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rée Affaires n.89 - Présence Française en Corée : Qui sommes-nous ?

Page 1

SXEOLp SDU OD &KDPEUH GH &RPPHUFH HW GÂś,QGXVWULH IUDQFR FRUpHQQH &RUpH $IIDLUHV Q PDUV í•œëśˆěƒ ęłľíšŒě?˜ě†Œ 발행 ꟏ë ˆě•„íŽ˜뼴 89호 2012ë…„ 3ě›”í˜¸ 10 euros / 10000 wons

7YtZLUJL -YHUsHPZL LU *VYtL ! 8\P ZVTTLZ UV\Z & 프랑스ě?˜ í•œęľ­ ě§„ěśœ, 싏츾 진단

Relations bilatĂŠrales Exporter Entreprendre S’implanter Recettes du succès Interview : Sohn Kyung-Shik, Chairman de la Chambre de commerce et d’industrie corĂŠenne í•œëśˆ 관계 ěˆ˜ěśœ 창업 í•œęľ­ ě§„ěśœ ě„ąęłľě?˜ ëš„결 ě?¸í„°ëˇ° : ě†?경ě‹?, ëŒ€í•œěƒ ęłľíšŒě?˜ě†Œ íšŒěžĽ



EDITORIALß

인사말

Présence Française en Corée : Qui sommes-nous ? 한국에 진출한 프랑스 기업의 성공 비결은?

« Tripler les échanges commerciaux en cinq ans », voici l’objectif fixé par les présidents français et coréen en mai 2011 à Paris, un peu moins de deux mois avant l’entrée en vigueur de l’accord de libre échange entre la Corée du Sud et l’Union européenne. Un objectif ambitieux, mais réaliste au regard de la tendance des échanges bilatéraux enregistrés depuis 2010. Mais quelles entreprises s’intéressent à la Corée ? Comment s’y prennentelles pour exporter ou pour s’y implanter ? Quid des entrepreneurs et des règlementations locales ? Ce Corée Affaires fait l’état des lieux de la présence française en Corée du Sud et analyse, au travers de témoignages, les particularités du marché coréen. L’occasion de s’arrêter sur l’équipe de France de l’export, mais aussi bien comprendre les enjeux pour les entreprises qui décident de s’implanter en Corée, que ce soient des filiales industrielles ou des entrepreneurs. Après un bilan des échanges bilatéraux entre la France et la Corée du Sud du service économique de l’Ambassade de France, Corée Affaires vous détaille la procédure à suivre pour exporter en Corée, analyse les enjeux pour la création d’une entreprise à consonance française au pays du matin calme, revient sur les défis rencontrés par les acteurs industriels français et franco-coréens, et dévoile les clés pour réussir en Corée, un pays qui attire de plus en plus de jeunes français. La Chambre tient aujourd’hui un rôle prépondérant dans les échanges franco-coréens, aussi bien dans le sens FranceCorée que Corée-France. Sur 2011, plus de 70 sociétés ont été accompagnées et suivies entre nos deux pays, un résultat appuyé par la signature d’accords de coopération avec des organisations coréennes de premier ordre : le COEX, premier centre de convention de Séoul, et la FKI, fédération des industries coréennes. Afin de supporter et d’accroître les partenariats entre PME coréennes et françaises, nous avons également décidé d’avancer main dans la main avec la Chambre de commerce et d’industrie coréenne (KCCI) en multipliant l’offre de services aux entreprises. Je vous invite à ce sujet à découvrir La Grande Interview avec Sohn Kyung-Shik, Chairman de la KCCI. Je vous souhaite une agréable lecture et vous donne rendezvous pour notre prochain numéro de Corée Affaires à paraître au mois de juin.

‘5년 내 한불 교역 규모를 세 배로 확대.’ 2011년 5월 파리에서 열린 회담에서 만난 한-불 정상이 함께 정했던 목표입니다. 2011년 5월은 한국-EU FTA 발 효까지 두 달도 채 안 남은 때였습니다. 야심찬 목표지만 2010년부터 한불 교 역 추세를 생각해보면 충분히 실현 가능한 목표입니다. 그렇다면 어떤 기업들 이 한국에 관심을 갖고 있는가? 프랑스 기업들은 한국에 수출하거나 진출하기 위해 어떻게 하고 있는가? 기업가들과 현지 규정들은 어떠한지? 이번 호 <꼬 레 아페르>는 프랑스의 한국 시장 진출 상황에 대해 짚어보고 여러 프랑스 기 업인들의 경험담을 통해 한국 시장의 특징에 대해 분석하고 있습니다. 물론 프랑스 기업들은 프랑스 수출팀의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한국에 지사 설립이든 창업이든, 일단 한국에 진출하기로 결심했다면 중요한 쟁점이 무엇인지 먼저 이해해야 합니다. 이를 돕고자 이번 호 <꼬레 아 페르>는 주한 프랑스대사관 경제통상대표부가 제시하 는 한불교역에 대한 종합평가 자료를 소개하고 이어서 한국에 수출하기 위해서는 어떤 절차가 필요한지 상세 히 설명할 것입니다. 아울러 한국에서 창업을 하려는 프 랑스 기업들이 알아야 할 점을 분석하고 프랑스 기업과 한불 합작 기업들이 직면할 수 있는 과제에 대해 설명할 것이고 한국에서 성공하기 위해 필요한 핵심전략은 무 엇일지 소개할 것입니다. 요즘 한국에 진출하려는 프랑 스 젊은이들이 점점 많아지고 있습니다. 현재 한불상공회의소는 프랑스에서 한국, 한국에서 프 랑스, 이렇게 양방향의 한불교역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 고 있습니다. 2011년 동안 한불상공회의소는 70여 개 의 업체를 한국과 프랑스에서 지원하고 꾸준한 후속 서비스를 제공했습니다. 이 같은 성과는 한불상공회의소가 COEX, 전국경제인연합회 같은 한국의 주 요 기관과 협력 MOU를 체결한 덕분입니다. 한국 중소기업과 프랑스 중소기업 의 협력을 지원하고 증진시키고자 한불상공회의소는 대한상공회의소와 손잡고 기업들에게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기로 했습니다. 이와 관련해 손경식 대한상 공회의소 회장님과 특집 인터뷰 기사를 읽어보신다면 더욱 상세한 정보를 얻으 실 수 있을 겁니다. 이번호 <꼬레 아페르>와 유익한 시간 가지시길 바라며 6월에 발행되는 다음 호에서 다시 뵙겠습니다.

David-Pierre JALICON, FKCCI Chairman 다비드 피에르 잘리콩, 한불상공회의소 회장 CORÉE AFFAIRES 89 l 1



INFORMATIONS DE LA FKCCIß

알림

Annuaire 2012 La FKCCI publiera dans les jours qui viennent son annuaire 2012. Si la FKCCI comptait 213 membres à fin 2011, l’annuaire sera cette année imprimé pour la toute première fois avec plus de 200 membres. C’est en effet 205 entreprises qui ont déjà rejoint la Chambre cette année, une nouvelle preuve du dynamisme des relations franco-coréennes. L’annuaire 2012, dont le design intérieur et les contenus ont été revus en profondeur, sera disponible à la vente dès le mois de mai. Devenez fan de la FKCCI sur Facebook et bénéficiez de 10% de réduction ! 2012 회원명부 한불상공회의소의 2012 회원명부가 조만간 발간될 예정이다. 2011년 말 한불상공회의소의 회원사는 213곳이었 다. 올해 회원명부는 처음으로 200곳 이상의 회원사가 모두 실리게 된다. 실제로 205곳의 기업이 올해 한불상공회의소의 새로운 가 족이 되었다. 디자인과 내용이 새롭게 태어나는 2012 회원명부는 5월부터 구입이 가능하다. 한불상공회의소 페이스북의 팔로어가 되면 회원명부를 10% 할인된 가격으로 구입할 수 있다.

Réunion Asie des Chambres de commerce françaises Les directeurs des Chambres d’Australie, du Cambodge, de Chine, de Corée du Sud (Edouard Champrenault), des Émirats Arabes Unis, de Hong Kong, d’Inde, d’Indonésie, du Japon, de Malaisie, des Philippines, de Singapour, de Taïwan, de Thaïlande et du Vietnam, ainsi qu’une large délégation venue spécialement de France (UCCIFE, ACFCI, CCI Paris, CCI Alsace) se sont réunis à Hong Kong les 14-15-16 mars afin de partager leur savoir-faire et leur expertise sur leurs différents marchés. Avec un réseau de plus de 8 000 entreprises françaises et locales implantées en Asie, les Chambres représentent la première plateforme française d’affaires sur la zone : événements, lobbying, relations commerciales, communication, etc. En 2011, ce sont plus de 4 000 entreprises qui ont bénéficié du savoir-faire des Chambres françaises en Asie afin de développer leur activité : exportation, implantation ou simple approche du marché. 프랑스 상공회의소 태평양-아시아 총회의 주 호주 프랑스 상공회의소, 주 캄보디아 프랑스 상공회의소, 주 중국 프랑스 상공회의소, 한불상공회의소(소장: 에두아르 샹 르노), 주 아랍에미리트 프랑스 상공회의소, 주 홍콩 프랑스 상공회의소, 주 인도 프랑스 상공회의소, 주 인도네시아 프랑스 상공회의소, 주 일본 프랑스 상공회의소, 주 말 레이시아 프랑스 상공회의소, 주 필리핀 프랑스 상공회의소, 주 싱가포르 프랑스 상공회의소, 주 대만 프랑스 상공회의소, 주 태국 프랑스 상공회의소, 주 베트남 프랑스 상 공회의소 소장들이 특별히 프랑스 상공회의소 대표단(해외 주재 프랑스상공회의소 연합, 프랑스 상공회의소 연합, 파리 상공회의소, 알자스 상공회의소)과 3월 14일에서 16일까지 홍콩에서 총회의를 갖고 다양한 시장을 통해 쌓은 노하우와 전문지식을 함께 나누었다. 아시아에 있는 프랑스 기업과 현지 기업 8000개 이상의 방대한 네트워 크와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는 프랑스 상공회의소들은 프랑스의 아시아 비즈니스에서 중요한 기반이 된다. 프랑스 상공회의소는 이벤트, 로비, 비즈니스 관계, 홍보 등 다양 한 전문지식을 자랑한다. 2011년에는 4000여 개의 기업들이 아시아 주재 프랑스 상공회의소들의 노하우 덕에 수출, 진출, 시장조사 같은 프로젝트를 더욱 활발히 전개할 수 있었다.

Comité de patronage de la FKCCI 2012 한불상공회의소 2012 후원회원

CORÉE AFFAIRES 89 l 3



SOMMAIREß

목차

Corée Affaires 89 01 ÉDITORIAL / 인사말 03 INFORMATIONS DE LA FKCCI / 알림 06 ÉVÉNEMENTS ENTRE FRANCE ET CORÉE / 프랑스와 한국에서 열리는 행사

Présence Française en Corée : Qui sommes-nous ? 프랑스의 한국 진출, 심층 진단

08 ACTUALITÉS DE LA FKCCI / 한불상공회의소 소식 12 COUP DE PROJECTEUR / 집중 조명 14 INDICATEURS ÉCONOMIQUES / 경제 지표 18 BRÈVES ÉCONOMIQUES / 경제 브리핑 24 LA GRANDE INTERVIEW / 특집 인터뷰 Sohn Kyung-Shik, Chairman de la Chambre de commerce et d’industrie coréenne 손경식, 대한상공회의소 회장 29 DOSSIER / 특집 기사 44 GASTRONOMIE ET SAVEURS CORÉENNES / 한국의 미식문화와 맛 46 ART & CULTURE / 예술과 문화 49 OPINION / 오피니언 Marie-Françoise Marais 마리 프랑수아즈 마레

52 LES DERNIÈRES TENDANCES / 최신 기술 동향

French Korean Chamber of Commerce and Industry Grand Ambassador Seoul 3F, 287, Dongho-ro, Jung-gu, Seoul 100-855 KOREA Tel : (82 2) 2268-9505 Fax : (82 2) 2268-9508 E-mail : welcome@fkcci.com Web site : www.fkcci.com Toute reproduction même partielle des textes et documents parus dans ce numéro est soumise à l’autorisation préalable de la rédaction. La FKCCI décline toute responsabilité quant aux documents qui lui auraient été fournis, ou aux erreurs qui auraient pu échapper à son attention. Les propos tenus dans les articles n’engagent que la responsabilité de leurs auteurs. 이번호에 게재된 기사 및 내용의 부분적인 사용을 포함한 모든 재사용은 편집부의 사전 허락없 이는 불가합니다. 한불상공회의소는 제공되었어야하는 문서, 또는 기사를 제공한 자의 부주의 로 인한 오류에 관해서는 책임지지 않습니다. 기사에 담긴 의도는 저자의 책임하에 있습니다.

30 32 36 38 40 42

Oser la Corée du Sud ! 한국시장에 도전하다!

Bilan des échanges bilatéraux France-Corée en 2011 2011년도 한불교역에 대한 평가

Comment exporter en Corée du Sud ? 한국에 수출하려면?

Entrepreneurs français en Corée : « on assiste à une révolution » 한국에서 활동하는 프랑스인 사업가들: ‘큰 변화가 일어나고 있습니다.’

L'implantation industrielle en Corée : défis et clés du succès 프랑스 기업의 한국 진출: 도전과 성공의 열쇠

Les recettes du succès 성공의 비결

Chairman 회장 I David-Pierre Jalicon Directeur général 상무이사 I Edouard Champrenault Directeur de la publication 출판국장 I Clément Charles Comité éditorial 편집위원 I David-Pierre Jalicon, Edouard Champrenault, Clément Charles, Sébastien Falletti, Eva John, Frédéric Ojardias Ont collaboré à ce numéro 이번호 도움주신 분들 I Eva John, Sébastien Falletti, Frédéric Ojardias, Chae Joohyun, Service économique de l'Ambassade de France Rédacteur en chef 편집장 I Clément Charles Publicité 광고 I Bae Kyoung-Ju, Clément Charles Traductrice 번역 I Lee Ju-Young Maquette et design 레이아웃 I Bae Kyoung-Ju Imprimeur 인쇄 I Samsung Moonwha Printing Co., Ltd.

www.fkcci.com Rendez-vous sur le site de la FKCCI 한불상공회의소 홈페이지를 방문하세요.

Scannez les codes QR pour avoir accès à Corée Affaires sur votre téléphone mobile 휴대폰으로 <꼬레 아페르>를 보려면 QR 코드를 스캔하세요.

en français 프랑스어

en coréen 한국어

CORÉE AFFAIRES 89 l 5


ÉVÉNEMENTS ENTRE FRANCE ET CORÉEß

프랑스와 한국에서 열리는 행사

En France Festival 65e Festival de Cannes Le soixante-cinquième festival de Cannes se tiendra du 16 au 27 mai. Comme chaque année, il mettra en valeur et révèlera des œuvres afin de servir l’évolution du cinéma, favoriser son développement dans le monde et célébrer le 7e art comme il se doit. Du 16 au 27 mai, Cannes (www.festival-cannes.fr)

페스티벌 제65회 칸느 영화제

제65회 칸느 영화제가 5월 16일에서 27일까지 열린다. 올해 도 역시 영화사 발전과 전 세계 영화 발전에 기여하고 제7의 예술인 영화를 빛낸 걸작 작품들이 출품된다. 5월 16~27일, 칸느

(www.festival-cannes.fr)

En Corée du Sud Festival Seoul Spring Festival Pour le festival de musique de chambre organisé chaque printemps depuis 2006 à Séoul, quatre solistes français viendront partager leurs talents avec le public coréen : Emmanuelle Bertrand au violoncelle, Pascal Amoyel au piano, Philippe Pierlot à la flûte et Romain Guyot à la clarinette. Du 30 avril au 13 mai (www.seoulspring.org) Concert Les percussions de Strasbourg

© JC Carbonne

페스티벌 서울 스프링 페스티벌 2006년부터 매년 서울에서 열리는 실내악 축제인 스프링 페 스티벌. 올해에는 프랑스 솔리스트 연주가 네 명이 참가해 국 내 관객에게 멋진 공연을 보여 줄 예정이다. 첼로는 엠마뉘엘 베르트랑, 피아노는 파스칼 아모예, 플룻은 필립 피에를로, 클 라리넷은 로맹 기요가 연주한다. 4월 30일~5월 13일(www.seoulspring.org)

콘서트 스트라스부르그 타악기 앙상블

Pour son cinquantième anniversaire, les Percussions de Strasbourg, un ensemble de musique contemporaine composé de six percussionnistes, viendront donner un concert exceptionnel au Sejong Center à Séoul, un concert rendant hommage aux fondateurs ainsi qu’à ceux qui ont poussé le groupe. 11 mai, Sejong Center, Séoul (www.percussionsdestrasbourg.com)

제5회를 맞는 스트라스부르그 타악기 앙상블은 타악기 6개로 이루어진 현대 음악 앙상블이다. 스트라부르그 타악기 앙상블 이 서울 세종문화회관에서 공연을 가질 예정이다. 스트라스부 르그 타악기 앙상블을 만들고 발전시킨 인물들에게 오마주를 바치는 공연이다. 5월 11일, 서울 세종문화회관

Danse Ballet Preljocaj

댄스 프렐조카쥬 발레단

(www.percussionsdesstrasbourg.com)

Dans le cadre du festival « France Danse 2012 », le chorégraphe Angélin Preljocaj présentera son nouveau projet chorégraphique « Suivront mille ans de calme », un ballet où se croisent des danses russes avec dix interprètes du théâtre de Bolchoï et une approche plus contemporaine avec les danseurs du Ballet Preljocaj. Sur cette création, le scénographe Subodh Gupta et le DJ-Compositeur Laurent Garnier allient également leurs talents. Les 30 et 31 mai, Festival MODAFE, Séoul (www.preljocaj.org)

2012 프랑스 댄스 페스티벌을 맞아 안무가 앙쥴랭 프렐조카 쥬가 새로운 프로젝트 <그 후, 천년의 평화>를 선보이게 된 다. 볼쇼이 발레단 무용수들의 러시아 무용과 프렐조카쥬 발 레단 무용수들의 현대 무용이 어우러지는 공연이다. 이번 프 로젝트에는 작가 수돕 굽타와 DJ겸 작곡가인 로랑 가르니에 도 참여해 공연에 대한 기대감을 높인다. 5월 30~31일, 서울 국제현대무용제(MODAFE) (www.preljocaj.org)

Festival Seoul Jazz Festival Pour le Festival de Jazz de Séoul 2012, les grands noms du jazz ont accepté de faire le déplacement au pays du matin calme : Earth, Wind & Fire, Eric Benet, George Benson, Brian Blade ou encore Al di Meola donneront des concerts exceptionnels aux côtés d’artistes locaux. Les 19 et 20 mai, Olympic Park, Séoul (www.seouljazz.co.kr)

페스티벌 서울 재즈 페스티벌 2012 서울 재즈 페스티벌을 맞아 세계적인 재즈의 거장들이 한국을 찾는다. 어스 윈드 앤드 파이어, 에릭 베네, 조지 벤슨, 브라이언 블레이드, 알 디 메올라가 그 주인공들이다. 세계적 으로 유명한 이들 재즈 거장들이 한국의 아티스트들과 함께 잊을 수 없는 감동의 무대를 선보일 예정이다. 5월 19~20일, 서울 올림픽 공원

(www.seouljazz.co.kr)

Avec le support de 자료 제공 6 l CORÉE AFFAIRES 89



L'ACTUALITÉS DE LA FKCCIß › COMMERCIAL ET COOPÉRATION INTERNATIONALE 국제협력

Mission Alsace : 7 exportateurs plein d’avenir

Le 20 février dernier, la FKCCI a accueilli pour une semaine 7 exportateurs alsaciens. Accompagnées par la CCI international Alsace, ces entreprises ont bénéficié d’un encadrement complet et d’un accompagnement personnalisé pour mener à bien leur mission : développer des relations commerciales en Corée du Sud. Après une première matinée qui leur aura permis de mieux appréhender leur nouvel environnement, notamment grâce à la présentation de Monsieur Jalicon, Chairman de la FKCCI et Architecte D.P.L.G. en Corée du Sud depuis 16 ans, sur les système de pensées sémiologiques des coréens, et à une visite guidée de leurs futurs points de vente, le reste de la semaine était consacré aux rendez-vous individuels (une dizaine par société) que l’équipe commerciale de la FKCCI leur avait minutieusement préparé. La présence au sein de cette délégation de 3 entreprises viticoles ; Domaine Bott Frères, Domaine Laurent Vogt et le Domaine Robert Klingenfus, ainsi que de la société éponyme Mireille Oster spéciali8 l CORÉE AFFAIRES 89

sée dans les pains d’épices nous donna l’opportunité d’organiser une soirée de dégustation au Café des Arts, restaurant de l’Institut Français, et d’y convier d’autres professionnels coréens et des journalistes spécialisés dans l’agroalimentaire. Ce fut également l’occasion pour les sociétés Colin (agroalimentaire), Prestwick Chemical (santé) et la Marqueterie d’Art Spindler d’étendre leur réseau en Corée. Rejointes par le Conseil Régional d’Alsace, très actif dans son jumelage avec la région du Gyeongsangbuk-do, emmené par son premier vice-président, Monsieur le Sénateur André Reichardt (Bas-Rhin) et par Madame Marie-Reine Fischer, vice-présidente du conseil régional et présidente du comité régional du tourisme, toutes les entreprises ont également, à l’invitation de Madame l’Ambassadrice de France en Corée, Madame Elisabeth Laurin, pu rencontrer tous les acteurs de l’équipe de France de l’export ; Monsieur Benoît Gauthier, conseiller économique, Monsieur Jean

Pellegrin, président de la section Corée des CCEF, Monsieur Marc Fortier, directeur de la mission économique Ubifrance et Edouard Champrenault, directeur de la FKCCI. Nous pouvons également associer Air France et Monsieur Eric Fuchsmann, directeur régional Est, qui représentait les ailes de l’export ! Didier Hoffmann, directeur export de la CCI Région Alsace et son conseiller géographique Asie du Nord Emmanuel Butz ont d’ores-et-déjà pris rendez-vous avec la FKCCI pour une nouvelle mission en février 2013 ! Rendez-vous à Strasbourg dès cet automne pour une journée d’information et de partage avec les entreprises du cru 2012… En attendant, la FKCCI a proposé aux sept entreprises, toutes très satisfaites de cette première expérience en Corée, de les accompagner dans leur suivi pour que toutes les bonnes intentions énoncées avec leurs interlocuteurs coréens se transforment en commandes fermes et initient des relations commerciales pérennes.


한불상공회의소 소식

알자스 업체들과의 비즈니스 미 팅 : 기대되는 7개의 수출업체 지난 2월 20일, 한불상공회의소는 1주일 동안 알 자스 수출업체 7곳을 지원했다. 알자스 국제 상공 회의소 측과 한국을 방문한 7개의 알자스 수출업체 는 성공적인 비즈니스 미팅을 위해 한불상공회의소 로부터 완벽한 맞춤 지원 서비스를 받았다. 비즈니 스 미팅의 목표는 한국과의 비즈니스 관계 확대였 다. 첫 날 아침, 알자스 수출업체 관계자들은 다비 드 피에르 잘리콩 한불상공회의소 회장이 한국의 정신과 문화를 설명하는 프레젠테이션을 경청했다. 잘리콩 회장은 프랑스 공인 건축사로 16년 째 한국 에 거주하고 있다. 또한 알자스 수출업체들은 미래 의 매장이 될 수 있는 곳을 가이드와 함께 방문했 다. 프레젠테이션과 투어 방문 덕에 알자스 수출업 체들은 한국이라는 새로운 시장을 잘 이해할 수 있 었다. 나머지 6일 동안 알자스 수출업체 7곳은 한 불상공회의소 국제협력팀이 세심하게 준비한 개별 미팅(한 업체 당 10여 건의 개별 미팅)에 참석했다. 이번에 한국을 방문한 알자스 업체들 가운데 와인 생 산업체 3곳(도멘 보트 프레르, 도멘 로랑 보그트, 도 멘 로베르 클랑젠푸스), 그리고 식품 업체 1곳(생강 빵을 생산하는 미레유 오스테르)이 있어 저녁 때 주 한 프랑스 문화원 카페 데 자르에서 와인과 빵 시식 행사가 열렸다. 이 행사에는 한국의 F&B 관계자들, 미식 전문 기자들도 참석해 자리를 빛내주었다. 콜랭 (조미료), 프레스트윅 케미컬(제약), 마크트리 다르 스핀들러(원목상감) 관계자들 역시 본 행사에서 비즈 니스 인맥을 넓힐 수 있는 기회를 가졌다. 아울러 알자스 지역위원회 관계자들 역시 한국을 방문했다. 알자스 지역위원회는 경상북도와 긴밀한 자매결연 관계를 맺고 있다. 알자스 지역위원회는 앙드레 라이하르트 상원위원(알자르 바랭)이 부회 장을 맡고 있고 마리 렌 피셔 지역관광위원회 회장 역시 부회장을 맡고 있다. 알자스 수출업체 7곳은 엘리자벳 로랭 주한 프랑스 대사의 초대를 받아 프 랑스 수출팀을 이끄는 브누아 고띠에 경제 참사관, 쟝 펠레그랑 프랑스 대외통상 자문위원회(CCEF) 한국 담당, 마크 폭띠에 상무참사관 겸 프랑스 무역 진흥공사 대표, 에두아르 샹르노 한불상공회의소 소장과 만날 수 있었다. 또한 프랑스의 수출에서 중 요한 역할을 하는 에어 프랑스측과 에릭 퓌슈만 동 아시아 지역 담당자도 참석했다.

