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연극
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 -연극
발행인 박재은 발행일 2011.10 발행처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기획 교육개발팀 등록 KACES-1040-R019 문의 Tel. (02)6209-5900 Fax. (02)6209-5999 e-mail. contact@arte.or.kr www.arte.or.kr ⓒ본 보고서의 내용을 인용할 때에는 반드시 출처를 명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본 보고서의 저작권은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에 있습니다.
제출문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장 귀하
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연극 보고서를 제출합니다. 2011년 10월
연구진
연구책임자 이원현 성결대학교 연극영화학부 부교수
공동연구자 신동인 서일대학교 연극과 부교수 이대현 단국대학교 공연영화학부 조교수 이연심 경기상업고등학교 교사 이명분 경인교육대학교부설초등학교 교감
연구보조원 이유미 한국문화예술교육학회 사무국장
한국문화예술교육학회 본 연구의 내용은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의 의견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목차
I. 서 론
1
1. 연구 배경
3
2. 연구 목적 및 의의
4
3. 연구방법 및 연구내용
5
Ⅱ. 해외사례 분석
7
1. 미국의 연극교육 표준
9
2. 독일의 연극교육 표준
14
3. 해외사례 분석
19
Ⅲ. 교육표준 개발
21
1. 교육표준 개발을 위한 이론적 배경
23
2. 우리나라 연극교육과정 현황
32
3. 교육표준 개발의 실제
65
Ⅳ. 설문조사
87
1. 설문조사의 개요
89
2. 설문결과의 시사점
92
3. 참고자료
96
Ⅴ. 결론 및 제언
113
참고문헌
117
목차 | i
표목차 <표Ⅱ-1> 학년 군별 수준 변화
00
<표Ⅱ-2> 교육과정 개정 시기별 미술과 내용 체계 비교(대영역과 중영역)
00
<표Ⅱ-3> 2007 개정 · 2011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 내용체계 비교(초등학교를 중심으로)
00
<표Ⅱ-4> 2007/2009(2011) 개정 교육 교육과정에서의 문화교육 관련 내용
00
<표Ⅲ-1> 2009 개정 교육과정 내용 영역과의 비교
00
<표Ⅲ-2> 시각 예술의 과정
00
<표Ⅲ-3> 시각 예술의 내용
00
<표Ⅲ-4> 애리조나 주 시각예술분야 내용 체계
00
<표Ⅲ-5> 2009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에서의 영역별 성취기준
00
<표Ⅳ-1> 문화예술교육 미술과 수준별 기대수준Ⅰ수준/초등 1,2학년
00
<표Ⅳ-2> 문화예술교육 미술과 수준별 기대수준Ⅱ수준/초등 3,4학년
00
<표Ⅳ-3> 문화예술교육 미술과 수준별 기대수준Ⅲ수준/초등 5,6학년
00
<표Ⅳ-4> 문화예술교육 미술과 수준별 기대수준Ⅳ수준/중학교
00
<표Ⅳ-5> 문화예술교육 미술과 수준별 기대수준Ⅴ수준/고등학교
00
ii | 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연극
요약 국가의 경쟁력은 문화예술교육의 질과 비례한다. 소위 선진국이라 불리는 서구의 주 요 국가들의 경우를 볼 때, 지금까지 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며 문화예술에 대한 꾸준 한 지원과 많은 연구 노력들을 시행하여 왔다. 특히 최근 1990년대 이후에는 이를 위해 더 많은 인력과 시간, 예산들을 투입하여 자국의 문화예술교육 표준을 확립, 시행하고 있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국내 문화예술교육의 경우에는, 문화예술교육 실행에 근본 지 침이 되어야 할 ‘교육표준’의 연구와 실행조차 제대로 이뤄지지 않은 상태이며, 문화예 술교육의 발전초기 단계에 머물러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우리 문화예술교육표준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하에서 연극교육과 정의 현황들에 대한 이해와 분석의 연구적 단계과정을 밟으며, 연극교육표준안을 설정, 제시하였다. 연구의 내용은 우선 문화예술교육표준을 토대로 발전적인 연극교육을 시행하고 있 는 주요 해외사례를 통해 - 미국과 독일의 사례를 중심으로- 그들의 연극교육의 형태를 살펴보고, 여기서 우리 연극교육표준 연구에 시사하는 바가 무엇인지 찾아본다. 그리고 국내의 연극교육과정을 점검과 초, 중등의 각 교급별 연극관련 교과 및 타 장르예술교 과의 교육목표와 내용을 살펴봄으로 연극교육의 목표를 구체적으로 설정하였다. 이는 연극교육 목표에 대한 구체적 공시가 사전에 이뤄지지 않았다는 사실에 기인한 것이 며, 본 연구진은 이러한 문제의 해결을 위해 앞서 일반 제도권교육의 목표까지도 살펴 보며, 적합한 우리 연극교육의 목표를 설정코자 하였다. 그리고 위에 제시한 연구방법들을 통해, 연극교육표준 개발의 모형들을 단계적으로 정리하였다. 여기서는 설문조사가 활용되었는데, 이는 연구진이 마련한 “연극교육의 목표(예시)”와 “연극교육의 성취기준 및 행동지침(예시)”이 교육현장에 적용하기에 적 합한지 교육 현장에 있는 연극 강사들을 중심으로 그 여부를 진행하였다. 이는 연극교 육의 목표를 설정하고 표준안을 작성, 제시해야 하는 적잖은 부담과 어려움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 본 연구는 ‘문화예술교육 교육과정’을 위한 단계별 초기 연구로서, 이후 교과서 개발 의 방향제시 및 창의적 체험활동, 방과 후 교육활동의 교육내용으로서 구체적 연극프 로그램 개발과 연결되기에, 우리의 밝은 문화예술교육의 미래를 일구어나감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요약 l iii
Abstract Competitiveness of a country is proportional to quality of cultural and artistic education. In case of so-called developed major countries of the West, they have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education and have done continuous support for culture and arts and made much effort for their research till now. Especially since recent 1990s, they invested much more manpower, time and budgets for culture and arts, and established their own standards for cultural and artistic education. But relatively, in case of Korean cultural and artistic education, there aren't even proper researches and practice of 'the educational standards' that have to be basic guidelines for the educational enforcement, and it stays in the fundamental stage of cultural and artistic education development. Under the recognition of the necessity for our cultural and artistic education standards, in this study, the researchers explain each course of the research stage for better understanding and analysis of the status of theatrical education, and establish and present theatrical education standards. As contents of study, first of all, through major foreign examples of performing developmental theatrical education on the basis of the cultural and artistic education standards-centering on the examples of the USA and Germany-, the researchers examine forms of their theatrical performance and try to find what they suggest for study of our theatrical education standards. And by inspecting domestic theatrical education courses and each grade's theater-related curriculums and educational goals and contents of other genre's art subjects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the researchers have established concrete goals of theater education. This is because of the fact that specific announcement of the goals of theater education hasn't been made in advance and in order to solve such problems, the researchers examined even the goals of general institutional education first and then set proper goals of our theater education.
iv|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연극
And through suggested methods of study in the above, we arranged models for development of theater education standards step by step. Here we used surveys for drama instructors in the field of education in order to confirm whether "goals of theater education (example)" and "achievement standards and behavior guidelines (example)" being prepared by the researchers are proper for the field of education. That was helpful for us to solve considerable burden and difficulties of establishing goals of theater education, and preparing and suggesting their standards. This study is initial research for 'the educational course of cultural and artistic education' for each step. And because it is connected to providing directions for later development of textbooks and concrete theater programs as educational contents for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ies and after-school educational activities, the researchers expect that this study would be helpful for making our bright future of cultural and artistic education.
ě&#x161;&#x201D;ě&#x2022;˝ l v
I. 서 론
1. 연구배경 2. 연구 목적 및 의의 3. 연구방법 및 연구내용
I. 서론 1. 연구배경 국가의 경쟁력은 문화예술교육의 질과 비례한다. 선진국이라 불리는 서구의 주요 국가 들의 경우를 살펴볼 때, 그들은 문화예술에 대한 꾸준한 지원과 더불어 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많은 연구와 노력들을 시행하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다. 특히 최근 1990년대 이 후에는 더 많은 인력과 시간, 예산들을 투입하며 자국의 문화예술교육 표준을 확립 시행 하고 있다. 우리의 경우에도 21세기 문화의 시대임을 표방하며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논 의와 정책시행이 꾸준히 확대되고 있는 바, 특히 학교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관심과 강사 파견 사업을 통한 지원 사업은 그 범위와 규모에 있어서 실로 괄목할 만한 성장세를 보이 고 있다.1) 그러나 아쉽게도 그 체계나 내용을 살펴볼 때, 아직은 확립이 덜된 초기 상태라 할 수 있다. 무엇보다도 문화예술교육 실행에 근본 지침이 되어야 할 ‘교육표준’의 연구와 실행 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은 상황이라 강사와 단체 중심의 개별적 교육 지도안에 대한 자체 적 고민과 연구가 있을 뿐이다. 전반적인 문화예술교육표준에 대한 필요성은 최근 수차례에 걸친 개정 교육과정을 통 해 더욱 대두된 것 같다. 무엇보다 학년구별, 교과군별 수업시수를 제시해 학기집중이수 를 가능하게 하였고, 예술에는 음악, 미술뿐만 아니라 연극, 영화영상 무대예술, 문화콘텐 츠 등이 포함될 수 있도록 하여 예술교육의 관심이 커졌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음악, 미 술, 그리고 국어 안의 문학, 체육 안의 표현활동, 통합교과로서의 즐거운 생활 등은 예술 교육의 일관된 시각과 목표보다는 교과중심, 주제중심의 내용으로 구성, 운영되고 있어 학년별 연계성과 교급별 단계성 등을 통한 체계적인 심화교육이 어려운 실정이다. 또한 능력 및 적성계발, 진로의 선택 등도 고학년에 가서 선택되어지고 개발, 심화되는 것이 아니기에 문제이다. 현시점에서는 전 학년을 통해 단계별 심화, 적용될 수 있도록 해야 하며, 시대의 변화와 요청에 대처할 수 있는 통합적인 사고 및 예술교육의 보편성과 특수 1) 그러나 2011년과 2012년 관련사업의 예산 지원이 축소되어지고, 학교별 시수배정과 신규강사선발의 규모 도 점차 축소되어져 감으로 많은 우려를 낳고 있다. Ⅰ. 서론 | 3
성을 아우를 수 있는 교과 재편성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 무엇보다도 각 교과의 성격이 규정되고 그 성격에 의해 목표가 설정되어야 한다. 물론 이에 앞서 문화예술교육의 성격규정도 필요하다. 그리고 문화예술교육의 통합 된 시각 속에서 각 교과의 특수성과 전문성을 제시하는 목표와 내용이 구체적으로 구성 되어야 한다. 그러나 아직 심도 있게 이러한 문제점들이 논의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점에서 이번 문화예술교육 표준연구는 이러한 국내 예술교육의 문제점을 직시하 고 예술교육의 단계성과 체계성 그리고 연계성을 고려한 밝은 문화예술교육의 미래를 위 해 반드시 필요한 작업이다.
2. 연구목적 및 의의 2005년 문화예술교육진흥원이 출범되고, 문화예술교육지원법까지 통과되어 실행하고 있는 상황에서 문화예술교육의 표준의 마련이 가장 시급한 과제임을 인식하며, 본 연구 는 다음의 사항들을 연구의 목적으로 두며 진행되었다.
○ 학교문화예술교육 중 연극교육의 시행, 평가, 또한 교재 및 교보재 개발의 체계적 기준을 마련하여야 하며 학령기준에 따른 교육표준을 개발하여야 한다. ○ 연극교육의 독자성과 타 장르와의 연계성을 동시에 충족시킬 수 있는 ‘교육 표준’ 과 ‘연계시스템’을 마련한다. 이는 문화예술교육으로서 상호 통합, 또는 예술 외의 타 분야와 통합할 수 있는 가능성을 마련 제시하는 것이다. ○ 전문기능교육으로서의 예술교육을 지양하고 예술을 통한 감성 및 창의력 함양을 지 향토록 한다. ○ 연극교육의 목표 및 내용을 설정하고, 현 교육현장에서 실행 가능토록 한다.
여기
서 현 교육체제 안에서의 교육과정과 시수를 고려한 기본 원칙을 제시토록 한다. ○ 문화예술에 대한 체계적인 이해력 향상을 갖도록 하여 문화시민으로서 성장발전토 록 한다. 이와 더불어 본 연구는 연극교육을 통하여 문화적 이해를 도모하고 자신을 비롯한 타인 및 사회를 이해하고 올바로 수용하며, 나아가 바람직한 문화인으로서 성장해야한다는 사실과 이러한 목적에 맞는 효과적인 교육과정 및 방법의 선택이 필수라는 인식이 연구목적과 밀접한 연관성을 갖고 있다. 4 | 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연극
3. 연구방법 및 연구내용 1) 연구방법
이번 연극분야의 교육표준연구를 위해 직접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관련 선행 자료들 은 실제로 찾아보기 힘든 실정이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지금까지 진행되어온 문화예 술교육관련 정책과 행정 그리고 관련 장르들의 다각적인 시도들을 살펴봄은 앞으로의 연 극분야 교육표준개발을 통한 교육발전 청사진을 확립하는데 도움을 받았다.2) 여기서 시행한 연구방법의 형태를 구체적으로 분리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국내외 자료 분석 ○ 문화예술교육 선진국 교육표준 조사 ○ 국내, 외 초·중등교육 정책 및 행정자료 ○ 관련 분야 연구보고서, 교재 및 교안, 연간 학교운영 자료집 등 ○ 문헌조사 및 초·중등학교 적용사례 분석 ○ 초·중등학교 교과서(또는 실행 교육프로그램) 분석 및 커리큘럼 조사 ○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해설집(또는 교육지침서)의 교육 목표 및 내용 분석
(2) 설문 조사 ○ 연극교육 강사 설문(교육목표, 성취기준 등)
(3) 전문가회의 ○ 교육내용, 교육과정 전문가 자문회의 개최
2) 지금까지 이루어진 문화예술교육의 교육과정에 대한 연구는 주로 문화예술교육의 개념과 정체성, 방향, 수 준과 범주의 탐색, 그리고 현행 교육과정에서 예술관련 교과와 영역 등에 대해 분석에 대한 것 등 기초 연 구의 수준에 머물고 있다. 관련서적은 「문화예술교육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2009년), 「문화 예술교육 콜로퀴엄 : 미래사회와 문화예술교육」(2010년) 등이 있다. 서론|5
○ 각 분야별 연구진 및 보조연구진 정기회의 ○ 전체적인 문화예술 연계 시스템 마련을 위한 각 분야 대표연구원 회의 ○ 전체 연구진 및 보조연구진 회의 ○ 관련 학회, 교사(및 예술강사), 교육과정 전문가 대상 중간 세미나
2) 연구내용3)
본 연구에서는 연극교육표준을 설정하기위해 우선 앞선 문화예술교육표준을 토대로 발전적인 연극교육을 시행하고 있는 미국과 독일의 사례를 중심으로 연극교육의 형태를 살펴보고 여기서 우리 연극교육표준연구에 시사하는 바가 무엇인지 찾아본다. 그리고 국 내의 연극교육의 현황을 살펴보며 본 연구의 핵심인 교육표준안을 설정하여 제시한다. 그러나 여기서 가장 근본적이고도 중요한 연극교육의 목표에 대한 문제를 나름대로 해 결하여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현실적으로 국내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목표자체는 설정되 어있지 않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연극교육의 목표를 설정하고 표준안을 작성, 제시해야 하는 작업은 적잖은 부담과 어려움을 낳을 수밖에 없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일반 제도권교육의 목표를 우선 살펴보고, 연극교육과정의 현황 들에 대한 이해와 분석의 연구적 단계과정을 밟았다. 그리고 위에 제시한 연구방법들을 통해, 연극교육표준개발의 모형들을 단계적으로 정리하였다. 여기서 설문조사가 활용되 었는데, 이는 연구진이 마련한 “연극교육의 목표(예시)”와 “연극교육의 성취기준 및 행 동지침(예시)”이 교육현장에 적용하기에 적합한지 교육 현장에 있는 연극 강사들을 중심 으로 그 여부를 알아본 것이다. 연구 목차에서는 이러한 연구진행과정의 내용들을 담고 있다.
3) 본 연구는 우선 초, 중등 학생들을 대상의 연구로 치우쳐있다. 제도권교육기관에만 국한 되지 않고 사회문 화예술교육해당자까지 고려한(연령별 대상중심의) 연구는 실제 연구의 구체성문제와 연관되기 때문이다. 6 | 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연극
II. 해외사례 분석
1. 미국의 연극교육표준 2. 독일의 연극교육표준 3. 해외사례 분석
II. 해외사례 분석
1. 미국의 연극교육표준 본과제인 예술교육에 있어서 표준안을 설정하기에 앞서 우선 미국교육제도를 살펴봄 으로, 미국 학제시스템에 대한 이해를 갖고, 또한 그 안에서 행해지는 구체적인 연극교육 의 표준형태가 어떻게 갖추어져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1) 미국의 학교교육제도와 교육과정
(1) 교육제도 미국의 교육행정제도는 각 주의 주교육위원회와 그 밑에 집행기관으로서 주교육국에 의해 운영된다. 연방정부에는 교육·보건후생성이 있어 미국 전체의 교육 조사·연구와 보 조금행정 등을 취급하지만, 교육을 통제하는 권한은 없다. 주가 교육행정의 많은 부분을 지방교육당국에 위임하고 있을 뿐이다.1) 취학 전 교육기관으로서는 유치원과 보육학교가 있다. 대부분의 유치원은 공립이지만 보육학교의 대부분은 사립이다. 미국사회에서 초등학교제도는 현재 전환기에 있으며, 대 다수의 학교는 6·3·3제의 원칙에 따라서 6년제의 초등학교로 변화되어가고 있다. 물론 아 직도 8·4제에 의한 8년제의 초등학교도 상당수 존재하며, 6·3·3제에 불만을 가지고 5·3·4 제 또는 4·4·4제를 채택하고 있는 곳도 있다. 현재 중앙정부는 이러한 의무연한에 대하여 아무런 규정도 설정치 않으며, 각 주는 법률로써 이를 정하고 있다. 그러나 전체적으로 살펴볼 때, 미국사회에서는 6년의 초등학교와 3년의 중학과정을 의무로 하는 9년제가 가 장 일반적이다2). 1) 지방교육행정 조직은 3가지로 나뉘어 있다. 첫째는 학구제도(學區制度)인데 이것은 일반적으로 단급학교 를 중심으로 하는 소규모의 학교를 관리하는 것으로 가장 흔한 형식이다. 다른 2가지는 중부와 서부지방 에서 볼 수 있는 군구제도(郡區制度)와 남부 및 태평양 연안지방에서 볼 수 있는 군제도로서 양쪽 모두 다 수의 학교를 교육위원회의 관리 하에 두고 있다. 2) 중등교육기관으로는 4년제의 하이스쿨과 3년제인 상급 하이스쿨 및 하급 하이스쿨이 있다. Ⅱ. 해외사례 분석 l 9
(2) 교육과정 ○ 초등학교 과정(Elementary school/1~6학년) ○ 중학교 과정(Junior High School/7~9학년) ○ 고등학교 과정(High School/9~12학년)
2) 미국 학교(초, 중, 고등학교)의 연극교육표준안 지침
미국에서 일반교육대상 학생들을 위해 NAEP(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Progress)가 작성한 지침서(2008 Arts Education Assesment Framework)에서 어떠한 교 육적 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어떠한 연극교육을 진행하고 있는지 살펴보기로 한다.3) 연극이 예술교육표준화의 대상이 된 이유는 어린이들의 발달과 교육에 필수적이라고 판단하기 때문인데, 그 이유는 연극은 놀이하고, 흉내 내고, 창조하고, 자신의 생각과 느 낌을 나누고 싶어 하는 보편적인 인간의 충동과 본성을 효과적으로 충족시킬 수 있기 때 문이다. 또한, 사회적인 예술형식으로서, 연극은 인간의 상태와 경험을 표출하고, 학생들 이 일상에서 빈번히 접하는 영화나 TV 등의 새로운 매체들도 지대한 영향을 발휘하고 있 기 때문이다. NAEP는 이러한 연극의 특성과 장점을 바탕으로 교육목표와 방식을 제시했다. 그 핵심 내용은 학생들이 그들 자신과 세계에 관한 이해의 수단으로서 예술적 경험과 지식을 활 용할 수 있어야 하며, 연극 교육에 대해 기대하는 것은 학생들이 전문 예술인이 되는 것 이 아니라, 연극을 통해 수양하고, 도전하며, 창조의 기쁨을 누리게 하는 데 있다고 기술 하였다. 이에, 공연뿐만 아니라 대본 쓰기, 즉흥극, 평론 등 연극 전반에 관련된 교육내용 을 포함시켰다. NAEP가 작성한 『Arts Education Assessment Framework 2008』의 의도를 보면, 연 극이 왜 예술교육프로그램에 도입이 되었으며 어떠한 교육내용들이 활용될지에 관한 지 침을 알 수 있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예술교육에 있어서 국가적 표준을 개발하여 교육 3) 미국의 연극교육표준안 지침에 관해 이후 기술한 전반적인 내용들은 위 지침서의 요약을 중심으로 서술 된다. 10 | 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연극
에 적용시키는 것은 예술의 중요성을 확립하는 데 중대한 역할을 하는 것이다. 그리고 국 가적인 차원에서 예술의 중요성을 확립하는 이유는 예술이 학습에 의미를 부여하고, 인 성발달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기 때문이다. 고차원적인 사고와 유연성, 그리고 지속성 과 협동심 증진 등이 그 예라 할 수 있으며, NAEP는 이러한 관점을 바탕으로, 예술교육 의 형태에 대해 결과물(Production)과 실습(Practice)을 중시하며 평가하던 관행을 개선하 여, 예술에 포함될 필요가 있는 지식과 기술을 가지고 미학, 사회, 문화 및 역사적인 배경 을 종합하는 예술교육의 비전을 구성했다.
3) 연극교육표준의 내용과 과정
NAEP가 제시하는 연극교육의 내용에는 연극에 관한 지식과 이해, 그리고 인식론적, 기술적, 표현적, 지적 기술(Skill)이 포함된다. 연극교육에서 자주 언급되는 용어인 ‘지 식’(Knowledge)은 연극예술에 대하여 안다는 사실을 의미하며 연극의 역사와 연극의 문 화적, 사회적, 개인적 맥락에 관한 지식과 연결된다. 연극의 형식과 구조에 관한 지식, 연 극의 의미 창조와 미의 창조에 대한 지식 등도 지식의 범주에 속한다. ‘기술’(Skill)은 연 극의 기술적, 인식적, 표현적인 공정을 아우를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하며, 희곡 창조, 연기, 연출, 디자인 그리고 위 사항들에 대한 예리한 반응 등이 기술에 속한다. NAEP는 교육과정에 관하여 창작(Creating), 공연/실행(Performing), 감응(Responding) 의 세 가지 부문으로 정리하고 있다. ‘창작’은 연극에선 ‘공연’과 서로 연결되며 함께 주요 하게 다뤄진다. 이유는 공연은 연극 학습의 중심에 있으며 창조의 증거물이기 때문이다. ‘감응’은 학생들이 관객의 입장이 되어 공연에 반응 하는 것과 자신의 작업에 사회적, 문 화적, 개인적 맥락에서의 경험과 이해 등을 반영 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1) 학년별 연극교육표준 교육내용 구성 NAEP는 4학년, 8학년, 12학년을 교육의 주요 지표로 삼아 나이대별 특성을 반영하며 각각의 학년에 적절한 교육내용을 구성했다. 또한 한 학년에서도 초급(Basic)단계, 숙련 (Proficient)단계, 고급(Advanced)단계를 나누어 교육내용의 수준을 단계별로 조절하였다. 국내 교육과정과 비교하면, 미국의 4학년은 우리의 초등학교 4학년과 동일하고, 8학년은 중학교 2학년에 해당하며, 12학년은 고등학교 3학년에 해당한다. NAEP 보고서에 제시된 Ⅱ. 해외사례 분석 l 11
내용을 토대로 미국 학년별 연극교육표준 교육내용의 구성을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4)
○ 초등학교 과정(Elementary School/1~6학년 중 4학년) 초등학교 4학년 학생들은 일반적으로 “드라마틱한 연극”에 흥미가 없다. 따라서 수업 에 참여토록 동기부여가 이뤄져야 하며, 도전의식이 유도되어야 한다. 관련 학생들은 성 인들(혹은 성인들에 관한) 문제를 다루는 데 관심은 많지만, 그들 작업에 있어서 사실적 인 묘사는 행하려 들지는 않는 경향을 보인다. 그들은 동성들끼리 작업하는 것을 더 좋아 한다. 이 단계에서는 대체적으로 형식에 얽매이지 않는 공연을 제작한다. 학생들은 창작 과 공연(혹은 실행) 전반에 관하여 비판적이며 창조적인 선택을 한다. 이 단계의 창작과 공연 과정에서 학생들은 대본을 만들고 인물과 환경 그리고 상황을 설명하는 대화를 즉흥적으로 만들기 위해 상호 협력한다. 또한 움직임과 소리의 표현을 통해 등장인물과 역할을 발전시키고, 이들 그룹이 만든 디자인 요소들도 활용한다. 감응 과정에서는 학생들의 작업 중 어떠한 예술적 선택을 했는지, 그리고 창작과 공연 에서 극화된 요소들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연극, 영화, TV 등의 여러 가지 요소들과 효과들에 대하여 설명한다. 위의 매체들에서 본 비슷한 인물과 상황들 따위와 학생들의 개인적, 사회적 연관성을 고찰해본다. 또한 전체적 혹은 특정 부분에 관하여 관객의 입장 이 되어 자신의 취향을 이야기한다. 이러한 학습은 기초단계부터 시작하여 마지막 고급 단계에 이르러서 더욱 구체화되고 전문화된다. 가령, 디자인 요소는 무대디자인, 의상디 자인, 소품디자인 등으로 세분화되고 구체화된다.
○ 중학교 과정(Junior High School/7~9학년 중 8학년) 8학년은 때때로 그들의 신체적 성장과 발전에 대하여 당황해하곤 한다. 이 시기의 학생 들은 목소리와 신체의 변화를 숨기거나 과시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이전과는 달리 부끄 러움을 탈 수도 있다. 학생들은 이성에 대한 관심이 높으며, 그들이 좋아하지 않거나 존 경하지 않는 사람들과는 관계 형성을 거부하기도 한다. 이러한 성향은 퇴보적으로 보일 수 있지만 이 시기에는 자연스러운 것으로 받아들일 필요가 있다. 이러한 현상들에 근거 하여 학생들을 부정적으로 판단하지 말아야 한다. 이 단계의 창작과 공연 과정에서 학생들은 개인적으로나 단체로 소설 등의 줄거리를
4) 숙련단계와 고급단계에 관한 내용은 전반적으로 각각의 학년의 기초단계를 세분화하고 구체화한 경우이 다. 이러한 이유에서 중복된 설명의 내용은 생략하였다. 12 | 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연극
각색하거나 간단하게나마 인물과 환경 및 행동을 담아낸 창작을 행한다. 대본분석과 리 허설을 통해 등장인물들을 발전시키고 약간의 연기 기술도 선보인다. 제한적이지만 장소 와 인물을 표현하기 위해 무대와 의상 및 소품 제작을 시도한다. 그리고 작품 해석과 즉 흥적 표현 그리고 장면(Scene)연습 등의 리허설을 통해 연출을 행한다. 감응 과정에서는 학생들 각자의 예술적 선택과 이것들의 조합 그리고 팀원으로서의 공 헌, 즉흥적 표현 및 장면연구 등이 어떠한 효과를 냈는지에 관하여 설명한다. 또한 개인 적으로나 사회적 맥락에 관하여 설명한다. 학생들의 삶에서나 사회 그리고 문화권에서 극적 사건이 사회적으로 어떠한 영향력을 미치는지에 관해 분석하고, 협력과 소통, 자부 심, 위험부담, 공감 등등의 사회적 개념이 어떻게 연극과 일상생활에 적용되는지를 설명 한다. 또한 예술적 선택에 의한 효과를 관객의 입장에서 평가해본다. 각종 매체(TV, 영화, 연극)의 뛰어난 예술가들에 대하여 숙지한다. 그리고 연극공연에 관한 대중홍보가 관객 에게 미치는 효과에 대해서도 설명한다.
○ 고등학교 과정(High School/9~12학년 중 12학년) 12학년의 학생들은 젊은 성인이다. 가끔은 혼란스러운 세계를 경험하면서, 그들의 환경 과 그들을 둘러싸고 있는 세계를 이해하기 위해 투쟁한다. 이 시기의 학생들은 자기 자신 을 연기하기 보다는 다른 사람으로서 역할을 연기해보고자 한다. 그들은 자신의 정체성 을 느끼고 정보를 얻기 위하여 친구와 미디어에 의존한다. 또한 그들은 새로운 아이디어 에 대해 열린 생각을 지니고 있다. 이 단계의 창작과 공연 과정에서 학생들은 캐릭터들의 갈등, 그리고 해결이 있는 대본을 만든다. 신체적 측면과 사회적 측면을 포함한 행동의 과정을 통해 캐릭터를 구축한다. 또한 소통의 목적으로 장소와 분위기에 대한 디자인과 기술적 선택을 행한다. 이러한 작업들은 세트, 조명, 소품, 의상, 분장 등의 스케치를 동반한다. 또한 환경과 분위기 전달의 효과를 위한 사운드 디자인도 행한다. 그리고 프로덕션을 위한 무대감독과 기획 업무도 시도하며, 연극대본의 해석과 리허설 및 즉흥묘사와 장면 연습 등을 통해 연출의 역할도 수행한다. 감응 과정에서는 학생들은 자신의 협력관계와 예술적 선택에 관해 평가를 내리고 작업 의 의미를 부여한다. 또한 다양한 문화와 역사적 시기를 배경으로 하는 요소들과 장르, 매체, 그리고 극문학에 대해서도 설명하는 시간을 갖는다. 그리고 여러 문화와 역사적 시 기를 대표하는 연극 예술가들의 삶과 작품을 인지함으로서 개인적, 사회적, 역사적, 및 문 화적 흐름의 관계를 인지한다. 이외에도 관객과 비평가로서 공연평가를 행하기도 한다.
Ⅱ. 해외사례 분석 l 13
2. 독일의 연극교육표준 독일은 문화예술교육 시스템이 모범적으로 잘 갖추어진 국가이다. 본 연구의 진행에 있어서 모범 해외사례로 독일의 경우를 들고자한다. 우선 국내 연극교육표준안을 설정함 에 앞서 독일교육제도를 살펴보고, 독일 학제시스템에 대한 이해를 갖고자 한다. 그리고 그 안에서 행해지는 연극교육의 표준형태가 어떻게 갖추어지는지 살펴봄으로 학년과 연 령에 따른 단계별 수업의 내용과 기대수준 내지는 성취기준에 대한 사항들을 참고하고자 한다.
