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New

Page 1


라이프 플라자 데일리 뉴스

트럼프, 8월 7일부터 발효되는 새로운 10-41% 관세 부과 명령에 서명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서명한 법령에 따르

면 시리아에 부과되는 최고 세율은 41%, 그 뒤를 라오스, 미얀마가 40% 로 나타났다.

30% 이상의 세금은 알제리,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이라크, 세르비아, 남아

프리카, 스웨덴이 있다.

또한 AFP에 따르면 백악관은 캐나다

에서 미국으로 수출되는 상품이 현재

25%가 아닌 35%의 관세를 물어야 한

다고 발표했다.

CNN에 따르면 미국과 무역 적자를

기록하고 있는 국가들은 공통적으로

10%의 관세를 부담하게 된다.

새로 도입되는 15%의 관세는 미국이

무역 적자를 보고 있는 무역 파트너들

에게 적용되는 최저 세율로, 약 40개

파트너국이 이 15% 관세를 부담하게

된다. 이 가운데 10여 개국은 15%를

초과하는 관세율이 부과될 예정이다.

대통령령에 따르면 베트남에 대한 보

복 관세율은 20%로 선정됐다.

AFP는 미 정부 당국자의 말을 인용 해, 미국의 인상된 관세는 7일 후인 8

월 7일부터 발효되며, 이는 세관국경

보호국(CBP)이 새로운 세금 부과를 위한 준비를 마칠 시간을 확보하기 위 한 조치라고 전했다.

백악관은 부속 문서에 언급된 일부 무

역 파트너들이 미국과의 협정을 곧 체 결할 예정이라고 밝혔으며, 협정이 최

종 마무리되고 트럼프 대통령이 후속

대통령령을 발표하기 전까지는 기존

에 발표된 관세를 계속 적용받게 된다

고 설명했다. 한 미 정부 관계자는 추

가로 아직 공개되지 않은 다른 협정들

도 다수 존재한다고 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7월 31일 밤 멕시코

의 클라우디아 셰인바움 대통령과 통

화해 협상 기한을 90일 연장하기로 합

의했다고 밝혔다. 이 기간 동안 멕시코

는 여전히 펜타닐 관련 품목에 25%,

자동차에 25%, 알루미늄 철강 구리에

50%의 관세를 부담해야 한다. 트럼프

대통령은 또 멕시코가 비관세 장벽을

즉각 철폐하기로 합의했다고 덧붙였 다.

앞서 미국은 한국, 캄보디아, 태국, 파

키스탄 등 일부 국가들과 무역 협정을

체결했다고 밝힌 바 있다.

https://thanhnien.vn/ong-trumpvua-ky-sac-lenh-ap-thue-tu10-41-doi-voi-hang-chuc-doitac-185250801071805505.htm

라이프플라자/ 홍방대 인턴 기자 황

퉁- 번역

디지털 전환·사이버 보안 전담 공무원, 매달 500만 동 수당 지급

정부는 2025년 8월 15일부터 시행되는 제179호 법령을 통해, 디지털 전환, 정보보안, 사이버 보안을 전담하는 공무원과 무장력 인력에게 매달 500만 동

의 수당을 지급한다. 이는 중앙부터 기초단체까지의 당·국가기관, 사회단체, 군대, 경찰, 암호기관 등에서 관련 직무를 수행하는 인력에게 해당된다.

해당 수당은 월급과 함께 지급되며, 사회보험 및 건강보험 산정에는 포함되

지 않는다. 무급휴직 1개월 이상, 사회보험 수당 수령 기간, 직무정지, 전담업

무 미수행 기간 등에는 수당이 지급되지 않는다. 수당은 향후 임금 개혁 정책

이 시행되기 전까지 유지된다.

