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ww.lifeplaza.net.vn
T. 0901795475
E. an9559@naver.com






추락…
4명 사망

미국 애리조나주 친리 시 공항에 착
륙하던 의료 이송용 비행기 비치크래
프트 300이 8월 5일 정오 무렵 추락
후 화재가 발생해, 탑승자 4명 전원(
조종사 2명, 의료진 2명)이 사망했다.
해당 항공기는 CSI 에비에이션(CSI Aviation) 소속으로, 뉴멕시코주 앨
버커키에서 환자를 이송하기 위해 친
리로 향하던 중 활주로에서 약 270미
터 떨어진 지점에서 추락했다. 정확
한 사고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
으며, 미국 연방항공청(FAA)과 국가
교통안전위원회(NTSB)가 공동으로
조사를 진행 중이다.
최근 수년간 미국 및 여러 국가에서
이와 유사한 의료 이송 항공기 추락
사고가 잇따르며, 험난한 기상조건과
외딴 지역을 자주 오가는 항공 구호
서비스의 안전성에 대한 우려가 제기
되고 있다.
대표적인 사례로는 2023년 2월, 네바
다주 스테이지코치(Stagecoach) 인
근 산악 지대에서 응급의료기기가 탑
재된 소형 비행기가 추락해 탑승자 5
명 전원이 사망한 사고가 있다.
또한 2025년 1월 31일에는 필라델피
재무부,
“국방·안보·특수국”
신임 국장 등 주요 인사 단행

2025년 8월 5일 오후, 베트남 재무부 는 국방·안보·특수국 국장, 회계·감사
관리감독국 국장, 재무부 당위원회
아에서 이륙 직후 Med Jets 056편이
추락하여 탑승자 6명과 지상에 있던
주민 2명이 숨졌으며, 인근 주택과
차량에도 큰 피해가 발생했다.
캐나다에서는 2013년 온타리오주 무
소니(Moosonee) 지역에서 Orange
사가 운영하는 S-76A 구조 헬리콥터
가 추락해 조종사 2명과 의료진 2명
이 사망한 바 있다.
한편, 지난 22년간의 사고 분석 보고
서에 따르면, 의료용 헬리콥터 사고
10건 중 약 4건(39~45%)이 사망 사
고였으며, 기술 및 운영 절차 개선으
로 20102015년 45%에서 20162021
년 17%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2000년부터 2020년까지 미국에서
는 의료 항공기 관련 사고 87건이 발
생했으며, 230명 이상이 목숨을 잃
었고, 대부분은 피로, 방향 상실, 무
리한 결정 등 인적 오류로 인한 사고 였다.
https://vtcnews.vn/my-roi-maybay-van-chuyen-y-te-4-nguoithiet-mang-ar958209.html
라이프플라자/ 호치민시 외정대 인턴
기자 민지 - 번역
감사위원회 부위원장에 대한 인사 이
동 및 임명 결정을 발표하는 회의를
개최했다. 이번 인사는 재무부 지도
부가 같은 날 서명 및 발효한 결정에
따라 이루어진 것이다.
구체적으로, 당 끄엣 띠엔 씨는 회
계·감사 관리감독국 국장에서 국방·
안보·특수국 국장으로 임명되었으
며, 응우옌 꾸옥 흥 씨는 세금·수수
료 정책 관리감독국 국장에서 회계·
감사 관리감독국 국장으로 이동하였
다. 한편, 푹 꾸옥 찌 씨는 국영기업
개발국 국장에서 재무부 당위원회 집
행위원으로 선출되었으며, 재무부 당
위원회 감사위원회 상근 부위원장
(2025–2030년 임기)으로 임명 제안
되었다.
회의에서 발언한 응우옌 득 찌 재무
부 차관은, 재무부는 국가 경제에 직
결되는 광범위하고 시급한 업무를 담
당하고 있으며, 특히 현재와 같은 국
가 발전의 새로운 전환기에는 재무
분야의 책임이 그 어느 때보다 무겁
다고 강조했다. 따라서 이번에 임명
된 간부들이 어떤 직책에 있든 모두
가 책임감과 단합된 자세로 조직과
협력해 맡은 바 임무를 성실히 수행 해 줄 것을 당부했다.
이와 함께, 정부는 2024년 6월 30일 에 166호 법령을 공포해, 재무부의 기능과 조직 구조를 재정비했다. 이 는 기존 29호 법령을 수정한 것으로, 총괄경제국, 투자국, 감사부 3개 부 서를 폐지하고, 인프라 개발국과 투 자감독·심사국 2개 부서를 새로 추가 하는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이에 따 라, 재무부는 현재 부, 국, 연구소, 대 학 등 34개 산하기관을 갖추고 있으 며, 전문 국의 조직 구조 또한 명확히 정비되었다. 구체적으로, 세무국, 통계국, 베트남 사회보험청은 중앙–성/시–기초 단위 (군·현·읍 등)의 3단계 조직으로, 세 관총국은 중앙–지역 세관(20개)–출 입국 지점 또는 외곽 세관의 3단계로 운영된다. 한편, 국가금고 및 국가비 축청은 중앙과 20개 지역 금고 또는 15개 비축청으로 구성된 2단계 조직 체계를 따른다. 이번 조직 개편은 효 율성 제고와 기능 최적화를 통한 재 무행정의 현대화와 전문화를 목표로 한다.
https://vtcnews.vn/bo-tai-chinhdieu-dong-bo-nhiem-vu-truongvu-quoc-phong-an-ninh-dacbiet-ar958157.html 라이프플라자/ 호치민시