1) 독일의 학교교육제도와 교육과정
독일의 교육은, 교육행정제도에 따라, 주지역(州地域) 중심의 자체적 교육성이 담당 운 영하고 있다. 그리고 그 아래기관으로 현(縣)의 학무국이 있어 초등교육·중등교육의 행정 을 맡고 있으며, 고등교육에 대해서는 교육성이 직접 행정을 맡고 있다. 현 밑에 있는 군 (郡)에는 군학무과(郡學務課)가 있고 군장학사가 배치되어 있다. 브레멘·함부르크·베를린 에서는 시참사회(市參事會) 또는 시교육국이 교육행정을 맡고 있다. 1964년 각 주의 교육 상 상설회의에 의해서 함부르크 협정이 제정되어 비로소 주를 통일하는 학교제도가 확립 되었다. 취학 전 교육은 의무제가 아니며, 3∼6세의 유아를 수용하는 유치원이 이것을 맡 는다. 초등교육에 해당하는 기초학교(Grund-schule)는 의무제로서 일반적으로 4년(베를 린 등은 6년)기간의 과정을 두고 있으며, 그 위 과정으로는 하우프트슐레(Hauptschule:직 업학교)·레알슐레(Realschule:실업학교)·김나지움(Gymnasium) 등 3종류의 학교가 있어서 15세까지의 9년간이 의무교육 연한으로 되어 있다. 기초학교로부터 중등학교에의 진학은 기초학교의 내신(內申)에 의하여 행해진다. 대부 분 주(州)의 하우프트슐레(직업학교)는 기초학교에 병설되어 있고, 양자를 합쳐서 국민학 교(Volksschule)라 칭한다. 레알슐레(실업학교)는 3∼6년의 과정으로 공업·상업 등 실무에 적합한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김나지움은 9년제의 고등학교로서, 19세기 전반부터 라틴 어·그리스어 등의 고전적 교양을 부여하는 독일의 대표적인 중등교육기관이다. 많은 경 우에 대학진학을 목표로 하는 학생들은 본 과정을 거친다.
14 | 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연극
2) 독일 제도권교육의 연극교육표준안 지침
독일은 지역자치적인 교육제도의 확립과 실행이 모범적으로 이뤄지고 있는 국가이다. 본 연구에서는 독일의 수도인 베를린시의 제도권 교육기관의 연극교육표준안지침에 대 해서 살펴보고자 한다.
○ 독일 베를린시의 학교 내 연극교육표준안 지침 베를린시가 제시하고 있는 일반교육대상 학생들을 위한 지침서와 자료를 살펴볼 때, 독일교육계가 어떠한 교육적 목표를 설정하고 있는지,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연극교육을 어떻게 진행하고 있는지 파악할 수 있다. 2006/2007년부터 시행되고 있는 Berliner Landesinstitut für Schule und Medien (LISUM)에서 작업한 표준교육계획안은 우선 사 회적 요구에 따라 성장해야 할 학생들이 그들의 학생시절 받아야할 전문(=필요)지식들이 선별, 구성되어 있다. 이것은 학교들의 질적 발전에도 중요한 토대가 되는데, 해당 학교들 은 주변 환경과 여건에 따라 수업내용을 만들어간다는 전제하에서 학교와 교사들을 위한 계획표준안을 구성한다. 또한 이러한 계획안은 자녀교육을 위한 부모들의 적극적 지원을 위해서도 도움을 된다.
3) 연극교육표준의 내용과 과정
베를린 시가 제시한 일반 학생들의 수업을 위한 제시안(Vorgaben für den Unterricht der allgemein bildenden Schulen)을 살펴보면, 연극교육과 관련된 수업인 Kunst(예술)와 Darstellendes Spiel(표현놀이)를 찾을 수 있다. 여기서 예술(Kunst) 수업은 초등학교 수준의 Klasse 1-6학년에서 다양한 예술장르와 함 께 이뤄지는 수업으로서, 연극교육이 다른 예술장르의 수업과 병행하여 진행된다. 반면 Darstellendes Spiel(표현놀이)는 전적인 연극교육 위주의 수업이다. 수업명이 연극이란 의미와 직접 관련된 용어-예를 들면 Theater 내지는 Schauspiel 이란 용어-로 사용되지 않 고, ‘표현(하는) 놀이’라는 의미로 사용됨은 본 수업이 무엇보다 교육적 측면을 고려하였 음을 시사한다. 본 수업은 7학년-10학년의 중등과정 I (Klassen 7 bis 10 Sekundarstufe I) 과 11학년-13힉년의 중등과정II(Klassen 11 bis 13 Sekundarstufe II)의 김나지엄 상위과정 (Gymnasiale Oberstufe)에서 행해진다. 여기서 중등과정 II에서는 선택필수과목으로 행해 Ⅱ. 해외사례 분석 l 15
지고 있다.
4) 학년별 연극교육표준 내용
(1) 초등학교의 연극교육표준안 독일(구체적으로 베를린 시) 초등학교의 교육목표는 개인적 인격화 (Persönlichkeit)(= 인성화)를 뒷받침하는 것과 학습자의 적극적인 사회생활을 가능케 하는 것에 중점을 둔 다. 이를 위한 성공적인 교육 실행을 위해 다양한 수업형태들이 제공되고, 학생들은 개인 별, 또는 공동체적 다양한 배움의 형태 안에서 지식을 습득한다. 독일 초등학교 그룬드 슐레(Grundschule)의 연극교육은 Kunst(예술)과목 안에서, 생활 속 체험을 바탕으로 한 놀이형식에서, 연극교육을 행하고 있다. 본 과목은 예술적 체험 공간을 특별한 공간이 아닌 우리주변에서 이행하며, 예술은 특 별한 것이 아니라 우리 삶과 함께 한다는 생각을 자연스럽게 터득케 한다. 이를 위해 기초적인 경험영역제시를 토대로 예술적 전략들 또한 다양하게 제시되는데, 여기서는 다양한 예술장르의 기초적 작업형태만이 행해진다. 그리고 중등과정과 달리 독 일의 초등학교 <예술>과목의 표준수업 계획안은 구체적 연극제작방식의 교육모델은 전 혀 제시하지 않고 있으며, 중등학교 이후에 단계적인 교육방법과 이에 따른 결과적 연결 성에 대한 고려가 선행되기에, 구체성보다는 다양성에 비중을 둔다. 이러한 점에서 독일 교육은 학년별 단계성과 이에 적합한 교육수준제시 그리고 교육과정의 상호연결성이 우 선적으로 중요하게 고려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2) 중·고등학교의 연극교육표준안 독일의 중고등학교에서의 연극교육은 ‘Darstellendes Spiel’(표현 놀이)라는 과목의 이 름으로 행해지고 있다. 이와는 달리 독일 중·고등교육단계에서는 좀 더 구체적인 제작을 전제로 한 연극관련 수업들이 행해진다. 이러한 특징은 그들의 연극교육표준안에서 발견 할 수 있다. 여기서 연극교육표준안에서는 본 과목 ‘Darstellendes Spiel'(표현 놀이)의 목적과 과제를특히 중등과정 I 7-10학년 Gesamtschule를 위한 표준안에서-다음과 같이 명시하고 있다. 16 | 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연극
*‘Darstellendes Spiel'(표현 놀이) 수업의 목적과 과제 본 수업에서 학생들은 연극의 부가작업들, 작업의 방법, 표현수단과 배우에 대해서 알게 된다. 독자적인 연극실습과 동반되는 심사숙고함에서 예술의 형 태로서 삶의 현실에 대해 비판적 고찰을 하고, 동시에 독자적인 미학적 현실 이 어떻게 형성화하여 창조되는 지에 대해 경험한다. 게다가 ‘Darstellendes Spiel’(표현 놀이)은 청소년들에게 활동적이고 창조 적이며 새로운(=개혁적인) 문화적 삶의 참여 경험을 가능케 할 뿐만 아니라, 더불어 지식과 능력을 갖춘 연극관객과 연극을 행하는 그룹의 참가자로서도 가능케 한다.
‘Darstellendes Spiel’(표현 놀이)수업은 그의 총체적인 작업방법에 의해 특별 히 중심적인 지식습득의 영역에 대해 집약적인 비판적 고찰의 결과를 가져온 다: 심리적인 것 이외에 특히 다양한 육체적-감성적, 감정적이고 교훈적인 가 능성들을 제공한다.
이는 학생들이 틀에 박혀 있는 주입식위주의 교육방법안에서 벗어나 단시간 내 연극 교육을 통해 사물과 사건에 대한 객관적 입장을 취할 수 있는 효율적 교육방식 임을 인식 한 설명이며 정신적, 육체적, 감성적, 교훈적 측면에서의 학생들에게 제공하는 긍정적 측 면의 교육적 효과를 설명하고 있다.
베를린시의 연극교육표준안에서 제시한 Darstellendes Spiel(표현 놀이) 수업내용은 학 생들의 공동제작의 형태에서 소통 장면발표를 행하거나 음악, 조형예술, 언어, 체육, 역 사/사회학과 같은 다른 과목들의 내용을 담으며, 다른 전공들과 연결되어지는 모습을 보인다. 연극 미학적 행위습득에서 ‘연극의 이해’(=전문지식 습득), ‘연극의 형상화’(형상 화 습득), ‘연극에 반영’(소통의 습득) ‘연극에 참여’(문화적 습득) 등 네 가지 지식습득에 대한 교육 지향점의 구체적인 교육전략들이 독일 베를린 시의 연극교육표준안에 제시되 어 있다. 중등과정에서 고학년, 예를 들면 9/10학년, 과정의 경우 수업내용의 두드러진 차이점 을 발견하지는 못하지만 좀 더 수업이 단계적으로 발전됨을 알 수 있는 항목들이 추가 되어있음을 발견할 수 있다. 연극을 이해하는 ‘전공습득’(Sach-Kompetenz)의 경우 음악
Ⅱ. 해외사례 분석 l 17
악기를 다룰 수 있게 하여 타 장르인 음악과의 밀접한 관계성을 보이고, ‘제작습득’ (Gestaltungskompetenz)의 ‘연극을 만들다’(Theater gestalten)는 항목에서는 다양한 학 습이 제시되는데, 여기에서 연극적 표현수단으로서의 육체언어, 다양한 역할 접근법, 분 장, 마스크사용, 소품활용, 무대디자인과 공간개념, 조명, 즉흥적 내용, 드라마적 구성, 공 연템포와 리듬, 제작홍보 등에 대한 수업내용을 담고 있다. 그리고 ‘소통의 습득’ (Kommunikative Kompetenz) 영역에서는 적합한 전공용어와 다양한 무대의 표현수단들 의 작용들을 인지하고 내용구성과 공연형태를 인식하고 정리할 수 있도록 하는 수업진행 이 제시된다. 또한 ‘Kulturelle Kompetenz’(문화적 습득)-‘an Theater teilhaben’(연극에 참 여하다) 영역에서는 배우와 관객의 교차적 상황을 반영하는 것, 연극공연의 다른 매체(영 화, 인터넷, TV 방송 등)와의 차별성을 깨닫고, 전문공연의 생성에 대해 경험하고, 연극주 변의 직업에 대해서 알며, 학교 이외에 문화적 삶의 실현을 구체화하는 데 수업내용이 관 련된다.
18 | 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연극
3. 해외사례 분석
미국과 독일의 두 국가의 사례를 통해 볼 때, 몇 가지 주요 특징들을 발견할 수 있다. 우선 일반학생들을 대상으로 연극교육을 실시하지만, 단계적이고 체계적인 수업을 받도 록 교육표준안이 설정되어있으며, 국내 예술전문고등학교 졸업자들 수준의 전문지식과 교양을 단계적으로 습득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미국의 경우, 학생들은 대본작성, 연출, 연 기, 디자인, 스태프, 기획, 홍보, 각종 프로덕션 리서치 기능과 실질적 경험을 터득할 수 있도록 연극교육 표준안에서 제시되어 있고 독일의 경우에도 학년별에 따라 적합한 교육 수준을 제시하고 단계적으로 교육과정의 상호연결성이 중요하게 고려되고 있다. 물론 초 등학교에서 구체적 연극제작방식의 교육모델은 전혀 제시되지 않지만, 중등학교 이후에, 미국의 경우처럼 다양한 연극관련지식들을 습득함을 알 수 있다. 한국의 교육여건을 고려할 때, 미국과 독일의 사례에서 소개된 연극교육수업 형태의 국내 적용은 현실적으로 매우 어렵다고 판단된다. 무엇보다 한 반에 30~40명이 되는 학 급 학생 수와 단계별 과정을 소화하기 위한 연극관련 수업시간 확보는 가장 큰 문제점으 로 작용한다. 더욱이 많은 시간적 할애를 요하는 창작과 공연의 경우는 공간과 물량 지원 그리고 교육 인력의 보강이 있어야 가능하기에, 이러한 선진국 수업형태의 직접적 적용 은 불가능한 것이다. 그러나 두 국가의 연극교육의 취지와 방향성은 현재 국내 연극교육표준안 개발을 위해 주목해야 할 부분이다. 미국의 경우는, 학습발달과 창의성 증진 및 인성교육에 관한 장점 을 연극교육을 통해 최대한 제공하고자 하며, 독일의 경우에는 사회적 요구에 따라 성장 해야 할 학생들이 예술의 형태를 통해 삶의 현실에 대해 비판적 고찰과, 동시에 독자적인 미학적 현실이 어떻게 형성화하여 창조되는지에 대한 경험을 활동적이고 창조적이며 새 로운(=개혁적인) 문화적 삶의 참여에서 가능케 한다. 틀에 박힌 주입식 교육이 아닌 자율적인 학생중심의 수업형태를 희망하는 현재 국내 교육계의 움직임을 고려할 때, 위에서 소개한 해외사례 연구는 국내 교육계에 시사하는 바가 매우 크다.
Ⅱ. 해외사례 분석 l 19
III. 교육표준 개발
1. 교육표준 개발을 위한 이론적 배경 2. 우리나라 연극교육과정 현황 3. 교육표준 개발의 실제
III. 교육표준 개발 본 장에서는 앞서 살펴본 해외 연극교육표준의 사례를 토대로 우리의 연극교육표준 개 발을 위한 이론적 배경과 우리나라 연극교육과정 현황에 대해서 살펴보고, 구체적 연극 교육의 목표에 따른 단계별 연극교육표준의 기대수준을 설정하고자 한다. 또한 이를 위 해 사전 설문조사의 결과를 소개하고, 이를 분석하여 시사점에 대해 설명코자 한다.
1. 교육표준 개발을 위한 이론적 배경 연극교육을 통하여 문화적 이해를 도모하고 자신을 비롯한 타인 및 사회를 이해하고 올바로 수용하며, 나아가 바람직한 문화인으로서 성장하기 위하여, 이러한 목적에 맞는 효과적인 교육과정 및 방법의 선택이 필수이다. 즉, 교사들이 연극과 관련하여 가르치고 자 하는 개념들을 선정하고 그 개념에 가장 적절한 지능이 무엇인지 인식하고 학생들이 가장 선호하는 학습방법을 선정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모든 예술장르는 각기 어느 것과도 다른 나름대로의 고유의 미학적 원리를 갖고 있는 데 연극의 경우 기호의 특징, 극 구성 방식과 커뮤니케이션 구조, 극의 생산자와 수용자 의 경험구조에서 따져 볼 수 있을 것이다. 이 과정에서 연극은 다양한 예술장르의 협업에 의해서 완성되는 종합예술, 협동 예술의 특성을 갖게 된다. 음악이나 무용 등과 같이 단 일 예술장르를 교육하는 것이 아니라 각 장르의 결합과 협동으로 이뤄지는 연극을 교육 하는 일은 다양한 분야의 지적 능력 활용을 전제로 한다. 가드너의 다중지능이론은 그 이론적 대안을 제시한다. 가드너는 기존의 지능에 대한 연구가 너무 협소하고 1차원적인 관점에서 이루어 졌기 때문에 인간의 지적능력을 제대 로 설명하는 데 한계가 있다고 생각하며, 보다 다원적인 측면에서 지능을 파악하기 위하 여 다중지능이론을 제한하였다. 인간의 잠재능력을 탐구한 그는 지능을 “문화 속에서 가 치가 부여된 문제를 해결하거나 결과물을 창출한 능력”으로 정의하였다.1) 가상으로 현실 을 경험하게 함으로서 문제가 되는 상황을 간접적으로 체험하게 해주는 연극과 잘 부합
1) 한국다중지능교육학회,『다중지능이론과 교육의 실제』(서울:학지사, 2009) p18 Ⅲ. 교육표준 개발|23
되는 지능의 개념이라 할 수 있다.
1) 다중지능이론(Theory of Multiple Intelligence)
가드너가 다중지능이론이 교육활동에서 의미 있게 받아들여지는 이유는 교육에서 기 억력, 언어력, 논리-수리력 등의 인지능력만을 강조하고 현실 생활에서 가치 있는 다른 능력들을 소홀히 취급하던 풍토에 대한 반성의 계기를 마련했다는 것이다. 모든 사람은 언어적, 논리-수학적 지능이외에도 음악 지능, 신체-운동지능, 공간 지능, 대인관계지능, 개인이해지능, 자연 탐구지능 등의 잠재력을 가지고 있으며, 이에 대한 인정을 기초로 교 육이 이뤄져야 한다는 발상의 전환을 요구한다. 즉, 다중지능이론은 개별적인 학습자의 잠재능력을 최대한 존중하며, 학습자 중심의 교육활동, 활동중심의 교육활동, 다양한 지 능영역을 통합한 교육을 지향한다. 이 지향점은 연극교육의 방향과도 일치한다. 희곡으로 서의 문학, 음향효과나 효과 음악으로서의 음악, 행위 중심의 무용이나 움직임, 장면의 구 성을 비롯한 장치나 분장으로서의 미술 등 다양한 단위 예술의 결합물인 연극은 언어적, 음악적, 공간적, 신체-운동적 지능뿐 아니라 자신과 타인에 대한 이해와 논리적 분석 능 력과 자연과 주변 환경에 대한 탐구능력을 요구한다. 예컨대 즉흥극 하나만 보더라도 언 어지능, 음악지능, 신체-운동지능, 논리-수학지능, 공간지능, 대인관계지능, 자기이해지능 이 관련된다. 다중지능에 대한 이해는 연극교육을 구체적으로 실천함에 있어 교육방법과 교육내용을 선정하고 학습자의 학습 목표수준, 즉 학습을 통하여 성취하게 될 것이라고 기대되는 수준을 설정하는 데 이론적 뒷받침이 되어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진은 다중 지능이론의 검토를 통해 각 단위 지능별 학습활동을 점검하고 이를 연극교육활동과 연계 하여 학습활동을 탐구하고자 한다. 이는 연극교육에 있어서 학습자가 ‘학습활동을 통해 성취할 것으로 기대되는 수준’를 설정하는 데 기초연구가 될 것이다.
(1) 가드너2)가 제시한 여덟 가지 지능 가드너가 제시한 인간의 지능은 음악 지능(musical intelligence), 신체-운동 지능(bodily-kinesthetic intelligence), 논리-수학지능(local-mathematical intelligence), 2) 하버드 대학교의 하워드 가드너(Horward Gardner)교수는 1983년에 그의 저서 『정신의 구조 : 다중지능 이론(Frames of mind :Theory of Multiple Intelligence 』9Gardner 1983)을 통하여 다중지능이론을 정립 하였다. 24 | 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연극
언어지능(linguistic intelligence), 공간지능(spatial intelligence), 대인관계지능(interpersonal intelligence), 자기이해지능(intrapersonal intelligence)이었다. 최근 자연친화지능(naturalistic intelligence)을 새롭게 첨가하였고 아홉 번째인 실존지능(existential intelligence)을 제기하 기도 하였지만 아직 널리 인정되지는 않았다.3) 지금까지 널리 알려진 여덟 가지 다중지능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4)
가) 음악 지능(musical intelligence) 음악 지능은 음악적 기억력, 음악적 창의성, 청음 등과 관련된 지능을 말한다. 소리, 진 동, 리듬과 같은 음의시계에 민감하고 사람의 목소리와 같은 언어적 형태뿐만 아니라 비 언어적인 것에도 예민하다, 단순히 음악이나 리듬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소리 전체 를 다루기 때문에 청각-진동적인 지능(auditory/vibrational intelligence)이라고도 한다.
나) 신체-운동지능(bodily-kinesthetic intelligence) 신체-운동지능은 몸을 기술적으로 사용하는 지능, 몸을 유연하게 움직이고 균형을 유지 하는 지능, 정교하고 세련된 동작을 연출하는 지능을 말한다. 신체-운동지능이 높은 사람 은 생각이나 글이나 그림보다는 몸동작으로 표현하는 능력이 뛰어나다.
다) 논리-수학지능(local-mathematical intelligence) 논리-수학지능은 숫자, 규칙, 명제 등과 같은 상징체계에 능통하고 창조적인 측면을 말 한다. 이 지능이 높은 사람은 논리적 과정에 대한 문제를 보통사람들보다 훨씬 빠른 속도 로 해결한다. 이들은 추론을 잘 이끌어내며, 문제 파악에 있어서는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방법을 동원한다.
라) 언어 지능(linguistic intelligence) 언어 지능이란 언어의 음운, 의미, 어문, 기능 등에 대한 민감성을 말한다. 다시 말해서 언어 안에 존재하는 다양한 상징체계들을 창조해 내는 능력이다. 가드너에 따르면 언어 지능은 언어적 영역에서 뿐만 아니라 다른 분야에서도 ‘도구’로서 사용되기도 한다.
3) 한국다중지능교육학회, 위의 책, p19 4) 한국다중지능교육학회, 위의 책, p19-22 김현희, 「다중지능이론에 기초한 통합교육 방법으로서의 교육연극」석사학위논문, 2005 p22-27발췌 정리 Ⅲ. 교육표준 개발|25
마) 공간 지능(spatial intelligence) 시각세계를 정확히 지각할 수 있고 처음의 지각에 의해서 변형이나 수정할 수 있고 적 절한 자극이 없어도 시각적 경험을 재창조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 공간 지능은 같은 요소들의 실례를 알아내는 능력, 한 요소를 다른 요소로 변형시키거나 변형을 알아내는 능력, 정신적 이미지를 포착하고 이미지를 변형시키는 능력, 공간적 정보의 도피적 형상 을 만들어내는 능력을 포함한다.
바) 대인관계지능(interpersonal intelligence) 대인관계지능은 다른 사람들과 교류하고 이해하며, 그들의 행동을 해석하는 능력이다. 다른 사람들의 기분, 감정, 의행, 동기 등을 인식하고 구분할 수 있는 능력과 얼굴표정, 음 성, 몸짓 등에 대한 감수성, 대인관계에서 나타나는 여러 가지 다양한 신호, 단서, 암시 등 을 변별하는 역량, 또 이들에 효율적으로 대처하는 능력이다. 학령기가 되면 사회적 기술 과 사회적 지식 등을 주로 또래 집단을 통해 배우게 되면서 다른 사람들의 생각을 이해하 게 된다. 학년이 올라갈수록 상호관계 속에서 조정하고 중재하고 타협하는 방식을 익히 면서 익숙하게 된다. 청소년기에 이르러서는 타인의 내면에 더욱 예민하게 되며 자신이 속해 있는 지역사회와 사회 전반에 작용하는 정의도 알고 지키게 된다.
사) 자기이해지능(intrapersonal intelligence) 자기이해지능은 대인관계지능과 특성이 유사한데, 자기 자신을 이해하고 느낄 수 있는 인지적 능력을 말한다. ‘나는 누구인가?’, ‘나는 어떤 감정을 가졌는가?’, ‘왜 이렇게 행동 하는가?’와 같이 자기 존재에 대해 이해하는 것이다. 이 지능이 높은 사람은 자기 존중감, 자기 향상(self-enhancement) 또한 자기가 처한 문제를 해결하는 데 적극적인 경향이 강 하다.
아) 자연친화지능(naturalistic intelligence) 자연세계에 대한 민감성, 즉 식물이나 동물에 관심이 많고 과학적 연구나 활동에 몰두 하는 능력을 말한다. 환경의 특성을 잘 파악하고 구별, 분류, 사용하는 능력 및 일반적인 분류나 형상화 능력이 이에 속한다.
26 | 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연극
(2) 여덟 가지 지능과 관련된 학습활동 교사는 학생들이 학습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면, 학습목표에 도달하는 것은 용이해 질 것이다. 지능과 관련하여 각 지능의 특성을 잘 이해하고 이를 근거로 지능의 특성에 맞는 수업방법을 선택하고 수업을 계획한다면 효과적일 것이다. 각 지능을 잘 사용하는 학생들에게서 발견되는 학습 관련된 특기와 그들이 사용할 수 있 는 각 지능별 효과적인 학습방법을 간단하게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5)
지능
특기
학습 활동
음악 지능 (musical intelligence)
노래하기, 소리 알아맞히기, 음율. 리 듬 기억하기 등
리듬, 화음, 노래, 음악과 멜로디 듣 기
신체-운동지능 (bodily-kinestheti c intelligence)
운동, 춤, 연극, 물건 만들기, 연장 사 용하기 등
접촉하기, 움직이기, 신체감각을 통 한 지식구성 등
논리-수학지능 (local-mathematic al intelligence)
수학, 추리, 논리, 문제해결, 유형화 등
유형, 관계분석, 분류, 유목화, 추상 적 사고 등
언어 지능 (linguistic intelligence)
읽기, 쓰기, 이야기 들려주기, 날짜 기 억하기, 어휘를 통해 생각하기 등
어휘 읽기, 듣기, 알아맞히기, 말하 기, 작문, 토론, 논쟁 등
공간 지능 (spatial intelligence)
읽기, 지도. 도표 보기, 미로 그리기, 퍼즐 맞추기, 물체 상상하기, 영상화 등
그림이나 색깔을 통한 학습, 영상과 그림을 통한 시각화 등
대인관계지능 (interpersonal intelligence)
타인이해하기, 앞장서기, 조직하기, 대화하기, 분쟁해결, 물건팔기 등
참여하기,비교하기,관련시키기,인터 뷰하기, 협동학습
자기이해지능 (intrapersonal intelligence)
자기이해, 자신의 장단점 파악하기, 목표설정 등
개별학습선호, 자신의 학습속도에 따 른 학습, 여유, 반성적 사고 등
자연친화지능 (naturalistic intelligence)
조사, 분석, 관찰, 종합 등
관찰일지, 현장학습 등
5) 한국다중지능교육학회, 앞의 책, p23-24 Ⅲ. 교육표준 개발|27
이와 같은 각 지능별 학습활동을 근거로 연극교육에 적용하면 다음과 같이 정리 할 수 있을 것이다.
지능
연극 학습에의 활용 예
음악 지능 (musical intelligence)
노래 만들기, 리듬치기 놀이, 주제에 맞는 음악 찾기, 배경음악 찾기 등
신체-운동지능 (bodily-kinesthetic intelligence)
몸으로 말하기, 정지 동작으로 표현하기, 학습자료 조작하기, 극 적상황에서 움직임 찾기, 역할극, 드라마, 무언극 등
논리-수학지능 (local-mathematical intelligence)
분류하기, 소크라테스 문답법 활용하기, 문제의 해법 추정하기, 체계적으로 생각하기, 극적 상황 분석하기 등
언어 지능 (linguistic intelligence)
이야기 꾸며 말하기(storytelling), 브레인스토밍(brainstorming), 테이프 레코딩(tape recording), 글짓기, 문집, 신문 만들기, 일 기, 쓰기, 말하기 등
공간 지능 (spatial intelligence)
학습내용을 그림, 그래프 또는 심상으로 그려보기, 디자인, 그림, 공간 그려보기, 극적 공간 상상하기 등
대인관계지능 (interpersonal intelligence)
협력학습, 집단학습, 모둠활동습, 극적인물 분석, 표정, 제스쳐 만들기 등
자기이해지능 (intrapersonal intelligence)
반성적 사고, 메타인지, 심상 표현하기, 목표설정하기
자연친화지능 (naturalistic intelligence)
극적 배경 상상하기, 환경 관찰하고 이미지 표현하기.
(3) 다중지능이론의 핵심 다중지능이론의 특성과 이론적 배경을 고려해 볼 때 다중지능이론의 핵심은 다음과 같 이 정리할 수 있다.
가) 모든 개개인은 여덟 가지 지능을 모두 가지고 있다. 이 이론은 특정한 사람에게만 주어지는 한 가지 지능을 결정하기 위하여 제시된 이론
28 | 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연극
이 아니다. 하나의 인지적 기능에 관한 이론으로서 모든 개개인이 정도의 차이는 있겠지 만 여덟 가지 지능을 모두 갖고 있다고 보며 이들 지능이 결합하여 독특한 성향을 가지는 한사람을 형성한다는 것이다.
나) 모든 사람은 각각의 지능을 적절한 수준까지 개발할 수 있다. 가드너는 사실상 모든 사람들에게 적절한 여건(용기, 좋은 교육내용, 좋은 교육방식)만 주어진다면 비교적 높은 수준의 성취를 할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다) 여러 가지 지능은 여러 가지 복잡한 방식으로 서로 교류하면서 작용한다. 다중지능이론은 각 지능의 특성을 살펴보고 이를 효율적으로 학습하는 방법을 모색하 고자하는 것이지 이들을 각각으로 분리하여 특출한 능력 하나만을 집중적으로 계발하자 는 것은 아니다. 왜냐하면 여러 지능이 서로 협응하여 작용하기 때문이다.
라) 각 지능영역 내에서도 그 지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많은 방법이 있다. 다중지능이론은 개개인이 가진 독특한 지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다양하고 풍부한 방법 을 추구할 뿐 아니라 각 지능들 사이의 관계를 통한 지능 향상 방법을 추구한다.6)
2) 다중지능이론의 시사점과 현행 연극교육 다중지능이론에 입각하여 교육과정 및 교수-학습 전략이 시사하는 바를 현행 연극교 육에 연계하여 생각한다면, 다음과 같은 유사점을 발견할 수 있다.
가) 다중지능이론을 적용한 교육과정의 접근방식이나 적용유형을 보면, 다음과 같은 공통점이 있다. 첫째, 학교교육에서 외면되거나 소홀히 다루었던 교육과정 영역에 대한 접근이 가능해 졌다. 인지적 영역뿐 아니라 정의적, 심동적 영역에서의 목표성취가 동시에 균형을 찾게 되었다.
6) 한국다중지능교육학회, 앞의 책, p25-26 요약 정리 Ⅲ. 교육표준 개발|29
둘째, 캠벨(Campbel)7)에 의하면, 초등학교 고학년이나 중등학교의 경우 학교 교육과정 운영에 직접적으로 다중지능이론을 적용시키기 위하여 아이디어를 제공해 주었다. 간학 문적(間學問的) 교육과정 즉, 분과적 접근을 벗어나 학문적 연합의 가능성을 보여 줄 수 있다.