국영자본 50% 이상 기업, 정관 개정 의무

2025년 8월 1일부터 새롭게 시행되는 ‘국영자본 기업 투자관리법’은 국영지

분 50% 이상을 보유한 기업에게 2026년 12월 31일까지 정관, 재무규정, 내

부규정을 개정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법 시행 전에 승인된 투자 계획, 자본 조달, 구조조정은 계속 진행 가능하며, 기존 전략적 투자자와의 계약도 유효하다. 다만 이후의 변경 사항은 새 법률 에 부합해야 한다. 100% 국영기업은 1년 이내 자본금 재평가를 마쳐야 한다. 건강보험증 없이도 진료비 청구 가능한 경우 확대 2025년 제188호 법령에 따라 8월 15일부터 건강보험증(BHYT)이 없더라도

진료비를 청구할 수 있는 경우가 확대된다. 6세 미만 아동은 출생증명서나

비용 지원이 가능하 다.

해당 환자는 반드시 신분을 확인할 수 있는 서류를 제출해야 하며, 의료기관 은 사회보험기관과 협조해 정보를 확인해야 한다. 보험 혜택 수준은 각각의

대상자 그룹에 따라 달라진다.

국내 탄소시장 시범 운영 개시

정부는 2025년 제119호 법령을 통해 탄소시장 관련 규정을 개정하고, 2025 년 8월부터 탄소시장 시범 운영에 들어간다. 이 조치는 온실가스 감축과 오

존층 보호를 위한 기존 제6호 법령의 일부를 수정·보완한 것이다. 2028년까지는 국가 등록 시스템 구축, 탄소 거래소 시범 운영, 탄소배출권 교환 및 상쇄 메커니즘 정비가 핵심이며, 국민 인식 제고와 전문 인력 양성도 병행된다. 2029년부터는 배출권 경매제도 시행, 국내 규정 완비, 글로벌 탄

소시장 참여로 이어질 예정이다.

민방위 지휘체계, 읍·면·동 단위에 인민위원장이 총괄

2025년 8월 23일부터 시행되는 제200호 법령은 민방위법의 구체적 시행규 칙을 규정하며, 읍·면·동 단위 민방위 지휘위원회의 구조를 명확히 한다. 위 원장은 해당 지역 인민위원회 위원장이며, 부위원장에는 부위원장(상임), 군 사위원회 지휘관, 경찰서장, 경제·인프라 부서장이 포함된다. 위원회는 재난 대응 계획 수립, 경보·정보 전달, 구호 자원 분배, 대응 훈련, 민방위 교육 및 홍보 등의 업무를 수행한다. 또한 지역 내 민방위 이행 상황 을 점검하고, 긴급 시 자원과 인력을 신속히 동원할 책임이 있다. https://vtcnews.vn/chinh-sach-moi-noi-bat-co-hieu-luc-tu-thang-82025-ar957049.html

라이프플라자/ 호치민시 외정대 인턴 기자 민찌- 번역

라이프 플라자 데일리 뉴스

매일 오토바이를 타고 출퇴근하는 시민으로서, 하노이시의 전기 오토바이 전 환 로드맵에 관한 이야기는 지인들과 자주 나누는 주제다. 여러 각도에서 비 교해 보면, 환경을 위한 ‘녹색화’ 목표 외에도 전기 오토바이는 운영 비용 면에

서 큰 장점을 가지고 있으며, 도심 이동에 매우 적합하다.

전기 오토바이로 100km를 달리면 전기 요금은 약 15,000동에 불과하지만, 같은 거리의 주행에 휘발유 오토바이는 약 50,000동의 연료비가 든다. 그러

나 많은 사람들이 망설이는 이유는 ‘충전 시간’이다. 전기 오토바이 배터리를

완전히 충전하려면 4~6시간이 걸리지만, 휘발유는 몇 초 만에 주유가 가능하 다. 충전이 ‘즉시 끝나는’ 과정이 아니기 때문에 사용자 간 대기 시간도 발생한 다.

만약 도중에 배터리가 방전돼 충전소를 찾아가 줄을 서고 충전을 기다려야

한다면, 이는 엄청난 시간 낭비일 뿐 아니라 중요한 일정에도 지장을 줄 수 있

다. 이는 ‘숨겨진 비용’으로 작용하며, 속도가 중요한 현대 사회에서 큰 문제

다. 충전소에만 의존할 경우, 오토바이들이 긴 줄을 서서 무기력하게 기다리

는 상황이 빈번히 발생할 수 있다.