라이프 플라자 데일리 뉴스
트럼프 대통령, 제약 제품에 최대 250% 관
세 부과 방침 밝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8월 5 일 CNBC 뉴스와의 인터뷰에서 “처
음에는 소폭의 관세를 적용하겠지만,
1년 또는 최대 1년 반 내에 150%로, 이후 250%까지 인상하겠다”고 밝혔
다. 그 이유에 대해 트럼프 대통령은
“우리는 의약품이 자국 내에서 생산
되기를 원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초기 관세율이 얼마인지 구체적
으로 밝히지 않았지만, 지난 2월에는
의약품과 반도체에 대해 “25% 또는
그 이상”의 세율을 제안한 바 있다.
이후 7월 초에는 해당 품목들에 대해
최대 200%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경고했다.
로이터에 따르면 최근 다수 제약사들
이 트럼프 대통령의 지지를 얻기 위
해 미국 내 생산에 수십억 달러를 투
자하겠다고 약속하고 있다. 아스트라
제네카(AstraZeneca)는 미국 내 사
업 확장을 위해 500억 달러를 투자하
겠다고 발표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또한 같은 날 반도
체와 칩에 대한 관세도 “다음 주나 그
이후” 발표할 예정이라고 밝혔으나, 구체적인 내용은 언급하지 않았다.
미국 정부는 현재 제약 산업과 반도체
산업에 대한 국가 안보 평가를 진행
중이며, 이를 토대로 관세 부과 여부
를 결정할 예정이다.
한편, 같은 날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
과 중국 간 무역 협상이 거의 타결 단
계에 이르렀으며, 시진핑 중국 국가주
석과 올해 말 이전에 회담할 수 있다
고 밝혔다.
“그가 회담을 요청했고, 우리가 합의
에 도달하면 올해 말 전에 만날 가능
성이 크다. 하지만 합의에 이르지 못
한다면 만나지 않을 것”이라고 트럼
프 대통령은 CNBC와의 인터뷰에서
말했다.
앞서 지난주 스웨덴 스톡홀름에서 열
린 미중 고위급 회담 후, 미국 재무장 관 스콧 베센트는 “양국이 무역 합의
에 도달하기 위한 진전을 이뤘다”고
밝혔다.
https://thanhnien.vn/ongtrump-tuyen-bo-se-apthue-den-250-doi-voi-duocpham-185250806091814008.htm
라이프플라자/ 호치민시 외정대 인턴
기자 민지 - 번역