Nicole Bott,

Domaine Bott Frères : « Je remercie toute l’équipe de la FKCCI pour le professionnalisme déployé lors de la mission à Séoul. J’ai eu tant de plaisir à découvrir le marché des vins à Séoul grâce à l’excellent travail de préparation de la mission. L’interprète Jeong-Hwa Oh était d’un très bon niveau et méticuleux ; il s’est très bien investi, dans la bonne humeur et avec conviction. Les rdv programmés étaient très intéressants et me donnent espoir de trouver bientôt nos vins sur les bonnes tables de Corée ».

도멘 보트 프레르의 니콜르

보트 대표

“서울에서 열린 비즈니스 미팅 때 정말로 세심 한 도움을 준 한불상공회의소 팀에게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비즈니스 미팅을 잘 준비해주신 덕분에 한국의 와인시장을 이해하게 되어 매우 기뻤습니다. 아울러 많은 도움을 준 오정화 통 역사에게도 감사드립니다. 매번 즐겁고 적극적 으로 나서 주어 인상 깊었습니다. 미팅은 매우 흥미로웠습니다. 조만간 저희 회사의 와인이 한 국의 테이블에 오를 날을 기다리겠습니다.”

디디에 호프만 알자스 지역 상공회의소 수출 담당, 엠마뉘엘 뷔츠 동북아시아 고문도 이미 2013년 2 월 비즈미팅을 위해 한불상공회의소와 만남을 가진 적이 있다! 올해 가을에는 2012년 와인 업체들과 정 보교류를 위한 미팅이 스트라스부르그에서 열린다. 한불상공회의소는 알자스 수출업체 7곳을 지원했다. 그 덕에 업체 모두 이번 첫 한국 방문에 대해 무척 만 족스러워 했다. 한불상공회의소는 알자스 업체들이 한국 업체들과 실질적인 거래를 하고 꾸준히 협력 관 계를 이어갈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약속했다.

CORÉE AFFAIRES 89 l 9


L'ACTUALITÉS DE LA FKCCIß › ÉVÉNEMENTS 이벤트

Crise de l’eurozone : l’impact sur la Corée du Sud

Le 21 mars, la FKCCI a organisé un déjeuner au Novotel Ambassador Gangnam afin d’étudier les conséquences de la crise européenne sur la Corée du Sud et ses relations internationales. Park YoungRyeol, directeur au Yonsei-SERI EU Center, Sébastien Falletti (modérateur), correspondant à Séoul pour Le Figaro, Choon Sik-Yoo, Deputy Bureau Chief pour Reuters Korea, et Ryu Jin-Hak, directeur général de Coface Services Korea Co., Ltd., ont partagé leurs analyses et visions avec plus de 50 participants présents à l’occasion. Au cours de ce débat, les intervenants se sont longuement arrêtés sur l’importance des accords de libre échange signés/envisagés par la Corée du Sud avec ses principaux partenaires dans un

10 l CORÉE AFFAIRES 89

contexte de crise internationale. La Corée doit s’ouvrir mais également s’adapter dans une situation où l’Europe, longtemps considérée comme un modèle, voit son système financier et économique remis en question. Cependant, il semblerait, selon les spécialistes, que les entreprises coréennes ne soient pas encore prêtes à prendre le leadership sur les sociétés européennes ou américaines en termes d’innovation.

유로존의 위기 : 한국에 미치는 영향 3월 21일, 한불상공회의소는 노보텔 앰배서더 강남 에서 오찬모임을 마련해 유로존 위기가 한국과 한국

의 국제 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봤다. 박영렬 연 세-SERI EU센터 소장, 세바스티앙 팔레티 <르 피 가로> 서울 특파원(사회자로 참여), 유춘식 로이터 통신 한국지국 부지국장, 류진학 코파스 코리아 지 사장이 50여 명의 참석자들 앞에서 서로 의견과 비 전을 교환했다. 이번 토론 동안 참석자들은 세계적 인 경제 위기 상황에서 한국이 주요 교역국들과 체 결하거나 앞으로 체결할 FTA가 얼마나 중요한지에 대해 오랫동안 의견을 나누었다. 한국은 개방도 해 야 하고 새로운 상황에도 적응해야 한다. 오랫동안 모델이 되었던 유럽식 금융 및 경제 모델이 변화하 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한국 기업들 이 아직은 유럽이나 미국 기업들에 비해 혁신 준비 가 미비하다고 지적하고 있다.

► Toutes les photos sur flickr.com/fkcci 관련 사진은 flickr.com/fkcci에서 볼 수 있다.


한불상공회의소 소식

Experts Training Club Gagnez en visibilité sur le marché coréen De janvier à mars 2012, la Chambre de commerce franco-coréenne a organisé pas moins de trois Experts Training Club (ETC), des ateliers de formation en petit groupe (15 personnes maximum) sur des thèmes stratégiques liés à la Corée : « Changement 2012 du droit fiscal » avec Jenny Kim de Kim & Chang, « le dilemme entre les titres coréens et anglophones dans les entreprises en Corée du Sud » avec Christophe Piganiol, président de Zuellig Pharma, et « les réseaux sociaux et leur utilisation marketing » par Olivier Mouroux, co-fondateur de l’agence digitale Asiance. Découvrez les prochains ETC sur www.fkcci. com.

전문가 트레이닝 클럽 2012년 1월부터 3월까지, 한불상공회 의소는 전문가 트레이닝 클럽을 3회 이 상 마련했다. 전문가 트레이닝 클럽은 한국과 관련된 전략적인 테마에 대해 소규모(최대 15명) 교육이 제공되는 세 미나다. 올해 초에는 김앤장 법률사무 소 김효정 회계사의 <2012년 조세법 의 변화>, 크리스토프 피가니올 쥴릭 파마 대표의 <한국에 있는 기업들, 한 국의 타이틀과 영어권 타이틀간의 딜레 마>, 올리비에 무루 아지앙스 대표의 <소셜 네트워크와 소셜 네트워크의 마 케팅 활용>이 전문가 트레이닝 클럽 프 로그램으로 마련되었다.

Depuis janvier 2012, la Chambre met à votre disposition son service de communication digitale, un excellent moyen de faire parler de vous et votre société rapidement et efficacement auprès de la communauté française et coréenne. Grâce à sa plateforme digitale créée en 2010, la FKCCI représente aujourd’hui un vecteur de communication clé sur la toile coréenne. En 2011, la Chambre comptait plus de 4 600 visites par mois sur son blog Naver et près de 1 800 visites sur son blog Wordpress. A fin mars, plus de 620 fans nous ont rejoints sur Facebook, plus de 385 membres sur LinkedIn et plus de 18 000 suiveurs sur Twitter. Profitez de cette communauté en utilisant de manière stratégique ces outils et gagnez en visibilité, mais aussi en temps et en investissement. A partir de 180,000 KRW par mois, profitez d’une couverture en coréen sur le blog Naver et les réseaux sociaux de la Chambre, du service d’e-réputation sur Naver, d’une communication spéciale sur l’un des réseaux sociaux FKCCI et d’une bannière publicitaire. Pour plus d’informations, contac-

tez Clément Charles, directeur de la communication (c.charles@fkcci.com).

한국시장에서 인지도 를 효과적으로 높일 수 있는 전략 2012년 1월부터 한불상공회의 소는 온라인 홍보 서비스를 제공 하고 있다. 프랑스와 한국 커뮤 니티를 상대로 개인과 회사를 빠 르게 알릴 수 있는 효과적인 수 단이다. 한불상공회의소는 2010 년에 구축된 디지털 기반에 힘입 어 현재 한국 온라인에서 핵심적 인 홍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 다. 2011년에 한불상공회의소 에 네이버 블로그는 매달 방문자 4600명 이상, 워드프레스 블로 그에 방문자 약 1800명을 기록 했다. 3월 말에는 620명 이상의 팬들이 한불상공회의소의 페이스 북을, 385여 명의 회원이 본 소 의 링크드인을, 1만 8000명 이 상의 팔로어가 본 소의 트위터를 찾았다. 이와 같은 온라인 홍보를 전략적으로 활용해 보는 것은 어 떨까? 시간 대비 만족스러운 투 자가 될 것이다. 매달 기본 18만 원만 내도 한불상공회의소 네이 버 블로그의 메인 화면, 한불상 공회의소의 소셜 네트워크, 네이 버 인물검색, 한불상공회의소 소 셜 네트워크를 통한 특별 홍보, 광고 배너를 활용해 개인과 회 사의 인지도를 높일 수 있다. 상 세 정보를 원한다면 끌레망 샤를 르 마케팅&커뮤니케이션 부장에 게 연락하면 된다(이메일 주소 :

c.charles@fkcci.com).

ETC par Olivier Mouroux et par Christophe Piganiol 전문가 트레이닝 클럽

CORÉE AFFAIRES 89 l 11


COUP DE PROJECTEURß

Seoul New City Hall Séoul, ville verte. Ce n’est pas ce que l’on peut penser à première vue lorsque l’on arrive dans cette capitale asiatique où les buildings germent comme des champignons. Certes, s’il n’y a pas de parcs à chaque coin de rue, le gouvernement métropolitain multiplie les efforts pour développer le nombre d’espaces verts (Dongdaemun Plaza, Hangang Park, Seoul Forest) et rendre cette mégalopole de 20 millions d’habitants plus eco-friendly. Du coup, l’écologie s’intègre de plus en plus dans les buildings et la mairie en sera le premier symbole. La place de la mairie de Séoul (Seoul Plaza) est le cœur de la capitale, là où tous les grands événements se tiennent (retransmission de la Coupe du Monde 2002, concerts, manifestations pacifiques, etc.). Le vaste chantier qui s’étend derrière la mairie depuis des années laisse depuis quelques mois apparaître le visage du nouveau bâtiment administratif baptisé Seoul New City Hall. Le projet, lancé en 2007 et dont le coût est estimé à 298,9 milliards de wons, c’est celui de l’architecte coréen Kerl Yoo de l’agence iArc. Il a pour caractéristique de proposer une architecture à la ligne horizontale et un toit large adaptés au terrain et au climat coréen, sur une surface de 71 181m2. Autre composante essentielle de la nouvelle mairie, l’écologie. Le nouveau bâtiment administratif sera le

12 l CORÉE AFFAIRES 89

seul en Corée du Sud à utiliser autant d’énergies renouvelables ; un véritable Landmark vert pour la ville de Séoul. Le rez-de-chaussée sera baptisé Eco Plaza et sera constitué d’une climatisation et d’un chauffage par le sol (générateurs d’énergie au sous-sol). Il en sera de même pour le bâtiment principal, devant la construction, dont les 218 salles seront chauffées et climatisées par le sol de manière géothermique. Un Green Wall (mur vert) s’étendra du rez-dechaussée au 6e étage, sur une surface de 2 000m2 composée de plus de cent mille plantes vertes, soit le plus grand jamais conçu dans le monde. Et sur le toit, les panneaux photovoltaïques seront intégrés afin de transformer les rayons

서울시 신청사 du soleil en électricité (jusqu’à 200kw). Le design du bâtiment combiné à l’angle et aux rayons du soleil en fonction des différentes saisons permettra également d’offrir un climat doux l’hiver et une température plus fraîche l’été. Un quart de la mairie (24.5%) sera alimenté en énergies renouvelables. Entre le 5e sous-sol et le 12e étage, le rendement énergétique permettra de générer 274kwh/m2 chaque année. Cette conception permettra d’économiser 280 millions de wons par an en électricité. Au niveau de sa structure, la mairie sera à 60% consacrée à des bureaux administratifs et à 40% ouverte au public. Sur la partie supérieure, des événements comme des concerts ou des séminaires


집중 조명

pourront être organisés, et un espace de détente permettra de profiter de la vue incroyable offerte par le bâtiment. L’ouverture officielle de Seoul New City Hall est prévue pour octobre 2012. □ C.C.

서울, 녹색 도시. 처음 도착해서 보면 빌딩들이 우 후죽순 서 있는 서울은 아무리 생각해도 친환경 도 시처럼 보이지는 않을 것이다. 물론 서울에 길 구석 구석마다 공원이 있는 것도 아니다. 그러나 서울시 는 다양한 녹지(동대문 플라자, 한강 시민공원, 서 울 숲)를 조성하고 2000만 명의 시민이 사는 서울 을 좀 더 친환경 도시로 만들고자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 그 결과 빌딩에 친환경 컨셉이 점차 도입되고 있다. 서울시는 친환경이 도입되는 첫 건물을 상징 하게 될 것이다. 서울 중심부인 서울광장(서울플라자)은 각종 이 벤트가 열리는 곳이다(2002 월드컵 중계방송, 콘 서트, 평화 시위 등). 몇 년 동안 서울시 뒤쪽에 대 규모의 공사가 진행되었고 몇 달 전부터 그 공사 의 윤곽이 나타나고 있다. 바로 새로운 건물, 서울 시 신청사다. 2007년에 시작된 서울시 신청사 건 설 프로젝트는 투입된 금액이 2989억 원 정도고 iArc 사무소의 한국 건축가 유 걸이 맡았다. 면적 71,181m²를 자랑하는 서울시 신청사는 수평이 강 조된 구조이고 한국 지형과 기후에 맞게 만들어진 넓은 지붕을 갖추고 있다. 그리고 서울시 신청사의 또 다른 특징으로 친환경 컨셉이 있다. 서울시 신청 사는 한국 최초로 재생 에너지를 많이 사용하는 행 정 건물이 될 것이다. 다시 말해, 서울에서 진정한 친환경 랜드마크가 될 것이다.

1층은 ‘에코플라자’로 불릴 것이며 지하를 통한 냉 난방이 사용될 것이다(지하 에너지 발전기). 또한 서울시 신청사 앞에 있는 본관도 지열을 이용한 냉 난방으로 작동되는 218개의 공간을 갖추게 될 것 이다. 7층 높이의 수직 벽에는 약 2,000㎡ 규모의 대형 벽면 녹화(Green Wall)가 마련되어 세계 최 대 규모인 약 10만여 본의 식물을 심을 계획이다. 지붕에는 태양열 집열판이 설치되어 태양광선을 전 기로 전환하게 된다(200kw까지). 계절에 따라 각 도와 태양열을 고려한 건물 디자인 덕분에 겨울에 는 따뜻하고 여름에는 시원하게 지낼 수 있게 된다. 서울시 신청사의 1/4(24.5%)은 재생 에너지 공급 을 받게 된다. 지하 5층과 12층 사이는 에너지 효 율 1등급으로 설계된다(274kwh/㎡.년). 이 같은 컨셉 덕분에 매년 전기료를 2억 8000만 원 절약할 수 있게 된다. 서울시 신청사의 구조를 보면 60%는 행정 사무실 로 사용되고 나머지 40%는 시민들이 마음껏 이용 할 수 있는 공간으로 사용된다. 위층에서는 콘서트 나 세미나 같은 행사가 열릴 수 있고 휴식 공간에서 는 멋진 전망을 감상할 수 있게 된다. 서울시 신청 사는 2012년 10월에 공식 오픈하게 된다. □ 끌레망 샤를르

Sky Lounge & Eco Plaza | 디자인 조감도 - 하늘정원, 에코플라자

CORÉE AFFAIRES 89 l 13


INDICATEURS ÉCONOMIQUESß

Bilan économique 2011 et perspectives 2012 La croissance du PIB de la Corée en 2011 se sera finalement établie à 3,6% selon les données du FMI, à 1 164 milliards de dollars en prix courants. Alors que les principaux organismes de prévision prédisaient un rythme de progression du PIB de l’ordre de 4,5%, la croissance économique coréenne a montré les signes d'un net ralentissement en fin d’année en raison des effets de la crise financière internationale sur l’économie coréenne, tant par la raréfaction des financements en devises de l’activité export, fragilisés par les sorties de capitaux internationaux du marché coréen, que par le ralentissement des exportations coréennes fortement impactées par le ralentissement de la demande externe, notamment européenne et américaine. Ces turbulences sont intervenues dans un environnement économique global dégradé pour la Corée, marqué par la détérioration des termes de l’échange, en raison du renchérissement des matières premières et de l’énergie. Les exportations et la consommation domestique privée restent les principaux facteurs du dynamisme de l’économie, mais se sont affaiblis graduellement en 2011, en phase avec le ralentissement de l’économie mondiale. Le volume des échanges extérieurs a atteint 1 082 milliards de dollars en 2011, soit une croissance de 21% par rapport à 2010. Les exportations ont augmenté de 19%, à 559 milliards de dollars, mais les importations ont cru plus rapidement, de 23% à 523 milliards de dollars. Le solde des échanges extérieurs pour

14 l CORÉE AFFAIRES 89

2011 s’inscrit en baisse de 16%, passant de 42 milliards de dollars en 2010 à 34 milliards de dollars. Les exportations, qui sont le principal moteur de la croissance par leurs effets d’entrainement sur les facteurs internes (investissement, variation des stocks et consommation privée), ont progressivement ralenti jusqu'au 3e trimestre 2011. Leur contribution à la croissance a même été négative pour le dernier trimestre 2011, tandis qu’elles enregistrent des évolutions mensuelles négatives en janvier (- 6,6% a/a). Alors que la consommation publique était restée forte en 2010 avec le maintien des mesures de soutien à l’économie prises en 2008, les contraintes budgétaires croissantes ont fortement réduit les marges de manœuvre de l’État en 2011, avec une contribution négative à la croissance au cours du dernier trimestre. L’investissement privé et la construction, tirés par les anticipations positives de la demande extérieure en 2010, se sont révélés beaucoup moins dynamiques en 2011, en raison d’un effet de base, mais surtout du ralentissement conjoncturel de l’économie mondiale. La consommation domestique, stimulée par les mesures de soutien à la croissance prises depuis 2009, par l'expansion du crédit et par une augmentation du pouvoir d’achat en termes réels en 2009 et 2010, a poursuivi le ralentissement amorcé fin 2010, en raison du niveau alarmant et toujours croissant de la dette des ménages. La poussée inflationniste qui s’est manifestée dès le début de l’année a pesé sur la consommation domestique en effaçant une partie des gains réels de pouvoir d’achat accumulés en 2009 et surtout 2010.

Les facteurs internes qui pèsent sur la croissance sont l’inflation persistante et l’endettement des ménages. La dette des ménages atteint un montant cumulé de 800 milliards de dollars, soit 75% du PIB et représente 172% du revenu disponible des ménages en 2011. Elle n’a pas cessé d'augmenter, en dépit des efforts des autorités pour limiter l’expansion du crédit bancaire, alors que dans les autres pays de l’OCDE, la dette des ménages est en diminution depuis 2008 (à 80% du revenu disponible pour la France). La charge de la dette des ménages reste particulièrement sensible à l’évolution des taux d’intérêt, en raison de la prépondérance de l’encours à taux variable (85% du total), ce qui contraint la politique monétaire de la Banque Centrale, notamment en matière de lutte contre l’inflation. La consommation privée devrait progresser encore en 2012, mais à un rythme ralenti (2,7% selon le consensus), avec probablement une reprise de la consommation au deuxième semestre après le creux attendu au premier semestre, en raison des incertitudes sur la croissance mondiale. En 2011, la Corée a fait face à une pression inflationniste forte, et la lutte contre l'inflation est devenue l'une des priorités de la politique économique et monétaire. Plusieurs instruments ont été utilisés, y compris des mesures microéconomiques visant à limiter la hausse des coûts alimentaires et énergétiques par blocage des tarifs des services publics et de l’énergie (transports publics, eau, gaz et électricité), ainsi que des mesures moné-


경제지표 CROISSANCE ÉCONOMIQUE I 경제 성장

INFLATION I 인플레이션

+3.6% +3.5% +4.2% +1.7% +0.4%

+0.6% -0.9%

3.4% 3.3% 3.3%

+2.3% +2.2%

+3.1%

9.7% 10.4%

+2.5% +1.9%

7.1% 6.8%

-0.2% +0.1%

+1.9% +9.2% +8.2% +1.7% +2.5%

2011

CHôMAGE I 실업률

+4% +3.2% +3.1%

+5.4%

NC

NC

2012 prévisions (2012년 예상)

NC

NC

+3%

+4.1%

+8.9% +8.2-8.5%

2013 prÉvisions (2013년 예상)

IMPORTATIONS I 수입 1 106,9 wons (e. 2012)

4.5%

EXPORTATIONS I 수출

523 milliards USD (2011) 569 milliards USD (e. 2012) 134,95 milliards USD (1er semestre 2012)

559 milliards USD (2011) 586 milliards USD (e. 2012) 133,33 milliards USD (1er semestre 2012) * milliards USD (10억 달러)

* Sources : Bank of Korea, OCDE, World Bank 출처: 한국은행, OECD, 세계은행

taires pour freiner l'expansion du crédit et le rendre plus soutenable. Le recul des cours mondiaux des matières premières dans la seconde moitié de 2011 provoqué par le ralentissement le contexte actuel de l'économie mondiale a contribué à freiner l’inflation depuis décembre 2011 et cette tendance à la baisse pourrait perdurer jusqu'en mai. Toutefois, l'inflation pourrait rapidement redémarrer avec une reprise de la croissance au second semestre 2012. Le ralentissement des économies américaine et européenne, voire chinoise reste la principale source d’incertitude pour l’économie de la Corée. La demande externe adressée à la Corée s’est considérablement affaiblie à partir de l’été, en raison de la crise financière aux États-Unis et en Europe, tandis que les marchés émergents, impactés eux-mêmes par le repli global, ne parvenaient pas à compenser le ralentisse-

ment de la demande des pays avancés. A l’effet direct par le canal commercial, s’est ajouté un effet indirect sur les exportations coréennes, par le tarissement des sources de financement international moyen terme, domaine de spécialité des banques européennes avant la crise, qui détenaient près des deux-tiers du marché des syndications bancaires de projets en Corée. Par ailleurs, les troubles au Moyen-Orient (printemps arabe, crise libyenne, embargo iranien) ont largement affecté le secteur de la construction et des infrastructures, toutes les grandes ingénieries coréennes étant très engagées dans la zone.

- ses réserves de change en devises étrangères (311 milliards de dollars) couvrent plus de deux fois la dette extérieure à court terme, - le pays a élargi ses accords de swap bilatéraux avec le Japon (70 milliards de dollars) et la Chine (56 milliards de dollars) et fait partie de l'accord multilatéral de Chiang Mai, - le repli relatif des investisseurs européens est compensé par les Etats-Unis et dans une moindre mesure par la Chine et les pays de l'ASEAN qui investissent dans des obligations et des actions coréennes.

Dans leurs déclarations, les autorités se disent plus inquiètes d’une volatilité excessive que d’une réelle perte de confiance des investisseurs dans le marché financier domestique. Elles n’en demeurent pas moins très attentives aux mouvements de capitaux, craignant la reproduction du scénario de 20081. La Corée apparait néanmoins mieux préparée aujourd’hui qu’en 2008 :

1

Le KOSPI avait perdu 50% de sa valeur sur le deuxième semestre 2008 et les réserves de change avaient fondu de 56 milliards de dollars sur l’année 2008.

Agathe L’Homme, Assistante d’études, Service économique de Séoul

CORÉE AFFAIRES 89 l 15


INDICATEURS ÉCONOMIQUESß

2011년 경제 평 가와 2012년 경 제 전망 국제통화기금 (IMF) 의 자료에 따 르면 2011 년 한국의 국내총생산 (GDP) 성장률은 3.6%, 시가1조 1640억 달러를 기록할 것으로 보인 다. 주요 평가 기구들은 GDP 성장 률을 약 4.5%로 예상하고 있지만 2011년 말에 한국 경제 성장률은 뚜 렷한 둔화세를 보였다. 이는 한국 경 제에 미친 국제 금융 위기의 영향 때 문이다. 국제 자본이 한국 시장을 빠 져 나가면서 수출 활동을 지원할 만 한 재정이 부족하고 무엇보다도 유럽 과 미국의 수요 둔화로 한국 수출이 움츠러든 것도 원인이다. 그런데 이 미 원자재와 에너지 가격의 상승으로 교역이 악화되는 현 세계 경제 환경 도 한국에게 불리하기는 마찬가지다.

