕군 18대 ‧ 始42세>

李花 292호 57


진경희 박사의

구강 염증의 전신적 영향 - 작은 불도 다시 보자! -

진경희(陳京熙) 서울뉴욕치과 원장

우리 몸에 발생하는 불이라 할 수 있는 염증은 초기 상태에서 적절히 관리하고 치료 하면 우리 몸은 원상태로 복원되나, 염증이 초기를 지나 중기로 진행되어 나갈 때는 치 유 후에도 조직의 손상이 따른다. 즉, 상처를 남기면 염증세포는 혈류를 타고 다른 장 기를 손상한다. 마치 작은 불씨가 바람에 날려 이웃 언덕에 화재를 옮기듯 입안의 염증 이 심장이나 신장 등에 불을 옮기는 불씨 역할을 한다. 치아 표면에 부착된 세균이 원인이 되어 잇몸에 치은염이 발생하면 치아와 치아 사 이의 잇몸 끝이 둥글게 부풀어 오르거나 벌겋게 붓고 이를 닦는 것만으로 잇몸에서 피 가 나기도 한다. 초기 상태에서 적절한 이 닦기와 스케일링 술로 원인이 되는 치태와 치석을 제거하면 치은염은 해소되나, 때를 놓쳐 치주염으로 발전하면 치조골의 파괴와 흡수가 일어나고 잇몸이 적자색으로 변색된다. 통증을 동반하고 염증에서 피와 섞여 나 온다. 치주병의 전신적 영향 치주염이 무서운 이유는 균이 구강뿐만 아니라 전신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염증 상태가 장기화한 곳에는 몸의 방어기전으로 신생 모세혈관을 확장하여 혈구를 더 보내 려 한다. 느슨해진 모세혈관을 따라 세균의 침입이 가능해지며, 혈관에 들어간 세균은 혈류를 따라 먼 장기에까지 이동하고 치주병 균에서 발생하는 독소에 면역세포가 과민 하게 반응하여 도착한 장기에 염증반응을 일으키게 된다. 당뇨 환자나 신장, 심장 등에 만성 염증을 갖고 있는 경우에는 더욱 민감한 염증반응을 일으켜 기저 질환 상태를 악 화시킬 수 있다. 잇몸의 염증이 전신 질환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이다. 58 李花 292호


버려진 작은 꽁초가 큰불의 원인이 되는 것과 유사한 경우이다. 아무도 눈치 채지 못 하는 곳에서 작은 불이 붙고 조용히 퍼져서 이윽고 걷잡을 수 없는 불꽃으로 변해 진 압이 어려운 큰불이 되곤 한다. 큰불이 될지 말지는 누군가가 작은 불을 조기에 발견해 서 끌 수 있는가에 달려있다. 임플란트 치주염 임플란트 치아는 우수한 저작 기능 복원은 물론 견고하다는 장점으로 자연치아 대체 기능을 훌륭히 담당하고 있다. 더구나 우리나라는 유일하게 국민건강보험 혜택에 포함 되어 임플란트 보급률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임플란트 치아는 인공 보철물임으로 자연 치아와 매우 다르다. 자연치아는 치 조골과 치근막이라는 긴밀한 인대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탄력성을 갖고 있으나 임플 란트의 경우는 뼈와 직접 결체되어 전혀 탄력을 기대할 수 없다. 더구나 자연 치아에 잇몸은 생리적으로 결체되어 있으나 임플란트와는 긴밀한 접촉상태임으로 치은염이 발 생하면 쉽게 치주염보다 빠르게 임플란트 염으로 진행되어 자칫 임플란트를 발거해야 하는 경우를 당하게 된다. 임플란트 치아에 치태나 치석이 생기지 않도록 특히 유의해 야 하는 이유이다. 구강은 우리 몸에서 가장 쉽게 염증이 발생하는 부위이다. 구강에 염증이 발생하지 않도록 수시로 주의 깊게 살피고, 작은 불일 때 진화하여 전신에 미치는 영향을 차단하 여야 한다. 진압이 늦어지면 염증은 서서히 퍼져서 온몸을 감싸게 되고 차츰 몸은 염증 이라는 불길에 휩싸이게 된다.

필자 약력 △ 서울대 치과대학 졸업, 동 대학원 예방치의학 전공, 박사학위 취득 △ 미 뉴욕 콜럼비아대 치과대학 치아신경치료 전문의 과정 졸업 △ 미 코네티컷 브리지포대학 건강의학 대학장 역임 △ 미 맨해튼 치과병원 개원 치아신경치료 전문의 △ 현 서울뉴욕치과 원장

李花 292호 59


한시(漢詩) 한 수

春 望 詞

(춘망사 ‧ 봄날의 소회)

薛濤(설도)

花開不同賞

(화개부동상 ‧ 꽃이 피어도 함께 즐길 님 없고)

花落不同悲

(화락부동비 ‧ 꽃이 져도 함께 슬퍼할 이 없네)/

欲問相思處

(욕문상사처 ‧ 묻고 싶어라 그대 계신 곳)

花開花落時

(화개화락시 ‧ 꽃 피고 꽃 지는 이 봄날에)/

攬草結同心

(남초결동심 ‧ 풀잎 따다 한 마음으로 묶어)

將以遺知音

(장이유지음 ‧ 이 내 마음 전하려 하네)/

春愁正斷絶

(춘수정단절 ‧ 봄날의 시름 끊으려 해도)

春鳥復哀吟

(춘조복애음 ‧ 새는 다시 구슬프게 우는구나)

60 李花 292호


▲風花日將老

(풍화일장로 ‧ 바람이 부니 머지않아 꽃이 질것만 같은데)

▲佳期猶渺渺

(가기유묘묘 ‧ 아름다운 기약은 아득하기만 하다)/

▲不結同心人

(불결동심인 ‧ 마음을 함께하는 사람은 맺지 못하고)

▲空結同心草

(공결동심초 ‧ 마음을 함께하는 풀잎만 헛되이 맺고 있다)/

那堪花滿枝

(나감화만지 ‧ 어찌하나 가득하게 핀 저 꽃들)

飜作兩相思

(번작양상사 ‧ 도리어 서로 그립게 하니)/

玉箸垂朝鏡

(옥저수조경 ‧ 아침 거울 보며 흘린 눈물)

春風知不知

(춘풍지부지 ‧ 봄바람아 너는 아느냐 모르느냐).

★ 설도(762~834)는 중국 장안 출신으로 당나라 중기 여류시인이다. 관리였던 아버지를 따

라 사천성 성도에서 성장했다. 16세 때 부모를 여의고 의탁할 곳이 없자 약적(藥籍 ‧ 기

예만 파는 기생)에 적을 올렸다. 출중한 미모에다 총명하고 기지가 넘쳐 부호들이 탐을 냈다. 시작(詩作)에 뛰어나 위고 ‧ 무원형 등 당대 최고 지성들과 교류하며 수도 장안에 까지 명성을 떨쳤다.

감정을 절제한 절구(絶句)가 압권으로 동시대 문객들의 부러움을 샀다. 탐관오리를 징

치하다 좌천된 원진(元稹 ‧ 779 ~ 831)과의 첫사랑이 실패하자 절망의 늪에 빠졌다. 권력

과 재물에 초연했고 독수공방으로 지내며 장안 호걸들의 애간장을 태웠다. 유작으로《薛 濤詩》1권이 있다.

▲ 가곡 ‘동심초’의 가사 ‘꽃잎은 하염없이 바람에 지고 / 만날 날은 아득타 기약이 없네 / 무어라 맘과 맘은 맺지 못하고 / 한갓되이 풀잎만 맺으려고’는

김소월의 스승 김억(1896 ~ ?)이 춘망사의 4절구를 번역한 것이다.

李花 292호 61


나는 양반이 아닙니다

이언수(李彦秀) 본원 문화부 위원

양반이니 상놈이니 하는 말은 요즘에는

고만 있는 한 직원에게 자네는 무엇이냐

잘 쓰지 않는 말이다. 수십 년 전만 해도

물었다. “저는 양반이 아닙니다.” 떠들썩

술좌석이나 혼사라도 있을라치면 화제 인

하던 술좌석이 일순 조용해지고 참석자

물의 성씨나 품행을 따져 어디 성씨인가

모두 방금 말을 한 직원 쪽으로 시선이

양반인가 상놈인가를 가지고 시시콜콜 논

쏠렸다. 직원은 벌떡 일어나서 묵직하고

쟁할 때가 있었다. 지금은 모든 사람은

당당한 어조로 “저는 왕손입니다.” 이 직

평등하다는 평범한 진리가 보편화된 세상

원은 오래전 본원 재정위원으로 일을 하

이다. 그런 말을 하는 사람을 요즘 젊은

시다 1983년에 순직한 만선(萬善, 양녕대

사람들이 본다면 외계인 취급당할 것이

군 15대)의 장남이다. 나하고는 7촌 재당

다. 그러나 아직도 나이 든 분들이 간혹

숙인 승관(承寬, 양녕대군 16대) 이다.

사람을 평할 때, 하는 말이나 행동을 보

재당숙은 서울대학교 금속학과를 졸업

고 양반 같다느니 상놈 같다느니 이분법

하고 포철에 입사하여 1972년에 철강 기

적으로 사람 평가하는 기준으로 삼기도

술을 배우러 일본을 갔을 때다. 우연한

한다.