셋째, 다중지능이론을 적용한 교육과정은 통합주제 단원 중심의 교육과정이 적 합했다. 전통적인 교육과정이 교과중심의 교육과정이었다면, 다중지능교육과정 은 실생활과 관련된 문화를 고려한 주제중심 통합교육이 적절하다. 넷째, 예술을 중시하는 교육과정을 적용했다. 음악, 미술 무용, 극 활동은 학습자로 하 여금 자신의 능력을 개발하거나 증명하기 위한 방법일 뿐 아니라 학습의 방법으로도 중 요한 영역으로 다루었다.8)
아동,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연극교육은 정서적, 심동적 측면을 보강하여 성취목표를 정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며, 여러 예술장르의 협업으로 이루어지는 연극의 종합 예술적 특성을 고려해 볼 때 다른 어떤 예술장르보다 주제중심 통합교육이 용이할 것이며, 실제 로 많은 교육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인문교과와 연극의 간학문적(間學問的) 통합교육(統 合敎育)은 다중지능이론의 실천적 형태로 볼 수 있다.
나) 다중지능이론에 입각한 교수-학습전략을 보면, ① Campbell에 의하면, 수업설계 과정에서 수업내용에 적절한 ‘도입전략(entry point approach)’을 사용했다. 도입은 학습자마다 특정주제에 대해 학습하는 방법에 차이가 있 다는 점은 인정하고 그 차이에 적응하기 위한 교육구성체계이다. 학습자의 요구나 심리 를 반영함으로서 수업에 대한 동기유발과 부담을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9)
현재 행해지고 있는 현장의 다수의 연극수업의 형태를 살펴보면, 1차시 수업이 워밍업본시학습-정리학습의 형태를 띠게 되는데, 이는 도입전략을 적극 활용하고 있는 예로 연 극교육에서는 다중지능이론에서 제시하는 교수-학습전략이 다수 활용되고 있다.
7) 캠벨(Campbell, 1997)은 다중지능이론을 교육과정에 실제 적용하고 운영하고 있는데 수업설계, 통합주제 단원, 학생들 의 프로젝트, 포트 폴리오적인 평가, 도제식 교육 등에서 찾아 볼 수 있다. 8) 이인순, 「다중지능이론을 적용한 인형매체 교수-학습의 효과」석사학휘논문, 2009, p9 9) 이인순, 위의 논문, p9 30 | 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연극
② 김명희, 이경희(1998)10)에 의하면 문화적 역할이 있는 실제 현장에서의 도제교육이 다중지능이론에 입각한 교육과정으로 효과적이라고 하였다. 도제 교육은 점진적인 연습 과정을 통해 최종 산물을 제작하는 과정에 이르는 데 필요한 다양하고 전문화된 기술을 익힐 수 있다.11) 각종 교육 현장에 파견되어 있는 전문 연극강사들이 진행하는 창작중심 연극교육은 또 하나의 도제 교육의 형태로 볼 수 있다. ‘학교 내 예술가’인 연극분야 예술 강사들은 실제 작업현장은 아니나, 학생들에게 적합한 제작과정을 선정하고 이에 필요한 단계별 역할을 학생들에게 부여함으로서 직접 수행하는 경험을 제공하고 이 과정에서 전 문인으로서의 조언을 아끼지 않는다.
③ Campbell에 의하면, 다중지능이론을 적용한 수업을 설계할 때에는 교사와 학생들의 강점에 초점을 맞추어 설계해야 한다.12) 즉, 학습자의 긍정적 자기 인식의 기회를 중시한 다는 의미인데, 현재 진행되고 있는 각종 연극교육과정은 많은 경우 협동학습, 모둠학습 의 형태로 이루어지며, 이 과정에서 학생이 많은 관심을 보여주는 부분을 중심으로 역할 을 분담한다. 또한, 다양한 예술장르를 경험하게 되는 연극교육의 특성상, 학생들은 숨겨 져 있던 자신의 강점을 스스로 발견하게 되고 이를 통해 표현력, 자아 존중감, 자아 효능 감을 향상시킨다. 기존의 수업이 학생의 약점을 보완하는 데 초점이 맞춰져있다면, 연극 교육은 이미 학생의 강점에 초점을 두어 진행하는 교육이라고 볼 수 있다.
10) 김명희, 이경희,『다중지능 : 이론과 실제』(문음사, 1997 )를 통하여 다중지능이론의 실제 적용사례를 제 시하였다. 11) 이인순, 위의 논문, p11 12) 이인순, 위의 논문, p11 Ⅲ. 교육표준 개발|31
2. 우리나라 연극교육과정 현황 1) 초등학교 연극교육과정 현황
우리나라 개정교육과정의 기본 방향은 ‘창의적 사고력의 개발’이다. 전인적인 인성을 갖춘 창의적인 인간을 육성하는 데 있어서 종합예술인 연극은 모든 요소를 갖추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 교육과정은 연극에 관한 별도의 교육과정을 제시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그동안 관심 있는 교사들에 의해 산발적으로 이루어져 왔다. 따라서 학교 특 색사업으로 연극교육과정을 구성하거나 방과 후 교육이나 특별·재량활동, 창의적인 체험 활동의 일환으로 연극 지도를 하지 않으면 체계적인 연극교육을 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그러므로 우리나라 현행 초등학교 연극교육에 관한 내용을 점검하는 일은 연극 관련 교 과에 있는 연극적 내용 요소들을 점검해 보는 것과 체계적인 연극교육을 위해 집필된 초 등학교 연극교과용 도서인 「초등학교 연극」을 살펴봄으로써 그 방향성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초등학교 현행 연극 교육과정 점검은 ① 국가수준의 교육과정 점검으로 초등 학교 교육목표와 연극관련 교과별 교육과정을 살펴보고 ② 초등학교 연극교과용 도서를 살펴보고자 한다.
(1) 국가수준의 교육과정 가) 추구하는 인간상 및 초등학교 교육목표 국가수준의 교육과정에서는 초․중등교육이 추구해 나가야 할 교육 비전으로서 다음 과 같이 ‘추구하는 인간상’을 제시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교육은 홍익인간의 이념 아래 모든 국민으로 하여금 인격을 도야하고, 자주적 생활 능력과 민주 시민으로서 필요한 자질을 갖추게 하여 인간다운 삶을 영위하게 하고, 민 주 국가의 발전과 인류 공영의 이상을 실현하는 데 이바지하게 함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교육 이념을 바탕으로, 이 교육과정이 추구하는 인간상은 다음과 같다.
32 | 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연극
가. 전인적 성장의 기반 위에 개성의 발달과 진로를 개척하는 사람 나. 기초 능력의 바탕 위에 새로운 발상과 도전으로 창의성을 발휘하는 사람 다. 문화적 소양과 다원적 가치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품격 있는 삶을 영위하는 사람 라. 세계와 소통하는 시민으로서 배려와 나눔의 정신으로 공동체 발전에 참여하는 사람
2009 개정교육과정에서 ‘추구하는 인간상’은 자주인(self-directed person), 창의인(creative person), 문화인(cultivated person), 세계인(global-minded person)으로 각각의 인간상의 의미를 좀 더 명료하게 하기 다음과 같이 요약하고 있다.
자주인 (self-directed person)
창의인 (creative person)
13)
문화인 (cultivated person)
지․ 덕․ 체의 고른 발달, 개 기초능력구비, 확산적 다양한 문화적 소양, 다 성의 발휘 진로개척, 자 사고, 문제해결능력, 독 원적 가치에 대한 이해, 기주도성 등 창성, 새로운 가치창출 삶의 질 추구 등 능력 등
세계인 (global-minded person) 의사소통능력, 세계 시민 의식, 지구공동체 문제해 결, 인류공영, 배려와 나눔 등
이러한 ‘추구하는 인간상’을 기초로 초등학교 교육과정은 다음과 같은 교육 목표를 설 정하고 있다.
초등학교의 교육은 학생의 학습과 일상생활에 필요한 기초 능력 배양과 기본 생활 습관을 형성하는데 중점을 둔다. (1) 풍부한 학습 경험을 통해 몸과 마음이 건강하고 균형 있게 자랄 수 있도록 하며, 다양 한 일의 세계에 대한 기초적인 이해를 한다. (2) 학습과 생활에서 문제를 인식하고 해결하는 기초 능력을 기르고, 이를 새롭게 경험할 수 있는 상상력을 키운다. (3) 우리 문화에 대해 이해하고, 문화를 향유하는 올바른 태도를 기른다. (4) 자신의 경험과 생각을 다양하게 표현하며 타인과 공감하고 협동하는 태도를 기른다.
13)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 2009-41호 초등학교 교육과정 해설 총론 p27 Ⅲ. 교육표준 개발|33
나) 연극관련 교과별 교육과정 우리나라 초등학교 교육과정은 공통교육과정으로 연극의 경우 별도의 교육과정을 제 시하고 있지 않으므로, 연극관련교과로서 국어와 예술교과군14)인 미술, 음악 등의 교육 과정을 참고할 수밖에 없다. 국어 교과의 경우는 연극과 관련된 교육내용들을 성취기준 과 내용요소를 중심으로 점검하고, 예술 교과인 음악과 미술의 경우는 교육 내용 영역 선 정과 교육목표를 중심으로 점검해 보았다. 이는 초등학교 연극교육에서의 성취기준과 행 동지표를 선정함에 있어 교육목표 설정, 성취기준 기술방법, 내용요소 선정방법의 예시가 되어줄 것으로 기대한다.
① 초등학교 국어 교과 중 연극관련 교육내용별 성취기준 초등학교 국어는 듣기, 말하기, 쓰기, 읽기, 문법, 문학 영역으로 구분하고, 문학영역에 서는 ‘작품의 수용과 생산의 실제’를 내용체계로 하여 시(시가), 소설(이야기), 극(연극, 영 화, 드라마), 수필·비평으로 구성되어 있다. 초등학교 국어 교과 중 연극(드라마)과 관련된 성취 기준과 내용 요소의 예를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 초등학교 1학년 2학기 국어 - 말하기영역에서 성취 기준 감정을 나타내는 낱말을 알맞게 사용하면서 대화한다.
내용 요소의 예 ◦ 감정을 나타내는 어휘 알기 ◦ 상황별로 감정을 나타내는 말 고르기 ◦ 감정을 나타내는 말을 상황에 알맞게 표현하기
○ 초등학교 2학년 1학기 국어 - 말하기영역에서 성취 기준
내용 요소의 예
문학 작품에 나오는 인물의 말을
◦ 인물의 말에 성격이 반영됨을 이해하기
실감 나게 표현한다.
◦ 인물의 성격 파악하기 ◦ 알맞은 목소리와 어조로 표현하기 ◦ 작품의 내용을 역할극으로 표현하기 ◦ 등장인물의 말과 행동에 주의하며 인형극하기
14) 2009 개정 초등학교 교육과정은‘교과(군)’와 교과외 활동으로서의 ‘창의적 체험활동’으로 편성된다. 교과 (군)은 교과는 국어, 사회/도덕, 수학, 과학/실과, 체육, 예술(음악/미술),영어로 한다. 다만, 초등학교 1,2 학년의 교과는 국어, 수학, 바른생활, 슬기로운 생활, 즐거운 생활로 한다.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 2009-41호 초등학교 교육과정 해설 총론 p29 34 | 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연극
○ 초등학교 2학년 1학기 국어 - 듣기영역에서 성취 기준
내용 요소의 예
인물의 말과 행동에 주의하며 인 ◦ 인형극을 보고, 등장인물의 말과 행동을 찾아보기 형극을 본다.
○ 초등학교 2학년 1학기 국어 - 문학영역에서 성취 기준
내용 요소의 예
문학 작품 속 인물의 모습과 행동 ◦ 이야기를 읽고, 인물의 모습과 행동을 상상하기 을 상상한다. ◦ 인물의 모습과 행동에 어울리는 목소리로 이야기 읽기
○ 초등학교 2학년 2학기 국어 - 말하기영역에서 성취 기준
내용 요소의 예
문학 작품에 나오는 인물의 말을 ◦ 만화영화를 보고 실감나게 표현하고 싶은 말 찾기 실감나게 표현한다. ◦ 인물의 말을 실감 나게 표현하는 방법 알아보기 ◦ 만화 영화를 보고, 인물의 말을 실감 나게 표현하기
○ 초등학교 3학년 1학기 국어 - 듣기영역에서 성취 기준
내용 요소의 예
애니메이션을 보고 반언어적·비언 ◦ 말의 빠르기, 높낮이, 강약에 주의하며 말하여야 하는 어적 표현을 이해한다. 까닭 알아보기 ◦ 이야기에 나오는 등장인물의 말투, 표정, 몸짓을 흉내 내어 보기
○ 초등학교 3학년 1학기 국어 - 문학영역에서 성취 기준
내용 요소의 예
이야기의 흐름을 파악하여 내용 을 간추린다.
◦ 이야기의 흐름에 따라 인물의 말투가 어떻게 변 하였는지 알아보기
Ⅲ. 교육표준 개발|35
○ 초등학교 5학년 1학기 국어 - 말하기영역에서 성취 기준
내용 요소의 예
학교 안팎에서 일어나는 일을 소 ◦ 촌극의 내용을 선정하고 대본 작성하기 재로 하여 촌극을 한다. ◦ 인물의 성격을 파악하고 역할 분담하기 ◦ 관객을 고려하여 명료하고 실감 나게 표현하기 ◦ 비언어적 표현을 효과적으로 활용하여 의미 전달하기
○ 초등학교 5학년 2학기 국어 - 듣기영역에서 성취 기준 경험담을 듣고 비언어적 표현의 전달 효과를 파악한다.
내용 요소의 예 ◦ 경험담의 특성 파악하기 ◦ 비언어적 표현에 주목하기 ◦ 비언어적 표현의 기능 이해하기 ◦ 비언어적 표현의 전달 효과 평가하기
○ 초등학교 6학년 1학기 국어 - 듣기영역에서 성취 기준
내용 요소의 예
드라마를 보거나 듣고 이어질 내 ◦ 드라마의 특성 이해하기 용을 예측한다. ◦ 사건의 전개 과정 파악하기 ◦ 앞부분을 토대로 뒷부분 내용 예측하기
○ 초등학교 6학년 1학기 국어 - 말하기영역에서 성취 기준
내용 요소의 예
연극에서 반언어적·비언어적 표 ◦ 반언어적·비언어적 표현의 유형과 기능 이해하기 현의 특성을 살려 실감나게 연기 ◦ 인물의 성격에 맞는 표현 탐색하기 한다. ◦ 감정을 이입하여 실감 나게 표현하기 ◦ 무대의 특성을 고려하여 말하고 행동하기
② 초등학교 예술교과의 교육목표와 연극관련 성취기준 초등학교 1~2학년의 즐거운 생활은 체육, 음악, 미술의 세 교과가 통합교과로 구성되어 있고 3~6학년은 예술교과로 음악, 미술이 교과군으로 구성되어 있다. 36 | 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연극
- 즐거운 생활 교과의 교육목표 및 연극관련 성취기준 다양하고 즐거운 놀이와 활동을 통하여 몸과 마음을 건강하게 하고 창의적인 표현 능력과 감상 능력, 심미적 태도를 기른다.
가. 놀이와 활동을 통하여 건강한 몸과 마음을 기른다. 나. 놀이와 활동을 통하여 자신의 느낌과 생각을 창의적으로 표현한다. 다. 놀이와 활동을 통하여 다양한 작품과 생활 문화에 관심과 흥미를 가지고 아름다움을 느낀다.
○ 1학년 2학기 성취 기준 ◦ 동식물의 특징과 모습을 다양하게 표현한다. ◦ 여러 가지 동식물의 특징을 살린 탈을 만들어 쓰고 놀이를 한다. ◦ 노래를 이용하여 친구들과 사이좋게 놀이를 한다. ◦ 시설물과 소도구를 이용하여 놀이를 한다.
○ 2학년 2학기 성취 기준 ◦ 연극놀이에 필요한 배경 소리를 만들고 무대를 꾸며 연극놀이를 한다. ◦ 애니메이션을 감상하고 인상 깊었던 장면이나 느낌을 여러 가지 재료와 방법으로 표현한다.
- 미술 교과의 교육목표와 연극 관련 성취기준 미술의 다양한 활동을 통하여 미적 감수성, 창의적 표현 능력, 비평 능력을 기르 고, 미술 문화를 향수할 수 있는 능력과 태도를 기른다. 가. 생활 속에서 여러 가지 대상과 현상에 대한 미적 감수성을 기른다. 나. 느낌과 생각을 창의적으로 표현하고 소통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다. 미술의 가치를 이해하고 판단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라. 미술을 생활화하여 미술 문화를 존중하는 태도를 가진다.
Ⅲ. 교육표준 개발|37
미적체험 표현
몸의 감각과 기능을 사용하거나 여러 가지 방법으로 탐색하기
소리, 움직임, 이야기 등 다른 교과와 관련하여 나타내기
- 음악 교과의 교육목표와 연극 관련 성취기준 다양한 악곡 및 활동을 통하여 음악의 아름다움을 경험하게 하고, 음악의 기본 능력과 창의 적으로 표현하고 감상하는 능력을 기르며, 풍부한 음악적 정서와 음악을 생활화하는 태도를 가지게 한다.
기본 형식의 악곡과 활 음악의 기초 기능을 익 기본적인 음악 개념을 음악 활동을 적극적으 동을 통하여 음악의 아 혀 개성 있게 표현하고, 이해하게 한다.
로 즐기는 태도를 가지
름다움을 경험하게 한 악곡의 특징을 파악 하
게 한다.
면서 감상하게 한다.
다.
3학년
4학년
5학년
6학년
◦ 음악을 몸 움직임으 ◦ 음악을 몸 움직임으 ◦ 음악을 몸 움직임으 ◦ 음악을 몸 움직임으 로 표현하기 로 표현하기 로 표현하기 로 표현하기 ◦ 즉흥적으로 표현하기 ◦ 장면에 어울리는 음 ◦ 이야기를 음악으로 ◦ 이야기를 음악으로 악 만들기 만들어 표현하기 만들어 표현하기 ◦ 주변의 소리를 목소 리, 물체, 악기로 표현 하기
38 | 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연극
- 초등학교 체육 교과의 교육목표와 연극 관련 성취기준 (1) 신체 활동과 건강의 관계를 이해하고, 건강 증진에 필요한 지식과 운동 방법을 습득하며 실천하 는 태도를 기른다. (2) 신체 활동의 도전 대상을 이해하고, 도전 활동에 필요한 기본 수행 방법을 습득하며 실천하는 규범을 기른다. (3) 신체 활동의 경쟁 유형을 이해하고, 경쟁 활동에 필요한 기본 수행 방법을 습득하며 실천하는 규범을 기른다. (4) 신체 활동의 표현 요소를 이해하고, 표현 활동에 필요한 다양한 표현 방법을 습득하며 감상하는 태도를 기른다. (5) 신체 활동과 여가의 관계를 이해하고, 여가 활동에 필요한 기본 수행 방법을 습득하며 생활화하 는 태도를 기른다.
움직임 표현
리듬표현
민속표현
주제표현
◦ 표현 방법 및 감상 ◦ 구성 원리와 창작 표현 ◦ 움직임 언어와 표현 ◦ 유형과 요소 요소 과정 ◦ 표현 방법 및 감상 ◦ 자기 확신 활동 ◦ 표현 방법 및 감상 ◦ 적응력 ◦ 표현 방법 및 감상 ◦ 신체 인식 ◦ 창의력
다) ‘창의적 체험활동’도입을 통한 창의 인재 육성 현행 특별활동과 창의적 재량활동을 통합하여 ‘창의적 체험활동’으로 운영하며 그 영역 은 개성신장, 여가선용, 창의성 개발, 공동체의식 함양 등 전인교육 실현에 목표를 둔다. 창의적 체험활동의 시수는 초·중학교에서 주당 평균 3시간 이상, 고등학교 주당 평균 4 시간 이상으로 확대 운영한다.
○ 창의적 체험활동의 내용 체계표 영역 자율활동 동아리활동
활동 - 적응 활동- 자치 활동- 행사 활동- 창의적 특색 활동 등 - 학술 활동- 문화 예술 활동- 스포츠 활동- 실습 노작 활동 - 청소년 단체 활동 등
봉사활동
- 교내 봉사활동- 지역사회 봉사활동- 자연환경 보호 활동 - 캠페인 활동 등
진로활동
- 자기 이해 활동- 진로 정보 탐색 활동- 진로 계획 활동 - 진로 체험 활동 등
Ⅲ. 교육표준 개발|39
○ ‘창의적 체험활동’과 연극교육과의 관계 창의적 체험활동은 기본적으로 자율성에 바탕을 둔 집단 활동의 성격을 지니고 있으며, 집단에 소속된 개인의 개성과 창의성도 아울러 고양하려는 교육적 노력을 포함하고 있 다. 창의적 체험활동은 다양한 체험학습을 통해 학생들의 전인적 성장을 도모하기 위한 프 로그램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자율 활동, 동아리 활동, 봉사 활동, 진로 활동의 4개 하위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자율 활동의 창의적 특색 활동과 동아리 활동의 문화 예술 활동 이 연극교육을 계획적으로 시도해 볼 수 있는 영역이다. 교과 시간에 연극 교육을 체계적 으로 실시하기 어려운 우리나라의 교육과정 운영을 볼 때 창의적 체험활동의 자율적이고 창의적인 운영이 연극교육을 시도해 볼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다.
(2) 초등학교 연극 교과용 도서 현재 초등학교 연극교육은 문화예술교육진흥원에서 파견된 연극예술 강사들에 의하여 일부 학교에서 방과 후 교육활동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교과 교육에 연극을 활 용하여 수업을 진행하는 경우는 일부 관심 있는 교사들에 의하여 이뤄지고 있으나 활발 하지는 않다. 연극예술 강사들이 파견된 학교를 중심으로 지속적인 연극교육이 이뤄지고 있으나 예 술강사에 따른 수준차와 지도력에 많은 문제를 갖고 있으며 학교에서의 관심도 미약하여 별 효과를 거두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연극반이 조직되어 있는 학교는 지방의 아동극 발표회를 거쳐 전국 아동극 경연대회에 참여하는 경우가 있어 계획적이고 지속적인 연극 교육이 공연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 다. 따라서 효과적인 연극교육을 위해서는 국가수준의 교육과정이 마련되어 실시되는 것 이 최상의 방편이나 현재 초등학교 연극교육과정이라고 발표된 것은 없으며 연극 교과용 도서가 발간되어 가이드북으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다.
가) 초등학교 연극교육의 목표 초등학교 연극교과용 도서에서 제시된 연극교육의 목표15)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이 진 술하고 있다. 40 | 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연극
연극 활동과 연극의 본질을 총체적으로 이해하고, 연극 활동의 맥락을 고려하면서 실 제 생활의 경험과 관련지어 문제해결 방법을 익히고, 문화 예술을 바르게 이해하고, 학습 자의 전인적 발달을 통해 문화 예술 창조에 이바지할 수 있는 능력과 태도를 기른다. ○ 연극 활동과 연극에 대한 기본적인 기능과 지식을 익혀, 이를 다양한 생활 경험 상 황에 활용하면서 창의적 사고를 계발한다. ○ 연극을 수용하고 생산하는데 필요한 지식과 기능을 익혀, 다양한 유형의 연극을 비 판적이고 창의적으로 수용하고 생산한다. ○ 연극 세계에 흥미를 가지고 그 현상을 계속적으로 참구하며, 연극의 발전과 미래 지 향의 새로운 문화를 창조한다.
나) 초등학교 연극교과용 도서의 구성 ○ 저학년 저학년의 내용 구성은 발달 단계상 놀이 중심으로 구성하였고 1학기는 감각활동과 움 직임활동으로, 2학기에는 점차 연극적 놀이 활동으로 진행하다가 12월에는 간단한 연극 을 꾸미는 활동으로 구성하였다.
○ 중학년 중학년은 발달 연극적 상황맥락에 따른 활동으로 구성하였고 1학기에는 간단한 움직임 활동에서 연극놀이와 즉흥극으로, 2학기에는 상황 맥락에 대한 다른 관점을 적용하는 연 극놀이를 중심으로 하되 12월에는 창의적 연극 만들기로 구성하였다.
○ 고학년 고학년은 발달 단계상 공연 중심의 연극을 할 수 있게 구성하였고 텍스트를 선정하여 대본 구성하기, 인물이나 배경에 대한 상상하기, 다양한 연극 유형 해보기, 공연하기 등으 로 구성하였으며 12월에는 공연을 하도록 구성하였다.
15) 한국연극교육학회 편, 「초등학교 연극」(연극과 인간, 2004) Ⅲ. 교육표준 개발|41
구분
저학년
영역 감각 깨우기
신체 표현놀이
보고 듣고 냄새 맡고 맛 보기 달라진 점 찾기 손으로 느끼기
몸의 감각 깨우기 움직이는 연극 놀이
모양과 선이 되어 움직이기
몸으로 느껴보기
풍선놀이하기
모습 바꾸기
몸으로 만드는 조각
나뭇잎 놀이, 그림자놀이하기
몸짓 표현의 세계
몸짓과 느낌
조각가가 되기
인물 속으로의 여행
글자와 모양
거울놀이하기
같게 혹은 다르게
흉내쟁이 되기
부드럽게 강하게
소리 만들어 표현하기 장난감 되어보기
표정 놀이
즉흥극
감각표현
소리와 리듬을 통한 표현
상상놀이 하기
인형극
마음껏 움직이기
고학년
리듬 따라 움직이기.
과일이 되어보기 상상과 놀이
중학년
찰흙 놀이 직업 놀이 온몸으로 나타내기 그림보고 이야기 만들기
이야기 떠올리기 연극
말 이어가기 놀이하기
만들기
다른 사람이 되어 보기
시와 함께 떠나는 연극놀이 노래와 함께 떠나는 연극놀이 음악과 함께 떠나는 연극놀이 이야기 속으로의 여행 소리와 몸짓으로 표현하기
가면 만들기 인형극을 만들어요.(1) 인형극 만들기 즉흥극 꾸미기
물건이 있는 이야기 이야기 상상하기 상상한 것 보여주기 인물과 장소 상상하기 상상으로 물건 만들기 상상으로 이야기 만들기
시를 읽고 만든 연극 그림책보고 음악이 있는 연극 만들기 인형 만들어 인형극 공연하기 즉흥극 만들기
이야기로 극본 만들기 이야기를 꾸미기
연극 만들기-나오는 사람
관심거리로 연극을 만들기
대사와 동작 만들기
함께 이야기 꾸며 표현하기
42 | 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연극
옷 만들기 공연 함께 나누기
(3) 초등학교 연극 교육과정 현황의 시사점 초등학교 현행 교육과정이 본 연구에 시사하는 바를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가) 초등학교 국어 교과중 연극관련 교육내용별 성취기준의 시사점 초등학교 국어과 연극관련 교육내용별 성취기준의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감정을 나타내는 낱말을 알맞게 사용하면서 대화하기 ○ 문학 작품에 나오는 인물의 말을 실감 나게 표현하기 ○ 인물의 말과 행동에 주의하며 인형극을 보기 ○ 문학 작품 속 인물의 모습과 행동을 상상하기 ○ 문학 작품에 나오는 인물의 말을 실감 나게 표현하기 ○ 학교 안팎에서 일어나는 일을 소재로 하여 촌극하기 ○ 드라마를 보거나 듣고 이어질 내용을 예측하기 ○ 연극에서 반언어적·비언어적 표현의 특성을 살려 실감나게 연기하기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국어과의 내용에 드라마적 요소들이 산재되어 있다. 드라마 적 요소에 관한 내용들은 국어 교과에서 다루기에 너무 포괄적이며 전문성을 확보하고 있지는 못하지만 연극교육표준의 기대수준을 설정함에 있어 위의 내용을 연극 교육내용 영역의 세부 내용요소로 선정하여도 무리가 없음을 시사한다고 하겠다.
나) 초등학교 예술교과의 교육내용과 교육목표의 시사점 초등학교 예술교과 연극관련 교육내용별 성취기준의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동식물의 특징과 모습을 다양하게 표현하기 ○ 여러 가지 동식물의 특징을 살린 탈을 만들어 쓰고 놀이하기 ○ 시설물과 소도구를 이용하여 놀이하기 ○ 연극놀이에 필요한 배경 소리를 만들고 무대를 꾸며 연극놀이하기 ○ 몸의 감각과 기능을 사용하거나 여러 가지 방법으로 탐색하기 ○ 소리, 움직임, 이야기 등 다른 교과와 관련하여 나타내기 Ⅲ. 교육표준 개발|43
○ 음악을 몸 움직임으로 표현하기 ○ 주변의 소리를 목소리, 물체, 악기로 표현하기 ○ 음악을 몸 움직임으로 표현하기
연극이 갖고 있는 종합적인 성격은 모든 예술과 학문을 총체적으로 담고 있다. 더구나 통합적인 예술 교육을 지향하고 있는 시점에서 각 예술을 이해하고, 미술과 음악과 연극 의 장르별 통합을 위한 중요한 시사점을 갖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다) 「초등학교 연극」 교과용 도서 분석 및 시사점 「초등학교 연극」 교과서가 활용되고 있는 현황은 매우 미미하지만 「초등학교 연극」은 초등학교 연극교육의 방향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의미 있다고 할 것이다. 연극교과의 경 우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이 마련되어 있지 않으므로 국가가 공인한 교과서가 없는 것이 현실이나, 연극교육전문가들이 초등학교 학생들의 전인적인 발달과 연극교육의 바람직한 방향을 제시하고 향후 국가수준의 교육과정이 마련될 것을 기대하며 집필한 것이므로 초 등학교 연극교육에 필요한 기본적이고 필수적인 교육내용을 선정하고 조직하려고 노력 하였다는 점에서 시사하는 바가 있다.
위와 같은 각 분야별 시사점을 참고하여 앞에서 언급한 국가수준의 초등학교 교육목표 를 기초로, 본 연구진은 “초등학교 연극교육 목표”를 다음과 같이 설정하고자 한다.
○ 연극의 기초와 연극 활동에 대하여 이해한다. ○ 생활 경험 상황에서 연극의 다양한 효능을 이해한다. ○ 연극을 수용하고 생산하는 과정을 통해 의사소통 능력 및 문제해결 능력을 기른다. ○ 연극 감상을 통해 미적 체험의 기회를 확대하고 연극을 감상하는 올바른 태도를 갖는다. ○ 연극에 흥미를 가지고 자신의 경험과 생각을 창의적으로 표현한다. ○ 미래 지향의 통합적 문화를 이해한다.