이런 이유로 휘발유 주유처럼 빠르게 해결할 수 있는 방식, 즉 ‘배터리 교환

소’ 구축에 주목해야 한다. 전기 오토바이 이용자는 단 2분 만에 방전된 배터

리를 반납하고 충전된 배터리로 교체할 수 있어 효율적이다.

하노이는 오는 2026년 7월부터 1차 순환도로(반다이1) 지역에서, 2028년 1월 부터는 2차 순환도로(반다이2) 지역에서 휘발유 오토바이 운행을 금지할 계 획이다. 이로 인해 해당 지역뿐 아니라 이 지역을 자주 지나거나 이동할 가능 성이 있는 시민들 모두 전기 오토바이로 전환해야 할 것이다. 장기적으로는 3 차 순환도로(반다이3)까지 규제가 확대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하노이 도심 내 대부분의 오토바이가 전기차로 바뀌게 된다. 하지만 현재 하노이의 충전소 및 배터리 교환소 인프라는 수요에 비해 턱없 이 부족하다. 기존의 주유소 수보다 더 많은 수의 인프라가

필리핀의 조사에서는 시민 60~70%가 “주유소만큼 배터리 교환소가 보급된다면 전기 오토바이를 고려하겠다”고 응답했다. 베트남과 비슷한 상황인 인도네시아는 현재 전국에 공공 충전소 439개, 배터 리 교환소 961개를 보유하고 있다. 수도 자카르타에는 각각 130개, 112개의 시설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기 오토바이 비율은 전체 이륜차의 7%에 불과하다. 인도네시아는 현재 오토바이만 약 1억 3,200만 대에 달한다. 참고할 만한 사례로는 대만(중국)이 있다. 하노이보다 약 10배 넓은 대만은 현재 약 100,000대의 전기차와 500,000대의 전기 오토바이를 위한 공공 충 전소 4,865개, 배터리 교환소 약 12,000개를 운영하고 있다. 하노이에는 현재 492개 주유소(2022년 하노이 산업통상국 자료 기준)가 있

으며, 평균적으로 6제곱킬로미터당 하나의 주유소가 있는 셈이다. 현재의 충

전소 및 교환소는 주차장, 아파트 지하, 편의점 등지에 제한적으로 설치돼 있

으며, 그 수가 매우 적다.

정확한 숫자는 발표되지 않았지만, 2024년 비엣팟(VinFast) 충전소 지도에 따르면 하노이 전역에는 260개의 충전소가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씨렉스 모 터스(Selex Motors)의 데이터에 따르면 2024년 말 기준 하노이·호찌민·다낭 을 합쳐도 배터리 교환소는 약 80개에 불과하다.

실제로, 많은 시민들이 집에서 충전할 여건이 되지 않는다. 아파트, 월세방, 개인 주차장이 없는 경우는 공공 충전소와 교환소에 전적으로 의존해야 한 다.

하노이시는 2035년까지 공공 충전소 1,000개 추가 구축을 목표로 여러 계획 을 발표했지만, 정작 ‘배터리 교환소’에 대한 언급은 부족한 상황이다. 시간이 곧 ‘돈’이 되는 시대다. 많은 상황에서 시민들은 전기차 충전소에서 몇 시간씩 기다릴

https://vtcnews.vn/sac-qua-lau-ha-noi-can-lap-cac-tram-doi-pin-xedien-nhieu-nhu-so-cay-xang-ar957107.html 라이프플라자/

바 ‘호랑이 우리’으로 막혀 있었던 것이다.

철창, 이른

최근 잇따른 화재 참사에서 많은 사상자가 발생한 가운데, 당국의 수차례 경고

와 과태료 부과, 철거 명령에도 불구하고 발코니 확장과 ‘호랑이 우리’ 설치, 비

상구 봉쇄, 복도 점유 등의 문제가 여전히 다수의 아파트에서 만연한 것으로 확

인됐다. 특히 재개발 이주단지, 임대주택, 노후 아파트에서 이러한 실태가 두드

러진다.