기회에 나이 많은 재일교포를 만났다. 그

70년대 초 포항종합제철 공장설비를 한

분이 일본에는 어찌 왔느냐고 묻길래 포

창 공사하던 때, 박태준 사장이 직원들과

항제철이라는 철강회사에서 기술을 배우

저녁 회식 자리에서였다. 공사 진행을 격

러 왔노라고 대답을 했다. 손을 덥석 잡

려하며 술이 여러 순배 돌아 취기가 오를

으며 “여보게, 젊은이! 왜 일본이 잘 사

때쯤, 화제가 양반 이야기가 나오고 족보

는 줄 아나요. 일본에는 제철소가 있어서

이야기로 번졌다. 이때 사장은 조용히 듣

지요. 젊은이, 기술 잘 배워 가서 내 조국

62 李花 292호


을 일본같은 아니 일본보다 더 나은 제철

우가 있었다. 그럴 때면 부친에게서 자주

소를 꼭 건설해주시오. 그게 나라가 잘사

들어 외우다시피 한 전주이씨라는 것과

는 것이요.” 하며 눈물을 흘리셨다. 교포

양녕대군 손이라면서 이승만 대통령이 먼

가 한 말을 한시도 잊지 않고 마음 깊이

친척 아저씨 되는 분이라 설명을 덧붙여

새기며 포항제철에 근 사십 년 근무했다.

자랑스럽게 대답했었다. 자라면서 양녕대

그 후 포스코 자회사인 포철산기(주) 대

군이 동생을 위해 왕의 기회를 포기한 왕

표이사 사장으로 퇴임했다. 철강은 국력

손이란 것도 알게 되었다. 어떤 일을 도

이라는 캐치프레이즈와 같이 철은 산업의

모할 때 혹시 조상님 얼굴에 먹칠하는 일

기초 소재인 쌀이다. 평생을 몸담아 불철

은 아닌지 다시 생각해본다. 어쩌다 양반

주야 일하여 세계 최고의 철강회사를 만

이니 하는 족보를 따지는 자리가 있으면

드는 데 일조를 했으며, 그 덕에 단군 이

말없이 재당숙의 일화를 떠올린다. 한마

래 가장 잘사는 나라가 되었다고 자부하

디 말을 하지 않아도 오래 사귄 지인들은

고 있다. 그 자부심의 근간에는 왕손이라

그 이유를 잘 안다. 요즘도 나를 부를 땐

는 긍지에서 나온 것은 아닐까?

호칭으로 부른다.

어릴 때 간혹 ‘어디 이 씨냐’고 묻는 경

<태종/양녕대군 17대 · 始 41세>

“왕손~.”

책소개

개 정 증 보 판

이 동 우

H ow

to

성 명 학

N am e

전 서

- 전국 유명서점과 인터넷 절찬리 판매중 초판 절판으로

개정증보판

발행 -

s효령대군 15대손 東宇

서울특별시 지원 감사 *사)전주이씨 대동종약원 서울시 서초구분원장 *인릉(순조숙황제)봉향회 회장 s사)전주이씨 대동종약원

저자 이동우

*성균관대학교 총동창회 부회장 ◦수상:녹조근정훈장,청백봉사상등 다수

*서초구민신문,매일폴리스뉴스(논설위원) 이름해설가, s서초구청 OK민원센터장,종합민원실장,서초2동장,호적계장 *KBS TV등에 160회 출연채널A.TV.명랑해결단에 박근혜,노태우,김대중 이승만대통령과 이병철 이건희 구본무 정몽구회장 등 이름풀이 출연 *작명경력45년,서초구청에서 만 16년간 6,000여 명 작명 *서울시 작명의 달인 선발(2010년)

*서초구 서운로13중앙로얄 빌딩 1404호 양재역1번 출구 서초구청 외교센터 건너 *명품 신생아 작명, 개명, 아호,상호 문의

펴낸곳: 한솜미디어

H.P 010-2804-6438, 02)565-6438 정가15,000원(우리은행1002-115-265927이동우) 李花 292호 63


영시(英詩) 한 수

L o n g

I' v e

(잘 있거라)

to ss e d

li k e

th e

f o a m ; (오랫동안 물거품처럼 뒤

d ri v e n

GOOD-BYE

b e e n

치락거려)/ B ut n o w, p r o u d

w o r l d ! I' m

g oin g

h o m e . (그러나 이제 나는 집으로 돌아가 련다, 오만한 세계여) G o o d-b y e

Ralph waldo Emerson (랄프 왈도 에머슨)

to

F l a t t e r y 's

fa w nin g

f a c e ; (아첨으로 아양 떠는 얼굴)/ T o

G ra n d e u r

w it h

h is

w is e

g r i m a c e ; (현명한 체 찡그린 위용)/ T o G o o d - b y e, p r o u d

w o r l d ! (잘 있거라,

오만한 세계여!)/ I' m

g oin g

가련다)/ T h o u

n o t t h i n e . (너는 내 벗이 아니요, 나도 네 벗이 아니다)/ L o n g th r o u g h

th y

w e ary

cr o w d s

중 속을 헤맸다)/ ri v e r _ a r k

s u p ple

O f fi c e , l o w

a n d

h ig h ;

cr o w d e d

h a ll s , t o

c o u rt a n d

s t r e e t; (붐비는 홀과 궁정과 거리에)/ T o

fr o z e n

h e a rts

a n d

h a s ti n g

f e e t; (얼어붙은 가슴과 서두르는 발)/

I r o a m ; (오랜 세월 동안 나는 피곤한 군 A

a v e rt e d

(변덕 부리는 높고 낮은 관청과)/ T o

a r t n o t m y f r i e n d , a n d I' m

W e a l t h 's

e y e ; (눈을 돌려 벼락부자가 된 부유와)/ T o

h o m e ; (나는 집으로 돌아

u p st a rt

T o th o s e

w h o

g o, a n d th o s e

c o m e ; (모든 사람에게 이별을 고한다)/ G o o d - b y e, p r o u d

o n th e

o c e a n

b ri n e ,

(대양에 떠 있는 자그만 배처럼)/

w h o

w o r l d ! (잘 있거라,

오만한 세계여!)/ I' m

g oin g

h o m e . (나는 집으로 돌아

가련다). ★랄프 왈도 에머슨(1803∼1882)은 미국을 대표하는 시인 겸 사상가로 미국 보스턴에서 출 생했다. 7대에 걸친 목회자 집안으로 하버드대 신학부 졸업 후 1829년 유니테라언파(派) 목사로 부임했다. 그는 정통 기독교 교리에 집착하지 않고 형식을 초월한 내재적 자율성과 자유로운 인간 영혼의 근원적 본질을 탐구했다. 에머슨의 자유 신학에 교회가 반발하자 목사직을 사임하고 과거 문화의 권위에 대한 거부 를 선언했다. 과학이 미래 종교를 좌우하는 열쇠임을 확신하고 빈자의 편에서 졸부(猝富)들 을 힐난했다. 저서로는 도시 문명을 날카롭게 비판한 《자연론》과 《영국의 국민성론》 등 다수가 있다.

64 李花 292호


무상백성일인 (無傷百姓一人)

내고 사랑하고자 한 마음을 알 수 있게 하는 말이다. 새로 일어난 청나라는 명나 라의 마지막 황제 의종에게 장렬제(莊烈 帝)라는 시호를 바쳤다.

- 군주가 국가를 위해 있는 것이지 국 가가 군주를 위해서 있는 것은 아니다. The Prince exists for the sake of the 무상백성일인(無傷百姓一人)은

‘백성

State, not the State for the sake of the

한 사람도 상하게 하지 말라’는 뜻으로,

Prince. -에라스무스(Erasmus. 네덜란드

군주가 백성들을 몹시 아끼고 사랑하는

의 인문학자)

마음을 나타낸다. 명나라 숭정제(崇禎帝 : 재위 1628∼1644) 의종의 말이다.

- 행어(幸御) : 임금이 바깥에 행차하는 것을

중국 명나라 말기에 관료들의 부패와

‘행어(幸御)하다’

‘행행(行幸)하다’

또는 ‘왕이 거둥하다’라고 하였다.

당쟁, 환관들의 전횡으로 나라가 혼란해

조선시대에 왕의 바깥 행차에는 종묘와

지자 만주에서는 청나라가 새로 일어나기

사직대제, 군사훈련, 칙사 대접, 온천행

시작하였다. 명나라의 제17대 황제 숭정

등이 있었다. 왕의 바깥나들이에는 신변

제 의종은 환관들을 물리치고 나라를 바

보호를 위해 대규모의 호위무사와 수행

로 세우려고 노력하였으나, 당쟁은 점점

원, 의장용 깃발, 무기 등을 앞뒤좌우로

심해지고 대기근마저 들어 농민들의 반란

벌려 세워 장엄함을 더했으며 모처럼 행

이 도처에서 일어나면서 국운은 기울어졌

차를 보러 나온 거리의 백성들에게는 신

다.

기하고 경이로운 구경거리였으며 잔치였

1644년에 반란을 일으킨 이자성의 군

다. 경사스런 왕의 행차는 임금과 백성이

사가 베이징을 함락했다. 의종은 황후와

일심동체가 되어 동행하는 길이 아니었을

함께 만세산(萬歲山)에 들어가 ‘적에게

까.

넘어가 찢어질지라도 백성은 한 사람도 상하게 하지 말라.’는 말을 옷깃에 적어두 고 자결하였다. 절대 군주 사회에서도 최 고 권력자인 임금이 끝까지 백성을 지켜

참고로 한자를 다르게 쓰는 ‘행어(行

魚)’는 ‘멸치’를 가리키는 말로 밑반찬으 로 늘 즐겨먹는 식재료의 하나이다.

<편집부>

李花 292호 65


방하착(方下着) ⑤

마음을 내려놓고

서기 24년 9월. 신라 2대 남해왕(재위 4 ~ 24)이 “박유리(朴儒理)와 석탈해(昔脫

로 추대됐다. 이후 신라는 ‘잇자국’이란 의미의 이사

解) 중 나이 많은 자가 왕위를 잇도록 하

금을 18대 실성왕(재위 402 ~ 417)까지

라.”는 유언을 남기고 훙서했다. 박유리(?