44 | 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연극
2) 중학교 연극교육과정 현황
현재 우리나라 중학교 연극교육과정은 ‘창의적 재량활동’과‘ 창의적 체험활동’내에서 교육활동이 주를 이루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국가수준에서 ‘연극’이라는 교과나 교육과정이 별도로 마련되어 있지 않으므로 학교장의 재량으로 이루어지는 학교 수준의 교육과정으로 특별교육과정을 편제하지 않으면 체계적인 연극교육을 기대하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그나마 ‘창의적 재량활동’과‘ 창의적 체험활동’시간이 있어 1학기 또는 1 년, 길게는 1년 이상 지속적으로 나름의 체계성과 의도성을 가지고 연극교육을 할 수 있 는 것이다. 따라서 우리나라 현행 중학교 연극교육과정을 점검하는 일은 국민공통기본교 육과정의 각 교과에 흩어져 있는 연극 관련 교육내용을 확인하고 이를 어떻게 학습하고 있는가를 살펴보는 것, 그리고 인근 예술 교과인 음악과 미술교과를 점검함으로서 연극 의 종합예술적 성격에 부합되는 학습이 얼마나 이루어지는가를 살펴보는 것으로 한정될 수밖에 없다. 또한 몇몇 현직 교사들과 연극 예술 강사들이 ‘창의적 재량활동’과 ‘창의적 체험활동’ 시간을 활용하여 연극교육을 진행하고 있는데 이를 위해 집필된 중학교 연극 교과용 도서인 「중학교 연극」을 살펴보는 것도 필요하다. 이는 연극교육이 어떠한 방향 성을 가지고 어떠한 내용을 학습하여야하는지 그 기대수준을 파악할 수 있게 할 것이다. 물론 한계점은 있다. 이후에 자세히 언급하겠지만, ‘창의적 재량활동’과‘ 창의적 체험활동’ 시간에 이루어지는 연극교육은 학교 상황이나 학교장의 의도, 연극예술강사의 성향이나 특성 등에 따라 교육현장마다 상당부분 편차가 있을 수 있고, 연극 교과용 도서가 방향을 제시하고 있기는 하지만, 실제로 교과용 도서 내용대로 교육이 이루어지는가 하는 것은 별개의 문제이므로 명확한 교육 현황이라고 볼 수는 없으나 연극교육이 지향하고 있는 방향성을 파악하는 것은 가능할 것이므로 의미 있는 분석이 될 것이다. 따라서 중학교 현행 교육과정 현황은 ① ‘국가수준의 교육과정’ 점검으로 중학교 교육 목표를 점검하고, 연극관련 교과별 교육과정 점검으로 국어, 음악, 미술교과를 살펴보며 ② ‘학교수준의 교육과정’ 점검 차원에서 중학교 연극교과용 도서를 살펴보고자 한다.
(1) 국가수준의 교육과정 가) 중학교 교육목표 앞서 “초등학교 현행 교육과정 점검”에서 살펴보았듯이 국가가 제시한 ‘추구하는 인간 Ⅲ. 교육표준 개발|45
상’을 기초로 중학교 교육과정은 다음과 같은 교육 목표를 설정하고 있다. 중학교의 교육은 초등학교 교육의 성과를 바탕으로 학생의 학습과 일상생활에 필요한 기본능력을 배양하며 다원적인 가치를 수용하고 존중하는 민주시민의 자질 함양에 중점을 둔다.
1. 심신의 건강하고 조화로운 발달을 추구하며 다양한 분야의 경험과 지식을 익혀 적극적으로 진로를 탐색한다. 2. 학습과 생활에 필요한 기초 능력과 문제해결력을 바탕으로 창의적 사고력을 기른다. 3. 자신을 둘러싼 세계에 대한 경험을 토대로 다양한 문화와 가치에 대한 이해를 넓힌다. 4. 다양한 소통능력을 기르고 민주시민으로서의 자질과 태도를 갖춘다.
나) 연극관련 교과별 교육과정 우리나라 중학교 교육과정은 공통교육과정으로 연극의 경우 별도의 교육과정을 제시 하고 있지 않으므로, 연극관련교과로서 국어와 예술교과군16)인 미술, 음악 등의 교육과 정을 참고할 수밖에 없다. 국어 교과의 경우는 연극과 관련된 교육내용들을 성취기준과 내용요소를 중심으로 점검하고, 예술 교과인 음악과 미술의 경우는 교육 내용 영역 선정 과 교육목표를 중심으로 점검해 보고자 한다. 이는 중학교 연극교육에서의 성취기준과 행동지표를 선정함에 있어 교육목표 설정, 성취기준 기술방법, 내용요소 선정방법의 예시 가 되어 줄 것으로 기대한다.
① 중학교 국어 교과 중 연극관련 교육내용별 성취기준 중학교 국어는 듣기, 말하기, 쓰기, 읽기, 문법, 문학 영역으로 구분하고, 문학영역에서 는 ‘작품의 수용과 생산의 실제’를 내용체계로 하여 시(시가), 소설(이야기), 극(연극, 영화, 드라마), 수필·비평으로 구성되어 있다. 중학교 국어 교과중 연극(드라마)와 관련된 성취 기준과 내용 요소의 예를 정리하면 아 래와 같다.
16) 2009 개정 중학교 교육과정은‘교과(군)’와 교과외 활동으로서의 ‘창의적 체험활동’으로 구성된다. 교과(군) 은 국 어, 사회(역사포함)/도덕, 수학, 과학/기술․.가정, 체육, 예술(음악/미술), 영어, 선택 등 8개의 교 과군으로 편성되며 이중 선택은 한문, 정보, 환경, 생활, 외국어(독일어 프랑스어 스페인어 중국어 일본어 러시아어 아랍어, 보건 진로와 직업 등)의 과목으로 구성된다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 2009-41호 중학교 교육과정 해설 총론 p34 46 | 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연극
○ 중학교 2학년(8학년) 국어 - 듣기 영역에서 성취 기준 ⑷ 드라마의 인물이 되어 반언어적 ㆍ비언어적 표현을 효과적으로 사용한다.
내용 요소의 예 ◦인물에 어울리는 반언어적ㆍ비언어적 표현 찾기 ◦드라마의 인물이 처한 상황이나 심리 이해하기 ◦인물의 특성을 효과적으로 드러내어 반언어적ㆍ비언 어적 표현 사용하기
○ 중학교 2학년(8학년) 국어 문학영역에서 성취 기준 ⑷ 문학 작품에 나오는 인물의 행동 을 사회ㆍ문화적 상황과 관련지 어 파악한다.
내용 요소의 예 ◦인물의 행동, 사고방식 이해하기 ◦인물의 행동과 사회ㆍ문화적 상황 관련짓기 ◦작품과 사회ㆍ문화적 상황의 관계 파악하기
○ 중학교 3학년(9학년) 국어의 듣기 영역에서17) 성취 기준 ⑷ 영화나 연극을 보고 자신의 경험 이나 시대적 상황과 관련짓는다.
내용 요소의 예 ◦영화나 연극의 특성 이해하기 ◦영화나 연극에 반영된 사회ㆍ문화적 요소 파악하기 ◦영화나 연극의 내용을 개인적 경험과 관련짓기 ◦영화나 연극의 내용을 시대적 상황과 관련짓기
② 중학교 예술교과의 교육내용과 교육목표 - 음악교과의 내용영역과 교육목표18) 음악교과의 내용영역은 ‘활동’, ‘내용’, ‘생활화’로 구성하고 교육목표는 다음과 같다. ○ 다양한 형식의 악곡과 활동을 통하여 음악의 아름다움을 경험하게 한다. ○ 음악을 개성 있게 표현하고, 악곡의 내용과 구조를 파악하면서 감상하게 한다. ○ 다양한 음악 개념과 기본적인 기본 체제를 이해하게 한다. ○ 음악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태도를 가지게 한다.
17) 교육인적자원부 고시 제 2007 - 79호 [별책 3] 중학교 교육과정 p1-23 18) 교육인적자원부 고시 제 2007 - 79호 [별책 3] 중학교 교육과정 음악과 교육과정 Ⅲ. 교육표준 개발|47
- 미술교과의 내용영역과 교육목표19) 미술 교과 내용 영역은 ‘미적 체험’, ‘표현’, ‘감상’으로 구성하고, 교육목표는 다음과 같다. ○ 생활 속에서 미술의 다양한 기능과 역할을 이해한다. ○ 목적과 의도에 맞게 표현을 계획하고 적용한다. ○ 미술 작품을 맥락적으로 해석하고 미술 문화의 의미를 이해한다.
(2) 중학교 연극 교과용 도서
20)
「중학교 연극」
현재 중학교 연극교육은 7차 교육과정의 ‘창의적 재량활동’과 2009 개정 교육과정의 ‘창의적 체험활동’내에 편제되어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에서 파견된 연극예술강사들에 의하여 교육되는 것이 대다수이다. 물론, 연극을 이용한 교과 교육이 몇몇 교사들에 의해 연극-교과간 통섭교육의 형태로 실험적으로 실천되고 있으나 많지는 않다. 그러니까 우리나라 연극교육은 연극예술강사들이 파견된 학교를 중심으로 그나마 의도 성, 계획성을 갖추고 이루어지고 있다고 볼 수 있으며, 그 외의 학교는 연극반 동아리 활 동을 중심으로 공연 과정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고 봐야 한다. 중학교 연극교육의 내용과 방법, 평가 등은 각 학교의 상황과 연극예술강사들에 따라 편차가 상당히 크다. 따 라서 이러한 편차를 해결하고 연극교육의 통일성과 방향성, 계획성, 연계성 등을 확보하기 위하여, 국가수준의 교육과정 마련과 교과서가 집필되어 가이드 역할을 해야 하는 것이다. 현재 중학교 연극교육과정이라고 이렇다하게 발표된 것은 없으나 그나마 중학교용 연극 교과용 도서가 발간되어 구체적 교육과정에 대한 가이드북으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다.
19) 교육인적자원부 고시 제 2007 - 79호 [별책 3] 중학교 교육과정 미술과 교육과정 20) 윤현진 외, 「국가교육과정 개정 개편 변화에 따른 교과서 정책 개선방안연구」(한국교육과정평가원,2010) p3-4 윤현진은 교과서의 개념을 “국가의 교육이념과 시대 정신, 교과의 철학이 반영된 교과서는 학교교육에서 가장 영향력을 가지는 교수 학습 도구이다. 국가 교육과정의 목표에 따라 ‘교육내용’이 선정, 조직되고 선정된 교육 내용이 교수학습방법 및 평가와 연계되어 실제로 구현되는 산물이 교과서인 것이다. ” 로 정의하고 있다. 교과용 도서에 관한 규정(대통령령 제8660호)에 따르면, “학교에서 교육을 위하여 사용 되는 학생용의 주된 교재를 말하며, 교육인적자원부가 저작권을 가진 도서(1종도서)와 교육인적자원부장 관의 검정을 받은 도서(2종도서)로 구분”하고 있다. 현행 교과서편찬 과정은 1종교과서의 경우 교육인적 자원부가 직접·간접으로 편찬계획·집필·개발과정에 간섭하여 편찬된다. 이에 반해 2종교과서는 교육인적 자원부가 검정실시계획을 발표하고 제작자가 검정도서 승인신청을 하여 교과용도서심의회의 검정심사 를 거쳐야 하며, 인정교과서는 특별시·광역시·도 교육감이 교육인적자원부 장관에게 인정교과서 승인신 청을 하여야 한다. 따라서 연극관련도서는 모든 도서들이 검인정을 받은 것이 아니므로 정확한 의미로는 연극교육을 위한 다양한 ‘교재’ 중 하나로 봐야 하나, 본 연구진이 선정한 교재들이 교과용 도서로서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으므로, 본 고에서는 법적 용어인 ‘교과용 도서’를 사용하도록 하겠다. 48 | 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연극
연극 교과용도서는 2002년 연극예술강사들이 현장 학교에 파견되기 시작하면서 발간되 었는데, 연극교육을 위하여 초·중등 학생을 위한 눈높이 교재가 처음 마련되었다. 2002년 한국연극교육학회 편저로 고등학교용 교재1종이 발간되었고, 2003년 중학교용 교재 「중학 교 연극」이 발간되었으며, 초등학교용 교재는 2004년 저학년, 중학년, 고학년으로 나눠 3 종이 발간되었다. 그러니까 초·중등 학생을 위한 교재는 5종이 전부인 것이다.
가) 「중학교 연극」이 제시한 연극교육의 목표 「중학교 연극」에서 제시된 연극교육의 목표21)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이 진술하고 있다. 첫째, 연극교과는 예술의 모든 장르를 두루 배울 수 있게 함으로써 예술을 향유할 줄 아 는 참된 문화인의 소양을 키우는데 있다. 둘째, 연극을 직접 만들어가는 협동작업의 과정을 통해 자기표현을 분명히 할 수 있게 되고 타인의 삶을 이해하며, 나아가 책임과 의무를 다하는 민주시민으로서의 자질을 갖출 수 있다.
나) 「중학교 연극」의 구성22) 영역
단원의 내용
1. 연극은 어떻게 만들어 지는가 : 연극의 공연제작과정과 협업하는 예술인들이 하는 일 이해하기 2. 연극은 어떤 예술인가 : 연극의 발생과 예술장르로서의 연극을 이해하기 연극의 3. 연극은 무엇으로 만들어질까 : 연극의 구성요소와 제작에서 여러 예술가들의 기여 이해하기 이해 4. 연극을 어떻게 볼까 : 각기 독특한 예술품인 연극을 볼 때의 주안점을 이해하기 5. 희곡읽기-희곡을 만나는 즐거움 : 희곡의 특성과 구성요소, 종류이해하기 1. 모둠별 장면쓰기 : 일상에서 찾은 다양한 소재를 바탕으로 모둠별로 ‘극적 이야기’로 꾸미기 2. 말과 몸으로 표현하기 : 일상적 행동과 무대 동작의 차이를 이해하고 표현하기 3. 공간 만들기 : 무대의 종류와 특징을 이해하고 무대를 꾸며보기 연극 4. 동작 만들기 : 무대위 움직임의 원리를 이해하고 다양한 움직임을 만들어 보기 만들기 5. 공연 알리기 : 역할을 분담하여 공연 알리기 6. 공연 : 관객의 속성과 의사소통의 속성 이해하기 7. 정리와 평가 : 연극 만들기의 과정을 정리, 평가하고 공연을 평가하기 연극 보기
1. 연극을 보러 가기 전에 준비할 것 : 연극에 익숙해지기 위해 희곡읽기 2. 연극을 감상할 때의 주안점 : 연극을 잘 감상하기 위해 주안점을 두어야 할 점 알기 3. 연극 감상 후 : 연극 감상 후 감상문 쓰기
21) 한국연극교육학회 편, 「중학교 연극」(연극과 인간, 2004) 22) 한국연극교육학회 편, 「중학교 연극」교사용 지도서 (연극과 인간, 2004) Ⅲ. 교육표준 개발|49
「중학교 연극」 교사용 지도서에서는 학교마다 학교의 특성 및 학생의 눈높이에 맞추어 신축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단원별 수업 순서와 시간 배당 등을 기록한 연간지도 계획 표를 제시하고 있는데, 영역별 시간배당 비율을 보면, 아래와 같다.
영역
연극의 이해
연극 만들기
연극보기
비고(계)
배당시간
6
27
1
34
시간배당 비율
17.6%
79.4%
2.9%
중학교 연극교과용 도서 「중학교 연극」은 ‘연극 만들기’에 많은 시간을 할애하고 있으 며, 그중에서도 ‘말과 몸으로 표현하기’(14.7%), ‘공간 만들기(14.7%)’, ‘동작 만들기 (14.7%)’에 각 5시간을 배당하였고, ‘장면 쓰기(11.8%)’ 시간을 배당함으로서 체험을 중심 으로 연극의 교육적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도록 하였다. 한명구는 「한국 중등학교 연극 교육 및 연극교과서 개선방안 연구」에서 인물표현이 중심이 되는 행동체험 부분이 총 14차시로 학생들이 가장 선호하는 인물체험교육이 40%에 불과하고, 실기 교육과 이론 교 육이 비슷한 비율로 구성되어 있다고 지적하면서 연극교육이 현실적으로 실기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중학교 연극교과용 도서는 전체적인 구성만 보더라도 이 론에 치우쳐 있다고 문제점을 지적하고 있다.23) 그러나 이는 연극교육의 목표에 따른 교 육방법이 선정되어야 하며, 중학교 연극교육은 연극교육을 통한 문화인의 소양을 고취하 고 협동심과 표현능력을 개발하는 데 목표가 있고, 전문가를 양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예술 전문교육이 아니므로 전문교육에서 필요한 실기 위주의 교육이 필요한 것은 아니 다. 실기, 이론 교육을 통하여 연극 예술장르의 특성을 이해하고 예술을 올바로 향유할 수 있는 안목과 소양을 길러줄 수 있도록 이론과 실기교육을 통하여 연극을 체험할 수 있 다면, ‘연극 만들기’는 의미 있는 시간배당이라고 봐야 할 것이다. 현실적으로 중고등학교 연극교육이 실기 위주로 진행되고 있다는 것은 학교 현장에 파 견된 연극 예술 강사들이 진행하고 있는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판단한 것으로, 솔직히 이 교육과정들은 학교와 학생들의 특성에 맞춰 개인적으로 선정하고 조직한 것이므로 국가
23) 한명구,「한국 중등학교 연극교육 및 연극 교과서 개선 방안 연구」(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 문,2007) p99-101 50 | 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연극
가 바람직하게 생각하는 교육과정이라고 볼 수는 없다. 한 교과의 교육과정의 방향을 제 시한다고 할 수 있는 교과용 도서는 공통교육과정의 교과로 선정될 경우까지 고려하여 균형 잡힌 교육과정을 제시할 필요가 있는 것이므로 현재 교육현장의 진행상황을 고려하 여 그 실정에 맞춰 교과용 도서가 마련되어야 한다는 것은 설득력이 떨어진다. 다만, 한 명구가 지적한대로 ‘연극 보기’가 1시간으로 배당되어 있는데 ‘감상할 작품 선정하기’, ‘희곡읽기’, ‘극장에서의 예절 익히기’, ‘감상한 작품에 대해 토론하기’, ‘감상문 쓰기’를 학 습 내용으로 하는 것은 무리한 설정인 것 같다.
(3) 중학교 연극 교육과정 현황의 시사점 중학교 현행 교육과정이 본 연구에 시사하는 바를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이 정리 할 수 있겠다.
가) ‘중학교 국어 교과 중 연극관련 교육내용별 성취기준’의 시사점 중학교 교육은 우리나라 의무교육과정이므로 모든 중학교 연령의 학생들은 중학교 국 어 교과 내에 있는 연극관련 내용을 모두 학습할 것으로 간주된다. 따라서 아래와 같은 행위가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드라마 속의 인물의 특성을 이해하고 이를 다양한 언어로 표현하기 ○ 작품과 사회, 문화적 관계 이해하기 ○ 작품의 인물의 사회, 문화적 관계 이해하기 ○ 연극의 특성 이해하기
이는 연극교육표준의 기대수준을 설정함에 있어 교육내용 영역의 세부 내용요소로 선 정하여도 무리가 없음을 시사한다고 하겠다.
나) ‘중학교 예술교과의 교육내용과 교육목표’의 시사점 음악과 미술교과의 내용영역과 교육목표를 점검한 결과, 중학교 연령대 학생들은 기본 적으로 음악이나 미술활동을 통하여 예술의 기본개념과 본질적 특성을 학습하고, 미술작 품에 대한 해석뿐 아니라 미술문화의 의미를 이해하고 나아가 생활 속에서 미술의 역할 Ⅲ. 교육표준 개발|51
과 기능을 이해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국어 교과에서의 연극이 반 영된 사회, 문화적 요소를 파악하고 개인이나 시대적 상황과 관련지어 생각할 수 있는 학 습내용과 맥을 같이 한다고 볼 수 있다. 또, 음악을 개성 있게 표현하고 미술을 목적과 의 도에 맞게 표현하고 계획하여 적용할 수 있음은 예술을 단순히 습득하는 차원이 아니라 학습한 것을 토대로 적용하고 활용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사항들 을 고려해 볼 때, 중학교 학생 정도의 연령의 학습자라면, 예술 활동을 통하여 예술적 요 소와 본질적 특성에 대한 학습이 가능하며, 각 예술을 사회적, 시대적 배경 속에서 이해 하고, 현실 생활 속에서 예술의 역할과 기능을 이해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또한, 예술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태도와 자세를 학습하는 것도 중학교 연령대의 청소년에게 필요한 요소라는 것을 시사한다고 하겠다. 뿐만 아니라, 동일 연령대의 학생 들은 예술의 기능과 역할을 현실에 창의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이 있거나 이를 향상 시킬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시사점은 중학교 연극교육의 목 표나 교육내용을 설정함에 있어 다음과 같은 사항을 고려해 볼만 하다.
연극교육은 ○ 연극의 본질적인 요소를 파악하면서 감상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 연극의 제작과정을 이해하고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태도를 갖도록, ○ 생활 속에서 연극의 다양한 기능을 이해하고 활용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 연극을 다양한 문화와 시대적 역사적 배경에서 이해할 수 있도록 교육목표를 설정하고 교육내용을 선정하여야 할 것으로 보인다.
다) 「중학교 연극」 교과용 도서 분석 및 시사점 「중학교 연극」 교과용 도서가 연극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는 교육 현장에서 활발히 활용 되고 있지 않으며, 제시하는 교육내용이 교육현장과 다소간의 괴리가 있다손 치더라도, 「 중학교 연극」은 연극교육 전문가들이 추구하는 중학교 연극교육의 방향을 제시한다는 점 에서 의미 있게 바라봐야 할 것이다. 이는 앞에서도 언급했듯이, 교과서란 하나의 교과가 체계적인 교육을 하기 위하여 국가 교육목표에 따라 교육내용이 선정 조직되고 선정된 교육내용이 교수 학습 및 평가와 연계되어 실제로 구현되는 산물인 것이다. 연극교과의 경우 국가 수준의 중학교 교육과정이 마련되어 있지 않으므로 국가가 공인한 교과서가 없는 것이 현실이나, 그나마 연극 또는 연극교육 전문가들이 중학교 연극교육의 바람직 52 | 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연극
한 방향을 제시하고 향후 국가수준의 교육과정이 마련될 것을 기대하며 집필한 것이므로 중학교 연극교육에 필요한 기본적이고 필수적인 교육내용을 선정하고 조직하려고 노력 하였다는 점에서 시사하는 바가 있다. 적어도 중학교 연령의 학생들은 다음과 같은 내용 의 연극관련 학습을 하는 것이 좋겠다는 의미 있는 제안을 하고 있다는 것이다. ○ 중학교 연령대의 학생들은 연극의 공동창작이 가능하며, 이를 통하여 연극의 본질 및 요소들을 학습할 수 있으며 ○ 학생들은 연극의 종합예술적 특성과 협동예술적 특성을 경험하고 이를 통해 획득할 수 있는 교육적 가치들, 예를 들어 표현력과 상상력을 비롯하여 의사소통능력, 문제해결 능력 등을 고양시킬 수 있으며 ○ 문화인의 소양으로서 바람직한 연극 감상 방법을 학습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것 이다.
위와 같은 각 분야별 시사점을 참고하여 앞에서 언급한 국가수준의 중학교 교육목표를 기초로, 본 연구진은 “중학교 연극교육 목표”를 다음과 같이 설정하고자 한다.
○ 연극의 특성과 본질적 요소를 이해한다. ○ 생활에서 연극의 다양한 효능을 적용한다. ○ 연극을 수용하고 생산하는 과정을 이해하고 공동창작과정을 통해 의사소통 능력 및 문제해결 능력을 기른다.
○ 다양한 시대적, 문화적, 지역적 배경에서 연극을 이해하고 감상한다. ○ 연극을 통해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창의적으로 표현한다. ○ 미래 지향의 통합적 문화를 생활 속에 적용하는 태도를 기른다.
3) 고등학교 연극교육과정 현황
고등학교 교육과정은 선택교육과정24)으로 학생들의 기초영역 학습 강화와 진로 및 적 성 등을 감안한 적정 학습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연극의 경우 전문 교과 내 예술 에 관한 교과로 구분되어 ‘연극의 이해’, ‘연기’, ‘무대 기술’, ‘연극 제작 실습’, ‘연극 감상 24) 2009 개정교육과정은 초등학교 1학년부터 중학교 3학년까지의 공통 교육과정과 고등학교 1학년부터 3학 년까지의 선택 교육과정으로 편성한다.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2009-41호, 고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Ⅲ. 교육표준 개발|53
과 비평’으로 5개의 과목이 개설되어 있다. 예술에 관한 교과는 학생들의 소질과 창의성 을 계발하고, 예술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며, 예술 작품에 대한 감상 및 비평 능력을 길 러주고, 전통과 현대 문화의 가치를 이해하고 계승, 발전시켜 나갈 수 있는 바람직한 태 도를 기르고자 다양한 전문 예술 교육을 제공한다.25) 정리하자면, 현행 고등학교 연극교 육은 크게 두 가지로 구분하여, 전문교육을 목적으로 하는 예술계열 고등학교에서의 연 극교육과, 일반계 고등학교(인문계와 전문계 고등학교 포함) 7차 교육과정의 ‘창의적 재 량활동’이나 2009 개정교육과정의 ‘창의적 체험활동 ’시간, 또는 동아리 활동 시간에 이루 어지는 연극교육으로 나누어 설명할 수 있다. 전자의 경우, 교사들을 중심으로(학교에 고 용된 전문강사 포함) 연극교육이 이뤄지고, 후자의 경우는 대개 연극예술강사나 일부 학 교 교사들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따라서 국가수준의 연극 교육 과정을 점검한다면, 교육 과정 내의 ‘예술에 관한 교과’의 교육과정을 점검하여야 할 것이고, 학교 수준의 연극교 육과정을 점검하기 위해서는 현재 다수의 고등학교에서 진행하고 있는 ‘창의적 재량활동’ 이나 ‘창의적 체험활동’의 연극교육을 점검해야 하는 것이 필요한데, 이를 위해서는 연극 교과용 도서 「연극」(한국연극교육학회 편, 연극과 인간, 2002)의 교육내용 검토가 필수이 다. 물론, 중학교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연극 교과서의 내용이나 교육과정이 교육 현장에 서 현실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연극 교육과는 차이가 있는 것은 사실이나, 교과용 도서가 교육의 바람직한 방향성을 제시한다고 볼 때, 교과용 도서 내용 분석은 중요한 의미를 갖 는다. 따라서, 고등학교 연극 교육과정 현황은 ① 국가수준의 교육과정 점검으로 ‘예술계열 전문교과 교육과정’의 연극관련과목별 교육목표와 내용체계를 점점하고 ② 학교수준의 교육과정으로 고등학교 연극교과용 도서를 살펴보고자 한다.
(1) 국가수준의 교육과정 가) 고등학교 교육목표 앞에서 언급한 국가수준의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추구하는 인간상’을 기초로 고등학교 교육과정은 다음과 같은 교육 목표를 설정하고 있다
25) 교육인적자원부 고시 제2007-79호, (별책26) 예술계열 전문교과 교육과정 p. 1. 54 | 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연극
고등학교 교육은 중학교 교육의 성과를 바탕으로, 학생의 적성과 소질에 맞는 진로 개척 능력과 세 계 시민으로서의 자질을 함양하는데 중점을 둔다. 1. 성숙한 자아의식을 토대로 다양한 분야의 지식과 기능을 익혀 진로를 개척하며 평생학습의 기본 역량과 태도를 갖춘다. 2. 학습과 생활에서 새로운 이해와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비판적 창의적 사고력과 태도를 익힌다. 3. 우리의 문화를 향유하고 다양한 문화와 가치를 수용할 수 있는 자질과 태도를 갖춘다. 4. 국가 공동체의 발전을 위해 노력하며, 세계시민으로서의 자질과 태도를 기른다.
나) 예술계열 전문교과 교육과정 ① 예술계열 전문교과 교육목표 교육과정에서는 예술에 관한 교과의 교육목표를 제시하여 이를 근거로 각 장르의 과목 별 교육 목표를 설정하고 교육 내용을 선정하여 운영하도록 하고 있다. 교육 목표를 살펴 보면 아래와 같다.26) 예술에 관한 전문 교육을 통하여 소질과 창의성을 계발하고, 예술 문화 창달에 이바지할 수 있는 예술인으로서의 능력과 자질을 기른다. 가. 예술에 관한 체계적인 지식을 바탕으로 미적 특성을 파악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나. 사고와 감정을 창조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다. 예술작품의 다양한 미적 가치를 이해하고 판단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라. 전통예술 문화유산을 이해하고 계승ㆍ발전시켜 새로운 예술 문화 창조에 기여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마. 전문 예술인으로서 성장할 수 있는 바람직한 태도를 기른다.
② 예술계열 전문교과 과목별 교육과정 예술계 고등학교의 연극관련 교육과정은 앞에서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연극의 이해’, ‘연기’, ‘무대 기술’, ‘연극 제작 실습’, ‘연극 감상과 비평’총 5개 과목으로 구성되어 있는
26) 교육인적자원부 고시 제2007-79호, (별책26) 예술계열 전문교과 교육과정 p. 1. Ⅲ. 교육표준 개발|55
데, 모든 과목의 교과서가 고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개발된 것이 아니고 기존 연극서적 을 연극교과서로 사용하겠다고 인정받은 인정교과서들만 있을 뿐이기 때문에 일선 학교 의 교사들은 ‘2007 개정 교육과정 해설서’를 기본으로, 연극관련 전문서적을 참고하여 교 육을 하고 있는 실정이다. 2009 개정 교육과정이 고시되었으나, 이 교육과정 개정은 수업 운영방식 개선중심의 개정이었으므로, ‘예술에 관한 교과’의 개정은 이뤄지지 않았다. 따 라서 현재까지 학교에서는 2007 개정교육과정을 기준으로 교육활동이 이루어진 것이다. 올해 교육과학기술부에서는 ‘2009 개정 교육과정(총론)’에 이어 수업내용 중심의 전면적 교과 교육과정 개정을 추진하였고, 연극부분도 개정 연구에 참여하여, ‘예술계열 전문교 과 개정 시안(연극부분)’을 개발, 현재 공청회를 거쳐 최종 고시되었다. 연극 관련 과목별 교육 목표와 내용체계는 ‘예술계열 전문교과 개정 시안(연극부분)’을 중심으로 살펴보도 록 하겠다.27)
- 각 과목별 교육 목표 <표Ⅲ-1> 예술계열 전문교과 과목별 교육목표 과목명
교육목표 연극의 특성 및 변천 과정을 고찰함으로써 연극의 본성 및 가치를 이해한다. 가. 연극의 본질과 효능을 이해하고, 연극의 구성 요소를 파악할 수 있다.
연극의 이해
나. 연극의 종류별, 양식별 특성을 역사적 흐름 속에서 이해하고 현재의 연극과 비교할 수 있다. 다. 연극의 변천과정을 통하여 시대적, 사회적 현상이 어떻게 연극에 반영 되었는지 살펴봄으로 연극의 미래 동향을 파악할 수 있다. 라. 연극에 대한 기본 지식과 이해를 바탕으로 연극 제작과 감상 및 비평 활동에 적용할 수 있다. 연기의 개념을 이해하고 연기에 필요한 언어와 신체의 표현, 대본분석 등의 훈련을 통하여
연기
창의적인 표현능력을 기른다. 가. 연기에 대한 개념을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다.