여전히 경제 성장을 이끄는 주역이 지만 세계 경제 둔화로 2011년부터 서서히 악화되고 있는 수출과 내수 2011 년 해외 교역량은 1조 820 억 달러에 이르러 2010년도에 비해 21% 상승했다. 수출은 19% 상승해 5590억 달러를 기록했지만 수입은 더 빠른 속도로 상승해 23%의 상승 률, 5230억 달러 규모를 기록했다. 2011년 해외 교역 수지는 16% 하 락세를 기록했다. 2010년 420억 달 러에서 2011년 340억 달러로 줄었 기 때문이다. 한국에서 수출은 내부 요인(투자, 재고 변동, 민간 소비)을

16 l CORÉE AFFAIRES 89

견인하는 경제 성장의 주요 원동력 이다. 이 같은 수출이 2011년 3/4분 기까지 서서히 둔화 되었다. 2011년 4/4분기에 수출의 경제 성장률 기여 도는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1월에는 매월 마이너스를 기록해갔다(6.6%). 공공소비는 2008년에 마련된 경기 부양책이 유지되면서 2010년에도 높은 수준을 유지했다. 하지만 예산 이 점차 부족해면서 2011년 정부 는 운신의 폭이 줄어들면서 4/4분기 에 공공소비의 경제 성장률 기여도는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2010년에 해 외 수요가 긍정적일 것이라는 예상이 있었지만 민간 투자와 건설은 2011 년에 훨씬 더 불황을 맞았다. 기본적 인 결과, 특히 세계 경제의 둔화가 원인인 것으로 보인다. 국내 소비는 2009년부터 마련된 지원책, 대출 확 대, 2009년과 2010년에 실질적으로 나타난 구매력 상승으로 탄력을 받았 지만 가계 부채 증가가 위험 수위에 오르면서 2010년 말부터 둔화세를 보이고 있다. 올해 연초부터 나타난 인플레이션 압력은 국내 소비에 부담 을 주어 2009년, 특히 2010년도에 차곡차곡 구축된 구매력의 실질적 성 과 일부가 물거품으로 돌아갔다. 경제 성장을 압박하는 내부 요인은 지속적인 인플레이션과 가계 부채 가계 부채는 8000억 달러를 기록했 는데 이는 GDP의 75%, 2011년 가 계 가용 소득의 172%를 차지하는 수준이다. 정부는 금융 대출 확대를 제한하기 위해 노력을 기울이고 있지 만 가계 부채는 계속 늘어나고 있다. OECD의 다른 회원국들의 경우 가 계 부채가 2008년부터 하락하고 있 는 상황(프랑스의 경우, 가계 부채는 가용소득의 80%까지 하락) 이다. 가

경제지표

계 부채는 특별히 이자율 변화에 민 감하다. 이는 대출상환 이자 때문이 다(전체의 85%). 이 때문에 인플레이션을 잡기 위한 중 앙은행의 통화정책은 제한을 받는다. 민간 소비는 2012년에도 상승할 것 으로 보이지만 상승 속도는 다소 누 그러질 것으로 보인다(합의에 따라 2.7%). 세계 경제 성장이 불확실해 짐에 따라 상반기에 경기 불황이 찾 아오지만 하반기에 다시 소비가 살아 날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2011년, 한국은 엄청난 인플레이션 압박에 시 달렸고 이 때문에 인플레이션 해결은 경제와 통화 정책의 주요 과제 중 하 나가 되었다. 인플레이션을 내리기 위한 여러 정책이 사용되었는데, 공 공 서비스 비용과 에너지 비용(대중 교통, 물, 가수, 전기) 동결을 통해 식 비와 에너지비 상승을 낮추려 하는 미시경제 정책, 대출 확대를 막고 이 를 지속적으로 추진하려는 통화 정책 이 그 예다. 세계 경기 둔화로 2011 년 하반기에 세계 원자재 가격이 하 락해 2011년 12월부터 인플레이션 의 상승세가 꺾였다. 이 같은 인플레 이션의 둔화세는 5월 달까지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2012년 하반 기에 경제 성장률이 회복되면서 인플 레이션이 빠르게 다시 올라갈 것으로 보인다. 미국과 유럽의 경제 둔화, 나아가 중 국의 경제 둔화는 한국 경제에 먹구 름을 드리우는 주요 원인 미국과 유럽의 금융 위기로 인해 한 국 제품에 대한 수요는 여름부터 급 격히 감소하기 시작했다. 역시 세 계 경기 둔화에 타격을 받은 신흥국 가의 시장들도 선진국의 수요 둔화 를 상쇄해주지는 못한다. 한국이 수

출에 타격을 받은 것은 국제 수요 감 소라는 직접적인 영향도 있지만 중 기적인 금융융자 재원의 고갈이라는 간접적인 영향도 있다. 이는 경제 위기 전에 유럽 은행들이 전문적으로 담당하던 분야이기도 하 다. 한국에서는 프로젝트를 지원하는 금융 신디케이션 시장의 약 2/3를 유 럽 은행들이 보유하고 있다. 게다가 중동의 불안한 정세(‘아랍의 봄’ 민주 혁명, 리비아 사태, 이란 경제 봉쇄) 가 건설과 인프라 분야에 대규모 영 향을 미쳤다. 건설과 인프라는 한국 이 중동에서 활발이 진출하고 있는 분야이기 때문이다. 한국 정부는 국내 금융 시장에 대한 투자자들의 불신보다는 과도한 단기 성 투자가 더 우려된다고 발표했다. 정부는 2008년도의 예상 시나리오1) 가 재현되지 않을까 해서 자본의 움 직임을 예의주시 하고 있다. 물론 이 제 한국은 2008년보다 준비는 더 철 저히 하고 있다. - 외환 보유고(3110억 달러)는 단기 해외 부채보다 2배 이상을 커버할 수 있다. - 한국은 일본, 중국과의 스와프 협약 을 확대했고 치앙마이 국제 협약에 참여하고 있다. - 유럽의 투자가 상대적으로 주춤하 지만 미국의 투자가 늘고 있고 중국 과 동남아연합 국가들도 한국의 채권 과 주식에 투자하고 있다. (1)

2008년 하반기에 코스피 지수가 50% 감소했고, 외환 보유고는 2008 년에 걸쳐 560억 달러가 줄었다.

아가트 롬, 주한 프랑스대사관 경제통상대표부 부재경관



BRÈVES ÉCONOMIQUESß

삼성토탈, 최대 규모의 투자 삼성토탈은 2003년 8월부터 한국에 진출 한 한불 합작회사다. 지난 1월 9일, 삼성 토탈은 충남 대산 석유화학공장단지에 새 로운 방향족 생산공장과 EVA(에틸렌초산 비닐수지) 공장을 건설한다는 계획을 밝혔 다. 이를 위해 총 2조 원(약 13억 5000만 유로)이 투자된다. 한국 내 한불합작회사 의 투자 규모로는 최대다.

Investissement record de Samsung Total Petrochemicals © www.samsungtotal.com

Active en Corée du Sud depuis août 2003, la joint-venture francocoréenne Samsung Total Petrochemicals a annoncé le 9 janvier dernier son intention de construire un tout nouveau complexe aromatique et une usine EVA (éthylèneacétate de vinyle) dans son complexe pétrochimique de Daesan, au Sud-Ouest de Séoul. Cet investissement représentera un montant total de 2 000 milliards de wons (environ 1,35 milliard d’euros), un nouvel investissement franco-coréen record dans la péninsule. La construction de la deuxième unité aromatique du groupe devrait être finalisée en septembre 2014. Cette entité aura une capacité de production annuelle d’un million de tonnes de paraxylène, matière première pour le polyester, et 420 000 tonnes de benzène, utilisé pour les produits pétrochimiques comme le styrène. Une fois finalisé et en opération, ce deuxième complexe permettra à Samsung Total Petrochemicals de générer un total d’1,76 million de tonnes de paraxylène d’ici 2014. Concernant l’usine EVA, celle-ci pourrait entrer en opération dès avril 2014. Elle sera en mesure de sortir 240 000

18 l CORÉE AFFAIRES 89

tonnes d’EVA par an. L’éthylèneacétate de vinyle est un produit très demandé sur le marché dû aux multiples utilisations possibles du produit fini (câbles électriques, adhésifs, panneaux solaires, etc.) et son côté écologique.

Ce projet permettra à Samsung Total Petrochemicals de donner un coup d’accélérateur à son activité d’ici 3 ans, avec un chiffre d’affaires qui devrait passer d’environ 7 000 milliards de wons en 2011 à près de 12 000 milliards de wons en 2015. □ C.C.

삼성토탈의 두 번째 방향족 생산공장은 2014년 9월에 완공될 예정이다. 이 새로 운 공장은 폴리에스테르의 원료인 파라크 실렌을 연간 100만 톤 생산하고 스티렌 같 은 화학섬유 제품에 사용되는 벤젠을 연간 42만 톤 생산할 수 있는 규모다. 이 새로 운 공장이 완공된 후 가동되면 삼성토탈은 2014년까지 총 176만 톤의 파라크실렌을 관리할 수 있게 된다. 한편, EVA 공장의 경우 2014년 4월부터 가동될 예정이다. EVA 공장은 매년 EVA 24만 톤을 생산하 게 된다. EVA는 다양한 제품(전기 케이 블, 접착제, 태양판 등)에 사용되고 친환경 적인 특성이 있어서 매우 수요가 높다. 이번 프로젝트를 통해 삼성토탈의 사업 규모는 3년 내로 한 단계 더 도약할 수 있 게 된다. 매출은 2011년 약 7조 원에서 2015년 약 12조 원으로 급증할 것으로 보 인다. □ 끌레망 샤를르


경제브리핑

제 2차 유럽 로봇 박람회 성황리에 마친 2011년 제1회 로봇 박람회 에 이어 제2차 로봇 박람회가 지난 3월 14 일에서 16일, 이틀 동안 리옹에서 개최되 었다. 제1차 박람회에서는 9개국에서 온 85개의 업체가 참여했고 관람객은 1만 명 을 넘었다. 이번 제2차 박람회는 1차 때보 다 성대하게 열렸다. 아시아, 특히 한국은 참가 때마다 더욱 혁신적인 프로젝트를 선 보인다. 작년에는 한국이 주빈국이었다면 올해는 대만이 주빈국이었다.

Le sommet européen de la robotique, deuxième édition

© www.innorobo.com

Après son premier succès en 2011, le sommet de la robotique a ouvert sa seconde édition à Lyon du 14 au 16 mars dernier. Plus grand événement européen sur la robotique avec plus de 10 000 visiteurs pour 85 exposants de 9 nationalités en 2011, l’Asie et plus particulièrement la Corée y présente des projets toujours plus novateurs. Après la Corée du Sud l’an dernier, c’était au tour de Taïwan de prendre le statut d’invité d’honneur. Outre les robots présentés au grand public, comme le KIBO, un robot humanoïde développé par l’institut coréen de sciences et technologies (KIST), des conférences se tenaient sur des thématiques diverses et variées : les synergies et convergences de la robotique industrielle et de service, la cobotique ou le robot coéquipier, les interactions entre les hommes et les robots, la Cloud Robotics, la robotique médicale et de santé, la robotique urbaine et les solutions de mobilités, les nouveaux challenges et les technologies robotiques au service des véhicules terrestres.

l’événement, et Catherine Simon, présidente d’INNOECHO, société organisatrice d’INNOROBO ont attiré cette année près de 100 exposants de 11 nationalités pour plus de 50 robots exposés pour la première fois en Europe, des chiffres qui confirment que les robots sont bien parmi nous. « Dans vingt ans, passer le permis fera rire les gens parce que la robomobile existera. Aujourd’hui, on se dit que ce n’est pas possible, mais il y a vingt ans, il n’y avait pas Internet.

Il y a vingt ans, il n’y avait pas de smartphone. Dans vingt ans, on constatera que, finalement, cela a marché », affirmait Bruno Bonnell lors de l’émission C dans l’air du 15 mars sur le thème « Les robot sont parmi nous ». L’accélération technologique va beaucoup plus vite qu’on ne le pense et la France a le devoir aujourd’hui de s’imposer dans l’industrie mondiale de la robotique. □ C.C.

이번 제2차 박람회에서는 한국과학기술연 구원 프론티어사업단에서 개발한 휴머로 이드 로봇 키보(KIBO)를 비롯한 다양한 로봇이 관람객들에게 소개되었다. 이외에 도 산업 로봇과 서비스 로봇의 시너지 효 과와 컨버전스, 팀별 로봇, 인간과 로봇의 인터섹션, 클라우드 로보틱스, 치료 로봇, 도시형 로봇, 기동성 솔루션, 새로운 도전, 육로 차량을 위한 로봇 기술이다. 로봇 정상회의를 창설한 브뤼노 보넬 시로 모 대표, 로봇 전시회 ‘이노로보’ 주최사인 이노에코의 카트린 시몽 대표는 11개국에 서 온 참가업체 약 100곳을 유치해 유럽에 서는 처음으로 50개 이상의 로봇을 전시 하는 쾌거를 올렸다. 이는 로봇이 이제 우 리의 일상에 들어왔음을 보여준다. “20년 후에는 운전면허를 따는 것이 우스운 일이 될 겁니다. 움직이는 로봇이 탄생할 테니 까요. 지금은 불가능해 보입니다. 그러나 20년 후에는 현실이 될 것이라 봅니다.” 생활시사 프로그램 '쎄 당 레르'가 3월 15 일에 다룬 '우리 곁으로 들어온 로봇' 테마 에서 보넬 대표가 출현해 했던 말이다. □ 끌레망 샤를르

KIBO KIST

Bruno Bonnell, président de SYROBO, partenaire fondateur de

CORÉE AFFAIRES 89 l 19


BRÈVES ÉCONOMIQUESß

경제브리핑

qui depuis le mois de mars 2012 s’impose sur le marché coréen. Et pour satisfaire la clientèle coréenne, le groupe ne compte pas s’arrêter là : « Faire de la Corée un marché-test ? Sans aucun doute. Exigeantes quant à la qualité des produits, les clientes coréennes attendent beaucoup des produits de soin comme les nôtres. C’est aussi pour cela que Bioderma a décidé de créer une filiale, afin d’agir de manière dynamique et proactive » confirme Joohyun Ha. □ C.C.

바이오더마, 한국에서 더모코스메틱의 새로운 기준

Bioderma, la nouvelle référence dermo-cosmétique en Corée Joohyun Ha

Moins d'une année après sa création en Corée (17 juin 2011), Bioderma, nouveau membre 2012 de la FKCCI s'affirme déjà comme la référence des produits dermocosmétiques en Corée. Fidèle au concept « la biologie au service de la dermatologie », qui a bâti sa réputation en France et dans de nombreux pays, Bioderma Korea a abordé le marché coréen, réputé pour être très concurrentiel, avec un grand dynamisme. La marque est distribuée dans les hôpitaux, les cliniques dermatologiques, les pharmacies et les drugstores comme Olive Young. Joohyun Ha, présidente de Bioderma Korea, croit beaucoup à la capacité de croissance du segment dermo-cosmétique, encore peu connu en Corée : « les Coréennes portent une grande attention à la beauté de leur peau, elles sont très éduquées et sophistiquées. Les marques de cosmétiques communiquent par conséquent sur la technicité de leur produit et c’est là qu’une marque dermo-cosmétique comme Bioderma a un rôle à jouer : nos produits sont prescrits par les dermatologues dans le cadre d’un soin complémentaire, prouvant de cette

20 l CORÉE AFFAIRES 89

manière l’efficacité et la sécurité des produits ». Vendu toutes les 6 secondes dans le monde et numéro 1 du segment

dermo-cosmétique français, Sensibio H2O est le produit phare de Bioderma, déjà plébiscité par de grandes stars internationales et

2011년 6월 17일, 한국에서 처음 런칭되 었으며, 2012년 한불상공회의소의 새회원 이 된 바이오더마. 런칭일로부터 1년도 채 안 되어 바이오더마는 한국에서 화장품과 의약품의 중간에 있는 ‘처방’ 화장품인 더 모 코스메틱의 대표 주자로 인정 받고 있 다. 바이오더마는 ‘생물학이 탄생시킨 피 부과학’ 이라는 컨셉을 내세워 프랑스와 여러 나라에서 유명세를 탔다. 바이오더마 는 코스메틱 격전지로 알려진 한국 시장에 도 이 같은 컨셉에 충실하다. 바이오더마 제품은 병원, 피부 클리닉, 약국, 올리브 영 같은 드러그 스토어에서 판매되고 있다. 하주현 바이오더마 코리아 대표이사는 더 모 코스메틱이 아직은 한국에서 생소한 분 야이기는 하지만 조만간 성장세를 탈 것으 로 보고 있다. “한국 여성들은 아름다운 피 부에 신경을 많이 씁니다. 또한 교육 수준 도 아주 높고 세련되었죠. 결국 코스메틱 브랜드는 제품의 품질로 평가를 받게 됩니 다. 그런 의미에서 바이오더마 같은 더모 코스메틱이 각광을 받을 것 입니다. 저희 제품은 프랑스에서 피부과 의사들이 처방 하는 대표적인 브랜드입니다. 저희 브랜드 가 얼마나 효과적이고 안전한 제품인지를 보여주는 증거죠.” 전 세계에서 6초마다 판매되고 있고 프랑 스 더모 코스메틱에서는 최고 히트작으로 통하는 센시비오 H2O는 바이오더마의 주 력 제품이다. 이 제품은 이미 전 세계 유 명 스타들로부터 사랑을 받고 있고 2012 년 3월에 한국에 런칭 되었다. 바이오더마 코리아는 한국 소비자들을 만족시키기 위 해 계속 매진할 계획이다. “한국은 테스트 마켓? 아마 그럴지도 모릅니다. 한국 소비 자들은 제품 품질에 대해 까다롭기 때문에 저희 제품 같은 케어 제품에 대해서도 많 은 것을 기대하니까요. 이 때문에 바이오 더마는 한국 지사를 설립했습니다. 한국 소비자들에게 더욱 적극적으로 다가가기 위해서죠.” 하주현 대표의 설명이다. □ 끌레망 샤를르


Forum franco-coréen

sur les réductions des émissions de gaz à effet de serre 온실가스 감축 전략 한불포럼

Dans le cadre de l’exposition internationale 2012 des technologies environnementales et des énergies vertes (ENVEX) qui se tient du 11 au 14 juin prochain au COEX, l’Ambassade de France, la Chambre de commerce et d’industrie franco-coréenne (FKCCI), Ubifrance et les Conseillers du commerce extérieur de la France (CCEF) organisent sur deux jours (12 et 13 juin) le forum franco-coréen sur les stratégies de réduction des émissions de gaz à effet de serre. Porté par les pouvoirs publics français (ministère de l’industrie, ministère de l’écologie) et soutenu en Corée par le comité présidentiel pour la croissance verte, le ministère de l’écologie, le ministère de l’industrie et le ministère des affaires territoriales, maritimes et des transports, cette initiative vise à rassembler près de 200 personnes pour un déjeuner, des sessions plénières et des ateliers de cadrage. Organisé au Grand Intercontinental Hotel (12 juin) et au COEX (13 juin), le forum sera l’occasion de partager les expériences et bonnes pratiques, aussi bien du côté français que coréen, au travers de quatre grands thèmes : les transports durables, l’urbanisme et les bâtiments durables, l’efficacité énergétique ainsi que les instruments réglementaires, fiscaux ou financiers qui favorisent le changement. De notre régime énergétique. Nos sociétés ont à faire face à des modifications de leur environnement extrêmement rapides qui remettent en cause les fondements même de leur développement reposant actuellement sur l’exploitation de ressources fossiles dont la combustion entraine un réchauffement climatique brutal.

2012년 6월 11일에서 14일까지 코엑스에서 열리는 제34회 국제 환경산업기술·그린에 너지전을 맞아 프랑스대사관, 한불상공회의소, 프랑스 무역진흥청(Ubifrance), 프랑스 대외통상 자문위원회(CCEF)는 이틀에 걸쳐(6월 12일과 13일) 온실가스 감축 전략을 테마로 한불포럼을 개최한다. 프랑스 정부(산업부, 환경부)와 한국 정부 기관(대통령 직속 기관인 녹색성장 위원회, 환 경부, 지식경제부, 국토해양부)의 지원으로 이루어지는 한불포럼에는 200명 정도가 참 석해 오찬모임 형식으로 총회의와 실무토론을 전개한다. 6월 12일에는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호텔에서, 6월 13일에는 코엑스에서 열리는 한불 포럼을 통해 프랑스와 한국은 주요 테마를 중심으로 다양한 경험과 효과적인 방안에 대 해 이야기를 나누게 된다. 의제가 되는 주요 테마는 친환경 교통, 도시화, 친환경 건물, 에너지 효율성, 그리고 현 에너지 제도를 친환경적으로 바꿀 수 있게 해 주는 각종 규제, 세제 정책, 혹은 재정 지원 정책이다. 우리 사회는 정신 없을 정도로 빠른 변화를 맞고 있다. 화석연료를 지나치게 사용하는 현재의 개발 논리에 대한 비판이 일고 있는 것이 다. 화석연료가 연소되면서 갑작스러운 기후 변화를 일으키고 있기 때문이다. 저탄소 경제를 향한 프랑스의 경험을 조망해보는 기회를 마련해 줄 이번 한불포럼에서 프랑스는 국가 및 지역 공공기관(서울, 그랑 파리, 그랑 리옹 등), 그리고 기업의 관점에 서 한국과 다양한 경험을 공유할 것이다. 프랑스와 한국이 온실가스 감축이라는 공동 목 표를 계속 이행해 갈 방법을 논의하자는 것이 이번 포럼의 취지다. 양국은 산업 경제가 야기하는 문제와 온실 감축을 위해 실천할 수 있는 방안(공공기관과 기업의 기술과 노하 우)을 전반적으로 논의할 전망이다.

Cet événement présentera un panorama de l’expérience française en matière de basculement vers une économie « décarbonée », dans une perspective de partage d’expérience avec la Corée, tant d’un point de vue des pouvoirs publics nationaux et locaux (Séoul, Grand Paris, Grand Lyon, etc.), que des entreprises. L’objectif est d’illustrer la manière dont la France et la Corée poursuivent l’objectif partagé de réduction de leurs émissions de gaz à effet de serre, dans une approche globale qui regroupe l’ensemble des problématiques des économies industrielles, et les moyens mis en œuvre (offre technique et savoir-faire des organismes publics et des entreprises) pour les atteindre.

Pour plus d’informations | 상세 정보 Contact FKCCI | 한불상공회의소 담당자 : Byoung-Hi Ha 하병희 과장 bh.ha@fkcci.com

Contact Ambassade de France | 프랑스 대사관 담당자 : Yoann Gruson-Daniel yoann.gruson-daniel@dgtresor.gouv.fr


BRÈVES ÉCONOMIQUESß

© www.kr.airliquide.com

Air Liquide E&C signe un nou- Thales équipe le rail coréen veau contrat avec Posco L’unité internationale du groupe français Air Liquide Engineering & Construction a signé un contrat avec la division ingénierie et construction du groupe sud-coréen Posco, 3e aciérie mondiale, pour le design et la construction d’une unité de séparation de l’air capable de produire 3 750 tonnes d’oxygène par jour. Cette unité verra le jour sur le site de Posco à Kwangyang et la production d’oxygène sera utilisée pour la production de gaz naturel synthétique. Ce sera la vingtième unité de ce type construite pour Posco par les équipes d’Air Liquide E&C. En 2011, le groupe français a été élu « meilleur fournisseur » par Posco. « Air Liguide Engineering est fier de contribuer depuis 25 ans au développement de Posco, à travers une confiance mutuelle qui n’a pas failli de part et d’autre tout au long de ces années » a indiqué Wilfried Manet, représentant d’Air Liquide Engineering en Corée du Sud.

포스코와 새로운 계약을 체결한 에어리퀴드 E&C 프랑스의 세계적인 그룹 에어리퀴드 엔지 니어링 & 건설이 세계 3위의 철강업체인 한국의 포스코의 엔지니어링 사업부와 공 기분리 공장 건설을 위한 계약을 체결했 다. 이 공장으로 매일 산소 3750톤을 생 산할 수 있게 된다. 공장은 포스코의 광양 만 공업단지에 문을 열 예정이다. 생산된 산소는 합성천연가스 생산에 사용되게 된 다. 이로서 포스코는 에어리퀴드 E&C과 손잡고 산소 생산 공장을 스무 번째로 건 설하게 된다. 2011년, 에어리퀴드 E&C는 포스코가 꼽은 최고의 공급업체로 인정을 받았다. “에어리퀴드 엔지니어링은 25년 째 포스코의 성장에 기여하고 있어 뿌듯합 니다. 이는 저희와 포스코 사이에 오랜 기 간 신뢰가 돈독하기 때문에 가능한 일입니 다.” 윌프리드 마네 에어리퀴드 엔지니어 링 한국 지사장의 소감이다.

Dans le cadre du prolongement de la ligne de métro Sin-Bundang à Séoul qui ira de Jeongja à Gwanggyo et desservira six nouvelles stations, le groupe Thales a signé un nouveau contrat avec Hyundai Rotem afin de délivrer sa solution de signalisation CBTC (Communications-Based Train Control) SelTrac, peu de temps après celle mise en service entre Gangnam et Jeongja (en service depuis octobre dernier). Ce système permet au train d’échanger des données avec les équipements de voie, de disposer d’un système de commande centralisée NetTrac MT développé par Thales et apporte une solution de dépôt totalement automatisé. Ce système, bien inscrit dans le secteur du rail dans le monde (55 lignes de métro l’ont adopté), est désormais disponible en Corée du Sud sur douze trains et trois nouvelles rames qui circulent à une vitesse de 90km/h sans conducteur.

한국의 철도에 장비를 공 급하는 탈레스 정자에서 광교를 연결하고 새로운 6개 역 을 지날 신분당선 확장을 위해 탈레스 그 룹은 현대로템과 신규 계약을 맺고 셀트 랙(Seltrac) 통신기반 열차 제어 시스템 (CBTC)을 납품하기로 했다. 강남-정자 노선(지난 10월부터 운행)이 개통된 지 얼마 안 되어 이루어진 새로운 계약이다. CBTC Sel trac CBTC 시스템 덕에 차 량과의 지속적인 무선통신이 가능해지고 탈레스가 개발한 NetTrac MY 중앙통제 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 시 스템은 완전 자동화 등록 솔루션을 제공한 다. 전 세계 열차 분야에서 각광 받고 있는 이 시스템(지하철 55개 노선이 채택)은 현 재 한국에서 12여 대의 차량에 사용되고 있고 시속 90Km로 달리는 새로운 무인 열차에도 사용될 예정이다.