393년 동안 왕호로 사용했다. 오늘날 임

~ 57)는 신라 시조 박혁거세 손자로 유리

금이란 어원은 여기서 유래됐다. 치리(齒

왕 아들이었고 석탈해(? ~ 80)는 유리왕

理)라는 뜻의 이사금이 니슨금→닛금→니

의 사위였다. 나이는 석탈해가 많았으나

은금으로 순차적 변화를 거쳐 임금으로

왜(倭) 출신으로 조정 내 지지 세력 기반

고착된 것이다. 부족사회서 족장을 추대

은 박유리가 훨씬 우세했다. 목숨이 위태

할 때 잇수로 용맹을 가리던 관습이 권력

로워진 석탈해가 황급히 굴신하며 선수를

승계자를 뜻하는 의미로 변천된 것이다.

쳤다.

최근 들어 왕조 시대 배경의 TV 사극

“예부터 지혜가 출중한 성인은 이(齒)

이 홍수를 이루고 있다. 지상파 ‧ 종편 채

의 수가 많다고 했다. 떡을 깨물어 나와

널을 불문하고 시청률 경쟁이 치열하다.

유리의 잇수를 헤아려 보자.”고 제안했다.

사극의 생명력은 정확한 사실(史實) 고증

결과는 박유리가 많았다. 이런 우여곡절

과 당시의 용어 구사에 있다. 시청자들

끝에 박유리가 3대 왕 유리이사금(儒理尼

사이에 정사(正史) 왜곡과 출처 불명의

師今 ‧ 재위 24 ~ 57)으로 즉위했다. 세계

왕실 용어에 대한 불만이 고조되고 있다.

왕실 역사상 유례가 없는 왕위 승계 과정 이었다. 후일 석탈해는 왕족 간의 골육상 잔 끝에 4대 탈해이사금(재위 57 ~ 80)으 66 李花 292호

봉건시대 임금에 대한 호칭은 다양했

다. △임금은 군주(君主) ‧ 군장(軍長) ‧ 주


군(主君) ‧ 상주(常主)와

△왕

△육정(나라에 이로운 여섯 유형의 신

(王) : 여럿 중의 가장 으뜸 △금상(今上)

하) ①성신(聖臣) : 인격이 뛰어난 신하

: 현재 왕위에 있는 임금 △성상(聖上) :

②양신(良臣) : 어질고

자국의 생존 왕에 대한 극존칭 △폐하(陛

③충신(忠臣) : 충성을 다하는 신하 ④지

동의어다.

下) : 황제나 황후 △전하(殿下) : 번국(藩 國 ‧ 제후국) 왕이나 왕비.

후일의 사관(史官)이나 역사가에 의한

신(智臣) : 슬기로운

충성스러운 신하

신하

⑤정신(貞臣):

절개가 곧은 신하 ⑥직신(直臣) : 강직한 신하.

임금의 평가도 다양하다. △명군(名君) :

△육사(나라에 해로운 여섯 유형의 신

명성이 자자하거나 뛰어난 임금 △명군

하) : ①사신(邪臣): 사악한 신하 ②구신

(明君) ‧ 명왕(名王) ‧ 명주(明主) : 정사에

밝고 현명한 임금 △성군(聖君) ‧ 성왕(聖 王) ‧ 성주(聖主) ‧ 성제(聖帝) : 덕으로 나라

를 다스린 어질고 훌륭한 임금 △영주(英 主) : 뛰어나게 훌륭한 임금 △천자(天子)

(具臣) : 아무 구실도 못하고 수효만 채 우는 신하 ③유신(諛臣) : 아첨하는 신하 ④간신(奸臣) : 간사한 신하 ⑤참신(讒臣) : 참소를 잘하는 신하 ⑥적신(賊臣) : 반역 하는 신하.

: 천제의 아들로 천명을 받아 천하를 다

역사는 반복되고 문명은 이동하는 것이

스리는 군주. 만승지군(萬乘之君)으로 중

다. 먼 옛날의 역사적 사건이 공교롭게도

국에서 황제를 일컫는 칭호 △황제(皇帝)

오늘에 와 흡사하게 전개된다. 인물의 유

: 제국의 군주. 중국 진(秦)시황 이후 청

형도 크게 다를 바 없다. 성군은 육정과

(淸)나라까지 사용. 우리나라에서는 고종

육사를 분별했고 충신은 군왕의 일탈을

황제가 최초의 황제 △대제(大帝) : 위대

직언했다. 왕권 교체 시 논공행상에 치우

한 황제 △제왕(帝王) : 황제와 제왕 △국

치다 보면 임금은 육정과 육사를 가리지

왕(國王) ‧ 국군(國君) : 나라의 임금.

정사를 그르쳐 폐위되거나 쫓겨난 임금

에게도 칭호는 주어졌다. △혼군(昏君) ‧

암군(暗君) : 사리에 어둡고 어리석은 임

못했다. 천하의 성군도 신하를 잘못 만나 면 정사를 그르쳤고, 제절을 두루 갖춘 신하도 혼군 시대를 살다 보면 역신으로 몰렸다.

금 △폭군(暴君) : 살생을 일삼은 포악한

오늘날 국민적으로 지탄 받는 자를 역

임금 △난군(亂君) : 여색에 빠진 황음무도

사에서 찾아내려면 얼마든지 분별해 낼

한 임금 △폐군(廢君) ‧ 폐주(廢主) : 축출되

거나 사사(賜死)돼 왕호를 받지 못한 왕. 신하에게도 구분이 있었다. 임금을 훌 륭히 보필해 선정을 베풀게 한 충신은 육 정(六正)이라 했다. 군주의 총명을 흐려

수 있다. 현재의 시대상도 옛날과 크게 다를 바 없다. 역사는 과거를 성찰하는 거울이고 미래를 예견하는 교훈이다. 오 늘의 행적도 내일부터는 역사가 된다. <편집부>

백성을 도탄에 빠뜨린 신하는 육사(六邪) 로 규정했다. 李花 292호 67


2022년도 사업계획 1. 총무부 가. 각종 회의 개최 1) 정기총회(연 1회) 2) 이사회(연 2~3회) 3) 상임이사회(연 10회) 4) 기타 위원 회의(연 1~2회) 나. 기획 및 예산 관리 다. 재산관리(이화회관 등) 유지보수 라. 인준장 및 포상 관리 마. 황사손에 관한 사항 바. 이화장학회 운영 관리

사. 제기 ‧ 제수 등 물품 구입 매뉴얼 작성 아. 현대판 의궤 제작 사업 추진 2. 재정부 가. 수입 증대 방안 모색 나. 회계 관리 다. 정부 및 지방 자치단체 보조금 계속지원 추진 3. 문화부 가. 문화위원 편집회의(평가회의 병행) 연 6회 나. 이화보 및 각종 간행물의 편찬 발간 1) 이화보 편찬 발행 후 평가회의 개최 2) 조선의 정치, 외교, 국방, 사회, 교육, 학술 및 문화, 예술 자료 게재 3) 종약원 백서 발간 4) 기타 간행물 발간 ※ 간행물 발간 계획 간행물명

발간 예정일

부 수

배부 단가

비 고

이 화 보

연 6회

매회 7,000부

2,000원(1년 10,000원)

신년호 10,000부

2022년 3월

5,000부

2,000원

종약원 백서

2022년 6월

1,000부

미정

선원선계도

2022년 8월

1,000부

1,000원

※ 특별원원 연회비 3년 연속미납자 이화보 무상제공 중단 68 李花 292호

금년에 한하여 3월에 발간


다. 문화사업 1) 각종 간행물 보급 확대(조선사전별의궤, 선원계보기략 등) 2) 이화보 보급 확대 3) 이화보에 사업광고 게재 권장 4) 학술위원회, 미술위원회 활성화 ◦학술세미나 및 미술전시회 개최 등 5) 인터넷 홈페이지 관리 ◦홈페이지 업데이트 및 유지보수 -스마트폰 활용자를 위한 보강 작업 등 ◦온라인 회원의 활성화를 위한 정기적인 정보제공 -제향통지 메일링서비스 시행 ◦홈페이지 배너광고 이용 장려 라. 홍보활동 ◦종약원에서 추진하는 사업의 대외 홍보 등 4. 전례부(종묘제례 및 사직대제보존회) 가. 각종 회의 개최 1) 보존회 전승자(보유자, 전승교육사, 이수자, 전수자) 회의 (연 3~4회) 2) 봉향회장 회의 개최(연 1회) 나. 세계문화유산(국가무형문화재) “종묘대제 봉행” 1) 종묘대제 봉행 : 매년 5월 첫째 일요일(2022. 5. 1) ◦2022. 4. 30(토) 13:00~16:00 습의(영녕전) ◦2022. 5. 1(일) 11:00~12:00 어가행렬(900명, 서울특별시 후원) - 구 간 : 광화문 → 세종로 4거리 → 종로 1 ․ 2 ․ 3가 → 종묘 ※코로나19 방역으로 참여인원 제한시 영상물 제작 등으로 전환 ◦2022. 5. 1(일) 14:00~16:00 영녕전 제향(제관 150명) ◦2021. 5. 2(일) 11:00~12:00 어가행렬(900명, 서울시 후원) - 신관례 → 전폐례 → 진 찬 → 초헌례 → 아헌례 → 종헌례 → 음복례 → 철변두 → 송 신 → 망 료 ※문화재청 후원 제향 2) 종묘 추향대제 봉행 : 매년 11월 첫째 토요일(2022. 11. 5) ◦2022. 11. 4(금) 13:00~16:00 습의(영녕전) ◦2022. 11. 5(토) 10:00~12:00 영녕전 제향(제관 150명) ◦2021. 11. 6(토) 13:30~16:00 정전 제향(180명) - 신관례 → 전폐례 → 진 찬 → 초헌례 → 아헌례 → 종헌례 → 음복례 → 철변두 → 송 신 → 망 료 ※문화재청 후원 본원 제향 다. 환구대제 봉행 : 매년 10월 12일 1) 출연인원 : 제관 61명, 봉행위원 250명 등 2) 제향순서