27) 오세곤, 이연심,「2011 예술계열 전문교과 교육과정 연극분야 개정시안 개발 연구」(한국문화예술교육학 회, 2011) 교육인적자원부,「2011 예술계열 전문교과 교육과정 개정을 위한 시안 개발 연구(연극)」,2011 예술계열 전문교과 교육과정 개정을 위한 공청회, 2011.7.9 56 | 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연극
나. 연기에 필요한 정확한 대본 분석 능력을 기른다. 다. 연기에 필요한 정확한 신체와 언어 표현 능력을 기른다. 라. 음악, 무용 등이 연기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고 다른 예술 장르에 대한 연기의 적응력을 기른다. 희곡을 무대 위에 형성화하는 데 필요한 여러 가지 무대 기술의 기능을 이해하고, 활용 기술을 습득한다. 무대
가. 무대 기술의 활용 방법을 습득하고, 실제 연극 제작에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기술
나. 작품의 배경과 주제, 성격에 맞는 무대를 구성하는 능력을 기른다. 다. 연극 제작은 연출, 배우, 각 분야별 전문 예술가들의 협력과 조화로 이루어짐을 이해한다. 라. 무대 장치와 조명, 음향, 의상, 분장 등을 작품에 맞도록 조화롭게 구현하는 능력을 기른다. 연극의 제작 과정을 이해하고 작품 제작 능력을 기른다.
연극 제작 실습
가. 작품의 주제에 맞게 형상화한다. 나. 연극을 이루는 제반 요소들을 유기적으로 통일성 있게 조화시키는 능력을 기른다. 다. 연극 제작 과정에서 역할 분담과 협동 작업이 필수 요소임을 이해한다. 라. 희곡 작품을 무대 형상화하는 과정을 통하여, 연극 제작 과정에서 필요한 문제 해결 능력과 창의성을 기른다. 다양한 연극 작품의 감상을 통하여 연극의 특성을 이해하고, 미적 가치를 판단할 수 있는 능력을
연극 감상과 비평
기른다. 가. 다양한 연극 작품의 특성을 분석하고 평가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나. 연극 작품의 가치를 판단할 수 있는 미적 안목을 기른다. 다. 연극의 이해를 바탕으로 올바른 감상과 비평의 태도를 기른다. 라. 연극 감상의 내용을 언어로 표현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과목명
교육목표 연극의 특성 및 변천 과정을 고찰함으로써 연극의 본성 및 가치를 이해한다.
가. 연극의 본질과 효능을 이해하고, 연극의 구성 요소를 파악할 수 있다. 연극의
나. 연극의 종류별, 양식별 특성을 역사적 흐름 속에서 이해하고 현재의 연극과 비교할 수 있다.
이해
다. 연극의 변천과정을 통하여 시대적, 사회적 현상이 어떻게 연극에 반영 되었는지 살펴봄으로 연극의 미래 동향을 파악할 수 있다. 라. 연극에 대한 기본 지식과 이해를 바탕으로 연극 제작과 감상 및 비평 활동에 적용할 수 있다.
Ⅲ. 교육표준 개발|57
과목명
교육목표 연기의 개념을 이해하고 연기에 필요한 언어와 신체의 표현, 대본분석 등의 훈련을 통하여 창의 적인 표현능력을 기른다. 가. 연기에 대한 개념을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다.
연기
나. 연기에 필요한 정확한 대본 분석 능력을 기른다. 다. 연기에 필요한 정확한 신체와 언어 표현 능력을 기른다. 라. 음악, 무용 등이 연기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고 다른 예술 장르에 대한 연기의 적응력을 기른다. 희곡을 무대 위에 형성화하는 데 필요한 여러 가지 무대 기술의 기능을 이해하고, 활용 기술을 습득한다.
무대
가. 무대 기술의 활용 방법을 습득하고, 실제 연극 제작에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기술
나. 작품의 배경과 주제, 성격에 맞는 무대를 구성하는 능력을 기른다. 다. 연극 제작은 연출, 배우, 각 분야별 전문 예술가들의 협력과 조화로 이루어짐을 이해한다. 라. 무대 장치와 조명, 음향, 의상, 분장 등을 작품에 맞도록 조화롭게 구현하는 능력을 기른다. 연극의 제작 과정을 이해하고 작품 제작 능력을 기른다.
연극 제작 실습
가. 작품의 주제에 맞게 형상화한다. 나. 연극을 이루는 제반 요소들을 유기적으로 통일성 있게 조화시키는 능력을 기른다. 다. 연극 제작 과정에서 역할 분담과 협동 작업이 필수 요소임을 이해한다. 라. 희곡 작품을 무대 형상화하는 과정을 통하여, 연극 제작 과정에서 필요한 문제해결 능력과 창의성을 기른다. 다양한 연극 작품의 감상을 통하여 연극의 특성을 이해하고, 미적 가치를 판단할 수 있는 능력을
연극 감상과 비평
기른다. 가. 다양한 연극 작품의 특성을 분석하고 평가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나. 연극 작품의 가치를 판단할 수 있는 미적 안목을 기른다. 다. 연극의 이해를 바탕으로 올바른 감상과 비평의 태도를 기른다. 라. 연극 감상의 내용을 언어로 표현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58 | 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연극
- 각 과목별 내용체계 <표Ⅲ-2> 예술계열 전문교과 과목별 내용체계 과목명 연극의 이해
내용 체계 • 연극의 특성 : 연극의 본질, 연극의 효능, 연극의 요소 • 연극의 종류 : 희극, 비극, 희극과 비극이 혼합된 연극 • 연극의 양식 : 사실적 연극, 비사실적 연극
• 연기의 이해 : 연기의 개념, 대본 분석 연기
• 연기의 실제 : 대사 훈련, 동작 훈련, 종합 훈련 • 연기의 응용 : 매체와 연기, 장르융합과 연기 • 무대 장치 : 기능의 이해, 기능의 실제
무대 기술
• 무대 조명 : 기능의 이해, 기능의 실제 • 무대 음향 : 기능의 이해, 기능의 실제 • 무대 의상 : 기능의 이해, 기능의 실제 • 무대 분장 : 기능의 이해, 기능의 실제
연극 제작 실습
• 연극 제작 과정의 이해 : 연극 제작 과정, 인적구성
연극
• 감상과 비평의 이해 : 감상과 비평의 개념, 감상과 비평의 의의
감상과 비평
과목명 연극의 이해
• 연극제작의 실제 : 기획, 희곡 결정, 스태프 구성, 캐스팅, 연습, 스태프 작업, 공연, 평가
• 감상과 비평의 요소 : 희곡, 공연 • 감상과 비평의 실제 : 연극의 종류, 연극의 양식
내용 체계 • 연극의 특성 : 연극의 본질, 연극의 효능, 연극의 요소 • 연극의 종류 : 희극, 비극, 희극과 비극이 혼합된 연극 • 연극의 양식 : 사실적 연극, 비사실적 연극 • 연기의 이해 : 연기의 개념, 대본 분석
연기
• 연기의 실제 : 대사 훈련, 동작 훈련, 종합 훈련 • 연기의 응용 : 매체와 연기, 장르융합과 연기
Ⅲ. 교육표준 개발|59
과목명
내용 체계 • 무대 장치 : 기능의 이해, 기능의 실제
무대 기술
• 무대 조명 : 기능의 이해, 기능의 실제 • 무대 음향 : 기능의 이해, 기능의 실제 • 무대 의상 : 기능의 이해, 기능의 실제 • 무대 분장 : 기능의 이해, 기능의 실제
연극 제작 실습
• 연극 제작 과정의 이해 : 연극 제작 과정, 인적구성
연극
• 감상과 비평의 이해 : 감상과 비평의 개념, 감상과 비평의 의의 • 감상과 비평의 요소 : 희곡, 공연 • 감상과 비평의 실제 : 연극의 종류, 연극의 양식
감상과 비평
• 연극제작의 실제 : 기획, 희곡 결정, 스태프 구성, 캐스팅, 연습, 스태프 작업, 공연, 평가
(2) 고등학교 연극 교과용 도서 「연극」 고등학생용 연극교과용 도서는 앞에서 언급하였듯이 기존의 연극관련 서적을 인정도 서로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전국 시도교육감 승인 인정도서 목록’(2006-2011.2)을 살펴 보면, 「연극」 외 5종의 도서가 인정도서로 승인을 받아 놓은 상태이다. 「연극」(김형기외 18명 저, 도서출판 월인)을 제외하면, 「연극 연출(원리와 기술)」(안민수 저, 집문당), 「연극 의 이해」(김형기 저, 연극과 인간), 「연극 제작 실습」(김대현 저, 연극과 인간), 「연기」(미 셸생드니 저, 예니), 「무대기술」(신일수 저, (주)교보문고) 5종 모두 일반 연극도서로서 서 울과 부산 각 교육청에서 연극도서로 사용할 수 있도록 승인한 인정도서이다. 즉 엄밀한 의미에서 국가수준의 고등학교 교육목표나 연극교육목표를 기초로 고등학교 학생을 대 상으로 집필되어진 교과서는 아니라는 뜻이다. 따라서 이 5종의 인정도서는 학교교육에 서 교사들이 부분 또는 전체적으로 참고로 사용할 수 있는 도서이나 학생 스스로 학습하 기에 적절한 도서는 아니다. 「연극」의 경우는 고등학교 연극교육을 목적으로 집필진이 구성되어 개발된 도서로서 그나마 고등학교 학생을 염두에 두고 눈높이를 맞추려고 노력 한 도서이다. 물론 난이도나 내용구성 등 여러 가지 부분에서 문제점을 지적받고 있기는 하나 고등학교 연극 교과용 도서로서 예술계열 고등학교 학생뿐 아니라 일반계 고등학교 학생들이 사용할 수 있도록 개발되었다는 점에서 의미를 찾을 수 있다. 60 | 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연극
고등학교 연극 교과용 도서를 점검함에 있어 본 연구진은 「연극」(김형기외 18명 저, 도 서출판 월인) 도서와 동일한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는 한국연극교육학회 편저 「연극」(연 극과 인간, 2002)을 중심으로 검토하고자 한다. 고등학교 연극 교과용 도서에는 교육목표 를 따로 진술하고 있지 않으므로 내용체계를 중심으로 검토하였는데 그 내용을 간략하게 도표로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28) <표Ⅲ-3> 고등학교 교과용 도서 「연극」의 내용체계 영역
내용체계 (단원의 내용) 1. 연극이란 무엇인가: 연극의 정의, 기원, 분류, 특징, 효능 2. 한국연극사: 전통연희의 공연적 특성, 근대극과의 차이점 3. 동양 연극사: 중국 연극, 일본 연극, 남아시아 연극, 동남아시아 연극, 서아시아 연극
연극의 이해와 감상
4. 서양연극사: 고대 중세의 연극, 르네상스 시대. 신고전주의. 낭만주의 연극, 사실주의 연극, 사실주의에 대한 도전, 현대연극 5. 희곡의 이해: 희곡의 특징과 형태, 구성과 분석 6. 작품쓰기: 이야기 구성, 이야기 만들기, 극적으로 강화하기, 희곡 쓰기, 여럿이 함께 쓰기 7. 연극보기: 관객은 누구인가, 좋은 관객이 되려면?, 공연읽기 1. 연극 공연의 기획과 제작: 공연의 참여자들, 연극 만들기 과정 2. 연기: 연기의 개념, 대사의 이해, 대사 훈련, 움직임 훈련, 분석 훈련 3. 연출: 연출 그리고 연출가, 연출가의 등장과 작업 공간, 연출과 연출가의 작업과정 4. 마임: 마임이란 무엇인가? 움직이기
연극 표현의 실제
5. 창의적 연극놀이: 연극놀이, 연극놀이의 실제 6. 무대 장치: 무대장치의 기능, 무대장치 디자인, 장치제작 7. 무대 조명: 무대조명의 기능, 빛의 특성, 조명기, 조광기, 색, 조명디자인 과정, 전반적 인 극장작업과정 8. 무대의상: 무대의상이란?, 무대의상의 기능 및 목적, 무대의상과 무대장치와의 관계, 무대의상과 무대조명의 관계, 무대 의상디자인의 실제, 재미있는 탈 만들기 9. 분장: 분장이란? 분장의 기본, 무대분장 10. 음향: 연극음향, 효과음향
28) 한국연극교육학회 편, 「연극」. 연극과 인간, 2002 Ⅲ. 교육표준 개발|61
영역
단원의 내용 1. 연극이란 무엇인가: 연극의 정의, 기원, 분류, 특징, 효능 2. 한국연극사: 전통연희의 공연적 특성, 근대극과의 차이점 3. 동양 연극사: 중국 연극, 일본 연극, 남아시아 연극, 동남아시아 연극, 서아시아 연극
연극의 이해와 감상
4. 서양연극사: 고대 중세의 연극, 르네상스 시대. 신고전주의. 낭만주의 연극, 사실주 의 연극, 사실주의에 대한 도전, 현대연극 5. 희곡의 이해: 희곡의 특징과 형태, 구성과 분석 6. 작품쓰기: 이야기 구성, 이야기 만들기, 극적으로 강화하기, 희곡 쓰기, 여럿이 함께 쓰기 7. 연극보기: 관객은 누구인가, 좋은 관객이 되려면?, 공연읽기 1. 연극 공연의 기획과 제작: 공연의 참여자들, 연극 만들기 과정 2. 연기: 연기의 개념, 대사의 이해, 대사 훈련, 움직임 훈련, 분석 훈련 3. 연출: 연출 그리고 연출가, 연출가의 등장과 작업 공간, 연출과 연출가의 작업과정 4. 마임: 마임이란 무엇인가? 움직이기
연극 표현의 실제
5. 창의적 연극놀이: 연극놀이, 연극놀이의 실제 6. 무대 장치: 무대장치의 기능, 무대장치 디자인, 장치제작 7. 무대 조명: 무대조명의 기능, 빛의 특성, 조명기, 조광기, 색, 조명디자인 과정, 전반 적인 극장작업과정 8. 무대의상: 무대의상이란?, 무대의상의 기능 및 목적, 무대의상과 무대장치와의 관 계, 무대의상과 무대조명의 관계, 무대 의상디자인의 실제, 재미있는 탈 만들기 9. 분장: 분장이란? 분장의 기본, 무대분장 10. 음향: 연극음향, 효과음향
고등학교 연극 교과용 도서는 보는 바와 같이, 교육내용은 상당부분 이론적인 부분에 치우쳐 있고 연극을 제작하는 과정에 대한 학습내용이 상대적으로 부족하게 집필되어 있 다.
(3) 고등학교 연극 교육과정 현황의 시사점 고등학교 현행 교육과정이 본 연구에 시사하는 바를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이 정리 할 수 있다.
62 | 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연극
가) 예술계열 전문교과 교육과정’중 연극 관련 과목별 교육목표와 내용체계 의 시사점 ‘예술계열 전문교과 교육과정’은 분명 전문 예술인을 양성하기 위한 교육과정임에 틀림 없다. 그러나 우리나라 교육여건상 연극과 관련하여 고등학교 전문교과 교육과정은 고등 학교 이전에 국가수준의 선행학습이 이뤄지지 않은 상태에서 곧바로 전문교육과정이 운 영되고 있으므로 교육내용 선정 시 ‘기초연극교육’이 가능하도록 교육과정이 편성되어야 하며, 한편으로는 전문 연극 예술인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진로와 진학을 고려하여 ‘전문 연극교육’이 가능하도록 편성되어야 한다. 즉, 전문계 고등학교는 연극과 관련하여서는 ‘기초학습기관’인 동시에 ‘전문학습기관’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해야 하는 것이다. 따라서 교육과정은 체계적인 연극교육을 접하지 못한 다수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진행하는 기초 학습부터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을 습득하고 전문연극인에게 필요한 기본적인 능력을 향 상시켜 줄 수 있도록 폭넓게 마련되어 있다고 봐야 한다. 이 교육과정 중 기초 학습에 해 당하는 부분은 연극을 전공하지 않는 일반 고등학교 학생들에게도 적용할 수 있는 학습 내용이 될 수 있다. 실제로 국가가 마련한 교육과정은 일반계 고등학교 학생들의 선택교 육을 위하여 학교 교육과정 편성 시 전문계열 과목을 선택할 수 있도록 안내하고 있다. 다시 말하자면, 문화예술교육으로서의 연극교육을 고려한다면, 고등학교 연령대의 학생 들은 연극전문교과의 기초에 해당하는 수준은 학습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예컨대, ○ 연극의 본질과 효능을 이해하고 연극의 구성요소를 파악하기 ○ 연기에 대한 기본개념 이해하기 ○ 연극의 제작과정을 이해하고 역할분담과 협동작업이 필수요소임을 이해하기 ○ 연극작품 감상을 통하여 미적가치를 판단하는 능력을 기르기 등이 그 기초에 해당된다. 따라서 고등학교 연극교육의 목표설정이나 교육내용선정에 위의 사항이 고려되어야 한다.
나) ‘고등학교 연극 교과용 도서 점검’의 시사점: 고등학교 연극 교과용 도서는 교육내용만 보더라도 연극을 만들어 가는 표준과정이 빠
Ⅲ. 교육표준 개발|63
져 있고, 내용을 점검해 보면, 문체의 통일성이나 난이도의 편차가 아주 심한 것을 발견 할 수 있다. 이는 빠른 시간 내에 20여 명이나 되는 집필진이 도서를 집필하다보니 생겨 난 결과인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여러 연극 담당교사들이 연극이론서의 축소판 같다는 의견을 내놓기도 하였다. 처음으로 개발된 연극 교과용 도서라 중학교나 초등학교용 교 과용 도서보다 상대적으로 눈높이를 맞추는 데 실패한 것으로 보인다. 학생들이 쉽게 이 해할 수 있는 용어의 사용이 요구되고, 연극의 이해 부분에서의 연극사의 비중이 너무 크 고 깊이 있어, 자칫 학생들의 흥미를 떨어트릴 우려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은 ‘연극 표현 의 실제’에서도 다수 발견된다. 예컨대, 일반 고등학교에서 장비와 환경적 요건이 갖추어 지지 않은 상태에서, 대학 전공 학생들도 어려워하는 전문적인 무대 기술에 대한 분야별 설명과 이론들은 아무리 연극을 전공한 연극 예술 강사가 수업을 진행한다고 해도 교육 자체에 제약이 따르게 된다. 연극을 전공하지 않는 일반 고등학교 학생들을 고려한다면, 연극사의 경우, 보편적으로 잘 알려진 작품들을 중심으로 동기부여를 하고 이를 중심으 로 연극의 역사적 흐름을 점검하여, 공연예술로서의 연극을 사(史)적 통찰력으로 바라볼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또한, 연극표현의 실제의 경우는 일반 학교에서 실행 가능한 연극 체험이 되도록 실천 가능한 대안들을 제시하는 내용이 더 중요하리라 본다. 이렇듯 적절 한 교육내용의 선정과 난이도 결정에서 아쉬움이 있는 이유는 교육대상에 대한 이해와 고려를 소홀히 한 탓이다. 이와 같은 점들은 연극교육 표준을 설정하는 데 상당히 중요한 시사점으로 봐야 한다.
위와 같은 각 분야별 시사점을 참고하고 앞에서 언급한 국가수준의 고등학교교육목표 를 기초로, 본 연구진은 중학교 연극교육의 목표의 연장선상에서 “고등학교 연극교육 목 표”를 다음과 같이 설정하고자 한다.
64 | 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연극
○ 연극의 미적 특성과 종합 예술적 특성을 이해한다. ○ 생활에서 연극의 다양한 효능을 창의적으로 활용한다. ○ 연극의 제작과정을 이해하고 공동창작과정을 통해 의사소통 능력 및 문제해결능력을 기른다. ○ 다양한 시대적, 문화적, 지역적 배경의 연극 감상을 통하여 미적 가치를 판단할 수 있는 능력 을 기른다.
○ 연극을 통해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예술적으로 표현한다. ○ 미래 지향의 통합적 문화를 창조하는 태도를 기른다.
3. 교육표준 개발의 실제 1) 연극교육의 목표 설정
앞서 본 연구진은 우리나라의 연극교육과정을 점검해 보았다. 초·중등의 각 교급별 연 극관련교과 및 인근 예술교과의 교육목표와 교육내용을 점검하고 현재 개발되어 있는 각 교급별 연극교육지침서 및 교과용 도서와 전문교과로서의 연극교육과정까지 살펴보았다. 또한 현재 진행되고 있는 연극교육과정이 시사하는 바들을 각 교급별로 정리하여 문화예 술교육으로서의 연극교육목표 설정이나 교육내용 선정에 참고할 만한 사항들을 점검해 보았다. 이러한 시사점들을 참고하고, 초·중·고 연극교육의 연계성을 고려하여 연극교육 의 목표를 설정하였는데, 교급별 연극교육의 목표를 다시 한 번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Ⅲ. 교육표준 개발|65
<표Ⅲ-4> 교급별 연극교육의 목표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 연극의 기초와 연극 활동에 대
• 연극의 특성과 본질적 요소를
• 연극의 미적 특성과 종합 예술
하여 이해한다.
• 생활 경험 상황에서 연극의 다
이해한다.
• 생활에서 연극의 다양한 효능을
양한 효능을 이해한다.
적용한다.
적 특성을 이해한다.
• 생활에서 연극의 다양한 효능을 창의적으로 활용한다.
• 연극을 수용하고 생산하는 과
• 연극을 수용하고 생산하는 과정
• 연극의 제작과정을 이해하고 공
정을 통해 의사소통 능력 및 문
을 이해하고 공동창작과정을
동창작과정을 통해 의사소통
제해결 능력을 기른다.
통해 의사소통 능력 및 문제해
능력 및 문제해결능력을 기른
결능력을 기른다.
다.
• 연극 감상을 통해 미적 체험의
• 다양한 시대적, 문화적, 지역적
• 다양한 시대적, 문화적, 지역적
기회를 확대하고 연극을 감상
배경에서 연극을 이해하고 감
배경의 연극 감상을 통하여 미
하는 올바른 태도를 갖는다.
상한다.
적 가치를 판단할 수 있는 능력 을 기른다.
• 연극에 흥미를 가지고 자신의
• 연극을 통해 자신의 생각과 감
경험과 생각을 창의적으로 표
정을 창의적으로 표현한다.
현한다.
• 미래 지향의 통합적 문화를 이
• 미래 지향의 통합적 문화를 생활
해한다.
속에 적용하는 태도를 기른다.
• 연극을 통해 자신의 생각과 감 정을 예술적으로 표현한다.
• 미래 지향의 통합적 문화를 창 조하는 태도를 기른다.
본 연구진은 이러한 연극교육의 목표를 바탕으로 연극교육의 범주와 수준, 교육표준의 성취기준 및 행동지침을 마련하고자 한다.
2) 문화예술교육으로서의 연극교육의 수준설정
황정현은 ‘문화예술교육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2009)’에서 문화예술에 대한 개념적 논의를 바탕으로 문화예술교육이 지향해야 할 핵심적인 방향에 대해 연구했는데, 여기서는 통합예술교육과정이나 하나의 예술영역을 중심으로 한 통합교육을 제안하고, 문화예술교육의대상자인 학생의 입장을 고려한 문화예술교육의 수준과 범주를 설정하고 있다. 또한, 다양한 발달이론을 기초로 하여 문화예술교육의 수준을 설정 시 고려해야 할 점 을 다음과 같이 정리하고 있다. 66 | 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연극
첫째, 문화예술교육의 수준을 설정함에 있어 생물학적 발달과 사회문화적 과정은 동시 에 고려할 필요가 있다. 둘째, 학습자의 발달과정에 있어서 인지적 발달과 정서적, 감각적 요소들이 종합적으로 고려될 필요가 있다. 셋째, 문화예술교육은 학습자를 스스로 자신의 삶을 구성해 나가는 발달주체로 간주하 고 문화적이고 개인적인 특수성 및 다양성 측면에서 접근할 필요가 있다. 넷째, 문화예술교육은 각 영역의 세부적인 특성에 따라 결정적 시기도 존재 하지만 동 시에 문화적 소통을 통한 발달의 측면에서 학습자의 전 생애에 걸쳐 영향을 줄 수 있 다.29)
이러한 사항들은 연극교육의 수준을 설정하는 데에도 예외는 아니다. 연극교육은 학습 자의 생물학적, 인지적 발달과 정서적, 감각적 요소들을 바탕으로 학습자가 경험하는 사 회문화적인 환경을 고려하여, 학습자 개개인의 관심과 특성을 고려해 다각적으로 접근되 어야 하며, 이를 기초로 교육과정, 교육방법 및 평가 계획이 설정되어야 한다. 따라서 연 극교육의 수준은 단계별로 몇 개의 그룹으로 구분하여 볼 수 있는데, Level 1-Level 5로 구분하고자 한다. 이를 우리나라 학령체계에 맞춰 구분한다면, ①Level 1 : 초등학교 저학 년(1-2학년) ②Level 2 : 초등학교 중학년(3-4학년) ③ Level 3 : 초등학교 고학년(5-6학년) ④ Level 4 : 중학교1-3학년 ⑤ Level 5 : 고등학교 1-3학년의 학년 군에 해당한다. 이는 연령이나 학년을 기준으로 삼기보다는 발달이론에 기초하고 개인별 특성과 경험 등을 고 려하는 것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또한, 연극의 종합 예술적 특성을 고려하여 드라마를 중심으로 인접 예술장르와의 협 업과 적용 및 활용방안이 고려되어야 한다. 즉, 연극교육은 본질적으로 통합적 예술교육 의 교육과정이 필요하다. 이 시점에서 황정현이 언급한 통합적 문화예술교육은 매우 중 요한 의미를 갖는다. 황정현은 문화예술교육 교과과정의 수준을 설정하는 데 있어서는 문화예술의 수준을 크게 두 단계로 나누어 설정하였다. 첫 단계는 통합의 기초 과정으로 서 학습자가 장르와 분야의 구분을 넘어서 친숙하고 구체적인 내용과 매체들을 다룸으로 써 다양한 경험을 하도록 하는 과정이고 두 번째는 통합의 전이과정으로서 핵심매체를 중심으로 여러 다양한 경험들 사이의 공통된 요소를 이해하여 분야 간의 학습전이가 이 29) 황정현 외,「문화예술교육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2009, p. 69. Ⅲ. 교육표준 개발|67
루어지도록 하는 방식이다. 이는 학습자의 발달에 기초한 구체적인 경험이 먼저 제시되 고 추상적인 개념을 나중에 다루는 방식을 고려한 것이다. 연극교육에서도 이러한 단계 별 수준설정은 적용된다. 연극이 교육현장에서 놀이 중심의 체험, 공연 작품 만들기 중심 의 체험이 학습자의 상황에 맞춰 교육과정이 조직되고 이 과정에서 다양한 장르를 연극 놀이를 통해 경험하게도 하고, 작품의 목표에 맞게 다양한 장르를 통합하기도 한다. 실제 로 이러한 교육과정이 적용된 교수-학습 모형이 창의성 계발 학습 모형과 역할 놀이 학습모형이다. 창의성 계발 학습 모형은 연극적 활동을 통해 교과학습의 내용을 창의 적으로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되는 모형이고, 역할 놀이 학습모형은 실제 연극적 작업을 하는 데 필요한 모형이다.30)
3) 연극교육의 수준과 내용요소
황정현은 “문화예술교육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2009)에서 매체 중심의 교 육과정이 서로 다른 장르의 문화 예술을 동일한 지층 위에서 통합적으로 이해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며, 따라서 문화예술교육의 범주를 매체를 중심으로 언어매체, 시각 매체, 청 각 매체, 몸의 매체로 분류하였고, 언어적, 신체적, 청각적, 시각적 요소가 어우러진 연극 의 종합 예술적 성격은 다매체적 문화예술교육의 전통적 예시로 언급하였다.31) 이를 기 초로 한다면, 연극교육의 내용요소는 ‘언어’, ‘움직임’, ‘청각적 요소’, ‘시각적 요소’로 설 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다시 원론적으로 연극의 특성을 생각해 본다면, 연극은 “일정한 공간에서(무 대), 제한된 인물들(배우)의 대사(말)와 동작(몸)을 주된 수단으로, 일정한 사람들(관객)에 게, 한 방향으로 흘러가는 한정된 시간 내에(시간성), 직접적으로(현장성), 단번에(일회성) 표현, 전달함(소통성)을 성립 요건으로 한다.” 이를 기초로 연극교육의 내용요소를 설정 한다면, ‘언어’, ‘움직임’, ‘무대적 요소’로 설정할 수 있겠다. 따라서 본 연구진은 연극교육 의 내용요소를 ‘언어’, ‘움직임’과 함께 ‘무대적 요소’와 ‘청각적 요소’, ‘시각적 요소’를 아 우를 수 있는 ‘구성적 요소’ 로 설정하고자 한다. ‘구성(Composition)’을 연극교육의 내용 요소로 설정하는 이유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구성(構成, Composition)의 사전적 의미는 몇 가지 부분이나 요소들을 모아서 일정한 30) 황정현 외, 「연극분야(초등)교수지침서」,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09, p. 13. 31) 황정현 외, 「문화예술교육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09. p. 71-79. 68 | 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연극
전체를 짜 이룸 또는 그 이룬 결과를 지칭한다. 문학 작품에서 형상화를 위한 여러 요소 들을 유기적으로 배열하거나 서술하는 일, 미술에선 색채와 형태 따위의 요소를 조화롭 게 조합하는 일, 음악에서도 음악을 형성하는 제 요소들을 조합하는 것이 구성이라는 의 미이다. 창조 작업의 핵심으로서의 구성은 연극에서는 그 본질의 큰 축을 이루는 언어와 움직 임에 생명과 의미를 부여하는 중대한 역할을 한다. 또한 구성은 연극을 시청각적 요소들 을 아우르는 종합예술로서 격상시키는 핵심적 요인이다. 뿐만 아니라, 구성은 연극 창조 를 위한 체계와 조직의 구축 및 운용에 이르기까지 적용범위가 광대하다. 언어에 관해서 구성이란 연극의 스토리텔링에 예술적 흥미를 불러일으키는 의미와 아 름다움의 창조에 깊이 관여한다. 언어와 움직임을 연극 창조를 위한 필수 재료라고 한다 면, 구성은 언어와 움직임에 생명과 스타일을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선택과 배열을 위한 구성을 통해 일반적인 언어는 극적 언어로 창조된다. 단어와 어투의 선택과 배열은 캐릭 터에게 부여되어 생명과 개성을 만들어 낸다. 그리고 극적 관계 속에서 어우러지는 가지 각색 언어들의 협연을 통해 독자와 관객은 캐릭터들의 정신과 행동을 이해하게 된다. 이 에 더하여, 언어 자체에 시청각적 요소들을 함께 구성하면서 강력한 미적 체험을 유도하 는 경우도 많다. 셰익스피어의 대사가 주는 음악적, 시각적 상상과 아름다움의 체험의 그 예가 될 만하다. 구성은 무대에서 실현하는 과정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시각적 요소와 청각적 요소들을 활용한다. 무대 위에서 보여 지는 모든 것, 즉 배우의 행위, 그 행위의 흐름, 그 행위를 Support하는 무대, 의상, 소품, 조명 등등의 디자인 요소들은 시각예술 차원의 구성이라 고 할 수 있다. 배우의 말, 몸이 움직이며 내는 소리, 그 말과 소리의 흐름, 그리고 이러한 것들을 더욱 강조하거나 미화하는 음악 등의 전반적인 과정과 작업을 청각적 차원의 구 성이라고 할 수 있다. 실제로는 연극 예술가들의 구성 작업은 시각적 요소와 청각적 요소 를 동시적으로 결합하여 극적 체험을 증폭 및 확대하고자하는 의도를 가지고 있는 경우 가 일반적이다. 연극이 종합예술이 되는 이유이다. 또한, 구성은 보다 넓은 의미로는 연극 창조를 위한 체계와 연극 작업에 참여하는 방대 한 예술가들을 조직하는 의미에서도 쓰인다. 리서치 구성, 리허설 구성, 스태프 구성, 팀 구성, 작업 스케줄 구성 등 구성이라는 용어는 연극에서는 공동체와 협력이라는 미덕을 강조하는 뜻을 표현하기도 한다. 이와 같은 이유로 연극교육의 내용요소는 ‘언어’, ‘움직임’, ‘구성적 요소’로 설정함이 타
Ⅲ. 교육표준 개발|69
당하다. 각 교육 내용요소 영역은 다시 학습자의 수준과 발달과정을 고려하여 수준별 내용을 선정, 배열할 필요가 있는데, 이는 학습자의 수준별 성취기준과 범위를 설정하는데 기초 자료가 되어 줄 것이다. 수준별로 내용을 배열하는 데는 다음과 같은 원리를 따른다.
