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aturday, December 16, 2017
<제3851호> www.newyorkilbo.com
THE KOREAN NEW YORK DAILY
제보·문의 대표전화 (718) 939-0900 2017년 12월 16일 토요일
“I hate Korean”발언은 인종차별 행위 ‘교사 해고·재발방지대책 수립’다시 촉구 수업 중 한인 학생들에게 반복해서 “나는 한인을 싫어한다(I hate Korean)” 는 인종차별 발언을 한 버겐아 카데미 교사 문제에 대해, 한인사회는 해당교사의 해고와 교육당국의 진정어 린 사과와 징계, 재발방지대책 수립을 다시 한 번 더 요구했다. 뉴저지한인회(회장 박은림), 시민참 여센터(KACE, 대표 김동찬) 등 21개의 뉴저지 한인단체는 15일 오후 2시 뉴저 지한인회관에서 합동기자회견을 열고 성명서를 통해 버겐아카데미 교사 발언 사건에 대한 입장을 발표 했다. 이 날 발 표한 입장은 지난 13일 버겐아카데미를 관할하는 버겐카운티 테크니컬스쿨 (BCTS, Bergen County Technical Schools) 학군의 하워드 레너교육감 Howard Lerner로 부터 받은 답변에 대 한 입장이다. BCTS는 한인사회가 지난 11월29일 성명서를 통해 발표한 요구 사항 중 일 부는 받아들였으니 해당 교사를 해고하 지 않고 다른 보직으로 전출시키는 미봉 책을 택했다. [뉴욕일보 12월15일자 A1 면-‘I hate Korean”발언 교사 타학군 전 출은 해결책 아니다’제하 기사 참조] 기자회견에서 뉴저지한인회 박은림 회장은“문제의 발언 교사를 해고하는 대신 전출 조치를 한 것이 부족하다고
한인사회 21개 단체 합동 성명 발표
뉴저지한인회, 시민참여센터 등 21개의 뉴저지 한인단체는 15일 오후 2시 뉴저지한인회관에서 합동 기자회견을 열고 버겐아카데미 교사 발언 사건에 대한 입장을 발표 했다.
판단돼 두번째로 한인사회 입장을 발표 하는 자리를 마련했다. 2주간의 기한을 두고 교육당국의 처리를 기다릴 것” 이 라고 말했다. 시민참여센터 김동찬 대표는“인사 조치를 떠나서, 학군이 아직까지도 이 사건을 인종차별로 인정하지 않는다는
것이 가장 근본적인 문제” 라고 지적하 고.“학군과 이 견해 차이를 좁히지 위해 면담을 진행할 계획이지만, 차이가 좁혀 지지 않는다면 원래 계획대로 주정부 면 담 등의 활동을 이어나갈 것” 이라고 말 했다. 하워드 레너 교육감이 답변 서한을
트럼프 행정부, 전문직 취업비자에도 장벽 만드나 IT 전문인력 대상 H-1B 비자 배우자 취업 불허할듯 트럼프 행정부가 전문직 취업 비자 (입국사증)인 H-1B를 통해 미국에 입 국하는 이민자의 배우자들이 미국 내에 서 취업하지 못하도록 하는 방안을 추진 하고 있다고 CNN이 15일 보도했다. 이는 영주권(그린카드)을 기다리는
H-1B 비자 이민자의 배우자들이 부양 게 아니냐는 관측도 나온다. 실리콘밸리 가족에게 주는 H-4 비자를 받아 미국 IT(정보기술) 업계에서는 원활한 인력 내에서 한시적으로 직업을 가질 수 있도 수급을 위해 H-1B 비자 요건 강화에 반 록 허용하던 전임 오바마 행정부의 방침 대하고 있다. 국토안보부는 이날 성명을 통해 H-4 을 뒤집는 것이라고 CNN은 해석했다. 트럼프 행정부는 H-1B 비자 자체도 비자로 H-1B 비자 소지자의 부양가족 발급 요건을 엄격 이 미국 내에서 취업할 수 있도록 한 규 하게 유지하도록 칙을 폐지하는 방안을 고려하고 있다고 행정명령을 내린 밝혔다. 국토안보부는 규칙의 폐지 사유 상태여서 미국 내 를 구제척으로 밝히지 않은 채 오로지 자국민 일자리 보 ‘바이 아메리칸, 하이어 아메리칸’ (미국 호를 위해 전문직 산 구매 우선, 미국인 고용 우선) 행정명 이민자들의 취업 령의 취지에 기반을 둔 것이라고만 설명 에 장벽을 만드는 했다.