李花 292호 69


◦신관례 → 전폐 → 진 찬 → 초헌례 → 아헌례 → 종헌례 → 음복례 → 철변두 → 송 신 → 망 료 ※어가행렬 : 서울특별시 후원 라. 단 ․ 능 ․ 원 ․ 묘 제향 봉행 (68회) 1) 시조 제향 “조경단대제” : 4. 10(일) 2) 태조고황제 제향 “건원릉 친향례” : 6. 27(월) ◦출연인원 : 어가행렬 120명, 제관 20명, 봉행위원 250명 등 ◦제향순서 : 어가행렬 → 초헌례 → 아헌례 → 종헌례 → 망 료 ◦후원 : 문화재청 3) 능(46회), 원(11회), 묘(5회), 조경묘 ․ 경기전(2회), 선은전(1회), 화령전(1회) 등 제향 : 66회 ◦각 봉향회에서 주관 봉행 ◦후원 : 문화재청(54회) ※2022년도 묘 ‧ 단 ‧ 능 ‧ 궁 ‧ 전 ‧ 원 ‧ 묘 제향일 일람 : 본보 291호(22.1.2월호) 참조 마. 국가무형문화재 제111호 “사직대제” 봉행 및 어가행렬 거행 : 9월 넷째 토요일 (2022. 9. 24) 1) 2022. 9. 23(금) 09:00~16:00 습의(사직단) 2) 2022. 9. 24(토) 11:00~11:50 어가행렬(500명) ◦구 간 : 덕수궁 → 광화문 4거리 → 사직로 → 사직단 ※코로나19 방역으로 참여인원 제한시 영상물 제작 등으로 전환 3) 2022. 9. 24(토) 13:00~14:30 사직대제 - 영신례 → 전폐례 → 천조례 → 초헌례 → 아헌례 → 종헌례 → 음복례 → 철변두 → 송신례 → 망료례 ※후원 : 문화재청, 서울특별시, 종로구청 바. 제왕의 사친을 모신 사당 “칠궁제” : 10월 셋째 월요일 (2022. 10. 17) ◦출연인원 : 제관 61명, 봉행위원 250명 등 ◦제향순서 : 신관례 → 전 폐 → 진 찬 → 초헌례 → 아헌례 → 종헌례 → 음복례 → 철변두 → 송 신 → 망 료 사. 전수교육 및 전승장비 제작 1) 전수교육(종합 15기) 실시 기간

대상

인원

2022년 4~11월

추천 종친

50

교육 내용 ∘종묘대제 ∘사직대제 ∘환구대제 ∘왕릉제향

장소

교육회수

본원강당 및 현장

24회 (120시간)

강사

비고

예능보유자 외 ∘주1회(5시간) 내 ‧ 외부강사 ∘수강료있음

2) 종묘 전수교육(이수자, 전수교육생) 실시 기간

교육 내용 장소 교육회수 강사 비고 ∘전수 교육 및 ∘매월4회 2022년 이수자 본원강당 23회 예능보유자 외 126 실무 교육 (2시간) 2~11월 전수교육생 및 현장 (46시간) 종목별이수자 ∘위원 단합대회 ∘수강료없음 70 李花 292호

대상

인원


3) 사직 전수교육(이수자, 전수교육생) 실시 기간

대상

인원

교육 내용 장소 교육회수 강사 비고 ∘전수 교육 및 ∘매월4회 본원강당 23회 예능보유자 외 65 실무 교육 (2시간) 및 현장 (46시간) 종목별이수자 ∘위원 단합대회 ∘수강료없음

2022년 이수자 2~9월 전수교육생

4) 왕릉제향 전문과정(제8기) 실시 기간

대상

인원

교육 내용 장소 ∘집례 및 대축 실무 2022년 전수교육 본원강당 -창홀 및 독축 30 -예의사, 찬자 2~5월 수료생 및 현장 ∘왕릉제향 현장교육

교육회수

강사

비고

이론12회 (36시간) 현장5회

전례이사 및 이수자

∘주1회 (4시간) ∘수강료있음

5) 전승장비 제작 ‧ 관리 ◦종묘대제 구 제기, 복식, 기물 종묘대제

분 수선 및 정리 영상 자료

어가행렬

복식(291) 및 대도구(4조) 외 수선

교재

종묘대제

수량 비 고 395개 ∘제기구 등 1조 ∘습의용 자료 ∘구군복 55, 문무관복 162, 금관조복 24, 홍청의 40, 전복 10 이상 291벌 333개 ∘대연 1, 세자연 1, 대고 2 이상 4조 ∘그림기 38 100부 ∘전수교육용

◦사직대제 책자 교재

구 분 사직단 국왕친향도 병풍 번역집 사직대제

수 량 20부 150부

비 고 전수교육용

아. 왕릉제향 국가무형문화재 지정 사업 추진 자. 보사 상담(예능보유자 및 전례담당 이사) 차. 세계유산 종묘 내 제기, 어보, 어책 등의 복제품을 연차적으로 제작‧비치 촉구(문화재청) 카. 정부 및 지방 자치단체 등 외부행사 지원 추진 타. 조선왕조 관련 의궤 및 각 능지 등 고문서 복제 비치 파. 왕릉 내 수라간 ‧ 수복방 복원 촉구(문화재청)

하. 종묘제례 ‧ 사직대제 ‧ 환구대제 ‧ 왕릉제향 창홀 및 독축 오디오 USB 제작 거. 2022년도 전수교육생 선발 심사 너. 회인원 석물 설치 사업 추진 더. 국고보조금 증액 촉구(문화재청 등) 러. 각종 신규 대외행사 수주 머. 대국민참여 문화행사 신규 개발(왕릉제향 국고보조금 일부 활용) 버. 제향 기초 교육용 통합 교과서 제작

李花 292호 71


5. 제1조직부 가. 지원장 및 지원 조직이사 회의(연 1~2회) 나. 지원, 분원 정기총회 개최 ◦지원, 분원 정기총회는 연 1회 상반기에 개최하고, 예정보고는 1주일 전에, 결과보고는 2주일 이내에 지원을 경유 본원에 보고 다. 각 지원, 분원은 본원 정관 및 각종 규정을 준수토록 계도 라. 지원, 분원 활성화 추진 마. 지원, 분원 원원등록 현황 파악 및 명부 비치 바. 특별원원 등록 권장 1) 자격 및 특전 : 특별원원은 20만원 이상 회비를 납부한 회원(만18세 이상의 전주 이씨 남 ‧ 여)으로, 본원 각종 행사의 안내와 원보의 무료배부, 그리고 본원 대의원 자격을 추천 받을 수 있다. 2) 목표인원 : 50명 3) 연회비 (가입 익년부터 납부한다.) ◦개인 : 3만원 이상 (연회비 납부 인원을 배가한다.) ◦단체 : 10만원 이상 (연회비 납부 단체를 배가한다.) 4) 본원 임원을 비롯하여 고문, 자문위원, 각부위원과 지‧분원장, 파종회장, 봉향회장 전원을 특별원원에 가입토록 권장. 사. 원원등록 현황 파악 6. 제2조직부 가. 파종회장 회의(연 1~2회) 나. 파종회 정기총회 개최 ◦파종회 정기총회는 연 1회 개최하고, 예정보고는 1주일 전에, 결과보고는 2주일 이내에 본원에 보고 다. 본원 정관 및 각종 규정을 준수토록 계도 7. 청년부 가. 지원, 분원 청년이사 회의 개최(연 1회) 나. 청년부 미조직 지원, 분원 조직 강화 다. 지원, 분원 청년부 연수 및 교양강좌 라. 본원 주관 제향 및 각종 행사 참석 지원 : 경호 업무 8. 여성부 가. 지원, 분원 여성이사 회의 개최(연 1회) 나. 지원, 분원별 여성부 조직 강화 다. 지원, 분원 여성부 연수 및 교양강좌 라. 본원 주관 제향 및 각종 행사 참석 지원 : 봉사 업무 72 李花 292호


승경원 건립기금 지원, 분원별 헌성금 집계표 (2022.3.31.현재) 시도별

서울

지․분원별

시도별

지․분원별

대전

서구 유성구 대덕구

2,000,000 2,600,000 300,000 10,900,000 3,000,000

서울시 종로구 중구 용산구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성동구 광진구 동대문구 중랑구