Top 5 des articles sur facebook.com/fkcci (janvier-mars 2012)

Top 5

ACTUALITÉS FRANCO-CORÉENNES 1 La Corée du Sud, au 5e rang mondial dans la R&D (Les Echos) 2 Ouverture du Café des Arts (Corée Affaires) 3 La K-Pop coréenne à l’assaut de Bercy (Le Figaro) 4 How should you brand South Korea? (BBC) 5 Corée du Nord : 9 ans pour fuir l’enfer (Fnac) ACTUALITÉS DE LA FKCCI 1 Global Career Forum organisé par InterChamber, alliance des Chambres de commerces en Corée 2 Campagne d’adhésion 2012 à la FKCCI 3 Infographie de la stratégie digitale 2011 de la FKCCI 4 Recrutement de stagiaires à la FKCCI 5 Galerie de photos de l’Expert Training Club sur le thème « 2012 New Tax Law » Rejoignez également la Chambre sur twitter.com/fkcci_info et le groupe LinkedIn « France Korea Network »

22 l CORÉE AFFAIRES 89


경제브리핑

5월 12일에 개최되는 2012 여수세계박람회

Ouverture de l’Expo 2012 Yeosu le 12 mai L’ouverture approche à grand pas et chaque pays finalise son pavillon. Du 12 mai au 12 août prochain aura lieu l’exposition internationale de Yeosu, au Sud de la péninsule coréenne, sur le thème « Pour des côtes et des océans vivants ». Autour de la Corée du Sud viendront participer 106 états et 10 organisations internationales pour huit millions de visiteurs prévus sur les trois mois de l’événement. Le pavillon français, réalisé par le cabinet d’architecture D.P.J. & Partners, invite les visiteurs à se transformer en cristaux de sel, à l’image de la mascotte du pavillon,

여수세계박람회를 앞두고 참가국들은 자 국 전시관을 마무리 짓고 있다. 5월 12일 에서 8월 12일까지 마침내 여수세계박람 회가 ‘살아 있는 바다, 숨쉬는 연안’이란 주 제로 열리게 된다. 한국을 비롯해 106개 국, 10개국의 국제기구가 참여할 예정이 고 3개월 동안 총 800만 명의 관람객이 모일 것으로 보인다. D.P.J. & Partners 가 설계한 프랑스관은 마스코트인 소그미 에 맞게 관람객들은 소금 결정체의 모험담 을 체험하고 단계별로(4개의 전시실) 담수 화 과정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관람객들은 모든 사람들이 식수 를 사용하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 알게 된다. 앞으로 50년 후 인류의 주요 과제 중 하나가 될 물 문제가 프랑스관에서 형상화 되어 표현한다. 프랑스관에 있는 모래시계 벽은 전문가들이 식수의 고갈을 예상하는 2040년까지 카운트다운을 하게 된다. 또 한 프랑스관은 프랑스가 신기술 부문에서 기울이는 노력을 제대로 보여줄 것이다.

Sogeumi, et à parcourir étape après étape (quatre salles) le processus de dessalement de l’eau. Chacun pourra ainsi comprendre l’importance de l’accès à l’eau potable par tous, un des grands défis de l’humanité des cinquante prochaines années représenté par la façade du pavillon : un mur de sabliers qui joue le rôle de compte à rebours jusqu’en 2040, date à laquelle les experts estiment que les réserves d’eau potable seront épuisées. Le pavillon français sera une démonstration de ce que la France fait aujourd’hui de mieux en termes de nouvelles technologie.

공식 네이버 블로그 포스트 조회수 Top 10

blog.naver.com/francebiz (2012년 1월-3월)

Top 10

1 2 3 4 5 6 7 8 9 10

프랑스 가정용품 브랜드 테팔, 'TEFAL 인텐시움 3D 코팅'공개 [특집 인터뷰] 정병철 전국경제인연합회 상근부회장 클라우스 파스벤더, 로레알 코리아 사장 2011년 한국의 이슈 아코르 앰배서더 호텔, 비즈니스 호텔 3곳 더 연다. 아이폰 4S의 시리? 이제 안드로이드에서도 음성인식 서비스 된다! [경제브리핑] 시트로앵, 한국입성 한불상공회의소에서 최초의 프랑스 레스토랑 가이드북 출간! 유로존 위기로 흔들리는 한국 한국 로레알-유네스코 여성생명과학상 수상: 백성희 교수

CORÉE AFFAIRES 89 l 23


24 l CORテ右 AFFAIRES 89


La Grande Interview 특집 인터뷰 손경식 대한상공회의소 회장

SOHN Kyung-Shik

Chairman de la Chambre de commerce et d’industrie coréenne

Président (Chairman) de la Chambre de commerce et d’industrie coréenne (KCCI) et de la Chambre de commerce et d’industrie de Séoul (SCCI) depuis novembre 2005, Sohn Kyung-Shik a au cours de sa carrière multiplié les postes stratégiques au sein de grandes sociétés sud-coréennes : responsable marketing chez Samsung Electronics en 1968, président de Samsung Fire & Marine Insurance en 1977, Chairman de Cheil Jedang Corporation (1994) et Chairman de CJ Group (actuellement). Dans le cadre d’un rapprochement avec la Chambre de commerce et d’industrie franco-coréenne, Sohn Kyung-Shik revient pour Corée Affaires sur le rôle de la KCCI et les relations d’affaires franco-coréennes.

손경식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은 2005년 11월부터 서울상공회의소 회장직도 역임하고 있다. 손경식 회 장은 국내 여러 대기업에서 굵직한 전략을 담당해 오 고 있기도 하다. 1968년에는 삼성전자에서 마케팅 을 담당했고 1977년에는 삼성화재보험 대표이사직 을 맡았다. 1994년부터 현재까지 CJ 회장직을 맡 고 있다. 손경식 회장은 한불상공회의소와의 협력을 강화하는 취지에서 <꼬레 아페르>와 인터뷰를 갖고 대한상공회의소의 역할과 한불 비즈니스 관계에 대 해 설명했다.

Quel est le rôle de la KCCI ? La KCCI contribue au développement et à la croissance saine des entreprises coréennes. Elle opère en tant que communauté d'affaires, représentant 70 chambres de commerce et d'industrie et environ 130 000 entreprises membres dans toute la Corée. Notre principale mission est de défendre l'intérêt de l'ensemble des commerces et des industries. Pour cela, nous nous efforçons d’établir un environnement propice aux affaires. Nous sommes par exemple force de proposition auprès du gouverne-

대한상공회의소의 역할에 대해 말씀해주시겠습니까? 대한한상공회의소는 전국 70개 상공회의소와 약 13만 기업회원사를 대표하는 경제단체로서 우리기업의 건전한 성장과 발전을 위해 일하고 있습니다. 주된 역할은 상공업계 전체의 권익을 대변하는 것이며, 산업계 의견수렴과 조 사·연구를 통해 기업활동에 걸림돌이 되는 규제와 제도의 개선을 정부에 건의 하는 등 기업하기 좋은 여건을 만들기 위한 다양한 활동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기업이 필요로 하는 교육·상담·정보 등 각종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고, 중 소기업의 경쟁력 강화와 애로해소를 위해 적극 노력하고 있으며 외국과의 경제 교류 증진에도 힘을 쏟고 있습니다.

CORÉE AFFAIRES 89 l 25


5 janvier 2012 Cérémonie des voeux de nouvel an tenue à la KCCI / 2012년 1월 5일 대한상공회의소 신년인사회

ment afin d’améliorer certaines restrictions et règles faisant obstacles aux activités des entreprises. Cela est possible grâce à des enquêtes d’opinion dans les milieux d’affaires et un certain nombre de recherches et d’études. Nous offrons également différents types de services pour les entreprises, comme des formations, des consultations et de l’information. Nous déployons enfin de nombreux efforts tant pour renforcer la compétitivité des entreprises et résoudre les problèmes auxquels elles font face, que pour promouvoir les échanges économiques avec les pays étrangers.

한국의 비즈니스 환경은 어떤지요? (대기업, 중소기업, 기업가 등의 수와 동향) 5,000만의 인구를 보유한 한국은 높은 경제 성장률을 기록하며 1조 달러 규모 의 GDP(세계 15위, 2010년 기준) 수준으로 빠르게 성장해 왔습니다. 지리 적으로 중국, 일본 등 거대시장과 인접해 있고, EU, 미국, 아세안 등 전 세계 GDP의 61%를 차지하는 주요시장과 FTA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역 동적인 내수시장과 우수한 인력·기술력·산업인프라를 보유하고 있어 투자매력 도 측면에서도 주목받고 있습니다. 지난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를 겪으면서 기업의 경쟁력 제고를 위해 민관 합동으로 규제개혁 노력을 지속적으로 추진한 결과 세계은행(World Bank)의 2011년도 기업환경 평가(Doing Business) 에서 10위권 내에 포함되기도 하였습니다.

Comment se porte l’environnement des affaires en Corée ? Forte de ses cinquante millions d’habitants et de sa croissance stable, la Corée a su atteindre rapidement les 1 000 milliards de dollars de PIB (15e rang mondial, sur la base de l'année 2010). Géographiquement, la Corée se trouve à proximité de deux grands marchés que sont la Chine et le Japon et multiplie les signatures d’accords de libre-échange comme avec l'Union européenne, les Etats-Unis et l'ASEAN, trois blocs qui représentent 61% du PIB mondial. Disposant d’un vrai marché domestique, de personnes hautement qualifiées, de technologies de pointe et d’infrastructures industrielles, la Corée attire de plus en plus d’investisseurs étrangers. Depuis 2008 et la crise financière internationale, la Corée a poursuivi les réformes de déréglementation des organisations publiques et privées afin d’améliorer la compétitivité des entreprises. Grâce à ces réformes, la Corée a été reconnue par la Banque Mondiale comme l'une des dix meilleures destinations en matière de « pays où il fait bon faire des affaires » (Doing Business) en 2011. Il est par ailleurs vrai que les grandes entreprises coréennes, qui s'imposent aujourd’hui comme des entreprises globalement reconnues, ont largement contribué au développement de l'économie nationale. Mais les petites et moyennes entreprises occu-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한 대기업이 한국경제 발전에 크게 기여한 것도 사실이 지만, 중소기업이 사업체수의 99.9%, 고용의 87.7%를 차지할 정도로 중소기 업이 한국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 또한 매우 높습니다. 정부도 이런 점을 감안, 조세·금융 등 다양한 분야의 정책지원을 통해 중소기업의 경쟁력 강화를 지원 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건강한 산업생태계의 조성을 위해 대 기업과 중소기업 사이에 중견기업 개념을 신설하여 육성책을 마련하고 있고 대 기업과 중소기업간 상생협력을 위해 정부와 경제계가 함께 노력하고 있습니다.

9 février 2012 Global Career Forum / 2012년 2월 9일, 2012 글로벌 커리어 포럼

26 l CORÉE AFFAIRES 89


pent aussi une place très importante dans l'économie coréenne, représentant 99.9% des entreprises et contribuant à 87.7% à la création de nouveaux emplois. Tenant compte de cette situation, le gouvernement coréen multiplie les efforts afin de renforcer la compétitivité des PME à travers diverses mesures de soutien en matière d'impôts, de financements, etc. Aujourd’hui, un nouveau concept d'entreprises, entre la grande entreprise et la PME, est en train de voir le jour. De fait, des mesures sont mises en place afin de créer un environnement d’affaires sain. Le gouvernement et les entreprises travaillent de concert pour établir une plus grande harmonie et davantage de coopérations entre les grands groupes et les PME. Quelle est la vision 2012 de la Chambre de commerce et d’industrie coréenne ? Dans un premier temps, nous prévoyons de soutenir activement les entreprises membres afin de faciliter leur système de gestion dans un contexte économique national et international indécis. Pour résoudre les problèmes auxquels les entreprises font face, nous dirigeons en coopération avec 70 chambres de commerce et d'industrie dans toute la Corée plusieurs initiatives : le groupe conjoint public-privé sur les réformes règlementaires, le centre d'assistance aux affaires ou encore le groupe de conseils pour les PME. En 2012, nous allons poursuivre efficacement nos missions pour le soutien des entreprises membres et aider les sociétés coréennes à s’internationaliser et accroître leurs échanges (importations/exportations). Deuxièmement, nous souhaitons participer de manière active à la résolution des défis nationaux pour une croissance continue de l'économie coréenne. Nous allons dans ce cadre diriger un groupe consacré aux ressources humaines afin d’accroître la création d’emplois et réduire le chômage des jeunes. Pour se faire, nous établirons une base de données sur l’offre et la demande d’emploi et étudieront en profondeur les besoins en ressources humaines des entreprises. Parallèlement, nous prévoyons des ateliers d’orientation sur des sujets d’actualité comme l’amélioration du système fiscal, les secteurs d’activités clés pour les PME, les accords de libre échange et la relance de la demande domestique.

2012년 대한상공회의소의 중점 추진사업은 무엇인지요? 첫째, 불안한 대내외 경제여건 속에서 회원기업들이 경영활동에 매진할 수 있 도록 적극 지원할 것입니다. 대한상의는 회원기업의 애로를 해소하기 위해 전국 70개 상공회의소와 협력해 민관합동 규제개혁추진단(Public-Private Joint Regulatory Reform Initiative), 기업애로종합지원센터(KCCI Business Assistant Center), 중소기업경영자문단(KCCI SME Advisor Group) 등을 운영하고 있으며 올해도 관련 사업을 더욱 내실 있게 추진할 계 획입니다. 또한 전세계 190여개국 상공회의소와의 협력네트워크를 활용해 우 리 기업의 해외진출과 수출입 확대를 위해서도 노력할 것입니다. 둘째, 한국경제의 지속적인 성장을 위한 국가적 과제 해결에도 적극 동참할 것 입니다. 특히, 일자리 창출과 청년실업 해소를 위해 새롭게 기업인력추진단 (KCCI Human Resources Initiative)을 운영하고 이를 통해 기업의 인력수 요를 조사하고 구인·구직자 DB를 구축하는 등 맞춤형 인력매칭 사업을 추진할 계획입니다. 또한 세제개선, 중소기업 적합업종, FTA, 내수활성화 등 주요 현 안에 대해서는 경제단체로서 방향을 제시할 예정입니다.

22 mars 2012 EU Business School / 2012년 3월 22일 EU 비즈니스 스쿨

CORÉE AFFAIRES 89 l 27


15 février 2012 David-Pierre Jalicon, Chairman de la FKCCI, et Sohn Kyung-Shik, Chairman de la KCCI / 2012년 2월 15일 한불상공회의소 회장 접견

De quelle manière la KCCI et la FKCCI peuvent-elles collaborer afin de rapprocher les PME françaises et coréennes ? Nous faisons en sorte de renforcer nos coopérations avec les chambres de commerce et d’industrie de chaque pays et les chambres étrangères implantées en Corée. Je pense que si nous arrivons à organiser, conjointement avec la FKCCI, des séminaires et des réunions d’information sur des thèmes liés aux missions croisées de PME et à l’information sur les marchés français et coréen, alors nous pourrons envisager des rapprochements entre nos PME. De même, si la Corée et la France profitent de l’accord de libre échange signé entre la Corée et l’Union européenne, et relient les 70 chambres de commerce coréennes aux 150 chambres françaises, nous verrons naître de nouvelles coopérations bilatérales, pouvant aller du secteur des biens de consommation aux nouvelles technologies de l’information et de la communication. Bien qu’éloignées géographiquement, les entreprises de nos deux pays peuvent, à des coûts raisonnables, favoriser les échanges et les coopérations grâce à des systèmes de consultation commerciale en ligne, comme celui actuellement mis en place par notre chambre. En tant que président de la KCCI, quel regard portez-vous sur la situation économique actuelle dans le monde et en Corée ? Les économies mondiale et coréenne connaissent une période difficile. La crise européenne se fait sentir dans les grandes économies développées et cela se répercute sur la Corée et les pays émergents. Nous avons enregistré un fort ralentissement de nos exportations et je crains que la hausse du prix du pétrole provoquée par les récents événements en Iran soit un facteur à risque important pour l’économie mondiale et locale. Je souhaite sincèrement que les tensions causées par la situation en Iran disparaissent et que la crise financière européenne se règle au plus vite afin de relancer le commerce entre la Corée et l’Europe. Propos recueillis par Clément CHARLES, Rédacteur en Chef 28 l CORÉE AFFAIRES 89

한국 중소기업과 프랑스 중소기업이 긴밀한 관계를 맺을 수 있도록 대한상 공회의소와 한불상공회의소는 어떻게 협력할 수 있을지요? 대한상의는 세계 각국 상공회의소와의 협력 증진에 힘쓰고 있으며 주한 외국상 공회의소와도 협력하고 있습니다. 대한상의와 한불상공회의소가 협력하여 중소기업사절단 상호파견, 양국 시장 및 기업 정보제공을 위한 세미나 및 설명회 개최 등을 추진한다면 한국과 프랑 스의 중소기업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합니다. 특히 작년에 발효된 한-EU FTA를 활용하고 대한상의의 70개 지방상의 네트워크와 프랑스 상의 의 155개 지역상의를 연계한다면 소비재에서 정보통신기술(ICT)에 이르기까 지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방안이 나올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합니다. 한국과 프랑 스가 지리적으로는 떨어져 있지만 대한상의가 추진하고 있는 인터넷 기반의 온 라인 거래상담을 이용하면 저비용으로 양국 기업간 교류와 협력을 활성화할 수 있을 것입니다.

회장님께서 보시는 세계와 한국의 현 경제상황은 어떤지요? 세계경제와 한국경제 모두 어려운 상황이라고 봅니다. 유럽 재정위기로 인한 주요 선진국의 경기둔화가 한국을 비롯한 신흥국에도 점차 영향을 주고 있습 니다. 한국도 올해 들어 수출이 크게 둔화되고 있습니다. 앞으로 이란사태로 인 한 국제유가의 상승도 세계경제와 한국경제를 어렵게 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것 으로 우려됩니다. 하루빨리 이란사태가 안정을 찾고 유럽 재정위기가 해결되어 유럽은 물론 한국경제가 회복되었으면 합니다. 인터뷰. 끌레망 샤를르, 편집장

Photo / 사진 © KCCI 대한상공회의소 (http://photo.korcham.net)


Présence Française en Corée : Qui sommes-nous ? 프랑스의 한국 진출, 심층 진단

30 Oser la Corée du Sud ! 32 Bilan des échanges bilatéraux France-Corée en 2011 36 Comment exporter en Corée du Sud ? ’ 38 Entrepreneurs français en Corée‘ : « on assiste à une révolution » 40 L'implantation industrielle en Corée : défis et clés du succès 42 Les recettes du succès 한국시장에 도전하다!

2011년도 한불교역에 대한 평가 한국에 수출하려면?

한국에서 활동하는 프랑스인 사업가들: 큰 변화가 일어나고 있습니다. 프랑스 기업의 한국 진출: 도전과 성공의 열쇠 성공의 비결


DOSSIER Présence Française en Corée : Qui sommes-nous ?

Oser la Corée du Sud ! 한국 시장에 도전하다!

Avec un département commercial et coopération internationale qui multiplie les missions entre la France et la Corée, un Chairman dont la carrière d’entrepreneur est l’une des premières success-story franco-coréenne, et une équipe qui ne cesse de s’agrandir avec une gamme de services chaque année plus variée, qui de plus légitime que la Chambre de commerce et d’industrie franco-coréenne pouvait aborder dans son magazine un dossier sur les relations commerciales entre nos deux pays et les stratégies de développement pour les entreprises françaises dans la péninsule sud-coréenne ?

30 l CORÉE AFFAIRES 89

Depuis plus de 25 ans, la FKCCI s’attache à supporter le développement des entreprises françaises en Corée et à multiplier les missions de prospections coréennes dans l’hexagone. D’une simple mission de prospection de partenaires/clients à la création d’un bureau de représentation en passant par la délégation d’un chef de projet à temps partagé ou une étude de marché sur un secteur spécifique, la FKCCI assure un véritable rôle de pont entre la France et la Corée. Aujourd’hui, la Corée du Sud s’impose comme une nouvelle destination asiatique pour les produits et les investisseurs français. Le nombre croissant de

membres à la FKCCI en est la plus belle preuve : en 2012, déjà 205 entreprises ont décidé d’adhérer à la Chambre*, soit cinquante de plus qu’en 2007. Parmi les implantations françaises recensées à la Chambre, la plupart sont des grands groupes, que ce soit des filiales ou des joint-ventures (65%). Ceux-ci sont nombreux à avoir fait le choix de se développer localement avec une implantation industrielle ou un centre de recherche et développement. Par ailleurs, 11% des entreprises françaises membres sont des PME implantées soit à travers une filiale (9%) soit à travers une joint-venture (2%). La tendance montre en outre que les entrepreneurs/start-up et les exportateurs


특집 기사 프랑스의 한국 진출, 심층 진단

implanter une filiale d’un grand groupe ou se lancer dans l’entreprenariat en Corée : autant de points abordés dans ce dossier. * Adhésions au 30 mars 2012

© Office National du Tourisme Coréen 사진제공/한국관광공사

sont de plus en plus nombreux à choisir la Corée pour développer leurs activités (près d’un quart des membres). Leurs adhésions à la Chambre sont croissantes, tout comme le nombre de missions enregistrées au département commercial et coopération internationale. La Chambre devrait à n’en pas douter enregistrer un nouveau record du nombre d’adhérents d’ici la fin 2012 (213 membres en 2011). Et avec l’accord de libre échange UECorée du Sud en vigueur depuis juillet 2011, l’avenir des échanges commerciaux entre la France et la Corée est plus que radieux. C’est également pour se préparer aux développements des échanges bilatéraux que la Chambre n’hésite pas à accueillir des entreprises au sein même de sa structure. Ce nouveau numéro de Corée Affaires fait donc le point sur les relations commerciales entre la France et la Corée et les stratégies à adopter pour un investissement industriel ou la création d’une PME. Expatriés, experts et entrepreneurs ont accepté de donner quelques conseils et d’analyser les tendances sur le marché coréen. Se développer à l’international avec l’Équipe de France de l’Export,

한국과 프랑스의 비즈니스 미팅을 활발히 늘려가 는 한불상공회의소의 국제 협력팀. 한불 비즈니스 스토리에서 성공적인 기업가의 모범으로 통하는 한불상공회의소 회장. 매년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 하며 끝없이 성장을 향해 달려가는 한불상공회의 소의 임직원. 이번호 <꼬레 아페르>는 한불 비즈 니스 관계, 한국에서 성장하려는 프랑스 기업들의 전략을 특집 기사로 다뤄보고자 한다. 25년 넘는 세월 동안 한불상공회의소는 주한 프랑스 기업들 이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프랑스에 한국 시장 의 매력을 알리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하고 있다. 미래의 협력업체와 클라이언트 간의 비즈니스 미 팅에서부터, 프로젝트 매니저의 지원, 특정 분야의 시장조사, 연락사무소 설치에 이르기까지 한불상 공회의소는 프랑스와 한국을 잇는 진정한 교두보 역할을 하고 있다. 현재 한국은 프랑스 제품과 투자자들이 새롭게 진 출하려는 아시아 시장으로 각광받고 있다. 나날 이 늘어나는 한불상공회의소의 회원사가 좋은 예 다. 2012년에는 이미 205개의 기업들이 한불상 공회의소의 회원이 되었다*. 이는 2007년에 비

해 50개 기업이 늘어난 성과이다. 한불상공회의 소 회원사들 중 한국에 진출한 프랑스 기업은 대부 분(65%) 대기업의 한국 지사 또는 한불 합작회사 이다. 이들은 현지에 공장을 세우고 연구와 개발을 위한 연구소를 설치하는 등 적극적으로 진출하는 방법을 택했다. 또한, 본소 회원사 중 11%의 프랑 스 기업은 중소기업으로 9%가 한국 지사, 2%가 한불 합작회사의 형태로 진출해 있다. 이러한 경향 (본소 회원사의 약 1/4 정도)은 한국을 진출 무대 로 선택하는 기업가들과 신규사업자들, 그리고 수 출업체들이 증가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한불 상공회의소의 회원사 가입수의 증가와 더불어 국 제 협력팀에 접수되는 비즈니스 프로젝트의 개수 도 증가하고 있다. 한불상공회의소는 2012년 말 까지 회원사 가입의 새로운 기록을 갱신할 전망이 다.(2011년에는 213개 기업 가입) 또한 2011년 7월에 발효한 한국-EU FTA도 무역 의 전망을 더욱 밝게 해 준다. 뿐만 아니라 한불상 공회의소는 한불교역 규모가 앞으로도 계속 증가 할 것으로 보고 사무실 임대 서비스도 제공하기로 했다. 이번호 <꼬레 아페르>는 한불 비즈니스, 산 업투자 혹은 중소기업 설립에 필요한 전략을 살펴 보려고 한다. 이번호 <꼬레 아페르>에서는 한국 에 근무하는 프랑스 비즈니스 관계자, 전문가, 기 업가들이 유용한 조언을 해주었을 뿐만 아니라 한 국 시장 동향도 분석해주었다. 프랑스 수출팀과 함 께 세계 시장에서 성장, 한국에 대기업 지사 설립 혹은 창업 등 이번 호 특집 기사는 알차고 흥미로 운 내용을 대거 다루고 있다.

* 2012년 3월 30일 회원 가입 현황

Présence Française en Corée du Sud (membres FKCCI) 한국에 진출한 프랑스기업 현황(한불상공회의소 회원사)

CORÉE AFFAIRES 89 l 31


DOSSIER Présence Française en Corée : Qui sommes-nous ?

Bilan des échanges bilatéraux France-Corée en 2011 2011년도 한불교역에 대한 평가

Par Benoit Gauthier, Conseiller économique, Ambassade de France en Corée Après neuf années de déficit commercial pour la France dans ses échanges avec la Corée, l’exercice 2011 marque le retour à un excédent significatif, après un quasi équilibre en 2010. Le solde de nos échanges commerciaux avec la Corée est excédentaire de 655 millions d’euros ; il couronne un lent processus de rééquilibrage de nos échanges bilatéraux entamé depuis 2006, année durant laquelle notre déficit avait atteint 1,3 milliard d’euros. L’excédent commercial de la France résulte de l’augmentation de 30% de nos ventes en Corée, alors que les exportations coréennes vers la France ne progressent que de 7% seulement. La demande adressée à la Corée par la France progresse faiblement, dans un environnement pourtant porté par l’entrée en application de l’accord de libreéchange entre l’Union Européenne et la Corée, mais affecté par la dégradation de la conjoncture en Europe en fin d’année. Il est cependant encore prématuré d’attribuer les performances de nos exportations à l’entrée en application de l’ALE le 1er juillet 2011, dont le plein effet ne pourra se mesurer qu’à l’issue de la période de démantèlement des tarifs.