호찌민시 투득시의 탄미로이 이주단지(응우옌티딘 거리, 까틀라이동)에서는

일부 세대의 발코니가 철창으로 완전히 막혀 있었다. B2동의 한 세대는 발코니

를 확장해 ‘호랑이이 우리’ 형태로 완전히 차단했으며, 주변 공간은 빨래 건조 대, 비닐봉지, 세탁기 등을 두는 장소로 사용되고 있었다. B4동에서는 비상계

단에 가축 사육장이 설치돼 입주민들의 불만을 샀다. 주민들은 단지 내 주차장 이 관리위원회에 의해 무단 임대돼 무술 도장으로 사용되고 있다며, 각 동의 거 주자들이 지하 1층에 오토바이와 전동차를 빽빽하게 세워둘 수밖에 없다고 호 소했다.

빈쯩 아파트에서도 대부분의 발코니와 창문이 철창으로 확장 차단돼 있었고, 주변에는 빨래, 주방용품, 화분 등이 빼곡히 걸려 있었다. 공용 통로는 생활용 품 보관 장소로 전용됐으며, 특히 1층 비상구는 오토바이 주차장, 임시 지붕 설 치, 상품 진열·판매 공간으로 점유돼 있었다.

현재까지 구 투득시 전역에서 제2구역 소방·구조구난대는 132세대가 철창을

철거하거나 제2 비상구를 개방하도록 유도했고, 169세대와는 철거를 약속하는

서약서를 체결했다.

추러른 아파트(P.쩌롱,구5)에서는 1층의 유일한 비상구가 한 사람이 겨우 지나

다닐 정도의 통로만 확보돼 있다. 아파트 1층은 상점, 사무실, 물류 하역장 등

으로 불법 개조됐고, 발코니는 철창과 간판으로 가려져

피해를 초래한 화재 사고가 잇따르고 있다며, 지난 7월 6일 밤 푸토호아동 독립아파트 화재로 8명이 숨진 사건이 구아파트와 재개발 단지의 화재 안전에 경종을 울렸다고 강조했다.

이에 따라 7월 12일, 시 소방경찰국 산하 33개 지역팀이 일제히 특별 단속을 시 작했다. 단속반은 각 세대를 직접 방문해 철창 철거와 제2 비상구 개방을 설득 하고, 화재 시 대피 요령과 ‘Help 114’ 앱 설치·활용법이 담긴 안내문을 배포했

법무법인(유) 한별은 2004년 설립이후 그동안

심연와 구성원 변호사

연락처: 010 4193 1485

이메일: wah1248@hanbl.co.kr

사이트: www.hanbl.co.kr

주소: 06234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 124, 6·7층 (역삼동, 삼원타워)

라이프 플라자 데일리 뉴스

(타이베이=연합뉴스) 김철문 통신원 = 대만해협을 둘러싼 군사적 긴장이 고

조되는 가운데 대만 해순서(해경) 소속 함정의 90%가 필수 인원을 채우지 못

하고 있다고 자유시보 등 대만언론이 1일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대만의 회계감사 부처인 심계부는 지난달 29일 공개한 2024

년도 중앙 부처 총결산 심사보고서에서 이러한 내용을 밝혔다.

심계부는 지난해 8월 말 기준으로 해순서 소속 함정 115척 가운데 필수 인

원을 채운 함정은 10.43%(12척)에 불과하며 나머지 89.57%(103척)는 필수

인원을 채우지 못했다고 지적했다.

이어 103척 가운데 4척은 함정 운용을 위한 최저 필수 인원조차 채우지 못했

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해순서 인력 부족은 2020년 말 47명에서 지난해 10월 867명으로

늘어났다고 전했다.

심계부는 최근 대만에 대한 중국의 ‘회색지대 전술’(실제 무력

강에 나서고 있다고 밝혔다.

중국은 지난해 춘제(음력설) 연휴 기간인 2월 14일 대만의 최전방 진먼다오

인근 해역에서 발생한 어선 전복 사건으로 자국 어민이 사망한 이후 인근 수

역에 중국 해경선을 계속 투입하고 있다.

대만 언론은 지난 5월까지 중국 해경선이 77차례 진먼다오 수역에 진입했다

고 전했다.