2,000,000 2,000,000 2,000,000 3,300,000

경기도 팔달구 장안구 영통구

성북구 도봉구 노원구 은평구

1,000,000 2,000,000 3,000,000 2,000,000

권선구 성남시 의정부시 안양시

서대문구 마포구 양천구 강서구

2,000,000 2,000,000 2,000,000

부천시 광명시 평택시 양주시

구로구 금천구 영등포구 동작구

2,500,000 2,000,000 2,000,000 1,500,000

안산시 고양시 과천시 남양주시

관악구 서초구

2,000,000 2,200,000

강남구 송파구 강동구 강북구 소계 부산시 중구 서구 동구 영도구

부산

헌성금액

소계

영천시 상주시 문경시 경산시

2,100,000

2,000,000

구리시 화성시

3,800,000

예산군 태안군

2,000,000

시흥시

2,000,000

2,000,000

군포시

2,000,000 2,180,000 51,680,000 2,000,000

하남시 용인시 이천시 파주시

2,000,000 2,300,000

전라북도 완산구 덕진구 군산시

300,000

여주시 광주시 연천군 포천시

2,000,000 2,000,000 2,000,000 2,300,000

익산시 정읍시 남원시 김제시

1,500,000 2,000,000 2,000,000 1,000,000

경기

770,000

강서구 사상구 기장군

1,200,000

900,000 소계

2,000,000 2,300,000

광주서구 광주남구 광주북구 광산구

강릉시 동해시 태백시 속초시

2,600,000

남구 북구 수성구 달서구

700,000 2,550,000 2,550,000 4,800,000

삼척시 홍천군 횡성군 영월군

2,300,000

양구군 인제군 고성군 양양군

500,000

1,500,000

옹진군 대전시 동구

9,100,000 2,000,000 2,000,000

중구

2,000,000

충북

3,200,000

목포신안 여수시 순천시 나주시

300,000

1,000,000

광주전남

광양시 담양군 곡성군 구례군

1,000,000 3,700,000 2,000,000

2,000,000

3,000,000 2,600,000 2,000,000 2,000,000

칠곡군 예천군

2,000,000 1,000,000

2,000,000

봉화군

2,000,000

울진군

1,300,000

소계 경상남도 창원시 울산시

1,800,000 4,000,000 2,000,000

22,730,000 100,000 1,800,000

마산 진주시 진해 통영시

800,000

완주군 진안군 무주군 장수군

부안군 소계 광주전남 광주동구

2,680,000

군위군 의성군 청송군 영양군

경북

33,700,000

40,800,000 2,100,000 700,000 1,100,000

6,000,000 1,700,000 2,100,000 2,100,000

평창군 정선군 철원군 화천군

전북

17,600,000 3,050,000 2,000,000

영덕군 청도군 고령군 성주군

1,000,000 1,300,000

사천시 김해시 밀양시 거제시

임실군 순창군 고창군

12,170,000

22,500,000 7,100,000

당진시 소계

대구시 중구 동구 서구

강원

세종충남

2,000,000

강원도 춘천시 원주시

소계

소계 세종충남

헌성금액

소계 경상북도 포항시 경주시 김천시 안동시 구미시 영주시

부여군 서천군 청양군 홍성군

의왕시 송탄 오산시

부평구 계양구 서구 강화군

대전

1,000,000 1,100,000

지․분원별

2,000,000 27,700,000 2,300,000

2,300,000 2,000,000 2,500,000

달성군

인천

단양군 증평군

아산시 서산시 논산시 금산군

2,000,000

동구 미추홀구 연수구 남동구

충북

시도별

2,000,000 2,000,000 1,000,000 2,500,000

2,000,000

해운대구 사하구 금정구

인천시 중구

영동군 진천군 괴산군 음성군

헌성금액

2,000,000 4,900,000 2,000,000 2,000,000

가평군 양평군 안성시 김포시

소계

지․분원별

세종시 천안시 공주시 보령시

2,000,000 2,000,000 1,000,000

소계

시도별

500,000

부산진구 동래연제 남/수영구 북구

대구

헌성금액

1,000,000 1,000,000

양산시 의령군 함안군

경남

500,000 9,100,000 2,000,000

창녕군 고성군 남해군 하동군 산청군 함양군 거창군 합천군

500,000 2,000,000 2,000,000

1,000,000 1,500,000

울주군 서마산 소계

2,000,000

8,700,000 900.000

제주도 제주시 서귀포 북제주

제주

1,800,000

소계

3,000,000

일본지원 관동 관서 소계

0

로스엔젤리스 샌프란시스코 시카고 워싱턴

2,677,592 1,310,000 510,000

2,000,000 2,000,000

고흥군 보성군 화순군 장흥군

소계 충청북도 청주상당 청주흥덕

17,300,000 4,300,000 2,000,000 2,600,000

강진군 해남군 영암군 무안군

청주청원 충주시 제천시 보은군

2,000,000 2,000,000 3,300,000

함평군 영광군 장성군 완도군

뉴욕뉴저지 휴스턴 캐나다 소계

옥천군

2,000,000

진도군

총계

일본

1,000,000 2,000,000 300,000

북미주

900,000

4,497,592 289,377,592

李花 292호 73


승경원 건립기금 파종회, 봉향회, 기타 단체별 헌성금 집계표 (2022.3.31.현재) 제왕별

파종회별

宮進

시중공파

勇夫

평장사공파

2,000,000

계양군파

제릉봉향회

2,000,000

陽茂

주부공파

3,000,000

의창군파

후릉봉향회

10,800,000

안천대군파

3,000,000

한남군파

17,900,000

英陵봉향회

2,000,000

안원대군파

3,000,000

밀성군파

10,000,000

장사릉봉향회

12,000,000

안풍대군파

4,300,000

수춘군파

14,400,000

광릉봉향회

2,000,000

안창대군파

2,400,000

익현군파

3,000,000

창릉봉향회

2,000,000

안흥대군파

3,600,000

영풍군파

공릉봉향회

3,000,000

靖陵봉향회

2,210,000

목릉봉향회

2,000,000

명릉봉향회

2,000,000

의혜릉봉향회

2,000,000

景陵봉향회

2,000,000

洪陵봉향회

2,000,000

대빈묘봉향회

1,000,000

穆祖

翼祖

太祖

定宗

世宗

함양대군파

완원대군파

9,300,000 3,000,000

世祖 德宗

화의군파

14,800,000

덕원군파 창원군파

6,880,000 12,500,000 22,000,000 10,000,000

월산대군파

14,600,000

완풍대군파

10,300,000

계성군파

7,000,000

의안대군파

1,800,000

안양군파

30,000,000

진안대군파

2,000,000

완원군파

15,160,000

익안대군파

5,300,000

회산군파

10,300,000

회안대군파

5,350,000

봉안군파

7,800,000

의평군파

12,000,000

견성군파

3,000,000

순평군파

3,000,000

익양군파

12,000,000

선성군파

63,230,000

이성군파

종의군파

3,000,000

진남군파

봉향회별 준경묘영경묘

헌성금액 1,000,000

선순릉봉향회

2,000,000

헌릉봉향회

10,000,000

광해주숭모회

2,000,000

기타 단체

헌성금액

서봉회

5,000,000

3,000,000

정후회

2,000,000

경명군파

10,800,000

의친왕가

1,000,000

13,500,000

전성군파

9,700,000

원정회

수도군파

3,000,000

무산군파

5,000,000

본원 위원별 단체

6,950,000

임언군파

5,000,000

영산군파

8,500,000

서울시지원 여성부

2,000,000

석보군파

1,000,000

운천군파

3,000,000

종합기수별 단체

5,400,000

덕천군파

31,550,000

양원군파

25,300,000

전문기수별 단체

300,000

해안군파

6,600,000

미술분과위원회

1,000,000

成宗

300,000

도평군파

7,000,000

금원군파

3,000,000

전주이씨화수회

1,000,000

장천군파

3,000,000

영양군파

5,200,000

종묘제례전수회

1,000,000

정석군파

4,200,000

덕양군파

106,830,000

中宗

무림군파

10,000,000

봉성군파

3,000,000

양녕대군파(재)지덕사

55,900,000

덕흥대원군파

10,400,000

효령대군파(사)청권사

51,000,000

신성군파

3,000,000

성녕대군파

20,000,000

순화군파

경녕군파

14,200,000

함녕군파

5,300,000

온녕군파

인성군파

30,000,000

경창군파

2,500,000

8,260,000

경평군파

3,300,000

근녕군파

10,000,000

인흥군파

혜령군파

10,500,000

영성군파

희령군파

6,500,000

宣祖

元宗

후령군파

世宗

헌성금액

담양군파

임성군파

太宗

파종회별

영해군파

완천대군파 桓祖

제왕별

함원대군파

완창대군파 度祖

헌성금액

익녕군파

11,500,000

임영대군파

13,600,000

광평대군파

54,500,000

금성대군파 영응대군파

74 李花 292호

仁祖

50,160,000

능원대군파 소현세자파

3,000,000

인평대군파

3,000,000

숭선군파 낙선군파

누 계

3,600,000

974,520,000

800,000

※ 30만원 이상 헌성자는 승경원 내에 영구 게시되며, 30만원 이하 모든 헌성자도 헌성록에 게재함. ※ 상기 금액은 파종회별(소종중 포함) 집계 금액임.

승경원 건립 모금 계좌 국민은행 : 817201-04-124567 예금주 : (사)전주이씨대동종약원


승경원 건립기금 모금 헌성자 명단 ■ 단체 (22. 1. 11~3. 31) 구분

단체명

대표

화의군파종회(세부내역 아래 참조)

先性

11,800,000

2.7

영산군파종회

武珩

10,400,000

2.7

영응대군파종회

相浩

15,000,000

3.15

석보군파종회

順植

1,000,000

3.28

분원

미북가주분원

桐圭

581,400

3.14

기타

종묘제례보존회 전수회

時久

1,000,000

3.29

파종회별

금 액

일 자

39,781,400

■ 개인 (22. 1. 11~3. 31) 번 명 962 孝相

파별 근녕16

금 액 100,000

963 受耔

효령17

100,000

964

성우

효령

14,945

965

기우

효령

262

주 소 경기 화성시 비봉면 내간곡길 26 경기 부천시 신흥로40번길 29, A동 502호

직업(직책)

일자 1.14

본원 여성부차장

1.25

서울 동대문구 하정로5길 11, 1층

서울시 부지원장

2.3

부산 해운대구 해운대로349번길24, 2동802호

부산시 부지원장

2.4

1.31-3.17까지 13회 2.1-2.2까지 2회

966 成洙

밀성17

300,000

967 永宇

효령15

1,000,000

968 錫務

완풍19

400,000

서울 은평구 서오릉로 149-26

본원 재정이사

2.6

969 貞燮

완풍21

300,000

경기 양평군 양평읍 양평시장1길 3, 금학식당

전 청년부위원

2.9

970 康安

효령18

1,000,000

전북 전주시 덕진구 권삼득로 285, 광복회

본원 이사

2.9

971 卿東 972 世林

혜령16 덕양13

5,000,000 500,000

서울 강서구 가로공원로76가길 84-17 경기 용인시 수지구 상현로 88, 282동 104호

본원 고문 본원 이사

2.11 2.14

월산18

200,000

서울 강남구 삼성로 151, 2동 906호

제복부 위원

2.17

974 鍾憲

임영16

1,000,000

서울 서초구 서초중앙로24길 57, 102동 1301호

장학회 이사

2.22

975 德均

의창18

100,000

충남 천안시 동남구 풍세면 용두2길 37

풍세분회 회원

3.2

976 鳳洙

수춘17

500,000

경기 양주시 백석읍 기산로 431, 삼호산장

977 宗成

안양18

10,000,000

978 燦九

의평15

2,000,000

979 貴男

회산17

973 漌鎬

3.3

경기 군포시 산본로 451-45

파종회장

3.3

충남 천안시 서북구 늘푸른6길 42, 105동 103호

본원 이사

30,000,000

서울 강남구 도산대로 310

본원 이사장

3.15 3.22/ 3.25

52,515,207

※영응대군파종회는 14.9.25(1,000만원) 15.4.14(2,000만원)을 내 주셨기에 총4,500만원 헌성함. ※971번 卿東 고문은 14.8.1(300만원) 18.4.17(200만원)을 내주셨기에 총1,000만원 헌성함. ※973번 漌鎬 종친은 14.3.18(30만원)을 내주셨기에 총50만원 헌성함. ※976번 鳳洙 종친은 15.1.23(5만원)을 내주셨기에 총55만원 헌성함. ※979번 貴男 이사장은 14.3.24(200만원)을 내주셨기에 총3,200만원 헌성함.