발송한 13일 오전, 시민참여센터는 버겐 카운티 제임스 테데스코 카운치장과 트 레이시 저(Tracy Zur) 프리홀더 의장 등 카운티 정부 관계자와 해당 사건에 대한 면담을 가졌다. 이 면담에서 카운티 정부는 △한인 사회가 요구한 인종차별 언행 방지대책 의 준비단계부터 한인사회의 참여를 통 해 해당 교육을 진행 △한인사회와 카운 티 정부가 해당 사건 관련 정책을 공동 수정하여 유사 사건이 재발할 경우, 보 다 나은 대처방안 수립 △카운티정부가 해당학군의 사건 처리 여부를 재 조사 고려 △카운티정부가 해당 교사를 버겐 카운티 내의 교단에서 파면할 수 있는지 여부를 검토하기로 의견을 모았다. 15일 발표한 성명서에 참여한 뉴저지 전역의 21개 단체는 아래와 같다: △뉴저지한인회 △남부뉴저지 한인 회 △포트리한인회 △뉴저지교회협의 회△시민참여센터△상록회 △경제인 협회 △팰리세이드 팍 한인학부모회 △ AWCA △네일협회 △훈민학당 △팰팍 상공회의소 △뉴저지대한체육협회 △ 팰팍 유권자협의회 △춤누리전통무용 단 △네이버플러스재단 △한인성공회 △이민자보호교회 △미동부국악협회 △민주시민네트워크 △한국전통무용단 <김재윤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은 지난 4월 행정명령을 발령해 H-1B 비자 신청자 에 대해 기술 숙련도와 직업적 연관성 등에 대한 심사를 강화하도록 이민국에 지시했다. 국토안보부는 이와 관련해 어떤 직 업군이 H-1B 비자의 발급 취지에 적합 한지 재검토 작업을 벌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오바마 행정부에서 적용 한 H-1B 비자 소지자 배우자의 취업 허 용 방침에 대해‘세이브 잡 USA’등 자 국민 취업권을 옹호하는 단체들이 지난 2015년 소송을 제기한 바 있다. 제프 세션스 미 법무부 장관도 H1-B 소지자 배우자의 취업을 가능하게 한 H-4 규칙이 미국 근로자들의 이익을 해 칠 수 있다고 밝힌 바 있다. H-1B 비자 는 석·박사 학위 소지자 2만여 명, 학사 학위 소지자 6만여 명에게 쿼터(한도)를 정해 발급하는 취업 허가다.
맑음
12월 16일(토) 최고 39도 최저 27도
맑음
12월 17일(일) 최고 37도 최저 33도
구름많음
12월 18일(월) 최고 44도 최저 38도
12월 16일 오후 2시 기준(한국시각)
1,090.00
1,109.07
1,070.93
1,100.60
1,079.40
1,103.08
1,078.39
“가상화폐는 투기·도박” 세계 중앙은행들, 비트코인 광풍 경고 비트코인 가격 폭등을 두고 주요국 중앙은행들이 잇따라 경고하고 나섰다. 16일 주요국 중앙은행과 외신들을 종합하면 중앙은행 총재들과 고위 인사 들은 비트코인과 같은 가상화폐는 화폐 가 아니라는 점에 분명히 선을 그었다. 재닛 옐런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연준) 의장은 13일 비트코인에 대해 “법정 화폐가 아닌 매우 투기적인 자산 이며, 안정적인 가치 저장 수단이 아니 다” 라고 경고했다. 최근 전 세계적으로 비트코인 가격이 급등세를 보이고 광풍 에 가까운 투자 열풍이 불고 있지만 전 통적인 화폐 범주 안에 비트코인을 포 함할 수 없다는 점을 분명히 밝힌 것이 다. 옐런 의장은 또“현재까지 비트코인 은 지급결제 시장에서 아주 작은 역할 을 차지하고 있다” 며 비트코인의 금융 시장 내 비중 확대 가능성을 낮게 봤다. 입 메르셰 유럽중앙은행(ECB) 이사 역시 지난달 30일 ECB, 이탈리아은행 이 공동으로 주최한 콘퍼런스에서“가 상화폐는 돈이 아니다” 라며“유럽인들 은 민간 가상화폐에 매달리지 말고 더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소액결제 시장을 형성해야 할 것” 이라고 꼬집었다. 스티븐 폴로즈 캐나다 중앙은행 총 재는 14일“가상화폐를 사는 것은 투자 라기보다는 도박 에 가깝다”고 좀 더 비판적인 목소 리를 냈다. 폴로 즈 총재는“가상 화폐는 신뢰할만 한 가치 저장 기 능을 갖추고 있지
않아 화폐로 볼 수 없다” 며 옐런 의장과 비슷한 인식을 드러냈다. 필립 로 호주중앙은행장은 13일 시 드니에서 열린 지불관련 회의에서“현 재 이들 화폐(가상화폐)에 빠져드는 것 은 효율적이고 편리한 전자지불 이용에 관한 것이라기보다는 투기열풍으로 더 느껴진다”며“비트코인으로 지불하는 것은 각자가 알아서 할 수 있지만 그렇 게 하는 것의 대가는 엄청날 것” 이라고 경고 메시지를 던졌다. 각국 중앙은행이 가상화폐 열풍에 경고하고 나선 것은 자칫 중앙은행의 고유 업무인 법정 화폐 발행과 통화정 책의 근간을 뒤흔들 수 있어서다. 각국 중앙은행은 법정 화폐를 발행 한다. 화폐의 기본 특성 중 하나는 가치 안정성인데, 가격이 수시로 널뛰는 가 상화폐는 가치 안정성을 보장할 수 없 어 화폐로 적절치 않다는 것이다. 한은의 시각도 주요국과 크게 다르 지 않다. 이주열 한은 총재는 지난 10월 국회 국정감사에서 “국제결제은행 (BIS)의 예를 보더라도 가상화폐를 화 폐로 보기 어렵다” 고 말했다. 그는“상 품으로 보기 때문에 거기에 맞는 규제 를 할 것이지, 화폐 차원의 규제는 아니 다” 라며 한은이 액션을 취할 상황은 아 니라고 선을 그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