이런 가운데 ‘친미·독립’ 성향 라이칭더 대만 총통은 향후 7년간 1천t급 해순

함정 11척을 건조할 예정이라고 지난해 10월 밝혔다

이 계획이 완료되면 1천t급 해순 함정이 28척으로 늘어나는 등 각종 함정이 213척에 달할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은 대만 독립 성향의 차이잉원 대만 총통이 2016년 5월 집권한 이후 대

라이프 플라자 데일리 뉴스

팜 민 찐(Pham Minh Chinh) 베트

남 총리가 연내 롱탄국제공항(Long Thanh)을 완공하기 위한 사업 가속

화를 재차 촉구하고 나섰다.

찐 총리는 전일 열린 국가 사업 및 핵

심 교통 인프라 사업 국가운영위원회 회의에서 “롱탄국제공항 사업은 그동

안 지연된 공정을 만회해 당초 공사

일정을 따라잡은 상태로, 연내 기본

적으로 완공될 것으로 보인다”고 밝 혔다.

그러면서 사업 진척도를 면밀히 살피

고, 부족한 장비와 인력의 충원에 나

설 수 있도록 베트남공항공사(ACV)

및 유관 기관과의 긴밀한 협력을 재

정부에 지시했다.

4F급 국제공항으로 건설되는 롱탄신

공항은 5000헥타르(5000만m²)가 넘

는 부지에 총 336조6300억동(약 128

억4900만달러)의 사업비가 투입되는

베트남정부의 최우선 핵심 국책사업

으로, 최종 완공시 연간 1억명에 달하

는 여객을 수용할 수 있는 베트남 최

대 허브공항이 될 것으로 큰 기대를

모으고 있다.

앞서 베트남 국회는 부지 정리 등 여 러 현실적 문제로 1단계 사업 완공 시

점을 내년말까지 연기하는 방안을 통

과시킨 바 있으나, 찐 총리는 연내 공

항을 완공할 수 있도록 최대한의 노

력을 기울여 사업 진행 속도를 높일

것을 유관 기관에 거듭 촉구하고 있 다.

이 밖에도 이날 찐 총리는 “오는 19일

주요 사업 착공·준공식을 통해 베트

남은 전국 고속도로 2476km, 해안도

로 1397km를 갖게될 것이며, 올해말

고속도로는 최소 3000km, 해안도로

는 약 2000km까지 확대될 것”이라

며 “연내 예정된 주요 사업이 많은 가

운데 3000km 고속도로 건설을 위한

500일 집중 캠페인 등 각급 기관은

주야간 교대근무, 휴일 연장근무 등

을 병행해 사업에 속도를 낼 수 있도

록 해야한다”고 촉구했다.

건설부는 전국에 걸친 종횡 고속도로 가 건설되면, 각 지방자치단체와 협

경제 중심지와 기차역, 항만 및 공항과의 연계 도로 투자를 검토한다 는 방침이다.

전문가들은 최근 집값이 끊임없이 오

르는 근본 원인이 공급 부족에 있다 고 지적한다. 따라서 집값을 안정시

키고 시장 혼란을 막기 위해서는 단

순히 양도세를 올리기보다 공급 확대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는 것이다. 공

급이 행정 절차로 막히고, 거래가 세

금으로 억제된다면 부동산 시장은 회

복될 수 없고, 이는 경제 전반에 연쇄

적인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다.

개정된 개인소득세법 초안은 적용 범

위가 넓어 국민과 여러 경제·사회 분

야, 특히 부동산 시장에 직접적인 영

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전문가들

은 정책을 마련할 때 충분한 연구와

객관적인 영향 평가를 바탕으로 신중

하게 진행하고, 명확한 시행 로드맵

을 마련해 시장 혼란을 최소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베트남 부동산중개협회(VARS) 딘 회

장은 “부동산 시장은 최근 긴 침체를

지나 막 회복 국면에 접어들었다”며

정책 시행 시기와 방법을 신중히 검

토해야 한다고 밝혔다. 그는 구체적

인 시행 로드맵과 함께 시행령·시행

규칙을 조속히 마련하고, 공제 가능

한 비용 항목을 명확히 규정하며 1가

구 1주택 실거주자에 대한 세금 감면·

면제 제도도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또한 실거주·투자·투기 목적을 구분 해 각 그룹에 맞는 세율을 적용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https://www.insidevina.com/ news/articleView.html?idxno=40337 딘 회장은 부동산 보유 기간에

강조했 다.