전기(2013.11.5~2022.1.10) : 2,434,732,165원(이자포함) 당기(2022.1.11~2022.3.31) : 92,296,607원

총계 : 2,527,028,772

李花 292호 75


■ 단체(화의군파종회) 세부명단 연번 1 2

성명

파대수

화의군파종회(회장 先性) 先性 화의15

금 액

비고

7,000,000 3,000,000

서울 은평구 연서로48길 22 충의재 충북 충주시 봉방9길 11-1 충남 당진시 순성면 순성로 441, 1동 404호

3

完善

화의17

1,000,000

4

鎔善

화의17

300,000

서울 관악구 문성로38길 46-9

5

南善

500,000

충남 당진시 순성면 남부로 1275-85

화의17 계

파종회장 당진지파 회장 총무이사 제2조직이사

11,800,000

승경원 건립 추진 현황 승경원 건립 모금 현황은 22.3.31.현재 25억 2천7백여 만원 모금되었으며, 토지 매입비 등 6억 9천여 만원을 지출하였습니다. 공사 진행 상황은 2022.2. 부지 내 시설물 철거, 흙깍기 및 토사 반출 완료, 옹벽 터파기, 가설 휀스 설치 2022.3. 배면옹벽 콘크리트 구체 3차 타설, 철근가공 및 조립 구체3차 완료 2022.4. 삼문기초 터파기 및 기초공사 진행 중.

승경원 계좌안내 국민 817201-04-124567 예금주 : (사)전주이씨대동종약원 특별원원 가입을 환영합니다 (2022.1.1~3.20) 등록 번호 2320 2321 2322 2323 2324 2325 2326 2327 2328 2329

基浩 鴻逸

枝淑 枝順 愚永 坤在 芙鎔 長吉 桂華 亨洙

파대수

주소

직업(직책)

가입비

재정부 차장

200,000

등록 일자 1.4

200,000

1.6

서예한문 학원장

200,000

1.20

부동산 중개업

200,000

1.20

200,000

2.7

익녕 19

서울 서초구 효령로72길 57, B동 306호

양녕 19

서울 영등포구 대림로22길 29, 101동 604호

영응 17

서울 구로구 구일로4길 65, 108동 1504호

영응 17

서울 광진구 뚝섬로 508, 파워부동산

덕흥 16

서울 도봉구 우이천로 328, 108동 1102호

진안 21

서울 은평구 역말로 131-14

재경 돈종회장

200,000

2.8

덕흥 13

전북 진안군 주천면 동상주천로 2173-3

진안군 분원장

200,000

2.9

진남 18

서울 강남구 일원로14길 25, 102동 901호

본원 이사

200,000

2.25

온녕 17

서울 성북구 오패산로3길 17, 101동 1003호

200,000

3.2

영응 16

인천 연수구 해송로 70, 216동 502호

200,000

3.10

前 경찰공무원

인천시 지원장

특별원원 연회비 납부 종친(無順) (2022.1.1~3.20) 100,000 윤중 고문

76 李花 292호

준용 장학회이사

강안(전북 전주시)

광교(경기 남양주시)

명승(강원 춘천시)


100,000 상철(전남 순천시) 성만(대구 달성군) 창근(서울 중랑구) 경녕군파종회 광평대군파종회 낙선군파종회 덕천군파종회 덕흥대원군파종회 밀성군파종회 봉성군파종회 안양군파종회 안풍대군파종회 영응대군파종회 온녕군파종회 운천군파종회 월산대군파종회 인성군파종회 인평대군파종회 전성군파종회 진안대군파종회 화의군파종회 회산군파종회 60,000 준재(경기 화성시,17,20년분 각 3만원) 50,000 종연 자문위원 병하 이사 경노(경남 통영시) 경우(경기 성남시) 남정(경기 안양시) 능주(충북 청주시) 명종(광주 동구) 민희(경남 진주시) 복주(경기 양주시) 상기(강원 강릉시) 순호(서울 관악구) 영구(서울 노원구) 은숙(서울 동대문구) 재만(서울 강서구) 종주(경기 가평군) 종한(경남 마산) 해윤(서울 도봉구) 호락(경기 오산시) 40,000 종억(인천 연수구) 30,000 명준 고문 용규 고문 경재 자문위원 기병 자문위원 석주 이사 연호 이사 강대(경북 의성군) 강덕(경기 용인시) 강열(경기 평택시) 강원(부산 강서구) 경록(경기 광주시) 경용(경기 안산시) 규성(경기 안성시) 규홍(충북 청주시) 근호(서울 강남구) 금수(전남 화순군) 기섭(경북 영주시) 기수(경기 안성시) 기진(인천 계양구) 기철(점동, 경북 포항시) 능우(경기 양평군) 달호(경기 용인시) 도형(서울 양천구) 돈의(대구 동구) 동진(전북 정읍시) 동환(서울 관악구) 명식(경기 가평군) 명주(서울 강동구) 범수(서울 동대문구) 범식(충남 아산시) 보천(충남 천안시) 보철(충남 아산시) 상규(서울 은평구) 상목(충남 공주시) 서구(경북 구미시) 석우(경기 고양시) 성근(충북 청주시) 성열(충북 진천군)

양숙(충남 보령시) 경명군파종회 능원대군파종회 도평군파종회 선성군파종회 양원군파종회 완원군파종회 의창군파종회 인흥군파종회 한남군파종회 회안대군파종회

우진(경기 성남시) 경평군파종회 덕양군파종회 무림군파종회 성녕대군파종회 영성군파종회 완창대군파종회 의평군파종회 임언군파종회 함녕군파종회

원종(서울 강남구) 계성군파종회 덕원군파종회 무산군파종회 신성군파종회 영양군파종회 완천대군파종회 익녕군파종회 임영대군파종회 혜령군파종회

창훈(제복부위원, 21,22년분 각 3만원) 복례 이사 관주(장학회 감사) 대구(충남 아산시) 병두(충남 청양군) 상주(경남 창녕군) 완수(경북 칠곡군) 재승(서울 노원구) 종헌(서울 서초구) 화용(경기 파주시)

승동 이사 창용 이사 규수(경남 마산) 길수(서울 용산구) 덕영(경기 가평군) 두용(서울 마포구) 병탁(충북 진천군) 병혁(경기 여주시) 성수(서울 동대문구) 수기(경북 청송군) 웅재(일웅, 경기 안산시) 은병(경기 김포시) 정용(대구 달성군) 종대(서울 구로구) 주화(서울 종로구) 태우(경남 거창군) 함녕군파종회(18년도분)

용섭 고문 병일 자문위원 용흠 이사 강복(전남 순천시) 강주(경남 마산) 관우(서울 서초구) 규환(충남 부여군) 금수(충북 진천군) 기여(대구 수성구) 기태(경남 마산) 대인(대구 수성구) 동균(대구 수성구) 동희(강원 원주시) 무길(경북 예천군) 병우(전북 완주군) 복용(강원 춘천시) 상욱(충북 증평군) 석재(경북 문경시) 세연(서울 광진구)

일훈 고문 태성 자문위원 정수 이사 강석(강원 강릉시) 강주(서울 구로구) 광섭(충북 청주시) 규흔(서울 노원구) 긍주(경기 의정부시) 기인(경기 성남시) 길수(서울 용산구) 대호(서울 양천구) 동성(경기 안양시) 맹수(서울 은평구) 문교(제주 제주시) 병화(경남 김해시) 복원(서울 강남구) 상종(강원 강릉시) 석재(부산 사하구) 세용(서울 송파구)

종일 고문 돈모 이사 철헌 이사 강선(전북 남원시) 경근(충북 청주시) 광우(서울 서초구) 근수(경기 의정부시) 기두(서울 강동구) 기전(경기 부천시) 남식(서울 은평구) 도수(인천 강화군) 동우(경기 포천시) 명구(서울 동작구) 방환(경남 함양군) 보라(경기 남양주시) 사영(대구 남구) 상훈(서울 동대문구) 설영(서울 종로구) 세우(서울 성북구) 李花 292호 77