32 l CORÉE AFFAIRES 89

Sur la lancée de 2010, nos ventes en Corée sont en forte augmentation en 2011 Les échanges commerciaux entre la France et la Corée avaient fortement rebondi en 2010, pour atteindre 6,5 milliards d’euros, sans revenir toutefois à leur niveau d’avant la crise (7 milliards d’euros en 2007). C’est désormais chose faite, puisqu’en 2011, les échanges bilatéraux ont atteint 7,72 milliards d’euros, enregistrant une progression de 19% par rapport à 2010. C’est la première fois en dix ans que les échanges bilatéraux atteignent un tel niveau. Notre excédent commercial s’élève à 655 millions d’euros en 2011, performance d’autant plus remarquable qu’elle marque la fin d’une quasi-décennie de déficit bilatéral avec la Corée. - L’aéronautique, avec des ventes en augmentation de 187% par rapport à 2010, à 1,24 milliard d’euros, est le principal contributeur à ce résultat, dont il représente près de 30% en valeur. Cette performance tient essentiellement à la conjonction de nombreuses livraisons au cours de l’année 2011, après une année 2010 déjà favorable. - Hors aéronautique, les exportations françaises ont enregistré une croissance plus modérée de 6% par rapport à 2010, à 2,95 milliards d’euros en 2011, qui est le résultat d’une progression de la quasi-

totalité de nos secteurs exportateurs vers la Corée. Deuxième poste d’exportations en 2011 avec 20% de nos ventes, le secteur des biens d’équipement (mécaniques, électriques et électroniques) enregistre une décrue de 4% à 829 millions d’euros. Le secteur a été directement impacté par le ralentissement de l’activité en Corée, lié au retournement de la conjoncture mondiale dans le secteur de l’électronique et des équipements industriels. Troisième poste d’exportations françaises vers la Corée, les produits chimiques, parfums et cosmétiques enregistrent des ventes en hausse de 10%, à 559 millions d’euros. Au sein de cet agrégat, le poste des cosmétiques enregistre une croissance de près de 15% à 202 millions d’euros. Nos ventes de produits métallurgiques et métalliques, au 4e rang de nos exportations, ont augmenté de 10% en 2011, à 360 millions d’euros. Elles ont bénéficié de la reprise de l’investissement productif au deuxième trimestre 2011 et des bons résultats à l’export de l’industrie automobile coréenne. Nos ventes de produits agricoles et agroalimentaires, en 5e position, sont en nette augmentation (26%), à 258 millions d’euros. Ce dynamisme vaut pour l’ensemble des produits, aussi bien les vins (19%) et les spiritueux (26%), que les viandes (23%), les produits laitiers (64%), ou encore les produits de confiserie et chocolats (18%).


특집 기사 프랑스의 한국 진출, 심층 진단

Les biens de consommation hors cosmétiques, (textiles, habillement, cuirs et chaussures) affichent une progression de 25% à 229 millions d’euros au 6e rang de nos exportations, en grande partie tirée par le succès du luxe français en Corée. Le poste automobile et équipements automobiles affiche une progression de 14,5% en 2011, à 228 millions d’euros. Au sein du 7e poste de nos exportations, les livraisons de véhicules progressent de 68% à 41 millions d’euros, les exportations de moteurs augmentent de 20% à 81 millions d’euros tandis que les équipements et composants progressent de 1% à 96 millions d’euros.

La demande française de produits coréens est moins dynamique et marque le pas dans certains secteurs clés de l’offre coréenne Les exportations de produits coréens vers la France ont atteint 3,5 milliards d’euros en 2011, en augmentation de 7% par rapport à 2010, mais en recul de 12% par rapport à 2007, signe que la Corée n’est pas parvenue jusqu’à présent à retrouver son dynamisme d’avant la crise. On remarque une spécialisation croissante des exportations de la Corée vers la France, puisque les six premiers

postes représentent les deux tiers de ses livraisons ; deux domaines d’activités représentent à eux seuls la moitié des exportations coréennes : - les équipements électroniques, informatiques et de communications et leurs composants pèsent le tiers des livraisons à la France en 2011, à 1,16 milliard d’euros, malgré une forte baisse (-19%) par rapport à l’exercice 2010. Les plus fortes baisses au sein de l’agrégat en 2011 concernent les produits électroniques grand public (-22%) et les équipements de communication (-39%), affectés par le ralentissement de la consommation en France au cours du second semestre ; - L’automobile et les composants et équipements automobiles pèsent désormais 15% des exportations coréennes vers la France, à 637 millions d’euros, et enregistrent la plus forte progression (130%) en 2011 par rapport à 2010 ; Les exportations de produits pétroliers raffinés se sont envolées en 2011, avec une progression de 365%, qui place le poste au 3e rang en valeur des performances coréennes avec 470 millions d’euros. Le secteur de la construction navale poursuit son déclin dans les exportations vers la France, en enregistrant une baisse de 4% par rapport à 2010, à 182 millions d’euros. Alors qu’elles figuraient au 2e rang des exportations coréennes en 2009, avec des livraisons totalisant 414 millions d’euros, 2010 et 2011 ont enregistré deux contractions successives qui tiennent avant tout au repli du secteur du transport maritime et au ralentisse-

ment des commandes en 2009 et 2010. Les livraisons de navires, qui représentaient 13% des exportations coréennes en France en 2009 n’en représentaient plus que 8% en 2010 et seulement 5% en 2011. Plusieurs facteurs conjoncturels peuvent avoir contribué à la contre-performance relative des exportations coréennes vers la France : l’affaiblissement de l’euro et l’appréciation graduelle de la monnaie coréenne en 2011 ont pesé sur la compétitivité prix des produits coréens sur le marché européen ; le ralentissement de l’économie européenne au second semestre 2011 et la crise des dettes souveraines ont également impacté la demande européenne pour les biens de consommation durables (électroniques notamment), phénomène que l’on mesure également dans le ralentissement de la demande coréenne pour les composants électroniques échangés dans le cadre des relations intra-firmes avec les équipementiers français. De manière plus structurelle, la localisation croissante de productions industrielles coréennes en Europe (automobiles, électroménager) ou en Chine (électronique grand public) semble avoir un effet limitatif sur les exportations directes depuis la Corée dans ces secteurs. Enfin, le déclin des livraisons de navires à la France ne peut s’expliquer uniquement par la crise conjoncturelle de surcapacité de l’armement maritime mondial en période de ralentissement

CORÉE AFFAIRES 89 l 33


DOSSIER Présence Française en Corée : Qui sommes-nous ?

1,240

829

559

360

258

[ EXPORTATIONS FRANÇAISES VERS LA CORÉE | 프랑스의 대 한국 수출 ]

des échanges. Plus fondamentalement, les chantiers navals sont confrontés à un effet de ciseau entre des commandes qui diminuent globalement et une concurrence de plus en agressive des chantiers navals chinois. L’impact de l’entrée en vigueur de l’accord de libre-échange, le 1er juillet 2011, n’est pas encore clairement mesurable dans l’évolution des échanges bilatéraux, même si l’on constate un renforcement de nos positions en 2011 dans certains secteurs de l’agroalimentaire comme les vins. Il est prématuré cependant d’attribuer ce dynamisme uniquement aux effets de l’entrée en vigueur de l’accord du libre-échange, le démantèlement des droits tarifaires devant intervenir au cours des cinq années à venir pour certains produits, tandis que certains, dont les droits ont été supprimés dès l’entrée en vigueur de l’accord, progressent fortement depuis la fin de 2010. Le dynamisme des exportations françaises tient plus sûrement aux effets indirects de l’accord, effets favorisés par la baisse relative du prix des produits français, qui tiennent à la mobilisation des opérateurs pour ce marché, à une demande conjoncturellement forte de la Corée pour certains types de produits (viande de porc) et baisses de prix opérées par anticipation par les importateurs avant même le démantèlement des tarifs (dans les vins notamment).

Un ralentissement passager du dynamisme de nos échanges est prévisible au 1er semestre 2012, en raison de la dégradation de la conjoncture en Eu-

34 l CORÉE AFFAIRES 89

rope, qui pourrait impacter à la fois la demande européenne pour les produits coréens et par contrecoup l’activité économique en Corée. Il sera, à cet égard, particulièrement instructif d’évaluer l’effet amortisseur de l’accord de libre-échange dans un contexte de contraction de la demande globale.

글. 브누아 고티에, 주한 프랑스대사관 경제상무 관실 경제 참사관 프랑스는 9년 동안 한국과의 교역에서 적자를 기 록하다가 2010년에 흑자 기미를 보였고 2011년 에 확실한 흑자를 기록했다. 프랑스는 한국과의 교 역수지에서 6억 5500만 유로의 흑자를 기록하고 있다. 이로서 프랑스는 2006년에 13억 유로의 적 자를 기록했으나 이후 흑자 기미를 보여 한국과의 교역에서 다시 서서히 균형을 찾아가고 있다. 프랑 스가 이처럼 교역 흑자를 기록하게 된 것은 대 한 국 수출이 30% 증가했기 때문이다. 반면, 한국의 대 프랑스 수출은 7% 증가에 그치고 말았다. 한 국-EU FTA의 시행으로 한국산에 대한 프랑스의 수요는 소폭에 그치고 있는데 연말에 유럽에 불어 닥친 불황의 영향 때문이다. 프랑스의 대 한국 수출이 늘어난 것은 사실이지만 이것이 2011년 7월 1일에 시행된 한국-EU FTA 덕이라고 단정하기에는 아직 이르다. FTA의 완전 한 효과는 관세 철폐가 본격화되어야 알 수 있기 때 문이다.

프랑스의 대 한국 수출은 2010년부터 증가세를 보 이다가 2011년에 상당히 늘어났다.

229

228 166 millions d'euros

한불교역은 2010년도에 크게 늘어나 65억 유로에 이르렀지만 위기 이전의 수준(2007년의 한불교역 은 70억 유로)을 회복하지 못했다. 그러나 2011년 에 양국의 교역 규모가 2010년에 비해 19% 증가 해 77억 2000만 유로의 성과를 거두었다. 프랑스는 한국과의 교역에서 근 10년 동안 적자를 면치 못하다가 마침내 2011년도에 6억 5500만 유 로의 흑자를 기록하는 쾌거를 이루었다.

- 항공우주 부문은 프랑스의 대 한국 수출에서 효자 노릇을 톡톡히 하고 있다. 2010년에 비해 2011년 에는 수출이 187% 증가해 12억 4000만 유로의 실적을 기록했기 때문이다. 실제 항공우주 부문은 프랑스의 대 한국 수출에서 약 30%를 차지하고 있 다. 항공우주 분야가 수출 호조를 보인 것은 2010 년부터 2011년까지 꾸준히 한국에서 판매되었기 때문이다. - 항공우주 이외의 분야를 살펴보면, 2011년도 프 랑스의 대 한국 수출이 2010년에 비해 6% 완만한 상승세를 보여 29억 5000만 유로의 실적을 기록 했다. 항공우주 이외의 분야도 대 한국 수출이 늘어 났다. 2011년 프랑스의 대 한국 수출에서 두 번째 비중 을 차지하는 것은 장비재 분야(기계, 전기, 전자)다. 프랑스의 대 한국 수출에서 20%의 비중을 차지하 고 있다. 2011년도에 장비재 분야 수출은 4% 감 소해 수출액은 8억 2900만 유로였다. 장비재 분야 는 세계 경기 불황으로 한국의 전자 및 산업장비 부 문이 둔화되며 수출 감소를 기록한 것이다. 프랑스의 대 한국 수출에서 세 번째 비중을 차지 하는 것은 화학제품, 향수, 코스메틱으로 수출은 10% 증가해 5억 5900만 유로를 기록했다. 특히 코스메틱 부문은 15% 정도의 수출이 증가해 2억 2백만 유로의 수출액을 달성했다. 프랑스의 대 한국 수출에서 네 번째 위치를 차지 하고 있는 제철과 금속 분야는 2011년에 수출이 10% 증가해 3억 6000만 유로의 수출액을 이뤘 다. 2011년 2/4분기에 생산 투자가 회복되고 한국 의 자동차 수출이 순항을 탄 덕에 이뤄진 쾌거다.


특집 기사 프랑스의 한국 진출, 심층 진단

1,160

637

470

182

[ EXPORTATIONS CORÉENNES VERS LA FRANCE | 한국의 대 프랑스 수출 ]

프랑스의 대 한국 수출에서 다섯 번째 위치를 차 지하는 농식품 분야는 뚜렷한 수출 증가를 보여 (26%) 2억 5800만 유로의 수출액을 달성했다. 이 같은 호황은 와인(19% 증가), 스피리츠(26% 증 가), 육류(23% 증가), 유제품(64%), 디저트와 초콜렛 제품(18% 증가)의 수출에 도움이 되고 있다. 코스메틱을 제외한 소비재(섬유, 의류, 가죽과 신 발)는 수출이 25% 늘어 수출액 2억 2900만 유로 를 기록해 프랑스의 대 한국 수출에서 6위를 차지 하는 품목이 되었다. 이는 한국에서 프랑스 명품 산 업이 성공을 거둔 덕이다. 자동차와 자동차 장비는 2011년에 수출이 14% 증가해 2억 2800만 유로의 수출 실적을 거두었다. 프랑스의 대 한국 수출에서 7위를 차지하는 자동차 관련 부문에서 자동차 수출이 27% 늘어 수출액 1억 3200만 유로를 기록한 반면, 자동차 장비 수 출은 2% 늘어나 9000만 유로의 실적을 기록했다. 프랑스의 대 한국 수출에서 8위를 차지하는 제약은 2010년과 마찬가지로 2011년에도 수출이 주춤해 수출이 6% 감소했고 수출실적은 1억 6600만 유 로에 그쳤다. 이는 한국 정부의 제약 가격 제한 정 책과 관련이 있다.

한국 제품에 대한 프랑스 의 수요는 이전보다는 둔화 되었지만 한국의 주력 제품 일부가 대 프랑스 수출을 이끌고 있다. 2011년도 한국 제품의 프랑스 수출은 2010년 에 비해 7% 올라 35억 유로를 기록했다. 하지만 2007년에 비해 12% 줄어든 규모다. 이는 한국의 수출 활력이 위기 이전의 수준을 회복하지 못했다 는 것을 보여주기도 한다. 대신 한국의 대 프랑스

수출에서는 일부 품목이 흐름을 점점 더 주도해가 고 있다. 실제로 한국의 대 프랑스 수출에서 상위 여섯 가지 분야가 전체 수출량의 2/3를 차지하고 있다. 특히 두 가지 분야가 한국의 대 프랑스 수출 에서 절반을 책임지고 있다. 그 두 가지 분야는 다 음과 같다. - 전자, 정보, 통신 장비와 부품. 2010년에 비해 프랑스로의 수출이 큰 폭으로 감소하기는 했지만 (19% 감소) 2011년에 한국의 대 프랑스 수출에 서 2/3를 차지하고 있으며 수출액은 11억 6000 만 유로를 기록했다. 특히 이 분야에서 2011년도 에 수출이 가장 크게 감소한 품목은 일반 전자 제품 (22% 감소), 통신장비(39% 감소)로 하반기 프랑 스 소비의 둔화 때문이다. - 자동차, 자동차 부품과 장비. 프랑스로의 수출이 2010년도에 비해 2011년에 최대폭으로 증가해 (130%) 수출액 6억 3700만 유로를 기록했다. 현 재 한국의 대 프랑스 수출에서 15%를 차지하는 분 야다. 정유 제품의 수출은 2011년도에 365%로 대폭 증 가했고 수출액 4억 7000만 유로를 기록해 수치로 보면 프랑스에 세 번째로 많이 수출되는 품목이다. 조선 분야는 프랑스로의 수출이 꾸준히 감소하 여 2010년에 비해 2011년에 4% 줄어들었고 수 출액은 1억 8200만 유로에 그쳤다. 조선 분야는 총 4억 1400만 유로가 프랑스로 수출되어 한국의 대 프랑스 수출에서 2위를 차지하는 품목이었지 만 2010년과 2011년에 해양 교통 분야가 주춤하 고 조선 분야에 대한 수요가 감소하면서 연속 수출 감소세를 보였다. 2009년도 한국의 대 프랑스 수 출에서 13%를 차지하던 조선 수출은 2010년과 2011년도에 수출 비중이 각각 8%, 5%에 지나지 않게 되었다. 한국의 대 프랑스 수출 실적이 상대적으로 저조해 진 데에는 여러 가지 이유가 있다. 유로화의 약세와 2011년도 한국 원화의 단계적 절상으로 인해 한국 제품이 유럽 시장에서 가격 경쟁력이 떨어졌기 때 문이다. 그리고 2011년 하반기에 유럽 경제가 둔 화되고 심각한 부채 위기가 발생하면서 내구 소비 재(특히 전자)에 대한 유럽의 수요가 타격을 입었

백만유로

다. 또한 프랑스 부품에 대한 한국 기업의 수요도 둔화되었다. 구조적으로 보면, 유럽 혹은 중국에 한국 제품이 나 날이 들어오고 있기 때문에(유럽에는 자동차, 가전 제품, 중국에는 일반 전자 제품) 그 결과 관련 분야 의 한국 수출은 그리 큰 타격을 입지는 않고 있다. 한국의 대 프랑스 수출에서 조선 수출이 감소하는 세계 교역 상황이 좋지 않아 과잉생산 문제가 생겨 났기 때문이기는 하지만 꼭 이 이유만은 아니다. 세 계적으로 주문은 줄어드는데 중국과 조선 분야를 놓고 갈수록 치열하게 경쟁하는 것도 또 다른 원인 이다.

2011년 7월 1일에 발효된 한국-EU FTA의 효과 가 아직은 한불교역에서 뚜렷히 나타나고 있지는 않다. 다만 2011년도에 와인 같은 농식품 분야에 서 프랑스가 한국 시장에서 시장 점유율을 높여가 고 있는 정도의 효과만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프랑 스 농식품이 한국 시장에서 호조를 보이는 것이 한 국-EU FTA라고 확실히 단정짓기는 아직 이르다. 일부 제품 품목의 경우 관세가 철폐되려면 5년 더 있어야 한다. FTA 발효시 관세가 바로 철폐된 제품 품목은 2010년 말부터 한국에 수입양이 대폭 늘고 있다. 프랑스의 대 한국 수출이 활기를 띠고 있는 것은 한 국-EU FTA의 간접 효과 덕택이라 할 수 있다. 프 랑스 제품의 가격이 상대적으로 낮아져 관련 제품 을 수입하려는 시도가 활발해졌기 때문이다. 그리 고 일부 프랑스산 품목(돼지고기)에 대한 한국의 수요가 높아지고 수입업자들이 일부 품목(특히 와 인)에 대해 관세 철폐가 이루어지기 전에 미리 가격 을 내린 것도 또 다른 원인이다.

2012년 상반기에는 유럽의 경기가 더욱 나빠져 한 불교역이 일시적으로 둔화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 된다. 유럽의 경기 둔화는 한국 제품에 대한 유럽 의 수요, 나아가 한국 산업에 타격을 줄 수 있어서 다. 따라서 세계 수요가 위축되는 상황 속에서 한 국-EU FTA도 어떤 영향을 받을 지 예상해 볼 필 요가 있다.

CORÉE AFFAIRES 89 l 35


DOSSIER Présence Française en Corée : Qui sommes-nous ?

Comment exporter en Corée du Sud ? 한국에 수출하려면? Au service des exportateurs intéressés par le bouillonnant marché sud-coréen : l’Equipe de France de l’Export.

En 2011, les exportations françaises en Corée du Sud ont bondi de 30% par rapport à 2010. Ce résultat remarquable a permis à la France d’afficher un excédent commercial de 655 millions d’euros au Pays du Matin clair, une première après neuf années de déficit consécutives.

couvre les risques commerciaux), d’Oséo (qui permet d’obtenir des financements pour développer les exportations), des conseillers du commerce extérieur et du service économique (qui offrent une analyse des obstacles du marché et des acteurs publics) et bien entendu des chambres de commerce françaises à l’étranger, telles la FKCCI.

Selon les chiffres du Service économique de Séoul, les industries françaises les plus exportatrices en Corée sont, par ordre d’importance, l’aéronautique (avec une croissance de +187% portée par d’importantes commandes Airbus), les biens d’équipement en mécanique et électronique (-4%), les parfums et cosmétiques (+10%), la métallurgie (+10%) et l’agro-alimentaire (+26%).

Un système de guichet unique a été mis en place : un patron français qui ambitionne d’exporter en Corée se rend d’abord dans sa chambre de commerce régionale. Au sein de celle-ci, il sera aiguillé vers le responsable géographique de sa zone d’intérêt (Asie du Nord), qui le mettra en relation avec divers organismes, privés ou publics, susceptibles de l’accompagner.

Derrière ces excellents résultats se trouvent les 5 250 exportateurs français recensés en Corée du Sud par Ubifrance. Parmi eux, 3 200 sont des PME, qui n’ont pas encore pris la décision d’investir dans la création d’une filiale ou d’un bureau de liaison : elles travaillent par l’intermédiaire d’importateurs, d’agents, ou de distributeurs (environ 200 sociétés seulement ayant fait le choix de l’implantation en Corée).

En Corée du Sud, la FKCCI, Ubifrance, et des entreprises privées proposent ainsi divers services – qui peuvent être complémentaires – d’accompagnement : études de marché, tests sur l’offre, aide à la prise de rendez-vous et voyages de prospection.

Par Frédéric Ojardias, journaliste

Les démarches des entreprises françaises attirées par le séduisant marché sud-coréen ont été facilitées par la mise en place de « l’Equipe de France de l’Export ». Celle-ci est composée des chambres de commerce basées dans l’Hexagone, d’Ubifrance, de la Coface (qui

36 l CORÉE AFFAIRES 89

« Venir en Corée est nécessaire, mais ce n’est que le début : il faut ensuite mettre en place tous les outils nécessaires pour assurer le suivi et transformer l’essai d’une mission de prospection réussie », conseille Edouard Champrenault, directeur exécutif de la FKCCI. La Chambre, qui accompagne une centaine d’entreprises par an, propose ainsi des services de « chefs de projet à temps partagé, qui

offrent la réactivité et les capacités de communication essentielles pour entretenir les relations et réussir les premiers pas d’un business ». Car une fois qu’un acheteur coréen intéressé est identifié, les questions qui se posent à l’exportateur restent nombreuses : quel mode de distribution choisir ? Faut-il accepter de céder sa licence ? Quelle politique de service après-vente adopter ? Des interrogations auxquelles l’Equipe de France de l’Export peut apporter des réponses personnalisées. C’est grâce à ce système désormais bien rodé que l’entreprise française Feiyue a commencé à exporter en Corée. Créée en 2006, l’entreprise a vendu 1 million de paires de chaussures dans le monde l’année dernière. Et depuis février, ses sneakers vintage sont en vente en boutique et sur les sites Internet sud-coréens. « Dans le domaine de la mode, la Corée se développe de façon impressionnante », explique son co-fondateur Nicolas Seguy. « C’est l’un des seuls marchés de cette importance en Asie-Pacifique. Mais pour le moment, nous considérons que le pays est trop complexe pour une gestion locale en propre ». L’arrivée de Feiyue en Corée a été rapide : entre les premiers rendez-vous et la signature d’un accord avec un distributeur, seulement trois mois se sont écoulés. Nicolas Seguy se dit aussi surpris par le poids « incroyable » du commerce


특집 기사 프랑스의 한국 진출, 심층 진단

Launching Event - Feiyue Korea 페이유에 코리아 런칭행사 © http://feiyuekorea.co.kr

en ligne en Corée : « Ils ont des années d’avance sur le reste du monde. C’est impressionnant. Dès les premiers rendezvous, on se rend compte que la manière de penser est très « online ». Cela pose de nouveaux défis, comme par exemple l’achat et la gestion des noms de domaines. Nous avons dû nous adapter et résoudre de nouvelles problématiques en un temps record ».

프랑스의 대 한국 무역 흑자 뒤에는 5250개의 프랑스 업체들이 있다. 프랑스 무역진흥청(UBIFRANCE) 가 집계한 바에 따르면 한국에 수출하는 프랑스 기 업은 5250개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3200개는 중소기업인데 아직 한국에 지사나 연락 사무소 설 립은 하지 않은 상태다. 이들 중소기업들은 주로 수 입 에이전시 에이전트, 혹은 배급사를 통해 수출을 한다(한국에 진출한 프랑스 중소기업은 200개에 불과하다).

L’entrepreneur se déclare très satisfait du distributeur choisi. Et recommande de bien préparer son implantation : « il faut se faire aider par des gens qui connaissent le marché, solliciter d’autres expériences, venir et passer du temps pour bien comprendre. Et puis, enfin, se jeter à l’eau ! »

잠재력 큰 한국 시장에 매력을 느끼는 프랑스. 업체 들은 ‘프랑스 수출팀’이 설치되면서 대 한국 절차가 간단해졌다. 프랑스 수출팀은 프랑스에 소재한 상공 회의소들, 프랑스 무역진흥청, 프랑스 무역보험기관 (COFACE), 프랑스 기술금융기관(OSEO), 수출 컨설턴트들, 해외 시장 진출 시 장애물이 되는 사항, 그리고 필요한 공공기관들을 분석해주는 주한 프랑 스대사관 경제통상대표부, 한불상공회의소 같은 해 외 주재 프랑스 상공회의소들로 이루어져 있다.

다이나믹한 한국 시장에 관 심 있는 프랑스 수출 업체들 을 돕는 프랑스 수출팀

유일한 징세 창구 시스템도 마련되었다. 한국에 수 출하고 싶은 프랑스 업체의 대표는 먼저 지역 상공 회의소를 찾아가면 된다. 거기서 관심 지역(동북아 시아)를 담당하는 책임자와 만나게 된다. 관련 책임 자를 통해 대 한국 수출을 지원해 줄 수 있는 다양 한 민간 혹은 공공 기관들과 미팅을 갖게 된다.