첫째, 학습자의 수준, 예술교육의 수준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제시한다. 예를 들면, 소 재의 경우 낮은 수준에서는 친숙하고 가깝고 구체적인 소재를 다루도록 하고, 높은 수준 에서는 낯설고 멀고 추상적인 소재를 다루도록 한다. 그리고 주제 혹은 내용의 경우 낮은 수준에서 친숙하고 간단한 주제를, 높은 수준에서는 추상적이고 복잡한 주제를 다루도록 한다. 둘째, 예술교육의 형식성, 공식성을 고려하여 낮은 수준에서는 비형식적, 비공식적 예 술교육을, 높은 수준에서는 형식적, 공식적 예술교육을 제시한다. 셋째, 동일한 예술교육 목적을 공유하면서 예술교육의 유형을 세분화하기 어렵고, 학습 의가치가 높다고 판단되는 소재, 주제, 내용의 수준을 달리하여 중복하여 제시한다.32)
32) 황정현 외 「문화예술교육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09. p. 96 70 | 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연극
이와 같은 원리를 고려하여 연극교육의 내용 구성은 다음과 같이 구성한다. 연령과 발달과정을 기초로 교육과정의 연계성, 체계성을 고려하여, 놀이로서의 연극, 문화유산으로서의 연극, 예술로서의 연극으로 단계별로 구성하고, 연극의 요소를 이해하 는 과정, 창의성을 신장하는 과정, 문화인으로 양성하는 과정으로 구성한다. 이를 초·중등 교급별로 설명하면, 초등학교 학습자를 위해서는 놀이를 중심으로 연극 을 체험하여 감각 열기, 상징화하기, 연극을 통한 소통하기, 연극과 놀기, 연극과 만나기, 연극알기 등의 교육과정을 통해 연극 요소들을 체험, 이해하도록 하고, 중학교 학습자를 위해서는 문화유산으로서의 연극을 체험하는 과정으로 연극 창작, 연극의 이해 등을 통 해 창의성을 신장하도록 한다. 고등학교 학습자를 위해서는 예술로서의 연극을 체험하도 록 하여, 연극 제작, 연극 읽기 등을 통해 문화인으로서의 자질을 갖출 수 있도록 한다. 다시 설명하자면, 놀이로서의 연극교육은 놀이의 연극성과 연극의 놀이성이 만나는 접점 이라고 말할 수 있다. 놀이를 통하여 자신의 몸을 탐색하게 하고, 몸을 이용하여 스스로 조작하게 하고 이를 통하여 드라마를 만들 수 있다. 또한, 소리, 움직임, 말과 이야기를 이 용한 놀이를 통해 공감각적 훈련을 경험하게 될 뿐 아니라 연극의 요소를 체험, 이해하 는 계기를 마련한다. 또한 친구들과 함께하는 놀이는 연극의 종합예술적 특성을 자연스 럽게 인식하게 한다. 문화예술로서의 연극교육은 중학교 학생들의 창의성 신장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문화적, 지역적, 시대적 배경이 다른 다양한 연극을 감상함으로서 연극예술 과 생활의 관계성을 이해하고, 연극의 사회적 기능을 인식하게 된다. 또한 연극 창작 과 정을 통해 일상에 대한 자세한 관찰을 유도하고 그 소중함을 다시 깨닫는 계기를 마련하 며, 다양한 해석과 다양한 표현을 경험함으로서 학습자의 상상력과 창의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술로서의 연극교육은 문화예술로서의 연극 교육의 연장선상에서 연극창작을 경험하고, 이와 함께 창작 작업의 사회적 의미를 학습하게 한다. 연극작품 대한 비평적 감상훈련을 통해 올바른 연극읽기 훈련을 하고 이를 바탕으로 연극 만들기를 어떻게 할 것인가를 생각하게 할 수 있다. 더불어 연극이 동시대에 어떻게 존재하여야 하며, 예술로 서의 연극은 어떤 역할을 할 것인가, 향후 우리나라 연극은 어떻게 발전되어야 하는가를 비평적으로 토론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를 수 있도록 한다. 즉, 교급별 연극교육을 아래와 같은 개념으로 정리할 수 있다.
Ⅲ. 교육표준 개발|71
<표Ⅲ-5> 교급별 연극교육의 개념도
위의 개념을 앞에서 언급한 Level의 개념을 적용하여 수준별(학년군별)33) 연극교육 개 념체계를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표Ⅲ-6> 수준별(학년군별) 연극교육의 개념 단계
학년군
연극교육 개념
Level 1
초등학교 저학년(1-2학년)
Level 2
초등학교 중학년(3-4학년)
Level 3
초등학교 고학년(5-6학년)
Level 4
중학교1-3학년
문화유산으로서의 연극
Level 5
고등학교 1-3학년
예술로서의 연극
놀이로서의 연극
위와 같은 수준별(학년군별) 연극교육의 개념을 중심으로 연극교육의 내용요소를 정리 하면 아래와 같다.
33) 여기서 ‘수준별’이란 반드시 학년군에 따른 수준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학습자의 개인차에 따라 이전 Level에서 다음 Level로 학습 단계로의 학습속도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정확한 의미에서 이 Level은 연 령이나 학령의 Level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성취수준이나 학습정도를 의미한다고 하겠다. 그러나 대개 의 경우 학습속도나 성취기준, 학습정도가 ‘학년군’분류와 일치하기 때문에 병기 표현하였다. 72 | 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연극
<표Ⅲ-7> 연극교육 개념 중심의 연극교육 내용요소 세부 내용요소 Level 1
Level 2
Level 3
Level 4
Level 5
초등학교 저학년 (1-2학년)
초등학교 중학년 (3-4학년)
초등학교 고학년 (5-6학년)
중학교 (1-3학년)
고등학교 (1-3학년)
언어
이야기 꾸며 말하기(storyt elling), 읽기, 쓰기, 말하기, 음성언어, 잘 듣기, 듣고 이해하기
브레인 스토밍(brains torming), 글짓기, 문자언어, 대화하기
비언어적 표현, 감상문 쓰기, 테이프 레코딩(tape recording), 문집
신문 만들기, 문장 분석, 상징의 언어적 표현
문해력, 정확한 화술
움직임
자신의 몸에 대한 인식, 몸 탐색하기, 몸으로 말하기, 정지 동작으로 표현하기 등
감정이나 느낌의 몸짓 표현, 함께 이미지 만들기
일상에 대한 관찰 및 분석, 극적상황에서 움직임 찾기
바르게 움직이기, 상징의 몸짓 표현, 역할극, 무언극
배경음악 찾기, 극적 공간 상상하기
주제에 맞는 음악 찾기, 리듬과 템포, 청각적 요소의 통합 및 구성, 디자인, 그림, 시각적 요소의 통합 및 구성
내용 요소
구성적 요소
리듬치기 놀이, 심상을 그려보기
느낌이나 감정을 음악으로 표현하기, 그래프 또는 공간 그려보기
학습자료 조작하기, 드라마
노래 만들기, 음악의 느낌을 언어와 신체로 표현하기, 학습내용 그리기
4) 연극교육 방법(전략)
문화예술교육으로서의 연극교육은 초등·중등·고등의 모든 학교급별 학생 및 학교교육 을 받지 않는 동일 연령대의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므로, 다양한 교육환경에서 다양한 학 습군을 위한 가장 효과적인 교육과정의 선정이 필요하다. 즉 획일적인 교육과정이 아니
Ⅲ. 교육표준 개발|73
라 자율적인 교육과정 구성이 필요하다. 문화예술진흥원은 「방과 후 교육을 위한 통합형 문화예술교육 모형 개발 연구」(김영주 외, 2007)를 통하여 다양한 교육활동모형을 제시하 고 있는데, 체험 활동 중심형, 이해 활동 중심형, 소통 활동 중심형으로 교육 활동의 성격 에 따라 체험, 이해, 소통 3가지의 특성을 강조하였다. 이는 체험, 이해, 소통의 과정을 겪 는 예술의 과정적 특성을 강조한 것으로서 음악, 미술, 만화애니메이션, 연극, 국악 등 장 르는 다양하지만 각 장르별로 예술 활동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겪게 되는 공통점을 교육 과정에 적용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연극의 종합 예술적 특성은 연극 교육에 있어 문화예 술 장르간 통합교육이라는 전략이 필요하고, 예술과정 중심의 교육과정은 그 대안이 되 어 줄 것이다. 이 연구에서 제시한 각 교육과정을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34)
<표Ⅲ-8> 통합형 문화예술교육 영역
가) 체험활동 중심모형 감각적 체험을 중심으로 다양한 감각을 일깨우고 표현욕구와 흥미를 불러일으키는 활 동을 중심으로 구성한 교육과정이다. 체험영역은 놀이와 감상의 학습방법을 사용하여 놀 이체험을 통한 감각과 언어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고 보기, 듣기, 말하기, 읽기, 느끼기를 통한 문화예술 감상체험을 목표로 한다. 34) 김영주 외, 「방과후 교육을 위한 통합형 문화예술교육 모형 개발 연구」.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07.p. 57-71 74 | 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연극
<표Ⅲ-9> 통합형 문화예술교육 체험중심 교육과정 구성절차 과정
반응 형성
교육내용
-감각 열기 -감각 느끼기 -탐색하기 -느낌이나 생각나누기
반응 명료화 -형식 이해하기 -작품 감상하기 -질의 응답하기 -토론, 토의
반응 심화 -반응에 기초한 느낌이나 생 각 전달하기 -반응을 구체적으로 표현하기
나) 이해활동 중심모형 표현재료, 표현기법, 표현양식 등의 체험 및 이해활동은 물론 문화예술간의 장르간 또 는 다른 교과나 생활과 문화예술과의 관계성 등 문화예술 활동을 중심으로 구성한 교육 과정이다. 문화예술에 대한 이해와 각 예술영역에 대한 이해로 구분되는데, 연극을 중심 으로 문화예술을 통합적으로 이해하는 것이 가능한 교육과정 모형이다. <표Ⅲ-10> 통합형 문화예술교육 이해중심 교육과정 구성절차 과정
교육 내용
문제인식
문제탐색
문제설정 및 이해 -삶의 문제인식 -작품 감상 -문제화
관계탐색
문제해결 개념발견
개념적용
-관계성이나 규칙성 발견 -특성이나 쓰임의 이해
-정보수집 -관찰과 탐색
-활용의 사례이해 -활용방법 -개념의 확장 및 활용
다) 소통활동 중심모형 예술 활동을 통하여 창의성을 기르고 예술과 생활, 예술과 삶과의 관계를 이해하고 소 통 수단으로서의 예술의 사회적 기능을 이해시키는데 중점을 둔다. 창작의 과정을 중심 으로 영역이 재구성된다. <표Ⅲ-11> 통합형 문화예술교육 소통중심 교육과정 구성절차 과정
교육 내용
기획 주제선정 -작품체험 -공연감상 -생활과의 관계성 -삶의 주제
창작 주제조직
-작품체험 -형식이해 -내용구성 -방법 및 일 정 조직
영역별 창작
-관련영역에 대한 이해 -기능이해
재현 종합 창작
발표
평가
-소통형식에 -전체작품에 대한 이해 -효과적인 대한 완성 소통방법
-생산자/관람자 의 태도 -사회와 문화 예술의 관계 -문화예술의 가치
Ⅲ. 교육표준 개발|75
연극교육 방법을 설정함에 있어 용어의 정리가 필요하겠다. 앞의 연구에서는 체험, 이 해, 소통을 문화예술교육의 내용으로 설정하고 체험활동, 이해활동, 소통활동 등 활동중 심의 교육과정을 설명하고 있다. 학습자로 하여금, 체험을 통하여 예술에 대한 관심을 갖 도록 하고, 이해를 통해 예술의 개념을 확장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하며, 소통을 통해 궁 극적으로 예술의 가치를 알도록 하는 것이다. 즉, 학습자로 하여금, 체험, 이해, 소통의 학 습활동을 하도록 하고, 교사는 체험, 이해, 소통의 교육활동을 하는 것이다. 체험, 이해, 소통의 개념은 학습활동이면서 동시에 교육방법이다. 따라서 연극교육은 체험, 이해, 소 통을 교육방법으로 설정하며, 이 각각의 개념은 독립된 개념이 아니라 교육 내용요소영 역에 따라, 중심적으로 활용되어 질 수도 있으며, 상호보완적으로 활용할 수도 있고, 순차 적으로 활용될 수도 있다. 앞에서 언급한, 교급별 연극교육의 개념과 연극교육의 내용요 소, 연극교육의 방법을 적용하여 다시 정리하면, 연극교육은 언어, 움직임, 구성적 요소를 교육내용으로 하여 체험과 이해 및 소통의 교육활동을 통하여, 단계적으로 놀이로서의 연극, 문화유산으로서의 연극, 예술로서의 연극을 지향한다. 이를 다시 도식화하여 그림 으로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표Ⅲ-12> 연극교육과정 흐름도
76 | 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연극
5) 수준별(학년군별) 연극 교육표준의 기대수준 개발 (1) 수준별(학년군별) 연극교육 표준의 기대수준 개발의 과정 연극교육 표준의 기대수준 개발과정은 다음과 같이 크게 네 단계로 이루어진다. (1)
(2)
수준별(학년군별)
기대수준개발 영역 확인
연극교육목표
→
: 내용영역 및 교육방법
확인
기준
(3)
→
기대수 준 개발
(4)
→
기대수준에 대한 합의 도출
연극교육의 목표는 이미 본고의 <3. 교육표준 개발의 실제>의<3-1) 연극교육의 목표 설정> 에서 정리한 것을 바탕으로 하고 학습대상자는 연령에 따라 5개 그룹으로 구분하 는데, ① Level 1 : 초등학교 저학년(1-2학년) ②Level 2 : 초등학교 중학년(3-4학년) ③ Level 3 : 초등학교 고학년(5-6학년) ④ Level 4 : 중학교1-3학년 ⑤ Level 5 : 고등학교 1-3 학년의 학년군으로 구성한다. 따라서 교육표준의 기대수준은 각 학년군별로 개발하되, ‘언어’, ‘움직임’, ‘구성적 요소’ 영역별로 , ‘체험’, ‘이해’, ‘소통’의 교육방법을 통하여 학습 자가 성취할 수 있을 것(보여 줄 것)으로 기대되는 능력 및 특성을 진술한다.
35)
(2) 기대수준의 개발 방향
‘기대수준’이 무엇을 말하는가에 대한 연구자간의 충분한 이해를 바탕으로 개발방향이 작성되어야 하므로 이러한 목적으로 연구진의 연구와 토론을 거쳐 의견의 접근을 보았 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공통된 의견으로 기대수준을 개발하였다.
35) 양윤정 외, 「제7차 교육과정에 따른 성휘기준과 평가기준 개발연구」(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1), p. 7. 본 연구 보고서에서 ‘성취기준’의 정의로 ‘교수, 학습의 실질적인 기준으로서 각 교과목에서 가르치고 배 워야 할 내용과 그러한 학습내용을 통해 학생들이 성취해야 할(또는 보여 주어야 할) 능력 및 특성을 명 료하게 진술한 것’에 동의하며, 이 정의의 연장선상에서 연구를 지속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성취기준’이 라는 용어 대신 ‘기대 수준’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나, 성취기준이 학습자의 입장의 서술이라면, 기대수준 은 교수자 입장의 서술로 그 목표점이 ‘학생(학습자)가 보여주어야 할 능력 및 특성’에 있는 것으로 서로 상이하지 않으므로 성취기준의 정의를 차용하여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Ⅲ. 교육표준 개발|77
가) ‘기대수준‘의 성격 ○ ‘기대수준’은 교육의 결과 성취(도달)할 것으로 기대되는 목표점을 제시한다. ○ ‘기대수준’은 각 교급별로 설정된 교육목표를 근거로 교육내용 영역별로 제시한다. ○ 각 교육현장에서의 연극교육활동에 직간접적으로 도움을 줄 수 있어야 한다.
나) ‘기대수준’의 개발 방법 ○ 연령별로 학년군을 기준으로 하여 개발한다. 단, 기대수준의 난이도를 고려하여 개 발한다. 예를 들어 전 학년군의 기대수준과, 현 학년군의 기대수준, 그리고 다음단 계의 학년군의 기대수준의 연결성으로 고려하여 개발한다. ○ 최소한, 최종적으로 기대되는 가치가 있는 기준을 설정한다. ○ 각 학년군별 구체적인 교육과정이 설정되어 있는 것이 아니므로, 교육목표를 근간 으로 세부교육 내용요소를 참고로 하여 설정한다. ○ 지적, 심동적, 정의적 영역을 망라하여 개발한다. ○ 너무 지나치게 자세한 내용까지 기준으로 제시하지 않는다. 이는 교사의 창의력을 저해할 수도 있음으로 지양한다. ○ 기대수준의 진술36)은 ‘내용(지식, 기능, 태도)+행동(학습자의 능력, 특성)’ 형태로 진 술하여, 어미의 기술방법은 학생의 입장으로 기술하되, 가능하면 행동방향을 명확하 게 기술하도록 한다.
다) 수준별(학년군별) 연극교육 표준의 기대수준 앞에서 전제한 ‘기대수준’의 성격과 개발 방향, 및 개발 방법에 따라 마련된 기대수준을 수준별(학년군별)로 내용영역과 교육방법에 따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36) 양윤정 외 , 「제7차 교육과정에 따른 성휘기준과 평가기준 개발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1, p. 13 ‘기대수준’의 진술형태는 31)주석에서와 같은 이유로 앞의 연구에서 제시한 ‘성취기준’의 진술형태를 참 고하였다. 78 | 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연극
<표Ⅲ-13> <수준별(학년군별) 연극교육 표준의 기대수준> 단계
영역
방법
체험
• • • •
이해
• 나의 생각과 느낌을 바르게 전달하기 위해서 바르게 말하는 바른 방법을 안다.
소통
• 효과적으로 대화하기 위해서 주의 깊게 들을 수 있다. • 감정을 나타내는 낱말을 알맞게 사용하면서 대화할 수 있다.
체험
• • • •
이해
• 내 몸의 감각기관이 하는 일을 안다.
소통
• 놀이방법을 잘 듣고 지켜야 할 규칙을 지키며 참여할 수 있다.
체험
• 리듬에 맞추어 움직임으로 자신을 표현할 수 있다. • 주변의 세계를 소리로 표현할 수 있다. • 변화된 사물이나 대상의 모습을 보고 처음과 달라진 점을 찾을 수 있다.
이해
• 소리들이 어울려 아름다운 소리가 될 수 있음을 안다. • 이야기를 읽고 떠오르는 이미지를 그림으로 그릴 수 있다.
소통
• 소리를 듣고 상상되는 장면으로 이야기를 만들 수 있다. • 등장인물에 알맞은 가면이나 인형을 만들어 간단한 즉흥극을 할 수 있다.
체험
• 말의 빠르기, 높낮이, 강약에 주의하며 말할 수 있다. • 듣는 이의 처지를 생각하며 부탁, 거절, 위로의 말을 실감나게 할 수 있다. • 연극을 볼 때의 예의를 알고 지키며 감상 후 느낀 점을 토의할 수 있다.
이해
• 말의 빠르기, 높낮이, 강약 표현의 의미를 알고 설명 할 수 있다. • 희곡과 다른 글과의 차이점을 알고 설명할 수 있다.
소통
• 상대방을 배려하면서 말 할 수 있다. • 이야기 글을 대본으로 쓸 수 있다.
체험
• • • •
언어
움직임 Level 1 : 초등학교 저학년 (1-2학년)
구성적 요소
Level 2 :
언어
초등학교 중학년 (3-4학년) 움직임
기대수준 분명하고 똑똑한 발음으로 말할 수 있다. 앞의 이야기에 이어 이야기 꾸며 말하기(storytelling)를 할 수 있다. 그림의 장면에 어울리는 말을 만들 수 있다. 공연을 볼 때의 태도를 알고 실천할 수 있다.
오감각으로 인식한 것을 표정과 동작으로 나타낼 수 있다. 사물이나 동물이 되어 그 특징을 몸으로 표현할 수 있다. 상상한 것이 잘 나타나게 창의적인 움직임으로 표현할 수 있다. 연극을 보고 이야기 속의 인물이 되어 몸짓으로 나타낼 수 있다.
공감각놀이를 하며 소리와 선율에 따라 몸을 마음껏 움직일 수 있다. 상상을 통하여 사물의 이미지를 몸으로 다양하게 표현할 수 있다. 동시를 읽고 함께 이미지를 만드는 표현 놀이를 할 수 있다. 연극을 보고 이야기의 한 장면을 정지동작으로 표현 할 수 있다. Ⅲ. 교육표준 개발|79
단계
영역
구성적
방법 이해
• 감각기관에 집중하여 느낌을 확대하면 풍부한 표현이 가능함을 안다. • 느낌을 표현하는 다양한 방법을 안다.
소통
• 모둠의 결정을 존중하고 수용하며 참여할 수 있다. • 이야기의 뒷부분을 바꾸어 즉흥극으로 표현할 수 있다.
체험
• 음악을 듣고 상황에 맞는 동작을 할 수 있다. • 노래에 알맞은 느낌을 정지 동작으로 표현 할 수 있다. • 이야기 속의 장면을 구체화하여 찰흙으로 표현할 수 있다.
이해
• 연극에서 음악과 음향의 역할을 알고 설명 할 수 있다. • 무대 분위기에 따라 극적 효과가 달라짐을 안다.
소통
• 음악의 느낌을 언어와 신체로 표현하여 이야기를 창작할 수 있다. • 이야기를 창작하는 과정에 자기주도적으로 참여할 수 있다. • 교실 안에 있는 물건들을 활용해 창의적으로 이야기 속의 장면을 꾸밀 수 있다. • 창작 과정에 협동적으로 참여할 수 있다.
체험
• • • •
이해
• 즉흥극을 보고 대화의 일관성과 구성에 대하여 평가할 수 있다. • 이야기를 읽고 이야기의 구성, 인물의 특징에 대하여 쓰고 말할 수 있다.
소통
• 공동작업의 과정에서 문제를 합리적으로 제기하고 협동을 통해 해결할 수 있다. • 촌극을 만들어 발표할 수 있다.
체험
• 근력운동 감각놀이를 하며 내 몸의 긴장과 이완을 조절할 수 있다. • 한 가지 상황을 여러 가지 몸짓으로 표현하고 공통된 특징을 찾을 수 있다. • 상황에 어울리는 표정과 몸짓으로 판토마임을 할 수 있다. • 연극을 관람하고 등장인물의 성격과 움직임과의 관계를 설명 할 수 있다.
이해
• 연극이 이루어지는 조건과 구성요소에 대해 안다. • 감정이나 느낌에 따른 움직임의 차이를 안다. • 인물을 형상화하기 위한 움직임에 대해 설명 할 수 있다.
소통
• 토의를 통하여 중심역할과 주변역할을 정하고 다른 사람과 어울려 활동할 수 있다. • 맡은 배역의 상황을 인지하고 갈등의 원인을 파악하여 움직임으로 표현할
요소
언어
Level 3 : 초등학교 고학년 (5-6학년)
기대수준
움직임
감정을 이입하여 실감나게 말할 수 있다. 주어진 상황에 맞는 즉흥적인 대사를 할 수 있다. 이야기에 등장하는 인물의 특징을 살려 자연스럽게 말할 수 있다. 연극을 보고 감상문을 쓸 수 있다.
80 | 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연극
단계
영역
방법
기대수준 수 있다. • 친구들과 함께 준비한 공연을 할 수 있다.
구성적
체험
• 소리와 리듬으로 상황을 표현 할 수 있다. • 장소나 상황에 어울리는 소리를 만들 수 있다. • 이야기에 맞는 장소를 신체와 소도구를 이용하여 표현할 수 있다.
이해
• 오페라와 뮤지컬의 차이점을 안다. • 연극에서 미술과 디자인의 역할을 안다.
소통
• 대본의 내용에 필요한 소리를 도구를 이용하여 만들어 발표할 수 있다. • 표현과정에서 새로운 아이디어를 내며 서로 협동하여 소리를 만들 수 있다. • 인물의 성격과 상황에 알맞은 의상을 한지와 천을 활용해 창의적으로 꾸밀 수 있다. • 서로의 의견을 존중하며 협동하여 의상을 만들 수 있다.
체험
• 학생들은 자신의 생각과 경험을 적절한 음성언어 및 문자언어로 표현할 수 있다. • 주어진 상황에 맞는 적절한 언어를 이용하여 적절한 대화를 할 수 있다. • 제시된 작품의 느낌을 논리적으로 분석하고 표현할 수 있다.
이해
• 타인의 언어를 적절하게 분석할 수 있다. • 인물, 감정, 상황에 따라 언어적 표현이 달라질 수 있음을 이해한다
소통
• • • •
체험
• 학생이 느낀 감정이나 이미지를 몸으로 표현할 수 있다. • 사물이나 제공된 작품의 상징을 몸으로 표현할 수 있다.
이해
• 자신의 몸에 대해 올바르게 인식한다. • 일상의 관찰을 통하여 움직임을 분석할 수 있다. • 연극적 움직임과 타 장르의 움직임을 비교할 수 있다.
소통
• 인간의 움직임이 갖는 메시지 전달 능력을 이해한다. • 인물의 감정 상태나 극적 상황에 맞게 움직일 수 있다. • 인물의 특성을 표현하는 특징적인 모습을 몸으로 표현할 수 있다.
체험
• 학생이 느낀 감정이나 이미지를 음악이나 소리로 표현할 수 있다. • 이미지나 감정을 그림이나 사물의 조작 등으로 표현할 수 있다. • 다양한 공연의 형태를 감상할 수 있다.
요소
언어
Level 4 : 중학교 (1-3학년)
움직임
구성적 요소
토론을 통하여 생활 속의 관심사를 중심으로 이야기를 만들 수 있다. 주제 및 이야기, 인물에 맞는 대사를 만들 수 있다. 작품의 주제가 갖는 사회적 의미를 토론할 수 있다. 토론을 통해 다양한 관점으로 연극보기를 할 수 있다.
Ⅲ. 교육표준 개발|81
단계
영역
언어
움직임
방법
기대수준
이해
• 작품을 통하여 드라마와 음악의 유기적 결합 형태를 이해한다. • 연극에서의 음악의 역할을 이해한다. • 작품을 통하여 드라마와 디자인, 미술 등 시각적 요소가 어떻게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있는지 안다.
소통
• 협동작업으로 만들어낸 이야기에 적절한 음악 및 음향을 선정할 수 있다. • 음악, 음향, 무대조명이 연극적 요소임을 이해한다. • 협동작업으로 만들어낸 이야기에 적절한 무대공간를 스케치할 수 있다 • 시각적인 효과에 따라 극적분위기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설명할 수 있다.
체험
• 토론을 통하여 작품 감상에 관한 다양한 관점이 있음을 이해한다. • 공연에 대한 비평적 토론을 통해 발전적 제안을 할 수 있다.
이해
• 연극 언어와 일상 언어의 차이를 이해한다. • 정확한 화술법을 이해하고 자신의 언어적 문제를 재인식한다.
소통
• 공연에서의 역할분담의 의미 및 협업의 중요성을 이해한다. • 텍스트 분석을 통하여 장면을 구성하는 주요사건과 주제, 인물의 특성을 파악할 수 있다.
체험
• 사물이나 제공된 작품의 상징을 협동과정을 통하여 몸으로 표현할 수 있다. • 인물에 따른 적절한 표정과 제스처를 표현 할 수 있다.
이해
• 연극적 움직임과 타 장르의 움직임의 차이를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다. • 호흡, 움직임, 화술 사이의 상관관계를 안다
소통
• 인물의 특성에 따른 적절한 움직임을 표현할 수 있다. • 목소리와 육체를 악기로 사용할 수 있다.
체험
• 음악이나 소리의 느낌을 상징화하여 표현할 수 있다. • 자신이 생각한 아이디어를 다양한 시각적 표현 도구를 활용하여 표현할 수 있다. • 다양한 작품을 통하여 연극적 공간의 활용을 비교할 수 있다.
이해
• 연극에서의 음악의 역할을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다. • 연극에서의 디자인 및 공간구성, 빛의 상관관계를 이해한다. • 공간이나 색감의 활용에 따라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가 달라질 수 있음을 이해한다.
소통
• • • • •
Level 5 : 고등학교 (1-3학년)
구성적 요소
발표된 장면을 보고 장면구성요소를 분석할 수 있다. 작품의 분위기와 장면에 어울리는 음악적 요소를 선정할 수 있다. 음악, 음향, 무대조명이 연극적 요소임을 실험을 통해 이해한다. 작품의 장면을 공간 구성할 수 있다. 다양한 공연의 형태를 작품구성에 활용할 수 있다.
82 | 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연극
단계
영역
방법
체험
• • • •
이해
• 나의 생각과 느낌을 바르게 전달하기 위해서 바르게 말하는 바른 방법을 안다.
소통
• 효과적으로 대화하기 위해서 주의 깊게 들을 수 있다. • 감정을 나타내는 낱말을 알맞게 사용하면서 대화할 수 있다.
체험
• • • •
이해
• 내 몸의 감각기관이 하는 일을 안다.
소통
• 놀이방법을 잘 듣고 지켜야 할 규칙을 지키며 참여할 수 있다.
체험
• 리듬에 맞추어 움직임으로 자신을 표현할 수 있다. • 주변의 세계를 소리로 표현할 수 있다. • 변화된 사물이나 대상의 모습을 보고 처음과 달라진 점을 찾을 수 있다.
이해
• 소리들이 어울려 아름다운 소리가 될 수 있음을 안다. • 이야기를 읽고 떠오르는 이미지를 그림으로 그릴 수 있다.
