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nday, December 11, 2017
<제3846호> www.newyorkilbo.com
THE KOREAN NEW YORK DAILY
제보·문의 대표전화 (718) 939-0900 2017년 12월 11일 월요일
한인2세, 美대사 돼 한국 간다 북한전문가‘빅터 차’ … 한국 정부에 임명동의 요청 두번째 한국계 주한대사 미국 정부가 빅터 차 전략국제문제 연구소(CSIS) 한국 석좌를 주(駐)한국 대사에 내정하고 우리 정부에 임명동의 (아그레망)를 요청한 것으로 10일 알려 졌다. 백악관과 국무부는 지난 8월 조지타 운대 교수인 차 석좌를 주한 대사에 사 실상 내정했으며, 최근 장기간의 검증 절차를 마치고 한국 정부에 차 석좌의 아그레망을 요청한 것으로 안다고 워싱 턴 소식통들이 전했다. 이에 대해 한국 외교부는“(차 석좌 의 주한 대사) 조기 부임을 위해 긴밀히 협의하고 있다” 면서“아그레망 부여, 절 차 여부는 현 단계에서는 확인해줄 수 있는 게 없다” 고만 밝혔다. 주한 미국 대사 자리가 11개월째 공 백인 상황인 만큼 임명동의 절차는 최대 한 빨리 진행될 전망이다. 이르면 2주 안에 임명동의 절차를 마
빅터 차 CSIS 한국 석좌
치고 미 상원 외교위원회의 인준 청문회 를 거쳐 내년 2월 평창 동계올림픽이 열
리기 전 공식으로 부임할 것이라는 관측 도 있다.
차 석좌가 주한 미국대사로 부임하 면 성 김 전 대사 이후 두번째 한국계 미 국 대사로 기록된다. ‘매파 개입론자’ 로 알려진 차 석좌는 조지 W. 부시 행정부 시절인 지난 2004 년 12월 백악관에 들어가 국가안보회의 (NSC) 아시아 담당 보좌관, 북핵 6자 회 담의 미국 측 부대표로 활동한 한반도 전문가다. 2007년 4월 초에는 빌 리처드슨 뉴멕 시코주 주지사와 함께 방북해 북핵 해법 을 논의하기도 했다. 1959년 미국 이민자 자녀로 태어나 컬럼비아대 경제학과를 졸업하고 영국 옥스퍼드대에서 철학·정치·경제학 석사, 컬럼비아대에서 정치학 박사학위 를 받았다. 한미일 삼각 안보 체제를 다룬‘적대 적 제휴’(Alignment despite antagonism), 북핵 해법을 다룬‘북핵 퍼즐’ (Nuclear North Korea) 등의 저 서도 펴냈다.
중국, 올해 주목받은 국제분야 한자
한반도 정세가 마치 답이 없는‘블랙홀’ 이라는 함정에 빠진 것과 같다” 고 평가 했다. 이어“서로 강함을 보이면서 자극 하면 긴장 국면만 가속하며 유일한 출로 는 중국이 제기한‘쌍중단’ (雙中斷·북 한 핵미사일 도발과 한미 연합군사훈련 의 동시 중단)과‘쌍궤병행’ (雙軌竝行 ·한반도 비핵화 프로세스와 북미 평화 협정 협상) 그리고 단계적 해결” 이라고 덧붙였다. ‘북핵 위기’ 와 별도로‘핵(核)’ 도국 제 부문 한자에 선정됐는데 선정위는 “핵이 핵무기의 대명사로 관심을 받고 있다”면서 “이란과 북한에 대해 국제사회가 핵무기 개발에 반대했고 도널드 트럼프 미 행정
12월 11일(월) 최고 41도 최저 35도
눈
12월 12일(화) 최고 45도 최저 26도
구름많음
12월 13일(수) 최고 31도 최저 23도
12월 11일 오후 2시 기준(한국시각)
1,092.70
1,111.82
1,073.58
1,103.40
1,082.00
1,105.81
1,081.01
버락 오바마 전 대통령
“현실안주 말고 투표하라”
‘북핵 위기’선정 눈길 중국에서 올해 주목받은 한자로‘북 핵 위기(朝核 危機)’ 와‘핵(核)’ 이 나란 히 선정됐다. 11일 신화통신 등에 따르면 중국어언 (語言)자원검측연구센터와 상무인서관, 중국중앙(CC)TV 등의 공동 조사결과 에서 이 단어들이 올해 주목받은 국제분 야 한자로 뽑혔다. 선정위는 주목받은 국제 한자에‘북 핵 위기’ 가 오른 데 대해“올해 북한이 6 차 핵실험과 여러 차례 미사일 발사를 해 새로운 국제사회 제재를 유발했으며
맑음
‘나치독일’언급하며‘위기 도래’경고
중국의 올해 주목받은 한자에‘북핵 위기’선정 <신랑망 화면 캡처>
부는 심지어 북한의 관련 핵 시설을 파 괴하겠다고 호언하기도 했다”고 밝혔 다. 선정위는 이어“중국은 핵 비확산 조 약을 명확히 지지하며 평화적인 대화 방 식으로 북핵 문제 해결을 주장하고 있 다” 는 내용도 소개했다. 이밖에 국제 분 야 한자로는 퇴(退·미국의 파리협약·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 탈퇴), 지(智 ·제조업 스마트화 시대), 습(襲·테 러), 독(獨·스페인 카탈루냐 독립), 인 류운명공동체(人類運命共同體·시진핑 국가 주석이 주창한 중국 공산당의 이 념), 습특회(習特會·시 주석과 트럼프 의 정상회담) 등이 뽑혔다.
버락 오바마 전 미국 대통령은 나치 독일에 빗대어 정치적 현실 안주의 위 험성을 경고하고 미국 유권자들에 투표 참여를 독려했다. AFP통신 등 외신은 8일 오바마 전 대통령이 지난 5일‘시카고 경제클럽’ (Economic Club of Chicago·ECC) 행사에 참석해 이같이 말했다고 보도했 다. 오바마 전 대통령은“우리는 현실에 안주하게 되고 그 전과 같은 상황이 자 동으로 계속될 것으로 생각한다” 며“여 러분은 이‘민주주의의 정원’ 을 보살펴 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급격히 망가질 수 있다” 고 우려했다. 특히 오바마 전 대통령은“우리는 그 러한 일이 일어난 사회를 이미 봤다” 면 서 제2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기 직전 세
계정세를 언급하며 현실 정치에 대한 관심을 촉구했다. 그는“1920년대 후반 과 1930년대 (오스트리아) 빈에는 매우 세련된 무도회장이 있었고 그곳은 새로 등장한 음악, 문학, 과학으로 채워지고 영원할 것처럼 보였다” 고 말했다. 이어“그런 다음 6천만 명이 죽었고 전 세계는 혼란 속으로 빠져들었다” 며 “여러분들은 주의를 기울이고 투표해야 한다” 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