글. 에바 존, 저널리스트

2011년, 프랑스의 대 한국 수출은 2010년에 비해 30% 급증했다. 그 결과 프랑스는 대 한국 수출에 서 6억 5500만 유로의 흑자를 기록하게 되었다. 주한 프랑스대사관 경제통상대표부의 수치에 따 르면 한국에 가장 많은 수출을 하는 프랑스 업체들 의 분야를 순서대로 나열하면 다음과 같다. 항공 우주(에어버스에 대한 높은 수주량 덕에 수출량은 187% 증가), 기계와 전기 장비재(4% 하락), 향 수와 코스메틱(10%), 제철(10%의 증가), 농식품 (26% 증가).

한국에는 한불상공회의소, 프랑스 무역진흥청, 민 간기업들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추가 지원 서비스, 즉, 시장 조사, 제품 테스트, 미팅 일정 조 율, 시장조사 출장을 제공한다.

“한국에 진출할 필요가 있습니다. 프랑스 업체들 의 한국 진출은 이제 시작입니다. 프랑스 업체들이 한국에 진출해 성공적인 비즈니스 미팅을 이룰 수 있도록 각종 전략이 마련되어야 합니다.” 에두아 르 샹르노 한불상공회의소 소장의 설명이다. 매년 100여 개의 업체를 지원하는 한불상공회의소는 인 맥을 구축하고 비즈니스의 첫 발을 성공시키는데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바로 중간에서 커뮤니

케이션을 돕는 프로젝트 매니저 지원 서비스다. 관심을 보이는 한국 바이어가 나타나면 프랑스 수 출 업체는 다음과 같은 여러 사항을 생각해야 한다. 어떤 판매 모델을 택할까? 라이선스를 양도해야 하나? 어떤 애프터 서비스 정책을 세울까? 이 같 은 여러 궁금증에 대해 프랑스 수출팀이 맞춤 해결 책을 제시할 수 있다. 이 효과적인 시스템 덕에 프 랑스 회사 페이유에는 한국에 수출을 하기 시작했 다. 2006년에 설립된 이 회사는 작년에 세계 시장 에 구두 100만 켤레를 판매하는 쾌거를 올렸다. 2 월부터 이 회사의 빈티지 스니커즈는 한국 매장과 온라인 쇼핑몰에서 판매되고 있다. “패션 분야에서 한국은 상당한 발전을 이루고 있습니다.” 페이유에 의 공동 창업자 니콜라 세기 대표의 설명이다. “아 시아 태평양 지역에서 한국은 패션 분야의 규모가 큰 시장에 속합니다. 현재 저희는 직접 현지에서 관 리하고 싶지만 한국은 아직 어려운 시장입니다.” 페이유에의 한국 진출은 신속하게 이루어졌다. 한 국 판매업체와 미팅하고 협력 MOU를 체결하기까 지 겨우 3개월 걸렸다. 니콜라 세기 대표는 한국에 서 온라인 비즈니스가 상당히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을 보고 깜짝 놀랐다고 한다. “한국은 온라인 비 즈니스 분야에서 다른 나라보다 몇 년 앞서 있습니 다. 대단합니다. 한국 업체와 초기 미팅을 몇 번 하 면서 사고 방식이 상당히 ‘온라인’ 스타일이라는 것 을 알았습니다. 온라인 비즈니스를 하려면 도메인 명 구입과 관리 같은 새로운 일이 필요합니다. 저희 도 하루 빨리 여기에 적응하고 새로운 과제들을 해 결해야 했습니다.” 니콜라 세기 대표는 함께 일하게 된 한국 판매업체 가 대단히 만족스럽다고 했다. 니콜라 세기 대표는 한국에 진출하려면 세심한 준비가 필요하다고 조언 한다. “시장을 아는 사람들에게 도움을 받고 새로 운 경험을 해야 합니다. 한국을 제대로 이해하려면 직접 와서 시간을 두고 관찰해야 합니다. 물에 직접 뛰어드는 용기가 마지막에 필요합니다!”

CORÉE AFFAIRES 89 l 37


DOSSIER Présence Française en Corée : Qui sommes-nous ?

Entrepreneurs français en Corée : « on assiste à une révolution » 한국에서 활동하는 프랑스인 사업가들: ‘큰 변화가 일어나고 있습니다.’ Créer son entreprise en Corée ? Les Français sont de plus en plus nombreux à relever le défi. Témoignages. Par Frédéric Ojardias, journaliste Les expatriés français qui ont décidé de créer leur société en Corée du Sud font encore figure d’oiseaux rares : leur nombre ne dépasse pas la vingtaine. « Nous sommes un petit vivier », reconnaît Benjamin Joinau, l’un des premiers Français à s’être ainsi lancé dans l’aventure entrepreneuriale au Pays du Matin calme, avec la création du restaurant Saint-Ex en 2000. Mais le vivier grandit : « les entrepreneurs se font plus nombreux, et de plus en plus de jeunes viennent prospecter », remarque-t-il. Les activités de ces expatriés se sont aussi diversifiées, avec des domaines tels que la conciergerie, le marketing sur Internet, le tourisme, l’importation de produits médicaux, la lunetterie,

l’audiovisuel, l’éducation, l’évènementiel, le conseil, etc. « On assiste à une révolution. Le nouveau visa vacances-travail, les échanges universitaires accrus et la troisième vague hallyu vont radicalement modifier les relations franco-coréennes, s’enthousiasme Benjamin Joinau. On voit arriver des jeunes Français qui parlent coréen, qui demandent des stages. C’est assez incroyable. Pour un entrepreneur, la Corée devient un possible. Ce n’est plus un pays ermite. » « La Corée est un excellent endroit pour monter sa société », renchérit Nicolas Piccato, PDG de Panda Media, une société de médias et d’audiovisuel, fondée en février 2009. « Le pays est dynamique et réactif, les Coréens sont extrêmement bien éduqués et capables. Les opportunités sont nombreuses. » Pour attirer les entrepreneurs étrangers, le gouvernement sud-coréen offre des activités de soutien : le Seoul Global Center propose par exemple régulièrement des séminaires d’aide. Le KOTRA (Korea Trade-Investment Promotion Agency) fournit aussi un support ; mais celui-ci est surtout destiné aux entreprises de taille importante.

iccato Nicola P 38 l CORÉE AFFAIRES 89

Un expatrié doit avancer la somme de 100 million de wons (environ 65 000 euros) pour pouvoir créer sa société et obtenir son visa d’investisseur. Ce montant élevé – il a été doublé pour éviter les

u in Joina Benjam fraudes à l’obtention de visa - représente une barrière importante. La législation oblige aussi les entrepreneurs à présenter régulièrement des preuves de leurs activités pour renouveler leur visa… ce qui peut se révéler exaspérant pour des patrons installés en Corée du Sud depuis plus d’une décennie. Mais les formalités administratives restent plutôt simples : « il suffit de faire appel à un notaire de confiance. Pour moins de 300 000 wons (environ 200 euros), il s’occupe des formalités nécessaires. Deux jours suffisent pour créer sa boîte… alors qu’en France, il nous a fallu trois mois ! » explique Karim Khouider, fondateur de Direct Optic, une entreprise de lunetterie. Créée en 2008 à Séoul, la société compte déjà une trentaine d’employés, dont la moitié en France.


특집 기사 프랑스의 한국 진출, 심층 진단 Si créer son entreprise est facile, la réussir constitue un tout autre défi : « C’est difficile en raison de réflexes patriotiques toujours présents, rappelle Nicolas Piccato. Une excellente connaissance du pays est nécessaire, pour s’entourer d’employés coréens de confiance et comprendre la société, la culture d’entreprise, et l’importance des réseaux. » « Il faut surtout éviter de vouloir tout faire tout seul, rajoute Karim Khouider. Mieux vaut travailler avec des gens que l’on comprend bien… et contacter les autres entrepreneurs pour échanger des conseils. » Benjamin Joinau confirme : « Les lois évoluent, la situation change. Le meilleur moyen, c’est de communiquer entre nous. » C’est dans ce but qu’a été créé le Cercle des Entrepreneurs Francophones de Corée (CEFC). Il se réunit tous les deux mois. Les rencontres visent à résoudre des problèmes concrets : que faire en cas de contrôle fiscal ? Comment embaucher un employé français ? Des intervenants extérieurs – tel Edouard Champrenault, directeur exécutif de la FKCCI – sont aussi invités. « Notre objectif est de mobiliser les jeunes porteurs de projet pour développer des synergies », explique le président du CEFC, Jean Rica. Ce dernier a créé sa société LuxElite en février 2011, dans un domaine encore peu défriché en Corée : la conciergerie. « Les opportunités de business sont nombreuses… si on a des réseaux. Il faut créer des relations de confiance et cela prend du temps. »

한국에서 창업한다? 이에 도전하는 프랑스인들이 점차 늘어나고 있다. 이들의 이야기를 들어보자. 글. 프레데릭 오자르디아, 저널리스트 한국에서 창업을 결심한 프랑스인들은 아직 스무 여명에 지나지 않는다. “한국에서 사업을 시작하는 프랑스인들은 적은 수입니다.” 벤자민 조아노 대표 의 말이다. 2000년에 프렌치 비스트로 르셍텍스를 세운 조아노 대표는 한국에서 창업에 뛰어든 초기 프랑스인들 가운데 하나다. 그런데 한국에서 창업하려는 프랑스인들이 늘어나고 있다. "한국에서 창업하는 프랑스인들이 이전보다 늘 어나고 있습니다. 점점 더 많은 프랑스인 젊은이들이 한국에 시장조사를 하러 오고 있습니다.” 조아노 대 표의 설명이다. 이들 프랑스인들이 진출하는 사업분 야도 컨시어지, 온라인 마케팅, 관광, 제약수업, 안경, 미디어, 교육, 이벤트, 컨설팅 등 다양해지고 있다.

“큰 변화가 일어나고 있습니다. 새로운 워킹홀리데 이 비자, 늘어나는 대학 교류, 제3의 한류 바람이 한불관계를 근본적으로 변화시킬 것입니다. 한국어 를 구사하고 한국에서 인턴을 하려는 젊은 프랑스 인들이 한국에 오고 있습니다. 창업하려는 프랑스 인들에게 한국은 가능성 있는 곳이 되었습니다. 더 이상 한국은 은둔의 나라가 아닙니다.” 조아노 대 표가 힘주어 말한다.

“한국은 회사를 세우기에 아주 좋은 곳입니다.” 2009년 2월에 미디어 회사 판다 미디어를 세운 니 꼴라 피카토 대표도 맞장구를 친다. “한국은 역동 적이고 변화가 빠릅니다. 한국인들은 교육 수준이 높고 능력이 뛰어납니다. 따라서 기회가 많죠.” 한국 정부도 외국인 기업가들을 유지하기 위해 지 원책을 내놓고 있다. 예를 들어 서울 글로벌 센터는 창업 지원 세미나를 정기적으로 연다. 대한무역투 자진흥공사(KOTRA)도 지원 방안을 내놓고 있다. 하지만 이 같은 지원책들은 아직 규모 있는 기업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 한국에서 외국인 사업가는 1억 원(약 6만 5000 유 로)을 선불로 내야 회사를 세우고 투자자 비자를 얻 을 수 있다. 하지만 비자 취득 사기를 막기 위해 선 금 액수가 두 배로 늘었다. 이는 한국에 진출하려는 프랑스인 사업가에게 높은 부담이 되고 있다. 또한 국내법에서는 외국인 사업가들이 사업 활동을 증명 하는 서류를 정기적으로 제출해야 비자를 갱신하고 있다. 이미 10년 넘게 한국에서 활동하는 외국인 사업주들에게 이는 형식상에 불과한 거추장스러운 절차로 다가올 수 있다.

a Jean Ric

그래도 행정절차는 간단한 편이다. “믿을 수 있는 공증인에게 의뢰만 하면 됩니다. 30만 원도 안 되는 비용(약 200 유로)만 내면 공증인이 필요한 절차를

houider Karim K 밟아 줍니다. 이틀만 있으면 회사를 세울 수 있습니 다. 회사를 세우는데 석 달이나 걸리는 프랑스에 비 하면 정말 빠른거죠.” 안경회사 디렉트 옵틱을 세운 카림 퀴델 대표의 설명이다. 2008년 서울에 세워진 이 회사는 현재 이미 직원 수가 서른 명이 넘는다. 이 중 절반은 프랑스 지사에 근무한다. 한국에서 회사를 세우는 일이 쉽다 해도 회사를 성 공으로 이끄는 도전이 남아 있다. “한국을 잘 알지 못하면 성공하기 힘듭니다. 한국에 대해 제대로 공 부해야 믿을 수 있는 한국인 직원들을 둘 수 있고 한국의 회사, 기업 문화, 인맥의 중요성을 알 수 있 습니다.” 피카토 대표의 말이다.

“특히 혼자서 독불장군처럼 하려고 해서는 안 됩니다. 믿을 수 있는 사람들과 일하고 다른 기업가들과 접촉 해 필요한 정보를 나눠야 합니다.” 조아노 대표가 강 조한다. “법도 달라지고 상황도 변하고 있습니다. 사 업가들끼리 교류하는 것이 최선의 방법입니다.” 사업가들 간의 교류를 위해 세워진 것이 ‘한국 불어 권 기업가 모임(CEFC)’이다. 이곳은 두 달마다 모 임을 갖는다. 모임의 목적은 구체적인 문제를 해결 하는 일이다. 조세 감사 때 무엇을 해야 하는가? 프 랑스인 직원은 어떻게 채용할까? 에두아르 샹르노 한불상공회의소 소장 같은 외부 인사들도 초대된다.

“프로젝트 아이디어가 있는 젊은 사업가 지망생들 을 모이게 해 시너지를 높이려는 것이 저희 서클의 목표입니다.” 리카 전 회장의 설명이다. 리카 회장 은 2011년 2월, 한국에 ‘럭셀리트’ 회사를 창업하 기도 했다. 이 회사는 한국에서 아직 신규 분야에 속하는 컨시어지를 전문적으로 담당한다. “인맥이 있다면 비즈니스 기회는 많습니다. 신뢰할 수 있는 관계를 구축해야 합니다. 시간이 그 만큼 필요한 일 이기도 하죠.”

CORÉE AFFAIRES 89 l 39


DOSSIER Présence Française en Corée : Qui sommes-nous ?

L'implantation industrielle en Corée : défis et clés du succès 프랑스 기업의 한국 진출 : 도전과 성공의 열쇠 Ils sont près de 200 à s'être implantés en Corée. Qu'est-ce qui attire les industriels français sur le marché coréen ? Quels défis y ont-ils rencontrés ? Par Eva John, journaliste « C'était à la fois un risque et une opportunité », analyse François Provost, PDG de Renault Samsung Motors, à propos du rachat par Renault de la branche automobile du groupe Samsung en 2000. Les avantages de l'implantation industrielle en Corée ? « Un bon réseau de fournisseurs, des technologies développées, une efficience en terme de coûts et une main d'oeuvre efficace », résume-t-il. Séoul est également une plateforme d'exportations dans une zone dynamique. Aujourd'hui, la plupart des voitures Renault Samsung Motors sont destinées à l'export, principalement vers la Chine. Produire en Corée, c'est aussi s'assurer des clients au sein des grands conglomérats tels que Samsung, LG ou Hyundai. C'est là le principal atout du pays, assure Kim Sun-min, en charge des investissements étrangers au sein du ministère de l'Economie. Rhodia, qui produit des silices utilisées pour le renforcement du caoutchouc, compte parmi les pionnières de l'implantation industrielle française en Corée. Aujourd'hui membre du groupe belge Solvay, son aventure coréenne remonte à 1974. Serge Villatte, responsable régional de la communication, raconte : « A l'époque, nos clients ont commencé à s'installer en Asie. Il n'y avait pas de producteurs locaux, ils nous ont donc demandé de nous implanter en Corée ». Comme beaucoup l'ont fait depuis, Rhodia trouve alors un partenaire local :

40 l CORÉE AFFAIRES 89

OCI (Oriental Chemical Industries). « Ils avaient le terrain et la connaissance du marché coréen, nous avions la technologie ». La joint-venture s'est dissoute une vingtaine d'années plus tard, et M. Villatte se dit satisfait d'avoir su éviter le clash en trouvant un accord avec OCI.

Contexte favorable Aujourd'hui, le contexte est beaucoup plus favorable aux investissements. Depuis la fin des années 90, le gouvernement sud-coréen mène en effet une politique d'attraction des investissements étrangers : subventions à l'implantation, avantages fiscaux etc. Un volontarisme qui a séduit l'Institut Pasteur : « Le ministère des Sciences et de l'Education nous a proposé un budget attractif pour ouvrir un laboratoire sur place et nous avons rapidement accepté », confie Dr Nehrbass. Le soutien des autorités locales s'avère souvent décisif. Dans le cas de Danone, dont l'usine est implantée à Muju, la province de Jeolla du Nord

a ainsi permis d'acquérir des terrains 20% moins chers que le prix du marché. Quant à Dassault Systemes, il a installé son centre de recherche et développement dans la DGFEZ de Daegu, l'une des six zones franches économiques du pays. « On nous a facilité la tâche, d'un point de vue financier comme culturel », rapporte Jahyun Ahn, responsable de la communication.

Les défis En 2011, la Corée du Sud s'est classée 8e dans le rapport Doing Business de la Banque mondiale, qui établit la liste des pays de l'OCDE les plus propices à l'entrepreneuriat. D'après cette même enquête, le pays du matin clair a en revanche des progrès à faire en matière de garanties des investisseurs. Depuis 2000, les IDE ont d'ailleurs fortement ralenti. « Quelque peu protectionnistes, beaucoup de Coréens donnent la priorité à des partenaires locaux », constate Sylvain Remy, responsable du pôle Indus-


특집 기사 프랑스의 한국 진출, 심층 진단 trie, Transport et Services à la Mission économique – Ubifrance de Séoul. Pour Renault Samsung Motors, les deux défis principaux sont le marché automobile extrêmement concurrentiel et l'exigence des consommateurs en termes de services. « Mais cela nous oblige à être compétitifs, ce qui est un plus pour les exportations », précise François Provost. Autre difficulté rencontrée par beaucoup d'industriels : la fidélisation de leur personnel à une entreprise venue de l'étranger. Finalement, Bo-reum Lee, chargée de communication chez Invest Korea, agence de la KOTRA, résume les forces des investisseurs qui ont réussi : « la capacité de s'adapter aux consommateurs coréens, une sensibilité culturelle et un personnel majoritairement coréen ».

한국으로 진출할 준비를 하는 프랑스 기업은 약 200개다. 프랑스 기업들을 사로잡는 한 국 시장의 매력은 무엇일까? 그리고 프랑스 기업이 한국으 로 진출하면서 직면하게 되는 도전은 무엇일까? 글. 에바 존, 저널리스트

“도전이자 기회였습니다.” 프랑스 르노 그룹이 2000년에 삼성 그룹의 자동차 부문을 인수했던 것 과 관련해 프랑수아 프로보 르노삼성자동차 대표이 사가 분석해 내 놓은 말이다. 기업이 한국에 진출하 면 좋은 점은 무엇일까? “공급자망이 잘 구축되어 있고 기술이 발달했으며 가격 면에서 효율성이 뛰어 나고 능력 있는 인력자원이 있습니다.” 프로보 대표 이사가 간단히 정리한 한국 시장의 장점이다. 또한 한국은 다이나믹한 경제를 보여주는 동아시아에서 수출 교두보 역할을 한다. 현재 르노삼성자동차는 대부분 중국으로 수출되고 있다. 한국에서 생산하면 삼성, LG, 현대 같은 대기업 사이에서 고객을 확보 하게 된다. 바로 이것이 한국의 장점이라고 김선민 경제부 외국 투자 담당관이 말한다. 고무성분을 강화시키는 분산력이 높은 실리카를 생 산하는 로디아는 한국에 진출한 선구자적 프랑스 기업에 속한다. 현재 로디아는 벨기에의 솔베이 그 룹에 속해 있다. 로디아가 한국에 처음 진출한 것은 1974년의 일이다. 세르쥬 빌라뜨 로디아 커뮤니케 이션 지역 총괄이 들려준 말은 이렇다. “당시 저희 클라이언트 업체들이 아시아 진출을 시작했습니다.

그런데 한국 현지에서는 실리카 생산 업체가 없었 죠. 결국 클라이언트 업체들은 저희에게 한국으로 진출해 달라고 요청했습니다.” 다른 많은 프랑스 기업들이 그랬듯이 로디아도 한국에서 현지 협력업 체를 찾게 되었다. 그 협력업체는 바로 동양 화약이 다. 현지 협력업체들은 한국 시장의 사정을 꿰뚫고 있었고 저희에게는 기술이 있었습니다.” 20여 년 후, 로디아와 동양 화학의 합작회사는 해산되었지 만 빌라뜨 담당은 동양 화학과 협력관계를 맺은 덕 에 한국 시장에 큰 어려움 없이 자리를 잡을 수 있 었다며 만족스러웠다고 설명한다.

유리한 상황 현재 한국은 투자하기에 아주 좋은 환경을 가진 나 라가 되었다. 1990년대 말부터 한국 정부가 외국 투자를 유치하기 위해 한국에 진출하는 외국 기업 에 대한 보조금, 관세특혜 등의 다양한 정책을 마 련한 결과다. 이 같은 한국 정부의 적극적인 의지 에 파스퇴르 연구소도 한국 진출을 결심하게 되었 다. “과학교육부가 한국에 연구소를 열 수 있도록 매력적인 예산을 제안했고 저희는 즉각 수락했습니 다.” 네바스 연구소장의 말이다. 한국 정부의 지원 은 결정적인 도움을 줄 때가 많다. 예를 들어 다논 의 경우, 전라남도 무주 공장을 위해 시장 가격보다 20% 낮은 가격으로 부지를 매입할 수 있었다. 다 쏘 시스템의 경우. 한국의 6대 자유 경제지역 중 하 나인 대구경북경제자유구역청(DGFEZ)에 연구개 발 센터를 세울 수 있었다. “한국 정부의 지원 덕에 재정적으로나 문화적으로나 한국 시장 진출이 수월 해졌습니다.” 안자현 홍보관의 설명이다.

Conseils aux futurs investisseurs industriels 향후 한국에 진출하려는 프랑스 기업들을 위한 조언 François Provost, PDG de Renault Samsung Motors : « Un manager français doit comprendre la culture du pays, écouter les Coréens et se montrer flexible ».

프랑수아 프로보, 르노삼성자동차 대표이사 : “프랑스인 매니저는 한국의 문화를 이해하고 현지 인들의 의견에 귀를 기울이고 융통성을 발휘해야 합니다.”

Serge Villatte, responsable régional de la communication chez Rhodia : « Être à l'écoute du milieu pour le comprendre, fidéliser les cadres, créer la confiance. Dans le cadre d'un partenariat, fixer clairement les objectifs et l'agenda, sur 3 à 5 ans, et associer le partenaire sur toutes les phases, en acceptant les différences culturelles ». 세르쥬 빌라뜨, 로디아 커뮤니케이션 지역 총괄 : “임원들을 이해하고 이들의 마음을 잡아 충성도를 높이고 신뢰를 얻으려면 업계의 의견에 귀를 기울 여야 합니다. 현지와의 협력관계에서는 3-5년간의 목표와 아젠다를 미리 분명하게 정하고 문화 차이 를 인정하며 모든 분야에서 손을 잡아야 합니다.”

Stella Yoon, directrice du départe-

도전 한국은 2011년도 기업환경평가(Doing Business) 에서 6위에 들었다. 기업환경평가는 기업하기에 가 장 좋은 OECD 국가를 선정하는 기준이다. 역시 기업환경평가에 따르면 한국은 투자자 안정 보장에 서 나날이 좋은 점수를 받고 있다. 하지만 2000년 부터 외국직접투자 부분은 둔화세를 보이고 있다. “한국은 보호무역주의를 주장하는 목소리는 높지 않지만 그래도 한국 협력업체들이 많이 유리한 것 은 사실입니다.” 실뱅 레미 경제담당 상무관의 말 이다. 르노삼성자동차에게 가장 큰 두 가지 도전은 경쟁이 대단히 치열한 자동차 시장과 소비자들의 서비스에 대한 까다로운 요구다. “하지만 그 덕에 저희는 경쟁력을 키우기 위해 노력하게 됩니다. 이 는 수출에도 플러스 요인으로 연결됩니다.” 프로보 대표이사의 설명이다. 많은 프랑스 기업이 한국에 서 어렵다고 생각하는 부분이 한국 직원들의 마음 을 잡아 기업에 대한 충성도를 높이는 일이다. 코트 라의 이보름 홍보 담당관은 한국에서 성공한 외국 기업들이 가진 힘을 이렇게 요약해 설명한다. “한 국 소비자들의 마을을 사로잡는 소통, 한국 문화에 대한 관심, 인력의 대다수가 한국인으로 이루어진 현지화가 성공의 열쇠입니다.”

ment commercial et coopération international à la Chambre de Commerce et d’industrie franco-coréenne (FKCCI) : « Ne pas négliger les différences dans la culture des affaires et faire appel aux appuis français présents en Corée, comme notre équipe bilingue et biculturelle ».

윤 스텔라, 한불상공회의소 국제협력부장 : “ 비즈니스 문화차이를 쉽게 생각해서는 안 됩니 다. 한국어와 불어에 능통하고 한국과 프랑스 양쪽 의 문화에 익숙한 저희 한불상공회의소 국제협력 부 같은 주한 프랑스 기관에게 조언을 구하는 것이 좋습니다. “

Sylvain Remy, responsable du

pôle Industrie, Transport et Services à la Mission économique - Ubifrance de Séoul : « Dans le cadre d'une joint-venture, éviter les accords 50/50. Prendre des garanties à long terme. Ne pas sousestimer la différence culturelle dans les affaires ou dans la gestion du personnel. Savoir s'adapter ».