30,000 세호(경기 고양시) 수화(경남 김해시) 승수(강원 춘천시) 영순(서울 성북구) 영희(대전 동구) 원재(부산 사하구) 은용(인천 연수구) 임표(강원 춘천시) 재현(경남 거제시) 점구(서울 송파구) 정환(경북 문경시) 종병(서울 성동구) 종열(대전 중구) 주석(대구 수성구) 중교(서울 서초구) 창재(경기 부천시) 필규(경남 창원시) 해균(대구 서구) 해준(경남 남해군) 호찬(경기 양평군) 흥종(충북 청주시) 조금춘(서울 용산구) [CMS자동이체] 50,000 30,000 20,000(2회,각1만원) 15,000(3회,각5천원) 병진 장학회이사 태호(서울 동작구) 10,000(2회,각5천원) 9,000(3회,각3천원) 6,000(2회,각3천원) 규상(인천 서구) 준하(서울 금천구) 5,000 3,000

소웅(부산 동래구) 순구(전북 익산시) 승중(경기 파주시) 영신(충북 영동군) 용선(강원 삼척시) 원중(경기 안양시) 은흥(서울 서대문구) 장길(서울 강남구) 재호(서울 마포구) 정섭(경기 양평군) 종국(서울 노원구) 종성(충북 충주시) 종웅(서울 광진구) 주섭(서울 성동구) 진규(경북 포항시) 창훈(서울 강동구) 학구(서울 노원구) 해남(광주 북구) 해창(서울 용산구) 홍재(광주 북구) 희성(성일, 경북 경산시)

수규(강원 순억(서울 승창(서울 영재(강원 용태(서울 윤근(경남 응선(충남 재봉(대구 재호(충남 정수(서울 종근(서울 종수(서울 종철(서울 주성(경기 찬구(충남 철섭(서울 학선(경기 해웅(충북 현창(서울 홍재(서울 희주(충남

기호(인천 남동구) 정훈 고문 범직 이사

종달(대구 북구)

세림 이사 호헌(경기 화성시) 우덕 이사 종성 이사 범소(서울 해호(경기 수봉(서울 천재(경기

강서구) 수원시) 영등포구) 하남시)

춘천시) 종로구) 강북구) 삼척시) 성북구) 창원시) 청양군) 동구) 천안시) 은평구) 은평구) 금천구) 마포구) 양평군) 천안시) 중랑구) 포천시) 진천군) 서초구) 서대문구) 홍성군)

수균(경남 창원시) 순재(강원 원주시) 시구(경기 남양주시) 영주(서울 은평구) 우찬(경기 의정부시) 윤의(광주 북구) 일용(경기 광주시) 재춘(경기 구리시) 재환(대구 남구) 정주(경기 화성시) 종배(경기 시흥시) 종식(경기 과천시) 종홍(전남 장흥군) 준규(경기 용인시) 찬호(경기 고양시) 춘호(충남 청양군) 한범(서울 송파구) 해익(서울 양천구) 형우(경기 시흥시) 환구(전북 군산시) 신현정(경기 시흥시)

수부(대구 수성구) 승백(경기 안산시) 언용(경기 안양시) 영호(강원 강릉시) 우천(경기 안양시) 윤호(서울 광진구) 일우(경북 청송군) 재헌(서울 구로구) 전구(전북 군산시) 정호(경기 안양시) 종병(경기 성남시) 종열(경남 고성군) 주국(서울 서초구) 준재(광주 서구) 창근(경기 부천시) 충근(서울 은평구) 한필(서울 강남구) 해종(강원 강릉시) 호경(경기 의정부시) 황휘(경기 여주시) 엄윤자(서울 종로구)

경민(경남 김해시)

상일(경기 광주시)

석진(경기 군포시)

재복 이사 관우(서울 양천구)

정희(경기 고양시) 태신(전남 순천시)

해헌(충남 홍성군) 고순복(서울 동작구)

수자(경기 부천시) 조숙희(경기 여주시)

영주(서울 중구)

은수(경기 여주시)

종묘제례보존회 가입을 환영합니다 (2022.1.1~3.20) 등록 번호 858 859 860

成洙

鎔甲

閏周

78 李花 292호

파대수

주소

직업(직책)

가입비

시 부지원장

100,000

등록 일자 1.6

밀성 17

서울 동대문구 하정로5길 11, 1층

덕천 19

충북 청주시 흥덕구 오송읍 만수1길 40, 301호

종합14기

100,000

1.6

덕천 18

충남 공주시 의당면 강백년길 55

종합14기

100,000

1.7


등록 번호 861 862

金明惠

鴻逸

863

受耔

직업(직책)

가입비

서울 은평구 수색로 217, 103동 1502호

종합14기

100,000

등록 일자 1.11

양녕 19

서울 영등포구 대림로22길 29, 101동 604호

종합14기

100,000

1.6

효령 17

경기 부천시 원미구 신흥로40번길 29, A동 502호

종합12기

100,000

1.25

파대수

주소

종묘제례보존회 연회비 납부 종친 (2022.1.1~3.20) 210,000 준재(경기 화성시,16~22년분 각 3만원) 60,000 석우(경기 의왕시, 21,22년분 각 3만원)

창훈(인천 남동구, 21,22년분 각 3만원)

은용(인천 연수구)

경록(경기 광주시) 긍주(경기 의정부시) 달호(경기 용인시) 명주(서울 강동구) 순호(서울 관악구) 용태(서울 성북구) 재호(충남 천안시) 종병(경기 성남시) 형우(경기 시흥시) 엄윤자(서울 종로구)

50,000 관주(장학회 감사)

부열(서울 서초구)

30,000 용섭 고문 경용(경기 안산시) 기수(경기 안성시) 도형(서울 양천구) 보라(경기 남양주시) 승중(경기 파주시) 윤호(서울 광진구) 정수(서울 은평구) 종성(충북 충주시) 호찬(경기 양평군)

연호 이사 광섭(충북 청주시) 기전(경기 부천시) 동성(경기 안양시) 복용(강원 춘천시) 시구(경기 남양주시) 장길(서울 강남구) 정주(경기 화성시) 주섭(서울 성동구) 홍재(광주 북구)

강덕(경기 근수(경기 남식(서울 래수(서울 석우(경기 영주(서울 재철(경기 종국(서울 찬구(충남 홍재(서울

[CMS자동이체] 40,000(2회,각2만원) 30,000

종화(경기 화성시) 정훈 고문

근왕(경기 성남시)

해진(서울 중랑구)

기중(경북 형표(충남 천재(경기 범태(경남 재갑(충북

동규(제주 제주시)

15,000(3회,각5천원) 12,000(3회,각4천원) 10,000(2회,각5천원) 9,000(3회,각3천원) 6,000(2회,각3천원) 6,000(3회,각2천원) 4,000(2회,각2천원)

석진(경기 군포시) 철수(경기 수원시) 기중(강원 철원군) 창규(경기 이천시) 재복 이사 범소(서울 강서구) 경훈 이사 해호(경기 수원시)

용인시) 의정부시) 은평구) 강남구) 고양시) 은평구) 의정부시) 노원구) 천안시) 서대문구)

김천시) 천안시) 하남시) 함양군) 청주시)

경근(충북 청주시) 근환(서울 강북구) 능우(경기 양평군) 맹수(서울 은평구) 순재(강원 원주시) 영호(강원 강릉시) 재춘(경기 구리시) 종배(경기 시흥시) 학선(경기 포천시) 신현정(경기 시흥시)

인선(경기 포천시)

호헌(경기 화성시) 장호(경기 남양주시) 창구(경기 하남시)

사직대제보존회 가입을 환영합니다(2022.1.1~3.20) 등록 번호 77 78

起潤 康烈

파대수

주소

직업(직책)

가입비

등록 일자

효령 17

서울 마포구 토정로31길 23, 109동 1002호

종합14기

100,000

1.6

효령 18

전남 순천시 서면 청소송내길 77

종합14기

100,000

1.6

李花 292호 79


등록 번호 79 80 81

康注

受耔

薰宰

효령 18

경기 안산시 단원구 초지1로 78, 2009동 1304호

종합14기

100,000

등록 일자 1.10

효령 17

경기 부천시 원미구 신흥로40번길 29, A동 502호

종합12기

100,000

1.25

효령 19

서울 구로구 부일로5길 25, 103동 402호

서울시지원장

100,000

3.10

파대수

주소

직업(직책)

가입비

사직대제보존회 연회비 납부 종친(無順) (2022.1.1~3.20) 60,000 은용(인천 연수구) 50,000 관주(장학회 감사) 30,000 연호 이사 세호(경기 고양시) [CMS자동이체] 10,000(2회,각5천원) 9,000(3회,각3천원) 6,000(2회,각3천원) 6,000(3회,각2천원) 4,000(2회,각2천원)

부열(서울 서초구) 근수(경기 의정부시) 용태(서울 성북구)

명주(서울 강동구) 호찬(경기 양평군)

복용(강원 춘천시) 신현정(경기 시흥시)

찬해(서울 구로구) 재복 이사 범소(서울 강서구) 경훈 이사 원규(강원 춘천시)

창규(경기 이천시, 특별성금)

석우(경기 고양시)

한영(경기 부천시)

임원 협찬금 (2022.1.1~3.20) 1,000,000 돈모 이사

형수 이사

원원(회원) 회비 자동이체 신청 및 발전기금 납부 (2022.1.1~3.20) 30,000

수정(경남 마산합포구)

[CMS자동이체] 30,000(3회,각1만원) 범설(경기 부천시)

범성(총무부장)

범제(인천 부평구)

20,000(2회,각1만원)

경호(서울 영등포구)

범조(경기 부천시)

15,000(3회,각5천원) 10,000(2회,각5천원)

원종(경기 민종(경기 호종(경기 슬기(인천

주리(경기 부천시) 범경(서울 성동구)

9,000(3회,각3천원)

파주시) 부천시) 부천시) 부평구)

전경(서울 영등포구)

정민(경기 김포시)

해니(서울 강서구) 서종(서울 영등포구)

창규(경기 이천시)

자동출금(CMS) 등록자 명단 연번 73 74

명 수봉 신현정

80 李花 292호

주소 서울 영등포구 양평로23길 8, 101동 501호 경기 시흥시 호현로9번길 6, 1901호

금액 5,000 30,000

등록일자 22.2.8 22.3.8

비 고 특별원원 특별원원,종묘회원,사직회원


입금내역을 찾습니다 (2022.1.1~3.20) 입금일 1.21 3.3

은행(예금주) 우체국(종약원) 국민(종약원)

금액 3만원 2천원

통장기장 내용 경주전태종왕좌 잡협국립 12,1월

찾는 내용 입금내역 및 송금자 입금내역 및 송금자

※ 최근 스마트폰, 텔레뱅킹, 인터넷뱅킹을 이용한 송금이 많아지면서 본원에 송금된 금액 중 일부가 미확인 되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특히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본원에 송금할 경우에는 입금자를 찾기가 매우 어려운 상황이므로, 송금 후에는 반드시 본원에 알려 주시기 바랍니다.