소통
• 소리를 듣고 상상되는 장면으로 이야기를 만들 수 있다. • 등장인물에 알맞은 가면이나 인형을 만들어 간단한 즉흥극을 할 수 있다.
체험
• 말의 빠르기, 높낮이, 강약에 주의하며 말할 수 있다. • 듣는 이의 처지를 생각하며 부탁, 거절, 위로의 말을 실감나게 할 수 있다. • 연극을 볼 때의 예의를 알고 지키며 감상 후 느낀 점을 토의할 수 있다.
이해
• 말의 빠르기, 높낮이, 강약 표현의 의미를 알고 설명 할 수 있다. • 희곡과 다른 글과의 차이점을 알고 설명할 수 있다.
소통
• 상대방을 배려하면서 말 할 수 있다. • 이야기 글을 대본으로 쓸 수 있다.
언어
Level 1 : 초등학교 저학년
움직임
(1-2학년)
구성적 요소
Level 2 :
언어
초등학교 중학년
기대수준
(3-4학년)
움직임 체험
• • • •
분명하고 똑똑한 발음으로 말할 수 있다. 앞의 이야기에 이어 이야기 꾸며 말하기(storytelling)를 할 수 있다. 그림의 장면에 어울리는 말을 만들 수 있다. 공연을 볼 때의 태도를 알고 실천할 수 있다.
오감각으로 인식한 것을 표정과 동작으로 나타낼 수 있다. 사물이나 동물이 되어 그 특징을 몸으로 표현할 수 있다. 상상한 것이 잘 나타나게 창의적인 움직임으로 표현할 수 있다. 연극을 보고 이야기 속의 인물이 되어 몸짓으로 나타낼 수 있다.
공감각놀이를 하며 소리와 선율에 따라 몸을 마음껏 움직일 수 있다. 상상을 통하여 사물의 이미지를 몸으로 다양하게 표현할 수 있다. 동시를 읽고 함께 이미지를 만드는 표현 놀이를 할 수 있다. 연극을 보고 이야기의 한 장면을 정지동작으로 표현 할 수 있다. Ⅲ. 교육표준 개발|83
단계
영역
구성적
방법 이해
• 감각기관에 집중하여 느낌을 확대하면 풍부한 표현이 가능함을 안다. • 느낌을 표현하는 다양한 방법을 안다.
소통
• 모둠의 결정을 존중하고 수용하며 참여할 수 있다. • 이야기의 뒷부분을 바꾸어 즉흥극으로 표현할 수 있다.
체험
• 음악을 듣고 상황에 맞는 동작을 할 수 있다. • 노래에 알맞은 느낌을 정지 동작으로 표현 할 수 있다. • 이야기 속의 장면을 구체화하여 찰흙으로 표현할 수 있다.
이해
• 연극에서 음악과 음향의 역할을 알고 설명 할 수 있다. • 무대 분위기에 따라 극적 효과가 달라짐을 안다.
소통
• 음악의 느낌을 언어와 신체로 표현하여 이야기를 창작할 수 있다. • 이야기를 창작하는 과정에 자기주도적으로 참여할 수 있다. • 교실 안에 있는 물건들을 활용해 창의적으로 이야기 속의 장면을 꾸밀 수 있다. • 창작 과정에 협동적으로 참여할 수 있다.
체험
• • • •
이해
• 즉흥극을 보고 대화의 일관성과 구성에 대하여 평가할 수 있다. • 이야기를 읽고 이야기의 구성, 인물의 특징에 대하여 쓰고 말할 수 있다.
소통
• 공동작업의 과정에서 문제를 합리적으로 제기하고 협동을 통해 해결할 수 있다. • 촌극을 만들어 발표할 수 있다.
체험
• 근력운동 감각놀이를 하며 내 몸의 긴장과 이완을 조절할 수 있다. • 한 가지 상황을 여러 가지 몸짓으로 표현하고 공통된 특징을 찾을 수 있다. • 상황에 어울리는 표정과 몸짓으로 판토마임을 할 수 있다. • 연극을 관람하고 등장인물의 성격과 움직임과의 관계를 설명 할 수 있다.
이해
• 연극이 이루어지는 조건과 구성요소에 대해 안다. • 감정이나 느낌에 따른 움직임의 차이를 안다. • 인물을 형상화하기 위한 움직임에 대해 설명 할 수 있다.
소통
• 토의를 통하여 중심역할과 주변역할을 정하고 다른 사람과 어울려 활동할 수 있다. • 맡은 배역의 상황을 인지하고 갈등의 원인을 파악하여 움직임으로 표현할 수 있다. • 친구들과 함께 준비한 공연을 할 수 있다.
요소
언어
Level 3 : 초등학교고 학년 (5-6학년)
움직임
기대수준
감정을 이입하여 실감나게 말할 수 있다. 주어진 상황에 맞는 즉흥적인 대사를 할 수 있다. 이야기에 등장하는 인물의 특징을 살려 자연스럽게 말할 수 있다. 연극을 보고 감상문을 쓸 수 있다.
84 | 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연극
단계
영역
구성적
방법
체험
• 소리와 리듬으로 상황을 표현 할 수 있다. • 장소나 상황에 어울리는 소리를 만들 수 있다. • 이야기에 맞는 장소를 신체와 소도구를 이용하여 표현할 수 있다.
이해
• 오페라와 뮤지컬의 차이점을 안다. • 연극에서 미술과 디자인의 역할을 안다.
소통
• 대본의 내용에 필요한 소리를 도구를 이용하여 만들어 발표할 수 있다. • 표현과정에서 새로운 아이디어를 내며 서로 협동하여 소리를 만들 수 있다. • 인물의 성격과 상황에 알맞은 의상을 한지와 천을 활용해 창의적으로 꾸밀 수 있다. • 서로의 의견을 존중하며 협동하여 의상을 만들 수 있다.
체험
• 학생들은 자신의 생각과 경험을 적절한 음성언어 및 문자언어로 표현할 수 있다. • 주어진 상황에 맞는 적절한 언어를 이용하여 적절한 대화를 할 수 있다. • 제시된 작품의 느낌을 논리적으로 분석하고 표현할 수 있다.
이해
• 타인의 언어를 적절하게 분석할 수 있다. • 인물, 감정, 상황에 따라 언어적 표현이 달라질 수 있음을 이해한다
소통
• • • •
체험
• 학생이 느낀 감정이나 이미지를 몸으로 표현할 수 있다. • 사물이나 제공된 작품의 상징을 몸으로 표현할 수 있다.
이해
• 자신의 몸에 대해 올바르게 인식한다. • 일상의 관찰을 통하여 움직임을 분석할 수 있다. • 연극적 움직임과 타 장르의 움직임을 비교할 수 있다.
소통
• 인간의 움직임이 갖는 메시지 전달 능력을 이해한다. • 인물의 감정 상태나 극적 상황에 맞게 움직일 수 있다. • 인물의 특성을 표현하는 특징적인 모습을 몸으로 표현할 수 있다.
체험
• 학생이 느낀 감정이나 이미지를 음악이나 소리로 표현할 수 있다. • 이미지나 감정을 그림이나 사물의 조작 등으로 표현할 수 있다. • 다양한 공연의 형태를 감상할 수 있다.
이해
• 작품을 통하여 드라마와 음악의 유기적 결합 형태를 이해한다. • 연극에서의 음악의 역할을 이해한다. • 작품을 통하여 드라마와 디자인, 미술 등 시각적 요소가 어떻게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있는지 안다.
요소
언어
Level 4 : 중학교 (1-3학년)
움직임
기대수준
구성적 요소
토론을 통하여 생활 속의 관심사를 중심으로 이야기를 만들 수 있다. 주제 및 이야기, 인물에 맞는 대사를 만들 수 있다. 작품의 주제가 갖는 사회적 의미를 토론할 수 있다. 토론을 통해 다양한 관점으로 연극보기를 할 수 있다.
Ⅲ. 교육표준 개발|85
단계
영역
방법
기대수준
소통
• 협동작업으로 만들어낸 이야기에 적절한 음악 및 음향을 선정할 수 있다. • 음악, 음향, 무대조명이 연극적 요소임을 이해한다. • 협동작업으로 만들어낸 이야기에 적절한 무대공간를 스케치할 수 있다 • 시각적인 효과에 따라 극적분위기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설명할 수 있다.
체험
• 토론을 통하여 작품 감상에 관한 다양한 관점이 있음을 이해한다. • 공연에 대한 비평적 토론을 통해 발전적 제안을 할 수 있다.
이해
• 연극 언어와 일상 언어의 차이를 이해한다. • 정확한 화술법을 이해하고 자신의 언어적 문제를 재인식한다.
소통
• 공연에서의 역할분담의 의미 및 협업의 중요성을 이해한다. • 텍스트 분석을 통하여 장면을 구성하는 주요사건과 주제, 인물의 특성을 파악할 수 있다.
체험
• 사물이나 제공된 작품의 상징을 협동과정을 통하여 몸으로 표현할 수 있다. • 인물에 따른 적절한 표정과 제스처를 표현 할 수 있다.
움직임 이해
• 연극적 움직임과 타 장르의 움직임의 차이를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다. • 호흡, 움직임, 화술 사이의 상관관계를 안다
언어
Level 5 : 소통
• 인물의 특성에 따른 적절한 움직임을 표현할 수 있다. • 목소리와 육체를 악기로 사용할 수 있다.
체험
• 음악이나 소리의 느낌을 상징화하여 표현할 수 있다. • 자신이 생각한 아이디어를 다양한 시각적 표현 도구를 활용하여 표현할 수 있다. • 다양한 작품을 통하여 연극적 공간의 활용을 비교할 수 있다.
구성적 이해
• 연극에서의 음악의 역할을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다. • 연극에서의 디자인 및 공간구성, 빛의 상관관계를 이해한다. • 공간이나 색감의 활용에 따라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가 달라질 수 있음을 이해한다.
고등학교 (1-3학년)
요소
소통
• • • • •
발표된 장면을 보고 장면구성요소를 분석할 수 있다. 작품의 분위기와 장면에 어울리는 음악적 요소를 선정할 수 있다. 음악, 음향, 무대조명이 연극적 요소임을 실험을 통해 이해한다. 작품의 장면을 공간 구성할 수 있다. 다양한 공연의 형태를 작품구성에 활용할 수 있다.
86 | 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연극
IV. 설문조사
1. 설문조사의 개요 2. 설문결과의 시사점 3. 참고자료
IV. 설문조사
1. 설문조사의 개요 1) 설문조사의 목적 이번 설문조사의 목적은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이 위탁한 초·중등 제도권 연극교육 과 사회연극교육을 연구 대상으로 한 「연극교육표준 개발연구」의 결과물이 어느 정도 현 장적합성이 있는지를 판단해보기 위해서다. 교육표준은 모름지기 현장적합성이 가장 중요한 부분이다. 따라서 교육 현장에 있는 연극 강사들에게 연구진이 마련한 “연극교육의 목표(예시)”와 “연극교육의 성취기준 및 행동지침(예시)”이 교육현장에 적용하기에 적합한지 여부를 판단해보는 것은 매우 중요 한 일이라고 생각된다.
2) 조사대상 및 조사방법
이 연구의 설문조사는 현재 전국의 초·중등학교에서 연극분야 예술 강사로 활동하고 있는 강사 500명을 대상으로 남·여 구분 없이 실시하였다. 조사 방법은 각 교급별 설문지를 현재 초·중·고등학교에 파견된 연극분야 예술 강사 들을 대상으로 2011.10.17-10.26 기간에 E-Mail을 통하여 발송, 취합하였으며, 2011.10.22 경인지역 예술 강사 모임에 참석한 강사들을 대상으로 직접 설문조사 하였다.
조사 대상자들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가) 성별 설문에 응답한 강사들의 41.8%가 초등을 담당하고 있었으며, 특히 그중에서도 여성이 67.7%를 차지한다.
Ⅳ. 설문조사|89
나) 연령 연령대는 20대에서 40대까지 고루 분포되어 있었다.
다) 현재 담당 교급 및 학년 강사들이 담당한 학년을 보면 1학년에서부터 고등학교 3학년인 12학년까지 고르게 분 포 되어 있었다. 1학년에서 6학년까지 담당 강사가 많은 이유는 설문 모집단내에서 초등 담당강사가 절대적으로 많았기 때문이다.
라) 현재 담당하고 있는 수업 초등의 경우 기본교과와 재량활동이 각각 35.4%, 35.1%차지하고 있으며, 중학교는 재 량활동이, 고등학교는 동아리나 계발활동이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마) 대상자의 학력 예술 강사의 77.8%가 대졸이상의 학력을 갖고 있다
바) 대상자의 예술강사 경력 75.9%의 강사들이 6년 이상의 예술분야 경력을 갖고 있으며, 연극 강사로서의 경력은 62.9%의 강사들이 5년 이하의 경력을 갖고 있다.
사) 현재 담당하고 있는 학생들에 대한 정보 ① 연극학습경력 현재 연극강사들이 담당한 학생들 중 62.9%의 학생이 이전에 연극을 교육과정의 일환 으로 학습한 경험이 있으며, 그 대부분(70.6%)이 초등에 분포하고 있다. 고등의 경우 일부 학생만이 연극학습경험이 있는 것으로 보이는데 이는 연극강사들이 동아리나 계발활동 수업을 담당하고 있는 사례가 많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② 연극이외의 예술장르 학습경력 연극 강사가 담당한 학생들의 연극이외의 예술장르를 학습한 경력은 초등학교에서 주
90 | 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연극
로 국악과 음악을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며, 중학교나 고등학교에서는 거의 학습 경력을 찾을 수 없다.
3) 조사 내용
각 교급별로 설정한 연극교육의 목표 및 연극교육의 범주에 대한 타당성과 연극 교육 표준의 성취기준 및 행동지침에 대한 타당성을 조사하였다. 또한 제시한 연극 교육표준의 성취기준 및 행동지침의 현장적합성을 파악하기 위해 각 교급별 연극 교육표준의 성취기준 및 행동지침의 난이도 및 분량을 조사 하였다.
4) 결과 분석
자료분석은 예술강사들의 연극교육의 목표 및 범주, 연극 교육표준의 성취기준 및 행 동지침의 타당성을 파악하기 위해 백분율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Ⅳ. 설문조사|91
2. 설문 결과의 시사점
이번 설문 결과의 시사점 중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현장에서 수업을 담당하고 있는 연 극 강사들에게 연구진이 개발한 1학년부터 12학년까지의 모든 교급에 대한 연극교육표준 의 만족도를 점검할 수 있었다는 것이었다. 담당 교급이 1학년-12학년까지 고루 분포되어 있기 때문에 각 교급별로 제시한 연극교 육의 목표와 성취기준 및 행동지침에 대하여 해당 강사들이 교육현장경험을 반영하여 응 답할 수 있다는 것이 장점이었다. 특히 초등의 경우 3개의 Level로 구분하여 성취기준 및 행동지침을 제시하고 있는데, 각 강사들이 현재는 담당하고 있지 않더라도 이미 전년도에 교육경험이 있었기 때문에 모든 Level의 성취기준 및 행동지침을 점검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이러한 방법들 을 통해 설문의 신뢰도를 높이고 본 연구진이 개발한 연극교육표준의 현장적합성과 타당 성을 입증할 수 있었다.
설문결과의 시사점 중에서 중점적으로 논의되어야 할 점들은 아래와 같다.
(1) 담당수업 초등의 경우 기본교과와 재량활동이 각각 35.4%, 35.1%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었다. 이는 기본교과의 경우는 교과교육을 위한 도구교과로서의 연극을 설정하여 운영하는 것 으로서 독립예술교과로서의 연극은 아니다. 다시 말해 연극을 예술교과로서 설정하는 것 은 기피한다는 의미도 되는 것이다. 따라서 기본교과에서는 연극예술 자체에 대한 교육 에 집중할 수 있는 상황이 아니라고 판단된다. 위와 같은 문제점은 연극교육에 대한 일반적인 인식이 아직 편협하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고 하겠다. 이러한 문제점을 점차적으로 극복하려면 효율적인 연극교육표준이 개발 되고 이를 바탕으로 연극수업이 활성화되어 그 효과성을 점차적으로 입증하는 길밖에 없 다고 판단된다. 고등의 경우 계발활동이나 동아리 수업이 60%, 80%를 차지하고 있다. 이는 수업의 특 성상, 고등학교에서의 연극교육은 연극에 가까워지기 위한 연극놀이 중심의 수업내용이 거나 연극만들기에 수업이 집중될 가능성이 많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대학진학을 위한 92 | 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연극
입시위주의 교과편성이 주된 현재 상황에서 필연적인 결과라고 할 수 있겠다. 그러나 자 칫 학교와 교사, 학생 모두에게 ‘연극은 노는 것’이라는 연극수업에 대한 오해를 불러올 수 있을 수 있다고 판단된다. 연극교육의 본래 취지를 살리고 효과성을 높이려면 연극예 술자체에 대한 이해와 다양한 내용의 연극수업이 실행되어져야 한다고 판단된다.
(2) 강사들의 경력이나 학력 설문에 응한 연극강사들은 모두 연극을 전공한 전공자이거나 연극현장에서 오랫동안 활동해온 연극분야의 전문성을 갖춘 사람들이었다. 특히, 연극강사들 중 77.8%가 4년제 대학졸업이상의 학력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62.9%가 5년 이하, 38.1%가 6년 이상의 다년 간 연극수업을 진행해온 연극교육전문 강사들이었다. 이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했기 때문에 응답의 신뢰도가 비교적 높았고 본 연구진이 개발한 연극교육표준의 효과성과 현장적합성에 대한 타당성을 높일 수 있었다고 판단된 다.
(3) 학생들의 연극학습경력 본 연구진이 개발한 연극표준의 성취기준 및 행동지침을 학교 현장에서 적용하는데 수 월할 것으로 예측하였으나 학생들의 연극학습경력과 연극표준의 성취기준 및 행동지침 의 적합성간의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찾을 수 없었다. 이는 전년도의 이미 학습한 연극교 육내용이 올해의 연극교육을 하는데 학생들의 학습준비도로 작용하지 못한다는 것을 의 미하며, 체계적이고 연계성이 있는 교육이 진행되지 않고 1학기 또는 1년의 단발성 교육 으로 마무리 된다는 것을 말한다. 어쩌면 교사들이나 강사들 스스로 전 학년이나 전 학기 학습에 대하여 관심을 갖고 이를 바탕으로 교육계획을 수립하지 않았는지도 모른다. 이 유가 어떻든 현재 학교에서의 연극수업이 연계성이 없는 교육이라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겠다. 이러한 문제점이 발생한 이유는 해당학교의 연극수업에 대한 이해와 관심부족이라고 판단된다. 현재 연극수업이 매년 연속성을 가지고 지속적으로 실행되고 있는 학교는 연 극수업의 효과성이 입증된 극소수의 학교뿐이다. 대부분의 일선학교에서는 해당학교의 학교장과 담당교사가 학생들에게 다양한 예술교육을 체험시켜준다는 명목 하에 해마다 Ⅳ. 설문조사|93
다른 장르의 예술교육을 신청하고 있는 형편이다. 다른 장르의 예술교육도 마찬가지겠지만 특히 연극교육은 초등부터 고등까지 지속적 으로 교육을 실시해야만 교육의 효율성이 배가되고 효과성을 입증할 수 있는 예술장르라 고 판단된다. 따라서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연극교육이 중요하다는 사실을 다시 한 번 절 감할 수 있었다. 이를 위해서는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연극교육표준의 개발과 그것을 중 심으로 하는 연극교육의 수준이 향상되어져야 한다고 판단된다.
(4) 연극교육의 목표 설정, 성취기준 및 행동지침에 대한 의견 연구진이 개발한 연극교육의 목표 설정, 성취기준 및 행동지침은 초·중·고 모든 분야에 서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진이 개발한 연극교육 표준안의 현장적합성과 효과성부분에서 타당성을 입증할 수 있었기 때문에 수정 필요 없다고 생각 된다. 설문에 응답한 강사들도 연극교육의 목표에 대해서는 대부분 동의하지만, 성취기준 이나 행동지침 등의 구체적인 부분에서는 다소 의견 차이를 보이기도 했다. 이는 연극교 육에 임하는 강사개인의 태도의 문제와 아직 표준화되지 못한 교육적 용어에 대한 체감 이 서로 다르기 때문이라고 판단된다. 예를 들어 ‘즉흥극’을 초등학생들이 간단한 주제와 상황을 가지고 할 수 있는 비교적 용이한 형태의 용어로 생각하지 않고 연극전공자들이 사용하는 전문적인 즉흥연기훈련을 위한 높은 수준의 용어로 판단하고 있었다.
(5) 연극교육의 범주 설정 본 연구진이 연극교육의 범주를 ‘언어’, ‘움직임’, ‘구성적 요소’로 설정한 것에 대해 9.26%의 강사들이 동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왔다. 이는 강사들마다 연극을 바라보는 시각 의 차이와 연극교육에 대한 개인적인 입장 차이가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판단된다. 보 다 근본적인 문제는 우리나라에는 현재까지 연극강사들이 연극수업을 계획하는 데 기준 으로 삼을 만한 연극교육의 표준안이 없었다는 것이다. 그간 진흥원에서 개발된 연극수 업교재만으로 연극교육에 대한 일관성을 유지하기는 어려웠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효과 적인 연극교육 표준안의 개발이 더욱 중요하다고 할 수 있겠다.
위의 문제점에 대해 본 연구의 자문회의에서는 연극교육의 범주에 대한 현재의 학문적인 견해를 따라 ‘언어’, ‘움직임’, ‘구성적 요소’로 설정하는 것이 타당하다 94 | 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연극
고 결정되었다. (6) 성취기준의 분량과 수준 본 연구진이 제시한 성취기준의 분량과 수준에서는 응답자들 중에서 60%의 강사들이 분량이 많다거나 수준이 높다고 답하였다. 이러한 결과가 나온 것은 현재의 체계적이지 못한 연극교육의 상황을 고려한 탓이라고 판단된다. 설문의 유의사항에 표준화되고 체계 적인 연극교육을 받았을 때를 상정하여 응답하라고 하였지만 대부분의 응답자들이 자신 들이 진행하고 있는 연극교육의 수준을 기준으로 답을 하였기 때문이라고 판단된다. 현재 우리나라의 연극교육의 현주소는 일회성, 이벤트성 교육의 성향이 강하고 체계적 이고 연계성 있는 연극교육을 할 수 있는 상황이 아니라고 판단된다. 이러한 현실에서 본 연구진이 설정한 성취기준 및 행동지침의 분량과 수준이 너무 많다고 느끼거나 어렵다고 느끼는 것이 당연한 현실이라고 판단된다. 그러나 발전적인 미래의 연극교육을 고려한다면 연구진이 제시한 현재의 성취기준의 분량과 수준을 고수하는 것이 합당하다는 자문회의의 결과를 존중하여 현재 연구결과를 그대로 적용하기로 결정했다.
Ⅳ. 설문조사|95
3. 참고자료 1) 「연극교육의 목표」 설정의 적절성
각 교급별로 설정된 「연극교육의 목표」의 적절성 여부를 항목별로 5단위 척도로 응답 하도록 조사하였다. 그 결과를 보면 다음과 같다.
(1) 초등학교 「연극교육의 목표」 설정의 적절성 연극교육의 목표로 설정한 각 항목별 적절성은 1항부터 6항까지 각기 64%, 82%, 116%, 79%, 94%, 61%가 적절하거나 매우 적절하다는 응답을 하였다. ① ② 매우 적절하지 적절하지 않다. 않다.
‘목표’의 내용 1항 : 연극의 기초와 연극 활동에 대하여 이해한다.
④ 적절 하다.
③ 보통 이다.
⑤ 매우 적절하 다.
0%
6.0%
33.3% 36.4%
2항 : 생활 경험 상황에서 연극의 다양한 기능을 이해한다.
3.0%
6.0%
9.0%
42.4% 39.4%
3항 : 연극을 수용하고 생산하는 과정을 통해 의사소통 능력 및 문제해결 능력을 기른다.
6.0%
0%
6.0%
18.2%
97.9%
4항 : 연극 감상을 통해 미적 체험의 기회를 확대하고 연극을 감상하는 올바른 태도를 갖는다.
3.0%
3.0%
15.2% 24.2%
54.5%
5항 : 연극에 흥미를 가지고 자신의 경험과 생각을 창의적으로 표현한다.
3.0%
3.0%
6항 : 미래 지향의 통합적 문화를 이해한다.
9.0%
3.0%
0%
15.2%
78.8%
27.3% 27.3%
33.3%
1항 100 6항
2항
50
매우적절하지 않다.
0
적절하지 않다. 5항
3항
보통이다 적절하다.
4항
초등학교 연극교육의 목표
96 | 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연극
27.3%
매우적절하다.
(2) 중학교 「연극교육의 목표」 설정의 적절성 연극교육의 목표로 설정한 각 항목별 적절성은 1항부터 6항까지 각기 70%, 90%, 100%, 80%, 100%, 90%가 적절하거나 매우 적절하다는 응답을 하였다. ‘목표’의 내용
① ② 매우 적절하지 적절하지 않다. 않다.
③ 보통 이다.
④ 적절 하다.
⑤ 매우 적절하 다.
1항 : 연극의 특성과 본질적 요소를 이해한다.
0%
10%
20%
10%
60%
2항 : 생활에서 연극의 다양한 기능을 적용한다.
0%
0%
10%
50%
40%
3항 : 연극을 수용하고 생산하는 과정을 이해하고 공동창작과정 을 통해 의사소통 능력 및 문제해결능력을 기른다.
0%
0%
0%
30%
70%
3항 : 연극을 수용하고 생산하는 과정을 이해하고 공동창작과정 을 통해 의사소통 능력 및 문제해결능력을 기른다.
0%
0%
0%
30%
70%
4항 : 다양한 시대적, 문화적, 지역적 배경에서 연극을 이해하고 감상한다.
0%
0%
20%
20%
60%
5항 : 연극을 통해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창의적으로 표현한다.
0%
0%
0%
20%
80%
(3) 고등학교 「연극교육의 목표」 설정의 적절성 연극교육의 목표로 설정한 각 항목별 적절성은 1항부터 6항까지 각기 67.7%, 81.8%, 91%, 27.3%, 90.8%, 54.8%가 적절하거나 매우 적절하다는 응답을 하였고, 4항과 6항의 경 우, 63.6%와 45.5%가 보통이라도 응답하여 부정적인 의견은 보이지는 않았다.
Ⅳ. 설문조사|97
① ② 매우 적절하지 적절하지 않다. 않다.
‘목표’의 내용
③ 보통 이다.
④ 적절 하다.
⑤ 매우 적절하 다.
1항 : 연극의 미적 특성과 종합 예술적 특성을 이해한다.
0%
9.1%
27.3%
45.5%
18.2%
2항 : 생활에서 연극의 다양한 기능을 창의적으로 활용한다.
0%
0%
18.2%
63.6%
18.2%
3항 : 연극의 제작과정을 이해하고 공동창작과정을 통해 의사소 통 능력 및 문제해결능력을 기른다.
0%
0%
9.1%
45.5%
45.5%
4항 : 다양한 시대적, 문화적, 지역적 배경의 연극 감상을 통하여 미적 가치를 판단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0%
9.1%
63.6%
18.2%
9.1%
5항 : 연극을 통해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예술적으로 표현한다.
0%
0%
9.1%
54.5%
36.3%
6항 : 미래 지향의 통합적 문화를 창조하는 태도를 기른다.
0%
0%
45.5%
36.6%
18.2%
2) 연극교육의 범주 : ‘언어’, ‘움직임’, ‘구성적 요소’ 설정의 타당성 연극교육의 범주가 교급에 따라 달라지는 것이 아니므로, 범주에 대한 질문은 교급에 상관없이 동일하게 진행하였는데,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연극교육의 범주 설정에 대하여 9.26%만이 부정적인 의견을 주었고 대부분은 긍정적인 응답을 하였다.
전혀타당하지 않다
타당하지 않다
보통이다
타당하다
매우타당하다
응답수(%)
0
9.26
29.6
53.7
27.8
98 | 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연극
전혀타당하지
타당하지
않다., 0
않다, 9.26
매우타당하다 , 27.8
보통이다. , 29. 6
타당하다, 53.7
연극교육의 범주
3) 「연극 교육표준의 성취기준 및 행동지침 (=기대수준)」의 타당성
각 교급별로 설정된 「연극 교육표준의 성취기준 및 행동지침」의 타당성을 항목별로 5 단위 척도로 응답하도록 조사하였다. 그 결과를 보면 다음과 같다.
(1) 초등학교 「연극 교육표준의 성취기준 및 행동지침(=기대수준)」의 타당성 가) 초등학교 저학년(1-2학년) 전체 20개 항목 중 20개 항목에 대하여 적절하다는 의견이 나왔고, 부정적인 의견도 20개 항목에서 골고루 나왔다. “분명하고 똑똑한 발음으로 말할 수 있다.”, “공연을 볼 때 의 태도를 알고 실천할 수 있다.”, “연극을 보고 이야기 속의 인물이 되어 몸짓으로 나타 낼 수 있다.”, “내 몸의 감각기관이 하는 일을 알 수 있다.”, “리듬에 맞추어 움직임으로 자신을 표현할 수 있다.”, “주변의 세계를 소리로 표현할 수 있다.”, “소리들이 어울려 아 름다운 소리가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소리를 듣고 상상되는 장면으로 이야기를 만 들 수 있다.”, “등장인물에 알맞은 가면이나 인형을 만들어 간단한 즉흥극을 할 수 있다.” 라는 항목에서는 10%이상 부정적인 의견이 나왔다.
Ⅳ. 설문조사|99
① 매우 적절하지 않다
② 적절 하지 않다
③ 보통 이다
• 분명하고 똑똑한 발음으로 말할 수 있다.
0%
19%
19% 34% 28%
• 앞의 이야기에 이어 이야기 꾸며 말하기(storytelling) 를 할 수 있다.
0%
9%
22% 38% 31%
• 그림의 장면에 어울리는 말을 만들 수 있다.
0%
3%
19% 50% 28%
• 공연을 볼 때의 태도를 알고 실천할 수 있다.
12%
6%
15% 24% 42%
• 나의 생각과 느낌을 바르게 전달하기 위해서 바르게 말하는 바른 방법을 알 수 있다.
3%
3%
22% 34% 38%
• 효과적으로 대화하기 위해서 주의 깊게 들을 수 있다.
3%
6%
31%
• 감정을 나타내는 낱말을 알맞게 사용하면서 대화할 수 있다.
0%
6%
28% 34% 31%
• 오감각으로 인식한 것을 표정과 동작으로 나타낼 수 있다.
0%
6%
26% 16% 52%
3%
0%
10% 29% 58%
3%
7%
20% 20% 50%
• 연극을 보고 이야기 속의 인물이 되어 몸짓으로 나타낼 수 있다.
3%
13%
22% 22% 41%
이 해
• 내 몸의 감각기관이 하는 일을 알 수 있다.