실뱅 레미, 주한프랑스대사관 경제상무관 : “합작회사의 경우 50 : 50 제휴는 피하는 것이 좋 습니다. 장기적으로 안정성을 확보하는 것이 좋습 니다. 비즈니스와 인력관리에서 문화차이는 중요 하니 만만하게 봐서는 안 됩니다. 현지에 적응하는 법을 배워야 합니다.”

CORÉE AFFAIRES 89 l 41


DOSSIER Présence Française en Corée : Qui sommes-nous ?

Les recettes du succès 성공의 비결

Par Sébastien Falletti, journaliste Faire son trou au pays du matin calme, une ambition qui taraude un nombre croissant de jeunes français. Pourtant ce rêve est parfois fracassé en quelques mois sur la réalité d’un marché considéré parmi les plus fermés du monde. Malgré la réputation difficile du terrain, de nombreux entrepreneurs français comme des grandes entreprises ont démontré qu’il était possible de réussir en Corée du sud. Corée Affaires est allé à leur rencontre pour leur demander les clés de la réussite. Tous répondent que le succès se niche dans un dosage subtil entre la nécessaire adaptation aux règles du jeu locales et une différenciation capable de se distinguer de la concurrence.

42 l CORÉE AFFAIRES 89

Premier adage, connaître le terrain, étudier le marché en profondeur avant de se lancer. Un conseil qui peut s’appliquer aux entreprises du monde entier mais qui est particulièrement important sur un marché très fermé, aux modes de fonctionnement et de consommation souvent aux antipodes des pratiques occidentales. « Récemment, la Corée est devenue une nouvelle frontière pour des jeunes français qui arrivent des rêves plein les yeux. C’est une révolution positive, mais ils ont tendance souvent à appliquer un concept tout fait sans prendre le temps d’étudier les spécificités locales » explique Benjamin Joinau, propriétaire du restaurant le Saint Ex, à Séoul depuis 17 ans. « Je conseille de prendre d’abord une année d’immersion pour sentir la culture, apprendre la langue avant de se lancer ».

Même conseil de la part de Jackie W, qui a cofondé avec succès, il y a trois ans HSK Management, une entreprise d’événementiel, après avoir passé autant de temps à Séoul avant de finaliser son projet. « Il faut construire un business plan, avoir un calendrier sur plusieurs années. Et ne pas tomber dans le travers de beaucoup de jeunes entrepreneurs coréens qui se lancent sans stratégie puis abandonnent au bout de six mois » explique Jackie. Autre point clé, cultiver les réseaux, s’intégrer dans le système coréen, où les relations de personne à personne sont, plus qu’ailleurs, essentielles pour réussir un business. « Le plus grand défi est de gagner la confiance des partenaires coréens. La première année, c’était notre


특집 기사 프랑스의 한국 진출, 심층 진단 objectif prioritaire : c’est la fondation sur laquelle on peut construire » explique le patron d’HSK, originaire de Paris. Un travail patient de socialisation, qui implique une forte disponibilité personnelle et souvent de longues soirées souvent arrosées qui serviront de base aux contrats futurs. Une tâche ardue qui nécessite souvent de travailler avec un partenaire coréen ou au moins avoir un staff local pour pouvoir être introduits et éviter les faux-pas. Une règle d’airain qui s’applique également aux grandes entreprises, comme le démontre l’échec de Carrefour qui, faute de s’allier à un partenaire local, a dû affronter le front uni des chaebols avant de jeter l’éponge. À l’inverse, Renault-Samsung a bâti son succès en jouant la carte locale et en s’affichant comme une entreprise coréenne. David-Pierre Jalicon, Chairman de la FKCCI, seul architecte D.P.L.G. français à la fois présent en Corée et en France, a ouvert son cabinet sans associé, ce qui ne l’a pas empêché de rapidement gagner en notoriété. Selon lui, les clés du succès résident dans la compréhension de l’environnement local. « Il m’a tout d’abord fallu apprendre la culture et le pays, puis travailler avec un marché privilégié et récurrent (clientèle française et étrangère), avant de développer des projets locaux, avec une clientèle coréenne captive, pour enfin signer de grands contrats et travailler avec un client référence (Daemyung) » détaille Jalicon. Il faut donc voir son investissement sur du long terme. L’entrepreneur doit être un leader charismatique, à la fois flexible et disponible, et l’entreprise doit être novatrice et unique, prendre le meilleur des deux cultures. « Il faut aimer et comprendre la Corée, cerner des valeurs comme le Chung et le Han ». Mais si les efforts de « localisation » sont indispensables, une entreprise étrangère doit aussi miser sur son identité étrangère pour se différencier de la concurrence et créer si possible un nouveau marché. « Les concurrents locaux ont tendance à se copier et tous faire la même chose. Il faut donc innover, apporter un concept nouveau » explique le patron d’HSK qui a fait son trou en lançant un produit inconnu sur Séoul : des soirées afterwork, le jeudi alors que la concurrence

se concentrait sur les week-ends. Trois ans plus tard, les plus grands clubs de Cheongdam courtisent la petite entreprise franco-belge pour organiser des événements le jeudi. Réussir au pays du matin calme pour un étranger signifie en permanence jongler entre deux mondes, pour en tirer le meilleur.

글. 세바스티앙 팔레티, 저널리스트 한국에서 성공하겠다는 야심을 가진 프랑스 젊은이 들이 늘어나고 있다. 그러나 한국에서 성공하겠다 는 꿈은 몇 달 만에 산산이 깨지기도 하는데, 세계 에서 가장 진입벽이 높은 축에 속하는 한국 시장의 현실과 마주하게 되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 같은 어 려움 속에서도 한국에서 성공할 수 있다는 가능성 을 보여준 프랑스 기업가와 대기업들도 많다. <꼬 레 아페르>는 성공의 주역들을 만나 성공의 비결 을 알아보았다. 한국에서 성공을 거둔 프랑스 기업 가와 기업들은 현지화 노력과 경쟁에서 우위를 점 할 수 있는 차별화를 적절하게 활용하는 것이 바로 한국에서 성공할 수 있는 비결이라고 이구동성으로 대답했다. 첫 번째 성공의 비결, 현지를 알고 현지 시장에 대 해 깊이 조사한 후 진출하라. 전 세계 모든 기업들 이 새겨 들어야 할 조언이지만 특히 진입 장벽이 높 고 업무 방식과 소비 방식이 서구와는 정반대인 곳 에 진출하려는 기업들이라면 더더욱 귀 기울여야 할 조언이다. “최근 한국은 프랑스 젊은이들에게 새로운 꿈을 펼칠 수 있는 곳으로 떠올랐습니다. 이 들 젊은이들은 무작정 꿈을 안고 한국에 오죠. 긍정 적인 변화인 것은 맞지만 한국 현지의 특성을 제대 로 공부하지 않고 준비 없이 한국에 오는 프랑스 젊 은이들이 많습니다.” 17년째 서울에서 프렌치 비 스트로 르셍텍스를 운영하고 있는 벤자민 조아노 대표의 설명이다. “우선 1년 동안 한국의 문화를 느끼고 한국어를 배우며 적응 훈련을 한 후 진출하 는 것이 좋습니다.”

3년 전에 이벤트 기업 HSK 매니지먼트를 공동 창 업해 성공을 거둔 윌만 대표 역시 같은 조언을 한 다. 윌만 대표는 서울에서 충분한 시간 동안 준비한 후 프로젝트를 구상해 회사를 세웠다. “비즈니스 플랜을 마련하고 몇 년 간의 준비 과정을 거쳐야 합 니다. 뚜렷한 전략 없이 뛰어들다가 6개월 만에 포 기해 버리는 한국의 많은 젊은 창업가들이 저지르 는 실수를 답습해서는 안 됩니다.” 윌만 대표의 설 명이다. 두 번째 성공 비결은 인맥을 쌓고 한국식 시스템에 적응하는 것이다. 한국은 비즈니스에서 성공하려면 인간 관계가 그 어느 곳보다 중요한 곳이다. “한국 협력 업체들에게 신뢰를 얻는 일은 그리 만만하지

않습니다. 한국에 진출한 초기에 저희가 중요하게 세운 목표도 인맥 구축이었습니다. 앞으로 나갈 수 있는 중요한 토대가 되니까요.” 파리 출신의 윌만 대표가 설명했다. 한국에서 인맥을 구축하려면 끈 기가 있어야 한다. 언제든 약속을 잡을 준비가 되어 있어야 하고 향후 계약 체결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오랜 시간의 술자리에 익숙해져야 하기 때문이다. 만만치 않은 일이기 때문에 한국 협력업체와 손을 잡거나 아니면 적어도 한국인 직원을 둬야 인맥 구 축에서 첫 단추를 제대로 꿰고 시행착오를 피해갈 수 있다. 프랑스 대기업도 예외는 아니다. 한국 시 장에서 까르푸의 실패 사례가 대표적이다. 까르푸 는 한국 협력업체와 손을 잡지 않은 채 재벌들의 연 합전선과 힘겨운 싸움을 하다가 결국 한국에서 철 수하고 말았다. 반대로 르노삼성자동차는 한국 현 지화에 성공하고 한국 기업이라는 이미지로 각인되 어 한국 시장에서 성공을 거두었다. 한국과 프랑스를 오가며 활동하고 있는 유일한 프 랑스 건축가다비드 피에르 잘리콩 한불상공회의 소 회장은 단독으로 한국에 건축사무소 D.P.J. & Partners를 열었지만 빠르게 명성을 쌓아가는 데 문제가 없었다. 잘리콩 회장은 한국에서 성공하는 비결로 현지 환경에 대한 이해를 꼽는다. “우선, 저 는 한국의 문화와 한국을 배운 후 한국 시장을 아 는 프랑스 및 해외 클라이언트들과 협력했고 그 다 음에는 협력관계의 한국 클라이언트들과 한국 현지 에서 잘 통할 수 있는 프로젝트 방식을 도입해 더욱 발전시켜 나갔습니다. 그렇게 하다 보니 마침내 굵 직한 계약을 체결하고 한국에서 중요한 위치에 있 는 클라이언트(예를 들어 대명그룹)와 작업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잘리콩 회장이 상세히 알려주 는 성공의 비결이다. 따라서 장기적인 관점에서 투 자를 바라봐야 한다. 기업가는 유연하고 편안하면 서 동시에 카리스마 넘치는 리더가 되어야 한다. 아 울러 기업은 혁신적이고 개성이 강해야 하며 양국 의 문화에서 최고의 장점을 끌어낼 줄 알아야 한다. “한국을 사랑하고 이해해야 하며 ‘정’, ‘한’과 같은 한국의 가치를 알아야 합니다.” 잘리콩 회장이 강 조한다. 외국계 기업은 현지화 노력도 중요하지만 외국계 라는 강점을 살려 차별화를 이루고 새로운 시장을 창출해야 한다. “한국의 경쟁 업체들은 서로 모방 해 차별화가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이런 상 황에서는 혁신적인 모습을 보이고 새로운 컨셉을 도입해야 합니다.” 윌만 대표의 설명이다. 실제로 HSK는 한국에서 파격적인 컨셉을 선보여 성공을 거두었다. 다른 한국의 경쟁업체들이 주말 동안의 회식 이벤트에 집중하는 것과 달리 목요일 회식 이 벤트를 선보인 것이다. 3년 후, HSK는 청담동 최 대 클럽들에게 의뢰를 받아 목요일 회식 이벤트를 제공하고 있다. 외국인이 한국에서 성공하려면 끝 없이 본국과 한국 사이에서 균형을 잘 잡고 여기서 최고의 것을 창출해내야 한다.

CORÉE AFFAIRES 89 l 43


GASTRONOMIE ET SAVEUR CORÉENNEß

카페 데 자르, 카페를 넘어 문화공간으로

Le Café des Arts

Plus qu’un café, un lieu de culture

Par Clément Charles, rédacteur en chef Plus qu’un simple café. Le Café des Arts est LE restaurant où se rencontrent à Séoul la gastronomie et l’art français. Installé au 18e étage du building Woori adjacent à la porte Namdaemun, trésor national n.1 de Corée, cet établissement a rouvert ses portes le 8 février sous la patte de Benjamin Joinau et Ahn SangJoon, fondateurs du Bistrot français Le Saint-Ex, et de son Chef Nicolas Bouynet avec le support de l’Institut Français. Corée Affaires revient sur cette réouverture, la nouvelle cuisine et les projets artisticogastronomiques à venir… Pourquoi « le Café des Arts » ? Tout simplement parce que ce restaurant a pour particularité d’être situé au même étage que l’Institut Français, le pavillon de l’art et de la culture française en Corée. Il n’est donc pas rare de voir sur les murs de l’établissement des tableaux et autres photographies d’artistes locaux ou français. Et la coopération entre le restaurant et l’Institut ne devrait pas s’arrêter là. Benjamin Joinau et Daniel Ollivier, directeur de l’Institut Français, souhaitent faire fructifier tant que possible leur collaboration et accroître les événements croisant culture et gastronomie au sein même du Café des Arts. La phrase imprimée sur les sets des tables est d’ailleurs la meilleure explication au nom du restaurant : « Le Café des Arts, l’art de vivre à la française. Plus qu’un café, un lieu de culture ». Disposé en arc de cercle, ce restaurant comprend une vingtaine de tables aux

44 l CORÉE AFFAIRES 89

nappes à carreaux bleus et blancs, disposées à proximité de grandes vitres qui offrent un éclairage naturel, idéal lorsque le soleil est au zénith. Une petite terrasse se dévoile mais reste encore malheureu-

Nicolas Bouynet

sement inaccessible pour la clientèle. La géolocalisation du Café des Arts dans Séoul incite une large communauté française à venir y déjeuner avec des clients ou des collègues. Que ce soit en cuisine

ou en salle, les employés sauront vous servir en coréen, français ou anglais. Comme au bistrot Le Saint-Ex (Itaewon), la carte du Café des Arts offre un choix varié de plats à la carte et de menus adaptés à votre faim. Que vous ayez envie d’un steak tartare, d’une formule entrée-plat-dessert, d’un verre de vin, d’une bouteille ou d’un pot lyonnais, d’une assiette « brunch » ou d’un menu « express », la maison répondra à vos désirs avec une gamme de tarifs abordables. Tous les mardis, le Café des Arts renouvelle son menu du jour, composé d’une soupe ou d’une salade et d’un plat au choix. L’occasion de déguster des mets aussi originaux que délicieux comme par exemple des gambas fraîches planchées à l’espagnole (tomate, ail) dans une sauce à l’encre de seiche ou un agneau de sept heures accompagné de son riz madras. Les entrées comme la soupe de lentille au bacon ou la salade lyonnaise (pour ne citer qu’elles) vous rendront à n’en pas douter nostalgique de la France, tout comme les desserts, comme la crêpe ou bien la mousse au chocolat… Le Café des Arts a ouvert ses portes avec une exposition de photographies de Kim Yunho, en partenariat avec One and J. Gallery. De nouveaux projets verront le jour dans les semaines à venir avec des lectures, des concerts et de nouvelles expositions. Variété culturelle et variété gastronomique, deux facteurs qui ne manqueront pas d’attirer toujours plus de clients fidèles au Café des Arts !


한국의 미식문화와 맛

글. 끌레망 샤를르, 편집장 단순한 카페가 아니다. 서울에서 미식과 프랑스 예 술이 만나는 레스토랑, 카페 데 자르의 이야기다. 숭례문 근처 우리빌딩 18층에 자리잡고 있는 카페 데 자르가 르셍텍스와 파트너쉽으로 2월 8일에 새 로이 주한 프랑스 문화원에 문을 열었다. 르셍텍스 의 공동 창업자 벤자민 조아노 대표와 안상준 대표, 그리고 니콜라 부예네 셰프가 카페 데 자르에 새 활 력을 불어 넣고 있다. <꼬레 아페르>는 새로이 문 을 연 카페 데 자르, 이곳이 선보이는 새로운 요리, 그리고 향후 예술 및 미식 프로젝트를 취재했다. 왜 카페 데 자르인가? 대답은 간단하다. 주한 프랑 스 문화원에 위치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카페 데 자르에서는 벽면을 장식한 한국 혹은 프랑스 예술 가들의 그림과 사진을 쉽게 볼 수 있다. 카페 데 자 르와 프랑스 문화원의 협력은 이것이 다가 아니다. 벤자민 조아노 대표, 다니엘 올리비에 문화원장은 협력의 결실을 최대한 의미있게 맺고 카페 데 자르 에서 문화와 미식 행사를 활발히 개최할 생각이다. 테이블 세트에 새겨진 문장이 이곳 카페의 성격을 그대로 말해준다. ‘카페 데 자르, 프랑스식 삶의 예 술. 카페를 넘어 문화의 공간.’ 활꼴형태로 배치되어 있는 카페 데 자르에는 20여 개의 테이블이 있다. 자연광이 은은하게 비치는 커 다란 유리창 가까이에 놓여 있는 테이블마다 푸른 색과 흰색이 조화를 이루는 체크무늬 테이블보가 깔려 있다. 태양빛이 최고조에 이를 때 따뜻한 자연 광이 분위기를 높인다. 작은 테라스가 있기는 하지 만 아직은 이용이 불가능하다. 프랑스 문화원에 자

리잡고 있는 덕에 카페 데 자르에는 클라이언트 혹 은 동료들과 점심식사를 즐기려는 프랑스인들이 많 이 찾아온다. 홀과 룸 어디서든 한국어, 프랑스어, 영어에 능통한 직원들이 손님을 따뜻하게 맞을 준 비가 되어 있다. 이태원의 프렌치 비스트로 르셍텍스에서와 마찬가 지로 카페 데 자르에서도 다양한 일품 요리와 코스 요리가 준비되어 있어 입맛대로 고를 수 있다. 타르 타르 스테이크, 디저트-메인요리-디저트로 구성된 세트, 와인 한 잔, 와인 한 병, 리옹식 하우스 와인, 브런치, 간단히 먹을 수 있는 메뉴 등 그 어떤 것을 선택해도 합리적인 가격에 만족하게 될 것이다. 카 페 데 자르는 화요일마다 오늘의 메뉴를 바꾼다. 오 늘의 메뉴에서는 수프와 샐러드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고 원하는 메인 요리를 택할 수 있다. 카페 데 자르에서는 그 어디서도 보기 힘든 독특하고 맛있 는 요리를 맛볼 수 있다. 예를 들어 오징어 먹물 소 스로 맛을 낸 스페인식의 신선한 감바스(토마토, 마 늘), 마드라스 라이스를 곁들인 어린 양고기 스테이 크가 그러하다. 뿐만 아니라 베이컨을 곁들인 렌즈 콩 수프, 리옹식 샐러드(그 외에도 다양하다) 같은 앙트레와 크레페, 초콜릿 무스 같은 디저트는 마치 프랑스에 와 있는 착각을 불러 일으킨다. 카페 데 자르는 ‘원 앤 제이 갤러리’와 손잡고 김윤 호 작가의 사진전을 열었다. 앞으로도 낭독, 콘서 트, 색다른 전시회 같은 새로운 프로젝트들이 마련 되어 있다. 다양한 문화, 다양한 미식. 이 두 가지가 앞으로도 계속 카페 데 자르의 단골들을 늘려갈 것 으로 보인다.

Le Café des Arts Adresse : 18F, Woori Building, 10 Bongrae-dong 1-ga, Jung-gu, Seoul Tel : (02) 317-8505 Site : www.france.or.kr www.facebook.com/cafedesartsseoul Ouvert du lundi au samedi, de 12h à 20h30 주소 : 서울시 중구 봉래동 1가 10, 우리빌딩 18층 전화 : (02) 317-8505 홈페이지 : www.france.or.kr

www.facebook.com/cafedesartsseoul 영업시간 : 월요일~토요일, 12시~저녁 8시30분

Scannez et enregistrez Le Café des Arts dans vos contacts ! QR코드를 스캔해 카페 데 자르의 정보를 확인해보세요!

CORÉE AFFAIRES 89 l 45


ART ET CULTUREß

La France

sur les grands écrans coréens Le cinéma français connaît un cru 2011-2012 pour le moins exceptionnel. Que ce soit en France ou dans le reste du monde, la France marque les esprits sur grand écran. Un phénomène qui s’étend jusqu’en Corée du Sud, puisque les productions « Made in France » s’imposent et attirent un public 46 l CORÉE AFFAIRES 89

한국 영화관에서 만나는 프랑스 qui n’avait plus que des productions locales ou des superproductions américaines à se mettre sous les yeux. Retour sur le dynamisme du cinéma français dans la péninsule sudcoréenne…

2011-2012년에 프랑스 영화는 좋은 성적 을 거두었다. 국내든 해외에서든 프랑스 영 화관에서 깊은 인상을 남기고 있다. 이 현상 이 한국에까지 퍼져가고 있다. 지금까지 자 국 영화 혹은 미국 블록버스터 영화만을 즐 겨 봤던 한국 관객들이 프랑스 영화에 매력 을 느끼고 있기 때문이다. 한국에서 확인할 수 있는 프랑스 영화의 인기를 살펴보자.


예술과 문화

Intouchables : 945 000 entrées et 4e au Box Office en Corée du Sud après deux semaines en salles. 언터처블 1%의 우정 : 한국에서 개봉 2주 만에 관객 94만 5000명, 박스 오피스 4위 Après le succès incroyable du film Intouchables, réalisé par Olivier Nakache et Eric Toledano, qui enregistrait début mars plus de 19,2 millions d’entrées, soit le troisième plus grand succès du boxoffice français (derrière Titanic avec 20,7 millions d’entrées et Bienvenue chez les Ch’tis avec 20,4 millions d’entrées) et le plus gros succès français dans le monde avec 270,9 millions de dollars (devant le Cinquième Élément de Luc Besson), c’est The Artist de Michel Hazanavicius qui a fait parler de lui autour du globe en récoltant pas moins de cinq récompenses lors de la cérémonie des Oscars 2012 et plus de 80 prix (Golden Globes, BAFTA, Césars, Goya, etc.). Deux succès qui redorent l’image d’un cinéma français malheureusement trop souvent délaissé et qui lui offrent une nouvelle visibilité dans le monde, comme en Corée du Sud où les deux films sont diffusés. Si The Artist marquera les esprits pour ses Oscars du meilleur film et du meilleur acteur, son public reste tout de même composé de spectateurs avertis. Un film muet en noir et blanc limite évidemment la reconnaissance internationale en termes de nombre de visionnages. A l’inverse, Intouchables reçoit une ferveur populaire aussi bien en France qu’à l’étranger. Il n’y a qu’à voir la campagne promotionnelle du film en Corée du Sud (droits achetés par Bloomage) et l’avantpremière organisée le 6 mars à Sinsa, quartier Sud de Séoul, à laquelle les stars locales ont répondu présentes : les groupes de K-Pop comme 2PM, Beast, Kara, T-ara ou encore Girls’ Generation ainsi que des acteurs comme Lee ChunHee, Lee Jung-Jin, Park Shi-Hoo, l’actrice Lee Min-Jung, la modèle Yoo SeungAh et de nombreuses vedettes du petit écran. Avant-même sa sortie le 22 mars, le film comptait sur le moteur de recherche Naver d’excellentes notations de la part du grand public : 92% des votants choisissent une note entre 9 et 10/10, les internautes lui donnent un 9.42/10, et

aussi bien les hommes que les femmes affirment aimer le film (9.35 pour les hommes et 9.59 pour les femmes). Des notes bien supérieures à tous les autres films censés sortir le même jour, que ce soit les productions américaines comme Contraband, Battle Force ou Millenium, le film pour enfants Space Dog, les longs métrages asiatiques comme Planet of Snail ou Nude, ou encore le film d’action chinois Let the Bullets Fly. De son côté, The Artist, sortie le 16 février dans les salles sud-coréennes, a reçu une excellente note de 8.94/10 (internautes et panels de bloggeurs spécialisés dans le cinéma), un film un peu plus apprécié par les femmes (9.16) que par les hommes

네티즌평점 Internautes

(8.74). Diffusé sur 107 écrans à travers la péninsule sud-coréenne, le film a attiré 114 364 spectateurs jusqu’au 19 mars. Sur la période 2002-2011, le cinéma français se place en 4e position des films étrangers en Corée du Sud, derrière les Etats-Unis, le Japon et l’Angleterre, et au 3e rang en termes de diffusion (216 films pour 11,4 millions de spectateurs). En 2011, le cinéma français s’est classé au 9e rang des films étrangers les plus vues en Corée du Sud (170 793) et au 3e rang en nombre de films diffusés avec 16 productions françaises, derrière les Etats-Unis (141) et le Japon (47) mais devant l’Angleterre (12), l’Allemagne (10)

네티즌평점 Internautes

9.42

8.94

남녀별 평점 Homme/Femme

남녀별 평점 Homme/Femme

9.35점

남자 Homme

9.59점

여자 Femme

8.74점

남자 Homme

9.16점

여자 Femme © NAVER

CORÉE AFFAIRES 89 l 47


ART ET CULTUREß

et Hong Kong (10). Sur les trois premiers mois de cette année, le cinéma français, avec 21 948 spectateurs pour trois films diffusés, perd une place à cause de l’excellent score du dessin animé islandais Legends of Valhalla: Thor (748 517 spectateurs)*. Avec Intouchables et les films à venir, la France devrait vite regagner du terrain sur le deuxième trimestre 2012. * Source : KOFIC (Korean Film Council) Par Clément Charles

올리비에르 나카체, 에릭 토레다노 감독의 프랑스 영화 <언터처블>이 3월 초에 관객 1920만 이상의 관객을 동원했다. 프랑스 박스 오피스 3위를 기록 한 것이다(1위는 2070만 관객을 동원한 <타이타 닉>, 2위는 2040만 관객을 동원한 <슈티의 집>). 또한 <언터처블>은 2억 7090만 달러의 수익을 거 둬 세계 시장에서 가장 성공한 프랑스 영화다(뤽 베 송 감독의 <제 5원소>가 2위). 미셀 하자나비시우 스 감독의 <아티스트>는 2012년 아카데미 시상식 에서 5개 부문 이상의 상을 휩쓸었고 전 세계 영화 제(골든 그롤브, BATTA, 세자르, 고야 등)에서 80 여 개 이상을 수상하며 전 세계에서 커다란 화제가 되었다. 이 같은 쾌거로 프랑스 영화가 침체기에서 벗어나 한국을 비롯한 세계에서 새로운 도약을 맞 게 되었다.