“보유 기간에 따라 과세할 경우 정부가 소유 시점을

야 해 행정 절차가 복잡해질 수 있다” 며 장기적이고 안정적인 정책 설계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투자 환경 개선, 행정비용 절감, 정보 투명 화가 시장 효율성을 높이는 핵심 요 소라고 입을 모았다. 실수요자 지원 정책과 투기 억제 장치가 병행돼야 하며, 세제 개편은 시장 유동성을 위 축시키지 않도록 신중히 설계해야 한 다는 지적이다. 이와 함께 교통 인프라 확충, 도시계 획 개선, 인구 분산 정책 등 종합적인 접근이 병행돼야 부동산 시장의 안정 과 투명성이 확보될 것이라고 전문가 들은 강조했다.

https://vtcnews.vn/tang-thuechuyen-nhuong-khong-phaicach-duy-nhat-giup-minh-bachthi-truong-bds-ar957251.html

라이프플라자/ 홍방대 인턴 기자 황 퉁- 번역

라이프 플라자 데일리 뉴스 인도 아다니그룹, 베트남에 최대 100억달 러 투자 추진…에너지·AI 등

인도 2대 재벌기업인 아다니그룹 (Adani Group)이 베트남에 최대

100억달러 규모 장기 투자에 나서겠

다는 의사를 타진했다.

고탐 아다니(Gautam Adani) 아다

니그룹 회장은 지난달 30일 또 럼(To Lam) 베트남 공산당 서기장과의 회

담에서 이 같은 투자 계획을 밝혔다.

아다니 회장은 “우리는 인도를 비롯

한 여러 국가에서 항만·공항·교통·에

너지·디지털 기술 등 다양한 분야에

서 다수 대규모 프로젝트에 투자하고

운영해 온 경험을 보유하고 있다”며 “

우리는 베트남의 발전을 지원하기 위

해 전략적 인프라와 에너지·재생에너

지·인공지능(AI) 등 신(新)산업을 중

심으로 최대 100억달러 규모 장기적

인 투자 계획을 갖고 있다”며 정부 차

원의 적극적인 지원을 요청했다.

럼 서기장은 “베트남은 국내외 기업

들이 국가 발전에 기여하고 발전할

수 있는 모든 유리한 환경을 조성한

고 있다”며 “이러한 정신에 따라 베

트남은 인도 기업을 포함한 외국 기

업이 베트남에 대한 투자를 확대하는

것을 언제나 환영한다”고 화답했다.

그는 이어 “양국은 100년의 건국 역

사를 거쳐 현대 선진국으로 도약을

목표로 하는 등 국가 개발 전략 측면

에서 많은 유사점을 가지고 있다”며 “

따라서 양국은 모든 분야에서 협력을

강화해야 하며, 특히 경제와 무역, 투 자 관계를 잠재력에 걸맞게 증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럼 서기장은 “아다니그룹이 베

트남에 대한 장기적인 투자 계획과

관심으로 양국 경제 협력 증진에 기

여하고 있다는 점을 잘 알고 있다”며

“아다니그룹이 유관 부처와 기관, 각

지방자치단체와 소통해 협력 방향을

명확히 설정하고 관심을 갖고 있는

분야에 대한 투자 사업을 가속화하길

바란다”고 밝혔다.

호치민시가 지하철 1호선 벤탄-수오

https://www.insidevina. com/news/articleList.html?sc_area=I&sc_word=tanphung/02&view_type=sm 한 상태다.

이띠엔(Ben Thanh-Suoi Tien)의

각 역사 내 상점과 카페 등 상업 공간

조성을 추진하고 있다.

호치민시 공상국은 최근 지하철 역

사 내 상업 공간을 조성하는 방안을

1호선 운영사인 1호치민도시철도공

사(HURC1)에 제안했다. 이는 지하

철 이용객을 위한 맞춤형 소매 모델

을 시범 운영하자는 소매유통체인 사

이공꿉(Saigon Co.op)의 건의에 따

른 것이다.