조경단대제 헌성금 추가분 (2022.1.1~3.20) 150,000 석무 이사(17~19년분 각5만원) 주우(경기 화성시, 17~21년 각3만원) 90,000 부용(전북 진안군, 19~21년분 각3만원) 50,000 복례 이사(21년분) 근왕(경기 성남시, 21년분) 덕양군파종회(21년분) 건원릉친향례 헌성금 추가분 (2022.1.1~3.20) 120,000 100,000 90,000 50,000

주우(경기 화성시, 18~21년분 각3만원) 석무 이사(17,18년분 각5만원) 부용(전북 진안군, 19~21년분 각3만원) 복례 이사(21년분) 근왕(경기 성남시, 21년분)

종묘춘향대제 헌성금 추가분 (2022.1.1~3.20) 150,000 주우(경기 화성시, 17~21년분 각3만원) 100,000 석무 이사(17,18년분 각5만원) 50,000 복례 이사(21년분) 근왕(경기 성남시, 21년분) 사직대제 헌성금 추가분 (2022.1.1~3.20) 150,000 주우(경기 화성시, 17~21년분 각3만원) 50,000 복례 이사(21년분) 석무 이사(18년분) 덕양군파종회(21년분)

덕양군파종회(21년분)

창용 이사(21년분)

근왕(경기 성남시, 21년분)

근왕(경기 성남시, 21년분)

덕양군파종회(21년분)

근왕(경기 성남시, 21년분)

덕양군파종회(21년분)

근왕(경기 성남시, 21년분)

덕양군파종회(21년분)

환구대제 헌성금 추가분 (2022.1.1~3.20) 150,000 100,000 60,000 50,000

주우(경기 화성시, 17~21년분 각3만원) 석무 이사(17,18년분 각5만원) 부용(전북 진안군, 20,21년분 각3만원) 복례 이사(21년분) 창용 이사(21년분)

칠궁제 헌성금 추가분 (2022.1.1~3.20) 150,000 100,000 60,000 50,000

주우(경기 화성시, 17~21년분 각3만원) 석무 이사(17,18년분 각5만원) 부용(전북 진안군, 20,21년분 각3만원) 복례 이사(21년분) 창용 이사(21년분)

종묘추향대제 헌성금 추가분 (2022.1.1~3.20) 150,000 100,000 50,000

주우(경기 화성시, 17~21년분 각3만원) 석무 이사(17,18년분 각5만원) 복례 이사(21년분) 창용 이사(21년분)

李花 292호 81


특별원원 연회비 자동이체 안내 종약원 특별원원은 소정의 절차를 거쳐 본원에 등록한 개인, 파종회, 단체를 말하며 본원 총회 대의원은 특별원원을 가입한 자를 기본 요건으로 하고 있고, 1975년 1월 부터 제도를 도입하여 시행하고 있습니다. 특별원원은 가입시 가입금을 납입하고 이듬해부터 연회비를 납부하고 있으며, 현재 연 회비는 무통장 송금 또는 지로용지를 이용하여 납부해 주고 계십니다. 이에 본원에서는 특별원원께서 금융기관을 방문하는 번거로움과 본원에서는 지로용지를 송부하여야 하는 부담을 해소하고자 자동결제 시스템(CMS)를 도입하였습니다. 2022년도 연회비 납부를 이미 하신 특별원원 께서는 2023년도부터 적용되며, CMS를 이용하지 않으실 특별원원께서는 종전과 같이 무통장 송금 또는 지로용지를 이용하시면 됩니다. ― 다

음 ―

1. 연회비를 월 3천원, 월 5천원 등으로 다양화 하였습니다. 2. 매월 납입하지 않고 특정 날짜에 납부하실 분은 신청하신 금액을 1년 중 지정하신 날짜에 한 번에 납입하시거나 또는 분납하실 수 있습니다.(비정기 출금) 3. 특별원원 계좌/신용카드 자동출금 이용신청서를 작성하여 본원에 신청하시면 특별 원원님의 은행계좌 또는 카드에서 본원 계좌로 자동이체 됩니다. 4. CMS 신청 후 취소를 원하실 경우 본원에 요청하시면 언제든지 취소가 가능합니다. ※ 사직대제보존회 회원 및 종묘제례보존회 회원의 연회비 납부 방식도 CMS를 도입하였습니다. 종약원 특별원원, 사직대제보존회 회원, 종묘제례보존회 회원의 CMS 이용 신청서는 각각 별개이오니 유념하시어 신청해 주시기 바랍니다. (신청서는 종약원 홈페이지에서 내려 받을 수 있습니다) 문의 ☎(02) 765-2124~5

82 李花 292호


李花 292호 83


84 李花 292호


李花 292호 85


86 李花 292호


李花 292호 87


李花報 구독 倍加 운동을 합시다 全州李氏의 宗報인 이화보를 모르고 지내는 종친이 많습니다. 종사에 참여할 수 있도록 상호 정보를 교환하시어 이화보를 알리고 홍보해 주시기 바랍니다. 이화보를 통해 일가들의 동정을 알리고 상호 정보를 교환할 수 있습니다. 참여의 문은 항상 열려 있습니다. 동정란 에 게재할 소식과 자랑스런 종친의 이야기와 시, 수필, 교양, 논문 등 알리고 싶은 원고를 기다립니다. ※ 종친 기업의 협찬 광고를 모집합니다. 본 이화보는 종친 여러분의 구독료와 광고수익금으로 운영, 간행되고 있습니다. 게재소식 및 광고 문의 : 종약원 문화부 전화(02)765-2124 / 팩스(02)742-1676 이화보 구독 계좌번호 : 예금주 (사)전주이씨대동종약원 국민은행 817-01-0031-375 농 협 053-01-162048 우 체 국 010579-01-000891

이화보 원고 모집

〈李花報〉에 게재할 원고를 아래와 같이 모집하오니, 종친 여러분의 많은 투고를 바랍니다.

1. 내용 가)종사에 관한 미담이나 중요 행사 제언 나)종사와 관련 있는 수필 · 콩트 · 기행문 다)종친 교양을 위한 논술문 라)종친 동정 및 영광의 얼굴 소식 2. 기 간 : 연중 계속 접수함 3. 분 량 : 200자 원고지 15매 이내 4. 첨부물 : 증명판 사진 1매 및 관련자료(파 · 대 · 이름 · 주소 · 연락처 및 직업) 5. 채택된 원고는 소정의 원고료를 지급합니다. 6. 제출처 : 서울시 종로구 돈화문로 89(와룡동) 이화회관 4층 문화부 사)전주이씨대동종약원 문화부(이-메일 : rfo@rfo.co.kr) 7. 홈페이지에서도 원고를 접수합니다.

※ 홈페이지 주소 http://www.rfo.co.kr

편 집 후 기 금년 정기총회에서 문화이사로 선임되어 이화보 편집을 맡 았습니다. 전임 문화이사님·문화위원님들과 함께 이화보의 일 신을 꾀하여 재미있는 이화보, 읽고 싶은 이화보가 되도록 노 력하겠습니다. <문화이사 규원 외 문화위원 일동>



@

@

.

*

µ

I,

:JmWA

*

가천대길병원

-.

••

IBM왓슨인공지능 암센터

교육부 X�개선대학 선정 *

기천브레인밸리 • 뇌고臣,空P원

정부공인SW중심대학

;5Rl-01 가천굴로벌센터 L

r ,�

용법산대학

' @

G 간청민전만

2

m

*1 Ko|kata.1 Dhata I

5*

Seo나*

섭 1972. 11. 20 창간. 서 울시 종로구 돈화문로 89( 와룡동) / (02)765-2124

t”

qi

m

* KOREA

,,ongy. ;

I N D I A

미래

홍 500 만 全州李氏의 교양정보지

Olil 「土

:A/人/대의Soft.파워

.

Uru

J lG­

;

B*

三 \.

여기,

통권 292오

나 4 422 o• 3

KOREA의

李 花

Novosibirsk

@

' @

~ 1i.., ..

UNI VERSI TY

:

:

:

:

이길여 암 당뇨연구원

국내 최초 권역외상센터 :

교육분야 가천대학교, 가천대학교 메디컬캠퍼스, 하와이 가천글로벌센터, 가천리더십센터, 신명여자고등학교, 가천인력개발원 의료분야 가천대 길병원, 가천대부속 동인천길병원, 가천대부속 길한방병원 연구문야 가천대학교 뇌과학연구원, 이길여 암 · 당뇨연구원, 가천바이오나노연구원, BRC(Bio Research Complex) 언른분야 경인일보 사회 · 문화분야 가천문화재단, 가천박물관 봉사분야 가천미추홑청소년몽사단, 새생명찾아주기오응은부

-::;.

``^, :1. ;

_. ,

`C`

__

' @

~ ~``@一

노 `74, . 』

:

I

I


Turn static files into dynamic content formats.

Create a flipbook
Issuu converts static files into: digital portfolios, online yearbooks, online catalogs, digital photo albums and more. Sign up and create your flip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