4%
21%
7%
소 통
• 놀이방법을 잘 듣고 지켜야 할 규칙을 지키며 참여할 수 있다.
3%
0%
19% 28% 50%
• 리듬에 맞추어 움직임으로 자신을 표현할 수 있다.
3%
12%
15% 30% 39%
• 주변의 세계를 소리로 표현할 수 있다.
0%
13%
19%
• 변화된 사물이나 대상의 모습을 보고 처음과 달라진 점을 찾을 수 있다.
0%
6%
25% 34% 34%
• 소리들이 어울려 아름다운 소리가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0%
13%
25% 31% 31%
• 이야기를 읽고 떠오르는 이미지를 그림으로 릴 수 있다.
0%
9%
30% 24% 36%
• 소리를 듣고 상상되는 장면으로 이야기를 만들 수 있다.
0%
18%
27%
• 등장인물에 알맞은 가면이나 인형을 만들어 간단한 즉흥극을 할 수 있다.
3%
14%
20% 34% 29%
영 목 역 표
체 험 언 어
이 해 소 통
움
• 사물이나 동물이 되어 그 특징을 몸으로 표현할 수 있다. 체 험 • 상상한 것이 잘 나타나게 창의적인 움직임으로 표현할 수 있다.
직 임
체 험 구 성 적 요
기대수준(초등1-2학년)
이 해
소 소 통
100 | 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연극
④ 적절 하다
⑤ 매우 적절 하다
19% 41%
25% 43%
31% 38%
15% 39%
나) 초등학교 중학년(3-4학년) 전체 24개 항목 중 24개 항목에 대하여 적절하다는 의견이 나왔고, 부정적인 의견도 23개 항목에서 골고루 나왔다. “듣는 이의 처지를 생각하며 부탁, 거절, 위로의 말을 실감 나게 할 수 있다.”, “희곡과 다른 글과의 차이점을 알고 설명할 수 있다.”, “감각기관에 집 중하여 느낌을 확대하면 풍부한 표현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음악을 듣고 상황에 맞 는 동작을 할 수 있다.” 라는 항목에서는 10%이상 부정적인 의견이 나왔다. “말의 빠르 기, 높낮이, 강약에 주의하여 말할 수 있다.”라는 항목에서는 유일하게 부정적인 의견이 나오지 않았다. “교실 안에 있는 물건들을 활용하여 창의적으로 이야기 속의 장면을 꾸밀 수 있다.”, “창작 과정에 협동적으로 참여할 수 있다.”라는 항목에서는 80% 이상의 높은 적절하다는 의견이 나왔다.
영
목
역
표
기대수준(초등3-4학년) • 말의 빠르기, 높낮이, 강약에 주의하며 말할 수 있다.
언 어
직 임
③ 보통 이다
④ 적절 하다
⑤ 매우 적절 하다
0%
0%
35% 48% 16%
3%
9%
33% 30% 24%
6%
0%
21% 24% 48%
• 말의 빠르기, 높낮이, 강약 표현의 의미를 알고 설명 할 수 있다.
6%
0%
44% 29% 21%
• 희곡과 다른 글과의 차이점을 알고 설명할 수 있다.
3%
13% 28% 34% 22%
소
• 상대방을 배려하면서 말 할 수 있다.
3%
3%
30% 30% 33%
통
• 이야기글을 대본으로 쓸 수 있다.
3%
6%
27% 36% 27%
• 공감각놀이를 하며 소리와 선율에 따라 몸을 마음껏 움직일 수 있다.
0%
9%
21% 36% 33%
• 상상을 통하여 사물의 이미지를 몸으로 다양하게 표현 할 수 있다. 체
0%
3%
19% 34% 44%
험 • 동시를 읽고 함께 이미지를 만드는 표현 놀이를 할 수 있다.
3%
3%
9%
34% 50%
• 연극을 보고 이야기의 한 장면을 정지동작으로 표현 할 수 있다.
3%
0%
6%
30% 61%
체 • 듣는 이의 처지를 생각하며 부탁, 거절, 위로의 말을 실감나게 할 수 있다. 험 • 연극을 볼 때의 예의를 알고 지키며 감상 후 느낀점을 토의할 수 있다. 이 해
움
① ② 매우 적절 적절하지 하지 않다 않다
Ⅳ. 설문조사|101
영
목
역
표
기대수준(초등3-4학년)
① ② 매우 적절 적절하지 하지 않다 않다
③ 보통 이다
④ 적절 하다
⑤ 매우 적절 하다
• 감각기관에 집중하여 느낌을 확대하면 풍부한 표현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6%
9%
18% 29% 38%
• 느낌을 표현하는 다양한 방법을 알 수 있다.
3%
9%
12% 36% 39%
소
• 모두의 결정을 존중하고 수용하며 참여할 수 있다.
3%
6%
26% 29% 35%
통
• 이야기의 뒷부분을 바꾸어 즉흥극으로 표현할 수 있다.
0%
3%
15% 39% 42%
• 음악을 듣고 상황에 맞는 동작을 할 수 있다.
0%
12% 24% 24% 39%
체 • 노래에 알맞은 느낌을 정지 동작으로 표현 할 수 있다.
0%
6%
36% 24% 33%
험 • 이야기 속의 장면을 구체화하여 찰흙으로 표현할 수 있다.
0%
3%
33% 36% 27%
이 해
구
이
• 연극에서 음악과 음향의 역할을 알고 설명할 수 있다.
3%
6%
26% 32% 32%
성
해
• 무대 분위기에 따라 극적 효과가 달라짐을 알 수 있다.
0%
6%
30% 33% 30%
• 음악의 느낌을 언어와 신체로 표현하여 이야기를 창작 할 수 있다.
0%
9%
25% 31% 34%
• 이야기를 창작하는 과정에 자기주도적으로 참여할 수 있다.
3%
3%
21% 32% 41%
• 교실 안에 있는 물건들을 활용해 창의적으로 이야기 속의 장면을 꾸밀 수 있다.
3%
0%
6%
• 창작 과정에 협동적으로 참여할 수 있다.
3%
0%
15% 30% 52%
적 요 소 소 통
38% 53%
다) 초등학교 고학년(5-6학년) 전체 27개 항목 중 27개 항목에 대하여 적절하다는 의견이 나왔고, 부정적인 의견도 27개 항목에서 골고루 나왔다. “즉흥극을 보고 대화의 일관성과 구성에 대하여 평가할 수 있다.”, “소리와 리듬으로 상황을 표현할 수 있다.”, “오페라와 뮤지컬의 차이점을 알 수 있다.”, “연극에서 미술과 디자인의 역할을 알 수 있다.”라는 항목에서는 10%이상 부정적 인 의견이 나왔다. “주어진 상황에 맞는 즉흥적인 대사를 할 수 있다.”, “연극을 관람하고 등장인물의 성격과 움직임과의 관계를 설명할 수 있다.”, “감정이나 느낌에 따른 움직임 의 차이를 알 수 있다.”, “친구들과 함께 준비한 공연을 할 수 있다.”,“이야기에 맞는 장소 를 신체와 소도구를 이용하여 표현할 수 있다.”라는 항목에서는 80% 이상의 높은 적절하 다는 의견이 나왔다.
102 | 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연극
영
목
역
표
기대수준(초등5-6학년)
• 감정을 이입하여 실감나게 말할 수 있다.
③ 보통 이다
④ 적절 하다
⑤ 매우 적절 하다
3%
6%
13% 34% 44%
4%
0%
7%
0%
3%
22% 38% 38%
3%
3%
16% 34% 44%
0%
19% 25% 22% 34%
0%
9%
16%
• 공동작업의 과정에서 문제를 합리적으로 제기하고 협동 을 통해 해결할 수 있다.
3%
6%
22% 19% 50%
• 촌극을 만들어 발표할 수 있다.
3%
0%
19% 38% 41%
• 근력운동 감각놀이를 하며 내 몸의 긴장과 이완을 조절할 수 있다.
6%
3%
25% 25% 41%
• 한 가지 상황을 여러 가지 몸짓으로 표현하고 공통된 특징을 찾을 수 있다.
3%
3%
24% 30% 39%
• 상황에 어울리는 표정과 몸짓으로 판토마임을 할 수 있다.
0%
9%
25% 25% 41%
• 연극을 관람하고 등장인물의 성격과 움직임과의 관계를 설명 할 수 있다.
3%
3%
12% 30% 52%
3%
3%
16% 34% 44%
0%
3%
16% 35% 45%
• 인물을 형상화하기 위한 움직임에 대해 설명 할 수 있다.
3%
6%
31% 22% 38%
• 토의를 통하여 중심역할과 주변역할을 정하고 다른 사람 과 어울려 활동할 수 있다.
3%
0%
13% 38% 47%
소 • 맡은 배역의 상황을 인지하고 갈등의 원인을 파악하여 통 움직임으로 표현할 수 있다.
3%
3%
30% 24% 39%
6%
0%
3%
• 주어진 상황에 맞는 즉흥적인 대사를 할 수 있다. 체 험 • 이야기에 등장하는 인물의 특징을 살려 자연스럽게 말할 수 있다. • 연극을 보고 감상문을 쓸 수 있다. 언 어
① ② 매우 적절 적절하 하지 지 않다 않다
• 즉흥극을 보고 대화의 일관성과 구성에 대하여 평가할 수 있다. 이 해 • 이야기를 읽고 이야기의 구성, 인물의 특징에 대하여 쓰 고 말할 수 있다.
소 통
체 험
움 • 연극이 이루어지는 조건과 구성요소에 대해 알 수 있다. 직 임 이 • 감정이나 느낌에 따른 움직임의 차이를 알 수 있다. 해
• 친구들과 함께 준비한 공연을 할 수 있다.
36% 54%
31% 44%
34% 56%
Ⅳ. 설문조사|103
영
목
역
표
기대수준(초등5-6학년)
① ② 매우 적절 적절하 하지 지 않다 않다
③ 보통 이다
④ 적절 하다
⑤ 매우 적절 하다
• 소리와 리듬으로 상황을 표현 할 수 있다.
6%
6%
19% 34% 34%
체 • 장소나 상황에 어울리는 소리를 만들 수 있다.
3%
3%
25% 28% 41%
험 • 이야기에 맞는 장소를 신체와 소도구를 이용하여 표현할 수 있다.
3%
3%
9%
0%
10% 20% 37% 33%
3%
15% 27% 18% 36%
• 대본의 내용에 필요한 소리를 도구를 이용하여 만들어 발표할 수 있다.
3%
0%
25% 38% 34%
• 표현과정에서 새로운 아이디어를 내며 서로 협동하여 소리를 만들 수 있다.
3%
6%
16% 25% 50%
• 인물의 성격과 상황에 알맞은 의상을 한지와 천을 활용해 창의적으로 꾸밀 수 있다.
0%
6%
23% 23% 48%
• 서로의 의견을 존중하며 협동하여 의상을 만들 수 있다.
3%
6%
24% 24% 44%
구 이 • 오페라와 뮤지컬의 차이점을 알 수 있다. 성 해 • 연극에서 미술과 디자인의 역할을 알 수 있다. 적 요 소 소 통
41% 44%
(2) 중학교 「연극 교육표준의 성취기준 및 행동지침」의 타당성 전체 27개 항목에 대하여 대부분 ‘매우 적절’하거나 ‘적절’하다고 응답하였고, “제시된 작품의 느낌을 논리적으로 분석하고 표현할 수 있다.” 항목에 대해서는 적절하다는 의견 이 30%에 그쳤으나, 부정적인 의견은 20%였다. “타인의 언어를 적절하게 분석할 수 있 다.” 항목에 대하여는 적절하다는 의견이 50%이었으나 부정적인 의견은 없었다. “작품의 주제가 갖는 사회적 의미를 토론할 수 있다.” 항목에 대하여는 50%가 적절하다고 응답하 였으나, 적절하지 않다는 의견은 10%였다. 영
목
역
표
기대수준(초등1-2학년)
• 학생들은 자신의 생각과 경험을 적절한 음성언어 및 문자언어로 표현할 수 있다. 언 체 어 험 • 주어진 상황에 맞는 적절한 언어를 이용하여 적절한 대화를 할 수 있다. 104 | 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연극
① 매우 적절하지 않다
② 적절 하지 않다
③ 보통 이다
④ 적절 하다
⑤ 매우 적절 하다
0%
0%
20% 30% 50%
0%
0%
20% 50% 30%
영
목
역
표
기대수준(초등1-2학년)
① 매우 적절하지 않다
② 적절 하지 않다
③ 보통 이다
④ 적절 하다
• 제시된 작품의 느낌을 논리적으로 분석하고 표현할 수 있다.
0%
20%
50%
10% 20%
0%
0%
50% 30% 20%
0%
0%
10%
60% 30%
0%
0%
10%
30% 60%
• 타인의 언어를 적절하게 분석할 수 있다. 이 해 • 인물, 감정, 상황에 따라 언어적 표현이 달라질 수 있음 을 이해한다.37) • 토론을 통하여 생활 속의 관심사를 중심으로 이야기를 만들 수 있다.
⑤ 매우 적절 하다
소 • 주제 및 이야기, 인물에 맞는 대사를 만들 수 있다. 통 • 작품의 주제가 갖는 사회적 의미를 토론할 수 있다.
0%
0%
20% 30% 50%
0%
10%
40% 20% 30%
• 토론을 통해 다양한 관점으로 연극보기를 할 수 있다.
0%
0%
40% 30% 30%
체 • 학생이 느낀 감정이나 이미지를 몸으로 표현할 수 있다. 험 • 사물이나 제공된 작품의 상징을 몸으로 표현할 수 있다.
0%
0%
20% 30% 50%
0%
0%
10%
0%
0%
20% 30% 50%
0%
0%
10%
0%
0%
40% 30% 30%
0%
0%
30% 40% 30%
0%
0%
10%
0%
0%
20% 40% 40%
• 자신의 몸에 대해 올바르게 인식한다. 이 • 일상의 관찰을 통하여 움직임을 분석할 수 있다. 움 해 직 • 연극적 움직임과 타 장르의 움직임을 비교할 수 있다. 임 • 인간의 움직임이 갖는 메시지 전달 능력을 이해한다. 소 • 인물의 감정 상태나 극적 상황에 맞게 움직일 수 있다. 통 • 인물의 특성을 표현하는 특징적인 모습을 몸으로 표현 할 수 있다.
40% 50%
40% 50%
40% 50%
37) 「연극 교육표준의 성취기준 및 행동지침」의 타당성을 묻는 실제 설문지에는 각 항목의 ‘~이해한다’, ‘~ 안다’ 는 진술은 ‘~이해할 수 있다 ’, ‘~알 수 있다’로 기술되어 있다. ‘~이해할 수 있다 ’, ‘~알 수 있다’ 는 기술은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서 진행한 국가수준의 교육표준연구인 「제7차 교육과정에 따른 성취기 준과 평가기준 개발연구-고등학교 미술 1학년-」를 참고하고 , 자문위원회의를 거쳐 ‘~이해한다’, ‘~안다’ 로 기술하기로 결정하여 본문에는 ’~이해한다‘, ’~안다‘ 로 기술한 것을 사용하였다. 참고로 한국교육과정 평가원의연구에서는 성취기준의 진술형태를 다음과 같이 기술하고 있다. O 기본 진술 형태 : 내용 ( 지식 , 기능 , 태도 ) + 행동 ( 학습자 입장의 능력 , 특성 ) 。행동을 나타내는 문장 말미는 학생 입장의 진술 방법을 사용한다. - 예 : ~ 할 수 있다 ~ 비교할 수 있다 ~ 열거할 수 있다 ; ~ 을 설명 할 수 있다 ~ 을 분석할 수 있다 ~ 을 안다 ~ 을 이해한다. - 좋지 않은 진술의 예 : ~ 알 수 있다 ~ 이해할 수 있다. Ⅳ. 설문조사|105
기대수준(초등1-2학년)
① 매우 적절하지 않다
② 적절 하지 않다
③ 보통 이다
• 학생이 느낀 감정이나 이미지를 음악이나 소리로 표현 할 수 있다.
0%
10%
20% 30% 40%
체 • 이미지나 감정을 그림이나 사물의 조작 등으로 표현할 험 수 있다.
0%
0%
20% 30% 50%
• 다양한 공연의 형태를 감상할 수 있다.
0%
0%
20%
• 작품을 통하여 드라마와 음악의 유기적 결합 형태를 이해한다.
0%
0%
30% 20% 50%
0%
0%
20% 30% 50%
0%
0%
40% 30% 30%
0%
10%
20% 30% 40%
0%
0%
10%
0%
0%
30% 30% 40%
0%
0%
30% 30% 40%
영
목
역
표
구 이 • 연극에서의 음악의 역할을 이해한다. 성 해 적 • 작품을 통하여 드라마와 디자인, 미술 등 시각적 요소가 어떻게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있는지 안다. 요 소 • 협동작업으로 만들어낸 이야기에 적절한 음악 및 음향 을 선정할 수 있다. • 음악, 음향, 무대조명이 연극적 요소임을 이해한다. 소 통 • 협동작업으로 만들어낸 이야기에 적절한 무대공간를 스케치할 수 있다 • 시각적인 효과에 따라 극적분위기가 어떻게 달라지는 지 설명할 수 있다.
④ 적절 하다
⑤ 매우 적절 하다
10% 70%
30% 60%
(3) 고등학교 「연극 교육표준의 성취기준 및 행동지침」의 타당성 전체 23개 항목 중 16개 항목에 대하여 적절하다는 의견이 나왔고, 7개 항목에 대하여 부정적인 의견이 나왔다. “토론을 통하여 작품 감상에 관한 다양한 관점이 있음을 이해한 다.”, “공연에 대한 비평적 토론을 통해 발전적 제안을 할 수 있다.”, “호흡, 움직임, 화술 사이의 상관관계를 안다.”, “공간이나 색감의 활용에 따라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가 달 라질 수 있음을 이해한다.”, “작품의 장면을 공간 구성할 수 있다.” 항목에서는 적절하지 않다는 의견을 9.1%가 응답하였으며, “연극 언어와 일상 언어의 차이를 이해한다.”, “연 극적 움직임과 타 장르의 움직임의 차이를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다.” 항목에서는 18.2% 가 부정적인 응답을 하였다. 106 | 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연극
영 목 역 표
기대수준
• 토론을 통하여 작품 감상에 관한 다양한 관점이 있음 을 이해한다. 체 험 • 공연에 대한 비평적 토론을 통해 발전적 제안을 할 수 있다.
72.7%
18.2%
0%
9.1%
9.1%
63.6%
18.2%
0%
18.2%
9.1%
54.5%
18.2%
0%
0%
9.1%
54.5% 36.4%
0%
0%
0%
18.2%
81.8%
0%
0%
0%
27.3%
72.7%
0%
0%
0%
45.4% 54.5%
0%
0%
0%
45.5% 54.5%
0%
18.2%
9.1%
54.5%
18.2%
9.1%
0%
37.3% 45.5%
18.2%
• 인물의 특성에 따른 적절한 움직임을 표현할 수 있다.
0%
0%
18.2%
18.2%
• 목소리와 육체를 악기로 사용할 수 있다.
0%
0%
37.3% 45.5% 37.3%
• 음악이나 소리의 느낌을 상징화하여 표현할 수 있다.
0%
0%
18.2%
45.5% 36.4%
• 자신이 생각한 아이디어를 다양한 시각적 표현 도구 를 활용하여 표현할 수 있다.
0%
0%
9.4%
45.5% 45.5%
• 다양한 작품을 통하여 연극적 공간의 활용을 비교할 수 있다.
0%
0%
18.2%
63.6%
• 연극에서의 음악의 역할을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다.
0%
0%
18.2%
36.4% 45.5%
• 연극에서의 디자인 및 공간구성, 빛의 상관관계를 이해한다.
0%
0%
54.5% 27.3%
• 공간이나 색감의 활용에 따라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 지가 달라질 수 있음을 이해한다.
0%
9.1%
18.2%
• 사물이나 제공된 작품의 상징을 협동과정을 통하여 몸으로 표현할 수 있다. 체 험 • 인물에 따른 적절한 표정과 제스처를 표현 할 수 있다.
움 • 연극적 움직임과 타 장르의 움직임의 차이를 이해하 직 이 고 활용할 수 있다. 임 해 • 호흡, 움직임, 화술 사이의 상관관계를 안다
이 해
⑤ 매우 적절 하다
0%
주제, 인물의 특성을 파악할 수 있다.
구 성 적 요 소
④ 적절 하다
9.1%
• 공연에서의 역할분담의 의미 및 협업의 중요성을 이해한다. 소 통 • 텍스트 분석을 통하여 장면을 구성하는 주요사건과
체 험
③ 보통 이다
0%
• 연극 언어와 일상 언어의 차이를 이해한다. 언 이 • 정확한 화술법을 이해하고 자신의 언어적 문제를 어 해 재인식할 수 있다.
소 통
① ② 매우 적절하 적절하지 지 않다 않다
63.6%
18.2%
18.2%
36.4% 36.4%
Ⅳ. 설문조사|107
영 목 역 표
① ② 매우 적절하 적절하지 지 않다 않다
기대수준
③ 보통 이다
⑤ 매우 적절 하다
④ 적절 하다
• 발표된 장면을 보고 장면구성요소를 분석할 수 있다.
0%
00%%
9.1%
54.5% 36.4%
• 작품의 분위기와 장면에 어울리는 음악적 요소를 선정할 수 있다.
0%
0%
9.1%
27.3% 63.6%
소 • 음악, 음향, 무대조명이 연극적 요소임을 실험을 통 통 해 이해한다.
0%
0%
0%
45.5% 54.5%
• 작품의 장면을 공간 구성할 수 있다.
0%
9.1%
18.2%
54.5%
18.2%
• 다양한 공연의 형태를 작품구성에 활용할 수 있다.
0%
0%
18.2%
72.7%
9.1%
(4) 「연극 교육표준의 성취기준 및 행동지침」의 분량의 적절성 각 교급별로 설정된 「연극 교육표준의 성취기준 및 행동지침」의 분량이 적절한지 모든 교급에 동일하게 질문하였고, 5단위 척도로 응답하도록 조사하였다.
그 결과를 보면 다음과 같다. 가) 초등학교 「연극 교육표준의 성취기준 및 행동지침」의 분량의 적절성 46.1%의 강사들이 「연극 교육표준의 성취기준 및 행동지침」이 많거나 적다고 응답하였다.
매우적다
적다
보통이다
많다
매우 많다
응답수(%)
6.0
6.0
51.5
18.1
15.1
매우많다 16%
매우적다 6%
적다 6%
많다 19% 보통이다 53%
성취기준의 분량 108 | 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연극
나) 중학교 「연극 교육표준의 성취기준 및 행동지침」의 분량의 적절성 60%의 강사들이 제시된 「연극 교육표준의 성취기준 및 행동지침」이 교육활동을 운영 하는데 분량 면에서 많다는 의견을 주었고, 10%는 적다고 응답하였다.
매우적다
적다
보통이다
많다
매우 많다
응답수(%)
10
0
30
60
0
매우많다 0%
매우적다 10% 적다 0%
보통이다 30%
많다 60%
성취기준의 분량
다) 고등학교 「연극 교육표준의 성취기준 및 행동지침(=기대수준)」의 분량의 적절성 36.4%의 강사들이 제시된 「연극 교육표준의 성취기준 및 행동지침」이 교육활동을 운영 하는데 분량 면에서 많다는 의견을 주었고, 18.2%는 적다고 응답하였다.
매우적다
적다
보통이다
많다
매우 많다
응답수(%)
0
18.2
45.5
18.2
18.2
매우많다 18%
매우적다 0%
적다 18%
많다 18% 보통이다 46%
성취기준의 분량
Ⅳ. 설문조사|109
(5) 「연극 교육표준의 성취기준 및 행동지침(=기대수준)」의 수준의 적절성 각 교급별로 설정된 「연극 교육표준의 성취기준 및 행동지침」의 수준이 적절한 지 모 든 교급에 동일하게 질문하였고, 5단위 척도로 응답하도록 조사하였다. 그 결과를 보면 다음과 같다.
가) 초등학교 「연극 교육표준의 성취기준 및 행동지침(=기대수준)」의 수준의 적절성 45.3%의 강사들이 제시된 「연극 교육표준의 성취기준 및 행동지침」이 교육활동을 운영 하는데 수준면에서 높거나 낮다고 응답하였다.
매우적다
적다
보통이다
많다
매우 많다
응답수(%)
3.0
6.0
51.5
24.2
12.1
매우높다 13%
매우 낮다 낮다 3% 6%
높다 25% 보통이다. 53%
성취기준의 수준
나) 중학교 「연극 교육표준의 성취기준 및 행동지침(=기대수준)」의 수준의 적절성 70%의 강사들이 제시된 「연극 교육표준의 성취기준 및 행동지침」이 교육활동을 운영 하는데 수준면에서 높다고 응답하였다.
매우적다
적다
보통이다
많다
매우 많다
응답수(%)
0.0
0.0
30
50
20
110 | 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연극
매우 낮다 낮다 0% 0%
매우높다 20%
보통이다. 30%
높다 50%
성취기준의 수준
다) 고등학교 「연극 교육표준의 성취기준 및 행동지침(=기대수준)」의 수준의 적절성 36.4%의 강사들이 제시된 「연극 교육표준의 성취기준 및 행동지침」이 교육활동을 운영 하는데 수준면에서 높다고 응답하였다.
매우적다
적다
보통이다
많다
매우 많다
응답수(%)
0.0
0.0
63.6
27.3
9.1
매우높다 9%
매우 낮다 낮다 0% 0%
높다 27% 보통이다. 64%
성취기준의 수준
Ⅳ. 설문조사|111
V. 결론 및 제언
1. 결론 2. 제언
V. 결론 및 제언
21세기는 창조적인 문화의 시대이며, 이 사회는 곳곳에서 창의적인 측면이 강조되고 있다. 이에 따른 문화예술교육의 새로운 인식과 시도가 요구된다. 그것은 문화적 힘의 원 천이 창의적 사고에 있으며, 이러한 창의적 사고의 계발을 위한 전제로 어느 시대보다 예 술의 역할이 중요하게 작용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관련 인식들도 점차적으로 우리 사회에 정착되어 가며, 교육계에서도 관심과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예를 들면, 2007년과 2009년 개정 교육과정은 학년구별, 교과군별 수업시수를 제시해 학기집중이수를 가능하게 하고 예술에는 음악, 미술뿐만 아니라 연극, 영화영상 무대예술, 문화콘텐츠 등이 포함될 수 있도록 하여 예술교육에 대한 관심이 커 진 듯 보인다. 물론 현실적으로 음악, 미술 그리고 국어내의 문학, 체육내의 표현활동, 통 합교과로서의 즐거운 생활 등은 예술교육의 일관된 시각과 목표보다는 교과중심, 주제중 심의 내용으로 구성, 운영되고 있어 학년별 연계성과 교급별 단계성 등을 통한 체계적인 심화교육이 어렵다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또한 능력 및 적성계발, 진로의 선택 등도 고 학년에 가서 선택되어지고 개발, 심화되는 것이 아니기에, 전 학년을 통해 단계적인 심 화과정의 구성이 제대로 이뤄질 수 있도록 예술교육의 보편성과 특수성을 아우를 수 있 는 교과의 재편성이 요구된다 하겠다. 이를 위해 무엇보다도 각 교과의 성격이 규정되고 그 성격에 의해 목표가 정해지고 내 용이 구성되듯이 우선 문화예술교육의 성격규정이 필요하며, 문화예술교육의 통합된 시 각 속에서 각 교과의 특수성과 전문성을 제시하는 목표와 내용이 구성되어야 한다. 그러 나 아직 심도 있게 이러한 문제점들에 대한 논의가 행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 한 점에서 이번 문화예술교육 표준연구는 우리의 예술교육의 문제점을 직시하고, 앞으로 의 단계성과 체계성 그리고 연계성을 고려하여 이뤄졌다는 점과 연극 교육을 통하여 문 화적 이해를 도모하고, 자신을 비롯한 타인 및 사회를 이해하고 수용하며, 나아가 바람직 한 문화인으로서 성장해야 한다는 목적에 맞는 효과적 예술교육과정 및 방법의 구체화가 선행되어야 한다는 인식을 대두시킨다는 점에서 작업의 의미를 제공한다.
Ⅴ. 결론 및 제언|115
참고문헌 단행본 한국다중지능교육학회(2009) 『다중지능이론과 교육의 실제』서울:학지사 한국연극교육학회 (2004), 「초등학교 연극」연극과 인간, 한국연극교육학회 (2004), 「중학교 연극」 연극과 인간 한국연극교육학회 (2004), 「중학교 연극」교사용 지도서, 연극과 인간, 한국연극교육학회 (2002), 「연극」, 연극과 인간 김명희, 이경희,(1997)『다중지능 : 이론과 실제』문음사
논문 한명구,『한국 중등학교 연극교육 및 연극 교과서 개선 방안 연구』성균관대학교 대학 원, 2007 박사 김현희『다중지능이론에 기초한 통합교육 방법으로서의 교육연극』상명대학교 대학 원, 2005 석사 이인순,『다중지능이론을 적용한 인형매체 교수-학습의 효과』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석사 서연숙,『다중지능 발달을 돕기 위한 수업연구』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석사
자료집 황정현 외(2009) 『문화예술교육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한국문화예술교육 진흥원 김영주 외(2007) 『방과후 교육을 위한 통합형 문화예술교육 모형 개발 연구』, 한국문 화예술교육진흥원 양윤정 외(2001) 『제7차 교육과정에 따른 성취기준과 평가기준 개발연구-고등학교 미 술 1학년-』 한국교육과정평가원 황정현 외(2009) 『연극분야(초등)교수지침서」,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윤현진 외(2010) 『국가교육과정 개정 개편 변화에 따른 교과서 정책 개선방안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참고문헌|117
교육인적자원부『2011 예술계열 전문교과 교육과정 개정을 위한 시안 개발 연구(연 극)』, 2011 예술계열 전문교과 교육과정 개정을 위한 공청회, 2011.7.9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 2009-41호 초등학교 교육과정 해설 총론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 2009-41호 중학교 교육과정 해설 총론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2009-41호, 고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교육인적자원부 고시 제 2007 - 79호 [별책 3] 중학교 교육과정 교육인적자원부 고시 제2007-79호, (별책26) 예술계열 전문교과 교육과정 교육인적자원부 고시 제 2007 - 79호 [별책 3] 중학교 교육과정 음악과 교육과정 교육인적자원부 고시 제 2007 - 79호 [별책 3] 중학교 교육과정 미술과 교육과정 교과용 도서에 관한 규정(대통령령 제8660호)
연속간행물 오세곤, 이연심.(2001) 『2011 예술계열 전문교과 교육과정 연극분야 개정시안 개발 연 구』한국문화예술교육학회
웹사이트 http://www.berlin.de/sen/bildung/unterricht/lehrplaene/ NAEP ARTS EDUCATION FRAMEWORK PROJECT (2008). 「2008 Arts Education Assessment Framework」, National Assessement Governing Board, U.S. Department of Education
118 | 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연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