라이프 플라자 데일리 뉴스 호주, 일본산 스텔스 호위함 11척 도입… 60억 달러 규모 방산 계약 체결

호주가 60억 달러 규모로 일본과의
방위산업 계약을 체결하고 스텔스 호
위함 11척을 도입하기로 결정했다.
이번 결정은 2023년에 발표된 국방
재편 계획의 일환으로, 호주는 장거
리 타격 능력 강화를 통해 급격히 부
상 중인 중국 해군력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고자 한다. 해당 함정들은 현
재 운용 중인 노후 Anzac급 함정을
대체할 예정이다.
리처드 막스(Richard Marles) 호주
국방장관은 “이번 계약은 일본과 호
주 간 체결된 역대 최대 규모의 국방
산업 협력”이라며, “이는 호주에 가
장 적합한 선택이며, 양국은 매우 긴
밀한 전략적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고 강조했다.
호주는 독일산 MEKO A-200급 함
정 대신 일본의 모가미급(Mogami-class) 호위함을 선택했다. 주
요 이유는 모가미급이 장거리 미사
일 발사 능력, 18,500km 이상의 항
속 거리, 높은 자동화 시스템을 갖
춘 차세대 스텔스 전투함이기 때문이 다. 반면, Anzac급은 항속 거리가 약 11,000km에 불과하고, 승조원 수도
많아 운영 효율성이 낮은 것으로 평 가된다.
말스 장관은 “모가미급은 32기의 수
직발사관(VLS)을 탑재할 수 있으며,
스텔스 성능을 갖춘 최신 함정으로 호
주에 가장 적합하다”고 설명했다.
한편, 호주 정부는 이미 2024년에 65
억 달러 규모의 다목적 호위함 사업
을 발표한 바 있으며, 새로 도입될 함
정은 대잠전 및 방공 작전을 통해 호
주의 북부 접근로와 해상 물류 노선을
보호하는 핵심 임무를 맡게 된다.
또한, 호주는 국방비를 국내총생산
(GDP)의 2.4%까지 점진적으로 확대 할 계획이다. 이는 나토(NATO)가 권
장하는 2%를 상회하지만, 미국이 요
구하는 3.5% 수준에는 아직 미치지
않는다.
https://vtcnews.vn/australia-mua-11-ho-ve-ham-tanghinh-nhat-ban-tri-gia-6-ty-usdar957988.html
라이프플라자/ 호치민시 외정대 인턴
기자 민지 - 번역


라이프 플라자 데일리 뉴스
트럼프 대통령, “JD 밴스 부통령” 후계자 가능성 언급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8월 5
일, 자신이 추진한 정책의 잠재적인
후계자로 JD 밴스 부통령을 지목하
며 “아마도 그렇다. 공정하게 말해서, 그는 부통령이다”라고 밝혔다.
이는 트럼프 대통령이 JD 밴스 부통
령을 향해 보여준 가장 강력한 차기
대선 후보 지지 의사로, 로이터 통신
에 따르면 밴스 부통령이 미래 공화
당 대선 후보로 떠오르고 있음을 시
사한다.
트럼프 대통령은 또한 JD 밴스 부통
령과 마르코 루비오 국무장관이 힘을
합쳐 향후 공화당 대선 후보로 나설
수 있다고 제안했다.
비록 2028년 미국 대선까지는 시간
이 남아 있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여
전히 공화당 내에서 후보 선출에 큰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으며, 그가 특
정 인물을 지지하는 발언은 중요한
신호로 받아들여진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전에도 2028년
후계자 문제를 언급한 바 있다. 지난
2월 그는 “JD 밴스 부통령은 매우 유
능하다”고 평가하면서도, 아직 그를
유력 후보로 지목하기는 이르다고 말 했다.
5월에는 “우리 당에는 유능한 인재가
많다”고 덧붙이며, JD 밴스 부통령과
마르코 루비오 국무장관의 이름을 함
께 거론했다.
JD 밴스 부통령은 전직 해병대원 출
신으로, 트럼프 행정부에서 핵심 역할
을 수행하며 대통령의 주요 국내 정책
을 대표해 왔다.
한편, 루비오 국무장관은 플로리다주
상원의원을 지낸 후 트럼프 정부에서
외교정책의 주요 현안을 해결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그는 고(故) 헨
리 키신저 국무장관 이후, 국무장관과 국가안보보좌관을 동시에 맡은 첫 인
물로 알려져 있다.
https://thanhnien.vn/tong-thongtrump-du-doan-nguoi-ke-nhiemminh-185250806094200731.htm
라이프플라자/ 호치민시 외정대 인턴
기자 민지 - 번역



라이프 플라자 데일리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