호치민시는 이러한 계획이 통근객들

의 편의성을 높이고, 지하철역을 활

기 넘치는 허브로 탈바꿈시키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1호선은 시내 중심부인 벤탄역부터

수오이띠엔버스터미널역(옛 9군)까

지 도심과 동부지역 연결성 강화를

목표로 한 호치민시 최초의 지하철 로, 총 19.7km 구간에 지하역사 3개, 지상역사 11개 등 총 14개역이 자리

잡고 있으나, 이용객을 위한 쇼핑·식

당·엔터테인먼트 시설은 사실상 전무

이에 대해 한 당국자는 “한국과 일본, 싱가포르 등 지하철 역사 내부에 소 매업체를 입점시켜 활용 중인 외국의 사례처럼, 역사 내 상업 공간이 조성 될 시, 수익 창출 뿐만 아니라 편의성 개선에 따른 대중교통의 매력을 더욱 부각시켜 더 많은 이용객을 끌어들일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당국은 도시가 2035년까지 도시철 도망 355km 구축을 목표로 세운 가 운데 각 역사 내 소매 및 서비스 시 설 개발이 소비 지출을 촉진하고, 도 시 기반 시설을 최대한 활용하는 데 핵심적인

‘AI 무장’ 팰런티어, 최대 14조원 규모 미
육군 계약 따내

(서울=연합뉴스) 정성호 기자 = 인공

지능(AI) 열풍 속에 주목받고 있는

AI 소프트웨어 기업 팰런티어가 미

국 육군으로부터 최대 100억달러(약

13조9천억원) 규모의 계약을 따냈다

고 워싱턴포스트(WP)가 31일(현지

시간) 보도했다.

미 육군은 여러 건의 기존 소프트웨

어 계약을 1건으로 통합해 향후 10년

간 최대 10억달러에 달할 계약을 팰

런티어와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계약은 팰런티어가 수주한 계약

으로는 사상 최대 규모로, 군에 군사

정보와 첩보에 대한 분석을 제공해온

주요 업체로서의 위상을 확고히 하는

것이라고 WP는 평가했다.

미 육군은 성명을 통해 이번 계약이

육군의 소프트웨어 구매 관행에 중대

한 변화라며 이를 통해 조직의 임무

수행에 필수적인 프로그램 전반에 상

당한 비용 효율성을 가져올 것이라고

밝혔다.

또 “이 간소화된 접근법은 군인들이 최첨단의 데이터 통합·분석과 AI 도 구에 빠르게 접근하도록 보장하면서 조달 일정을 단축할 것”이라고 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지지자인 실 리콘밸리 억만장자 피터 틸과 앨릭스 카프 최고경영자(CEO)가 설립한 팰 런티어는 트럼프 행정부에서 잇달아 정부 계약을 따내며 사업을 확장하 고 있다.최근 몇 달 새에만 7개 연방 정부 기관으로부터 새로운 사업을 수 주했다.

라이프 플라자 데일리 뉴스

(서울=연합뉴스) 오수진 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31일(현지시 간) 17개 글로벌 제약사에 공개서한을 보내 ‘60일 내로 미국 내 약값을 인하

하라’고 압박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트루스 소셜에 노보노디스크, 일라이릴리, GSK 등 17 곳에 보낸 서한을 공개했다.

그는 “(이들 기업의) 미국 내 브랜드 의약품 가격이 다른 나라보다 2-3배 비

싸다”며 다른 선진국에 부과하는 약품 가격의 최저 수준으로 내리라고 요구 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그간 미국 행정부가 (제약사로부터) 받아온 제안은 이 심각 한 문제를 ‘해결’하기보단 비난을 회피하는 내용들이었다”며 “이에 따라 미국 내에서 사업을 운영하는 모든 제약사에게 다음과 같은 조치를 향후 60일 이

내에 시행할 것을 요구한다”고 말했다.