예술과 문화

가 있다. 이와는 달리 <언터처블>은 프랑스와 해외 에서 모두 대중적인 사랑을 받고 있다. <언터처블> 이 얼마나 대중적인지는 한국에서 열린 프로모션(블 룸에이지가 판권 구입)과 신사동에서 3월 6일에 열린 시사회를 보면 알 수 있다. 시사회에는 한국 에서 내놓으라 하는 스타들이 참석했다. 2PM, 비 스트, 카라, 티아라, 소녀시대 같은 K-POP 그룹, 이천희, 이정진, 박시후, 이민정을 비롯한 배우들, 모델 유승아, 그 외 여러 TV 스타들이 참석해 자리 를 빛냈다.

3월 22일 개봉이 되기도 전에 <언터처블>은 네 이버 평점에서 높은 점수를 얻었다. 투표자 가운 데 92%가 이 영화에 9-10/10의 평점을 준 것이 다. 네티즌들은 9.42/10의 평점을 주었다. 성별로 보면 남성과 여성 모두 이 영화를 좋아한다고 밝히 고 있다(남성들이 준 평점은 9.35, 여성들이 준 평

48 l CORÉE AFFAIRES 89

2002-2011년에 한국에서 프랑스 영화는 미국 영 화, 일본 영화, 영국 영화에 이어 네 번째로 관객 동 원력을 자랑하는 외국 영화이고 배급수에서는 3위 를 차지한다(216편의 프랑스 영화들이 관객 1140 만 명의 관객을 동원했다). 2011년 프랑스 영화는 한국에서 9번 째 흥행을 자 랑하는 외국 영화가 되었고(관객 수 17만 793명), 배급되는 영화 편수는 16편으로 미국 영화(141 편), 일본 영화(47편)에 이어 3위이고 영국(12편), 독일(10편), 홍콩(10편) 영화가 그 뒤를 잇는다. 올 해 1-3월까지 프랑스 영화 세 편의 관객수는 2만 1948명으로 아일랜드 애니메이션 < 토르: 마법망 치의 전설> (관객수 74만 8517명)에 밀려 흥행 면 에서 10위로 한 단계 내려갔다.* <언터처블>과 앞 으로 개봉될 작품으로 프랑스는 2012년 3/4분기 동안 다시 빠르게 흥행몰이를 이루게 될 것이다.

* 출처 : 영화진흥위원회(KOFIC)

<아티스트>는 아카데미 작품상과 남우주연상을 거머 쥐며 관심을 사로 잡았다. 그러나 이 영화를 찾는 관객은 예술에 조예가 깊은 관객들이다. 사실, 흑백영화는 세계적으로 관객 수를 동원하는데 한계

점은 9.59). <언터처블>은 같은 날 개봉된 다른 영 화들(미국 영화 <콘트라 밴드>, <배틀 포스>, <밀 레니엄>, 어린이 영화 <스페이스 독>, 아시아 영 화 <달팽이의 별>, <누드>, <양자탄비>)에 비해 압도적으로 높은 평점을 받았다. 한편, 2월 16일에 한국에 개봉된 <아티스트>는 10점 만점에 8.94점 이라는 높은 평점을 받았다(네티즌, 영화 전문 블로 거들을 대상으로 한 조사). <아티스트>는 남성 관객 (평점 8.74) 보다는 여성 관객(평점 9.16)에게 좀 더 높은 점수를 받았다. 한국에서 전국 107곳의 영 화관에서 개봉한 <아티스트>는 3월 19일까지 11 만 4364명의 관객을 동원했다.

글. 끌레망 샤를르 © www.facebook.com/bloomagemovie


OPINIONß

오피니언

인터뷰 마리 프랑수아즈 마레, 아도피 대표

Marie-Françoise Marais Dans le cadre de sa venue à Séoul pour la conférence ICOTEC 2011 et des rencontres stratégiques, Marie-Françoise Marais, présidente d’Hadopi, a accepté de revenir pour Corée Affaires sur le rôle d’Hadopi, les premiers résultats visibles sur le marché du téléchargement légal et les possibles coopérations avec les autorités coréennes. Quelle définition pourriez-vous nous donner d’Hadopi ? Hadopi est la Haute autorité pour la diffusion des œuvres et la protection des droits sur Internet. C’est une autorité publique indépendante. Je ne pense pas, à ce propos, qu’il existe de telle structure en Corée. Nous sommes donc une administration publique car le ministère de la culture nous accorde un budget spécifique, mais nous ne recevons aucun ordre de la part des ministères. C’est la première fois qu’une telle autorité, entièrement dédiée à la protection des droits de la propriété intellectuelle, est créée. Hadopi a vu le jour le 12 juin 2009 avec la loi « Création et Internet » et se divise en deux organes : la Commission, en charge de la protection des droits, aussi connue pour s’occuper de la réponse graduée, et le Collège, qui a pour mission d’encourager le développement de l’offre légale et de protéger les œuvres à l’égard des atteintes aux droits qui leurs sont attachés. Il octroie un label aux plateformes d’offres en ligne (47 à ce jour qui proposent du gratuit, du payant, du téléchargement ou du streaming) et d’identifier les œuvres légales. Parmi ces plateformes, il y a les plus importantes comme iTunes ou Virgin mais également des petits indépendants comme CD1D par exemple. Comment décririez-vous la réponse graduée ? C’est une action menée par la Commission de protection des droits qui se veut avant tout pédagogique. Des titulaires de droit qui, en observant les réseaux peer to peer, constatent des échanges illégaux et saisissent la Commission des droits qui enregistre l’acte illégal (fait, date et heure exacte)

2011년 ICOTEC 회의와 전략 미팅에 참여하고자 한국을 찾은 마리 프 랑수와즈 마레 아도피 대표는 <꼬레 아페르>와 인터뷰를 가졌다. 마레 대표는 본 인터뷰를 통해 아도피의 역할, 합법적 다운로드 시장에서 아도 피가 거둔 초기 성과, 그리고 아도피와 한국 정부와의 협력 가능성에 대 해 이야기 했다.

아도피는 무엇인지 설명 부탁드려도 될까요? 아도피는 온라인 저작물 배포와 보호를 담당하는 고위기관입니다. 독립 적인 공공기관이죠. 한국에 아도피에 해당하는 기관이 있는 것 같지는 않 습니다. 저희는 정부기관에 속해 있기 때문에 문화부를 통해 특별 예산을 편성 받습니다. 하지만 어느 부처로부터도 명령을 받지는 않습니다. 지적 재산권 보호를 전달하는 기관은 아도피가 처음입니다. 아도피는 창작과 인터넷 법을 통해 2009년 6월 12일에 창설되었고 두 부서로 나뉩니다. 하나는 저작권 보호를 담당하고 단계별 대응을 하는 위원회이고 또 하나 는 저작물의 합법적 제공을 장려하고 저작권을 보호하는 그룹입니다. 이 그룹은 온라인 저작물의 플랫폼에 라벨을 부여합니다. 현재 47개의 저작 물이 무료, 유료, 다운로드, 혹은 스트리밍으로 제공되죠. 그리고 합법적 인 저작물을 감정하기도 합니다. 플랫폼으로는 i Tunes 이나 Virgin 처 럼 대형도 있고 CDID 처럼 독립적인 소규모도 있습니다.

CORÉE AFFAIRES 89 l 49


OPINIONß

ainsi que l’IP (Internet Protocol) de la personne visée qui sera transmise par le fournisseur d’accès à Internet. L’IP permet de mettre un nom et une adresse sur la connexion et l’abonné mis en cause. Une première recommandation sous forme d’e-mail est alors envoyée à l’abonné, qui est, et je tiens à le préciser, le titulaire de l’accès et donc le responsable de sa connexion. Si un ami, un membre de sa famille ou un voisin utilise son IP pour effectuer un téléchargement illégal en Peer-To-Peer, il en va de sa responsabilité. Dans ces recommandations sont précisés les risques encourus dans le cas d’une récidive. En cas de répétition dans les six mois suivant la première alerte, un second email est envoyé accompagné d’une lettre avec accusé de réception. Enfin, si dans l’année suivant la seconde récidive l’abonné réitère une infraction, une notification lui sera envoyée et il sera questionné afin de comprendre les raisons de son acte. En fonction de ses justifications, son dossier sera transmis ou non aux instances judiciaires. L’abonné pourra alors encourir jusqu’à 1 500 euros d’amende maximum et une peine complémentaire d’une suspension de sa connexion pendant un mois maximum également. Aujourd’hui, quels sont les résultats par rapport aux comportements des internautes ? Jusqu’au mois de février 2012, nous avons enregistré un total de 865 000 premières recommandations envoyées, 75 000 secondes et 220 dossiers sont en cours d ‘examen à la Commission de protection des droits pour la troisième étape. Depuis peu, les premiers dossiers ont été transmis à la justice. Ce qu’il faut retenir, ce n’est pas le côté sanction du système mais bien évidemment la sensibilisation et la responsabilisation des internautes. On me demande souvent pourquoi nous n’effectuons pas plutôt de campagnes de sensibilisation générale. Je pense que cette lettre à un impact psychologique beaucoup plus importante sur l’individu et son entourage. Nous constatons d’ailleurs un effet significatif positif ; à ce jour, nous estimons à 16% le nombre d’internautes qui se sont finalement tournés vers des offres légales dans les six mois suivant la première recommandation. Un internaute sur deux déclarant avoir reçu une recommandation déclare avoir arrêter de consommer de façon illégale, ils sont 72 % à déclarer avoir arrêté ou réduit. Pour revenir au côté pédagogique de la réponse graduée, je tiens à préciser que nous menons parallèlement un dialogue permanent avec les internautes. Au travers de conversations téléphoniques avec notre centre d’appel, nous constatons à ce propos qu’une part significative d’abonnés ne sait pas protéger sa connexion wifi. Comment réagit le marché du téléchargement légal ? Depuis avril 2009, point culminant des débats relatifs à la « loi Hadopi », la France connaît, parmi les six autres pays européens étudiés, la croissance la plus forte des ventes d’albums et de titres sur ITunes. En France, sur iTunes, les ventes de titres ont augmenté de 22,5%. Sur 2011, 3,6 milliards de fichiers ont été téléchargés légalement, soit une

50 l CORÉE AFFAIRES 89

단계별 대응이란 무엇인지요? 위원회가 교육적인 저작물을 보호하는 행동을 말합니다. 저작권자들은 P2P 네트워크를 관찰하여 불법 교환을 잡아내 저작권 위원회에 신고하 면 됩니다. 그러면 위원회는 불법행위 관련 정보(불법 행위 종류, 그 행위 가 일어난 정확한 날짜와 시간), 온라인 억세스 공급자가 전달해주는 불 법행위자의 IP 주소를 등록합니다. IP를 통해 문제의 네티즌 이름과 접속 주소를 알 수 있습니다. 처음에는 문제의 네티즌에게 권고 메일을 보냅니 다. 친구, 가족 혹은 이웃이 IP를 대신 사용해 P2P 불법 다운로드를 할 경우라 해도 그 IP의 주인이 책임을 져야 합니다. 권고 메일에서는 또 한 번 저작권을 위반할 경우 어떤 처벌을 받게 되는지 상세히 설명하게 됩니 다. 첫 번째 경고성 권고 메일을 받은 지 6개월도 채 안 되어 불법행위를 또 저질렀을 경우 두 번째 이메일이 수신 확인증과 함께 송부됩니다. 두 번째 권고 메일을 받은 후 1년 내에 또 불법 행위를 저지르면 통지서가 발 부되고 문제의 네티즌은 왜 불법행위를 저질렀는지 조사를 받게 됩니다. 증거 서류도 문제의 네티즌 관련 서류는 사법기관에 넘겨지기도 하고 아 니기도 아닙니다. 어쨌든 문제의 네티즌은 최대 벌금 1500유로까지 물어 내야 할 수 있고 최대 1달 동안 인터넷 접속을 못하게 될 수 있습니다. 요즘 네티즌들의 불법행위는 어느 정도 입니까? 2012년 2월까지 발송된 첫 권고 메일은 총 86만 5000통 입니다. 두 번 째 권고 메일은 총 7만 5000통이 발송되었습니다. 제 3단계의 경고로 저 작권 위원회에서 조사 중인 서류는 220건 입니다. 얼마 전부터 2차 서류 들이 법원에 전달되었습니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처벌 절차가 아니라 네 티즌의 책임성 있는 행동을 알리는 일입니다. 왜 저희가 직접 홍보 캠페인 을 벌이지 않느냐는 질문을 받을 때가 많습니다. 제 생각으로는 권고 메일 이 당사자와 주변에 심리적인 압박을 더욱 효과적으로 주는 것 같습니다.


오피니언

hausse de +17% en glissement annuel, selon les chiffres de l’IFPI, la fédération internationale de l’industrie phonographique. Hadopi a par conséquent une action positive sur les comportements et le marché du téléchargement. Dans quel but s'est effectuée votre récente visite en Corée ? Je me suis rendue en Corée du Sud en novembre dernier sur l’invitation de l’ « ICOTEC - Copyright First ! », la conférence internationale sur les droits d’auteur et la technologie, événement organisé par le ministère de la culture, des sports et du tourisme en coopération avec l’organisation mondiale de la propriété intellectuelle (OMPI). Je suis venue présenter la mission et le rôle d’Hadopi. Grâce au concours de l’Ambassade de France à Séoul, j’ai profité de cette visite pour m’entretenir avec différents acteurs institutionnels comme la Commission coréenne des communications qui a porté un regard plein d’intérêts sur le système Hadopi. J’ai également eu des échanges sur la politique générale pour le droit d’auteur et ai pu rencontrer un responsable du KISDI, l’institut coréen sur le développement de la société d’informations. L’INDUSTRIE MUSICALE NUMÉRIQUE en 2011 (IFPI) - 32% de l’industrie musicale provient du numérique (29% en 2010) - L’industrie musicale numérique représente un chiffre d’affaires de 5,2 milliards de dollars (+8%) - 58 pays proposent du téléchargement légal ou du streaming de musique (23 en 2010) - Aux USA, plus important marché au monde, le numérique a dépassé le physique: 50,23% en volume, 52% en revenu. - En Corée du Sud, le numérique représente 53% du marché.

Quel regard portent-ils sur Hadopi ? Ils portent un vif intérêt et comme nous, ils sont tout à fait ouverts aux retours d’expérience dans les différents pays qui appliquent des systèmes de contrôle. Nos façons de procéder sont différentes : en France, nous nous attaquons avant tout au Peer-To-Peer et en Corée, les autorités s’adressent aux sociétés d’hébergements, à ceux qui ont des volumes d’offres conséquents et qui en font un commerce. Cependant, nos réponses aux téléchargements illégaux restent assez proches. Les échanges que j’ai eus m’ont permis de constater qu’un intérêt existait de part et d’autre quant aux actions à mener auprès des internautes.

첫 번째 권고 메일을 받은 지 6개월 후에 합법적인 다운로드를 하게 된 네 티즌 수가 현재 16% 정도 됩니다. 첫 번째 권고 메일을 받은 네티즌들의 경우, 2명 중 1명은 불법 다운로드를 그만 두었다고 답했습니다. 불법 다 운로드를 그만 두거나 줄여간다고 대답한 네티즌들이 72% 입니다. 불법 다운로드를 교육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저희는 네티즌들과 지속적으 로 대화 합니다. 저희 콜센터와 전화 통화를 하면서 네티즌 상당수가 와이 파이 접속을 어떻게 보호하는지 모른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합법 다운로드 시장의 반응은 어떻습니까? 2009년 4월 아도피 법과 관련한 토론이 한창 열렸습니다. 그 후로 프 랑스는 조사 대상인 다른 유럽 국가 6개국 중 가운데 i Tunes에서 앨 범과 타이틀 곡이 가장 많이 판매되는 나라가 되었습니다. 프랑스에서 는 i Tunes을 통해 타이틀 곡이 판매되는 비율이 22.5% 증가했습니다. 2011년에는 36억 개의 파일이 합법적으로 다운로드 되었는데 포르노 산 업 국제 연맹(IFPI)의 주최에 따르면 전년 대비 17% 오른 것이라고 합니 다. 아도피가 결과적으로 네티즌들의 불법 다운로드를 고쳐가고 다운로 드 시장을 정상화 시키는데 긍정적인 역할을 한 셈입니다.

2011년 디지털 음악 산업(IFPI) - 음악 산업의 32%는 디지털 음악(2010년에는 그 비중이 29%) - 디지털 음악 산업은 52억 달러의 매출(8% 증가)을 기록하고 있다. - 58개국에서는 음악이 합법적으로 다운로드 혹은 스트리밍 되고 있다. (2010년에는 23개국) - 세계 최대 음악시장인 미국에서 디지털 음악이 아날로그 음악을 넘어섰다. 양적으로는 50.23%, 수익으로는 52%. - 한국에서 디지털 음악은 시장의 53%를 차지한다.

최근에 한국을 방문하시게 된 이유는 무엇인지요? 지난 11월에 ‘ICOTEC – 저작권, 콘텐츠의 생명이다!’의 초대를 받아 한 국을 찾게 되었습니다. ICOTEC는 국제 저작권기술 국제회의로 문화체 육관광부가 세계 지적 소유 기구(OMPI)와 함께 손을 잡고 개최하는 행 사입니다. 저는 아도피의 임무와 역할을 소개하고자 회의에 참석했습니 다. 주한 프랑스 대사관의 지원 덕분에 한국 방문 기간 동안 다양한 기관 들과 미팅을 가질 수 있습니다. 특히 방송통신위원회가 인상에 남습니다. 방송통신위원회는 아도피의 시스템에 많은 관심을 보였습니다. 또한 저 작권에 대한 전반적인 정책에 대해서 의견을 나눌 수 있었고 정보통신정 책연구원(KISDI)의 책임자와도 미팅을 가질 수 있었죠. 한국의 기관들은 아도피를 어떻게 바라보는지요? 상당히 흥미롭게 바라보고 있습니다. 저희와 마찬가지로 한국 기관들도 불법 다운로드 감시 시스템을 시행하는 여러 국가들을 벤치마킹하고 싶 어 합니다. 저희의 시행방식은 다릅니다. 프랑스에서는 P2P 온라인 다운 로드를 우선 대상으로 하지만 한국에서는 홈페이지 업체 온라인 저작물을 많이 보유하고 이를 상업적으로 이용하는 사람을 감시 대상으로 삼습니 다. 그래도 프랑스와 한국이 불법 다운로드는 처벌해야 한다는 것에 인식 을 같이 합니다. 한국에서 여러 미팅을 하면서 불법 다운로드를 하는 네티 즌들에 대해 행동을 취해야 한다는 데에 한국측도 의견을 같이 했습니다.

Quel regard portez-vous sur les récentes opérations du groupe d'hacktivistes Anonymous en réaction aux propositions de lois américaines SOPA et PIPA ? Je n’ai pas de commentaires particuliers à faire d’autant plus qu’il ne s’agit que d’une proposition de loi. Nous observons ce qu’il se passe. Concernant la fermeture de Megaupload, nous pensons que c’est une bonne nouvelle car derrière tout ça, c’est le crime organisé qui est mis en exergue et tout ce qu’il y a derrière cette nébuleuse.

최근 미국의 온라인 해적행위 방지 법안(SOPA)과 지적재산권보호 법안(PIPA)에 반대해 해커그룹 ‘어노니머스’가 벌인 활동을 어떻게 보십니까? 법안에 대한 것이라 특별히 하고 싶은 코멘트는 없습니다. 다만 상황을 지 켜보고 있죠. 파일공유 사이트 DLS 메가업로드의 폐쇄는 좋은 소식이라 생각합니다. 메가업로드 뒤에는 조직 범죄가 개입되어 있으니까요. 보통 이런 해커 공격에는 조직범죄 단체가 연루되어 있으니까요.

Propos recueillis par Clément Charles

인터뷰. 끌레망 샤를르

CORÉE AFFAIRES 89 l 51


LES DERNIÈRES TENDANCESß

최신 기술 동향

Les dernières innovations

? +

De l’Androïd dans les appareils photos Samsung ? Le centre de recherche et développement du géant coréen Samsung a révélé au site américain engadget.com, spécialiste des dernières technologies sur le web, qu’il étudiait la possibilité d’intégrer un système d’exploitation ouvert pour ses appareils photos numériques. En tout état de cause, lorsqu’on parle de système ouvert chez Samsung, il faut bien comprendre le système Androïd. Si Polaroid sera le premier fabricant d’appareil photo à adopter la plateforme de Google sur ses équipements, la firme au losange bleu n’a pour l’instant aucune annonce à faire quant à un premier produit pour le grand public. Mais il n’est pas difficile d’imaginer toutes les possibilités offertes par un tel système sur un appareil numérique : retouche, partage sur les réseaux sociaux ou via email, commentaires, mise en ligne, etc. Le challenge technique reste tout de même important, car la prise de photo devra se confondre avec des applications tierces. 52 l CORÉE AFFAIRES 89

삼성의 안드로이드 디 지털 카메라? 삼성연구개발센터는 IT전문 매체 ‘엔 가젯(Engadget)’의 홈페이지를 통 해 안드로이드 디지털 카메라를 고려 하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 삼성의 운 영체제에서 안드로이드는 중요한 의 미를 갖는다. 폴라로이드는 구글 안 드로이드 기반의 카메라를 최초로 만 들었지만 아직까지 대중을 위한 제품 을 출시하겠다는 발표는 하고 있지 않다. 안드로이드가 탑재된 디지털 카메라는 다양한 기능(보정, 소셜 네 트워크나 이메일을 통한 공유, 댓글, 온라인 접속 등)을 제공한다. 카메라 와 어플리케이션의 만남은 새로운 기 술 도전을 예고한다.

Polaroid Smart Camera + Androïd

한국의 최신 경향

en Corée du Sud

Corée du Sud : l’Internet en 2011 L’ a g e n c e s u d coréenne de sécurité sur Internet (KISA) a publié son rapport sur l’état de l’Internet en Corée du Sud pour 2011. Comme chaque année, les chiffres sont étourdissants : 78% de la population est connectée, soit 81.8% des foyers coréens et un total de 37,1 millions d’habitants. Sur Internet, nous retrouvons 99,7% des 10-39 ans et 86.2% des moins de 10 ans, 79.9% des salariés dont 99.8% des cadres et employés de bureau, et 99.9% des étudiants. Les internautes se connectent à 92% pour s’informer, à 87.9% pour communiquer et à 87.9% pour s’amuser. Et ils se tournent de plus en plus vers les équipements mobiles : 109% de la population est abonné chez un opérateur mobile et près de la moitié de la population (22,58 millions) détient un smartphone à fin février (dont 2 millions utilisent la technologie LTE). En moyenne, un foyer coréen possède 0.71 appareil type smartphone ou tablette, un chiffre multiplié par neuf en un an. Concernant les réseaux sociaux, la Corée enregistre un taux de pénétration de 52% et 76% des 12-49 ans sont des utilisateurs réguliers. En ce début d’année, Facebook et Twitter comptent à peu près le même nombre d’abonnés (5,7 et 5,8 millions), soit près de 14,5% des internautes, pour 15 millions d’inscrits à Cyworld, le réseau social local.

Cyword 싸이월드 © SK Communications

한국 : 2011년 인터넷 한국인터넷진흥원(KISA)는 2011년 한국 인터넷 현황에 관한 보고서를 발 표했다. 매년 발표되는 보고서와 마 찬가지로 올해 보고서 역시 깜짝 놀랄 만한 수치를 제공한다. 한국의 인터넷 사용인구가 전체 인구 중 78%을 차 지하는데 이는 한국 가정의 81.8%, 한국인 3710만 명이 인터넷을 사용한 다는 의미다. 인터넷 사용인구를 좀더 자세히 살펴보면, 10-39세는 99.7%, 10세 미만의 어린이는 86.2%, 샐러 리맨은 79.9%(임원과 직원 99.8%), 대학생 99.9%가 인터넷을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네티즌의 92%는 정보를 얻기 위해, 87.9%는 커뮤니 케이션을 위해, 87.9%는 재미로 인 터넷을 사용한다고 밝혔다. 그리고 인 터넷 사용자들은 점점 모바일 시스템 으로 관심을 돌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국내 모바일 보급률은 109%이 며 2월 말 기준, 한국인 중 절반 정도 (2258만 명)가 스마트폰을 갖고 있 는 것으로 나타났다(스마트폰 사용자 중 200만 명은 4세대 LTE기술을 사 용하고 있다). 평균적으로 한국에서는 한 가정 당 스마트폰이나 태플릿 같은 최신 기기 0.71대를 소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년 만에 무려 9배나 증가 한 수치다. 소셜 네트워크에서도 한국 은 52%의 가입률을 자랑하고 있다. 특히 12-49세의 한국인 가운데 76% 는 소셜 네트워크를 자주 사용하는 것 으로 조사되었다. 올해 초, 페이스북 과 트위터에 가입한 한국인의 수는 각 각 570만, 580만 명 정도다. 이는 한 국 네티즌 14.5%에 해당하는 수치 다. 한편, 국내 소셜 네트워크인 싸이 월드의 가입자는 1500만 명이다.




Issuu converts static files into: digital portfolios, online yearbooks, online catalogs, digital photo albums and more. Sign up and create your flipbook.