구체적으로 트럼프 대통령은 제약사들에게 메디케이드(저소득층 의료보험)

환자들을 위한 ‘최혜국대우(MFN)’ 가격을 모든 약품에 적용해 가격 포트폴 리오를

(고령자 등을 위한 연방정부 공공의료보험), 상업 보험 가입자들이 신약에 대 해서도 MFN 가격으로 약을 받을 수 있게 보장할 것을 요구했다.

아울러 제약사들이 해외에서 얻는 수익을 미국 내 환자들과 납세자들을 위해 환원하라고도 했다.

그는 “국내 MFN 가격 책정은 모든 제약사가 해외 무임승차 국가들과 더 강

력한 협상을 하도록 요구할 것”이라며 “미국 무역 정책도 이를 지원하겠다”

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대폭 할인된 가격으로 대량 구매하는 처방약은 미국이 MFN 가격으로 직접 구매하는 방식도 요구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만약 여러분이 조처하지 않는다면 미국 가정을 계속되는

약값 폭리에서 보호하기 위해 모든 수단을 동원할 것”이라고 위협했다.

미국 인터넷 매체 악시오스는 이날 트럼프 대통령이 주장한 MFN 가격은 논

란의 여지가 있다며 MFN은 1인당 국내총생산(GDP)이 미국의 60% 이상인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들의 약값 가운데 최저가를 목표로 설정했다 고 지적했다.

아울러 트럼프 대통령의 1기 집권 당시에도 비슷한 내용의 MFN 계획을 제 안했으나 제약사들이 연방법원에 소송을 제기하면서 중단됐다고도 전했다. https://www.yna.co.kr/view/AKR20250801070200009?section=search

라이프 플라자 데일리 뉴스 日연구기관 “후쿠시마 원전 핵연료잔해,

(도쿄=연합뉴스) 박상현 특파원 = 일본 후쿠시마 제1원자력발전소 사고 원 자로에서 지난해 11월 반출한 무게 0.7g의 핵연료 잔해(데브리)를 분석한 연 구기관이 잔해가 예상보다 잘 부서진다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1일 요미우리신문에 따르면 일본 원자력연구개발기구는 전날 해당 핵연료

잔해에 대해 “사람의 힘으로 부술 수 있었다”며 밀도가 낮고 부서지기 쉬운

부분이 있었다고 발표했다.

핵연료 잔해는 방사성 물질인 우라늄과 원자로 내에서 녹으며 떨어진 금속

등으로 구성됐는데, 이들 물질의 녹는점이 달라 예상보다 무른 것으로 추정

됐다.

후쿠시마 제1원전 운영사인 도쿄전력은 2037년 이후 본격적으로 시작할 핵

연료 잔해 반출 작업 시 잔해를 잘게 부숴 회수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요미우리는 핵연료 잔해의 무른 성질이 이러한 공법을 적용하는 데 유용할

가능성이 있다고 해설했다.

다만 이번에 분석한 대상은 880t가량으로 추정되는 핵연료 잔해의 극히 일

부여서 전체 특징을 파악하려면 추가 시험 반출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고 NHK가 전했다.

도쿄전력은 지금까지 두 차례 핵연료 잔해 시험 반출에 성공했으며, 총량은

0.9g에 불과했다.

한편, 도쿄전력홀딩스는 올해 2분기에 8천576억엔(약 8조원) 적자를 기록했 다고 전날 밝혔다. 2분기 기준으로는 역대 최대 규모 적자였다.

이 회사는 핵연료 잔해 반출에 드는 비용의 일부로 9천30억엔(약 8조4천억 원)을 반영한 것이 영향을 미쳤다고 설명했다.

도쿄전력 측은 사고 원전 폐기에 8조엔(약 74조원)이 들어갈 것으로 추산해 왔는데, 향후 늘어날 가능성이 있다고 일본 언론은 지적했다.

아사히신문은 현재 용도가 확정된 지출액만 약 5조엔(약 46조원)이고, 핵연 료 반출 관련 설비와 작업 관련 비용은 아직 정해지지 않았다고 짚었다. https://www.yna.co.kr/view/AKR20250801069800073

Turn static files into dynamic content formats.

Create a flipbook
Issuu converts static files into: digital portfolios, online yearbooks, online catalogs, digital photo albums and more. Sign up and create your flip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